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1963A - 무단 변속기의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무단 변속기의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1963A
KR20160041963A KR1020167005730A KR20167005730A KR20160041963A KR 20160041963 A KR20160041963 A KR 20160041963A KR 1020167005730 A KR1020167005730 A KR 1020167005730A KR 20167005730 A KR20167005730 A KR 20167005730A KR 20160041963 A KR20160041963 A KR 20160041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control
select
time
control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5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8190B1 (ko
Inventor
세이이치로 다카하시
다이스케 아오키
다카히로 고바야시
주완 김
신이치로 와타나베
유타 스즈키
Original Assignee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41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1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8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8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66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ly variable gearings
    • F16H61/66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ly variable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36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 F16H59/38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of gearing elements
    • F16H59/42Input shaft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66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ly variable gearings
    • F16H61/66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ly variable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61/6627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ly variable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characterised by means for controlling the torque transmitting capability of the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66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ly variable gearings
    • F16H61/664Friction gearings
    • F16H61/6649Friction gearing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controlling the torque transmitting capability of the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9/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9/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9/04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using belts, V-belts, or ropes
    • F16H9/1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using belts, V-belts, or ropes engaging a pulley built-up out of relatively axially-adjustable parts in which the belt engages the opposite flanges of the pulley directly without interposed belt-supporting members
    • F16H9/16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using belts, V-belts, or ropes engaging a pulley built-up out of relatively axially-adjustable parts in which the belt engages the opposite flanges of the pulley directly without interposed belt-supporting members using two pulleys, both built-up out of adjustable conical parts
    • F16H9/18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using belts, V-belts, or ropes engaging a pulley built-up out of relatively axially-adjustable parts in which the belt engages the opposite flanges of the pulley directly without interposed belt-supporting members using two pulleys, both built-up out of adjustable conical parts only one flange of each pulley being adjus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4Smoothing ratio shift
    • F16H2061/0485Smoothing ratio shift during range shift from neutral (N) to reverse (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4Smoothing ratio shift
    • F16H2061/0488Smoothing ratio shift during range shift from neutral (N) to drive (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2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F16H2061/1232Bringing the control into a predefined state, e.g. giving priority to particular actuators or gear ratio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66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ly variable gearings
    • F16H61/66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ly variable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2061/66204Control for modifying the ratio control characteristic
    • F16H2061/66222Control for modifying the ratio control characteristic the ratio is varied in order to reduce surface wear of belt or pulle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벨트식 무단 변속 기구(40)와 마찰 체결 요소(32, 33)를 구비한 무단 변속기(1)의 제어 장치이다. 셀렉트 레버(50)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조작 위치 검출 수단(65)과, 비주행 레인지로부터 주행 레인지로의 전환이 검출된 시점으로부터 마찰 체결 요소(32, 33)를 체결하기 위한 셀렉트 제어를 실시하는 셀렉트 제어 수단(60b)과, 마찰 체결 요소(32, 33)의 체결 상태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60a)과, 2개의 풀리(41, 42)에 공급되는 풀리압을 제어하는 풀리압 제어 수단(60c)을 구비한다. 풀리압 제어 수단(60c)은, 셀렉트 제어의 개시로부터 소정 시간(T1)이 경과한 시점에서 마찰 체결 요소(32, 33)가 해방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풀리압을 상승시키고, 그 후 마찰 체결 요소(32, 33)가 체결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 풀리압을 저하시킨다. 이에 의해, 오일 펌프의 부하를 경감시키면서, 클러치 체결시의 벨트 슬립을 억제한다.

Description

무단 변속기의 제어 장치 {CONTROL DEVICE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되는 무단 변속기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 변속기로서, 프라이머리 풀리와 세컨더리 풀리 사이에 권취되는 벨트를 갖는 벨트식 무단 변속 기구를 구비한 무단 변속기가 널리 채용되어 있다. 이 무단 변속기에는, 무단 변속 기구와 엔진 사이에 개재 장착되는 전진 클러치 및 후진 브레이크(이하, 이들을 단순히 클러치라고도 함)가 설치되어 있고, 클러치의 체결 및 해방은, 운전자에 의한 셀렉트 레버(시프트 레버라고도 불림)의 조작에 따라서 제어된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셀렉트 레버를 P 레인지 또는 N 레인지(이하, 비주행 레인지라 함)로부터 D 레인지 또는 R 레인지(이하, 주행 레인지라 함)로 전환한 경우, 셀렉트 레버의 움직임은 물리적인 연동 기구 또는 물리적 및 전기적인 연동 기구에 의해 매뉴얼 밸브에 전달된다. 매뉴얼 밸브는, 클러치 원압과 클러치의 피스톤 유실을 연통하는 위치로 변위되고, 피스톤 유실에 유압이 공급됨으로써 클러치가 체결되어, 엔진 토크가 무단 변속기에 전달된다.
셀렉트 레버의 조작 위치는, 인히비터 스위치에 의해 검출되어, 조작 위치에 따른 전기 신호가 컨트롤러에 입력된다. 인히비터 스위치에 의해 셀렉트 레버가 비주행 레인지로부터 주행 레인지로 전환된 것이 검출된 경우, 통상은 클러치를 체결시키기 위해 클러치 지시압을 서서히 상승시키는 제어(이하, 셀렉트 제어라 함)가 실시된다.
그러나, 셀렉트 레버와 매뉴얼 밸브 사이의 연동 기구가 갖는 조립 오차나 덜걱거림 등에 기인하여 인히비터 스위치로부터의 출력 신호와 매뉴얼 밸브의 연통 상태의 사이에 어긋남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즉, 인히비터 스위치로부터는 「셀렉트 레버가 비주행 레인지로부터 주행 레인지로 전환된」이라고 하는 신호가 입력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매뉴얼 밸브가 주행 레인지 위치로 완전히 변위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하, 이러한 상태를 「의사 D 상태」라고 함)가 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의사 D 상태에 있어서, 운전자가, 셀렉트 레버의 주행 레인지로의 전환이 완료되어 있다고 생각하여 액셀러레이터를 답입하면, 실제로는 클러치가 체결되어 있지 않으므로, 액셀러레이터 조작에 의해 엔진 회전 속도가 급상승해 버린다. 이 상태에서 매뉴얼 밸브가 주행 레인지 위치로 변위되어, 주행 레인지를 달성하는 유로와 연통 상태로 되면, 클러치가 체결됨으로써, 무단 변속기의 벨트에 순간적인 토크 입력이 발생한다. 이 경우, 토크를 전달하기 위한 풀리 유압(프라이머리압 및 세컨더리압)이 충분하지 않아, 벨트 슬립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의사 D 상태로 되어 엔진 회전 속도가 급상승한 경우에, 풀리에 입력되는 토크를 저감하여, 벨트 슬립을 억제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의사 D 상태이며 엔진의 공회전이 발생하는 경우에, 클러치 지시압을 통상의 셀렉트 제어시보다 저하시킴과 함께, 엔진 출력을 제한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클러치 미체결시에 엔진 출력 규제를 빠르게 행하여, 엔진의 공회전, 클러치의 체결 쇼크 및 벨트 슬립을 억제할 수 있다고 되어 있다.
그런데, 운전자가 셀렉트 레버를 비주행 레인지로부터 주행 레인지로 천천히 조작한 경우, 인히비터 스위치로부터의 출력 신호와 매뉴얼 밸브의 연통 상태가 어긋난 의사 D 상태가 발생하기 쉽고, 또한 이 상태가 계속되는 것이 생각된다. 이때, 운전자가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답입하였다고 하면, 엔진 회전 속도가 급상승하므로, 상기한 특허문헌 1의 기술을 사용하여 벨트 슬립 등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셀렉트 레버가 천천히 조작되어, 의사 D 상태로 되고 나서 의사 D 상태가 판정될 때까지 시간차가 있는 경우, 통상은 셀렉트 제어에 의해 클러치 지시압은 서서히 상승한다. 이 상태에서 매뉴얼 밸브가 주행 레인지를 달성하는 유로를 연통 상태로 하면, 실 클러치압은 클러치 지시압까지 급격하게 상승하므로, 클러치가 급체결된다. 이에 의해, 무단 변속기의 벨트에 순간적인 토크 입력이 발생하여, 풀리압의 부족으로부터 벨트 슬립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 무단 변속기의 벨트에 순간적인 토크 입력이 발생하여, 벨트 슬립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미리 풀리압을 높은 상태로 유지해 두는 것도 생각되지만, 그것으로는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오일 펌프의 부하의 증대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이 오일 펌프가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경우는, 연비의 악화로도 이어지게 되므로, 오일 펌프의 부하는 경감시키는 것이 요망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9-221986호 공보
본건의 목적 중 하나는,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에 비추어 창안된 것으로, 오일 펌프의 부하를 경감시키면서, 클러치 체결시의 벨트 슬립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 무단 변속기의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 목적에 한정되지 않고, 후술하는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나타내는 각 구성에 의해 유도되는 작용 효과이며, 종래의 기술에 의해서는 얻을 수 없는 작용 효과를 발휘하는 것도 본건의 다른 목적으로서 평가할 수 있다.
(1) 여기서 개시하는 무단 변속기의 제어 장치는, 2개의 풀리 사이에 권취되는 벨트를 갖는 무단 변속 기구와, 상기 무단 변속 기구와 엔진 사이에 개재 장착되는 마찰 체결 요소를 구비한 무단 변속기의 제어 장치이며, 셀렉트 레버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조작 위치 검출 수단과, 상기 조작 위치 검출 수단에 의해 비주행 레인지로부터 주행 레인지로의 전환이 검출된 시점으로부터, 상기 마찰 체결 요소를 체결하기 위한 셀렉트 제어를 실시하는 셀렉트 제어 수단과, 상기 마찰 체결 요소의 체결 상태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상기 2개의 풀리에 공급되는 풀리압을 제어하는 풀리압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풀리압 제어 수단은, 상기 셀렉트 제어 수단에 의한 상기 셀렉트 제어의 개시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마찰 체결 요소가 해방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풀리압을 상승시키고, 그 후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마찰 체결 요소가 체결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풀리압을 저하시키는 것이다.
(2) 상기 풀리압 제어 수단은, 상기 셀렉트 제어 수단에 의한 상기 셀렉트 제어의 진행 정도에 따라서 상기 풀리압을 상승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셀렉트 제어에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전환되는 복수의 제어 모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셀렉트 제어의 진행 정도라 함은, 복수의 제어 모드 중 어느 제어 모드를 실시하고 있는지에 대응한다.
(3) 상기 풀리압 제어 수단은, 상기 풀리압을 상승시킬 때에는, 상기 마찰 체결 요소의 체결시에 상기 벨트의 슬립이 발생하지 않는 유압으로 되도록 소정량만큼 증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4)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마찰 체결 요소와 상기 엔진 사이에 개재 장착되는 토크 컨버터의 터빈 회전 속도를 사용하여 상기 마찰 체결 요소의 체결 상태를 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시된 무단 변속기 제어 장치에 의하면, 셀렉트 제어의 개시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해도 마찰 체결 요소가 해방되어 있는 경우에 풀리압을 상승시키므로, 마찰 체결 요소의 급체결에 의한 벨트 슬립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마찰 체결 요소가 체결되면 풀리압을 낮추므로, 오일 펌프의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그로 인해, 오일 펌프가 엔진을 구동원으로 하고 있는 경우, 오일 펌프의 부하를 경감시킴으로써 연비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무단 변속기의 제어 장치가 적용된 엔진 차량의 구동계 및 제어계를 나타내는 전체 시스템도이다.
도 2는 트랜스미션의 구성을 예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무단 변속기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셀렉트 제어가 개시된 경우에 실시되는 풀리압 제어의 흐름도 예이다.
도 4는 통상 셀렉트 제어가 선택된 경우의 타임차트로, (a)는 INH 신호, (b)는 매뉴얼 밸브, (c)는 클러치압, (d)는 회전 속도, (e)는 클러치 토크, (f)는 풀리압을 나타낸다.
도 5는 의사 D 셀렉트 제어가 선택된 경우의 타임차트로, (a)는 INH 신호, (b)는 매뉴얼 밸브, (c)는 클러치압, (d)는 회전 속도, (e)는 클러치 토크, (f)는 풀리압을 나타낸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는 어디까지나 예시에 불과하며, 이하의 실시 형태에서 명시하지 않는 다양한 변형이나 기술의 적용을 배제할 의도는 없다. 이하의 실시 형태의 각 구성은, 그들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과 함께, 필요에 따라서 취사 선택할 수 있고, 혹은 적절하게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1. 전체 시스템 구성]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무단 변속기의 제어 장치가 적용된 엔진 차량의 구동계와 제어계를 나타내는 전체 시스템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은 엔진(내연 기관)(70)을 구동원으로 하고, 오일 펌프(10)와, 토크 컨버터(20)와, 전후진 전환 기구(30)와, 벨트식 무단 변속 기구(40)와, 종감속 기구(도시 생략)와, 구동륜(8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토크 컨버터(20)와 전후진 전환 기구(30)와 벨트식 무단 변속 기구(40)와 종감속 기구를 트랜스미션 케이스 내에 수납함으로써 벨트식 무단 변속기(1)(이하, CVT(1)라고 함)가 구성된다.
오일 펌프(10)는, 엔진(70)을 구동원으로 한 기계 펌프이며, 유압 회로로 오일을 압송한다. 유압 회로 상에는, 라인압 조정 장치(11), 프라이머리압 조정 장치(12), 세컨더리압 조정 장치(13) 및 클러치압 조정 장치(14)와 같은 유압 조정 장치나 매뉴얼 밸브(57)가 개재 장착된다. 라인압 조정 장치(11)는, 오일 펌프(10)로부터 압송된 오일을 라인 지시압에 따른 라인압(PL)으로 압력 조절한다. 압력 조절된 라인압(PL)은, 프라이머리압 조정 장치(12), 세컨더리압 조정 장치(13) 및 클러치압 조정 장치(14)로 보내진다.
프라이머리압 조정 장치(12)는, 라인압(PL)을 프라이머리 지시압에 따른 프라이머리압(Ppri)으로 압력 조절한다. 세컨더리압 조정 장치(13)는, 라인압(PL)을 세컨더리 지시압에 따른 세컨더리압(Psec)으로 압력 조절한다. 클러치압 조정 장치(14)는, 라인압(PL)을 전진 클러치 지시압 또는 후퇴 브레이크 지시압에 따른 전진 클러치압(Pfc) 또는 후퇴 브레이크압(Prb)으로 압력 조절한다. 또한, 라인 지시압, 프라이머리 지시압, 세컨더리 지시압, 전진 클러치 지시압 및 후퇴 브레이크 지시압은, 모두 후술하는 컨트롤러(60)로부터 출력된다.
토크 컨버터(20)는, 토크 증대 기능을 갖는 발진 요소이며, 토크 증대 기능을 필요로 하지 않을 때, 엔진 출력축(=토크 컨버터 입력축)(71)과 토크 컨버터 출력축(21)을 직결 가능한 로크업 클러치(도시 생략)를 갖는다. 이 토크 컨버터(2)는, 엔진 출력축(71)에 모두 도시하지 않은 컨버터 하우징을 통해 연결된 펌프 임펠러와, 토크 컨버터 출력축(21)에 연결된 터빈 라이너와, 케이스에 원웨이 클러치를 통해 설치된 스테이터를 구성 요소로 한다.
전후진 전환 기구(30)는, 벨트식 무단 변속 기구(40)에의 입력 회전 방향을 전진 주행시의 정회전 방향과 후퇴 주행시의 역회전 방향으로 전환하는 기구이다. 이 전후진 전환 기구(30)는, 엔진(70)측과 벨트식 무단 변속 기구(40)측의 동력 전달 경로를 전환하는 더블 피니언식 유성 기어(31)와, 복수의 클러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전진 클러치(32)(전진측 마찰 체결 요소)와, 복수의 브레이크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후퇴 브레이크(33)(후퇴측 마찰 체결 요소)를 갖는다.
전진 클러치(32)는, 전진 클러치 피스톤실(32a)에 연접되어 있고, D 레인지(드라이브 레인지) 등의 전진 주행 레인지의 선택시(차량의 전진시)에, 전진 클러치 피스톤실(32a)에 공급되는 전진 클러치압(Pfc)에 의해 유성 기어(31)에 체결된다. 후퇴 브레이크(32)는, 후진 브레이크 피스톤(33a)에 연접되어 있고, 후퇴 주행 레인지인 R 레인지의 선택시(차량의 후퇴시)에, 후퇴 브레이크 피스톤(33a)에 공급되는 후퇴 브레이크압(Prb)에 의해 유성 기어(31)에 체결된다. 또한, 전진 클러치압(Pfc), 후퇴 브레이크압(Prb)은, 클러치압 조정 장치(14)에서 압력 조절된 후, 매뉴얼 밸브(57)를 통해 각 피스톤실(32a), 피스톤실(33a)로 보내진다.
이하, D 레인지 및 R 레인지를 총칭하여 「주행 레인지」라고 한다. 또한, 전진 클러치(32) 및 후퇴 브레이크(33)(이하, 단순히 클러치(32, 33)라고도 함)는, N 레인지(뉴트럴 레인지)나 P 레인지(파킹 레인지)와 같은 중립 위치를 선택시, 전진 클러치압(Pfc)과 후퇴 브레이크압(Prb)을 드레인함으로써, 모두 해방된다. 이하, N 레인지 및 P 레인지를 총칭하여 「비주행 레인지」라고 한다.
벨트식 무단 변속 기구(40)는, 벨트 접촉 직경의 변화에 의해 변속기 입력 회전수와 변속기 출력 회전수의 비인 변속비(즉, 변속기 입력 회전수/변속기 출력 회전수)를 무단계로 변화시키는 무단 변속 기능을 구비하고, 프라이머리 풀리(41)와, 세컨더리 풀리(42)와, 벨트(43)를 갖는다. 프라이머리 풀리(41)는, 엔진(70)의 구동력이 입력되는 입력측의 풀리이고, 세컨더리 풀리(42)는 벨트(43)에 의해 전달된 구동력을 아이들러 기어나 차동 기어를 통해 구동륜(80)에 전달하는 출력측의 풀리이다.
프라이머리 풀리(41), 세컨더리 풀리(42)는, 각각 고정 원뿔판(41a, 42a)과, 이 고정 원뿔판(41a, 42a)에 대해 시브면을 대향시킨 상태에서 배치되고, 고정 원뿔판(41a, 42a)과의 사이에 V 홈을 형성하는 가동 원뿔판(41b, 42b)과, 유압 실린더(도시 생략)를 갖는다. 각 유압 실린더는, 각 가동 원뿔판(41b, 42b)의 배면에 설치되고, 프라이머리압(Ppri), 세컨더리압(Psec)이 공급된다. 가동 원뿔판(41b, 42b)은, 프라이머리압(Ppri), 세컨더리압(Psec)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가동 원뿔판(41b, 42b)의 축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서, 프라이머리 풀리(41) 및 세컨더리 풀리(42)에의 벨트(43)의 권취 반경이 변경됨으로써, 변속비가 무단계로 변화된다.
차량은, CVT(1)의 제어계로서, 전진 클러치압(Pfc)이나 세컨더리압(Psec) 등을 제어하는 컨트롤러(60)를 구비하고 있다. 컨트롤러(60)는, 각종 연산 처리를 실행하는 CPU, 그 제어에 필요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가 기억된 ROM, CPU에서의 연산 결과 등이 일시적으로 기억되는 RAM, 외부와의 사이에서 신호를 입출력하기 위한 입출력 포트,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 등을 구비한 컴퓨터이다.
컨트롤러(60)에는, 프라이머리 회전 속도 센서(61), 세컨더리 회전 속도 센서(62), 프라이머리압 센서(63), 세컨더리압 센서(64), 인히비터 스위치(조작 위치 검출 수단)(65), 엔진 회전 속도 센서(66), 터빈 회전 속도 센서(67),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센서(68), 라인압 센서(69) 등의 각종 센서류가 접속되고, 이들 센서에 의해 검출된 센서 정보나 스위치 정보가 입력된다. 또한, 터빈 회전 속도 센서(67)는, 토크 컨버터 출력축(21)의 회전 속도(즉, 터빈 회전 속도(Nt))를 검출한다.
또한, 차량에는, 주행 모드를 전환하기(선택하기) 위한 셀렉트 레버(시프트 레버라고도 불림)(50)가 설치되어 있다. 인히비터 스위치(65)는, 이 셀렉트 레버(50)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고, 셀렉트 레버(50)에 의해 선택되어 있는 레인지 위치(D 레인지, N 레인지, R 레인지 등)에 따른 레인지 위치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트랜스미션의 구성을 예시한 모식도를 도 2에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셀렉트 레버(50)는, 지지점(50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고, 지지점(50a)보다도 조작부(50b)측에 와이어(52)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이 와이어(52)의 타단부는, 링크(53)에 접속되어 있다. 링크(53)는, 지지점(53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고, 그 타단부가 슬라이더(54)에 접속되어 있다. 슬라이더(54)는, 연결봉(55a)을 통해 인히비터 스위치(65)의 스위치부(65a)에 연결되어 있다. 스위치부(65a)는, D 레인지 터미널(65c), N 레인지 터미널(65d) 및 R 레인지 터미널(65e) 중 어느 하나의 터미널과 전원 터미널(65b)을 도통 가능하게 한다.
셀렉트 레버(50)가, 운전자에 의해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되면, 와이어(52)를 통해 링크(53)가 화살표와 같이 회전하고, 슬라이더(54)가 화살표와 같이 이동한다. 이 슬라이더(54)의 이동에 맞추어 스위치부(65a)가 이동하여, 전원 터미널(65b)과, D 레인지 터미널(65c), N 레인지 터미널(65d) 및 R 레인지 터미널(65e) 중 어느 하나의 터미널을 도통시킨다.
또한, 슬라이더(54)는, 상기한 연결봉(55a)과는 다른 연결봉(55b)을 통해 매뉴얼 밸브(57)에 연결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셀렉트 레버(50)의 움직임은, 물리적인 연동 기구(와이어(52), 링크(53), 슬라이더(54), 연결봉(55b))에 의해 매뉴얼 밸브(57)에 전달된다. 즉, 셀렉트 레버(50)가 조작되면, 와이어(52)를 통해 링크(53)가 회전하여, 슬라이더(54)가 이동한다.
매뉴얼 밸브(57)는, 이 슬라이더(54)의 이동에 맞추어 변위되고,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러치압 조정 장치(14)와, 전진 클러치 피스톤실(32a)(FWD/C) 또는 후퇴 브레이크 피스톤실(33a)(REV/B)에 연결되는 유로를 연통 상태로 한다. 이에 의해, 클러치압 조정 장치(14)에서 압력 조절된 전진 클러치압(Pfc) 또는 후퇴 브레이크압(Prb)이, D 레인지를 달성하는 유로 또는 R 레인지를 달성하는 유로에 공급되어, 전진 클러치(32) 또는 후퇴 브레이크(33)의 체결, 해방이 제어된다.
컨트롤러(60)의 구체적인 제어 대상으로서는, 스로틀 개방도 등에 따른 목표 라인압을 얻는 지시를 라인압 조정 장치(11)에 출력하는 라인압 제어, 차속이나 스로틀 개방도 등에 따라서 목표 변속비를 얻는 지시를 프라이머리압 조정 장치(12) 및 세컨더리압 조정 장치(13)에 출력하는 변속 유압 제어, 전진 클러치(32) 및 후진 브레이크(33)의 체결/해방을 제어하는 지시를 클러치압 조정 장치(14)에 출력하는 전후진 전환 제어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우선, 전후진 전환 제어 중, 셀렉트 레버(50)가 비주행 레인지로부터 주행 레인지로 전환되었을 때에 실시하는 셀렉트 제어에 대해 설명하고, 다음으로 풀리압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변속 유압 제어 중, 셀렉트 레버(50)가 천천히 비주행 레인지로부터 주행 레인지로 전환 조작된 경우에 실시되는 풀리압 제어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2. 제어의 개요]
[2-1. 셀렉트 제어]
셀렉트 제어라 함은, 인히비터 스위치(65)에 의해 셀렉트 레버(50)가 비주행 레인지로부터 주행 레인지로 전환된 것이 검출된 경우에, 전진 클러치 피스톤실(32a) 또는 후퇴 브레이크 피스톤실(33a)에 유압을 가두어, 전진 클러치(32) 또는 후퇴 브레이크(33)를 체결하는 제어이다.
예를 들어, N 레인지로부터 D 레인지로 전환된 경우는, 전진 클러치압 지시압(이하, 단순히 클러치 지시압이라 함)이 제어되고, 클러치 지시압에 따른 전진 클러치압(Pfc)이 클러치압 조정 장치(14)에 의해 압력 조절된다. 그리고, 매뉴얼 밸브(57)가 클러치압 조정 장치(14)와 D 레인지를 달성하는 유로를 연통 상태로 하면, 전진 클러치압(Pfc)이 전진 클러치 피스톤실(32a)에 공급되어 전진 클러치(32)가 체결된다.
셀렉트 제어에는, 인히비터 스위치(65)의 신호(이하, INH 신호라 함)와 매뉴얼 밸브(57)의 연통 상태가 일치하고 있는 경우에 실시되는 통상 셀렉트 제어와, INH 신호와 매뉴얼 밸브(57)의 연통 상태가 일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실시되는 의사 D 셀렉트 제어가 있다. 또한, 이들 2개의 셀렉트 제어에는, 각각, 제1 제어 모드인 저압 충전 모드, 제2 제어 모드인 용량 제어 모드, 제3 제어 모드인 체결 보증 모드, 제4 제어 모드인 통상 용량 제어 모드의 4개의 제어 모드가 설치되어 있고, 각 모드에 따라서 클러치 지시압이 제어된다.
또한, INH 신호와 매뉴얼 밸브(57)의 연통 상태가 일치하고 있는 경우라 함은, 예를 들어 INH 신호가 D 레인지에 따른 레인지 신호인 경우에, 매뉴얼 밸브(57)가 클러치압 조정 장치(14)와 D 레인지를 달성하는 유로를 연통 상태로 하고 있는 경우를 말한다. 반대로, INH 신호가 D 레인지에 따른 레인지 신호인 경우에, 매뉴얼 밸브(57)가 클러치압 조정 장치(14)와 D 레인지를 달성하는 유로를 연통 상태로 하고 있지 않은 경우를, INH 신호와 매뉴얼 밸브(57)의 연통 상태가 일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라고 한다.
의사 D 셀렉트 제어는, 운전자가 셀렉트 레버(50)를 비주행 레인지로부터 주행 레인지로 천천히 조작한 경우에 실시된다. 즉, 셀렉트 레버(50)가 비주행 레인지와 주행 레인지 사이에 위치하면, 인히비터 스위치(65)의 출력 신호는 주행 레인지임에도 불구하고, 매뉴얼 밸브(57)는 완전히 변위되어 있지 않은(주행 레인지로 완전히 전환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되어, INH 신호와 매뉴얼 밸브(57)의 연통 상태에 어긋남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의사 D 셀렉트 제어는, 이 경우에 실시된다.
우선, 통상 셀렉트 제어에 대해, 도 4에 나타내는 타임차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4의 (c) 및 후술하는 도 5의 (c) 중의 모드 1, 모드 2, 모드 3, 모드 4는, 각각 제1 제어 모드, 제2 제어 모드, 제3 제어 모드, 제4 제어 모드에 대응한다. 도 4의 (a)∼(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INH 신호가 N 레인지(비주행 레인지)로부터 D 레인지(주행 레인지)로 전환된 시점(시각 t0)으로부터, 제1 제어 모드(저압 충전 모드)가 개시된다.
제1 제어 모드에서는, 우선 클러치 지시압이 프리차지압(Ppr)까지 스텝 형상으로 높아져, 소정의 프리차지 시간(Tpr)이 경과할 때까지 유지된다. 이에 의해, 전진 클러치 피스톤의 무효 스트로크가 빠르게 감소한다. 또한, 프리차지 시간(Tpr)은, 예를 들어 프리차지압(Ppr)이 전진 클러치 피스톤실(32a)에 공급된 경우에, 전진 클러치 피스톤의 무효 스트로크가 제로로 되어, 전진 클러치(32)가 토크 전달하지 않을 정도로 될 때까지 필요로 하는 시간으로 설정되어 있다.
전진 클러치 피스톤의 무효 스트로크를 감소시킨 시각 t1에서는, 클러치 지시압이 토크 0점 유압보다도 약간 높은 소정압(Pfi)까지 저하된다. 또한, 토크 0점 유압이라 함은, 전진 클러치(32)를 토크 전달하지 않을 정도로 접촉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유압이다. 클러치 지시압을 높임으로써, 전진 클러치(32)는 서서히 체결이 개시된다. 이때 구동륜(80)은 정지하고 있으므로, 전진 클러치(32)의 체결의 진행 정도에 수반하여 터빈 회전 속도(Nt)가 저하되기 시작한다.
그리고, 터빈 회전 속도(Nt)가 체결 개시 판정 역치 N1에 도달한 시점(시각 t2)에서, 제어 모드가 저압 충전 모드로부터 용량 제어 모드로 전환된다. 또한, 체결 개시 판정 역치 N1은, 전진 클러치(32)의 체결이 개시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속도 역치이며, 예를 들어 INH 신호가 N 레인지로부터 D 레인지로 전환된 시점의 터빈 회전 속도(Nt)로부터 소정 회전 속도 저하된 회전 속도로 미리 설정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통상 셀렉트 제어의 저압 충전 모드는, INH 신호가 N 레인지로부터 D 레인지로 전환된 시점으로부터, 터빈 회전 속도(Nt)가 체결 개시 판정 역치 N1에 도달할 때까지의 사이에 실시되는 제어 모드이다.
제2 제어 모드(용량 제어 모드)에서는, 클러치 지시압이 소정압(Pfi)으로부터 작은 기울기로 램프 형상으로 높아져, 전진 클러치(32)의 체결이 진행된다. 또한, 전진 클러치압(Pfc)이 지나치게 높으면 전진 클러치(32)가 급체결되어 버리므로, 여기서는 제1 제어 모드에서의 클러치 지시압보다도 약간 높은 유압으로 제어된다. 그리고, 터빈 회전 속도(Nt)가 체결 완료 판정 역치 N2에 도달한 시점(시각 t3)에서, 제어 모드가 제2 제어 모드로부터 제3 제어 모드로 전환된다.
또한, 체결 완료 판정 역치 N2는, 상기한 체결 개시 판정 역치 N1보다도 작은 값이며(N1>N2), 전진 클러치(32)가 체결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역치 속도로, 예를 들어 터빈 회전 속도(Nt)와 엔진 회전 속도(Ne)의 편차가 소정값 이내의 회전 속도로 미리 설정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통상 셀렉트 제어의 용량 제어 모드는, 터빈 회전 속도(Nt)가 체결 개시 판정 역치 N1에 도달한 시점으로부터, 터빈 회전 속도(Nt)가 체결 완료 판정 역치 N2에 도달할 때까지의 사이에 실시되는 제어 모드이다.
제3 제어 모드(체결 보증 모드)에서는, 소정의 보증 시간(Tfa) 동안, 클러치 지시압이 소정의 기울기로 램프 형상으로 높아진다. 이에 의해, 전진 클러치(32)가 완전히 체결된다(시각 t4). 통상 셀렉트 제어의 제3 제어 모드는, 터빈 회전 속도(Nt)가 체결 완료 판정 역치 N2에 도달한 시점으로부터 보증 시간(Tfa) 동안 실시되고, 시각 t5에 있어서 제3 제어 모드로부터 제4 제어 모드로 전환된다. 제4 제어 모드(통상 용량 제어 모드)에서는, 클러치 지시압이 램프 형상으로 저하되어, 소정의 유압으로 되도록 제어된다.
다음으로, 의사 D 셀렉트 제어에 대해, 도 5에 나타내는 타임차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5의 (a)∼(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INH 신호가 N 레인지로부터 D 레인지로 전환된 시점(시각 t0)으로부터 제1 제어 모드(저압 충전 모드)가 개시된다. 제1 제어 모드는, 통상 셀렉트 제어와 마찬가지이다. 단, 이 경우는, 매뉴얼 밸브(57)가 N 레인지에 대응하는 상태로부터 D 레인지에 대응하는 상태로 완전히 전환되지 않아, 클러치압 조정 장치(14)와 D 레인지를 달성하는 유로를 완전히 연통 상태로 하고 있지 않으므로, 전진 클러치 피스톤실(32a)에 유압은 거의 공급되지 않는다. 그로 인해, 전진 클러치(32)의 체결의 진행이 지연되므로, 터빈 회전 속도(Nt)는 거의 변화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제어 모드의 개시로부터 제1 소정 시간(T1)이 경과한 시점(시각 t6)에서 터빈 회전 속도(Nt)에 변화가 없으면, 그 시점에서 제어 모드가 제1 제어 모드로부터 제2 제어 모드로 전환된다. 이 제1 소정 시간(T1)은, INH 신호와 매뉴얼 밸브(57)의 연통 상태가 일치하고 있는 경우에, 터빈 회전 속도(Nt)가 체결 개시 판정 역치 N1에 도달할 때까지에 걸리는 시간보다도 긴 시간으로 설정되어 있다.
즉, INH 신호가 N 레인지로부터 D 레인지로 전환된 시점으로부터, 제1 제어 모드에서의 클러치 지시압의 제어가 실시되고, 제1 제어 모드 개시로부터 제1 소정 시간(T1)이 경과할 때까지의 사이에 터빈 회전 속도(Nt)가 체결 개시 판정 역치 N1에 도달하면 통상 셀렉트 제어가 선택되고, 제1 소정 시간(T1)이 경과해도 터빈 회전 속도(Nt)에 변화가 없으면 의사 D 셀렉트 제어가 선택된다.
의사 D 셀렉트 제어의 제2 제어 모드(용량 제어 모드)에서는, 클러치 지시압이 램프 형상으로 높아진다. 제1 제어 모드로부터 제2 제어 모드로 전환된 시점(시각 t6)으로부터 제2 소정 시간(T2)이 경과한 시점(시각 t7)에서, 제어 모드가 제2 제어 모드로부터 제3 제어 모드로 전환된다.
의사 D 셀렉트 제어의 제3 제어 모드(체결 보증 모드)에서는, 클러치 지시압이 램프 형상으로 높아진다. 제3 제어 모드는, 전진 클러치(32)의 체결이 완료된 시점, 즉, 터빈 회전 속도(Nt)와 엔진 회전 속도(Ne)의 편차가 소정 회전 이상으로 된 시점(시각 t10)으로부터 제3 소정 시간(T3)이 경과할 때까지 실시되고, 그 후, 제4 제어 모드로 전환된다. 또한, 제3 소정 시간(T3)은 보증 시간(Tfa)과 동등하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의사 D 셀렉트 제어의 제2 제어 모드 중에 매뉴얼 밸브(57)의 연통 상태가 D 레인지로 전환된 경우는, 전진 클러치(32)의 체결이 개시되어 터빈 회전 속도(Nt)가 저하되기 시작한다. 그로 인해, 이 경우는, 의사 D 셀렉트 제어의 제2 제어 모드로부터 통상 셀렉트 제어의 제2 제어 모드로 이행한다. 즉, 터빈 회전 속도(Nt)가 체결 완료 판정 역치 N2에 도달하면, 그 시점으로부터 보증 시간(Tfa)의 동안, 통상 셀렉트 제어의 제3 제어 모드가 실시된다.
제4 제어 모드(통상 용량 제어 모드)에서는, 클러치압이 램프 형상으로 저하되어, 소정의 유압으로 되도록 제어된다.
또한, 제3 제어 모드에서, 전진 클러치(32)의 체결이 개시되지 않는 경우에는, 의사 D 상태라고 판정되어, 클러치 지시압을 통상 셀렉트 제어보다도 저하시킴과 함께, 엔진 출력 규제를 실시한다.
또한, 여기서는 셀렉트 레버(50)가 N 레인지로부터 D 레인지로 전환된 경우의 셀렉트 제어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P 레인지로부터 D 레인지로 전환된 경우도, 마찬가지의 셀렉트 제어가 실시된다. 또한, N 레인지 또는 P 레인지로부터 R 레인지로 전환된 경우는, 후퇴 브레이크(33)를 체결하기 위한 셀렉트 제어가 실시된다. 이 셀렉트 제어에서는, 후퇴 브레이크 지시압이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제어된다.
[2-2. 풀리압 제어]
풀리압 제어라 함은, 프라이머리압(Ppri) 및 세컨더리압(Psec)(이하, 이들을 총칭하여 풀리압이라 함)에 관한 제어로, 셀렉트 제어가 실시되는 경우에 실시된다. 풀리압 제어는, 선택된 셀렉트 제어(즉, 통상 셀렉트 제어 또는 의사 D 셀렉트 제어)에 맞추어 실시된다. 또한, 의사 D 셀렉트 제어가 선택된 경우는, 제어 모드에 따라서 풀리압이 제어된다.
여기서는, 풀리압으로서 세컨더리압(Psec)의 지시압(세컨더리 지시압)을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또한, 프라이머리압(Ppri)은, 소정의 변속비로 되도록 세컨더리 지시압을 제어함으로써 변화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셀렉트 레버(50)가 N 레인지로부터 D 레인지로 전환된 경우를 예시하지만, P 레인지로부터 D 레인지로 전환된 경우도, N 레인지 또는 P 레인지로부터 R 레인지로 전환된 경우도, 마찬가지의 풀리압 제어가 실시된다.
우선, 통상 셀렉트 제어가 선택된 경우의 풀리압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 세컨더리 지시압은, 미리 설정된 통상의 지시압(이하, 단순히 통상 세컨더리압(Psec_us)이라 함)으로 제어된다. 통상 세컨더리압(Psec_us)은, 통상 셀렉트 제어에 의한 전진 클러치(32)의 체결시에, 벨트(43)에 전달되는 토크에 의해 벨트 슬립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설정되어 있고, 여기서는 일정값으로 한다.
다음으로, 의사 D 셀렉트 제어가 선택된 경우의 풀리압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 세컨더리 지시압은, 상기한 통상 세컨더리압(Psec_us)과 최저압(Psec_low) 중, 높은 쪽의 유압으로 제어된다. 최저압(Psec_low)은, 의사 D 셀렉트 제어에 의한 전진 클러치(32)의 체결시의 벨트 슬립을 억제하기 위해 최저한 필요해지는 세컨더리압(Psec)이며, 의사 D 셀렉트 제어의 제어 모드에 따라서 설정된다.
의사 D 셀렉트 제어에서는, 먼저 INH 신호가 N 레인지로부터 D 레인지로 전환되고, 추후에 매뉴얼 밸브(57)가 변위된다. 클러치압 조정 장치(14)에 지시되는 클러치 지시압은, INH 신호의 전환시로부터 서서히 높아지고, 이것에 수반하여 클러치 원압(매뉴얼 밸브(57)보다도 클러치압 조정 장치(14)측의 유로에서 대기하고 있는 유압)도 상승한다. 이 상태에서 매뉴얼 밸브(57)가 전진 클러치 피스톤실(32a)에 연결되는 유로와 연통 상태로 전환되면, 고압의 클러치 원압이 전진 클러치 피스톤실(32a)에 공급되어, 전진 클러치압(Pfc)은 급격하게 상승하고, 전진 클러치(32)가 급체결된다.
이에 의해, 벨트(43)에는 통상 셀렉트 제어에 의한 전진 클러치(32)의 체결시보다도 큰 토크가 순간적으로 입력되므로, 통상 세컨더리압(Psec_us)에서는 풀리압이 부족하여, 벨트 슬립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의사 D 셀렉트 제어가 선택된 경우의 풀리압 제어에서는, 이러한 벨트 슬립을 억제하기 위해, 최저압(Psec_low)이라고 하는 다른 하나의 제어압이 설정되고, 통상 세컨더리압(Psec_us)과 최저압(Psec_low) 중 높은 쪽의 유압을 사용한다.
최저압(Psec_low)은, 제1 제어 모드에서는 제로로 제어되고, 제2 제어 모드로 전환됨과 함께 서서히 증압된다. 제2 제어 모드에서는, 최저압(Psec_low)은, 램프 형상으로 상승되고, 통상 세컨더리압(Psec_us)보다도 약간 높은 제1 소정압(P1)에 도달한 후에는 제2 제어 모드가 종료될 때까지 제1 소정압(P1)이 유지된다. 이에 의해, 제1 제어 모드에서는, 세컨더리 지시압이 통상 세컨더리압(Psec_us)으로 제어되고, 제2 제어 모드에서는, 제어 모드의 도중에 세컨더리 지시압이 통상 세컨더리압(Psec_us)으로부터 최저압(Psec_low)으로 전환된다.
최저압(Psec_low)은, 제3 제어 모드로 전환된 시점으로부터 다시 램프 형상으로 상승되어, 제1 소정압(P1)보다도 높은 제2 소정압(P2)까지 높아진다. 그리고, 제2 소정압(P2)에 도달한 후에는 제3 제어 모드가 종료될 때까지 제2 소정압(P2)이 유지된다. 이에 의해, 제3 제어 모드에서는, 세컨더리 지시압이 최저압(Psec_low)으로 제어된다. 제3 제어 모드로부터 제4 제어 모드로 전환되면, 최저압(Psec_low)은 램프 형상으로 제로까지 저하된다. 세컨더리 지시압은, 최저압(Psec_low)이 통상 세컨더리압(Psec_us)을 하회한 시점에서, 최저압(Psec_low)으로부터 통상 세컨더리압(Psec_us)으로 전환된다.
제1 소정값(P1), 제2 소정압(P2)은, 제2 제어 모드, 제3 제어 모드에서 전진 클러치(32)가 체결되었을 때의 벨트 슬립을 억제하기 위해 최저한 필요해지는 세컨더리압(Psec)이며, 미리 설정되어 있다. 즉, 어느 제어 모드에서 전진 클러치(32)가 체결되어도, 벨트 슬립이 발생하지 않는 유압으로 되도록, 소정량 P1, P2만큼 세컨더리 지시압이 증압된다. 클러치 지시압은, 제3 제어 모드의 쪽이 제2 제어 모드보다도 높기 때문에, 전진 클러치(32)가 체결되었을 때의 토크 입력은 제3 제어 모드의 쪽이 커진다. 그로 인해, 제2 소정압(P2)의 쪽이 제1 소정압(P1)보다도 높게 설정되어 있다.
[3. 제어 구성]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한 제어를 실시하기 위한 요소로서, 컨트롤러(60)에는, 판정부(60a), 셀렉트 제어부(60b) 및 풀리압 제어부(60c)가 설치된다. 이들 각 요소는 전자 회로(하드웨어)에 의해 실현해도 되고, 소프트웨어로서 프로그래밍된 것으로 해도 되고, 혹은 이들 기능 중 일부를 하드웨어로서 설치하고, 다른 부를 소프트웨어로 한 것이어도 된다.
판정부(판정 수단)(60a)는, INH 신호가 비주행 레인지로부터 주행 레인지로 전환된 후에, 클러치(32, 33)의 체결 상태를 판정하는 것이다. 여기서는, 터빈 회전 속도 센서(67)에 의해 검출된 터빈 회전 속도(Nt)를 사용하여 체결 상태를 판정한다. INH 신호가 비주행 레인지로부터 주행 레인지로 전환된 시점에서는, 구동륜(80)은 정지하고 있으므로, 클러치(32, 33)의 체결이 진행됨에 따라서, 브레이크 작용에 의해 터빈 회전 속도(Nt)가 저하되므로, 터빈 회전 속도(Nt)를 미리 설정된 소정의 역치 N1, N2와 비교한다.
구체적으로는, 판정부(60a)는, INH 신호가 비주행 레인지로부터 주행 레인지로 전환된 후에, 이하의 (A)가 성립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A)가 성립된다고 판정한 경우는 또한 이하의 (B)가 성립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A) 터빈 회전 속도(Nt)가 체결 개시 판정 역치 N1 이하이다(Nt≤N1)
(B) 터빈 회전 속도(Nt)가 체결 완료 판정 역치 N2 이하이다(Nt≤N2)
판정부(60a)는, 상기 (A)가 성립된다고 판정한 경우는 클러치(32, 33)의 체결이 개시되었다고 판정하고, (A)가 성립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는 클러치(32, 33)가 해방되어 있다고 판정한다. 또한, 판정부(60a)는, 상기 (B)가 성립된다고 판정한 경우는 클러치(32, 33)의 체결이 완료되었다고 판정하고, (B)가 성립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는 클러치(32, 33)가 체결 중이라고 판정한다. 판정부(60a)에서의 판정 결과는, 셀렉트 제어부(60b)에 전달된다.
셀렉트 제어부(셀렉트 제어 수단)(60b)는, INH 신호, 타이머 및 판정부(60a)로부터 전달되는 판정 결과를 사용하여, 상술한 셀렉트 제어를 실시하는 것이다. 셀렉트 제어부(60b)는, INH 신호가 비주행 레인지로부터 주행 레인지로 전환된 것을 검출하고, 이 전환 시점으로부터 셀렉트 제어를 개시한다. 셀렉트 제어 개시시의 제어 모드는, 제1 제어 모드이다. 셀렉트 제어부(60b)는, INH 신호의 전환 시점으로부터 클러치 지시압을 프리차지압(Ppr)까지 높이고, 프리차지 시간(Tpr)이 경과한 시점에서 클러치 지시압을 소정압(Pfi)까지 낮추어, 제2 제어 모드로 전환될 때까지 소정압(Pfi)을 유지한다.
셀렉트 제어부(60b)는, 제1 제어 모드 개시로부터 제1 소정 시간(T1)이 경과하기 전에, 판정부(60a)에 의해 클러치(32, 33)의 체결이 개시되었다고 판정된 경우는, 통상 셀렉트 제어를 선택한다. 한편, 제1 제어 모드 개시로부터 제1 소정 시간(T1)이 경과한 시점에서, 판정부(60a)에 의해 클러치(32, 33)가 해방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는, 의사 D 셀렉트 제어를 선택한다.
셀렉트 제어부(60b)는, 통상 셀렉트 제어를 선택한 경우, 판정부(60a)에 의해 클러치(32, 33)의 체결이 완료되었다고 판정될 때까지, 제2 제어 모드에서의 제어를 실시한다. 즉, 클러치 지시압을 소정압(Pfi)으로부터 소정의 기울기로 램프 형상으로 높여 간다. 그리고, 판정부(60a)에 의해 클러치(32, 33)의 체결이 완료되었다고 판정되면, 제어 모드를 제3 제어 모드로 전환하여, 클러치 지시압을 소정의 보증 시간(Tfa) 동안 램프 형상으로 높여 간다. 그리고, 보증 시간(Tfa)이 경과한 시점에서 제어 모드를 제4 제어 모드로 전환하고, 클러치 지시압을 램프 형상으로 저하시켜, 소정의 유압을 유지한다.
또한, 셀렉트 제어부(60b)는, 의사 D 셀렉트 제어를 선택한 경우, 제1 제어 모드 개시시로부터 제1 소정 시간(T1)이 경과한 시점으로부터 제2 제어 모드에서의 제어를 실시한다. 즉, 클러치 지시압을 소정압(Pfi)으로부터 소정의 기울기로 램프 형상으로 높여 간다. 그리고, 제2 제어 모드 개시시로부터 제2 소정 시간(T2)이 경과한 시점에서, 제어 모드를 제3 제어 모드로 전환하여, 클러치 지시압을 램프 형상으로 높여 간다.
셀렉트 제어부(60b)는, 판정부(60a)에 의해 클러치(32, 33)의 체결이 완료되었다고 판정된 시점으로부터 제3 소정 시간(T3)이 경과한 시점에서, 제어 모드를 제3 제어 모드로부터 제4 제어 모드로 전환하고, 클러치 지시압을 램프 형상으로 저하시켜, 소정의 유압을 유지한다. 또한, 제2 제어 모드 중에 판정부(60a)에 의해 클러치(32, 33)의 체결이 완료되었다고 판정된 경우는, 셀렉트 제어부(60b)는 의사 D 셀렉트 제어의 제2 제어 모드로부터, 통상 셀렉트 제어의 제2 제어 모드로 전환한다.
셀렉트 제어부(60b)에서의 제어 내용은, 풀리압 제어부(60c)에 전달된다. 즉, 셀렉트 제어가 실시된 것, 실시되어 있는 셀렉트 제어의 종류(통상 셀렉트 제어인지 의사 D 셀렉트 제어인지), 의사 D 셀렉트 제어의 경우 제어 모드에 대해, 풀리압 제어부(60c)에 전달된다.
풀리압 제어부(풀리압 제어 수단)(60c)는, 셀렉트 제어부(60b)에 의한 셀렉트 제어에 따라서, 상술한 풀리압 제어를 실시하는 것이다. 풀리압 제어부(60c)는, 셀렉트 제어부(60b)에 의해 셀렉트 제어가 개시되면 풀리압 제어를 개시한다. 이때, 셀렉트 제어부(60b)에 의해 통상 셀렉트 제어가 선택된 경우는, 세컨더리 지시압을 미리 설정된 통상 세컨더리압(Psec_us)으로 제어한다.
한편, 셀렉트 제어부(60b)에 의해 의사 D 셀렉트 제어가 선택된 경우는, 제어 모드에 따라서 최저압(Psec_low)을 제어하고, 세컨더리 지시압을, 입력 토크 및 풀리비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통상 세컨더리압(Psec_us)과 최저압(Psec_low) 중 높은 쪽의 유압으로 제어한다.
풀리압 제어부(60c)는, 제1 제어 모드에서는 최저압(Psec_low)을 제로로 제어한다. 제2 제어 모드에서는, 최저압(Psec_low)을 램프 형상으로 높이고, 제1 소정압(P1)에 도달한 후에는 제1 소정압(P1)으로 일정하게 한다. 제3 제어 모드에서는, 최저압(Psec_low)을 램프 형상으로 높이고, 제2 소정압(P2)에 도달한 후에는 제2 소정압(P2)으로 일정하게 한다. 이와 같이, 풀리압 제어부(60c)는 셀렉트 제어부(60b)에 의한 의사 D 셀렉트 제어의 진행 정도에 따라서 최저압(Psec_low)을 높이고, 이에 의해 세컨더리 지시압을 높인다.
풀리압 제어부(60c)는, 제4 제어 모드에서는 최저압(Psec_low)을 램프 형상으로 낮추고, 제로에 도달한 후에는 제로로 일정하게 한다.
[4. 흐름도]
다음으로, 도 3을 사용하여 컨트롤러(60)에서 실행되는 풀리압 제어의 순서의 예를 의사 D 셀렉트 제어에 착안하여 설명한다. 이 흐름도는, 셀렉트 제어부(60b)에 의해 셀렉트 제어가 개시된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연산 주기로 반복하여 실시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텝 S10에서는, 셀렉트 제어부(60b)에 있어서 의사 D 셀렉트 제어가 실시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또한, 통상 셀렉트 제어와 의사 D 셀렉트 제어 중 어느 것을 선택하는지는 플로우에는 나타내어지지 않지만, 제어 개시로부터 제1 소정 시간(T1) 경과 후에 의사 D 셀렉트 제어를 선택하는 조건이 성립(통상 셀렉트 제어의 조건이 불성립)되면, 이 시점으로부터 의사 D 셀렉트 제어가 선택되고, 의사 D 셀렉트 제어를 선택하는 조건이 성립되지 않으면, 통상 셀렉트 제어가 선택된다.
통상 셀렉트 제어와 의사 D 셀렉트 제어가 아직 선택되어 있지 않은 경우, 및 통상 셀렉트 제어가 실시되어 있는 경우는, 스텝 S150으로 진행하여, 세컨더리 지시압이 통상 세컨더리압(Psec_us)으로 제어되고, 이 연산 주기를 리턴한다. 즉, 이 플로우의 스타트시에는, 스텝 S10으로부터 스텝 S150으로 진행하여, 세컨더리 지시압은 통상 세컨더리압(Psec_us)으로 제어된다. 그리고, 플로우 개시시(셀렉트 제어의 개시시)로부터 제1 소정 시간(T1)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에 통상 셀렉트 제어가 선택되면, 세컨더리 지시압은 항상 통상 세컨더리압(Psec_us)으로 제어된다.
한편, 플로우 개시시로부터 제1 소정 시간(T1)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에 통상 셀렉트 제어가 선택되지 않는 경우는, 제1 소정 시간(T1)의 경과 시점에서 의사 D 셀렉트 제어가 선택되고, 스텝 S20으로 진행된다. 이때, 의사 D 셀렉트 제어의 제1 제어 모드는 이미 종료되어 있다. 즉, 제1 제어 모드에서는, 최저압(Psec_low)이 제로로 설정되므로, 스텝 S150에 있어서 세컨더리 지시압은 반드시 통상 세컨더리압(Psec_us)으로 제어된다.
스텝 S10에 있어서 의사 D 셀렉트 제어 중이라고 판정된 경우는, 스텝 S20에 있어서 제어 모드가 취득된다. 스텝 S30에서는, 제어 모드가 제2 제어 모드인지 여부가 판정되고, 제2 제어 모드의 경우는 스텝 S40으로 진행한다. 또한, 의사 D 셀렉트 제어의 스타트시에는, 제2 제어 모드가 선택된다. 스텝 S40에서는, 전회 주기에서의 최저압(Psec_low)에 제1 램프압(Pr1)이 가산된 것이 새로운 최저압(Psec_low)으로서 설정된다.
이어지는 스텝 S50에서는, 최저압(Psec_low)이 제1 소정압(P1) 이상인지 여부가 판정되고, 제1 소정압(P1) 미만이면 스텝 S140으로 진행한다. 스텝 S140에서는, 최저압(Psec_low)과 통상 세컨더리압(Psec_us) 중, 높은 쪽의 유압이 세컨더리 지시압으로 설정되고, 이 연산 주기를 리턴한다. 의사 D 셀렉트 제어의 제2 제어 모드가 계속되는 한, 스텝 S40에서 최저압(Psec_low)에 제1 램프압(Pr1)이 가산되어, 최저압(Psec_low)이 램프 형상으로 높아진다. 그리고, 최저압(Psec_low)이 제1 소정압(P1) 이상으로 되면 스텝 S50으로부터 스텝 S60으로 진행하고, 최저압(Psec_low)이 제1 소정압(P1)으로 설정되어, 스텝 S140으로 진행한다.
제2 제어 모드 개시시로부터 제2 소정 시간(T2)이 경과하여, 의사 D 셀렉트 제어의 제어 모드가 제3 제어 모드로 전환되면, 스텝 S30으로부터 스텝 S70으로 진행하여, 제3 제어 모드인지 여부가 판정된다. 이 경우는 제3 제어 모드이므로, 스텝 S80으로 진행하고, 전회 주기에서의 최저압(Psec_low)에 제2 램프압(Pr2)이 가산된 것이 새로운 최저압(Psec_low)으로서 설정된다. 이어지는 스텝 S90에서는, 최저압(Psec_low)이 제2 소정압(P2) 이상인지 여부가 판정되고, 제2 소정압(P2) 미만이면 스텝 S140으로 진행한다.
의사 D 셀렉트 제어의 제3 제어 모드가 계속되는 한, 스텝 S80에서 최저압(Psec_low)에 제2 램프압(Pr2)이 가산되어, 최저압(Psec_low)이 램프 형상으로 높아진다. 그리고, 최저압(Psec_low)이 제2 소정압(P2) 이상으로 되면 스텝 S90으로부터 스텝 S100으로 진행하고, 최저압(Psec_low)이 제2 소정압(P2)으로 설정되어, 스텝 S140으로 진행한다. 또한, 제3 제어 모드의 경우는, 스텝 S140에서는, 최저압(Psec_low)이 세컨더리 지시압으로 설정된다.
터빈 회전 속도(Nt)와 엔진 회전 속도(Ne)의 편차가 소정 회전 이상으로 된 시점으로부터 제3 소정 시간(T3)이 경과하여, 의사 D 셀렉트 제어의 제어 모드가 제4 제어 모드로 전환되면, 스텝 S70으로부터 스텝 S110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스텝 S110에 있어서, 전회 주기에서의 최저압(Psec_low)으로부터 제3 램프압(Pr3)이 감산된 것이 새로운 최저압(Psec_low)으로서 설정된다. 이어지는 스텝 S120에서는, 최저압(Psec_low)이 제로 이하인지 여부가 판정되고, 제로보다도 높은 경우는 스텝 S140으로 진행한다. 또한, 최저압(Psec_low)이 제로 이하로 되면, 스텝 S130에 있어서 최저압(Psec_low)이 제로로 설정되어, 스텝 S140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제4 제어 모드가 종료되면, 이 플로우를 종료한다.
[5. 작용]
다음으로, 도 4 및 도 5를 사용하여, 본 제어 장치에 의한 셀렉트 제어와 풀리압 제어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셀렉트 제어에 대해서는 상술하였으므로, 주로 풀리압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INH 신호와 매뉴얼 밸브(57)의 연통 상태가 일치하고 있는 경우(통상 셀렉트 제어)의 타임차트이고, 도 5는 INH 신호와 매뉴얼 밸브(57)의 연통 상태가 일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의사 D 셀렉트 제어)의 타임차트이다.
도 4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INH 신호와 매뉴얼 밸브(57)의 연통 상태가 일치하고 있는 경우는, 도 4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러치압의 실압(파선)이 프리차지에 의해 빠르게 높아져, 대략 클러치 지시압대로의 유압으로 제어된다. 도 4의 (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러치(32, 33)의 전달 토크(실선)는, 클러치(32, 33)가 완전히 체결된 시각 t4까지는 클러치 실압(토크 용량)을 따라 상승하고, 시각 t4에 있어서 소정의 토크로 저하되고, 그 후에는 일정값으로 된다. 또한, 도 4의 (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상 셀렉트 제어에서는, 세컨더리 지시압(풀리압)은 통상 세컨더리압(Psec_us)으로 일정하게 된다.
한편, 도 5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INH 신호와 매뉴얼 밸브(57)의 연통 상태가 일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도 5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제어 모드 및 제2 제어 모드에 있어서 클러치 지시압이 제어되어도, 클러치압의 실압(파선)은 변화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도 5의 (d), (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터빈 회전 속도(Nt)도 변화되지 않고, 전달 토크도 제로로 일정해진다.
단, 제2 제어 모드에서는, 도 5의 (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저압(Psec_low)이 램프 형상으로 제1 소정압(P1)까지 높아져, 제1 소정압(P1)으로 일정하게 된다. 이에 의해, 제2 제어 모드 중에 클러치(32, 33)가 체결되었다고 해도 벨트(43)의 슬립이 방지된다. 의사 D 셀렉트 제어의 제어 모드가 제3 제어 모드로 전환되면, 클러치 지시압은 더욱 높아진다.
여기서, 제3 제어 모드 중의 시각 t8에서 매뉴얼 밸브(57)가 변위되어, INH 신호와 일치하였다고 하자. 이에 의해, 클러치 실압은 상승하기 시작하여, 토크 0점 유압에 도달한 시각 t9로부터 단숨에 클러치 지시압까지 급상승한다. 이것에 수반하여, 터빈 회전 속도(Nt)는, 시각 t9로부터 단숨에 저하되어 시각 t10에 있어서 터빈 회전 속도(Nt)와 엔진 회전 속도(Ne)의 편차가 소정 회전 이상이 된다. 즉, 시각 t10에서 클러치(32, 33)가 완전히 체결된다.
이러한 클러치(32, 33)의 급체결은, 도 5의 (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달 토크의 급상승을 초래한다. 이때, 풀리압이 도 4의 (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되어 있었다고 하면, 전달 토크의 급상승에 의해 벨트 슬립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 본 제어 장치에서는, 도 5의 (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의사 D 셀렉트 제어의 제3 제어 모드가 개시되고 나서, 세컨더리 지시압은 제2 소정값(P2)까지 높아져 있으므로, 클러치(32, 33)의 급체결이 발생한 경우라도, 벨트 슬립이 방지된다. 또한, 제어 모드가 제4 제어 모드로 전환된 시각 t11로부터 최저압(Psec_low)이 다시 제로까지 저하되어, 오일 펌프(10)의 부하가 경감된다.
[6. 효과]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무단 변속기의 제어 장치에 의하면, 셀렉트 제어의 개시로부터 제1 소정 시간(T1)이 경과해도 클러치(32, 33)가 해방되어 있는 경우에 세컨더리 지시압(풀리압)을 상승시키므로, 클러치(32, 33)의 급체결에 의한 벨트 슬립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클러치(32, 33)가 체결되면 세컨더리 지시압을 낮추므로, 오일 펌프(10)의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그로 인해, 오일 펌프(10)가 엔진(70)을 구동원으로 하고 있는 경우, 오일 펌프(10)의 부하를 경감시킴으로써 연비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풀리압 제어부(60c)는, 셀렉트 제어부(60b)의 셀렉트 제어의 진행 정도에 따라서 세컨더리 지시압을 상승시킨다. 즉, 의사 D 셀렉트 제어의 제어 모드에 따라서, 제2 제어 모드에서는 제1 소정압(P1)까지 세컨더리 지시압을 올리고, 제3 제어 모드에서는 제2 소정압(P2)까지 세컨더리 지시압을 올리고 있다. 클러치 지시압은, 셀렉트 제어의 개시로부터 제1 소정 시간(T1)이 경과한 시점(즉, 제2 제어 모드로 전환된 시점)으로부터 서서히 높아져 가므로, 셀렉트 제어의 진행 정도에 따라서 세컨더리 지시압을 높임으로써, 클러치 체결시의 벨트 슬립을 억제하면서, 오일 펌프(10)의 부하를 더욱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풀리압 제어부(60c)는, 세컨더리 지시압을 상승시킬 때, 클러치 체결시에 벨트 슬립이 발생하지 않는 유압으로 되도록 세컨더리 지시압을 증압시키므로, 벨트 슬립을 억제하면서, 오일 펌프(10)의 부하를 필요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덧붙여, 판정부(60a)는, 터빈 회전 속도(Nt)를 사용하여 클러치(32, 33)의 체결 상태를 판정하므로, 정확하고 또한 용이하게 클러치(32, 33)의 체결 상태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의사 D 셀렉트 제어에서는 타이머를 사용하여 제어 모드를 전환하므로, 제어 구성을 간소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 모드 및 제3 제어 모드 중 어느 모드에서 클러치(32, 33)가 체결된 경우라도, 풀리압 제어부(60c)는 세컨더리 지시압을 제2 소정값(P2)까지 상승시킨다. 즉, 마찬가지의 제어 로직을 사용하므로, 제어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제어 장치에 의하면, 셀렉트 레버(50)가 천천히 조작되어, 의사 D 상태로 된 후에 액셀러레이터 페달이 답입된 경우라도, 풀리압을 제어하므로 벨트 슬립을 억제할 수 있고, 발진성을 확보할 수도 있다.
[7. 기타]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풀리압으로서 세컨더리압(Psec)을 제어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프라이머리압(Ppri)을 제어해도 된다. 또한, 풀리압을 상승시키는 경우에, 램프 형상이 아니라 스텝 형상으로 증압해도 되고, 제1 소정압(P1), 제2 소정압(P2)의 2단계로 증압시키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도 5의 (f)의 시각 t6으로부터 소정의 기울기로 제2 소정압(P2)까지 램프 형상으로 높여도 된다. 또한, 풀리압을 저하시키는 타이밍은 상기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클러치(32, 33)의 체결 직후에 저하시켜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의사 D 셀렉트 제어가 선택된 경우에, 최저압(Psec_low)을 셀렉트 제어의 제어 모드에 따라서 제어하여, 통상 세컨더리압(Psec_us)과 최저압(Psec_low) 중 높은 쪽의 유압을 세컨더리 지시압으로 하고 있지만, 세컨더리 지시압(풀리압)의 제어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통상 세컨더리압(Psec_us)이라고 하는 제어압은 설정하지 않고, 최저압(Psec_low)만을 설정하여, 이것을 세컨더리 지시압으로 한다. 이 경우, 제1 제어 모드에서는 최저압(Psec_low)을 통상 세컨더리압(Psec_us)과 동등한 유압으로 설정하고, 제2 제어 모드에서는, 이 유압으로부터 소정량만큼 증압시켜 제1 소정압(P1)으로 설정하는 것과 같은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셀렉트 제어부(60b)에 의한 셀렉트 제어의 내용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각 제어 모드에서의 클러치압의 제어 내용도 상기 이외의 것이어도 된다. 또한, 다른 제어 모드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클러치(32, 33)의 체결 상태를 판정하는 방법도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셀렉트 레버(50)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것은 인히비터 스위치(65)에 한정되지 않고, AT 시프트 포지션 센서 등, 셀렉트 레버(50)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 가능한 검출 장치이면 된다.
또한, 오일 펌프는 엔진(70)을 구동원으로 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4)

  1. 2개의 풀리 사이에 권취되는 벨트를 갖는 무단 변속 기구와, 상기 무단 변속 기구와 엔진 사이에 개재 장착되는 마찰 체결 요소를 구비한 무단 변속기의 제어 장치이며,
    셀렉트 레버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조작 위치 검출 수단과,
    상기 조작 위치 검출 수단에 의해 비주행 레인지로부터 주행 레인지로의 전환이 검출된 시점으로부터, 상기 마찰 체결 요소를 체결하기 위한 셀렉트 제어를 실시하는 셀렉트 제어 수단과,
    상기 마찰 체결 요소의 체결 상태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상기 2개의 풀리에 공급되는 풀리압을 제어하는 풀리압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풀리압 제어 수단은, 상기 셀렉트 제어 수단에 의한 상기 셀렉트 제어의 개시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마찰 체결 요소가 해방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풀리압을 상승시키고, 그 후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마찰 체결 요소가 체결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풀리압을 저하시키는 것인, 무단 변속기의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압 제어 수단은, 상기 셀렉트 제어 수단에 의한 상기 셀렉트 제어의 진행 정도에 따라서 상기 풀리압을 상승시키는 것인, 무단 변속기의 제어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압 제어 수단은, 상기 풀리압을 상승시킬 때에는, 상기 마찰 체결 요소의 체결시에 상기 벨트의 슬립이 발생하지 않는 유압으로 되도록 소정량만큼 증압시키는 것인, 무단 변속기의 제어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마찰 체결 요소와 상기 엔진 사이에 개재 장착되는 토크 컨버터의 터빈 회전 속도를 사용하여 상기 마찰 체결 요소의 체결 상태를 판정하는 것인, 무단 변속기의 제어 장치.
KR1020167005730A 2013-10-23 2014-10-17 무단 변속기의 제어 장치 KR1018281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20422 2013-10-23
JP2013220422 2013-10-23
PCT/JP2014/077628 WO2015060204A1 (ja) 2013-10-23 2014-10-17 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1963A true KR20160041963A (ko) 2016-04-18
KR101828190B1 KR101828190B1 (ko) 2018-02-09

Family

ID=52992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5730A KR101828190B1 (ko) 2013-10-23 2014-10-17 무단 변속기의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863533B2 (ko)
EP (1) EP3061994B1 (ko)
JP (1) JP6063580B2 (ko)
KR (1) KR101828190B1 (ko)
CN (1) CN105518351B (ko)
WO (1) WO20150602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14430A1 (de) * 2017-06-29 2019-01-03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Hydrauliksystem
DE102019127419A1 (de) * 2019-10-11 2021-04-15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Notbetriebsverfahren für ein Umschlingungsgetriebe bei Anpressdruckabfall, sowie Antriebsstrang
JPWO2022162809A1 (ko) * 2021-01-28 2022-08-04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76483B (en) * 1980-03-24 1984-02-01 Aisin Warner R vehicles control system for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fo
US6146308A (en) * 1996-10-03 2000-11-14 Aisin Aw Co., Ltd. Creep torque control of infinitely variable transmission
JP2001304388A (ja) * 2000-04-25 2001-10-31 Mitsubishi Motors Corp ベルト式無段変速機の切換制御装置
JP2004263741A (ja) * 2003-02-28 2004-09-24 Jatco Ltd 自動変速機のクラッチ締結制御装置
JP4145856B2 (ja) * 2004-10-05 2008-09-03 ジヤトコ株式会社 ベルト式無段変速機のライン圧制御装置
JP4358130B2 (ja) * 2005-02-22 2009-11-04 ジヤトコ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JP4323461B2 (ja) * 2005-05-25 2009-09-02 ジヤトコ株式会社 自動変速装置
JP4532384B2 (ja) * 2005-10-06 2010-08-25 ジヤトコ株式会社 ベルト式無段変速機の変速比制御装置
JP2007263130A (ja) * 2006-03-27 2007-10-11 Jatco Ltd 変速機の制御装置
JP4344379B2 (ja) * 2006-12-06 2009-10-14 ジヤトコ株式会社 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
JP2009222155A (ja) * 2008-03-17 2009-10-01 Jatco Ltd 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
JP4787855B2 (ja) 2008-03-17 2011-10-05 ジヤトコ株式会社 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
JP4965612B2 (ja) * 2009-08-25 2012-07-04 ジヤトコ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8190B1 (ko) 2018-02-09
JP6063580B2 (ja) 2017-01-18
EP3061994B1 (en) 2018-03-21
US20160223077A1 (en) 2016-08-04
JPWO2015060204A1 (ja) 2017-03-09
CN105518351B (zh) 2017-06-16
EP3061994A1 (en) 2016-08-31
WO2015060204A1 (ja) 2015-04-30
US9863533B2 (en) 2018-01-09
EP3061994A4 (en) 2017-01-04
CN105518351A (zh) 201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5545B2 (en) Hydraulic control system for automatic transmission
US9487214B2 (en) Transmission control device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5435137B2 (ja) 車両用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
US8712649B2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690733B2 (en) Vehicle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854015B2 (ja) 車両用無段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US9026328B2 (en) Automatic transmission and starting time control method
US6960153B2 (en) Clutch engagement control of automatic transmission
KR101828190B1 (ko) 무단 변속기의 제어 장치
KR101601579B1 (ko) 무단 변속기 및 무단 변속기의 제어 방법
US10683928B2 (en) Transmission control device and transmission control method
EP2053281A2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JP5733060B2 (ja) 車両用ベルト式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
US10005445B2 (en) Hydraulic control device for automatic transmission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6984575B2 (ja) 動力伝達機構の制御装置
JP7231478B2 (ja) 無段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2010025246A (ja) 車両の変速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