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4346B1 - 저융점 버터를 포함하는 샤벳-밤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저융점 버터를 포함하는 샤벳-밤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4346B1
KR101864346B1 KR1020160114824A KR20160114824A KR101864346B1 KR 101864346 B1 KR101864346 B1 KR 101864346B1 KR 1020160114824 A KR1020160114824 A KR 1020160114824A KR 20160114824 A KR20160114824 A KR 20160114824A KR 101864346 B1 KR101864346 B1 KR 101864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butter
melting point
weight
low mel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4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7773A (ko
Inventor
박상현
이광식
이건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20160114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4346B1/ko
Publication of KR20180027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7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4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43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융점 버터를 포함하는 샤벳-밤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융점 버터와 점증제를 포함함으로써 냉장 및 고온 조건에서도 안정성이 뛰어나고, 더 나아가 발림성 및 사용감이 우수하고 보습력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저융점 버터를 포함하는 샤벳-밤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OF SHERBET-BALM FORM COMPRISING BUTTER WITH LOW MELTING POINT}
본 발명은 저융점 버터를 포함하는 샤벳-밤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저융점 버터를 포함하여, 저온 저장 시나 고온 조건에서도 우수한 안정성을 갖고, 더 나아가 발림성과 사용감이 우수하고 보습력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료 제품들은 대부분 지방 알코올이나 왁스 등을 이용하여 고경도 크림을 형성한다. 일부 시판 중인 로션, 에센스, 크림 등의 화장료가 고경도 제품으로 나오고 있으나, 발림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크림 제형의 경우 사용감과 보습 효과를 높이기 위해 왁스 원료들을 대부분 사용하고 있으나, 점도나 경도가 급격히 증가하고 발림성이 크게 떨어져 화장료를 사용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5-0050303호에서는 저융점 버터 또는 왁스를 포함하는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특히 상기 특허에서는 융점이 40℃ 이하인 저융점 버터 또는 왁스상 원료를 0.5~20중량% 양으로 사용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특허에서는 고경도의 제형에 대해서는 기술하고 있지 않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2013-0010663호에서는 타마린씨드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특허에서는 외상에 타마린씨드검을 포함하고, 내상에 융점이 40℃인 저융점 고경도 버터 또는 왁스상 원료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고, 발림성 및 안정성이 개선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피부에 직접 도포되는 화장료로서 도포 후에 녹는 개념을 가지고 실온에서 유통 및 사용될 수 있는 화장료에 대한 요구가 있다.
본 발명은 냉장 유통 조건 및 고온 조건에서 안정성이 뛰어나고 발림성 등의 사용감이 우수한 샤벳-밤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는, 보습제, 점증제, 유상성분 및 저융점 버터를 포함하는 샤벳-밤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점증제는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이고, 상기 저융점 버터는 야자씨드버터인 화장료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보습제 10 중량% ~ 50중량%, 점증제 0.1중량% ~ 10.0중량%, 유상성분 5 중량% ~ 30 중량%, 저융점 버터 20 중량% ~ 40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습제는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및 프로판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상성분은 트리에틸헥사노인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폴리옥시에틸렌 모노스테아레이트 및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중 하나 이상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저융점 버터를 포함하는 샤벳-밤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이 적용된 화장료는 냉장 및 고온 유통 조건에서도 화장료 제형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 더 나아가 발림성 및 사용감이 우수하고 뛰어난 보습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하기의 정의를 가지며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에 부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기재되는 모든 간행물의 내용은 본 발명에 도입된다. 용어 약이라는 것은 참조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에 대해 30, 25, 20, 25, 10, 9, 8, 7, 6, 5, 4, 3, 2 또는 1% 정도로 변하는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를 통해, 문맥에서 달리 필요하지 않으면, 포함하다 및 포함하는 이란 말은 제시된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군을 포함하나, 임의의 다른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군이 배제되지는 않음을 내포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샤벳-밤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샤벳-밤 제형"은 실온에서 일정 경도 이상을 갖는 크림으로서 피부에 도포 후 녹는 제형을 가리킨다. 바람직하게는 4℃에서 300 g/cm2 이상의 경도를 갖고, 실온(25℃)에서는 250 g/cm2 이상의 경도를 갖고, 고온(50℃)에서는 200 g/cm2 이상의 경도를 갖는다.
본 발명의 샤벳-밤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제, 점증제, 유상성분, 저융점 버터 및 잔량의 물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보습제는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프로판디올 등일 수 있으며, 이들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보습제는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10 중량% ~ 50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점증제는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카보머,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하이드록시에칠아크렐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코폴리머 및 잔탄검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상기 점증제는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1 중량% ~ 10.0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저융점 버터는 야자씨드버터일 수 있다. 상기 저융점 버터는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20 중량% ~ 40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화장료 조성물은 폴리옥시에틸렌 모노스테아레이트 및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중 하나 이상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중량% ~ 10 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 되는 유상성분을 이루는 오일로, 실리콘 오일, 에스테르계 오일 및 하이드로카본계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상성분은 트리에틸헥사노인일 수 있다. 상기 유상성분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5중량% ~ 30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이드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하기 표1의 성분과 함량비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단위: 중량%) 실시예1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글리세린 10.00 10.00 10.00 10.00
부틸렌글라이콜 10.00 10.00 10.00 10.00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3.00 3.00 3.00 3.00
폴리옥시에틸렌(150) 모노스테아레이트 2.00 2.00 2.00 2.0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00 1.00 1.00 1.00
야자씨드버터 30.00 - - -
망고씨드버터 - 30.00 - -
쉐어버터 - - 30.00 -
코포아수씨드버터 - - - 30.00
트리에틸헥사노인 10.00 10.00 10.00 10.00
실험예1 . 실온 및 냉장 조건 하에서 경도 비교
상기 실시예 1과 비교예 1 내지 3의 화장료 조성물을 실온(25℃), 냉장온도(4℃) 내지 고온(50℃) 조건에 각각 2시간 정치한 후, Sun scientific co.,LTD의 Rheometer 장비를 사용하여 25℃에서 Spinder 15 2cm 조건으로 화장료 조성물의 경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각 온도별 경도(단위:g/cm2)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온도 실시예1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4℃ 320 280 260 270
25℃ 260 190 150 180
50℃ 210 140 90 120
표 2를 보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4℃에서 320 g/cm2 의 경도를 갖고, 실온(25℃)에서는 260 g/cm2 이상의 경도를 갖고, 고온(50℃)에서는 210 g/cm2의 경도를 갖는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저온에서는 다른 종류의 버터를 사용한 화장료 조성물과 대비하여 10% 이상 우수한 경도를 갖고, 실온에서는 30% 이상 우수한 경도를 갖고 고온에서는 50% 이상 우수한 경도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냉장 및 고온 안정성 비교
냉장 및 고온 안정성을 확인을 위해 상기 실시예 1과 비교예 1 내지 3의 화장료 조성물을 냉장(4℃) 및 고온(50℃) 조건에서의 안정성 관찰을 위해 경시변화에 따른 분리현상을 관찰하여 표 3 및 표 4에 나타내었다.
안정
부분 분리
완전 분리 x
보전온도 보전기간 실시예1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4℃ 1주
2주
4주
50℃ 1주
2주
4주 x
상기 표4를 보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은 장기 보관 안정성이 우수하게 나타난 반면에 비교예1 내지 2는 고온에서 부분분리가 일어났고, 특히 비교예 3의 경우 고온에서 4주에 완전 분리가 일어났다.
실험예 3. 보습 효과
상기에서 제조한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2의 화장료 조성물의 보습 효과를 측정하였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주 2회 20분간씩 팔에 적용한 후에 세안 후 Corneometer CM820(Coourage + Khazaka, Germany)와 Tewameter TM 210(Coourage + Khazaka, Germany)를 이용하여 보습효과를 측정하였다. Corneometer를 이용하여 표피 수분량에 따른 전기 전도도의 변화로 0에서 150까지 피부의 수분량을 수치화하고, Tewameter를 이용하여 경피 손실량(TEWL), 즉 표피의 수분 솔실정도를 측정하였다. 시험은 2주간 진행되었으며, 2주에 기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1 비교예1 비교예2
전기전도도 시험전 35 35 35
2주 62 48 53
수분손실량(g/m2/h) 시험전 100 100 100
2주 43 58 63
상기 표 5를 보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의 보습효과가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2의 보습 측정 결과를 보면, 야자씨드버터를 함유하고 있는 실시예 1의 보습효과가 우수하다.
실험예 4: 사용감 평가
25 ~ 45세 미만의 건강한 피부를 가진 피험자 20명을 대상으로 얼굴 양쪽의 부위에 사용하게 하여 다음 평가 기준에 따라 발림성, 흡수력, 보습력, 전체적인 사용감 등의 사용감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평가기준]
나쁨: 1, 약간 나쁨: 2, 보통: 3, 약간 우수 : 4, 매우 우수 : 5
항목 실시예1 비교예1 비교예2
발림성 4.8 4.3 3.9
흡수력 4.7 4.2 4.1
보습력 4.8 4.5 4.3
전체적인 사용감 4.7 4.2 4.0
상기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제 피험자들을 대상으로 한 사용감 평가에서도 야자씨드버터를 저융점버터로 함유한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이, 비교예 1및 2에 비해 우수한 화장료임을 알 수 있다.
실험예 5: 피부 안전성 시험
피부에 나타나는 1차적인 자극의 객관적인 자극을 조사하기 위해 20~50세 미만의 건강한 피부를 가긴 피험자 20명을 대상으로 시험하였다. 첩포지 챔버 내에 제품을 20 μl씩 적하시킨 후 1시간 동안 휘발성 물질을 휘발시킨 후 피험자 등에 첩포를 부착하고 24시간 후 첩포를 제거하고 30분 후 판독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구분 패치테스트
실시예1 무자극 0.00
비교예1 미자극2 0.27
비교예2 미자극2 0.27
피부 1차 자극에 대한 시험결과, 비교예 1 및 2에서는 0.27의 미자극 2가 관찰되었지만, 실시예 1에서는 무자극이 관찰되었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 자극이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샤벳-밤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로서,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보습제 10 중량% ~ 50중량%, 점증제로서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0.1중량% ~ 10.0중량%, 유상성분으로서 트리에틸헥사노인 5 중량% ~ 30 중량% 및 저융점 버터로서 야자씨드버터 20 중량% ~ 40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경도는 4℃에서 300 g/cm2 이상이고, 25℃에서 250 g/cm2 이상이고, 50℃에서 200 g/cm2 이상인,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제는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및 프로판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폴리옥시에틸렌 모노스테아레이트 및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중 하나 이상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삭제
  5. 삭제
KR1020160114824A 2016-09-07 2016-09-07 저융점 버터를 포함하는 샤벳-밤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KR101864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824A KR101864346B1 (ko) 2016-09-07 2016-09-07 저융점 버터를 포함하는 샤벳-밤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824A KR101864346B1 (ko) 2016-09-07 2016-09-07 저융점 버터를 포함하는 샤벳-밤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7773A KR20180027773A (ko) 2018-03-15
KR101864346B1 true KR101864346B1 (ko) 2018-06-05

Family

ID=61659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4824A KR101864346B1 (ko) 2016-09-07 2016-09-07 저융점 버터를 포함하는 샤벳-밤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43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6080A (ko) * 2019-08-29 2021-03-10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밤 형태의 피부 온도 감소용 올인원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6169A (ko) * 2010-12-29 2012-07-0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저융점 왁스상 성분을 포함하는 냉장유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94407B1 (ko) * 2012-09-24 2019-06-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저융점 버터 또는 왁스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6080A (ko) * 2019-08-29 2021-03-10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밤 형태의 피부 온도 감소용 올인원 화장료 조성물
KR102294392B1 (ko) * 2019-08-29 2021-08-27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밤 형태의 피부 온도 감소용 올인원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7773A (ko) 2018-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76321B (zh) 一种富含水分的口红及其制备方法
CN111096912B (zh) 一种双连续相型眼唇卸妆液及其制备方法
WO2021109319A1 (zh) 一种具有高保湿功效的浴用润肤膏及其制备方法
CN109674687B (zh) 一种乳化口红及其制备方法
EP2493447B1 (en) Human sebum mimetics derived from botanical source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KR102127674B1 (ko) 실리콘-프리 및 피이지-프리의 워터 드롭 고형타입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12255B1 (ko) 워시오프 타입 클렌징 오일 겔
KR101532938B1 (ko) 고함량의 버터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KR101864346B1 (ko) 저융점 버터를 포함하는 샤벳-밤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KR101592307B1 (ko) 유용성 활성성분을 안정화한 비수계 오일 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814035B1 (ko) 아데노신 베이스를 함유한 유분산 타입의 입술 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KR20120076169A (ko) 저융점 왁스상 성분을 포함하는 냉장유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09002B1 (ko) 고함량의 버터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WO2020116011A1 (ja) 化粧料用組成物
KR101994406B1 (ko) 저융점 버터 또는 왁스를 포함하는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KR101684676B1 (ko) 입술 화장료 조성물
JP4871090B2 (ja) クレンジング化粧料
KR20190075405A (ko) 비즈왁스와 동식물성 오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94407B1 (ko) 저융점 버터 또는 왁스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77179B1 (ko) 유성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101834196B1 (ko) 겔 형상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20180064075A (ko) 피부보습용 멀티밤 화장료 조성물
KR102199519B1 (ko) 버터류를 포함하는 수분산 화장료 조성물
KR102148454B1 (ko) 저장성이 개선된 마유 조성물
KR20130053958A (ko) 유성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