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4390A - 건축물 천정재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건축물 천정재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4390A
KR20160044390A KR1020140140365A KR20140140365A KR20160044390A KR 20160044390 A KR20160044390 A KR 20160044390A KR 1020140140365 A KR1020140140365 A KR 1020140140365A KR 20140140365 A KR20140140365 A KR 20140140365A KR 20160044390 A KR20160044390 A KR 20160044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omposition
ceiling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0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0201B1 (ko
Inventor
김태흥
Original Assignee
합자회사 거광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합자회사 거광산업 filed Critical 합자회사 거광산업
Priority to KR1020140140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0201B1/ko
Publication of KR20160044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4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0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02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34Metals, e.g. ferro-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26Carbonates
    • C04B14/28Carbonates of calc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38Fibrous materials; Whisk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38Fibrous materials; Whiskers
    • C04B14/42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06Combustion residues, e.g. purification products of smoke, fumes or exhaust gases
    • C04B18/08Flue dust, i.e. fly as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건축물의 내장재인 천정재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천정재용 조성물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난연제, 수산화알루미늄, 마그네슘에서 선택되는 첨가제 및 유리섬유, 탄소섬유 중에서 선택되는 보강재가 중량으로 6:4인 보충재 60중량부, 그리고 황토, 탄산칼슘, 플라이애쉬, 향균제, 살균제, 향료 및 색상도료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충진제 50중량부로 구성되며, 상기의 물질을 이용하여 천정재용 조성물을 제조하도록 한다.

Description

건축물 천정재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Architectural materiels for the ceiling, and the method of making thereof}
본 발명은 천정재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내장재인 천정재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마감재는 건축물의 시멘트 등 벽체나 천정을 마감처리하는 것을 말하지만, 이 중 건축물의 천정을 마감하는 천정재는 천정으로서의 역활을 위한 강도와 화재 등의 비상시에도 견딜 수 있는 성질을 구비하여야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건축물용 천정재료로는 석고보드 등이 사용되어 왔으나, 유해물질을 함유하고 있어서 그 사용이 점차 줄어들고 있으며, 특히 건축물의 화장실 등에는 플라스틱으로 성형한 천정재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플라스틱으로만 제조된 천정재는 화재, 변색, 내구성 등에 취약한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건축용 천정재를 포함한 건축용 마감재에 대한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먼저 등록특허 제 10-0203517호에서는 시멘트 독성 제거, 원적외선 방사, 열 손실 방지 등을 위해 황점토분말, 접착 및 방수용 에멀젼, 물, 증점제 등을 이용한 벽, 천정용 마감도료를 공개하고 있고, 등록특허 제 10-0758539호에서는 설치장소 및 용도, 구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 가능한 건축용 황토 판넬을 개시하고 있다.
또 다른 등록특허 제 10-0921615호에서는 내벽판, 천정판 등과 같은 불연성 건축자재를 제공하고자 유리직물, 난연수지코팅층 및 불소수지코팅층을 포함하는 불연유리직물 및 불연건축자재를 개시하고 있으며, 등록특허 제 10-0984220호에서는 황토를 주 원료로 하여 마감용 외 판재 배면을 접착제로 도포하고, 심재를 놓은 다음 경화하고, 황토조성물을 주입한 후,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외판재를 부착하고 경화시킨 후, 압력으로 가압한 다음 건조하는, 황토조성물을 이용한 건축용 마감재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며, 등록특허 제 10-1001006호에서는 외판재, 심재, 황토조성물 및 측판재로 구성되는 건축용 마감재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등록특허 10-0527865호에서는 무기질입자, 고탄성우레탄수지, 유리섬유직물 등이 함유된 건축물의 내, 외장용 가요성 패널 및 그 제조방법을, 등록특허 제 10-0551249호에서는 다공성 토양개질제, 규조토, 바인더, 경화제 및 배합수를 포함하는 건축자재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축자재를, 등록특허 제 10-0984931호에서는 황산칼슘 등의 기재, 염화바륨 등의 무기충전재로 이루어지는 건재용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한편 공개특허 10-2011-0084790호에서는 황토분말 등의 골재, 맥반석 등의 골재 등으로 혼합물을 만들고, 상기 혼합물에 접착제를 혼합하여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을 생성한 다음 압축, 성형하는 건축용 마감재 제조방법을, 등록특허 제 10-1003546호에서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 등을 이용한 섬유보강 난연성 무기계 폴리머 마감재를, 등록특허 제 10-1293764호에서는 용제, 열경화성 수지 고형분, 열경화성 수지 함침액, 무기충전재, 유리섬유 등으로 구성되는 불연성 외장마감재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 10-1310512호에서는 식물분쇄입자, 흡음섬유, 규조토, 퍼라이트, 제올라이트, 기능성개선제, 난연재, 증점접착제, 침전방지제, 향균보존재, 색소, 바인더, 기용제수용액, 물을 함유하는 다기능 흡음 퍼티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며, 등록특허 제 10-1354526호에서는 방염UV경화형 코팅제를 이용한 방염판넬 및 그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 10-1361758호에서는 PVC수지조성물을 이용해 무기질복합체인 경질탄산칼슘, 황토, 포르말린을 혼합한 건축물 내부칸막이용 판재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본 발명이 추구하는 목적이나 그 사상과는 다른 발명들로 판단된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과는 달리 난연제가 첨가되므로서, 난연효과가 뛰어나고 충진제를 첨가하여 음이온 발생이나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어서 인체에 유익한 건축물 천정재를 제조하는 데 유용한 건축물 천정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난연제, 수산화알루미늄, 마그네슘에서 선택되는 첨가제와, 유리섬유, 탄소섬유중에서 선택되는 보강재가 중량으로 약 6:4인 보충재 60중량부, 그리고 황토, 탄산칼슘, 플라이애쉬, 향균제, 살균제, 향료 및 색상도료 중에서 선택되는 1종이상의 충진제 50중량부를 함유하는 건축물 천정재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충진제 50중량부를 상온에서 30분 교반 혼합한 다음 상기 보강재를 상온에서 30분 교반하고, 혼합된 혼합물을 60~70℃의 온도에서 약 24시간 숙성시킨 후 함침하는 건축물 천정재용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한 건축물 천정재는 난연효과가 우수하고 보강재로 인해 필요한 강도를 구비할 뿐만 아니라 음이온발생, 자외선차단, 향균 등의 효과로 인체에 무해한 효과가 있어서, 본 발명은 건축물 천정재의 재료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와 실시를 돕기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들은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UPE) 수지를 사용하는데, 불포화 UPE는 성형하기가 쉽고, 통상 섬유와 같이 사용하기 때문에 강도가 있어서 사용한다.
상기 불포화 에스테르 100중량부에 대하여 첨가제를 약 50~65 중량부 사용하는데 50중량부 이하에서는 강도와 원하는 물성을 얻기 곤란하고 65중량부 이상에서는 그 효과가 더 이상 없으므로 상기와 같이 사용한다.
첨가제로는 산화알루미늄, 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중에서 1종 이상을 사용하고, 보강재로 유리섬유나 탄소섬유를 사용하는데, 상기에서 첨가제와 보강재는 중량으로 약 6:4로 하는데 이는 필요한 강도를 부여하고 첨가제의 역할인 난연성 등을 부여하기 적합한 범위이기 때문이다.
또한 충진제로는 음이온을 발생시킬 수 있는 황토, 용량을 조절하기 위한 탄산칼슘, 자외선을 차단하기 위한 플라이애쉬, 향균을 위한 향균제, 살균제, 악취 등의 제거를 위한 향료, 외관을 위한 색상도료 등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그 첨가량은 상기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약 40~60 중량부를 사용한다. 이는 40중량부 이하에서는 각 성분들의 효능을 나타내기 어렵고 60중량부가 넘어가면 효과를 더 이상 기대하기 어렵고 비경제적이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먼저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황토, 탄산칼슘, 플라이애쉬, 향균제, 살균제, 향료, 색상도료에서 선택되는 충진제를 약 40~60 중량부와, 첨가제 중 보강재를 제외한 것을 난연제와 보강재가 중량으로 6:4 비율이 되게 하여 혼합하는데 이때 온도는 20~30℃인 상온에서 교반기로 약 20~40분간 행한다. 이는 상기 수지가 비교적 낮은 점도의 액상수지이므로 상온에서 상기 시간이면 충진제와 충분히 혼합되기 때문에 상기 온도 및 시간으로 교반기로 혼합한다.
그 다음 유리섬유나 탄소섬유인 보강재를 혼합하는데 여기서 보강재는 상기한 바와 같이 첨가제 전차첨가량 50~65중량부 중 난연제등:보강재가 중량으로 6:4 정도가 되게 한다.
여기서 보강재를 후에 첨가하는 이유는 동시에 첨가하게 되면 경화되어 뭉침 현상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도 교반기로 혼합 시 상온에서 약 20~40분간 행한다.
상기와 같이 전체 혼합물이 완성되면 약 20~30시간 약 60~70℃의 온도에서 숙성시키는데 60℃ 이하에서는 숙성시간이 너무 길어지고 70℃ 이상이 되면 열경화성이므로 경화현상이 발생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숙성은 원료들끼리 층이 지는 현상을 방지해 원료의 혼합이 잘 되기 하기 위함이다.
숙성된 원료는 충진 포장하여 필요시 사용하면 된다.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중량으로 수산화알루미늄과 탄소섬유를 6:4로 혼합한 보충재를 약 60중량부, 그리고 황토와 탄산칼슘을 중량으로 1:1되게 하여 상기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50중량부를 준비하고,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상기 황토, 탄산칼슘과 수산화알루미늄을 첨가하여 30분 교반한 다음 상기 탄소섬유를 첨가하고 30분 교반하고, 63℃의 온도에서 약 24시간 숙성시켰다.
상기의 숙성된 조성물로 천정재 시제품을 만들고 물성을 시험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pat00001
상기 시험 방법은
Figure pat00002
로 하였다.
상기 표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한 천정재는 건축물 마감용 천정재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Claims (2)

  1.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난연제, 수산화알루미늄, 마그네슘에서 선택되는 첨가제와; 유리섬유, 탄소섬유 중에서 선택되는 보강재가 중량으로 6:4인 보충재 60중량부, 그리고 황토, 탄산칼슘, 플라이애쉬, 향균제, 살균제, 향료 및 색상도료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충진제 50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정재용 조성물.
  2. 제 1항의 조성물 제조방법으로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충진제 50중량부와 첨가제를 상온에서 30분 교반 혼합한 다음 상기 보강재를 상온에서 30분 교반하고, 혼합된 혼합물을 60~70℃의 온도에서 24시간 숙성시킨 후 함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천정재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40140365A 2014-10-15 2014-10-15 건축물 천정재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30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365A KR101630201B1 (ko) 2014-10-15 2014-10-15 건축물 천정재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365A KR101630201B1 (ko) 2014-10-15 2014-10-15 건축물 천정재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4390A true KR20160044390A (ko) 2016-04-25
KR101630201B1 KR101630201B1 (ko) 2016-07-07

Family

ID=55918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0365A KR101630201B1 (ko) 2014-10-15 2014-10-15 건축물 천정재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02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35018A (zh) * 2018-06-14 2019-05-10 合肥尚强电气科技有限公司 一种抗菌天花板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16198199A (zh) * 2023-02-13 2023-06-02 广东大禹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阻燃耐磨建筑材料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8823A (ko) * 1999-08-11 1999-11-05 정광수 천장판의 제조방법
KR100697868B1 (ko) * 2005-05-06 2007-03-22 충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벌크 몰드 컴파운드 조성물
KR101233075B1 (ko) * 2012-09-19 2013-02-20 (주)신화비엔씨 시트 몰딩 컴파운드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시트 몰딩 컴파운드를 이용한 친환경 욕실 천장재의 설치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8823A (ko) * 1999-08-11 1999-11-05 정광수 천장판의 제조방법
KR100697868B1 (ko) * 2005-05-06 2007-03-22 충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벌크 몰드 컴파운드 조성물
KR101233075B1 (ko) * 2012-09-19 2013-02-20 (주)신화비엔씨 시트 몰딩 컴파운드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시트 몰딩 컴파운드를 이용한 친환경 욕실 천장재의 설치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35018A (zh) * 2018-06-14 2019-05-10 合肥尚强电气科技有限公司 一种抗菌天花板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16198199A (zh) * 2023-02-13 2023-06-02 广东大禹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阻燃耐磨建筑材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0201B1 (ko) 2016-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2510395A (ja) 装飾用パネル、および当該パネルからなる装飾用床カバー材
KR101366514B1 (ko) 콘크리트 함수율 100% 습윤상태에서 프라이머 없이 시공이 가능한 무기질계 중성화방지, 방수, 방식, 바닥마감재 도료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중성화방지, 방수, 방식, 바닥재 시공방법
KR101680527B1 (ko) 한천이 혼입된 모르타르의 제조방법
DE102014101704A1 (de) Wärmedämmputz
EP3084091A1 (de) Wärmedämmplatte
KR20140089074A (ko) 유·무기 복합 친환경 방오코팅 마감재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KR20150139842A (ko) 소수성 마감재를 포함하는 시멘트질 물품
KR102169244B1 (ko) 통기성 및 불연성을 가지며, 습윤시공이 가능한 속경성 유무기 하이브리드 폴리머 시멘트계 도막방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막방수 시공공법
KR20130006015A (ko) 친환경 무기질 불연 바인더의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용도
US20060178453A1 (en) Lightweight base coating
KR101630201B1 (ko) 건축물 천정재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4096499A (zh) 隔离材料及其生产方法
KR101197732B1 (ko) 건축물 옥상 단열ㆍ방수 시공방법
KR100732234B1 (ko) 침투성 복합 방수제
KR101703881B1 (ko) 구조강도 및 내수성이 향상된 단열패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구조강도 및 내수성이 향상된 단열패널
KR101796032B1 (ko) 수용성 무기 불연 발포 접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90305B1 (ko) 불연성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비드 폼 및 이의 제조방법
CN204199573U (zh) 含砂反射隔热多彩涂料层结构
KR100660442B1 (ko) 건축용 샌드위치 패널
KR100648224B1 (ko) 일액형 무기질 탄성 도막 방수제, 이의 제조방법 및시공방법
KR101081827B1 (ko) 단열패널의 표면마감용 속경성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KR101740278B1 (ko) 건축용 보드의 제조방법
KR100519838B1 (ko) 건축물의 보수재 또는 마감재용 폴리머 시멘트 모르터조성물
KR100983559B1 (ko) 건축용 도막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EP2907854A1 (en) Filler composition for use as repair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