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7804A - 자동차용 점프시트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점프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7804A
KR20160047804A KR1020140144201A KR20140144201A KR20160047804A KR 20160047804 A KR20160047804 A KR 20160047804A KR 1020140144201 A KR1020140144201 A KR 1020140144201A KR 20140144201 A KR20140144201 A KR 20140144201A KR 20160047804 A KR20160047804 A KR 201600478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link
frame
hinge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4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팽현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40144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7804A/ko
Publication of KR20160047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78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60N2/3004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0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60N2/3011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the back-rest being hinged on the cushion, e.g. "portefeuille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점프시트는 승객이 착좌 하며, 고정시트에 대하여 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시트; 상기 제 1 시트에 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착좌 위치에서 승객의 등을 지지하고, 폴딩 보관 위치에서 상기 제 1 시트에 폴딩되는 제 2 시트; 및 상기 제 1 시트를 고정시트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및 제 2 링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링크유닛은 상기 고정시트와 자동차의 바닥면을 연결하는 한 쌍의 메인 프레임에 자동차의 바닥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관통 결합되며, 상기 자동차의 바닥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일측 단부가 밴딩 되는 제 1 및 제 2 프레임; 및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의 밴딩된 상기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제 1 시트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시트 프레임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힌지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링크유닛은 상기 제 1 시트의 상기 시트 프레임과 일단이 연결되는 제 1 링크; 상기 제 1 링크의 타단과 힌지 결합되는 제 2 링크; 일단은 상기 제 2 링크의 상기 제 1 링크와의 힌지 결합부의 반대편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제 2 링크가 상기 메인 프레임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힌지 회동하는 링크 연결부; 상기 제 1 및 제 2 링크 사이의 각도를 둔각 상태로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점프시트{Jump seat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점프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열 시트에서 고정좌석의 측면에 설치되어 승하차시 간편하게 접고 펼 수 있는 점프시트에 관한 것이다.
다열 시트를 가지는 자동차의 경우, 후방의 스트로의 진출입을 편하게 하기 위하여, 통로 부분에 점프시트를 장착한다. 점프시트는 미사용 시에는 고정 시트의 측면에 고정 결합되고, 사용 시에는 펼쳐서 고정 시트의 측면에 승객이 낮을 수 있도록 한다.
일 예로, 한국 공개특허 제10-2008-0023434호(22008.03.14. 공개)에는 폴딩 모드와 착좌 모드 등으로 접고 펼 수 있는 점프시트와 관련된 기술이 언급된 바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점프시트의 록킹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래치 등의 고정 구조를 해제하기 위해 풋 레버를 밟는 등의 동작을 해야 하므로, 사용이 번거로울 수 있다. 특히, 점핑 시트를 접고 피는 과정에서 일정 수준 이상의 힘을 필요로 하므로, 어린이나 노약자는 점핑 시트를 손쉽게 펼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풋 레버 등과 같은 고정수단이 잘 보이지 않는 시트의 하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해당 점핑 시트를 처음 사용하는 승객은 점핑 시트를 펼치거나 접는 방법을 잘 알 수 없어 사용이 불편할 수 있다.
또한, 래치 시스템 등을 적용할 경우, 부품수가 증가되므로, 이는 생산원가 상승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래치 해제를 위해 당겨주거나 상측 고정점을 기준으로 회동을 도와주는 탄성부재는 록커의 고정점과 상측 고정점에 고정되기 때문에, 스프링 길이가 길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스프링 권선수가 필요 이상으로 증가할 수 있어, 스프링의 권과 권 사이에서 이음이 발생할 수도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08-0023434호(22008.03.14.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며, 별도의 록킹 장치 없이도 안정적으로 점프시트를 접거나 펼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자동차용 점프시트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점프시트는 고정시트의 일측에 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점프시트에 관한 것으로, 승객이 착좌 하며, 고정시트에 대하여 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시트; 상기 제 1 시트에 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착좌 위치에서 승객의 등을 지지하고, 폴딩 보관 위치에서 상기 제 1 시트에 폴딩되는 제 2 시트; 및 상기 제 1 시트를 고정시트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및 제 2 링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링크유닛은 상기 고정시트와 자동차의 바닥면을 연결하는 한 쌍의 메인 프레임에 자동차의 바닥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관통 결합되며, 상기 자동차의 바닥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일측 단부가 밴딩 되는 제 1 및 제 2 프레임; 및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의 밴딩된 상기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제 1 시트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시트 프레임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힌지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링크유닛은 상기 제 1 시트의 상기 시트 프레임과 일단이 연결되는 제 1 링크; 상기 제 1 링크의 타단과 힌지 결합되는 제 2 링크; 일단은 상기 제 2 링크의 상기 제 1 링크와의 힌지 결합부의 반대편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제 2 링크가 상기 메인 프레임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힌지 회동하는 링크 연결부; 상기 제 1 및 제 2 링크의 힌지 연결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링크 사이의 각도를 둔각 상태로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힌지 연결부는 상기 제 1 프레임의 단부에 고정되는 제 1 힌지 프레임; 상기 제 1 힌지 프레임에 관통 결합되는 제 1 힌지핀; 및 상기 제 1 힌지핀에 의해 상기 제 1 힌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시트 프레임과 연결되는 제 2 힌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힌지 프레임은 상기 시트 프레임과 대응되는 면에 돌출 형성된 제 1 걸림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힌지 연결부는 상기 제 2 프레임의 단부에 고정되는 제 3 힌지 프레임; 상기 제 3 힌지 프레임에 관통 결합되는 제 2 힌지핀; 및 상기 제 2 힌지핀에 의해 상기 제 3 힌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시트 프레임과 연결되는 제 4 힌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4 힌지 프레임은 상기 시트 프레임과 대응되는 면에 돌출 형성된 제 2 걸림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링크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 단부가 지지되는 제 1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지지부는 한 쌍의 링크부재를 연결하는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링크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 단부가 지지되는 제 2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지지부는 한 쌍의 링크부재를 연결하는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는 토션 스프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점프시트의 착좌위치와 폴딩위치에서 제 1 및 제 2 링크 사이의 각도는 둔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점프시트와 고정시트 사이의 각도(β)가 45도일 때 제 1 및 제 2 링크 사이의 각도가 가장 작은 예각을 형성하고, 상기 점프시트와 고정시트 사이의 각도(α)가 45도 이상일 경우와 45도 이하일 경우 제 1 및 제 2 링크 사이의 각도가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링크에 결합되는 제 1 스토퍼; 및 상기 제 2 링크에 결합되며, 제 1 시트가 고정시트에 대하여 접히는 폴딩위치와 제 1 시트가 승객이 앉을 수 있도록 완전히 전개되는 착좌위치에서 상기 제 1 스토퍼와 접촉되는 제 2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스토퍼의 서로 접촉하는 접촉면에는 탄성 재질의 완충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는 고무, 우레탄, 실리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는 제 1 및 제 2 스토퍼 중 어느 한 곳에 설치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래칭유닛 또는 록킹유닛 없이 탄성부재에 의해 착좌위치와 폴딩위치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링크구조를 통해 점프시트의 폴딩 및 전개가 가능하므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점프시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 1 및 제 2 링크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제 2 링크유닛의 사시도, 그리고,
도 4 내지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점프시트를 착좌위치에서 폴딩위치로 접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점프시트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한편, 제 1 또는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이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시키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점프시트(20)는 제 1 시트(21), 제 2 시트(22), 제 1 및 제 2 링크유닛(100a)(2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고정시트(10)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점프시트(20)는 별도의 록킹유닛의 구성 없이 폴딩 위치와 착좌위치 사이로 접거나 펼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제 1 시트(21)는 승객의 착좌시트로서, 고정시트(10)의 측면에 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시트(22)는 제 1 시트(21)의 후면에 힌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착좌 위치에서 펼쳐져 승객의 등받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고정시트(10)의 하부에는 메인 프레임(11)이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1)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이 자동차의 바닥면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로, 상부면에 고정시트(10)가 안착되어, 고정시트(1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프레임(11)은 동일한 형상의 프레임부재가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 프레임(11)에는 제 1 및 제 2 프레임(110)(120)이 관통 결합될 수 있으며, 그 상측으로는 제 3 프레임(130)이 한 쌍의 메인 프레임(11)의 각 상단부 측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110)(120)은 자동차의 바닥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메인 프레임(11)에 관통 결합되되, 그 단부는 90도 절곡되어 상측으로 연장되어, 그 단부에 제 1 시트(21)의 바닥면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 링크유닛(100a)은 제 1 프레임(110), 제 2 프레임(120), 제 1 힌지 연결부(H1) 및 제 2 힌지 연결부(H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프레임(110)은 원통형의 파이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강성 유지를 위해 스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프레임(110)은 일단은 상기 메인 프레임(11)에 관통 결합될 수 있으며, 자동차의 바닥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프레임(1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점프시트(20)의 하측에서 자동차의 바닥면에 대하여 90도 밴딩되어 점프시트(20)의 제 1 시트(21) 측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 프레임(120)은 원통형의 파이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강성 유지를 위해 스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프레임(120)은 일단은 상기 메인 프레임(11)에 관통 결합될 수 있으며, 자동차의 바닥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프레임(12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점프시트(20)의 하측에서 자동차의 바닥면에 대하여 90도 밴딩되어 점프시트(20)의 제 1 시트(21) 측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 1 및 제 2 프레임(110)(120)은 동일한 재질 및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시트(21)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 1 점프시트 프레임(2a)과 제 2 점프시트 프레임(2b)에 제 1 및 제 2 힌지 연결부(H1)(H2)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프레임(110)(120)은 제 1 시트(21)의 하측에서 보강 프레임(140)으로 연결될 수 있는데, 보강 프레임(140)은 제 1 및 제 2 프레임(110)(12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1 힌지 연결부(H1)는 제 1 프레임(110)에 대하여 제 1 시트(21)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제 2 시트 프레임(2b)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힌지 연결부(H1)는 제 1 힌지 프레임(111), 제 1 힌지핀(112) 및 제 2 힌지 프레임(1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힌지 프레임(111)은 제 1 프레임(110)의 밴딩된 단부에 결합되며, 용접 또는 프레스 가공 등으로 제 1 프레임(11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제 1 힌지 프레임(111)에는 단부에 통공이 형성되어, 이 곳에 제 1 힌지핀(112)이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제 2 힌지 프레임(113)은 상기 제 1 힌지핀(112)에 의해 제 1 힌지 프레임(1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힌지 프레임(113)은 상기 제 2 시트 프레임(2b)과 대응되는 면에 돌출 형성된 제 1 걸림부재(113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걸림부재(113a)는 일정 길이로 돌출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 2 시트 프레임(2b)의 상부면에 면 접촉하여, 스토퍼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 1 걸림부재(113a)에 의해 용접 등으로 제 2 시트 프레임(2b)과 제 2 힌지 프레임(113)의 위치를 고정하여, 승객이 제 1 시트(21)를 회전시키는 동작에 연동하여, 제 1 힌지핀(112)을 중심으로, 제 1 힌지 프레임(111)에 대하여 제 2 힌지 프레임(113)이 회전할 수 있다.
제 2 힌지 연결부(H2)는 제 2 프레임(120)에 대하여 제 1 시트(21)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제 2 시트 프레임(2b)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힌지 연결부(H2)는 제 3 힌지 프레임(121), 제 2 힌지핀(122) 및 제 4 힌지 프레임(1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3 힌지 프레임(121)은 제 2 프레임(120)의 밴딩된 단부에 결합되며, 용접 또는 프레스 가공 등으로 제 2 프레임(12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제 3 힌지 프레임(121)에는 단부에 통공이 형성되어, 이 곳에 제 2 힌지핀(122)이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제 4 힌지 프레임(123)은 상기 제 2 힌지핀(122)에 의해 제 3 힌지 프레임(12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4 힌지 프레임(123)은 상기 제 2 시트 프레임(2b)과 대응되는 면에 돌출 형성된 제 2 걸림부재(123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걸림부재(123a)는 일정 길이로 돌출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 2 시트 프레임(2b)의 상부면에 면 접촉하여, 스토퍼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 2 걸림부재(123a)에 의해 용접 등으로 제 2 시트 프레임(2b)과 제 4 힌지 프레임(123)의 위치를 고정하여, 승객이 제 1 시트(21)를 회전시키는 동작에 연동하여, 제 2 힌지핀(122)을 중심으로, 제 3 힌지 프레임(121)에 대하여 제 4 힌지 프레임(123)이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제 1 및 제 2 힌지 연결부(H1)(H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제 2 시트 프레임(2b) 상에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된 상태로 배치/고정될 수 있으며, 이들의 구조는 대칭이 되도록 하여 승객이 제 1 시트(21)를 회전시키는 동작 시, 동시에 회전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2 링크유닛(200)은 제 1 링크(210), 제 2 링크(220), 링크 연결핀(215), 탄성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링크(210)는 상기 제 1 시트(210)의 제 1 시트 프레임(2a)과 일단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링크(210)는 상기 탄성부재(230)의 일측 단부가 지지되는 제 1 지지부(211)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지지부(211)는 한 쌍의 링크부재를 연결하는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링크(210)의 단부 측에는 제 3 힌지핀(212)이 삽입 결합되고, 상기 제 3 힌지핀(21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5 힌지 프레임(2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5 힌지 프레임(213)은 제 1 시트 프레임(2a)과 용접 등으로 고정되어, 상기 제 1 시트(21)의 회전 동작에 연동하여 제 1 링크(210)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 2 링크(220)는 상기 제 1 링크(210)와 링크 연결핀(215)으로 회전 가능하게 일 단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링크(220)의 타단은 링크 연결부(223)에 의해 메인 프레임(11)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 2 링크(220)는 상기 탄성부재(230)의 타측 단부가 지지되는 제 2 지지부(221)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지지부(221)는 한 쌍의 링크부재를 연결하는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링크 연결부(223)는 제 2 링크(220)가 상기 메인 프레임(11)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힌지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11)에는 용접 또는 피스 등으로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제 2 링크(220)와는 핀 부재(222)로 힌지 결합될 수 있다.
탄성부재(230)는 토션 스프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 1 단부(231)는 상기 제 1 링크(210)의 제 1 지지부(211)에 의해 지지되고, 제 2 단부(232)는 상기 제 2 링크(220)의 제 2 지지부(22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부재(230)는 상기 제 1 및 제 2 링크(210)(220) 사이의 각도를 둔각 상태가 되는 방향으로 탄력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외력이 부가되지 않을 경우, 상기 탄성부재(230)는 항상 제 1 및 제 2 링크(210)(220)가 둔각이 되는 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제 1 및 제 2 링크(210)(220) 사이의 각도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점프시트(20)의 착좌위치와 폴딩위치에서 모두 둔각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프시트(20)와 고정시트(10) 사이의 각도(β)가 45도일 때 제 1 및 제 2 링크(210)(220) 사이의 각도가 가장 작은 예각을 형성하고, 상기 점프시트(20)와 고정시트(10) 사이의 각도(α)가 45도 이상일 경우와 45도 이하일 경우 제 1 및 제 2 링크(210)(220) 사이의 각도가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링크(210)에 결합되는 제 1 스토퍼(241)와, 제 2 링크(220)에 결합되며, 제 1 시트(21)가 고정시트(10)에 대하여 접히는 폴딩위치와 제 1 시트(21)가 승객이 앉을 수 있도록 완전히 전개되는 착좌위치에서 상기 제 1 스토퍼(241)와 접촉되는 제 2 스토퍼(2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스토퍼(241)(242)의 서로 접촉하는 접촉면에는 탄성 재질의 완충부재(243)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완충부재(243)는 고무, 우레탄, 실리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이라면 어떠한 것이든 설치 가능하다. 또한, 완충부재(243)는 제 1 및 제 2 스토퍼(241)(242) 중 어느 한 곳에 설치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스토퍼(241) 측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 2 스토퍼(242)의 상기 제 1 스토퍼(241)와 맞물리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점프시트(20)의 폴딩 방법을 도 4 내지 도 7과 함께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객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점프시트(20)를 폴딩할 경우, 먼저 제 1 시트(21) 측으로 등받이인 제 2 시트(22)를 폴딩한다. 그리고, 제 1 시트(21)의 끝단에 마련된 회동 포인트(H)를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 1 시트(21)는 폴딩된 제 2 시트(22)와 함께 도 5와 같이 회전할 수 있다.
그러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된 제 1 및 제 2 프레임(110)(120)의 단부를 회전 중심으로 제 1 시트(21)가 회전하면서, 상기 제 1 시트(21)의 하측에 마련되는 제 1 시트 프레임(2a)은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바닥면을 향해 하강하게 된다. 그러면 제 1 링크(210)는 함께 하강하면서 링크 연결핀(215)을 중심으로 제 2 링크(220)에 대해 회전하면서 제 1 및 제 2 링크(210)(220)의 각도는 점차 줄어들어, 제 1 시트(21)의 회전 각도가 자동차의 바닥면에 대하여 45도가 되었을 때, 최소 예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230)는 제 1 및 제 2 링크(210)(220)를 다시 둔각 방향으로 밀어주는 방향으로 탄력지지하여, 제 1 시트(21)의 회전 각도가 45도를 넘어 90도를 향해 계속 회전할 경우, 이 탄성 복원력에 의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링크(210)(220)는 다시 둔각 방향으로 벌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둔각 방향으로 벌어지는 과정은 탄성부재(23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도움을 받기 때문에 승객은 보다 적은 힘으로 점프시트의 폴딩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시트(21)를 자동차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한 위치까지 회전 시키면, 제 1 시트 프레임(2a)은 가장 낮은 위치까지 하강하게 되고, 제 1 및 제 2 링크(210)(220)는 최대한 벌어져 둔각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착좌위치와 도 7에 도시된 폴딩위치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링크(210)(220)에 각각 설치된 제 1 및 제 2 스토퍼(241)(242)는 완충부재(243)의 개재 하에, 각각의 단부가 서로 접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제 1 및 제 2 링크(210)(220)는 일정 각도 이상 벌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과도하게 각도가 벌어져 링크부분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완충부재(243)를 탄성 변형 가능한 고무 또는 이와 유사한 재질로 구성할 경우, 착좌위치와 폴딩 위치로 의자의 상태가 변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소음과 진동을 최소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래칭유닛 또는 록킹유닛 없이 토션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230)에 의해 점프시트(20)의 착좌위치와 폴딩위치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단순한 탄력 지지되는 링크구조를 통해 점프시트(20)의 폴딩 및 전개가 가능하므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고정시트 11; 메일 프레임
20; 점프시트 21; 제 1 시트
22; 제 2 시트 100a; 제 1 링크유닛
110; 제 1 프레임 111; 제 1 힌지 프레임
112; 제 1 힌지핀 113; 제 2 힌지 프레임
113a; 제 1 걸림부재 120; 제 2 프레임
121; 제 3 힌지 프레임 122; 제 2 힌지핀
123; 제 4 힌지 프레임 123a; 제 2 걸림부재
130; 제 3 프레임 200; 제 2 링크유닛
210; 제 1 링크 211; 제 1 지지부
215; 링크핀 220; 제 2 링크
221; 제 2 지지부 222; 링크 연결핀
223; 링크 연결부 230; 탄성부재

Claims (14)

  1. 고정시트의 일측에 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점프시트에 있어서,
    승객이 착좌 하며, 고정시트에 대하여 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시트;
    상기 제 1 시트에 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착좌 위치에서 승객의 등을 지지하고, 폴딩 보관 위치에서 상기 제 1 시트에 폴딩되는 제 2 시트; 및
    상기 제 1 시트를 고정시트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및 제 2 링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링크유닛은,
    상기 고정시트와 자동차의 바닥면을 연결하는 한 쌍의 메인 프레임에 자동차의 바닥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관통 결합되며, 상기 자동차의 바닥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일측 단부가 밴딩 되는 제 1 및 제 2 프레임; 및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의 밴딩된 상기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제 1 시트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시트 프레임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힌지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링크유닛은,
    상기 제 1 시트의 상기 시트 프레임과 일단이 연결되는 제 1 링크;
    상기 제 1 링크의 타단과 힌지 결합되는 제 2 링크;
    일단은 상기 제 2 링크의 상기 제 1 링크와의 힌지 결합부의 반대편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제 2 링크가 상기 메인 프레임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힌지 회동하는 링크 연결부;
    상기 제 1 및 제 2 링크의 힌지 연결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링크 사이의 각도를 둔각 상태로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점프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힌지 연결부는,
    상기 제 1 프레임의 단부에 고정되는 제 1 힌지 프레임;
    상기 제 1 힌지 프레임에 관통 결합되는 제 1 힌지핀; 및
    상기 제 1 힌지핀에 의해 상기 제 1 힌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시트 프레임과 연결되는 제 2 힌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점프시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힌지 프레임은,
    상기 시트 프레임과 대응되는 면에 돌출 형성된 제 1 걸림부재;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용 점프시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힌지 연결부는,
    상기 제 2 프레임의 단부에 고정되는 제 3 힌지 프레임;
    상기 제 3 힌지 프레임에 관통 결합되는 제 2 힌지핀; 및
    상기 제 2 힌지핀에 의해 상기 제 3 힌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시트 프레임과 연결되는 제 4 힌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점프시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힌지 프레임은,
    상기 시트 프레임과 대응되는 면에 돌출 형성된 제 2 걸림부재;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용 점프시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링크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 단부가 지지되는 제 1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지지부는,
    한 쌍의 링크부재를 연결하는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자동차용 점프시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링크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 단부가 지지되는 제 2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지지부는,
    한 쌍의 링크부재를 연결하는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자동차용 점프시트.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토션 스프링인 자동차용 점프시트.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프시트의 착좌위치와 폴딩위치에서 제 1 및 제 2 링크 사이의 각도가 둔각인 자동차용 점프시트.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프시트와 고정시트 사이의 각도가 45도일 때 제 1 및 제 2 링크 사이의 각도가 가장 작은 예각을 형성하고,
    상기 점프시트와 고정시트 사이의 각도가 45도 이상일 경우와 45도 이하일 경우 제 1 및 제 2 링크 사이의 각도가 증가하는 자동차용 점프시트.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링크에 결합되는 제 1 스토퍼; 및
    상기 제 2 링크에 결합되며, 제 1 시트가 고정시트에 대하여 접히는 폴딩위치와 제 1 시트가 승객이 앉을 수 있도록 완전히 전개되는 착좌위치에서 상기 제 1 스토퍼와 접촉되는 제 2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용 점프시트.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스토퍼의 서로 접촉하는 접촉면에는 탄성 재질의 완충부재;가 설치되는 자동차용 점프시트.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고무, 우레탄, 실리콘 중 어느 하나인 자동차용 점프시트.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제 1 및 제 2 스토퍼 중 어느 한 곳에 설치되는 자동차용 점프시트.

KR1020140144201A 2014-10-23 2014-10-23 자동차용 점프시트 KR201600478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4201A KR20160047804A (ko) 2014-10-23 2014-10-23 자동차용 점프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4201A KR20160047804A (ko) 2014-10-23 2014-10-23 자동차용 점프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804A true KR20160047804A (ko) 2016-05-03

Family

ID=56022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4201A KR20160047804A (ko) 2014-10-23 2014-10-23 자동차용 점프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4780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57036A (zh) * 2018-05-31 2018-10-16 武汉理工大学 一种自动复位的汽车折叠座椅机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57036A (zh) * 2018-05-31 2018-10-16 武汉理工大学 一种自动复位的汽车折叠座椅机构
CN108657036B (zh) * 2018-05-31 2020-02-18 武汉理工大学 一种自动复位的汽车折叠座椅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57166B2 (en) Vehicle seat
JP6719560B2 (ja) ヘッドレストスライディング装置
CN108349419B (zh) 头枕折叠装置
US10493886B2 (en) Seat provided with armrest
JP4654990B2 (ja) 車両用シート
KR100521198B1 (ko) 차량의 싱킹시트
KR101330996B1 (ko) 리어시트백 어셈블리의 조립장치
KR20160047804A (ko) 자동차용 점프시트
KR101937411B1 (ko) 헤드 레스트 폴딩 장치
CN203244147U (zh) 搁脚部装置
JP5486373B2 (ja) 乗物用シート
JP2017197075A (ja) 車両用シート
US10040384B2 (en) Twist-lock articulating assist mechanism
JP2013139199A (ja) 車両用シート
JP6167980B2 (ja) 乗物用シートのテーブル
KR20160000012A (ko) 접이식 의자
JP6432446B2 (ja) 乗物用シート
KR102452477B1 (ko) 시트의 풋레스트 장치
KR100591377B1 (ko) 시트장치
KR102067485B1 (ko) 자동차 시트의 다이브 피벗 장치
JP7310086B2 (ja) シートフレーム組立体及び車両用シート装置
KR102003226B1 (ko) 차량의 시트 스프링 장착구조
JP3173395U (ja) 補助シートクッション
KR200474330Y1 (ko) 접이식 의자
KR200482825Y1 (ko) 절첩다리용 회전 브래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