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9986B1 - 줄눈용 접착제 - Google Patents

줄눈용 접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9986B1
KR101249986B1 KR1020120066265A KR20120066265A KR101249986B1 KR 101249986 B1 KR101249986 B1 KR 101249986B1 KR 1020120066265 A KR1020120066265 A KR 1020120066265A KR 20120066265 A KR20120066265 A KR 20120066265A KR 101249986 B1 KR101249986 B1 KR 101249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weight
wax
joint
joint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6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현석
Original Assignee
(주) 마가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마가켐 filed Critical (주) 마가켐
Priority to KR1020120066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99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9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99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22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 C08K7/24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inorganic
    • C08K7/28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08L91/06Wax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1/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1/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9J131/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Sealing Material Composition (AREA)

Abstract

줄눈용 시멘트와 비슷한 접착력 및 강도를 보이면서 내오염성이 뛰어나고 카트리지에 충전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줄눈용 접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접착용 에멀전 조성물은 바인더, 왁스, 및 글라스 버블(glass bubble)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줄눈용 접착제{Adhesive for masonry joint}
본 발명은 타일 및 대리석 등에 사용되는 줄눈용 접착제에 관한 것이다.
줄눈용 접착제는 타일 또는 대리석 등의 사이에 좁은 공간(약 1~ 20mm)을 메우는 충진재이다. 타일은 욕실 등에서 사용되어 항상 습도가 높은 곳에서 사용이 되며, 세면 및 목욕을 위한 빈번한 출입으로 인하여 여러 가지 오염 원인에 자주 노출이 된다. 또한 대리석 등은 실외에서 사람들의 통행이 많은 곳에 설치가 되어 쉽게 오염이 되고, 환경 변화에도 자주 노출이 된다. 따라서, 타일 또는 대리석 등의 이음새를 메우는 줄눈제 역시 쉽게 오염이 되고, 수명 또한 짧다.
타일 또는 대리석 등의 이음새를 메우기 위해서,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는 줄눈제로 타일시멘트에 물을 첨가해 반죽하여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이음새를 메우게 되면, 시간이 지나면 쉽게 오염이 되고 깨지게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줄눈용 시멘트와 비슷한 접착력 및 강도를 보이면서 내오염성이 뛰어나고, 경량이고, 카트리지에 충전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줄눈용 접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줄눈용 접착제의 일 태양(aspect)은 바인더, 왁스 및 글라스 버블(glass bubble)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왁스는 파라핀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폴리프로필렌 왁스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왁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바인더는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및 초산비닐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바인더는 1 - 50 중량%, 상기 글라스 버블은 1 - 20 중량% 및 상기 왁스는 1-70 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실리카, 분산제, 지당 및 탄산칼슘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실리카는 10-70 중량%, 상기 분산제는 0.1-1 중량%, 상기 지당은 1-10 중량% 및 상기 탄산칼슘은 5-30 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줄눈용 접착제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줄눈용 시멘트에 물을 첨가하여 사용하는 것과 비슷한 수준의 접착력 및 강도를 얻을 수 있으면서도, 현재의 줄눈용 시멘트보다 뛰어난 내오염성이 보여준다.
또한, 글라스 버블을 포함함으로써, 줄눈용 접착제의 경량화를 이룰 수 있어 시공의 편리성이 증대된다.
또한, 물을 포함하지 않고, 유성의 성질을 갖게 되어, 내오염성이 향상되고, 재시공 없이 오랜 기간 동안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줄눈용 접착제에 대해 설명한다.
줄눈용 접착제는 바인더(A), 왁스(B) 및 글라스 버블(glass bubble)(C)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줄눈용 접착제는 실리카, 분산제, 지당(TiO2) 및 탄산 칼슘(CaCO3)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인더(A)(binder)는 예를 들어, 줄눈용 접착제의 접착력을 갖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바인더는 예를 들어, 수지(resin)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및 초산비닐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인더로 사용되는 수지는 예를 들어, 에멀전 형태가 아닌 유성용으로 만들어진 수지일 수 있고, 파우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바인더는 줄눈용 접착제의 조성물에 대하여 예를 들어, 1 내지 50 중량%가 포함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4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바인더가 상기 범위로 포함되는 경우 왁스와의 상용성이 우수하고, 접착제의 강도가 증가하여 크랙 발생이 감소하며, 접착력도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바인더가 상기 범위로 포함되는 경우, 건조 후 줄눈용 접착제의 경도가 증가하여, 줄눈용 접착제의 내구성이 증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크릴 수지는 예를 들어, 아크릴 단량체를 이용하여 만든 폴리머일 수 있다. 아크릴계 단량체는 구체적으로, 스치렌 모노마,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이소 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 헥실 메타크릴레이트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아크릴 수지의 유리전이 온도(glass transition temperature)(Tg)는 -60℃ 내지 80 ℃ 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10 ℃ 내지 50 ℃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 아크릴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 수지가 상기 범위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눈용 접착제의 접착 강도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접착 후 변형이 적고 내후성이 증가한다.
초산비닐 수지는 예를 들어, 초산비닐 단량체를 부가 중합시켜 만든 폴리머일 수 있다. 초산비닐 단량체는 아세틸렌과 초산으로부터 생성되는 화합물이다. 초산비닐 수지는 물에는 녹지 않지만, 예를 들어, 알코올류 또는 에스테르류에 녹는 유성의 성질을 가질 수 있다. 초산비닐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는 30℃ 내지 40℃ 일 수 있으며, 상기 범위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가질 때, 줄눈용 접착제의 접착 강도가 증가할 수 있다.
우레탄 수지는 예를 들어, 디이소시아네이트와 글리콜을 부가중합시켜 만든 폴리머일 수 있다. 글리콜은 예를 들어, 폴리테트라메틸렌에스테르 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또는 폴리카보네이트디올 등일 수 있다. 디이소시아네이트는 예를 들어, 디페닐 메탄-4,4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부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수소화된 P.P-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일 수 있다.
왁스(B)는 예를 들어, 에멀전 형태가 아닌 파우더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왁스는 예를 들어, 광택, 윤활 작용 및 방수 효과를 가지고 있고, 왁스는 분산제에 의해 바인더 등과 혼합되어, 줄눈용 접착제에 포함될 수 있다. 줄눈용 접착제에 왁스를 첨가할 경우, 줄눈용 접착제는 피막형성 및 경화가 촉진된다. 또한, 줄눈용 접착제가 경화되었을 때, 왁스는 외부 충격에 대항하는 강도를 갖게 하며, 발수성이 뛰어나 줄눈용 접착제의 내오염성을 향상시킨다.
왁스는 줄눈용 접착제의 조성물에 대하여 예를 들어, 1 내지 70 중량%가 포함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중량%일 수 있다. 왁스가 상기 범위로 포함되는 경우 줄눈용 접착제의 접착력이 증대되고, 발수성이 뛰어나 내오염성이 향상된다. 또한, 줄눈용 접착제의 경화를 촉진시켜, 시공 후 빠른 시간 내에 사용이 가능하다. 왁스는 예를 들어, 파라핀 왁스, 폴리에틸렌(PE) 왁스, 폴리프로필렌(PP) 왁스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 왁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파라핀 왁스는 융점이 50 ℃ 내지 150 ℃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50 ℃ 내지 90 ℃일 수 있다. 폴리에틸렌 왁스의 소프트닝 온도는 80℃ 내지 160℃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120 ℃ 내지 140℃일 수 있다. 상기 온도 범위를 갖는 왁스가 포함될 경우, 조성물의 발수성이 뛰어나 내오염성이 향상된다.
글라스 버블(C)은 예를 들어, 줄눈용 접착제의 보강성 충진재일 수 있다. 보강성 충진재라 함은 줄눈용 접착제의 과도한 수축을 방지하기 위한 것과 줄눈용 접착제의 단단함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즉, 줄눈용 접착제는 경화가 되면서 전체적인 에너지를 낮추기 위해서 부피 수축을 하게 된다. 따라서, 글라스 버블은 줄눈용 접착제가 과도한 수축을 통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접착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글라스 버블은 외부 환경에 노출이 되어도 경화된 줄눈용 접착제가 쉽게 부서지지 않도록 한다.
글라스 버블은 수분에 대한 저항력이 강하고,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한 소다 라임 보로 실리케이트 유리로 만들어진 보강재이다. 글라스 버블은 줄눈용 접착제의 조성물에 대해서 예를 들어, 1 내지 20 중량%가 포함될 수 있다. 글라스 버블이 상기 범위로 포함되는 경우, 줄눈용 접착제는 경량화 될 수 있고, 치수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 또한, 글라스 버블이 상기 범위로 포함될 경우, 줄눈용 접착제가 경화 후, 크랙 발생이 되지 않을 수 있다. 글라스 버블은 수분에 대한 저항력이 좋기 때문에, 글라스 버블을 포함하는 줄눈용 접착제를 수분이 많은 환경 예를 들어, 욕실 등에 사용하여도, 줄눈용 접착제에 수분에 대한 저항성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글라스 버블은 미세한 중공 유리구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유리구 형태의 글라스 버블은 볼-베어링 효과를 제공하게 되어, 줄눈용 접착제가 글라스 버블을 많이 포함하고 있어도 흐름성에 대한 문제를 야기시키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글라스 버블을 포함하는 줄눈용 접착제는 수축률을 개선하고, 방향에 따른 물성 차이를 제거 또는 경감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글라스 버블은 다른 충진재와 달리 거의 구형에 가까운 형상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다른 충진재와 동일한 부피를 첨가하여도, 글라스 버블은 줄눈용 접착제의 점도 상승을 최소화시켜 준다. 또한, 글라스 버블은 방향에 따른 물성의 변화를 최소화시켜 주기 때문에, 줄눈용 접착제가 경화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뒤틀림을 줄여주고, 수축률을 주여서 치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분산제는 예를 들어, 줄눈용 접착제에 포함되는 바인더, 왁스 및 글라스 버블 등이 잘 혼합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물질이다. 줄눈용 접착제에 포함되는 바인더 및 왁스는 물을 포함하는 에멀전 형태가 아닐 수 있기 때문에, 분산제는 예를 들어, 파우더 형태의 바인더 및 왁스가 혼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분산제는 바인더로 사용되는 각종 수지와 왁스가 잘 섞여서, 줄눈용 접착제 내에서 상분리가 일어나지 않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분산제는 줄눈용 접착제 조성물에 대하여 예를 들어, 0.1 내지 1 중량%가 포함될 수 있다. 분산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눈용 접착제에 포함되는 바인더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이므로, 분산제의 종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분산제를 사용하여 유성 줄눈용 접착제를 제조할 경우의 장점에 대해서 기술한다. 유성 줄눈용 접착제의 경우 수성 줄눈용 접착제에 비하여 경화되는 속도가 조금 느릴 수 있다. 하지만, 경화가 늦는 대신 일단 경화가 되고 나면, 유성 줄눈용 접착제는 수성 줄눈용 접착제보다 접착력 및 내구성이 우수하여 박리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유성 줄눈용 접착제는 한번의 시공으로 오랜 시간 유지가 가능하다. 또한, 유성 줄눈용 접착제는 물에 대한 저항성 높아 즉, 물을 흡수하는 능력이 낮아 오염 물질의 줄눈용 접착제 내부로의 침투를 막을 수 있다. 이는 줄눈용 접착제의 내오염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어, 반복적인 재시공 없이 깨끗한 줄눈용 접착제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실리카는 줄눈용 접착제의 충진재로 역시 사용될 수 있다. 실리카는 줄눈용 접착제 조성물에 대하여 예를 들어, 10 내지 70 중량%가 포함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중량%일 수 있다. 또한, 충진재의 역할을 하는 글라스 버블과 같이 줄눈용 접착제에 포함될 경우, 글라스 버블과 실리카는 예를 들어, 1:2 내지 1:5 비율로 줄눈용 접착제에 포함될 수 있다.
탄산 칼슘은 보강성을 위한 충진재로 사용될 수 있다. 탄산 칼슘은 줄눈용 접착제 조성물에 대하여 예를 들어, 5 내지 30 중량%가 포함될 수 있다. 보강성을 위한 충진재로 글라스 버블과 함께 사용될 수 있으나, 탄산 칼슘은 글라스 버블과 비교하여 줄눈용 접착제에 용해되는 양이 적고, 물에 대한 저항력이 글라스 버블에 비해 떨어진다. 따라서 탄산칼슘의 양은 제한될 수 있다.
지당은 화학명으로 이산화 티타늄이다. 지당은 음폐력이 크며 열에 안정하므로 흰색의 도료에 널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착용 에멀전 조성물에서, 조성물이 흰색을 띌 수 있도록 사용을 하며, 줄눈용 접착제 조성물에 대하여 1 내지 10중량%가 포함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일 뿐,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상술한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으로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줄눈용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여 줄눈용 접착제의 크랙 발생 여부를 실험하였다. 하기 표 1의 단위는 g 이다. 본 실험에서는 바인더로 아크릴 수지를 사용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실험 1의 실험 결과는 초산비닐 수지 및 우레탄 수지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크릴 수지 글라스 버블 크랙 발생 여부
실시예 1 10 1
실시예 2 10 1.5
실시예 3 10 2
실시예 4 10 3
실시예 5 10 4
실시예 6 10 5
실시예 7 10 6
<평가> 크랙 발생 여부
상기 실시예 1 내지 7의 줄눈용 접착제를 시공하여 경화시킨 이후, 상온에서 3일 경과한 후에 크랙이 발생하는지를 관찰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크랙 발생 여부는 타일면 박리나 경화된 줄눈용 접착제 내에 크랙이 발생하는지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현재 사용되는 줄눈용 접착제는 줄눈용 시멘트에 물을 첨가하여 사용한다. 따라서, 글라스 버블은 현재 사용되는 줄눈용 접착제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실시예와 비교할 수 있는 비교예는 기재하지 않았다.
글라스 버블 대 아크릴 수지의 중량비가 3: 20 미만 즉, 글라스 버블의 중량이 아크릴 수지 중량의 15% 미만이 되는 실험예에서 크랙이 발생을 한다. 이는 줄눈용 접착제를 시공하여 경화시키면 오랜 시간이 지나지 않아 시공한 줄눈용 접착제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이므로, 줄눈용 접착제 조성물의 내구성이 저하된 것이다.
하지만, 글라스 버블의 중량이 아크릴 수지 중량이 10% 초과 15% 미만인 경우에 대하여 본 실험 예에서 포함되지 않았으므로, 줄눈용 접착제 조성물의 크랙이 발생하지 않는 글라스 버블 대 아크릴 수지의 중량비가 예를 들어, 3: 20보다 작은 값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글라스 버블 대 아크릴 수지의 중량비가 3: 20 이상인 경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모든 실험예에서 크랙이 발생하지 않았다. 이를 통하여 줄눈용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할 때, 글라스 버블 대 아크릴 수지의 중량비가 3: 20 이상이 되도록 만들 경우, 시공된 줄눈용 접착제에서 크랙이 발생하지 않을 것 임을 알 수 있다. 표 1에서는 글라스 버블 대 아크릴 수지의 중량비가 3: 5까지 기재되어 있으나, 실험 결과의 추이로 판단할 때, 글라스 버블 대 아크릴 수지의 중량비가 3: 5까지 제한되지 않고 글라스 버블의 중량비가 더 증가하여도 크랙이 발생하지 않음을 예상할 수 있다.
<실험예 2> 내오염성 평가
실시예 1 내지 11을 통하여, 줄눈용 접착제의 내오염성을 평가하였다. 하기 표 2은 줄눈용 접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파라핀 왁스의 중량에 따른 내오염성을 비교하였다. 표 2의 실험에서, 파라핀 왁스의 양은 전체 조성물에 대한 파라핀 왁스의 투입 비율을 변화시키면서 내오염성을 평가하였다.
줄눈용 접착제의 내오염성 시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줄눈용 접착제를 시공하여 경화를 시킨다. 이후, 0.5% 카본 블랙(Carbon Black) 용액을 제조 후 표면에 방울로 용액을 떨구고, 80 ℃에서 24시간 가열 시험하여, 물로 씻은 다음 색차변화를 측정하였다.
파라핀 왁스 투입량 결과
0 부적합
5 미흡
10 미흡
15 양호
20 양호
25 양호
30 양호
35 양호
40 양호
45 양호
50 양호
비교예 결과
줄눈용 시멘트 + 물 부적합
표 2에서, 파라핀 왁스를 제외하고 줄눈용 접착제 조성물에 제조하여, 시공하고 경화를 시킨다. 이후, 내오염성 실험을 하면, 경화된 조성물에 흡수된 오염물질(카본 블랙 용액)이 밖으로 배출되지 않고 얼룩으로 남아있게 된다. 이는 표 3의 비교예인 줄눈용 시멘트에 물을 첨가하여 접착제로 사용한 경우와 차이를 보이지 못하여, 실험 결과는 부적합하였다.
파라핀 왁스를 0 초과 10 이하만큼 줄눈용 접착제 조성물에 혼합을 하고, 시공하여 경화를 시킨다. 이후, 내오염성 실험을 하면, 경화된 조성물에 흡수된 오염물질(카본 블랙 용액)이 일부 밖으로 배출되어 얼룩이 연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표 3의 비교예인 줄눈용 시멘트에 물을 첨가하여 접착제로 사용한 경우보다 좋은 내오염성 성질을 보여줬으나, 실험 결과로는 미흡하였다.
파라핀 왁스를 15 이상 50 이하로 줄눈용 접착제 조성물에 혼합을 하고, 시공하여 경화를 시킨다. 이후, 내오염성 실험을 하면, 경화된 조성물에 흡수된 오염물질(카본 블랙 용액)이 대부분 밖으로 배출되어 얼룩이 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왁스가 가지고 있는 뛰어난 발수성으로 인하여, 오염물질(카본 블랙 용액)이 경화된 조성물 밖으로 배출된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실험 결과는 양호한 내오염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파라핀 왁스를 일정 중량% 이상 줄눈용 접착제 조성물에 혼합할 경우 내오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지만, 표 2에 제시된 결과는 절대적인 실험 결과가 아니고, 파라핀 왁스 이외에 첨가되는 구성요소의 비율을 최적화하여, 15 미만의 파라핀 왁스를 첨가하여도 줄눈용 접착제 조성물의 내오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6)

  1. 아크릴 수지 및 초산 비닐 수지 중 하나를 포함하는 바인더;
    왁스;
    실리카;
    전체 접착제 중량 대비 2-20 중량%인 글라스 버블(glass bubble); 및
    지당을 포함하되, 상기 바인더는 1-50 중량%, 상기 실리카는 10-70 중량%, 상기 왁스는 1-70 중량% 및 상기 지당은 1-10 중량%를 포함하는 줄눈용 접착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는 파라핀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폴리프로필렌 왁스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왁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줄눈용 접착제.
  3. 제1 항에 있어서,
    분산제 및 탄산칼슘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줄눈용 접착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제는 0.1-1 중량% 및 상기 탄산칼슘은 5-30 중량%를 포함하는 줄눈용 접착제.
  5. 삭제
  6. 삭제
KR1020120066265A 2012-06-20 2012-06-20 줄눈용 접착제 KR101249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265A KR101249986B1 (ko) 2012-06-20 2012-06-20 줄눈용 접착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265A KR101249986B1 (ko) 2012-06-20 2012-06-20 줄눈용 접착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9986B1 true KR101249986B1 (ko) 2013-04-02

Family

ID=48442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6265A KR101249986B1 (ko) 2012-06-20 2012-06-20 줄눈용 접착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99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6929B1 (ko) 2022-09-29 2024-01-19 주식회사 효상토건 타일의 접착제 겸용 줄눈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상하수도용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 처리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1541A (ja) 2002-10-09 2004-04-30 Asahi Kasei Corp ウレタン系シーリング材
JP2005036034A (ja) * 2003-07-16 2005-02-10 Auto Kagaku Kogyo Kk 硬化性組成物及びシーリング材組成物
JP2006096859A (ja) 2004-09-29 2006-04-13 Sunstar Engineering Inc シーリング材組成物
KR101132367B1 (ko) 2011-10-14 2012-04-03 (주) 마가켐 접착용 에멀전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1541A (ja) 2002-10-09 2004-04-30 Asahi Kasei Corp ウレタン系シーリング材
JP2005036034A (ja) * 2003-07-16 2005-02-10 Auto Kagaku Kogyo Kk 硬化性組成物及びシーリング材組成物
JP2006096859A (ja) 2004-09-29 2006-04-13 Sunstar Engineering Inc シーリング材組成物
KR101132367B1 (ko) 2011-10-14 2012-04-03 (주) 마가켐 접착용 에멀전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6929B1 (ko) 2022-09-29 2024-01-19 주식회사 효상토건 타일의 접착제 겸용 줄눈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상하수도용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 처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3829B1 (ko)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 복합 중층막 보수공법
CN104017469A (zh) 无机鳞片水性环氧树脂涂料
KR101870910B1 (ko) 콘크리트의 중성화, 염해 방지를 위한 친환경 수용성 도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478446B1 (ko) 건축용 수지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100632089B1 (ko) 에폭시를 이용한 콘크리트 표면 보호 보수제 조성물과 이를적용하는 공법
KR102228695B1 (ko) 탄성 몰탈 도막방수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114804719A (zh) 一种水性环氧砂浆填缝剂及制备方法和施工方法
KR20090083723A (ko) 자기수평성이 우수한 하이브리드 무기 탄성 도막 방수제 및그 시공 방법
KR100476728B1 (ko) 에폭시 레진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레진몰탈의 표면시공방법
KR100916306B1 (ko) 수용성 합성고무 라텍스 개질 모르타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보호공법
KR101843811B1 (ko) 아크릴계 공중합 액상수지 및 무기질계 분체 복합 하이브리드 방수재
KR101088748B1 (ko) 내화학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친환경 수지몰탈 바닥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바닥재 및 이의 시공방법
EP1771397B1 (en) Mixture for applying a coating
KR20070114493A (ko) 에폭시를 이용한 콘크리트 표면 보호 보수제 조성물과 이를적용하는 공법
KR101249986B1 (ko) 줄눈용 접착제
KR102121820B1 (ko) 마이크로캡슐을 적용한 코팅제 및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방법
KR0145117B1 (ko) 에폭시 수지 모르타르 시공방법
KR101142944B1 (ko) 친환경 바닥재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바닥재 시공방법
KR102214479B1 (ko) 수용성 단열 탄성 방수제 및 그의 시공 방법
CN112795342A (zh) 一种可打磨环氧树脂建筑接缝胶及其制备方法
WO2005063880A1 (en) Epoxy resin mortar composition and a method of coating the same on concrete surface
KR102421306B1 (ko) 아스팔트씰 도막방수재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KR101872254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 마감용 마감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 마감 시공 방법
KR20160100117A (ko) 콘크리트 바닥의 친환경 표면강화 시공방법
US9440884B1 (en) Epoxy grout systems for standard and chemically resistant install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