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6911A - 모듈화 안경 및 그것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모듈화 안경 및 그것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6911A
KR20160046911A KR1020167008183A KR20167008183A KR20160046911A KR 20160046911 A KR20160046911 A KR 20160046911A KR 1020167008183 A KR1020167008183 A KR 1020167008183A KR 20167008183 A KR20167008183 A KR 20167008183A KR 20160046911 A KR20160046911 A KR 20160046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enses
clamping
tool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8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8420B1 (ko
Inventor
유엣-찬 렁
Original Assignee
유엣-찬 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엣-찬 렁 filed Critical 유엣-찬 렁
Publication of KR20160046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6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8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8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02Bridge or browbar secured to lenses without the use of rim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02C13/001Assembling; Repai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2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8Modular frames, easily exchangeable frame parts and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모듈화 안경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안경은 2개의 렌즈(10) 및 연결장치(20)를 포함하고, 각 렌즈에 비원형의 체결홀(12)이 설치되어 있으며, 연결장치는 2개의 렌즈 사이에 설치되어 2개의 렌즈를 연결하며, 연결장치는 2개의 렌즈의 체결홀에 체결되고 M자 형상으로 굴곡된 연결대(22), 각각 연결대의 양단에 끼워져 설치되며 각각 삽입된 2개의 클램핑부재(24), 2개의 슬리브(26) 및 2개의 볼트(28)를 포함하고, 각 클램핑부재는 2개의 렌즈 중 하나의 체결홀에 각각 삽입되고, 2개의 슬리브는 체결홀내에 각각 수용되어 클램핑부재와 맞닿게 되고, 2개의 볼트는 2개의 슬리브를 관통하여 2개의 클램핑부재와 각각 나사결합된다.

Description

모듈화 안경 및 그것의 제조방법{MODULAR GLASS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본 발명은 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듈화한 안경 및 그것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안경 구조는 주로 2개의 렌즈, 안경테 및 2개의 안경 다리를 포함한다. 그러나, 기존의 안경은 대부분 공장에서 제조하여 조립된 것으로, 서로 다른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키도록 저비용 방식으로 맞춤화된 안경 구조를 제공할 수 없으며, 또한 기존의 안경으로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임의로 부속품을 추가할 수 없으므로 구조상에서 더 개량할 필요성이 있다.
한편, 본 출원의 발명자는 이전에 미국등록특허 제8157372호인 "안경의 렌즈 연결장치"를 발명하였다. 해당 특허는 무테안경의 연결장치 및 방법을 공개했으나, 안경테, 추가형 선글라스 등 부속품과 임의로 또는 간편하게 결합할 수 없으므로 사용상에서 여전히 불편함과 제한이 있다.
본 발명은 안경을 기타 부속품과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게 하여 저비용 방식으로 다양한 맞춤화 목적을 실현하여 안경의 실용성을 향상시킨 모듈화 안경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본 발명이 제공하는 모듈화 안경은,
각각 비원형의 체결홀이 설치되어 있는 2개의 렌즈와,
2개의 렌즈의 체결홀에 체결되고 M자 형상으로 굴곡된 연결대, 각각 연결대의 양단에 끼워 설치되고 각각 삽입되는 2개의 클램핑부재, 2개의 슬리브 및 2개의 볼트를 포함하며, 각 클램핑부재는 2개의 렌즈 중 하나의 체결홀에 각각 삽입되고, 2개의 슬리브는 체결홀 내에 각각 수용되어 클램핑부재와 맞닿게 되고, 2개의 볼트는 2개의 슬리브를 관통하여 2개의 클램핑부재와 각각 나사결합되는 2개의 렌즈사이에 설치되어 2개의 렌즈를 연결하는 연결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모듈화 안경에 있어서, 각 체결홀은 원공부 및 2개의 원공부의 직경선을 따라 역방향으로 연장되는 클램핑부를 포함하고, 각 클램핑부재는 금속재료로 구성되며 대응하는 체결홀 원공부에 삽입되는 삽입부 및 2개의 클램핑 리브를 포함하고, 삽입부에 축방향으로 대응하는 볼트와 나사결합되는 나사홀이 설치되어 있으며, 클램핑 리브는 직경 방향으로 삽입부에 돌출 설치되어 대응하는 체결홀의 클램핑부에 각각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듈화 안경에 있어서, 각 클램핑부재의 삽입부는 체결홀에 삽입되는 일단과 다르게 체결홀 밖으로 노출되는 확장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듈화 안경에 있어서, 각 볼트는 헤드부, 결합홈 및 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원기둥 모양을 이루고, 헤드부의 일단에 편상의 잠금편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홈은 고리 모양으로 헤드부의 표면에 오목 설치되고, 나사부는 헤드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슬리브를 관통하여 대응하는 클램핑부재와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듈화 안경에 있어서, 상기 모듈화 안경은 연결대에 연결되고 역U자 형상을 이루는 결합대을 더 포함하고, 결합대의 양단에 각각 코받침 고정대가 끼워 설치되고, 각 코받침 고정대에 나선부 및 테두리부가 설치되어 있고, 2개의 코받침 고정대의 나선부는 서로 반대 방향의 나선 방향을 이루고 결합대의 일단에 밀착 결합되며, 테두리부는 나선부와 일체로 굴곡되어 형성되어 사각형을 이룰 수 있고 코받침의 결합 블록에 끼워져 설치되며, 코받침의 결합 블록에 결합대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는 결합홀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이 제공하는 모듈화 안경의 제조방법은,
드릴장치로 2개의 렌즈에 원공부를 각각 설치하는 단계;
절삭장치에 의해 절삭공구로 2개의 렌즈의 원공부의 내주면에 2개의 클램핑부를 형성하여, 렌즈에 비원형의 체결홀을 형성하는 단계;
2개의 클램핑부재를 M자 형상으로 굴곡된 연결대에 삽입 설치하는 단계;
2개의 클램핑부재를 각각 렌즈의 체결홀과 맞추어 체결공구로 2개의 클램핑부재를 각각 당겨 대응하는 체결홀에 삽입하는 단계;
2개의 슬리브를 각각 2개의 체결홀의 원공부 내에 설치하는 단계; 및
2개의 볼트를 각각 2개의 슬리브에 삽입하여 2개의 클램핑부재와 나사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듈화 안경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드릴장치로 2개의 렌즈에 각각 원공부를 설치할 때, 두 단계를 거쳐 앞뒷면에 천공하는 방식을 이용하며, 두 단계를 거쳐 앞뒷면에 천공 방식으로 2개의 렌즈에 각각 원공부를 설치할 경우,
렌즈에 기준선을 그리고, 드릴장치의 기대(機臺)에 상기 드릴장치의 드릴비트와 정렬된 기준선을 설치하는 단계;
렌즈의 기준선을 기대의 기준선에 맞춰 렌즈를 기대에 올려놓는 단계;
상기 드릴장치의 압착판을 내리는 단계, 상기 압착판은 기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압착판의 일측 가장자리에 원호 형상의 압착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압착부에 중심이 기준선과 정렬된 기준홀이 설치되어 있고 기준홀에 드릴비트가 삽입 가능하게 드릴 부시가 동축 설치되어 있음;
드릴비트를 하강시켜 압착부 내의 드릴 부시를 통과하여 렌즈에 대해 천공 작업을 진행하여 렌즈에 원공부를 형성하되, 드릴비트가 렌즈를 관통하지 못하도록 천공 작업 시 소정의 깊이로만 천공하는 단계;
드릴비트를 적당한 위치까지 위로 이동시킨 다음, 압착판을 위로 이동시켜 렌즈를 압착하던 위치를 이탈하게 하는 단계;
렌즈를 기대에서 내린 후 기대에 피벗 설치된 스윙암을 피벗 회전시켜 스윙암에 돌출 설치된 위치결정핀이 압착부 상의 드릴 부시와 정렬되도록 이동시키는 단계;
압착판을 내려 위치결정핀이 아래로부터 위로 드릴 부시를 관통하게 하는 단계;
렌즈의 뒷면을 위로 향하게 하여 형성된 원공부를 밖으로 노출된 위치결정핀에 삽입하는 단계; 및
드릴비트를 하강시켜 렌즈의 뒷면을 천공하여 렌즈가 관통되도록 하여 전체 원공부의 천공 작업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듈화 안경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드릴비트로 렌즈에 뚫은 미관통 원공부의 소정의 깊이는 렌즈 두께의 절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듈화 안경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절삭장치에 의해 절삭공구로 2개의 렌즈의 원공부 내주면에 2개의 클램핑부를 형성할 경우,
렌즈를 절삭장치의 기대 상에 올려놓고, 렌즈의 원공부를 절삭공구와 정렬시키는 단계, 상기 절삭공구는 원기둥 모양의 공구 바와 공구 바 주위의 직경 방향의 양단에 각각 연속 배열된 복수의 공구 치형을 포함하고, 각 세트 공구 치형의 길이는 아래로부터 위로 점차적으로 증가하며, 각 공구 치형의 너비는 렌즈에 형성하고자 하는 클램핑부의 너비와 동일함; 및
상기 절삭공구의 공구 바를 아래로 이동시켜 원공부에 삽입하고, 각 공구 치형이 차례로 원공부의 내면을 절삭하게 하여 클램핑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기술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증진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1. 본 발명의 안경은 구조가 간단하고 다른 부품과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저비용 방식으로 맞춤화하여 다양한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으므로, 안경의 실용성 및 사용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본 발명의 연결장치는 렌즈와 안정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또한 필요에 따라 특정 공구를 사용하여 해체하므로, 안경 수리 및 재조립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분 평면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릴장치로 정방향으로 원공부를 뚫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드릴장치로 역방향으로 원공부를 뚫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절삭장치로 클램핑부를 절삭 형성하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절삭공구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절삭공구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공구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공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공구로 클램핑부재를 체결홀에 삽입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나사잠금공구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나사잠금공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을 서로 다른 부속품과 결합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발명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기술수단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과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모듈화 안경은 주로 2개의 렌즈(10) 및 연결장치(20)을 포함하고, 각 렌즈(10)에는 상기 연결장치(20)와 체결되는 비원형 체결홀(12)이 설치되어 있고 각 체결홀(12)은 원공부(122) 및 원공부(122)의 직경선을 따라 역방향으로 연장된 2개의 클램핑부(12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연결장치(20)는 2개의 렌즈(10)를 연결하도록 2개의 렌즈(10)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장치(20)는 주로 연결대(22), 2개의 클램핑부재(24), 2개의 슬리브(26) 및 2개의 볼트(28)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대(22)는 주로 M자 형상으로 굴곡되며, 2개의 클램핑부재(24)는 금속재료로 구성되며 각각 연결대(22)의 양단에 끼워 설치되고 주로 삽입부(242) 및 2개의 클램핑 리브(244)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242)는 대응하는 체결홀(12)의 원공부(122)에 삽입될 수 있고, 삽입부(242)에는 축방향으로 나사홀(243)이 설치되고, 또한 클램핑부재(24) 삽입부(242)는 체결홀(12)에 삽입되는 일단과 다르게 체결홀(12) 밖으로 노출되는 확장단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클램핑부재(24)가 체결홀(12)에 삽입될 경우 상기 확장단부가 렌즈(10)의 표면에 맞닿게 된다.
클램핑 리브(244)는 직경 방향으로 삽입부(242)에 돌출 설치되며 각각 대응하는 체결홀(12)의 클램핑부(124)에 삽입되고, 2개의 슬리브(26)는 각각 체결홀(12) 내에 수용되어 클램핑부재(24)에 맞닿으며, 2개의 볼트(28)는 각각 2개의 슬리브(26)를 관통하여 2개의 클램핑부재(24)의 나사홀(243)에 나사결합으로 삽입되며, 각 볼트(28)는 주로 헤드부(282), 결합홈(284) 및 나사부(286)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282)는 대체로 원기둥 모양을 이루고, 헤드부(282)의 일단에 편상(튬?)의 잠금편(28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홈(284)은 고리 모양으로 헤드부(282)의 표면에 오목 설치되며, 나사부(286)는 헤드부(282)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슬리브(26)을 관통하여 대응하는 클램핑부재(24)의 나사홀(243)에 나사결합된다.
도 1과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모듈화 안경을 제조할 때, 먼저 드릴장치(30)로 렌즈(10)에 체결홀(12)의 원공부(122)를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렌즈(10)는 유리 등 깨지기 쉬운 재질로 구성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렌즈(10)에 원공부(122)를 형성할 때, 두 단계를 거쳐 앞뒷면에 천공하는 방식으로 진행하며, 또한 천공 작업 시, 렌즈(10)가 깨지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드릴비트(34)로 원공부(122)를 천공할 때 원공부(122)의 법선 방향에 따라 진행되도록 보장해야 한다. 천공 방식은 주로 렌즈(10)에 먼저 원공부(122) 중심을 지나는 기준선을 그리고, 드릴장치(30)의 기대(32)에도 드릴비트(34)와 정렬된 기준선을 설치되어 있으며, 렌즈(10)의 기준선을 기대(32) 상의 기준선에 맞춰 기대(32) 상에 렌즈(10)을 올려놓고 드릴장치(30)의 압착판(36)을 이용하여 렌즈(10)의 일단을 가압하며, 상기 압착판(36)은 승강 가능하게 기대(32)에 설치되며, 압착판(36)의 일측 가장자리에 원호 형상의 압착부(362)가 설치되고, 압착부(362)에 중심이 기준선과 정렬된 기준홀이 설치되어 있으며, 기준홀에 드릴비트(34)가 삽입될 수 있도록 드릴 부시(364)가 동축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기대(32)에는 압착판(36)이 렌즈(10)를 아래로 압착하는 힘을 제공하도록 압착판(36)에 연결되는 스프링(37)을 설치할 수 있다.
렌즈(10)를 기대(32)에 올려놓으면, 압착부(362)가 렌즈(10)의 가장자리를 압착하도록 압착판(36)을 아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렌즈(10)의 기준선이 기대(32)의 기준선에 맞춰져 있으므로 압착부(362)의 렌즈(10) 가장자리에 압착되어 있는 양단의 위치는 기준선을 중심으로 반으로 나누어져 있다. 이에 따라, 드릴비트(34)을 아래로 이동시키면 드릴비트(34)가 압착부(362) 내의 드릴 부시(364)을 통과하여 렌즈(10)에 대한 천공 작업을 진행하여 렌즈(10)에 원공부(122)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천공할 때 드릴비트(34)가 렌즈(10)을 직접 관통하지 못하도록 소정의 깊이로만 천공한다. 드릴비트(34)로 렌즈(10)의 절반 두께만 천공거나, 또는 드릴비트(34)로 렌즈(10)에 관통하지 않는 원공부(122)를 천공하고 남기는 두께가 0.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드릴장치(30)의 기대(32) 또는 압착판(36)에 별도로 일단이 뾰족한 위치결정편(31)을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위치결정편(31)은 기대(32) 상에 렌즈(10)를 올려놓으면 렌즈(10) 가장자리에 맞닿아 렌즈(10)가 소정의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여 원공부(122)가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도록 보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원공부(122)의 중심으로부터 렌즈(10)의 가장자리까지의 거리는 2.8mm이며, 위치결정편(31)의 위치는 상이한 위치에 원공부(122)를 형성하는 천공 작업에 맞추어 조절 가능하다.
한편, 상기 드릴장치(30)의 드릴비트(34)는 기대(32)에 대해 상하 이동 가능한 이동대(33)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대(33)와 기대(32) 사이는 도브테일 방식을 통해 결합되고, 래크가 연결 설치되고, 기대(32)에 2개의 러너(332)가 설치되며, 2개의 러너(332)에는 각각 래크와 맞물리는 기어가 연결 설치된다. 이에 따라, 러너(332)를 회전시키면, 기어와 래크의 맞물림을 통해 이동대(33)가 기대(32)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게 함으로써, 동기적으로 드릴비트(34)가 기대(32)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도 4를 참고하면, 원공부(122) 절반 두께의 천공 작업이 완료되면, 먼저 드릴비트(34)를 위로 적당한 위치까지 이동시킨 다음, 압착판(36)을 위로 이동시켜 렌즈(10)를 압착하던 위치를 이탈하게 하고, 렌즈(10)를 기대(32)에서 내린 후, 기대(32)에 피벗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스윙암(38)을 피벗 회전시켜 스윙암(38) 상에 돌출 설치된 위치결정핀(382)이 압착부(362) 상의 드릴 부시(364)와 정렬되도록 이동시키고, 압착판(36)을 내려 위치결정핀(382)이 아래로부터 위로 드릴 부시(364)를 관통하게 하고, 이어서 렌즈(10) 뒷면이 위로 향하게 하여 형성된 원공부(122)를 압착부(362)로부터 노출된 위치결정핀(382)에 삽입한다. 그런 다음, 드릴비트(34)를 하강시켜 렌즈(10)의 뒷면을 천공하여 렌즈가 관통되도록 하여 전체 원공부(122)의 천공 작업을 완료한다.
이때, 위치결정핀(382)은 압착판(36)의 드릴 부시(364)을 관통하므로, 상기 위치결정핀(382)은 자동적으로 기대(32) 상의 기준선과 정렬되어 위치결정핀(382)가 자동적으로 드릴비트(34)과 동축 직선 상에서 마주하게 되며, 동시에 렌즈(10) 뒷면을 위로 향하게 하여 절반 원공부(122)를 위치결정핀(382)에 삽입하면, 원공부(122)의 중심점이 자동적으로 드릴비트(34)와 정렬되게 할 수 있다. 그러면 원공부(122)가 자동적으로 중심 정렬되게 할 수 있어, 드릴비트(34)가 원공부(122)의 법선 방향에 따라 정확하게 천공할 수 있게 하므로, 원공부(122)의 천공 작업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두 계단의 정/역방향 천공 작업을 통해 렌즈(10)가 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압착판(36)의 승강을 제어함에 있어서, 서로 평행되며 압착판(36)에 연결되는 2개의 가이드 로드(39)를 설치할 수 있으며, 2개의 가이드 로드(39)는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이동대(33)을 관통하여 피동편(
Figure pct00001
)(392)에 연결되고, 또한 기대(32)의 상단에 근접한 곳에 피벗 회전 가능한 당김레버(394)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당김레버(394)의 일단은 피동편(392)의 저면에 맞닿는다. 이에 따라, 당김레버(394)를 당기면 당김레버(394)로 피동편(392)을 움직여 위로 이동시킴으로써, 가이드 로드(39)를 통해 압착판(36)을 움직여 기대(32)에 대해 상대적으로 위로 이동하게 하고, 당김레버(394)를 놓으면 중력 또는 스프링(37)의 탄력을 이용하여 압착판(36)을 아래로 이동되게 할 수 있다.
원공부(122)의 천공 작업이 완료되면, 렌즈(10)를 절삭장치(40)로 이동하여 렌즈(10)에 클램핑부(124)를 형성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절삭장치(40)는 주로 기대(42), 기대(42) 상에서 도브테일 방식을 통해 기대(42)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공구홀더(44)를 포함하고, 공구홀더(44)의 기대(42)에 대한 이동 방식은 드릴장치(30)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공구홀더(44)의 저면에 절삭공구(50)가 설치되고, 상기 절삭공구(50, 50A)는 도 6 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으며 주로 원기둥 모양의 공구 바(52, 52A)와 공구 바(52, 52A) 주위의 직경 방향의 양단에 각각 연속 배열된 복수의 공구 치형(54, 54A)을 포함하며, 그 중 각 세트의 공구 치형(54, 54A)의 길이는 아래로부터 위로 점차 증가하며, 각 공구 치형(54, 54A)의 너비는 렌즈(10)에 형성하고자 하는 클램핑부(124)의 너비와 동일하며, 각 공구 치형(54, 54A)의 자유단 가장자리에 직선의 절삭단(542, 542A)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렌즈(10)를 기대(42)에 올려놓은 후, 원공부(122)를 절삭공구(50)에 맞추고 공구홀더(44)를 아래로 이동시켜 절삭공구(50)의 공구 바(52)를 원공부(122)에 삽입한 후, 각 공구 치형(54)이 차례로 원공부(122)의 내면을 절삭하도록 하여 클램핑부(124)를 형성한다.
기대(42) 상에 별도로 피벗 회전 가능한 누름팔(46)을 설치할 수 있으며, 누름팔(46) 상에 절삭공구(50)를 끼워 넣을 수 있는 노치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클램핑부(124)의 절삭 작업이 완료되면, 기대(42)에 대해 누름팔(46)을 회전시켜 누름팔(46)의 노치부가 절삭공구에 끼워지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구홀더(44)를 위로 이동시키면, 누름팔(46)에 의해 렌즈(10)를 눌러 렌즈(10)가 절삭공구(50)와 함께 위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렌즈(10)를 절삭공구(50)로부터 순조롭게 분리할 수 있다.
도 1 및 도 8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렌즈(10)와 연결장치(20)를 조립할 때, 체결공구(60)를 이용하여 연결장치(20)의 클램핑부재(24)를 대응하는 렌즈(10)의 체결홀(12)에 삽입한다. 상기 체결공구(60)는 주로 풀 로드(62), 슬리브(64), 2개의 푸시 로드(66) 및 파지부(68)를 포함하고, 상기 풀 로드(62)의 일단에 클램핑부재(24)의 나사홀(243)에 나사결합되는 나사산부(62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리브(64)는 풀 로드(62)에 끼워져 설치되며 풀 로드(62)의 나사산부(622)가 슬리브(64)의 일단으로부터 노출되며, 슬리브(64)에 2개의 서로 평행되는 장홀(642)이 설치되어 있으며, 2개의 푸시 로드(66)는 각각 슬리브(64)의 장홀(642)에 삽입되어 풀 로드(62)에 연결되며, 파지부(68)는 나사결합을 통해 풀 로드(62)의 타단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풀 로드(62)의 나사산부(622)를 렌즈(10)의 체결홀(12)에 관통시킨 후, 클램핑부재(24)의 나사홀(243)에 나사결합시키고, 클램핑부재(24)의 삽입부(242) 및 클램핑 리브(244)가 각각 체결홀(12)의 원공부(122) 및 클램핑부(124)와 대응되게 한다. 그 다음, 2개의 푸시 로드(66)를 밀어 클램핑부재(24)의 삽입부(242) 및 클램핑 리브(244)를 각각 체결홀(12)의 원공부(122) 및 클램핑부(124)에 끼워 넣으면, 클램핑부재(24)를 체결홀(12)에 끼워 넣을 수 있으며, 그 다음 체결공구(60)를 회전하여 나사산부(622)와 나사홀(243)을 분리 시키면 클램핑부재(24)을 체결홀(12)에 삽입하는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클램핑부재(24)의 삽입부(242)의 직경은 체결홀(12)의 원공부(122)의 직경보다 조금 크게 할 수 있으며, 그러면 클램핑부재(24)의 삽입부(242)를 원공부(122)에 삽입할 때, 삽입부(242)가 압박을 받아 변형되게 하여 원공부(122)의 내면에 가압 접촉시킴으로써, 클램핑부재(24)를 체결홀(12)에 밀착 결합시켜 연결장치(20)와 렌즈(10)의 결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슬리브(26)를 체결홀(12)의 원공부(122)에 삽입한 다음, 나사잠금공구(70)로 볼트(28)를 슬리브(26)에 삽입하여 클램핑부재(24)의 나사홀(243)과 나사결합시키면, 안경의 조립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상기 나사잠금공구(70)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로 자루부(72), 협지 기둥(夾制柱)(74), 협지편(夾制片)(76) 및 재킷(78)를 포함하고, 상기 자루부(72)의 일단에 협지 기둥(74)을 수용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자루부(72)의 상기 일단에 개구부와 연통된 복수의 탄성홈(722)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협지 기둥(74)은 주로 원기둥모양을 나타내고 일단에 협지홈(夾制槽)(742)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협지편(76)은 협지홈(742) 내에 수용되고, 협지편(76)의 일단에 협지오목부(夾制凹部)(762)가 설치되어 있으며, 협지오목부(762)와 연통되는 탄성홈(764)이 설치되어 있고, 재킷(78)과 자루부(72)의 나사결합을 통해 협지 기둥(74)과 협지편(76)을 자루부(72)의 단부에 위치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협지편(76)의 협지오목부(762)를 볼트(28)의 잠금편(283)에 끼우고, 잠금편(283)이 협지 기둥(74)의 협지홈(742) 내에 끼워지게 할 수 있으며, 그리고 자루부(72)를 회전시키면 볼트(28)를 회전시켜 볼트(28)가 클램핑부재(24)의 나사홀(243)과 나사결합되게 할 수 있으므로, 볼트(28)의 헤드부(282)가 렌즈(10)의 측면에 맞닿게 하여 렌즈(10)와 연결장치(20)의 조립 작업을 완료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볼트(28)의 특이한 모양 때문에 기존의 공구로는 마음대로 회전시킬 수 없으므로, 사람들이 볼트(28)를 마음대로 풀어 렌즈(10)와 연결장치(20)를 분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과 도 1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은 모듈화 안경의 구성을 통해, 안경을 결합편(80)을 가지는 안경테(82)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결합편(80)의 양단에는 각각 끼움결합홈(802)이 설치되어 있으며, 2개의 끼움결합홈(802)은 각각 볼트(28)의 결합홈(284)에 끼워져 안경과 안경테(82)를 결합할 수 있으므로, 색깔, 모양 및 스타일이 서로 다른 안경테(82)에 결합편(80)을 설치하는 것을 통해, 편리하고 간편하게 안경과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경의 실용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어 더 저렴한 비용으로 서로 다른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으며, 또한 결합편(80)에서 2개의 끼움결합홈(802) 사이의 거리는 2개의 볼트(28) 사이의 거리보다 조금 작을 수 있다. 이 경우, 2개의 볼트(28)와 결합편(80)을 결합할 때, 먼저 하나의 볼트(28)의 결합홈(284)을 일측의 끼움결합홈(802)에 끼우고 나서, M자 형상으로 굴곡된 연결대(22)에 의한 신축탄성을 통해 다른 렌즈(10)를 조금 당기면, 다른 볼트(28)의 결합홈(284)을 순조롭게 다른 끼움결합홈(802)에 끼워 넣을 수 있다.
도 14를 참고하면, 각 렌즈(10)에 두 세트의 체결홀(12)를 설치할 수 있으며, 그 중 하나의 체결홀(12)은 연결장치(20)와 결합되고, 다른 하나의 체결홀(12)은 안경다리(84)와 결합되며, 렌즈(10)와 안경다리(84)의 결합 방식은 연결장치와의 결합 방식과 동일하며, 클램핑부재(24)와 볼트(28)의 결합을 통해 실현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러한 안경다리(84)를 구비한 안경은 무테안경을 구성하여, 사용자가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연결장치(20)의 2개의 볼트와 결합편(80)을 구비한 안경테(82A)의 결합을 통해 안경으로 하여금 서로 다른 외관 스타일을 나타내게 하여 안경의 실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안경은 결합편을 구비하지 않은 안경테(82B)와 결합될 수 있으며, 주로 2개의 렌즈(10)를 각각 직접 안경테(82B)의 안경 구멍에 끼워 넣을 수 있다. 또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10)의 가장자리에 렌즈(10)을 감싸는 결합홈(102)을 오목하게 설치하고, 렌즈(10)의 결합홈(102) 내에 렌즈의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된 결합틀(14)을 설치하고, 상기 결합틀(14)의 두께는 결합홈(102)의 두께와 같게 할 수 있으며, 결합틀(14)의 측변 부위는 절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절개된 양단은 후크부와 고리부를 이용하여 결합되어, 렌즈(10)의 결합홈(102) 내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틀(14)을 통해 본 발명의 안경을 상이한 형식의 안경테(82C)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함틀(14A)은 반원형태인 역U자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결합틀(14A)과 결합되는 결합로프(15)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결합로프(15)는 나일론 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틀(14A)을 결합로프(15)와 결합한 후, 렌즈(10)의 결합홈(102) 내에 설치하여 결합틀(14A)을 이용하여 안경테(82C)와 결합할 수 있다.
도 1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안경은 자석(92)을 구비한 결합편(90)을 조합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 결합편(90)의 중간에 돌출된 자석 고정부가 형성되어 있고, 결합편(90) 저부의 자석 고정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편(90)의 양단에는 볼트(28)에 끼워 결합하기 위한 2개의 끼움결합홈(902)이 형성되어 있고, 자석(92)은 결합편(90)의 자석고정부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자석(92)을 구비한 결합편(90)과 자석을 구비한 다른 부속품을 결합하는 것을 통해, 상기 부속품을 본 발명은 의 안경과 결합시킬 수 있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자석(92)을 구비한 결합편(90)은 2개의 자석을 구비한 부속품과 결합하여, 상기 부속품을 렌즈 위로 번져 사용할 수도 있다.
도 20을 참고하면, 연결장치(20)의 연결대(22)에 코받침(98)을 설치할 수 있으며, 주로 연결대(22)에 역U자 형상의 결합대(95)을 고정 설치하고, 결합대(95)의 양단에 각각 코받침 고정대(96)을 끼워 설치하며, 각 코받침 고정대(96)는 주로 나선부 및 테두리부(964)가 설치되어 있으며, 2개의 코받침 고정대(96)의 나선부(962)는 서로 반대 방향의 나선 방향을 이루고 결합대(95)의 일단에 밀착 결합되며 테두리부(964)는 나선부(962)와 일체로 굴곡되어 형성되어 사각형으로 이룰 수 있고, 코받침(98)의 결합 블록(982)에 끼워지고, 코받침(98)의 결합 블록(982)의 상측에 결합대(95)의 일단에 삽입 가능한 결합홀(984)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코받침(98)을 연결대(22)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코받침 고정대(96)가 나선부(962)를 이용하여 내경이 나선부보다 조금 큰 결합대(95)에 감기어 움직이는 특성에 의해, 원형선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거나 나선부(962)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므로, 테두리부(964)에 끼워 있는 코받침(98)의 높이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바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당업자라면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9)

  1. 각각 비원형의 체결홀이 설치되어 있는 2개의 렌즈와,
    상기 2개의 렌즈의 체결홀에 체결되고 M자 형상으로 굴곡된 연결대, 각각 상기 연결대의 양단에 끼워 설치되고 각각 삽입되는 2개의 클램핑부재, 2개의 슬리브 및 2개의 볼트를 포함하며, 각 상기 클램핑부재는 2개의 렌즈 중 하나의 체결홀에 각각 삽입되고, 상기 2개의 슬리브는 상기 체결홀 내에 각각 수용되어 클램핑부재와 맞닿게 되고, 상기 2개의 볼트는 2개의 슬리브를 관통하여 상기 2개의 클램핑부재와 각각 나사결합되는 2개의 렌즈 사이에 설치되어 2개의 렌즈를 연결하는 연결장치
    를 포함하는 모듈화 안경.
  2. 제1항에 있어서,
    각 상기 체결홀은 원공부(圓孔部) 및 상기 원공부의 직경선을 따라 역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클램핑부를 포함하고, 각 클램핑부재는 금속재료로 구성되며 대응하는 체결홀 원공부에 삽입되는 삽입부 및 2개의 클램핑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에 축방향으로 대응하는 볼트와 나사결합되는 나사홀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클램핑 리브는 직경 방향으로 삽입부에 돌출 설치되어 대응하는 체결홀의 클램핑부에 각각 삽입되는, 모듈화 안경.
  3. 제2항에 있어서,
    각 상기 클램핑부재의 삽입부는 체결홀에 삽입되는 일단과 다르게 체결홀 밖으로 노출되는 확장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모듈화 안경.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상기 볼트는 헤드부, 결합홈 및 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원기둥 모양을 이루고, 상기 헤드부의 일단에 편상의 잠금편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홈은 고리 모양으로 헤드부의 표면에 오목 설치되고, 상기 나사부는 헤드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슬리브를 관통하여 대응하는 클램핑부재와 나사결합되는, 모듈화 안경.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화 안경은 연결대에 연결되고 역U자 형상을 이루는 결합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대의 양단에 각각 코받침 고정대가 끼워 설치되고, 각 상기 코받침 고정대에 나선부 및 테두리부가 설치되어 있고, 2개의 상기 코받침 고정대의 나선부는 서로 반대 방향의 나선 방향을 이루고 결합대의 일단에 밀착 결합되며, 상기 테두리부는 나선부와 일체로 굴곡되어 형성되어 사각형을 이룰 수 있고 코받침의 결합 블록에 끼워져 설치되며, 상기 코받침의 결합 블록에 결합대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는 결합홀이 설치되어 있는, 모듈화 안경.
  6. 드릴장치로 2개의 렌즈에 원공부를 각각 설치하는 단계;
    절삭장치에 의해 절삭공구로 2개의 렌즈의 원공부의 내주면에 2개의 클램핑부를 형성하여, 렌즈에 비원형의 체결홀을 형성하는 단계;
    2개의 클램핑부재를 M자 형상으로 굴곡된 연결대에 삽입 설치하는 단계;
    2개의 클램핑부재를 각각 렌즈의 체결홀과 맞추어 체결공구로 2개의 클램핑부재를 각각 당겨 대응하는 체결홀에 삽입하는 단계;
    2개의 슬리브를 각각 2개의 체결홀의 원공부 내에 설치하는 단계; 및
    2개의 볼트를 각각 2개의 슬리브에 삽입하여 2개의 클램핑부재와 나사결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듈화 안경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드릴장치로 2개의 렌즈에 각각 원공부를 설치할 때, 두 단계를 거쳐 앞뒷면에 천공하는 방식을 이용하며, 두 단계를 거쳐 앞뒷면에 천공 방식으로 2개의 렌즈에 각각 원공부를 설치할 경우,
    렌즈에 기준선을 그리고, 드릴장치의 기대에 상기 드릴장치의 드릴비트와 정렬된 기준선을 설치하는 단계;
    렌즈의 기준선을 기대의 기준선에 맞춰 렌즈를 기대에 올려놓는 단계;
    상기 드릴장치의 압착판을 내리는 단계, 상기 압착판은 기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압착판의 일측 가장자리에 원호 형상의 압착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압착부에 중심이 기준선과 정렬된 기준홀이 설치되어 있고 기준홀에 드릴비트가 삽입 가능하게 드릴 부시가 동축 설치되어 있음;
    드릴비트를 하강시켜 압착부 내의 드릴 부시를 통과하여 렌즈에 대해 천공 작업을 진행하여 렌즈에 원공부를 형성하되, 드릴비트가 렌즈를 관통하지 못하도록 천공 작업 시 소정의 깊이로만 천공하는 단계;
    드릴비트를 적당한 위치까지 위로 이동시킨 다음, 압착판을 위로 이동시켜 렌즈를 압착하던 위치를 이탈하게 하는 단계;
    렌즈를 기대에서 내린 후 기대에 피벗 설치된 스윙암을 피벗 회전시켜 스윙암에 돌출 설치된 위치결정핀이 압착부 상의 드릴 부시와 정렬되도록 이동시키는 단계;
    압착판을 내려 위치결정핀이 아래로부터 위로 드릴 부시를 관통하게 하는 단계;
    렌즈의 뒷면을 위로 향하게 하여 형성된 원공부를 밖으로 노출된 위치결정핀에 삽입하는 단계; 및
    드릴비트를 하강시켜 렌즈의 뒷면을 천공하여 렌즈가 관통되도록 하여 전체 원공부의 천공 작업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듈화 안경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드릴비트로 렌즈에 뚫은 미관통 원공부의 소정의 깊이는 렌즈 두께의 절반인, 모듈화 안경의 제조방법.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장치에 의해 절삭공구로 2개의 렌즈의 원공부 내주면에 2개의 클램핑부를 형성할 경우,
    렌즈를 절삭장치의 기대 상에 올려놓고, 렌즈의 원공부를 절삭공구와 정렬시키는 단계, 상기 절삭공구는 원기둥 모양의 공구 바와 공구 바 주위의 직경 방향의 양단에 각각 연속 배열된 복수의 공구 치형을 포함하고, 각 세트 공구 치형의 길이는 아래로부터 위로 점차적으로 증가하며, 각 공구 치형의 너비는 렌즈에 형성하고자 하는 클램핑부의 너비와 동일함; 및
    상기 절삭공구의 공구 바를 아래로 이동시켜 원공부에 삽입하고, 각 공구 치형이 차례로 원공부의 내면을 절삭하게 하여 클램핑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듈화 안경의 제조방법.
KR1020167008183A 2013-09-18 2013-09-18 모듈화 안경 및 그것의 제조방법 KR1018284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3/001109 WO2015039262A1 (zh) 2013-09-18 2013-09-18 模块化眼镜及其制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6911A true KR20160046911A (ko) 2016-04-29
KR101828420B1 KR101828420B1 (ko) 2018-02-12

Family

ID=52688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8183A KR101828420B1 (ko) 2013-09-18 2013-09-18 모듈화 안경 및 그것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20160178926A1 (ko)
EP (1) EP3048470B1 (ko)
JP (1) JP6251812B2 (ko)
KR (1) KR101828420B1 (ko)
CN (1) CN104903779B (ko)
AU (1) AU2013401091B2 (ko)
CA (1) CA2923097C (ko)
DK (1) DK3048470T3 (ko)
ES (1) ES2761473T3 (ko)
HK (1) HK1221021A1 (ko)
HU (1) HUE047190T2 (ko)
MY (1) MY177452A (ko)
PL (1) PL3048470T3 (ko)
PT (1) PT3048470T (ko)
SG (1) SG11201602040UA (ko)
TW (1) TW201514571A (ko)
WO (1) WO2015039262A1 (ko)
ZA (1) ZA20160172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206508A1 (de) 2016-04-18 2017-10-19 Mando Corporation Elektrisches Brems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27631B2 (en) * 2016-05-17 2018-03-27 Prohero Group Co., Ltd. Interchangeable frame for eyeglasses
US10831039B2 (en) * 2018-02-08 2020-11-10 Brent Sheldon Flexible bridge assembly for rimless eyewear
CA3107728C (en) * 2018-10-10 2021-05-04 Michael Toulch Eyeglasses and assembly including a component mounted to a lens.
RU2707838C1 (ru) * 2019-01-28 2019-11-29 ООО "Оптика-Центр" Углообразный мост очковой оправы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5902A (en) * 1901-07-25 1902-03-25 Standard Optical Co Machine for drilling lenses.
US1743493A (en) * 1928-01-30 1930-01-14 Harry E Sipe Knob, handle, and the like
US2058808A (en) * 1934-07-18 1936-10-27 Shuron Optical Co Inc Lens drilling machine
JPS537253A (en) * 1976-07-08 1978-01-23 Seijirou Horikawa Sidepieces of eyeglasses and method of fixing bridge and lens
JP3159604B2 (ja) * 1993-12-29 2001-04-23 株式会社小林 縁無し眼鏡におけるレンズ連結構造
CN1141677A (zh) * 1994-07-11 1997-01-29 佛罗伦萨艺术品经销有限公司 无边框的眼镜框架
DE4439434A1 (de) * 1994-11-04 1996-05-09 Walter Bergner Brillengestell
TW311697U (en) * 1996-05-27 1997-07-21 Han-You Lin Fast joint structure for folding frameless eyeglasses
US6017119A (en) * 1996-06-27 2000-01-25 Huang; David Foldable compact glasses having non-interfering temples in folding
US5896186A (en) * 1997-02-14 1999-04-20 Roban; Philip K Eyeglass assembly having pivotable receiving means
DE59710506D1 (de) * 1997-02-26 2003-09-04 Alexander Grendelmeier Brille mit aufsetzbarem Schutzschild
DE69734979T2 (de) * 1997-04-07 2006-08-17 Polaris Inter Ab Brille
JP3064418U (ja) * 1999-05-31 2000-01-21 ホーヤ株式会社 眼鏡用のノ―ズパッド取付用箱足
US6203155B1 (en) * 2000-06-12 2001-03-20 Haan-Yeou Lin Eyeglasses
JP3961235B2 (ja) * 2001-05-01 2007-08-22 株式会社 シミズメガネ 縁なし眼鏡
JP2003307711A (ja) * 2002-04-15 2003-10-31 Miki:Kk ネジ緩み防止構造を有する眼鏡
JP2004177917A (ja) * 2002-11-27 2004-06-24 Eiji Hashimoto 縁なし枠のレンズ止め構造
JP2008026657A (ja) * 2006-07-21 2008-02-07 Washi Kosan Co Ltd 縁無し眼鏡のレンズ加工方法とこれを用いた縁無し眼鏡。
JP4159589B2 (ja) * 2006-10-10 2008-10-01 株式会社タクボ精機製作所 眼鏡レンズ加工装置
JP2008164646A (ja) * 2006-12-26 2008-07-17 Masunaga Optical Mfg Co Ltd リムレス眼鏡およびその組立方法
JP4975469B2 (ja) * 2007-02-02 2012-07-11 株式会社ニデック 眼鏡レンズ加工装置
US20090051868A1 (en) * 2007-08-24 2009-02-26 Faith Idea Limited Spectacle frame
US7789506B1 (en) * 2009-01-08 2010-09-07 Jong Kim Frame locking device for eyeglasses
KR20120003995A (ko) * 2010-07-06 2012-01-12 김승준 코받침 높낮이 조절식 안경프레임
CN102122083B (zh) * 2011-02-28 2015-01-21 宋王芳 一种无框眼镜
US8157372B1 (en) * 2011-04-12 2012-04-17 Yuet-Charn Leung Lens connection device for an eyewear
TWM444526U (zh) * 2012-08-31 2013-01-01 Eakau Internat Optical Electronic Co Ltd 板料眼鏡鼻托組裝結構
CN203149213U (zh) * 2013-04-07 2013-08-21 巨龙光学(福建)有限公司 无框眼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206508A1 (de) 2016-04-18 2017-10-19 Mando Corporation Elektrisches Bremssystem
DE102017206508B4 (de) 2016-04-18 2020-07-23 Mando Corporation Elektrisches Brems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903779A (zh) 2015-09-09
CN104903779B (zh) 2017-10-24
AU2013401091A1 (en) 2016-04-07
EP3048470A4 (en) 2017-04-19
PL3048470T3 (pl) 2020-05-18
EP3048470A1 (en) 2016-07-27
DK3048470T3 (da) 2020-02-17
MY177452A (en) 2020-09-15
TWI528068B (ko) 2016-04-01
HUE047190T2 (hu) 2020-04-28
CA2923097A1 (en) 2015-03-26
AU2013401091B2 (en) 2017-03-16
PT3048470T (pt) 2020-02-03
CA2923097C (en) 2018-03-20
WO2015039262A1 (zh) 2015-03-26
SG11201602040UA (en) 2016-04-28
ES2761473T3 (es) 2020-05-19
JP6251812B2 (ja) 2017-12-20
HK1221021A1 (zh) 2017-05-19
EP3048470B1 (en) 2019-11-06
JP2016532911A (ja) 2016-10-20
TW201514571A (zh) 2015-04-16
KR101828420B1 (ko) 2018-02-12
ZA201601728B (en) 2017-06-28
US20160178926A1 (en) 2016-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8420B1 (ko) 모듈화 안경 및 그것의 제조방법
EP1400875B1 (fr) Dispositif de fixation d'un bracelet sur une boîte de montre
US10082242B1 (en) Multidirectional fast tube-attachable frame
EP2846181A1 (en) Screw-less joint structure for eyeglass frames and temples
KR101396874B1 (ko) 힌지로 연결된 착탈 가능한 다리들을 구비한 안경 프레임
FR2983315A1 (fr) Dispositif articule a charniere sans vis
CH714409B1 (fr) Ensemble composé d'une boucle à ardillon et d'un élément d'attache flexible.
EP1241540B1 (fr) Dispositif de fixation d'un bracelet sur une boîte de montre
CN113339394A (zh) 一种新型五金万向球头连接件
CN201152304Y (zh) 一种用于滑动连接的定位装置
CN207359000U (zh) 一种乐器修理工具
CN114952156A (zh) 圣诞树脚架机器人自动焊接夹具
CN218825009U (zh) 一种易于更换镜脚的镜脚固定装置
CN210440831U (zh) 一种夹持装置及自拍杆
CN220884641U (zh) 一种快捷拆卸的手机支架
CN219475934U (zh) 一种镜片可更换的夹片眼镜
CN219299005U (zh) 曲柄推杆连接结构、平推窗执手
DE102009003922B4 (de) Ring mit Verbindungseinrichtung zum Anbringen von Fahrradzubehör
CN217713405U (zh) 一种便于装配的飞轮结构
CN216760405U (zh) 一种辅助打孔装置及打孔机
CN218960202U (zh) 一种表带可拆卸连接结构及手表
CN215457015U (zh) 一种便于安装的装饰镜
CN208535916U (zh) 一种手电筒滤镜头
CN210485132U (zh) 一种摄影支撑架
US20020176325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watch strap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