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6159A - 볼륨감과 보온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볼륨감과 보온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6159A
KR20170036159A KR1020150134444A KR20150134444A KR20170036159A KR 20170036159 A KR20170036159 A KR 20170036159A KR 1020150134444 A KR1020150134444 A KR 1020150134444A KR 20150134444 A KR20150134444 A KR 20150134444A KR 20170036159 A KR20170036159 A KR 201700361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polyester
heat
heat treatment
composite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4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문섭
강병호
김우진
윤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비스
Priority to KR1020150134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6159A/ko
Publication of KR20170036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61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18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combining fibres, filaments, or yarns, having different shrinkage characteristic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ester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16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using jets or streams of turbulent gases, e.g. air, steam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6Cored or coated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1/00Modifying the structure or properties resulting from a particular structure; Modifying, retaining, or restoring the physical form or cross-sectional shape, e.g. by use of dies or squeeze rollers
    • D02J1/08Interlacing constituent filaments without breakage thereof, e.g. by use of turbulent air stream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3/00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수축 폴리에스테르사를 심사로, 폴리에스테르 중공형 반연신사를 효과사로 공급하는 사공급단계; 상기 효과사를 히트롤러를 통해 연신 및 열처리하는 접촉 열처리단계; 상기 접촉 열처리단계에서 열처리된 효과사를 히트플레이트에서 열처리하는 비접촉 열처리단계; 상기 열처리된 효과사와 심사를 공기 교락을 통해 합사하는 교락단계 및 교락된 복합사를 권취하는 권취단계를 포함하는 볼륨감과 보온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볼륨감과 보온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Excellent bulky property and Heat Insulation Polyester composite yarn and Method Preparing Same}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중공을 가지며 반연신사인 효과사를 이용하여 볼륨감과 보온성이 향상된 볼륨감과 보온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2이상의 실을 합사방식을 통한 복합사는 합성섬유가 가지고 있는 장점과 방적사가 갖고 있는 장점을 하나의 실에 결집시키고자 하는 광범위한 노력으로 개발되어 왔다.
종래에는 단순히 합성섬유의 필라멘트와 천연섬유의 방적사를 가연하는 형태의 합사방법으로 복합사를 제조하였으나, 점차 합사기술의 발달과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많은 사가공 기술이 개발되었다.
특히 폴리에스테르 복합사는 폴리에스테르의 기본적인 우수한 물성에 다양한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 복합사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폴리에스테르 복합사는 부분배향사인 반연신사(Partially Oriented Yarn, POY)와 연신사를 서로 공기교락하여 제조하여 두 소재원사간의 열수축차에 의한 벌키성을 갖는 복합가공사를 제조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폴리에스테르 복합사의 독특한 표면효과를 위하여, 효과사에 무기입자를 함유시켜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사용하거나, 아세테이트, 레이온 등의 천연섬유를 사용하여 복합사를 제조하는 방법이 공지된 바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0063955호에서는 섬도가 50~100데니어인 아세테이트사와 폴리에스테르 불균일 연신사를 공기교락시켜서 제조한 폴리에스테르/아세테이트 복합사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발명의 복합사는 효과사로서 천연섬유인 아세테이트를 사용하고, 심사로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사용하여 천연섬유와 합성섬유의 장점을 모두 가지는 특징이 있으나, 합성섬유인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와의 혼섬도, 효과사와 심사의 염색 불균일 등의 문제 및 벌키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6-78217호, 일본국 특개평 제1025636호 및 일본국 특개평 제11181643호에는 폴리아미드계 복합사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6-78217호는 두 종류의 원사로 제조되는 복합가연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심사로서 원착 나일론 FDY(Fully Drawn Yarn)을 사용하고, 초사로는 이형단면의 나일론 POY(Partially Oriented Yarn)를 사용함으로써, 원착나일론으로 인한 천연섬유와 같은 자연스러운 외관과 이형단면의 나일론으로 인한 흡한속건성과 소프트감이 우수한 복합가연사를 제공한다고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에는 벌키성과 터치성은 우수하나, 합성섬유 사용에 따른 천연의 느낌이나 발색성을 기대할 수 없다.
더욱이, 종래의 폴리에스테르 복합사는 이수축 혼섬사로서의 벌키한 특성은 발현가능하나, 보온성이 기능이 우수한 이수축 혼섬사에 대해서는 개발이 미흡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고수축사를 심사로 반연신사를 효과사를 사용하고 상기 효과사는 히트롤러를 거치면서 저수축 특성을 부여하면서 심사는 바이패스 사도장치를 통하여 취외된 후, 합사하여 심사의 효과사와 수축율 차이를 크게 하여 볼륨감이 뛰어난 볼륨감과 보온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중공사를 효과사로 사용하여 보온성이 향상되는 볼륨감과 보온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고수축 폴리에스테르사를 심사로, 폴리에스테르 중공형 반연신사를 효과사로 공급하는 사공급단계; 상기 효과사를 히트롤러를 통해 연신 및 열처리하는 접촉 열처리단계; 상기 접촉 열처리단계에서 열처리된 효과사를 히트플레이트에서 열처리하는 비접촉 열처리단계; 상기 열처리된 효과사와 심사를 공기 교락을 통해 합사하는 교락단계 및 교락된 복합사를 권취하는 권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륨감과 보온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효과사의 중공율은 15~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륨감과 보온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접촉 열처리단계에서 효과사의 연신비는 0.85~0.9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륨감과 보온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공급단계 전에 방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신축성과 볼륨감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륨감과 보온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볼륨감 및 보온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는 심사로 고수축사를 사용하고 효과사로 폴리에스테르 반연신사를 사용하여 섬유원단 제조 후에 열수축 공정 후 심사와 효과사의 수축율차이를 통해 볼륨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효과사는 중공율이 높은 중공사로 보온성이 우수한 원단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우수한 볼륨감과 보온성으로 의류용 및 다양한 섬유제품에 적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볼륨감과 보온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제조방법의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볼륨감과 보온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의 공정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볼륨감과 보온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제조방법의 공정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볼륨감과 보온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의 공정 모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볼륨감과 보온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는 도 1에서와 같이 사공급단계, 접촉 열처리단계, 비접촉 열처리단계, 교락단계 및 권취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다.
상기 사공급단계는 고수축 폴리에스테르사를 심사(100)로, 폴리에스테르 중공형 반연신사를 효과사(200)로 공급하는 단계로 상기 심사와 효과사는 각각의 사를 미리 권취롤러에 준비하여 공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공급단계 전에 상기 심사와 효과사를 각각 방사하는 방사단계를 더 포함하여 심사와 효과사를 제조와 동시에 공급하여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복합사를 제조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방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경우에는 제조공정이 단순화되고 공정의 일원화를 통해 경제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심사로 사용되는 고수축 폴리에스테르사는 통상적인 폴리에스테르 제조공정 중에 기본원료로 사용되는 산성분(DMT 또는 TPA)이나 디올성분(EG)을 주쇄로 하면서 규칙성 또는 결정성을 저해할 수 있는 프탈산(phthalic acid, PA),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IPA) 등의 산성분이나 프로판디올, 부탄디올,사이클로헥산디올, Bisphenol유도체, 네오펜틸글리콜 등의 디올성분을 단독 또는 여러 성분을 공중합하여 제조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효과사는 폴리에스테르 중공형 반연신사로 일반적인 폴리에스테르로 제조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효과사는 보온성을 위해 중공율이 15~30%인 것이 바람직하며, 자연스러운 광택을 위해 세미달(semi dull) 또는 풀달(full dull)의 폴리에스테르 중공형 반연신사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접촉 열처리단계는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효과사를 히트롤러(Heat Roller)(10)를 통해 연신 및 열처리하는 단계이다.
상기 히트롤러(10)를 통한 접촉 열처리시의 오버피드율은 5~18%인 것이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오버피드율이 5% 미만인 경우 열처리시 내부응력이 증가하여 저수축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18%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핫플레이트 상에서 사 떨림 현상이 심해져 사절이 발생할 수 있으며, 열처리도 균일하게 되지 않아 염반 등이 발생 될 수 있다.
상기 접촉 열처리단계에서 효과사의 연신비는 0.85~0.97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연신비가 0.85 미만이면 제사 공정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0.97을 초과하면 효과사의 수축율이 커져 상기 심사와의 수축율차이가 크지 않아 볼륨감 및 보온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비접촉 열처리단계는 상기 접촉 열처리단계에서 열처리된 효과사를 히트플레이트(Heat Plate)(30)에서 건식 열처리하는 단계이다.
상기 접촉 열처리단계와 비접촉 열처리단계에서 히트롤러(10)와 히트플레이트(30)의 온도는 하기의 (1),(2)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1) 폴리에스테르 Tg+ 15℃≤히트롤러의 온도≤폴리에스테르 Tg+ 75℃
(2) 폴리에스테르 Tc+ 25℃≤히트플레이트의 온도≤폴리에스테르 Tc+ 75℃
즉, 폴리에스테르의 유리전이온도(Tg)는 제조사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대략 70~80℃로 히트롤러(10)의 온도는 대략 85~155℃일 수 있으며, 폴리에스테르의 결정화도온도(Tc) 역시 제조사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대략 120~200℃로 히트플레이트의 온도는 대략 145~275℃일 수 있다.
상기의 히트롤러(10)와 히트플레이트(30)의 온도는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에 따라 조절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조건으로 열처리되는 효과사는 무장력하 100℃ 끓는 물에서 30분간 침지후 수축율인 BWS가(측정시 초하중 2g/De) -8%≤BWS≤0%이며, 무장력하 180℃ Oven에서 30분간 건열처리후 수축율인 BDS는(측정시 초하중 2g/De) -16%≤BDS≤0의 물성을 갖는다.
즉, 접촉열처리와 비접촉열처리에서 수축된 효과사는 직물, 편물, 부직포 등의 원단으로 제조된 후, 후가공시에 수축율이 3 ~ -8%의 저수축 또는 자발 신장 특성이 부여되어 심사인 고수축사와 함께 뛰어난 볼륨감을 가지게 된다.
상기 교락단계는 열처리된 효과사와 심사를 공기 교락을 통해 합사하는 단계로 일반적인 공기 교락장치(50)를 통해 상기 효과사와 심사를 합사하여 복합사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권취단계는 교락된 복합사를 권취하는 단계로 도 2에서와 같이 권취롤러(70)등을 통해 권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본 발명의 볼륨감과 보온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는 열수축 공정을 통해 심사가 고수축되고 효과사가 저수축 또는 자발 신장하여 볼륨감 및 보온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볼륨감과 보온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를 포함하는 섬유원단을 제조시에는 섬유원단을 제조한 후, 열수축 공정을 통해 심사가 고수축되고 효과사가 저수축 또는 자발 신장하여 수축율의 차이로 볼륨감 및 보온성이 향상된다.
상기 심사는 열수축 공정 후에 수축율이 8%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2%이상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효과사는 열수축 공정 후에 수축율이 3%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미만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심사와 효과사의 수축율차가 클수록 볼륨감이 향상되는 것으로 열수축 공정 후에 심사와 효과사의 수축율 차이가 10~20%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심사와 효과사의 수축율 차이가 10%미만인 경우에는 볼륨감이 저하될 수 있으며, 수축율 차이가 2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복합사 제조공정 상에 불량율이 높아질 수 있으므로 수축율 차이는 5~20%인 것이 바람직할것이다.
본 발명의 볼륨감과 보온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는 우수한 볼륨감과 보온성으로 의류용에 적합하며, 다양한 섬유제품에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볼륨감과 보온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내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3
고수축 폴리에스테르사를 심사로, 중공형 폴리에스테르 반연신사를 효과사로 사용하였으며 도 2와 같은 효과사는 히트롤러를 통해 연신 및 접촉 열처리 및 히트플레이트를 통해 비접촉 열처리를 하였다.
상기 열처리된 효과사와 심사를 공기 교락을 통해 합사하여 권취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볼륨감과 보온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의 심사 및 효과사에 대한 조성 및 제조 조건은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내지 3
고수축 폴리에스테르사를 심사로, 폴리에스테르 반연신사를 효과사로 사용하였으며, 상기 심사와 효과사는 히트롤러를 이용하여 정장 열처리를 한 후 합사하고 히트플레이트를 통해 비접촉 열처리를 하여 폴리에스테르 복합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내지 3의 심사 및 효과사에 대한 제조 조건은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효과사(중공율%) 25 25 30 25 0 0
심사
(수축율%)
15 15 15 15 8 15
효과사
(수축율%)
-3~-1 -6~-4 -6~-4 1~0 0 0
효과사
연신비
0.95 0.9 0.9 1.009 1.009 1.009
사도 효과사 이완열처리심사 취외 복합 효과사 이완열처리심사 취외 복합 효과사 이완열처리심사 취외 복합 심사, 효과사 동시 정장 열처리 심사, 효과사 동시 정장 열처리 심사, 효과사 동시 정장 열처리
오버피드율 10% 10% 10% - - -
히트롤러
온도(℃)
100 100 110 110 110 110
히트플레이트 온도(℃) 200 200 200 200 200 200
◈ 실시예 및 비교예의 물성 평가
1. 물성평가 방법
* 수축율(%)=(수축전 길이-수축후 길이)/수축전 길이 * 100
* 수축차:심사와 효과사의 수축율의 차이로 하기와 같은 수식에 의해 수축차를 구한다.
수축차= 심사의 수추률(%)-효과사의 수출률(%)
* 공정성 평가: 1등급 생산량/전체 생산량*100= 수율(중량기준)
* 보온성 및 후도감 평가: 5명의 전문가에 의한 상대적인 관능평가 실시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수축차(%) 17 20 20 14 8 15
보온성(점) 7 8 9 6 4 5
공정성(%) 96 96 80 97 97 97
후도감 ○∼◎
표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볼륨감 및 보온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인 실시예 1 내지 3는 모두 비교예 1 내지 3 보다 수축차가 큰 것으로 볼륨감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으며, 보온성 및 후도감이 비교예 1 내지 3 보다 뛰어난 것을 알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복합사인 실시예 1 내지 3는 볼륨감과 보온성이 모두 우수한 것으로 다양한 섬유소재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심사 200 : 효과사
10 : 히트롤러 30 : 히트플레이트
50 : 교락장치 70 : 권취롤러

Claims (5)

  1. 고수축 폴리에스테르사를 심사로, 폴리에스테르 중공형 반연신사를 효과사로 공급하는 사공급단계;
    상기 효과사를 히트롤러를 통해 연신 및 열처리하는 접촉 열처리단계;
    상기 접촉 열처리단계에서 열처리된 효과사를 히트플레이트에서 열처리하는 비접촉 열처리단계;
    상기 열처리된 효과사와 심사를 공기 교락을 통해 합사하는 교락단계 및
    교락된 복합사를 권취하는 권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륨감과 보온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효과사의 중공율은 15~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륨감과 보온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열처리단계에서 효과사의 연신비는 0.85~0.9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륨감과 보온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단계 전에 방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신축성과 볼륨감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제조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륨감과 보온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KR1020150134444A 2015-09-23 2015-09-23 볼륨감과 보온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361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444A KR20170036159A (ko) 2015-09-23 2015-09-23 볼륨감과 보온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444A KR20170036159A (ko) 2015-09-23 2015-09-23 볼륨감과 보온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6159A true KR20170036159A (ko) 2017-04-03

Family

ID=58589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4444A KR20170036159A (ko) 2015-09-23 2015-09-23 볼륨감과 보온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615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0138B1 (ko) * 2018-12-17 2020-04-13 조대현 제직성 및 볼륨감이 우수한 직물형 패딩원단용 충진섬유
KR20200074468A (ko) * 2018-12-17 2020-06-25 조대현 볼륨감 및 권축회복력이 우수한 직물형 패딩원단용 충진섬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0138B1 (ko) * 2018-12-17 2020-04-13 조대현 제직성 및 볼륨감이 우수한 직물형 패딩원단용 충진섬유
KR20200074468A (ko) * 2018-12-17 2020-06-25 조대현 볼륨감 및 권축회복력이 우수한 직물형 패딩원단용 충진섬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4691B1 (ko) 신축성과 반발탄성이 우수한 마조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579232B1 (ko) 신축성과 볼륨감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881826B1 (ko) 흡한속건성 및 신축성이 우수한 면조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618073B1 (ko) 부분연신사를 이용한 신축성과 드레이퍼리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51584A (ko) 신축성과 보온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36159A (ko) 볼륨감과 보온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821740B1 (ko) 섬유 표면 형상에 의한 촉감이 우수한 신축성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976154B1 (ko) 신축성이 우수한 카티온 염색성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606802B1 (ko) 부분연신사를 이용한 신축성과 볼륨감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981757B1 (ko) 신축성이 우수한 면조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712843B1 (ko) 볼륨감과 보온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866688B1 (ko) 멜란지 효과가 우수하고, 드레이프성 및 고신축성을 갖는 레이온-라이크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618072B1 (ko) 촉감 및 볼륨감이 우수한 신축성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100476471B1 (ko) 이수축 혼섬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675647B1 (ko) 폴리에스테르 고가연사 및 그를 이용한 작업복용 원단
TW452612B (en) Composition polyurethane elastic yarns and stretch woven fabrics
KR101972100B1 (ko) 색조가 우수한 카티온 가염성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24796A (ko) 보온성과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680332B1 (ko) 수축율이 향상된 폴리에스터 이수축 혼섬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99109B1 (ko) 선연 후가연 특성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가연사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가연사
KR102160649B1 (ko) 감성적 및 기능적 특성이 우수한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102632326B1 (ko)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및 폴리1,4-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복합 멀티필라멘트 및 그의 제조방법
JPH03180572A (ja) 高弾性織物の製造法
KR102586546B1 (ko)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및 폴리1,4-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복합 멀티필라멘트를 함유하는 원단
KR101764313B1 (ko) 루프발현이 우수한 폴리에스터 이수축 혼섬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