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0347A - 스클라레올(sclareol)을 포함하는 세포 배양 및 증식 촉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스클라레올(sclareol)을 포함하는 세포 배양 및 증식 촉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0347A
KR20160040347A KR1020140133084A KR20140133084A KR20160040347A KR 20160040347 A KR20160040347 A KR 20160040347A KR 1020140133084 A KR1020140133084 A KR 1020140133084A KR 20140133084 A KR20140133084 A KR 20140133084A KR 20160040347 A KR20160040347 A KR 201600403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cell
sclareol
ski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3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5811B1 (ko
Inventor
이승준
정은선
박덕훈
Original Assignee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3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5811B1/ko
Publication of KR20160040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0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5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5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25Epidermal cells, skin cells; Cells of the oral mucosa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52Cells of skeletal and connective tissues; Mesenchyme
    • C12N5/0662Stem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97Artificial constructs associating cells of different lineages, e.g. tissue equivalents
    • C12N5/0698Skin equival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ell 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mmunology (AREA)
  • Vir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 생리활성물질인 스클라레올(sclareol)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세포 증식 촉진, 동물성 혈청을 대신한 세포 배양용 조성물, 및 피부 주름의 개선, 피부노화 억제, 피부탄력의 개선, 상처 재생 또는 피부 재생을 위한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의 용도를 가진다.

Description

스클라레올(sclareol)을 포함하는 세포 배양 및 증식 촉진용 조성물{Compositions for culuring and Promoting Cell Proliferation Comprising Sclareol}
본 발명은 스클라레올(sclareol)을 포함하는 세포 배양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세포 배양 배지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클라레올을 포함하는 세포 증식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클라레올 또는 상기 세포 배양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배양된 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생물의약품의 여러 생산기술 가운데 하나인 동물세포 산업화 기술은 유전자가 조작된 인간 및 동물세포를 대량으로 배양하여 고부가가치의 생물의약품을 생산하는 기술로 각광받고 있으며, 최근 유전자 치료(gene therapy) 및 세포 치료(cell therapy) 기법의 개발로 인해 산업화 기술로서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동물세포 유래 의약품 생산 공정 개발은 생산 제품의 안전성 확보와 세포 생산성에 의한 높은 생산비의 절감 등에 역점을 두고 있다.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동물세포 배양법은 성장을 위하여 반드시 세포배양배지에 혈청을 공급해 주어야 하며 가장 널리 사용되는 혈청으로 Fetal Bovine Serum (FBS) 나 Fetal Calf Serum (FCS)이 있다. 이들 첨가 성분의 기능은 명확하진 않지만 성장 증진 작용, 영양분의 공급, 산화나 독소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 성분이 배제된 경우에는 세포배양 자체가 거의 안 되는 필수 성분이다. 그러나 고가의 혈청은 배지가격을 상승시키고 또한 그 복잡한 성분으로 인해 재조합 단백질의 정제를 어렵게 할 뿐 아니라, 생산되는 과정마다 성분 차이가 있어서 실험을 할 때마다 다른 결과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또한, 혈청은 동물 유래이기 때문에 배양과정 중에 세포들이 바이러스나 감염성 프리온 등에 오염될 가능성이 상존한다. 소혈청에 감염된 프리온은 사람에게 그대로 전이될 수 있으므로 동물세포 배양은 여러 가지 안전장치를 하고 있음에도 여전히 감염가능성은 존재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통상 혈청 사용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수반한다: i) 혈청의 조성 변이 때문에 세포에 대한 성장촉진 능력에 있어서 변이가 크다; ii) 인간에게 사용될 세포 생산물의 제조 시, 혈청이 감염물질에 의한 오염 잠재성을 가지고 있다; iii) 상업적으로 제조된 FBS나 FCS에서 박테리오파아지(bacteriophage)와 보바인 바이러스(bovine virus)가 검출된다; iv) 박테리아 오염 때문에 생긴 각종 독소(toxin)로 인해 세포배양 억제 물질도 함유된다; v) 여과(filteration) 전에는 오염으로 인한 세균성 독소(bacterial toxin)가 존재한다; vi) 세포배양에 있어 생물학적 오염원(mycoplasmas, bacteriophages, viruses)이 되기도 한다; vii) 감마-글로불린 분획에 배양액과 교차반응(cross reaction)하는 항체 및 세균이 분비한 독소를 함유한다; viii) 열 불활성화(heat inactivation)는 면역글로불린의 세포독성(cytotoxin) 작용을 감소시키지만 불안정한 구성물질까지 파괴되어 열처리하지 않은 혈청보다 만족한 결과가 항상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ix) 혈청 단백질의 흡착/결합에 의한 세포표면의 변형이 유도된다; x) 세포생산물의 분리 시 방해의 원인이 된다; xi) 1차 배양시에 섬유아세포의 과도한 성장이 조장된다.
1950년대에 합성배지로 자연배지를 부분적으로 대체할 수 있다고 보고된 이후로 혈청없이 세포배양을 하려는 시도를 하게 되었고, 현재는 특정목적을 위하여 일부의 경우에 혈청없이 세포배양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무혈청배지는 특정세포만 잘 자라게 하고 혈청 대신에 사용하는 단백질성 세포성장인자 등이 너무 고가인데다 혈청을 포함한 배지에서보다 성장 및 산물생산이 안정적이지 못하다고 보고되고 있다. 또한 무혈청배지는 줄기세포의 배양에는 적용이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줄기세포를 상업적으로 이용한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분야가 세포치료제로써 인체에서 얻어진 줄기세포를 시험관에서 배양한 후 다시 환자에게 투입하는 방식의 치료기술이다. 이러한 분야에서는 반드시 줄기세포 배양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가능한한 동물성배지나 혈청을 피하는 것이 중요하다. 질병 치료 목적으로 줄기세포를 이식하는 경우 얻는 치료 이득을 고려할 때 이에 따르는 감염 위험은 감수될 수 있으나, 미용목적의 시술인 경우에는 줄기세포 등의 이식으로 얻어지는 이득보다 감염위험에 노출되는 위험이 더 크게 부각될 수 있다. 따라서 줄기세포 배양분야에서 동물성 혈청대체제를 찾는 일은 상업적으로 매우 의미있다.
한편, 피부에서 줄기세포가 자리하고 있는 곳은 크게 두 세 곳이다. 첫째는 모낭과 모낭 사이의 표피(interfollicular epidermis)라고 불리우는 표피의 기저층(the basal cell layer of epidermis)에 존재한다. 둘째는 모낭(hair follicle)이다. 이곳은 세포분화가 일어나기 전의 세포로 표피의 재생과 관련해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세포가 존재한다. 셋째는 피하지방층에 존재하는 지방유래 줄기세포이다. 이처럼 피부에 존재하는 줄기세포는 피부의 건강과 직결된 전체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어 피부건강과 관련하여 가장 중요한 세포군이라 할 수 있다. 줄기세포들은 살아있는 동안 끊임없는 세포분열을 통해 증식과 여러 가지 세포 활성화물질을 분비하여 주위 세포들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유해한 환경에 따른 세포들의 노화를 억제하고 문제가 있는 부위를 재생하거나 복구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줄기세포 역시 세포군이기 때문에 나이에 따라 점차 그 기능을 서서히 소실하게 된다. 즉 피부의 줄기세포도 노화에 따라 그 활성이 점차 감소하기 때문에 세포분열능력이 떨어지고 점차 비활성화됨으로써 노화에 따른 주름, 검버섯, 더딘 상처치유, 더딘 복구 등의 여러 문제들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피부에 존재하는 줄기세포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면 줄기세포의 노화를 막고 활성을 다시 복원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스클라레올(sclareol)을 포함하는 세포 배양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세포 배양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세포 배양용 배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스클라레올(sclareol)을 포함하는 세포 증식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스클라레올(sclareol) 또는 상기 세포 배양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배양된 세포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상태(skin conditions)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세포 배양용 조성물 또는 상기 세포 배양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세포 배양용 배지에 세포를 접촉시켜 세포를 배양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을 피부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범위에서 개체에 투여하여 개체의 피부 상태를 개선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스클라레올(sclareol)을 포함하는 세포 배양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세포 배양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세포 배양 배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스클라레올(sclareol)을 포함하는 세포 증식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스클라레올 또는 상기 세포 배양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배양된 세포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상태(skin conditions)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세포 배양용 조성물 또는 상기 세포 배양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배지에 세포를 접촉시켜 세포를 배양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을 피부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범위에서 개체에 투여하여 개체의 피부 상태를 개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동물성 혈청을 대신하여 무혈청 배지에서도 세포, 특히 줄기세포 및 동물세포가 배양되고, 증식을 촉진할 수 있는 물질을 식물성 소재로부터 찾기 위해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스클라레올(sclareol)이 동물성 혈청을 대체 가능할 정도로 세포를 배양시키고, 증식을 촉진할 수 있다는 것을 실험적으로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스클라레올(sclareol)은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는 디페르펜 알코올 화합물이다. 이의 IUPAC 명은 (1R, 2R, 8AS)-데카하이드로-1-(3-하이드록시-3-메틸-4-펜테닐)-2, 5, 5, 8A-테트라메틸-2-나프톨((1R, 2R,8AS)-decahydro-1-(3-hydroxy-3-methyl-4-pentenyl)-2, 5, 5, 8A,-tetramethyl-2-naphthol)이다.
Figure pat00001
상기 스클라레올은 자연원(natural source)으로서 꿀풀과에 속하는 꿀풀(Prunella Vulgaris), 깨꽃(Salvia splendens Ker), 클라리 세이지(Salvia Sclarea) 등의 전초, 줄기, 잎, 뿌리, 열매, 과피 등으로부터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수득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건조 및 마쇄한 식물을 탄화수소로 추출한 후 방향족 탄화수소, 방향족 및 지방족 할로겐화 탄화수소, 디알킬에테르, 디알킬레톤, 알칸올, 카복실산 및 이들의 에스테르 디메틸포름아미드와 디메틸 설폭사이드 등의 용매로 추출하고 추출물을 증발시켜 잔류물을 수득한 다음, 잔류물을 알칸올로 처리하고 현탄액을 여과하여 알칸올성 용액을 수득하거나 잔류물을 한쌍의 수불혼화성 용매(이중 하나만이 소기의 유효성분을 용해시킬 수 있음)에 분배시킨 다음, 알칸올성 용액이나 소기의 물질을 함유한 용액을 증발시켜 잔류물을 수득하고 이 잔류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한 후 소기의 물질이 함유된 크로마토그라피 획분을 증발시켜 잔류물을 수득한 후 이 잔류물을 재결정시킨다.
본 발명의 스클라레올은 상기한 추출 용매뿐만 아니라, 다른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추출물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추출 용매 외에 요구되는 구체적인 추출 조건(온도, 시간 등)은 상기 추출 용매의 성질에 따라 당업자가 자명하게 선택 및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클라레올을 수득하기 위한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 용매에 의한 추출물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컨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스클라레올은 상기한 방법 이외에도 화학적으로 합성하여 제조할 수도 있고, 상업적으로 제조된 상품(예를 들어, SIGMA 사의 Sclareol)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클라레올은 동물성 혈청을 대신하여 무혈청 배지에서도 세포를 배양할 수 있고, 세포의 증식을 촉진할 수 있는 물질을 찾기 위해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물이다. 하나의 구체적 예로서, 본 발명의 스클라레올은 줄기세포, 각질세포, 및 섬유아세포 등의 피부 내 세포의 증식 및 활성을 증가시키는 효능을 가지고 있음이 본 발명자들에 의하여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클라레올은 세포의 증식을 촉진하기 위한 조성물 및 동물성 혈청을 대신하여 세포의 배양을 위한 조성물로서 유효하게 사용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무혈청 배지"는 인간을 포함한 동물로부터 유래된 혈청을 일정 함량 이상 함유하지 않는 임의의 동물세포 배양 배지를 의미한다. 상기 적절한 세포 배양 배지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는데,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로 DMEM 배지, HAM 배지, IMDM 배지, RPMI 1640 배지 등이 있다. 이들 배지는 염, 비타민, 완충액, 에너지 공급원, 아미노산 및 다른 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이들 배지는 세포를 배양함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동물 유래 혈청을 약 5 내지 20% 정도 사용하여 배양하고자 하는 세포의 성장을 위한 범용적인 영양분을 제공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배지는 세포의 성장을 위하여 필요한 동물 유래 혈청을 대체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크라레올(sclareol)을 첨가함으로써 동물 유래 혈청을 대체 가능할 정도로 우수한 세포의 성장 및 증식을 촉진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동물성 혈청을 대신(대체)하여"는 동물세포의 배양을 위한 조성물에 포함되어 있는 동물성 혈청의 함량의 1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가 본 발명의 스클라레올으로 교체되어 세포의 배양용 조성물 내 동물성 혈청의 기능, 예를 들어 세포의 증식을 스클라레올이 대체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세포의 증식 촉진"은 세포의 성장, 생장 및 활성을 증가시켜 세포의 수 및/또는 세포 자체의 기능이 향상되는 것을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증가 및 향상은 본 실시예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세포의 생존능이나 세포의 특정 물질 생산능 등이 스클라레올이 포함되지 않은 무처리 조건과 대비하여 5%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세포는 인간을 포함한 동식물체로부터 기원한 기능적 및 구조적 기본 단위로서, 인간을 포함한 동식물로부터 기원한 세포이면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세포는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줄기세포, 근육세포, 생식세포, 피부에 존재하는 세포(예로, 섬유아세포, 각질세포) 등을 포함한다.
상기 줄기세포는 스스로 세포분열할 수 있고 매우 다양한 형태의 특이 세포 타입(specific cell type)으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갖는 세포이다. 하나의 구체적 일 양태로서, 상기 줄기세포는 배아 줄기세포 및 성체줄기세포를 모두 포함하나, 바람직하게는 동물 유래의 성체줄기세포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인간 유래 성체줄기세포이다. 상기 성체줄기세포는 배아발달단계 이후에도 성체 전반에서 발견되는 분화되지 않고 세포분열에 의해 증식하여 사멸된 세포를 대체하고 손상된 조직을 재생하는 역할을 하는 줄기세포를 의미한다. 이러한 성체줄기세포는 주변조직의 특성에 세포자신을 맞추어 분화하는 조직특이적 분화능력(site-specific differentiation)을 가지고 있다. 이들 성체줄기세포의 예로는, 골수, 혈액, 뇌, 피부, 지방(즉, 지방조직 또는 지방세포), 탯줄, 제대혈, 제대의 바르톤 젤리(Wharton's jelly) 등의 다양한 성체 세포로부터 유래한다.
하나의 구체적 실시에서, 상기 성체줄기세포는 중간엽 줄기세포(인간 탯줄혈액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human cord blood-derived stem cells, CBMCSs)), 피부 유래 줄기세포(skin derived stem cells), 또는 인간 지방유래 줄기세포(human adipose-derived stem cells, ADSCs)이다.
다른 하나의 구체적 실시에서, 상기 성체줄기세포로서 피부 유래 줄기세포는 모낭과 모낭 사이의 표피(interfollicular epidermis)의 기저층에 존재하는 줄기세포, 모낭(hair follicle)에 존재하는 줄기세포, 또는 피하 지방층에 존재하는 지방유래 줄기세포이다.
본 발명의 세포배양용 조성물 및 세포 증식 촉진용 조성물은 스클라레올 이외에 세포를 증식 또는 활성화하는데 필요한 공지의 물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지의 물질의 예로는 염, 비타민, 완충액, 글루타민 등의 산화영양소, 소디움 피루베이트 등의 에너지 공급원, 아미노산,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등의 항생제, 암포테리신 B 등의 항진균제, 타일로신(tylosin), 젠타마이신, 시프로플록사신, 아지트로마이신 등의 마이코플라스마 억제제 등이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세포의 부착을 위한 피브로넥틴 등의 부착인자 및/또는 인터루킨, GM-CSF, G-CSF 등의 세포의 성장을 보조하는 성장인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추가로 포함되는 물질 및 그 함량의 배양하고자 하는 목적 세포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세포배양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세포 배양 배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세포 배양 배지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동물성 혈청을 대신하여 스크라레올이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스클라레올이 식물로부터 유래하였음에도 배양 배지 내 세포의 성장 및 증식을 촉진한다. 이러한 배지의 사용은 통상의 배지와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동물성 혈청을 대신하여 스클라레올이 포함된 세포 배양용 조성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배지에 목적하는 세포를 접촉시켜 세포를 배양하고 증식을 촉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접촉은 세포가 세포 외 물질의 세포 내 유입을 가능하게 할 정도로 접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세포는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상기 세포 배양 및 증식 촉진 방법에 의하여 목적하는 세포의 성장 및 증식을 촉진시키고, 특히 동물성 혈청을 배지에 사용함으로써 발생되는 동물성 물질의 오염을 원천적으로 차단함으로써 보다 안전한 세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스클라레올은 상술한 바와 같이 매우 우수한 세포, 바람직하게는 줄기세포 및 피부세포 증식 촉진능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클라레올을 인체에 적용하는 경우 피부에 존재하는 세포, 보다 바람직하게는 줄기세포,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성체 줄기세포의 증식을 촉진하거나 활성화시킴으로써 피부 상태를 개선시킬 수 있다. 여기서, 피부에 존재하는 성체 줄기세포는 예를 들어, 모낭과 모낭사이의 표피(interfollicular epidermis)의 기저층에 존재하는 줄기세포, 모낭(hair follicle)에 존재하는 줄기세포, 또는 피하 지방층에 존재하는 지방유래 줄기세포이다. 또한, 상기 피부에 존재하는 세포는 각질세포 및 섬유아세포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스클라레올 또는 상기 세포배양용 조성물에서 배양된 세포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로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세포 배양액은 상술한 세포 배양용 배지에서 세포를 배양한 후 배양된 세포를 제거하고 남은 배양액을 의미한다. 이러한 배양액을 제조하는 방법은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포를 배양한 후 세포배양액을 회수하고, 회수된 배양액을 마이크로 시린지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함으로써 세포가 제거된 배양액을 얻을 수 있다. 마이크로 필터의 세공 크기(pore size)는 세포를 제거할 수 있는 크기 내에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피부상태 개선"은 피부 상태의 모든 형태의 호전 및 양호화를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피부의 주름 개선, 피부 노화의 억제, 피부 탄력의 개선, 상처의 재생, 또는 피부의 재생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스클라레올은 전체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0.0001 내지 30.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1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10 중량%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스클라레올의 함유량이 전체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에 대해 0.0001중량% 미만이면 피부 상태 개선 효과를 볼 수 없고, 30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증가되는 함유량에 비해 증가된 개선 효과를 얻기 어려우며 제조 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본 발명의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은 피부에 직접 적용되는 화장료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인 스클라레올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으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가칸트검,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가용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용매로서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가용화제 또는 유화제로서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가칸트검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또 다른 구현예로서, 본 발명의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결정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오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비경구 투여,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포에 의한 국소 투여(topical application) 방식으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0.001-100 ㎎/kg 범위 내이다. 또한 외용제인 경우에는 성인 기준으로 1.0 내지 3.0 ml의 양으로 1일 1회 내지 5회 도포하여 1개월 이상 계속 하는 것이 좋다. 다만, 상기 투여량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상기 언급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시럽제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또 다른 구현예로서, 본 발명의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유효성분으로서 스클라레올 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리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스클라레올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두충 추출액, 대추 추출액, 감초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서 스클라레올에 대한 급성경구독성시험 결과 스클라레올은 천연물질로서 인체에 무해한 물질임이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클라레올은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장기간 사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은 화장료, 약제학적 및 식품 조성물에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스클라레올로서, 상기 화학식 1의 스클라레올 화합물뿐만 아니라 이러한 스클라레올에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실시되는 치환기의 부가 또는 치환을 통해 얻어지는 유도체 중 동물성 혈청을 대신하여 세포의 증식 및 활성을 증가시키거나, 피부 노화의 억제 효과, 피부 탄력의 개선 효과, 상처의 재생 또는 피부의 재생 효과를 나타내는 유도체가 모두 포함한다는 것은 당업계의 기술 수준을 고려하여 당업자에게 명확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스클라레올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뿐만 아니라, 상기 화학식 1의 구조를 핵(nucleus)으로 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치환체 및 치환체 결합 반응을 통하여 얻어진 화학식 1의 유도체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화학식 1에 아세틸기, 히드록실기, 할로기, 니트로기 또는 탄소수 1-3의 알킬기가 결합되어도 화학식 1의 스클라레올과 동일 또는 유사한 효능을 발휘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치환 유도체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여 개체의 피부 주름, 피부 노화, 피부 탄력, 상처 재생, 피부 재생 등과 같은 피부상태를 개선하거나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개체'는 피부의 불량한 상태, 예를 들어 주름, 노화, 상처, 피부 등을 개선 또는 예방하고자 하는 인간을 포함한 포유동물, 예를 들어 개, 돼지, 말, 소 등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소정의 물질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활성 물질이 표적 대상, 예를 들어, 세포로 이동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방법에 의하여 상술한 개체의 피부 주름; 피부 노화; 피부 탄력; 상처; 피부의 불량(피부가 거칠거나 매끈하지 않는 등의 상태) 등과 같은 피부상태 또는 이들로부터 발생하는 질환, 질병 또는 이상은 본 발명의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의 개체 내 투여에 의하여 개선, 호전, 예방 또는 치료 등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은 상술한 내용 및 하기에 기술된 실시예 등을 통하여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이해될 것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스클라레올(sclareol)을 포함하는 무혈청 세포 배양용 조성물은 고가의 동물성 혈청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제조비용을 현저히 낮출 수 있고, 동물성 혈청을 배지에 사용함으로써 발생되는 동물성 물질의 오염을 원천적으로 차단함으로써 보다 안전한 세포, 특히 줄기세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클라레올을 포함하는 세포 증식 촉진용 조성물에 의하여 세포 증식 및 활성화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스클라레올 또는 상기 세포 배양용 조성물에 의한 세포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피부 주름의 개선, 피부노화 억제, 피부탄력의 개선, 상처 재생 및 피부 재생 효능 등의 피부 상태의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스클라레올 함유 제형을 피부 이식편에 처리한 후 조직염색을 통해 조직의 전체적인 모습, 표피 내 줄기세포활성과 관련된 것으로 알려진 p63과 Integrin-beta1을 분석한 그림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스클라레올(sclareol) 함유 무혈청배지에서 줄기세포의 세포생존능 측정
1-1. 세포, 배지 및 배양방법
본 발명자들은 줄기세포배양용 혈청대체제를 찾기 위해 혈청이 첨가되지 않은 무혈청 배지에서 줄기세포를 배양하면서 배지에 시료를 첨가하여 양호한 줄기세포 성장이 이루어지는지를 관찰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실험은 시료로서 스클라레올을 사용하였으며, 줄기세포로서 표피줄기세포, 인간탯줄혈액 유래 중간엽줄기세포와 인간 지방 유래 줄기세포를 사용하였다.
본 실험에서 사용한 표피줄기세포(Epidermal stem cells; ESCs)는 대한피부연구학회지(2006;13(1):1-4)에 개재된 표피성체줄기세포 분리방법에 따라 분리하였다. 즉, 표피줄기세포(ESCs)는 피부조직 또는 피부에서 수득한 세포들로부터 제4형 콜라겐에 부착성을 갖는 세포를 분리하여 얻었다.
인간 탯줄혈액 유래 중간엽줄기세포(Human cord bloo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CB-MSCs)는 차 의과대학교(한국, 경기도 성남)으로부터 얻었다. 세포들은 저농도의 글루코오스를 포함하고, 15% FBS, 페니실린 및 스트렙토마이신이 첨가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에서 37℃ 온도조건에서 배양하였다. 배지는 세포들이 컨플루언시(confluency)에 도달할 때 까지 3일 마다 교체하였다.
인간 지방 유래 줄기세포(Human Adipose Derived Stem Cell, ADSCs)는 Gibco®(Gibco®, Rockville, MD, USA) 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동결보존된 세포들을 37℃에서 녹인 후 곧 바로 MesenPRO RS™ Growth Supplement(Gibco®, Rockville, MD, USA)와 글루타민이 첨가된 MesenPRO RS™ Basal Medium (Gibco®)에서 37℃ 온도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이어서, 세포들을 동일한 배지를 이용하여 증식시켰으며, 배지는 세포들이 컨플루언시(confluency)에 도달할 때 까지 3일 마다 교체하였다.
음성 대조군인 무혈청 조건 시험군에서는 세포 배양 배지를 무혈청 DMEM (Cat.11885-084, Gibco®)으로 교체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세포를 Growth Supplement (Gibco®)를 포함하는 DMEM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1-2. 세포생존능(cell viability) 측정
세포생존능은 MT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분석을 통해 측정하였다. MTT 분석은 테트라졸륨환(tetrazolium ring)을 포함하는 기질(substrate)이 미토콘드리아 탈수소효소에 의해 청색의 포르마잔(formazan)으로 변환되는 것에 기초한 분석방법이다. 청색 포르마잔의 수준을 분광학적으로 측정한 후 이를 세포밀도의 간접적인 지표로 사용하였다. 간략하게 설명하면, 세포들을 37℃에서 MTT (1 mg/㎖)에 3 시간 동안 노출시킨 후, 배지를 제거하고 세포들을 DMSO (dimethyl sulfoxide)로 용해시켰다. 완전 용해된 후 청색 포르마잔의 존재는 파장 570 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서 분광학적으로 측정하였다.
MTT 분석법을 사용하여 줄기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스클라레올의 영향을 평가한 결과, 스클라레올은 성체줄기세포의 증식을 유도함을 관찰하였다(표 1 참조). 구체적으로, 스클라레올(Sclareol)은 표피줄기세포(ESCs), 탯줄혈액 유래 중간엽줄기세포 (CB-MSCs), 지방 유래 줄기세포(ADSCs)의 성장률을 농도 의존적으로 현저히 증가시켰다.
종류 세포생존능 정도(%)
표피줄기세포(ESCs) 탯줄혈액 유래 중간엽줄기세포(CB-MSCs) 지방 유래 줄기세포(ADSCs)
정상군(양성대조군) 155.2 165.2 152.26
무처리군(음성대조군) 100 100 100
스클라레올 (1ug/ml) 112.5 102.5 99.21
스클라레올 (5ug/ml) 124.3 125.5 110.68
스클라레올 (10ug/ml) 135.9 132.4 131.73
실시예 2: 스클라레올(sclareol) 함유 무혈청배지에서 동물세포의 세포생존능 측정
본 실험에서는 스클라레올이 다른 동물세포들의 증식도 촉진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인간각질세포인 HaCaT과 마우스 섬유아세포(mouse fibroblast)인 NIH3T3 세포를 스클라레올이 함유된 무혈청 배지에 배양하여 이들 세포생존능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하였다.
구체적으로, 5% CO2 및 37℃ 하에서 10%의 FBS, 1% 항생제가 포함된 DMEM 배지에서 배양한 HaCaT와 NIH3T3 세포 2 × 104 개를 12 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접종하여 안착시킨 후, 다음 날 혈청을 제거한 배양액으로 1회 세척한 다음, 각각 무혈청조건과, 스클라레올이 첨가된 무혈청조건으로 실험군을 나누어 배양하였다. 72 시간이 경과한 후, 혈청을 제거한 배양액으로 1회 세척한 다음, 10% MTT가 들어있는 무혈청배지로 교체하여 3시간 후 O.D 값을 측정하여 백분율로 환산하였다.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상군(혈청 포함)을 100%로 환산하였을 시, 무혈청조건(HaCaT : 70.3%, NIH3T3 : 52.4%)에 비해 스클라레올(sclareol)이 각각 첨가된 조건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최대 23.5% 이상의 세포생존율의 증가를 보여 스클라레올(sclareol)이 줄기세포뿐만 아니라 일반 세포의 세포증식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표 2).
종류 세포생존능 정도(%)
HaCaT NIH3T3
정상군 100 100
무처리군(음성대조군) 70.3 52.4
스클라레올 (1ug/ml) 72.2 55.7
스클라레올 (5ug/ml) 79 64.1
스클라레올 (10ug/ml) 85.2 75.9
실시예 3: 스클라레올(sclareol) 함유 줄기세포배양액을 이용한 피부세포의 활성화 측정
스클라레올(sclareol)이 첨가된 무혈청배지에서 배양한 줄기세포 배양액을 섬유아세포에 처리하여 피부세포의 활성화 정도를 측정하였다.
표피줄기세포(ESC)를 2 × 104 개로 12 웰 플레이트에 접종하여 안착시킨 후, 혈청을 제거한 배양액으로 1 회 세척한 다음, 무혈청조건(SF), 스클라레올(sclareol)이 첨가된 무혈청조건(P/SF)의 실험군으로 나누어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배양액을 수확하여 2uM 필터를 통해 불순물 제거하고 스클라레올이 처리된 줄기세포배양액을 준비하였다.
사람의 정상 섬유 아세포(Human normal fibroblast, 태평양)를 DMEM 배지가 들어 있는 96-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접종시키고(2 × 105 세포/웰) 5% 농도의 CO2 배양기에서 37℃로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 시간 후, 각 웰에서 배지를 제거한 후, PBS로 세척한 후 ESC 세포를 통해 상기 준비한 줄기세포배양액을 처리하고, 48 시간 동안 다시 배양하였다. 이후 섬유아세포의 활성화 정도를 MTT assay를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정상군(CM)을 100 %로 환산하였을 시, 무혈청조건이 처리된 실험군(SF)에 비해, 스클라레올(sclareol)이 첨가된 무혈청조건이 처리된 실험군(P/SF)에서 유의성 있게 섬유아세포의 생존율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종류 섬유아세포 생존율(%)
정상군 100
무처리군(음성대조군) 58.1
스클라레올 (1ug/ml) 59.4
스클라레올 (5ug/ml) 68.2
스클라레올 (10ug/ml) 74.2
실시예 4: 스클라레올(sclareol) 함유 줄기세포배양액을 이용한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합성 촉진효과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생합성 촉진은 피부에 있어 주름을 방지하고 완화하는 주요 지표이다. 주름은 통상적으로 콜라겐의 생합성이 감소하고 만들어진 콜라겐이 분해되면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진피층에 존재하는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합성이 촉진되면 주름억제는 물론 생성된 주름도 개선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 3과 같이 스클라레올이 처리된 ESC 배양액을 섬유아세포에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을 한 후 배양액을 수집하여 콜라겐분석키트 (Procollagen Type I C-peptide EIA kit MK101, 다카라, 일본)를 이용하여 프로콜라겐 타입 I C-펩타이드 (Procollagen Type I C-peptide: PICP)의 양을 측정하였다. 실험은 키트 설명서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측정된 표준치는 평균±표준편차의 형태로 표시하였고, SPSS/P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로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실험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무혈청조건이 처리된 실험군(SF)에 비해, 스클라레올(sclareol)이 첨가된 무혈청조건이 처리된 실험군(P/SF)에서 유의성 있게 콜라겐 합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종류 콜라겐 합성율(%)
무처리군(음성대조군) 100
스클라레올 (1ug/ml)함유 105.1
스클라레올 (5ug/ml) 112.5
스클라레올 (10ug/ml) 131.2
실시예 5: 스클라레올(sclareol)을 함유한 피부상태 개선용 외용조성물 제조
스클라레올(sclareol)을 일반적으로 화장품이나 연고 같은 피부외용제제로 만들 경우에 이용하는 Oil in Water 타입의 에멀젼 제형으로 시험제품을 만들었다. 각 시험제품의 조성은 표 5와 같았다. 수상인 정제수, 트리에탄올 아민 및 프로필렌글리콜을 70℃로 가열하여 용해시킨 다음 유상인 지방산, 유성성분, 유화제 및 방부제를 70℃로 가열하여 용해한 액을 첨가하여 유화시켰다. 유화가 완료된 후 상기 용액을 45℃로 냉각시키고 스클라레올(sclareol)을 200ppm 첨가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스클라레올 (Sclareol) 0.02
호호바 오일 5.0
유동 파라핀 7.0
세틸아릴 알코올 2.0
폴리글리세릴-3 메칠 글루코스 디스테아레이 2.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0.5
스쿠알란 3.0
프로필렌글리콜 4.0
글리세린 5.0
트리에탄올 아민 0.3
카르복시 비닐폴리머 0.3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0.2
방부제, 향 미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실시예 6: EX-VIVO 조건에서 스클라레올(sclareol)의 줄기세포 활성 기능
피부 이식편(Skin explant)은 사람의 피부와 가장 유사한 환경을 제시하며, 이로 인해 시험물의 인체 효능을 가장 잘 반영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 5를 통해 제조된 스클라레올(sclareol) 함유 제형을 피부 이식편(Skin explant)에 10일 동안 처리한 후 피부줄기세포관련 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시험제형은 시험기간 동안 5회(D0:처리시작일, D2:처리시작 2일째, D4:처리시작 4일째, D7:처리시작 7일 째, D9:처리시작 9일째)에 걸쳐 2 mg/cmㅂ양으로 피부이식편 상피부분에 처리되었다. 시험이 종료된 후 조직염색을 통해 조직의 전체적인 모습, 표피 내 줄기세포활성과 관련되어 ESC(표피줄기세포)의 주요 마커로 알려진 p63과 Integrin-beta1을 분석하였다(G. Pellegrini, et al., Proc Natl Acad Sci U S A. Mar 13, 2001; 98(6): 3156-3161).
도 1에 나타난 것처럼 면역조직염색 결과 스클라레올 함유 제형이 처리된 군에서 각질층 두께와 p63 발현(자주색염색), Integrin-beta1 발현(녹색형광)이 vehicle처리 제형(음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실시예 7 : 스클라레올(sclareol) 함유 피부개선용 외용조성물의 항노화 효과
인체에 있어 항노화 효과는 여러 가지 기준으로 판정할 수 있으나 피부에 나타나는 주름은 손쉽게 측정할 수 있는 지표이다. 이에 스클라레올(sclareol)의 피부주름 개선효과를 상기 표 5에서 제조한 크림을 사용하여 피부 탄력 변화의 측정을 통해 평가하였다. 피부 탄력의 측정은 온도 24-26℃, 습도 38-40%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조건에서 건강한 여성 20명(25 내지 35세)을 대상으로 표 6의 크림 2종류와 비교 제조예의 크림을 각각 피검자의 얼굴에 1일/2회, 3개월 동안 사용하게 한 후, Cutometer SEM 474(Courage+Khazaka, Cologne, 독일)를 이용하여 주름개선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판정기준은 피부 탄력이 없는 경우를 0, 많은 경우를 5로 하여 상대적인 값을 비교하였다. 시험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시험항목 대조군(스크라레올 무포함) 스클라레올 0.01% (시험군)
피부탄력도 1.2 ± 0.22 3.1 ± 0.31
상기 표 6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스클라레올(sclareol) 함유 크림(시험군)이 비교제조예(대조군)의 크림에 비해 주름개선 효과가 훨씬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즉, 스클라레올(sclareol) 자체만을 포함한 크림 모두 주름개선 효과가 있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요약하면, 줄기세포 배양시 스클라레올(sclareol)을 사용하여 동물성 혈청의 사용을 줄이거나 대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스클라레올(sclareol)이 줄기세포 촉진제로서의 역할도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스클라레올(sclareol)이 함유된 배지에서 줄기세포를 배양한 후 얻어지는 배양액을 경피 투여하는 경우 피부 상태를 개선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2)

  1. 스클라레올(Sclareol)을 포함하는 세포 배양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동물성 혈청의 50 내지 100중량%를 스클라레올이 대체하여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배양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는 줄기세포 또는 피부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배양용 조성물.
  4. 스클라레올(sclare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 증식 촉진용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는 줄기세포 또는 피부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배양용 조성물.
  6. 피부 주름의 개선, 피부노화 억제, 피부탄력의 개선, 상처 재생 또는 피부 재생을 위한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로서, 스클라레올(sclareol) 또는 제1항의 조성물에 의하여 배양된 세포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샴푸,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클라레올(sclareol)은 세포의 증식 촉진 또는 활성화 작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는 줄기세포 또는 피부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줄기세포는 인간 탯줄혈액 유래 중간엽줄기세포, 피부유래 줄기세포 또는 지방유래 줄기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클라레올(sclareol)은 전체 조성물에 대해 0.0001 내지 30중량%로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40133084A 2014-10-02 2014-10-02 스클라레올(sclareol)을 포함하는 세포 배양 및 증식 촉진용 조성물 KR101705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3084A KR101705811B1 (ko) 2014-10-02 2014-10-02 스클라레올(sclareol)을 포함하는 세포 배양 및 증식 촉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3084A KR101705811B1 (ko) 2014-10-02 2014-10-02 스클라레올(sclareol)을 포함하는 세포 배양 및 증식 촉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0347A true KR20160040347A (ko) 2016-04-14
KR101705811B1 KR101705811B1 (ko) 2017-02-13

Family

ID=55801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3084A KR101705811B1 (ko) 2014-10-02 2014-10-02 스클라레올(sclareol)을 포함하는 세포 배양 및 증식 촉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58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1204B1 (ko) * 2021-09-15 2022-12-23 홍형원 카누카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8713A (ko) * 2004-04-30 2007-01-17 카오 가부시키가이샤 주름 개선제 및 피부 화장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8713A (ko) * 2004-04-30 2007-01-17 카오 가부시키가이샤 주름 개선제 및 피부 화장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1204B1 (ko) * 2021-09-15 2022-12-23 홍형원 카누카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5811B1 (ko) 2017-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81947B2 (ja) スキンクリーム
KR101921211B1 (ko) 단풍취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81911B1 (ko) 식물성 펩톤을 포함하는 줄기세포 증식 촉진용 조성물
KR101781027B1 (ko) 구기자 캘러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222877B1 (ko) 불멸화 줄기세포 유래 엑소좀 풍부 배양액 및 장미꽃봉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조성물
KR102341375B1 (ko) 줄기세포 유래의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재생, 미백, 항산화 또는 상처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100096447A (ko) 돼지 태반 조직 유래 줄기세포의 배양물 및 그 추출 단백질을 함유한 화장료용 조성물
KR102298371B1 (ko) 명월초 캘러스 유래 pdr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45553B1 (ko) 천연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단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동물세포 배양용 무혈청 배지 및 피부개선조성물
KR101705811B1 (ko) 스클라레올(sclareol)을 포함하는 세포 배양 및 증식 촉진용 조성물
KR102033073B1 (ko) 세리신, 사상자 추출물 및 겨우살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진정 또는 상처 치유용 조성물
KR20150142287A (ko)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줄기세포 증식 촉진용 배지 조성물
KR101693923B1 (ko) 잘피 식물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염 및 항노화 효과를 지닌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45562B1 (ko) 천연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단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동물세포 배양용 무혈청 배지 및 피부개선조성물
KR101299658B1 (ko) 말태반을 포함하는 줄기세포 증식 촉진용 조성물
RU2679741C2 (ru) Средства для поддержания недифференцированного состояния и стимуляции пролиферации стволовых клеток
JP6411778B2 (ja) 幹細胞の未分化状態維持剤及び増殖促進剤
KR101245554B1 (ko) 천연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단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동물세포 배양용 무혈청 배지 및 피부개선조성물
KR101245557B1 (ko) 천연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단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동물세포 배양용 무혈청 배지 및 피부개선조성물
US20230330183A1 (en) Stem cell conditioned media for clinical and cosmetic applications
JP7202610B2 (ja) 幹細胞の未分化状態維持剤及び増殖促進剤
KR101795272B1 (ko) 솜나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하지방 감소 조절용 화장품 조성물
KR101652070B1 (ko) 질려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볼륨 증진 또는 주름, 탄력 개선용 조성물
JP2024038890A (ja) エクソソームの機能亢進剤
JP6200713B2 (ja) 幹細胞由来成長因子産生促進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