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1269A - 장탈착이 신속 간편한 로스터 - Google Patents

장탈착이 신속 간편한 로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1269A
KR20160041269A KR1020140134864A KR20140134864A KR20160041269A KR 20160041269 A KR20160041269 A KR 20160041269A KR 1020140134864 A KR1020140134864 A KR 1020140134864A KR 20140134864 A KR20140134864 A KR 20140134864A KR 20160041269 A KR20160041269 A KR 201600412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pedestal
roaster
drum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4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득
Original Assignee
김영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득 filed Critical 김영득
Priority to KR1020140134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1269A/ko
Publication of KR20160041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12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23N12/10Rotary roast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23N12/12Auxiliary devices for roasting mach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스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로스팅한 내용물을 신속 간편하게 배출할 수 있는 장탈착이 신속 간편한 로스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탈착이 신속 간편한 로스터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회전체로 구성된 로스터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샤프트와, 샤프트의 일단에 구비된 손잡이와, 샤프트의 타단에 구비되어 내용물을 담는 드럼으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는 샤프트의 하부 일부분을 받치는 받침대와, 받침대로부터 이격 설치하되 일부분이 개구된 개구부를 통해 삽입된 샤프트의 상부가 걸림되는 걸림대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탈착이 신속 간편한 로스터는 회전체가 본체로부터 매우 손쉽게 장탈착 됨에 따라 내용물을 신속 간편하게 배출할 수 있고,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휴대하기 좋은 효과가 있으며, 드럼의 입출구가 항상 개방된 상태이므로 로스팅하는 과정에서 언제든지 내용물을 꺼내어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장탈착이 신속 간편한 로스터{Roaster}
본 발명은 로스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로스팅한 내용물을 신속 간편하게 배출할 수 있는 장탈착이 신속 간편한 로스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스터는 커피 원두나 밤 또는 기타 곡물 등을 볶거나 구울 때 사용하는 것으로, 드럼에 내용물을 넣어 드럼을 회전시키고 드럼에 화력을 가하여 드럼 내의 내용물이 볶아지거나 구울 때 사용한다.
대부분의 로스터는 커피 원두를 로스팅할 때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일 예로 등록특허 제10-1073072호를 들 수 있으며, 그 구조를 살펴보면 원두받이, 흡입팬, 토출공, 조작패널이 구비된 몸체와; 몸체의 토출공으로부터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공기 유로부를 형성한 케이스와; 제1히터 및 제2히터가 구비되면서 공기 배기홀이 형성된 하우징과; 하우징 내부에 횡설되어 커피 원두가 수용되고 후측면에 회전축이 설치되는 드럼과; 드럼의 회전축과 풀리 및 벨트에 의해 연결되는 구동모터와; 하우징의 전면에 구비된 원두배출구를 개폐하는 배출 레버와; 하우징의 배기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처리하는 사이클론과; 드럼으로 커피 원두를 공급하는 원두 투입구; 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의 로스터는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장치가 커서 제조비용이 비싸고 특히 가정이나 매장에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개특허 제10-2011-0129553호는 휴대용 커피 로스터에 관한 것으로, 하측면이 개구된 하우징; 하우징에 설치되어 회전되고 전방 측으로 개구부가 형성된 드럼; 하우징에 설치되어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모듈; 하우징에 설치되는 핸들; 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로스터는 그 크기가 작아 가정이나 매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로스팅된 커피 원두를 신속하게 배출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로스팅된 커피 원두는 매우 신속하게 드럼으로부터 배출시킴으로써 로스팅이 더 이상 진행하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 하지만, 종래의 로스터는 로스팅된 커피 원두를 배출시키기 위해서는 본체를 거꾸로 들어야 하는데, 무게가 매우 무거운데다가 가열되어 뜨거운 상태이므로 매우 조심스러워 커피 원두의 신속한 배출에 어려움이 있었다.
KR 등록특허공보 제10-1073072호(2011.10.06) KR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29553호(2011.12.02)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커피의 내용물이 있는 드럼을 본체로부터 간편하게 장탈착할 수 있도록 하여 로스팅된 내용물을 드럼으로부터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장탈착이 신속 간편한 로스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탈착이 신속 간편한 로스터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회전체로 구성된 로스터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샤프트와, 샤프트의 일단에 구비된 손잡이와, 샤프트의 타단에 구비되어 내용물을 담는 드럼으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는 샤프트의 하부 일부분을 받치는 받침대와, 받침대로부터 이격 설치하되 일부분이 개구된 개구부를 통해 삽입된 샤프트의 상부가 걸림되는 걸림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대 및 걸림대는 한 쌍의 롤러 또는 베어링을 설치하여 샤프트의 회전이 원활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샤프트는 받침대 및 걸림대에 걸림되는 스토퍼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대는 모터를 설치하고, 모터와 샤프트에 서로 치합되는 치차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드럼은 샤프트가 연결되지 않은 단부에 점차 좁아지는 입출구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대는 걸림대보다 높게 위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드럼은 타공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탈착이 신속 간편한 로스터는 회전체가 본체로부터 매우 손쉽게 장탈착 됨에 따라 내용물을 신속 간편하게 배출할 수 있고,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휴대하기 좋은 효과가 있다.
또한, 회전체를 경사지게 설치하기 때문에 드럼의 중앙에 입출구를 형성하더라도 많은 양의 내용물을 넣을 수 있으며, 드럼의 입출구가 항상 개방된 상태이므로 로스팅하는 과정에서 언제든지 내용물을 꺼내어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공간에 구애받지 않아 장작불이나 숯불 또는 가스레인지 등에 사용할 수 있으며, 선단이 드럼을 탈거하고 꼬치를 장착하면 바베큐 등의 요리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탈착이 신속 간편한 로스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탈착이 신속 간편한 로스터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3, 4는 본 발명의 본체에 회전체를 장착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탈착된 회전체 내의 내용물이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샤프트에 꼬치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장탈착이 신속 간편한 로스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탈착이 신속 간편한 로스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탈착이 신속 간편한 로스터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 4는 본 발명의 본체에 회전체를 장착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5는 탈착된 회전체 내의 내용물이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탈착이 신속 간편한 로스터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회전체(2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바닥에 재치되는 베이스판(11)이 구비되고, 베이스판(11)의 선단과 후단에 받침대(12)와 걸림대(16)가 각각 구비된다. 베이스판(11)은 수평의 판 형태로서 중량이 나가는 재질로 형성하여 회전체(20) 설치시 넘어지지 않고 회전체(20)가 안정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받침대(12)는 회전체(20)의 샤프트(21)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V'모양의 안내홈(13)을 형성하고, 이 안내홈(13)에 한 쌍의 롤러(R1)를 근접 설치하여 샤프트(21)가 양 롤러(R1)의 경계부분 상부에 안착된 상태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대(16)는 받침대(12)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하되 일부분을 측방향으로 개구시킨 개구부(17)가 형성되고 개구부(17)보다 높은 위치에 한 쌍의 롤러(R2)를 설치하여 샤프트(21)가 개구된 부분을 통해 삽입되었다가 한 쌍의 롤러(R2) 사이에 샤프트(21)의 상단이 접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받침대(12)는 걸림대(16)보다 높게 위치하여 회전체(20)의 샤프트(21) 설치시 경사지게 설치되도록 한다.
이러한 받침대(12)와 걸림대(16)는 사각의 판을 다단 절곡하면서 절취하여 성형하면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이러한 받침대(12)와 걸림대(16)는 베이스판(11)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지대(14)의 상부에 설치됨으로써 베이스판(11)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체(20)는 샤프트(21)와, 샤프트(21)의 일단에 구비된 손잡이(22)와, 샤프트(21)의 타단 즉, 손잡이(22)의 반대 방향에 구비되어 내용물을 담는 드럼(23)으로 구성된다. 상기 드럼(23)은 원통으로 이루어지며 그 일단이 샤프트(21)와 연결되고, 샤프트(21)와 연결되지 않는 타단은 드럼(23)의 외측으로 점차 좁아지면서 돌출되고 그 말단에 입출구(24)가 형성된다. 따라서 드럼(23)을 들어 입출구(24)를 하부로 향하면 드럼(23) 내의 내용물이 매우 신속하게 배출된다. 또한, 드럼(23)은 타공된 것과 타공되지 않은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타공된 드럼(23)을 사용할 경우 직화 방식으로 로스팅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21)에는 받침대(12) 또는 걸림대(16)에 걸림되는 스토퍼를 설치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회전체(20)는 수동방식과 자동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수동방식일 경우 손잡이(22)를 샤프트(21)로부터 편심되게 위치시켜 손잡이(22)를 돌리면 샤프트(21) 및 드럼(23)이 회전된다.
그리고 자동방식인 경우 받침대(12)에 모터를 설치하고 모터와 샤프트(21)에 서로 치합되는 치차(30)를 설치하여 모터가 구동하면 서로 맞물려 회전하는 치차(30)에 의해 회전체(20)가 자동으로 회전한다. 여기서 치차(30)는 기어가 이용되며 베벨기어를 이용함이 용이하다. 베벨기어를 이용할 경우 모터와 연결되는 구동 베벨기어(31)는 받침대(12)와 걸림대(16) 사이에 축 방향이 수직을 향하도록 설치하고, 피동 베벨기어(32)는 받침대(12)와 구동 베벨기어(31) 사이에 위치하면서 구동 베벨기어(31)와 치합되도록 하면 샤프트(21)에 별도의 스토퍼를 형성하지 않아도 피동 베벨기어(32)가 스토퍼 기능을 겸하게 된다. 또한, 스위치 및 속도 조절기를 설치하여 내용물에 맞추어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받침대(12)에는 클램프를 구비하여 테이블에 고정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판(11) 바닥에 자석을 구비하여 철재로 이루어진 테이블이나 가스레인지 등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된 회전체(20)는 드럼(23)이 받침대(12)로부터 사선 방향으로 돌출되어 위치한다. 따라서 드럼(23)의 하부에 별도의 화력장치를 재치하고 화력을 가하면 드럼(23)이 회전하면서 드럼(23) 내의 내용물이 이동 및 회전하면서 로스팅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체(10)에 회전체(20)를 장착하고자 할 경우 먼저 손잡이(22)를 잡고 회전체(20)를 들어올려 받침대(12)의 롤러(R1) 상부에 샤프트(21)를 안착시키되 드럼(23)과 피동 베벨기어(32) 사이의 샤프트(21)가 롤러(R1)에 안착 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손잡이(22)를 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샤프트(21)가 걸림대(16)의 개구부(17)를 통해 삽입하여 롤러(R2) 하부에 샤프트(21)가 위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되면 받침대(12)의 전방에 드럼(23)이 위치하고 걸림대(16)의 후방에 손잡이(22)가 위치함으로써 드럼(23)의 무게로 인해 받침대(12)를 중심으로 손잡이(22) 부분이 상부로 들리려 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하지만, 손잡이(22) 부분의 샤프트(21)가 걸림대(16)에 의해 걸림되어 들어 올려지지 않는다. 이 과정에서 받침대(12)와 구동 베벨기어(31) 사이에 피동 베벨기어(32)가 위치하도록 하면 베벨기어끼리 치합되면서 회전체(20)가 손잡이(22)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한다. 즉, 받침대(12) 및 걸림대(16)에 의해 샤프트(21)가 걸림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다.
반대로 설치된 회전체(20)를 본체(10)로부터 탈착하고자 할 경우 장착할 때의 반대 방법으로 탈착한다. 즉, 손잡이(22)를 하부로 살짝 내림과 동시에 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샤프트(21)가 걸림대(16)로부터 이탈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회전체(20)를 들어올리면 받침대(12)로부터 샤프트(21)가 이탈되면서 회전체(20)의 탈착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회전체(20)의 손잡이(22)를 잡고 단순히 안착시키는 방법에 의해 설치가 완료되고 손잡이(22)를 내려 일측으로 이동시킨 후 들어올리는 방법에 의해 회전체(20)가 탈착되므로 매우 신속 간편하게 장착 및 탈착할 수 있는 구조이다. 또한, 탈착된 회전체(20)는 손잡이(22)를 들어올려 드럼(23)이 하부를 향하도록 하면서 드럼(23)의 입출구를 통해 로스팅된 내용물이 순식간에 배출되므로 매우 신속하게 배출시켜야 하는 커피 원두의 로스팅에 매우 효과적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샤프트에 꼬치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21)로부터 드럼(23)을 탈거하고 꼬치(29)를 장착하면 떡, 옥수수, 육고기, 소시지 등을 꼬치에 꽂아 사용할 수 있다.
10 : 본체 11 : 베이스판 12 : 받침대
13 : 안내홈 16 : 걸림대 17 : 개구부
20 : 회전체 21 : 샤프트 22 : 손잡이
23 : 드럼 24 : 입출구 29 : 꼬치
30 : 치차 31 : 구동 베벨기어 32 : 피동 베벨기어

Claims (9)

  1.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회전체(20)로 구성된 로스터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20)는 샤프트(21)와, 샤프트(21)의 일단에 구비된 손잡이(22)와, 샤프트(21)의 타단에 구비되어 내용물을 담는 드럼(23)으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10)는 샤프트(21)의 하부 일부분을 받치는 받침대(12)와, 받침대(12)로부터 이격 설치하되 일부분이 개구된 개구부(17)를 통해 삽입된 샤프트(21)의 상부가 걸림되는 걸림대(1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탈착이 신속 간편한 로스터.
  2.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회전체(20)로 구성된 로스터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20)는 샤프트(21)와, 샤프트(21)의 일단에 구비된 손잡이(22)와, 샤프트(21)의 타단에 구비되어 내용물을 꽂는 꼬치(29)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10)는 샤프트(21)의 하부 일부분을 받치는 받침대(12)와, 받침대(12)로부터 이격 설치하되 일부분이 개구된 개구부(17)를 통해 삽입된 샤프트(21)의 상부가 걸림되는 걸림대(1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탈착이 신속 간편한 로스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2) 및 걸림대(16)는 한 쌍의 롤러(R1)(R2)를 설치하여 샤프트(21)의 회전이 원활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탈착이 신속 간편한 로스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21)는 받침대(12) 또는 걸림대(16)에 걸림되는 스토퍼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탈착이 신속 간편한 로스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2)는 모터를 설치하고, 모터와 샤프트(21)에 서로 치합되는 치차(30)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탈착이 신속 간편한 로스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23)은 샤프트(21)가 연결되지 않은 단부에 점차 좁아지는 입출구(24)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탈착이 신속 간편한 로스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23)은 타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탈착이 신속 간편한 로스터.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2)는 걸림대(16)보다 높게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탈착이 신속 간편한 로스터.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2)는 바닥에 자석을 구비하여 철재로 이루어진 테이블이나 가스레인지 등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탈착이 신속 간편한 로스터.
KR1020140134864A 2014-10-07 2014-10-07 장탈착이 신속 간편한 로스터 KR201600412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864A KR20160041269A (ko) 2014-10-07 2014-10-07 장탈착이 신속 간편한 로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864A KR20160041269A (ko) 2014-10-07 2014-10-07 장탈착이 신속 간편한 로스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1269A true KR20160041269A (ko) 2016-04-18

Family

ID=55916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4864A KR20160041269A (ko) 2014-10-07 2014-10-07 장탈착이 신속 간편한 로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4126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3378B1 (ko) * 2018-08-03 2019-02-28 이진견 전후 요동방식을 이용한 숯불 커피 로스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3378B1 (ko) * 2018-08-03 2019-02-28 이진견 전후 요동방식을 이용한 숯불 커피 로스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38553A (en) Rotary cooking apparatus
US5611265A (en) Combination charbroiler and fryer with spinning food basket
US9003960B2 (en) Fry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264987B1 (ko) 회전식 구이기
KR20080064951A (ko) 식품 로스터
US3009410A (en) Broiler for shish kebab
US8505444B2 (en) Marshmallow roaster
KR101645564B1 (ko) 회전 드럼식 조리기
US2773442A (en) Taco cooking machine
US20070169769A1 (en) Grill
KR20080076487A (ko) 꽂이구의 자전 및 공전이 이루어지게 한 회전식 꼬치구이기
KR20160041269A (ko) 장탈착이 신속 간편한 로스터
KR101334913B1 (ko) 자동 숯불구이장치
KR101584744B1 (ko) 탈유장치
KR200452706Y1 (ko) 농산물용 볶음장치
US20090007800A1 (en) Rotisserie
JP2011245185A (ja) 串焼き製造装置
US3442201A (en) Pivoted spit and firebox assembly for barbecue grills
KR20160131362A (ko) 곡물 로스터
JP6718635B1 (ja) 自動回転焼き調理機器
KR101756363B1 (ko) 회전식 숯불구이의 음식물 거취장치
KR20090041512A (ko) 회전구이기
KR101740588B1 (ko) 꼬치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꼬치구이장치
KR200494945Y1 (ko) 꼬치구이 장치
KR200386648Y1 (ko) 산적 및 고기 구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