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4656A - 표면 바탕조정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표면 바탕조정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4656A
KR20150004656A KR20130077934A KR20130077934A KR20150004656A KR 20150004656 A KR20150004656 A KR 20150004656A KR 20130077934 A KR20130077934 A KR 20130077934A KR 20130077934 A KR20130077934 A KR 20130077934A KR 20150004656 A KR20150004656 A KR 20150004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weight
parts
emulsion resin
surface rough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7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베스트케미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베스트케미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베스트케미칼
Priority to KR20130077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4656A/ko
Publication of KR20150004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656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26Carbonates
    • C04B14/28Carbonates of calc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6/06Acry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콘크리트 표면과의 우수한 부착력 및 우수한 항곰팡이 성능을 가질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으로부터 방출되는 유해물질과 시멘트 비산 분진을 흡수 또는 차단할 수 있는 표면 바탕조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표면 바탕조정용 조성물은, 아크릴 에멀젼 수지 고형분; 탄산칼슘; 에스테르 알코올 유도체; 및 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표면 바탕조정용 조성물{Composition for surface preparation}
본 발명은 표면 바탕조정재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석고 보드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과 같은 구조체의 표면에는 수많은 요철과 결함이 존재한다. 게다가, 콘크리트 타설불량에 따른 골재분리부위, 균열부위, 누수부위, 콜드 조인트 및 이어치기부위, 거푸집간의 단차부위, 거푸집을 연결시키는 폼 타이 또는 프랫타이 구멍부위 등이 존재할 수 있다.
표면 바탕조정재는, 구조체의 표면의 결함을 메우거나 구조체 표면의 요철을 평활화하기 위하여, 구조체의 표면에 도포되는 재료를 통칭한다. 예를 들어, 콘크리트 표면 바탕조정재로서는, 도료, 유기질계 퍼티, 시멘트계 바탕조정재,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으로부터는 각종 유해물질이 방출되거나 시멘트 비산 분진이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도료는 완벽한 필름층을 형성할 수 없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으로부터 방출되는 유해물질을 차단하기가 어렵다. 유기질계 퍼터 역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으로부터 방출되는 유해물질을 차단하기가 어려우며, 습기 및 수분에 취약하고, 2차적인 곰팡이 발생으로 인하여 탈락되기 쉽다. 시멘트계 바탕조정재는 부재(즉, 콘크리트 표면)와의 부착력이 약하고, 그 자체로부터 시멘트 분진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환경적인 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콘크리트 표면과의 우수한 부착력 및 우수한 항곰팡이 성능을 가질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으로부터 방출되는 유해물질과 시멘트 비산 분진을 흡수 또는 차단할 수 있는 표면 바탕조정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제공되는 표면 바탕조정용 조성물은,
100 중량부의 아크릴 에멀젼 수지 고형분;
약 20 중량부 내지 약 200 중량부의 탄산칼슘;
약 2 중량부 내지 약 70 중량부의 에스테르 알코올 유도체; 및
약 60 중량부 내지 약 270 중량부의 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제공되는 표면 바탕조정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표면 바탕조정재 층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라, 구조체의 표면에,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제공되는 표면 바탕조정용 조성물을 도포한 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면 바탕조정재 층 형성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표면 바탕조정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표면 바탕조정재 층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갖는다: 우수한 접착 성능과 우수한 내수성을 가지며, 그에 따라, 수분 침투로 인한 구조체 표면과 바탕조정재 층의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유기 증점제의 사용을 배제하고 항균력을 강화하여, 탁월한 항곰팡이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우수한 습도 조절 및 유해물질 흡착 성능을 가지며, 그에 따라, 실내환경을 쾌적하게 할 수 있다; 우수한 단열성능을 가지며, 그에 따라, 구조체를 통한 열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석고보드 또는 시멘트몰탈의 표면에 형성시, 유해물질(예를 들어, 6가크롬, 라돈, 등)을 차단할 수 있다; 균열 보수 또는 표면 보완을 통하여 구조체 표면의 바탕조정이 가능하다; 운모 등과 탄성수지 조합으로 균열저항성이 우수하다; 박막 미장 만으로도 우수한 접착 강도를 발휘할 수 있다; 친환경 나노수지 조성으로 잔갈림성이 적고 내마모성이 우수하다; 벽지 및 페인트와의 상용성이 우수하여 별도의 바인더 사용을 배제할 수 있다; 수분을 차단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풍화를 방지할 수 있다; 자외선 저항성이 우수하여 장기적인 내구성을 발휘하며 시멘트의 풍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표면 바탕조정용 조성물은 일액형 현탁액 제품으로 제공되어 시공이 편리하고 비산 먼지를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표면 바탕조정용 조성물은 휘발성 유기화합물 사용을 근본적으로 배제하여 인체에 해가 없는 환경친화적인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표면 바탕조정용 조성물은 현장에서 배합할 필요없이 즉시 사용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표면 바탕조정용 조성물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표면 바탕조정용 조성물은 100 중량부의 아크릴 에멀젼 수지 고형분; 약 20 중량부 내지 약 200 중량부의 탄산칼슘; 약 2 중량부 내지 약 70 중량부의 에스테르 알코올 유도체; 및 약 60 중량부 내지 약 270 중량부의 물;을 포함한다.
아크릴 에멀젼 수지 고형분은, 아크릴 에멀젼 수지 중의 아크릴 수지 입자를의미한다. 아크릴 에멀젼 수지는, 예를 들면, 수분산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로부터 유래할 수 있다. 수분산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는, 예를 들면, 분산매로서 비극성 지방족 탄화 수소계의 유기용제를 사용하고, 이 분산매에 불용인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를 사용하여 수 마이크론(㎛) 이하의 입자 크기를 갖는 비수분산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를 제조한 다음, 상기 유기용제를 물로 치환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표면 바탕조정용 조성물 중의 물이 증발하면, 아크릴 수지 입자(즉, 아크릴 에멀젼 수지 고형분)는 서로 결합하여 바인더 매트릭스를 형성하게 된다. 아크릴 에멀젼 수지 고형분의 중량평균분자량은, 예를 들면, 약 50,000 내지 약 1,000,000 일 수 있다. 아크릴 에멀젼 수지 고형분의 중량평균분자량이 너무 낮으면, 형성되는 표면 바탕조정재 층의 인장 강도 및 부착 강도가 낮아질 수 있다. 아크릴 에멀젼 수지 고형분의 중량평균분자량이 너무 높으면, 표면 바탕조정재 층의 건조시 외관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탄산칼슘은 형성되는 표면 바탕조정재 층의 무기충진제로서 사용될 뿐만 아니라, 형성되는 표면 바탕조정재 층에 음이온 발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탄산칼슘의 사용량은, 아크릴 에멀젼 수지 고형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약 20 중량부 내지 약 200 중량부일 수 있다.
에스테르 알코올 유도체는, 도포되는 표면 바탕조정용 조성물이 필름을 형성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에스테르 알코올 유도체는, 예를 들면, 알킬렌디올 디벤조에이트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에스테르 알코올 유도체는 디에틸렌글리콜 디벤조에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 디벤조에이트, 디이소프로필렌글리콜 디벤조에이트, 디부틸렌글리콜 디벤조에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디벤조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벤조에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에스테르 알코올 유도체의 사용량은, 아크릴 에멀젼 수지 고형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약 2 중량부 내지 약 70 중량부일 수 있다.
물은 아크릴 에멀젼 수지 고형분, 탄산칼슘 및 에스테르 알코올 유도체를 위한 분산매 또는 용매의 역할을 한다. 물의 사용량은, 아크릴 에멀젼 수지 고형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약 60 중량부 내지 약 270 중량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표면 바탕조정용 조성물의 점도는, 1 atm 및 25 ℃에서, 약 80,000 cp 내지 약 120,000 cp일 수 있다. 조성물의 점도가 너무 낮으면, 형성되는 표면 바탕조정재 층의 처짐(sagging)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조성물의 점도가 너무 높으면, 예를 들어, 콘크리트 벽면과 표면 바탕조정재 층 사이의 부착 강도가 저하될 수 있고, 조성물의 도포가 어려워져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면 바탕조정용 조성물은 무기 충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기 충진제는, 예를 들면, 이산화티타늄, 탈크, 카올린 클레이, 마이카, 황토, 글래스 버블,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이산화티타늄은, 예를 들어, 형성되는 표면 바탕조정재 층에 오염 방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탈크는, 예를 들어, 표면 바탕조정용 조성물 도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형성되는 표면 바탕조정재 층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카올린 클레이는, 예를 들어, 형성되는 표면 바탕조정재 층에 음이온 발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황토는, 예를 들어, 형성되는 표면 바탕조정재 층에 더욱 향상된 조습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글래스 버블은, 예를 들어, 형성되는 표면 바탕조정재 층에 더욱 향상된 차열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무기 충진제의 사용량은, 예를 들면, 아크릴 에멀젼 수지 고형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약 2 중량부 내지 약 70 중량부일 수 있다. 무기 충진제의 사용량이 너무 낮으면, 무기 충진제 투입에 따른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무기 충진제의 사용량이 너무 높으면, 예를 들어, 콘크리트 벽면과 표면 바탕조정재 층 사이의 부착 강도가 저하될 수 있고, 표면 바탕조정재 층에 잔갈림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면 바탕조정용 조성물은 에틸렌글리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에틸렌글리콜의 사용량은, 예를 들면, 아크릴 에멀젼 수지 고형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약 2 중량부 내지 약 70 중량부일 수 있다. 에틸렌글리콜의 사용량이 너무 낮으면, 도포된 표면 바탕조정용 조성물의 건조 속도가 너무 빨라져서, 도포 작업 도중에 파우더링이 발생할 수 있다. 에틸렌글리콜의 사용량이 너무 높으면, 도포된 표면 바탕조정용 조성물의 건조 속도가 너무 느려질 수 있고, 형성되는 표면 바탕조정재 층의 초기 내수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면 바탕조정용 조성물은, 예를 들면, 수분산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 현탁액에, 탄산칼슘 및 에스테르 알코올 유도체를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물을 더 투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면 바탕조정용 조성물은 일액형 현탁액 제품으로 제공되어 시공이 편리하고 비산 먼지를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표면 바탕조정용 조성물은 휘발성 유기화합물 사용을 근본적으로 배제하여 인체에 해가 없는 환경친화적인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표면 바탕조정용 조성물은 현장에서 배합할 필요없이 즉시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본 발명의 표면 바탕조정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표면 바탕조정재 층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표면 바탕조정재 층은,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표면 바탕조정용 조성물을, 예를 들면, 콘크리트 구조물과 같은 구조체의 표면에 도포한 후 자연건조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본 발명의 표면 바탕조정재 층은 미세 다공성이다. 표면 바탕조정재 층의 미세기공은 주변의 습도가 높을 때는 수분을 흡수하고, 주변의 습도가 낮을 때는 수분을 배출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표면 바탕조정재 층은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표면 바탕조정재 층의 미세기공은 유해물질을 흡착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표면 바탕조정재 층은 구조체로부터 방출되는 유해물질 차단 및 실내 공기정화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면 바탕조정재 층의 두께는, 예를 들면, 약 1 내지 약 3 mm 일 수 있다. 바탕조정재 층의 두께가 너무 얇으면, 열관류 억제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바탕조정재 층의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바탕조정재 층의 갈라짐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표면 바탕조정재 층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표면 바탕조정재 층 형성 방법의 일 구현예는, 구조체의 표면에 본 발명의 표면 바탕조정용 조성물을 도포한 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조체의 표면은, 예를 들면,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일 수 있다.
표면 바탕조정용 조성물을 도포는, 예를 들면, 브러쉬 코팅, 스프레이 코팅, 또는 롤러 코팅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포된 표면 바탕조정용 조성물의 건조는, 예를 들면, 자연 건조 또는 열풍 건조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건조 온도는, 예를 들면, 약 5 ℃ 내지 약 55 ℃일 수 있다. 건조 시간은, 건조 온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조 시간은 약 2 시간 내지 약 2 일 수 있다.
표면 바탕조정용 조성물의 도포 및 건조 단계는 2회 이상 반복될 수도 있다. 반복회수는, 원하는 표면 바탕조정재 층의 두께 및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면 바탕조정재 층 형성 방법의 다른 구현예는, 상기 구조체의 표면에 본 발명의 표면 바탕조정용 조성물을 도포한 후 건조하는 상기 단계의 이전에, 상기 구조체의 표면에 저점도 나노 아크릴 에멀젼 수지 용액을 도포한 후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점도 나노 아크릴 에멀젼 수지 용액은, 예를 들면, 수분산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일 수 있다. 수분산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는, 예를 들면, 분산매로서 비극성 지방족 탄화 수소계의 유기용제를 사용하고, 이 분산매에 불용인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 약 1 nm 내지 약 999 nm의 입자 크기를 갖는 비수분산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를 제조한 다음, 상기 유기용제를 물로 치환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저점도 나노 아크릴 에멀젼 수지 고형분의 중량평균분자량은, 예를 들면, 약 50,000 내지 약 1,000,000 일 수 있다.
저점도 나노 아크릴 에멀젼 수지 용액 중의 고형분의 함량은, 예를 들면, 점도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저점도 나노 아크릴 에멀젼 수지 용액의 점도는, 표준조건(25 ℃, 1 atm)에서, 약 300 cps 내지 1000 cps일 수 있다.
저점도 나노 아크릴 에멀젼 수지 용액의 도포는, 예를 들면, 브러쉬 코팅, 스프레이 코팅, 또는 롤러 코팅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포된 저점도 나노 아크릴 에멀젼 수지 용액의 건조는, 예를 들면, 자연 건조 또는 열풍 건조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건조 온도는, 예를 들면, 약 5 ℃ 내지 약 55 ℃일 수 있다. 건조 시간은, 건조 온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조 시간은 약 2 시간 내지 약 2 일 일 수 있다.
저점도 나노 아크릴 에멀젼 수지 용액은 건조되어 나노 아크릴 수지 층을 형성한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과 같은 구조체의 표면과 표면 바탕조정재 층의 사이에 나노 아크릴 수지 층이 위치하게 되면, 콘크리트 구조물로부터 방출되는 유해물질을 차단하는 기능이 더욱 강화될 수 있으며, 동시에, 표면 바탕조정재 층에 의한 실내 습도 조절 기능 및 실내 공기 정화 기능이 더욱 우수하게 발휘될 수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과 같은 구조체의 표면과 표면 바탕조정재 층의 사이에 위치하는 나노 아크릴 수지 층의 두께는, 예를 들면, 약 0.1 mm 내지 약 1 mm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표면 바탕조정재 층 형성 방법의 또 다른 구현예는, 상기 구조체의 표면에 본 발명의 표면 바탕조정용 조성물을 도포한 후 건조하는 상기 단계 이후에, 상기 구조체의 표면에 본 발명의 표면 바탕조정용 조성물을 도포한 후 건조하는 상기 단계로부터 형성된 표면 바탕조정채 층의 표면에 저점도 나노 아크릴 에멀젼 수지 용액을 도포한 후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점도 나노 아크릴 에멀젼 수지 용액은, 예를 들면, 수분산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일 수 있다. 수분산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는, 예를 들면, 분산매로서 비극성 지방족 탄화 수소계의 유기용제를 사용하고, 이 분산매에 불용인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 약 1 nm 내지 약 999 nm의 입자 크기를 갖는 비수분산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를 제조한 다음, 상기 유기용제를 물로 치환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저점도 나노 아크릴 에멀젼 수지 고형분의 중량평균분자량은, 예를 들면, 약 50,000 내지 약 1,000,000 일 수 있다.
저점도 나노 아크릴 에멀젼 수지 용액 중의 고형분의 함량은, 예를 들면, 점도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저점도 나노 아크릴 에멀젼 수지 용액의 점도는, 표준조건(25 ℃, 1 atm)에서, 약 300 cps 내지 1000 cps일 수 있다.
저점도 나노 아크릴 에멀젼 수지 용액의 도포는, 예를 들면, 브러쉬 코팅, 스프레이 코팅, 또는 롤러 코팅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포된 저점도 나노 아크릴 에멀젼 수지 용액의 건조는, 예를 들면, 자연 건조 또는 열풍 건조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건조 온도는, 예를 들면, 약 5 ℃ 내지 약 55 ℃일 수 있다. 건조 시간은, 건조 온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조 시간은 약 2 시간 내지 약 2 일 일 수 있다.
저점도 나노 아크릴 에멀젼 수지 용액은 건조되어 나노 아크릴 수지 층을 형성한다. 표면 바탕조정재 층의 표면에 형성된 나노 아크릴 수지 층에 의하여, 표면 바탕조정재 층의 내오염 성능 및 항균성능이 더욱 강화될 수 있다. 표면 바탕조정재 층의 표면에 형성된 나노 아크릴 수지 층의 두께는, 예를 들면, 약 0.1 mm 내지 약 1 mm 일 수 있다.
<실시예>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00 인 아크릴 에멀젼 수지 고형분 100 중량부, 탄산칼슘 100 중량부, 에스테르 알코올 유도체로서 디에틸렌글리콜 디벤조에이트 10 중량부, 물 100 중량부, 무기 충진제로서 이산화티타늄 5 중량부, 탈크 5 중량부, 카올린 클레이 5 중량부, 그리고, 에틸렌글리콜 10 중량부를 함유하는 표면 바탕조정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조성물의 점도는, 1 atm 및 25 ℃에서, 100,000 cp이었고, 비중은 1.83이었다. 이렇게 얻은 조성물을, 양생된 콘트리트 벽 표면에 롤러코팅한 후, 3 시간 동안 자연건조하여, 두께 1.5 mm의 바탕조정재 층을 형성하였다. 이렇게 형성된 바탕조정재 층에는 처짐이나 잔갈림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콘크리트 벽 표면에 대한 부착강도는 120 N/cm2 으로서 매우 우수하였다. 이로부터, 본 실시예에서 형성된 바탕조정재 층은 표면 바탕조정재 층으로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16)

100 중량부의 아크릴 에멀젼 수지 고형분;
20 중량부 내지 200 중량부의 탄산칼슘;
2 중량부 내지 70 중량부의 에스테르 알코올 유도체; 및
60 중량부 내지 270 중량부의 물;을 포함하는 표면 바탕조정용 조성물.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에멀젼 수지 고형분의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0 내지 1,00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바탕조정용 조성물.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 알코올 유도체는 알킬렌디올 디벤조에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바탕조정용 조성물.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바탕조정용 조성물의 점도는, 1 atm 및 25 ℃에서, 80,000 cp 내지 120,000 c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바탕조정용 조성물.
제 1 항에 있어서, 무기 충진제로서, 이산화티타늄, 탈크, 카올린 클레이, 마이카, 황토, 글래스 버블, 또는 이들의 조합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바탕조정용 조성물.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충진제의 사용량은, 상기 아크릴 에멀젼 수지 고형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2 중량부 내지 7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바탕조정용 조성물.
제 1 항에 있어서, 에틸렌글리콜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바탕조정용 조성물.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글리콜의 사용량은, 아크릴 에멀젼 수지 고형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2 중량부 내지 7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바탕조정용 조성물.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표면 바탕조정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표면 바탕조정재 층.
제 9 항에 있어서, 두께가 1 내지 3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바탕조정재 층.
구조체의 표면에,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표면 바탕조정용 조성물을 도포한 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면 바탕조정재 층 형성 방법.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의 표면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바탕조정재 층 형성 방법.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바탕조정용 조성물을 도포한 후 건조하는 단계의 이전에, 상기 구조체의 표면에 저점도 나노 아크릴 에멀젼 수지 용액을 도포한 후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바탕조정재 층 형성 방법.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점도 나노 아크릴 에멀젼 수지 용액의 점도는, 표준조건(25 ℃, 1 atm)에서, 300 cps 내지 1000 cp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바탕조정재 층 형성 방법.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바탕조정용 조성물을 도포한 후 건조하는 상기 단계 이후에, 상기 표면 바탕조정용 조성물을 도포한 후 건조하는 상기 단계로부터 형성된 표면 바탕조정채 층의 표면에, 저점도 나노 아크릴 에멀젼 수지 용액을 도포한 후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바탕조정재 층 형성 방법.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저점도 나노 아크릴 에멀젼 수지 용액의 점도는, 표준조건(25 ℃, 1 atm)에서, 300 cps 내지 1000 cp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바탕조정재 층 형성 방법.
KR20130077934A 2013-07-03 2013-07-03 표면 바탕조정용 조성물 KR201500046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7934A KR20150004656A (ko) 2013-07-03 2013-07-03 표면 바탕조정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7934A KR20150004656A (ko) 2013-07-03 2013-07-03 표면 바탕조정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656A true KR20150004656A (ko) 2015-01-13

Family

ID=52476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7934A KR20150004656A (ko) 2013-07-03 2013-07-03 표면 바탕조정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465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3829B1 (ko) * 2018-09-19 2019-03-29 조성록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 복합 중층막 보수공법
KR101963828B1 (ko) * 2018-09-19 2019-03-29 조성록 복합 코팅막 콘크리트구조물 균열보수용 퍼티조성물
KR102296298B1 (ko) * 2021-04-27 2021-09-02 주식회사 세기엔지니어링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 보호용 마감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장 공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3829B1 (ko) * 2018-09-19 2019-03-29 조성록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 복합 중층막 보수공법
KR101963828B1 (ko) * 2018-09-19 2019-03-29 조성록 복합 코팅막 콘크리트구조물 균열보수용 퍼티조성물
KR102296298B1 (ko) * 2021-04-27 2021-09-02 주식회사 세기엔지니어링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 보호용 마감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장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2281B1 (ko) 투명성 단열 코팅액 조성물
US11225437B2 (en) Latex-based formulations for coating and sculpting applications
KR20150004656A (ko) 표면 바탕조정용 조성물
KR101323878B1 (ko) 침엽수 미세분말을 함유한 수성의 코팅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80104770A (ko) 라돈 방사선 차단 도장방법과 그 도장층
KR101391350B1 (ko) 도장방법
JP2023115332A (ja) 水性被覆材
JP4604245B2 (ja) 建築物の表装仕上げ構造および表装仕上げ層の形成方法
EP2907854A1 (en) Filler composition for use as repair material
KR101748151B1 (ko) 축광성 표면처리재를 이용한 시설물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처리공법
JP5580509B2 (ja) 水系塗材組成物及びその施工方法並びにそれによる壁構造
KR100908772B1 (ko) 미세크랙방지 및 오염제거기능을 부여한 수성 도료 조성물
JP4597497B2 (ja) 建築物用塗料組成物
JP6298261B2 (ja) フロアパネル
KR101357845B1 (ko) 점착성이 우수한 외단열용 단열패드와 알루미늄 금속 패널의 접착용 접착제 조성물
JP4982123B2 (ja) 塗膜形成方法
ES2714300T3 (es) Composición polimérica mejorada para subestructuras a base de cemento
KR100850580B1 (ko) 환경 친화적 천연소재 무기질 혼합형 접착제 조성물
NL2013822B1 (en) A paint composition, a method of shielding a substrate, a use of a paint composition for shielding a substrate, and a painted substrate.
JP5871716B2 (ja) 断熱塗料
JP7388858B2 (ja) 被膜積層体
KR20080104768A (ko) 라돈 방사선 차단 도장방법과 그 도장층
JP2022139510A (ja) 合成樹脂エマルション塗料及びその塗膜
NL2013823B1 (en) A paint composition, a method of shielding a substrate, a use of a paint composition for shielding a substrate, and a painted substrate.
KR101710239B1 (ko) 복합단열재 전용 접착제의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