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8952A - 부분연신사를 이용한 신축성과 드레이퍼리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부분연신사를 이용한 신축성과 드레이퍼리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8952A
KR20160038952A KR1020140130977A KR20140130977A KR20160038952A KR 20160038952 A KR20160038952 A KR 20160038952A KR 1020140130977 A KR1020140130977 A KR 1020140130977A KR 20140130977 A KR20140130977 A KR 20140130977A KR 20160038952 A KR20160038952 A KR 201600389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polyester
heat roller
composite yarn
stretchab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0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8073B1 (ko
Inventor
황문섭
강병호
김우진
윤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비스
Priority to KR1020140130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8073B1/ko
Publication of KR20160038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8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8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8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2Side-by-side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ester as constitu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유점도(IV)가 0.6~0.85dl/g인 고점도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로 네오펜틸글리콜(Neopentyl Glycol: NPG) 1~30몰%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또는 아이소프탈릭에시드(Isophthalic Acid: IPA) 1~20몰%과 비스페놀 A(bisphenol A) 변성체 1~10몰%을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와 0.4~0.55dl/g인 저점도 폴리에스테르를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의 잠재권축사인 부분연신사를 심사로, 폴리에스테르 부분연신사를 효과사로 공급하는 사공급단계, 상기 심사를 제1 히트롤러를 통해 연신하는 연신단계, 상기 심사와 효과사를 제2 히트롤러를 통해 동시에 이완 열처리하는 열처리단계, 상기 이완 열처리된 효과사와 심사를 공기 교락을 통해 합사하는 교락단계, 및 교락된 복합사를 권취하는 권취단계를 포함하는 부분연신사를 이용한 신축성과 드레이퍼리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부분연신사를 이용한 신축성과 드레이퍼리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High Self-crimping and drapery Polyester composite yarn using Partially Oriented Yarn and Method Preparing Same}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분연신사인 심사와 효과사의 물성을 이용하여 신축성이 우수하고, 뛰어난 드레이퍼리성을 갖는 부분연신사를 이용한 신축성과 드레이퍼리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2이상의 실을 합사방식을 통한 복합사는 합성섬유가 가지고 있는 장점과 방적사가 갖고 있는 장점을 하나의 실에 결집시키고자 하는 광범위한 노력으로 개발되어 왔다.
종래에는 단순히 합성섬유의 필라멘트와 천연섬유의 방적사를 가연하는 형태의 합사방법으로 복합사를 제조하였으나, 점차 합사기술의 발달과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많은 사가공 기술이 개발되었다.
특히 폴리에스테르 복합사는 폴리에스테르의 기본적인 우수한 물성에 다양한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 복합사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폴리에스테르 복합사는 부분배향사인 부분연신사(Partially Oriented Yarn, POY)와 연신사를 서로 공기교락하여 제조하여 두 소재원사간의 열수축차에 의한 벌키성을 갖는 복합가공사를 제조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폴리에스테르 복합사의 독특한 표면효과를 위하여, 효과사에 무기입자를 함유시켜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사용하거나, 아세테이트, 레이온 등의 천연섬유를 사용하여 복합사를 제조하는 방법이 공지된 바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0063955호에서는 섬도가 50∼100데니어인 아세테이트사와 폴리에스테르 불균일 연신사를 공기교락시켜서 제조한 폴리에스테르/아세테이트 복합사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발명의 복합사는 효과사로서 천연섬유인 아세테이트를 사용하고, 심사로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사용하여 천연섬유와 합성섬유의 장점을 모두 가지는 특징이 있으나, 합성섬유인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와의 혼섬도, 효과사와 심사의 염색 불균일 등의 문제 및 신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6-78217호, 일본국 특개평 제1025636호 및 일본국 특개평 제11181643호에는 폴리아미드계 복합사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6-78217호는 두 종류의 원사로 제조되는 복합가연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심사로서 원착 나일론 FDY(Fully Drawn Yarn)을 사용하고, 초사로는 이형단면의 나일론 POY(Partially Oriented Yarn)를 사용함으로써, 원착나일론으로 인한 천연섬유와 같은 자연스러운 외관과 이형단면의 나일론으로 인한 흡한속건성과 소프트감이 우수한 복합가연사를 제공한다고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에는 벌키성과 터치성은 우수하나, 합성섬유 사용에 따른 천연의 느낌이나 발색성을 기대할 수 없다.
더욱이, 종래의 폴리에스테르 복합사는 이수축 혼섬사로서의 벌키한 특성은 발현가능하나, 신축성 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충분한 스트레치성을 발현하기에는 불가능하다.
최근에는 잠재권축사를 심사로 구성하여 신축성을 높인 복합사가 개발되고 있다.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783800호에서는 개질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효과사로 사용하고,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심사로 사용하여 복합연신 후, 공기교락하여 제조되는 신축성 폴리에스테르 복합사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의 신축성 폴리에스테르 복합사는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심사로 사용하여 우수한 신축성을 가지고 있으나, 벌키성 및 불륨감이 적어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이 한정적인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부분연신사인 심사와 효과사를 사용하여 심사의 효과사와 수축율 차이를 통해 신축성이 우수하고 드레이퍼리성이 뛰어난 부분연신사를 이용한 신축성과 드레이퍼리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심사와 효과사의 수축율의 차이를 통해 드레이퍼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부분연신사를 이용한 신축성과 드레이퍼리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고유점도(IV)가 0.6~0.85dl/g인 고점도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로 네오펜틸글리콜(Neopentyl Glycol: NPG) 1~30몰%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또는 아이소프탈릭에시드(Isophthalic Acid: IPA) 1~20몰%과 비스페놀 A(bisphenol A) 변성체 1~10몰%을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와 0.4~0.55dl/g인 저점도 폴리에스테르를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의 잠재권축사인 부분연신사를 심사로, 폴리에스테르 부분연신사를 효과사로 공급하는 사공급단계; 상기 심사를 제1 히트롤러를 통해 연신하는 연신단계; 상기 심사와 효과사를 제2 히트롤러를 통해 동시에 이완 열처리하는 열처리단계; 상기 이완 열처리된 효과사와 심사를 공기 교락을 통해 합사하는 교락단계; 및 교락된 복합사를 권취하는 권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연신사를 이용한 신축성과 드레이퍼리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효과사는 세미달(semi dull) 또는 풀달(full dull)인 것을 부분연신사를 이용한 신축성과 드레이퍼리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공급단계 전에 방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부분연신사를 이용한 신축성과 드레이퍼리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열처리단계에서 제2 히트롤러의 오버피드(Overfeed)율은 0.1~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연신사를 이용한 신축성과 드레이퍼리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연신단계에서 제1 히트롤러의 온도는 하기의 (1)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연신사를 이용한 신축성과 드레이퍼리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1) 폴리에스테르 Tg+ 15℃≤제1 히트롤러의 온도≤폴리에스테르 Tg+ 40℃
또한, 상기 열처리단계에서 제2 히트롤러의 온도는 하기의 (2)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연신사를 이용한 신축성과 드레이퍼리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2) 폴리에스테르 Tg+ 25℃≤제2 히트롤러의 온도≤폴리에스테르 Tg+ 75℃
또한,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연신사를 이용한 신축성과 드레이퍼리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복합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제품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신축성과 드레이퍼리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는 심사로 잠재권축사인 부분연신사를 사용하고 효과사로 폴리에스테르 부분연신사를 사용하여 신축성이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부분연신사인 심사와 효과사를 열처리를 통해 자발 신장 특성을 부여하여 직물 등의 원단 제조시 드레이퍼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우수한 신축성과 드레이퍼리성으로 다양한 섬유제품에 적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제조방법의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복합사의 공정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제조방법의 공정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복합사의 공정 모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분연신사를 이용한 신축성과 드레이퍼리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는 도 1에서와 같이 사공급단계, 연신단계, 열처리단계, 교락단계 및 권취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다.
상기 드레이퍼리(drapery)성은 복합사를 포함하는 의류를 입었을 때 생기는 자연스럽게 흐르는 주름이 형성되는 특성을 뜻한다.
상기 사공급단계는 고유점도(IV)가 0.6~0.85dl/g인 고점도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로 네오펜틸글리콜(Neopentyl Glycol: NPG) 1~30몰%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또는 아이소프탈릭에시드(Isophthalic Acid: IPA) 1~20몰%과 비스페놀 A(bisphenol A) 변성체 1~10몰%을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와 0.4~0.55dl/g인 저점도 폴리에스테르를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의 잠재권축사인 부분연신사(Partially Oriented Yarn:POY)를 심사(100)로, 폴리에스테르 부분연신사(POY)를 효과사(200)로 공급하는 단계로 상기 심사와 효과사는 각각의 사를 미리 권취롤러에 준비하여 공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공급단계 전에 상기 심사와 효과사를 각각 방사하는 방사단계를 더 포함하여 심사와 효과사를 제조와 동시에 공급하여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복합사를 제조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방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경우에는 제조공정이 단순화되고 공정의 일원화를 통해 경제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고점도 폴리에스테르와 저점도 폴리에스테르의 두 폴리머의 고유점도 차이가 높을수록 수축차이에 의한 권축발현 효과가 높아져 높은 신축성을 나타내지만, 물성 차이가 클수록 두 폴리머의 열적 유동학적(Rheology) 특성 차이가 커져 방사시 노즐 면에서 곡사 현상이 심해지기 때문에 단면형태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방사 공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고점도 폴리에스테르와 저점도 폴리에스테르의 두 폴리머의 고유점도 차가 0.1 미만일 경우에는 두 폴리머의 수축차이에 의한 권축형성이 어려워 신축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상기 고점도 폴리에스테르와 저점도 폴리에스테르의 고유점도 차이를 0.1~0.3dl/g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효과사는 폴리에스테르 부분연신사로 일반적인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할 수 있으며, 자연스러운 광택을 위해 세미달(semi dull) 또는 풀달(full dull)의 폴리에스테르 부분연신사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연신단계는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부분연신사인 심사(100)를 2개의 제1 히트롤러(Heat Roller)(10)를 통해 연신 및 열처리하여 심사만을 연신하는 단계이다.
상기 열처리단계는 도 2에서와 같이 연신된 심사(100)와 연신되지 않은 효과사(200)를 제2 히트롤러(Heat Roller)(30)를 통해 동시에 이완 열처리하는 단계로 상기 심사(100)와 효과사(200)는 교락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완 열처리된다.
상기 제2 히트롤러(30)를 통한 이완 열처리시의 오버피드율은 0.1~10%인 것이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오버피드율이 0.1% 미만인 경우 열처리시 내부응력이 증가하여 저수축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1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2 히트롤러에서 사 떨림 현상이 심해져 사절이 발생할 수 있으며, 열처리도 균일하게 되지 않아 염반 등이 발생 될 수 있다.
상기 연신단계와 이완 열처리단계에서 제1 히트롤러(10)와 제2 히트롤러(30)의 온도는 하기의 (1),(2)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1) 폴리에스테르 Tg+ 15℃≤ 제1 히트롤러의 온도≤폴리에스테르 Tg+ 40℃
(2) 폴리에스테르 Tg+ 25℃≤ 제2 히트롤러의 온도≤폴리에스테르 Tg+ 75℃
즉, 폴리에스테르의 유리전이온도(Tg)는 제조사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대략 70~80℃로 제1 히트롤러(10)의 온도는 대략 85~120℃일 수 있으며, 제2 히트롤러(30)의 온도는 대략 95~155℃일 수 있다.
상기의 제1 히트롤러(10)와 제2 히트롤러(30)의 온도는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에 따라 조절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조건으로 열처리되는 효과사는 무장력하 100℃ 끓는 물에서 30분간 침지후 수축율인 BWS가(측정시 초하중 2g/De) -4%≤BWS≤0%이며, 무장력하 180℃ Oven에서 30분간 건열처리후 수축율인 BDS는(측정시 초하중 2g/De) -16%≤BDS≤0의 물성을 갖는다.
즉, 이완 열처리에서 수축된 효과사는 직물, 편물, 부직포 등의 원단으로 제조된 후, 후가공시에 수축율이 -1~-8%의 자발 신장 특성이 부여되고, 동시에 심사는 제1 히트롤라에서 정상 연신하여 풀연신사(Full Drawing Yarn, FDY)의 물성을 갖게 한 후 효과사와 동시에 제2 히트롤라에서 이완 열처리를 하여 뛰어난 드레이퍼리성을 가지게 된다.
상기 교락단계는 상기 이완 열처리된 효과사와 심사를 공기 교락을 통해 합사하는 단계로 일반적인 공기 교락장치(50)를 통해 상기 효과사와 심사를 합사하여 복합사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권취단계는 교락된 복합사를 권취하는 단계로 도 2에서와 같이 권취롤러(70)등을 통해 권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을 통해 본 발명의 부분연신사를 이용한 신축성과 드레이퍼리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를 제조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부분연신사를 이용한 신축성과 드레이퍼리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는 우수한 신축성과 뛰어난 드레이퍼리성으로 다양한 섬유제품에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부분연신사를 이용한 신축성과 드레이퍼리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내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4
고점도 폴리에스테르와 저점도 폴리에스테르를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의 잠재권축사인 부분연신사를 심사로, 폴리에스테르 부분연신사를 효과사로 사용하였으며, 도 2와 같은 심사는 제1 히트롤러를 통해 연신하였으며, 심사를 연신한 후 효과사와 같이 제2 히트롤러를 이용하여 이완 열처리를 하였다.
상기 고점도 폴리에스테르는 네오펜틸글리콜(NPG)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또는 아이소프탈릭에시드(IPA) 1~20몰%과 비스페놀 A(BPA) 변성체 1~10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사용하였다.
상기 이완 열처리된 효과사와 심사를 공기 교락을 통해 합사하여 권취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분연신사를 이용한 신축성과 드레이퍼리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4의 심사 및 효과사에 대한 조성 및 제조 조건은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제조하였으나 심사를 일반사로 제조하였고, 심사와 효과사 모두 열처리를 실시하였다.
상기 심사 및 효과사에 대한 조성 및 제조 조건은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상기 비교예 1와 동일하게 제조하였으나 심사를 공중합된 고수축 폴리에스테르사를 사용하였다.
상기 심사 및 효과사에 대한 조성 및 제조 조건은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제조하였으나 심사를 연신하고 효과사와 교락하였다
상기 심사 및 효과사에 대한 조성 및 제조 조건은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심사
고IV 0.7 0.68 0.68 0.65 0.64 0.68 0.68
NPG
10몰%
IPA 8몰%
BPA 5몰%
NPG
13몰%
NPG 10몰%
저IV 0.55 0.55 0.45 0.45 0.5
효과사 풀달 풀달 세미달 세미달 세미달 세미달 풀달
오버피드율 0.1% 3% 5% 10% 0% 0% 0%
제1 히트롤러 온도(℃) 85 90 100 120 200 200 100
제2 히트롤러 온도(℃) 110 120 130 140 - - -
◈ 실시예 및 비교예의 물성 평가
1. 물성평가 방법
* 수축차:심사와 효과사의 수축율의 차이로 하기와 같은 수식에 의해 수축차를 구한다.
수축차= 심사의 수추률(%)-효과사의 수출률(%)
* 고유점도(IV, Intrinsic Viscosity): 각 폴리머를 120℃의 오르토-클로로페놀에 1% 농도로 충분히 용해시킨 후,30℃의 항온조에서 우벨로드형 점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 권축율(Tc, %): 심사의 권축율을 측정한 것으로 3,000÷섬도÷4만큼의 길이만큼 1m길이의 타래로 시료를 취한다. 이 시료를 열수 처리시 권축발현이 이루어질 때, 각 섬유가닥의 엉킴이 발생하지 않는 수준의 하중인 1g의 하중을 부여한 상태에서 열수(100℃)에서 20분간 처리후 하중을 제거한 후 4시간동안 방치하여 자연 건조시킨다. 자연건조 후 시료에 6g의 하중을 부여한후 1분경과 후 길이 L1을 측정한 후 600g의 하중을 부여, 1분 경과 후 길이 L2를 측정한다. 이와 같이 측정된 값을 하기와 같은 수식에 의해 권축율을 구한다.
권축율(%)=((L2-L1)/L2)X100
* 공정성 평가: 1등급 생산량/전체 생산량*100= 수율(중량기준)
* 드레이퍼리성 및 신축성 평가: 5명의 전문가에 의한 상대적인 관능평가 실시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수축차 16 15 19 22 8 16 10
권축율(%) 42 35 45 48 0 0 35
공정성(%) 94 96 93 85 94 95 93
후도감 ○~◎ ○~◎ △~○ ○~◎ ×~△
신축성 ○~◎ ○~◎ × ×
◎:매우 우수, ○:우수, △:보통, ×: 불량
표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부분연신사를 이용한 신축성과 드레이퍼리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인 실시예 1 내지 4는 모두 비교예 1, 3 보다 드레이퍼리성이 우수하며, 또한 실시예 1 내지 4는 비교예 1, 2보다 신축성이 뛰어난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2는 드레이퍼리성을 가지고 있으나 신축성은 미흡하고 비교예 3은 신축성을 가지고 있으나 드레이퍼리성이 미흡한 것으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복합사인 실시예 1 내지 4는 드레이퍼리성과 신축성이 모두 우수한 것으로 다양한 섬유소재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심사 200 : 효과사
10 : 제1 히트롤러 30 : 제2 히트롤러
50 : 교락장치 70 : 권취롤러

Claims (8)

  1. 고유점도(IV)가 0.6~0.85dl/g인 고점도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로 네오펜틸글리콜(Neopentyl Glycol: NPG) 1~30몰%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또는 아이소프탈릭에시드(Isophthalic Acid: IPA) 1~20몰%과 비스페놀 A(bisphenol A) 변성체 1~10몰%을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와 0.4~0.55dl/g인 저점도 폴리에스테르를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의 잠재권축사인 부분연신사를 심사로, 폴리에스테르 부분연신사를 효과사로 공급하는 사공급단계;
    상기 심사를 제1 히트롤러를 통해 연신하는 연신단계;
    상기 심사와 효과사를 제2 히트롤러를 통해 동시에 이완 열처리하는 열처리단계;
    상기 이완 열처리된 효과사와 심사를 공기 교락을 통해 합사하는 교락단계; 및
    교락된 복합사를 권취하는 권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연신사를 이용한 부분연신사를 이용한 신축성과 드레이퍼리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효과사는 세미달(semi dull) 또는 풀달(full dull)인 것을 부분연신사를 이용한 신축성과 드레이퍼리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단계 전에 방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부분연신사를 이용한 신축성과 드레이퍼리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단계에서 제2 히트롤러의 오버피드(Overfeed)율은 0.1~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연신사를 이용한 신축성과 드레이퍼리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단계에서 제1 히트롤러의 온도는 하기의 (1)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연신사를 이용한 신축성과 드레이퍼리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제조방법.
    (1) 폴리에스테르 Tg+ 15℃≤ 제1 히트롤러의 온도≤폴리에스테르 Tg+ 40℃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단계에서 제2 히트롤러의 온도는 하기의 (2)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연신사를 이용한 신축성과 드레이퍼리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제조방법.
    (2) 폴리에스테르 Tg+ 25℃≤ 제2 히트롤러의 온도≤폴리에스테르 Tg+ 75℃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연신사를 이용한 신축성과 드레이퍼리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8.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복합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제품.
KR1020140130977A 2014-09-30 2014-09-30 부분연신사를 이용한 신축성과 드레이퍼리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618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0977A KR101618073B1 (ko) 2014-09-30 2014-09-30 부분연신사를 이용한 신축성과 드레이퍼리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0977A KR101618073B1 (ko) 2014-09-30 2014-09-30 부분연신사를 이용한 신축성과 드레이퍼리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8952A true KR20160038952A (ko) 2016-04-08
KR101618073B1 KR101618073B1 (ko) 2016-05-09

Family

ID=55907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0977A KR101618073B1 (ko) 2014-09-30 2014-09-30 부분연신사를 이용한 신축성과 드레이퍼리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80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2863A (ko) * 2016-12-01 2018-06-11 주식회사 휴비스 신축성이 우수한 카티온 염색성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0833B1 (ko) * 2016-09-08 2018-06-26 (주)서원테크 다중 수축 폴리에스테르 고신축성 복합사 및 이를 이용한 직물의 제조방법
KR101938838B1 (ko) 2017-10-11 2019-01-15 (주)서원테크 심색성과 냉감특성을 갖는 고신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이를 이용한 직물의 제조방법
KR101942857B1 (ko) * 2017-10-11 2019-01-29 (주)서원테크 은은한 광택을 갖는 고신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이를 이용한 직물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05436B2 (ja) 1999-05-11 2011-11-02 帝人ファイバー株式会社 伸縮性複合仮撚糸
KR101290954B1 (ko) * 2012-12-06 2013-07-29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423207B1 (ko) * 2013-09-09 2014-07-25 주식회사 휴비스 신축성과 볼륨감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423209B1 (ko) * 2013-09-13 2014-07-25 주식회사 휴비스 광택 및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계 복합 혼섬사와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2863A (ko) * 2016-12-01 2018-06-11 주식회사 휴비스 신축성이 우수한 카티온 염색성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8073B1 (ko) 2016-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4691B1 (ko) 신축성과 반발탄성이 우수한 마조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618073B1 (ko) 부분연신사를 이용한 신축성과 드레이퍼리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579232B1 (ko) 신축성과 볼륨감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423207B1 (ko) 신축성과 볼륨감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881826B1 (ko) 흡한속건성 및 신축성이 우수한 면조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77532A (ko) 고신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59059A (ko) 보온성을 가지는 고신축 복합사 및 이를 이용한 직물의 제조방법
KR20130109327A (ko) 멜란지톤을 가지는 고신축성 폴리에스테르 가연복합사의 제조방법
KR101821740B1 (ko) 섬유 표면 형상에 의한 촉감이 우수한 신축성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606802B1 (ko) 부분연신사를 이용한 신축성과 볼륨감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51584A (ko) 신축성과 보온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49951A (ko) 고신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1240339B1 (ko) 잠재권축성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1866688B1 (ko) 멜란지 효과가 우수하고, 드레이프성 및 고신축성을 갖는 레이온-라이크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70865A (ko)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가공사
KR101976154B1 (ko) 신축성이 우수한 카티온 염색성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618072B1 (ko) 촉감 및 볼륨감이 우수한 신축성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155454B1 (ko) 고신축성 나일론 6 가연복합사의 제조방법
KR20170036159A (ko) 볼륨감과 보온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100476471B1 (ko) 이수축 혼섬사 및 그의 제조방법.
TW452612B (en) Composition polyurethane elastic yarns and stretch woven fabrics
KR101938818B1 (ko) 수축률이 다양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이를 이용한 직물의 제조방법
KR101712843B1 (ko) 볼륨감과 보온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972100B1 (ko) 색조가 우수한 카티온 가염성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69626A (ko) 사품위가 우수한 신축성 방적사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