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6985A - 차량 도난 경고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도난 경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6985A
KR20160046985A KR1020140141933A KR20140141933A KR20160046985A KR 20160046985 A KR20160046985 A KR 20160046985A KR 1020140141933 A KR1020140141933 A KR 1020140141933A KR 20140141933 A KR20140141933 A KR 20140141933A KR 20160046985 A KR20160046985 A KR 201600469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urrent position
user terminal
turned
wa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1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종운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1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6985A/ko
Priority to CN201510650712.2A priority patent/CN105523008A/zh
Publication of KR20160046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69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025/1013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arning signal, e.g. visual, audible
    • B60R2025/1016Remote signals alerting owner or authorities, e.g. radio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시동이 오프되면 차량의 현재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후 설정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차량의 현재 위치를 감지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가 설정 영역 이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차량의 현재 위치가 설정 영역을 벗어나면 사용자 단말로 차량 도난을 경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도난 경고 방법{ANTITHEFT METHOD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도난 경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위치 변화를 토대로 차량 도난을 경고하는 차량 도난 경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그 물질적 가치가 크고, 운반성이 용이하다는 점에서 잦은 도난 사고의 대상이 되고 있는 바, 최근의 중·대형 차량에는 도난 방지를 위한 장치가 거의 필수적으로 채택되고 있으며, 다양한 방법으로 차량의 도난 위험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여러가지 노력이 기울여지고 있다.
일 예로, 종래에는 사용자가 차량 하차 후 리모컨으로 차량 도어를 락(Lock)시킬 경우, 침입감지 모드로 전환되며, 차량 도어가 리모컨에 의해 정상적으로 언락(Unlock)되지 않고 비정상적으로 오픈될 경우, BCM(Body Control Module)이 이를 차량 침입상태로 판단하여 스타트 모터 구동을 위한 스타트 릴레이의 동작을 정지시킴으로써 차량의 시동이 걸리지 않도록 하였다.
즉, 종래에는 차량의 도어가 강제적으로 오프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차량의 시동이 온되지 않도록 하는데, 이러한 차량 도난 방지 방법은 견인차 등을 이용하여 차량을 강제로 견인할 경우에는 대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11496호(2005.01.29)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상태에서 차량의 위치가 설정 영역을 벗어나면 차량 도난을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차량 도난 경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의 위치를 기반으로 차량 도난을 경고하여 정당한 사용자가 차량 도난시 즉각적으로 대처하고 차량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도난 경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 도난 경고 방법은 차량의 시동이 오프되면 차량의 현재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후 설정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차량의 현재 위치를 감지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가 설정 영역 이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차량의 현재 위치가 상기 설정 영역을 벗어나면 사용자 단말로 차량 도난을 경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설정 영역은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시점에서 감지된 차량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차량 도난을 경고하는 단계는 센터 서버로 차량 도난에 대한 경고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센터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검출한 후, 검출한 상기 전화번호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경고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 도난 경고 방법은 차량의 시동이 오프되면 차량의 현재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차량이 시동의 오프된 후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고, 충격이 감지되면 충격량이 기 설정된 설정값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충격량이 상기 설정값 이상이면, 충격이 감지된 시점부터 설정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차량의 현재 위치를 감지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가 설정 영역 이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차량의 현재 위치가 상기 설정 영역을 벗어나면 사용자 단말로 차량 도난을 경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설정 영역은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시점에서 감지된 차량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차량 도난을 경고하는 단계는 센터 서버로 차량 도난에 대한 경고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센터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검출한 후, 상기 전화번호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경고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상태에서 차량의 위치가 설정 영역을 벗어나면 차량 도난을 사용자에게 경고하여 정당한 사용자가 차량 도난시 즉각적으로 대처하고 차량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난 경고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 설정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난 경고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난 경고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난 경고 방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이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난 경고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의 블럭 구성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 설정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난 경고 장치는 차량 단말(10), 센터 서버(30) 및 사용자 단말(20)을 포함한다.
차량 단말(10)은 차량에 설치되어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후 차량의 현재 위치가 기 설정된 설정 영역을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센터 서버(30)로 차량 도난을 경고하는 경고 메시지를 센터 서버(30)로 전달한다.
센터 서버(30)는 차량 단말(10)과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차량 단말(10)로부터 경고 메시지를 전달받으며, 센터 서버(30)에는 차량 단말(10)에 각각 매칭되는 사용자 단말(20)의 전화번호를 저장한다. 이에 센터 서버(30)는 차량 단말(10)로부터 경고 메시지를 전달받으면 해당 차량 단말(10)과 매칭되는 사용자 단말(20)의 전화번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사용자 단말(20)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에, 사용자 단말(20)은 센터 서버(30)로부터 전달받은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고,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을 통해 출력되는 경고 메시지를 통해 차량이 현재 도난 상태임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차량 단말(10)은 차량의 AVN(Audio Video Navigation)에 탑재될 수 있다.
도 2 를 참조하면, 차량 단말(10)은 위치 감지부(11),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 통신부(13), 충격 센서(14) 및 제어부(15)를 포함한다.
위치 감지부(11)는 차량의 위치를 감지한다. 위치 감지부(11)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시스템이 채용될 수 있다. GPS 시스템은 3개 이상의 GPS 위성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수신한 후, 수신한 신호를 토대로 현재 위치를 검출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는 차량 단말(10)과 사용자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는 사용자의 각종 제어 명령을 입력받은 입력부(미도시)와 차량 도난을 위한 각종 메뉴나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출력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 명령으로는 설정영역을 설정하는 메뉴 설정 명령과 경고 메시지 출력 명령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3 에는 사용자가 메뉴 설정 중 도난 방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 화면(Geo-fence)이 도시되었다. 사용자는 도 3 에 도시된 메뉴 화면에서 해당 메뉴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설정 영역 등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설정 영역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로는 터치스크린모듈이 채용될 수 있다.
충격 센서(14)는 차량에 설치되어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한다. 이러한 충격 센서(14)는 차량 견인시 발생될 수 있는 충격을 감지한다.
통신부(13)는 통신망을 통해 센터 서버(30)와 연결되며, 제어부(15)의 제어신호에 따라 경고메시지를 센터 서버(30)로 전달한다.
제어부(15)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되면 위치 감지부(11)를 제어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를 감지하고, 이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차량의 현재 위치가 설정 영역 이내인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차량의 현재 위치가 설정 영역을 벗어나면, 제어부(15)는 통신부(13)를 제어하여 사용자 단말(20)로 경고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 경우, 제어부(15)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되어 현재 위치를 감지한 후에는, 위치 감지부(11)를 통해 주기적으로 차량의 현재 위치를 감지하고 감지된 현재 위치가 설정 영역을 벗어나면 상기한 바와 같이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또는 충격 센서(14)를 통해 충격을 감지하여 감지된 충격량이 설정값 이상이면 위치 감지부(11)를 통해 주기적으로 차량의 현재 위치를 감지하고 감지된 현재 위치가 설정 영역을 벗어나면 상기한 바와 같이 경고 메시지를 전송한다.
여기서, 차량의 시동이 오프되었는지 여부는 차량에 구비된 엔진 ECU(Electronic Control Unit) 또는 시동키의 위치 등을 통해 다양하게 인식될 수 있다.
또한 설정 영역은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시점에서 감지된 차량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설정되는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설정값은 차량이 견인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는 기준이 되는 충격량으로서, 실제 차량 견인시 발생되는 충격량을 토대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난 경고 방법을 상기한 조건별로 도 4 와 도 5 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난 경고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 를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15)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되면(S10), 위치 감지부(11)를 제어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를 감지하고, 감지된 현재 위치를 저장한다(S20).
이어 제어부(15)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후 설정시간이 경과하는지를 판단하고(S30), 판단 결과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위치 감지부(11)를 제어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를 감지한다(S40).
위치 감지부(11)를 통해 차량의 현재 위치가 감지되면, 제어부(15)는 감지된 차량의 현재 위치가 설정영역 이내인지를 판단한다(S50).
단계(S50)에서의 판단 결과 차량의 현재 위치가 설정영역 이내이면 상기한 단계(S30)으로 리턴하여 상기한 과정(S30~S50)을 반복 수행한다.
즉, 제어부(15)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후, 설정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주기적으로 차향의 현재 위치를 감지하고, 차량의 현재 위치가 설정 영역이내인지를 판단한다.
한편, 단계(S50)에서의 판단 결과 차량의 현재 위치가 설정영역을 벗어나면 제어부(15)는 통신부(13)를 통해 차량의 도난을 경고하는 경고 메시지를 센터 서버(30)로 전달한다.
이에 센터 서버(30)는 경고 메시지를 전송한 차량 단말(10)과 매칭된 사용자 단말(20)의 전화번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전화번호에 따라 사용자 단말(20)로 경고 메시지를 전달한다.
경고 메시지를 전달받은 사용자 단말(20)은 센터 서버(30)로부터 전달받은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차량 도난을 경고한다(S60).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난 경고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 를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15)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되면(S100), 위치 감지부(11)를 제어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를 감지하고, 감지된 현재 위치를 저장한다(S110).
이어 제어부(15)는 충격 센서(14)를 제어하여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한다(S120).
이때, 제어부(15)는 충격 센서(14)에 의해 감지된 충격량이 기 설정된 설정값 이상인지를 판단하고(S130), 판단 결과 충격량이 설정값 미만이면 상기한 단계(S120)으로 리턴한다.
즉, 제어부(15)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되면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고 감지된 충격량이 설정값을 초과하면, 충격이 가해진 시점부터 설정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주기적으로 차량의 현재 위치를 감지하고, 차량의 현재 위치가 설정 영역이내인지를 판단한다.
한편, 단계(S130)에서의 판단 결과 충격량이 설정값 이상이면 제어부(15)는 충격이 감지된 시점부터 설정시간이 경과하는지를 판단하고(S140), 판단 결과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위치 감지부(11)를 제어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를 감지한다(S150).
위치 감지부(11)를 통해 차량의 현재 위치가 감지되면, 제어부(15)는 감지된 차량의 현재 위치가 설정영역 이내인지를 판단한다(S150).
단계(S160)에서의 판단 결과 차량의 현재 위치가 설정영역 이내이면 상기한 단계(S120)으로 리턴하여 상기한 과정(S12~S160)을 반복 수행한다.
반면에, 단계(S1600)에서의 판단 결과 차량의 현재 위치가 설정영역을 벗어나면 제어부(15)는 통신부(13)를 통해 차량의 도난을 경고하는 경고 메시지를 센터 서버(30)로 전달하여 사용자 단말(20)을 통해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차량 도난을 경고한다(S170).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상태에서 차량의 위치가 설정 영역을 벗어나면 차량 도난을 사용자에게 경고하여 정당한 사용자가 차량 도난시 즉각적으로 대처하고 차량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할 것이다.
10: 차량 단말
11: 위치 감지부
12: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3: 통신부
14: 충격 센서
15: 제어부
20: 사용자 단말
30: 센터 서버

Claims (6)

  1. 차량의 시동이 오프되면 차량의 현재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후 설정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차량의 현재 위치를 감지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가 설정 영역 이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차량의 현재 위치가 상기 설정 영역을 벗어나면 사용자 단말로 차량 도난을 경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도난 경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영역은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시점에서 감지된 차량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경고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차량 도난을 경고하는 단계는 센터 서버로 차량 도난에 대한 경고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센터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검출한 후, 검출한 상기 전화번호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경고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경고 방법.
  4. 차량의 시동이 오프되면 차량의 현재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차량이 시동의 오프된 후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고, 충격이 감지되면 충격량이 기 설정된 설정값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충격량이 상기 설정값 이상이면, 충격이 감지된 시점부터 설정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차량의 현재 위치를 감지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가 설정 영역 이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차량의 현재 위치가 상기 설정 영역을 벗어나면 사용자 단말로 차량 도난을 경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도난 경고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영역은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시점에서 감지된 차량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경고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차량 도난을 경고하는 단계는 센터 서버로 차량 도난에 대한 경고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센터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검출한 후, 상기 전화번호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경고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경고 방법.
KR1020140141933A 2014-10-20 2014-10-20 차량 도난 경고 방법 KR2016004698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1933A KR20160046985A (ko) 2014-10-20 2014-10-20 차량 도난 경고 방법
CN201510650712.2A CN105523008A (zh) 2014-10-20 2015-10-10 车辆被盗警告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1933A KR20160046985A (ko) 2014-10-20 2014-10-20 차량 도난 경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6985A true KR20160046985A (ko) 2016-05-02

Family

ID=55765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1933A KR20160046985A (ko) 2014-10-20 2014-10-20 차량 도난 경고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60046985A (ko)
CN (1) CN10552300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40152A (zh) * 2021-10-08 2022-02-11 的卢技术有限公司 一种车辆监控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18580B (zh) * 2016-08-23 2019-01-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防盗系统以及用户设备
CN106379270B (zh) * 2016-09-05 2019-04-02 深圳市双赢伟业科技股份有限公司 车辆防盗系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82298B2 (ja) * 2001-03-29 2009-12-09 セコム株式会社 車両盗難検出システム
CN201163790Y (zh) * 2007-06-08 2008-12-10 深圳华强信息产业有限公司 一种基于rfid技术的车辆防盗终端
CN102050083A (zh) * 2009-10-27 2011-05-11 沈阳晨讯希姆通科技有限公司 车载防盗装置及其使用方法
CN103093586B (zh) * 2011-10-28 2016-03-30 上海博泰悦臻网络技术服务有限公司 车辆状态上报和监控方法,车载终端和服务中心
CN103359057A (zh) * 2013-07-12 2013-10-23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杭州分公司 车辆报警系统及报警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40152A (zh) * 2021-10-08 2022-02-11 的卢技术有限公司 一种车辆监控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523008A (zh) 2016-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40296B (zh) 报告系统
US20170236387A1 (en) Keyless Entry Device for Haptic Communications
US6788189B2 (en) Vehicle antitheft device and program
US1023282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airing smartphone with vehicle tracking device
JP5327149B2 (ja) 車載通信装置
GB2581216A (en) Protecting vehicles
JP4136649B2 (ja) 車両用盗難防止装置及び車両の制御方法
KR102010729B1 (ko) 자동차의 시동 및 엔트리 시스템을 작동하기 위한 방법과 자동차를 위한 시동 및 엔트리 시스템
JP5255379B2 (ja) 盗難防止装置
US9878691B2 (en) Self-arming immobilizer system, apparatus and method
CA2882465C (en) Vehicle control system including accelerometer based security warning and related methods
KR20160046985A (ko) 차량 도난 경고 방법
US20190344755A1 (en) Method for operating an anti-theft device, anti-theft device for a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US2013026329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theft protection
JP2006298319A (ja) 車両用セキュリティ装置
US7898404B2 (en) Vehicle speed exceeded notification device and related methods
JP2017031612A (ja) 鍵管理システム
JP3861089B2 (ja) 車両用盗難防止装置
US10112579B2 (en) Vehicle antitheft system and vehicle security device
US8493191B2 (en) Vehicle security notification device and related methods
KR100981209B1 (ko) 초음파센서를 이용한 오토바이 도난 방지 장치
KR100826373B1 (ko) 산업용 차량의 도난방지 시스템
CN104890624A (zh) 一种车辆防盗方法及装置
KR20120025728A (ko) 내비게이션을 이용한 차량 도난 방지장치 및 방법
JP2006233530A (ja) 携帯電話置き忘れ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