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0239B1 - 복합단열재 전용 접착제의 조성물 - Google Patents

복합단열재 전용 접착제의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0239B1
KR101710239B1 KR1020140187061A KR20140187061A KR101710239B1 KR 101710239 B1 KR101710239 B1 KR 101710239B1 KR 1020140187061 A KR1020140187061 A KR 1020140187061A KR 20140187061 A KR20140187061 A KR 20140187061A KR 101710239 B1 KR101710239 B1 KR 101710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acrylic copolymer
composite
adhesive composition
composite ins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7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6696A (ko
Inventor
송기창
Original Assignee
송기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기창 filed Critical 송기창
Priority to KR1020140187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0239B1/ko
Publication of KR20160076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6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0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0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41Organic pigments; Organic dy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단열재 전용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건축물의 벽면에 복합단열재를 부착할 때 사용하는 접착제는 아크릴 공중합체와, 탄산칼슘, 검로진, 소포제, 분산제, 물, 증점제로 혼합되어 빠른 시간에 접착제가 경화되어 작업공정을 단축함은 물론 포름알데히드 및 VOC 함량이 전혀 없어 환경친화적인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합단열재 전용 접착제의 조성물{ADHESIVE COMPOSITION}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면에 복합단열재를 부착하기 위해 사용하는 접착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건축물의 벽면에 복합단열재를 부착할 때 사용하는 접착제는 아크릴 공중합체와, 탄산칼슘, 검로진, 소포제, 분산제, 물, 증점제로 혼합되어 빠른 시간에 접착제가 경화되어 작업공정을 단축함은 물론 포름알데히드 및 VOC 함량이 전혀 없어 환경친화적인 복합단열재전용 접착제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여러 건축물에서 벽면의 단열, 차음, 흡음, 내열성 등을 가질 수 있도록 복합단열재를 부착하여 사용한다.
상기 복합단열재는 여러 소재의 층을 접합하여 만드는 것이 일반적인 것으로서 콘크리트 건물에서 실내를 구획하는 외 벽면 및 층간 슬라브에는 실내를 냉·난방하는데 따른 에너지의 손실을 방지하고 결로현상이 발생됨을 방지하고자 복합단열재를 설치 사용하여 왔다.
이러한 복합단열재는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구조로서 개발되어 왔는데, 그 중 하나로 발포성 합성수지의 하부면에 별도의 합성수지 표면재가 일체로 접합된 복합단열재가 있다.
이러한 복합단열재는 실내를 냉·난방하는데 따른 에너지의 손실을 방지하고 결로현상이 발생됨을 방지하여 주는 동시에, 합성수지 표면재를 통하여 이질의 마감용 벽지를 부착시켜서 마감할 수 있게 하여 주는 장점을 가지게 되었다.
한편, 상기 복합단열재를 건축물의 벽면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벽면에 부착하는데, 상기 접착제는 에폭시계, 용제형 우레탄계를 주로 사용하며, 에폭시계 접착제는 비스페놀-A를 주원료로 하여 분자량 조절을 통해 접착력을 가지도록 한 제품이나 방향족 페놀구조를 가지고 있어 건조 또는 경화 후에 인체에 유해한 난분해성 방향족 화합물이 방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용제형 우레탄계 접착제는 접착력과 탄성력이 우수하나 유기용제를 사용함으로써 인체에 유해성이 있으며 복합단열재의 패널 내부 물질인 스티로폼 재질을 녹이게 되어 접착면에 공극이 생겨 패널 내구성이 떨어지고 접착제의 경화 또는 건조시간이 길어 작업 후 접착면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접착제는 첨가물이 VOC 방출량(휘발성유기화합물)과 함께 작업시 불쾌한 냄새 배출로 인해 제품적용이 어려웠다.
따라서 종래의 복합단열재 전용 접착제는 복합단열재의 부착성과 접착제의 신속한 경화에만 초점을 두다보니, 인체에 유해한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 등의 발암성 유해물질이나 휘발성이 높은 성분이 다량으로 포함되어 있어서 실내 등에 사용 시 유해한 냄새를 유발하게 되거나 인체에 매우 유해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복합단열재를 벽면에 시공하기 위해 접착제를 도포한 후 벽면에 부착하면 접착제가 경화되는 동안 복합 단열재가 벽면에서 분리되어 바닥으로 넘어오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복합 단열재에 못질을 하거나 타카를 쏴서 고정하기 때문에 작업공정이 추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11-80257호 "건축용 접착제 및 이를 이용한 건축패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유해성 및 작업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휘발성 유기용제가 함유되지 않으며 기존 접착제보다 경화속도를 빠르고, 인체에 무해성의 친환경 제품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경화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복합단열재를 벽면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못이나 타카로 고정하지않기 때문에 작업공정을 단축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복합단열재 전용 접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아크릴 공중합체, 탄산칼슘, 검로진, 소포제, 분산제, 물, 증점제를 혼합한 복합단열재 전용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복합단열재 전용 접착제 조성물은 아크릴 공중합체를 사용함으로 인해 종래의 접착제보다 경화속도가 빠르며 접착력이 매우 우수하여 복합단열재가 부착하는 과정에서 못이나 타카를 사용하여 고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공정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아크릴 공중합체 및 탄산칼슘, 검로진을 사용하여 VOC를 함유하지않아 인체에 무해함으로 인해 환경친화적인 제품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복합단열재 전용 접착제를 사용하여 복합단열재를 부착한 상태를 도시해 보인 단면도.
상기와 같은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복합단열재 전용 접착제 조성물은 아크릴 공중합체(acrylic copolymer) 40 중량%, 탄산칼슘 30%, 검로진(Rosin)5 중량% , 소포제(Antifoaming) 1중량%, 분산제(Disperstion - agent) 1중량%, 물 5중량%, 증점제 15중량%, 계면 활성제 3중량%를 혼합한 구성이다.
따라서 본 발명 복합단열재 전용 접착제(1)는 수용성 아크릴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타업체의 접착제보다 경화시간이 빠르고 접착력이 우수하여 작업성이 용이하고 접착한 후 1 시간 만에 경화가 시작되며, 포름알데히드 및 VOC 함량이 전혀 없어 친환경 접착제(1)이다.
한편, 아크릴 공중합체는 수용성 아크릴 수지로서 균열 보수용으로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경화시간이 빠르고 작업성이 우수하며, 냄새나 독성이 거의 없어 벽지 및 페인트에 접착성이 우수하며 크랙이 형성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는 일반적으로 접착성, 점착성, 내후성 및 가교 기능이라는 특성과 에멀젼이라는 형태에 의한 다른 고분자 에멀젼과의 상용성 우수, 높은 함량의 고형분, 점도 조절이 용이하고 및 작업성이 우수하다.
이러한 아크릴 공중합체는 직물가공용, 직물 코팅용, 피혁 도장, 수성페인트, 인쇄잉크용, 바닥광택용 등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고 계속 증가 추세에 있다.
또한, 아크릴 공중합체가 많이 사용되는 이유는 아크릴 단량체는 다른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하여 원하는 물성을 얻는 것이 비교적 용이하고 내후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아크릴 공중합체는 용제형과 수계형으로 나누어지는데, 용제형은 환경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요인들에 의해 규제가 강화되고 있으며, 수계형은 용제형에 비해 내수성이 떨어지는데, 비연속적 피막이 형성되며 공중합체 제조시에 첨가한 소포제, 분산제 등의 저분자량의 성분을 함유함으로 인해 수계형을 사용한다.
또한, 아크릴 공중합체에는 충진제로써 접착제의 강도를 높여주고 인체에 무해한 광산물인 탄산칼슘(CaCo3)를 혼합한다.
또한, 접착제의 초기 접착 강도를 향상시키며, 접착제의 탄성(신축성)을 제공하기 위해 천연 소나무의 송진인 검로진을 사용함으로 인해 환경친화적이다.
또한, 아크릴 공중합체와 탄산칼슘, 송로진 등을 포함한 혼합물이 혼합되어 저장 안정성이 향상되도록 분산제를 첨가하고, 혼합시 발생하는 유해기포를 제거하기 위해 소포제도 첨가한다.
또한, 상기 혼합물에는 수용성으로 접착제의 점도를 높여주어 작업성도 용이하도록 증점제를 첨가하여 혼합하고 안정제로 계면활성제를 첨가한다.
도 1은 본 발명 복합단열재 전용 접착제를 사용하여 복합단열재를 부착한 상태를 도시해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 접착제는 건축물의 벽면(3)에 복합단열재(1)를 부착하기 위해 우선 시공할 벽면(3)에 벽지를 제거한 후 곰팡이 제거제를 뿌린 다음 건조 과정을 거친 후 복합단열재(2)에 접착제(1)를 도포한 다음 벽면에 부착한다.
그러면 접착제(1)는 경화시간이 다른 업체의 접착시간보다 빠르기 때문에 복합단열재(2)를 고정하기 위하여 못이나 타카로 고정하는 작업을 하지않아도 견고하게 부착되어 작업공정을 단축할 수 있다.
1: 접착제
2: 복합단열재
3: 벽면

Claims (1)

  1. 복합단열재 전용 접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아크릴 공중합체(acrylic copolymer) 40중량%, 탄산칼슘 30중량%, 검로진(Rosin) 5중량% , 소포제(Antifoaming) 1중량%, 분산제(Disperstion - agent) 1중량%, 물 5중량%, 증점제 15중량%, 계면활성제 3중량%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단열재 전용 접착제의 조성물.
KR1020140187061A 2014-12-23 2014-12-23 복합단열재 전용 접착제의 조성물 KR101710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061A KR101710239B1 (ko) 2014-12-23 2014-12-23 복합단열재 전용 접착제의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061A KR101710239B1 (ko) 2014-12-23 2014-12-23 복합단열재 전용 접착제의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6696A KR20160076696A (ko) 2016-07-01
KR101710239B1 true KR101710239B1 (ko) 2017-02-24

Family

ID=56500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7061A KR101710239B1 (ko) 2014-12-23 2014-12-23 복합단열재 전용 접착제의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023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0785B1 (ko) * 2011-07-29 2012-03-22 (주)노루페인트 속건형 접착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속건형 접착조성물을 이용한 속건형 복합방수 시공방법
KR101240667B1 (ko) 2010-07-02 2013-03-18 주식회사 호룡 건축 자재용 무기 접착제 조성물
KR101357845B1 (ko) * 2012-03-14 2014-02-06 이병준 점착성이 우수한 외단열용 단열패드와 알루미늄 금속 패널의 접착용 접착제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485B1 (ko) * 2004-10-01 2007-05-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저발연 및 난연성 점착제 및 그를 이용한 점착제품
KR101631209B1 (ko) 2010-01-05 2016-06-16 코웨이 주식회사 냉매 회수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667B1 (ko) 2010-07-02 2013-03-18 주식회사 호룡 건축 자재용 무기 접착제 조성물
KR101120785B1 (ko) * 2011-07-29 2012-03-22 (주)노루페인트 속건형 접착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속건형 접착조성물을 이용한 속건형 복합방수 시공방법
KR101357845B1 (ko) * 2012-03-14 2014-02-06 이병준 점착성이 우수한 외단열용 단열패드와 알루미늄 금속 패널의 접착용 접착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6696A (ko) 2016-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63040C2 (ru) Панель для наружной обшивки со встроенной воздухо/водонепроницаемой мембраной
CN104910836B (zh) 一种贴木皮胶及其制备方法
KR101253028B1 (ko) 수용성 도막방수제를 이용한 시트복합 방수공법
KR101599792B1 (ko) 친환경 수성 세라믹 방수 페인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880455B1 (ko) 분사식 엠보싱 방수층 시공 방법
KR102228695B1 (ko) 탄성 몰탈 도막방수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US8362135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adhesion
US20180354230A1 (en) Removable flooring system
KR101122254B1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수용성 도막방수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87131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 보수공법
KR101710239B1 (ko) 복합단열재 전용 접착제의 조성물
CA2580746A1 (en) Low-emission adhesive composition based on a solvent
KR20160100117A (ko) 콘크리트 바닥의 친환경 표면강화 시공방법
KR20150004656A (ko) 표면 바탕조정용 조성물
US4845144A (en) Fluid resistant coating composition
EP3129565B1 (en) Process for preparing a surface for decoration
KR100575040B1 (ko) 온돌마루용 2액형 수성접착제 조성물
US20220056706A9 (en) Removable flooring system
JP2005220527A (ja) 複合防水工法およびそれによって得られる複合防水構造体
ES2559856T3 (es) Procedimiento para preparar una superficie para decoración
JP2005271295A (ja) 低臭型frp防水構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249986B1 (ko) 줄눈용 접착제
DE102008013020A1 (de) Klebstoff, insbesondere Dispersions-Parkettkleber
JP2018115317A (ja) エマルジョン組成物、下塗り材、及び、防水構造とその施工方法
SU937497A1 (ru) Кле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