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2140B1 - 철도차량 이송용 보조트럭 - Google Patents

철도차량 이송용 보조트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2140B1
KR101662140B1 KR1020150057375A KR20150057375A KR101662140B1 KR 101662140 B1 KR101662140 B1 KR 101662140B1 KR 1020150057375 A KR1020150057375 A KR 1020150057375A KR 20150057375 A KR20150057375 A KR 20150057375A KR 101662140 B1 KR101662140 B1 KR 101662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gie
truck
wheel
rail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7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호
김봉익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공사 filed Critical 한국철도공사
Priority to KR1020150057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2140B1/ko
Priority to PCT/KR2015/004142 priority patent/WO2016171300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2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2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JSHIFTING OR SHUNTING OF RAIL VEHICLES
    • B61J1/00Turntables; Traversers; Transporting rail vehicles on other rail vehicles or dollies
    • B61J1/12Rollers or devices for shifting or transporting rail vehicles on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5/00Other railway vehicles, e.g. scaffold cars; Adaptations of vehicles for use on rail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차량을 용이하게 이송할 수 있는 철도차량 이송용 보조트럭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도차량의 차륜이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전후방으로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한 쌍의 주행바퀴를 포함하는 이송대차, 및 각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상기 이송대차를 연결하는 연결대를 포함하는 철도차량 이송용 보조트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차륜이 접촉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차륜의 종류에 따라 안착되는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안착부에 안착되는 높이조절패드에 의해 차륜과 안착부의 사이간격을 보완할 수 있어 다양한 크기의 차륜을 안착시킬 수 있고, 연결봉이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어 곡선로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철도차량 이송용 보조트럭{A assistance truck for railway vehicles transfer}
본 발명은 철도차량을 용이하게 이송할 수 있는 철도차량 이송용 보조트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은 복수의 철도차량이 연결된 상태로 레일을 따라 주행하게 된다.
이러한 철도차량이 운행 중 고장 또는 사고로 차축이 이동하지 않을 경우 다른 차량을 이용하여 인근 역이나 기지로 철도차량을 이송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20-0456181호 (2011.10.11 등록)의 "고속철도차량 차축 베어링 고착시 이동용 조립식 보조트럭"이 개시된 바가 있다.
종래의 고속철도차량 차축 베어링 고착시 이동용 조립식 보조트럭은 소정의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전방 하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배면에 볼트공이 형성된 부착판으로 이루어진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후방 하부에 부착된 주행바퀴와 보조바퀴로 이루어진 보조트럭 몸체와; 상기 보조트럭 몸체를 상호 연결하도록 프레임의 관통공에 삽입되며, 상면에 볼트공이 형성된 연결핀과; 상기 연결핀의 볼트공에 삽입되는 연결핀 고정볼트와; 상기 보조트럭 몸체 간의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보조트럭 몸체 간을 가로질러 배치되며, 양단에 볼트공이 형성된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를 부착판에 고정하기 위해 연결바의 볼트공과 부착판의 볼트공에 삽입되는 연결바 고정볼트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고속철도차량 차축 베어링 고착시 이동용 조립식 보조트럭은 철도차량의 차축을 회전시킬 수 있어 철도차량이 운행 중 고장 또는 사고가 발생하여도 신속하게 대처를 할 수 있다. 하지만, 일반철도차량에는 적용할 수 없고, 연결바에 의해 보조트럭 몸체가 고정되므로 곡선반경에는 적용할 수 없으며, 연결바 고정볼트를 제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일반철도차량에 적용할 수 있고, 곡선로에서도 적용할 수 있으며,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철도차량 이송용 보조트럭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철도차량 이송용 보조트럭는 철도차량의 차륜이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전후방으로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한 쌍의 주행바퀴를 포함하는 이송대차, 및 각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상기 이송대차를 연결하는 연결대를 포함하는 철도차량 이송용 보조트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차륜이 접촉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차륜의 종류에 따라 안착되는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패드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대차는 상기 안착부를 중심으로 상기 레일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양분되는 제1 대차와 제2 대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대차 및 상기 제2 대차는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주행바퀴, 상기 주행바퀴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레일의 상부로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레일에 안착된 이동보조판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이송대차가 안착되는 위치를 조절하는 보조바퀴, 및 상기 제1 대차와 상기 제2 대차가 서로 맞물린 상태로 고정되도록 상기 제1 대차 및 상기 제2 대차의 양측에 고정부재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걸림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삽입몸체, 상기 삽입몸체의 끝단에 구비되어 상기 관통공의 외측에 걸쳐지고, 서로 어긋나는 위치에 반구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볼트를 수용하는 한 쌍의 볼트수용홈이 형성된 삽입두부, 및 상기 삽입두부를 관통하고, 상기 관통공에 삽입된 상기 삽입몸체를 제거시 핀제거공구가 끼워지는 분리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대는 상기 이송대차의 전방 또는 후방을 감싸도록 고정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의 양측면을 관통하여 각 레일에 안착된 상기 이송대차를 연결하는 연결봉, 및 상기 연결봉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상기 연결봉의 둘레를 감싸 각 레일에 안착된 상기 이송대차의 사이간격을 조절하는 조절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이송대차를 조립하는 공구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된 공구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안착부에 안착되는 높이조절패드에 의해 차륜과 안착부의 사이간격을 보완할 수 있어 다양한 크기의 차륜을 안착시킬 수 있고, 연결봉이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어 곡선로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볼트를 완전히 제거하지 않아도 고정부재를 관통공에서 분리할 수 있고, 연결부재를 이송대차에서 분리할 수 있으므로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에 분리핀을 구비하고, 핀제거공구를 이용하여 고정부재를 관통공에서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고정부재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핀제거공구는 충격흡수봉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어 관통공에서 고정부재를 이탈시킬 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므로 충격이 작업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에 공구블록을 구비하여 공구를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 이송용 보조트럭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 이송용 보조트럭를 구성하는 이송대차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 이송용 보조트럭를 구성하는 이송대차 및 고정부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 이송용 보조트럭를 구성하는 연결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 이송용 보조트럭를 구성하는 핀제거공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 이송용 보조트럭를 구성하는 이동보조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 이송용 보조트럭의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철도차량 이송용 보조트럭(100)은 이송대차(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이송대차(110)는 철도차량을 이송할 수 있다.
그리고, 이송대차(110)는 안착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안착부(115)는 철도차량의 차륜(200)이 안착될 수 있다.
한편, 안착부(115)는 이송대차(11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고, 레일(210)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양분될 수 있다.
그리고, 이송대차(110)는 제1 대차(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제1 대차(120)는 철도차량의 차륜(200)의 일단이 안착될 수 있다.
한편, 제1 대차(120)는 안착부(115)를 중심으로 양분된 이송대차(110)의 일측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대차(120)는 주행바퀴(121), 보조바퀴(123)를 포함할 수 있다.
주행바퀴(121)는 레일(210)을 따라 주행할 수 있도록, 제1 대차(120)의 일단에 구비될 수 있다.
보조바퀴(123)는 제1 대차(120)의 타단에 구비될 수 있고, 주행바퀴(121)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기에 설명될 제2 대차(130)의 보조바퀴(133)와 함께 하기에 설명될 이동보조판(180)의 위를 이동하며 이송대차(110)가 설치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보조바퀴(123)의 크기와 주행바퀴(121)의 크기가 같은 경우, 보조바퀴(123)의 크기가 커지므로 철도차량의 차륜(200)이 안착부(115)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보조바퀴(123)의 중심축을 낮출 경우 이송대차(110)의 크기가 커지므로 무게가 무겁고 제작비용이 많이 들며, 주행바퀴(121)를 교체시 보조바퀴(123)를 같이 교체해야하므로 유지보수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1 대차(120)는 높이조절패드(1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높이조절패드(125)는 안착부(115)에 안착되는 철도차량의 차륜(200)의 크기에 따라 철도차량의 차륜(200)과 안착부(115)의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즉, 높이조절패드(125)는 상대적으로 철도차량의 차륜(200)의 크기가 작을 경우, 차륜(200)과 안착부(115)의 사이에 간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사이에 높이조절패드(125)를 설치한다. 높이조절패드(125)에 의해 차륜(200)과 안착부(115)의 사이에 발생하는 간격을 보완할 수 있으므로 철도차량의 차륜(200)이 안착부(115)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한편, 높이조절패드(125)는 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안착부(115)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대차(120)는 걸림돌기(127)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걸림돌기(127)는 하기에 설명될 제2 대차(130)의 걸림돌기(137)와 맞물릴 수 있다.
한편, 걸림돌기(127)는 주행바퀴(121)의 반대방향, 즉 보조바퀴(123)가 형성된 방향의 끝단에 형성될 수 있고, 제1 대차(120)의 양측면에 형성되거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걸림돌기(127)가 제1 대차(120)의 양측면에 형성되면, 제2 대차(130)에는 걸림돌기(137)가 중앙에 형성되고, 제1 대차(120)의 걸림돌기(127)가 중앙에 형성되면, 제2 대차(130)의 걸림돌기(137)는 양측면에 형성되어 서로 맞물릴 수 있다.
또한, 걸림돌기(127)에는 관통공(128)이 형성되어 제1 대차(120)와 제2 대차(130)를 고정하는 고정부재(140)가 끼워질 수 있으므로, 제1 대차(120)와 제2 대차(130)가 분리되어 철도차량의 차륜(200)이 레일(210)의 상부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대차(120)는 손잡이(129)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손잡이(129)는 작업자가 파지하여 제1 대차(1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손잡이(129)는 봉 또는 막대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대차(120)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송대차(110)는 제2 대차(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제2 대차(130)는 철도차량의 차륜(200)의 타단이 안착될 수 있다.
한편, 제2 대차(130)는 안착부(115)를 중심으로 양분된 이송대차(110)의 타측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대차(130)는 주행바퀴(131), 보조바퀴(133)를 포함할 수 있다.
주행바퀴(131)는 레일(210)을 따라 주행할 수 있도록, 제2 대차(130)의 일단에 구비될 수 있다.
보조바퀴(133)는 제2 대차(130)의 타단에 구비될 수 있고, 주행바퀴(131)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보조바퀴(133)와 제1 대차(120)의 보조바퀴(123)의 사이에 안착되는 하기에 설명될 이동보조판(180)의 위를 이동하며 이송대차(110)가 설치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보조바퀴(133)의 크기와 주행바퀴(131)의 크기가 같은 경우, 보조바퀴(133)의 크기가 커지므로 철도차량의 차륜(200)이 안착부(115)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보조바퀴(133)의 중심축을 낮출 경우 이송대차(110)의 크기가 커지므로 무게가 무겁고 제작비용이 많이 들며, 주행바퀴(131)를 교체시 보조바퀴(133)를 같이 교체해야하므로 유지보수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2 대차(130)는 높이조절패드(13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높이조절패드(135)는 안착부(115)에 안착되는 철도차량의 차륜(200)의 크기에 따라 철도차량의 차륜(200)과 안착부(115)의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즉, 높이조절패드(135)는 상대적으로 철도차량의 차륜(200)의 크기가 작을 경우, 차륜(200)과 안착부(115)의 사이에 간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사이에 높이조절패드(135)를 설치한다. 높이조절패드(135)에 의해 차륜(200)과 안착부(115)의 사이에 발생하는 간격을 보완할 수 있으므로 철도차량의 차륜(200)이 안착부(115)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한편, 높이조절패드(135)는 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안착부(115)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대차(130)는 걸림돌기(127)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걸림돌기(137)는 제1 대차(120)의 걸림돌기(127)와 맞물릴 수 있다.
한편, 걸림돌기(137)는 주행바퀴(131)의 반대방향, 즉 보조바퀴(133)가 형성된 방향의 끝단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대차(130)의 양측면에 형성되거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걸림돌기(137)가 제2 대차(130)의 양측면에 형성되면, 제1 대차(120)에는 걸림돌기(127)가 중앙에 형성되고, 제2 대차(130)의 걸림돌기(137)가 중앙에 형성되면, 제1 대차(120)의 걸림돌기(127)는 양측면에 형성되어 서로 맞물릴 수 있다.
또한, 걸림돌기(137)에는 관통공(138)이 형성되어 제1 대차(120)와 제2 대차(130)를 고정하는 고정부재(140)가 끼워질 수 있으므로, 제1 대차(120)와 제2 대차(130)가 분리되어 철도차량의 차륜(200)이 레일(210)의 상부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대차(130)는 손잡이(139)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손잡이(139)는 작업자가 파지하여 제2 대차(1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손잡이(139)는 봉 또는 막대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대차(130)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철도차량 이송용 보조트럭(100)은 고정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고정부재(140)는 제1 대차(120)와 제2 대차(130)를 고정하여 제1 대차(120)와 제2 대차(13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재(140)는 삽입몸체(141), 삽입두부(145), 및 분리핀(149)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몸체(141)는 관통공(128,138)에 관통되어 삽입될 수 있고,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끝단은 반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삽입몸체(141)는 힌지핀에 의해 결합되어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도 있다.
삽입두부(145)는 관통공(128,138)의 외측에 걸쳐질 수 있도록 삽입몸체(141)의 끝단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삽입두부(145)는 볼트수용홈(147)이 형성될 수 있다.
볼트수용홈(147)은 삽입두부(145)를 제1 대차(120) 또는 제2 대차(130)에 고정하여 고정부재(140)가 제1 대차(120) 또는 제2 대차(13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볼트수용홈(147)은 반구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삽입두부(145)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어긋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볼트수용홈(147)이 반구의 형상으로 형성되면, 볼트를 제1 대차(120) 또는 제2 대차(130)에서 완전히 제거하지 않고 볼트의 일부가 체결되어 있어도 고정부재(140)를 제1 대차(120) 또는 제2 대차(13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어 볼트를 분실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송대차(110)의 분해 및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분리핀(149)은 하기에 설명될 핀제거공구(170)를 이용하여 관통공(128,138)에 삽입된 고정부재(140)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분리핀(149)은 삽입두부(145)와 삽입몸체(141)를 관통할 수 있고, 분리핀(149)의 끝단은 하기에 설명될 핀제거공구(170)가 끼워지도록 고리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1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철도차량 이송용 보조트럭(100)은 연결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연결대(150)는 각 레일(210)을 따라 주행하는 이송대차(110)와 이송대차(110)를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대(150)는 연결부재(151), 연결봉(160), 및 조절봉(165)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151)는 이송대차(110)의 전방 또는 후방을 감쌀 수 있고, 연결봉(160)이 관통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151)와 이송대차(110)의 양측면을 볼트가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연결부재(151)는 지지측면판(153), 안착판(155) 및 관통홈(157)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지지측면판(153)은 사각형의 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송대차(110)의 양측면을 지지하도록 서로 이격되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측면판(153)은 고정홈(154)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고정홈(154)의 일측은 반구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타측은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홈(154)은 볼트가 연결부재(151)와 이송대차(110)를 관통한 상태로 고정홈(154)에 끼워지므로, 이송대차(110)에서 연결부재(151)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볼트를 이송대차(110)와 분리하지 않고, 연결부재(151)를 제거할 수 있어 볼트가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송대차(110)와 연결부재(151)의 분해 및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안착판(155)은 사각형의 판의 형상으로 이송대차(110)가 전방 또는 후방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도록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지지측면판(153) 사이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어 한 쌍의 지지측면판(153)의 사이 간격이 균일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관통홈(157)은 내부가 빈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결봉(160)이 관통될 수 있고, 한 쌍의 지지측면판(153)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관통홈(157)은 공구블록(158)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공구블록(158)은 고정부재(140)의 결합시 사용되는 공구를 끼워서 보관할 수 있다.
한편, 공구블록(158)은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관통홈(157)에 결합되는 면은 관통홈(157)과 밀착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공구블록(158)의 측면은 공구가 관통되어 끼워질 수 있도록 복수 개의 끼움홈(159)이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끼움홈(156)의 크기는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봉(160)은 원형의 막대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연결봉(160)의 양끝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봉(160)을 관통홈(157)에서 관통시킨 상태로 너트를 체결하여 각 레일(21)에 안착된 이송대차(110)와 이송대차(110)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연결봉(160)은 관통홈(157)의 둘레보다 작은 둘레로 형성되어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다.
조절봉(165)은 연결봉(160)의 둘레를 감싸도록 원형의 막대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조절봉(165)의 직경은 관통홈(157)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조절봉(165)은 연결봉(160)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어 이송대차(110)가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철도차량 이송용 보조트럭(100)은 핀제거공구(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핀제거공구(170)는 고정부재(140)를 이송대차(110)에서 이탈시킬 수 있다.
한편, 핀제거공구(170)는 자루(17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자루(171)는 막대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자루(171)의 양 끝단의 둘레는 이탈방지돌기(172)가 자루(171)의 중앙의 둘레보다 더 큰 둘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자루(171)는 걸침고리(17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걸침고리(173)는 분리핀(149)에 걸쳐질 수 있다.
한편, 걸침고리(173)는 원형의 긴 막대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분리핀(149)에 걸쳐질 수 있도록 자루(171)가 위치된 부분을 향해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자루(171)는 충격흡수봉(175)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충격흡수봉(175)은 이송대차(110)에서 고정부재(140)를 이탈시킬 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한편, 충격흡수봉(175)은 내부가 빈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자루(171)의 둘레보다 더 큰 둘레로 형성되어 자루(171)에서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자루(171)의 둘레를 감싼 충격흡수봉(175)은 이탈방지돌기(172)에 의해 자루(171)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충격흡수봉(175) 또는 이탈방지돌기(172) 중 어느 하나는 충격흡수봉(175)과 이탈방지돌기(172)가 맞닿는 부분이 탄성부재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작업자가 충격흡수봉(175)을 파지한 다음, 걸침고리(173)를 분리핀(149)에 거치시킨 후 충격흡수봉(175)을 잡아당기면, 작업자가 충격흡수봉(175)을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이송대차(110)에서 고정부재(140)가 이탈된다. 고정부재(140)가 이송대차(110)에서 이탈되면서 걸침고리(173)와 자루(171)는 작업자가 당긴 방향으로 이동하고, 자루(171)와 충격흡수봉(175)은 서로 부딪히며 이송대차(110)에서 고정부재(140)를 이탈시킬 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여 충격이 작업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철도차량 이송용 보조트럭(100)은 이동보조판(1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이동보조판(180)은 레일(210)의 위에 안착되어 보조바퀴(123,133)가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보조판(180)은 프레임(181)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81)은 레일(210)의 상면과 레일(210)의 일측면에 밀착되도록 미리 설정된 각도로 절곡된 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동보조판(180)은 레일(210)에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자력부재(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자력부재(미도시)는 이동보조판(180)에 부착되어 형성되거나, 이동보조판(180)이 자력을 포함하는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보조판(180)은 보조프레임(183)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보조프레임(183)은 보조바퀴(123,133)가 헛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보조프레임(183)은 프레임(181)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고, 레일(210)의 타측면을 향해 미리 설정된 각도로 절곡된 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보조프레임(183)의 길이는 프레임(181)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동보조판(180)의 높이는 보조바퀴(123,133)가 주행할 수 있도록 보조바퀴(123,133)와 레일(210)의 이격된 높이와 같거나 이격된 높이보다 작은 높이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레임(181)의 상부에 보조프레임(183)이 구비될 경우, 먼저, 보조프레임(183)을 보조바퀴(123,133)와 보조바퀴(123,133)의 사이에 끼운다. 그 후, 프레임(181)을 레일(210)에 안착시킬 수 있어 레일(210)에 이동보조판(180)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보조프레임(183)에 의해 부분적으로 프레임(181)의 높이가 높아지므로 보조바퀴(123,133)가 헛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보조판(180)은 탈부착손잡이(18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탈부착손잡이(185)는 봉 또는 막대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어 이동보조판(180)을 레일(210)에 부착 또는 탈착할 수 있다.
이때, 탈부착손잡이(185)는 레일(210)의 외측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 이송용 보조트럭(100)은 철도차량의 차륜(200)이 고장 나면 먼저, 유압잭을 이용하여 철도차량의 차륜(200)을 레일(210)로 부터 이격시키고, 차륜(200)이 레일(210)에 안착되어 있던 위치에 각각 이동보조판(180)을 안착시킨다.
그리고, 이동보조판(180)의 양측에 각각 제1 대차(120)와 제2 대차(130)를 안착시킨다. 이때, 제1 대차(120)와 제2 대차(130)의 주행바퀴(121,131)는 레일(210)의 상면에 안착되고, 보조바퀴(123,133)는 이동보조판(180)의 상면에 안착되어 제1 대차(120)와 제2 대차(130)를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설치되는 위치를 조절한다.
그 다음, 제1 대차(120)와 제2 대차(130)의 걸림돌기(127,137)가 서로 맞물리도록 결합하여 제1 대차(120)와 제2 대차(130)의 관통공(128,138)을 일치시킨다. 그리고, 관통공(128,138)에 고정부재(140)의 삽입몸체(141)를 끼운다. 이때, 삽입두부(145)의 볼트수용홈(147)에 관통공(128,138)의 양측에 일부 체결된 볼트를 수용할 수 있도록 삽입두부(145)를 회전시킨 다음, 공구를 이용하여 볼트를 조여 이송대차(110)의 조립을 완성한다.
그 후, 연결부재(151)를 이송대차(11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연결부재(151)를 공구를 이용하여 결합한다. 그리고, 관통홈(157)에 조절봉(165)이 구비된 연결봉(160)을 관통시킨 다음, 연결봉(160)의 양끝단에 너트를 채워 고정을 한 후, 공구를 공구블록(158)에 끼운다.
유압잭에 의해 레일(210)에서 이격된 철도차량의 차륜(200)을 안착부(115)에 안착시켜 유압잭을 제거한 후, 이동보조판(180)의 탈부착손잡이(185)를 잡고, 레일(210)에서 탈착시킨다.
반대로, 철도차량의 차륜(200)에서 철도차량 이송용 보조트럭(100)을 분리하려면, 이동보조판(180)을 보조바퀴(123,133)와 레일(210)의 사이에 끼운다. 그리고, 유압잭을 이용하여 철도차량의 차륜(200)을 안착부(115)에서 이격시킨 다음, 연결봉(160)의 양끝단에 체결된 너트를 분리한 후, 관통홈(157)에서 연결봉(160)을 제거한다.
그리고, 공구블록(158)에 보관된 공구를 이용하여 연결부재(151)와 이송대차(110)를 분리시킨다. 그 다음, 관통공(128,138)의 양측에 위치한 볼트를 일부만 체결되도록 푼 후, 삽입두부(145)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핀제거공구(170)의 걸침고리(173)를 분리핀(149)에 거치시킨 후, 충격흡수봉(175)을 잡아당겨 관통공(128,138)에서 고정부재(140)를 제거한다. 그 다음, 제1 대차(120)와 제2 대차(130)를 각각 좌우로 이동시켜 철도차량의 차륜(200)의 하부에서 제거하고, 이동보조판(180)도 레일(210)에서 탈착시킨다. 그리고 유압잭을 이용하여 철도차량의 차륜(200)을 레일(210)에 안착시킨다.
따라서, 안착부(115)에 안착되는 높이조절패드(125,135)에 의해 차륜(200)과 안착부(115)의 사이간격을 보완할 수 있어 다양한 크기의 차륜(200)을 안착시킬 수 있고, 연결봉(160)이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어 곡선로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볼트를 완전히 제거하지 않아도 고정부재(140)를 관통공(128,138)에서 분리할 수 있고, 연결부재(151)를 이송대차(110)에서 분리할 수 있으므로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140)에 분리핀(149)을 구비하고, 핀제거공구(170)를 이용하여 고정부재(140)를 관통공(128,138)에서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고정부재(140)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핀제거공구(170)는 충격흡수봉(175)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어 관통공(128,138)에서 고정부재(140)를 이탈시킬 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므로 충격이 작업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151)에 공구블록(158)을 구비하여 공구를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 철도차량 이송용 보조트럭 110 : 이송대차
115 : 안착부 120 : 제1 대차
121, 131 : 주행바퀴 123, 133 : 보조바퀴
125, 135 : 높이조절패드 127, 137 : 걸림돌기
128, 138 : 관통공 129, 139 : 손잡이
130 : 제2 대차 140 : 고정부재
141 : 삽입몸체 145 : 삽입두부
147 : 볼트수용홈 149 : 분리핀
150 : 연결대 151 : 연결부재
153 : 지지측면판 154 : 고정홈
155 : 안착판 157 : 관통홈
158 : 공구블록 159 : 끼움홈
160 : 연결봉 165 : 조절봉
170 : 핀제거공구 171 : 자루
172 : 이탈방지돌기 173 : 걸침고리
175 : 충격흡수봉 180 : 이동보조판
181 : 프레임 183 : 보조프레임
185 : 탈부착손잡이 200 : 차륜
210 : 레일

Claims (7)

  1. 철도차량의 차륜이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전후방으로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한 쌍의 주행바퀴를 포함하는 이송대차, 및 각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상기 이송대차를 연결하는 연결대를 포함하는 철도차량 이송용 보조트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차륜이 접촉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차륜의 종류에 따라 안착되는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대차는 상기 안착부를 중심으로 상기 레일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양분되는 제1 대차와 제2 대차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대차 및 상기 제2 대차는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주행바퀴, 상기 주행바퀴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레일의 상부로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레일에 안착된 이동보조판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이송대차가 안착되는 위치를 조절하는 보조바퀴, 및 상기 제1 대차와 상기 제2 대차가 서로 맞물린 상태로 고정되도록 상기 제1 대차 및 상기 제2 대차의 양측에 고정부재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걸림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삽입몸체, 상기 삽입몸체의 끝단에 구비되어 상기 관통공의 외측에 걸쳐지고, 서로 어긋나는 위치에 반구의 형태로 개방되어 볼트를 수용하는 한 쌍의 볼트수용홈이 형성된 삽입두부, 및 상기 삽입두부를 관통하고, 상기 관통공에 삽입된 상기 삽입몸체를 제거시 핀제거공구가 끼워지는 분리핀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대는 상기 이송대차의 전방 또는 후방을 감싸도록 고정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의 양측면을 관통하여 각 레일에 안착된 상기 이송대차를 연결하는 연결봉, 및 상기 연결봉의 둘레보다 큰 둘레를 가져 상기 이송대차의 사이간격을 조절하는 조절봉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연결봉이 끼워져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상기 연결봉의 둘레보다 큰 둘레를 갖는 관통홈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핀에 걸침고리가 형성된 자루와, 상기 자루에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분리핀의 분리 시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봉을 포함하는 핀제거공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이송용 보조트럭.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이송대차를 조립하는 공구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된 공구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이송용 보조트럭.
  7. 삭제
KR1020150057375A 2015-04-23 2015-04-23 철도차량 이송용 보조트럭 KR101662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7375A KR101662140B1 (ko) 2015-04-23 2015-04-23 철도차량 이송용 보조트럭
PCT/KR2015/004142 WO2016171300A1 (ko) 2015-04-23 2015-04-27 철도차량 이송용 보조트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7375A KR101662140B1 (ko) 2015-04-23 2015-04-23 철도차량 이송용 보조트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2140B1 true KR101662140B1 (ko) 2016-10-05

Family

ID=57143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7375A KR101662140B1 (ko) 2015-04-23 2015-04-23 철도차량 이송용 보조트럭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62140B1 (ko)
WO (1) WO20161713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07550B (zh) * 2019-06-24 2021-11-09 中车大同电力机车有限公司 支撑装置和运输车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23909A (ja) * 1995-10-27 1997-05-13 East Japan Railway Co 脱線軌陸車の復帰移送具と応急受車
JP2000264219A (ja) * 1999-03-19 2000-09-26 Totetsu Kogyo Co Ltd 担車およびこの担車に適用されるアダプタ
KR200456181Y1 (ko) * 2009-12-16 2011-10-17 한국철도공사 고속철도차량 차축 베어링 고착시 이동용 조립식 보조트럭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9792B1 (ko) * 2004-06-04 2006-01-11 삼환종합기계공업 주식회사 코일강판화차 블럭
JP2012254737A (ja) * 2011-06-09 2012-12-27 Tsubakimoto Chain Co 鉄道車両移動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23909A (ja) * 1995-10-27 1997-05-13 East Japan Railway Co 脱線軌陸車の復帰移送具と応急受車
JP2000264219A (ja) * 1999-03-19 2000-09-26 Totetsu Kogyo Co Ltd 担車およびこの担車に適用されるアダプタ
KR200456181Y1 (ko) * 2009-12-16 2011-10-17 한국철도공사 고속철도차량 차축 베어링 고착시 이동용 조립식 보조트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71300A1 (ko) 2016-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83079A1 (en) Fifth wheel hitch isolation system
US2023972A (en) Transportation means
LT3157B (en) Bogies for railway vehicles with variable gap between wheels
US6663131B2 (en) Dolly for towing disabled trailers
KR101662140B1 (ko) 철도차량 이송용 보조트럭
JP2006096137A (ja) 鉄道車両用軸箱支持装置
US3161150A (en) Load receiving, supporting and cushioning apparatus
EP0403021B1 (en) Railway system and bogie, tail wagon, vehicle frame, bearing member and trailer therefor
CN102923043A (zh) 运输小车
US6279950B1 (en) Axle crutch
CN202923688U (zh) 运输小车
US9139225B2 (en) System and method for steering a trailer
JP6525315B2 (ja) 軌陸車の搬送用台車
US2015004207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ing Sliding Plates on a Trailer
US20150042068A1 (en) Transport Trailer with Adjustable-Width Swing Arms
US3424106A (en) Trackman's car
JP5779036B2 (ja) 軌道用手動搬送台車
CN103568978A (zh) 车载自行车架
JP2022184427A (ja) 台車搬送補助車
JPH09202219A (ja) 牽引用台車
US2652003A (en) Scotching arrangement, especially for the scotching of rolling loads on railway trucks
KR101634000B1 (ko) 소재 운반 대차
CN217532940U (zh) 箱体部件配送台车
US3843153A (en) Vehicle axle support device for tandem trailers axle
CN110949419B (zh) 固定装置及具有其的运输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