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1035B1 - 권총 탄피회수장치 - Google Patents

권총 탄피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1035B1
KR102001035B1 KR1020170130012A KR20170130012A KR102001035B1 KR 102001035 B1 KR102001035 B1 KR 102001035B1 KR 1020170130012 A KR1020170130012 A KR 1020170130012A KR 20170130012 A KR20170130012 A KR 20170130012A KR 102001035 B1 KR102001035 B1 KR 102001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plate
slide
pistol
cartridg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0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0654A (ko
Inventor
박태영
김대철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70130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1035B1/ko
Publication of KR20190040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0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CSMALLARMS, e.g. PISTOLS, RIFLES; ACCESSORIES THEREFOR
    • F41C27/00Accessories; Details or attach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5/00Accessories or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권총 사격 간 격발되어 탄환 발사시 방출되는 탄피를 간편하고 안전하게 회수할 수 있도록 한 권총 탄피회수장치(100)로, 상기 권총 탄피회수장치(100)는 권총의 방출구(11)가 형성된 슬라이드(10) 반대쪽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탈부착수단(200)이 설치되는 지지부(111)와 상기 지지부(111)의 상부에 조준선 정렬을 간섭하지 않고 수평으로 일체로 형성되며, 한쪽 부분이 개방형성된 수납함(112)이 형성되는 본체(110)와, 상기 수납함(112)에 삽입되어 양측단에 설치된 한 쌍의 제1 탄성체(T1)에 의해 일정한 거리로 이동되는 슬라이드판(120)과, 상기 슬라이드판(120) 일단에 형성된 경첩부(130)에 의해 회동되는 탄피 회수유도판(140)과, 상기 슬라이드판(120)을 수납함(112)으로부터 구속하거나 자유롭게 이동시키시 위한 락킹장치(15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권총 탄피회수장치{Pistol Cartridge Case collecting device}
본 발명은 권총 사격 간 격발되어 탄환 발사시 방출되는 탄피를 간편하고 안전하게 회수할 수 있도록 한 권총 탄피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권총을 구성하는 슬라이드에 형성되어 격발된 탄피 및 개스가 배출되는 배출구(extractor)에 탄피회수장치를 설치하여 격발되어 방출되는 탄피를 일정한 반경 내에 떨어트려 빠른 시간 내에 회수할 수 있도록 한 권총 탄피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국내에서는 개인화기 및 공용화기에서 사격 후 방출되는 탄피를 회수하기 위한 탄피수거장치를 대부분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는 탄피 및 실탄의 분실 및 유출을 방지함과 더불어, 회수된 자원의 재활용을 수행하기 위해 사격 후 탄두와 분리되어 외부로 방출되는 탄피를 전량 회수함으로써, 안전사고 예방 및 환경오염 방지를 위해 법으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각급 부대에서는 임의적인 형태로 탄피 회수기를 제작하여 K-1, K-2 등의 소총에 결합하여 탄피를 회수하거나, 또는 탄피가 낙하하는 지점에 소정 형상을 갖는 탄피 회수기를 위치시켜 사격 후 방출되는 탄피를 회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종래의 탄피 회수기는 탄피방출구에 탄성 고리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방식 또는 신축성 있는 밴드를 일단에 고정하고 타단에 부착한 걸고리에 고리를 걸어 고정하는 방식 등과 같이, 현재까지 여러 가지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 K-1, K-2, M16 등과 같은 소총 류에 한하여 개발되어 있고, 권총에는 현재까지 적용한 사례는 찾아볼 수가 없다.
권총은 통상 천 또는 플라스틱이나 가죽으로 된 홀스터라는 권총집에 보관하였다가 사격시 바로 꺼내서 격발해야 하기 때문 탄피회수장치를 설치할 수가 없다.
그 이유로는 윗총몸 내부에 위치한 노리쇠가 후퇴하며 가스 및 탄피가 방출되는 개인화기류와는 상이하게 권총은 슬라이드가 후퇴하며 가스 및 탄피가 방출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기존 방식으로는 탄피받이를 부착할 수가 없었다.
또한, 권총 사격시 격발에 의해 발생하는 탄피는 제각각 사격위치를 벗어난채 불규칙하게 비산하여 회수불능이거나 회수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1. 한국 실용신안 제20-1984-0002575호(1984.12.08 공보)
1.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6-0000716호(2016.03.03 공개)
1. 유럽특허 특허 EP 02875990 (2016.09.07 공고)
1. 한국 특허공보 제10-0813700호 (2008.03.07 공고)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권총을 구성하는 슬라이드에 형성되어 격발된 탄피 및 가스가 방출되는 방출구(extractor)에 탄피회수장치를 설치하여 격발되어 방출되는 탄피를 일정한 반경 내에 떨어트려 신속하게 회수할 수 있도록 한 권총 탄피회수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권총의 슬라이드에 형성되어 격발된 탄피 및 가스가 배출되는 방출구에 탄피회수장치(100)가 설치되어 격발된 탄피를 일정한 반경 내에 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탄피회수장치(100)는;
권총의 방출구(11)가 형성된 슬라이드(10) 반대쪽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탈착수단(200)이 설치되는 지지부(111)와 상기 지지부(111)의 상부에 수평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한쪽 부분이 개방형성된 수납함(112)이 형성되는 본체(110); 및
상기 수납함(112)에 삽입되어 양측단에 설치된 한 쌍의 제1 탄성체(T1)에 의해 일정한 거리로 이동되는 슬라이드판(120); 및
상기 슬라이드판(120) 일단에 형성된 경첩부(130)에 의해 회동되는 탄피 회수유도판(140); 및
상기 슬라이드판(120)을 수납함(112)으로부터 구속하거나 자유롭게 이동시키시 위한 락킹장치(15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락킹장치(150)는;
일부가 상기 수납함(112) 외측에 설치되는 누름부(151); 및
상기 누름부(151)와 수평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슬라이드 로드(152); 및
상기 슬라이드 로드(152) 일단 부근에 수직으로 돌출형성된 후크(153); 및
상기 후크(153)에 걸어맞춤되어 제1 탄성체(T1)에 의해 탄발되는 슬라이드판(120) 중앙 끝단에 형성되는 걸림홈(121)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드 로드(152)는 상기 누름부(151) 근방에 형성된 가이드구멍(154)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111)에 돌출 형성된 스토퍼(111a)에 의해 이동거리가 제한되고, 타측 단은 제2 탄성체(T2)에 의해 반발력있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권총 탄피회수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첫째, 사격시 탄피를 일정한 반경 내에 모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속하게회수할 수가 있다.
둘째, 정확한 탄피 회수를 통해 안전사고 및 환경오염 등의 2차 피해를 방지할 수가 있다.
셋째, 탄피회수장치를 탈부착 가능하게 함으로써, 원하는 권총에 옮겨서 사용이 가능하다.
넷째, 무게 및 부피가 최소화되어 보관이 용이하고 조준 및 사격시 사격자에게 불편함이 없도록 하였다.
다섯째, 부피 및 크기를 슬라이드에 형성된 방출구의 폭과 높이에 맞춤으로써, 조준선 정렬간 가늠자나 가늠쇠의 간섭을 방지할 수가 있다.
여섯째, 탄피회수장치가 결합된 채 홀스터에 보관이 가능하며 사격시 원터치 방식으로 탄피 및 가스배출 공간이 확보되어 신속성과 휴대성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탄피회수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의 (a)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권총 탄피회수장치의 조립된 사시도로써,
(a)는 정면사시도이고, (b)는 배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권총 탄피회수장치를 위에서 본 평면도로 설명하기 쉽게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권총 탄피회수장치의 동작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권총 탄피회수장치가 권총의 슬라이드에 장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권총 탄피회수장치가 권총에 장착되어 탄피가 떨어지는 상태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총(1)의 슬라이드(10)에 형성되어 격발된 탄피 및 가스가 배출되는 방출구(11)에 탄피회수장치(100)가 설치되어 격발된 탄피를 일정한 반경 내에 떨어지도록 한 것으로, 상기 탄피회수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수납함(112)이 형성되는 본체(110), 상기 수납함(112) 내에 설치되는 슬라이드판(120), 상기 슬라이드판(120)의 일단에 설치되는 탄피 회수유도판(140), 락킹장치(15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측면에서 보면 대략 "ㄱ"자 형상의 본체(11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10)를 이루는 수평 부분은 수납함(112)이고, 이 수납함(112) 일측단 즉 수직 부분은 지지부(111)이다.
상기 수납함(11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이빈 중공형상을 이루며, 전면이 개구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납함(112)의 두께와 넓이는 권총의 슬라이드(10)에 형성된 방출구(11)와 같거나 약간 작게 제작된다. 이는 사격시 가늠자(Rear Sight) 및 가늠쇠(Front Sight)(도시하지 않음)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다.
또한, 상기 수납함(112)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긴 가이드구멍(112a)이 형성되어 있고, 지지부(111)와 맞닿는 쪽에 락킹장치(150)를 이루는 슬라이드 로드(152)가 삽입되기 위한 구멍(112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멍(112b) 쪽에 즉, 수납함 내측 양측 단에 스프링 받이부(112c)가 개구부 쪽을 향해 각각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111) 일단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지지부(111)는 세로로 긴 직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전면에 탈부착수단(200)을 구성하는 자성체가 삽입고정되기 위한 삽입부(111a)가 형성되어 있으며, 배면은 속이 빈 상태로 상단에는 락킹장치(150) 및 제2 탄성체(T2)가 설치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되고, 각 모서리 쪽 근방에 돌기(111b)가 형성되어 마구리판(300)의 전면 네모서리부근에 형성된 고정고정보스(301)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자성체는 자력이 강한 네오디옴자석을 이용하여 금속재로된 권총에 탈부착이 쉽도록 하였다.
이때, 비금속제의 권총인 경우 탈부착수단(200)을 암수벨크로 또는 접착력이 우수한 양면테이프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수납함(112)에 설치되어 슬라이드 동작하는 슬라이드판(120)은 얇은 사각형상의 판으로 양단에 즉, 상기 수납함(112) 내에 형성된 스프링 받이부(112c)와 동일한 넓이를 가지는 스프링 고정부(123)가 각각 형성되어 제 1탄성체(T1)가 삽입된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스프링 고정부(123)와 스프링 받이부(112c) 사이에 제 1탄성체(T1)가 설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 탄성체(T1,T2)는 압축스프링이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판(120)의 전면에는 경첩부(130)가 설치되는데. 이 경첩부(130)는 일반적인 경첩부와 극히 유사한 형태로 구성된다. 즉, 길이방향으로 긴축(131)과, 토션스프링(132)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판(120) 전면 양단에 돌출형성된 제 1축받이(122)와 하기에 언급되는 탄피 회수유도판(140)의 전면에 돌출형성된 제2 축받이(141)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판(120)의 중앙에는 락킹장치(150)를 구성하는 후크(153)가 걸어맞춤되기 위한 걸림홈(121)이 형성된다.
또, 상기 걸림홈(121) 부근 상면에는 사격 후 원위치시키기 위한 스토퍼겸용 손잡이(112d)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겸용 손잡이(112d)는 슬라이드판(12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 슬라이드판(120)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탄피 회수유도판(140)은 금속판으로 상기 슬라이드판(120)과 동일한 면적과 크기를 가지며 전면에 제2 축받이(141)가 돌출형성된다.
상기 탄피 회수유도판(140)을 반드시 금속판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강도와 경질의 제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즉,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을 사용할 수도 있다.
특히, 금속판을 사용할 경우 알루미늄을 경질공정을 거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와 같은 경질공정은 알루미늄 자체에 전기 또는 화학적 방법으로 산화시켜 표면에 얇은 막을 생성하여 코팅함으로써, 충격에 쉽게 찌그러지는 단점을 보완하고, 스테인리스 보다 약 1.4배 강도가 높으며, 쉽게 닳거나 부식되지 않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광택, 다양한 착색이 가능하여 장식효과를 내기 좋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락킹장치(1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가 상기 수납함(112) 외측에 설치되는 누름부(151)와, 상기 누름부(151)와 수평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슬라이드 로드(152) 및 상기 슬라이드 로드(152) 일단 부근에 수직으로 돌출형성된 후크(153) 및 상기 후크(153)에 걸어맞춤되어 제1 탄성체(T1)에 의해 탄발되는 슬라이드판(120) 중앙 끝단에 형성되는 걸림홈(121)을 포함한 구성이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로드(15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누름부(151) 근방에 형성된 가이드구멍(154)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111)에 돌출 형성된 스토퍼(111a)에 의해 이동거리가 제한되고, 타측 단은 제2 탄성체(T2)에 의해 반발력있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탄피회수장치(100)는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총(1)의 슬라이드(10)에 형성되어 격발된 탄피 및 가스가 배출되는 방출구(11)에 설치되어 있다.
사격시 사격수는 권총을 홀스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권총을 뽑아서 사격하게 되는 데,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장치(150)를 구성하는 누름부(151)를 누르면 수납부(112)에 수납되어 있던 슬라이드판(120)이 제1 탄성체(T1)의 탄발력에 의해 도 6에 도시된 화살표 a 방향으로 튀어 나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격을 하게 되면, 방출구(11)로부터 방출된 탄피는 탄피 회수유도판(140)에 부착된 토션스프링(132)의 탄성으로 반발력이 흡수되어 탄피 방출구(11)로 다시 들어가지 않고 일정한 반경내로 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격수가 사격을 마친 후 탄피를 바로 회수할 수가 있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도 3을 참조하여 작동방법을 설명하면, 제일 먼저 락킹장치(150)를 구성하는 누름부(151)를 화살표 방향으로 누르게 되면, 슬라이드 로드(152) 일단 부근에 수직으로 돌출형성된 후크(153)가 슬라이드판(120)에 형성된 걸림홈(121)으로부터 이탈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 로드(152) 제2 탄성체(T2)를 압축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드 로드(152)의 이동거리는 슬라이드 로드(152)에 형성된 가이드구멍(154)이 상기 지지부(111)에 돌출 형성된 스토퍼(111a)에 의해 제동되는 거리이다.
상기 슬라이드 로드(152)가 원위로 복귀됨과 동시에, 후크(153)로부터 해제된 슬라이드판(120)은 제1 탄성체(T1)의 탄발력에 의해 앞으로 튀어나가게 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 로드(152) 일단에 경첩부(13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탄피 회수유도판(140)은 항상 직각 즉 "ㄱ"형상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격수가 사격하게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피가 탄피 회수유도판(140)에 부딪혀 일정한 반경 내에서 포집된다.
사격이 끝나게 되면, 상기 슬라이드판(120)에 형성된 스토퍼겸용 손잡이(112d)를 락킹장치(150) 쪽으로 밀면 걸림홈(121)이 후크(153)에 걸리게 된다.
이때, 탄피회수장치(100)는 슬라이드(10)에 항상 "П"상태로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홀스터에 삽입 시 간섭 없이 권총을 집어 넣을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상이한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정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권총 2 : 탄피
10 : 슬라이드 11 : 방출구
100 : 탄피회수장치 110 : 본체
111 : 지지부 111a : 스토퍼
112 : 수납함 112a : 긴가이드구멍
112b : 구멍 112c : 스프링 받이부
112d : 스토퍼겸용 손잡이 120 : 슬라이드판
121 : 걸림홈 122 : 제 1축받이
123 : 스프링 고정부 130 : 경첩부
131 : 긴축 132 : 토션스프링
140 : 탄피 회수유도판 141 : 제2 축받이
150 : 락킹장치 151 : 누름부
152 : 슬라이드 로드 153 : 후크
200 : 탈부착수단 300 : 마구리판

Claims (7)

  1. 권총의 슬라이드에 형성되어 격발된 탄피 및 가스가 배출되는 방출구에 탄피회수장치(100)가 탈부착수단(200)에 의해 고정설치되어 격발된 탄피를 일정한 반경 내에 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총 탄피회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피회수장치(100)는;
    지지부(111)와 상기 지지부(111)의 상부에 가늠자 및 가늠쇠의 돌출 높이를 고려하여 조준선 정렬에 간섭이 되지 않도록 수평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한쪽 부분이 개방형성된 수납함(112)이 형성되는 본체(110);,
    상기 수납함(112)에 삽입되어 양측 단에 설치된 한 쌍의 제1 탄성체(T1)에 의해 일정한 거리로 이동되어 탄피 및 가스방출공간을 확보하는 슬라이드판(120);,
    상기 슬라이드판(120) 일단에 형성된 경첩부(130)에 의해 회동되는 탄피 회수유도판(140); 및
    상기 슬라이드판(120)을 상기 수납함(112)으로부터 구속하거나 자유롭게 이동시키기 위한 락킹장치(150);를 포함하며,
    상기 락킹장치(150)는 일부가 상기 수납함(112) 외측에 설치되는 누름부(151), 상기 누름부(151)와 수평으로 일체로 형성된 슬라이드 로드(152), 상기 슬라이드 로드(152) 일단 부근에 수직으로 돌출형성된 후크(153), 상기 후크(153)에 걸어맞춤되어 상기 제1 탄성체(T1)에 의해 탄발되는 슬라이드판(120) 중앙 끝단에 형성되는 걸림홈(121), 상기 누름부(151) 근방에 형성된 가이드 구멍(154)으로 구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로드(152)는 상기 지지부(111)에 돌출 형성된 스토퍼(111a)에 의해 이동거리가 제한되고 타측 단은 제2 탄성체(T2)에 의해 반발력 있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락킹장치(150);이며,
    상기 지지부(111)에 권총의 방출구(11)가 형성된 슬라이드(10) 반대쪽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상기 탈부착수단(2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총 탄피회수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수단(200)은 네오디뮴 자석 또는 암수벨크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총 탄피회수장치.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피 회수유도판(140)의 재질이 금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총 탄피회수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은 경질공정을 거친 알루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총 탄피회수장치.
KR1020170130012A 2017-10-11 2017-10-11 권총 탄피회수장치 KR102001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0012A KR102001035B1 (ko) 2017-10-11 2017-10-11 권총 탄피회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0012A KR102001035B1 (ko) 2017-10-11 2017-10-11 권총 탄피회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0654A KR20190040654A (ko) 2019-04-19
KR102001035B1 true KR102001035B1 (ko) 2019-07-19

Family

ID=66283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0012A KR102001035B1 (ko) 2017-10-11 2017-10-11 권총 탄피회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1035B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33728A (en) * 1971-08-12 1973-05-22 J Kuslich Shell catcher for repeating firearms
KR840002575Y1 (ko) 1982-12-22 1984-12-08 이주원 소총의 탄피 받이
KR100813700B1 (ko) 2007-03-14 2008-03-14 (주)케이엠앤아이 접이식 차량용 리클라이너
US7493720B1 (en) * 2007-04-02 2009-02-24 Householder Melvin E Spent ammunition cartridge case deflector
KR100936739B1 (ko) * 2008-06-20 2010-01-15 (주)모비테크 화장품 케이스
CN104487281B (zh) 2012-07-23 2016-08-24 约翰逊控制技术公司 车辆座椅
KR20160000716U (ko) 2014-08-22 2016-03-03 천진영 기관총용 탄피받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0654A (ko) 2019-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46843B2 (en) Extendable slide member for pistol slide
US9239207B2 (en) Extendable slide member for pistol slide
US10393468B2 (en) Ambidextrous lower receiver for an automatic rifle
US5588241A (en) High capacity conversion magazine
US6293040B1 (en) Interchangeable weapon receiver for alternate ammunition
RU2231013C1 (ru) Способ приведения пистолета в боевую готовность и кобура (варианты)
US7219462B2 (en) Receiver assembly for firearm
US7644845B2 (en) Security holster for pistols with attached utility device
US10371478B2 (en) Bench block to aid in disassembling and cleaning a handgun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US20160370138A1 (en) Spring-adjustment assembly of firearm magazine
US10126079B2 (en) Folding pocket pistol
US20100287806A1 (en) Magazine release for use with pistol
US9347726B1 (en) Striker style firearm with improved mechanical function
US10845143B2 (en) Self-releasing magazine and follower assembly thereof for firearms
US20120260791A1 (en) Novel Improvements for KRISS-type Firearm and Magazines for these Firearms
US2997803A (en) Removable magazine unit for bolt action rifle
US9791250B1 (en) Quick release carrier for ammunition magazines
US6530169B1 (en) Toggle action see through shotgun shell catcher
US4138044A (en) Pistol charging holster
KR102001035B1 (ko) 권총 탄피회수장치
WO2021040638A1 (en) Folding stock assembly for firearms
KR100961285B1 (ko) 약실 개폐가 가능한 탄피받이
US9372042B2 (en) Magazine carrier for firearms
US20190033027A1 (en) Folding pocket pistol
TWM522336U (zh) 槍機後定的槍體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