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5939B1 - 이층상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이층상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5939B1
KR101645939B1 KR1020140144407A KR20140144407A KR101645939B1 KR 101645939 B1 KR101645939 B1 KR 101645939B1 KR 1020140144407 A KR1020140144407 A KR 1020140144407A KR 20140144407 A KR20140144407 A KR 20140144407A KR 101645939 B1 KR101645939 B1 KR 101645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water
cosmetic composition
alcohol
glyc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4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7895A (ko
Inventor
전현표
Original Assignee
(주)대덕랩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덕랩코 filed Critical (주)대덕랩코
Priority to KR1020140144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5939B1/ko
Publication of KR20160047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7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5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59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Abstract

본 발명은 이층상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계면활성제, 알코올 및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지 않으며, 상안정성이 뛰어나고, 피부에 자극이 적으며, 발림성이 무겁지 않음과 동시에 피부의 흡수 및 보습 효과가 우수한 이층상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층상 화장료 조성물{2-layers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이층상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계면활성제, 알코올 및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지 않으며, 상안정성이 뛰어나고, 피부에 자극이 적으며, 발림성이 무겁지 않음과 동시에 피부의 흡수 및 보습 효과가 우수한 이층상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료의 가장 기초적인 목적은 매일 손실되는 피부의 수분과 유분을 보충해주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료는 수분을 제공하는 수상층 및 유분을 제공하는 유상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상층은 물, 보습제, 고분자물질 등의 수용성 성분을 포함하며, 상기 유상층은 오일류, 왁스류 등의 유용성 성분을 포함한다.
화장료 조성물에서 수상층 및 유상층은 유화된 상태로 존재하는데, 유화는 유화제로 둘러싸인 미세한 상을 포함하는 하나의 상을 말하며, 대체로 유화는 서로 섞이지 않는 상을 반영구적으로 분산시켜야 하기 때문에 계면활성제를 필요로 한다. 계면활성제는 친수성 부분과 친유성 부분을 가지는 양친매성 구조를 갖는 분자이다. 계면활성제는 계면에 위치하여 계면장력을 낮추어 주는 원리로 두 상을 섞이게 도와주고 상이 서로 분리되는 것을 막아준다.
일반적인 계면활성제는 안전성 허가를 받고 사용되지만 아직도 많은 계면활성제들이 자극을 유발하거나 알러지를 일으킬 수 있다. 이는 계면활성제가 유상을 둘러싸 마이셀을 형성하는 성질에서 비롯된 것으로, 계면활성제가 피부에 적용되었을 때 피부에 필요한 지질 에 대하여 마이셀을 형성하려고 하기 때문에, 이로 인하여 피부에 꼭 필요한 지질 성분이 손상되어 피부장벽이 약해지고 피부 투과성이 높아지게 된다. 투과성이 높아진 피부는 수분손실이 용이하여 건조한 피부가 되어, 이물질의 침투가 용이해져 자극이나 알러지를 유발하는 민감한 피부반응을 일으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 화장품업계에서는 계면활성제로 인한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화장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예컨대, 레시친과 같은 천연 계면활성제의 사용, 양친매성 성질을 갖는 폴리머의 사용, 입자를 이용한 피커링 유화, 그리고 유화시키지 않고 분리된 채로 사용하는 분리된 화장료 등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 공개특허 제10-2010-0121995호에는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않음과 동시에 극성오일을 상층에 안정하게 띄워 2층상으로 화장수를 형성한 2층상 화장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 있으나, 에탄올 및 수용성고분자를 포함하고 있어 이들에 의한 부작용 및 무거운 사용감, 낮은 발림성의 문제점은 여전히 남아있는 실정이다.
종래 기술들로부터, 마찰계수의 증가로 인한 발림성의 한계, 사용감의 한계, 소비자 불편함 등의 여러 가지 한계점이 지적되고 있으며, 화장품으로 사용했을 경우, 피부 트러블 등의 피부에 나쁜 작용을 할 뿐만 아니라, 끈적임을 유발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계면활성제, 알코올 및 수용성 고분자로 인한 피부 자극성 문제를 해결하고 피부 안전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노력한 결과 계면활성제, 알코올 및 수용성 고분자를 전혀 포함하지 않는 이층상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0-0121995호(2010.11.19)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계면활성제, 알코올 및 수용성 고분자를 전혀 포함하지 않는 이층상 화장료 조성물을 형성하여 상안정성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피부와의 마찰계수를 감소시켜 발림성을 향상시키고, 피부 흡수성 및 보습효과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층상 화장료 조성물은 수상성분부인 물 70 ~ 95 중량% 및 소수화 상수(HLB/OH기의 수)의 값이 1.8 ~ 4.5인 폴리올 1 ~ 20 중량%를 포함하고, 유상성분부 0.1 ~ 10 중량% 포함하며, 상기 조성물은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관계식 1]
0.1 ≤ FCG ≤ 3
(상기 관계식 1에서,
FCG는 인공피혁의 표면에 상기 이층상 화장료 조성물을 5 ㎕ 도포하여, 마찰계수 측정기를 사용하여 100 g의 하중을 주면서 측정된 도포면의 마찰계수)
또한, 본 발명의 폴리올의 소수화 상수는 3.1 ~ 4.1인 계면활성제, 알코올 및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지 않는 이층상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올은 에틸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펜타에리스리톨, 마니톨, 덜시톨, 아라비톨, 소르비톨, 자일리톨, 1,2-헥산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및 트리메틸올프로판의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인 계면활성제, 알코올 및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지 않는 이층상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유상성분부는 아몬드오일, 살구씨오일, 아보카도오일, 보리지오일, 캐놀라오일, 당근씨오일, 에뮤오일, 포도씨오일, 호호바오일, 마카다미아넛오일, 해바라기씨오일, 스윗아몬드오일, 망고씨버터, 달맞이오일, 로즈힙오일, 올리브오일, 코코넛오일 및 파마자오일의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오일인 계면활성제, 알코올 및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지 않는 이층상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층상 화장료 조성물은 pH조절제, 변색방지제, 색소, 향료, 방부제 및 진정 촉진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인 계면활성제, 알코올 및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지 않는 이층상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층상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보습제, 스프레이 및 에센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형성되는 것인 계면활성제, 알코올 및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지 않는 이층상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층상 화장료 조성물은 높은 상안정성을 가지며, 발림성, 피부 흡수성 및 보습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알코올과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아 끈적임이 없으며, 피부트러블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수용성 고분자가 포함되지 않음으로써, 피부와의 마찰계수가 낮아져 퍼짐성, 발림성 및 흡수성이 뛰어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알코올 및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지 않는 이층상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을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실시예 및 비교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알코올 및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지 않는 이층상 화장료 조성물은 수상성분부인 물 70 ~ 95 중량% 및 소수화 상수(HLB/OH기의 수)의 값이 1.8 ~ 4.5인 폴리올 1 ~ 20 중량% 포함하고, 유상성분부 0.1 ~ 10 중량% 포함하며, 상기 조성물은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관계식 1]
0.1 ≤ FCG ≤ 3
(상기 관계식 1에서,
FCG는 인공피혁의 표면에 상기 이층상 화장료 조성물을 5 ㎕ 도포하여, 마찰계수 측정기를 사용하여 100 g의 하중을 주면서 측정된 도포면의 마찰계수)
본 발명의 이층상 화장료 조성물은 계면활성제 및 알코올이 첨가되지 않음으로써, 피부에 자극이 없고, 트러블이 발생하지 않으며, 알코올에 대한 부작용이 발생되지 않은 것과 동시에 끈적임이 없는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소수화 상수(HLB/OH기의 수)의 값이 1.8 ~ 4.5인 폴리올을 제외한 다른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지 않음으로써, 제품 안정성이 뛰어나며, 마찰계수가 감소되어 끈적임 없이 발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피부 흡수성 및 보습효과를 증가시키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이층상 화장료 조성물은 마찰계수가 0.1 ~ 3을 만족함으로써, 피부에 가볍게 발려 발림성이 우수하며, 흡수성이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마찰계수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특히 3을 초과하는 경우, 무겁게 발려 발림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며, 피부에 대한 흡수성이 낮아 피부 겉에서 맴도는 문제가 발생되어 마찰계수가 상기범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올은 소수화 상수의 값이 1.8 ~ 4.5를 만족하는 경우, 계면활성제 및 알코올의 도움 없이 상안정성이 우수한 이층상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소수화 상수는 폴리올의 소수화도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소수화도가 높은 경우, 물과의 혼화성이 떨어지게 되며, 소수화도가 낮은 경우, 물과의 혼화성이 높지만 유상성분부와의 혼화성이 떨어지게 되어 상안정성이 떨어진다. 상기 소수화 상수는 폴리올의 물질에 의존하는 값이지만, 2가지 이상의 폴리올을 병용할 경우, 아래의 관계식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관계식]
소수화 상수 = (각 폴리올의 질량분율)×(각 폴리올의 소수화상수)의 합
본 발명에서 폴리올은 상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소수화 상수의 값이 1.8 ~ 4.5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1 ~ 4.1을 만족하는 것이 좋다. 4.5 이상인 경우, 수상성분부와 혼합되더라도 상안정성이 떨어져 장기간 보관할 경우 침전이 일어나게 되며, 1.8 이하인 경우, 계면활성력의 급격한 저하로 인해 상안정성이 떨어져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소수화 상수를 만족할 수 있는 폴리올은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폴리올은 에틸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펜타에리스리톨, 마니톨, 덜시톨, 아라비톨, 소르비톨, 자일리톨, 1,2-헥산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및 트리메틸올프로판의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중에서 상기 소수화 상수를 가장 만족하는 것은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및 부틸렌글리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경우로 나타났다. 그 함량은 물, 수상성분부 및 유상성분부 100 중량%중에서 1 ~ 20 중량% 포함되는 것이 계면활성제 및 알코올의 도움 없이 상안정성이 우수한 이층상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어 상기범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상성분부는 식물성 오일, 지방산글리세라이드, 지방산에스테르 및 당성분이 포함된 유성성분의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아몬드오일, 살구씨오일, 아보카도오일, 보리지오일, 캐놀라오일, 당근씨오일, 에뮤오일, 포도씨오일, 호호바오일, 마카다미아넛오일, 해바라기씨오일, 스윗아몬드오일, 망고씨버터, 달맞이오일, 로즈힙오일, 올리브오일, 코코넛오일 및 파마자오일의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오일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올리브오일 또는 파마자오일을 사용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인 제품의 상안정성이 우수하며, 발림성이 향상되고, 피부의 보습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그 함량은 물, 수상성분부 및 유상성분부 100 중량%중에서 0.1 ~ 10 중량% 포함되는 것이 계면활성제 및 알코올의 도움 없이 상안정성이 우수한 이층상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어 상기범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층상 화장료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pH조절제, 변색방지제, 색소, 향료, 방부제 및 진정 촉진제 등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층상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보습제, 스프레이 및 에센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층상 화장료 조성물은 계면활성제, 알코올 및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지 않아도 수상성분부인 물 70 ~ 95 중량% 및 소수화 상수(HLB/OH기의 수)의 값이 1.8 ~ 4.5인 폴리올 1 ~ 20 중량% 포함하고, 유상성분부 0.1 ~ 10 중량% 포함하며,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함으로써, 상안정성 및 발림성이 우수하며, 피부 흡수성과 보습효과가 증대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관계식 1]
0.1 ≤ FCG ≤ 3
(상기 관계식 1에서,
FCG는 인공피혁의 표면에 상기 이층상 화장료 조성물을 5 ㎕ 도포하여, 마찰계수 측정기를 사용하여 100 g의 하중을 주면서 측정된 도포면의 마찰계수)
본 발명의 이층상 화장료 조성물은 물 및 소수화 상수의 값이 1.8 ~ 4.5인 폴리올을 포함하는 수상성분부가 하층부에 형성되고, 유상성분부가 상층부로 형성된 이층상으로 이루어진 화장료이며, 사용하기전, 흔들어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 시 가볍게 발려 발림성이 좋으며, 끈적이지 않고, 피부 흡수성 및 보습효과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설명을 하는 바,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물성을 하기 방법으로 측정을 하였다.
1) 끈적거림
끈적거림을 검사하기 위해, 성인 남녀 30명에게 사용하게 하여 관능검사를 하였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끈적거림은, 화장료 조성물을 얼굴에 분사하여 측정하였다.
4점 측도법으로 평가하여 평균으로 나타내었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정리하였다.(끈적임이 없다 : 4, 보통이다 : 3, 다소 끈적거린다 : 2, 매우 끈적거린다 : 1)
2) 피부 자극시험
피부 트러블을 검사하기 위해, 하기와 같이 인체 첩포시험(Closed patch test)을 통하여 피부 자극시험을 하였다. 성인 남녀 30명을 선택하였고, 시험부위는 상박(Forearm)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로 시료를 만든 후에 핀챔버(Fin chamber)에 시료를 15 ㎕씩 적하시킨 후, 이를 시험 부위인 상박에 얹고 실험용 테이프로 고정시킨다. 24시간 후에 시료를 제거한 다음 시험부위표시에 대하여 4시간 후 피부 반응을 판정하였으며, 판정결과는 표 1에 정리하였다.
판정기준은 다음과 같이 표기하였다.
- : 반응없음 (자극 정도 : 0)
± : 의심되는 양성반응. 약간의 홍반 반응 있음 (자극 정도 : 0.5)
+ : 약간의 양성반응. 홍반 (자극 정도 : 1.0)
++ : 심한 양성반응. 홍반 이상, 뾰루지 등 (자극 정도 : 2.0)
[수학식 1]
자극도 = {(± 반응자수×0.5) + (+ 반응자수×1) + (++ 반응자수×2)/총 시험자수×최대반응정도(2)}×100
3) 상안정성
제품의 상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500 ㎖ 투명 실험병에 이층상 화장료 조성물을 300 ㎖ 넣고, 10분간 쉐이킹 하여 45℃에서 1일 주기로 30일간 제품의 안정도 상태를 체크하였다.
4) 마찰계수
본발명의 마찰계수를 측정하기 위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의 이층상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였다.
인공피혁(제품명: 사프라레(이데미쓰테크노파인 주식회사 제품))의 표면에 각 화장료용 조성물을 5 ㎕ 도포하고, 마찰계수 측정기(제품번호: TL201Ts(트리니티랩사 제품))를 사용하여 100g의 하중을 걸면서 도포면의 마찰계수를 측정하였다.
5) 소수화 상수
본 발명의 소수화 상수는 HLB/OH기의 수로 계산할 수 있으며, HLB는 하기의 식으로 계산하였으며, 하기 표는 HLB의 계산을 위해 사용된 각각의 원자단의 기여도이다.
HLB = 7 + ∑(친수기의 기여도)-∑(소수기의 기여도)
Figure 112014101630011-pat00001
[실시예 1]
상온(25℃)에서 정제수 90중량%, 글리세린(소수화 상수 : 3.15) 8 중량%, 올리브유 2 중량%를 혼합하여 보습제를 제조하였으며, 보습제의 끈적거림, 상안정성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냈으며, 피부 자극시험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상온(25℃)에서 정제수 90중량%, 1.3-부틸렌글라이콜(소수화 상수 : 3.85) 8 중량%, 파마자오일 2 중량%를 혼합하여 보습제를 제조하였으며, 보습제의 끈적거림, 상안정성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냈으며, 피부 자극시험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상온(25℃)에서 정제수 90중량%, 프로필렌글라이콜(소수화 상수 : 4.08) 8 중량%, 파마자오일 2 중량%를 혼합하여 보습제를 제조하였으며, 보습제의 끈적거림, 상안정성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냈으며, 피부 자극시험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상온(25℃)에서 정제수 90중량%, 글리세린과 1,3-부틸렌글라이콜을 1 : 1 중량비로(소수화 상수 : 3.49) 8 중량%, 파마자오일 2 중량%를 혼합하여 보습제를 제조하였으며, 보습제의 끈적거림, 상안정성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냈으며, 피부 자극시험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상온(25℃)에서 정제수 90중량%, 1,3-부틸렌글라이콜과 프로필렌글라이콜을 1 : 1 중량비로(소수화 상수 : 3.96) 8 중량%, 올리브오일 2 중량%를 혼합하여 보습제를 제조하였으며, 보습제의 끈적거림, 상안정성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냈으며, 피부 자극시험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상온(25℃)에서 정제수 87중량%, 글리세린(소수화 상수 : 3.15) 8 중량%, 올리브유 2 중량%,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오일 3 중량%를 혼합하여 보습제를 제조하였으며, 보습제의 끈적거림, 상안정성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냈으며, 피부 자극시험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상온(25℃)에서 정제수 87중량%, 에탄올 3 중량%, 글리세린(소수화 상수 : 3.15) 8 중량%, 올리브유 2 중량%를 혼합하여 보습제를 제조하였으며, 보습제의 끈적거림, 상안정성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냈으며, 피부 자극시험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상온(25℃)에서 정제수 86중량%, 에탄올 3 중량%, 산탄검 1 중량% 글리세린(소수화 상수 : 3.15) 8 중량%, 올리브유 2 중량%를 혼합하여 보습제를 제조하였으며, 보습제의 끈적거림, 상안정성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냈으며, 피부 자극시험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4]
상온(25℃)에서 정제수 83중량%, 에탄올 3 중량%, 산탄검 1 중량% 글리세린(소수화 상수 : 3.15) 8 중량%, 올리브유 2 중량%,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오일 3 중량%를 혼합하여 보습제를 제조하였으며, 보습제의 끈적거림, 상안정성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냈으며, 피부 자극시험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5]
상온(25℃)에서 정제수 97.5중량%, 글리세린(소수화 상수 : 3.15) 0.5 중량%, 올리브유 2 중량%를 혼합하였으나, 계속적으로 상분리가 일어나 더 이상 실험을 진행할 수 없었다.
[비교예 6]
상온(25℃)에서 정제수 70중량%, 글리세린(소수화 상수 : 3.15) 25 중량%, 올리브유 5 중량%를 혼합하였으나, 계속적으로 상분리가 일어나 더 이상 실험을 진행할 수 없었다.
[표 1]
Figure 112014101630011-pat00002
[표 2]
Figure 112014101630011-pat00003

Claims (6)

  1. 이층상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수상성분부인 물 70 ~ 95 중량% 및 소수화 상수(HLB/OH기의 수)의 값이 1.8 ~ 4.5인 폴리올 1 ~ 20 중량% 포함하고, 유상성분부 0.1 ~ 10 중량% 포함하며, 상기 조성물은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며, 계면활성제, 알코올 및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지 않는 이층상 화장료 조성물.
    [관계식 1]
    0.1 ≤ FCG ≤ 3
    (상기 관계식 1에서,
    FCG는 인공피혁의 표면에 상기 이층상 화장료 조성물을 5 ㎕ 도포하여, 마찰계수 측정기를 사용하여 100 g의 하중을 주면서 측정된 도포면의 마찰계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의 소수화 상수는 3.1 ~ 4.1이며, 계면활성제, 알코올 및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지 않는 이층상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에틸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펜타에리스리톨, 마니톨, 덜시톨, 아라비톨, 소르비톨, 자일리톨, 1,2-헥산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및 트리메틸올프로판의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인 계면활성제, 알코올 및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지 않는 이층상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상성분부는 아몬드오일, 살구씨오일, 아보카도오일, 보리지오일, 캐놀라오일, 당근씨오일, 에뮤오일, 포도씨오일, 호호바오일, 마카다미아넛오일, 해바라기씨오일, 스윗아몬드오일, 망고씨버터, 달맞이오일, 로즈힙오일, 올리브오일, 코코넛오일 및 파마자오일의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오일인 계면활성제, 알코올 및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지 않는 이층상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층상 화장료 조성물은 pH조절제, 변색방지제, 색소, 향료, 방부제 및 진정 촉진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인 계면활성제, 알코올 및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지 않는 이층상 화장료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층상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보습제, 스프레이 및 에센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형성되는 것인 계면활성제, 알코올 및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지 않는 이층상 화장료 조성물.
KR1020140144407A 2014-10-23 2014-10-23 이층상 화장료 조성물 KR101645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4407A KR101645939B1 (ko) 2014-10-23 2014-10-23 이층상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4407A KR101645939B1 (ko) 2014-10-23 2014-10-23 이층상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895A KR20160047895A (ko) 2016-05-03
KR101645939B1 true KR101645939B1 (ko) 2016-08-08

Family

ID=56022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4407A KR101645939B1 (ko) 2014-10-23 2014-10-23 이층상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59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7566B1 (ko) * 2017-08-28 2019-09-05 (주)대덕랩코 사포닌으로 안정화한 분리형 오일/수상 화장료
KR102047024B1 (ko) 2018-03-09 2019-11-20 김주호 L-아스코르빈산을 고함유하는 이층상 멀티 비타민 세럼 화장료 조성물
CN108703892B (zh) * 2018-07-27 2021-05-11 广州汇朗生物科技有限公司 1,5-戊二醇的新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95659A (ja) 2007-02-14 2008-08-28 Kao Corp 水系二層分離型化粧料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0941B1 (ko) * 2008-10-27 2011-08-30 (주)아모레퍼시픽 3가지 층으로 이루어진 화장료 조성물
KR101123137B1 (ko) 2009-05-11 2012-06-20 (주)더페이스샵 2층상 화장수 제조 방법
KR20110084053A (ko) * 2010-01-15 2011-07-21 한국콜마 주식회사 보습효과를 가지는 이층상 클렌져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42535B1 (ko) * 2012-12-05 2019-01-28 코웨이 주식회사 3층 구조의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95659A (ja) 2007-02-14 2008-08-28 Kao Corp 水系二層分離型化粧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895A (ko) 2016-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6650B1 (ko) 폴리올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저 자극 및 고 보습성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1568782B (zh) 一种具有改善皮肤屏障的纳米乳液组合物及其应用
US20130345317A1 (en) Water-releasing cosmetic composition including a hydrophobic silica and a co-emulsifier
CA2776337A1 (en) Stabilized glycerin-in-oil emulsions
KR20150116655A (ko) 난용성 기능성 성분을 안정화한 화장료 조성물
KR100550967B1 (ko)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CN102361626A (zh) 油包水型乳化组合物
KR102127674B1 (ko) 실리콘-프리 및 피이지-프리의 워터 드롭 고형타입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45939B1 (ko) 이층상 화장료 조성물
KR20130084589A (ko) 유화 화장료
KR101507090B1 (ko) 보습력이 우수한 젤 타입의 에센스 화장료 조성물
KR102334491B1 (ko) 유중수형(w/o) 라멜라 액정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DE212019000314U1 (de) Stabilisierte Emulsionen mit säurehaltigen Mitteln
KR101308960B1 (ko) 유화제를 함유하지 않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CN112912061A (zh) 润泽持久型化妆料组合物
US20130345315A1 (en) Water-releasing cosmetic composition
KR102286078B1 (ko)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81705B1 (ko) 지방알코올 및 셀룰로오스 알킬 에테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2085428B1 (ko) 저자극 수중유 유화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0175789A1 (ko) 세륨옥사이드를 포함하는 광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EP3119379A1 (en) Shellac based skin care lotion
KR102475684B1 (ko) 쌀 추출물을 포함하는 저자극성 피부 보습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90010B1 (ko) 구아검 유래의 고분자를 이용한 저자극성 화장료 조성물
KR102633490B1 (ko) 사용감이 개선된 크림상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5040437B (zh) O/w乳剂形式的化妆品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