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5993A - 하이브리드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5993A
KR20160035993A KR1020150134437A KR20150134437A KR20160035993A KR 20160035993 A KR20160035993 A KR 20160035993A KR 1020150134437 A KR1020150134437 A KR 1020150134437A KR 20150134437 A KR20150134437 A KR 20150134437A KR 20160035993 A KR20160035993 A KR 20160035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engine
limit value
target discharg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4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5177B1 (ko
Inventor
유상준
백창현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580002933.7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5980177B/zh
Priority to DE112015000200.6T priority patent/DE112015000200B4/de
Priority to PCT/KR2015/010017 priority patent/WO2016048033A1/ko
Priority to US15/110,118 priority patent/US10131202B2/en
Priority to CN201810648351.1A priority patent/CN108819671B/zh
Publication of KR20160035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5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5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5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 B60H1/00885Controlling the flow of heating or cooling liquid, e.g. valves or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85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vehicles having an electrical drive, e.g. hybrid or fuel cell
    • B60H1/004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vehicles having an electrical drive, e.g. hybrid or fuel cell for vehicles having a combustion engine and electric drive means, e.g. hybrid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6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vehicle driving condition, e.g. speed
    • B60H1/007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vehicle driving condition, e.g. speed the input being a stationary vehicle position, e.g. parking or stop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92Arrangement of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07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specific way of measuring or calculating an air or coolant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03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and from a source other than the propulsion plant
    • B60H1/03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and from a source other than the propulsion plant from the cooling liquid of the propulsion plant and from an electric heat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0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 B60H1/06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directly from main radi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1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otherwise than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e.g. heat from the grease oil, the brakes, the transmission unit
    • B60H1/143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otherwise than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e.g. heat from the grease oil, the brakes, the transmission uni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cooling an electric component, e.g. electric motors, electric circuits, fue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3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auxiliary equipment, e.g. air-conditioning compressors or oil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60W20/10Controlling the power contribution of each of the prime movers to meet required power dem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60W20/40Controlling the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prime movers, e.g. for transition between prime m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14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comprising means for controlling automatic idle-start-stop
    • F02N11/0818Conditions for starting or stopping the engine or for deactivating the idle-start-stop mode
    • F02N11/0829Conditions for starting or stopping the engine or for deactivating the idle-start-stop mode related to special engine control, e.g. giving priority to engine warming-up or lear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14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comprising means for controlling automatic idle-start-stop
    • F02N11/0818Conditions for starting or stopping the engine or for deactivating the idle-start-stop mode
    • F02N11/0833Vehicle conditions
    • F02N11/084State of vehicle accessories, e.g. air condition or power ste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15Temperature reg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6Combustion engines, Gas turbines
    • B60W2510/0676Engine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30Auxiliary equip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5/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exterior conditions, not covered by groups B60W2552/00, B60W2554/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30Auxiliary equip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37/00Control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50/00Applications
    • F01P2050/24Hybrid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2200/00Parameters used for control of starting apparatus
    • F02N2200/02Parameters used for control of starting apparatus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N2200/023Engine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2200/00Parameters used for control of starting apparatus
    • F02N2200/08Parameters used for control of starting apparatus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vehicle or its components
    • F02N2200/0804Temperature inside the vehicle cab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2200/00Parameters used for control of starting apparatus
    • F02N2200/12Parameters used for control of starting apparatus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vehicle exterior
    • F02N2200/122Atmospheric temper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Hybrid Electric Vehicles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모터 구동모드" 시에 템프도어의 개도위치를 최적의 상태로 보정하여 차실내의 온도를 최적의 상태로 보상할 수 있고, 아울러, "모터 구동모드" 시에 엔진 냉각수 온도에 따라 엔진을 재작동시키되, 엔진의 재작동 시점을 "목표토출온도"와 "템프도어 개도위치"에 따라 가변시킴으로써, 엔진의 불필요한 재작동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연비 개선의 효과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터 구동모드로 진입한 후, 엔진의 냉각수 온도가 하한치 이하로 저하될 시에는 엔진을 재작동시키고, 엔진의 냉각수 온도가 상한치 이상으로 상승될 시에는 재작동된 엔진을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하한치와 상한치를 내외기 온도조건과 사용자 설정온도에 의해 산출된 목표토출온도에 따라 가변시켜, 모터 구동모드 시에 엔진의 재작동 시점이 목표토출온도에 따라 능동적으로 가변될 수 있게 제어한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ING SYSTEM FOR HYBRID AUTOMOTIVE VEHICLES}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 구동모드" 시에 템프도어의 개도위치를 최적의 상태로 보정하여 차실내의 온도를 최적의 상태로 보상할 수 있고, 아울러, "모터 구동모드" 시에 엔진 냉각수 온도에 따라 엔진을 재작동시키되, 엔진의 재작동 시점을 "목표토출온도"와 "템프도어 개도위치"에 따라 가변시킴으로써, 엔진의 불필요한 재작동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연비 개선의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이브리드(Hybrid) 차량은, 전기모터와 내연기관을 병행하여 사용하는 차량으로서, 차량의 주행부하가 클 경우, 예를 들면, 고속주행시나 오르막길 주행시에는 "엔진 구동모드"로 전환되면서 엔진을 사용한다.
반대로, 차량의 주행부하가 작을 경우, 예를 들면, 저속주행이나 정차시에는 "모터 구동모드"로 전환되면서 전기모터를 사용한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차량은, 엔진의 사용을 최소화하므로, 불필요한 연료소비를 줄일 수 있고, 배기가스의 배출도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연비를 높이고 대기오염을 줄여준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하이브리드 차량은, 엔진이 빈번하게 정지되므로, 차실내의 난방을 위한 공조장치도 작동이 제한된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차실내의 난방효율이 급격히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하이브리드 차량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부하가 줄어들어 "엔진 구동모드"에서 "모터 구동모드"로 전환되면, 엔진이 정지하게 된다(A). 그 결과, 엔진의 냉각수 온도도 저감된다(B).
이로써, 공조장치의 히터코어에는 온도가 낮아진 냉각수가 공급되어 히터코어의 온도를 떨어뜨린다(C). 따라서, 차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낮아진다(D). 이에 따라, 차실내의 난방효율이 저하되고, 그 결과, 차실내의 쾌적성이 현저하게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한편, 이를 감안하여, 엔진이 정지되어 히터코어의 온도가 저하되더라도, 차실내의 온도저하를 방지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이 기술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이 "엔진 구동모드"에서 "모터 구동모드"로 전환되어 엔진이 정지할 시에(A), 엔진의 정지로 인한 "엔진 냉각수 온도 저감"에 따라 템프도어의 개도각(E)을 보정하는 기술이다.
특히, 이 기술은, 엔진이 정지(A)되어 엔진 냉각수 온도가 저감(B)될 시에, "엔진 냉각수 감소온도"에 비례하여 템프도어의 개도각을 온기통로를 더 개방(E)하는 방향으로 보정한다.
따라서, 엔진 정지시 "엔진 냉각수 온도감소"에 대응하여 "차실내 토출공기온도"를 더 높일 수 있다(F). 이로써, 엔진 정지시 "엔진 냉각수 온도 저하"와 그에 따른 "히터코어 온도저하"에도 불구하고 차실내의 온도하강을 보상할 수 있다. 그 결과, 차실내의 온도를 엔진의 상태에 관계없이 쾌적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이 기술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구동모드" 중에, 엔진 냉각수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하한치" 이하로 과도하게 저하될 시에는 엔진을 재작동시키고, 엔진의 재작동 후, 엔진 냉각수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상한치" 이상으로 상승될 시에는 엔진을 다시 정지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엔진 냉각수 온도가, 미리 정해진 "하한치"와 "상한치" 사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엔진 냉각수의 과도한 온도저하 현상을 방지하여 차실내의 난방성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함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모터 구동모드" 시에, "엔진 냉각수 감소온도"만을 근거로 템프도어의 개도각을 보정하는 구조이므로, "모터 구동모드" 시에 실제의 "차실내 토출공기온도 변화"에 맞춰 템프도어의 개도각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모터 구동모드" 시 "차실내 토출공기온도"를 보다 정밀하게 보상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모터 구동모드" 시에, "차실내 토출공기온도 변화(저감)"는, "엔진 냉각수 온도" 뿐만이 아니라, "블로어 풍량"과 "증발기 온도"와 "내외기온도"와 "일사량" 등과 같은 여러 인자(因子)에 영향받는다.
따라서, "엔진 냉각수 감소온도"만을 근거로 템프도어의 개도각을 보정 제어하는 종래의 기술로는, 템프도어의 개도각을 "차실내 토출공기온도 변화"에 맞춰 정밀하게 보정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단점 때문에 "모터 구동모드" 시에 "차실내 토출공기온도"를 보다 정밀하게 보상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모터 구동모드" 시에 차실내의 온도를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없다는 결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 밖에도, 종래의 기술은, "모터 구동모드" 시에, 엔진 냉각수 온도가 미리 정해진 "하한치" 이하이면, 무조건 엔진을 재작동시키는 구조이므로, "모터 구동모드" 시에 "엔진 재작동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된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사용자 설정에 의한 "목표토출온도"에 관계없이 "엔진 냉각수 온도"가 "하한치" 이하이면, 무조건 엔진을 재작동시키는 구조이므로, "목표토출온도"가 낮게 설정되어 "하한치"이하의 엔진 냉각수 온도에서도 "차실내 토출공기온도"를 충분히 보상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차량의 엔진을 불필요하게 재작동시킨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템프도어 개도각"에 관계없이 "엔진 냉각수 온도"가 "하한치" 이하이면, 무조건 엔진을 재작동시키는 구조이므로, 엔진의 재작동 없이 "템프도어 개도각" 제어만으로도 "차실내 토출공기온도"를 충분히 보상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차량의 엔진을 불필요하게 재작동시킨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단점 때문에, "모터 구동모드" 시에 "엔진 재작동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차량의 연비가 저하된다는 결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모터 구동모드" 시에, 차실내의 "실제 토출공기온도 변화"를 근거로 템프도어의 개도각을 정밀하게 보정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모터 구동모드" 시에 템프도어의 개도각을 "차실내 토출공기온도 변화"에 맞춰 최적의 상태로 보정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터 구동모드" 시에 템프도어의 개도각을 "차실내 토출공기온도 변화"에 맞춰 최적의 상태로 보정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모터 구동모드" 시에 "차실내 토출공기온도"를 보다 정밀하게 보상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모터 구동모드" 시에 차실내의 온도를 최적의 상태로 제어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터 구동모드" 시에, "목표토출온도"를 고려하여 엔진의 재작동 시점을 제어함으로써, "목표토출온도"에 맞춰 "차실내 토출공기온도"를 최적의 상태로 제어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엔진의 재작동은 최소화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엔진의 불필요한 재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터 구동모드" 시에, "템프도어 개도각"과 연계하여 엔진의 재작동 시점을 제어함으로써, 엔진의 재작동 없이 "템프도어 개도각" 제어만으로도 "차실내 토출공기온도"를 충분히 보상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엔진의 불필요한 재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엔진의 불필요한 재작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엔진의 빈번한 재작동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차량의 연비를 개선시킬 수 있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공조장치는, 모터 구동모드로 진입한 후, 상기 엔진의 냉각수 온도가 하한치 이하로 저하될 시에는 엔진을 재작동시키고, 엔진의 냉각수 온도가 상한치 이상으로 상승될 시에는 재작동된 상기 엔진을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한치와 상한치를 내외기 온도조건과 사용자 설정온도에 의해 산출된 목표토출온도에 따라 가변시켜, 상기 모터 구동모드 시에 상기 엔진의 재작동 시점이 상기 목표토출온도에 따라 능동적으로 가변될 수 있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하한치는 상기 목표토출온도와 미리 정해진 제 1보상치를 아래의 [식 1]로 연산하여 산출하고, 상기 상한치는 상기 목표토출온도와 미리 정해진 제 2보상치를 아래의 [식 2]로 연산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식 1]
하한치(L) = 목표토출온도(M) + 제 1보상치(α)
[식 2]
상한치(U) = 목표토출온도(M) + 제 2보상치(β)
그리고 상기 제 1보상치와 제 2보상치는, 엔진 냉각수 온도의 측정오차를 보상하기 위한 상수값으로서, 상기 제 2보상치가 상기 제 1보상치보다 더 큰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모터 구동모드 시에, 상기 엔진 냉각수 온도가 상기 하한치 이하로 저하되더라도, 차실내의 토출공기온도 조절을 위한 템프도어가 온풍통로를 최대로 개방한 상태(Max Warm)일 경우에만 상기 엔진을 재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공조장치에 의하면, "모터 구동모드" 시에, 차실내의 "토출공기온도 변화"에 대응하여 템프도어의 개도위치를 보정하되, "실제 토출공기온도 변화"에 영향을 주는 여러요인들을 고려하여 보정하는 구조이므로, 템프도어의 개도위치를 "실제 토출공기온도 변화"에 맞춰 최적의 상태로 보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터 구동모드" 시에 템프도어의 개도각을 "실제 토출공기온도 변화"에 맞춰 최적의 상태로 보정할 수 있으므로, "모터 구동모드" 시에 "차실내 토출공기온도"를 보다 정밀하게 보상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모터 구동모드" 시에 차실내의 온도를 최적의 상태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터 구동모드" 시에, 엔진 냉각수 온도에 따라 엔진을 재작동시키되, 엔진의 재작동 시점을 "목표토출온도"에 따라 가변 제어하는 구조이므로, "차실내 토출공기온도"를 "목표토출온도"에 맞춰 최적의 상태로 보상할 수 있으면서도 동시에 엔진의 재작동은 최소화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엔진의 불필요한 재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터 구동모드" 시에, 엔진 냉각수 온도에 따라 엔진을 재작동시키되, 엔진의 재작동 시점을 "템프도어 개도각"과 연계하여 제어하는 구조이므로, 엔진의 재작동 없이 "템프도어 개도각" 제어만으로도 "차실내 토출공기온도"를 충분히 보상할 수 있게 하고, 그 결과, 엔진의 불필요한 재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엔진의 불필요한 재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엔진의 빈번한 재작동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차량의 연비를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하이브리드 차량이 "엔진 구동모드"에서 "모터 구동모드"로 제어될 시에 엔진 냉각수 온도와 공조장치와 차실내 토출공기온도의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2는 종래의 하이브리드 차량의 다른예로서, "엔진 구동모드"에서 "모터 구동모드"로 제어될 시에 엔진 냉각수 온도와 공조장치와 차실내 토출공기온도의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3은 종래의 하이브리드 차량이 "모터 구동모드"로 제어될 시에 엔진 냉각수 온도에 따라 엔진이 온(ON),오프(OFF) 제어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공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이 "모터 구동모드"로 제어될 시에 엔진 냉각수 온도에 따라 엔진이 온(ON),오프(OFF) 제어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이 "모터 구동모드"로 제어될 시에 엔진 냉각수 온도와 템프도어의 개도각에 따라 엔진이 온(ON),오프(OFF) 제어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공조장치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로서, "모터 구동모드" 시에, 템프도어의 개도위치를 보상하는 작동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공조장치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로서, "모터 구동모드" 시에, 엔진의 재작동을 제어하는 작동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공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공조장치의 특징부를 살펴보기에 앞서, 도 4를 참조하여 하이브리드 차량의 공조장치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하이브리드 차량의 공조장치는, 공조케이스(1)를 구비하며, 공조케이스(1)에는 블로어(3)와 증발기(5)와 히터코어(7)가 설치된다.
블로어(3)는 내,외기를 흡입하여 공조케이스(1)의 내부통로(1a)로 송풍하고, 증발기(5)는 내부통로(1a)로 송풍되는 공기를 냉각시키며, 히터코어(7)는 내부통로(1a)로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한다.
특히, 히터코어(7)는, 엔진(8)으로부터 고온의 냉각수를 공급받는다. 따라서, 공급받은 고온의 냉각수와 주변의 공기를 열교환시킨다. 이로써, 차실내로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한다.
그리고, 공조장치는, 공조케이스(1)의 내부통로(1a)에 설치되는 템프도어(Temp. Door)(9)를 구비한다.
템프도어(9)는, 냉풍통로(1b)와 온풍통로(1c)의 분기점에 설치되며, 냉풍통로(1b)와 온풍통로(1c) 사이에서 회전운동하면서 상기 냉풍통로(1b)와 온풍통로(1c)의 개도량을 조절한다. 따라서, 차실내로 공급되는 냉풍량과 온풍량을 조절한다.
한편, 이러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공조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이 "엔진 구동모드"에서 "모터 구동모드"로 전환되어 엔진(8)이 정지되면(A), 엔진(8)의 냉각수 온도가 낮아진다(B).
그리고 낮아진 냉각수 온도 때문에 히터코어(7)의 온도도 떨어진다(C). 따라서, 차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낮아진다(D). 그 결과, 차실내의 난방효율이 저하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공조장치의 특징부를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조장치는, 차실내로 토출되는 실제의 공기온도를 감지하는 토출공기온도 감지수단(10)을 구비한다.
토출공기온도 감지수단(10)은, 차실내의 각 공기 토출 벤트(Vent)들 중, 특정한 벤트들에 설치되는 온도센서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차실내의 각 공기 토출 벤트들 중, 차실내 중앙부분의 센터 벤트(Center Vent)에 설치되는 센터 벤트 온도센서 또는 차실내 바닥면부분의 플로어 벤트(Floor Vent)에 설치되는 플로어 벤트 온도센서로 구성된다.
이러한 토출공기온도 감지수단(10)은, 차실내로 토출되는 실제의 공기온도를 직접 감지한 다음, 감지된 "토출공기온도" 데이터를 후술하는 제어부(20)에 입력시킨다.
그리고 본 발명의 공조장치는, 제어부(20)를 구비한다. 제어부(2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연산부(22)를 포함한다.
연산부(22)는, 토출공기온도 감지수단(10)으로부터 "차실내 토출공기온도" 데이터가 입력된 상태에서, 차량이 "엔진 구동모드"에서 "모터 구동모드"로 전환되면, "모터 구동모드"로 전환된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을 두고, 예를 들면, "5초" 간격을 두고, 현재시점의 "목표토출온도"와 "차실내 토출공기온도" 간의 "온도편차(E_now)" 및, 이전시점, 즉, 5초 전의 "목표토출온도"와 "차실내 토출공기온도" 간의 "온도편차(E_prev)"을 연산 처리한다.
참고로, "목표토출온도"는, 증발기(5)와 PTC 히터(7a)와 각종 도어(D) 등을 최적의 상태로 자동 제어하기 위해 산출된 값으로서, "사용자 설정온도"와, "증발기 온도"와, "외기온도"와, "내기온도"와, "일사량" 등을 근거로 산출되며, 이렇게 산출된 "목표토출온도"에는 "차실내 토출공기온도 변화"를 유발하는 "인자값"들, 즉, "사용자 설정온도"와, "증발기 온도"와, "외기온도", "내기온도"와, "일사량" 등이 간접적으로 포함되어 있다.
한편, 제어부(20)는, "모터 구동모드"의 진입 후, 연산부(22)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5초 간격)으로 현재시점의 "목표토출온도"와 "차실내 토출공기온도" 간의 "온도편차(E_now)"와, 이전시점의 "목표토출온도"와 "차실내 토출공기온도" 간의 "온도편차(E_prev)"가 산출되면, 산출된 두 개의 "온도편차(E_now), (E_prev)" 와, 이전시점(5초 이전)의 "템프도어 개도위치(T_prev)"를 미리 내장된 아래의 [연산식 1]로 연산 처리하여 냉,온풍통로(1b, 1c)에 대한 템프도어(9)의 개도위치 보정값(T_now)을 최종적으로 산출한다.
[연산식 1]
T_now = T_prev + Cp ×[Gp ×(E_now - E_prev) + Gi × E_now]
(T_now는 템프도어 개도위치 보정값(V), T_prev는 이전시점의 템프도어 개도위치(V), Cp는 비례 게인, Gp는 온도편차에 대한 상수값, E_now는 현재시점의 목표토출온도와 토출공기온도 간의 온도편차(℃), E_prev는 이전시점의 목표토출온도와 토출공기온도 간의 온도편차(℃), Gi는 적분 게인)
여기서, Cp, Gp, Gi, 상수값으로서, 제어부(20)에 미리 내장되어 있으며, 여러번의 시험결과에 근거하여 정해진다.
[연산식 1]은, "목표토출온도"와, "차실내 토출공기온도"와, 현재시점과 이전시점에 대한 이들 간의 "온도편차"를 모두 고려하여 연산한 값으로서, 이를 이용하면, "모터 구동모드" 진입 후, "토출공기온도변화 인자"들로 인해 발생된 실제의 "차실내 토출공기온도 변화"를 측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실제의 "차실내 토출공기온도 변화"를 보상할 수 있는 최적의 템프도어(9)의 "개도위치 보정값(T_now)"을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연산식 1]은, 템프도어(9)의 개도위치 보정값(T_now)을, 냉,온풍통로(1b, 1c)에 대한 템프도어(9)의 인가전압값(V)으로 산출된다.
한편, 제어부(20)는, 템프도어(9)의 개도위치 보정값(T_now)이 산출되면, 산출된 "템프도어 개도위치 보정값(T_now)"에 따라 템프도어(9)의 개도위치를 보정 제어한다.
따라서, "모터 구동모드" 시에, 템프도어(9)의 개도위치가 "토출공기온도변화 인자"들을 모두 고려하여 보정될 수 있게 한다. 특히, "토출공기온도변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블로어 풍량"과 "증발기 온도"와 "사용자 설정온도"와 "내외기온도"와 "일사량" 등이 모두 고려된 값으로 보정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모터 구동모드" 시에 템프도어(9)의 개도위치를, 실제의 "차실내 토출공기온도 변화"에 맞춰 최적의 상태로 보정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모터 구동모드" 시에 "차실내 토출공기온도"를 보다 정밀하게 보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터 구동모드" 시에 차실내의 온도를 최적의 상태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20)는, "모터 구동모드" 진입 후에, 템프도어(9)의 개도위치 보정값(T_now)이 실시간으로 산출되더라도, 산출된 "템프도어 개도위치 보정값(T_now)"에 따라 템프도어(9)의 개도위치를 무조건 보정하지 않는다.
다만, 미리 설정된 "진입조건"들이 모두 만족될 경우에 한정해서만, 템프도어(9)의 개도위치를 보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진입조건"들은, 엔진 냉각수 온도가 "목표토출온도" 이하인 조건과, 템프도어(9)가 최대난방(Max Warm) 위치로 제어되어 온풍통로(1c)를 최대로 개방한 조건과, "차실내 토출공기온도"가 "목표토출온도" 이하인 조건이다.
따라서, 제어부(20)는, 엔진 냉각수 온도가 "목표토출온도" 이하인 조건과, 템프도어(9)가 최대난방 위치로 제어되는 조건과, "차실내 토출공기온도"가 "목표토출온도" 이하인 조건이 모두 만족될 경우에만, [연산식 1]에 의해 산출된 "템프도어 개도위치 보정값(T_now)"에 따라 템프도어(9)의 개도위치를 보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엔진 냉각수 온도가 "목표토출온도"를 초과한 경우에는, 엔진 냉각수 온도가 충분히 높으므로, 템프도어(9)의 개도위치를 보상 제어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또한, "차실내 토출공기온도"가 "목표토출온도"를 초과한 경우에는, "차실내 토출공기온도"가 충분히 높으므로, 템프도어(9)의 개도위치를 보상 제어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또한, 템프도어(9)가 최대난방 위치로 제어되는 조건이 아닌 경우에는, [연산식 1]을 이용하지 않고, 온풍통로(1c)에 대한 템프도어(9)의 개도각 제어만으로도 "차실내 토출공기온도"를 충분히 보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진입조건"들의 다른 예로서, 엔진 냉각수 온도가 "목표토출온도"에 미리 설정된 "제 1온도보상치"를 더한 "제 1진입기준온도" 이하인 조건과, 템프도어(9)가 최대난방 위치로 제어되는 조건과, "차실내 토출공기온도"가 "목표토출온도"에 미리 설정된 "제 2온도보상치" 만큼 뺀 "제 2진입기준온도" 이하인 조건이 있다.
따라서, 제어부(20)는, 엔진 냉각수 온도가 "목표토출온도"에 "제 1온도보상치"를 더한 "제 1진입기준온도" 이하인 조건과, 템프도어(9)가 최대난방 위치로 제어되는 조건과, "차실내 토출공기온도"가 "목표토출온도"에 "제 2온도보상치" 만큼 뺀 "제 2진입기준온도" 이하인 조건에 모두 만족될 경우에만, [연산식 1]에 의해 산출된 "템프도어 개도위치 보정값(T_now)"에 따라 템프도어(9)의 개도위치를 보정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온도보상치"는, 엔진 냉각수 온도의 측정오차를 감안한 온도로서, 5℃로 설정되고, 상기 "제 2온도보상치"는, "차실내 토출공기온도"의 측정오차를 감안한 온도로서, 2℃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어부(20)는, "모터 구동모드" 진입 후에, 템프도어(9)의 개도위치를 보상 제어하는 상태에서, "모터 구동모드"가 해제(OFF)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해제조건"에 만족되면, 예를 들어, 엔진 냉각수 온도가 "목표토출온도"에 미리 설정된 "제 3온도보상치"를 더한 "해제기준온도" 이상인 조건에 만족되면, [연산식 1]에 의한 템프도어(9)의 개도위치 보상 제어를 중단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3온도보상치"는, 10℃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4와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20)는, "모터 구동모드" 진입 후에, 엔진 냉각수의 온도가 "하한치(L)" 이하로 저하될 시에는 엔진(8)을 재작동시키고, 엔진(8)의 재작동 후, 엔진 냉각수의 온도가 "상한치(U)" 이상으로 상승될 시에는 엔진(8)을 다시 정지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때, 엔진(8)을 재작동시키기 위한 "하한치(L)"는, 아래의 [연산식 2]에서와 같이 "현재 목표토출온도(M)"과 "제 1보상치(α)"의 합(合)에 의해 산출되고, 엔진(8)의 재작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상한치(U)"는, 아래의 [연산식 3]에서와 같이 "현재 목표토출온도(M)"과 "제 2보상치(β)"의 합(合)에 의해 산출되며, 이러한 [연산식 2]과 [연산식 3]은 제어부(20)에 내장되어 있다.
제어부(20)는, "모터 구동모드" 진입 후에, "현재 목표토출온도(M)"과 "제 1보상치(α)"와 "제 2보상치(β)"를, 미리 내장된 [연산식 2]과 [연산식 3]을 통해 실시간으로 체크하여 "하한치(L)"와 "상한치(U)"를 실시간으로 산출한 다음, 산출된 "하한치(L)"와 "상한치(U)"를 "엔진 냉각수 온도"와 실시간으로 비교하여 엔진(8)의 재작동과 정지를 실시간으로 제어한다.
[연산식 2]
하한치(L) = 현재 목표토출온도(M) + 제 1보상치(α)
[연산식 3]
상한치(U) = 현재 목표토출온도(M) + 제 2보상치(β)
여기서, 제 1보상치(α)와 제 2보상치(β)는, 엔진 냉각수 온도의 측정오차를 보상하기 위한 것으로, 제 2보상치(β)가 제 1보상치(α)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지며, 여러번의 시험결과에 근거하여 정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모터 구동모드" 진입 후에, 엔진 냉각수의 온도에 따라 엔진(8)의 재작동시키되,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8)의 재작동의 기준이 되는 "하한치(L)"와 "상한치(U)"를, "현재 목표토출온도(M)"를 근거로 가변시킴으로써, "모터 구동모드" 시에, 엔진(8)의 재작동 시점이 "목표토출온도"에 따라 능동적으로 가변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오직 하나의 "하한치(L)"와 "상한치(U)"를 기준으로 엔진(8)의 재작동 시점이 제어되는 종래의 기술과는 달리, 엔진(8)의 재작동 시점이 능동적으로 가변 제어된다.
이로써, "목표토출온도"가 낮게 설정되어 비교적 낮은 엔진 냉각수 온도에서도 "차실내 토출공기온도"를 충분히 보상할 수 있을 경우, 낮은 "목표토출온도"에 대응하여 엔진(8)의 재작동 시점을 지연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차실내 토출공기온도"를 "목표토출온도"에 맞춰 최적의 상태로 제어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엔진(8)의 재작동은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엔진(8)의 불필요하고 빈번한 재작동을 최대한 방지하고, 이를 통해, 차량의 연비를 현저하게 개선시킬 수 있다.
다시, 도 4와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20)는, "모터 구동모드" 진입 후에, 엔진 냉각수의 온도가 "하한치(L)" 이하로 저하(X)될 시에, 엔진(8)을 무조건 재작동시키지 않는다.
다만, 템프도어(9)가 최대난방(Max Warm) 위치로 제어되어 온풍통로(1c)를 최대로 개방하였는지를 판단한 후, 템프도어(9)가 온풍통로(1c)를 최대로 개방하였을 경우(Y)에만 비로소 엔진(8)을 재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엔진 냉각수의 온도가 "하한치(L)" 이하로 저하(X)될 시라도, 온풍통로(1c)에 대한 템프도어(9)의 개도각 제어를 통해 "차실내 토출공기온도"를 충분히 보상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템프도어(9)의 개도각 제어를 통한 "토출공기온도 보상"을 완료한 다음, 그 이후에 엔진(8)을 재작동시켜 "토출공기온도"를 제어함으로써, 엔진(8)의 재작동을 최대한 지연시키면서 동시에 "차실내 토출공기온도"는 충분히 보상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엔진(8)의 불필요한 재작동과 빈번한 재작동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차량의 연비를 현저하게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20)는, 모터 구동모드 진입 후에, 상기 엔진 냉각수 온도가 상기 하한치(L) 이하로 저하(X)되더라도, 엔진(8)을 무조건 재작동시키지 않는다.
다만, 목표토출온도가 차실내 토출공기온도에 미리 설정된 온도보상치를 더한 값 이하인 경우에만, 비로소 엔진(8)을 재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온도보상치는, 2℃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어부(20)는, "모터 구동모드" 진입 후에, 엔진(8)의 재작동의 기준이 되는 "하한치(L)"와 "상한치(U)"를, 가변 제어하되, "모터 구동모드"가 해제(OFF)되거나, 또는 상기 "해제조건"에 만족되면, 예를 들어, 엔진 냉각수 온도가 "목표토출온도"에 미리 설정된 "제 3온도보상치"를 더한 "해제기준온도" 이상인 조건에 만족되면, "하한치(L)"와 "상한치(U)"의 가변 제어를 중단하고,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키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동예를 도 4와 도 7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모터 구동모드" 시에, 템프도어(9)의 개도위치를 보상하는 작동예를 설명한다.
도 4와 도 7을 참조하면, 난방모드 상태에서(S101), 차량이 "엔진 구동모드"에서 "모터 구동모드"로 전환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03).
판단 결과, "모터 구동모드"로 전환되었으면, 제어부(20)는, 엔진 냉각수 온도와 공조장치의 상태가 미리 설정된 "진입조건"들에 모두 만족하는지를 다시 판단한다(S104).
즉, 엔진 냉각수 온도가 "목표토출온도"에 미리 설정된 "제 1온도보상치"를 더한 "제 1진입기준온도" 이하인 조건과, 템프도어(9)가 최대난방 위치로 제어되는 조건과, "차실내 토출공기온도"가 "목표토출온도"에 미리 설정된 "제 2온도보상치" 만큼 뺀 "제 2진입기준온도" 이하인 조건이 모두 만족되는 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이들 "진입조건"들이 모두 만족되면, 제어부(20)는, "모터 구동모드"의 진입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을 두고, 예를 들면, "5초" 간격을 두고, 현재시점의 "목표토출온도"와 "차실내 토출공기온도" 간의 "온도편차(E_now)" 및, 이전시점의 "목표토출온도"와 "차실내 토출공기온도" 간의 "온도편차(E_prev)"을 연산 처리한다(S105).
그리고 "온도편차(E_now), (E_prev)"의 연산이 완료되면, 제어부(20)는, 두 개의 "온도편차(E_now), (E_prev)" 와, 이전시점의 "템프도어 개도위치(T_prev)"를 [연산식 1]로 연산 처리하여(S107), 냉,온풍통로(1b, 1c)에 대한 템프도어(9)의 개도위치 보정값(T_now)을 산출한다(S109).
그리고 템프도어(9)의 개도위치 보정값(T_now)이 산출되면, 산출된 템프도어(9)의 개도위치 보정값(T_now)에 의거하여 템프도어(9)의 개도위치를 실시간으로 보정한다(S111).
그러면, 템프도어(9)의 개도위치가 "목표토출온도"와 "토출공기온도변화 인자"들을 고려하여 보정된다. 이로써, 템프도어(9)의 개도위치가 "목표토출온도"와 "토출공기온도변화 인자"들로 인한 "실제 차실내 토출공기온도 변화"에 맞춰 최적의 상태로 보정된다.
그 결과, "모터 구동모드" 시에 "차실내 토출공기온도"를 보다 정밀하게 보상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모터 구동모드" 시에 차실내의 온도를 최적의 상태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20)는, "모터 구동모드" 진입 후에, 템프도어(9)의 개도위치를 보상 제어하는 상태에서, "모터 구동모드"가 해제(OFF)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해제조건"에 만족되는 지를 다시 판단한다(S113).
즉, 엔진 냉각수 온도가 "목표토출온도"에 미리 설정된 "제 3온도보상치"를 더한 "해제기준온도" 이상인 조건에 만족되는 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모터 구동모드"가 해제(OFF)되거나, 또는 상기 "해제조건"이 만족되면, 제어부(20)는, [연산식 1]에 의한 템프도어(9)의 개도위치 보상 제어를 해제한다(S115).
다음으로, "모터 구동모드" 시에, 엔진(8)의 재작동을 제어하는 작동예를 도 4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난방모드 상태에서(S201), 차량이 "엔진 구동모드"에서 "모터 구동모드"로 전환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03).
판단 결과, "모터 구동모드"로 전환되었으면, 제어부(20)는, 엔진 냉각수 온도와 공조장치의 상태가 미리 설정된 "진입조건"들에 모두 만족하는지를 다시 판단한다(S204).
즉, 엔진 냉각수 온도가 "목표토출온도"에 미리 설정된 "제 1온도보상치"를 더한 "제 1진입기준온도" 이하인 조건과, 템프도어(9)가 최대난방 위치로 제어되는 조건과, "차실내 토출공기온도"가 "목표토출온도"에 미리 설정된 "제 2온도보상치" 만큼 뺀 "제 2진입기준온도" 이하인 조건이 모두 만족되는 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이들 "진입조건"들이 모두 만족되면, 제어부(20)는, "모터 구동모드"의 진입시점으로부터 "현재 목표토출온도(M)"와 "제 1보상치(α)"를 [연산식 2]로 연산 처리하여(S205), "하한치(L)"를 실시간으로 산출한다(S207).
그리고 "하한치(L)"의 실시간 산출이 완료되면, 제어부(20)는, "엔진 냉각수 온도"가 "하한치(L)"가 이하로 저감되었는지를 비교 판단한다(S209).
판단 결과, "하한치(L)" 이하로 저감되었으면, 제어부(20)는, 엔진(8)을 재작동시킨다(S211).
그러면, 엔진(8)이 재작동되면서 "엔진 냉각수 온도"가 상승되고, 그 결과, 차실내의 토출공기온도가 상승되면서 차실내의 난방성능을 높인다.
한편, 엔진(8)이 재작동된 상태에서, 제어부(20)는, "현재 목표토출온도(M)"와 "제 2보상치(β)"를 [연산식 3]으로 연산 처리하여(S213), "상한치(U)"를 실시간으로 산출한다(S215).
그리고 "상한치(U)"의 실시간 산출이 완료되면, 제어부(20)는, "엔진 냉각수 온도"가 "상한치(U)" 이상으로 상승되었는지를 비교 판단한다(S217).
판단 결과, "상한치(U)" 이상으로 상승되었으면, 제어부(20)는, 엔진(8)을 정지시킨다(S219). 그러면, 엔진(8)이 정지되면서 연료의 소모가 제한되고, 이로써 차량의 연비가 개선된다.
한편, 제어부(20)는, "모터 구동모드" 진입 후에, 상기 "하한치(L)"와 "상한치(U)"를 가변 제어하는 상태에서, "모터 구동모드"가 해제(OFF)되거나, 또는 상기 "해제조건"에 만족되는 지를 다시 판단한다(S221).
즉, 엔진 냉각수 온도가 "목표토출온도"에 미리 설정된 "제 3온도보상치"를 더한 "해제기준온도" 이상인 조건에 만족되는 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모터 구동모드"가 해제(OFF)되거나, 또는 상기 "해제조건"이 만족되면, 제어부(20)는, "하한치(L)"와 "상한치(U)"의 가변 제어를 중단한다(S223).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모터 구동모드" 시에, 차실내의 "토출공기온도 변화"에 대응하여 템프도어(9)의 개도위치를 보정하되, "실제 토출공기온도 변화"에 영향을 주는 여러요인들을 고려하여 보정하는 구조이므로, 템프도어(9)의 개도위치를 "실제 토출공기온도 변화"에 맞춰 최적의 상태로 보정할 수 있다.
또한, "모터 구동모드" 시에 템프도어(9)의 개도각을 "실제 토출공기온도 변화"에 맞춰 최적의 상태로 보정할 수 있으므로, "모터 구동모드" 시에 "차실내 토출공기온도"를 보다 정밀하게 보상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모터 구동모드" 시에 차실내의 온도를 최적의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모터 구동모드" 시에, 엔진 냉각수 온도에 따라 엔진(8)을 재작동시키되, 엔진(8)의 재작동 시점을 "목표토출온도"에 따라 가변 제어하는 구조이므로, "차실내 토출공기온도"를 "목표토출온도"에 맞춰 최적의 상태로 보상할 수 있으면서도 동시에 엔진(8)의 재작동은 최소화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엔진(8)의 불필요한 재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모터 구동모드" 시에, 엔진 냉각수 온도에 따라 엔진(8)을 재작동시키되, 엔진(8)의 재작동 시점을 "템프도어 개도각"과 연계하여 제어하는 구조이므로, 엔진(8)의 재작동 없이 "템프도어 개도각" 제어만으로도 "차실내 토출공기온도"를 충분히 보상할 수 있게 하고, 그 결과, 엔진(8)의 불필요한 재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엔진(8)의 불필요한 재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엔진(8)의 빈번한 재작동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차량의 연비를 개선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 공조케이스 (Case) 1a: 내부통로
3: 블로어(Blower) 5: 증발기
7: 히터코어(Heater Core) 8: 엔진(Engine)
9: 템프도어(Temp. Door) 10: 토출공기온도 감지수단
20: 제어부 22: 연산부

Claims (12)

  1. 모터 구동모드로 진입한 후, 상기 엔진(8)의 냉각수 온도가 하한치(L) 이하로 저하될 시에는 엔진(8)을 재작동시키고, 엔진(8)의 냉각수 온도가 상한치(U) 이상으로 상승될 시에는 재작동된 상기 엔진(8)을 정지시키는 제어부(20)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하한치(L)와 상한치(U)를 내외기 온도조건과 사용자 설정온도에 의해 산출된 목표토출온도에 따라 가변시켜, 상기 모터 구동모드 시에 상기 엔진(8)의 재작동 시점이 상기 목표토출온도에 따라 능동적으로 가변될 수 있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공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하한치(L)는 상기 목표토출온도(M)와 미리 정해진 제 1보상치(α)를 아래의 [식 1]로 연산하여 산출하고,
    상기 상한치(U)는 상기 목표토출온도(M)와 미리 정해진 제 2보상치(β)를 아래의 [식 2]로 연산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공조장치.
    [식 1]
    하한치(L) = 목표토출온도(M) + 제 1보상치(α)
    [식 2]
    상한치(U) = 목표토출온도(M) + 제 2보상치(β)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보상치(α)와 제 2보상치(β)는, 엔진 냉각수 온도의 측정오차를 보상하기 위한 상수값으로서, 상기 제 2보상치(β)가 상기 제 1보상치(α)보다 더 큰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공조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0)는,
    모터 구동모드 시에, 템프도어(9)의 개도위치에 따라 상기 엔진(8)을 재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공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0)는,
    모터 구동모드 시에, 상기 엔진 냉각수 온도가 상기 하한치(L) 이하로 저하(X)되더라도, 상기 템프도어(9)가 최대난방(Max Warm) 위치일 경우에만 상기 엔진(8)을 재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공조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0)는,
    모터 구동모드 시에, 상기 엔진 냉각수 온도가 상기 하한치(L) 이하로 저하(X)되더라도, 상기 목표토출온도가 차실내 토출공기온도에 미리 설정된 온도보상치를 더한 값 이하인 경우에만, 상기 엔진(8)을 재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공조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차실내로 토출되는 실제 공기온도를 감지하는 토출공기온도 감지수단(10)과;
    모터 구동모드의 진입 시에, 상기 모터 구동모드의 진입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을 두고, 현재시점의 목표토출온도와 토출공기온도 감지수단(10)의 차실내 토출공기온도 간의 온도편차(E_now) 및, 이전시점의 목표토출온도와 토출공기온도 감지수단(10)의 차실내 토출공기온도 간의 "온도편차(E_prev)"을 연산 처리하는 연산부(22)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20)는,
    모터 구동모드의 진입 후, 상기 연산부(22)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산출된 두 개의 온도편차(E_now), (E_prev) 와, 이전시점의 템프도어 개도위치(T_prev)를 미리 내장된 아래의 [식 3]으로 연산 처리하여 냉,온풍통로(1b, 1c)에 대한 템프도어(9)의 개도위치 보정값(T_now)을 산출하고, 산출된 템프도어(9)의 개도위치 보정값(T_now)을 근거로 상기 템프도어(9)의 개도위치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공조장치.
    [식 3]
    T_now = T_prev + Cp ×[Gp ×(E_now - E_prev) + Gi × E_now]
    (T_now는 템프도어 개도위치 보정값(V), T_prev는 이전시점의 템프도어 개도위치(V), Cp는 비례 게인, Gp는 온도편차에 대한 상수값, E_now는 현재시점의 목표토출온도와 토출공기온도 간의 온도편차(℃), E_prev는 이전시점의 목표토출온도와 토출공기온도 간의 온도편차(℃), Gi는 적분 게인)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모터 구동모드 진입하더라도, 미리 설정된 진입조건들이 모두 만족되는 경우에 한정하여, 상기 [식 1], [식 2], [식 3]에 의한 상기 하한치(L)와 상한치(U)의 가변과, 상기 템프도어(9)의 개도위치 보정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공조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0)에 내장된 상기 진입조건들은, 상기 엔진 냉각수 온도가 목표토출온도 이하인 조건과, 상기 템프도어(9)가 최대난방(Max Warm) 위치인 조건과, 상기 차실내 토출공기온도가 목표토출온도 이하인 조건이며;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모터 구동모드 진입 후, 상기 엔진 냉각수 온도가 목표토출온도 이하인 조건과, 상기 템프도어(9)가 최대난방 위치인 조건과, 상기 차실내 토출공기온도가 목표토출온도 이하인 조건이 모두 만족될 경우에만, 상기 [식 1], [식 2], [식 3]에 의한 상기 하한치(L)와 상한치(U)의 가변 제어와, 상기 템프도어(9)의 개도위치 보정 제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공조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0)에 내장된 상기 진입조건들은, 상기 엔진 냉각수 온도가 목표토출온도에 미리 설정된 제 1온도보상치를 더한 제 1진입기준온도 이하인 조건과, 상기 템프도어(9)가 최대난방 위치인 조건과, 상기 차실내 토출공기온도가 목표토출온도에 미리 설정된 제 2온도보상치 만큼 뺀 제 2진입기준온도 이하인 조건이며;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모터 구동모드 진입 후, 상기 엔진 냉각수 온도가 상기 제 1진입기준온도 이하인 조건과, 상기 템프도어(9)가 최대난방 위치인 조건과, 상기 차실내 토출공기온도가 상기 제 2진입기준온도 이하인 조건이 모두 만족될 경우에만, 상기 [식 1], [식 2], [식 3]에 의한 상기 하한치(L)와 상한치(U)의 가변 제어와, 상기 템프도어(9)의 개도위치 보정 제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공조장치.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모터 구동모드 진입 후, 상기 하한치(L)와 상한치(U)의 가변 제어하고, 상기 템프도어(9)의 개도위치를 보정 제어하는 상태에서, 상기 모터 구동모드가 해제(OFF)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해제조건에 만족되면, 상기 하한치(L)와 상한치(U)의 가변 제어와 상기 템프도어(9)의 개도위치 보정 제어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공조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0)에 내장된 해제조건은, 상기 엔진 냉각수 온도가 목표토출온도에 미리 설정된 제 3온도보상치를 더한 해제기준온도 이상인 조건이며;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엔진 냉각수 온도가 상기 해제기준온도 이상인 조건에 만족되면, 상기 하한치(L)와 상한치(U)의 가변 제어와 상기 템프도어(9)의 개도위치 보정 제어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150134437A 2014-09-23 2015-09-23 하이브리드 차량용 공조장치 KR102405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80002933.7A CN105980177B (zh) 2014-09-23 2015-09-23 用于混合动力车辆的空调设备
DE112015000200.6T DE112015000200B4 (de) 2014-09-23 2015-09-23 Verfahren für ein Klimaanlagensystem für Hybridfahrzeuge
PCT/KR2015/010017 WO2016048033A1 (ko) 2014-09-23 2015-09-23 하이브리드 차량용 공조장치
US15/110,118 US10131202B2 (en) 2014-09-23 2015-09-23 Air conditioning system for hybrid vehicles
CN201810648351.1A CN108819671B (zh) 2014-09-23 2015-09-23 用于混合动力车辆的空调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26658 2014-09-23
KR1020140126658 2014-09-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993A true KR20160035993A (ko) 2016-04-01
KR102405177B1 KR102405177B1 (ko) 2022-06-08

Family

ID=55799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4437A KR102405177B1 (ko) 2014-09-23 2015-09-23 하이브리드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131202B2 (ko)
KR (1) KR102405177B1 (ko)
CN (2) CN105980177B (ko)
DE (1) DE112015000200B4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95961B2 (en) 2016-12-12 2019-02-05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ngine of hybrid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5177B1 (ko) * 2014-09-23 2022-06-0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용 공조장치
US11241936B2 (en) * 2016-10-31 2022-02-08 Hanon Systems Air conditioner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IT201700119992A1 (it) * 2017-10-23 2019-04-23 Prinoth Spa Veicolo cingolato per la preparazione di piste da sci
GB2569352B (en) * 2017-12-14 2020-06-17 Jaguar Land Rover Ltd Hybrid vehicle climate control
CN108215710A (zh) * 2017-12-26 2018-06-29 惠州市德赛西威汽车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混合动力车型的发动机控制方法
KR102042322B1 (ko) * 2017-12-27 2019-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난방 시 엔진 제어 방법
KR102394843B1 (ko) * 2017-12-27 2022-05-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hev 차량의 cd 모드 난방시 엔진 파워 제어 방법
CN116997493A (zh) * 2021-02-18 2023-11-03 日产自动车株式会社 混合动力车辆控制方法及混合动力车辆控制装置
DE102021110244A1 (de) 2021-04-22 2022-10-27 Audi Aktiengesellschaft Betriebsverfahren für ein Wärmemanagementsystem eines verbrennungsmotorisch oder zumindest teilweise elektrisch angetriebenen Kraftfahrzeugs, Wärmemanagementsystem und Kraftfahrzeu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135A (ja) * 1992-07-17 1994-02-08 Zexel Corp 車両用空調装置
JP2002211238A (ja) * 2001-01-15 2002-07-31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制御装置
JP2007283829A (ja) * 2006-04-13 2007-11-01 Toyota Motor Corp 車両用空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5281A (ja) * 2001-03-29 2002-10-09 Toyota Motor Corp 駆動力源の制御装置
JP2005059797A (ja) * 2003-08-19 2005-03-10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KR101154207B1 (ko) 2006-05-15 2012-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용 난방시스템 제어방법
KR100867824B1 (ko) * 2006-12-12 2008-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제어방법
DE102008012229A1 (de) * 2008-03-03 2010-01-1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Steuer- und Überwachungs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KR20090126745A (ko) 2008-06-05 2009-12-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아이들 스톱시 공조시스템 제어방법
CN201357734Y (zh) * 2009-02-25 2009-12-09 华融万源客车制造有限公司 混合动力电动车用吸收式空调器
JP4985726B2 (ja) 2009-08-03 2012-07-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
KR101198101B1 (ko) 2009-09-22 2012-11-09 한라공조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용 공조장치
DE102009059983B4 (de) 2009-12-22 2021-06-24 Volkswagen Ag Verfahren zum Ermitteln eines Zustands einer Klimatisierung eines Innenraums eines Kraftfahrzeugs
US8662968B2 (en) * 2010-04-30 2014-03-0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ir-based hybrid battery thermal conditioning system
KR20120060112A (ko) 2010-12-01 2012-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제어방법
KR102405177B1 (ko) * 2014-09-23 2022-06-0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용 공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135A (ja) * 1992-07-17 1994-02-08 Zexel Corp 車両用空調装置
JP2002211238A (ja) * 2001-01-15 2002-07-31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制御装置
JP2007283829A (ja) * 2006-04-13 2007-11-01 Toyota Motor Corp 車両用空調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95961B2 (en) 2016-12-12 2019-02-05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ngine of hybrid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5000200T5 (de) 2016-07-28
DE112015000200B4 (de) 2022-03-24
CN108819671B (zh) 2022-05-03
CN108819671A (zh) 2018-11-16
US10131202B2 (en) 2018-11-20
CN105980177A (zh) 2016-09-28
US20170190235A1 (en) 2017-07-06
CN105980177B (zh) 2018-07-06
KR102405177B1 (ko) 202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35993A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공조장치
US9315089B2 (en) Vehicle air-conditioning control apparatus with idling stop function
JP5983753B2 (ja) 車両用空調装置及び車両用空調方法
KR101694077B1 (ko) 차량의 공조 제어 방법
KR20200085435A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난방 부하 판별방법
KR101198099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공조장치
KR102375009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공조장치
KR10177481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275072B1 (ko) 액티브 에어 플랩 차량의 공조장치
KR20120131744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27249B1 (ko) 전기자동차용 공조장치
KR10203723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198101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52517B1 (ko) 차량의 냉난방 제어장치
KR10136323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956179B1 (ko) 전기자동차 공조장치
KR10176636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69755B1 (ko) 전기자동차용 공조장치
CN112440662B (zh) 热管理系统的控制方法及控制系统
KR10162773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CN109922977B (zh) 车用空调装置
KR100569983B1 (ko) Fatc-hvac 시스템의 인테이크 도어 가변제어방법
KR20120063695A (ko) 전기자동차의 난방 제어방법
CN114683799A (zh) 汽车空调控制方法及汽车
KR101667754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