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6502A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6502A
KR20160036502A KR1020150133902A KR20150133902A KR20160036502A KR 20160036502 A KR20160036502 A KR 20160036502A KR 1020150133902 A KR1020150133902 A KR 1020150133902A KR 20150133902 A KR20150133902 A KR 20150133902A KR 20160036502 A KR20160036502 A KR 201600365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enger
infrared image
image sensor
infrared
passeng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3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훈
김영규
김연섭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5/00995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6048012A1/ko
Priority to US15/505,005 priority patent/US10414242B2/en
Publication of KR20160036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65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by detection of the vehicle occupants' presence; by detection of conditions relating to the body of occupants, e.g. using radiant heat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92Arrangement of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3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ield detection presence sensors
    • B60R21/01534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ield detection presence sensors using electromagneticwaves, e.g. infrar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06V10/12Details of acquisition arrangemen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G06V10/14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device performing the acquisition or on the illumination arrangements
    • G06V10/143Sensing or illuminating at different wavelength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9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inside of a vehicle, e.g. relating to seat occupancy, driver state or inner lighting conditions
    • G06V20/593Recognising seat occupanc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9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inside of a vehicle, e.g. relating to seat occupancy, driver state or inner lighting conditions
    • G06V20/597Recognising the driver's state or behaviour, e.g. attention or drowsine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61Detection; Localisation; Norm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61Detection; Localisation; Normalisation
    • G06V40/166Detection; Localisation; Normalisation using acquisi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2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infrared radiation only
    • H04N23/23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infrared radiation only from thermal infrared radi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30Transforming light or analogous information into electric information
    • H04N5/33Transforming infrared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1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 B60R2300/103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using camera systems provided with artificial illumination device, e.g. IR light sou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 B60Y2400/3015Optical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oxicology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외선 이미지센서를 통해 탑승객 정보를 감지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적외선 이미지센서의 설치개수와 설치위치를 개선함으로써, 탑승객에 대한 인식영역을 최대한 증가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탑승객 정보 감지 정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실내를 촬상하여 탑승객으로부터 방사되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적외선 이미지센서와, 적외선 이미지센서에서 입력된 적외선을 통해 탑승객 정보를 분석하는 분석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적외선 이미지센서는, 차실내의 앞쪽 상단부분에 복수개 설치되며, 이들 복수개의 적외선 이미지센서들은, 각기 다른 촬상영역을 갖도록 세팅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본 발명은 적외선 이미지센서를 통해 탑승객의 정보를 감지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적외선 이미지센서의 설치개수와 설치위치를 개선함으로써, 탑승객의 인식영역을 최대한 증가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탑승객 정보 감지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조장치를 이용하여 차실내의 온도를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차실내의 환경 조건을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차실내의 탑승객 정보를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어, 탑승객의 수와, 탑승객의 신체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래야만, 탑승객의 수와, 탑승객의 신체특성을 기준으로 차실내의 온도와 차실내의 이산화탄소(CO2) 발생량 등을 계측하고, 계측된 차실내 온도와 이산화탄소 발생량 등을 근거로 공조장치를 최적의 상태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로써, 차실내를 항상 쾌적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차실내의 탑승객 정보를 파악하는 방법으로서, 적외선 이미지센서(Infrared Rays Image Sensor)를 이용하는 기술이 있다.
이 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실내의 앞쪽 상단부에 적외선 이미지센서(1)를 설치한 다음, 이를 이용하여 차실내를 촬상하고, 촬상된 차실내의 이미지를 통해 탑승객으로부터 방사되는 적외선을 감지하며, 감지된 적외선의 분포비율과 색상 등을 분석하여 탑승객의 수와 체온 및 체격 등을 파악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외선 이미지센서(1)의 좌,우 및 상,하 촬상폭(α, β)이, 매우 좁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탑승객에 대한 인식영역(α×β)이 매우 제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탑승객에 대한 인식영역(α×β)이 매우 제한적이므로, 인식할 수 있는 탑승객의 수가 제한적이고, 탑승객을 인식하더라도 탑승객의 신체부분 중 일부분만 한정하여 인식할 수 밖에 없다는 결점이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석의 운전자와 후석의 탑승객 일부만 인식할 수 밖에 없고, 탑승객을 인식하더라도 탑승객의 얼굴부분만 한정하여 인식할 수 밖에 없다는 결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결점 때문에 탑승객에 대한 "정보 분석 정확도"가 현저하게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공조장치를 최적의 상태로 제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 결과, 차실내의 쾌적성이 저하된다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적외선 이미지센서의 설치개수와 설치위치를 개선함으로써, 탑승객에 대한 인식영역을 최대한 증가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탑승객에 대한 인식영역을 최대한 증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가능한 많은 수의 탑승객을 인식할 수 있고, 아울러 탑승객의 신체부분 중, 가능한 한 많은 신체부분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능한 많은 수의 탑승객을 인식할 수 있고, 가능한 한 많은 신체부분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이를 근거로 "탑승객 정보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탑승객 정보 정확도"를 높일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이를 근거로 공조장치를 최적의 상태로 제어할 수 있고, 이로써, 차실내의 쾌적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차실내를 촬상하여 탑승객으로부터 방사되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적외선 이미지센서와, 상기 적외선 이미지센서에서 입력된 적외선을 통해 탑승객 정보를 분석하는 분석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이미지센서는, 차실내의 앞쪽 상단부분에 복수개 설치되며, 이들 복수개의 적외선 이미지센서들은, 각기 다른 촬상영역을 갖도록 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외선 이미지센서는, 운전석측 프론트 필러에 설치되는 제 1적외선 이미지센서와, 조수석측 프론트 필러에 설치되는 제 2적외선 이미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적외선 이미지센서 중 어느 하나는, 차실내 중, 운전석측 탑승객의 얼굴부분 영역을 기준으로 촬상하도록 세팅되고, 나머지 하나는 조수석측 탑승객의 얼굴부분 영역을 기준으로 촬상하도록 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적외선 이미지센서는, 차실내 중, 운전석측 탑승객의 얼굴부분 영역을 기준으로 촬상하도록 세팅되며; 상기 제 2적외선 이미지센서는, 차실내 중, 조수석측 탑승객의 얼굴부분 영역을 기준으로 촬상하도록 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경우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적외선 이미지센서 중 어느 하나는, 차실내 중, 탑승객들의 얼굴부분 영역을 촬상하도록 세팅되며, 나머지 하나는 차실내 중, 탑승객들의 몸체부분 영역을 촬상하도록 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경우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적외선 이미지센서 중 어느 하나는, 한쪽부분에 조수석측 탑승객의 얼굴부분 영역이 촬상되고, 다른쪽부분에 운전석측 탑승객의 몸체부분 영역이 촬상되도록 특정각도로 기울어지게 세팅되며; 나머지 다른 하나는, 한쪽부분에 운전석측 탑승객의 얼굴부분 영역이 촬상되고, 다른쪽부분에 조수석측 탑승객의 몸체부분 영역이 촬상되도록 특정각도로 기울어지게 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분석부는, 상기 제 1 및 제 2적외선 이미지센서로부터 입력된 차실내의 이미지 중, 적외선 방사가 감지된 부분의 점유비율과 색깔을 분석하여 탑승객의 수와 탑승객의 체온과 탑승객의 체격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 의하면, 2개의 적외선 이미지센서로 탑승객 정보를 인식하되, 2개의 적외선 이미지센서가 서로 다른 영역을 인식하게 하는 구조이므로, 탑승객에 대한 인식영역을 최대한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탑승객에 대한 인식영역을 최대한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가능한 많은 수의 탑승객을 인식할 수 있고, 가능한 한 많은 "탑승객 신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능한 많은 수의 탑승객을 인식할 수 있고, 가능한 한 많은 "탑승객 신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므로, 이를 근거로 "탑승객 정보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탑승객 정보 정확도"를 높일 수 있으므로, 이를 근거로 공조장치를 최적의 상태로 제어할 수 있고, 이로써, 차실내의 쾌적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탑승객 정보를 파악하기 위해 차실내를 촬상하는 적외선 이미지센서의 설치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적외선 이미지센서로 차실내를 촬상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탑승객 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적외선 이미지센서들의 설치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적외선 이미지센서들의 차실내 촬상영역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적외선 이미지센서들의 다른 차실내 촬상영역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적외선 이미지센서들의 또 다른 차실내 촬상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공조장치의 특징부를 살펴보기에 앞서,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적외선 이미지센서를 이용한 탑승객 정보 파악 기술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적외선 이미지센서를 이용한 탑승객 정보 파악 기술은, 적외선 이미지센서(10)와 분석부(20)를 구비한다.
적외선 이미지센서(10)는, 인체로부터 방사되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차실내를 촬상한 다음, 촬상된 차실내의 이미지를 매트릭스 형태의 이미지셀(Image Cell)(10a)들로 나누는 역할을 한다.
분석부(20)는, 적외선 이미지센서(10)로부터 입력된 차실내의 이미지셀(10a) 중, 적외선 방사가 감지된 이미지셀(10a)의 점유비율과 색깔과 운동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점유비율과 색깔과 운동량을 근거로 탑승객의 정보를 분석한다. 예를 들면, 탑승객의 수와 탑승객의 피부온도와 탑승객의 체격 및 탑승객의 동작량을 분석한다.
그리고 분석부(20)에서 분석된 탑승객 정보는, 공조장치(30)로 입력되며, 탑승객 정보가 입력된 공조장치(30)는, 이를 이용하여 차실내의 온도와 차실내의 이산화탄소(CO2) 발생량 등을 계측한다.
그리고 이렇게 계측된 차실내 온도와 이산화탄소 발생량 등을 근거로 에어컨(도시하지 않음)과 히터(도시하지 않음) 및 각종 도어(도시하지 않음)들을 제어한다. 이로써, 차실내의 온도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시킨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공조장치의 특징부를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조장치는, 차실내를 촬상하는 적외선 이미지센서(10)를 구비하되, 상기 적외선 이미지센서(10)는 복수개로 구성된다. 특히, 2개로 구성된다.
그리고 2개의 적외선 이미지센서(10)는, 차실내의 양쪽 프론트 필러(Front Pillar)(P)의 상부에 각각 설치된다.
이들 적외선 이미지센서(10)들은, 양쪽 프론트 필러(P)로부터 차실내를 각각 촬상한다. 이하에서는, 적외선 이미지센서(10)들 중, 운전석측 프론트 필러(P)에 설치되는 적외선 이미지센서(10)를 제 1적외선 이미지센서(12)라고 칭하고, 조수석측 프론트 필러(P)에 설치되는 적외선 이미지센서(10)를 제 2적외선 이미지센서(14)라고 칭하기로 한다.
한편, 이러한 적외선 이미지센서(10)들은, 차실내를 각각 촬상하되, 촬상영역이 각기 다르도록 세팅된다.
예를 들면,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적외선 이미지센서(12)는, 차실내 중, 운전석측 전,후석 탑승객(A1)의 얼굴부분 영역(F1)을 기준으로 촬상하도록 세팅되고, 제 2적외선 이미지센서(14)는, 차실내 중, 조수석측 전,후석 탑승객(A2)의 얼굴부분 영역(F2)을 기준으로 촬상하도록 세팅된다.
따라서, 제 1적외선 이미지센서(12)는, 운전석측에 탑승한 전,후석 탑승객(A1)을 주로 인식할 수 있고, 제 2적외선 이미지센서(14)는, 조수석측에 탑승한 전,후석 탑승객(A2)을 주로 인식할 수 있다.
특히, 제 1적외선 이미지센서(12)는, 운전석측에 탑승한 전,후석 탑승객(A1)의 얼굴부분을 주로 인식할 수 있고, 제 2적외선 이미지센서(14)는, 운전석측에 탑승한 전,후석 탑승객(A2)의 얼굴부분을 주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적외선 이미지센서(12, 14)는, 운전석측과 조수석측에 탑승한 전,후석 탑승객(A1, A2)들의 얼굴을 모두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제 1 및 제 2적외선 이미지센서(12, 14)를 통해 인식되는 탑승객 수가 증가된다.
그 결과, 제 1 및 제 2적외선 이미지센서(12, 14)의 감지 데이터를 통해 탑승객의 정보를 분석할 시에, "정보 분석 정확도"가 현저하게 높아진다. 이에 따라, 분석된 "탑승객 정보"를 근거로 공조장치를 제어할 시에, 상기 공조장치를 최적의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차실내의 쾌적성을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제 1 및 제 2적외선 이미지센서(12, 14)의 촬상영역 중, 서로 오버랩(Overlap)되는 부분을 분석하면, 탑승객들의 얼굴을 보다 정밀하게 인식할 수 있다. 특히, 탑승객 얼굴의 온도와 위치 등을 3차원(3D)으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탑승객의 "정보 분석 정확도"를 더욱 높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공조장치를 최적의 상태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분석부(20)는, 적외선 보정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는 데, 이 보정 프로그램은, 제 1 및 제 2적외선 이미지센서(12, 14)의 촬상영역 중, 서로 오버랩되는 부분의 적외선은 하나의 값으로 보정한다. 따라서, 오버랩부분의 적외선을 2중으로 처리하는 오류를 바로잡는다.
또한, 분석부(20)는, 제 1 및 제 2적외선 이미지센서(12, 14)의 촬상영역 중, 서로 오버랩되는 부분을 3차원(3D)으로 변환시키는 스테레오 영상 접합방식의 3차원 변환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다.
스테레오 영상 접합방식의 3차원 변환 프로그램은, 제 1 및 제 2적외선 이미지센서(12, 14)에서 각각 촬상된 2차원(2D)의 열화상을 상호 대응시켜 3차원(3D) 좌표를 추출하고, 추출된 3차원(3D) 좌표를 통해 3차원(3D) 매트릭스를 구하여 3차원(3D) 입체 열화상을 얻게 된다.
스테레오 영상 접합방식의 3차원 변환 프로그램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도 5와 도 6에는, 제 1 및 제 2적외선 이미지센서(12, 14) 세팅의 다른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5의 다른 실시예는, 제 1적외선 이미지센서(12)가, 차실내 중, 탑승객(A1, A2)들의 얼굴부분 영역(G1)을 촬상하도록 세팅되고, 제 2적외선 이미지센서(14)가, 탑승객(A1, A2)들의 몸체부분 영역(G2)을 촬상하도록 세팅된다.
특히, 제 1적외선 이미지센서(12)는, 차실내 중, 운전석측과 조수석측 탑승객(A1, A2)들의 얼굴부분 영역(G1)을 촬상하도록 세팅되고, 제 2적외선 이미지센서(14)는, 운전석측과 조수석측 탑승객(A1, A2)들의 몸체부분 영역(G2)을 촬상하도록 세팅된다.
따라서, 제 1적외선 이미지센서(12)는, 탑승객(A1, A2)들의 얼굴부분을 인식할 수 있고, 제 2적외선 이미지센서(14)는, 탑승객(A1, A2)들의 몸체부분을 인식할 수 있다.
이로써, 제 1 및 제 2적외선 이미지센서(12, 14)는, 탑승객(A1, A2)의 신체부분 중, 가능한 한 많은 신체부분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제 1 및 제 2적외선 이미지센서(12, 14)의 감지 데이터를 근거로 탑승객의 정보를 분석할 시에, "정보 분석 정확도"가 현저하게 높아지며, 이에 따라, 분석된 탑승객 정보를 근거로 공조장치를 최적의 상태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 1 및 제 2적외선 이미지센서(12, 14)는, 탑승객(A1, A2)들의 얼굴부분과 몸체부분을 각각 촬상하되, 서로 오버랩되게 촬상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분석부(20)로 하여금, 제 1 및 제 2적외선 이미지센서(12, 14)의 촬상영역 중, 서로 오버랩(Overlap)되는 부분을 3차원(3D)으로 인식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탑승객들의 특정 신체부분을 3차원(3D)으로 인식하여, 탑승객들의 신체정보를 보다 정밀하게 획득할 수 있게 한다.
도 6의 다른 실시예는, 제 1 및 제 2적외선 이미지센서(12, 14)가, 특정각도로 기울지게 세팅되고, 이로써, 촬상영역도 특정각도로 기울어지는 것으로, 상기 제 1적외선 이미지센서(12)는, 한쪽부분에 조수석측 탑승객(A2)의 얼굴부분 영역이 촬상되고, 다른쪽부분에 운전석측 탑승객(A1)의 몸체부분 영역이 촬상(H1)되도록 특정각도로 기울어지게 세팅된다.
그리고 제 2적외선 이미지센서(14)는, 한쪽부분에 운전석측 탑승객(A1)의 얼굴부분 영역이 촬상되고, 다른쪽부분에 조수석측 탑승객(A2)의 몸체부분 영역이 촬상(H2)되도록 특정각도로 기울어지게 세팅된다.
결국, 제 1 및 제 2적외선 이미지센서(12, 14)는, 일정각도로 기울어진 채, 운전석측 탑승객(A1)의 얼굴부분과 몸체부분 및, 조수석 탑승객(A2)의 얼굴부분과 몸체부분을 상호 교차 촬상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적외선 이미지센서(12, 14)는, 가능한 한 많은 탑승객(A1, A2) 신체부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로써, 제 1 및 제 2적외선 이미지센서(12, 14)의 감지 데이터를 근거로 탑승객의 정보를 분석할 시에, "정보 분석 정확도"가 현저하게 높아지며, 이에 따라, 분석된 탑승객 정보를 근거로 공조장치를 최적의 상태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의 다른 실시예에서도, 제 1 및 제 2적외선 이미지센서(12, 14)의 촬상영역 중, 서로 오버랩되는 부분은, 상기 분석부(20)가 3차원(3D)으로 인식한다. 따라서, 탑승객들의 특정 신체정보를 보다 정밀하게 획득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2개의 적외선 이미지센서(10)로 탑승객 정보를 인식하되, 2개의 적외선 이미지센서(10)가 서로 다른 영역을 인식하게 하는 구조이므로, 탑승객에 대한 인식영역을 최대한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탑승객에 대한 인식영역을 최대한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가능한 많은 수의 탑승객을 인식할 수 있고, 가능한 한 많은 "탑승객 신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가능한 많은 수의 탑승객을 인식할 수 있고, 가능한 한 많은 "탑승객 신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므로, 이를 근거로 "탑승객 정보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탑승객 정보 정확도"를 높일 수 있으므로, 이를 근거로 공조장치를 최적의 상태로 제어할 수 있고, 이로써, 차실내의 쾌적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적외선 이미지센서(Infrared Rays Image Sensor)
10a: 이미지셀(Image Cell) 12: 제 1적외선 이미지센서
14: 제 2적외선 이미지센서 20: 분석부
30: 공조장치 P: 프론트 필러(Front Pillar)
A1: 운전석측 탑승객 A2: 조수석측 탑승객

Claims (11)

  1. 차실내를 촬상하여 탑승객(A1, A2)으로부터 방사되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적외선 이미지센서(10)와, 상기 적외선 이미지센서(10)에서 입력된 적외선을 통해 탑승객 정보를 분석하는 분석부(20)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이미지센서(10)는, 차실내의 앞쪽 상단부분에 복수개 설치되며, 이들 복수개의 적외선 이미지센서(10)들은, 각기 다른 촬상영역을 갖도록 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이미지센서(10)들은, 각기 다른 영역을 촬상하도록 세팅되어 있되, 촬상영역들 중, 일부분의 촬상영역이 서로 오버랩(Overlap)될 수 있게 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이미지센서(10)는,
    운전석측 프론트 필러(P)에 설치되는 제 1적외선 이미지센서(12)와, 조수석측 프론트 필러(P)에 설치되는 제 2적외선 이미지센서(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적외선 이미지센서(12, 14) 중 어느 하나는, 차실내 중, 운전석측 탑승객(A1)의 얼굴부분 영역을 기준으로 촬상하도록 세팅되고, 나머지 하나는 조수석측 탑승객(A2)의 얼굴부분 영역을 기준으로 촬상하도록 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적외선 이미지센서(12)는, 차실내 중, 운전석측 탑승객(A1)의 얼굴부분 영역을 기준으로 촬상하도록 세팅되며;
    상기 제 2적외선 이미지센서(14)는, 차실내 중, 조수석측 탑승객(A2)의 얼굴부분 영역을 기준으로 촬상하도록 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적외선 이미지센서(12, 14) 중 어느 하나는, 차실내 중, 탑승객(A1, A2)들의 얼굴부분 영역을 촬상하도록 세팅되며, 나머지 하나는 차실내 중, 탑승객(A1, A2)들의 몸체부분 영역을 촬상하도록 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적외선 이미지센서(12)는, 차실내 중, 탑승객(A1, A2)들의 얼굴부분 영역을 촬상하도록 세팅되며;
    상기 제 2적외선 이미지센서(14)는, 차실내 중, 탑승객(A1, A2)들의 몸체부분 영역을 촬상하도록 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적외선 이미지센서(12, 14) 중 어느 하나는, 한쪽부분에 조수석측 탑승객(A2)의 얼굴부분 영역이 촬상되고, 다른쪽부분에 운전석측 탑승객(A1)의 몸체부분 영역이 촬상되도록 특정각도로 기울어지게 세팅되며;
    나머지 다른 하나는, 한쪽부분에 운전석측 탑승객(A1)의 얼굴부분 영역이 촬상되고, 다른쪽부분에 조수석측 탑승객(A2)의 몸체부분 영역이 촬상되도록 특정각도로 기울어지게 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적외선 이미지센서(12)는, 한쪽부분에 조수석측 탑승객(A2)의 얼굴부분 영역이 촬상되고, 다른쪽부분에 운전석측 탑승객(A1)의 몸체부분 영역이 촬상되도록 특정각도로 기울어지게 세팅되며;
    상기 제 2적외선 이미지센서(14)는, 한쪽부분에 운전석측 탑승객(A1)의 얼굴부분 영역이 촬상되고, 다른쪽부분에 조수석측 탑승객(A2)의 몸체부분 영역이 촬상되도록 특정각도로 기울어지게 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0. 제 2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20)는,
    상기 제 1 및 제 2적외선 이미지센서(12, 14)로부터 입력된 차실내의 이미지 중, 적외선 방사가 감지된 부분의 점유비율과 색깔을 분석하여 탑승객의 수와 탑승객의 체온과 탑승객의 체격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20)는,
    상기 적외선 이미지센서(10)들의 촬상영역 중, 서로 오버랩되는 부분을 3차원(3D)으로 변환시켜 3차원 탑승객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150133902A 2014-09-24 2015-09-22 차량용 공조장치 KR2016003650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5/009959 WO2016048012A1 (ko) 2014-09-24 2015-09-22 차량용 공조장치
US15/505,005 US10414242B2 (en) 2014-09-24 2015-09-22 Air conditioning system for motor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27480 2014-09-24
KR1020140127480 2014-09-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6502A true KR20160036502A (ko) 2016-04-04

Family

ID=55799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3902A KR20160036502A (ko) 2014-09-24 2015-09-22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414242B2 (ko)
KR (1) KR20160036502A (ko)
CN (1) CN10657352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49772B (zh) * 2017-07-13 2021-08-20 上海擎感智能科技有限公司 车辆空调的控制方法及系统、云平台、存储介质
US20200322527A1 (en) * 2017-11-30 2020-10-08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system, imaging device, imaging syste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CN107985018A (zh) * 2017-12-07 2018-05-04 无锡职业技术学院 一种电动汽车车内制热控制系统及方法
US20190322154A1 (en) * 2018-04-19 2019-10-2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ir conditioning control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11833B2 (en) * 1992-05-05 2009-03-31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System for obtaining information about vehicular components
JP3161055B2 (ja) * 1992-07-15 2001-04-25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JP2001150920A (ja) * 1999-11-30 2001-06-05 Zexel Valeo Climate Control Corp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4281212B2 (ja) * 2000-05-09 2009-06-17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DE10121192A1 (de) 2000-05-09 2001-11-15 Denso Corp Klimaanlage mit kontaktfreiem Temperatursensor
JP2005147556A (ja) * 2003-11-17 2005-06-09 Denso Corp 車両用温度検出装置および車両用空調装置
KR101315755B1 (ko) * 2010-12-14 2013-10-08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WO2014003433A1 (ko) 2012-06-26 2014-01-03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입체 열화상을 이용한 차량 내 온도계측 장치
CN103879262B (zh) * 2014-03-21 2016-01-20 江苏罗思韦尔电气有限公司 一种汽车温度智能控制器以及温控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414242B2 (en) 2019-09-17
US20170267062A1 (en) 2017-09-21
CN106573524A (zh) 2017-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16589B1 (en) Detection device of vehicle interior condition
KR20160036502A (ko) 차량용 공조장치
US8340368B2 (en) Face detection system
JP4252938B2 (ja) 車両の車室照明装置
JP4898261B2 (ja) 対象物検出システム、作動装置制御システム、車両、対象物検出方法
JP5753509B2 (ja) 被測定物情報取得装置
KR20160090047A (ko) 차량, 차량의 제어 방법 및 차량에 포함되는 동작 인식 장치
EP1870296B1 (en) Vehicle seat detecting system, operation device controlling system, and vehicle
KR100630842B1 (ko) 스테레오 영상 정합을 이용한 자동차의 탑승자 자세 판별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50017900A1 (en) Windowpane defogg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and windowpane defogging method using the same
JP2008002838A (ja) 車両乗員検出システム、作動装置制御システム、車両
JP2007276577A (ja) 対象物検出システム、作動装置制御システム、車両、対象物検出方法
JP6739672B2 (ja) 体格推定装置および体格推定方法
US20200324614A1 (en) Air conditioning control system and air conditioning control method
US20050151053A1 (en) Infrared proximity sensor for air bag safety
KR101976498B1 (ko) 차량용 제스처 인식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841275B2 (en) Device for analysing infrared radiation from a surface of a motor vehicle passenger compartment
KR101809916B1 (ko) 차량, 차량의 제어 방법 및 차량에 포함되는 동작 인식 장치
JP2017095008A (ja) 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6048012A1 (ko) 차량용 공조장치
US11057978B2 (en) Lighting control system and lighting control method
JP3855904B2 (ja) 乗員検知装置
KR102655800B1 (ko) 차량 및 장애물 검출 방법
JP6737213B2 (ja) 運転者状態推定装置、及び運転者状態推定方法
JP2012141281A (ja) 体積検出装置、及び、体積検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