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6908A - 냉매관 가공장치에 구비되는 냉매관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냉매관 가공장치에 구비되는 냉매관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6908A
KR20160036908A KR1020140129163A KR20140129163A KR20160036908A KR 20160036908 A KR20160036908 A KR 20160036908A KR 1020140129163 A KR1020140129163 A KR 1020140129163A KR 20140129163 A KR20140129163 A KR 20140129163A KR 20160036908 A KR20160036908 A KR 20160036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belt
refrigerant pipe
transferring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9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태훈
Original Assignee
피티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티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피티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9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6908A/ko
Publication of KR20160036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69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1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 B65G15/12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with two or more endless belts
    • B65G15/14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with two or more endless belts the load being conveyed between the belts

Abstract

냉매관 튜브를 가공하여 에어컨용 냉매관을 가공하는 냉매관 가공장치에 구비되는 냉매관 이송장치에 있어서, 이송부 본체와. 상기 이송부 본체에 구비되는 상하로 위치하는 상부 이송부와 및 하부 이송부와, 상기 상부 이송부 또는 하부 이송부를 구동하는 이송부 모터와, 가압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이송부는 이송부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 기어와, 상기 상부 기어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상부 제1 풀리와, 상기 상부 제1 풀리로부터 냉매관의 이송 방향으로 이격되어 이송부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 제2 풀리와, 상기 상부 제1 풀리와 상부 제2 풀리에 감겨 구비되는 상부 벨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이송부는 이송부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상부 기어 하부에 위치하여 상부 기어와 치합하는 하부 기어와, 상기 하부 기어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하부 제1 풀리와, 상기 하부 제1 풀리로부터 냉매관의 이송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부 제1 풀리 하부에 위치하며 이송부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부 제2 풀리와, 상기 하부 제1 풀리와 하부 제2 풀리에 감겨 구비되는 하부 벨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수단은 냉매관 이송 방향으로 상부 제1 풀리와 상부 제2 풀리 사이에 위치하여 상부 벨트와 하부 벨트를 상하에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관 가공장치에 구비되는 냉매관 이송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냉매관 가공장치에 구비되는 냉매관 이송장치{Cold medium pipe transfer apparatus for cold medium pipe processing device}
본 발명은 냉매관 가공장치에 구비되는 냉매관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벨트를 이용하여 냉매관을 절단부로 이송시킬 수 있는 냉매관 가공장치에 구비되는 냉매관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어컨 콘덴서에 사용되어 냉매가 순환하는 통로가 되는 냉매관(2)은 가공이 용이한 알루미늄을 이용하여, 단면이 납작한 형태로 제조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냉매관(2)의 중심에는 다수의 유로(2a)가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냉매관(2)은 에어컨디셔너의 사용 목적이나 설치 장소에 따라서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야 하므로, 일정 길이씩 냉매관(2)을 이송하는 장치가 필요하였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매관(2)을 절단하고 이송하기 위한 냉매관 가공장치(1)는 성형된 냉매관(2)을 후공정으로 이송하기 위한 냉매관 이송부(12)와, 냉매관(2)을 정해진 길이로 절단하기 위한 냉매관 절단부(13) 등을 포함하고 있다.
냉매관 가공장치(1)에서 알루미늄이 가공됨으로써 완성되는 냉매관(2)은 냉매관 이송부(12)에 의해서 프레임(11)을 따라 이송되고, 냉매관 절단부(13)에서 정해진 길이로 절단된다.
즉, 냉매관 이송부(12)는 프레임(11)에 설치되어 이송모터(12-1)에 의해서 작동되고 프레임(11)을 따라 이송하는 다수의 클램프(12-2)를 구비하여, 냉매관(2)을 클램프(12-2)에 파지하여 이송시켜 후공정으로 이송시킨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종래의 냉매관 가공장치(1)에 장착된 이송부(12)는 클램프(12-2)가 냉매관(2)을 파지하여 이송시켜야 하기 때문에, 냉매관(2)을 파지하는 과정에서 냉매관(2)이 손상을 입을 수 있고, 상기 클램프(12-2)를 정확한 거리로 이송하지 못하여 냉매관(2)을 정해진 길이로 가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종래 기술의 냉매관 가공장치에 구비된 이송장치(3)는 몸체 역할을 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에 수직으로 구비되어 냉매관 이송부(20)가 설치되는 이송부 프레임(21)과, 상기 이송부 프레임(21)에 상하 방향으로 대칭되도록 설치되는 하부 이송부(20a)와 상부 이송부(20b)로 이루어진 냉매관 이송부(20)와, 상기 냉매관 이송부(20)를 구동시키는 이송부 구동모터(22)로 이루어 진다.
상기 냉매관 이송부(20)는 냉매관 가공장치의 프레임(10)상에 설치되어, 선공정에서 성형된 냉매관(2)을 후공정으로 이송시킨다.
이를 위해서 냉매관 이송부(2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상에 이송부 프레임(21)을 체결하고, 이송부 구동모터(22)에 의해서 구동되도록, 상기 이송부 프레임(21)에 서로 연동되도록 하부 이송부(20a)와 상부 이송부(20b)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하부 이송부(20a)와 상부 이송부(20b) 사이에 냉매관(2)을 밀착시켜 통과시킴으로써, 냉매관(2)을 이송시킨다.
상기 이송부 프레임(21)은 상기 프레임(10)에 후술되는 하부 이송부(20a), 상부 이송부(20b)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프레임(10)과 일체가 되도록 프레임(10)에 체결된다.
상기 이송부 구동모터(22)는 프레임(10) 또는 상기 프레임(10)에 구비되어 전원이 인가되면,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하부 이송부(20a)는 상기 이송부 프레임(2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구동타이밍풀리(24a) 및 종동타이밍풀리(24b)와, 상기 구동타이밍풀리(24a)와 종동타이밍풀리(24b)를 순환하도록 이송벨트(26)가 구비된다.
구동타이밍풀리(24a)는 상기 프레임(10)을 따라 이송되는 냉매관(2)의 하부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송부 프레임(21)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이송부 구동모터(22)의 구동력이 구동벨트(23)와 같은 동력전달수단을 통하여 전달된다.
종동타이밍풀리(24b)는 상기 구동타이밍풀리(24a)와 실질적으로 같은 높이로 구비된다.
이송벨트(26)는 상기 구동타이밍풀리(24a)와 종동이밍동풀리(24b)를 순환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이송벨트(26)의 외측면에 상기 냉매관(2)이 접촉하여 상기 이송벨트(26)가 순환하는 만큼, 냉매관(2)이 이송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냉매관(2)이 의도하는 바대로, 즉 정해진 길이로 절단되기 위해서는 상기 냉매관(2)이 이송벨트(26)와 슬립없이 이송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합성수지, 고무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이송벨트(26)의 내측에 치(齒)가 형성되도록 한다.
도 6을 이용하여 상기 이송벨트(26)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순환방향으로 따라 치가 형성되는 동기부(26a)와, 상기 동기부(26a)의 측면에 롤러(27a)의 주행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가압부(26b)로 이루어진다.
상기 동기부(26a)는 순환방향을 따라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통상의 타이밍벨트와 같이 치가 형성되어, 상기 구동타이밍풀리(24a) 및 종동타이밍풀리(24b)에 치합된다. 즉, 상기 구동타이밍풀리(24a)와 종동타이밍풀리(24b)도 상기 이송벨트(26) 의 동기부(26a)와 치합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타이밍풀리(24a)와 종동타이밍풀리(24b)의 외측에도 치가 형성되어 상기 이송벨트(26)가 상기 구동타이밍풀리(24a) 및 종동타이밍풀리(24b)에 치합된다. 상기 구동타이밍풀리(24a)와 종동타이밍풀리(24b)가 이송벨트(26)와 치합됨으로써, 이송부 구동모터(22)의 구동력이 손실없이 이송벨트(26)로 전달된다.
상기 동기부(26a)의 측단에는 치가 형성되지 않아, 롤러(27a)에 의해 이송벨트(26)를 가압할 수 있도록 가압부(26b)가 형성된다. 상기 가압부(26b)는 통상의 평벨트와 같이, 치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로 형성된다. 상기 이송벨트(26)는 동기부(26a)와 가압부(26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동기부(26a)에 의해서 구동타이밍풀리(24a)의 회전량이 손실없이 냉매관(2)으로 전달되고, 상기 가압부(26b)를 통하여 가압한다.
여기서, 상기 이송벨트(26)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26b)의 양측에 동기부(26a)가 배치될 수도 있고, 동기부(26a)의 양측에 가압부(26b)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구동타이밍풀리(24a)와 종동타이밍풀리(24b)에 이송벨트(26)가 순환되도록 하고, 상기 이송벨트(26)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서 텐셔너(24c)가 구비된다.
상부 이송부(20b)는 앞서 설명한 하부 이송부(20a)와 마찬가지로, 이송부 프레임(21)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외측에 치가 형성되는 구동타이밍풀리(24a) 및 종동타이밍풀리(24b)와, 상기 구동타이밍풀리(24a)와 종동타이밍풀리(24b)를 순환하고 상기 구동타이밍풀리(24a)와 종동타이밍풀리에 치합되는 동기부(26a)가 형성된 이송벨트(26)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이송벨트(26)는 상기 하부 이송부(20a)의 이송벨트(26)의 상방에 배치되되, 상기 하부 이송부(20a)의 이송벨트(26)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하부 이송부(20a)와 상부 이송부(20b)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하부 이송부(20a)와 상부 이송부(20b)가 서로 상하 대칭되도록 배치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 이송부(20a)와 상부 이송부(20b)가 서로 동시에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하부 이송부(20a)와 상부 이송부(20b)의 구동타이밍풀리(24a)에 서로 치합되는 연동기어(25)를 구비한다. 서로 동일한 유효직경을 갖는 연동기어(25)를 하부 이송부(20a)와 상부 이송부(20b)의 구동타이밍풀리(24a)와 동축으로 체결함으로써, 하부 이송부(20a)와 상부 이송부(20b)가 같은 속도로 순환하되, 하부 이송부(20a)와 상부 이송부(20b)에서 이송벨트(26)의 순환방향은 서로 반대가 된다.
한편, 상기 이송벨트(26)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벨트(26)가 이송중인 냉매관(2)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롤러어셈블리(27)를 구비한다. 롤러어셈블리(27)는 상기 이송벨트(26)의 가압부(26b)에 밀착되어, 상기 이송벨트(26)를 내측에서 외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이송벨트(26)의 외측면이 냉매관(2)이 밀착되도록 한다. 롤러어셈블리(27)는 일렬로 다수의 롤러(27a) 배치하고, 이를 브라켓을 이용하여 일체로 연결시켜, 상기 롤러어셈블리(27)가 상기 이송벨트(26)를 가압함으로써, 이송중인 냉매관(2)에 이송벨트(26)가 밀착된다.
이때, 상기 롤러어셈블리(27)는 하부 이송부(20a)와 상부 이송부(20b)의 내부에 각각 구비되고, 상부 이송부(20b) 측에 구비되는 롤러어셈블리(27)는 승강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상부 이송부(20b)에 구비되는 롤러어셈블리(27)를 실린더(28)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된 피스톤(28a)의 하단에 연결함으로써, 상기 피스톤(28a)의 승강에 의해서 롤러어셈블리(27)를 승강시킬 수 있다. 여기서, 롤러어셈블리(27)의 승강을 안내하기 위한 복수의 가이드(28b)를 구비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또다른 종래기술에 따른 냉매관 가공장치의 이송장치(3)에 장착된 이송부(20)는 롤러어셈블리(27)가 이송벨트(26)를 가압하여 냉매관(2)을 이송하는 방식으로 상기 롤러어셈블리(27)가 냉매관(2)을 가압하여 이송하는 과정에서 냉매관(2)이 손상을 입을 수 있고, 상기 냉매관(2)을 냉매관(2)의 길이 방향으로 정확하게 이송하지 못하여 냉매관(2)의 폭 방향 단부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0993698호 등록특허공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냉매관 이송장치가 냉매관을 후공정을 위하여 절단부로 이송할 시 이송과정에서 냉매관이 변형되거나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고 신속한 이송이 가능한 냉매관 가공장치에 구비되는 냉매관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냉매관 이송장치는 이송부 본체와. 상기 이송부 본체에 구비되는 상하로 위치하는 상부 이송부와 및 하부 이송부와, 상기 상부 이송부 또는 하부 이송부를 구동하는 이송부 모터와, 가압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이송부는 이송부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 기어와, 상기 상부 기어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상부 제1 풀리와, 상기 상부 제1 풀리로부터 냉매관의 이송 방향으로 이격되어 이송부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 제2 풀리와, 상기 상부 제1 풀리와 상부 제2 풀리에 감겨 구비되는 상부 벨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이송부는 이송부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상부 기어 하부에 위치하여 상부 기어와 치합하는 하부 기어와, 상기 하부 기어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하부 제1 풀리와, 상기 하부 제1 풀리로부터 냉매관의 이송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부 제1 풀리 하부에 위치하며 이송부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부 제2 풀리와, 상기 하부 제1 풀리와 하부 제2 풀리에 감겨 구비되는 하부 벨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수단은 냉매관 이송 방향으로 상부 제1 풀리와 상부 제2 풀리 사이에 위치하여 상부 벨트와 하부 벨트를 상하에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관 가공장치에 구비되는 냉매관 이송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부 제1 풀리와, 하부제1 풀리와, 상부 제2 풀리와, 하부 제2 풀리에는 축 방향으로 이격되며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오목한 복수의 벨트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벨트와 하부 벨트는 벨트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며 벨트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벨트홈에 삽입되는 복수의 벨트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벨트돌기 사이에 벨트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벨트홈이 형성되어 복수의 벨트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부 제1 풀리와, 하부 제1 풀리와, 상부 제2 풀리와, 하부 제2 풀리에는 축 방향으로 이격되며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오목한 3개의 벨트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벨트와 하부 벨트는 벨트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며 벨트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벨트홈에 삽입되는 3개의 벨트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벨트돌기 사이에는 벨트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2개의 벨트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가압수단은 상부 구동부에 구비되는 상부 벨트의 폐회로 내에 위치하며 복수의 상부 롤러를 가지는 상부 롤러부와, 하부 구동부에 구비되는 하부 벨트의 폐회로 내에 위치하며 복수의 하부 롤러를 가지는 하부 롤러부와, 상기 상부 벨트와 하부 벨트 중 어느 하나를 다른 하나 쪽으로 가압하는 가압기구로 이루어지며; 상부 벨트가 상부 롤러 사이 및 하부 벨트와 하부 롤러 사이에는 벨트홈에 의하여 형성된 틈새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틈새는 벨트의 폭 방향의 중심부에 구비되는 벨트돌기의 양측으로 형성되며; 이송되는 냉매관의 폭 방향 양측 단부는 틈새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냉매관 가공장치에 구비되는 냉매관 이송장치에 따르면 냉매관 이송장치가 냉매관을 후공정을 위하여 절단부로 이송할 시 이송과정에서 냉매관이 변형되거나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고 냉매관의 신속한 이송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이송장치에 의하여 이송되는 냉매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종래의 냉매관 가공장치에 구비된 이송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매관 가공장치에서 이송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Ⅰ-Ⅰ선을 따라 절개한 이송부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A부분의 이송벨트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냉매관 가공장치에 구비되는 이송장치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냉매관 가공장치에 구비되는 이송장치의 측면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며,
도 9는 상부 제1 풀리와 하부 제1 풀리에 이송벨트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가압수단 및 상부 롤러부와 하부 롤러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상부 롤러부와 하부 롤러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상, 하부벨트를 확대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3는 하부벨트의 외면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냉매관 가공장치에 구비되는 냉매관 이송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냉매관 가공장치에 구비되는 이송장치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냉매관 가공장치에 구비되는 이송장치의 측면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며, 도 9는 상부 제1 풀리와 하부 제1 풀리에 이송벨트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가압수단 및 상부 롤러부와 하부 롤러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상부 롤러부와 하부 롤러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상, 하부벨트를 확대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3는 하부벨트의 외면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7의 가로 방향을 “길이 방향”이라고 하고, 세로 방향을 “상하 방향”이라고 하며, 지면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을 “폭 방향”으로 하여 기재한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냉매관 가공장치에 구비되는 냉매관 이송장치(100)는 이송부 본체(110)와. 상기 이송부 본체(110)에 구비되는 상하로 위치하는 상부 이송부(120)와 및 하부 이송부(130)와, 상기 상부 이송부(120) 또는 하부 이송부(130)를 구동하는 이송부 모터(140)와, 가압수단(15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이송부(120)는 이송부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 기어(121)와, 상기 상부 기어(121)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상부 제1 풀리(123)와, 상기 상부 제1 풀리(123)로부터 냉매관(2)의 이송 방향으로 이격되어 이송부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 제2 풀리(125)와, 상기 상부 제1 풀리(123)와 상부 제2 풀리(125)에 감겨 구비되는 상부 벨트(127)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기어(121)의 폭 방향 일측에는 상부 제1 풀리(123)가 일체로 구비된다. 상기 상부 기어(121)의 폭 방향 타측에는 베벨 기어가 일체로 구비된다.
상기 상부 기어(121)에 일체로 구비되는 베벨 기어는 상기 이송부 모터(140)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을 전달받기 위하여 상기 이송부 모터(140)가 결합된 동력 전달부(141)의 일측에 연결된다.
상기 동력 전달부(141)는 폭 방향으로 절개한 단면이 대략“ㄴ”자를 이룬다. 상기 전달부(141)의 타측에 결합 구비되는 이송부 모터(140)는 상기 상부 기어(121)에 일체로 구비되는 베벨기어의 축 방향과 수직하게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부 모터(140)의 동력을 상기 상부 기어(121)에 전달하기 위하여 이송부 모터(140)의 구동축에는 또 다른 베벨 기어(도시되지 않음)가 장착된다.
상기에 기재한 내용에 따라 상기 이송부 모터(140)로부터 상기 상부 기어(121)까지의 동력 전달 과정을 설명하면 상기 이송부 모터(140)가 구동되면 이송부 모터(140)측에 장착된 베벨 기어가 상기 상부 기어(121)에 일체로 구비되는 또다른 베벨 기어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부 기어(121)가 구동되게 된다. 이때 상부 기어(121)가 구동됨으로써 상기 상부 기어(121)에 일체로 구비되는 상부 제1 풀리(123)도 동시에 구동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제1 풀리(123)는 환원체로써 반경 방향 외측으로 상기 상부 벨트(127)의 일측이 장착된다. 상부 제1 풀리(123)의 반경 방향 외측 원주면에는 상기 상부 벨트(127)의 장착을 위한 풀리홈(123a)이 형성된다. 상기 풀리홈(123a)은 상기 상부 제1 풀리홈(123a)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풀리홈(123a)은 상부 제1 풀리(123)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3개가 구비된다. 상기 풀리홈(123a)은 사용환경에 따라 개수가 더 많거나 적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풀리홈(123a)의 단면은 반경 방향 내향 할수록 폭이 좁아지는“V”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풀리홈(123a)의 하단부는 평평한 평탄부가 형성된다.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상기 풀리홈(123a)의 폭 방향 사이에는 풀리돌기(1231)가 구비된다. 상기 풀리돌기(1231)는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2개가 형성된다. 상기 풀리돌기(1231)는 상기 풀리홈(123a)의 개수에 따라 더 많거나 적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풀리돌기(1231)는 상기 상부 제1 풀리(123)의 반경 방향 외측에 원주 방향으로 연장 구비된다. 상기 풀리돌기(1231)는 상기 상부 제1 풀리(123)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 구비된다. 상기 풀리돌기(1231)의 단부는 상향 할수록 폭이 좁아지는 사다리꼴의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상부 제1 풀리(123)에는 상부 벨트(127)의 일측이 장착된다. 상기 상부 벨트(127)의 반경 방향 내경면에는 벨트돌기(1271)가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3개가 구비된다. 상기 벨트돌기(1271)는 사용환경에 따라 개수가 더 많거나 적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벨트돌기(1271)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 구비된다. 벨트돌기(1271)의 단면은 상향 할수록 폭이 좁아지는 사다리꼴의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벨트돌기(1271)의 폭 방향 사이에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벨트홈(127a)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벨트홈(127a)의 단면은 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벨트홈(127a)의 단면은 사각형외의 원형 및 다른 다각형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에 기재된 내용에 따라 상부 제1 풀리(123)와 상부 벨트(127)의 결합형태를 설명하면 상기 상부 제1 풀리(123)에 형성된 풀리홈(123a)에 상기 상부 벨트(127)의 벨트돌기(1271)가 삽입되어 상부 벨트(127)가 장착된다. 이때 벨트돌기(1271)의 폭 방향 사이에는 풀리돌기(1231)가 삽입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결합구조에 따라 상부 제1 풀리(123)와 상부 벨트(127)는 접촉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구동시 발생하는 슬립이 방지된다.
상기 상부 벨트(127)의 타측은 상기 상부 제2 풀리(125)에 장착된다.
후술할 상부 제2 풀리(125)의 구조는 상술한 상부 제1 풀리(123)와 동일함으로 도면에 구조 및 도면부호의 도시를 생략한다.
상기 상부 제2 풀리(125)는 상기 상부 제1 풀리(123)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상부 제2 풀리(125)의 반경 방향 외측 원주면에는 상기 상부 벨트(127)의 장착을 위한 풀리홈이 형성된다. 상기 풀리홈은 상기 상부 제2 풀리홈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풀리홈은 상부 제2 풀리(125)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3개가 구비된다. 상기 풀리홈은 사용환경에 따라 개수가 더 많거나 적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풀리홈의 단면은 반경 방향 내향 할수록 폭이 좁아지는“V”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풀리홈의 하단부는 평평한 평탄부가 형성된다.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상기 풀리홈의 폭 방향 사이에는 풀리돌기가 구비된다. 상기 풀리돌기는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2개가 형성된다. 상기 풀리돌기는 상기 풀리홈의 개수에 따라 더 많거나 적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풀리돌기는 상기 상부 제2 풀리(125)의 반경 방향 외측에 원주 방향으로 연장 구비된다. 상기 풀리돌기는 상기 상부 제2 풀리(125)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 구비된다. 상기 풀리돌기의 단부는 상향 할수록 폭이 좁아지는 사다리꼴의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상부 제2 풀리(125)와 상기 상부 벨트(127)의 결합형태는 상술한 상부 제1 풀리(123)와 상부 벨트(127)의 결합형태와 동일함으로 생략한다.
상기 상부 제2 풀리(125)는 상기 상부 제1 풀리(123)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을 상부 벨트(127)에 의해 전달받아 상부 제1 풀리(123)와 같은 방향으로 구동된다.
한편 상기 상부 이송부(120)의 하부에 위치하여 이송부 본체(110)에 구비되는 상기 하부 이송부(130)는 이송부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부 기어(131)와, 상기 하부 기어(131)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하부 제1 풀리(133)와, 상기 하부 제1 풀리(133)로부터 냉매관(2)의 이송 방향으로 이격되어 이송부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부 제2 풀리(135)와, 상기 하부 제1 풀리(133)와 하부 제2 풀리(135)에 감겨 구비되는 하부 벨트(137)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 기어(131)의 폭 방향 일측에는 하부 제1 풀리(133)가 일체로 구비된다.
상기 하부 기어(131)는 상기 상부 기어(121)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 기어(131)는 상기 상부 기어(121)와 반대 방향으로 구동된다. 이때 하부 기어(131)가 구동됨으로써 상기 하부 기어(131)에 일체로 구비되는 하부 제1 풀리(133)도 동시에 구동된다.
상기 하부 제1 풀리(133)는 환원체로써 반경 방향 외측으로 상기 하부 벨트(137)의 일측이 장착된다. 하부 제1 풀리(133)의 반경 방향 외측 원주면에는 상기 하부 벨트(137)의 장착을 위한 풀리홈(133a)이 형성된다. 상기 풀리홈(133a)은 상기 하부 제1 풀리홈(133a)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풀리홈(133a)은 하부 제1 풀리(133)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3개가 구비된다. 상기 풀리홈(133a)은 사용환경에 따라 개수가 더 많거나 적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풀리홈(133a)의 단면은 반경 방향 내향 할수록 폭이 좁아지는“V”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풀리홈(133a)의 하단부는 평평한 평탄부가 형성된다.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상기 풀리홈(133a)의 폭 방향 사이에는 풀리돌기(1331)가 구비된다. 상기 풀리돌기(1331)는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2개가 형성된다. 상기 풀리돌기(1331)는 상기 풀리홈(133a)의 개수에 따라 더 많거나 적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풀리돌기(1331)는 상기 하부 제1 풀리(133)의 반경 방향 외측에 원주 방향으로 연장 구비된다. 상기 풀리돌기(1331)는 상기 하부 제1 풀리(133)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 구비된다. 상기 풀리돌기(1331)의 단부는 상향 할수록 폭이 좁아지는 사다리꼴의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하부 제1 풀리(133)에는 하부 벨트(137)의 일측이 장착된다. 상기 하부 벨트(137)의 반경 방향 내경면에는 벨트돌기(1371)가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3개가 구비된다. 상기 벨트돌기(1371)는 사용환경에 따라 개수가 더 많거나 적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벨트돌기(1371)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 구비된다. 벨트돌기(1371)의 단면은 상향 할수록 폭이 좁아지는 사다리꼴의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벨트돌기(1371)의 폭 방향 사이에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벨트홈(137a)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벨트홈(137a)의 단면은 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벨트홈(137a)의 단면은 사각형외의 원형 및 다른 다각형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에 기재된 내용에 따라 하부 제1 풀리(133)와 하부 벨트(137)의 결합형태를 설명하면 상기 하부 제1 풀리(133)에 형성된 풀리홈(133a)에 상기 하부 벨트(137)의 벨트돌기(1371)가 삽입되어 상부 벨트(137)가 장착된다. 이때 벨트돌기(1371)의 폭 방향 사이에는 풀리돌기(1331)가 삽입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결합구조에 따라 하부 제1 풀리(133)와 하부 벨트(137)는 접촉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구동시 발생하는 슬립이 방지된다.
상기 하부 벨트(137)의 타측은 상기 하부 제2 풀리(135)에 장착된다.
후술할 하부 제2 풀리(135)의 구조는 상술한 하부 제1 풀리(133)와 동일함으로 도면에서 구조 및 도면부호의 도시를 생략한다.
상기 하부 제2 풀리(135)는 상기 하부 제1 풀리(133)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상부 제2 풀리(125)의 하부에 구비된다. 상기 하부 제2 풀리(135)의 반경 방향 외측 원주면에는 상기 하부 벨트(137)의 장착을 위한 풀리홈이 형성된다. 상기 풀리홈은 상기 하부 제2 풀리홈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풀리홈은 하부 제2 풀리(135)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3개가 구비된다. 상기 풀리홈은 사용환경에 따라 개수가 더 많거나 적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풀리홈의 단면은 반경 방향 내향 할수록 폭이 좁아지는“V”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풀리홈의 하단부는 평평한 평탄부가 형성된다.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하부 제2 풀리(135)에 구비되는 풀리홈의 폭 방향 사이에는 풀리돌기가 구비된다. 상기 풀리돌기는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2개가 형성된다. 상기 풀리돌기는 상기 풀리홈의 개수에 따라 더 많거나 적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풀리돌기는 상기 하부 제2 풀리(135)의 반경 방향 외측에 원주 방향으로 연장 구비된다. 상기 풀리돌기는 상기 하부 제2 풀리(135)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 구비된다. 상기 풀리돌기의 단부는 상향 할수록 폭이 좁아지는 사다리꼴의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하부 제2 풀리(135)와 상기 하부 벨트(137)의 결합형태는 상술한 하부 제1 풀리(133)와 하부 벨트(137)의 결합형태와 동일함으로 생략한다.
상기 하부 제2 풀리(135)는 상기 하부 제1 풀리(133)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을 하부 벨트(137)에 의해 전달받아 하부 제1 풀리(133)와 같은 방향으로 구동된다.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수단(150)은 상부 이송부(120)에 구비되는 상부 벨트(127)의 폐회로 내에 위치하며 복수의 상부 롤러(1292)를 가지는 상부 롤러부(129)와, 하부 이송부(130)에 구비되는 하부 벨트(137)의 폐회로 내에 위치하며 복수의 하부 롤러(1392)를 가지는 하부 롤러부(139)와, 상기 상부 벨트(127)와 하부 벨트(137) 중 어느 하나를 다른 하나 쪽으로 가압하는 가압기구(151)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압수단(150)은 상기 이송부 본체(110)에 구비된다. 상기 가압수단(150)은 상기 상부 롤러부(129)를 가압하는 가압기구(151)를 구비한다.
상기 가압기구(151)는 유압을 이용하여 후술할 가압블록(1512)을 움직이는 실린더(1511)와, 상기 실린더(1511)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가압블록(1512)과, 상기 가압블록(1512)에 구비되고 하단부가 후술할 상부 롤러지지체(1291)에 접촉하여 상기 상부 롤러부(129)를 하향 가압하는 피스톤(151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실린더(1511)는 이송부 본체(110)에 구비되며, 유압을 이용하여 상기 가압블록(1512)의 상단을 하향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압블록(1512)은 길이 방향 중심부에 상기 상부 롤러지지체(1291)를 하향으로 밀어내는 피스톤(1513)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상부 롤러지지체(1291)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는 가이드축(1295)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축(1295)은 상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축(1295)은 상기 이송부 본체(110)에 구비된 가이드(115)에 삽입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가압기구(151)에 의하여 상기 상부 롤러지지체(1291)가 하 방향으로 움직일 시 상기 가이드(115)를 따라 움직이는 가이드축(1295)에 의하여 수직으로 흔들림 없이 상부 롤러지지체(1291)가 상부 벨트(127)를 하향 가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압기구(151)는 상부 롤러부(129)를 움직이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송장치의 형태에 따라 하부 롤러부(139) 또는 상,하부 롤러부(129, 139)를 동시에 가압할 수도 있다.
상기 가압기구(151)에 의하여 상부 벨트(127)를 하향 가압하는 상부 롤러부(129)는 몸체가 되는 상부 롤러지지체(1291)와, 상기 상부 롤러지지체(1291)의 하부에 복수로 구비되는 상부롤러(1292)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롤러부(129)는 상기 상부 벨트(127)의 폐회로 내에 위치한다.
상기 상부 롤러지지체(1291)는 하부가 길이 방향으로 개구된 블록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개구부에는 복수의 상부 롤러(1291)가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상부롤러(1291)는 상기 상부 롤러지지체(1291)가 상부 벨트(127)를 하향 가압할 시 상기 상부 벨트(127)와의 운동마찰을 억제하고 원할한 움직임을 확보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상기 상부 롤러부(129)와 쌍을 이루는 하부 롤러부(139)는 상기 상부 롤러부(129)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이송부 본체(110)에 구비된다.
상기 하부 롤러부(139)는 몸체가 되는 하부 롤러지지체(1391)와, 상기 하부 롤러지지체(1391)의 상부에 복수로 구비되는 하부롤러(1392)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 롤러부(139)는 상기 하부 벨트(137)의 폐회로 내에 위치한다.
상기 하부 롤러 지지체(1391)는 상부가 길이 방향으로 개구된 블록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개구부에는 복수의 하부 롤러(1391)가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하부 롤러(1391)는 상기 상부 롤러부(129)에 의하여 가압된 냉매관(2)이 상기 하부 벨트(137)를 하향 가압할 시 상기 하부 벨트(137)와의 운동마찰을 억제하고 원할한 움직임을 확보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수단(150)에 의하여 상부 롤러부(129)와 하부 롤러부(139)의 상하 방향 사이에 파지된 냉매관(2)의 파지형태 및 이송형태를 설명하면 상기 가압기구(151)에 의하여 하향 가압된 상부 롤러지지체(1291)의 상부롤러(1292)는 상부 벨트(127)를 하향 가압하게 된다. 하향 가압된 상기 상부 벨트(127)는 냉매관(2)의 상부에 접촉하며 상기 냉매관(2)을 하향 가압하게 된다.
상기 하향 가압된 냉매관(2)은 상기 하부 벨트(137)의 상면에 접촉하며 하향 가압한다. 상기 하부 벨트(137)의 하면이 상기 하부 롤러지지체(1391)에 설치된 하부롤러(1392)에 접촉되면 상기 상부 벨트(127) 및 하부 벨트(137)의 구동력에 의하여 냉매관(2)이 이송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 벨트(127)에 구비된 벨트돌기(1271)와 상부롤러(1292)가 접촉되어 틈새(B)가 형성된다. 상기 틈새(B)는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된 상기 벨트돌기(1271)의 경사부와 벨트홈(127a)에 의하여 형성된다. 상기 틈새(B)는 상부 벨트(127)의 폭 방향 중심에 구비된 벨트돌기(1271)를 중심으로 폭 방향 양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하부 벨트(137)에 구비된 벨트돌기(1371)와 하부롤러(1392)가 접촉되어 틈새(B)가 형성된다. 상기 틈새(B)는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된 상기 벨트돌기(137a)의 경사부와 벨트홈(137a)에 의하여 형성된다. 상기 틈새(B)는 하부 벨트(137)의 폭 방향 중심에 구비된 벨트돌기(1371)를 중심으로 폭 방향 양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냉매관(2)이 상기 상부 벨트(127)와 하부 벨트(137)의 상하 방향 사이에 파지 되었을 시 냉매관(2)의 폭 방향 양 단부는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상기 틈새(B)에 위치하여 이송된다.
따라서 냉매관(2)이 상기 상, 하부 벨트(127, 137)에 파지될 시 상기 냉매관(2)의 폭 방향 양단부가 상기 틈새(B)에 위치함으로써 가압되는 힘이 상쇄되어 단부의 형태변형 및 파손이 방지되어 냉매관(2)의 안전한 이송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2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벨트(127)와 하부 벨트(137)의 외면에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접지홈(127b, 137b)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접지홈(127b, 137b)은 벨트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상, 하부 밸트(127, 137)의 외면이 냉매관(2)과 접촉시 발생하는 슬립이 방지되어 보다 정확한 냉매관(2)의 이송이 가능하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냉매관 가공장치에 구비되는 냉매관 이송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냉매관 가공장치에 구비되는 냉매관 이송장치
110 : 이송부 본체 120 : 상부 이송부
127 : 상부 벨트 1271, 1371 : 벨트돌기
130 : 하부 이송부 137 : 하부 벨트
140 : 이송부 모터 150 : 가압수단

Claims (6)

  1. 냉매관 튜브를 가공하여 에어컨용 냉매관을 가공하는 냉매관 가공장치에 구비되는 냉매관 이송장치(100)에 있어서, 이송부 본체(110)와. 상기 이송부 본체(110)에 구비되는 상하로 위치하는 상부 이송부(120)와 및 하부 이송부(130)와, 상기 상부 이송부(120) 또는 하부 이송부(130)를 구동하는 이송부 모터(140)와, 가압수단(15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이송부(120)는 이송부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 기어(121)와, 상기 상부 기어(121)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상부 제1 풀리(123)와, 상기 상부 제1 풀리(123)로부터 냉매관(2)의 이송 방향으로 이격되어 이송부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 제2 풀리(125)와, 상기 상부 제1 풀리(123)와 상부 제2 풀리(125)에 감겨 구비되는 상부 벨트(127)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이송부(130)는 이송부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상부 기어(121) 하부에 위치하여 상부 기어(121)와 치합하는 하부 기어(131)와, 상기 하부 기어(131)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하부 제1 풀리(133)와, 상기 하부 제1 풀리(133)로부터 냉매관(2)의 이송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부 제1 풀리(125) 하부에 위치하며 이송부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부 제2 풀리(135)와, 상기 하부 제1 풀리(133)와 하부 제2 풀리(135)에 감겨 구비되는 하부 벨트(137)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수단(150)은 냉매관 이송 방향으로 상부 제1 풀리(123)와 상부 제2 풀리(125) 사이에 위치하여 상부 벨트(127)와 하부 벨트(137)를 상하에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관 가공장치에 구비되는 냉매관 이송장치(100).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제1 풀리(123)와, 하부 제1 풀리(133)와, 상부 제2 풀리(125)와, 하부 제2 풀리(135)에는 축 방향으로 이격되며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오목한 복수의 풀리홈(123a, 133a)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벨트(127)와 하부 벨트(137)는 벨트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며 벨트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풀리홈(123a, 125a)에 삽입되는 복수의 벨트돌기(1271, 1371)가 구비되고, 상기 벨트돌기(1271, 1371) 사이에 벨트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벨트홈(127a, 137a)이 형성되어 복수의 벨트홈(127a, 137a)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관 가공장치에 구비되는 냉매관 이송장치(100).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제1 풀리(123)와, 하부 제1 풀리(133)와, 상부 제2 풀리(125)와, 하부 제2 풀리(135)에는 축 방향으로 이격되며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오목한 3개의 풀리홈(123a, 133a)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벨트(127)와 하부 벨트(137)는 벨트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며 벨트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풀리홈(123a, 133a)에 삽입되는 3개의 벨트돌기(1271, 1371)가 구비되고, 상기 벨트돌기(1271, 1371) 사이에는 벨트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2개의 벨트홈(127a, 137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관 가공장치에 구비되는 냉매관 이송장치(100).
  4. 제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150)은 상부 이송부(120)에 구비되는 상부 벨트(127)의 폐회로 내에 위치하며 복수의 상부 롤러(1292)를 가지는 상부 롤러부(129)와, 하부 이송부(130)에 구비되는 하부 벨트(137)의 폐회로 내에 위치하며 복수의 하부 롤러(1392)를 가지는 하부 롤러부(139)와, 상기 상부 벨트(127)와 하부 벨트(137) 중 어느 하나를 다른 하나 쪽으로 가압하는 가압기구(151)로 이루어지며; 상부 벨트(127)가 상부 롤러(1292) 사이 및 하부 벨트(137)와 하부 롤러(1392) 사이에는 벨트홈(127a, 137a)에 의하여 형성된 틈새(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관 가공장치에 구비되는 냉매관 이송장치(100).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틈새(B)는 상, 하부 벨트(127, 137)의 폭 방향의 중심부에 구비되는 벨트돌기(1271, 1371)의 양측으로 형성되며; 이송되는 냉매관(2)의 폭 방향 양측 단부는 틈새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관 가공장치에 구비되는 냉매관 이송장치(100).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상, 하부 벨트(127, 137)의 외면에는 접지홈(137b)이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오목하게 형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관 가공장치에 구비되는 냉매관 이송장치(100).
KR1020140129163A 2014-09-26 2014-09-26 냉매관 가공장치에 구비되는 냉매관 이송장치 KR201600369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163A KR20160036908A (ko) 2014-09-26 2014-09-26 냉매관 가공장치에 구비되는 냉매관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163A KR20160036908A (ko) 2014-09-26 2014-09-26 냉매관 가공장치에 구비되는 냉매관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6908A true KR20160036908A (ko) 2016-04-05

Family

ID=55800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9163A KR20160036908A (ko) 2014-09-26 2014-09-26 냉매관 가공장치에 구비되는 냉매관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3690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20763A (zh) * 2018-07-19 2018-11-16 珠海格力智能装备有限公司 送料机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20763A (zh) * 2018-07-19 2018-11-16 珠海格力智能装备有限公司 送料机构
CN108820763B (zh) * 2018-07-19 2024-01-30 珠海格力智能装备有限公司 送料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85190A (zh) 一种宽度可调的传动装置
JP5427886B2 (ja) 搬送及び分離装置
KR100767745B1 (ko) 튜브의 자동면취장치
CN109500180B (zh) 一种管体端部处理设备
US9096384B2 (en) Tire testing machine conveyor
CN105752671A (zh) 传送定位机构
KR20160036908A (ko) 냉매관 가공장치에 구비되는 냉매관 이송장치
US4832243A (en) Transfer apparatus for belt-like materials
KR101646146B1 (ko) 컨베이어의 용기 자동 분할 및 공급장치
KR101422729B1 (ko) 파이프 가공 캐리지
KR100519171B1 (ko) 배관 이송투입장치
CN106743606B (zh) 工件输送设备
KR101032970B1 (ko) 핀튜브 제조장치
CN105417106A (zh) 环形夹滞轮同步机构
KR100414990B1 (ko) 튜브삽입장치
KR101692749B1 (ko) 테이프의 처짐이 방지될 수 있는 테이프 권취장치
CN105923225A (zh) 贴标机的滚轮环抱整形装置
CN1024646C (zh) 带式包装输送器
KR100993698B1 (ko) 냉매관 이송장치
JP2006159338A (ja) ワークへのローラ組付方法及び装置
KR100438328B1 (ko) 파이프 단부성형장치
KR100620405B1 (ko) 와이어 클램핑 장치
KR101587229B1 (ko) 평각선 이송장치
KR101424439B1 (ko) 슬라브 사이징 프레스 장치
KR101524611B1 (ko) 클러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패널 이송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