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5225A - 스프링 고정 타입 프로브 핀 및 프로브 핀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스프링 고정 타입 프로브 핀 및 프로브 핀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5225A
KR20160035225A KR1020140126527A KR20140126527A KR20160035225A KR 20160035225 A KR20160035225 A KR 20160035225A KR 1020140126527 A KR1020140126527 A KR 1020140126527A KR 20140126527 A KR20140126527 A KR 20140126527A KR 20160035225 A KR20160035225 A KR 201600352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barrel
probe pin
plunge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6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홍대
Original Assignee
이홍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홍대 filed Critical 이홍대
Priority to KR1020140126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5225A/ko
Publication of KR20160035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52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16Elastic
    • G01R1/06722Spring-load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33Geometry asp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73Multiple probes
    • G01R1/07307Multiple probes with individual probe elements, e.g. needles, cantilever beams or bump contacts, fixed in relation to each other, e.g. bed of nails fixture or probe car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maintenance of measuring instruments, e.g. of probe ti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86Features relating to contacting the IC under test, e.g. probe heads; chuc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 접점 구조를 갖는 스프링 고정 타입 프로브 핀 및 프로브 핀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상단에 외부점촉점이 형성된 상부 플런저와 하단에 외부 외부 접촉점이 형성된 하부 플런저와 상하 플런저에 연결되어 하나 이상의 스프링으로 형성된 완충 스프링부로 구성된 포고핀부와 이를 일부를 감싸며 원통구조로 형성된 배럴부와 배럴부의 외측면에 외측방향으로 텐션이 작동하도록 돌출 형성 배럴고정 스프링부로 형성된 스프링 고정 타입 프로브 핀 및 프로브 핀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이와 같이 본 발명은 프로브핀을 소켓이나 하우징에 조립할 때 기존의 이중 구조나 단차가공홀에 삽입하는 것이 아닌 단차가공없는 관통홀에 조립이 가능하여 작업이 간단하며 조립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조립시 프로브핀의 손상을 줄일고 가공성, 경제성이 우수하고, 분해 조립이 용이하여 품질을 크게 개선하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스프링 고정 타입 프로브 핀 및 프로브 핀 제조방법{A probe pin and the manufacturing methods of probe pin}
본 발명은 상,하 접점 구조를 갖는 스프링 고정 타입 프로브 핀 및 프로브 핀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배럴부 외측에 배럴고정 스프링부를 돌출 형성하여 하우징의 관통홀에 삽입 장착시 배럴고정스프링판의 복원력으로 하우징에 고정되게 조립하여 종래 하우징의 핀 고정 홈 복잡도를 단순화하여 개선하게 되는 스프링 고정 타입 프로브 핀 및 프로브 핀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웨이퍼에 형성된 소자와 반도체칩 패키지를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소켓 등과 같은 전기, 전자기계 부품에서 상하로 접점 구조를 갖는 스프링 타입의 프로브 핀을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스프링 타입의 프로브 핀은 일반적으로 특허등록 제10-1031634호, 제10-82311호 등에 다양한 형태로 알려진 바 있는데, 이는 상,하 접점부 사이로 스프링을 연결 형성한 구조로 이루어져 상하로 하중이 인가될 때 스프링이 탄발 완충 작동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프로브 핀은 소켓에 장착 사용시 도 8의 종래 프로브핀의 소켓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정 단면도와 도 9의 분해도에서 처럼 표시된 바와 같은 배럴걸림형 프로브 핀(801)이 소켓을 상하 두개의 몸체의 상부소켓(805)과 하부소켓(807)으로 형성하여 상,하 두개의 몸체인 상부소켓(805)과 하부소켓(807)에 상부삽입공(811)과 하부삽입공(815)을 형성하되, 상기 상부삽입공(811)과 하부삽입공(815)의 중앙에 상부걸림홈(813)과 하부걸림홈(817)을 형성하여 이루고, 배럴 걸림형 프로브 핀(801)의 중앙 외측에 걸림돌기(803)를 돌출 형성하여 이룬 것이다.
이는 상기 하부 소켓(807)의 하부 삽입공(815)에 상기의 배럴걸림 프로프 핀(801)을 삽입하고, 상기 하부 소켓 상부에 상부 소켓(805)을 결합하되, 상기 상부 소켓(805)의 상부 삽입공(811)을 하 부소켓(807)의 하부 삽입공(815)에 기 삽입된 상기의 배럴걸림형 프로브 핀(801)에 각각 삽입되게 결합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의 배럴걸림형 프로브 핀(801)의 중앙 외측의 걸림돌기(803)가 상부소켓(805)의 상부삽입공(811)의 중앙에 위치하는 상부걸림홈(813)과 하부소켓(807)의 하부삽입공(815)의 중앙에 위치하는 하부걸림홈(817)에 삽입되게 위치하여 이탈 방지되게 조립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프로브 핀은 소켓을 상부소켓(805)와 하부소켓(807)에 의해 조립하기 때문에 가공이 복잡하고 조립시 프로브 핀이 손상된다.
또한 상기 상부소켓(805)와 하부소켓(807)에 프로브 핀(801)을 조립하기 위한 상부삽입공(811)과 하부삽입공(815)의 정렬 공차를 정밀하게 맞추어야 하기 때문에 가공성이 더욱 떨어지고, 이로 인해 가공과 조립에 비용이 많이들어간다.
뿐만 아니라 상기 하부소켓(807)의 하부조립공(815)에 배럴걸림형 프로프 핀(801)을 삽입한 후 상부소켓(805)의 상부조립공(811)을 삽입하여 장착하기 때문에 분해, 조립에 따른 작업성이 매우 불편하고, 특히 하부소켓(807)의 하부조립공(815)에 프로브 핀을 삽입 장착시 소켓이 뒤집어지는 경우에 프로브 핀이 삽입공에서 이탈되어 재 삽입하여야 하는 등의 조립의 불편함이 있었다.
특허등록 제10-1031634호 특허등록 제10-82311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럴부 외측에 배럴고정스프링판을 돌출 형성하여 하나의 하우징 몸체의 하우징관통홀에 프로브 핀을 삽입 장착시 배럴고정 스프링 판의 텐션력으로 고정 조립하게 되어 가공 및 조립이 간단하여 조립시 프로브핀의 손상을 줄이게 하는 스프링 고정 타입 프로브 핀 및 프로브 핀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로브핀이 조립되는 소켓이나 하우징을 단순한 구조로 만들어 가공이나 조립에 의한 비용을 줄이게 하는 스프링 고정 타입 프로브 핀 및 프로브 핀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로브핀이 조립되는 소켓이나 하우징을 하나의 몸체에 관통홀을 사용하여 조립시 핀이 쏟아지거나 상부와 하부의 몸체로 인하여 상하 정렬을 해야하는 번거러움을 줄여 조립의 불편함을 줄이게 하기위해 관통홀에 조립이 가능한 스프링 고정 타입 프로브 핀 및 프로브 핀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고정 타입 프로브 핀은 상단에 외부점촉점이 형성된 상부 플런저와 하단에 외부 외부 접촉점이 형성된 하부 플런저와 상기 상부플런저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하부 플런저 상단에 연결되어 하나 이상의 스프링으로 형성된 완충 스프링부로 구성된 포고핀부, 상기 포고핀부의 일부를 감싸며 원통구조로 형성된 배럴부, 상기 배럴부의 외측면에 외측방향으로 텐션이 작동하도록 돌출 형성 배럴고정 스프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고정 타입 프로브 핀은 상기 포고핀부의 완충작용을 하는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상부 플런저의 하단에 연결된 상부스프링, 상기 하부 플런저의 상단에 연결된 하부 스프링, 상기 상부 스프링과 상기 하부 스프링 사이를 연결해주는 내부배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고정 타입 프로브 핀은 상기 배럴 고정 스프링부는 상기 배럴 몸통에 양 측방에 상하로 배럴고정 스프링홈을 타공하여 상기 배럴고정 스프링홈 사이로 브릿지 형상으로 판 스프링을 상기 배럴 몸통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절곡하여 외측으로 텐션력을 갖도록 구성된 배럴고정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고정 타입 프로브 핀은 상기 배럴 고정 스프링부는 상기 배럴부의 배럴 몸통의 일부가 외측으로 벌리도록 절곡하여 하우징몸체의 하우징 관통홀에 상기 배럴부이 삽입될 때 닫혀져 외측 반발 스프링 작용을 하는 고정스프링 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고정 타입 프로브 핀은 상기 배럴부는 상기 배럴 몸통에 하나이상을 타공하여 홈으로 형성된 조립체결홈, 상기 조립체결홈과 상기 내부배럴을 고정되게 상기 배럴 몸통의 일부를 내부로 절곡하여 걸림쇠 구조의 고정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고정 타입 프로브 핀은 상단에 외부점촉점이 형성된 상부 플런저, 하단에 외부 외부 접촉점이 형성된 하부 플런저, 상기 상부플런저 하단에 연결되어 완충작용이 되도록 형성된 상부 스프링, 상기 하부 플런저 상단에 연결되어 완충작용이 되도록 형성된 하부 스프링, 상기 상부스프링과 상기 하부스프링의 중간에 위치하여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외측면에 외측방향으로 텐션이 작동하도록 돌출 형성 배럴고정 스프링부를 포함한 내부 배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고정 타입 프로브 핀 제조방법은 상하로 가해지는 압력(하중)에 대해 탄발 완충 작용하여 상하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접점 구조를 갖고 하우징과 스프링으로 고정하는 프로브 핀 제조 방법에 있어서, 탄성력을 갖는 판소재를 타발하되, 프로브 핀의 상부 플런저, 하부 플런저, 스프링부를 연결한 포고핀부와 배럴고정 스프링부를 포함한 배럴부를 형성하기 위한 평면형상의 타발몸체를 형성하는 펀칭단계; 상기 펀칭 단계 이 후 포고핀부의 상기 스프링부를 형성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 산 형상의 타발 몸체를 바깥쪽에서 중심부의 내측으로 권취하도록 절곡하고, 상부 플런저와 하부플런저를 원통형상으로 절곡하고, 별도의 배럴부는 상기 포고핀부를 감쌀 수 있는 정도로 일부만 절곡하는 포밍 단계; 상기 포밍 단계 후 상기 배럴부가 상기 포고핀부를 감싸도록 절곡하여 결합하고, 상기 배럴부를 추가 절곡하여 스프링 고정 타입 프로브 핀을 결합하는 결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고정 타입 프로브 핀 제조방법은 상기 포밍 단계에서 상기 배럴부에 상기 배럴고정 스프링판을 밀어 절곡하여 판스프링이 평성되게 하는 배럴고정 스프링부 형성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고정 타입 프로브 핀 및 프로브 핀 제조방법에 의하면, 프로브핀을 소켓이나 하우징에 조립할 때 기존의 이중 구조나 단차가공홀에 삽입하는 것이 아닌 단차가공 없는 관통홀에 조립이 가능하여 작업이 간단하며 조립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조립시 프로브핀의 손상을 줄일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고정 타입 프로브 핀 및 프로브 핀 제조방법에 의하면, 배럴고정 스프링에 의해 프로브핀을 하우징이나 소켓의 관통홀에 직접 고정시켜 하이징이나 소켓의 구조를 단순화 시키고 제작 공정을 단순화하여 소켓이나 하우징의 제조 비용과 하우징이나 소켓에 프로브핀을 삽입시키는 조립공정의 비용을 줄이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고정 타입 프로브 핀 및 프로브 핀 제조방법에 의하면, 프로브핀을 하우징이나 소켓에 조립할 때 쏟아지지 않아 조립하거나 일부 핀의 교체시 별도의 취구가 필요하지 않고 정렬해야하는 불편함을 최소화 하여 프로브핀을 사용하여 검사하는 장치의 가동 시간을 늘리고 휴지시간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고정 타입 프로브 핀의 조립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고정 타입 프로브 핀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고정 타입 프로브 핀의 소켓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정 단면도.
도 5는 도 2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6은 도 1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7은 본발명에 따른 스프링 고정 타입 프로브 핀 제조방법에 따른 제조 공정도.
도 8은 종래 프로브핀의 소켓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정 단면도.
도 9는 도 8의 분해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스프링 고정 타입 프로브 핀의 조립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인 스프링 고정 타입 프로브 핀의 상세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면도이다.
이와 같이 도 1, 도2,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발명의 스프링 고정 타입 프로브 핀의 일실시예는 포고핀부(110), 배럴부(15), 배럴고정 스프링부(17)를 포함하여 구성 할 수 있다. 이를 세부적으로 보면 프로브 핀(100)은 포고핀부(110), 상부 플런저(111), 하부 플런저(113),스프링부(130), 상부 스프링(131), 하부 스프링(133), 내부 배럴(135), 배럴부(150), 배럴 몸통(151), 조립체결부(160), 조립체결홈(161), 고정 스토퍼(163), 배럴고정 스프링부(170), 배럴고정 스프링판(171), 배럴고정 스프링홈(173)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의 포고핀(100)은 상기의 포고핀부(110), 상기의 배럴부(150), 상기의 배럴고정 스프링부(17)으로 구성된다.
상기의 포고핀부(110)은 상기의 상부 플런저(111), 하부 플런저(113), 스프링부(130)으로 구성되고, 이는 상기의 상부 플런저(111)의 상부 접점과 상기 스프링부(130)와 상기의 하부 플런저(113)의 하측 접점사이에 전기적 신호가 흐르도록 연결된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의 상부플런저(111)와 상기의 하부 플런저(113)는 상기의 스프링에 의해 완충작용이나 탄발 작용을 할 때 길이반향으로 직진성이 확보되도록 원통형 구조로 형선된다. 다만 필요에 따라 다각형이나 판 모양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의 상부 플런저(111)이나 상기의 하부플런저(113)의 접점구조는 산 모양의 단일 접점구조나 크라운 모양의 다접점 구조나 평평한 구조사 원형 구조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하여 사용한다.
상기의 스프링부(130)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하나의 스프링으로 구성될 때는 스프링의 양단에 상기의 상부 플런저(111)의 하단과 상기 하부 플런저(113)의 상단에 연결하여 형성되고, 두개 이상의 스프링으로 연결될 때에서 스프링을 상부 스프링(131)과 하부 스프링(133)으로 나누고 두 스프링 사이에 연결 몸체를 형성하는데, 일실시예로 상기의 내부 배럴(133)를 두어 연결한다. 이 때 상기의 내부 배럴(135)이 상기의 배럴부(150)와 고정되면 프로브핀(100)은 상하 하중이나 움직임이 서로 각각 작용하는 더블 스트로크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의 내부 배럴(135)을 배럴부(15)과 고정하지 않으면 상하 움직임이 연동되는 단일 스트로크를 형성한다. 이 때 상기의 내부 배럴(135)을 상기의 배럴부(150)에 고정 하기 위해 상기의 배럴부(150)의 일부를 원통 내부 방향으로 들어가게 절곡하여 형성한 상기의 고정 스토퍼(163)를 사용하기도 한다. 고정하는 방법은 다양한 형태로 가능하며, 상기의 배럴부(150)의 상기의 조립체결부(160)의 상기의 조립 체결홈(161)을 통해 도금액으로 고정하기도 한다.
상기의 배럴부(150)은 상기의 포고핀부(110)에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밀폐되게 형성하고, 상기의 상부 플런저(111)이나 상기의 하부 플런저(113)이 상기의 스프링부(130)에 의해 상하 운동을 할 때 직진성이 확보되도록 플런저의 외형과 같은 모양으로 형성한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형태는 원통형이나 이를 다각형이나 다른 형태로 사용하는 것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배럴부는 상기의 하우징과 고정되게 하기 위해 배럴고정 스프링부(170)를 포함하여 형성한다.
상기의 배럴고정 스프링부(170)는 배럴부(150)을 하우징이나 소켓에 고정하기 위해 배럴부(150)에서 하나 이상의 측방에 상하로 배럴고정 스프링홈(173)을 나란히 두개 타공하여 상기 배럴고정 스프링홈(173)의 사이로 상기 배럴고정 스프링판(171)을 형성하고, 상기 배럴고정 스프링판(171)을 외측으로 돌출되게 절곡하여 외측으로 텐션력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 텐션력으로 배럴부(150)이 외부의 하우징이나 소켓의 홀에 고정되게 형성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고정 타입 프로브 핀의 소켓 결합 구조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정 단면도이며, 프로브 핀 하우징(400), 하우징 몸체(401), 하우징 관통 홀(403)로 구성된다.
상기의 프로브핀 하우징(400)은 상기의 하우징 몸체(401)과 하우징 관통홀(403)으로 구성되며, 상기의 하우징 몸체(401)은 프로프핀이 사용되는 반도체 테스트 소켓이 반도체 웨이퍼 검사를 위한 인터포저의 하우징이나 카메라 모듈이나 PCB를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모듈의 프로브핀이 고정되는 몸체를 통칭한 것으로 프로브 핀의 고정 몸체로 어떤 형태를 특정하지 않고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하여 사용된다.상기의 프로브핀 하우징의 재질은 비도전성 물질이면 사용가능하고 플라스틱 계열을 사용하여도 된다.
상기의 하우징 관통홀(403)은 상기의 프로브핀(100)의 배럴고정 스프링부(170)에 의해 프로브핀(100)이 고정되는 크기의 지름을 갖는 원통형으로 구성한다.
도 5는 도 2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며, 도 2의 배럴고정 스프링부(170)의 형태가 상기의 배럴부(150)의 측면에 도출형 배럴고정 스프링판(171)의 형태가 아닌 배럴부(150) 자체에 조립체결편(180)을 두어 배럴을 하우징에 고정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의 조립체결 편(180)은 상기 프로브 핀(100)의 포고핀부(110)의 외측에 도시한바와 같이 배럴부(1500)의 일부에 원주상에 적어도 한 곳 이상에 상하 절결하여 형성하고, 상기 조립체결 편(180)을 외측으로 벌리도록 절곡하여 내외측으로 텐션력을 갖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도 1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며 , 상단에 외부점촉점이 형성된 상부 플런저(111), 하단에 외부 외부 접촉점이 형성된 하부 플런저(113), 상기 상부 플런저(111) 하단에 연결되어 완충작용이 되도록 형성된 상부 스프링(131), 상기 하부 플런저(113) 상단에 연결되어 완충작용이 되도록 형성된 하부 스프링(133), 상기 상부스프링(131)과 상기 하부스프링(133)의 중간에 위치하여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외측면에 외측방향으로 텐션이 작동하도록 돌출 형성 배럴고정 스프링부(170)를 포함한 내부 배럴(135)로 구성된다.
즉, 상기 프로브 핀(100) 외측에 별도 배럴부(150)가 결합되지 않은 노 바디 구조를 채택하되 내부 배럴(135)에 배럴고정 스프링부(170)를 구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배럴고정 스프링부(170)의 구조는 전술한 프로브 핀(100)의 배럴고정 스프링부(170)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프로브 핀(100)의 내부 배럴(135) 외측면에 배럴고정 스프링부(170)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소켓을 상기의 하우징 몸체(141)에 상기의 하우징 관통홀(143)로 형성하여 조립할 수 있어 프로브핀(100)을 간단히 삽입하여 단번에 조립하고, 상기 프로브 핀(100)의 스프링부(130))가 하우징 몸체(141)의 하우징 관통홀(143) 내부에서 내외측으로 텐션 작동하면서 조립 상태를 유지하도록 홀딩하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고정 타입 프로브 핀 제조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 공정도며, 펀칭 단계(S710), 포밍 단계(S720), 결합 단계(S730)으로 진행된다. 이는 상하로 가해지는 압력(하중)에 대해 탄발 완충 작용하여 상하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접점 구조를 갖고 하우징과 스프링으로 고정하는 프로브 핀 제조 방법을 구체적인 절차이다.
상기의 펀칭 단계(S710)는 탄성력을 갖는 판소재(701) 를 타발하되, 프로브 핀의 상부 플런저(111), 하부 플런저(113), 스프링부(130)를 연결된 포고핀부(110)와 배럴고정 스프링부(170)를 포함한 배럴부(150)를 형성하기 위한 평면형상의 타발몸체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는 제작하고자하는 프로브핀의 펼쳐진 전개도를 타발하여 다음 단계인 포밍 단계(S720)에 사용되도록 판재를 펀칭 가공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부 플런저(111), 하부 플런저(113), 스프링부(130)의 전개도를 서로 연결된 단일 몸체로 이루게 형성하여 제작 후에도 전기적 저항이 최소화된 연결된 몸체가 형성되게 한다.
상기의 포밍 단계(S720)는 상기 펀칭 단계(S710) 이 후 포고핀부(110)의 상기 스프링부(130)를 형성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 산 형상의 타발 몸체를 바깥쪽에서 중심부의 내측으로 권취하도록 절곡하고, 상부 플런저(111)와 하부 플런저(113)를 원통형상으로 절곡하고, 별도의 배럴부(150)는 상기 포고핀부(110)를 감쌀 수 있는 정도로 일부만 절곡하는 단계이다. 특히 상기의 포고핀부(110)과 배럴부(150)을 별도 공간에서 포밍하고, 배럴부(15)은 최종 형상으로 포밍하지 않고 포고핀부(110)에 결합될 수 있는 정도로 절곡하여 마무리한다.
이 때 상기 포밍 단계(S720)에서 상기 배럴부(150)에 상기 배럴고정 스프링판(171)을 밀어 절곡하여 판스프링이 평성되게 하는 배럴고정 스프링부 형성 단계를 진행하여 배럴부(150)에 배럴고정 스프링부(170)이 형성되게 한다.
상기의 결합 단계(S730)는 상기 포밍 단계(S720) 후 상기 배럴부(150)가 상기 포고핀부(110)를 감싸도록 절곡하여 결합하고, 상기 배럴부(11)를 추가 절곡하여 스프링 고정 타입 프로브 핀을 결합하는 단계로서, 상기의 포밍 단계(S720)에서 완전히 절곡하지 않은 상태의 배럴부(150)이 상기의 포고핀부(110)으로 이동하여 감싸는 구조가 형성되도록 절곡하고, 결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배럴부(150)을 추가 절곡하여 완성하게 된다.
위의 펀칭 단계(S710), 포밍 단계(S720), 결합 단계(S730)는 구체적 실시는 프로브핀(100)의 구조에 따라 일부 다른 절차를 할 수 있으나 펀칭 단계(S710), 포밍 단계(S720), 결합 단계(S730)에서 특히 포밍 단계(S720) 후 포고핀부(110)와 배럴부(150)이 결합되는 순서를 따른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프로브 핀 110 : 포고핀부
111 : 상부 플런저 113 : 하부 플런저
130 : 스프링부 131 : 상부 스프링
133 : 하부 스프링 135 : 내부 배럴
150 : 배럴부 151 : 배럴 몸통
160 : 조립체결부 161 : 조립체결홈
163 : 고정 스토퍼 170 : 배럴고정 스프링부
171 : 배럴고정 스프링판 173 : 배럴고정 스프링홈
180 : 조립체결 편 400 : 프로브 핀 하우징
401 : 하우징 몸체 403 : 하우징 관통 홀
S710 : 펀칭 단계 S720 : 포밍 단계
S730 : 결합 단계

Claims (8)

  1. 상단에 외부점촉점이 형성된 상부 플런저(111)와 하단에 외부 외부 접촉점이 형성된 하부 플런저(113)와 상기 상부플런저(111)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하부 플런저(113) 상단에 연결되어 하나 이상의 스프링으로 형성된 완충 스프링부(130)로 구성된 포고핀부(110);
    상기 포고핀부(110)의 일부를 감싸며 원통구조로 형성된 배럴부(150);
    상기 배럴부(150)의 외측면에 외측방향으로 텐션이 작동하도록 돌출 형성 배럴고정 스프링부(170);를 포함하는 스프링 고정 타입 프로브 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고핀부(110)의 완충작용을 하는 상기 스프링부(130)는 상기 상부 플런저(111)의 하단에 연결된 상부스프링(131);
    상기 하부 플런저(113)의 상단에 연결된 하부 스프링(133);
    상기 상부 스프링(131)과 상기 하부 스프링(133)사이를 연결해주는 내부배럴(135);를 더욱 포함하는 스프링 고정 타입 프로브 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럴 고정 스프링부(170)는 상기 배럴 몸통(151)에 양 측방에 상하로 배럴고정 스프링홈(173)을 타공하여 상기 배럴고정 스프링홈(173) 사이로 브릿지형상으로 판 스프링을 상기 배럴 몸통(151)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절곡하여 외측으로 텐션력을 갖도록 구성된 배럴고정 스프링(171);을 더욱 포함하는 스프링 고정 타입 프로브 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럴 고정 스프링부(170)는 상기 배럴부(150)의 배럴 몸통(151)의 일부가 외측으로 벌리도록 절곡하여 하우징몸체(401)의 하우징 관통홀(403)에 상기 배럴부(150)이 삽입될 때 닫혀져 외측 반발 스프링 작용을 하는 고정스프링 편(180);을 더욱 포함하는 스프링 고정 타입 프로브 핀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럴부(150)는 상기 배럴 몸통(151)에 하나이상을 타공하여 홈으로 형성된 조립체결홈(161);
    상기 조립체결홈(161)과 상기 내부배럴(135)을 고정되게 상기 배럴 몸통(151)의 일부를 내부로 절곡하여 걸림쇠 구조의 고정스토퍼(163);를 더욱 포함하는 스프링 고정 타입 프로브 핀
  6. 상단에 외부점촉점이 형성된 상부 플런저(111);
    하단에 외부 외부 접촉점이 형성된 하부 플런저(113);
    상기 상부 플런저(111) 하단에 연결되어 완충작용이 되도록 형성된 상부 스프링(131);
    상기 하부 플런저(113) 상단에 연결되어 완충작용이 되도록 형성된 하부 스프링(133);
    상기 상부스프링(131)과 상기 하부스프링(133)의 중간에 위치하여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외측면에 외측방향으로 텐션이 작동하도록 돌출 형성 배럴고정 스프링부(170)를 포함한 내부 배럴(135);을 포함하는 스프링 고정 타입 프로브 핀
  7. 상하로 가해지는 압력(하중)에 대해 탄발 완충 작용하여 상하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접점 구조를 갖고 하우징과 스프링으로 고정하는 프로브 핀 제조 방법에 있어서,
    탄성력을 갖는 판소재를 타발하되, 프로브 핀의 상부 플런저(111), 하부 플런저(113), 스프링부(130)를 연결된 포고핀부(110)와 배럴고정 스프링부(170)를 포함한 배럴부(150)를 형성하기 위한 평면형상의 타발몸체를 형성하는 펀칭 단계(S710);
    상기 펀칭 단계(S710) 이 후 포고핀부(110)의 상기 스프링부(13)를 형성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 산 형상의 타발 몸체를 바깥쪽에서 중심부의 내측으로 권취하도록 절곡하고, 상부 플런저(111)와 하부 플런저(113)를 원통형상으로 절곡하고, 별도의 배럴부(150)는 상기 포고핀부(110)를 감쌀 수 있는 정도로 일부만 절곡하는 포밍 단계(S720);
    상기 포밍 단계(S720) 후 상기 배럴부(150)가 상기 포고핀부(110)를 감싸도록 절곡하여 결합하고, 상기 배럴부(11)를 추가 절곡하여 스프링 고정 타입 프로브 핀을 결합하는 결합 단계(S730);를 포함하는 스프링 고정 타입 프로브 핀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포밍 단계(S720)에서 상기 배럴부(150)에 상기 배럴고정 스프링판(171)을 밀어 절곡하여 판스프링이 평성되게 하는 배럴고정 스프링부 형성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스프링 고정 타입 프로브 핀 제조방법.

KR1020140126527A 2014-09-23 2014-09-23 스프링 고정 타입 프로브 핀 및 프로브 핀 제조방법 KR201600352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6527A KR20160035225A (ko) 2014-09-23 2014-09-23 스프링 고정 타입 프로브 핀 및 프로브 핀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6527A KR20160035225A (ko) 2014-09-23 2014-09-23 스프링 고정 타입 프로브 핀 및 프로브 핀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225A true KR20160035225A (ko) 2016-03-31

Family

ID=55651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6527A KR20160035225A (ko) 2014-09-23 2014-09-23 스프링 고정 타입 프로브 핀 및 프로브 핀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35225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743A (ko) 2017-06-28 2019-01-07 양희성 전기 신호 연결용 마이크로 컨택터
KR20190009233A (ko) * 2017-07-18 2019-01-28 송유선 포고 핀 및 포고 핀의 배열을 구현하는 검사용 소켓
KR101955273B1 (ko) * 2017-09-13 2019-03-08 최두성 반도체 번인 테스트용 프로브 핀
JP2019039751A (ja) * 2017-08-24 2019-03-14 株式会社日本マイクロニクス プローブ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90105082A (ko) * 2017-02-10 2019-09-11 가부시키가이샤 니혼 마이크로닉스 프로브 및 전기적 접속 장치
KR102166677B1 (ko) * 2019-08-09 2020-10-16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멤스 포고 핀 및 이를 이용한 검사 방법
KR102544652B1 (ko) * 2022-10-14 2023-06-20 브이테크놀로지코리아(주) 스프링 형상의 금속 핀과 실리콘 탄성 핀을 포함하는 전도성 연결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560331B1 (ko) * 2023-02-07 2023-07-27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탄성력 조절이 가능한 포고 핀
KR102651304B1 (ko) * 2023-08-08 2024-03-26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저항이 안정적인 포고 핀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5082A (ko) * 2017-02-10 2019-09-11 가부시키가이샤 니혼 마이크로닉스 프로브 및 전기적 접속 장치
KR20190001743A (ko) 2017-06-28 2019-01-07 양희성 전기 신호 연결용 마이크로 컨택터
KR20190009233A (ko) * 2017-07-18 2019-01-28 송유선 포고 핀 및 포고 핀의 배열을 구현하는 검사용 소켓
JP2019039751A (ja) * 2017-08-24 2019-03-14 株式会社日本マイクロニクス プローブ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55273B1 (ko) * 2017-09-13 2019-03-08 최두성 반도체 번인 테스트용 프로브 핀
KR102166677B1 (ko) * 2019-08-09 2020-10-16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멤스 포고 핀 및 이를 이용한 검사 방법
KR102544652B1 (ko) * 2022-10-14 2023-06-20 브이테크놀로지코리아(주) 스프링 형상의 금속 핀과 실리콘 탄성 핀을 포함하는 전도성 연결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560331B1 (ko) * 2023-02-07 2023-07-27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탄성력 조절이 가능한 포고 핀
KR102651304B1 (ko) * 2023-08-08 2024-03-26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저항이 안정적인 포고 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35225A (ko) 스프링 고정 타입 프로브 핀 및 프로브 핀 제조방법
KR101869335B1 (ko) 프로브 핀 및 그 제조방법
KR101951705B1 (ko) 포고 핀 및 포고 핀의 배열을 구현하는 검사용 소켓
KR101194520B1 (ko) 프로브 핀 및 그것을 구비하는 ic 소켓
US9461425B2 (en) Connector with easily positionable parts
TWI421504B (zh) 測試用的測試探針以及其製造方法
JP5530312B2 (ja) 電気部品用ソケット
KR101455174B1 (ko) 포고 핀 및 그 제조방법
KR101591013B1 (ko) 셀프결합형 프로브 핀
KR101007660B1 (ko) 비지에이 테스트소켓
JP4845031B2 (ja) 中継コネクター
EP3295818A1 (en) Latching mechanism and wearable device
KR101627172B1 (ko) 하나의 절연성 몸체로 구성되는 소켓
JP6515516B2 (ja) プローブピン、および、これを備えた電子デバイス
KR20090124587A (ko) 반도체 칩 패키지 검사용 소켓
US20050151556A1 (en) Testing probe and testing jig
US20190348786A1 (en) Electrical contact and socket for electric component
KR101787534B1 (ko) 스트로크 확대형 볼 플런저
KR101973587B1 (ko) 전기적 특성이 우수한 프로브핀과 이를 포함하는 핀블럭
KR101738621B1 (ko) 보드 일체형 rf 인터포저 유닛 및 이의 설치방법
JP5627449B2 (ja) 電気部品用ソケット
JP5647868B2 (ja) 電気接触子及び電気部品用ソケット
JP2019087507A (ja) 接触部材及び電気部品用ソケット
JP7279933B2 (ja) 基板支持具
JP5841425B2 (ja) 電気部品用ソケットのコンタクト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