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6739B1 - 화장품 케이스 - Google Patents

화장품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6739B1
KR100936739B1 KR1020080058308A KR20080058308A KR100936739B1 KR 100936739 B1 KR100936739 B1 KR 100936739B1 KR 1020080058308 A KR1020080058308 A KR 1020080058308A KR 20080058308 A KR20080058308 A KR 20080058308A KR 100936739 B1 KR100936739 B1 KR 100936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housing
cosmetic case
moving
mi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8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32177A (ko
Inventor
이재갑
손동일
Original Assignee
(주)모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비테크 filed Critical (주)모비테크
Priority to KR1020080058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6739B1/ko
Publication of KR20090132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2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6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6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0Containers with movably mounted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6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 A45D33/008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comprising a mirr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4Casings for two or more cosmetic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2/00Hand, pocket, or shaving mirrors
    • A45D42/04Pocket or handbag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20Non-removable lids or covers linearly slid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콤팩트와 같은 화장품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거울을 인출하도록 하여 거울의 활용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화장품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품 케이스는, 베이스부재와 커버부재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화장품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재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외부로 슬라이딩되게 장착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에 장착된 제1거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장품 케이스, 슬라이드, 거울

Description

화장품 케이스 { Cosmetic case }
본 발명은 콤팩트와 같은 화장품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거울을 인출하도록 하여 거울의 활용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화장품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콤팩트 등의 화장품 케이스는, 화장품 수납홈이 형성된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힌지 결합된 커버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부재의 저면 즉 상기 베이스부재 방향으로는 거울이 장착되어 사용자가 메이크업을 하기 용이하게 되어 있다.
또한, 대부분의 화장품 케이스는 사용자가 커버부재를 베이스부재에 대해 약 100~150°로 개방한 후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그 이유는, 커버부재와 베이스부재가 이 각도 범위에 위치되어 있을 때, 사용자가 가장 편하게 메이크업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베이스부재와 커버부재에 후크와 같은 공지된 기술의 잠금장치가 장착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베이스부재와 커버부재를 의해 상호 체결 또는 분리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화장품 케이스는 상기 잠금장치를 해제한 후,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시켜 화장품 케이스를 개방한 후 사용하였으며, 사용후에는 상기 커버부재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화장품 케이스를 덮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화장품 케이스는 거울이 상기 커버부재의 저면에만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거울의 활용면적이 작아 불편한 점이 많았다.
또한, 메이크업을 할 때에는 다양한 거울 즉 볼록거울, 오목거울, 확대거울, 축소거울 등이 필요한 경우가 있는데, 상기 커버부재에는 저면에만 거울이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거울을 사용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화장품 케이스에 장착되는 거울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그 면적 및 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거울의 활용면적을 증대시키고, 다양한 거울을 내장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거울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화장품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화장품 케이스는, 베이스부재와 커버부재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화장품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재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외부로 슬라이딩되게 장착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에 장착된 제1거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장품 케이스는,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슬라이더에 탄성력을 부가하여 상기 슬라이더를 이동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이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슬라이더에 결합되되,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을 경우 압축된 상태로 배치되어 장착되고, 상기 화장품 케이스는,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한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부재는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은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슬라이더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을 경우 휘어져 압축된다.
상기 슬라이더에는 장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은 상기 장공에 슬라이딩되게 장착된다.
상기 장공은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더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상기 제1거울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는 제2거울이 장착된다.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외부로 노출된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와 슬라이더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누름부의 동작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제한 또는 해제하는 이동걸림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누름부에는 상기 이동걸림부재 방향으로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걸림부재에는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는 이동유도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 방향으로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더의 측면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1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누름부가 상기 이동걸림부재 방향으로 눌려지면, 상기 이동걸림부재는 상기 슬라이더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제1걸림홈으로부터 이탈된다.
상기 이동유도돌기에는 상기 수용홈방향으로 제1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돌기에는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방향으로 제2경사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이동걸림부재와 상기 하우징을 연결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화장품 케이스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제1거울이 장착된 슬라이더를 하우징에 슬라이딩되도록 장착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거울의 수 및 면적을 변경할 수 있어 거울의 활용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에 다양한 종류의 거울을 장착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른 다양한 거울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1거울이 슬라이더의 상면 및 저면에 장착되어 있어, 슬라이더만을 인출시키면 화장품 케이스를 열지않고도 거울을 볼 수 있다.
또한, 누름부를 누르면 압축되어 있던 탄성부재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1거울이 인출되기 때문에 거울을 사용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케이스의 커버부재의 일방향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케이스의 커버부재의 타방향 분해사시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케이스의 커버부재에서 슬라이더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작동과정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케이스에서 슬라이더가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장품 케이스는, 베이스부재(100)와, 커버부재(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부재(100)는 종래의 화장품 케이스의 베이스부재(100)와 동일, 유사한다.
즉, 상기 베이스부재(100)에는 화장품이 수납되는 수납부(1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부재(200)는 상기 베이스부재(100)의 상면에 상기 베이스부재(100)를 개폐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상기 커버부재(200)는 종래의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부재(100)에 힌지결합되거나,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베이스부재(100)와 커버부재(200)는 후크와 같은 종래의 공지된 잠금수단(300)에 의해 상호 체결 또는 분리되도록 한다.
상기 커버부재(200)는, 하우징(210)과, 슬라이더(220)와, 제1거울(227), 제2거울(217), 탄성부재(230), 스토퍼부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210)은 상기 커버부재(200)를 이루는 몸체와 같은 것으로써, 상기 하우징(210)은 상기 베이스부재(100)에 결합된다.
상기 하우징(210)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일방향으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220)가 인출되기 위한 개방공(213)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개방공(213)은 상기 하우징(210)과 상기 베이스부재(100)의 힌지 결합부위의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우징(210)과 상기 베이스부재(100)를 힌지결합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상기 하우징(210)은 상기 베이스부재(100)에 슬라이딩 결합하여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210)의 저면에는 상기 제2거울(217)이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우징(210)을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하우징(211)과 하부하우징(212)으로 분리하여 제작한 후 상호 결합되도록 하였다.
상기 제2거울(217)은 상기 하부하우징(212)의 저면에 결합되고, 상기 개방공(213)은 상기 상부하우징(211)에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더(220)는 두께가 얇은 평판과 같은 형상으로써,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서 상기 개방공(213)을 통해 외부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더(220)의 상면 및/또는 저면에는 상기 제1거울(227)이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더(220)가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2거울(217)만을 사용하지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220)가 상기 하우징(210)의 외부로 슬라이딩되어 인출된 경우에는 상기 제2거울(217)뿐만 아니라 상기 제1거울(227)도 함께 사용할 수 있어, 거울의 활용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거울(227)이 상기 슬라이더(220)의 상면 및 저면에 장착된 경우에는 상기 커버부재(200)를 상기 베이스부재(100)로부터 개방하지 않고도 상기 슬라이더(220)만을 상기 하우징(210)으로부터 인출시키면 상기 슬라이더(220)의 상면 및 저면에 장착된 제1거울(227)을 사용할 수 있어 화장품 케이스를 열지 않고도 거울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탄성부재(230)는 위와 같은 상기 슬라이더(220)를 자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써, 상기 탄성부재(2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10)에 장착되고 상기 슬라이더(220)에 탄성력을 부가하여 상기 슬라이더(220)를 이동시킨다.
상기 탄성부재(230)는 일반적인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부재(230)는 막대형상으로 형성하였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230)의 일단은 상기 하우징(210)의 하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슬라이더(220)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탄성부재(230)의 일단은 상기 하우징(210)의 개방공(213)의 반대방향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탄성부재(230)의 타단은 상기 개방공(213)을 통해 인출되는 상기 슬라이더(220)의 상부의 반대편인 하부에 인접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230)는 상기 슬라이더(220)가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을 경우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휘어져 압축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슬라이더(220)는 상기 탄성부재(2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방향으로 이동하려는 힘을 받는다.
이때, 휘어진 상기 탄성부재(230)가 배치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슬라이더(220)에는 탄성부재안착공(22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더(220)의 하부에는 장공(222)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장공(222)에는 상기 탄성부재(230)의 타단이 슬라이딩되도록 장착되어 있다.
상기 장공(222)은 상기 슬라이더(220)의 이동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부재(230)의 타단에 작용하는 탄성복원력을 상기 슬라이더(220)에 보다 많이 작용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탄성부재(230)의 타단에는 상기 장공(222)에 넓은 면적으로 접촉하는 가압이동부재(232)가 장착되고, 상기 가압이동부재(232)는 상기 장공(22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230)는 하나의 막대형상의 선재(線材, 와이어)를 사용할 수도 있고, 보다 큰 탄성력을 위하여 상기 탄성부재(230)는 다수개의 선재가 스크류 형상으로 상호 꼬여져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다수개의 선재를 배열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탄성부재(230)는 상기 슬라이더(220)의 탄성부재안착공(228)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거울(227)이 상기 슬라이더(220)의 상면과 저면에 각각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탄성부재(230)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탄성부재(230)의 탄성력에 의한 상기 슬라이더(220)의 이동을 제한하는 구성으로써, 누름부(240)와, 이동걸림부재(250)와, 스프링(26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누름부(240)는 상기 하우징(210)의 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누름부(240)에는 상기 이동걸림부재(250) 방향 즉 상기 슬라이더(220) 방향으로 수용홈(242)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걸림부재(250)는 상기 누름부(240)와 상기 슬라이더(220)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210)에 장착되고, 상기 누름부(240)의 동작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220)의 이동을 제한 또는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이동걸림부재(250)에는 상기 수용홈(242)에 삽입되는 이동유도돌기(252)가 상기 수용홈(242)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더(220) 방향으로 걸림돌기(254)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220)의 측면에는 상기 걸림돌기(254)가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더(220)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1걸림홈(224)과 제2걸림홈(226)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걸림홈(224)과 제2걸림홈(226)은 가이드레일홈(229)에 의해 상호 연결되도록 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걸림홈(224)은 상기 슬라이더(220)의 상단 즉 상기 탄성부재(230)로부터 멀리 떨어진 방향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걸림홈(226)은 상기 슬라이더(220)의 하단 즉 상기 탄성부재(230)로부터 가까운 방향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누름부(240)가 상기 이동걸림부재(250) 방향으로 눌려지면, 상기 이동걸림부재(250)는 상기 슬라이더(22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걸림돌 기(254)가 상기 제1걸림홈(224)으로부터 이탈됨으로써, 상기 이동걸림부재(250)가 상기 슬라이더(220)의 이동을 제한하고 있다가 해제하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230)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슬라이더(220)는 상기 걸림돌기(254)가 상기 제2걸림홈(226)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더(220)의 이동을 일정거리로 제한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유도돌기(252)에는 상기 수용홈(242)방향으로 제1경사면(25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돌기(254)에는 상기 슬라이더(220)의 이동방향으로 제2경사면(255)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210)에는 상기 제2경사면(255)에 접하는 제3경사면(315)이 형성된 안내턱(214)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슬라이더(220)의 이동시 상기 걸림돌기(254)의 제2경사면(255)이 상기 제3경사면(215)을 따라 상기 제1걸림홈(224)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걸림홈(224)에도 상기 제2경사면(255)에 대응되는 제4경사면(225)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254)가 상기 제3경사면(215)과 더불어 상기 제4경사면(225)을 따라 상기 제1걸림홈(224)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되도록 한다.
상기 스프링(260)은 상기 이동걸림부재(250)와 하우징(210)을 연결하고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누름부(240)에 의해 이동된 상기 이동걸림부재(250)를 원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이동걸림부재(250)는 상기 스프링(260)에 의해 상기 하우징(21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260)은 상기 이동걸림부재(250)의 이동방향의 반대방향에서 상기 하우징(210)과 연결되며, 상기 스프링(260)은 인장스프링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220)가 하우징(210)에 내장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상기 누름부(240)가 누려짐에 따라 상기 이동걸림부재(250)가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6은 상기 이동걸림부재(250)의 이동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220)가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 즉 화장품 케이스에서 상기 슬라이더(220)가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220)가 상기 하우징(210)에 내장된 상태에서는 상기 이동걸림부재(250)의 걸림돌기(254)가 상기 슬라이더(220)의 제1걸림홈(224)에 맞물려 있기 때문에, 상기 탄성부재(230)에서 탄성복원력이 상기 슬라이더(220)에 작용하더라도 상기 슬라이더(220)는 이동됨이 없이 일정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커버부재(200)를 열면, 상기 제2거울(217)만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슬라이더(220)에 장착된 제1거울(227)을 사용하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10)의 양측에 장착된 상기 누름부(240)를 누르 면, 상기 누름부(240)는 상기 이동걸림부재(25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누름부(240)가 상기 이동걸림부재(250)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수용홈(242)에는 상기 이동유도돌기(252)가 점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이동유도돌기(252)에는 상기 탄성부재(230)가 배치된 방향에서 상기 수용홈(242)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상기 제1경사면(253)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누름부(240)가 눌려짐에 따라 상기 이동유도돌기(252)는 상기 수용홈(242)에 삽입되면서 상기 제1경사면(253)과 상기 누름부(240)가 접하여 상기 이동걸림부재(250)는 상기 탄성부재(230)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이동걸림부재(250)가 상방향 즉 상기 탄성부재(230)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이동걸림부재(250)의 걸림돌기(254)는 상기 슬라이더(220)의 제1걸림홈(224)으로부터 이탈된다.
즉, 상기 이동걸림부재(250)가 상방향 즉 탄성부재(230)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하게 되면, 상기 걸림돌기(254)도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걸림돌기(254)에는 상기 탄성부재(230)의 방향에서 상기 하우징(210)의 측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상기 제2경사면(255)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이동걸림부재(250)는 상기 제2경사면(255)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2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안내턱(214) 및 상기 제1걸림홈(224)에는 상기 제2경사면(255)에 대응되는 제3경사면(215) 및 제4경사면(225)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이동걸림부재(250)의 상방향 이동시 상기 이동걸림부재(250)가 상기 슬라이더(220)로부터 쉽 게 멀어지면서 상기 걸림돌기(254) 상기 제1걸림홈(224)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되도록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상기 이동걸림부재(250)의 걸림돌기(254)가 상기 슬라이더(220)의 제1걸림홈(224)으로부터 이탈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220)는 압축된 상기 탄성부재(2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230)는 일단이 상기 하우징(210)에 고정 결합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슬라이더(220)의 장공(22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바, 휘어져서 압축되어 있던 상기 탄성부재(230)는 곧바로 펴지면서 상기 탄성부재(230)의 타단에 장착된 가압이동부재(232)를 통해 상기 슬라이더(220)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가압이동부재(232)는 상기 장공(222)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슬라이더(220)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슬라이더(220)가 일정거리까지 이동하면, 상기 걸림돌기(254)가 상기 가이드레일홈(229)을 따라 이동하다가 상기 제2걸림홈(226)에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더(220)의 이동거리를 일정거리로 제한한다.
한편, 상기 이동걸림부재(250)는 상기 스프링(260)에 의해 상기 하우징(210)에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 누름부(240)가 눌려짐에 따라 상기 이동걸림부재(250)가 이동하면 상기 스프링(260)은 인장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누름부(240)로부터 손을 떼면, 인장된 상기 스프 링(26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이동걸림부재(250)는 원위치로 다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260)에 의해 상기 이동걸림부재(250)가 원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걸림돌기(254)는 상기 제2걸림홈(226)에 더욱 강하게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더(22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가 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하우징(210)의 저면에 장착된 제2거울(217) 이외에, 상기 슬라이더(220)의 상면과 저면에 장착된 제1거울(227)을 사용할 수 있어, 거울의 활용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220)의 상면과 저면에 장착되는 상기 제1거울(227)을 각각 다른 종류의 거울로 장착함으로써,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거울을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220)를 상기 하우징(210)에 삽입하고자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슬라이더(220)를 상기 하우징(210) 방향으로 밀어 넣는다.
그러면, 상기 걸림돌기(254)가 상기 제1걸림홈(224)에 삽입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되어, 상기 슬라이더(220)를 상기 하우징(210)에 내장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인 화장품 케이스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케이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케이스의 커버부재의 일방향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케이스의 커버부재의 타방향 분해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케이스의 커버부재에서 슬라이더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작동과정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케이스에서 슬라이더가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베이스부재, 110 : 수납부, 200 : 커버부재, 210 : 하우징, 211 : 상부하우징, 212 : 하부하우징, 213 : 개방공, 214 : 안내턱, 215 : 제3경사면, 217 : 제2거울, 220 : 슬라이더, 222 : 장공, 224 : 제1걸림홈, 225 : 제4경사면, 226 : 제2걸림홈, 227 : 제1거울, 228 : 탄성부재안착공, 229 : 가이드레일홈,230 : 탄성부재, 232 : 가압이동부재, 240 : 누름부, 242 : 수용홈, 250 : 이동걸림부재, 252 : 이동유도돌기, 253 : 제1경사면, 254 : 걸림돌기, 255 : 제2경사면, 260 : 스프링, 300 : 잠금수단,

Claims (11)

  1. 베이스부재와 커버부재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화장품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재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외부로 슬라이딩되게 장착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에 장착된 제1거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케이스는,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슬라이더에 탄성력을 부가하여 상기 슬라이더를 이동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케이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이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슬라이더에 결합되되,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을 경우 압축된 상태로 배치되어 장착되고,
    상기 화장품 케이스 커버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한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케이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은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슬라이더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을 경우 휘어져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케이스.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에는 장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은 상기 장공에 슬라이딩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케이스.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장공은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화장품 케이스.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상기 제1거울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는 제2거울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케이스.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외부로 노출된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와 슬라이더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누름부의 동작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제한 또는 해제하는 이동걸림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케이스.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에는 상기 이동걸림부재 방향으로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걸림부재에는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는 이동유도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 방향으로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더의 측면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1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누름부가 상기 이동걸림부재 방향으로 눌려지면, 상기 이동걸림부재는 상기 슬라이더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제1걸림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케이스.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유도돌기에는 상기 수용홈방향으로 제1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돌기에는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방향으로 제2경사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케이스.
  11. 제 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이동걸림부재와 상기 하우징을 연결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케이스.
KR1020080058308A 2008-06-20 2008-06-20 화장품 케이스 KR100936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8308A KR100936739B1 (ko) 2008-06-20 2008-06-20 화장품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8308A KR100936739B1 (ko) 2008-06-20 2008-06-20 화장품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2177A KR20090132177A (ko) 2009-12-30
KR100936739B1 true KR100936739B1 (ko) 2010-01-15

Family

ID=41691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8308A KR100936739B1 (ko) 2008-06-20 2008-06-20 화장품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673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0041B1 (ko) 2011-08-11 2012-10-12 한국과학기술원 화장품 케이스
KR20180035183A (ko) * 2016-09-28 2018-04-0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WO2018062815A3 (ko) * 2016-09-28 2018-08-0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832B1 (ko) * 2012-02-23 2018-06-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102001035B1 (ko) * 2017-10-11 2019-07-19 대한민국 권총 탄피회수장치
CN112869331A (zh) * 2019-11-29 2021-06-01 艾斯克耐 用于提高密封性的滑动式化妆盒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3939Y1 (en) * 1985-11-23 1988-11-09 Shim Jae Hun Compact with redution mirror
US5054505A (en) 1990-05-08 1991-10-08 Yoshida Industry Co., Ltd. Facial compact having a storage space
KR200267483Y1 (ko) 2001-09-10 2002-03-09 주식회사 정민 슬라이드 방식의 잠금홀더를 갖는 화장품 케이스
KR200430442Y1 (ko) 2006-08-04 2006-11-10 김석린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3939Y1 (en) * 1985-11-23 1988-11-09 Shim Jae Hun Compact with redution mirror
US5054505A (en) 1990-05-08 1991-10-08 Yoshida Industry Co., Ltd. Facial compact having a storage space
KR200267483Y1 (ko) 2001-09-10 2002-03-09 주식회사 정민 슬라이드 방식의 잠금홀더를 갖는 화장품 케이스
KR200430442Y1 (ko) 2006-08-04 2006-11-10 김석린 화장품 용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0041B1 (ko) 2011-08-11 2012-10-12 한국과학기술원 화장품 케이스
KR20180035183A (ko) * 2016-09-28 2018-04-0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WO2018062815A3 (ko) * 2016-09-28 2018-08-0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101937371B1 (ko) * 2016-09-28 2019-01-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102406430B1 (ko) * 2016-09-28 2022-06-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2177A (ko) 2009-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6739B1 (ko) 화장품 케이스
US10138057B2 (en) Garbage can lid having garbage compressing mechanism and garbage can including the same
TWI253274B (en) Mobile phone
US9083105B2 (en) Cover module
KR100634116B1 (ko) 슬라이드식 핸드폰의 탄성부재
KR100824386B1 (ko) 슬라이드 힌지 장치
US7475690B2 (en) Mechanical eyelash curler
KR20060048434A (ko) 래치 기구
US10620508B2 (en) Optical accessories clip for mobile devices
KR20070056782A (ko)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드형 개폐장치
US20100323771A1 (en) Slide type electronic device
US8619032B2 (en) Mouse structure with retracting function
KR100975664B1 (ko)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0758543B1 (ko) 끈 결속장치
CN205624763U (zh) 鞋子连接装置
KR101503393B1 (ko) 슬라이딩형 도어 스톱퍼
KR100967382B1 (ko) 힌지 모듈
KR200387764Y1 (ko) 휴대용 데이터 저장 및 재생 장치
CN209798924U (zh) 一种排水阀的按钮组件
KR200417445Y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
KR20090109656A (ko) 슬라이드 이동하는 커버를 구비하는 휴대장치에 사용되는슬라이드 장치
KR10093919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
KR20060110960A (ko)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커버 록킹장치
KR20080077865A (ko) 슬라이더 모듈 및 힌지 장치
KR100741714B1 (ko) 수동조작 길이가 단축된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무선단말기의 슬라이드 힌지 모듈 및 이를 이용한무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