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9977A - 모발 이식 장치 - Google Patents

모발 이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9977A
KR20160039977A KR1020140133375A KR20140133375A KR20160039977A KR 20160039977 A KR20160039977 A KR 20160039977A KR 1020140133375 A KR1020140133375 A KR 1020140133375A KR 20140133375 A KR20140133375 A KR 20140133375A KR 20160039977 A KR20160039977 A KR 201600399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moving member
case
button
out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3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9163B1 (ko
Inventor
박수용
이승재
이승우
이광로
류미선
최운하
김영태
조성주
조영준
Original Assignee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이광로
박수용
이승재
류미선
이승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이광로, 박수용, 이승재, 류미선, 이승우 filed Critical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33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9163B1/ko
Publication of KR20160039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9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9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9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0Hair or skin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47Dermatology
    • A61B2017/00752Hair removal or transpla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969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used for transplant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ransplanta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d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발 이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에 설치되며 모낭이 끼워지는 바늘과, 상기 케이스의 중심축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버튼의 동작에 의해 상기 바늘이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삽입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이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발 이식 장치 {The Apparatus Of Hair Transplantation}
본 발명은 측면에 설치된 버튼에 의해 모낭이 피부에 삽입되면 바늘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 모발 이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발 이식 장치는 바늘에 사람의 모낭을 장착하고 피부(두피)에 찔러 넣은 후 뒤쪽에 있는 버튼을 손가락으로 눌러주면 식모기의 전면과 내부에 설치된 봉이 앞으로 나아가며 모낭은 피부에 남겨둔 채 피부 밖으로 빠져나온다.
모발 이식 장치는 선행특허문헌 1, 2(한국공개특허 제10-2010-0105507호 및 제10-2003-0040943호)의 공보에 기재된 것이 제안돼 있다.
모발 이식 시술 시, 평균적으로 200~500회 이상 모발 이식 장치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종래의 모발 이식 장치는 모낭을 심고 뒤쪽에 있는 버튼을 손으로 직접 눌러서 바늘을 피부에서 제거하다 보니 모낭 이식의 실패가 종종 발생하고, 그로 인해 이식 작업이 오래 걸린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10-0105507호 대한민국 공개 특허 특2003-0040943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산출된 것으로, 작업자가 무리하지 않게 하고 편리성을 증대시켜 모발 이식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모발 이식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모발 이식 장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에 설치되며 모낭이 끼워지는 바늘과, 상기 케이스의 중심축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버튼의 동작에 의해 상기 바늘이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삽입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에는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버튼은 상기 관통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튼은 제1구멍과 제2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제1구멍과 상기 제2구멍은 일부가 겹쳐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구멍의 크기는 상기 제2구멍의 크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부재는 제1이동부재와 제2이동부재와 제3이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이동부재는 상기 제1이동부재와 상기 제3이동부재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이동부재의 외경은 상기 제1이동부재 및 상기 제3이동부재의 외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이동부재의 외경 및 상기 제2이동부재의 외경 및 상기 제3이동부재의 외경은 상기 제2구멍의 내경보다 작으며, 상기 제1이동부재의 외경 및 상기 제3이동부재의 외경은 상기 제1구멍의 내경보다 크며, 상기 제2이동부재는 상기 제1구멍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늘의 외측에는 스프링이 더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은 상기 이동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모발 이식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에 설치되며 모낭이 끼워지는 바늘과, 상기 케이스의 중심축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버튼의 동작에 의해 상기 바늘이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삽입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버튼이 측면에 위치하고 구조가 간단하며 조작이 용이하여 오래 사용하여도 사용자에게 무리를 주지 않아 사용자의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모발 이식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모발 이식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케이스에는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버튼은 상기 관통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버튼이 사용자가 작업하기 용이한 곳에 위치하며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이 용이하고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버튼은 제1구멍과 제2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제1구멍과 상기 제2구멍은 일부가 겹쳐진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동부재가 제1구멍 또는 제2구멍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되므로 모발 이식 장치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제1구멍의 크기는 상기 제2구멍의 크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여, 초기 위치 시에는 제1구멍에 이동부재가 고정되고 후방으로 이동 시에는 제2구멍에 이동부재를 위치하게 함으로써 구조를 간단하게 하고 버튼을 이용하여 이동부재의 이동을 쉽게 할 수 있고, 조립을 용이하게 하며, 이동부재의 위치를 더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어 모발 이식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는 제1이동부재와 제2이동부재와 제3이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이동부재는 상기 제1이동부재와 상기 제3이동부재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이동부재의 외경은 상기 제1이동부재 및 상기 제3이동부재의 외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여, 버튼을 누르는 간단한 조작으로 이동부재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어 모발 이식 장치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이동부재의 외경 및 상기 제2이동부재의 외경 및 상기 제3이동부재의 외경은 상기 제2구멍의 내경보다 작으며, 상기 제1이동부재의 외경 및 상기 제3이동부재의 외경은 상기 제1구멍의 내경보다 크며, 상기 제2이동부재는 상기 제1구멍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버튼을 눌렀을 때 이동부재를 제1구멍 또는 제2구멍으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어 모발 이식 장치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바늘의 외측에는 스프링이 더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은 상기 이동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케이스 내에서 이동부재 이동 시 발생하는 마찰음을 줄일 수 있으며, 이동부재의 이동을 쉽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발 이식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전면 확대도.
도 3은 도 1의 케이스를 제거한 사시도.
도 4는 도 4의 분해도.
도 5는 도 1의 버튼 및 탄성부재 사시도.
도 6은 도 1의 단면도.
도 7은 도 6의 확대도.
도 8은 도 1의 이동부재 및 바늘 후방 이동 시 단면도.
도 9는 도 8의 확대도.
도 10은 도 1의 버튼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정면도.
도 12는 도 1의 버튼 및 이동부재의 정면도.
도 13은 도 1의 이동부재 후방 이동 시 버튼 및 이동부재의 정면도.
도 14는 종래의 모발 이식 장치의 사시도.
도 15는 종래의 모발 이식 장치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발 이식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전면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1의 케이스를 제거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4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버튼 및 탄성부재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확대도이고, 도 8은 도 1의 이동부재 및 바늘 후방 이동 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1의 버튼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정면도이고, 도 12는 도 1의 버튼 및 이동부재의 정면도이고, 도 13은 도 1의 이동부재 후방 이동 시 버튼 및 이동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발 이식 장치는,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1)의 내부에 설치된 이동부재(5)와, 상기 이동부재(5)에 설치되며 모낭이 끼워지는 바늘(4)과, 상기 케이스(1)의 중심축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버튼(3)을 포함하며, 상기 버튼(1)의 동작에 의해 상기 바늘(4)이 상기 케이스(1)의 내부로 삽입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케이스(1)는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이며, 전면의 구멍(도면 부호 미도시)은 후면의 구멍(도면 부호 미도시)보다 작도록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는 전방에 제1경사면(15)을 갖는다. 상기 제1경사면(15)은 상기 케이스(1)의 전면으로 갈수록 반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의 양측 면에는 제1관통구(11)가 형성된다.
상기 제1관통구(11)는 후술할 이동부재(5)에 설치되는 심고정부(54)의 제2관통구(541)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며, 나사 등의 체결부재가 체결된다. 그리하여 후술할 심고정부(54)는 상기 케이스(1)에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케이스(1)의 일측면에는 제3관통구(18)가 형성된다.
상기 제3관통구(18)에는 후술할 버튼(3)의 일부가 상기 케이스(1) 내부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즉, 후술할 버튼(3)은 상기 케이스(1)의 중심축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케이스(1)의 하면에는 지지부재(9)가 설치된다.
상기 지지부재(9)는 후술할 탄성부재(8)를 상기 케이스(1)의 내측에 안정적으로 고정하도록 한다.
상기 지지부재(9)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체(91)와, 제1체결구(92) 및 제2체결구(93)를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체(91)는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 형태이다.
상기 제1지지체(91)의 모서리 부근에는 제1체결구(92) 및 제2체결구(93)가 형성된다.
상기 제1체결구(92)는 상기 제1지지체(91)의 전방 모서리 부근에 형성된다.
상기 제1체결구(92)에는 나사 등의 체결부재가 체결된다.
이러한 제1체결구(92)는 후술할 탄성부재(8)의 제1구멍(87) 및 상기 케이스(1)의 제3체결구(12)와 동일 선상에 위치한다. 즉, 제1체결구(92)의 중심축과 후술할 탄성부재(8)의 제1구멍(87)의 중심축과 케이스(1)의 제3체결구(12)의 중심축이 동일 선상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체결부재에 의해 지지부재(9) 및 후술할 탄성부재(8)를 케이스(1)에 안정적으로 고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2체결구(93)는 상기 제1지지체(91)의 후방 모서리 부근에 형성된다.
상기 제2체결구(93)에는 나사 등의 체결부재가 체결된다.
이러한 제2체결구(93)는 케이스(1)의 제4체결구(13)와 동일 선상에 위치한다. 즉, 제2체결구(93)의 중심축과 케이스(1)의 제4체결구(13)의 중심축이 동일 선상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체결부재에 의해 지지부재(9)를 케이스(1)에 안정적으로 고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1체결구(92)의 형상과 제2체결구(93)의 형상은 동일한 것이 적당하다.
케이스(1)의 내부에는 이동부재(5)가 설치된다.
상기 이동부재(5)는 제1이동부재(58)와, 제2이동부재(57)와, 제3이동부재(56)와, 제4이동부재(51)와, 제5이동부재(52)를 포함한다.
상기 제4이동부재(51)는 중공이 형성된 원통 형태이며, 상기 중공에는 후술할 바늘(4)이 설치된다.
상기 제4이동부재(51)에는 장공(53)이 형성된다.
상기 장공(53)은 상기 제4이동부재(51)의 내측에 축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장공(53)에는 후술할 심(40)이 고정되는 심고정부(54)가 설치된다.
상기 심고정부(54)는 모서리가 둥근 직육면체 형상이고, 좌우방향으로 제2관통구(541)가 형성된다.
상기 제2관통구(541)는 상기 케이스(1)의 제1관통구(11)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여, 나사 등의 체결부재가 체결된다. 그리하여 심고정부(54)가 케이스(1)에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즉, 이러한 제2관통구(541)의 중심축과 케이스(1)의 제1관통구(11)의 중심축은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관통구(541)의 크기는 케이스(1)의 제1관통구(11)의 크기보다 작거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심고정부(540의 전방에는 심(40)이 고정된다.
상기 심(40)은 후술할 바늘(4)이 피부에 모낭을 심은 후 피부에서 멀어질 때, 피부에 심은 모낭이 후술할 바늘(4)을 따라 빠지지 않도록 모낭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심고정부(54)의 후방에는 와이어(55)가 설치된다.
상기 와이어(55)는 상기 심고정부(54)의 후면과 상기 장공(53)의 후면을 연결하여 이동부재(5) 이동 시 심고정부(54)를 견고하게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제4이동부재(51)는 후술할 캡(2)과 이격되어 설치된다. 더 정확하게는, 상기 제4이동부재(51)의 후면과 후술할 캡(2)이 이격된 것이며, 제5이동부재(52)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범위는 상기 제4이동부재(51)의 후면과 후술할 캡(2) 사이의 거리가 되는 것이다.
제4이동부재(51)의 후면에는 제5이동부재(52)가 일체로 형성된다.
제5이동부재(52)는 원통 형상을 하며, 후술할 캡(2)의 중공에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상기 제5이동부재(52)는 이동부재(5) 후방으로 이동 시, 이동부재(5)를 다시 전방으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5이동부재(52)의 반경은 후술할 캡(2)의 중공의 반경과 동일하거나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4이동부재(51)의 전면에는 제3이동부재(56)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3이동부재(56)는 중공이 형성된 원통 형상을 하며, 상기 중공에는 후술할 바늘(4)이 설치된다.
제3이동부재(56)의 전방에는 제1이동부재(58)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1이동부재(58)는 중공이 형성된 원통 형상을 하며, 상기 중공에는 후술할 바늘(4)이 설치된다.
제3이동부재(56)와 제1이동부재(58) 사이에는 제2이동부재(57)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2이동부재(57)는 중공이 형성된 원통 형상을 하며, 상기 중공에는 후술할 바늘(4)이 설치된다.
상기 제2이동부재(57)는 후술할 버튼(3)의 제1구멍(31)에 위치한다.
이러한 제2이동부재(57)의 하부에는 후술할 탄성부재(8)가 설치되고 제2이동부재(57)는 버튼(3)에 설치되는데, 이동부재(5)의 이동 시, 후술할 버튼(3)에 의해 후술할 탄성부재(8)가 끼워지거나 해제되게 된다.
이러한 제2이동부재(57)의 외경은 제1이동부재(58)의 외경 및 제3이동부재(56)의 외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며, 후술할 버튼(3)의 제1구멍(31)보다 작거나 같은 것이 적당하다.
이러한 제1이동부재(58)의 외경 및 제3이동부재(56)의 외경은 후술할 버튼(3)의 제2구멍(32)보다는 작고 제1구멍(31)보다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이동부재(58)의 중심축과 제2이동부재(57)의 중심축과 제3이동부재(56)의 중심축은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부재(5)의 중공에는 바늘(4)이 설치된다.
상기 바늘(4)은 제1이동부재(58)과 제2이동부재(57)과 제3이동부재(56)의 중공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바늘(4)은 중공이 형성된 원통 형태이다.
상기 바늘(4)의 상부 일측에는 끼움홈(400)이 형성된다.
상기 끼움홈(4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낭을 끼울 수 있도록 상기 바늘(4)의 상면 일부에만 형성된다.
상기 바늘(4)의 전면은 경사지도록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바늘(4)이 피부에 침투하기 용이하게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바늘(4)의 중공에는 상기 심(40)이 더 설치된다.
상기 심(40)은 바늘(4)이 피부에 모낭을 심은 후 피부에서 빠져나올 때 심은 모낭이 바늘(4)을 따라서 나오지 않도록 모낭을 지지 및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바늘(4)의 외측에는 스프링(60)이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60)은 상기 케이스(1)의 내측 전면과 상기 제1이동부재(58)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부재(5)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 시, 상기 이동부재(5)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케이스(1)의 제3관통구(18)에는 버튼(3)이 설치된다.
상기 버튼(3)은 상기 케이스(1)의 중심축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버튼(3)의 동작에 의해 상기 바늘(4)이 상기 케이스(1)의 내부로 삽입하게 한다.
상기 버튼(3)은 본체(34)와 제1구멍(31)과 제2구멍(32)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34)는 상면(33)이 둥근 직사각형 형태이며, 하단의 폭이 상단의 폭보다 좁도록 형성된다.
상기 본체(34)에는 상기 제1구멍(31) 및 제2구멍(32)이 형성된다.
상기 제1구멍(31)은 원형이며, 상기 본체(34)의 하면 모서리에 근접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구멍(31)의 일부는 상기 제2구멍(32)의 일부와 겹쳐진다. 즉, 제1구멍(31)은 제2구멍(32)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1구멍(31)의 크기는 제2구멍(32)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제1구멍(31)에는 상기 제2이동부재(57)가 이동 가능하도록 위치한다.
즉, 이동부재(5)가 전방에 있을 때(초기 위치), 제2이동부재(57)가 제1구멍(31)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제1구멍(31)의 내경은 제2이동부재(57)의 외경보다 크거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구멍(32)은 원형이다.
상기 제2구멍(32)의 일부는 상기 제1구멍(31)의 일부와 겹쳐지도록 형성된다. 즉, 제2구멍(32)은 제1구멍(31)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2구멍(32)의 크기는 제1구멍(31)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제2구멍(32)에는 상기 이동부재(5) 이동 시, 상기 제1이동부재(58)가 이동 가능하도록 위치하는 것이다.
즉, 이동부재(5)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 시, 제2구멍(32)으로 제2이동부재(57)가 이동하고, 제1이동부재(58)가 제2구멍(32)을 관통하여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동부재(5)가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 시, 제1이동부재(58)가 제2구멍(32)으로 이동한 후, 제2구멍(32)에 위치한 제2이동부재(57)는 다시 제1구멍(31)에 삽입된다.
이러한 제2구멍(32)의 내경은 제1이동부재(58)의 외경 또는 제2이동부재(57)의 외경 또는 제3이동부재(56)의 외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구멍(32)의 반경은 제1구멍(31)의 반경보다 크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탄성부재(8)는 이동부재(5)의 하부에 설치된다.
상기 탄성부재(8)는 제1판(81)과 제2판(82)과 제3판(83)을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판(81)은 직사각형 형태를 하며, 전면 모서리 부근에 제1구멍(87)이 형성된다.
상기 제1구멍(87)은 상기 제1지지체(91)의 제1체결구(92)와 상기 케이스(1)의 제3체결구(12)와 동일 선상에 설치된다. 즉, 제1구멍(87)의 중심축과 제1지지체(91)의 제1체결구(92)의 중심축과 케이스(1)의 제3체결구(12)의 중심축은 동일 선상에 위치하고, 제1구멍(87)의 반경과 제1체결구(92)의 반경과 제3체결구(12)의 반경은 동일하도록 형성된다.
그리하여, 나사 등의 체결부재가 제1체결구(92) 및 제1구멍(87)을 관통하여 제3체결구(12)에 체결됨으로써, 탄성부재(8) 및 지지부재(9)를 케이스(1)에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1판(81)의 후면 모서리에는 제2판(82)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2판(82)은 직사각형 형태이며, 상기 제1판(81)에 대해 상부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제2판(82)의 후면 모서리에는 제3판(83)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3판(83)은 직사각형 형태이며, 상기 제2판(82)에 대해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판(81)과 평행하도록 형성된다. 즉, 제3판(83)은 제2판(82)에 의해 제1판(81)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3판(83)의 상부에는 상기 버튼(3)이 설치된다.
더 정확하게는, 상기 제3판(83)의 상면에는 상기 버튼(3)의 본체(34)의 하면이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상기 버튼(3)을 누르게 되면, 제3판(83)을 누르게 되어 제1구멍(31)에 위치한 제2이동부재(57)가 제2구멍(32)으로 이동하게 되고, 스프링(60)에 의해 이동부재(5)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제1이동부재(58)가 제2구멍(32)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탄성부재(8)는 판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탄성부재(8)의 제1판(81), 제2판(82)이 판 스프링인 것이 적합하다.
케이스(1)의 후방에는 중공이 형성된 캡(2)이 설치된다.
상기 캡(2)의 중공에는 상기 제2이동부재(57)가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이러한 캡(2)은 케이스(1)의 후방을 폐쇄하는 덮개의 역할을 하며, 캡(2)의 반경은 케이스(1)의 반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 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제5이동부재(52)를 눌러 바늘(4) 및 이동부재(5)를 전방으로 위치하게 한다.(초기 위치)
모낭을 끼움홈(400)에 끼운 후, 사람의 피부에 바늘을 삽입한다.
버튼(3)의 상면(33)을 누른다.
이동부재(5)가 버튼(3)의 제1구멍(31)에서 제2구멍(32)으로 이동하면서 후방으로 이동한다.
바늘이 피부에서 빠지면서 심(40)이 피부에 삽입된 모낭이 빠지지 않도록 고정한다.
다음 모낭 이식 작업을 진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발 이식 장치는, 특히, 모발을 이식하는 모발 이식 장치에 적합하다.
1: 케이스 11: 제1관통구
12: 제3체결구 13: 제4체결구
15: 제1경사면 18: 제3관통구
5: 이동부재 58: 제1이동부재
57: 제2이동부재 56: 제3이동부재
51: 제4이동부재 52: 제5이동부재
53: 장공 54: 심고정부
541: 제2관통구 40: 심
55: 와이어 4: 바늘
400: 끼움홈 62: 고정부재
60: 스프링 3: 버튼
31: 제1구멍 32: 제2구멍
33: 상면 34: 본체
8: 탄성부재 81: 제1판
82: 제2판 83: 제3판
86: 본체 84: 제1원주면
85: 제2경사면 9: 지지부재
91: 제1지지체 92: 제1체결구
93: 제2체결구 2: 캡

Claims (7)

  1.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에 설치되며 모낭이 끼워지는 바늘;
    상기 케이스의 중심축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버튼의 동작에 의해 상기 바늘이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삽입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이식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버튼은 상기 관통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이식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제1구멍과 제2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제1구멍과 상기 제2구멍은 일부가 겹쳐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이식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구멍의 크기는 상기 제2구멍의 크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이식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제1이동부재와, 제2이동부재와, 제3이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이동부재는 상기 제1이동부재와 상기 제3이동부재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이동부재의 외경은 상기 제1이동부재 및 상기 제3이동부재의 외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이식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부재의 외경 및 상기 제2이동부재의 외경 및 상기 제3이동부재의 외경은 상기 제2구멍의 내경보다 작으며, 상기 제1이동부재의 외경 및 상기 제3이동부재의 외경은 상기 제1구멍의 내경보다 크며,
    상기 제2이동부재는 상기 제1구멍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이식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바늘의 외측에는 스프링이 더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은 상기 이동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이식 장치.
KR1020140133375A 2014-10-02 2014-10-02 모발 이식 장치 KR102329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3375A KR102329163B1 (ko) 2014-10-02 2014-10-02 모발 이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3375A KR102329163B1 (ko) 2014-10-02 2014-10-02 모발 이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9977A true KR20160039977A (ko) 2016-04-12
KR102329163B1 KR102329163B1 (ko) 2021-11-22

Family

ID=55801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3375A KR102329163B1 (ko) 2014-10-02 2014-10-02 모발 이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91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04220A1 (ko) * 2016-06-27 2018-01-04 주식회사 덴티스 모발 이식 장치의 니들 유닛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26202A1 (en) * 2000-05-18 2002-02-28 Cook Urological Inc. Medical device handle
KR20020090550A (ko) * 2001-05-28 2002-12-05 (주)에이치비메디컬스 모발 이식 장치
US20030097144A1 (en) * 2001-11-17 2003-05-22 Lee Hoon Bum Hair transplant device
US20040193203A1 (en) * 2003-03-26 2004-09-30 New Hair Institute Hair transplant device
KR20100105507A (ko) 2009-03-20 2010-09-29 사크하람 디. 마허커 바늘이 후퇴가능한 안전 혈액 샘플링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26202A1 (en) * 2000-05-18 2002-02-28 Cook Urological Inc. Medical device handle
KR20020090550A (ko) * 2001-05-28 2002-12-05 (주)에이치비메디컬스 모발 이식 장치
US20030097144A1 (en) * 2001-11-17 2003-05-22 Lee Hoon Bum Hair transplant device
KR20030040943A (ko) 2001-11-17 2003-05-23 (주)에이치비메디컬스 모발이식 장치
US20040193203A1 (en) * 2003-03-26 2004-09-30 New Hair Institute Hair transplant device
KR20100105507A (ko) 2009-03-20 2010-09-29 사크하람 디. 마허커 바늘이 후퇴가능한 안전 혈액 샘플링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04220A1 (ko) * 2016-06-27 2018-01-04 주식회사 덴티스 모발 이식 장치의 니들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9163B1 (ko) 2021-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0758B1 (ko) 식모기
USD887001S1 (en) Tattoo needle
KR101108922B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칸막이
JP2017511210A (ja) 髭剃カートリッジに解放可能に接続されるシェーバのためのハンドル
KR101806960B1 (ko) 식모기
DE602007005333D1 (de) Haarschneidemaschine
US9459062B2 (en) Magazine carrier
USD992754S1 (en) Pipette tip adapter assembly
USD898996S1 (en) Heart hair clip
USD907770S1 (en) Suturing needle
KR20170111276A (ko) 식모기
KR20160039977A (ko) 모발 이식 장치
KR100936739B1 (ko) 화장품 케이스
KR102304835B1 (ko) 모발 이식 장치
KR101524756B1 (ko) 슬라이딩 공간이 형성되는 풀의 캡
KR20180088950A (ko) 모발 이식 장치
JP2016053225A (ja) 裁縫用品保持具
JP4397968B1 (ja) コンパクト容器
TR201900888U5 (tr) Görünmez fermuar başlığı düzeneği yapısı.
WO2019064425A1 (ja) リムーバーセット
JP2017018554A (ja) バンドのアジャスト機構
USD878626S1 (en) Expansion trigger for a sampling device
USD850720S1 (en) Claw clip with elongated comb
JP3169792U (ja) バンドとアジャスト冶具のセット
TWI615106B (zh) 帶固定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