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7903A - 향료베이스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향료베이스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7903A
KR20160047903A KR1020140144429A KR20140144429A KR20160047903A KR 20160047903 A KR20160047903 A KR 20160047903A KR 1020140144429 A KR1020140144429 A KR 1020140144429A KR 20140144429 A KR20140144429 A KR 20140144429A KR 20160047903 A KR20160047903 A KR 201600479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weight
perfume
fragrance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4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5943B1 (ko
Inventor
전현표
Original Assignee
(주)대덕랩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덕랩코 filed Critical (주)대덕랩코
Priority to KR1020140144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5943B1/ko
Publication of KR20160047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7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5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59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향료베이스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알코올과 가용화제를 사용하지 않고 a) 향료 20 ~ 40 중량% 및 폴리올 40 ~ 60 중량%를 포함하는 혼합액을 물 10 ~ 35 중량%에 혼합하는 단계, 및 b) 상기 물과 혼합된 혼합액을 상분리시켜 하층부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 할 수 있는 향료베이스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향료베이스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Manufacturing Method for Perfume-base and Cosmetic Compositio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향료베이스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알코올과 가용화제를 사용하지 않고 제조 가능한 향료베이스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향수 또는 향료함유 미스트는 알코올이 함유된 알코올 타입과 알코올이 함유되지 않은 무알코올 타입으로 나누어져 사용되고 있다. 알코올이 함유된 알코올타입의 향수 또는 향료함유 미스트는 안정성이 좋고, 발향이 뛰어난 장점이 있지만, 향취가 독하고 알코올로 인해 피부에 큰 자극을 주어 피부 트러블을 발생시키는 등의 피부 안전성으로 인해 소비자들이 꺼려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알코올을 싫어하거나, 특히 이슬람교도를 위한 할랄 화장품에서는 그들의 종교적인 이유로 인하여 사용이 금지되고 있다.
또한, 알코올이 함유되어 있지 않은 무알코올 향수 또는 향료함유 미스트는 향이 매우 부드럽고, 피부에 큰 자극을 주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으나, 이는 제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향수 및 지용성 성분인 향료 성분을 함유하는 미스트에서 수상에 향료 물질을 혼합하기 위해서는 매우 과량의 에탄올을 사용하거나 향료 성분을 가용화 하기 위한 가용화제가 사용되고 있다. 향수 혹은 향료 함유 미스트에서 위와 같은 이유로 인하여 에탄올을 사용하지 않으려면, 매우 많은 양의 가용화제를 사용해야 하는데 이 경우, 과량의 가용화제를 사용함으로써, 피부에 나쁜 작용을 할 뿐만 아니라, 피부나 옷에 남아 끈적임을 유발하거나, 섬유의 변색 등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알코올과 가용화제를 사용하지 않고 제조 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 구체적으로는 향수 또는 향료함유 미스트의 제조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알코올과 가용화제를 사용하지 않고 제조 가능한 향료 베이스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경제적이며, 제조방법이 간단한 향료 베이스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끈적임이 없이 피부트러블을 발생시키지 않는 향료 베이스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알코올을 사용하지 않고도 발향이 뛰어난 향료 베이스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향료 베이스의 제조방법은,
a) 향료 20 ~ 40 중량% 및 폴리올 40 ~ 60 중량%를 포함하는 혼합액을 물 10 ~ 35 중량%에 혼합하는 단계, 및 b) 상기 물과 혼합된 혼합액을 상분리시켜 하층부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폴리올은 소수화 상수(HLB/OH기의 수)의 값이 1.8 ~ 4.5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폴리올은 소수화 상수의 값이 3.1 ~ 4.1을 만족하는 향료 베이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혼합액에 다당류 1 ~ 10 중량%를 더 포함하는 향료 베이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향료는 천연 또는 합성 방향유이며,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장미오일, 유칼리오일, 라반딘오일, 라벤더오일, 베티버오일, 리세아 쿠베바오일, 레몬오일, 쟈스민오일, 백단오일, 로즈마리오일, 케모마일오일, 층층이꽃오일, 육두구오일, 시나몬오일, 히솝오일, 캐러웨이오일, 오렌지오일, 데라니올오일, 케이드오일 및 르가모트오일의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오일인 향료 베이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올은 에틸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펜타에리스리톨, 마니톨, 덜시톨, 아라비톨, 소르비톨, 자일리톨, 1,2-헥산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및 트리메틸올프로판의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인 향료 베이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당류는 알긴산, 펙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커들란, 풀루란, 잔탄검, 카라기난, 젤란검, 로커스트빈검, 아라비아검, 타마린드 및 사일륨의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향료 베이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향료 베이스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향료 베이스는 화장료 조성물에 50 ~ 90 중량% 포함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미스트 및 향수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형성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조가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알코올과 가용화제를 사용하지 않아 끈적임이 없으며, 피부트러블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발향이 뛰어나며, 향기를 오래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향료베이스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을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실시예 및 비교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는 본 발명의 향료베이스의 제조방법에 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향료 베이스의 제조방법은,
a) 향료 20 ~ 40 중량% 및 폴리올 40 ~ 60 중량%를 포함하는 혼합액을 물 10 ~ 35 중량%에 혼합하는 단계, 및
b) 상기 물과 혼합된 혼합액을 상분리시켜 하층부를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폴리올은 소수화 상수(HLB/OH기의 수)의 값이 1.8 ~ 4.5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단계는 폴리올로부터 향료의 친수성 성분을 물쪽으로 빠져나오도록 유도하는 단계이며, a)단계는 제한되지는 않으나,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향료와 폴리올을 혼합하여 혼합액을 제조한 후, 제조된 혼합액과 물을 교반하여 혼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액에 다당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다당류를 더 포함함으로써, 더 많은 양의 친수성 성분의 향료를 물쪽으로 빠져나오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향료는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든 제안되지는 않으며,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천연 또는 합성 방향유를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장미오일, 유칼리오일, 라반딘오일, 라벤더오일, 베티버오일, 리세아 쿠베바오일, 레몬오일, 쟈스민오일, 백단오일, 로즈마리오일, 케모마일오일, 층층이꽃오일, 육두구오일, 시나몬오일, 히솝오일, 캐러웨이오일, 오렌지오일, 데라니올오일, 케이드오일 및 르가모트오일의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오일을 사용할 수 있다. 그 함량은 향료, 폴리올, 물 및 다당류 100 중량%중에서 20 ~ 40 중량% 포함되는 것이 향료 베이스를 제조하는데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의 폴리올은 소수화 상수(HLB/OH기의 수)의 값이 특정 수치범위를 만족할 때, 계면활성제의 도움 없이 향료의 친수성 성분을 물쪽으로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특징을 발견하였다. 상기 소수화 상수는 폴리올의 소수화도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소수화도가 높은 경우 물과의 혼화성이 떨어지게 되며, 소수화도가 낮을 경우, 물과의 혼화성은 높지만 물을 소수화하는 능력이 떨어지게 되어 향료 성분을 추출하는데 효과적이지 않다. 상기 소수화 상수는 폴리올의 물질에 의존하는 값이지만, 2가지 이상의 폴리올을 병용할 경우, 아래의 관계식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관계식]
소수화 상수 = (각 폴리올의 질량분율)×(각 폴리올의 소수화상수)의 합
본 발명에서 폴리올은 상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소수화 상수의 값이 1.8 ~ 4.5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4.5 이상인 경우, 물에 혼합되더라도 혼합액의 외관이 탁해질 수 있으며, 향료를 추출할 때, 상안정성이 떨어져 장기간 보관할 경우 층분리가 일어나거나 침전이 일어나게 되며, 1.8 이하인 경우, 혼합액의 외관은 투명하지만, 향료를 거의 추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어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것이 좋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올의 소수화 상수의 수치범위가 3.1 ~ 4.1을 만족하는 것이 향료의 추출량 및 상안정성이 매우 높아 좋다. 4.1 이상에서도 향료의 추출이 효과적으로 일어났지만, 4.1 이하에서 추출량이 현저히 증가했으며, 혼합액의 외관도 97%이상 투명도를 나타냈다. 3.1 미만인 경우, 물의 소수화도가 감소함에 따라 추출량이 다시 감소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상기범위를 만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소수화 상수를 만족할 수 있는 폴리올은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폴리올은 에틸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펜타에리스리톨, 마니톨, 덜시톨, 아라비톨, 소르비톨, 자일리톨, 1,2-헥산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및 트리메틸올프로판의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중에서 상기 소수화 상수를 가장 만족하는 것은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및 부틸렌글리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경우로 나타났다. 그 함량은 향료, 폴리올, 물 및 다당류 100 중량%중에서 40 ~ 60 중량% 포함되는 것이 별도의 계면활성제의 도움 없이 향료의 친수성 성분을 물쪽으로 추출하기에 바람직하나, 반드시 상기 범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서로 다른 소수화 상수를 가진 2종 이상의 폴리올을 병용하여 본 발명의 특정 수치범위를 만족시킬 때, 보다 많은 향료의 추출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 안정성도 더 높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물은 화장료 조성물에 이용할 수 있는 것이면 제한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며, 그 함량은 향료, 폴리올, 물 및 다당류 100 중량%중에서 10 ~ 35 중량% 포함되는 것이 향료를 추출하기에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다당류는 향료의 더 많은 양의 친수성 성분을 추출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알긴산, 펙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커들란, 풀루란, 잔탄검, 카라기난, 젤란검, 로커스트빈검, 아라비아검, 타마린드 및 사일륨의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아라비아검을 사용하는 것이 더 많은 양의 향료를 물쪽으로 추출할 수 있어 좋으며, 매트한 사용감으로, 액체성분이 증발된 후에도 고분자에 의한 사용감이 남지 않아 끈적임이 없어 좋다. 그 함량은 제한되지는 않으나, 향료, 폴리올, 물 및 다당류 100 중량%중에서 1 ~ 10 중량% 포함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a)단계에서 혼합은 예를 들면,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30 ~ 300분 동안 교반하는 것 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b)단계는 물과 혼합된 혼합액을 상분리시켜 하층부를 분리하는 단계로, 상기 a)단계에서 물과 혼합액을 교반한 후 1 ~ 5일간 밀봉하여 정치시킨 후 물과 혼합된 혼합액을 상분리시켜 혼합되지 않은 상등액을 제거한 다음 하층부를 분리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혼합액을 물과 혼합하고, 상분리시켜 하층부를 분리함으로써, 알코올과 가용화제를 사용하지 않고 향료 베이스를 제조할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기존 향료를 추출하기 위해 증류법을 사용하는 것 대비 공정이 간단하며, 경제적인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술한 방법으로 제조되는 향료 베이스를 포함하며, 화장료 조성물은 일예로 향료 베이스 및 물이 포함될 수 있으며, 화장료 조성물을 원하는 제형을 이루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해당분야에서 사용되는 첨가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향료 베이스 50 ~ 90 중량%, 물 10 ~ 50 중량% 및 첨가제 적량 포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향료함유 미스트 및 향수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향료함유 미스트 또는 향수의 제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알코올과 가용화제가 포함되지 않아, 끈적임이 없으며, 피부트러블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발향이 뛰어나며, 향기를 오래 유지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설명을 하는 바,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물성을 하기 방법으로 측정을 하였다.
1) 끈적거림
끈적거림을 검사하기 위해, 성인 남녀 30명에게 사용하게 하여 관능검사를 하였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끈적거림은, 화장료 조성물을 얼굴에 분사하여 측정하였다.
4점 측도법으로 평가하여 평균으로 나타내었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정리하였다.(끈적임이 없다 : 4, 보통이다 : 3, 다소 끈적거린다 : 2, 매우 끈적거린다 : 1)
2) 피부 자극시험
피부 트러블을 검사하기 위해, 하기와 같이 인체 첩포시험(Closed patch test)을 통하여 피부 자극시험을 하였다. 성인 남녀 30명을 선택하였고, 시험부위는 상박(Forearm)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로 시료를 만든 후에 핀챔버(Fin chamber)에 시료를 15 ㎕씩 적하시킨 후, 이를 시험 부위인 상박에 얹고 실험용 테이프로 고정시킨다. 24시간 후에 시료를 제거한 다음 시험부위표시에 대하여 4시간 후 피부 반응을 판정하였으며, 판정결과는 표 1에 정리하였다.
판정기준은 다음과 같이 표기하였다.
- : 반응없음 (자극 정도 : 0)
± : 의심되는 양성반응. 약간의 홍반 반응 있음 (자극 정도 : 0.5)
+ : 약간의 양성반응. 홍반 (자극 정도 : 1.0)
++ : 심한 양성반응. 홍반 이상, 뾰루지 등 (자극 정도 : 2.0)
[수학식 1]
자극도 = {(± 반응자수×0.5) + (+ 반응자수×1) + (++ 반응자수×2)/총 시험자수×최대반응정도(2)}×100
3) 향기유지
향기유지를 측정하기 위해, 성인 남녀 30명에게 사용하게 하여 관능검사를 하였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향기유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팔목에 분사하여 24시간 후 팔목에 남아있는 향기를 측정하였다.
5점 측도법으로 평가하여 평균으로 나타내었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정리하였다.(향기가 많이난다 : 5, 잔향이 난다 : 4, 보통이다 : 3, 다소 난다 : 2, 전혀 나지 않는다 : 1)
4) 소수화 상수
본 발명의 소수화 상수는 HLB/OH기의 수로 계산할 수 있으며, HLB는 하기의 식으로 계산하였으며, 하기 표는 HLB의 계산을 위해 사용된 각각의 원자단의 기여도이다.
HLB = 7 + ∑(친수기의 기여도)-∑(소수기의 기여도)
Figure pat00001
[실시예 1]
향료 베이스의 제조
글리세린(소수화 상수 : 3.15) 40 중량%, 장미오일 25 중량%를 균일하게 혼합시킨 다음, 정제수 35 중량%을 첨가하여 호모믹서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교반 후, 1일간 밀봉하여 정치시킨 다음 물과 혼합되지 않은 상등액을 제거하고 하층부를 얻어 향료 베이스를 제조하였다.
향료함유 미스트의 제조
상기 제조된 향료 베이스 70 중량%, 정제수 30 중량%, 방부제 적량을 혼합하여 향료함유 미스트를 제조하였으며, 미스트의 끈적거림 및 향기유지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으며, 피부 자극시험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향료 베이스의 제조
1.3-부틸렌글라이콜(소수화 상수 : 3.85) 50 중량%, 라벤다오일 20 중량%를 균일하게 혼합시킨 다음, 정제수 30 중량%을 첨가하여 호모믹서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교반 후, 1일간 밀봉하여 정치시킨 다음 물과 혼합되지 않은 상등액을 제거하고 하층부를 얻어 향료 베이스를 제조하였다.
향료함유 미스트의 제조
상기 제조된 향료 베이스 80 중량%, 정제수 20 중량%, 방부제 적량을 혼합하여 향료함유 미스트를 제조하였으며, 미스트의 끈적거림 및 향기유지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으며, 피부 자극시험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향료 베이스의 제조
글리세린(소수화 상수 : 3.15) 45 중량%, 장미오일 25 중량%, 아라비아검 5 중량%를 균일하게 혼합시킨 다음, 정제수 25 중량%을 첨가하여 호모믹서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교반 후, 1일간 밀봉하여 정치시킨 다음 물과 혼합되지 않은 상등액을 제거하고 하층부를 얻어 향료 베이스를 제조하였다.
향료함유 미스트의 제조
상기 제조된 향료 베이스 80 중량%, 정제수 20 중량%, 방부제 적량을 혼합하여 향료함유 미스트를 제조하였으며, 미스트의 끈적거림 및 향기유지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으며, 피부 자극시험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향료 베이스의 제조
프로필렌글라이콜(소수화 상수 : 4.08) 50 중량%, 라벤더오일 20 중량%, 아라비아검 10 중량%를 균일하게 혼합시킨 다음, 정제수 20 중량%을 첨가하여 호모믹서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교반 후, 1일간 밀봉하여 정치시킨 다음 물과 혼합되지 않은 상등액을 제거하고 하층부를 얻어 향료 베이스를 제조하였다.
향료함유 미스트의 제조
상기 제조된 향료 베이스 50 중량%, 정제수 50 중량%, 방부제 적량을 혼합하여 향료함유 미스트를 제조하였으며, 미스트의 끈적거림 및 향기유지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으며, 피부 자극시험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향료 베이스의 제조
글리세린과 1,3-부틸렌글라이콜을 1 : 1 중량비로(소수화 상수 : 3.49) 60 중량%, 장미오일 20 중량%를 균일하게 혼합시킨 다음, 정제수 20 중량%을 첨가하여 호모믹서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교반 후, 1일간 밀봉하여 정치시킨 다음 물과 혼합되지 않은 상등액을 제거하고 하층부를 얻어 향료 베이스를 제조하였다.
향료함유 미스트의 제조
상기 제조된 향료 베이스 60 중량%, 정제수 40 중량%, 방부제 적량을 혼합하여 향료함유 미스트를 제조하였으며, 미스트의 끈적거림 및 향기유지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으며, 피부 자극시험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
향료 베이스의 제조
1,3-부틸렌글라이콜과 프로필렌글라이콜을 1 : 1 중량비로(소수화 상수 : 3.96) 50 중량%, 라벤더오일 20 중량% 및 아라비아검 5 중량%를 균일하게 혼합시킨 다음, 정제수 25 중량%를 첨가하여 호모믹서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교반 후, 1일간 밀봉하여 정치시킨 다음 물과 혼합되지 않은 상등액을 제거하고 하층부를 얻어 향료 베이스를 제조하였다.
향료함유 미스트의 제조
상기 제조된 향료 베이스 70 중량%, 정제수 30 중량%, 방부제 적량을 혼합하여 향료함유 미스트를 제조하였으며, 향료함유 미스트의 끈적거림 및 향기유지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으며, 피부 자극시험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에탄올 80 중량%,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오일 3 중량%, 장미오일 10 중량%, 정제수 7 중량% 및 방부제 적량을 혼합하여 미스트를 제조하였으며, 미스트의 끈적거림 및 향기유지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으며, 피부 자극시험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에탄올 85 중량%, 장미오일 10 중량%, 정제수 5 중량% 및 방부제 적량을 혼합하여 미스트를 제조하였으며, 미스트의 끈적거림 및 향기유지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으며, 피부 자극시험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오일 20 중량%, 장미오일 10 중량%, 정제수 70 중량% 및 방부제 적량을 혼합하여 미스트를 제조하였으며, 미스트의 끈적거림 및 향기유지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으며, 피부 자극시험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pat00002
상기 표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본원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끈적거림이 없으며, 향기가 유지됨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표 2]
Figure pat00003
상기 표 2에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피부자극이 적은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다양한 탄소수 및 히드록실기 수를 가진 폴리올로 실험한 결과 소수화 상수가 1.8 ~ 4.5를 만족하는 경우, 향료 성분을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으며, 4.5 이상에서는 물에 혼합되더라도 혼합액의 외관이 탁하게 되며, 향료를 추출할 경우 상안정성이 떨어져 장기간 보관할 경우 층분리가 일어나거나 침전이 일어나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또한, 1.8 이하에서는 혼합액의 외관은 투명하지만 향료를 거의 추출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4.1 이상에서도 향료의 추출이 효과적으로 일어났지만, 4.1 이하에서는 추출량이 현저히 증가했으며, 혼합액의 외관도 97 %이상 투명도를 나타냈다. 한편 3.1 미만인 경우는 물의 소수화도가 감소함에 따라 추출량이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Claims (10)

  1. a) 향료 20 ~ 40 중량% 및 폴리올 40 ~ 60 중량%를 포함하는 혼합액을 물 10 ~ 35 중량%에 혼합하는 단계, 및
    b) 상기 물과 혼합된 혼합액을 상분리시켜 하층부를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폴리올은 소수화 상수(HLB/OH기의 수)의 값이 1.8 ~ 4.5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 베이스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의 소수화 상수는 3.1 ~ 4.1을 만족하는 것인 향료 베이스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액에 다당류 1 ~ 10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인 향료 베이스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는 천연 또는 합성 방향유인 향료 베이스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는 장미오일, 유칼리오일, 라반딘오일, 라벤더오일, 베티버오일, 리세아 쿠베바오일, 레몬오일, 쟈스민오일, 백단오일, 로즈마리오일, 케모마일오일, 층층이꽃오일, 육두구오일, 시나몬오일, 히솝오일, 캐러웨이오일, 오렌지오일, 데라니올오일, 케이드오일 및 르가모트오일의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오일인 향료 베이스의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에틸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펜타에리스리톨, 마니톨, 덜시톨, 아라비톨, 소르비톨, 자일리톨, 1,2-헥산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및 트리메틸올프로판의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인 향료 베이스의 제조방법.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다당류는 알긴산, 펙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커들란, 풀루란, 잔탄검, 카라기난, 젤란검, 로커스트빈검, 아라비아검, 타마린드 및 사일륨의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향료 베이스의 제조방법.
  8. 제 1항 내지 제7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향료 베이스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 베이스는 화장료 조성물에 50 ~ 90 중량% 포함되는 화장료 조성물.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미스트 및 향수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형성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KR1020140144429A 2014-10-23 2014-10-23 향료베이스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1645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4429A KR101645943B1 (ko) 2014-10-23 2014-10-23 향료베이스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4429A KR101645943B1 (ko) 2014-10-23 2014-10-23 향료베이스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903A true KR20160047903A (ko) 2016-05-03
KR101645943B1 KR101645943B1 (ko) 2016-08-08

Family

ID=56022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4429A KR101645943B1 (ko) 2014-10-23 2014-10-23 향료베이스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594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99540A1 (ko) * 2017-04-27 2018-11-01 (주)아모레퍼시픽 투명 가용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106421A (ko) 2018-03-09 2019-09-18 김주호 L-아스코르빈산을 고함유하는 이층상 멀티 비타민 세럼 화장료 조성물
KR102217697B1 (ko) * 2020-10-30 2021-02-22 바이오닉랩 주식회사 천연 아로마 오일을 포함하는 아로마테라피용 조성물
CN112438909A (zh) * 2020-12-08 2021-03-05 黄精钢 一种对皮肤刺激性小存留时间长的香水及制作工艺
KR20210033326A (ko) * 2019-09-18 2021-03-26 주식회사 큐어슨 천연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미스트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9404B1 (ko) 2017-11-09 2019-03-21 한국콜마주식회사 변색내성이 우수한 조합향료 함유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2440A (ko) * 2009-11-04 2012-10-11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향미 및 향기 화합물을 추출하고 정유를 가용화하는 방법 및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2440A (ko) * 2009-11-04 2012-10-11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향미 및 향기 화합물을 추출하고 정유를 가용화하는 방법 및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99540A1 (ko) * 2017-04-27 2018-11-01 (주)아모레퍼시픽 투명 가용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106421A (ko) 2018-03-09 2019-09-18 김주호 L-아스코르빈산을 고함유하는 이층상 멀티 비타민 세럼 화장료 조성물
KR20210033326A (ko) * 2019-09-18 2021-03-26 주식회사 큐어슨 천연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미스트 조성물
KR102217697B1 (ko) * 2020-10-30 2021-02-22 바이오닉랩 주식회사 천연 아로마 오일을 포함하는 아로마테라피용 조성물
CN112438909A (zh) * 2020-12-08 2021-03-05 黄精钢 一种对皮肤刺激性小存留时间长的香水及制作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5943B1 (ko) 2016-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5943B1 (ko) 향료베이스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CN110072509B (zh) 无铝止汗剂/除臭剂组合物
US9307821B2 (en) Stable solid deodorant produc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20150116655A (ko) 난용성 기능성 성분을 안정화한 화장료 조성물
CN108464958A (zh) 一种高渗透性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EP3406238B1 (en) Water-in-oil type emulsion cosmetic material
JP2000063262A (ja) 抗菌性化粧料組成物
KR101645939B1 (ko) 이층상 화장료 조성물
KR101631695B1 (ko) 발 마사지 크림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5796436A (zh) 一种美白祛狐臭液
KR101830947B1 (ko) 쑥의 천연 정유 및 하이드로졸을 포함하는 아로마 바디샴푸 조성물
KR102592584B1 (ko) 향료 조성물
KR101495056B1 (ko) 천연 레몬그라스의 향취를 재현한 피부 자극이 없는 인공향료조성물
JP5346540B2 (ja) タバコ臭用消臭・防臭剤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配合した頭髪用化粧品組成物
CN105055216A (zh) 一种护肤品用天然复合赋香剂
JP2936086B2 (ja) 香料組成物
CN108743499A (zh) 一种高渗透性保湿面霜及其制备方法
CN107648100A (zh) 一种牡丹花香草本花露水
JPH09175947A (ja) 育毛剤組成物
KR102609801B1 (ko) 소루쟁이와 승마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타민 c에 의한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JPH1179967A (ja) アルコール刺激臭マスキング剤、それを含有する香粧品用アルコール及びアルコール含有化粧料
JP2927590B2 (ja) 香料組成物
KR20170019306A (ko)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9945B1 (ko) 보습 화장료 조성물
KR101777623B1 (ko) 편백 에센셜 오일을 함유하는 입욕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