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5572A - 금형 장치 - Google Patents

금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5572A
KR20160035572A KR1020157035942A KR20157035942A KR20160035572A KR 20160035572 A KR20160035572 A KR 20160035572A KR 1020157035942 A KR1020157035942 A KR 1020157035942A KR 20157035942 A KR20157035942 A KR 20157035942A KR 20160035572 A KR20160035572 A KR 201600355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
dividing
dies
division
convex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5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키요미쯔 이토
Original Assignee
코바야시 인더스트리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바야시 인더스트리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코바야시 인더스트리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60035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55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1/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 B30B11/007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using a plurality of pressing members working in different dir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7/00Presse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arrangement of the pressing members
    • B30B7/04Presse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arrangement of the pressing members wherein pressing is effected in different directions simultaneously or in tu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02Compacting only
    • B22F3/03Press-moulding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97Press moulds; Press-mould and press-ram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1/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 B30B11/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using a ram exerting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1/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 B30B11/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using a ram exerting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 B30B11/027Particular press methods o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005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for briquetting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2Dies; Inserts therefor; Mounting thereof;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2Dies; Inserts therefor; Mounting thereof; Moulds
    • B30B15/022Moulds for compacting material in powder, granular of pasta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2Dies; Inserts therefor; Mounting thereof; Moulds
    • B30B15/028Loading or unloading of dies, platens or press r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02Die constructions enabling assembly of the die parts in different 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ounting, Exchange, And Manufacturing Of Die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Abstract

각 다이의 전진 속도에 차이가 있는 경우 등, 해당 각 다이가 소정 형상의 캐비티 형성시의 소정위치에 도달하는 타이밍이 다른 경우에도, 해당 캐비티를 확실하게 형성할 수 있는 금형 장치를 제공한다.
분할 다이(3a)는 제1 할면(4) 및 제2 할면(5)의 각각에서 한 쌍의 분할 다이(3b 및 3c)의 각각에 당접한다. 분할 다이(3a)의 제1 할면(4)에는 국소적으로 돌출된 세로 볼록부(6)가 형성됨으로써, 분할 다이(3b)의 진행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어 있는 제1 안내면(9)이 형성되어 있다. 분할 다이(3b)의 제2 할면(5)에는 국소적으로 패어 있는 세로 오목부(7)가 형성됨으로써, 분할 다이(3a)의 제1 안내면(9)과 당접하는 제2 안내면(10)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금형 장치 {Mold device}
본 발명은, 금속, 세라믹 등의 분말 성형에 이용되는 금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금속, 세라믹 등의 분말 성형에 사용되는 금형 장치로서, 캐비티를 갖는 다이와, 해당 캐비티에 상하에서 삽입되는 상하 펀치로 구성되는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상기 금형 장치에서는 상기 다이의 캐비티에 금속, 세라믹 등의 분말을 충전하고 해당 다이의 상하로부터 해당 다이의 캐비티로 삽입되는 상기 펀치로 그 가루를 압축함으로써 분말 성형을 실시한다.
이때 형성되는 분말 성형체의 형상에 따라서는 다이를 3개 이상으로 분할할 수 있다. 분할된 각 다이는 상기 펀치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할면(割面)을 구비하며, 캐비티가 형성되는 방향으로 자유로이 전후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다이를 3개로 분할한 경우, 각 다이는 3방향에서 상기 캐비티의 방향으로 전진하며, 각 다이가 서로 상기 할면에서 인접한 다이에 당접함으로써 금형이 닫혀 캐비티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참조).
일본특허공개 평10-94899호 공보
상기와 같이 다이를 분할하는 경우, 각 다이를 상호 당접시켜 상기 캐비티를 형성할 때, 상기 캐비티가 확실히 원하는 형상이 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다이를 구동시키는 슬라이더를 1개의 주(主) 슬라이더와 2개의 종(從) 슬라이더로 나누어, 우선 주 슬라이더를 소정 위치까지 구동시키고, 그 후, 종 슬라이더를 각각의 다이의 할면이 당접할 때까지 구동함으로써 각 다이의 위치 결정을 수행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장치에서는, 종 슬라이더를 캐비티의 방향으로 전진시키는 속도에 차이가 있으면, 우선 속도가 빠른 쪽의 종 슬라이더에 연결된 다이가 주 슬라이더에 연결된 다이에 당접한다. 이때 각 다이의 할면이 경사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종 슬라이더가 그 위치에서 정지하지 않고 경사면을 미끄러져서 더 전방으로 밀릴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일방의 종 슬라이더에 의해 이동된 다이의 위치가 어긋나면, 속도가 느린 쪽의 종 슬라이더에 의해 이동되는 다이의 위치도 어긋나게 되어, 캐비티가 바르게 형성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이는, 각 슬라이더나 다이가 안내 부재에 의해 진퇴방향으로만 안내되도록 되어 있는 경우에도, 할면의 경사에 의해 각 다이끼리 미끄러짐이 생겨, 캐비티에 뒤틀림이 생길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여, 각 다이의 전진 속도에 차이가 있는 경우 등, 해당 각 다이가 소정 형상의 캐비티 형성 시의 소정위치에 도달하는 타이밍이 다른 경우에도, 해당 캐비티를 확실히 형성할 수 있는 금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별개의 안내 궤도를 따라 전진 및 후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복수의 분할 다이와, 상기 복수의 분할 다이에 의해 형성되는 캐비티에 위 및 아래 각각에서 삽입되는 상부펀치 및 하부펀치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분할 다이 각각이 지정위치에 있을 때, 제1 할면 및 제2 할면의 각각에서, 상기 복수의 분할 다이를 구성하는 한쌍의 분할 다이 중 일방의 분할 다이 및 타방의 분할 다이의 각각 과 당접함으로써 상기 캐비티가 형성되는 금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금형 장치는, 상기 복수의 분할 다이 중 적어도 하나의 분할 다이에서, 상기 제1 할면에, 상기 일방의 분할 다이를 향해 국소적으로 돌출되는 세로 볼록부(縱凸部)가 형성됨으로써, 상면에서 볼 때, 상기 일방 분할 다이의 진행 방향에 대해서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어 있는 제1 안내면이 형성되고, 상기 일방 분할 다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할 다이의 상기 제1 할면에 당접하는 상기 제2 할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할 다이의 상기 세로 볼록부에 대응하여 국소적으로 패어 있는 세로 오목부(縱凹部)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지정위치에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할 다이의 상기 제1 할면에 형성된 상기 제1 안내면에 대해서 당접하는, 상기 일방 분할 다이의 진행 방향에 대해서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어 있는 제2안내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금형 장치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분할 다이(제1 분할 다이)가 전진하여 그 지정위치에 도달하고 있는 반면에, 제1 분할 다이에 당접하는 한 쌍의 분할 다이 중 일방의 분할 다이(제2 분할 다이)가 그 지정위치에 아직 도달하지 않은 상태가 발생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1 분할 다이의 제1 할면에 형성된 제1 안내면과 제2 분할 다이의 제2 할면에 형성된 제2 안내면을 당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1 분할 다이가 그 지정위치를 넘어 안내 궤도를 따라 전진하는 것이 규제되는 한편, 제2 분할 다이가 제2 안내면을 제1 분할 다이의 제 1안내면에 미끄럼 접촉시키면서 안내 궤도를 따라서 전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제2 분할 다이가 그 지정위치에 도달했을 때에 제2 할면을 제1 분할 다이의 제1 할면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당접시킴으로써, 해당 지정 위치를 넘어 전진하는 것이 규제된다.
따라서, 각 분할 다이를 지정 위치를 향해 전진시킬 때, 상호 당접하는 분할 다이의 각각의 해당 지정위치로의 도달 시기가 달라도, 각 분할 다이의 위치가 확실히 지정 위치로 제어되어 캐비티 형상의 제어 정확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분할 다이의 진행 방향과 평행이라는 것은 실질적으로 평행하다는 의미로서, 각 분할 다이의 세로 볼록부가 인접한 분할 다이의 세로 오목부에 당접할 때, 분할 다이가 더 밀린 경우에서도 미끄러짐 등이 발생하지 않는 각도 범위에서의 평행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금형 장치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할 다이로서의 상기 타방 분할 다이의 상기 제1 할면에 상기 제1 안내면이 형성되며, 상기 일방 분할 다이로서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할 다이의 상기 제2 할면에, 상기 지정위치에 있는 상기 타방 분할 다이의 상기 제1 할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1 안내면에 대해서 당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할 다이의 진행 방향에 대해서 평행한 상기 제2 안내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의 금형 장치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분할 다이(제1 분할 다이)에 당접하는 한 쌍의 분할 다이 중 일방의 분할 다이(제3 분할 다이)가 전진하여 그 지정위치에 도달하고 있는 반면에, 제1 분할 다이가 그 지정위치에 아직 도달하지 않은 상태가 발생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3 분할 다이의 제1 할면에 형성된 제1 안내면과, 제1 분할 다이의 제2 할면에 형성된 제2 안내면을 당접시킬 수 있다. 이로써, 제3 분할 다이가 그 지정위치를 넘어 안내 궤도를 따라 전진하는 것이 규제되는 한편, 제1 분할 다이가 그것의 제2 안내면을 제3 분할 다이의 제1 안내면에 미끄럼 접촉시키면서 안내 궤도를 따라 전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제1 분할 다이가 그 지정위치에 도달했을 때에 그것의 제2 할면을 제3 분할 다이의 제1 할면에 대해서 전체적으로 당접시킴으로써 해당 지정위치를 넘어 전진하는 것이 규제된다.
따라서, 각 분할 다이를 지정 위치를 향해 전진시킬 때, 상호 당접하는 분할 다이의 각각의 해당 지정위치로의 도달 시기가 다른 경우, 특히 복수의 분할 다이를 구성하는 제1, 제2 및 제3 분할 다이의 지정 위치로의 도달 순위가 불확정인 경우에도, 각 분할 다이의 위치가 확실히 지정위치로 제어되어, 캐비티 형상의 제어 정확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금형 장치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할 다이의 상기 제1 할면에, 측면에서 봤을 때, 상기 일방 분할 다이를 향해 돌출되어 있는 가로 볼록부 (橫凸部) 또는 패어 있는 가로 오목부(橫凹部)가 형성되며, 또한, 상기 일방 분할 다이의 상기 제2 할면에, 측면에서 봤을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할 다이의 상기 제1 할면에 형성된 상기 가로 볼록부 또는 상기 가로 오목부에 대응하여 패어 있는 가로 오목부 또는 돌출되어 있는 가로 볼록부가 형성되며, 대체적 또는 부가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할 다이의 상기 제2 할면에, 측면에서 봤을 때, 상기 타방 분할 다이를 향해 돌출되어 있는 가로 볼록부 또는 패어 있는 가로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타방 분할 다이의 상기 제1 할면에, 측면에서 봤을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할 다이의 상기 제2 할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가로 볼록부 또는 상기 가로 오목부에 대응하여 패어 있는 가로 오목부 또는 돌출되어 있는 가로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의 금형 장치에 따르면, 일 분할 다이의 제1 할면 및 타 분할 다이의 제2 할면을 당접시킬 때, 해당 제1 할면에 형성되어 있는 가로 볼록부(또는 가로 오목부)와 해당 제2 할면에 형성되어 있는 가로 오목부(또는 가로 볼록부)를 계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복수의 분할 다이의 각각이 지정위치에 있어서 캐비티가 형성될 때, 해당 일 분할 다이 및 해당 타 분할 다이의 상하 방향의 상대적 위치 어긋남이 확실히 방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로서의 금형 장치의 요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로서의 금형 장치의 요부의 상면도.
도 3은, 도 1의 화살표A의 방향을 시선 방향으로 한 때의 분할 다이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로서의 금형 장치의 요부의 상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로서의 금형 장치의 요부의 상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로서의 금형 장치의 요부의 상면도.
( 제1실시 형태)
(구성)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로서의 금형 장치(1)는, 상호 당접하여 캐비티(2)를 형성하는 3개의 분할 다이(3a, 3b 및 3c)를 구비하고 있다. 금형 장치(1)는, 캐비티(2)에 상하로부터 삽입되는 상부 펀치(P1) 및 하부 펀치(P2)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도 3 참조). a, b 및 c의 각각을 간소하게 표현하기 위해「i」「i+」 및 「i-」라는 기재가 이용된다. 「i+」는 i=a의 경우는 「b」를 의미하며 i=b의 경우는 「c」를 의미하며 i=c의 경우는 「a」를 의미한다. 「i-」는 i=a의 경우는 「c」를 의미하며 i=b의 경우는 「a」를 의미하며 i=c의 경우는 「b」를 의미한다.
분할 다이(3i)는, 펀치(P1 및 P2) 각각의 이동 방향 또는 두께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인접하는 분할 다이(3i+ 및 3i-)의 각각에 당접하는 제1 할면(4) 및 제2 할면(5)을 구비하고 있다. 분할 다이(3i)의 제1 할면(4)에는, 상기 분할 다이(3i)의 전진 방향 (도 2 화살표 참조)으로 국소적으로 돌출된 세로 볼록부(6)가 형성되어 있다. 분할 다이(3i)의 제2 할면(5)에는 상기 분할 다이(3i)의 후진 방향으로 국소적으로 패여 있는 세로 오목부(7)가 형성되어 있다.
분할 다이(3i)의 세로 오목부(7)는, 인접하는 분할 다이(3i+)의 세로 볼록부(6)과 합치하여, 금형이 닫혔을 때, 세로 볼록부(6)와 끼워 맞춰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분할 다이(3i)는, 제1 할면(4) 및 제2 할면(5)의 사이에서, 후진 방향으로 캐비티(2)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여기서는 대략 삼각형상)으로 파인 형상의 캐비티 형성 면(8)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금형 장치(1)에서, 분할 다이(3i)의 각각은, 구동장치(도시 생략)에 연결된 슬라이더(11i)의 각각에 의해 전진 구동 및 후진 구동한다.
분할 다이(3i) 및 슬라이더(11i)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내 부재(12)에 의해서 폭 방향(또는 전진 방향 및 후진 방향, 및 펀치(P1 및 P2) 각각의 이동 방향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어 있다. 분할 다이(3i) 및 슬라이더(11i)는 안내 부재(12)에 의해 정해진 안내 궤도에 따른 전진 및 후진만이 허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안내 부재(12)는, 분할 다이(3i) 및 슬라이더(11i) 각각의 양측면의 전역에 걸쳐서 설치해도 좋고, 그 일부를 안내하는 것이라도 좋다.
도 2에 나타낸 것처럼, 3개의 분할 다이(3a, 3b 및 3c)의 각각의 진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중심 축선이 캐비티(2)의 중심(O)에서 교차하고 있다. 3개의 분할 다이(3a, 3b 및 3c)는, 각각의 진행 방향이 서로 120°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며, 중심(O)에 대해서 전진 및 후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분할 다이(3i)의 제1 할면(4)에는, 세로 볼록부(6)에, 인접하는 다른 분할 다이(3i+ 및 3i-)의 각각의 진행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 존재하는 제1 안내면(9)이 형성되어 있다. 분할 다이(3i)의 세로 오목부(7)는, 다른 한 쌍의 분할 다이(3i+ 및 3i-)의 각각의 세로 볼록부(6)에 합치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분할 다이(3i)의 제2 할면(5)에는, 세로 오목부(7)에서, 해당 분할 다이의 진행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 존재하는, 인접하는 다른 분할 다이(3i-)의 제1 안내면(9)과 당접하는 제2 안내면(10)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할 다이(3i)(도 3에서는 i=b)의 제1 할면(4)에 측면에서 볼 때, 대략 등변사다리꼴 형상으로 파인 가로 오목부(13)가 형성되어 있다. 분할 다이(3i)는, 측면에서 볼 때, 선단부에 해당 사다리꼴의 2개의 다리에 상당하는 2개의 경사면(13a 및 13b)외에, 해당 사다리꼴의 상부(짧은 변)에 상당하는 비경사면(13c)을 구비하고 있다. 즉, 분할 다이(3i)의 경사면(13a 및 13b)의 각각은, 인접하는 분할 다이(3i+)의 각각을 향해, 대각 상방향 및 대각 하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어 있다.
한편, 분할 다이(3i+)(도 3에서는 i+=c)의 제2 할면(5)에 대략 등변사다리꼴 형상으로 돌출된 가로 볼록부(14)가 형성되어 있다. 분할 다이(3i+)는, 측면에서 볼때, 선단부에 해당 사다리꼴의 2개의 다리에 상당하는 2개의 경사면(14a 및 14b)외에, 해당 사다리꼴의 상부(짧은 변)에 상당하는 비경사면(14c)을 구비하고 있다. 분할 다이(3i+)의 경사면(14a 및 14b), 및 비경사면(14c)의 각각은 분할 다이(3i)의 경사면(13a 및 13b), 및 비경사면(13c)의 각각에 대응하고 있다. 즉, 분할 다이(3i+)의 경사면(14a 및 14b)의 각각은 인접한 분할 다이(3i)의 각각을 향해, 대각 하방향 및 대각 상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어 있다.
(기능)
금형 장치(1)에서 캐비티(2)를 형성할 때에는, 우선, 금형이 열린 상태로부터 각 분할 다이(3i)를 안내 궤도에 따라 캐비티(2)의 중심(O)을 향해 전진시키다. 이때, 분할 다이(3a, 3b 및 3c)의 각각의 전진 속도에 차이가 있거나, 또는, 전진 속도는 동일하나 초기 위치가 어긋나 있는 등의 이유로 인해, 캐비티(2)를 형성할 때의 지정위치에 도달하는 타이밍이 맞지 않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제1 분할 다이(3i)(예를 들어 i=a)가 전진하여 그 지정위치에 도달하고 있는 반면에, 제2 분할 다이(3i+) 및 제3 분할 다이(3i-)가 각각의 지정 위치에 아직 도달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1 분할 다이(3i)의 제1 할면(4)에 형성된 제1 안내면(9)과, 제2 분할 다이(3i+)의 제2 할면(5)에 형성된 제2 안내면(10)을 당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 인해, 제1 분할 다이(3i)가 그 지정위치를 넘어 안내 궤도를 따라 전진하는 것이 규제되는 한편, 제2 분할 다이(3i+)가 그것의 제2 안내면(10)을 제1 분할 다이(3i)의 제1 안내면(9)에 미끄럼 접촉시키면서 안내 궤도를 따라 전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2 분할 다이(3i+)가 지정위치에 도달했을 때, 그것의 제2 할면(5)(세로 오목부(7) 이외의 부분인 제2 주(主)할면을 포함한다)을 제1 분할 다이(3i)의 제1 할면(4)(세로 볼록부(6) 이외의 부분인 제1 주(主)할면을 포함한다)에 당접시킴으로써, 해당 지정 위치를 넘어 전진하는 것이 규제된다. 그 후, 제3 분할 다이(3i-)가 지정위치에 도달하면, 그것의 제1 할면(4) 및 제2 할면(5)의 각각이, 제1 분할 다이(3i)의 제2 할면(5) 및 제2 분할 다이(3i+)의 제1 할면(4)의 각각에 대하여 당접함으로써, 제3 분할 다이(3i-)가 그 지정위치를 넘어 전진하는 것이 규제된다.
따라서, 분할 다이(3a, 3b 및 3c)의 각각을 지정 위치를 향해 전진시킬 때, 상호 당접하는 분할 다이(3a, 3b 및 3c)의 각각이 해당 지정위치로 도달하는 시기가 달라도 각 분할 다이(3i)의 위치가 확실히 지정 위치에 제어되어, 지정 형상의 캐비티(2)가 확실하게 형성된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 분할 다이(3i)의 제1 할면(4) 및 타 분할 다이(3i+)의 제2 할면(5)를 당접시킬 때, 해당 제1 할면(4)에 형성되어 있는 가로 오목부(13)와, 해당 제2 할면(5)에 형성되어 있는 가로 볼록부(14)를 계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써, 해당 일 분할 다이(3i) 및 해당 타 분할 다이(3i+)의 상하 방향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도 방지된다.
(제2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로서의 금형 장치(1)에서, 분할 다이(3a, 3b 및 3c) 중 일부 분할 다이에서 제1 안내면 및 제2 안내면의 형성이 생략되어도 좋다. 예를 들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분할 다이(3i)(도 4에서는 i=a)의 제2 할면(5) 및 제3 분할 다이(3i-)의 제1 할면(4), 및 제3 분할 다이(3i-)의 제2 할면(5) 및 제2 분할 다이(3i+)의 제1 할면(4)의 각각에서, 해당하는 안내면의 형성이 생략되어도 좋다.
해당 구성의 금형 장치(1)에 따르면, 제1 분할 다이(3i) 및 제2 분할 다이(3i+)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안내면(9) 및 제2 안내면(10)의 미끄럼 접촉을 수반하여 각각의 지정위치에 규정된 후, 제3 분할 다이(3i-)를 지정위치를 향해 전진시킨다. 그리고 제3 분할 다이(3i-)가 제1 할면(4)에서 제2 분할 다이(3i+)에 당접하고, 또한, 그것의 제2 할면(5)에서 제1 분할 다이(3i)가 당접함으로써, 지정위치를 넘어 전진하는 것이 규제된다. 이로써 캐비티(2)의 형상 제어 정확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의 금형 장치(1)에서, 제1 분할 다이(3i)의 제2 할면(5) 및 제3 분할 다이(3i-)의 제1 할면(4)의 각각에서, 해당하는 안내면이 형성되도 좋다. 마찬가지로, 제3 분할 다이(3i-)의 제2 할면(5) 및 제2 분할 다이(3i+)의 제1 할면(4)의 각각에서, 해당하는 안내면이 형성되도 좋다.
(제3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로서의 금형 장치(1)에 있어서, 분할 다이(3a, 3b 및 3c) 중 일부 분할 다이의 제1 할면(4) 및 제2 할면(5)의 양방에 동일한 안내면(제1 안내면(9) 또는 제2안내면(10))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어, 도 5에 나타낸 것처럼, 제1 분할 다이(3i)(도 5에서는 i=a)에서 제1 할면(4)에 제1 안내면(9)이 형성되고, 제2 할면(5)에 제2 안내면(10)이 형성되어 있는 한편, 제2 분할 다이(3i+)(도 5에서는 i+=b)의 제1 할면(4) 및 제2 할면(5)의 각각에 수직 오목부(7)로부터 기인하는 제2 안내면(10)이 형성되며, 제3 분할 다이(3i-)(도 5에서는 i-=c)의 제1 할면(4) 및 제2 할면(5)의 각각에 수직 볼록부(6)으로부터 기인하는 제1 안내면(9)가 형성되도 좋다.
제3 실시 형태의 금형 장치(1)에 있어서, 제1 분할 다이(3i)의 제2 할면(5) 및 제3 분할 다이(3i-)의 제1 할면(4)의 각각에서, 해당하는 안내면이 생략되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제3 분할 다이(3i-)의 제2 할면(5) 및 제2 분할 다이(3i+)의 제1 할면(4)의 각각에서 해당하는 안내면이 생략되어도 좋다.
(제4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로서의 금형 장치(1)에 있어서,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분할 다이(3a, 3b 및 3c)중 일부 분할 다이에서 제1 안내면 및 제2 안내면의 형성이 생략되고, 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분할 다이(3a, 3b 및 3c)중 일부 분할 다이의 제1 할면(4) 및 제2 할면(5)의 양방에 동일한 안내면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어, 도 6에 나타낸 것처럼, 제1 분할 다이(3i)(도 6에서는 i=a)의 제2 할면(5) 및 제3 분할 다이(3i-)(도 6에서는 i-=c)의 제1 할면(4)의 각각에서, 해당하는 안내면의 형성이 생략되어도 좋다. 이와 더불어, 제1 분할 다이(3i)에서 제1 할면(4) 및 제3 분할 다이(3i-)의 제2 할면(5)의 각각에 세로 볼록부(6)로부터 유래되는 제1 안내면(9)가 형성되며, 제2 분할 다이(3i+)(도 6에서는 i+=b)의 제1 할면(4) 및 제2 할면(5)의 각각에 세로 오목부(7)로부터 유래하는 제2 안내면(10)이 형성되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분할 다이(3i)의 제1 할면(4)에서 세로 볼록부(6)가, 상면에서 봤을 때, 대략 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해당 제1 할면(4)에 당접하는 제2 할면(5)를 갖는 타 분할 다이(3i+)진행 방향과 평행한 제1 안내면(9)를 가지고 있는 것을 요건으로 하여, 해당 세로 볼록부(6)가, 상면에서 봤을 때, 사다리꼴 형태 등의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분할 다이(3i)의 제1 할면(4)에 가로 오목부(13)가 형성되며, 제2 할면(5)에 가로 볼록부(14)가 형성되어 있다 (도 3 참조). 다른 실시 형태로서 분할 다이(3i)의 제1 할면(4)에 가로 볼록부(14)가 형성되며, 제2 할면(5)에 가로 오목부1 3가 형성되어도 좋다. 분할 다이(3i)의 측면에서 볼 때의 가로 오목부(13) 및 가로 볼록부(14)가, 사다리꼴 형상 외, 삼각형상, 반원상 또는 반타원 형상 등의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의 금형 장치(1)에 따르면, 3개의 분할 다이(3a, 3b 및 3c)에 의해 캐비티(2)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 형태의 금형 장치가, 4개 이상의 분할 다이에 의해 소정 형상의 캐비티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1 금형 장치
2 캐비티
3a, 3b, 3c 분할 다이
4 제1 할면
5 제2 할면
6 세로 볼록부
7 세로 오목부
9 제1 안내면 (인접하는 분할 다이의 진행 방향과 평행인 면)
10 제2 안내면
13 가로 오목부
14 가로 볼록부

Claims (3)

  1. 별개의 안내 궤도를 따라 전진 및 후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복수의 분할 다이와, 상기 복수의 분할 다이에 의해 형성되는 캐비티에 상하 각각으로부터 삽입되는 상부 펀치 및 하부 펀치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분할 다이의 각각이 지정위치에 있을 때, 제1 할면 및 제2 할면의 각각에서, 상기 복수의 분할 다이를 구성하는 한 쌍의 분할 다이 중 일방의 분할 다이 및 타방의 분할 다이의 각각과 당접함으로써 상기 캐비티가 형성되는 금형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분할 다이 중 적어도 하나의 분할 다이에서, 상기 제1 할면에, 상기 일방의 분할 다이를 향해 국소적으로 돌출된 세로 볼록부가 형성됨으로써, 상면에서 봤을 때, 상기 일방의 분할 다이의 진행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어 있는 제1 안내면이 형성되며,
    상기 일방의 분할 다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할 다이의 상기 제1 할면에 당접하는 상기 제2 할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할 다이의 상기 세로 볼록부에 대응하여 국소적으로 패어 있는 세로 오목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지정위치에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할 다이의 상기 제1 할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1 안내면에 대하여 당접하는, 상기 일방의 분할 다이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어 있는 제2 안내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장치.
  2. 청구항 1에 기재된 금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할 다이로서의 상기 타방의 분할 다이의 상기 제1 할 면에 상기 제1 안내면이 형성되며,
    상기 일방의 분할 다이로서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할 다이의 상기 제2 할면에, 상기 지정위치에 있는 상기 타방의 분할 다이의 상기 제1 할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1 안내면에 대하여 당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할 다이의 진행 방향에 대해서 평행한 상기 제2 안내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장치.
  3. 청구항 1에 기재된 금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할 다이의 상기 제1 할면에, 측면에서 봤을 때, 상기일방의 분할 다이를 향해 돌출되어 있는 가로 볼록부 또는 패어 있는 가로 오목부가 형성되며, 또한, 상기 일방의 분할 다이의 상기 제2 할면에, 측면에서 봤을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할 다이의 상기 제1 할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가로 볼록부 또는 상기 가로 오목부에 대응하여 패어 있는 가로 오목부 또는 돌출되어 있는 가로 볼록부가 형성되며, 대체적 또는 부가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할 다이의 상기 제2 할면에, 측면에서 봤을 때, 상기 타방의 분할 다이를 향해 돌출되어 있는 가로 볼록부 또는 패어 있는 가로 오목부가 형성되며, 또한, 상기 타방의 분할 다이의 상기 제1 할면에, 측면에서 봤을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할 다이의 상기 제2 할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가로 볼록부 또는 상기 가로 오목부에 대응하여 패어 있는 가로 오목부 또는 돌출되어 있는 가로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장치.
KR1020157035942A 2014-08-28 2015-06-24 금형 장치 KR201600355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74245 2014-08-28
JP2014174245A JP5849326B1 (ja) 2014-08-28 2014-08-28 金型装置
PCT/JP2015/068201 WO2016031373A1 (ja) 2014-08-28 2015-06-24 金型装置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9052A Division KR20170120187A (ko) 2014-08-28 2015-06-24 금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572A true KR20160035572A (ko) 2016-03-31

Family

ID=5517617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9052A KR20170120187A (ko) 2014-08-28 2015-06-24 금형 장치
KR1020157035942A KR20160035572A (ko) 2014-08-28 2015-06-24 금형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9052A KR20170120187A (ko) 2014-08-28 2015-06-24 금형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60279891A1 (ko)
EP (1) EP3187329A4 (ko)
JP (1) JP5849326B1 (ko)
KR (2) KR20170120187A (ko)
CN (1) CN105579164B (ko)
TW (1) TW201611998A (ko)
WO (1) WO20160313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27101A1 (ja) * 2018-07-31 2020-02-06 小林工業株式会社 粉末成形装置、粉末成形用金型および粉末成形体作製方法
JP7016174B2 (ja) * 2019-05-31 2022-02-04 小林工業株式会社 粉末成形装置、粉末成形用金型および焼結体作製方法
JP6865471B2 (ja) * 2018-07-31 2021-04-28 小林工業株式会社 粉末成形装置、粉末成形用金型および粉末成形体作製方法
CN111300607B (zh) * 2020-05-13 2020-08-18 佛山市星力环保设备有限公司 防脱落瓷砖收缩模具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71502A (en) * 1962-10-26 1966-09-06 Gen Electric High pressure method and apparatus
US4197067A (en) * 1976-05-27 1980-04-08 General Electric Company Composite mold construction
US4906434A (en) * 1988-09-13 1990-03-06 University Of Tennessee Research Corporation Bi-dimensional compression method
JPH1094899A (ja) 1996-09-26 1998-04-14 Mitsubishi Materials Corp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2000052328A (ja) * 1998-08-06 2000-02-22 Ngk Spark Plug Co Ltd 粉末成形体の製造方法及び粉末焼結体の製造方法
JP3861578B2 (ja) * 2000-09-22 2006-12-20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プレス金型装置
JP5076619B2 (ja) * 2007-04-26 2012-11-21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金型および該金型で成形された圧粉成形体
US7829015B2 (en) * 2007-05-31 2010-11-09 Borgwarner Inc. Formation of non-axial features in compacted powder metal components
JP5261833B2 (ja) * 2010-03-24 2013-08-14 住友電工ハードメタル株式会社 切削インサートの製造方法と成形装置
JP5801783B2 (ja) * 2012-10-11 2015-10-28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分割ダイ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87329A1 (en) 2017-07-05
CN105579164B (zh) 2017-09-29
US20160279891A1 (en) 2016-09-29
JP2016049536A (ja) 2016-04-11
KR20170120187A (ko) 2017-10-30
EP3187329A4 (en) 2018-05-09
CN105579164A (zh) 2016-05-11
JP5849326B1 (ja) 2016-01-27
WO2016031373A1 (ja) 2016-03-03
TW201611998A (en) 2016-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35572A (ko) 금형 장치
CN103732386B (zh) 用于制造切削刀片的设备和方法
CN103732373B (zh) 底切处理机构
JP5525344B2 (ja) 横編機の複合針
US9464459B2 (en) Variable progression key notching system
US11498127B2 (en)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ultilayer molded article
CN110355954A (zh) 一种保险杠模具
KR101696068B1 (ko) 두 가지 각도의 언더컷 동시 처리용 슬라이드 코어 조립체
US9545742B2 (en) Mold and method for forming tilt boss
CN104384330B (zh) 车门内板的加工模具总成
KR101717026B1 (ko) 다방향 언더컷 동시 처리용 슬라이드 코어 조립체
CN211105389U (zh) 一种二次行位模具
CN104227884A (zh) 一种复合抽芯机构
CN209191219U (zh) 一种具有可顺序抽芯的子母滑块的模具
CN105121873A (zh) 运动引导装置
JP2007296825A (ja) 射出成形装置及び射出成形方法及び射出成形金型装置
CN105592959B (zh) 成型产品的制造方法和其成型用模具、以及成型产品
JP6881026B2 (ja) コネクタ
US9435375B2 (en) Linear slide over-molding fabrication method, linear slide thus made
JP7016174B2 (ja) 粉末成形装置、粉末成形用金型および焼結体作製方法
CN107984704B (zh) 注塑模具的抽芯导滑机构
CN106111818B (zh) 冲压模具
JPH04308716A (ja) 樹脂成形用金型
JP5628623B2 (ja) 成形金型
CN103388624B (zh) 滚柱保持链、滚柱保持链制作方法及线性运动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495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1013

Effective date: 2019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