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0941B1 - 3가지 층으로 이루어진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3가지 층으로 이루어진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0941B1
KR101060941B1 KR1020080105301A KR20080105301A KR101060941B1 KR 101060941 B1 KR101060941 B1 KR 101060941B1 KR 1020080105301 A KR1020080105301 A KR 1020080105301A KR 20080105301 A KR20080105301 A KR 20080105301A KR 101060941 B1 KR101060941 B1 KR 101060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osmetic composition
layer
freezing
seed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5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6457A (ko
Inventor
박창훈
박정은
송현려
황준영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80105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0941B1/ko
Publication of KR20100046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6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0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09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층상으로 이루어진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적인 상태에서는 서로 혼합되지 않는 3가지 층으로 이루어지며 혼합 시에는 하나의 상으로 만들어지는 제형으로 시각적인 외관의 차별화를 가지면서 피부의 보습력 개선 효과가 뛰어난 기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3층상, 블랙커렌트씨 오일, 대마씨 오일, 실리콘 오일, 부틸렌글리콜, 보습, 화장료

Description

3가지 층으로 이루어진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mposed of 3 phases}
본 발명은 3층상으로 이루어진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적인 상태에서는 서로 혼합되지 않는 3가지 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용시에는 흔들어서 하나의 상으로 만들어 피부에 도포해 사용하는 제형으로 시각적인 외관의 차별화를 가지면서 피부의 보습력 개선 효과가 뛰어난 기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다층으로 이루어진 화장료의 경우 처음에는 2층으로 이루어진 제품이 주류를 이루었다. 일반적으로 2층의 경우 상층은 물보다 가벼운 실리콘 오일층, 하층은 물로 이루어졌다. 이들은 주로 눈과 입술을 지우는 클렌징의 용도로 사용되었다. 최근에는 3층상으로 이루어진 제품이 나오기 시작했다. 상층은 오일층, 중간층은 오일 또는 폴리올로 구성된 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층은 물로 이루어져 있다. 상층의 오일은 최근의 트렌드인 천연 컨셉의 영향으로 인해 식물성 유래의 오일을 사 용하게 된다. 사용 시에는 흔들어서 하나의 상으로 만들어 피부에 도포하는 방법으로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제형의 장점은 정적인 상태에서는 시각적으로 3개의 층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소비자에게 차별화된 제형이라는 점을 부각시킬 수 있으며 일반 유화제품과는 달리 유화제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 피부에 훨씬 더 안전하며 사용감 측면에서 유화제의 나쁜 사용감을 없앨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3개 층의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피부에 대한 보습력이나 제품의 사용감을 조절할 수 있다.
반면에 이러한 제품들은 기온이 낮아지게 될 경우, 특히 영하로 떨어지게 될 경우, 상층의 오일이 결정화되어 제품에 떠돌아 다니게 되어 이물질로 오인되거나, 아예 얼어버려서 사용이 불가능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하층의 물도 얼어서 사용이 불가능해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영하의 조건에서도 상층부에서 결정화 또는 동결이 되지 않는 오일을 조사하고, 이들의 안정성 실험을 통하여 선택한 블랙커렌트씨 오일 또는 대마씨 오일로 상층부를 구성하고, 상기 상층부 및 하층부에 서로 섞이지 않는 오일을 선택하여 중간층을 형성하며, 폴리올의 양을 조절하여 하층부를 형성함으로써 영하의 온도에서 동결되는 종래 3층상 제형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영하의 온도에서도 동결되지 않고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보습력 개선 효과가 우수한 3층상으로 이루어진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식물성 오일로 구성되는 상층부, 실리콘오일로 구성되는 중간층, 및 수용성 층으로 구성되는 하층부로 이루어진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3층상으로 이루어진 화장료 조성물은 영하의 온도에서도 안정성이 우수하면서 우수한 보습력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식물성 오일로 구성되는 상층부, 실리콘오일로 구성되는 중간층, 및 수용성 층으로 구성되는 하층부로 이루어져 3층상으로 구성된 외관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층부를 구성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식물성 오일은 블랙커렌트씨 오일 또는 대마씨 오일이 바람직하며, 이들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90 중량%로 함유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40 중량%의 농도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식물성 오일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하나의 층으로 보이기 어려우며, 9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나머지 2개의 상을 이용하여 전체를 식별이 용이한 3개의 층으로 제형화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상기 상층부에는 경우에 따라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정량의 향료 또는 기타 첨가제들이 당업자에 의해 더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중간층을 구성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실리콘 오일로는 디메치콘유(dimethicone oil)가 바람직하나 이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실리콘 오일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9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리콘 오일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외관상(육안으로) 3층상 제형으로 보이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고, 9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역시 외관상(육안으로) 3층상으로 보이기가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서 하층부를 구성하기 위한 수용성 층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90 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성 층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외관상(육안으로) 3층상 제형으로 보이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고, 9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역시 외관상(육안으로) 3층상 제형으로 보이기가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수용성 층은 수용성 층의 총 중량에 대하여 25∼90 중량%의 폴리올을 함유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올로는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부틸렌글리콜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올의 함량이 2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냉동에서 수용성 층이 동결되는 문제가 있고, 9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사용감이 너무 무거워지고 분리속도가 느려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수용성 층은 상기 폴리올 이외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컨셉 원료, 방부제 또는 킬레이팅제 등을 적정량으로 더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정적인 상태에서는 서로 혼합되지 않는 3가지 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용 시에는 흔들어서 하나의 상으로 만들어 피부에 도포해 사용하는 제형으로 시각적인 외관의 차별화를 보이면서 피부의 보습력 개선 효과가 뛰어난 기능을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예를 들면, 영양오일 또는 영양오일 크림 등과 같이 3층상으로 구현이 가능 한 화장료라면 어떠한 것으로든 제형화될 수 있다.
이하, 시험예 및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의한 3층상으로 이루어진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시험예 및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험예 1]
먼저 상층부에 사용하기 위한 오일을 선정하기 위하여, 50ml 원통형 플라스틱 용기에 각 오일을 일정량씩 담아서 영하 20℃의 항온조에 넣고 72시간 후에 관찰하였다. 대상 오일은 최근의 웰빙, 천연 및 자연주의 트렌드에 따라 식물 기원의 오일을 대상으로 하였다. 선정 오일 리스트 및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사용한 오일은 모두 미국의 네츄럴 소싱 엘엘씨(NATURAL SOURCING, LLC, 미국 코네티컷주 소재)사에서 시판하고 있는 화장품 성분의 스페셜리스트(SPECIALISTS IN COSMECEUTICAL INGREDIENTS)에 있는 것들이다.
영하 20℃ 항온조에서 72시간 후의 결과
  오일 종류 72시간 후의 결과
1 바오밥 오일(Baobab oil) 동결
2 블랙 커렌트씨 오일(Black currant seed oil) 안정
3 보리지 오일(Borage oil) 동결
4 브라질 넛 오일(Brazil nut oil) 동결
5 캐슈 넛 오일(Cashew nut oil) 동결
6 체리 오일(Cherry oil) 동결
7 옥수수유(Corn oil) 동결
8 포도씨유(Grapeseed oil) 안정
9 구아나바나씨유(Guanabana seed oil) 동결
10 대마씨 오일(Hemp seed oil) 안정
11 쿠쿠이 넛 오일(Kukui nut oil) 동결
12 쿠숨 오일(Kusum oil) 동결
13 아마인유(Linseed oil) 안정
14 마가다미아 넛 오일(Macadamia nut oil) 동결
15 메론씨 오일(Melon seed oil) 동결
16 모링가 올레이페라씨 오일(Moringa Oleifera seed oil) 동결
17 겨자씨 오일(Mustard seed oil) 동결
18 올리브유 안정
19 오렌지씨 오일(Orange seed oil) 동결
20 팜유(Palm oil) 동결
21 파파야씨 오일(Papaya seed oil) 동결
22 파슬리씨 오일(Parsley seed oil) 동결
23 낙화생유(Peanut oil) 동결
24 피칸 넛 오일(Pecan nut oil) 동결
25 잣 기름(Pine nut oil) 동결
26 피스타치오 넛 오일(Pistachio nut oil) 동결
27 양귀비씨 오일(Poppy seed oil) 동결
28 평지씨유(Rapeseed oil) 동결
29 현미유(Rice Bran oil) 동결
30 홍화씨 오일(Safflower seed oil) 동결
31 해바라기유(Sunflower oil) 동결
32 스위트 아몬드 오일(Sweet Almond oil) 동결
33 수박씨 오일(Watermelon seed oil) 동결
34 호두 오일(Walnut oil) 동결
상기 표 1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오일의 단독 시험 결과 5가지 오일, 즉 블랙커렌트씨 오일, 포도씨유, 대마씨 오일, 아마인유 및 올리브유가 영하 20℃의 항온조에서 동결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실시예 1∼2 및 비교예 1∼4]
하기 표 2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실시예 1∼2 및 비교예 1∼4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 원료명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상층부 대마씨 오일 30.0 - - - - -
블랙커렌트씨 오일 - 30.0 - - - -
포도씨유 - - 30.0 - - -
올리브유 - - - 30.0 - -
아마인유 - - - - 30.0 -
해바라기유 - - - - - 30.0
하층부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글리세린 4.0 4.0 4.0 4.0 4.0 4.0
부틸렌글리콜 10.0 15.0 0 5.0 3.0 1.0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0.02 0.02 0.02 0.02 0.02
방부제 0.2 0.2 0.2 0.2 0.2 0.2
폴리솔베이트 60 0.5 0.5 0.5 0.5 0.5 0.5
중간층 디메티콘(dimethicone) 30.0 30.0 30.0 30.0 30.0 30.0
상기의 제형들은 외관상 3층상으로 이루어진 제형들이며, 단위는 중량%이다.
<제조 방법>
(1) 상층부를 실온에서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2) 중간층을 실온에서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3) 하층부를 45℃에서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4) 상기 (1)∼(3)을 차례로 용기에 충진하여 보관하였다.
[시험예 2] 안정도 확인
각각 제조한 실시예 1∼2 및 비교예 1∼4를 각각 5℃ 및 영하 20℃ 항온조에 투입하고 7일 후에 꺼내어 결정이 형성되었는지를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안정도 확인시험 결과
항온조 온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5℃(상층부) O O X X O X
5℃(중간층) O O O O O O
5℃(하층부) O O O O O O
영하20℃(상층부) O O X X X X
영하20℃(중간층) O O O O O O
영하20℃(하층부) O O X X X X
O: 안정, X: 불안정
상기 표 3의 결과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층부의 경우, 실시예 1(블랙커렌트씨 오일)과 실시예 2(대마씨 오일)가 5℃ 및 영하 20℃ 모두에서 결정이 생기지 않고 안정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중간층의 경우는 실시예 1∼2 및 비교예 1∼4 모두 안정함을 알 수 있었다. 하층부의 경우도 상층부와 마찬가지로 실시예 1과 실시예 2가 5℃ 및 영하 20℃ 모두에서 결정이 생기지 않고 안정함을 알 수 있었다.
이것으로 실시예 1과 실시예 2만이 국내의 겨울과 같은 기후에서나 추운 지역으로 유통되거나 추운 상태에서 사용할 경우 문제가 생기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얻은 이유를 분석해본 결과 블랙커렌트씨 오일 및 대마씨 오일에는 올레산(oleic acid) 및 리놀레산(linoleic acid)과 같은 이중결합을 가진 풍부한 불포화지방산이 함유되어 있어서 온도가 낮은 경우에도 얼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시험예 3] 사용성 테스트
3층상 제형으로서 제품화가 가능한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4를 실온에서 10회 충분히 흔들어서 하나의 층으로 만들어지는 정도(혼합성)와 24시간 지난 후 분리된 정도(분리성)를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사용성 테스트
물성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혼합성 O O O O O O
분리성 M M M M M M
O: 균일한 혼합, X: 불균일한 혼합
M: 분리정도 양호, N: 분리정도 부족
상기의 표 4의 결과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3층상 제형으로서의 가능성은 실시예 1∼2 및 비교예 1∼4 모두 만족할 만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4] 보습 개선 효과 설문 조사
건강한 여성 피검자 40명을 대상으로 하여 한 그룹에 10명씩 4개의 그룹, 즉 1그룹[실시예 1과 비교예 1], 2그룹[실시예 1과 비교예 2], 3그룹[실시예 2와 비교예 3] 및 4그룹[실시예 2와 비교예 4]으로 나누어 구성한 다음 하루 2회씩 얼굴에 각 제품을 사용하되 반으로 나누어서 한 쪽은 실시예 1∼2를 다른 쪽은 비교예 1∼4를 1주간 사용하도록 한 후, 4점 척도로 평가한 결과를 설문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보습 개선 효과 설문 조사
보습력척도 1그룹 2그룹 3그룹 4그룹
실시예1 비교예1 실시예1 비교예2 실시예2 비교예3 실시예2 비교예4
1 - - - - - - - -
2 - - - - - - - -
3 4 5 3 4 2 4 1 2
4 6 5 7 6 8 6 9 8
1: 보습력 없음, 2: 보습력 약함, 3: 보습력 중간, 4: 보습력 높음
상기 표 5의 결과에서 보여지듯이, 실시예 1∼2 및 비교예 1∼4 모두 중간 이상의 보습 효과가 있는 결과를 얻었다. 상대적으로는 근소한 차이이기는 하지만 비교예 1∼4 보다 실시예 1∼2가 보습효과가 더 높다는 설문 조사 결과를 얻었다. 이것은 전체 제형 중에서 오일의 함량이 60% 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보습력의 효과가 높은 것으로 피검자는 느끼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식물성 오일의 차이에 기인하는 보습력의 영향력이 적다고 할 수 있다. 참고로 일반적인 크림 제형의 오일 함량은 30% 이하이고, 로션 제형의 경우 오일 함량은 20% 이하이다.

Claims (8)

  1. 블랙커렌트씨 및 대마씨 오일로 구성된 상층부, 디메치콘유로 구성된 중간층 및 수용성 층으로 구성된 하층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성 층은 폴리올을 수용성 층의 총 중량에 대하여 25∼90 중량%로 함유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커렌트씨 및 대마씨 오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90 중량%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메치콘유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90 중량%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 1항, 제 3항 제 5항 및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80105301A 2008-10-27 2008-10-27 3가지 층으로 이루어진 화장료 조성물 KR101060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5301A KR101060941B1 (ko) 2008-10-27 2008-10-27 3가지 층으로 이루어진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5301A KR101060941B1 (ko) 2008-10-27 2008-10-27 3가지 층으로 이루어진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6457A KR20100046457A (ko) 2010-05-07
KR101060941B1 true KR101060941B1 (ko) 2011-08-30

Family

ID=42273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5301A KR101060941B1 (ko) 2008-10-27 2008-10-27 3가지 층으로 이루어진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09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5939B1 (ko) * 2014-10-23 2016-08-08 (주)대덕랩코 이층상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0827A (ja) * 1984-01-18 1985-08-08 Lion Corp 三層型液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0827A (ja) * 1984-01-18 1985-08-08 Lion Corp 三層型液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6457A (ko) 201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69773A2 (en) Anhydrous foaming composition containing low concentrations of detergents and high levels of glycerin and emollients such as oils and esters
KR101466650B1 (ko) 폴리올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저 자극 및 고 보습성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63141B1 (ko) 캡슐을 포함하는 이층상 고보습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09980B1 (ko) 보습 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03081A (ko) 고함량의 유용성 성분을 함유하는 스프레이형 화장료 조성물
TW201701866A (zh) 組合物
KR100712255B1 (ko) 워시오프 타입 클렌징 오일 겔
KR20090041886A (ko) 식물성 3중 보습 성분 및 이를 포함하는 스킨 케어 조성물
KR101942535B1 (ko) 3층 구조의 화장료 조성물
JP3425019B2 (ja) 油性泡状クレンジング化粧料
KR101125922B1 (ko) 저점도의 화장료 조성물
KR101060941B1 (ko) 3가지 층으로 이루어진 화장료 조성물
KR100879134B1 (ko) 수용성 성분 함유 오일형 화장료 조성물
KR101532938B1 (ko) 고함량의 버터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KR101002205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입술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76169A (ko) 저융점 왁스상 성분을 포함하는 냉장유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09002B1 (ko) 고함량의 버터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101684676B1 (ko) 입술 화장료 조성물
KR102644591B1 (ko) 오일 화장료 조성물
KR102050577B1 (ko) 계면활성제 없이 오일상을 함유한 안정한 화장료 조성물
KR101453617B1 (ko) 유중 수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94407B1 (ko) 저융점 버터 또는 왁스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12596A (ko) 저융점 왁스를 함유한 냉장 보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81303B1 (ko) 오일타입의 클렌져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64346B1 (ko) 저융점 버터를 포함하는 샤벳-밤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