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3849A -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3849A
KR20160043849A KR1020140138566A KR20140138566A KR20160043849A KR 20160043849 A KR20160043849 A KR 20160043849A KR 1020140138566 A KR1020140138566 A KR 1020140138566A KR 20140138566 A KR20140138566 A KR 20140138566A KR 20160043849 A KR20160043849 A KR 201600438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distance
haptic
unit
cur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8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5552B1 (ko
Inventor
김성운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8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5552B1/ko
Publication of KR20160043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3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5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5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면 터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터치신호를 출력하는 터치패드부; 터치 패드부의 터치 면에 일정 거리로 이격 배치된 햅틱부; 터치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거리를 확인하고, 확인된 터치 거리가 일정 거리보다 짧은 거리이면 노이즈 신호로 인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조작 시 사용자가 수동적인 조작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조작 결과를 정확하게 인지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조작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표시된 메뉴 및 리스트 내 항목 간의 이동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사용자의 만족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일정 거리 내의 플리킹(Flicking)과 드래깅 제스처를 외력에 의한 오터치로 인식함으로써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기능 또는 장치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터치 패드에 수동 방식의 햅틱이 적용됨으로써 모터 방식의 햅틱이 적용된 터치패드와 대비하여 제조 단가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User interface apparatus,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고 입력된 명령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차량속도, 엔진 회전수, 주유량, 냉각수 등의 주행 기능 및 차량 정보를 표시하는 클러스터를 포함한다.
또한 차량은 기본적인 주행 기능 외에도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공조 제어, 시트 제어, 조명 제어 등의 사용자 편의를 위한 부가적인 기능을 더 포함한다.
아울러 차량에는 내비게이션 기능, 오디오 기능 및 비디오 기능이 통합된 AVN 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차량은 각종 기능의 동작 명령을 입력하고 각종 기능의 동작 상태를 출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장치를 더 포함하며,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센터페시아에 마련될 수 있다.
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차량에 마련된 각종 장치와 사용자 간에 상호 작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는 물리적 사용자 인터페이스(PUI: Physical User Interface) 장치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 장치가 있다.
물리적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PUI)는 키패드, 리모컨, 조그 다이얼, 터치패드 등과 같이 물리적인 방법으로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는 장치이고,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GUI)는 디스플레이상에 표시되는 아이콘이나 메뉴가 선택됨으로써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는 장치이다.
즉 사용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표시되는 메뉴, 리스트, 아이콘 등을 참조하여 커서를 이동시키고, 커서가 위치한 항목을 선택할 수 있는데, 이때 사용자는 물리적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이용하여 커서를 이동시키면서 선택하고자 하는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물리적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중 터치패드를 이용하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예, AVN)의 화면에 표시된 리스트를 이동시키거나 어느 하나의 항목 선택 시에 터치패드 상에서 플리킹(flicking) 제스처를 취하거나, 드래깅 제스처를 취하는 데, 이때 메뉴나 리스트의 항목이 많을수록 많은 제스처를 취해야 하기 때문에 선택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사용자는 UI 피드백을 위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화면을 계속 주시하면서 원하는 아이콘까지 도달하는지를 확인한다. 이로 인해 운전 중 사용자의 시선이 분산되어 차량 사고의 위험성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일 측면은 터치 패드부에 일정 거리로 이격된 햅틱부를 배치시킨 터치부를 가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은 터치부에 터치된 터치 점의 터치 거리가 일정 거리 미만이면 노이즈로 인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면 터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터치신호를 출력하는 터치패드부; 터치 패드부의 터치 면에 일정 거리로 이격 배치된 햅틱부; 터치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거리를 확인하고, 확인된 터치 거리가 일정 거리보다 짧은 거리이면 노이즈 신호로 인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햅틱부는, 터치 패드부의 터치 면에 돌출되도록 배치된 돌출부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돌출부와, 터치 면 중 돌출부가 배치되지 않은 터치 면을 커버하는 시트부를 더 포함한다.
햅틱부는, 일정 간격으로 홀이 형성된 햅틱 패드부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일정 거리에 기초하여 아이콘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한다.
제어부는, 출력된 터치 신호가 햅틱부의 위치에서 출력된 터치 신호이면 태핑 제스처, 드래깅 제스처, 플리킹 제스처를 인식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터치 패드부의 일 측에 마련되고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푸시 버튼부를 더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은 센터페시아; 센터페시아에 마련된 입력부와, 입력부와 분리 설치되고 입력부에 입력된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포함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입력부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면 터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터치 신호를 출력하는 터치 패드부와, 터치 패드부의 터치 면에 일정 거리로 이격 배치된 햅틱부를 갖는 터치부를 포함한다.
차량은 출력된 터치 신호가 햅틱부의 위치에서 출력된 터치 신호이면 제스처의 종류가 태핑 제스처, 플리킹 제스처 또는 드래깅 제스처인지를 인식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제어부는, 터치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거리를 확인하고, 확인된 터치 거리가 일정 거리보다 짧은 거리이면 노이즈 신호로 인식한다.
제어부는, 터치 거리가 일정 거리 이상이고 인식된 제스처의 종류가 플리킹 제스처이면 복수 메뉴 사이에서 커서의 이동을 제어한다.
제어부는, 터치 거리에 기초하여 커서의 이동 횟수를 제어한다.
제어부는, 터치 거리가 일정 거리 이상이고 인식된 제스처의 종류가 드래킹 제스처이면 어느 하나의 메뉴의 리스트 내 복수 항목 사이에서 커서의 이동을 제어한다.
제어부는, 터치 거리에 기초하여 커서의 이동 횟수를 제어한다.
햅틱부는, 터치 패드부의 터치 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햅틱부는, 일정 거리로 이격된 복수 홀을 가지는 햅틱 패드부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제어 방법은, 차량에 배치되고, 터치부와 표시부를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터치부 터치 시의 터치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점의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터치 점의 위치가 터치부에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된 햅틱부의 위치인지 확인하고, 터치 점의 위치가 햅틱부의 위치이면 터치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거리를 확인하고, 확인된 터치 거리와 일정 거리를 비교하고, 확인된 터치 거리가 일정 거리 미만이면 노이즈 신호로 인식하고, 확인된 터치 거리가 일정 거리 이상이면 표시부에 표시된 커서를 이동시킨다.
확인된 터치 거리와 일정 거리를 비교하는 것은, 터치 신호가 적어도 두 개의 햅틱부를 경유하는 거리인지 확인하는 것을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제어 방법은 확인된 터치 점의 위치가 햅틱부의 위치이면 제스처의 종류가 태핑 제스처, 플리킹 제스처 또는 드래깅 제스처인지를 인식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제어 방법은 터치 거리가 일정 거리 이상이고 인식된 제스처의 종류가 플리킹 제스처이면 표시부에 표시된 복수 메뉴 사이에서 커서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커서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은, 터치 거리에 기초하여 커서의 이동 횟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제어 방법은 복수 메뉴 중 어느 하나의 메뉴에 커서 표시 시에 태핑 제스처가 입력되면 어느 하나의 메뉴의 리스트를 활성화시켜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제어 방법은 터치 거리가 일정 거리 이상이고 인식된 제스처의 종류가 드래킹 제스처이면 표시부에 표시된 어느 하나의 메뉴의 리스트 내 복수 항목 사이에서 커서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커서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은, 터치 거리에 기초하여 커서의 이동 횟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조작 시 사용자가 수동적인 조작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조작 결과를 정확하게 인지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조작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표시된 메뉴 및 리스트 내 항목 간의 이동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사용자의 만족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일정 거리 내의 플리킹(Flicking)과 드래깅 제스처를 외력에 의한 오터치로 인식함으로써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기능 또는 장치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터치 패드에 수동 방식의 햅틱이 적용됨으로써 모터 방식의 햅틱이 적용된 터치패드와 대비하여 제조 단가를 줄일 수 있다.
이로 인해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차량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어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사용자의 편리성 및 차량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가 마련된 차량의 예시도이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가 마련된 차량의 내부 예시도이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마련된 입력부의 예시도이다.
도4 내지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입력부 중 터치부의 구조 예시도이다.
도 7은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마련된 터치부의 햅틱부 배치에 대응하는 표시부의 항목 표시 예시도이다.
도 12는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제어 순서도이다.
도 13 내지 도 22는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마련된 터치부의 터치 신호에 대응하는 표시부의 커서 표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가 내부에 마련된 차량의 외부 예시도이고,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가 마련된 차량의 내부 예시도이다.
차량(1)은 사람 또는 화물을 운송할 목적으로 차륜을 구동시켜 주행하는 기기로, 도로 위를 이동한다.
차량(1)은 내장과 외장을 갖는 차체(Body)와, 차체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으로 주행에 필요한 기계 장치가 설치되는 차대(Chassis)를 포함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외장(110)은 프론트 패널(111), 본네트(112), 루프 패널(113), 리어 패널(114), 트렁크(115), 전후좌우 도어(116) 및 전후좌우 도어(116)에 각각 마련된 윈도우 글래스(117)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차체의 외장은 프론트 패널, 본네트, 루프 패널, 리어 패널, 트렁크, 윈도우 글래스(117) 사이의 경계에 마련된 필러(118)를 더 포함한다.
또한 윈도우 글래스(117)는 전후좌우 도어(116)에 설치된 사이드 윈도우 글래스와, 필러와 필러 사이에 설치되되 개폐 불가능하게 설치된 쿼터 윈도우 글래스, 후방 측에 설치된 리어 윈도우 글래스, 전방 측에 설치된 프런트 윈도우 글래스를 더 포함한다.
차체의 외장은 운전자에게 차량(1)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119) 등을 더 포함한다.
차량(1)의 차대는 동력 발생 장치, 동력 전달 장치, 주행 장치, 조향 장치, 제동 장치, 현가 장치, 변속 장치, 연료 장치, 전후좌우 차륜 등을 더 포함한다.
차량(1)은 운전자 및 탑승자의 안전을 위한 여러 가지 안전장치들을 더 포함한다.
차량(1)의 안정장치로는 차량 충돌 시 운전자 등 탑승자의 안전을 목적으로 하는 에어백 제어 장치와, 차량의 가속 또는 코너링 시 차량의 자세를 차량자세 안정 제어 장치(ESC: Electronic Stability Control) 등 여러 종류의 안전장치들이 있다.
이외에도 차량(1)은 후방 또는 측방의 장애물 내지 다른 차량을 감지하는 근접센서, 강수 여부 및 강수량을 감지하는 레인 센서 등의 감지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차량(1)은 동력 발생 장치, 동력 전달 장치, 주행 장치, 조향 장치, 제동 장치, 현가 장치, 변속 장치, 연료 장치, 여러 가지 안전 장치 및 각종 감지 장치들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자 제어 유닛(ECU: Electronic Control Unit)을 포함한다.
또한 차량(1)은 운전자의 편의를 위해 설치된 핸즈프리 장치, GPS, 오디오 기기 및 블루투스 장치, 후방 카메라, 단말기 충전 장치, 하이패스 장치 등의 전자 장치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1)은 시동모터(미도시)에 동작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시동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차량(1)은 시동 버튼이 온 되면 시동모터(미도시)를 동작시키고 시동 모터의 동작을 통해 동력 발생장치인 엔진(미도시)을 구동시킨다.
차량(1)은 단말기, 오디오 기기, 실내 등, 시동 모터, 그 외 전자장치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배터리는 주행 중 자체 발전기 또는 엔진의 동력을 이용하여 충전을 수행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내장(120)은 탑승자가 앉는 시트(121: 121a, 121b)와, 대시 보드(122)와, 대시 보드 상에 배치되고 타코미터, 속도계, 냉각수 온도계, 연료계, 방향전환 지시등, 상향등 표시등, 경고등, 안전벨트 경고등, 주행 거리계, 주행 기록계, 자동변속 선택레버 표시등, 도어 열림 경고등, 엔진 오일 경고등, 연료부족 경고등이 배치된 계기판(즉 클러스터, 123)과, 차량 방향을 조작하는 스티어링 휠(124)과, 오디오와 공기조화기의 조절판이 있는 센터 페시아(125)를 포함한다.
시트(121)는 운전자가 앉는 운전석(121a), 동승자가 앉는 조수석(121b), 차량 내 후방에 위치하는 뒷좌석을 포함한다.
클러스터(123)는 디지털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방식의 클러스터는 차량 정보 및 주행 정보를 영상으로 표시한다.
센터 페시아(125)는 대시 보드(122) 중에서 운전석(121a)과 조수석(121b) 사이에 위치하고, 오디오 기기, 공기 조화기 및 히터를 조정하기 위한 헤드 유닛을 갖는다.
이러한 센터 페시아(125)에는 송풍구, 시거잭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센터 페시아(125)에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정보에 대응하는 결과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가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외관을 형성하는 본체(200a)와 분리 설치되고, 동작 명령이나 정보 입력을 위한 입력부(210)와,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대한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220)를 포함한다.
입력부(210)는 센터페시아(123)에 마련되되,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본체(200a)와 인접한 위치에 마련될 수도 있고, 변속 기어 주변에 마련될 수도 있다.
표시부(220)는 센터페시아(123)에 마련되되, 헤드 유닛의 상측에 마련될 수 있고, 입력부(210)에 입력된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22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 가능한 아이콘과, 입력 위치를 나타내는 커서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아이콘은 버튼 형상, 리스트 형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입력부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마련된 입력부(210)의 예시도이다.
입력부(210)는 사용자에 의해 가압 조작되거나 회전 조작되는 버튼부(210a)와,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는 터치부(210b)를 포함한다.
버튼부(210a)는 복수의 기능이 각각 설정되어 있고 가압 조작되는 복수의 바로가기 버튼부(211)와, 즐겨 찾기 항목이 설정되어 있고 회전 조작되는 휠버튼부(212)와, 현재 표시부의 화면이 이전 화면으로 돌아가도록 하고 가압 조작되는 백버튼부(213)와, 터치부(210b)의 바닥면에 배치되고 터치에 의해 선택된 메뉴나 항목을 선택받는 푸시 버튼부(214)를 포함한다.
여기서 복수의 기능은 각 기능을 바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바로 가기 기능으로, 파워 온오프 기능, 메뉴 활성화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디엠비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바로가기 버튼부(211)는 파워 버튼, 메뉴 버튼, 내비게이션 버튼 및 디엠비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입력부(210)는 바로 가기 기능으로 그 외에도 이스케이프(ESC) 기능, 미디어 기능, 트립 기능 등을 설정할 수도 있다.
즐겨 찾기 항목은 목적지 검색, 라디오 채널 검색, 웹 사이트 등으로,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항목을 갖고, 이 항목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 가능하다.
백 버튼부(213)는 현재 실행되고 있는 기능의 상위 기능이 실행되도록 하는 버튼으로, 실행되는 기능이 변경됨에 따라 표시부에 표시된 화면이 이전 표시된 화면으로 돌아가도록 한다.
푸시 버튼부(214)은 터치 패드부(215)의 바닥면에 위치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나, 터치부(210b)의 일측에 위치시켜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푸시 버튼부(214)의 푸시 신호는 태핑 제스처를 대신할 수 있다.
터치부(210b)는 버튼부(210a)와 서로 다른 공간에 분리 배치될 수도 있고, 버튼부(210a)의 일 측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터치부(210b)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면 터치된 터치 점의 터치 위치에 대응하는 터치 신호를 출력한다.
터치부(210b)는 터치된 시간에 따라 일시적인 터치 신호 또는 연속적인 터치 신호를 출력한다.
즉, 터치부(210b)는 태핑, 플리킹, 드래깅 제스처에 대한 터치 신호를 출력하고, 또한 필기 입력에 대한 터치 신호를 출력한다.
터치부(210b)는 터치패드부와, 터치 패드 터치 시 사용자가 조작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햅틱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터치부(210b)의 구조를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터치부의 일 예로, 터치부(210b)는 사용자의 손이나 펜 등의 접촉체가 접촉되는 터치 면(215a)을 갖고 접촉체가 터치된 터치 점을 인식하고 인식된 터치점 위치에서의 터치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터치 신호를 출력하는 터치패드부(215)와, 터치 패드부의 터치 면(215a)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햅틱부(216)를 포함한다.
여기서 터치 패드부의 터치 점의 인식 방식은 정전용량 방식, 감압 방식 및 전자기 유도기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 일 수 있다.
햅틱부(216)는 사용자가 터치 시 조작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햅틱부(216)는 일정 형상의 일정 두께를 갖고 터치 패드부의 터치 면(215a)에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터치 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일정 두께만큼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216a)를 포함한다.
여기서 돌출부(216a)는 터치 패드부의 터치 면(215a)에 고정적으로 부착 또는 결합될 수 있다.
돌출부(216a)의 형상은 원형, 사각형 또는 삼각형일 수 있다.
터치 패드부의 터치 면(215a)에 배치되는 복수의 돌출부(216a)는, 격자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 가로로 배치된 돌출부 사이의 제1일정 간격(d1)은 서로 동일하고, 세로로 배치된 돌출부 사이의 제2일정 간격(d2) 역시 서로 동일하다.
아울러 제1일정 간격(d1)과 제2일정 간격(d2)은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도 5는 터치부의 다른 예로, 터치부(210b)는 사용자의 손이나 펜 등의 접촉체가 접촉되는 터치 면(215a)을 갖고 접촉체가 터치된 터치 점을 인식하고 인식된 터치 점 위치에서의 터치 신호를 생성하며 생성된 터치 신호를 출력하는 터치패드부(215)와, 터치 패드부의 터치 면(215a)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햅틱부(216)와, 터치 패드부의 터치 면에 배치되되 햅틱부(216)의 상측에 배치되는 시트부(217)를 포함한다.
햅틱부(216)는 사용자가 터치 시 조작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햅틱부(216)는 일정 형상의 일정 두께를 갖고 터치 패드부의 터치 면(215a)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터치 면(215a)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일정 두께만큼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216a)를 포함한다.
여기서 돌출부(216a)는 터치 패드부의 터치 면(215a)에 고정적으로 부착 또는 결합될 수 있다.
터치 패드부의 터치 면(215a)에 배치되는 복수의 돌출부(216a)는, 격자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 가로로 배치된 돌출부 사이의 제1일정 간격(d1)은 서로 동일하고, 세로로 배치된 돌출부 사이의 제2일정 간격(d2) 역시 서로 동일하다.
아울러 제1일정 간격(d1)과 제2일정 간격(d2)은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시트부(217)는 터치 패드부의 터치 면(215a)에 배치된 햅틱부(216)를 보호하기 위해 터치 패드부의 터치 면(215a) 중 햅틱부(216)가 배치되지 않은 면과 햅틱부(216)를 커버한다.
이러한 시트부(217)는 터치 패드부의 터치면(215a) 및 돌출부(216a)에 밀착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터치부의 또 다른 예로, 터치부(210b)는 사용자의 손이나 펜 등의 접촉체가 접촉되는 터치 면(215a)을 갖고 접촉체가 터치된 터치 점을 인식하고 인식된 터치 점 위치에서의 터치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터치 신호를 출력하는 터치패드부(215)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홀(218a)을 갖고 터치 패드부의 터치 면(215a)에 배치되는 햅틱부(218)를 포함한다.
여기서 터치 패드부의 터치 점의 인식 방식은 정전용량 방식, 감압 방식 및 전자기 유도기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 일 수 있다.
햅틱부(218)는 사용자가 터치 시 조작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햅틱부(218)는 일정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홀(218a)을 가지며, 터치 패드부의 터치 면(215a)에 부착 또는 결합되는 햅틱 패드부를 포함한다.
홀(218a)의 형상은 원형, 사각형 또는 삼각형일 수 있다.
햅틱 패드부에 형성된 복수의 홀(218a)은, 격자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가로로 형성된 홀 사이의 제1일정 간격(d1)은 서로 동일하고, 세로로 형성된 홀 사이의 제2일정 간격(d2) 역시 서로 동일하다.
아울러 제1일정 간격(d1)과 제2일정 간격(d2)은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도 7은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제어 구성도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입력부(210), 표시부(220), 제어부(230), 저장부(240)를 포함한다.
입력부(210)는 사용자로부터 동작 정보를 입력받는 것으로, 버튼부(210a) 및 터치부(210b)를 포함하고, 버튼부(210a) 및 터치부(210b)에서 입력된 신호를 제어부(230)에 전송한다.
버튼부(210a)는 복수의 버튼 중 사용자에 의해 가압된 버튼의 신호를 제어부(230)에 전송하고 터치부(210b)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터치점의 터치 위치에 대한 터치 신호를 제어부(230)에 전송한다.
표시부(220)는 터치부(210b)에 필기된 문자를 표시하고, 버튼부(210a) 및 터치부(210b)에 의해 선택된 기능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며, 태핑 제스처 시 입력 위치를 표시한다.
여기서 가능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것은, 길 안내를 위한 지도, 도로 환경 정보 등의 내비게이션 기능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거나, 디엠비의 방송 영상을 표시하거나, 오디오의 음악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인터넷 검색을 위한 검색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입력 위치는, 태핑 제스처 시 선택 가능한 것을 지시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선택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로, 커서 또는 포인터(221) 등으로 표시 가능하다.
표시부(220)는 어느 하나의 기능에 대해 복수의 항목을 표시할 때 리스트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리스트는, 메뉴 리스트, 최근 목적지 리스트, 목적지 검색 방식을 나열한 목적지선택 리스트로, 목적지 검색 결과 리스트, 전화 번호 리스트, 디엠비 방송 채널 리스트, 라디오 채널 리스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220)는 리스트 표시 시 포인터(221)를 표시하여 선택 가능한 항목을 지시하고, 또한 리스트 내 항목의 수가 미리 설정된 개수를 초과하면 스크롤 바(222)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다음 항목이 더 존재함을 알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표시부(220)는 리스트 표시 시 터치부의 햅틱부(216)의 위치에 기초하여 항목을 표시하고, 터치 거리에 기초하여 항목을 이동시켜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220)는 리스트의 복수 항목을 행으로 표시 시에 터치 거리가 기준 터치 거리 미만이면 표시 상태를 유지시킨다.
여기서 기준 터치 거리는 두 햅틱부 사이의 일정 거리일 수 있다.
표시부(220)는 리스트의 복수 항목을 행으로 표시 시에 햅틱부(216)의 가로 행에 복수 항목을 각각 매칭시켜 표시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220)는 햅틱부(216)의 제1행(A1)과 대응하는 제1행(B1)에 첫 번째 항목을 표시하고, 햅틱부(216)의 제2행(A2)과 대응하는 제2행(B2)에 두 번째 항목을 표시하며, 햅틱부(216)의 제3행(A3)과 대응하는 제3행(B3)에 세 번째 항목을 표시한다.
표시부(220)는 리스트의 복수 항목을 열로 표시 시에 햅틱부(216)의 세로 열에 복수 항목을 각각 매칭시켜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스크롤바(222)는 가로로 표시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220)는 햅틱부(216)의 제1열(C1)과 대응하는 제1열(D1)에 첫 번째 항목을 표시하고, 햅틱부(216)의 제2열(C2)과 대응하는 제2열(D2)에 두 번째 항목을 표시하며, 햅틱부(216)의 제3열(C3)과 대응하는 제3열(D3)에 세 번째 항목을 표시하고, 햅틱부(216)의 제4열(C4)과 대응하는 제3열(D4)에 네 번째 항목을 표시한다.
표시부(220)는 표시된 항목의 수와 햅틱부(216)의 세로 열의 수가 상이할 경우에도 햅틱부를 따라 이동하는 터치 신호가 입력되면 이동된 터치 거리에 기초하여 항목을 이동시켜 표시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220)는 제1열(F1)에 첫 번째 항목을 표시하고, 제2열(F2)에 두 번째 항목을 표시하며, 햅틱부(216)의 제1열(E1)에서 제2열(E1)로 이동하는 터치 신호가 입력되면 제1열(F1)에 두 번째 항목을 표시하고 제2열(F2)에세 번째 항목을 표시한다.
아울러, 표시부(220)는 제1열(F1)에 첫 번째 항목을 표시하고, 제2열(F2)에 두 번째 항목을 표시하며, 햅틱부(216)의 제3열(E3)에서 제4열(E4)로 이동하는 터치 신호가 입력되어도 제1열(F1)에 두 번째 항목을 표시하고 제2열(F2)에 세 번째 항목을 표시한다.
아울러, 표시부(220)는 제1열(F1)에 첫 번째 항목을 표시하고, 제2열(F2)에 두 번째 항목을 표시하며, 햅틱부(216)의 제1열(E1)에서 제4열(E4)로 이동하는 터치 신호가 입력되면 제1열(F1)에 네 번째 항목을 표시하고 제2열(F2)에 다섯 번째 항목을 표시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220)는 제1행(H11) 및 제1열(H21)에 상위 메뉴의 아이콘을 표시하고, 제2행(H12) 및 제1열(H21)에 중간 메뉴의 아이콘을 표시하며, 제2행(H12) 및 제2열(H22)에 하위 메뉴의 아이콘을 표시한다.
표시부(220)는 햅틱부의 하나의 행에서 다른 행으로 이동하는 터치 신호가 입력되면 순차적으로 메뉴의 아이콘의 커서를 이동시켜 표시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220)는 상위 메뉴의 아이콘에 커서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1행(G11)에서 제2행(G12)으로 이동하는 터치 신호가 입력되면 커서를 중간 메뉴의 아이콘으로 이동시켜 표시하고, 이 후 제1행(G11)에서 제2행(G12)으로 이동하는 터치 신호가 입력되면 하위 메뉴의 아이콘으로 커서를 이동시켜 표시한다.
아울러, 표시부(220)는 어느 하나의 행에서 다른 행으로 이동하는 터치 신호가 입력되면 상위 메뉴와 중간 메뉴의 아이콘 간 커서를 이동시켜 표시하고, 어느 하나의 열에서 다른 열로 이동하는 터치 신호가 입력되면 중간 메뉴와 하위 메뉴의 아이콘 간 커서를 이동시켜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표시부(220)는 상위 메뉴의 아이콘에 커서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1행(G11)에서 제2행(G12)으로 이동하는 터치 신호가 입력되면 커서를 중간 메뉴의 아이콘으로 이동시켜 표시하고, 이 후 제1열(G21)에서 제2열(G22)으로 이동하는 터치 신호가 입력되면 하위 메뉴의 아이콘으로 커서를 이동시켜 표시한다.
제어부(230)는 버튼부(210a)에서 버튼의 조작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표시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30)는 버튼부(210a) 내의 내비게이션 바로가기 버튼의 조작 신호가 입력되면 GPS를 제어하여 내비게이션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고 표시부(220)에 내비게이션 기능에 대한 동작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230)는 버튼부(210a) 내의 백 버튼부(213)의 조작 신호가 입력되면 현재 수행 중인 기능의 상위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표시부(220)에 이전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230)는 터치부(210b)에서 터치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터치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점의 위치 및 터치 점의 위치 변화를 확인하고, 확인된 터치 점의 위치 변화에 기초하여 터치 거리를 확인한다.
제어부(230)는 터치 점의 터치 유지 여부 또는 터치 속도에 기초하여 플리킹 제스처인지 드래깅 제스처인지 확인한다.
즉, 플리킹 제스처는 일정 거리 터치 후 터치부에서 접촉체를 떼는 제스처이고, 드래깅 제스처는 일정 거리 터치 후에도 터치부에 접촉체의 터치를 유지시키는 제스처이다.
제어부(230)는 확인된 제스처에 종류 및 터치 거리에 기초하여 표시부(220)에 표시된 메뉴간의 이동이나, 표시부(220)에 표시된 리스트의 항목의 이동을 제어한다.
여기서 표시부에 표시된 메뉴 간의 이동은, 표시부에 표시된 복수 메뉴의 아이콘의 커서를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표시부에 표시된 리스트의 항목의 이동은 항목의 커서를 순차적으로 이동시키고 표시된 항목의 커서 이동이 완료되면 다음 항목으로 변경하는 것을 포함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어부(230)는 확인된 터치 거리가 기준 터치 거리 미만이면 노이즈 신호로 인식하여 터치 인식에 따른 동작 제어를 종료한다.
제어부(230)는 확인된 터치 거리가 기준 터치 거리 이상이면 터치 거리에 기초하여 표시부에 표시된 리스트의 항목의 이동 수를 제어하되, 터치 신호가 플리킹 제스처의 신호이면 터치 거리에 대응하여 표시부에 표시된 복수 메뉴에서의 커서 이동을 제어한다.
여기서 복수의 메뉴는, 내비게이션 기능, 오디오 기능, 공조 기능, 디엠비 기능, 라디오 기능 등의 메인 메뉴인 상위 메뉴와, 각 메인 메뉴의 하위 항목을 갖는 중간 메뉴와, 중간 메뉴의 세부 내용을 갖는 하위 메뉴를 포함한다.
그리고 복수의 메뉴 간 커서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은, 복수 메뉴의 아이콘에 커서를 적용하되 순차적으로 커서를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활성화시키고자 하는 메뉴로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230)는 터치 신호가 플래킹 제스처의 신호이면 터치 거리에 대응하여 리스트 내 복수 항목에서의 커서 이동 수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제어부(230)는 리스트의 복수 항목과, 복수 항목의 순서와, 확인된 커서 이동 수에 기초하여 표시될 항목을 확인하고, 확인된 항목이 표시부(220)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230)는 확인된 터치 거리가 기준 터치 거리 이상이면 터치 거리에 기초하여 커서의 이동 수를 제어하되, 터치 신호가 드래깅 제스처의 신호이면 터치 거리 내 햅틱부의 수를 확인하고, 확인된 햅틱부의 수에 기초하여 복수 항목 내에서의 커서 이동 수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230)는 리스트의 복수 항목과, 복수 항목의 순서와, 확인된 커서의 이동 수에 기초하여 표시될 항목을 확인하고, 확인된 항목이 표시부(220)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230)는 리스트의 항목을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터치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터치 신호가 햅틱부의 위치에서 터치된 태핑 신호라고 판단되면 태핑 신호 입력 시 커서의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에 매칭된 항목이나 메뉴를 확인한 후 확인된 항목이나 메뉴에 기초하여 표시부(220)의 표시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30)는 확인된 메뉴가 상위 메뉴의 내비게이션 기능이면 내비게이션 기능의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확인된 메뉴가 중간 메뉴이면 중간 메뉴의 리스트를 활성화시키고, 확인된 메뉴가 하위 메뉴이면 중간 메뉴에서 선택된 항목의 세부 내용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230)는 확인된 리스트의 항목이 어느 하나의 목적지라면 내비게이션 기능의 목적지를 확인된 어느 하나의 목적지로 변경한다.
저장부(240)는 일정간격에 대한 기준 터치 거리를 저장한다.
저장부(240)는 플리킹 제스처 시의 터치 거리에 대응하는 이동될 항목의 수를 저장한다.
도 12은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제어 순서도로, 도 13 내지 도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전원이 온되면 입력부(210)와 표시부(220)의 기능을 활성화시킨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내비게이션 기능, 오디오 기능, 디엠비 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메뉴를 표시하거나, 어느 하나의 메뉴 내의 복수 항목을 표시해야 하는 경우, 메뉴를 종류별로 표시하거나 어느 하나의 메뉴 내의 복수 항목을 리스트로 표시한다.
메뉴를 종류별로 표시하는 것은, 기능 선택을 위한 상위 메뉴와, 상위 메뉴에서 선택된 기능의 하위 항목을 표시하는 중간 메뉴와, 중간 메뉴의 항목에 대한 상세 내용을 표시하는 하위 메뉴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리고 복수 항목을 리스트로 표시하는 것은, 최근 목적지 리스트, 목적지 검색 방식 리스트, 목적지 검색 결과 리스트, 전화 번호 리스트, 디엠비 방송 채널 리스트, 라디오 채널 리스트 또는 음악 리스트 등을 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복수의 메뉴 및 어느 하나의 메뉴가 가지는 복수 항목을 리스트로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터치 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251)하고, 터치 신호가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터치 신호를 분석하여 터치 점의 위치 변화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 변화에 기초하여 터치 거리를 확인(252)한다.
여기서 터치 신호를 분석하는 것은, 터치 점의 시작 위치가 어느 하나의 햅틱부의 위치인지 확인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확인된 터치 거리와 기준 터치 거리를 비교(253)한다.
여기서 확인된 터치 거리와 기준 터치 거리를 비교하는 것은, 터치 신호가 적어도 두 개의 햅틱부의 위치를 갖는지 확인함으로써 적어도 두 개의 햅틱부를 경유하는 터치 신호인지를 확인하는 것을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확인된 터치 거리가 기준 터치 거리 미만이라고 판단되면 적어도 두 개의 햅틱부를 경유하지 않않다고 판단하고 입력된 터치 신호를 노이즈 신호라고 인식(254)하며, 터치 동작에 따른 표시부 및 그 외 부하(예를 들어, 사운드부나, 라디오, 공기조화기 등)로 동작 명령을 출력하지 않고 종료한다.
도 13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터치부는 일정 거리(d1)로 이격 배치된 햅틱부(216)를 가지며, 사용자에 의해 일정 거리보다 짧은 거리(x)가 입력되면 적어도 두 개의 햅틱부를 경유하지 않았다고 보고 노이즈 신호로 처리한다.
즉 터치부(210b)는 사용자가터치에 따른 조작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햅틱부(216)를 포함하며, 이 햅틱부(216)는 터치 패드부 상에 일정 거리로 이격 배치된 바, 두 개의 햅틱부의 거리인 일정 거리 이상 이동하지 않은 터치 신호는, 사용자의 조작 의도가 없는 신호로 볼 수 있다.
반면 확인된 터치 거리가 기준 터치 거리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즉 적어도 두 개의 햅틱부를 경유하였다고 판단되면 표시부에 표시된 커서를 이동시키기 위한 터치 신호라고 판단하고, 확인된 터치 거리에 기초하여 메뉴 간 또는 항목 간의 커서를 순차적으로 이동시켜 표시(255)한다.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터치 신호를 분석하여 터치 제스처의 종류를 확인하고 확인된 제스처의 종류에 기초하여 커서의 이동을 제어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확인된 터치 거리가 기준 터치 거리 이상이고 터치 신호가 플리킹 제스처의 신호이면 터치 거리에 대응하여 표시부에 표시된 복수 메뉴에서 커서를 이동시킨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리스트를 활성화 시킨 상태에서 입력된 터치 신호의 터치 거리가 기준 터치 거리 이상이고, 터치 신호가 드래깅 제스처의 신호이면 터치 거리 내 햅틱부의 수를 확인하고, 확인된 햅틱부의 수에 기초하여 복수 항목 내에서 커서를 순차적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대한 예를 도 14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추후에 설명하도록 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커서가 활성화된 메뉴의 종류별 아이콘이나 리스트를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터치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터치 신호가 태핑 신호인지 판단(256)하고 판단된 터치 신호가 태핑 신호라고 판단되면 커서의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의 터치 신호를 출력(257)함으로써 커서의 위치에 매칭된 메뉴나 항목의 기능을 실행하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표시부의 영상을 실행되는 기능에 대한 영상으로 변경하여 표시한다.
여기서 터치 신호가 태핑 신호인지 판단하는 것은, 터치 신호가 햅틱부가 배치된 위치에서 발생된 신호인지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아울러 태핑 신호는 햅틱부의 위치에서 더블 터치된 신호일 수 있다.
또한 태핑 신호를 판단하는 것은, 푸시 버튼부(214)의 푸시 신호의 입력 여부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태핑 신호가 입력되지 않고 백 버튼부(213)의 조작 신호가 입력되면 현재 수행 중인 기능의 상위 기능을 수행한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표시부(220)에 현재 화면의 이전 화면을 표시한다.
도 14 내지 도 21은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터치부의 터치 신호에 대응하는 표시부의 표시 예시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는 플리킹 제스처(F)에 대응하는 표시부의 표시 예시도이다.
터치부(210b)는 하나의 햅틱부와, 다른 햅틱부로 연속되는 터치가 검출된 후 접촉체가 분리되면 터치 시작 시점부터 종료 시점까지 검출된 터치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터치 신호는 위치 신호를 포함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변화되는 위치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거리를 인식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터치 신호가 하나의 햅틱부에서 다른 햅틱부로 이동한 터치 신호라고 판단되면 기준 터치 거리 이상의 플리킹 제스처로 인식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터치 거리 내 햅틱부의 수를 확인하고, 확인된 햅틱부의 수에 기초하여 복수 메뉴에서의 커서를 이동시킨다.
아울러 터치가 시작된 햅틱부는 확인된 햅틱부의 수에서 제외된다.
표시부(220)는 커서가 하위 메뉴의 아이콘에 표시된 상태에서 플리킹 제스처가 입력되면 커서를 상위 메뉴의 아이콘으로 이동시켜 표시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220)는 상위메뉴의 아이콘(S1), 중간 메뉴의 아이콘(S2) 및 하위 메뉴의 아이콘(S3)를 표시하고, 커서를 상위메뉴의 아이콘(S1)에 표시한다.
이때 터치부(210b)에 어느 하나의 햅틱부에서 이웃한 하나의 햅틱부로 터치되는 플리킹 제스처가 이루어지면, 표시부(220)는 상위 메뉴의 아이콘(S1)에 표시된 커서를 한 번 이동시켜 중간 메뉴의 아이콘(S2)에 표시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220)는 상위메뉴의 아이콘(S1), 중간 메뉴의 아이콘(S2) 및 하위 메뉴의 아이콘(S3)를 표시하고, 커서를 중간 메뉴의 아이콘(S2)에 표시한다.
이때 터치부(210b)에 어느 하나의 햅틱부에서 이웃한 한 개의 햅틱부를 경유하여 터치되는 플리킹 제스처가 이루어지면, 표시부(220)는 중간 메뉴의 아이콘(S2)에 표시된 커서를 한 번 이동시켜 하위 메뉴의 아이콘(S3)에 표시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220)는 상위메뉴의 아이콘(S1), 중간 메뉴의 아이콘(S2) 및 하위 메뉴의 아이콘(S3)를 표시하고, 커서를 상위메뉴의 아이콘(S1)에 표시한다.
이때 터치부(210b)에 어느 하나의 햅틱부에서 이웃한 두 개의 햅틱부를 경유하여 터치되는 플리킹 제스처가 이루어지면, 표시부(220)는 상위 메뉴의 아이콘(S1)에 표시된 커서를 두 번 이동시켜 하위 메뉴의 아이콘(S3)에 표시한다.
도 17 내지 도 20는 드래깅 제스처(D)에 대응하는 표시부의 표시 예시도이다.
표시부(220)는 중간 메뉴가 선택되면 리스트를 표시하고, 첫 번째 항목에 커서를 표시한다.
터치부(210b)는 리스트를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하나의 햅틱부와, 다른 햅틱부로 연속되는 터치가 검출되면 검출된 터치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터치 신호는 위치 신호를 포함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변화되는 위치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거리를 인식한다.
여기서 리스트를 표시하고 있는 상태는, 중간 메뉴의 리스트 내 어느 하나의 항목에 커서가 표시된 상태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터치 신호가 하나의 햅틱부에서 다른 햅틱부로 이동하되 터치 상태가 유지되고 있는 터치 신호라고 판단되면 기준 터치 거리 이상의 드래깅 제스처로 인식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터치 거리 내 햅틱부의 수를 확인하고, 확인된 햅틱부의 수에 기초하여 리스트 내에서 복수 항목의 커서를 순차적으로 이동시킨다.
아울러 터치가 시작된 햅틱부는 확인된 햅틱부의 수에서 제외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마지막 열의 항목에 커서가 표시된 상태에서 드래킹 제스처가 입력되면 현재 그룹의 항목을 삭제하고 다음 그룹의 항목을 표시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220)는 리스트의 제1항목(P1), 제2항목(P2), 제3항목(P3)을 표시하고, 커서를 제1항목(P1)에 표시한다.
이때 터치부(210b)에 어느 하나의 햅틱부에서 이웃한 하나의 햅틱부로 터치되는 드래깅 제스처가 이루어지면, 표시부(220)는 제1항목(P1)에 표시된 커서를 한 번 이동시켜 제2항목(P2)에 표시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220)는 리스트의 제1항목(P1), 제2항목(P2), 제3항목(P3)을 표시하고, 커서를 제3항목(P3)에 표시한다.
이때 터치부(210b)에 어느 하나의 햅틱부에서 이웃한 하나의 햅틱부로 터치되는 드래깅 제스처가 이루어지면, 표시부(220)는 표시된 항목의 다음 그룹의 항목들을 표시하고, 다음 항목 중 첫 번째의 항목에 커서를 표시한다.
즉 표시부는 리스트의 제4항목(P4), 제5항목(P5), 제5항목(P5)을 표시하고, 커서를 제4항목(P4)에 표시한다.
아울러 표시부는 커서 이동을 통해 리스트의 복수 항목을 모두 표시한 경우, 제1항목(P1), 제2항목(P2), 제3항목(P3)을 다시 표시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220)는 리스트의 제1항목(P1), 제2항목(P2), 제3항목(P3)을 표시하고, 커서를 제1항목(P1)에 표시한다.
이때 터치부(210b)에 어느 하나의 햅틱부에서 이웃한 두 개의 햅틱부를 경유하여 터치되는 드래깅 제스처가 이루어지면, 표시부(220)는 제1항목(P1)에 표시된 커서를 두 번 이동시켜 제3항목(P3)에 표시한다.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220)는 리스트의 제1항목(P1), 제2항목(P2), 제3항목(P3)을 표시하고, 커서를 제3항목(P3)에 표시한다.
이때 터치부(210b)에 어느 하나의 햅틱부에서 이웃한 두 개의 햅틱부로 터치되는 드래깅 제스처가 이루어지면, 표시부(220)는 표시된 항목의 다음 그룹의 항목들을 표시하고, 다음 항목 중 두 번째의 항목에 커서를 표시한다.
즉 표시부(220)는 리스트의 제4항목(P4), 제5항목(P5), 제5항목(P5)을 표시하고, 커서를 제5항목(P5)에 표시한다.
도 21 및 도 22은 플리킹 제스처(F)에 대응하는 표시부의 다른 표시 예시도이다.
표시부(220)는 중간 메뉴가 선택되면 리스트를 표시하고, 첫 번째 항목에 커서를 표시한다.
터치부(210b)는 리스트를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하나의 햅틱부와, 다른 햅틱부로 연속되는 터치가 검출되면 검출된 터치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터치 신호는 위치 신호를 포함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변화되는 위치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거리를 인식한다.
여기서 리스트를 표시하고 있는 상태는, 중간 메뉴의 리스트 내 어느 하나의 항목에 커서가 표시된 상태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터치 신호가 하나의 햅틱부에서 다른 햅틱부로 이동하되 터치 상태가 종료된 터치 신호라고 판단되면 기준 터치 거리 이상의 플리킹 제스처로 인식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터치 거리에 기초하여 리스트 내에서 복수 항목의 커서를 순차적으로 이동시킨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220)는 리스트의 제1항목(P1), 제2항목(P2), 제3항목(P3)을 표시하고, 커서를 제1항목(P1)에 표시한다.
이때 터치부(210b)에 어느 하나의 햅틱부에서 이웃한 하나의 햅틱부로 터치되는 플리킹 제스처가 이루어지면, 표시부는 제1항목(P1)에 표시된 커서를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이동시켜 표시한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플리킹 제스처 시 터치 거리를 확인하고, 확인된 터치 거리가 제1 터치 거리라고 판단되면 제1터치 거리에 대응하는 커서 이동 횟수를 확인하고 확인된 이동 횟수만큼 커서를 이동시킨다.
아울러, 확인된 커서의 이동 횟수가 표시된 항목의 개수보다 크면 다음 그룹의 항목들을 표시하고, 커서 이동 횟수에 대응하는 항목에 커서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는 제1터치 거리에 대응하는 커서 이동횟수가 3이면, 커서가 세 번 이동했을 때의 항목에 커서를 표시하되 커서가 표시된 항목이 속한 그룹의 항목들을 함께 표시한다.
즉 표시부는 제1항목에 커서를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1터치 거리를 가진 플리킹 제스처가 입력되면 제4항목(P4), 제5항목(P5) 및 제6항목(P6)을 표시하되, 제4항목에 커서를 표시한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220)는 리스트의 제1항목(P1), 제2항목(P2), 제3항목(P3)을 표시하고, 제1항목(P1)에 커서를 표시한다.
이때 터치부(210b)에 어느 하나의 햅틱부에서 이웃한 두 개의 햅틱부로 터치되는 플리킹 제스처가 이루어지면, 표시부는 제1항목(P1)에 표시된 커서를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이동시켜 표시한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확인된 터치 거리가 제2 터치 거리라고 판단되면 제2터치 거리에 대응하는 커서 이동 횟수를 확인하고 확인된 이동 횟수만큼 커서를 이동시킨다.
예를 들어, 표시부는 제2터치 거리에 대응하는 커서 이동횟수가 6이면, 커서가 여섯 번 이동했을 때의 항목에 커서를 표시하되 커서가 표시된 항목이 속한 그룹의 항목들을 함께 표시한다.
즉 표시부(220)는 리스트의 제1항목(P1), 제2항목(P2), 제3항목(P3)을 표시하고, 제2터치 거리를 가진 플리킹 제스처가 입력되면 제7항목(P7), 제8항목(P8) 및 제8항목(P8)을 표시하되, 7항목에 커서를 표시한다.
이와 같이 리스트의 항목 표시 시 플리킹 제스처를 통해 항목을 변경시킴으로써 리스트의 항목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1: 차량 2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210: 입력부 210a: 버튼부
210b: 터치부 220: 표시부
230: 제어부 240: 저장부

Claims (24)

  1.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면 터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터치신호를 출력하는 터치패드부;
    상기 터치 패드부의 터치 면에 일정 거리로 이격 배치된 햅틱부;
    상기 터치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거리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터치 거리가 상기 일정 거리보다 짧은 거리이면 노이즈 신호로 인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햅틱부는,
    상기 터치 패드부의 터치 면에 돌출되도록 배치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와, 상기 터치 면 중 돌출부가 배치되지 않은 터치 면을 커버하는 시트부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햅틱부는,
    상기 일정 간격으로 홀이 형성된 햅틱 패드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거리에 기초하여 아이콘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된 터치 신호가 상기 햅틱부의 위치에서 출력된 터치 신호이면 태핑 제스처, 드래깅 제스처, 플리킹 제스처를 인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드부의 일 측에 마련되고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푸시 버튼부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8. 센터페시아;
    상기 센터페시아에 마련된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와 분리 설치되고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입력부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면 터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터치 신호를 출력하는 터치 패드부와, 상기 터치 패드부의 터치 면에 일정 거리로 이격 배치된 햅틱부를 갖는 터치부를 포함하는 차량.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된 터치 신호가 상기 햅틱부의 위치에서 출력된 터치 신호이면 제스처의 종류가 태핑 제스처, 플리킹 제스처 또는 드래깅 제스처인지를 인식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거리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터치 거리가 상기 일정 거리보다 짧은 거리이면 노이즈 신호로 인식하는 차량.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거리가 일정 거리 이상이고 상기 인식된 제스처의 종류가 플리킹 제스처이면 복수 메뉴 사이에서 커서의 이동을 제어하는 차량.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커서의 이동 횟수를 제어하는 차량.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거리가 일정 거리 이상이고 상기 인식된 제스처의 종류가 드래킹 제스처이면 어느 하나의 메뉴의 리스트 내 복수 항목 사이에서 커서의 이동을 제어하는 차량.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커서의 이동 횟수를 제어하는 차량.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햅틱부는,
    상기 터치 패드부의 터치 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차량.
  16.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햅틱부는,
    상기 일정 거리로 이격된 복수 홀을 가지는 햅틱 패드부를 포함하는 차량.
  17. 차량에 배치되고, 터치부와 표시부를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부 터치 시의 터치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점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터치 점의 위치가 상기 터치부에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된 햅틱부의 위치인지 확인하고,
    상기 터치 점의 위치가 햅틱부의 위치이면 상기 터치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거리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터치 거리와 상기 일정 거리를 비교하고,
    상기 확인된 터치 거리가 상기 일정 거리 미만이면 노이즈 신호로 인식하고,
    상기 확인된 터치 거리가 상기 일정 거리 이상이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커서를 이동시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된 터치 거리와 상기 일정 거리를 비교하는 것은,
    상기 터치 신호가 적어도 두 개의 햅틱부를 경유하는 거리인지 확인하는 것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된 터치 점의 위치가 상기 햅틱부의 위치이면 제스처의 종류가 태핑 제스처, 플리킹 제스처 또는 드래깅 제스처인지를 인식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제어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거리가 일정 거리 이상이고 상기 인식된 제스처의 종류가 플리킹 제스처이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복수 메뉴 사이에서 커서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제어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은,
    상기 터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커서의 이동 횟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제어 방법.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메뉴 중 어느 하나의 메뉴에 커서 표시 시에 태핑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어느 하나의 메뉴의 리스트를 활성화시켜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제어 방법.
  2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거리가 일정 거리 이상이고 상기 인식된 제스처의 종류가 드래킹 제스처이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어느 하나의 메뉴의 리스트 내 복수 항목 사이에서 커서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제어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은,
    상기 터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커서의 이동 횟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40138566A 2014-10-14 2014-10-14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665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8566A KR101665552B1 (ko) 2014-10-14 2014-10-14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8566A KR101665552B1 (ko) 2014-10-14 2014-10-14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3849A true KR20160043849A (ko) 2016-04-22
KR101665552B1 KR101665552B1 (ko) 2016-10-13

Family

ID=55918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8566A KR101665552B1 (ko) 2014-10-14 2014-10-14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55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9647B1 (ko) 2020-05-14 2022-01-12 우리산업 주식회사 차량의 터치패널 컨트롤러 조립체
KR102349641B1 (ko) 2020-05-14 2022-01-12 우리산업 주식회사 차량의 터치패널 컨트롤러 조립체
KR102628953B1 (ko) 2021-12-16 2024-01-25 우리산업 주식회사 차량의 터치패널 컨트롤러 조립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0096A (ko) * 2008-05-23 2011-01-31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드래그 동작을 이용한 콘텐츠의 패닝
KR20130131126A (ko) * 2012-05-23 2013-12-03 크로키닷컴 주식회사 항목의 상태 변경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JP2014102656A (ja) * 2012-11-19 2014-06-05 Aisin Aw Co Ltd 操作支援システム、操作支援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0096A (ko) * 2008-05-23 2011-01-31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드래그 동작을 이용한 콘텐츠의 패닝
KR20130131126A (ko) * 2012-05-23 2013-12-03 크로키닷컴 주식회사 항목의 상태 변경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JP2014102656A (ja) * 2012-11-19 2014-06-05 Aisin Aw Co Ltd 操作支援システム、操作支援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5552B1 (ko) 2016-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85734B (zh) 具有错误触摸反馈的接近开关
KR101575648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JP5565421B2 (ja) 車載操作装置
KR101700714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CN104914986B (zh) 终端设备、具有终端设备的车辆及控制终端设备的方法
US9898083B2 (en) Method for operating a motor vehicle having a touch screen
US20120023440A1 (en) Motor vehicle
US10983691B2 (en) Terminal, vehicle having th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CN104723993A (zh) 用于控制avn的显示器的系统和方法
KR101558354B1 (ko) 차량용 블라인드 콘트롤 시스템
KR101665552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US2022015508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oint of interest user interaction
CN109664763B (zh) 车辆及其控制方法
JP6018775B2 (ja) 車載機器の表示制御装置
JP5860746B2 (ja) 空調機器の表示制御装置
US10618407B2 (en) Terminal apparatus,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terminal apparatus
JP5146691B2 (ja) 遠隔操作装置
KR101556520B1 (ko) 단말기,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50869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US20220126693A1 (en) Vehicle display device
KR20160004043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를 가지는 차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