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0679A - 간장해 형태의 검사방법 - Google Patents

간장해 형태의 검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0679A
KR20160040679A KR1020167005833A KR20167005833A KR20160040679A KR 20160040679 A KR20160040679 A KR 20160040679A KR 1020167005833 A KR1020167005833 A KR 1020167005833A KR 20167005833 A KR20167005833 A KR 20167005833A KR 20160040679 A KR20160040679 A KR 20160040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entration
type
lca
hepatic
identif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5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3016B1 (ko
Inventor
토모카즈 마츠우라
카츠우시 아마노
토모노리 수기타
노리코 마스부치
마사히로 수기하라
Original Assignee
다이이찌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찌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찌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40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0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3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3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308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analyt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nucleic acids, uric acid, worms, mi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49/00Particle spectrometers or separator tubes
    • H01J49/0027Methods for using particle spectrometers
    • H01J49/0036Step by step routines describing the handling of the data generated during a measur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400/00Assays, e.g. immunoassays or enzyme assays, involving carbohydrates
    • G01N2400/10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G01N2400/38Heter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more than one sugar residue in the main chain in either alternating or less regular sequence, e.g. gluco- or galactomannans, e.g. Konjac gum, Locust bean gum, Guar gum
    • G01N2400/40Glycosaminoglycans, i.e. GAG or mucopolysaccharides, e.g. chondroitin sulfate, dermatan sulfate, hyaluronic acid, heparin, heparan sulfate, and related sulfated polysacchari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08Hepato-biliairy disorders other than hepatitis
    • G01N2800/085Liver diseases, e.g. portal hypertension, fibrosis, cirrhosis, bilirubi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52Predicting or monitoring the response to treatment, e.g. for selection of therapy based on assay results in personalised medicine; Progn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피험자 유래의 생물학적 시료 내의 리토콜산(이하, LCA라 약칭한다)의 농도를 지표로 하여 간장해 형태를 판별하는 검사방법을 제공한다. 즉, 피험자로부터 채취된 생물학적 시료 내의 LCA 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LCA 농도를 지표로 하여 간세포장해형, 담즙울체형 및 이들의 혼합형의 간장해 형태를 판별하는 검사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간장해 형태의 검사방법{METHOD FOR INVESTIGATION OF LIVER DAMAGE TYPE}
본 발명은 간장해의 검사방법, 상세하게는 간장해의 형태를 판별하는 검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피험자로부터 채취된 생물학적 시료 내의 LCA의 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LCA 농도를 지표로 하여 간장해의 형태를 판별하는 검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간장은 소화관에 부속된 샘조직이며, 담즙의 생성분비, 해독작용, 당질 대사, 단백질 대사, 혈액응고인자의 생성, 호르몬 조절 작용, 그리고 지방, 글리코겐, 단백질 및 비타민 등의 각종 생체 구성요소의 저장 등, 생체에 있어서 중요한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이들 기능이 바이러스 감염, 약물이나 독물, 알코올의 과잉섭취 등의 원인에 의해 급성적 혹은 만성적인 장해를 받으면, 간장 기능의 항상성의 유지가 붕괴되어 중대한 건강 장해가 발생한다. 종합검진 등에서 발견되는 질병 중 간기능 장해가 차지하는 비율은 높으며, 일본인 성인의 약 30%가 간기능 장해를 가진다고 한다.
간질환에 포함되는 질병은 그 원인이나 임상 증후에 따라 분류되고 있다. 예를 들면, 그 원인에 따라 바이러스성 간염, 약제성 간장해, 알코올성 간장해, 자기면역성 간장해, 대사장해성 간장해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그 임상 증후별로 간세포장해형 및 담즙울체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간세포장해는 바이러스성 간염, 중독성 간장해, 지방간, 간경화 등에서 보여진다. 간세포장해는 간세포의 괴사, 지방화, 다핵세포화, 핵의 공포변성화 등에 의해 발생한다. 간세포는 간실질세포라고도 하고, 간장을 구성하는 세포의 하나이며, 간장의 거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간세포는 담즙을 분비하는 외분비 세포임과 동시에 혈장 단백질을 정단막 측으로 분비하고, 글리코겐을 축적하여 혈당을 조절하는 내분비 세포이기도 하다. 이 때문에, 간세포가 장해를 받으면 간기능에 현저한 저하가 야기된다. 담즙울체는 간장으로부터의 담즙의 배설이 어떠한 원인에 의해 방해받음으로써 발생하고, 그 결과 간 내 또는 간 외의 담도계의 일부 혹은 전반에 걸쳐 담즙의 유출 이상을 초래하고, 간장 및 혈중에 담즙이 저류하여 황달이나 간염 등의 제증상을 야기한다.
현재, 간질환의 진단 및 치료는 환자의 증상 및 혈청 생화학 파라미터의 값을 지표로 하여 의사가 경험에 기초하여 간장해의 형태를 진단하고 치료를 개시하는 수법으로 진행되고 있다(비특허문헌 1). 생화학 파라미터로는 간세포의 장해에 의해 간세포로부터 일탈하는 효소, 구체적으로는 아스파라긴산 아미노트랜스퍼라아제(이하, AST라 약칭함; 글루타민산-옥살로아세트산 트랜스아미나아제(GOT)라 칭함), γ-글루타밀트랜스펩티다아제(이하, γ-GTP라 약칭함), 알칼리포스파타아제(이하, ALP라 약칭함) 등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비임상 그리고 임상에서는 총 담즙산(total bile acids; 이하, TBA라 약칭함)의 측정이 행해지고 있다. 담즙산은 포유류의 담즙으로 광범위하게 인정받는 스테로이드 유도체에서 코란산 골격을 가지는 화합물의 총칭이며, 지방의 소화흡수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담즙의 주요한 성분이다. 담즙산은 간장의 간세포에서 콜레스테롤(Cholesterol) 대사에 의해 생성되어(도 1), 글리신이나 타우린(아미노산 에틸설폰산) 등과 포합된 후, 담즙으로서 분비된다. 담즙산은 1차 담즙산과 2차 담즙산으로 크게 구별된다. 1차 담즙산은 간장에서 합성되는 담즙산이며, 콜산(이하, CA라 약칭할 수 있음), 케노데옥시콜산(이하, CDCA라 약칭할 수 있음), 및 CDCA와 이성체의 관계에 있는 우르소데옥시콜산(이하, UDCA라 약칭할 수 있음) 등을 예시할 수 있다. 2차 담즙산은 1차 담즙산이 담관경유에서 장관으로 배출되어 장내 세균에 의한 탈수산화 반응, 탈수소 반응, 수소화 반응 및 탈포합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담즙산이며, 데옥시콜산(이하, DCA라 약칭할 수 있음)이나 LCA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 예시한 5 종류의 담즙산 분획에는 각각 유리형, 글리신 포합형, 타우린 포합형의 3가지 형이 존재한다. 그 외, 일부 담즙산 분획에는 황산 포합형 혹은 글루쿠론산 포합형이 존재한다. 인간을 포함하는 많은 동물종에서는 1차 담즙산으로서 콜산 골격의 3, 7, 12 위치에 수산기를 가진 CA 및 CDCA가 생성된다. 한편, 일부 동물은 그 종 특유의 담즙산을 생성한다. 마우스에서는 α-무리콜산(이하, αMCA라 약칭할 수 있음)이나 β-무리콜산(이하, βMCA라 약칭할 수 있음), 그리고 돼지에서는 히오콜산(이하, HCA라 약칭할 수 있음) 등, 인간에서는 지극히 적은 각 동물종에 특징적인 담즙산이 보여진다. αMCA 및 βMCA는 1차 담즙산이며, 타우린 포합형도 알려져 있다. HCA는 1차 담즙산이며, 장내에서 그 7α-탈수산화에 의해 히오데옥시콜산(이하, HDCA)이 생성된다. 이들 담즙산 분획에도 글리신 포합형이나 타우린 포합형이 존재한다.
간질환의 치료에 있어서 간장해의 각 형태에 적합한 치료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그 형태의 판별이 중요하다. 종래, 생화학 파라미터를 기준으로 간장해의 형태가 판별되어 왔다. 예를 들면, 간세포장해형에서는 ALT나 AST의 상승을, 또한 담즙울체형에서는 ALP나 γ-GTP의 상승을 하나의 지표로 하여 간장해의 형태가 판정되고 있다. 그러나, 생화학 파라미터를 기준으로 하는 판정방법에서는 간장해 형태의 판단을 그르치는 경우도 있었다. 이 때문에 담즙산을 구성하는 많은 분획의 혈청 중의 각 농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간장해의 형태를 판별하고, 한번 더 치료방침을 결정하는 시험이 행하여져 오고 있다.
지금까지, 간장해의 원인별 분류와 담즙산 분획의 농도 사이에 각종 관계가 보고되고 있으나(비특허문헌 2-6) 일정한 견해는 얻을 수 없었고, 임상 응용에는 이르지 못하였다.
또한, 간장해의 임상 증후별 분류와 담즙산 분획의 농도의 관련에 대해서도 몇 가지 보고되고 있으나(비특허문헌 6-8), 원인별 분류와 동일하게 복수의 결과가 얻어질 수 있어 일정한 견해는 나타나 있지 않다. 한편, 약제성 간장해에 따른 임상 증후별 분류는 담즙산 분획이 아니라 생화학 파라미터에서의 평가법이 제창되어 있고(비특허문헌 9), 이에 기초하여 일본 간장학회에서도 약물성 간장해의 점수화(scoring)를 제창하고 있다(비특허문헌 10). 또한, 본발명자들은 쥐에서의 약제 투여에서 발생한 간질환과 담관결찰 처리나 1-나프틸 이소티오시아네이트(ANIT) 투여 등에 따른 대표적인 담즙울체 모델을 비교하고, 담즙산 분획 농도의 측정에 의해 간질환의 장해 형태를 판별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비특허문헌 11). 그러나, 임상에서 모세담관 레벨의 간내 담즙울체를 조기에 진단하는 명확한 바이오마커는 현재 보고되어 있지 않아, 치료방침의 결정이 어려운 경우가 적지 않다.
비특허문헌 1: 중독 부작용 질환별 대응 매뉴얼 약물성 간장해: 10-30 (평성 20년 4월, 후생노동성) 비특허문헌 2: IA Bouchier, CR Pennington, Serumbile acids in hepatobiliary disease. Gut. Jun; 19(6):492-6 (1978). 비특허문헌 3: Fischer, S, Beuers, U, Spengler, U, Zwiebel, FM, Koebe, H-G, Hepatic levels of bile acids in end-stage chroniccholestatic liver disease. Clinica Chimica Acta. 251(2):173-86 (1993). 비특허문헌 4: Williams CN, Bile-acid metabolism and the liver. Clin Bio 초드 9(3):149-52 (1976). 비특허문헌 5: Berr F, Pratschke E, Fischer S, Paumgartner G. Disorders of bile acid metabolism in cholesterol gallstonedisease. J Clin Invest. 90(3):859-68 (1992). 비특허문헌 6: Ostrow JD, Metabolism of bilesalts in cholestasis in humans. In: Tavoloni, N, Berk, PD (Eds), Hepatictransport and bile secretion. Raven, New York, pp.673-712 (1993). 비특허문헌 7: Burkard I, von Eckardstein A, Rentsch KM, Differentiated quantification of human bile acids in serum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J Chromatogr BAnalyt Techno l Biomed Life Sci. 826 (1-2):147-59 (2005). 비특허문헌 8: Palmeira CM, Rolo AP, Mitochondrially-mediated toxicity of bile acids. Toxicology. 203(1-3):1-15 (2004). 비특허문헌 9: Danan G, Benichou C. Causalityassessment of adverse reactions to drugs -- I. A novel method based on theconclusions of international consensus meetings: application to drug-induced liver injuries. J Clin Epidemiol. 46(11):1323-30 (1993). 비특허문헌 10: 하지메 타키가와, DDW-J 2004 워크샵 약물성 간장해 진단 기준의 제안 간장 46(2):85-90 (2005). 비특허문헌 11: 노리코 마스부치 등, 일본 약물 동태학회 제24회년회, 제305페이지, 제2-P-43번, 2009년 비특허문헌 12: A. stiehl, Bile Salt Sulphates in Cholestasis. European 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4 (1):59-63 (1974).
간장해는 임상 병후별로 간세포장해형 및 담즙울체형으로 분류할 수 있고, 각 형태에 적합한 치료를 선택하기 위하여 그 형태의 판별은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이들 형태를 판정할 수 있는 기술은 확립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현재에는 치료를 진행하면서 의사들의 경험에 기초한 종합적인 판단에 의해 투약 등의 치료가 시행되고 있다. 종래, 생화학 파라미터를 기준으로 간장해의 형태를 판단하는 경우, 간세포장해형에서는 ALT나 AST의 상승을, 또는 담즙울체형에서는 ALP나 γ-GTP의 상승을 하나의 지표로 하여 왔으나, 이것들만으로는 판단을 그르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간질환 발병의 초기단계에서 간장해의 형태를 보다 명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마커가 있다면, 치료방침의 결정이 조기에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간장해 형태의 조기진단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유용한 바이오 마커를 발견하고, 그 바이오 마커를 지표로 한 간장해 형태의 판별방법 또는 간장해 형태의 판별을 보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실시하여, 임상 혈청 검체를 사용하여 24종의 담즙산 분획, 간섬유화 마커, 산화 스트레스 마커의 농도를 측정하고, 얻어진 측정 데이터의 다변량 분석에 의해 리토콜산의 농도가 간장해 형태와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리토콜산의 농도는 간장해 환자 집단에 있어서, 간세포장해형의 간장해에서는 높은 경향을 나타내고, 반대로 울체형의 간장해에서는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간세포장해형의 간장해에서는 우르소데옥시콜산의 농도가 낮은 경향을 나타내고, 또한 간섬유화 마커인 IV형 콜라겐의 농도는 높은 경향이 인정되었다. 한편, 담즙울체형의 간장해에서는 데옥시콜산의 농도는 낮은 경향을 나타내고, 혈청 황산 포합형 담즙산(serum sulfated bile acids; 이하, SSBA라 약칭함), 간섬유화 마커인 IV형 콜라겐 및 히알루론산(이하, HA라 약칭함), 그리고 산화 스트레스 마커인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이하, ROS라 약칭함)은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각종 담즙산의 타우린 포합체 및 글리신 포합체도 그 유리형 분획의 농도와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간장해의 형태에 따라 특징적인 경향을 나타내는 이들 담즙산 분획을 포함하는 바이오 마커를 이용함으로써 간장해의 형태를 판별할 수 있음을 밝혀내어 본 발명을 달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하기에 관한 것이다:
1. 피험자로부터 채취된 생물학적 시료 중의 LCA 농도를 측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LCA 농도를 지표로 하는 간장해 형태를 판별하는 검사방법.
2. 측정된 LCA 농도를 미리 설정된 LCA 농도의 컷오프 값과 비교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상기 1에 기재된 검사방법.
3. 측정된 LCA 농도가 미리 설정된 간세포장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LCA 농도의 컷오프 값 이상일 때, 간장해의 형태는 간세포장해형인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상기 1에 기재된 검사방법.
4. 측정된 LCA 농도가 미리 설정된 담즙울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LCA 농도의 컷오프 값 이하일 때, 간장해의 형태는 담즙울체형인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상기 1에 기재된 검사방법.
5. 측정된 LCA 농도가 미리 설정된 간세포장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LCA 농도의 컷오프 값을 초과하는 한편 미리 설정된 담즙울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컷오프 값 미만일 때, 간장해의 형태는 간세포장해형과 담즙울체형의 혼합형인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상기 1에 기재된 검사방법.
6. UDCA 및 IV형 콜라겐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 모두의 농도를 측정하고, LCA 농도에 더하여 UDCA 및 IV형 콜라겐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 모두의 농도를 지표로 하는 것을 포함하고,
측정된 LCA 농도가 미리 설정된 간세포장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LCA 농도의 컷오프 값 이상인 한편 측정된 UDCA 및/또는 IV형 콜라겐의 농도가 하기 어느 하나일 때 간장해의 형태는 간세포장해형인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상기 1에 기재된 검사방법:
(1) UDCA 농도가 미리 설정된 UDCA 농도의 컷오프 값 이하인 것,
(2) IV형 콜라겐 농도가 미리 설정된 간세포장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IV형 콜라겐 농도의 컷오프 값 이상인 것,
(3) UDCA 농도가 미리 설정된 간세포장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UDCA 농도의 컷오프 값 이하인 한편, IV형 콜라겐 농도가 미리 설정된 간세포장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IV형 콜라겐 농도의 컷오프 값 이상인 것.
7. DCA, SSBA, IV형 콜라겐, HA 및 ROS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농도를 측정하고, LCA 농도에 더하여 DCA, SSBA, IV형 콜라겐, HA 및 ROS의 농도를 지표로 하는 것을 포함하고,
측정된 LCA 농도가 미리 설정된 담즙울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LCA 농도의 컷오프 값 이하인 한편, 측정된 DCA, SSBA, IV형 콜라겐, HA 및 ROS의 농도가 하기 어느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일 때, 간장해의 형태는 담즙울체형인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상기 1에 기재된 검사방법:
(4) DCA 농도가 미리 설정된 담즙울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DCA 농도의 컷오프 값 이하인 것,
(5) SSBA 농도가 미리 설정된 담즙울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SSBA 농도의 컷오프 값 이상인 것,
(6) IV형 콜라겐 농도가 미리 설정된 담즙울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IV형 콜라겐 농도의 컷오프 값 이상인 것,
(7) HA 농도가 미리 설정된 담즙울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HA 농도의 컷오프 값 이상인 것,
(8) ROS 농도가 미리 설정된 담즙울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ROS 농도의 컷오프 값 이상인 것.
8. IV형 콜라겐의 농도를 측정하고, LCA 농도에 더하여 IV형 콜라겐 농도를 지표로 하는 것을 포함하고,
측정된 LCA 농도가 미리 설정된 간세포장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LCA 농도의 컷오프 값을 초과하는 한편, 미리 설정된 담즙울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컷오프 값 미만이며, 또한 측정된 IV형 콜라겐의 농도가 미리 설정된 담즙울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IV형 콜라겐의 컷오프 값 이상일 때, 간장해의 형태는 간세포장해형과 담즙울체형의 혼합형인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상기 1에 기재된 검사방법.
9. 미리 설정된 LCA 농도의 컷오프 값이 LCA 농도의 수신자 동작성 곡선(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이하, ROC 곡선이라 칭함)으로부터 산출되는 것인, 상기 2의 검사방법.
10. 미리 설정된 간세포장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LCA 농도의 컷오프 값이 미리 정한 간세포장해형의 간장해에 관한 LCA 농도의 ROC 곡선으로부터 산출되는 것인, 상기 3, 5, 6 또는 8에 기재된 검사방법.
11. 미리 설정된 담즙울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LCA 농도의 컷오프 값이 미리 정한 담즙울체형의 간장해에 관한 LCA 농도의 ROC 곡선으로부터 산출되는 것인, 상기 4, 5, 6 또는 8에 기재된 검사방법.
12. 미리 설정된 간세포장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LCA 농도의 컷오프 값, 미리 설정된 간세포장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UDCA 농도의 컷오프 값, 및 미리 설정된 간세포장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IV형 콜라겐 농도의 컷오프 값이 각각 미리 정한 간세포장해형의 간장해에 관한 LCA 농도의 ROC 곡선으로부터 산출되는 것, 미리 정한 간세포장해형의 간장해에 관한 UDCA 농도의 ROC 곡선으로부터 산출되는 것 및 미리 정한 간세포장해형의 간장해의 간질환에 관한 IV형 콜라겐 농도의 ROC 곡선으로부터 산출되는 것인, 상기 6에 기재된 검사방법.
13. 미리 설정된 담즙울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LCA 농도의 컷오프 값, 미리 설정된 담즙울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DCA 농도의 컷오프 값, 미리 설정된 담즙울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SSBA 농도의 컷오프 값, 미리 설정된 담즙울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IV형 콜라겐 농도의 컷오프 값, 미리 설정된 담즙울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HA 농도의 컷오프 값 및 미리 설정된 담즙울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ROS 농도의 컷오프 값이 각각 미리 정한 담즙울체형의 간장해에 관한 LCA 농도의 ROC 곡선으로부터 산출되는 것, 미리 정한 담즙울체형의 간장해에 관한 DCA 농도의 ROC 곡선으로부터 산출되는 것, 미리 정한 담즙울체형의 간장해에 관한 SSBA 농도의 ROC 곡선으로부터 산출되는 것, 미리 정한 담즙울체형의 간장해에 관한 IV형 콜라겐 농도의 ROC 곡선으로부터 산출되는 것, 미리 정한 담즙울체형의 간장해에 관한 ROS 농도의 ROC 곡선으로부터 산출되는 것인, 상기 7에 기재된 검사방법.
14. 상기 생물학적 시료가 혈액 시료인, 상기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검사방법.
15. 상기 생물학적 시료가 혈청 시료인, 상기 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검사방법.
16. 상기 1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검사방법에 의해 간장해의 형태가 판정된 피험자에 대하여, 그 간장해의 형태에 따른 간장해 치료제를 선택하는 방법.
본 발명에 의해 피험자로부터 채취된 생물학적 시료 중의 LCA의 농도의 측정을 하고, 측정된 LCA 농도를 지표로 하여 간장해 형태를 판별하는 검사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검사방법은 단독으로 또는 종래 실시되어온 생화학 파라미터의 측정과 병행하여 사용함으로써, 임상 증후에 따른 간장해 형태, 구체적으로는 간세포장해형, 담즙울체형 및 이것들의 혼합형의 조기 진단 및 치료방침의 조기 결정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검사방법은 간질환의 검사에 사용할 수 있고, 간질환의 진단 및 치료를 보조하는 방법으로서 매우 유용하다.
도 1은 담즙산의 대사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LCA 농도의 컷오프 값에 따른 간장해 형태의 판별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간세포장해형의 간장해에서 담즙산 분획 중에서 LCA의 농도는 유의하게 상승 경향을 나타내고, UDCA의 농도는 유의하게 저하 경향을 나타낸 것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CA나 UDCA와 이성체의 관계에 있는 CDCA의 농도는 유의한 차이는 없지만 저하 경향을 나타내고, DCA의 농도는 유의한 차이는 없지만 상승 경향을 나타내었다.
도 4는 담즙울체형의 간장해에서 담즙산 분획 중에서 LCA 및 DCA의 농도는 모두 유의하게 상승 경향을 나타낸 것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CDCA, UDCA 및 CA의 농도는 유의한 차는 없지만 모두 저하 경향을 나타내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담즙산 분획의 각 약칭을 표 1에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담즙산 분획의 각 칭호를 표 1에 나타낸 약칭으로 기재할 수 있다.
담즙산 분획 약칭
콜산 CA
글리코콜산 GCA
타우로콜산 TCA
데옥시콜산 DCA
글리코데옥시콜산 GDCA
타우로데옥시콜산 TDCA
케노데옥시콜산 CDCA
글리코케노데옥시콜산 GCDCA
타우로케노데옥시콜산 TCDCA
우르소데옥시콜산 UDCA
글리코우르소데옥시콜산 GUDCA
타우로우르소데옥시콜산 TUDCA
리토콜산 LCA
글리코리토콜산 GLCA
타우로리토콜산 TLCA
12-케토리토콜산 12_KLCA
α-무리콜산 αMCA
β-무리콜산 βMCA
타우로-β-무리콜산 TβMCA
히오콜산 HCA
글리코히오콜산 GHCA
타우로히오콜산 THCA
히오데옥시콜산 HDCA
글리코히오데옥시콜산 GHDCA
타우로히오데옥시콜산 THDCA
황산 포합형 담즙산 SSBA
본 발명은 간장해의 검사방법, 보다 상세하게는 간장해 형태를 판별하는 검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검사방법은 피험자로부터 채취된 생물학적 시료 중의 LCA의 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LCA 농도를 지표로 하여 간장해 형태를 판별하는 것이다. LCA 농도를 지표로 하여 간장해 형태를 판별하는 것은 측정된 LCA 농도를 미리 설정된 LCA 농도의 컷오프 값과 비교하는 것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검사방법으로서, 피험자로부터 채취된 생물학적 시료 중의 LCA 농도를 측정하는 것 및 측정된 LCA 농도를 미리 설정된 LCA 농도의 컷오프 값과 비교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간장해 형태를 판별하는 검사방법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검사방법에서, LCA 농도에 더하여 LCA와는 다른 바이오 마커이면서 간장해의 형태에 관련된 바이오 마커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고, LCA 농도 및 그 바이오 마커의 농도를 지표로 하여 간장해의 형태를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LCA와는 다른 바이오 마커이면서 간장해의 형태에 관련된 바이오 마커로서 간세포장해형의 간장해에 관련된 UDCA 및 IV형 콜라겐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담즙울체형의 간장해에 관련된 바이오 마커로서 DCA, SSBA, IV형 콜라겐, HA 및 ROS를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검사방법은 단독으로 실시할 수도 있고, 혹은 종래 실시되어온 생화학 파라미터의 측정 등의 각종 검사방법과 병행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간장해의 형태"는 간장해의 병후에 따라 분류되는 형태를 의미한다. 간장해의 병후는 간장해 환자가 나타내는 여러 가지 호소나 진찰 소견을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간장해의 형태"로서 간세포장해형 및 담즙울체형을 들 수 있다. 간세포장해형에서는 간장을 구성하는 세포의 하나이며 간장의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간실질세포가 장해를 받아 간 기능의 현저한 저하가 일어난다. 담즙울체형은 간장으로부터의 담즙의 배설이 어떤 원인에 의해 방해받음으로써 일어나며, 그 결과 간 내 또는 간 외의 담도계의 일부 혹은 전반에 걸쳐 담즙의 유출 이상을 초래하고, 간장 및 혈중에 담즙이 저류하여 황달이나 간염 등의 제증상을 일으킨다.
본 발명에 관련된 검사방법에서는 간세포장해형 및 담즙울체형을 판별할 수 있고, 또한 간세포장해형 및 담즙울체형의 양쪽 모두로 분류되는 형태, 즉 혼합형을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검사방법의 대상이 되는 "피험자"는 간기능 장해가 있다고 진단된 자 또는/및 어떤 검사 결과에 의해 간기능 장해가 있다고 의심되는 자를 의미하며, 바이러스성 간염, 약제성 간장해, 알코올성 간장해, 자기면역성 간장해, 대사장해성 간장해 등으로 분류되는 간질환을 가지거나/가지며 그 간질환을 가진다고 의심되는 자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간기능 장해가 있다고 진단된 자이다.
본 명세서에서 "생물학적 시료"는 담즙산 분획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담즙산 분획에 더하여 간섬유화 마커 및/또는 산화 스트레스 마커가 포함될 수 있는 것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피험자로부터 단리된 혈액, 그 혈액으로부터 제조된 혈청이나 혈장, 바람직하게는 혈청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간장해 치료제", "간장해의 치료방법"은 예를 들어, 중독 부작용 질환별 대상 매뉴얼 약물성 간장해에 기재되어 있는 간장해 치료제 및 간장해의 치료방법, 각 의료 시설에서 시행되고 있는 투약방법 및 치료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간세포장해형의 경우, 예를 들어 글리시리진 제제로 항알레르기 작용이 있는 강력 네오미노화겐씨 제제의 정맥주사나 간세포막 보호작용을 가지는 UDCA의 경구투여를 행한다. 간세포장해가 중병화되고 극증간염에 걸린 경우, 예를 들어 지용성 비타민의 부족을 보충하기 위해 비타민 A나 비타민 K를 투여하고, 다음으로 약물 치료로서 UDCA, 프레드니솔론, 페노바르비탈, 타우린, 콜레스티마이드 등을 사용한다.
LCA는 담즙산의 일종이다. 담즙산은 간장의 간세포에서 콜레스테롤 대사에 의해 생성되어, 글리신이나 타우린(아미노산 에틸설폰산) 등과 포함한 후, 담즙으로서 분비되어 지방의 소화흡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LCA는 간장에서 합성된 1차 담즙산의 하나인 CDCA가 담관경유에서 장관으로 배출되어 7-α디히드록시라아제에 의해 탈수산화 반응을 받아서 생성된 2차 담즙산이다.
간장해질환 집단에서, 간세포장해형의 간장해 환자와 담즙울체형의 간장해 환자 사이에서 혈청 중의 LCA 농도의 비교를 수행한 바, LCA의 농도는 간세포장해형의 간장해 환자에서는 높은 경향을 나타내고, 반대로 담즙울체형의 간장해 환자에서는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담즙울체형의 간장해에서는 혈청 중의 DCA의 농도는 낮은 경향을 나타내고, SSBA의 농도는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한편, 간세포장해형의 간장해에서는 혈청 중의 UDCA의 농도는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각종 담즙산의 타우린 포합체 및 글리신 포합체도 그 유리형 분획의 농도와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담즙울체형의 간장해에서는 담즙울체에 의해 DCA나 LCA의 생성이 억제되고, 이에 따라 CA, CDCA 및 UDCA의 농도는 상승하고, 이와는 반대로 간세포장해형의 간장해에서는 지용성이 높은 DCA나 LCA의 생성이 항진되고, CA, CDCA 및 DCA의 생성이 억제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또한, LCA 이외에도 담즙울체형의 간장해에서는 간섬유화 마커인 IV형 콜라겐 및 HA, 그리고 산화 스트레스 마커인 ROS의 혈청 중의 농도가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한편, 간세포장해형의 간장해에서는 IV형 콜라겐의 혈청 중의 농도가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간장해의 형태의 판별은 각 측정항목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컷오프 값과 비교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컷오프 값"은 양성과 음성의 범위를 구별하는 값을 말한다. 각 측정항목의 컷오프 값은 간장해의 형태에 의해 개별로 설정할 수 있다. 컷오프 값의 설정은 자체 공지의 방법에 따라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단검사의 유용성을 검사하는 수법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ROC 해석에 의해 컷오프 값의 설정을 할 수 있다. ROC 해석에서는 역치를 변화시켜갔을 때 각각의 역치에 있어서의 감도(Sensitivity)를 종축으로, FPF(False Positive Fraction, 위양성률: 1 - 특이도(Specificity))를 횡축으로 플롯팅한 ROC 곡선이 작성된다. ROC 곡선에서는, 전혀 진단능이 없는 검사는 대각선상의 직선이 되지만, 진단능이 향상될수록 대각선이 왼쪽 윗방향으로 활 모양을 그리는 것과 같은 곡선이 되고, 진단능 100%인 검사는 좌변-우변상을 지나가는 곡선이 된다. 컷오프 값의 설정으로는 예를 들면, 감도와 특이도가 우수한 독립변수의 ROC 곡선은 왼쪽 상단 구석에 가까워진다는 사실로부터 이 왼쪽 상단 구석과의 거리가 최소가 되는 점을 컷오프 값으로 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ROC 곡선에서의 곡선하 면적(area under the curve, AUC라 약칭됨)이 0.500이 되는 비스듬한 점선으로부터 가장 먼 포인트를 컷오프 값으로 하는 방법, 즉 (감도 + 특이도 - 1)을 계산하여 그 최대값이 되는 포인트인 유덴 인덱스(Youden index)를 컷오프 값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감도는 참양성률을 의미한다. 또한, 특이도는 참음성률을 의미한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서, 각 측정항목과 간장해의 형태의 빈도와의 관계로부터 컷오프 값을 정량적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관련된 검사방법에 의한 간장해의 형태의 판별을 도 2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LCA 농도가 미리 설정된 간세포장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LCA 농도의 컷오프 값 이상인 경우, 간장해의 형태는 간세포장해형인 것으로 판정한다. LCA 농도가 미리 설정된 담즙울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LCA 농도의 컷오프 값 이하인 경우, 간장해의 형태는 담즙울체형인 것으로 판정한다. 또한, LCA 농도가 미리 설정된 간세포장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LCA 농도의 컷오프 값을 초과하는 한편 담즙울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LCA 농도의 컷오프 값 미만인 경우, 간장해의 형태는 간세포장해형과 담즙울체형의 양쪽 모두의 형태, 즉 혼합형인 것으로 판정한다. 또한, 보다 상세하게 판별한다면, LCA 농도가 미리 설정된 담즙울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LCA 농도의 컷오프 값을 초과하는 경우, 간장해의 형태는 혼합형을 포함하지 않는 간세포장해형인 것으로 판정한다. 또한, LCA 농도가 미리 설정된 간세포장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LCA 농도의 컷오프 값 미만인 경우, 간장해의 형태는 혼합형을 포함하지 않는 담즙울체형인 것으로 판정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검사방법에서, LCA의 농도의 측정에 더하여 UDCA 및 IV형 콜라겐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 모두의 농도를 측정할 수도 있고, 측정된 UDCA 및/또는 IV형 콜라겐의 농도를 미리 설정된 각각의 컷오프 값과 비교하고, 측정된 LCA 농도가 미리 설정된 간세포장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LCA 농도의 컷오프 값 이상인 한편, 측정된 UDCA 및/또는 IV형 콜라겐의 농도가 하기 중 어느 하나인 경우, 간장해의 형태는 간세포장해형인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1) UDCA 농도가 미리 설정된 간세포장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UDCA 농도의 컷오프 값 이하인 것, (2) IV형 콜라겐 농도가 미리 설정된 간세포장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IV형 콜라겐 농도의 컷오프 값 이상인 것, 및 (3) UDCA 농도가 미리 설정된 간세포장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UDCA 농도의 컷오프 값 이하인 것인 한편 IV형 콜라겐 농도가 미리 설정된 간세포장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IV형 콜라겐 농도의 컷오프 값 이상인 것.
본 발명에 관련된 검사방법에서, LCA의 농도의 측정에 더하여 DCA, SSBA, IV형 콜라겐, HA 및 ROS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농도를 측정할 수도 있고, 각 측정값을 미리 설정된 각각의 컷오프 값과 비교하고, 측정된 LCA 농도가 미리 설정된 LCA 농도의 컷오프 값 이하인 한편 측정된 DCA, SSBA, IV형 콜라겐, HA 및 ROS의 농도가 하기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인 경우, 간장해의 형태는 담즙울체형인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4) DCA 농도가 미리 설정된 DCA 농도의 컷오프 값 이하인 것, (5) SSBA 농도가 미리 설정된 SSBA 농도의 컷오프 값 이상인 것, (6) IV형 콜라겐 농도가 미리 설정된 IV형 콜라겐 농도의 컷오프 값 이상인 것, (7) HA 농도가 미리 설정된 HA 농도의 컷오프 값 이상인 것, 및 (8) ROS 농도가 미리 설정된 ROS 농도의 컷오프 값 이상인 것.
본 발명에 관련된 검사방법에서는 또한 LCA 농도의 측정에 더하여 IV형 콜라겐의 농도를 측정하고, 각 측정값을 미리 설정된 각각의 컷오프 값과 비교하고, 측정된 LCA 농도가 미리 설정된 간세포장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LCA 농도의 컷오프 값을 초과하는 한편, 담즙울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LCA 농도의 컷오프 값 미만이고, 또한 측정된 IV형 콜라겐의 농도가 미리 설정된 IV형 콜라겐의 컷오프 값 이상인 경우, 간장해의 형태는 간세포장해형과 담즙울체형의 혼합형인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검사방법에서 사용하는 각 측정항목의 컷오프 값의 구체예를 표 2 및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2는 간세포장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바이오 마커의 컷오프 값의 구체예이다. 표 3은 담즙울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바이오마커의 컷오프 값의 구체예이다. 예시한 컷오프 값은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간장해 치료약을 적용하지 않은 간장해 환자를 대상으로 하고, 그 간장해 환자로부터 채취된 혈청시료를 생물학적 시료로 사용하여 각 바이오 마커의 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각 바이오 마커 농도에 대하여 간장해 환자 집단과 간세포장해형 간장해 환자 또는 담즙울체형 간장해 환자의 비교를 ROC 해석을 사용하여 수행하고, 유덴 지표를 구함으로써 미리 정한 컷오프 값이다. 컷오프 값은 측정시설이나 측정하는 모집단마다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동일한 시료를 대상으로 하여 목적으로 하는 바이오 마커 농도의 측정 데이터를 축적하고, 상기 동일한 해석수법으로 해석을 수행함으로써 그 설정을 적절하게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혈청 시료와는 다른 시료를 사용하여 바이오 마커의 농도의 측정을 수행하는 경우는 그 사용하는 시료를 대상으로 한 각 바이오 마커 농도의 측정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동일한 해석수법으로 해석을 수행함으로써 컷오프 값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컷오프 값
담즙산 분획
LCA(nmol/mL) ≥0.0195
UDCA(nmol/mL) ≤0.903
간섬유화 마커 IV형 콜라겐(ng/ml) ≥128
컷오프 값
담즙산 분획

LCA(nmol/mL) ≤0.0241
DCA(nmol/mL) ≤0.175
SSBA(nmol/mL) ≥21.1
산화스트레스 마커 ROS(U) ≥216
간섬유화 마커
IV형 콜라겐(ng/ml) ≥288
HA(ng/ml) ≥47
본 발명에 관련된 검사방법을 상기 표 2 및 표 3에 예시한 구체적인 컷오프 값을 사용하여 실시하는 경우의 구체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검사방법의 구체예로서,
피험자로부터 채취된 혈청시료 중의 LCA 농도를 측정하는 공정,
측정된 LCA 농도를 미리 설정된 LCA 농도의 컷오프 값과 비교하는 공정, 및
측정된 LCA 농도가 미리 설정된 간세포장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LCA 농도의 컷오프 값 이상인 경우, 간장해의 형태는 간세포장해형인 것으로 판정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컷오프 값이 0.0195 nmol/L인,
간장해 형태를 판별하는 검사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다른 구체예로서,
피험자로부터 채취된 혈청시료의 중의 LCA 농도를 측정하는 공정,
측정된 LCA 농도를 미리 설정된 LCA 농도의 컷오프 값과 비교하는 공정, 및
측정된 LCA 농도가 미리 설정된 간세포장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LCA 농도의 컷오프 값 이하인 경우, 간장해의 형태는 담즙울체형인 것으로 판정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컷오프 값이 0.0241 nmol/L인,
간장해 형태를 판별하는 검사방법을 들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로서,
피험자로부터 채취된 혈청시료 중의 LCA 농도를 측정하는 공정,
측정된 LCA 농도를 미리 설정된 LCA 농도의 컷오프 값과 비교하는 공정, 및
측정된 LCA 농도가 미리 설정된 간세포장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LCA 농도의 컷오프 값을 초과하는 한편 미리 설정된 담즙울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컷오프 값 미만인 경우, 간장해의 형태는 간세포장해형과 담즙울체형과의 혼합형인 것으로 판정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미리 설정된 간세포장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LCA 농도의 컷오프 값이 0.0195 nmol/L인 한편 미리 설정된 담즙울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LCA 농도의 컷오프 값이 0.0241 nmol/L인,
간장해 형태를 판별하는 검사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다른 구체예로서,
피험자로부터 채취된 혈청시료 중의 LCA 농도를 측정하는 공정,
측정된 LCA 농도를 미리 설정된 LCA 농도의 컷오프 값과 비교하는 공정,
다시 한 번, UDCA 및 IV형 콜라겐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 모두의 농도를 측정하는 공정,
측정된 UDCA 및/또는 IV형 콜라겐의 농도를 미리 설정된 LCA 농도의 컷오프 값과 비교하는 공정, 및
측정된 LCA 농도가 미리 설정된 간세포장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LCA 농도의 컷오프 값 이상인 한편 측정된 UDCA 및/또는 IV형 콜라겐의 농도가 하기 어느 하나인 경우, 간장해의 형태는 간세포장해형인 것으로 판정하는 공정:
(1) UDCA 농도가 미리 설정된 UDCA 농도의 컷오프 값 이하인 것,
(2) IV형 콜라겐 농도가 미리 설정된 간세포장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IV형 콜라겐 농도의 컷오프 값 이상인 것,
(3) UDCA 농도가 미리 설정된 간세포장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UDCA 농도의 컷오프 값 이하인 한편, IV형 콜라겐 농도가 미리 설정된 간세포장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IV형 콜라겐 농도의 컷오프 값 이상인 것,
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미리 설정된 간세포장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LCA 농도의 컷오프 값이 0.0195 nmol/L이고, 미리 설정된 간세포장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UDCA 농도의 컷오프 값이 0.903 nmol/L인 한편, 미리 설정된 간세포장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IV형 콜라겐 농도의 컷오프 값이 128 ng/ml인,
간장해 형태를 판별하는 검사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다른 구체예로서,
피험자로부터 채취된 혈청시료 중의 LCA 농도를 측정하는 공정,
측정된 LCA 농도를 미리 설정된 LCA 농도의 컷오프 값과 비교하는 공정,
다시 한 번, DCA, SSBA, IV형 콜라겐, HA 및 ROS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농도를 측정하는 공정,
상기 추가 측정에 의해 얻어진 각 측정값을 미리 설정된 각각의 컷오프 값과 비교하는 공정, 및
측정된 LCA 농도가 미리 설정된 담즙울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LCA 농도의 컷오프 값 이사인 한편 측정된 DCA, SSBA, IV형 콜라겐, HA 및 ROS의 농도가 하기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인 경우, 간장해의 형태는 담즙울체형인 것으로 판정하는 공정:
(4) DCA 농도가 미리 설정된 담즙울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DCA 농도의 컷오프 값 이하인 것,
(5) SSBA 농도가 미리 설정된 담즙울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SSBA 농도의 컷오프 값 이상인 것,
(6) IV형 콜라겐 농도가 미리 설정된 담즙울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IV형 콜라겐 농도의 컷오프 값 이상인 것,
(7) HA 농도가 미리 설정된 담즙울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HA 농도의 컷오프 값 이상인 것,
(8) ROS 농도가 미리 설정된 담즙울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ROS 농도의 컷오프 값 이상인 것
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미리 설정된 담즙울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LCA 농도의 컷오프 값이 0.0241 nmol/L이고, 미리 설정된 담즙울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DCA 농도의 컷오프 값이 0.175 nmol/L이고, 미리 설정된 담즙울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SSBA 농도의 컷오프 값이 21.1 nmol/L이고, 미리 설정된 담즙울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IV형 콜라겐의 농도의 컷오프 값이 288 ng/ml이고, 미리 설정된 담즙울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HA 농도의 컷오프 값이 47 ng/ml인 한편 미리 설정된 담즙울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ROS 농도의 컷오프 값이 216U인,
간장해 형태를 판별하는 검사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다른 구체예로서,
피험자로부터 채취된 혈청시료 중의 LCA 농도를 측정하는 공정,
측정된 LCA농도를 미리 설정된 LCA 농도의 컷오프 값과 비교하는 공정,
다시 한 번, 그 혈청시료 중의 IV형 콜라겐의 농도를 측정하는 공정,
IV형 콜라겐의 측정값을 미리 설정된 IV형 콜라겐의 컷오프 값과 비교하는 공정, 및
측정된 LCA 농도가 미리 설정된 간세포장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LCA 농도의 컷오프 값을 초과하는 한편 미리 설정된 담즙울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컷오프 값 미만이고, 더 측정된 IV형 콜라겐의 농도가 미리 설정된 담즙울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IV형 콜라겐의 컷오프 값 이상인 경우, 간장해의 형태는 간세포장해형과 담즙울체형의 혼합형인 것으로 판정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미리 설정된 간세포장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LCA 농도의 컷오프 값 및 미리 설정된 담즙울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LCA 농도의 컷오프 값이 각각 0.0195 mmol/L 및 0.0241 nmol/L인 한편 미리 설정된 담즙울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IV형 콜라겐의 컷오프 값이 288 ng/ml인,
간장해 형태를 판별하는 검사방법을 들 수 있다.
담즙산 분획의 농도의 측정은 그 측정에 종래로부터 사용되고 있는 방법을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체 크로마토그래피/탠덤 질량분석(LC-MS/MS)법이나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질량분석(GC/MS)법을 들 수 있다. 또한, 담즙산이나 황산 포합형 담즙산의 농도는 시판중인 담즙산 측정 키트를 사용하여 그 측정을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황산 포합형 담즙산의 농도의 측정은 우버 스틱 오토, 담즙산(USBA) 키트((주) 엘피에스)를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측정방법은 이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담즙산이나 그 분획의 측정이 가능하다면 어느 방법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IV형 콜라겐의 농도의 측정은 그 측정에 종래로부터 사용되고 있는 방법을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판중인 IV형 콜라겐 측정 시험약 키트를 사용하여 IV형 콜라겐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관련된 방법으로서 IV형 콜라겐에 대한 항체를 사용한 효소면역법(EIA)이나 효소면역고상법(ELISA)를 예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생물학적 시료에 항인간 IV형 콜라겐 토끼 폴리클로날 항체를 첨가하여 IV형 콜라겐·7S-항인간 IV형 콜라겐 토끼 폴리클로날 항체 복합체(복합체 1)을 형성시키고, 그 후 요오드 125(125I) 등의 방사성 동위체로 표식한 인간 IV형 콜라겐·7S(표식항원)을 첨가하고, 해당 시료중의 IV형 콜라겐·7S와 결합하여 얻어진 항인간 IV형 콜라겐·7S 토끼 폴리클로날 항체와 복합체(복합체 2)를 형성시키고, 다시 한 번 항 토끼 γ-글로불린 염소 혈청(염소항체)을 첨가하고, 항토끼 γ-글로불린 염소 혈청(염소항체)을 첨가하면 염소항체는 복합체 2와 반응하고, 표식항원-항인간 IV형 콜라겐·7S 토끼 폴리클로날 항체-염소 항체 복합체를 형성시키고, 생성된 침전을 회수하여 침전물의 방사활성을 측정함으로써 IV형 콜라겐·7S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HA의 농도의 측정은 그 측정에 종래로부터 사용되고 있는 방법을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판중인 HA 측정용 시약 키트를 사용하여 HA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관련 방법으로서, HA에 대한 항체를 사용하여 효소면역고상법(ELISA)를 예시할 수 있다.
ROS의 농도의 측정은 그 측정에 종래로부터 사용되고 있는 방법을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판중인 ROS 측정용 시약 키트를 사용하여 ROS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은 등의 금속 이온을 촉매로 하는 펜톤반응을 이용하여, 과산화물(ROOH)로부터 자유라디칼(ROS·나 RO·)을 발생시켜, N,N-디에틸-1,4-페닐렌디아민황산염(DEPPD라 약칭함)과 반응시키고, 그 반응에 의해 생성된 DEPPD·+를 파장 505 nm의 흡수를 측정함으로써 자유라디칼을 생성하는 물질의 총량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는 본 발명에 관련된 검사방법에 따라 간장해의 형태가 판정된 피험자에 대하여, 그 간장해의 형태에 따른 간장해 치료제를 선택하는 방법이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에는 본 발명에 관련된 검사방법에 따라 간장해의 형태가 판정된 피험자에 대하여, 그 간장해의 형태에 따른 치료를 하는 치료방법이 포함된다.
간장해의 형태에 따른 간장해 치료제나 간장해의 치료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중독 부작용 질환별 대응 매뉴얼 약물성 간장해에 기재되어 있는 간장해 치료제 및 간장해의 치료방법, 각 의료시설에서 시행되고 있는 투약방법 및 치료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간세포장해형의 경우, 예를 들어 글리시리진 제제로 항알레르기 작용이 있는 강력 네오미노파겐씨 제제의 정맥주사나 UDCAD의 경구투여를 한다. 간세포장해가 중증화되고, 극증간염에 이르게 된 경우, 예를 들어 중심정맥 영양법(IVH)이나 인공간 보조요법을 사용한다. 담즙울체형의 경우, 예를 들어, 지용성 비타민의 부족을 보충하기 위하여 비타민 A나 비타민 K를 투여하고, 다음으로 약물치료로서 UDCA, 프레드니솔론, 페노바르비탈, 타우린, 콜레스티마이드 등을 사용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 한정하여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예 1
간장해 형태의 조기진단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유용한 바이오 마커를 발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간장해 환자 및 정상 지원자로부터 얻은 혈청시료를 사용하여 담즙산 분획도, 그리고 산화 스트레스 마커 및 간섬유화 마커의 측정을 하였다. 혈청시료의 채취 및 일련의 실험은 시료제공자인 환자 및 정상 지원자의 동의를 얻어 수행한 것이다.
1. 대상시료
제일 산쿄 주식회사 및 지케이 의과대학 내의 윤리임원회의 승인에 기초하여, 약 2년간에 걸쳐 바이러스성, 자기면역성, 알코올성, 유전성 등의 간장해 의심이 있는 환자 150 사례로부터 혈청 샘플 304 검체를 채취하였다. 또한, 정상인 유래의 혈청시료를 지원자로부터 채혈하여 사용하였다. 혈청시료는 바이오 마커 측정까지 -80℃에 보관하였다.
2. 평가항목
각 담즙산 분획, 구체적으로는 CA, DCA, CDCA, UDCA, LCA, 12_KLCA, αMCA, βMCA, HDCA, GCA, GDCA, GCDCA, GUDCA, GLCA, GHCA, GHDCA, TCA, TDCA, TCDCA, TUDCA, TLCA, TβMCA, THCA 및 THDCA의 24종의 담즙산 분획, 그리고 황산 포합형 담즙산 SSBA 농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생화학 파라미터인 ALT, AST, ALP, γ-GTP, 총 빌리루빈(이하, T. BIL이라 약칭함), 직접 빌리루빈(이하, D. BIL이라 약칭함), TBA, 알부민(이하, ALB라 약칭함), 프로트롬빈 시간(이하, PT라 약칭함)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산화 스트레스 마커인 8-OHdG 및 ROS, 그리고 간섬유화 마커인 IV형 콜라겐 및 HA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3. 측정방법
전 24종의 담즙산 분획은 LC-MS/MS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정량하한은 12-KLCA만을 0.03 nmol/L로 하고, 그 외의 측정대상 물질을 0.01 nmol/L로 하였다. 정량상한은 12-KLCA 및 CA만을 10 nmol/L로 하고, 그 외의 측정대상 물질을 30 nmol/L로 하였다. 내부표준(IS)에는 나프탈람을 사용하였다. 컬럼에는 AC QUITY UPLC BEH C18, 1.7 m, 2.1 × 50 mm(Waters사 제품), 이동상에는 0.1% 포름산과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여 이들의 비를 측정시간에 따라 변화시켰다. 이온화법은 일렉트로 스프레이 이온화(ESI라 약칭함)법 네가티브를, 검출법은 선택 이온 레코딩(Selected Ion Recording; SIR이라 약칭함)을 선택하였다. 전처리 방법은 단백제거법으로 하였다. 황산 포합형 담즙산 농도는 300 μL 혈청 및 우버스틱 오토 담즙산(USBA) 키트((주) 엘피에스)를 사용하여 BioMajesty JCA-BM2250(JEOL)에 의해 측정하였다.
산화 스트레스 마커인 8-OHdG 및 ROS의 측정은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8-OHdG는 일본 노화제어 연구소에서 판매하는 시약 키트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ROS는 철 등의 금속 이온을 촉매로 하는 펜톤반응을 이용하여 과산화물(ROOH)로부터 자유 라디칼(ROO·나 RO·)을 발생시켜, N,N-디에틸-1,4-페닐렌디아민황산염(DEPPD이라 칭함)과 반응시켰다. 생성된 DEPPD·+는 파장 505 nm에서 흡수를 가지며, 이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자유 라디칼을 생성하는 물질의 총량을 측정하였다.
생화학 파라미터는 임상검사에서 통상 실시되고 있는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간섬유화 마커인 IV형 콜라겐·7S 및 HA의 측정은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IV형 콜라겐·7S는 항인간 IV형 콜라겐 토끼 폴리클로날 항체와 반응하여 IV형 콜라겐·7S-항인간 IV형 콜라겐 토끼 폴리클로날 항체 복합체(복합체 1)을 형성한다. 요오드 125(125I) 표식 인간 IV형 콜라겐·7S(표식항원)를 첨가하면 검체 중의 IV형 콜라겐·7S와 결합하여 얻어질 수 있는 항인간 IV형 콜라겐·7S 토끼 폴리클로날 항체는 표식항원과 반응하여 표식항원-항인간 IV형 콜라겐·7S 토끼 폴리클로날 항체 복합체(복합체 2)를 형성하고, 또한 항토끼 γ-글로불린 염소 혈청(염소항체)을 첨가하면, 염소항체는 복합체 2와 반응하여 표식항원-항인간 IV형 콜라겐·7S 토끼 폴리클로날 항체-염소항체 복합체를 형성하고, 침전한다. 미반응 표식항원을 제거한 후, 침전물의 방사능을 측정하고, IV형 콜라겐·7S 농도를 구하였다. HA는 HA ELISA 키트(코스모·바이오 주식회사 제품)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4. 데이터 해석 방법
각종 바이오 마커의 변동과 종합적으로 판단된 간장해의 증후와의 상관관계를 해석하였다. 간장해 환자 150 사례로부터 얻어진 혈청 샘플 304 검체를 해석대상으로 하고, 배경정보의 요약 통계량을 계산하였다. 동일 증례의 검체 간의 상관관계는 고려하지 않고 해석을 실시하였다.
간장해의 증후별 형태에 관련된 바이오 마커를 검토하기 위하여, 환자 배경인자를 조정인자로 한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 모델을 사용하여 바이오 마커 후보인자의 종합적으로 판단된 간장해 증후(간세포장해 혹은 담즙울체)에 대한 오즈비와 그 95% 신뢰구간을 계산하였다. 바이오 마커 후보인자는 담즙산 분획 농도, 산화 스트레스 마커, 간섬유화 마커로 하였다. 환자 배경인자는 성별, 연령, BMI, 음주, 간장해 치료약(항 바이러스제, 간비호제, 담즙산 제제, 아미노산 제제·저알부민 혈장 개선약, 비타민 K 제제), 합병증(지질이상증, 당뇨병, 폐색성 황달, 담석)으로 하였다.
간장해 증후의 유무는 독립적인 3명의 평가자에 따른 판정결과에 기초하여, 2인 이상이 판정한 결과를 채용하였다. 집계 해석 단위는 검체로 하고, 동일한 증례의 검체간의 상관관계는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하였다. 통계학적 검정을 수행할 때의 유의수준은 양측 5%로 하였다.
상기 바이오 마커 해석에 있어서, 기준값이 없는 지표에 대해서는 건강한 사람들의 측청값의 97.5%점(정규분포라면 평균 + 2SD에 해당)을 기준값으로 하여 설정하고, 기준값을 넘는 값을 높은 값, 기준값 이하인 값을 낮은 값으로 구별하였다.
다음으로, 간장해의 증후에 관련된다고 인정받은 바이오 마커에 대하여 객관적인 평가 척도를 구하기 위하여, 간장해 치료약을 사용한 적 없는 환자 유래의 혈청 시료를 대상으로 하여, 각 바이오 마커의 간장해 증후의 유무를 식별하는 컷오프 값을 산출하였다. 컷오프 값의 산출에는 다양한 수법이 있으나, 간장해 증후의 유무에 대한 ROC 해석에 기초하여 감도와 특이도의 합이 최대가 되는 값으로 하였다.
5. 결과
혈청 샘플을 얻은 환자의 배경정보를 표 3에 나타내었다.
간장해 환자
평가 검체수 304
성별
126(41.4)
178(58.6)
연령(나이) 평균값(표준편차)
< 65
≥65
61.0(15.2)
160(52.6)
144(47.4)
BMI(kg/m2) 평균값(표준편차)
< 25
≥25
산출불능
23.6(3.9)
198(65.1)
95(31.3)
11(3.6)
음주

불명
247(81.3)
50(16.4)
7(23)
간장해 치료약
단계(이전으로부터)
복용하고 있는 약제



항바이러스제(인터페론) 24(7.9)
간비호제(글리시리진 제제 등) 44(14.5)
담즙산 제제(우르소데옥시콜산) 166(54.6)
아미노산 제제 또는 저알부민 혈장 개선제 69(22.7)
담즙산 흡착제 5(1.6)
Vit K 제제 51(16.8)
유베라 N/EPL 35(11.5)
한방약(인진호탕 등) 3(1.0)
그 외 3(1.0)
그 외 병용약
단계(이전으로부터)
복용하고 있는 약제


고지혈증 치료약(스타틴) 21(6.9)
고지혈증 치료약(에제티미브) 10(3.3)
고지혈층 치료약(피브레이트계) 3(1.0)
고지혈증 치료약
(토코페롤니코틴산에스테르/EPL)
31(10.2)
강압약 109(35.9)
당뇨병 치료제 33(10.9)
합병증



지질이상증 57(18.8)
당뇨병 61(20.1)
폐색성 황달 12(3.9)
담석 58(19.1)
그 외 36(11.8)
생화학 파라미터







ALT(U/L) 중앙값(4분위범위) 56.0(30.5, 92.5)
AST(U/L) 중앙값(4분위범위) 55.0(37.5, 99.5)
ALP(U/L) 중앙값(4분위범위) 290.0(231.0, 420.5)
γ-GTP(U/L) 중앙값(4분위범위) 67.0(32.0, 156.0)
T.BIL(mg/dl) 중앙값(4분위범위) 1.1(0.7, 1.7)
D.BIL(mg/dl) 중앙값(4분위범위) 0.1(0.1, 0.3)
TBA(μmol/L) 중앙값(4분위범위) 18.0(7.7, 42.3)
ALB(g/dl) 중앙값(4분위범위) 3.7(3.2, 4.1)
PT(%) 중앙값(4분위범위) 84.0(73.0, 96.0)
담즙산분획 농도






















LCA(nmol/mL) 중앙값(4분위범위) 0.0324(0.0154, 0.0747)
12_KLCA(nmol/mL) 중앙값(4분위범위) 0.0393(0.0199,
0.0832)
UDCA(nmol/mL) 중앙값(4분위범위) 0.6915(0.0721, 4.9150)
HDCA(nmol/mL) 중앙값(4분위범위) 0.0000(0.0000, 0.0055)
CDCA(nmol/mL) 중앙값(4분위범위) 0.4340(0.1070, 1.1700)
DCA(nmol/mL) 중앙값(4분위범위) 0.2090(0.0220, 0.7135)
αMCA(nmol/mL) 중앙값(4분위범위) 0.0000(0.0000, 0.0030)
βMCA(nmol/mL) 중앙값(4분위범위) 0.0000(0.0000, 0.0040)
CA(nmol/mL) 중앙값(4분위범위) 0.1020(0.0404, 0.3495)
GLCA(nmol/mL) 중앙값(4분위범위) 0.0224(0.0105, 0.0719)
GUDCA(nmol/mL) 중앙값(4분위범위) 2.9600(0.2165, 12.2000)
GHDCA(nmol/mL) 중앙값(4분위범위) 0.0000(0.0000, 0.0022)
GCDCA(nmol/mL) 중앙값(4분위범위) 3.7000(1.6100, 8.6450)
GDCA(nmol/mL) 중앙값(4분위범위) 0.4890(0.0366, 1.2650)
GHCA(nmol/mL) 중앙값(4분위범위) 0.0442(0.0213, 0.1125)
GCA(nmol/mL) 중앙값(4분위범위) 0.9725(0.4075, 3.0050)
TLCA(nmol/mL) 중앙값(4분위범위) 0.0092(0.0021, 0.0311)
TUDCA(nmol/mL) 중앙값(4분위범위) 0.1520(0.0165, 1.0800)
THDCA(nmol/mL) 중앙값(4분위범위) 0.0000(0.0000, 0.0001)
TCDCA(nmol/mL) 중앙값(4분위범위) 0.7400(0.2945, 2.9950)
TDCA(nmol/mL) 중앙값(4분위범위) 0.0867(0.0205, 0.2635)
TβMCA(nmol/mL) 중앙값(4분위범위) 0.0013(0.0000, 0.0482)
THCA(nmol/mL) 중앙값(4분위범위) 0.0076(0.0012, 0.0254)
TCA(nmol/mL) 중앙값(4분위범위) 0.2465(0.0648, 1.0300)
SSBA(nmol/mL) 중앙값(4분위범위) 15.80(8.78, 28.46)
산화스트레스 마커
8-OHdG(ng/mL) 중앙값(4분위범위) 0.16(0.12, 0.22)
ROS(U) 중앙값(4분위범위) 219.5(182.5, 258.0)
간섬유화 마커
IV형 콜라겐(ng/mL) 중앙값(4분위범위) 186.5(136.0, 258.0)
HA(ng/mL) 중앙값(4분위범위) 136.0(51.5, 388.0)
수치는 사람 수(%) 혹은 중앙값(4분위범위)를 표기하였다.
형태 식별된 간장해의 증후를 규정하는 바이오 마커에 대하여, 공변량 조정에 따른 다변량 해석을 수행한 결과를 표 4 및 표 5에 나타내었다.
간세포장해형 담즙울체형
평가
검체
간장해
검체수
(%)
오즈비
(95%
신뢰구간)
p 값 간장해
검체수
(%)
오즈비
(95%
신뢰구간)
p값
담즙산
분획
농도


LCA ≤97.5pct
>97.5pct
144
160
90(62.5)
125(78.1)
1.00
2.06(1.16, 3.66)
-
0.014
70(48.6)
32(20.0)
1.00
0.29(0.16, 0.53)
-
<0.0001
UDCA ≤97.5pct
>97.5pct
148
156
109(73.6)
106(67.9)
1.00
0.31(0.12, 0.77)
-
0.0112
47(31.8)
55(35.3)
1.00
1.69(0.71, 4.01)
-
0.235
CDCA ≤97.5pct
>97.5pct
268
36
194(72.4)
21(58.3)
1.00
0.50(0.22, 1.13)
-
0.0950
85(31.7)
17(47.2)
1.00
1.98(0.88, 4.48)
-
0.0991
DCA ≤97.5pct
>97.5pct
232
72
160(69.0)
55(76.4)
1.00
1.48(0.74, 2.94)
-
0.267
93(40.1)
9(12.5)
1.00
0.26(0.11, 0.58)
-
0.001
CA ≤97.5pct
>97.5pct
261
43
187(71.6)
28(65.1)
1.00
0.75(0.34, 1.65)
-
0.470
85(32.6)
17(39.5)
1.00
1.36(0.63, 2.93)
-
0.427
SSBA ≤97.5pct
>97.5pct
201
103
137(68.2)
78(75.7)
1.00
1.02(0.49, 2.09)
-
0.967
50(24.9)
52(50.5)
1.00
5.05(2.45, 10.41)
-
<0.0001
산화
스트레스
마커
8-OHdG ≤97.5pct
>97.5pct
292
12
210(71.9)
5(41.7)
1.00
0.26(0.07, 0.96)
-
0.0434
96(32.9)
6(50.0)
1.00
1.40(0.35, 5.57)
-
0.637
ROS ≤97.5pct
>97.5pct
157
147
111(70.7)
104(70.7)
1.00
0.84(0.47, 1.52)
-
0.570
36(22.9)
66(44.9)
1.00
2.68(1.49, 4.80)
-
0.001
간섬유화
마커
IV형
콜라겐
≤150
>150
80
162
47(58.8)
128(79.0)
1.00
2.19(1.05, 4.56)
-
0.036
20(25.0)
62(38.3)
1.00
3.54(1.62, 7.74)
-
0.0015
HA ≤50
>50
58
182
38(65.5)
130(71.4)
1.00
1.20(0.57, 2.56)
-
0.629
13(22.4)
70(38.5)
1.00
3.66(1.58, 8.47)
-
0.0024
조정인자: 성, 연령, BMI, 음주, 간장해 치료약(항바이러스제, 간비호제, 담즙산 제제, 아미노산 제제·저알부민 혈장개선제, Vit K 제제), 합병증(지질이상증, 당뇨병, 폐색성 황달, 담석)
간세포장해형 담즙울체형
평가
검체
간장해
검체수
(%)
오즈비
(95%
신뢰구간)
p 값 간장해
검체수
(%)
오즈비
(95%
신뢰구간)
p값
담즙산
분획
농도




12_LLCA ≤97.5pct
>97.5pct
235
69
165(70.2)
50(72.5)
1.00
0.88(0.45, 1.71)
-
0.700
77(32.8)
25(36.2)
1.00
1.03(0.53, 1.98)
-
0.939
GLCA ≤97.5pct
>97.5pct
182
122
113(62.1)
102(83.6)
1.00
2.17(1.13, 4.15)
-
0.0195
74(40.7)
28(23.0)
1.00
0.56(0.30, 1.04)
-
0.0655
GUDCA ≤97.5pct
>97.5pct
140
164
104(74.3)
111(67.7)
1.00
0.16(0.05, 0.47)
-
0.0009
45(32.1)
57(34.8)
1.00
2.08(0.78, 5.55)
-
0.143
GCDCA ≤97.5pct
>97.5pct
168
136
114(67.9)
101(74.3)
1.00
1.29(0.69, 2.42)
-
0.430
36(21.4)
66(48.5)
1.00
4.25(2.23, 8.10)
-
<0.0001
GDCA ≤97.5pct
>97.5pct
255
49
169(66.3)
46(93.9)
1.00
7.34(2.11, 25.53)
-
0.0017
94(36.9)
8(16.3)
1.00
0.35(0.15, 0.84)
-
0.0182
GCA ≤97.5pct
>97.5pct
220
84
154(70.0)
61(72.6)
1.00
1.08(0.54, 2.16)
-
0.824
50(22.7)
52(61.9)
1.00
6.11(3.06, 12.23)
-
<0.0001
TLCA ≤97.5pct
>97.5pct
209
95
132(63.2)
83(87.4)
1.00
4.68(2.01, 10.88)
-
0.003
68(32.5)
34(35.8)
1.00
1.15(0.59, 2.24)
-
0.678
TUDCA ≤97.5pct
>97.5pct
152
152
105(69.1)
110(72.4)
1.00
0.56(0.22, 1.42)
-
0.221
46(30.3)
56(36.8)
1.00
3.20(1.18, 8.64)
-
0.0221
TCDCA ≤97.5pct
>97.5pct
175
129
113(64.6)
102(79.1)
1.00
2.31(1.17, 4.54)
-
0.0152
41(23.4)
61(47.3)
1.00
3.32(1.76, 6.29)
-
0.0002
TDCA ≤97.5pct
>97.5pct
256
48
172(67.2)
43(89.6)
1.00
3.60(1.31, 9.89)
-
0.0131
88(34.4)
14(29.2)
1.00
0.85(0.39, 1.83)
-
0.675
TCA ≤97.5pct
>97.5pct
222
82
154(69.4)
61(74.4)
1.00
1.17(0.57, 2.40)
-
0.670
52(23.4)
50(61.0)
1.00
7.54(3.65, 15.60)
-
<0.001
조정인자: 성, 연령, BMI, 음주, 간장해 치료약(항바이러스제, 간비호제, 담즙산 제제, 아미노산 제제·저알부민 혈장개선제, Vit K 제제), 합병증(지질이상증, 당뇨병, 폐색성 황달, 담석)
간세포장해형에서 유의하게 관련이 있는 것으로 인정된 인자는 LCA(OR=2.06, P=0.0140), UDCA(OR=0.31, P=0.0112) 및 IV형 콜라겐(OR=2.19, P=0.0357)이다. LCA 및 IV형 콜라겐의 농도는 높은 경향을 나타내고, UDCA의 농도는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표 4). UDCA와 이성체의 관계에 있는 CDCA(OR=0.50, P=0.0950)이나 동일하게 1차 담즙산인 CA(OR=0.75, P=0.4702)의 농도는 관련성은 약하나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도 3). 담즙산의 타우린 포합체 및 글리신 포합체를 고려하면, TCDCA(OR=2.31, P=0.0152), GDCA(OR=7.34, P=0.0017), TDCA(OR=3.60, P=0.0131), GLCA(OR=2.17, P=0.0195) 및 TLCA(OR=4.68, P=0.003)의 농도가 유의하게 높고, GUDCA(OR=0.16, P=0.009)는 유의하게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한편, 담즙울체형에서 유의하게 관련이 있는 것으로 인정된 인자는 LCA(OR=0.29, P<0.0001), DCA(OR=0.26, P=0.0010), SSBA(OR=5.05, P<0.0001), IV형 콜라겐(OR=3.54, P=0.0015), HA(OR=3.66, P=0.0024), 및 ROS(OR=2.68, P=0.0010)이다. LCA 및 DCA의 농도는 낮은 경향을 나타내고, 이들 이외의 인자의 농도는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표 4). 한편, 관련은 약하나 CDCA(OR=1.98, P=0.0991), UDCA(OR=1.69, P=0.2353) 및 CA(OR=1.36, P=0.4269)의 농도는 높은 경향이 인정되어, 간세포장해형과 대조적인 결과가 얻어졌다(도 4). 담즙산의 타우린 포합체 및 글리신 포합체를 고려하면, GCDCA(OR=4.25, P<0.0001), TCDCA(OR=3.32, P=0.0002), GCA(OR=6.11, P<0.0001), TCA(OR=7.54, P<0.0001), 및 TUDCA(OR=3.20, P=0.0221)의 농도는 유의하게 높고, GDCA(OR=0.35, P=0.0182)는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IV형 콜라겐은 간섬유화의 지표이나, 담즙울체형에서도 간세포장해형과 동일하게 농도가 높은 경향이 인정되었다.
간장해의 증후에 관련된다고 인정된 바이오 마커에 대하여, 간장해 치료약을 사용하지 않은 환자 유래의 혈청 시료를 대상으로 하여, 간장해의 형태의 판정 기준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컷오프 값을 산출한 결과를 표 2-a 및 표 2-b에 나타내었다. 표 2-a는 간세포장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바이오 마커의 컷오프 값이다. 표 2-b는 담즙울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바이오 마커의 컷오프 값이다.
상기 다변량 해석의 결과를 간세포장해형과 담즙울체형 사이에서 비교하면, LCA가 전자는 증가, 후자는 저하라는 대조적인 결과가 얻어진다. 이 결과로부터 LCA가 간장해 증후의 판별에 유용한 마커가 된다는 것이 시사되었다. 간세포장해형에서는 2차 담즙산인 LCA가 높은 값을 나타내고, 이 대사항진에 따라 LCA의 친화합물인 CDCA의 이성체의 UDCA가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담즙울체에서는 울체에 의해 1차 담즙산의 CDCA나 CA가 관련은 약하지만 상승 경향이 있고, 이에 따라 담즙산의 장관으로의 배출이 억제되어 DCA나 LCA의 농도가 저하되었다고 생각할 수 있다. 또한, 간세포장해형에서는 TCDCA, GDCA, TDCA, GLCA 및 TLCA가 유의하게 상승하고, GUDCA는 유의하게 저하하였다. 이는 LCA의 유의한 상승이나 유의차는 없지만, 상승 경향이 인정된 DCA의 변화에 따라 이 포합체의 생성도 항진하였다고 생각할 수 있다. GUDCA는 UDCA의 저하와 함께 감소 경향에 있었지만, CDCA의 타우린 포합체인 TCDCA는 상승 경향에 있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간세포장해형에서는 1차 답즌산으로부터 지용성이 높은 2차 담즙산으로의 대사가 항진하는 것이 시사되었다. 담즙울체형에서는 GCDCA, TCDCA, GCA, TCA 및 TUDCA에서 유의한 상승이 인정되고, GDCA는 저하하였다. 이로부터 담즙울체에 의해 CDCA 및 CA의 양 포합 반응이 항진되었다고 생각할 수 있다. SSBA는 담도성 질환에서 상승이 보고되어 있고(비특허문헌 12), 본 시험에서도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간세포장해형에서는 유의한 변동은 보이지 않았다.
측정된 간섬유화 마커는 간세포장해형 및 담즙울체형에서 함께 유의한 상승이 인정되었다. 측정된 산화 스트레스 마커 중 8-OHdG는 간세포장해형에서 유의한 저하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건강한 사람들의 집단에 비하여 그 값에 큰 변화가 없고, 컷오프 값을 초과한 환자 집단의 사례수가 적기 때문에, 간세포장해형과의 관련에 대하여 명확한 판단은 할 수 없었다. 또한, 활성산소인 ROS가 담즙울체형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간세포장해형에서는 유의한 변화는 인지되지 않았다.
종래로부터 간질환의 검사에 사용되고 있는 생화학 파라미터는 이번에 측정된 바이오 마커와의 상관관계는 낮고, 이들 생화학 파라미터 만으로 간장해 증후의 판별을 적확하게 수행하는 것은 곤란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LCA의 농도는 간세포장해형 및 담즙울체형 각각에 특유한 한편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는 것으로부터, 간장해 증후별 형태를 판별하는 마커로서 유용하다는 것이 시사되었다. 또한, 1차 담즙이나 SSBA에 대해서도 LCA의 농도에 따른 간장해 증후별 형태의 판별을 보완할 수 있는 마커로서 간세포장해형, 담즙울체형 혼합형 및 이들의 혼합형의 판정에 유효하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간장해 형태를 판별하는 검사방법을 제공하고, 본 발명에 의해 임상 증후에 따른 간장해 형태, 구체적으로는 간세포장해형, 담즙울체형 및 이들의 혼합형의 조기진단 및 치료방침의 조기 결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간질환의 검사 분야에서 매우 유용하다.

Claims (16)

  1. 피험자로부터 채취된 생물학적 시료 중의 리토콜산(이하, LCA라 칭함) 농도를 측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LCA 농도를 지표로 하는 간장해 형태를 판별하는 검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측정된 LCA 농도를 미리 설정된 LCA 농도의 컷오프 값과 비교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측정된 LCA 농도가 미리 설정된 간세포장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LCA 농도의 컷오프 값 이상인 경우, 간장해의 형태는 간세포장해형인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측정된 LCA 농도가 미리 설정된 담즙울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LCA 농도의 컷오프 값 이하인 경우, 간장해의 형태는 담즙울체형인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측정된 LCA 농도가 미리 설정된 간세포장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LCA 농도의 컷오프 값을 초과하는 한편 미리 설정된 담즙울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컷오프 값 미만인 경우, 간장해의 형태는 간세포장해형과 담즙울체형의 혼합형인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우르소데옥시콜산(이하, UDCA라 약칭함) 및 IV형 콜라겐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 모두의 농도를 측정하고, LCA 농도에 더하여 UDCA 및 IV형 콜라겐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 모두의 농도를 지표로 하는 것을 포함하고,
    측정된 LCA 농도가 미리 설정된 간세포장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LCA 농도의 컷오프 값 이상인 한편 측정된 UDCA 및/또는 IV형 콜라겐의 농도가 하기 어느 하나일 때:
    (1) UDCA 농도가 미리 설정된 UDCA 농도의 컷오프 값 이하인 것,
    (2) IV형 콜라겐 농도가 미리 설정된 간세포장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IV형 콜라겐 농도의 컷오프 값 이상인 것,
    (3) UDCA 농도가 미리 설정된 간세포장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UDCA 농도의 컷오프 값 이하인 한편 IV형 콜라겐 농도가 미리 설정된 간세포장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IV형 콜라겐 농도의 컷오프 값 이상인 것
    간장해의 형태는 간세포장해형인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데옥시콜산(이하, DCA라 약칭함), 혈청 황산 포합형 담즙산(serum sulfated bile acids; 이하, SSBA라 약칭함), IV형 콜라겐, 히알루론산(이하, HA라 약칭함), 및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이하, ROS라 약칭함)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농도를 측정하고, LCA 농도에 더하여 DCA, SSBA, IV형 콜라겐, HA 및 ROS의 농도를 지표로 하는 것을 포함하고,
    측정된 LCA 농도가 미리 설정된 담즙울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LCA 농도의 컷오프 값 이하인 한편 측정된 DCA, SSBA, IV형 콜라겐, HA 및 ROS의 농도가 하기 어느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일 때:
    (4) DCA 농도가 미리 설정된 담즙울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DCA 농도의 컷오프 값 이하인 것,
    (5) SSBA 농도가 미리 설정된 담즙울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SSBA 농도의 컷오프 값 이상인 것,
    (6) IV형 콜라겐 농도가 미리 설정된 담즙울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IV형 콜라겐 농도의 컷오프 값 이상인 것,
    (7) HA 농도가 미리 설정된 담즙울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HA 농도의 컷오프 값 이상인 것,
    (8) ROS 농도가 미리 설정된 담즙울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ROS 농도의 컷오프 값 이상인 것
    간장해의 형태는 담즙울체형인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IV형 콜라겐의 농도를 측정하고, LCA 농도에 더하여 IV형 콜라겐 농도를 지표로 하는 것을 포함하고,
    측정된 LCA 농도가 미리 설정된 간세포장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LCA 농도의 컷오프 값을 초과하는 한편 미리 설정된 담즙울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컷오프 값 미만이며, 또한 측정된 IV형 콜라겐의 농도가 미리 설정된 담즙울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IV형 콜라겐의 컷오프 값 이상일 때, 간장해의 형태는 간세포장해형과 담즙울체형의 혼합형인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LCA 농도의 컷오프 값이 LCA 농도의 수신자 동작성 곡선(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이하, ROC 곡선이라 칭함)으로부터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방법.
  10. 제3항, 제5항, 제6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간세포장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LCA 농도의 컷오프 값이 미리 정한 간세포장해형의 간장해에 관한 LCA 농도의 ROC 곡선으로부터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방법.
  11. 제4항, 제5항, 제6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담즙울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LCA 농도의 컷오프 값이 미리 정한 담즙울체형의 간장해에 관한 LCA 농도의 ROC 곡선으로부터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방법.
  12. 제6항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간세포장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LCA 농도의 컷오프 값, 미리 설정된 간세포장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UDCA 농도의 컷오프 값, 및 미리 설정된 간세포장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IV형 콜라겐 농도의 컷오프 값이 각각 미리 정한 간세포장해형의 간장해에 관한 LCA 농도의 ROC 곡선으로부터 산출되는 것, 미리 정한 간세포장해형의 간장해에 관한 UDCA 농도의 ROC 곡선으로부터 산출되는 것 및 미리 정한 간세포장해형의 간장해의 간질환에 관한 IV형 콜라겐 농도의 ROC 곡선으로부터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방법.
  13. 제7항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담즙울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LCA 농도의 컷오프 값, 미리 설정된 담즙울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DCA 농도의 컷오프 값, 미리 설정된 담즙울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SSBA 농도의 컷오프 값, 미리 설정된 담즙울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IV형 콜라겐 농도의 컷오프 값, 미리 설정된 담즙울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HA 농도의 컷오프 값 및 미리 설정된 담즙울체형의 간장해를 식별하는 ROS 농도의 컷오프 값이 각각 미리 정한 담즙울체형의 간장해에 관한 LCA 농도의 ROC 곡선으로부터 산출되는 것, 미리 정한 담즙울체형의 간장해에 관한 DCA 농도의 ROC 곡선으로부터 산출되는 것, 미리 정한 담즙울체형의 간장해에 관한 SSBA 농도의 ROC 곡선으로부터 산출되는 것, 미리 정한 담즙울체형의 간장해에 관한 IV형 콜라겐 농도의 ROC 곡선으로부터 산출되는 것, 미리 정한 담즙울체형의 간장해에 관한 ROS 농도의 ROC 곡선으로부터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방법.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물학적 시료가 혈액 시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방법.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물학적 시료가 혈청 시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방법.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검사방법에 의해 간장해의 형태가 판정된 피험자에 대하여, 그 간장해의 형태에 따른 간장해 치료제를 선택하는 방법.
KR1020167005833A 2013-08-05 2014-08-04 간장해 형태의 검사방법 KR1019130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62429 2013-08-05
JP2013162429 2013-08-05
PCT/JP2014/070426 WO2015019976A1 (ja) 2013-08-05 2014-08-04 肝障害のタイプの検査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0679A true KR20160040679A (ko) 2016-04-14
KR101913016B1 KR101913016B1 (ko) 2018-10-29

Family

ID=52461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5833A KR101913016B1 (ko) 2013-08-05 2014-08-04 간장해 형태의 검사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073077B2 (ko)
EP (1) EP3032256B1 (ko)
JP (1) JP6353837B2 (ko)
KR (1) KR101913016B1 (ko)
CN (1) CN105452862B (ko)
ES (1) ES2705351T3 (ko)
WO (1) WO20150199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65218A4 (en) * 2016-05-29 2020-06-17 Human Metabolomics Institute, Inc. BIOMARKERS RELATED TO HEPATIC DISEASES AND METHODS OF USE
CN111212655A (zh) * 2017-08-14 2020-05-29 赛里斯治疗公司 用于治疗胆汁淤积性疾病的组合物和方法
CN109060977A (zh) * 2018-07-13 2018-12-21 深圳市绘云生物科技有限公司 用于肝纤维化和肝硬化诊断的生物标志物和试剂盒及使用方法
CN110220987B (zh) * 2019-06-11 2021-09-28 上海市内分泌代谢病研究所 胆汁酸联合标志物在制备用于预测或诊断糖尿病的检测试剂或检测物的用途
JP7170368B2 (ja) * 2020-07-28 2022-11-14 株式会社シンクメディカル 疾患リスク評価方法、疾患リスク評価装置、及び疾患リスク評価プログラム
CN113504324B (zh) * 2021-07-06 2023-07-04 复旦大学附属儿科医院 胆汁淤积症预后生物标记物检测试剂盒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26744A (en) * 1980-03-10 1981-10-05 Sankyo Co Ltd Fluorometric method for analysis of bile acid
EP0534316A1 (de) 1991-09-21 1993-03-31 Hoechst Aktiengesellschaft Verwendung von alkylierten Polyethyleniminderivaten zur Anreicherung von Gallensäuren
JPH11171898A (ja) * 1997-10-03 1999-06-29 Tosoh Corp Iv型コラーゲン高分子画分、その製法、その測定法及び肝疾患の判定方法
US6060255A (en) 1997-10-03 2000-05-09 Tosoh Corporation Type IV collagen high molecular form and production and diagnostic use thereof
DE69920048T2 (de) * 1999-01-12 2005-09-22 Ebara Corp. Verfahren und biosensor zum nachweis von antigenen
WO2003016910A1 (en) * 2001-08-20 2003-02-27 Biosite, Inc. Diagnostic markers of stroke and cerebral injury and methods of use thereof
ES2499415T3 (es) * 2009-06-02 2014-09-29 Biocrates Life Sciences Ag Nuevos biomarcadores para la evaluación de enfermedades renales
AU2010294193B2 (en) 2009-09-11 2014-09-25 Th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Methods for assessing liver pathologies
JP2012002610A (ja) 2010-06-16 2012-01-05 National Institute Of Biomedical Innovation 肝障害検査用バイオマーカー及びそれを用いた肝障害の予測方法
CN104198420B (zh) * 2014-08-14 2016-09-14 上海睿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稳定的总胆汁酸检测试剂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32256B1 (en) 2018-11-21
JP6353837B2 (ja) 2018-07-04
CN105452862A (zh) 2016-03-30
ES2705351T3 (es) 2019-03-22
EP3032256A4 (en) 2017-03-22
US20160169862A1 (en) 2016-06-16
CN105452862B (zh) 2018-10-09
EP3032256A1 (en) 2016-06-15
US10073077B2 (en) 2018-09-11
WO2015019976A1 (ja) 2015-02-12
KR101913016B1 (ko) 2018-10-29
JPWO2015019976A1 (ja) 2017-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3016B1 (ko) 간장해 형태의 검사방법
CN115236166A (zh) 肝病相关生物标志物和其使用方法
Murri et al. Proteomic analysis of visceral adipose tissue in pre-obese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Tentolouris et al. Plasma irisin levels in subjects with type 1 diabetes: comparison with healthy controls
Falkowski et al. Insulin resistance is associated with impaired olfactory function in adult patients with type 1 diabetes: A cross‐sectional study
Liu et al. Relationship between Decreased Serum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and Metabolic Syndrome: Synergistic Mediating Role of Insulin Resistance and β‐Cell Dysfunction
Steiner et al. Decrease of serum S100B during an oral glucose tolerance test correlates inversely with the insulin response
EP2901161B1 (en) Method for diagnosing acute alcoholic hepatitis
Maeba et al. Serum ethanolamine plasmalogens improve detection of cognitive impairment among elderly with high excretion levels of urinary myo-inositol: a cross-sectional study
IL262141A (en) Method for diagnosing cystic fibrosis
Huang et al. Reference intervals for serum creatinine levels in the healthy geriatric population
WO2013176741A1 (en) Cardiovascular disease risk assessment and treatment by sterol and/or stanol markers
Kachhawa et al. Assessment of thyroid dysfunction, dyslipidemia and oxidative stress in hypertensive end stage chronic renal disease patients in a teaching hospital in Western Uttar Pradesh
Arif et al. Study some biochemical parameters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with and without Type 2 diabetes
US9541543B2 (en) Method for diagnosing acute alcoholic hepatitis
Andonov OXIDATIVE STRESS BIOMARKERS IN CHRONIC LIVER DISEASES, ASSOCIATED WITH INSULIN RESISTANCE
JP2019066239A (ja) 難治性夜間頻尿・夜間多尿症バイオマーカー、これを用いた検査方法及び難治性夜間頻尿・夜間多尿症の予防剤又は改善剤のスクリーニング方法
Haerty Liver enzymes and function in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literature review
KR102266963B1 (ko) 렙틴 및 카로티노이드 관련 대사체, 및 피하지방면적을 이용한 식이 제한 후 비만의 대사적 상태를 예측하는 방법
Wang et al. What is the Impact of Sex on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in Patien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s in China: A Cross-sectional Study
Li Urinary Bile Acid Indices as Prognostic Biomarkers for the Complications of Liver Diseases
Hasnawi et al. Exploring Role of Some Physiologic Biomarkers and Serum Parameters in Early Detection and Progression of Asthma in the Iraqi Population.
Dangi et al. MAXIMIZING TREATMENT SUCCESS IN HEPATIC ENCEPHALOPATHY: A COMPREHENSIVE FRAMEWORK FOR ENHANCED OUTCOMES
Afjeh et al. Potential Impact of Exercise-Associated Amenorrhea and Subsequent Estrogen Therapy on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in Pre-Menopausal Athletes: A Research Protocol
Ki-Chul Sung et al. Combined Influence of Insulin Resistance, Overweight/Obesity, and Fatty Liver as Risk Factors for Type 2 Diabe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