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9451A - 진공 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9451A
KR20160039451A KR1020140132547A KR20140132547A KR20160039451A KR 20160039451 A KR20160039451 A KR 20160039451A KR 1020140132547 A KR1020140132547 A KR 1020140132547A KR 20140132547 A KR20140132547 A KR 20140132547A KR 20160039451 A KR20160039451 A KR 20160039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voltage
time
suction motor
reference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2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5808B1 (ko
Inventor
이창훈
손구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2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5808B1/ko
Priority to CN201510531562.3A priority patent/CN105476542A/zh
Priority to US14/852,421 priority patent/US11213178B2/en
Priority to EP15187700.8A priority patent/EP3001940B1/en
Publication of KR20160039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9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5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5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84Details of arrangements of batteries or their instal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47L9/2831Motor parameters, e.g. motor load or spe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42Suction motors or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78Dual-powered vacuum cleaners, i.e. devices which can be operated with mains power supply or by batteri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1/00Automatic controllers
    • G05B11/01Automatic controllers electr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흡입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흡입 모터를 구비하는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와 연통되며, 공기와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부; 상기 흡입 모터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배터리 관리 장치; 및 상기 흡입 모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배터리 관리 장치에서 감지된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기준 전압에 도달하면, 상기 흡입 모터를 정지시키며, 상기 기준 전압은 변경될 수 있다.

Description

진공 청소기{Vacuum cleaner}
본 명세서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흡입 모터에 의하여 발생되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한 다음, 본체 내부에서 먼지를 필터링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진공 청소기는 수동 청소기와 자동 청소기로 구분된다. 수동 청소기는 사용자가 직접 청소를 수행하여야 하는 청소기이고, 자동 청소기는 스스로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청소기이다.
상기 수동 청소기는, 흡입 노즐이 본체와는 별도로 구비되어 연결관에 의해 연결되는 캐니스터 방식과, 흡입 노즐이 본체와 결합되는 업라이트 방식으로 구별할 수 있다.
선행문헌인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6-0118796호(공개일 2006.11.24.)에는 청소기의 전원코드 인출구가 개시된다.
선행문헌에는 본체 내에 코드릴어셈블리가 구비되고, 전원코드를 콘센트에 연결함으로써, 상기 본체가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선행문헌의 경우 코드릴어셈블리에 의해서 청소기가 전원을 공급받으므로, 청소기를 이용하여 청소 수행 시 청소기는 코드릴어셈블리에 감긴 코드의 길이 만큼 이동할 수 있으므로, 청소에 제약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이 편리한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의 사용 횟수 증가에 따라 배터리 사용시간이 줄어드는 것이 최소화되는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흡입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흡입 모터를 구비하는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와 연통되며, 공기와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부; 상기 흡입 모터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배터리 관리 장치; 및 상기 흡입 모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배터리 관리 장치에서 감지된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기준 전압에 도달하면, 상기 흡입 모터를 정지시키며, 상기 기준 전압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는 다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감지 장치는, 상기 다수의 배터리 셀 각각에서 상기 흡입 모터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다수의 배터리 셀 각각의 방전을 관리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 감지 장치는 상기 다수의 배터리 셀 각각의 전압을 감지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다수의 배터리 셀 중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의 전압이 상기 기준 전압 이하가 되면, 상기 흡입 모터를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감지 장치는 상기 다수의 배터리 셀 각각의 전압을 감지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다수의 배터리 셀 전체의 전압이 상기 기준 전압 이하가 되면, 상기 흡입 모터를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기준 전압의 변경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기준 전압을 제1전압에서 상기 제1전압 보다 낮은 제2전압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전압은 상기 배터리 셀 전체의 전압의 75% 이상인 전압 또는 상기 배터리 셀 각각의 최대 전압의 75% 이상인 전압일 수 있다.
또하, 상기 제2전압은 상기 배터리 셀 전체의 전압의 45% 이상인 전압 또는 상기 배터리 셀 각각의 최대 전압의 45% 이상인 전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배터리의 사용횟수가 기준횟수를 초과하는 경우에 기준 전압의 변경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배터리의 누적사용시간이 기준누적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 기준 전압의 변경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배터리의 방전 시, 방전 시간에 따른 전압 감소율이 기준율 보다 큰 경우 기준 전압의 변경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 시, 충전 시간에 따른 전압 증가율이 기준율 보다 큰 경우, 상기 배터리의 기준 전압의 변경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 시, 일정 전류량 충전 시의 충전 시간이 기준충전시간 보다 작은 경우, 상기 배터리의 기준 전압의 변경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배터리의 방전 시, 상기 배터리의 1회 사용가능시간이 기준사용시간 이하가 되면, 상기 배터리의 기준 전압의 변경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청소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기; 및 상기 충전기로부터 출력된 전압을 승압시켜 상기 배터리로 공급하는 승압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청소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청소기 본체로 상용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코드; 및 상기 청소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는 충전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 모터가 정지되는 경우, 충전이 필요함을 알리기 위한 표시부 또는 음성이 출력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배터리로부터 흡입 모터로 전원이 공급되므로, 상기 진공 청소기의 이동 자유도가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진공 청소기가 코드릴을 구비하지 않고,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므로, 상기 진공 청소기의 이동 거리에 제한이 없고, 상기 진공 청소기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코드릴을 타고 넘거나 코드릴을 정리하면서 이동할 필요가 없으므로 이동이 원활한 장점이 있다.
또한, 흡입 모터가 동작할 때, 상기 배터리를 완전히 방전시키지 않고, 다수의 배터리 셀 중 하나 이상의 셀의 전압이 기준 전압 이하가 되면, 흡입 모터를 정지시키므로, 배터리의 사용과정에서 배터리 온도 상승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의 온도 상승이 제한되면, 고온에 의한 배터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의 온도 상승이 제한되므로, 상기 진공 청소기의 동작 종료 후에 상기 배터리를 바로 충전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흡입 모터가 동작할 때, 상기 배터리를 완전히 방전시키지 않고, 다수의 배터리 셀 중 하나 이상의 셀의 전압이 기준 전압 이하가 되면, 흡입 모터를 정지시키므로, 상기 배터리의 한 번 사용 시의 배터리의 방전 량이 줄어들게 되어 상기 배터리의 수명이 길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흡입 모터의 정지 시기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전압을 변경함에 따라서 배터리 사용가능시간이 증가되어 배터리의 수명이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본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사용횟수에 따른 흡입 모터의 제어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배터리 사용횟수에 따른 흡입 모터 사용가능시간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진공 청소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1)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 모터(160)를 구비하는 청소기 본체(10)와, 상기 본체(10)로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안내하는 흡입장치(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장치(20)는, 청소면 일 예로 바닥면의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부(21)와, 상기 흡입부(21)를 상기 청소기 본체(10)에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부(22, 23, 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2, 23, 24)는, 상기 흡입부(21)에 연결되는 연장관(24)과, 상기 연장관(24)에 연결되는 핸들(22)과, 상기 핸들(22)을 상기 본체(10)에 연결시키는 흡입호스(2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공 청소기(1)는, 상기 흡입장치(20)에서 흡입된 공기와 먼지를 서로 분리시키는 먼지 분리부(미도시)와, 상기 먼지 분리부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하는 먼지통(1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먼지통(110)은 상기 청소기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먼지 분리부는 상기 먼지통(110)과 별도의 물품으로 제조되거나 상기 먼지통(110)과 하나의 모듈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진공 청소기(1)는, 상기 흡입 모터(160)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20)와, 상기 배터리(120)를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기(140)와, 상기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본체(10)로 상용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코드(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코드(30)는 콘센트에 연결되는 플러그(31)와, 상기 청소기 본체(10)에 연결되는 제1커넥터(3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청소기 본체(10)는 상기 제1커넥터(32)가 연결되는 본체 커넥터(1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청소기 본체(10)는, 제1바디(101)와, 상기 제1바디(101)의 하측에 결합되는 제2바디(10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103)의 양측에는 각각 바퀴(105)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103)에는 상기 흡입 모터(160), 배터리(120) 및 상기 충전기(14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흡입 모터(160)는 모터 하우징(162)에 의해서 보호될 수 있다. 즉, 상기 모터 하우징(162) 내에 상기 흡입 모터(160)가 수용될 수 있다.
이 때, 공간 효율을 위하여 상기 모터 하우징(162)의 측방, 즉 흡입 모터(160)의 측방에 상기 배터리(120)가 위치될 수 있다.
다수의 바퀴(105) 사이에 상기 흡입 모터(160)와 상기 배터리(120)가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바퀴(105) 중 어느 한 바퀴와 상기 흡입 모터(160) 사이에 상기 배터리(120)가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충전기(140)는 상기 배터리(120)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배터리(120)가 상기 흡입부(21)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 경우에는 상기 연결부(20)가 상기 배터리(120)을 전원을 상기 청소기 본체(1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먼지통(110)은 상기 제1바디(10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바디(101)에 상기 제2커넥터(10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120)는, 다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배터리 셀은 충전 및 방전 가능한 2차 전지일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배터리 셀은 직렬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배터리(120)에 충전될 수 있는 최대 충전 전압은(다수의 배터리 셀의 전압의 합임) 일 예로 42.4V를 초과하는 값을 갖는다. 일 예로 상기 배터리(120)의 최대 충전 전압은 84.8V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충전기(140)는 정류 및 평활 동작을 수행하여, 상용 교류 전압을 인가받아 직류 전압 형태로 변환한다. 그리고, 상기 충전기(140)는 변환된 직류 전압을 상기 배터리(120)으로 공급한다. 일 예로 상기 충전기(140)는 220V 상용 교류 전압을 42.4V를 초과하는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강압함) 상기 배터리(120)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충전기(140)는, 입력된 교류 전압을 변압시키기 위한 변압기(141)와, 상기 변압기(141)에서 출력된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AC-DC 컨버터(1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AC-DC 컨버터(142)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압은 42.4V를 초과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AC-DC 컨버터에서 출력된 직류 전압을 상기 변압기가 변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상기 변압기(141)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압이 42.4V를 초과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충전기(140)가 변압기를 구비하지 않고, 상기 AC-DC 컨버터(142)가 직류 전압이 교류 전압으로 변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회로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AC-DC 컨버터(142)가 절연형 컨버터인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 예에서 AC-DC 컨버터는 공지의 구성이 사용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흡입 모터(160)는 일 예로 BLDC 모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 모터(160)의 최대 출력은 일 예로 600W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배터리(120)의 최대 충전 전압이 42.4V 이하인 경우, 고출력의 흡입 모터(160)를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전류가 최소 14.15A 이상이어야 하므로 상기 흡입 모터(160)를 구동하기 위하여 필요한 회로 구성이 복잡한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배터리(120)에 충전된 최대 전압이 84.8V 이상이므로, 상기 흡입 모터(160)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최소 전류가 대략 7.1A 보다 작을 수 있어, 상기 흡입 모터(160)를 구동하기 위하여 필요한 회로 구성이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충전기(140)에서 42.4V를 초과하는 직류 전압이 출력되고, 상기 배터리(120)의 최대 충전 전압이 84.8V 이상이므로 상기 흡입 모터(160)가 고출력을 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진공 청소기(1)의 흡입력이 증가되어 청소 성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전원코드(30)는 상기 배터리(120)의 충전 시에 상기 진공 청소기(1)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진공 청소기(1)를 이용하여 청소 시에는 상기 전원코드(30)를 상기 진공 청소기(1)에서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기 진공 청소기(1)의 이동 자유도가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진공 청소기(1)가 코드릴을 구비하지 않고, 상기 배터리(1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므로, 상기 진공 청소기(1)의 이동 거리에 제한이 없고, 상기 진공 청소기(1)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코드릴을 타고 넘거나 코드릴을 정리하면서 이동할 필요가 없으므로 이동이 원활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배터리(120)가 상기 본체 연결부(10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배터리(120)의 최대 충전 전압이 84.8V 이상이므로, 상기 변압기(141)가 없다면 사용자가 상기 본체 연결부(102)를 접촉하는 것에 의해서 사용자가 위험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충전기(140)가 변압기(141)를 포함하기 때문에 상기 변압기(141)가 절연 역할을 하게 되어 사용자의 안전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진공 청소기(1)는, 배터리 관리 장치(Battery management system: BMS)(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관리 장치(130)는, 상기 다수의 배터리 셀 각각의 상태를 감지하여 컨트롤러(15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배터리 관리 장치(130)는 상기 다수의 배터리 셀 각각의 전압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관리 장치(130)는 상기 다수의 배터리 셀 각각의 충전 시 또는 방전 시 상기 다수의 배터리 셀 간의 전압이 고르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배터리 관리 장치(130)는 상기 다수의 배터리 셀 각각에서 상기 흡입 모터(160)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다수의 배터리 셀 각각의 방전을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150)는 상기 흡입 모터(16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120)의 전압에 따라 상기 흡입 모터(16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진공 청소기(1)는 유저 인터페이스(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170)는 상기 진공 청소기(1)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고, 상기 진공 청소기(1)의 동작 정보 또는 상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170)는 상기 핸들(22) 및 본체(10)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170)는, 입력부와 표시부가 일체로 구비되는 형태로 제공되거나, 별개의 입력부와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170)는 음성 또는 음향이 출력되는 알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진공 청소기(1)의 전원 온 선택, 청소 모드, 흡입력의 세기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적어도 상기 배터리(120)의 잔량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흡입력 세기는 강(흡입력이 최대인 경우임), 중, 약(흡입력이 최저인 경우임)으로 단계적으로 설정될 수 있고,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흡입 모터의 흡입력 세기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는 흡입력 세기가 세 단계로 조절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흡입력 세기를 구분하는 단계의 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컨트롤러(150)는 상기 배터리(120)의 잔량에 기초하여 상기 흡입 모터(160)의 정지 시기를 결정할 수 있다. 흡입 모터의 제어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컨트롤러(150)는 상기 배터리(120)의 잔량이 기준 전압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표시부에서 상기 배터리(120)의 충전이 필요함을 알리기 위한 정보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기준 전압은 메모리(180)에 저장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배터리(120)의 잔량을 연속적 또는 단계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배터리(120)의 잔량을 숫자 또는 기호, 또는 그래프 형태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표시부는 다수의 발광부를 포함하며 다수의 발광부의 온 개수를 달리하여 상기 배터리(120)의 잔량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표시부는 발광부에서 조사되는 빛의 색상을 달리하여 상기 배터리(120)의 잔량을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사용횟수에 따른 흡입 모터의 제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170)를 통하여 청소 시작 명령이 입력될 수 있고, 흡입 모터의 흡입력 세기가 선택될 수 있다(S11).
상기 컨트롤러(150)는 선택된 흡입 모터(160)의 흡입력 세기로 상기 흡입 모터(160)를 동작시킨다(S12).
그러면, 상기 배터리(120)에서 상기 흡입 모터(160)로 전원이 공급된다.
상기 흡입 모터(160)가 동작하면, 상기 컨트롤러(150)는 상기 배터리(120)의 기준전압 변경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3).
본 명세서에서, 상기 컨트롤러(150)는 상기 배터리(120)의 사용횟수(충전 횟수 또는 방전 횟수임)가 기준횟수를 초과하는 경우에 기준전압 변경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120)의 사용횟수는 메모리(180)에 저장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컨트롤러(150)는 상기 배터리(120)의 누적사용시간(일 예로 누적방전시간)이 기준누적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 기준전압 변경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80)는 상기 배터리(120) 방전 시의 방전 시간이 누적되어 저장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컨트롤러(150)는 상기 배터리(120)의 방전 시, 방전 시간에 따른 전압 감소율이 기준율 보다 큰 경우 기준전압 변경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메모리(180)에는 이전 청소 시의 상기 배터리(120)의 방전 시간에 따른 전압 감소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컨트롤러(150)는 상기 메모리(180)에 저장된 상기 배터리(120)의 방전 시간에 따른 전압 감소율과 상기 기준율과 비교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컨트롤러(150)는 상기 배터리(120)의 충전 시, 충전 시간에 따른 전압 증가율이 기준율 보다 큰 경우, 상기 배터리(120)의 기준전압 변경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메모리(180)에는 이전의 배터리의 충전 시의 상기 배터리(120)의 충전 시간에 따른 전압 증가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컨트롤러(150)는 상기 메모리(180)에 저장된 상기 배터리(120)의 충전 시간에 따른 전압 증가율과 상기 기준율을 비교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컨트롤러(150)는 상기 배터리(120)의 충전 시, 일정 전류량 충전 시의 충전 시간이 기준충전시간 보다 작은 경우, 상기 배터리(120)의 기준전압 변경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메모리(180)에는 이전의 배터리의 충전 시의 상기 배터리(120)의 일정 전류량 충전 시의 충전 시간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컨트롤러(150)는 상기 메모리(180)에 저장된 상기 배터리(120)의 일정 전류량 충전 시의 충전 시간과 상기 기기준충전시간을 비교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컨트롤러(150)는 상기 배터리(120)의 방전 시, 상기 배터리(120)의 1회 사용가능시간이 기준사용시간 이하가 되면, 상기 배터리(120)의 기준전압 변경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메모리(180)에는 이전 청소 시의 상기 배터리(120)의 1회 사용가능시간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컨트롤러(150)는 상기 메모리(180)에 저장된 상기 배터리(120)의 사용가능시간과 상기 기준사용시간을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120)의 사용가능시간은 상기 배터리(120)의 전압이 기준전압(제1전압임)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을 의미한다.
단계 S13에서 판단 결과, 상기 컨트롤러(150)는 상기 배터리(120)의 기준전압 변경조건이 만족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1전압을 기준 전압으로 설정한다(S15).
반면, 단계 S13에서 판단 결과, 상기 컨트롤러(150)는 배터리(120)의 기준전압 변경조건이 만족된 경우에는 제2전압을 기준 전압으로 설정한다(S14).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전압은 상기 각 배터리 셀의 최대 전압의 70% 이상이 되는 전압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각 배터리 셀의 최대 전압이 4.2V인 경우 상기 제1전압은 2.94 V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2전압은 상기 제1전압 보다 낮은 전압으로서, 상기 제2전압은 상기 각 배터리 셀의 최대 전압의 45% 이상이 되는 전압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각 배터리 셀의 최대 전압이 4.2V인 경우 상기 제2전압은 1.89V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배터리(120)가 방전되는 중에는 상기 배터리 관리 장치(130)에서 상기 배터리(120)의 잔량, 즉, 다수의 배터리 셀 각각의 전압이 감지되고(S16), 감지된 전압은 상기 컨트롤러(150)로 전송된다.
상기 컨트롤러(150)는 다수의 배터리 셀 중 하나 이상의 셀의 전압이 기준전압 이하가 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7).
단계 S17에서 판단 결과, 다수의 배터리 셀 중 하나 이상의 셀의 전압이 기준전압 이하가 되면, 상기 컨트롤러(150)는 상기 흡입 모터(160)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S18).
상기 흡입 모터(160)의 동작이 정지되면 상기 표시부에서 배터리의 충전이 필요함을 알리기 위한 정보가 표시되거나, 상기 알림부에서 충전 필요 알림 음성이 발생될 수 있다(S19).
다른 예로서, 본 명세서에서 상기 컨트롤러(150)는 단계 S17에서, 상기 배터리 셀의 전체의 전압이 기준전압 이하인 경우에 흡입 모터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도 4에서 제1전압은 배터리 셀 전체의 최대 전압의 70% 이상이 되는 전압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각 배터리 셀의 최대 전압이 4.2V이고, 배터리 셀의 개수가 N인 경우, 상기 제1전압은 (4.2 X N) X 0.7 (V) 이상의 전압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 제2전압은 배터리 셀 전체의 최대 전압의 45% 이상이 되는 전압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각 배터리 셀의 최대 전압이 4.2V이고, 배터리 셀의 개수가 N인 경우 상기 제2전압은 (4.2 X N) X 0.45 (V) 이상의 전압에서 선택될 수 있다.
도 5는 배터리 사용횟수에 따른 흡입 모터 사용가능시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에서 세로축은 사용시간비율로서 새 제품인 배터리의 사용시간을 100으로 볼 때의 배터리의 사용시간이고, 가로축은 배터리의 사용 횟수(충전 횟수)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배터리의 사용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배터리를 만충전한 상태에서 배터리를 사용할 때의 배터리 사용가능시간은 줄어든다.
이 때, 흡입 모터의 동작 정지 시기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전압을 제1전압에서 제2전압으로 변경하면, 즉, 기준 전압을 낮추면 배터리를 만충전한 상태에서 배터리를 사용할 때의 배터리 사용가능시간이 기준 전압을 변경하기 전 보다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사용가능시간이 증가됨에 따라서 배터리의 수명이 대략 2배 정도 증가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진공 청소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이전 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충전기가 상기 진공 청소기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2)는, 청소기 본체(10)와, 상기 청소기 본체(10)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배터리(120)의 충전을 위한 충전기(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기(40)는 콘센트에 연결되는 전원 코드(41)와, 상기 청소기 본체(10)에 연결되는 충전기 커넥터(4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청소기 본체(10)는 상기 충전기 커넥터(42)가 연결되는 본체 커넥터(1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기(40)는 정류 및 평활 동작을 수행하여, 상용 교류 전압을 인가받아 직류 전압 형태로 변환한다. 그리고, 상기 충전기(40)는 변환된 직류 전압을 상기 청소기 본체(10)로 공급한다. 일 예로 상기 충전기(40)는 220V 상용 교류 전압을 42.4V 이하의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강압함) 상기 청소기 본체(10)로 공급한다.
따라서, 상기 충전기(40)의 충전기 커넥터(42)에서 42.4V 이하의 직류 전압이 출력되므로, 상기 충전기 커넥터(42)에 절연 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사용자의 안전에 문제가 없다. 물론, 상기 충전기 커넥터(42)에 절연 장치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배터리(120)에 충전된 전압을 이용하여 고출력의 흡입모터(160)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상기 청소기 본체(10)는 상기 충전기(40)로부터 42.4V 이하의 직류 전압을 공급받아 승압시키는 승압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승압장치가 일 예로 부스트 컨버터(210)인 것이 개시되나,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승압장치의 구성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부스트 컨버터(210)로 입력된 42.4V 이하의 직류 전압이 2배 이상 승압되어 상기 배터리(120)에서 84.8V 이상의 전압을 충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부스트 컨버터(210)는, 인덕터, 다이오드, 캐패시터 및 스위칭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스위칭 소자는 컨트롤러(15O)의 제어에 의해서 빠른 속도로 온/오프를 반복하여, 상기 부스트 컨버터(210)가 입력 전압을 승압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스위칭 소자는, 모스펫(MOSFET)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등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예로서, 상기 승압장치와 상기 배터리(120) 사이에 변압기가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만약, 상기 변압기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본체 커넥터(102)가 절연될 수 있고, 상기 변압기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변압기가 절연 장치 역할을 하므로, 상기 본체 커넥터(102)가 절연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위에서는 두 단계로 기준 전압이 설정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와 달리 세 단계 이상의 기준 전압이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제1전압과 제2전압 사이 값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제3전압이 기준 전압으로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위에서는 청소기로서 캐니스터 타입의 청소기를 예를 들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업라이트형 청소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 때, 흡입 모터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는 흡입부 또는 청소기 본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위에서 설명된 충전기 또는 전원코드도 흡입부 또는 청소기 본체에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청소기 본체 40, 140: 충전기
120: 배터리 130: 배터리 관리 장치
150: 컨트롤러 160: 흡입 모터

Claims (16)

  1. 흡입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흡입 모터를 구비하는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와 연통되며, 공기와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부;
    상기 흡입 모터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배터리 관리 장치; 및
    상기 흡입 모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배터리 관리 장치에서 감지된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기준 전압에 도달하면, 상기 흡입 모터를 정지시키며,
    상기 기준 전압은 변경될 수 있는 진공 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다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감지 장치는, 상기 다수의 배터리 셀 각각에서 상기 흡입 모터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다수의 배터리 셀 각각의 방전을 관리하는 진공 청소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감지 장치는 상기 다수의 배터리 셀 각각의 전압을 감지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다수의 배터리 셀 중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의 전압이 상기 기준 전압 이하가 되면, 상기 흡입 모터를 정지시키는 진공 청소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감지 장치는 상기 다수의 배터리 셀 각각의 전압을 감지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다수의 배터리 셀 전체의 전압이 상기 기준 전압 이하가 되면, 상기 흡입 모터를 정지시키는 진공 청소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기준 전압의 변경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기준 전압을 제1전압에서 상기 제1전압 보다 낮은 제2전압으로 변경시키는 진공 청소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압은 상기 배터리 셀 전체의 전압의 75% 이상인 전압 또는 상기 배터리 셀 각각의 최대 전압의 75% 이상인 전압인 진공 청소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압은 상기 배터리 셀 전체의 전압의 45% 이상인 전압 또는 상기 배터리 셀 각각의 최대 전압의 45% 이상인 전압인 진공 청소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배터리의 사용횟수가 기준횟수를 초과하는 경우에 기준전압 변경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하는 진공 청소기.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배터리의 누적사용시간이 기준누적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 기준 전압의 변경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하는 진공 청소기.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배터리의 방전 시, 방전 시간에 따른 전압 감소율이 기준율 보다 큰 경우 기준 전압의 변경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하는 진공 청소기.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 시, 충전 시간에 따른 전압 증가율이 기준율 보다 큰 경우, 상기 배터리의 기준 전압의 변경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하는 진공 청소기.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 시, 일정 전류량 충전 시의 충전 시간이 기준충전시간 보다 작은 경우, 상기 배터리의 기준 전압의 변경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하는 진공 청소기.
  13.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배터리의 방전 시, 상기 배터리의 1회 사용가능시간이 기준사용시간 이하가 되면, 상기 배터리의 기준 전압의 변경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하는 진공 청소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기; 및
    상기 충전기로부터 출력된 전압을 승압시켜 상기 배터리로 공급하는 승압장치를 더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청소기 본체로 상용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코드; 및
    상기 청소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는 충전기를 더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모터가 정지되는 경우, 충전이 필요함을 알리기 위한 표시부 또는 음성이 출력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KR1020140132547A 2014-10-01 2014-10-01 진공 청소기 KR101645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2547A KR101645808B1 (ko) 2014-10-01 2014-10-01 진공 청소기
CN201510531562.3A CN105476542A (zh) 2014-10-01 2015-08-26 真空吸尘器
US14/852,421 US11213178B2 (en) 2014-10-01 2015-09-11 Vacuum cleaner with battery management system
EP15187700.8A EP3001940B1 (en) 2014-10-01 2015-09-30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2547A KR101645808B1 (ko) 2014-10-01 2014-10-01 진공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9451A true KR20160039451A (ko) 2016-04-11
KR101645808B1 KR101645808B1 (ko) 2016-08-04

Family

ID=54251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2547A KR101645808B1 (ko) 2014-10-01 2014-10-01 진공 청소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213178B2 (ko)
EP (1) EP3001940B1 (ko)
KR (1) KR101645808B1 (ko)
CN (1) CN10547654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8939A (ko) * 2017-08-16 2019-02-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WO2023182825A1 (ko) * 2022-03-23 2023-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50088B2 (ja) * 2016-08-05 2021-03-31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電気掃除機
KR20180079962A (ko) 2017-01-03 2018-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및 그 제어 방법
US11510541B2 (en) * 2017-11-20 2022-11-29 Tailos, Inc. Battery apparatus for a robot, methods, and applications
JP7120772B2 (ja) 2018-02-15 2022-08-17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電気掃除機
US11013387B2 (en) 2018-05-31 2021-05-25 Techtronic Floor Care Technology Limited Vacuum cleaner
CN108711910A (zh) * 2018-06-13 2018-10-26 芜湖金智王机械设备有限公司 扫地机的充电提醒方法
CN110537874A (zh) * 2018-11-02 2019-12-06 添可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吸尘器显示装置及吸尘器
GB2582348B (en) * 2019-03-20 2021-09-08 Dyson Technology Ltd Vacuum cleaner
GB2582349B (en) * 2019-03-20 2021-09-15 Dyson Technology Ltd Vacuum cleaner
EP4188179A1 (en) * 2020-08-03 2023-06-07 Techtronic Cordless GP Floor cleaner with a low power mod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7367A (ja) * 2002-07-26 2004-02-26 Toshiba Tec Corp 電気掃除機
JP2004213400A (ja) * 2003-01-06 2004-07-29 Fujitsu Ltd バッテリ管理サーバにおけるバッテリアラーム電圧設定装置、バッテリアラーム電圧設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6842B2 (ja) 1987-05-30 1997-05-07 株式会社東芝 電気掃除機
EP0320878B1 (en) 1987-12-15 1995-03-22 Hitachi, Ltd. Method for operating vacuum cleaner
EP0423670B1 (en) 1989-10-18 1994-12-28 Hitachi, Ltd. Vacuum clea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H0595861A (ja) 1991-10-07 1993-04-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の床ノズル
US6448732B1 (en) * 1999-08-10 2002-09-10 Pacific Steamex Cleaning Systems, Inc. Dual mode portable suction cleaner
CA2306531C (en) 1999-10-15 2011-07-12 Wayne Ernest Conrad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power to mechanical or electrical system
JP2001224544A (ja) 2000-02-16 2001-08-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TW579289B (en) * 2001-05-23 2004-03-11 Toshiba Tec Kk Vacuum cleaner
JP2003135341A (ja) 2001-11-01 2003-05-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JP3952361B2 (ja) 2001-11-05 2007-08-01 東芝テック株式会社 電気掃除機
US7653963B2 (en) * 2002-11-12 2010-02-02 Black & Decker Inc. AC/DC hand portable wet/dry vacuum having improved portability and convenience
JP2006141596A (ja) 2004-11-18 2006-06-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充電式電気掃除機
KR100651295B1 (ko) 2005-05-17 2006-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GB2442033B (en) 2006-09-20 2011-06-22 Dyson Technology Ltd Motor driving apparatus
KR101341234B1 (ko) 2007-06-01 2013-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및 그 구동 방법
EP2003760A3 (en) 2007-06-14 2018-01-24 Black & Decker, Inc. Temperature and polarization voltage compensation system
CN101192686A (zh) * 2007-08-17 2008-06-04 安研 在风光互补系统中保护蓄电池的方法和风光互补系统
CN201352719Y (zh) * 2008-12-31 2009-11-25 佛山市顺德区瑞德电子实业有限公司 一种带自动温度补偿功能的电动车充电器
US9722334B2 (en) 2010-04-07 2017-08-01 Black & Decker Inc. Power tool with light unit
EP2377444A1 (de) 2010-04-16 2011-10-19 Miele & Cie. KG Staubsauger mit einer Gebläseregelung
JP5786113B2 (ja) * 2010-06-02 2015-09-3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気掃除機
JPWO2011161865A1 (ja) * 2010-06-25 2013-08-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充電方法及び充電システム
CN103178564B (zh) * 2011-12-23 2016-08-03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用于多节电池的保护装置
CN202405763U (zh) * 2011-12-27 2012-08-29 青岛海霸能源集团有限公司 过放电保护电路及使用该电路的电池
JPWO2013161069A1 (ja) * 2012-04-27 2015-12-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2013230302A (ja) 2012-05-01 2013-11-14 Makita Corp 電気掃除装置
WO2014000794A1 (en) 2012-06-27 2014-01-03 Aktiebolaget Electrolux Vacuum cleaners and methods of controlling a motor driven by a battery source in a vacuum cleaner
JP2014136013A (ja) * 2013-01-16 2014-07-28 Sharp Corp 電池駆動式掃除機
US9161669B2 (en) 2013-03-01 2015-10-20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GB2513193B (en) 2013-04-19 2015-06-03 Dyson Technology Ltd Air moving appliance with on-board diagnostics
CN103545885A (zh) * 2013-10-14 2014-01-29 松下家电研究开发(杭州)有限公司 一种双组电池组供电的吸尘器及其放电控制方法
WO2015105923A1 (en) * 2014-01-07 2015-07-16 Utah State University Battery control
US10079496B2 (en) * 2014-09-03 2018-09-18 Mophie Inc. Systems for managing charging devices based on battery health information
KR101668520B1 (ko) 2014-09-29 2016-10-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7367A (ja) * 2002-07-26 2004-02-26 Toshiba Tec Corp 電気掃除機
JP2004213400A (ja) * 2003-01-06 2004-07-29 Fujitsu Ltd バッテリ管理サーバにおけるバッテリアラーム電圧設定装置、バッテリアラーム電圧設定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8939A (ko) * 2017-08-16 2019-02-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WO2023182825A1 (ko) * 2022-03-23 2023-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01940A1 (en) 2016-04-06
KR101645808B1 (ko) 2016-08-04
CN105476542A (zh) 2016-04-13
EP3001940B1 (en) 2020-08-26
US11213178B2 (en) 2022-01-04
US20160095488A1 (en) 2016-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8520B1 (ko) 진공 청소기
KR101645808B1 (ko) 진공 청소기
KR101640706B1 (ko) 진공 청소기
KR20160037460A (ko) 진공 청소기
EP2976978B1 (en) Vacuum cleaner
US20150320283A1 (en) Vacuum cleaner
KR20150128427A (ko) 진공 청소기
EP3130270A1 (en) Vacuum cleaner
JP2015160072A (ja) 交直両用電気掃除機
KR20160075450A (ko) 진공 청소기
JP2011217554A (ja) 電源回路及び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