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7944A - 소재 운반 대차 - Google Patents

소재 운반 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7944A
KR20160047944A KR1020140144546A KR20140144546A KR20160047944A KR 20160047944 A KR20160047944 A KR 20160047944A KR 1020140144546 A KR1020140144546 A KR 1020140144546A KR 20140144546 A KR20140144546 A KR 20140144546A KR 20160047944 A KR20160047944 A KR 201600479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ortion
fixing
auxiliary
present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4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4000B1 (ko
Inventor
최재경
김찬우
최태성
홍석우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4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4000B1/ko
Publication of KR20160047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7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4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4000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단부에 다수의 휠이 설치되며, 상단부에 소재가 안착되는 베이스 부; 및 상기 베이스 부에 설치되며, 상기 소재의 외주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소재 운반 대차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소재 운반 대차{SUPPORTER FOR CARRYING CARGO}
본 발명은 소재 운반 대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코일과 같은 소재를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소재 운반 대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에서 사용하는 범용 밀차 및 대차를 이용하여 화물 운반시 둥근 단면을 가진 화물 또는 높이가 높게 쌓인 경우 밀차 또는 대차로부터 쉽게 이탈된다.
특히, 둥근 단면을 가진 코일은 중량이 상당하고, 대차 상에서 구를 수 있기 때문에, 이동시 안전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이유로 특히 주의해야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1998-0001610호(공개일 : 1998년 03월 30일)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코일과 같은 소재 또는 강판을 안정적으로 안착 및 이동 시 낙하를 방지할 수 있는 소재 운반 대차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 대상물의 형상에 따라 안착부를 교체 장착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소재 운반 대차를 제공함에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하단부에 다수의 휠이 설치되며, 상단부에 소재가 안착되는 베이스 부; 및 상기 베이스 부에 설치되며, 상기 소재의 외주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소재 운반 대차를 제공한다.
상기 베이스 부의 상단부에는, 상기 소재의 둘레 형상에 대응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 부는, 길이 조절 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안착홈의 내측 양측면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슬라이딩 홈이 형성된다.
상기 길이 조절 부재의 양측단은 상기 슬라이딩 홀을 따라 활주된다.
상기 길이 조절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에 설치되는 체결 수단에 의해 활주 위치가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베이스 부의 일측단에 고정되고, 일정 길이를 이루며, 상기 소재의 외주를 가압하는 가요성의 고정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의 타측단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 부재의 타단을 고정하는 고정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 부의 상단부에는, 보조 베이스 부가 탈착 가능하도록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베이스 부의 상단 및 하단에는, 상기 소재의 테두리 형상에 대응되되, 서로 크기가 다른 한 쌍의 보조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 부와 상기 보조 베이스 부는 다수의 지지 부재를 통해 수직 방향을 따라 간격을 이루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지지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 및, 상기 보조 베이스 부로부터 탈착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코일과 같은 소재 또는 강판을 안정적으로 안착 및 이동 시 낙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대상물의 형상에 따라 안착부를 교체 장착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소재 운반 대차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소재 운반 대차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베이스 부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베이스 부에 설치되는 길이 조절 부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소재 운반 대차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보조 베이스 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소재 운반 대차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소재 운반 대차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소재 운반 대차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소재 운반 대차는 크게 베이스 부(100)와, 고정부(200)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 부(100)는 판 상으로 형성되고, 하단부에 다수의 휠(101)이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 부(100)의 일측에는 손잡이(110)가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 부(100)의 상단부에는 강판 또는 코일과 같은 소재(10) 또는 화물이 적재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00)는 일정의 길이를 갖는 고정 부재(210)와, 고정단(220)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 부재(210)는 일정 폭 및 길이를 갖는 가요성 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 부재(210)의 일단은 베이스 부(100)의 일측단에 고정된다.
여기서, 고정단(220)은 끈의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는 버클과 같은 수단으로, 베이스 부(100)의 타측단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 부재(210)의 타단은 고정단(220)에 의해 길이 조절 및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210)는 베이스 부(100)의 상단부에 안착된 소재(10)의 외주를 가압 밀착 한 상태에서 길이 조절이 이루어짐으로써, 소재(10)를 가압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원통 형상의 코일(10)이 베이스 부(100)에 적재된 상태에서 이동함에 따라 이탈 또는 낙하됨 없이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베이스 부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베이스 부에 설치되는 길이 조절 부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베이스 부(100)의 상단부에는 안착홈(120)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120)은 소재(10)의 테두리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코일과 같은 소재(10)는 안착홈(120)에 끼워져 안착됨으로써 베이스 부(100) 이동시, 이동에 따른 충격으로 인해 이탈되는 문제를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베이스 부(100)는 길이 조절 부재(130)를 더 갖는다.
상기 길이 조절 부재(130)는 판 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안착홈(120)의 내측 양측면부에는 상기 길이 조절 부재(130)의 양측단이 끼워져 활주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 홈(121)이 형성된다.
상기 길이 조절 부재(130)의 이동 위치는 체결 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체결 수단은 길이 조절 부재(130)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 1위치 결정홀(h1)과, 안착홈(120)의 양측부에서 각 위치에서의 슬라이딩 홈(121)에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제 2위치 결정홀(h2)과, 상기 제 1,2위치 결정홀(h1,h2)에 체결되는 체결 볼트(B)로 구성된다.
상기 제 2위치 결정홀(h2)은 안착홈(120)의 양측부에서 안착홈(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이루어 형성된다.
이의 구성에 의해, 길이 조절 부재(130)를 안착홈(120)에서 위치를 조절하면, 실질적으로 안착홈(120)의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소재(10)의 크기 또는 길이에 따라 안착홈(120)의 면적을 조절할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길이 조절 부재(130)를 안착홈(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를 가변시키는 예를 대표적으로 설명하였지만, 안착홈의 폭 방향을 따라 가변시킬 수 있도록 슬라이딩 홀을 구성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소재 운반 대차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보조 베이스 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베이스 부(100)의 상단부에는 보조 베이스 부(300)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 부(100)와 보조 베이스 부(300)는 서로 레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조 베이스 부(300)는 베이스 부(100)의 상단부에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이의 구성에 의해, 보조 베이스 부(300)는 베이스 부(100)의 상단부에서 이동될 수 있고, 탈거될 수도 있다.
물론, 이동 위치의 고정 방식은, 상술한 체결 부재와 동일한 구성을 사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보조 베이스 부(300)가 베이스 부(100)의 상단부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는 예를 대표적인 예로 설명하였지만, 결합 돌기 및 결합홈을 구비하여 상하 결합되는 구성이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보조 베이스 부(3000)의 상단부와 하단부 각각에는 보조 안착홈(310,320)이 형성된다.
특히,각각의 보조 안착홈(310,320)의 크기는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적재하고자하는 소재(10)의 크기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베이스 부와 상기 보조 베이스 부는 다수의 지지 부재를 통해 수직 방향을 따라 간격을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지지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 및, 상기 보조 베이스 부로부터 탈착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 부재들로 인해 베이스 부와 보조 베이스 부와의 상하로의 이격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베이스 부 및 보조 베이스 부 각각에 서로 다른 소재를 안착 또는 적재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상기의 구성 및 작용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코일과 같은 소재 또는 강판을 안정적으로 안착 및 이동 시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이동 대상물의 형상에 따라 안착부를 교체 장착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소재 운반 대차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소재
100 : 베이스 부
110 : 손잡이
120 : 안착홈
130 : 길이 조절 부재
200 : 고정부
210 : 고정 부재
220 : 고정단
300 : 보조 베이스 부
310 : 슬라이딩 홈
310. 320 : 보조 안착홈
h1 : 제 1위치 결정홀
h2 : 제 2위치 결정홀
B : 체결 볼트

Claims (6)

  1. 하단부에 다수의 휠이 설치되며, 상단부에 소재가 안착되는 베이스 부; 및
    상기 베이스 부에 설치되며, 상기 소재의 외주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운반 대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의 상단부에는,
    상기 소재의 둘레 형상에 대응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운반 대차.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는, 길이 조절 부재를 더 구비하되,
    상기 안착홈의 내측 양측면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고,
    상기 길이 조절 부재의 양측단은 상기 슬라이딩 홀을 따라 활주되고,
    상기 길이 조절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에 설치되는 체결 수단에 의해 활주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운반 대차.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베이스 부의 일측단에 고정되고, 일정 길이를 이루며, 상기 소재의 외주를 가압하는 가요성의 고정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의 타측단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 부재의 타단을 고정하는 고정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운반 대차.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의 상단부에는, 보조 베이스 부가 탈착 가능하도록 더 설치되고,
    상기 보조 베이스 부의 상단 및 하단에는, 상기 소재의 테두리 형상에 대응되되, 서로 크기가 다른 한 쌍의 보조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운반 대차.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와 상기 보조 베이스 부는 다수의 지지 부재를 통해 수직 방향을 따라 간격을 이루어 지지되되,
    상기 다수의 지지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 및, 상기 보조 베이스 부로부터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운반 대차.
KR1020140144546A 2014-10-23 2014-10-23 소재 운반 대차 KR101634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4546A KR101634000B1 (ko) 2014-10-23 2014-10-23 소재 운반 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4546A KR101634000B1 (ko) 2014-10-23 2014-10-23 소재 운반 대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944A true KR20160047944A (ko) 2016-05-03
KR101634000B1 KR101634000B1 (ko) 2016-06-27

Family

ID=56022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4546A KR101634000B1 (ko) 2014-10-23 2014-10-23 소재 운반 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40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91433A (zh) * 2018-06-15 2018-11-13 解晓莉 一种农业手推车用防护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7049U (ja) * 1992-10-22 1994-05-17 万也 浅田 ボンベ運搬車
JP2002362372A (ja) * 2001-06-12 2002-12-18 Kazuhito Segawa 拡張縮小自在式台車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7049U (ja) * 1992-10-22 1994-05-17 万也 浅田 ボンベ運搬車
JP2002362372A (ja) * 2001-06-12 2002-12-18 Kazuhito Segawa 拡張縮小自在式台車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91433A (zh) * 2018-06-15 2018-11-13 解晓莉 一种农业手推车用防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4000B1 (ko) 2016-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1500B2 (en) Dolly transport systems
CN101848824B (zh) 负载约束组件
US20150197369A1 (en) Holding Tool for Conveyer Belt Conveyance
JP2017523082A (ja) 自動車運搬車両のための取外し可能な独立型の汎用耐荷重パレット
US20210213987A1 (en) Material handling cart
CN203819662U (zh) 一种用于叉车的货物托盘
EP2361788A1 (en) Tire changing device
KR101634000B1 (ko) 소재 운반 대차
KR200482115Y1 (ko) 박스 고정식 화물 운반용 적층대차
KR101419510B1 (ko) 이송대차
CN104192448B (zh) 自带支承装置的车式重载包装箱
CA2751003C (en) Channel and anchor assembly for securing cargo
US20230278840A1 (en) Pallet pushing device for forklift
KR101914630B1 (ko) 이탈방지형 안전이동대차
KR101253478B1 (ko) 운반대차
JP5979019B2 (ja) 長尺物搬送台車
US11708103B2 (en) Material handling cart
CN104553952A (zh) 用于存储货物的容器
CN106004636B (zh) 车载通用柱形装备固定装置
KR102124359B1 (ko) 다용도 수레
KR102547954B1 (ko) 브레이크 패드 자동 공급기 및 이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패드 제조 장치
KR101662140B1 (ko) 철도차량 이송용 보조트럭
JP2014226965A (ja) リアクションプレート等比較的長い軌道用資材の運搬台車
CN210736122U (zh) 一种货叉间距可调的叉车
KR102122228B1 (ko) 크기 조절 가능한 이송 대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