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4359B1 - 다용도 수레 - Google Patents

다용도 수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4359B1
KR102124359B1 KR1020190029663A KR20190029663A KR102124359B1 KR 102124359 B1 KR102124359 B1 KR 102124359B1 KR 1020190029663 A KR1020190029663 A KR 1020190029663A KR 20190029663 A KR20190029663 A KR 20190029663A KR 102124359 B1 KR102124359 B1 KR 102124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ixing
fixed
support portion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9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갑주
김민철
윤기수
권오준
홍준원
이호성
Original Assignee
(주)원익머트리얼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원익머트리얼즈 filed Critical (주)원익머트리얼즈
Priority to KR1020190029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43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4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4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supports specially adapted to objects of definite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3/0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6/00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 B62B2206/02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adjustable in length or width
    • B62B2206/04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adjustable in length or width only the load support being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용도 수레에 관한 것으로, 지면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저장 또는 고정되도록 형성된 물체를 운반할 경우, 물체의 상측단면을 하측방향으로 밀어내어 물체가 지면을 기준으로 수평방향으로 안착되어 이동되고, 이동 후 물체의 단면을 상측방향으로 밀어냄으로써 지면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저장 또는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물체의 운반이 안전하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다용도 수레{MULTI-PURPOSE CART}
본 발명은 수레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물체의 크기에 따라 폭 또는 길이 등을 조절할 수 있는 다용도 수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레는 축에 설치한 둥근 바퀴와 축의 회전운동으로 사람이나 물건을 운반할 수 있게 만든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때, 수레에 적재되는 물체의 형상에 따라 그에 적합한 다양한 구조적 형태를 갖는 것으로, 적재되는 물체가 다면체를 이룰 경우에 수레가 단순한 판상체 구조를 이루면 되지만,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이를 지지하기 위해 쐐기형태로 형성된다.
쐐기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단면이 원형인 물체의 양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회전 등에 의한 구름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일괄적인 크기로 형성되어 단면이 원형인 물체의 길이 또는 폭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다양하게 형성될 경우, 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수레를 이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특히, 수레의 크기보다 큰 물체를 운반할 경우, 수레로부터 물체를 감쌈으로써 지지하여 운반을 수행하는데, 이때 물체의 크기에 의해 수레가 넘어지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크기가 큰 물체를 운반하기 위한 팔레트 트럭 등이 개발되어 있으나, 수동으로 형성된 팔레트 트럭은 높이를 조절하고, 이동시키기 위해 상당한 힘이 필요한 단점이 있고, 전동으로 형성된 팔레트 트럭의 경우, 운전이 익숙해지기 위해 숙련의 시간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
더욱이, 팔레트 트럭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 물체를 운반하여야 할 때, 운반을 위한 별도의 보조기구를 더 포함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27992호(이하 ‘문헌 1’)의 “원통형 하물 적치용 가변식 스키드 및 그 제조방법”에서, 원통형으로 형성된 물체(하물)를 적치시키기 위해 원통형 물체의 무게에 의해 폭이 조절될 수 있는 스키드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헌 1의 발명을 이용할 경우, 원통형 물체의 직경에 상관없이 무게에 의해 스키드 간격이 조절되어 원통형 하물의 구름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이를 위해 스키드가 고무 등의 가요성 합성수지재로 형성됨으로써, 물체의 형상, 무게 또는 운반과정 중에서 손상이 발생됨으로써, 자주 교체해주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다른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미국등록특허공보 제9,840,348호(이하 ‘문헌 2’)의 “모듈 팔레트”에서, 핀이 러너에 형성된 홀에 결합됨으로써 조립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모듈 팔레트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헌 2의 발명을 이용할 경우, 핀이 홀에 삽입됨으로써 조립에 의해 형성되고, 스트랩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물체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조립에 의해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물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한 단점이 있다.
다른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19684호(이하 ‘문헌 3’)의 “코일 적재대”에서, 이동지지대가 코일의 폭 방향으로 이동하여 복수개의 코일이 적재될 수 있도록 형성된 코일 적재대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헌 3의 발명을 이용할 경우, 물체의 변화하는 길이만큼 적재대의 길이를 변화시킴으로써, 다양한 길이의 물체를 수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이는 코일을 적재하기 위한 수단으로, 코일을 이동시키기 위해 별도의 장치가 필요한 단점이 있다.
다른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일본 공표특허공보 특표2015-533708호(이하 ‘문헌 4’)의 “용접 시스템의 모듈식 이송 시스템 및 방법”에서, 연결 립에 의해 연장 형성되며, 휠에 의해 이동이 용이한 이송 시스템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헌 4의 발명을 이용할 경우, 연결 립에 의해 단부가 연장 형성됨으로써, 물체를 길이에 상관없이 수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수단인 휠이 형성되어 이동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맞춤 형상부에 의해 기구가 걸림, 접촉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될 뿐만 아니라, 폭이 고정되어 물체의 직경에 따라 폭이 가변성으로 대응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배경기술문헌>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27992호
미국등록특허공보 제9,840,34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19684호
일본 공표특허공보 특표2015-533708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면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저장할 수 있는 물체를 운반할 경우, 지면을 기준으로 수평방향으로 적재하여 이동시키고, 물체의 말단 하측을 상측으로 밀어냄으로써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다용도 수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다양한 물체의 크기 또는 형상에 맞추어 가로, 세로 또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물체의 고정 및 운반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형성된 다용도 수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욱이, 조립형으로 형성되어 결함이 발생된 부분만 분리하여 수리 또는 교체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유지 및 보수비용을 최소화 시킨 다용도 수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측에 물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되어 둘 이상 형성되며, 제2조절부와 연동되어 슬라이딩에 의해 물체의 폭에 따라 조절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지지부; 제1지지부 하측면에 제1지지부를 가로질러 형성된 제1연결부; 제1연결부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제1지지부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제2조절부; 및 제1지지부 하측에 형성되며, 제1지지부 상측에 수용된 물체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지지부 일측에 형성된 제1조절부; 및 제1조절부와 연동되도록 제1지지부를 가로질러 형성되며, 슬라이드에 의해 물체의 길이에 따라 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3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제1지지부 상측면 일측에 제1지지부(100)를 지면으로부터 고정시키거나, 물체에 가해지는 진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지지부 일측에 관통 형성되어 제1고정부재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제4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면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저장 또는 고정되도록 형성된 물체를 운반할 경우, 물체의 상측단면을 하측방향으로 밀어내어 물체가 지면을 기준으로 수평방향으로 안착되어 이동되고, 이동 후 물체의 단면을 상측방향으로 밀어냄으로써 지면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저장 또는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물체의 운반이 안전하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다양한 물체의 크기, 형상 또는 사용자의 편의에 알맞게 가로, 세로 또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폭이 좁은 물체의 경우, 이를 수용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필요하지 않은 장점이 있다.
또한, 조립형식으로 형성되어 결함이 발생된 부분만 분리하여 수리 또는 교체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유지 또는 보수비용이 최소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문헌 1 발명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문헌 2 발명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문헌 3 발명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문헌 4 발명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수레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수레의 좌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수레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수레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수레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수레의 좌측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00: 제1지지부, 101: 제1수용부, 102: 이격공간 120: 제1조절부, 121: 제1고정부, 130: 제1돌출부, 131: 제1수용부, 140: 제2돌출부, 141: 제2수용부, 142: 제2통공, 150: 제4고정부
200: 제1연결부, 201: 제5고정부, 202: 제3수용부, 210: 제2조절부, 211: 제2고정부, 220: 제3연결부, 222: 제3돌출부, 223: 제3고정부
300: 이동부재
400: 제2지지부, 410: 제6고정부, 420: 제7고정부
500: 제4수용부, 501: 제4수용공간, 510: 제8고정부, 511: 제8고정공간, 520: 제1고정부재, 521: 제3조절부, 530: 제2고정부재, 531: 제3지지부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이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이 가해질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서 요소의 크기 또는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는 본 발명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의 형상이 제조 공정상의 변이 등에 의해서 다소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어느 정도의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은 명확한 반대의 지적이 없는 한 그 외의 어떤 다른 실시예들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하는 어떤 특징도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한 그 외의 어떤 특징 및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 특징들, 실시예들 또는 구현예들은 단독으로 또는 다양한 조합들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의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일 뿐 청구범위에 의해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고,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사람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수레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부(100), 제1연결부(200) 및 이동부재(30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제1지지부(100)는 상측에 물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되어 둘 이상 형성되며, 제2조절부(210)와 연동되어 슬라이딩에 의해 물체의 폭에 따라 조절 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물체의 크기에 관계없이 둘 이상의 제1지지부(100)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102)의 거리를 조절시킴으로써 크기가 작은 물체를 운반할 경우, 이를 운반하기 위한 판과 같은 별도의 구성이 불필요하게 되어 제1지지부(100)에 의해 용이하게 운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둘 이상의 제1지지부(100)가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원통형 또는 다면체로 형성된 물체가 제1지지부(100) 상측 또는 사이에 수용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지지부(100)의 전체적인 형상은 원통형 또는 다면체로 형성되어 물체가 제1지지부(100) 상측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바람직하게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되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모서리가 모따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제1지지부(100) 상측에 형성된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모서리가 모따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제1지지부(100)의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모서리가 모따기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제1지지부(100) 상측에 수용된 물체가 제1지지부(100)의 모서리 형상에 의해 손상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원통형인 물체가 수용될 경우, 물체가 모따기 형상으로 형성된 부분에 안착됨으로써 제1지지부(100) 사이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제1지지부(100)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모서리가 모따기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최종 제조되는 다용도 수레를 조립할 때, 각 부품의 간섭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조립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제1지지부(100)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제1지지부(100) 상측에 수용되는 물체의 하중 및 외부 자극에 의해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선택적으로, 제1지지부(100)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단부가 개방형으로 형성되고, 내측에 속이 빈 형태의 제1수용부(101)가 형성될 수 있다.
최종 제조되는 다용도 수레의 조립이 용이하게 수행될 뿐만 아니라, 알맞은 사용용도에 다양하게 적용되기 위해, 양 단부가 개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제1수용부(101)가 형성됨으로써, 하중이 무거운 물체 또는 사용자의 힘으로 운반하기 어려운 물체를 고정시켜 운반해야 될 경우, 팰릿대차에 형성된 포크 등과 같은 제1지지부(100)를 고정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1수용부(101) 내측에 인입시켜 최종 제조되는 다용도 수레를 고정시킴과 동시에 팰릿대차에 의해 물체의 운반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지지부(100) 일측에 제1조절부(12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제1조절부(120)가 형성됨으로써, 후술될 제3연결부(220)가 연동되어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되어 제1지지부(100) 상측에 수용되는 물체를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조절부(120)와 제3연결부(220)에 의해 제1지지부(100) 상측에 수용되는 물체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이동됨에 따라 외부충격 또는 관성에 의해 제1지지부(100)로부터 물체가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조절부(120)는 제3연결부(220)가 용이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레일 또는 관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바람직하게는 관통 형태로 형성되어 제3연결부(220)가 제1조절부(120)로부터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조절부(120)에 나사, 볼트 등과 같은 나사부재가 관통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제1조절부(120)로부터 제3연결부(220)가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제3연결부(220)와 제1조절부(120)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판 형태의 제1고정부(121)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제1고정부(121)가 더 포함될 경우, 제1조절부(120)와 대응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제1조절부(120)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1고정부(121)가 더 포함됨으로써, 제1조절부(120) 내측에 충분한 길이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부재의 결합이 견고하게 수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제3연결부(220)는 제1조절부(120)와 연동되도록 제1지지부(100)를 가로질러 형성되며, 슬라이드에 의해 물체의 길이에 따라 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제3돌출부(222)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제3연결부(220)에 의해 제1지지부(100) 상측에 수용되는 물체의 길이에 따라 제3연결부(220)의 위치를 고정하여 폭을 조절시킴으로써, 물체가 제1지지부(1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3연결부(220)는 제1지지부(100)에 수용되는 물체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상측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물체의 정보를 최종 제조된 다용도 수레의 제3연결부(220)에 의해 원거리에서도 식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다용도 수레를 사용자의 사용용도에 맞게 분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해, 제3연결부(220) 상측면에는 물체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가 담긴 라벨이 더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선택적으로, 제3연결부(220) 하측면은 제3돌출부(222)와 연동될 수 있도록 레일 또는 하나 이상의 통공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3연결부(220)의 하측면 형상에 의해 제1지지부(100)의 이동에 의해 이격공간(102)의 크기가 조절됨과 동시에 제3돌출부(222)의 위치가 제1조절부(120)와 연동되어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제1고정부(121)에 하나 이상의 제1조절부(120)가 관통 형성될 경우, 제3돌출부(222)는 제3연결부(220) 하측면과 연동되도록 형성되되, 제3연결부(220)의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하나 이상의 제3고정부(223)를 포함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3고정부(223)가 제3돌출부(222)에 관통 형성되어 제1조절부(120)와 연동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고정부(223)가 형성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3돌출부(222)는 제3연결부(220) 하측에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제3고정부(223)는 제1조절부(120)와 하나 이상의 나사부재에 의해 연동 형성되어 고정됨으로써, 제3연결부(220)와 제1지지부(100)가 견고하게 연동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둘 이상의 제3고정부(223)가 형성되어 이격공간(102)의 크기가 변화와 물체의 길이에 따라 제3고정부(223)의 위치에 맞추어 제1조절부(120)를 위치시키고, 나사부재에 의해 제3연결부(220)와 제1지지부(100)를 고정시킴으로써, 제1지지부(100)와 제3연결부(220)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선택적으로, 제1고정부(121)가 레일형태로 형성될 경우, 제3돌출부(222)는 제1고정부(121)에 형성된 레일과 연동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3돌출부(222)가 제1고정부(121)에 형성된 레일과 연동됨으로써, 물체의 길이에 따라 제3돌출부(222)의 위치가 조절되어 제3연결부(220)의 폭이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제3돌출부(222)를 제1고정부(121)에 형성된 레일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제3돌출부(222) 또는 제1고정부(121)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별도의 고정 장치가 더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제1지지부(100) 상측면에 상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돌출부(130) 및 제2돌출부(140)가 선택적으로 더 포함될 수 있다.
먼저, 제1돌출부(130)는 제1지지부(100) 상측면에 상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돌출부(130)는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면이 개방 형성된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태로 내측에 서포트패드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1수용부(131)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돌출부(130)의 상측단면은 서포트패드를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서포트패드의 상측단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제1돌출부(130)는 이격공간(102)과 인접한 방향에 위치한 면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서포트패드의 교체 및 위치조절이 용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때, 제1돌출부(130) 내측에 형성된 제1수용부(131)에 서포트패드가 인입됨으로써 제1지지부(100)와 물체 사이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서포트패드란 제1지지부(100)와 물체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상측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태로 형성되고, 일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측면 단면은 삼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서포트패드의 일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서포트패드의 위치에 따라 제1지지부(100)와 물체 사이에 이격된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제1지지부(100)와 물체 사이의 거리가 높게 유지시켜야 할 경우, 제1돌출부(130) 내측으로부터 서포트패드를 이격공간(102)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서포트패드의 경사에 의해 물체가 밀어 올라가게 되어 제1지지부(100)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제1지지부(100)와 물체 사이의 거리를 낮게 유지시켜야 할 경우는 이와 반대방향으로 서포트패드를 이동시킴으로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서포트패드의 크기에 따라 제1돌출부(130)의 상측면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또한, 서포트패드는 제1지지부(100)가 이동됨에 따라 물체가 최종 제조되는 다용도 수레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경사진 면은 고무 등을 포함하는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물체의 하중 또는 모양에 따라 서포트패드의 경사진 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교체가 용이하게 형성된 별도의 고정패드가 서포트패드의 경사진 면에 고정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고정패드 또는 경사진 면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상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가 더 포함됨으로써, 서포트패드와 물체 사이에 마찰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최종 제조되는 다용도 수레로부터 물체가 이탈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또한, 서포트패드는 제1돌출부(130)로부터 용이하게 고정 또는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서포트패드가 제1돌출부(130)로부터 이동되도록 형성될 경우, 제1수용부(131) 하측면에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레일이 포함되어 슬라이딩에 의해 서포트패드가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서포트패드는 제1돌출부(130) 내측에 고정 장치 또는 접착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의해 고정 형성되어 제1지지부(100)에 의해 이격공간(102) 거리가 조절됨으로써 서포트패드의 위치를 변동시키는 것이 안정적이고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제2돌출부(140)는 제1지지부(100) 상측면에 상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돌출부(130)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제2돌출부(140)가 제1돌출부(130)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후술될 체결부재에 의해 서포트패드와 물체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제2돌출부(140)는 둘 이상의 제1지지부(100) 상측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돌출부(140) 내측에 체결부재가 인입될 수 있도록 제2수용부(141)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체결부재는 최종 제조되는 다용도 수레에 수용되는 물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띠, 벨트, 체인 등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즉, 제2돌출부(140) 내측에 형성된 제2수용부(141)에 체결부재가 형성되며, 체결부재는 제2수용부(141)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체결부재가 제1지지부(100) 상측에 안착된 물체를 감쌈으로써 제1지지부(100)로부터 물체가 이탈되는 것이 예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돌출부(140) 외측면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관통 형성된 제2통공(142)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제2통공(142)이 더 포함됨으로써, 체결부재의 고정이 더욱 견고하게 수행되거나, 제1지지부(100)의 이동 방향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일측 제2돌출부(140)에 형성된 체결부재가 제1지지부(100) 상측에 수용된 물체를 감쌈으로써 제1지지부(100)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체결부재의 단부는 채결부재가 연장 형성된 제2돌출부(140)의 마주보는 방향에 형성된 제2돌출부(140)에 도달하게 됨과 동시에 제2통공(142)에 걸림으로써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1지지부(100)의 이동방향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켜야할 경우, 띠 또는 체인 등으로 형성된 가압기구가 제2통공(142)을 관통하여 고정 형성되어 가압 기구를 사용자가 원하는 이동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제1지지부(1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제1연결부(200)는 제1지지부(100)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제1지지부(100)를 가로질러 제2조절부(21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제1연결부(200)는 둘 이상의 제1지지부(100) 하측면에 형성되며, 제1지지부(100) 및 이격공간(102)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둘 이상의 제1지지부(100)가 제1연결부(200)와 각각 연동되도록 형성되어 둘 이상의 제1지지부(100)가 물체를 용이하게 수용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제1연결부(200)는 제1지지부(100)와 마찬가지로 원형 또는 다각형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측에 제3수용부(202)가 형성될 수 있다.
제3수용부(202)가 형성됨으로써 하중이 무겁거나 길이가 긴 물체 또는 사용자의 힘으로 운반하기 어려운 물체를 고정시켜 운반해야 될 경우, 팰릿대차에 형성된 포크 등과 같은 제1지지부(100)를 고정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3수용부(202) 내측에 인입시켜 최종 제조되는 다용도 수레를 고정시킴과 동시에 팰릿대차에 의해 물체의 운반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제1연결부(200)는 용접 또는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에 의해 제1지지부(100)에 고정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외측면에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5고정부(201)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5고정부(201)는 제1지지부(100) 하측면에 하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4고정부(150)에 인입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제1지지부(100)가 제1연결부(200) 상측에서 안정적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4고정부(150)의 단부가 꺾이도록 형성됨으로써, 제4고정부(150)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제5고정부(201)가 인입됨과 동시에 제1지지부(100)가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제5고정부(201)와 제4고정부(150)의 결합에 의해 제1지지부(100)가 제1연결부(20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슬라이딩되어 제1이격공간(102)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더욱이, 제1지지부(100) 또는 제1연결부(20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결함이 발생되었을 경우, 이 둘의 분리가 용이하게 수행됨으로써 보수 및 유지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제2조절부(210)는 제1연결부(200) 상측면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제1지지부(10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조절부(210)는 제1연결부(200)의 상측면을 가리키며, 선택적으로 별도의 판 형태로 제1연결부(200) 상측에 부착 형성되어 제1지지부(100)와 제1연결부(200)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이격 거리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제2조절부(210)가 형성됨으로써, 제1지지부(100)는 제1연결부(200)와 연동되어 슬라이딩됨과 동시에 제2조절부(210)에 의해 고정되어 제1지지부(100)에 수용되는 물체의 폭에 알맞게 이격공간(102)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2조절부(210)는 레일 또는 하나 이상의 제2고정부(211)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제2조절부(210)가 레일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하나 이상의 고정 장치를 포함함으로써, 제1지지부(100)가 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고정 장치에 의해 알맞은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조절부(210)가 하나 이상의 제2고정부(211)를 포함하여 형성될 경우, 제2고정부(211)는 제2조절부(210)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나사, 볼트 등과 같은 나사부재가 제2고정부(211)를 관통하여 고정됨으로써 제1연결부(200)로부터 제1지지부(10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나사부재는 제2고정부(211) 뿐만 아니라 제1지지부(100) 하측면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제2고정부(211)와 대응되도록 형성된 통공을 관통함으로써 제1지지부(100)와 제1연결부(200)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물체의 하중을 견고하게 지지하고, 이동 방향에 따라 제1지지부(100)가 이탈되지 않도록 나사부재에 의해 제1지지부(100)와 제1연결부(200)를 고정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제1지지부(100)를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이격공간(102)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이동부재(300)는 제1지지부(100) 하측에 형성되며, 제1지지부(100) 상측에 수용된 물체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이동부재(300)는 제1지지부(100)에 수용된 물체가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캐스터를 포함하여 제1지지부(100)를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선택적으로, 이동부재(300)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사용자가 물체를 원하는 위치에 이동시킨 다음, 지면으로부터 고정시키기 위해 별도의 멈춤 장치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이동부재(300)와 제1지지부(100) 사이에 높이조절부재가 선택적으로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서포트패드 뿐만 아니라, 높이조절부재에 의해 제1지지부(10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때, 높이조절부재는 피스톤을 포함한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에 제1지지부(100)를 위치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은 지면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저장 또는 고정되도록 형성된 물체를 운반할 경우, 물체의 상측단면을 하측방향으로 밀어내어 물체가 지면을 기준으로 수평방향으로 안착되어 이동되고, 이동 후 물체의 단면을 상측방향으로 밀어냄으로써 지면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저장 또는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물체의 운반이 안전하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다양한 물체의 크기, 형상 또는 사용자의 편의에 알맞게 가로, 세로 또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폭이 좁은 물체의 경우, 이를 수용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필요하지 않은 장점이 있다.
또한, 조립형식으로 형성되어 결함이 발생된 부분만 분리하여 수리 또는 교체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유지 또는 보수비용이 최소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 2>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부(100) 상측면 일측에 제1지지부(100)를 지면으로부터 고정시키거나, 이동 중이나 정지 상태에 있을 때 물체에 가해지는 진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제2지지부(4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제1지지부(100)가 이동부재(300)에 의해 이동된 다음, 제1지지부(100)를 지면으로부터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제2지지부(4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지지부(400)는 제6고정부(410)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지지부(400)는 접착제를 이용하거나 또는 나사부재에 의해 결합되어 제1지지부(100)로부터 고정될 수 있다.
먼저, 제2지지부(400)가 접착제에 의해 접착될 경우, 제1지지부(100)로부터 제2지지부(400)가 외력 또는 외부 환경변화에 의해 분리되지 않도록 우레탄을 포함하는 접착제로 접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제2지지부(400)가 나사부재에 의해 결합될 경우, 제2지지부(400)에 하나 이상 관통 형성된 제7고정부(42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제7고정부(420)는 제2지지부(400) 상측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관통 형성되어 나사부재를 내측에 수용함으로써, 제2지지부(400)가 제1지지부(100)로부터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제7고정부(420)에 형성된 나사부재가 제1지지부(10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제1지지부(100) 상측면은 제7고정부(420)가 형성된 위치에 제7고정부(420)와 동일한 형상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제6고정부(410)는 제2지지부(400)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관통 형성되어 제1지지부(100)가 지면으로부터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제6고정부(410) 내측에 제1지지부(100)를 지면으로부터 고정시키기 위해 말뚝 등과 같은 고정 장치가 관통 형성됨으로써, 제1지지부(100)를 지면으로부터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 장치는 제6고정부(410) 뿐만 아니라, 제1지지부(100)를 관통하여 지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지지부(100)는 제6고정부(410)가 형성된 위치는 제6고정부(410)와 동일하게 관통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선택적으로, 말뚝 등과 같은 고정장치는 제1지지부(100)를 관통하여 지면으로부터 제1지지부(10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2지지부(400)는 제1지지부(100)를 지면으로부터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지지부(100) 상측면에 상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1지지부(100)의 이동에 의해 물체에 가해지는 진동을 최소화 하여 진동에 의해 물체가 제1지지부(10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지지부(400)는 고무 또는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합성수지, 금속, 금속스프링, 코르크, 공기스프링, 오일템퍼 또는 생코르크판 등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고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선택적으로, 제2지지부(400) 상측면에 상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기를 더 포함하여 제1지지부(100)의 이동에 의해 물체에 가해지는 진동을 최소화 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실시예 3>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부(100) 일측에 관통 형성되어 제1고정부재(52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제4수용부(5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제4수용부(500)는 제1지지부(100) 상측면 일측에 관통 형성되어 제4수용공간(501)이 포함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4수용부(500)가 제1지지부(100) 일측에 관통됨으로써 제4수용공간(501)이 형성되어 제3조절부(521)가 제4수용공간(501) 내측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제3조절부(521)는 제4수용부(500)의 제4수용공간(501) 내측에 하측이 인입되어 조립됨으로써 고정되며, 상측은 제1지지부(100)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제4수용부(500)로부터 제3조절부(521)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제3조절부(521)보다 크게 형성된 제1고정부재(520)가 제3조절부(521)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제3조절부(521) 하측 일측에 제1고정부재(520)가 제3조절부(521)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조절부(521) 하측이 제1고정부재(520)가 형성된 높이만큼 제4수용부(500) 내측으로 인입되어 외력에 의해 제3조절부(521)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로부터 가해지는 힘을 안정적으로 제1지지부(100)에 전달하여 최종 제조되는 다용도 수레가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제3조절부(521) 상측은 제1고정부재(520) 상측면에 상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측 일측에 하나 이상의 고리 또는 통공이 포함되어 띠 또는 줄 등의 형태를 포함하는 다용도 수레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된 이동벨트가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고정부재(520)가 제1지지부(100)로부터 안정적인 결합이 유지될 수 있도록 제1고정부재(520) 일측면에 하나 이상의 제2고정부재(53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제2고정부재(530)는 제1고정부재(520) 일측에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하측에 제3지지부(531)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지지부(531)의 말단은 갈고리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제1지지부(100) 일측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고정부재(530)가 제3지지부(531)를 포함하여 형성됨으로써, 제1지지부(100)로부터 제1고정부재(520)가 외력에 의해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됨과 동시에 제3조절부(521)가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1지지부(100) 일측에 하나 이상의 제8고정부(51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제8고정부(510)는 제4수용부(500)와 인접한 위치에 제1지지부(100) 상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8고정부(510)가 제1지지부(100) 일측 제4수용부(500)와 인접한 위치에 관통 형성되어 내측에 제8고정공간(51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3조절부(521) 하측이 제1고정부재(520)가 형성된 높이만큼 제4수용부(500) 내측에 인입되어 고정되고, 제1고정부재(520) 일측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2고정부재(530) 하측에 연장 형성된 제3지지부(531)의 말단이 제8고정공간(511) 내측에 인입되어 제8고정부(510)에 걸림으로써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로 인해 제3조절부(521) 및 제1고정부재(520)가 제4수용부(500)에 조립시킴으로써, 제1지지부(10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더욱이, 외력에 의해 제3조절부(521) 또는 제1고정부재(52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변형될 경우, 제3조절부(521) 및 제1고정부재(520)만 별도로 교체하거나 보수하여 재조립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최종 제조되는 다용도 수레의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이를 위한 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 4>
선택적으로, 제1지지부(100) 하측면 또는 제3조절부(521) 하측 내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높이조절부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높이조절부재는 피스톤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1지지부(100) 하측면을 상측방향으로 들어 올릴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높이조절부재가 하측방향으로 점점 길어짐으로써, 제1지지부(100)의 위치가 높아질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지면을 기준으로 수평방향으로 적재된 원통형 또는 다면체로 형성된 물체를 지면에 수직으로 세우기 위해 더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즉,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1지지부(100) 하측면 또는 제3조절부(521) 하측 내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일측에 형성된 높이조절부재가 하측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제1지지부(100) 일측 말단이 상측방향으로 높아짐과 동시에 타측 말단은 지면과 가까워짐으로써, 제1지지부(100)가 지면과 경사를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 제1지지부(100) 상측에 지면과 수평방향으로 적재된 물체가 중력에 의해 제1지지부(100)의 경사를 따라 이동하게 됨과 동시에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세워지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 물체를 이동시킴과 동시에 원하는 위치에 용이하게 저장 또는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놀이조절부재는 제1지지부(100) 말단 하측면 또는 제3조절부(521) 하측 내측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다용도 수레에 관한 것으로 물체의 상측단면을 하측방향으로 밀어내어 물체가 지면을 기준으로 수평방향으로 안착되어 이동되고, 이동 후 물체의 단면을 상측방향으로 밀어냄으로써 지면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저장 또는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물체의 운반이 안전하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가능한 발명이다.

Claims (4)

  1. 상측에 물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되어 둘 이상 형성되며, 제2조절부(210)와 연동되어 슬라이딩에 의해 물체의 폭에 따라 조절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지지부(100);
    제1지지부(100) 하측면에 제1지지부(100)를 가로질러 형성된 제1연결부(200);
    제1연결부(200)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제1지지부(10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제2조절부(210); 및
    제1지지부(100) 하측에 형성되며, 제1지지부(100) 상측에 수용된 물체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이동부재(300);를 포함하고,
    제1지지부(100) 일측에 형성된 제1조절부(120); 및
    제1조절부(120)와 연동되도록 제1지지부(100)를 가로질러 형성되며, 슬라이드에 의해 물체의 길이에 따라 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3연결부(220);를 포함하며,
    제1지지부(100)는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모서리가 모따기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3연결부(220)는 제1조절부(120)와 연동되도록 제1지지부(100)를 가로질러 형성되며, 슬라이드에 의해 물체의 길이에 따라 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제3돌출부(222)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수레.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지지부(100) 상측면 일측에 제1지지부(100)를 지면으로부터 고정시키거나, 물체에 가해지는 진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제2지지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수레.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지지부(100) 일측에 관통 형성되어 제1고정부재(52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제4수용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수레.
KR1020190029663A 2019-03-15 2019-03-15 다용도 수레 KR102124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663A KR102124359B1 (ko) 2019-03-15 2019-03-15 다용도 수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663A KR102124359B1 (ko) 2019-03-15 2019-03-15 다용도 수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4359B1 true KR102124359B1 (ko) 2020-06-18

Family

ID=71143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9663A KR102124359B1 (ko) 2019-03-15 2019-03-15 다용도 수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435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6080Y1 (ko) * 2001-08-28 2001-12-13 배영성 대차의 바닥 고정 장치
KR101779772B1 (ko) * 2017-05-26 2017-09-19 마루젠키친프라자(주) 상업용 오븐의 이동식 트롤리 구조
KR20190017327A (ko) * 2017-08-11 2019-02-20 대영전자 주식회사 운반용 대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6080Y1 (ko) * 2001-08-28 2001-12-13 배영성 대차의 바닥 고정 장치
KR101779772B1 (ko) * 2017-05-26 2017-09-19 마루젠키친프라자(주) 상업용 오븐의 이동식 트롤리 구조
KR20190017327A (ko) * 2017-08-11 2019-02-20 대영전자 주식회사 운반용 대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50515B1 (en) Clip-on wheels for pallets or other structures with runners
US7708160B2 (en) Collapsible container
AU2015295135B2 (en) Individual, universal, removable, load-bearing pallet for car-carrying vehicle
US7481440B2 (en) Biasing means adjustment mechanism and method
US20150344086A1 (en) Industrial cart comprising a mother or primary cart and a secondary or daughter cart
US10926921B2 (en) Pallet shelf system and method of storing goods on a pallet shelf system
US753062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ositioning a tarpaulin
MXPA99009849A (es) Tarima para almacenar articulos con ruedas.
US20090000526A1 (en) Shock-absorbing cargo container
US10112805B1 (en) Pallet-pulling device
US20020109319A1 (en) Ergonomic merchandiser
US20110068548A1 (en) Transport pallet
KR102124359B1 (ko) 다용도 수레
US10934094B2 (en) Movable platform with a mechanical lift brake assembly
US20120223510A1 (en) Trailer having a variable width
US9499186B1 (en) Pallet transfer apparatus with handle pulling type folding structure
KR200488511Y1 (ko) 단차 이동이 가능한 화물 운반용 대차
JP7443680B2 (ja) 載置台部材、載置台及び載置方法
US11760585B2 (en) Momentum arresting ramp
JP2013103712A (ja) 線材コイル等積載用可動ラック装置、及びトラック又はトレーラー
US20230202745A1 (en) Reusable Cradle System and Method for a Material Handling Vehicle
KR102122228B1 (ko) 크기 조절 가능한 이송 대차
KR101634000B1 (ko) 소재 운반 대차
WO2024004065A1 (ja) 無人搬送車および牽引搬送方法
JP3173308U (ja) 線材コイル等積載用可動ラック装置、及びトラック又はトレーラ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