KR20160049504A - 양식된 뱀에서 천연원료의 부산물과 농축액을 추출하기 위한 용기 - Google Patents

양식된 뱀에서 천연원료의 부산물과 농축액을 추출하기 위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9504A
KR20160049504A KR1020150177519A KR20150177519A KR20160049504A KR 20160049504 A KR20160049504 A KR 20160049504A KR 1020150177519 A KR1020150177519 A KR 1020150177519A KR 20150177519 A KR20150177519 A KR 20150177519A KR 20160049504 A KR20160049504 A KR 201600495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ake
water
concentrate
rice
bar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7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도균
Original Assignee
한도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도균 filed Critical 한도균
Priority to KR1020150177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9504A/ko
Publication of KR20160049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95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2Breeding vertebr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37Digestive system
    • A61K35/38Stomach; Intestine; Goblet cells; Oral mucosa; Saliv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1/00Solvent extraction
    • B01D11/02Solvent extraction of so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10Jars, e.g. for preserving foodstuff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W90/10Bio-packaging, e.g. packing containers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or bio-plastic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ll B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techn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Immunology (AREA)
  • Vir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식된 뱀에서 천연원료의 부산물과 농축액을 추출하기 위한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연성분의 자연 치료제와 싱싱한 먹이를 제공하여 건강한 뱀을 사육하고, 이로 인해 양식된 뱀에서 허물, 껍질, 독, 쓸개 등의 천연원료 부산물을 얻고, 중탕으로 고농도의 농축액을 추출함에 있어 열에 깨지지 않도록 된 단련된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양식된 뱀에서 천연원료의 부산물과 농축액을 추출하기 위한 용기{Containers for extracting natural raw materials and by-products concentrate in the form snake}
본 발명은 양식된 뱀에서 천연원료의 부산물과 농축액을 추출하기 위한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연성분의 자연 치료제와 싱싱한 먹이를 제공하여 건강한 뱀을 사육하고, 이로 인해 양식된 뱀에서 허물, 껍질, 독, 쓸개 등의 천연원료 부산물을 얻고, 중탕으로 고농도의 농축액을 추출함에 있어 열에 깨지지 않도록 된 단련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예로부터, 뱀은 28여종의 아미노산 및 토코페놀 등을 함유한 고담백질체로서 중탕을 끓여 자연 보양식으로도 이용되어 왔으며, 근래의 보고에 따르면 허물이나 맹독, 껍질, 쓸개 등 그 부산물을 이용한 의류뿐만 아니라 의학이나 화장품 분야에서도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즉, 의학분야에서는 뱀의 맹독이 항암제의 역할을 한다는 보고가 있으며 화장품 분야에서도 그 재생효과가 탁월하다는 보고가 잇따르고 있어, 앞으로 보양식재료의 역할을 차치하더라도 그 부산물을 이용한 다채로운 분야의 연구 대상임에는 틀림없다 할 것이다.
그러나, 야생의 국산 토종뱀은 불법의 무분별한 채집으로 인해 멸종 위기종이 도래하고 있고, 이에 관계 당국에서는 멸종 보호종으로 분류하여 허가없이는 수출입 뿐만아니라 그 채집을 금지하고 있는 실태이다.
즉, 보양식의 식재료가 아닌 생활을 이롭게 하는 의학계의 다양한 연구재료로서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임에도 불구하고 당연히 공급이 부족할 수밖에 없어 그 대체법이 요구되는 바, 국가에서는 이를 위해 뱀의 일부 종을 분류하여 외래종을 수입 및 뱀 양식의 허가를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뱀은 다수 종의 애완용 양식 뱀을 제외하고는 야생의 국산 토종뱀과 동일한 종은 그 먹이법 뿐만아니라 관리 등 양식 방법에 대한 보고가 거의 없어 국내에서 양식을 함에 있어 치사율이 상당한 문제을 안고 있으며, 특히 토종의 야생뱀의 경우에는 양식에 성공한 예를 거의 찾아볼 수 없다.
즉, 야생의 국산 토종뱀의 경우 활동반경이 넓고 자연친화적인 야생본능을 가짐에 따라 사육통 등의 제약적인 좁은 공간에서 키우기가 어렵기 때문에 일부 사육가들은 실외의 넓은 공간을 막고 자연 친화적인 조건을 마련해 방사의 형태로 양식을 취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이또한 막힌 실외공간으로 자연과 동일한 조건이지는 못하기 때문에 먹이법에도 한계가 있으며 병들어도 치료제가 마땅하지 않아 치사율이 높아 양식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편, 양식되는 뱀은 성장과정에서 피부재생 치료제 및 미용원료로 활용되는 허물 등을 제공하며, 성장 후 의학 연구 및 화장품 원료의 목적으로서 독을 채취하게 되며, 끝으로 껍질 등을 의류 및 장신구 분야에 이용하거나 또는 실체를 이용해 중탕을 끓여 농축액을 얻고 이 농축액을 가공, 분해하여 의료나 화장품의 원료로 사용하게 된다.
상기 중탕을 할 때 이용되는 용기는 금속재질의 압력솥이나 들통, 가마솥 등이 많이 통상 사용되나 이는 농축액이 아니라 보양식의 탕 종류를 얻고자 할 때 사용하는 방식이며, 2차 가공 및 분해용의 고농도 농축액을 얻기 위해서는 전통 약탕기 원리로서의 토기인 옹기항아리가 가장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그러나, 토기인 옹기항아리는 소형의 약탕기 외에는 중탕용으로 크게 제작되어 있는 것이 없으며, 크게 제작되더라도 이는 통상 장독대와 같은 저장용기로의 역할을 하여 왔다. 이는 중탕의 경우 불에서 최소 3~8시간 정도 계속적으로 불을 접촉하여 유지하여야 하는 바, 이 과정에서 통상의 옹기항아리는 그 열에 견디지 못하고 2~3시간 정도면 터져버리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1-0018921호 발명의 명칭: 뱀의 사육을 위한, 지층을 통한 충격의 완화 시설(2001년03월15일공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412328호 발명의 명칭: 농축기(2003년12월11일등록)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090278호 발명의 명칭: 초임계 추출로 악취가 제거된 한방 소재용 뱀의 수득방법(2011년11월30일등록)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건강한 뱀을 양식 사육하여 뱀으로부터 양질의 천연원료의 부산물을 채취 후 중탕을 끓일 때, 중탕용기로서 단련된 옹기항아리를 제공하여 장시간 불에 데워지더라도 터지지 않도록 하고, 이로써 얻어지는 양질의 농축액 및 찌꺼기 분말을 얻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양식된 뱀에서 천연원료의 부산물과 농축액을 추출하기 위한 용기는,
단련시 황토재질의 옹기항아리 및 물 15~20리터를 기준하여 쌀이나 보리, 옥수수 등 중 1종 이상의 곡물가루 0.5~1kg, 쌀겨나 보리겨, 등겨 중 1종 이상 0.5~1kg, 가스렌지를 주재료로 하며, 그 부재료로 고구마 또는 감자 전분을 부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옹기항아리는, 옹기항아리에 물 15~20리터를 넣어 주는 제 1과정; 상기 물에 쌀이나 보리, 옥수수 등 중 1종 이상의 곡물가루 0.5~1kg, 그리고 쌀겨나 보리겨, 등겨 중 1종 이상 0.5~1kg을 같이 넣어 풀어주는 제 2과정; 상기 제 2과정을 마친 옹기항아리를 가스렌지에 올려 중불에서 5~8시간 정도 끓여주는 제 3과정; 끓임 이후, 기화되어 줄어드는 물을 3~5시간 주기로 체크하여 처음의 물량과 같이 15~20리터로 보충해 가며 3~5일간(72~120시간) 반복하여 끓여주는 제 4과정; 상기 3~5일간의 단련과정이 끝나면, 40~50℃의 따뜻한 물로 옹기항아리의 내부를 깨끗이 씻어내고 자연 건조시켜 완성하는 제 5과정;을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4과정의 물을 주기적으로 보충하는 과정에서, 부재료인 고구마 또는 감자 전분을 50~10그램 정도로 분량을 낮춰가며 추가로 넣어주되, 최초 50그램을 넣었다면 이후 5그램씩 낮춰가며 넣어주며, 10회정도 반복하여 넣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양식된 뱀에서 천연원료의 부산물과 농축액을 추출하기 위한 용기는,
황토재질의 옹기항아리를 장시간 열에 견딜 수 있는 뱀 중탕용의 적합한 옹기항아리로 단련하여 중탕시 불에 터지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써 얻어지는 양질의 농축액 및 찌꺼기 분말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있어서, 양식장 및 양식통을 도시한 개략도
도 2 내지 5는 본 발명에 있어서, 뱀 양식법에 필요한 각 과정의 공정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하기에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당 업계의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생략됨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있어서, 양식장 및 양식통을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2 내지 5는 본 발명에 있어서, 뱀 양식법에 필요한 각 과정의 공정도이다.
먼저, 뱀을 사육하기 위해서는 도 1과 같이 뱀의 자연 사육환경에 맞도록 온도와 습도, 빛 등을 자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조명장치 및 히터, 가습기, 제어반 등이 설치된 소정 공간의 실내 양식장(100)이 요구되며, 양식장(100) 내에는 뱀이 외부로 탈출하지 못하도록 안전장치(미도시) 등이 마련됨은 주지된 바와 같다.
양식장(100) 내에는 뱀을 각 개체로 분류하여 키울 수 있도록 양식통(200)이 마련되며, 양식통(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식장(100) 내에 다수가 선반등을 이용해 적층 배열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의 각 양식통(200)은 개별 분리가 가능하도록 되고 상부에 뚜껑을 개폐할 수 있도록 된 사각의 투명상자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1~3마리를 넣어 키울 수 있도록 가로 45㎝, 세로 30㎝, 폭 30㎝ 정도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식통(200) 내에는 뱀이 잘 적응하며 생활할 수 있도록 바닥에 모래나 부직포, 대패밥, 신문지를 가늘게 찢어 놓은 것 등의 바닥재(210)를 구비해 주며, 그 위 물통이 구비된 먹이통에는 물을 채워주고, 천정 뚜껑부에는 적외선이 조사되는 적외선램프(220)를 설치해 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양식장의 온도 및 습도, 조명 등을 일상 자연의 생활 조건과 같이 적절하게 조절하여 주게 되면, 자연에서와 같이 햇빛을 받고 자라는 야생의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마련된 협소한 생활공간으로서의 양식통(200)에는 1~3마리의 뱀을 넣어 키우게 되며, 성체의 경우 일주일에 1회 정도의 주기별로 먹이를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뱀의 먹이는 여러 가지가 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야생뱀들이 취할 수 있는 생먹이로서의 쥐를 제공하되, 쥐를 치사시켜 바로 냉동한 후 이를 먹이를 줄 때 해동하여 주게 된다. 이는 살아있는 개구리나 쥐를 넣어 줄 경우 공간이 좁은 양식통 내에서 뱀을 피해 뛰쳐나오려고 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통의 벽에 부딪혀 쉽게 죽게 되며, 이때의 죽어 싱싱하지 못한 부패된 먹이를 뱀이 먹을 경우에는 병에 걸리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며 또한 이를 오랫동안 방치했을 때는 썩어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2와 같이 치사시킨 쥐를 바로 급속 냉동시켜 두었다가, 먹이로 이용시 뱀의 크기에 맞는 적절한 크기의 쥐를 선택하여 해동한다. 이때의 쥐를 해동하는 방법은 냉동된 쥐를 35~50℃의 가열실에 넣어 1~4시간 정도 해동하여 쥐의 체온이 15~30℃가 되었을 때 꺼내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서 가열실은 일반 전자렌지로 대체하여 1~3분 정도로 넣어 해동시키나 또는 내부에 히터나 온수 등의 열원을 가지도록 하여 그 열에 의해 해동하여도 무방하다.
다음, 양식통에 먹이를 넣어 줄 때는 해동된 쥐를 35~45℃의 내부온도를 갖는 보온통에 5~10분 정도 넣어준 뒤 꺼내어 쥐의 체온이 살아있는 쥐와 같이 35~40℃정도의 체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상태에서 먹이통에 넣어 준다. 이때의 쥐의 체온은 살아있는 쥐와 같이 38℃로 정확하게 일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먹이 투입 후 20~30시간 후에 확인하여 뱀이 먹이를 삼키지 않을 경우에는 먹이를 폐기하여 주면 된다. 단, 뱀이 허물을 벗을 때는 먹이를 삼키지 않는 개체가 있게 되므로 탈피할 때까지 먹이를 주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뱀을 양식통에서 사육하다 보면, 좁은 환경에서 위생상의 문제로 인한 병에 취약한 문제가 발생하게 되며, 이를 위해 주기적으로 자연 성분의 치료제를 제공하여 줌으로써 뱀이 병에 걸리는 것을 미리 예방할 수 있다.
상기 자연 치료제는 주로 야생 뱀이 많이 출현하는 능이버섯 또는 영지버섯의 채취 장소에서 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착안하게 된 것이며, 사용시 특별히 인공의 값비싼 항생치료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뱀들이 병에 걸리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다.
이때, 치료제의 주재료로는 생능이버섯 200~400그램 또는 건능이버섯 100~200그램, 영지버섯 200~400그램을 필요조건으로 하며, 부재료로는 참나무 또는 뽕나무 100~200그램을 쓰며, 도 3과 같이 그 제조 과정은 하기와 같다.
<자연 치료제의 제조 과정>
1. 유리용기에 물 5~10리터를 끓여줌.
2. 물의 온도가 85~100℃가 되었을 때, 생능이버섯 200~400그램 또는 건능이버섯 100~200그램을 5~8시간 정도 담가 끓여 준 후 냉각시킴.
3. 이후, 냉각시킨 물을 재차 끓여 온도가 80~100℃에 도달하면 영지버섯 200~400그램을 넣고 5~8시간 정도 담가 끓여 줌.
4. 위, 2 또는 3과정 중에 택일하여, 부재료인 참나무 또는 뽕나무 100~200그램을 투입하며, 이때에 참나무 또는 뽕나무는 그 뿌리로도 대체가 가능하다.
5. 위와 같이 능이버섯 및 영지버섯을 우려낸 물을 채에 걸러 유리 또는 플라스틱 병에 담아 두었다가, 1~2주에 1회 정도로 양식통 내에 소독하듯이 가볍게 살포해 주거나 또는 피부질환이 생겼을 때 뱀의 환부에 분무기 또는 스프레이로 뿌려 주어 병을 예방하거나 치료함.
6. 또한, 능이버섯 및 영지버섯을 우려낸 물을 1~2개월에 1회 정도로 뱀의 먹이통에 넣어 섭취할 수 있도록 하여줌.
상기 주재료는 뱀의 치료 및 영양이 그 목적이며, 부재료는 버섯의 고유 맛을 약간 억제시키며 또한 버섯의 너무 진한 향을 뱀이 좋아하는 목재의 향으로 완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상기와 같이 능이버섯 및 영지버섯, 부재료를 이용하여 우려낸 물을 뱀의 치료제로 사용하면, 천연성분의 자연 치료 및 예방제로서 뱀에게 피부 트러블이 전혀 없으며, 또 뱀이 이를 섭취할 경우 보약으로서 더욱 건강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뱀이 성장하여 성체가 되면, 맹독류의 경우 주기적으로 독을 채취하게 되며, 의료 및 화장품류 원료의 가공, 분해용으로 사용시에는 중탕으로 고농도의 농축액을 얻게 된다.
이때의 중탕시에는 토기로서 단련된 옹기항아리가 사용되며, 통상의 제작된 옹기항아리는 불에 취약해 장시간 불에 직접 접촉하게 되면 균열이 생기거나 터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본원 발명은 뱀 중탕시 사용되는 단련된 옹기항아리를 제공하며, 옹기항아리의 단련 주재료로는 통상 황토재질의 옹기항아리, 물 15~20리터를 기준하여 쌀이나 보리, 옥수수 등 중 1종 이상의 곡물가루 0.5~1kg, 쌀겨나 보리겨, 등겨 중 1종 이상 0.5~1kg, 가스렌지를 필요조건으로 하며, 부재료로 고구마 또는 감자 전분을 사용하며, 도 4와 같이 그 제조 과정은 하기와 같다.
<옹기항아리의 단련 과정>
1. 옹기항아리에 물 15~20리터를 넣어준다.
2. 쌀이나 보리, 옥수수 등 중 1종 이상의 곡물가루 0.5~1kg, 쌀겨나 보리겨, 등겨 중 1종 이상 0.5~1kg을 같이 넣어 준 후 잘 풀어준다.
3. 가스렌지에 올려 중불에서 5~8시간 정도 끓여준다.
4. 이후, 기화되어 줄어드는 물을 3~5시간 주기로 체크하여 처음의 물량과 같이 15~20리터로 보충해 가며 3~5일간(72~120시간) 반복하여 끓여준다.
5. 위 물을 주기적으로 보충하는 과정에서, 부재료인 고구마 또는 감자 전분을 50~10그램 정도로 분량을 낮춰가며 추가로 넣어준다. 이때의 부재료는 최초 50그램을 넣었다면 이후 5그램씩 낮춰가며 넣어주며, 10회정도 반복하여 넣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6. 위 3~5일간의 단련과정이 끝나면, 40~50℃의 따뜻한 물로 용기의 내부를 깨끗이 씻어내고 자연 건조시켜 완성한다.
상기와 같이 단련된 옹기항아리는 불에 100시간 이상을 계속적으로 중탕하더라도 고온에서 항아리가 터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중탕용 옹기항아리가 마련되면, 의료 및 화장품 원료로서의 2차 가공, 분해용의 고농도 농축액을을 얻기 위해 뱀을 중탕하여 끓이게 된다.
이때, 뱀을 이용해 농축액 및 찌꺼기 분말을 얻기 위해서는 먼저 다수의 뱀을 깨끗하게 손질해야 한다.
뱀의 손질법은 독이 있는 종류와 독이 없는 종류에 따라 약간 다르나, 본 발명에서는 독이 있는 것을 대상으로 설명한다.
이에, 양식 뱀을 손질함에 있어 80~100℃의 온도의 물에 담가 치사시키게 되면 치사과정에서 껍질 표면의 이물질을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또 이 과정에서 뱀이 독을 토해냄으로써 너무 강한 독성분을 일부 제거할 수 있다. 이후 치사된 뱀을 꺼내 흐르는 맑은 물에 깨끗이 씻는다.
상기와 같이 손질된 뱀이 마련되면, 이를 단련된 옹기항아리에 넣어 고농도의 농축액을 중탕하여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뱀을 중탕함에 있어 도 5와 같이 2가지 실시예를 제공한다.
<제 1실시예의 추출법>
1. 손질된 1kg의 뱀을 구비한다.
2. 옹기항아리에 4리터의 물을 붓고 중불로 먼저 끓인다.
3. 손질한 뱀을 넣은 후, 중불에서 2시간, 약불에서 1시간, 강불에서 30분, 다시 중불에서 1시간, 강불에서 30분을 삶고, 불을 끄고 10~20분 정도 냉각한다.
상기에서 뱀을 옹기항아리에 넣을 때는, 독성이 있는 뱀은 법제(한방에서 자연 상태의 식물이나 동물, 광물 등을 약으로 사용하기 위해 처리하는 과정)의 과정이 필요하게 되므로 물의 온도가 80~90℃ 정도의 끓는 물에 넣도록 하며, 독성이 없는 뱀들은 법제의 과정이 필요 없으므로 30~40℃ 정도의 물온도가 되었을 때 넣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필요에 따라 한약이나, 인삼, 생강 등을 부재료로 첨가할 수 있다.
4. 냉각 후, 60㎝ 이상의 버드나무대로 저어 골고루 섞이도록 풀어준다.
5. 옹기항아리에서 추출기로 이동하여 농축액을 추출한다.
6. 포장용기에 액체만을 사용할 용량으로 포장하며, 포장 후 영하 -50℃ 급속냉동시킨다.
7. 찌꺼기는 따로 건조기에서 건조시키거나 태양광을 이용하여 자연건조시키게 되며, 건조된 찌꺼기는 분말기에서 곱게 갈아 용기에 담아 준다.
<제 2실시예의 추출법>
1. 옹기항아리를 이용하여 15리터의 물을 붓고 약불로 끓여 줌.
2. 양식 뱀 4kg를 손질하여 옹기항아리에 담으며(독성이 있는 것은 80~90℃의 물에 넣고, 독성이 없는 것들은 30~40℃의 물에 넣음), 필요에 따라 한약이나, 인삼, 생강 등을 부재료로 첨가한다.
3. 이후, 약불에서 1시간, 강불에서 1시간, 중불에서 2시간, 강불에서 30분~1시간 정도를 끓여 준 후, 불을 끄고 10~20분 냉각하여 60㎝ 이상의 버드나무대로 저어 잘 섞이도록 풀어준다.
6. 옹기항아리에서 추출기로 이동하여 농축액을 추출한다.(액체와 건더기 분류)
7. 포장용기에 액체만을 사용할 용량으로 포장하며, 포장 후 영하 -50℃ 급속 냉동시킨다.
8. 농축액을 제거한 남은 찌꺼기는 따로 건조기에서 건조시키거나 태양광을 이용하여 자연건조시키게 되며, 건조된 찌꺼기는 분말기에서 곱게 갈아 용기에 담아 준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최상의 농축액 및 분말을 얻어 연구 재료로 이용토록함으로써, 국민생활건강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 양식장
200 : 약식통
210 : 바닥재
220 : 자외선 램프

Claims (3)

  1. 양식 뱀에서 고농도의 농축액을 추출해 내기 위한 옹기항아리로서,
    상기 옹기항아리는, 단련시 황토재질의 옹기항아리 및 물 15~20리터를 기준하여 쌀이나 보리, 옥수수 등 중 1종 이상의 곡물가루 0.5~1kg, 쌀겨나 보리겨, 등겨 중 1종 이상 0.5~1kg, 가스렌지를 주재료로 하며, 그 부재료로 고구마 또는 감자 전분을 부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된 뱀에서 천연원료의 부산물과 농축액을 추출하기 위한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옹기항아리는,
    옹기항아리에 물 15~20리터를 넣어 주는 제 1과정;
    상기 물에 쌀이나 보리, 옥수수 등 중 1종 이상의 곡물가루 0.5~1kg, 그리고 쌀겨나 보리겨, 등겨 중 1종 이상 0.5~1kg을 같이 넣어 풀어주는 제 2과정;
    상기 제 2과정을 마친 옹기항아리를 가스렌지에 올려 중불에서 5~8시간 정도 끓여주는 제 3과정;
    끓임 이후, 기화되어 줄어드는 물을 3~5시간 주기로 체크하여 처음의 물량과 같이 15~20리터로 보충해 가며 3~5일간(72~120시간) 반복하여 끓여주는 제 4과정;
    상기 3~5일간의 단련과정이 끝나면, 40~50℃의 따뜻한 물로 옹기항아리의 내부를 깨끗이 씻어내고 자연 건조시켜 완성하는 제 5과정;을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된 뱀에서 천연원료의 부산물과 농축액을 추출하기 위한 용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4과정의 물을 주기적으로 보충하는 과정에서, 부재료인 고구마 또는 감자 전분을 50~10그램 정도로 분량을 낮춰가며 추가로 넣어주되, 최초 50그램을 넣었다면 이후 5그램씩 낮춰가며 넣어주며, 10회정도 반복하여 넣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 치료제 및 싱싱한 먹이 제공법을 이용한 건강한 뱀의 양식 방법 및 양식된 뱀에서 천연원료의 부산물과 농축액을 추출하기 위한 용기 및 그 추출방법.
KR1020150177519A 2015-12-11 2015-12-11 양식된 뱀에서 천연원료의 부산물과 농축액을 추출하기 위한 용기 KR201600495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7519A KR20160049504A (ko) 2015-12-11 2015-12-11 양식된 뱀에서 천연원료의 부산물과 농축액을 추출하기 위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7519A KR20160049504A (ko) 2015-12-11 2015-12-11 양식된 뱀에서 천연원료의 부산물과 농축액을 추출하기 위한 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6159A Division KR20160049597A (ko) 2014-10-27 2014-10-27 양식된 뱀에서 천연원료의 부산물과 농축액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9504A true KR20160049504A (ko) 2016-05-09

Family

ID=56020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7519A KR20160049504A (ko) 2015-12-11 2015-12-11 양식된 뱀에서 천연원료의 부산물과 농축액을 추출하기 위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4950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94142A (zh) * 2016-05-23 2016-10-12 广西平南县大洲镇盛龙蛇业养殖专业合作社 一种蛇的饲养管理方法
CN106305615A (zh) * 2016-08-24 2017-01-11 梁德政 一种蛇的养殖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94142A (zh) * 2016-05-23 2016-10-12 广西平南县大洲镇盛龙蛇业养殖专业合作社 一种蛇的饲养管理方法
CN106305615A (zh) * 2016-08-24 2017-01-11 梁德政 一种蛇的养殖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49502A (ko) 뱀의 양식 방법
CN104067991B (zh) 一种药用美洲大蠊的养殖方法
CN106106358A (zh) 土鸭的生态养殖方法
KR101725730B1 (ko) 안전 양식 민물장어탕 및 그 제조방법
CN105123614B (zh) 一种果园生态养鸡方法
CN106489842B (zh) 山地鸡的养殖方法
CN100998343A (zh) 一种环保无公害农药及其制备方法
KR20170035449A (ko) 발아메밀가루가 첨가된 발아커피가루의 제조방법
CN106172222A (zh) 一种土鸡的生态养殖方法
CN107047476A (zh) 一种5~100日龄土鸡的养殖方法
KR20160049597A (ko) 양식된 뱀에서 천연원료의 부산물과 농축액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방법
CN107079876A (zh) 一种茶园养鸡方法
CN102787049B (zh) 一种瓜罐曲的制作及应用方法
CN106665441B (zh) 一种高产小龙虾的养殖方法
KR20160049504A (ko) 양식된 뱀에서 천연원료의 부산물과 농축액을 추출하기 위한 용기
CN110537639A (zh) 一种无添加剂和激素的鸡饲料、制备方法及饲养场
KR101723517B1 (ko) 한방국화차 제조방법
CN103330073A (zh) 一种用于仔猪的保健饲料
CN104381628A (zh) 一种蛋鸭补钙、防病饲料及其制作方法
CN107969382A (zh) 一种文桥鸭的抗病养殖法
CN107616137A (zh) 一种生态土鸡的养殖方法
KR20160049503A (ko) 뱀의 병 예방 및 치료용 자연 치료제
JP2008054687A (ja) 冬虫夏草、冬虫夏草茶及び飲食物
KR101150393B1 (ko) 꾸지뽕 수액 추출방법
CN106035417A (zh) 一种防治甜椒茶黄螨虫害的杀虫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