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6065A - 로터리 킬른 - Google Patents

로터리 킬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6065A
KR20160046065A KR1020140141118A KR20140141118A KR20160046065A KR 20160046065 A KR20160046065 A KR 20160046065A KR 1020140141118 A KR1020140141118 A KR 1020140141118A KR 20140141118 A KR20140141118 A KR 20140141118A KR 20160046065 A KR20160046065 A KR 20160046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exhaust gas
section
disposed
re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1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4840B1 (ko
Inventor
유종우
민관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141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4840B1/ko
Publication of KR20160046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6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4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4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7/00Rotary-drum furnaces, i.e.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 F27B7/2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rotary-drum furnaces
    • F27B7/36Arrangements of air or gas suppl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7/00Rotary-drum furnaces, i.e.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 F27B7/2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rotary-drum furn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7/00Arrangements for using waste heat; Arrangements for using, or disposing of, waste g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uffle Furnaces And Rotary Kil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료의 장입과 배출이 가능하도록 제공되고, 구동수단에 연계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장입된 원료가 열처리되는 회전형본체부와, 원료가 장입되는 방향과 대향되게 배치되고, 장입된 원료와 반응하는 반응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부 및, 장입된 원료와 반응가스가 반응하여 생성된 배가스가 배출되는 배가스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가스배출부는 생성된 상기 배가스의 유속이 저감된 영역에 배치되는 로터리 킬른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로터리 킬른에서 생선된 배가스가 배출되는 배가스배출부를 배가스의 유속이 저감된 영역에 배치함으로써, 생성된 배가스와 함께 배기되는 비산 더스트의 양을 저감하여 실수율의 상승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로터리 킬른 {ROTARY KILN}
본 발명은 로터리 킬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료을 열처리하기 위한 로터리 킬른에서 생성된 배가스와 함께 배기되는 비산 더스트의 양을 최소화하는 로터리 킬른에 관한 것이다.
로터리 킬른(10)은 광석 등의 원료를 건조, 소성 또는 환원하기 위해서 회전하는 본체에 넣고 가열하는 장치로서, 석회 및 시멘트 제조, 각종 금속의 환원, 폐기물 처리에 사용되는 장치로, 원료를 가열하여 설정된 온도로 상승시킨 후에 수소 등의 반응가스와 반응시킬 때 사용되는 장치이다.
그래서, 로터리 킬른(10)에서는 원료의 반응을 위해 원료를 설정된 온도로 상승시키는 승온과정과, 온도가 상승된 원료를 반응가스와 반응시키는 반응과정이 포함된다.
이를 위해,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로터리 킬른(10)은 원료가 유입되는 원료유입부(4)와, 유입된 원료(C1)와 수소 등의 반응가스와 반응이 일어나는 반응부(1)와, 반응이 끝난 원료(C2)가 유출되는 원료유출부(3)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원료유입부(4)와 인접한 상기 반응부(1)에서는 가열장치(미도시)로부터 열을 공급받아 유입된 원료의 온도가 상승되고, 반응가스공급부(2)로부터 공급된 반응가스와 반응이 일어난다.
그리고, 상기 반응부(1)는 원료가 원료유입부(4)에서 유입되어 상기 반응부(1) 내부에서 반응이 일어난 후 상기 원료유출부(3)로 유출되는 것을 원활히 하기 위해 지면과 설정된 경사각(A)를 이루며 경사지게 구비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응부(1)는 회전하도록 구비되어, 회전함에 따라 원료를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시키고, 상부에서 원료를 낙하시켜 낙하 중에 반응가스와 반응하고, 반응이 일어나지 않은 원료를 혼합하기 위해, 상기 반응부(1)의 내벽에서 돌출되는 복수의 혼합돌기가 형성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광석 등의 원료의 흐름과 가스의 흐름은 반대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로터리 킬른 내부의 원료가 미분인 경우, 생성된 배가스와 미분의 원료인 더스트가 함께 비산되는 문제점이 있고, 이와 같이, 비산된 더스트로 인해 실수율 하락되고 이로 인해 생산성의 저하가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비산된 더스트의 제거를 위해 별도의 집진설비를 갖추어 제진을 해야 하는 점에서 설비투자비가 증대되어 경제성도 함께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로터리 킬른에서 발생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생성된 배가스와 함께 배기되는 비산 더스트의 양을 최소화하여 실수율의 상승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로터리 킬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비산 더스트의 양이 저감되는 영역에 배가스배출부를 배치하여 집진설비 등의 추가적인 설치투자비의 투입의 필요성이 없어 비용의 절감이 가능한 로터리 킬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원료의 장입과 배출이 가능하도록 제공되고, 구동수단에 연계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장입된 원료가 열처리되는 회전형본체부와, 원료가 장입되는 방향과 대향되게 배치되고, 장입된 원료와 반응하는 반응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부 및, 장입된 원료와 반응가스가 반응하여 생성된 배가스가 배출되는 배가스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가스배출부는 생성된 상기 배가스의 유속이 저감된 영역에 배치되는 로터리 킬른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회전형본체부는, 상기 원료가 장입되는 원료장입구가 구비되는 원료장입부와, 상기 원료장입부와 연계되고, 장입된 원료가 반응가스와 반응하는 반응공간부 및, 상기 반응공간부와 연계되고, 상기 원료가 배출되는 원료가 배출되는 원료배출구가 형성되는 원료배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반응공간부와 상기 원료장입부는, 상기 반응공간부에서 상기 원료장입부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이 감소되는 제1 가변단면구간을 매개로 연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배가스배출부는 비산더스트의 양이 저감된 영역인 상기 제1 가변단면구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배가스배출부는, 상기 제1 가변단면구간 중 단면이 확대된 확장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배가스배출부는, 상기 반응공간부에서 생성된 배가스가 상기 제1 가변단면구간에 의해 유도되어 배출되도록, 상기 제1 가변단면구간 중 단면이 축소된 축소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가변단면구간은, 상기 원료장입부 측에서 상기 반응공간부 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증가하는 테이퍼형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배가스배출부는 상기 원료장입구에 비해 상기 반응공간부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배가스배출부는 상기 원료장입구 보다 높이방향으로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배가스배출부는 상기 회전형본체부의 회전축 상에 배치되고, 상기 원료장입구는 상기 원료장입부의 저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로터리 킬른에서 생성된 배가스가 배출되는 배가스배출부를 배가스의 유속이 저감된 영역에 배치함으로써, 배가스와 함께 배기되는 비산 더스트의 양을 최소화하여 실수율의 상승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배가스배출부를 반응공간부에서 상기 원료장입부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이 감소되는 영역이고, 비산 더스트의 양이 최소화되는 위치인 제1 가변단면구간에 배가스배출부를 배치하여 집진설비 등의 추가적인 설치투자비의 투입의 필요성이 없어 비용의 절감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상기 배가스배출부를 제1 가변단면구간 중 단면이 확대된 확장영역에 배치함으로써, 배가스의 유속이 저감되어 배가스와 함께 배출되는 비산더스트의 발생량이 최소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배가스배출부를 제1 가변단면구간 중 단면이 축소된 축소영역에 배치함으로써, 배가스배출부가 확대영역에 배치되는 경우에 비해 배가스의 유속의 변화는 크지 않으면서도 배가스가 상기 제1 가변단면구간에 의해 유도되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로터리 킬른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킬른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Case 1~2)의 원료장입구와 배가스배출부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Case 3~5)의 원료장입구와 배가스배출부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 및, 도 4의 실시예(Case 1~5)의 원료장입구와 배가스배출부의 배치에 따른 배가스배출부로의 배가스의 유입속도를 도시한 도표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킬른(10)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킬른(10)은 회전형본체부(100), 가스공급부(200) 및, 배가스배출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로터리 킬른(10)은 원료의 장입과 배출이 가능하도록 제공되고, 구동수단(M)에 연계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장입된 원료가 열처리되는 회전형본체부(100)와, 원료가 장입되는 방향과 대향되게 배치되고, 장입된 원료와 반응하는 반응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부(200) 및, 장입된 원료와 반응가스가 반응하여 생성된 배가스가 배출되는 배가스배출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배가스배출부는 생성된 상기 배가스의 유속이 저감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가스가 유입되는 배가스배출부(300)의 유입구는 반응공간부(130)를 통과한 영역 중 배가스의 배출되는 유속이 저감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가스배출부(300)가 유속이 저감된 영역에 배치되는 이유는 비산더스트의 발생은 내부를 유동하는 배가스의 유속의 4제곱에 비례하기 때문에, 배가스배출부(300)가 유속이 저감된 영역에 배치될 경우, 비산더스트의 양이 최소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회전형본체부(10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한 회전형본체부(100)의 형상은 원통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공지의 실시예가 채용될 수 있다.
회전형본체부(100)는 원료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지면과 일정한 경사각을 유지한 상태로 설치된 상태에서 구동수단(M)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형본체부(100)는 원료장입부(110), 반응공간부(130) 및, 원료배출부(150)를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제1 가변단면구간(170) 및, 제2 가변단면구간(190)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회전형본체부(100)는 상기 원료가 장입되는 원료장입구(111)가 구비되는 원료장입부(110)와, 상기 원료장입부(110)와 연계되고, 장입된 원료가 상기 반으가스와 반응하는 반응공간부(130) 및,
상기 반응공간부(130)와 연계되고 상기 원료가 배출되는 원료가 배출되는 원료배출구(151)가 형성되는 원료배출부(150)를 구비할 수 있다.
반응공간부(130)와 원료장입부(110)의 사이에는 반응공간부(130)에서 상기 원료장입부(110)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이 감소되는 제1 가변단면구간(170)이 구비될 수 있다.
반응공간부(130)와 원료장입부(110)는 제1 가변단면구간(170)을 매개로 상호 연계되어 설치될 수 있다.
반응공간부(130)는 장입된 원료를 가열하기 위해 가열장치(미도시)로부터 열을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 있고, 반응공간부(130)를 가열하는 가열장치(미도시)는 회전형본체부(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되어 내부에 장입된 원료를 가열하도록 열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반응공간부(130)를 가열하는 방법은 상기 반응공간부(130)의 내부에 열을 공급할 수 있는 한 다양한 공지의 가열장치를 이용한 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회전형본체부(100)는 원료가 원료장입부(110)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반응공간부(130) 내부에서 반응가스와 반응한 후 상기 원료배출부(150)로 배출되는 것을 원활히 하기 위해 지면과 설정된 경사각(A)를 이루며 경사지게 구비되어 있다.
구동수단(M)은 회전형본체부(100)를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 않았으나, 구동수단(M)은 회전형본체부(100)에서 반응공간부(130)만을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원료장입부(110)와 원료배출부(150)는 고정되고, 구동수단(M)에 의해 반응공간부(130), 제1 가변단면구간(170), 제2 가면단면구간 등을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된 부분과 회전되는 부분 사이에는 실링이 형성될 수 있고, 고정되는 부분 또는 회전되는 부분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실링부가 형성될 수 있고, 양자는 실링부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동수단(M)에 의해 반응공간부(130)가 회전함에 따라, 반응공간부(130)의 내부에 복수 개가 제공되는 혼합돌기에 의해, 반응공간부(130) 내부의 원료가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될 수 있고, 상부에서 하부로 원료를 낙하시켜 낙하 중에 수소 등의 반응가스와의 반응을 촉진하고, 반응이 일어나지 않은 원료를 혼합시킬 수 있다.
가스공급부(200)는 원료가 장입되는 방향과 대향되게 배치되어, 장입된 원료와 반응하는 반응가스를 공급하는 부분이다.
가스공급부(200)는 반응공간부(130)에서 원료와 반응하여 배가스를 생성하는 반응가스가 저장된 가스탱크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가스공급부(200)가 회전형본체부(100)의 내부로 공급하는 반응가스는 장입된 원료를 환원시키는 수소 등의 환원성가스일 수 있다.
다만, 가스공급부(200)에서 공급하는 가스는 환원성가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회전형본체부(100)에 장입된 원료와 반응하여 배가스를 생성하는 다양한 종류의 반응가스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가스배출부(300)는 가스공급부(200)에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는 가스공급부(200)에서 공급된 반응가스가 반응공간부(130)에서 원료와 용이하게 반응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가스배출부(300)는 비산더스트의 양이 저감되는 상기 제1 가변단면구간(170)의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전형본체부(100)는 상기 반응공간부(130)에서 상기 원료장입구(111)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이 감소되는 제1 가변단면구간(170)을 구비하고, 상기 반응공간부(130)에서 상기 원료배출부(150)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이 감소하는 제2 가변단면구간(190) 및, 상기 제1 가변단면구간(170)과 상기 제2 가변단면구간(190) 사이에 구비되는 반응공간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가변단면구간(190)에는 장입된 원료를 원료배출구(151)로 이송하는 이송스크류(191)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가스배출부(300)는 상기 제1 가변단면구간(170) 중 단면이 확대된 확장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가스배출부(300)가 상기한 확장영역에 배치될 경우에는 배가스배출부(300)는 반응공간부(130)를 통과한 영역에 배치되어 원료와 반응가스의 반응에는 문제가 없으면서도, 제1 가변단면구간(170)의 단면이 가장 확대된 영역에 배치됨으로써, 배가스의 유속이 저감되어 배가스와 함께 배출되는 비산더스트의 발생량이 최소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가스배출부(300)는 상기 반응공간부(130)에서 생성된 배가스가 상기 제1 가변단면구간(170)에 의해 유도되어 배출되도록, 상기 제1 가변단면구간(170) 중 단면이 축소된 축소영역(173)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가스배출부(300)가 상기한 축소영역(173)에 배치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가스배출부(300)가 확대영역(171)에 배치되는 경우에 비해 배가스의 유속의 변화는 크지 않으면서, 배가스가 상기 제1 가변단면구간(170)에 의해 유도되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배가스배출부(300)가 제1 가변단면구간(170) 중 단면이 확대된 확장영역에 배치되는 경우에 비산더스트 양이 최소화되는 것은 사실이나, 축소영역(173)에 배치되는 경우에도 확장영역에 배치되는 경우에 비해 비산더스트 양이 크게 증가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변단면구간(170)은 상기 원료장입부(110) 측에서 상기 반응공간부(130) 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증가하는 테이퍼형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가스배출부(300)는 상기 원료장입구(111)에 비해 상기 반응공간부(130)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가스배출부(300)는 상기 원료장입구(111)보다 높이방향으로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가스배출부(300)는 상기 회전형본체부(100)의 회전축(R) 상에 배치되고, 상기 원료장입구(111)는 상기 원료장입부(110)의 저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배가스배출부(300)는 상기 회전형본체부(100)의 회전축(R) 상에 배치되고, 상기 원료장입구(111)는 상기 원료장입부(110)의 저면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배가스배출부(300)는 상기 원료장입구(111)에 비해 상기 반응공간부(130)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배가스배출부(300)가 회전형본체부(100)의 중심부인 회전축(R) 상에 배치되어 배가스의 배출이 보다 용이해 질 수 있다. 또한, 배가스배출부(300)가 원료장입구(111)에 비해 반응공간부(130) 측으로 근접하게 배치됨에 따라 배가스배출부(300)와 원료장입구(111)가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원료장입구(111)에서 장입된 원료의 낙하에 의해 발생된 비산더스트가 배가스배출부(300)까지 도달하는 과정에서 바닥으로 낙하되도록 유도되어 배가스배출부(300)로 유입되는 비산더스트의 양이 감소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로터리 킬른(10) 내부의 원료장입구(111)와 배가스배출부(300)의 배치상태에 따른 로터리 킬른(10) 내부의 가스의 유속과, 비산더스트의 발생량과의 관계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에는 Case 1~ Case 5의 다양한 실시예의 원료장입구(111)와 배가스배출부(300)의 배치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이와 같은 원료장입구(111)와 배가스배출부(300)의 배치에 따른 배가스배출부(300)로의 배가스의 유입속도가 도시되고 있다.
유체의 연속방정식에 의하면, 관의 단면적과 관내부를 흐르는 유속의 값은 항상 일정하다. 즉, 관의 단면적이 2배가 되면 그 지점에서의 유속은 1/2이 되는 것인바, 로터리 킬른(10) 내부의 유속을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반응공간부(130)에서 생성된 배가스가 유입되는 배가스배출부(300)가 설치되는 위치의 단면적을 충분히 확보하여 가스 등의 유속을 저감시킬 필요가 있다.
그리고, 로터리 킬른(10)에서 배가스배출부(300)로의 유입되는 배가스의 유입속도가 중요한 이유는 로터리 킬른(10) 내부에서 발생되는 비산더스트의 양은 내부를 유동하는 가스의 유속의 4제곱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배가스배출부(300)를 통하여 배가스와 함께 배출되는 비산더스트의 양을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배가스배출부(300)를 가스의 유속이 저감된 영역, 즉, 단면적이 충분히 확보된 영역에 배가스배출부(300)를 배치할 필요성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3(a) ~ 도 3(b)의 실시예는 배가스배출부(300)가 유속이 저감된 영역에 배치되고, 배가스배출부(300)가 원료장입구(111)에 비해 반응공간부(130)에 근접하게 배치된 상태이다.
도 4(a)의 실시예는 원료장입구(111)와 배가스배출구가 반응공간부(130)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배치되고 있는 상태이다. 도 4(a)의 실시예는 배가스배출부(300)가 반응공간부(130)에 비해 단면이 축소된 원료장입부(1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축소된 단면에 의해 가스 등의 유속이 증가되어 비산더스트의 양이 증가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4(a)의 실시예의 배가스배출부(300)로의 배가스의 유입속도(0.3 m/s)는, 도 3(a) ~ 도 3(b)의 실시예의 유입속도(0.05 m/s)의 6배 이상인 것으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로터리 킬른(10) 내부의 비산더스트의 양은 유속의 4제곱에 비례하는 점을 고려할 때, 도 4(a)의 실시예의 경우는 도 3(a) ~ 도 3(b)의 실시예에 비해 비산더스트의 양이 현저하게 증가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4(a)의 실시예는 원료장입구(111)와 배가스배출부(300)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됨에 따라 원료장입구(111)에서 원료 등의 낙하 등으로 발생된 비산더스트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 배가스배출부(300)로 배출되어 비산더스트 양이 도 4(b)의 실시예보다 증가될 수 있다.
도 4(b)의 실시예는 배가스배출부(300)가 원료장입구(111)의 후단에 배치되고 있는 상태이다.
도 4(c)의 실시예는 단면이 가변되지 않는 종래의 원료장입구(111)와 배가스배출부(300)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4(c)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인 도 3(a), 도 3(b)의 실시예에 비해 유입속도가 2배 이상임을 알 수 있다.
도 4(c)의 실시예의 경우는 도 3(a) ~ 도 3(b)의 실시예에 비해 비산더스트의 양이 현저하게 증가됨을 알 수 있다.
먼저,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 반응부 2: 반응가스공급부
3: 원료유출부 4: 원료유입부
5: 배가스배출부
10: 로터리 킬른
100: 회전형본체부 110: 원료장입부
111: 원료장입구 130: 반응공간부
150: 원료배출부 151: 원료배출구
170: 제1 가변단면구간 171: 확대영역
173: 축소영역 190: 제2 가변단면구간
191: 이송스크류 200: 가스공급부
300: 배가스배출부
A: 경사각 C1: 유입된 원료
C2: 반응이 끝난 원료 M: 구동수단
R: 회전축

Claims (9)

  1. 원료의 장입과 배출이 가능하도록 제공되고, 구동수단에 연계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장입된 원료가 열처리되는 회전형본체부;
    원료가 장입되는 방향과 대향되게 배치되고, 장입된 원료와 반응하는 반응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부; 및,
    장입된 원료와 반응가스가 반응하여 생성된 배가스가 배출되는 배가스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가스배출부는 생성된 상기 배가스의 유속이 저감된 영역에 배치되는 로터리 킬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형본체부는,
    상기 원료가 장입되는 원료장입구가 구비되는 원료장입부;
    상기 원료장입부와 연계되고, 장입된 원료가 반응가스와 반응하는 반응공간부; 및,
    상기 반응공간부와 연계되고, 상기 원료가 배출되는 원료가 배출되는 원료배출구가 형성되는 원료배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반응공간부와 상기 원료장입부는,
    상기 반응공간부에서 상기 원료장입부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이 감소되는 제1 가변단면구간을 매개로 연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킬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가스배출부는 비산더스트의 양이 저감된 영역인 상기 제1 가변단면구간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킬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가스배출부는,
    상기 제1 가변단면구간 중 단면이 확대된 확장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킬른.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가스배출부는,
    상기 반응공간부에서 생성된 배가스가 상기 제1 가변단면구간에 의해 유도되어 배출되도록, 상기 제1 가변단면구간 중 단면이 축소된 축소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킬른.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변단면구간은,
    상기 원료장입부 측에서 상기 반응공간부 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증가하는 테이퍼형부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킬른.
  7.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가스배출부는 상기 원료장입구에 비해 상기 반응공간부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킬른.
  8.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가스배출부는 상기 원료장입구 보다 높이방향으로 상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킬른.
  9.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가스배출부는 상기 회전형본체부의 회전축 상에 배치되고,
    상기 원료장입구는 상기 원료장입부의 저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킬른.
KR1020140141118A 2014-10-17 2014-10-17 로터리 킬른 KR101714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1118A KR101714840B1 (ko) 2014-10-17 2014-10-17 로터리 킬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1118A KR101714840B1 (ko) 2014-10-17 2014-10-17 로터리 킬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6065A true KR20160046065A (ko) 2016-04-28
KR101714840B1 KR101714840B1 (ko) 2017-03-10

Family

ID=55915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1118A KR101714840B1 (ko) 2014-10-17 2014-10-17 로터리 킬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48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7707B1 (ko) 2022-05-02 2024-02-15 허영재 마그네틱 드라이브를 이용한 로터리 쉘 반응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2483B1 (ko) * 1992-06-17 2005-05-18 지멘스 파워 코포레이션 회전로폐가스배기시스템
JP3658742B2 (ja) * 1997-08-06 2005-06-08 高砂工業株式会社 ロータリーキルン
JP2005288433A (ja) * 2004-03-12 2005-10-20 Mitsubishi Heavy Ind Ltd 重金属類含有物質の無害化処理方法及び装置
JP2007285683A (ja) * 2006-04-20 2007-11-01 Nec Tokin Corp ロータリーキルン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2483B1 (ko) * 1992-06-17 2005-05-18 지멘스 파워 코포레이션 회전로폐가스배기시스템
JP3658742B2 (ja) * 1997-08-06 2005-06-08 高砂工業株式会社 ロータリーキルン
JP2005288433A (ja) * 2004-03-12 2005-10-20 Mitsubishi Heavy Ind Ltd 重金属類含有物質の無害化処理方法及び装置
JP2007285683A (ja) * 2006-04-20 2007-11-01 Nec Tokin Corp ロータリーキル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4840B1 (ko) 2017-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91850A (en) Apparatus for the performance of metallurgical or chemical reactions
JP2011527236A (ja) 多段加熱ゾーンのガス化装置
SU638820A1 (ru) Вращающа с печь дл обработки материалов
KR101714840B1 (ko) 로터리 킬른
CN106367089A (zh) 均匀布风均匀出料锁风的干熄焦或烧结矿冷却炉
US3740184A (en) High temperature rabble design
WO2019193672A1 (ja) 分取装置
RU2681328C1 (ru) Барабанная вращающаяся печь
JP6376689B2 (ja) 粉粒体の加熱処理装置及び処理方法
SU1732816A3 (ru) Шахтна печь дл терм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материалов газом
US3202405A (en) Vertical shaft kiln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3403895A (en) Gas-solid contact device and material discharge means
KR101867720B1 (ko) 배소로
JP5491370B2 (ja) 間接加熱型回転乾燥機
CN206483479U (zh) 一种催化剂焙烧‑水蒸汽处理一体化设备
JPS6141394B2 (ko)
RU2777598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регенерации катализатора гидрообработки
US1166904A (en) Machine for agglomerating ores.
JP6231412B2 (ja) 原料加熱装置
SU97220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одогрева и частичного кальцинировани кугкового материала
CN106537075B (zh) 防止气体从容器开口离开的方法和装置
CN213700285U (zh) 一种水泥节能破碎装置
US765997A (en) Ore-roasting furnace.
EA004898B1 (ru) Способ загрузки зернистой руды в обжиговую печь
CN102099649B (zh) 用于排除流体和/或固体的设备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