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4916A - 칫솔모 필라멘트를 이송하는 트랜스퍼 스테이션 - Google Patents

칫솔모 필라멘트를 이송하는 트랜스퍼 스테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4916A
KR20160034916A KR1020167002017A KR20167002017A KR20160034916A KR 20160034916 A KR20160034916 A KR 20160034916A KR 1020167002017 A KR1020167002017 A KR 1020167002017A KR 20167002017 A KR20167002017 A KR 20167002017A KR 20160034916 A KR20160034916 A KR 201600349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stle
transfer station
gripper
band
bu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2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4499B1 (ko
Inventor
인고 컴프
플로리안 키퍼
베른하르트 리즈
크리스토프 알브레히트
Original Assignee
자호란스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호란스키 아게 filed Critical 자호란스키 아게
Publication of KR20160034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4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4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4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3/00Preparing, i.e. Manufacturing brush bodies
    • A46D3/08Parts of brush-mak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1/00Bristles; Selection of materials for bristles
    • A46D1/04Preparing bristl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3/00Preparing, i.e. Manufacturing brush bodies
    • A46D3/08Parts of brush-making machines
    • A46D3/082Magazines for bristles; Feeding bristles to magazines; Knot picking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8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rush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랜스퍼 스테이션(1)에 관한 것으로, 칫솔모 번들(3)의 칫솔모 필라멘트를 공급할 수 있고, 칫솔모 필라멘트는 적어도 하나의 밴드(4)에 의해 번들 형태로 조립되며 매거진(2)으로 이송되고, 매거진에 상기 칫솔모 필라멘트가 저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퍼 스테이션은 번들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떨어진 적어도 2쌍(8,9)의 그리퍼 핑거(10,11;12,13)를 가지고, 그리퍼 핑거 쌍(8,9)의 그리퍼 핑거(10,11:12,13)들은 그리퍼 핑거(10,11;12,13) 사이의 거리가 감소하여 칫솔모 번들(3)을 파지하도록 서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고, 그리퍼 핑거(10,11:12,13)는 칫솔모 번들(3)의 적어도 하나의 밴드(4)가 인접하는 그리퍼 핑거 쌍(8,9) 사이에 배치되어 치솔모 번들(3)을 파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퍼 스테이션은 번들 형태로 공급되는 칫솔모 필라멘트들이 칫솔-제조장치의 스터핑 툴의 상류에 위치한 매거진으로 자동으로 이송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칫솔모 필라멘트를 이송하는 트랜스퍼 스테이션{ TRANSFER STATION FOR TRANSFERRING BRISTLE FILAMENTS}
본 발명은 칫솔모 번들로 공급이송 가능한 (infeedable) 칫솔모 필라멘트를 이송하기 위한 트랜스퍼 스테이션에 관한 것이고, 상기 칫솔모 번들은 상기 칫솔모 필라멘트를 적어도 하나의 밴드를 통해 번들로서 매거진에 수집하여, 칫솔모 필라멘트는 상기 매거진에 저장된다.
브러시 제조장치에서 칫솔모 필라멘트는 브러시 몸체로 삽입된다. 상기 브러시 몸체로 삽입된 상기 칫솔모 필라멘트는 이후에 브러시의 상기 칫솔모 영역을 형성한다.
"테이퍼진 필라멘트"라고 언급되는 화학적으로 테이퍼진 칫솔모 필라멘트는 이미 만들어져 있다. 매우 얇은 칫솔모 팁으로 테이퍼진(tapered) 칫솔모 필라멘트는 특히 부드러운 칫솔용으로 세계적인 규모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칫솔모 필라멘트들이 특히 얇기 때문에, 이러한 테이퍼진 칫솔모 필라멘트는 브러스 제조장치의 매거진에 수동으로 놓여 진다. 재료 호퍼로 언급되는 이러한 매거진은 사이드 스트립에 의해 구분되고 상기 브러시 제조장치의 스터핑 툴(stuffing tool)의 상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이송 트랙을 갖는다.
상기 화학적으로 테이퍼진 칫솔모 요소는 전형적으로 원형 단면을 갖도록 집합된 칫솔모 번들로 제공된다. 칫솔모 번들의 칫솔모 필라멘트는 적어도 하나의 밴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고무 밴드로 함께 묶여있다. 번들로 함께 묶여있는 상기 칫솔모 필라멘트를 수동으로 배치하는 동안에 칫솔모 번들은 상기 매거진의 베이스 플레이트 위에 놓여지고 이어서 상기 사이드 스트립의 양측에 위치이동 가능한 푸셔(pusher)까지 매거진에 제공된 이송 트랙의 상기 사이드 스트립 사이에 인덱스(index) 된다. 여전히 상기 칫솔모 번들을 묶고 있는 상기 고무 밴드는 번들로 있지 않은 상기 칫솔모 필라멘트 뒤에 있는 센서로의 압력을 통해 푸셔를 끌어 내도록 제거되어서 상기 푸셔는 상기 이송 트랙에 이미 위치한 상기 칫솔모 필라멘트에 대해 새로운 칫솔모 재료를 밀어낼 수 있다. 상기 테이퍼진 칫솔모 필라멘트는 항상 잘 둘러싸져야 하기 때문에, 사이드 스트립 사이에 횡방향으로 돌출한 상기 푸셔가 핑거(finger)로 미는 일이 자주 발생한다. 상기 푸셔에 작용하는 압력이 매우 높지 않기 때문에, 단지 작은 압점이 발생한다. 상기 브러시 제조장치는 칫솔모 번들의 배치 단계 동안 멈추지 않아야 하기 때문에, 상기 매거진의 이동은 한 칫솔모 색깔에서 다른 색으로 전환 할 때 일어나야 한다. 이 때문에, 또한 그 작업자의 부주의 때문에 심각한 끼임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끼임과 거기에 관련된 작업자에게의 부상은 전적으로 피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브러시 제조장치의 스터핑 툴의 상류에 배치된 매거진으로 번들로 공급된 칫솔모 필라멘트의 자동화된 이송을 허용하는 유형의 트랜스퍼 스테이션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앞서 설명한 유형의 상기 트랜스퍼 스테이션의 발명에 따른 해결책은 상기 트랜스퍼 스테이션이 적어도 두 쌍의 그리퍼 핑거 쌍을 가지고, 상기 핑거 쌍들은 번들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칫솔모 번들을 파지하기 위한 상기 그리퍼 핑거 쌍의 상기 그리퍼 핑거가 그리퍼 핑거 사이의 간격이 축소되는 방식으로 다른 하나에 대해서 상기 번들의 길이 방향으로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 하고, 상기 그리퍼 핑거 쌍이 상기 칫솔모 번들의 적어도 하나의 밴드가 인접한 그리퍼 핑거 쌍 사이에 배치되는 방식으로 상기 칫솔모 번들을 파지하는 것에 있다.
상기 발명에 의한 상기 트랜스퍼 스테이션은 매거진으로 칫솔모 필라멘트를 이송하는 것을 위해 의도 되어 있다. 상기 칫솔모 필라멘트는 칫솔모 번들로 상기 트랜스퍼 스테이션에 공급이송된다. 여기서, 칫솔모 번들의 상기 칫솔모 필라멘트는 전형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밴드를 통해 그룹지어져 있다. 상기 칫솔모 필라멘트는 그 후에 번들이 아닌 방식으로 상기 매거진에 저장된다. 상기 발명에 의한 상기 트랜스퍼 스테이션은 적어도 두 쌍의 그리퍼 핑거를 갖는다. 상기 그리퍼 핑거 쌍은 상기 번들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상기 그리퍼 핑거 쌍의 상기 그리퍼 핑거는 상기 칫솔모 필라멘트가 상기 그리퍼 핑거 쌍의 각 그리퍼 핑거 사이에 느슨하게 쥐어지거나 붙잡히도록 하기 위해서 이 그리퍼 핑거 사이의 간격이 축소되는 방식으로 다른 것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상기 제공된 칫솔모 번들은 상기 칫솔모 번들의 적어도한 밴드가 인접한 그리퍼 핑거 사이에 배치되는 방식으로 획득된다. 상기 발명에 의한 상기 트랜스퍼 스테이션은 상기 그리퍼 핑거 쌍에 의해 획득된 칫솔모 번들의 적어도 한 밴드를 개봉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적어도 한 밴드 오프너를 갖는다. 상기 칫솔모의 길아 ??향에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상기 그리퍼 쌍은 번들이 아닌 방식으로 상기 칫솔모 필라멘트를 저장하는 매거진으로 상기 칫솔모 필라멘트를 자동으로 이송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개봉되도록 번들로 전달된 상기 칫솔모 필라멘트를 허용한다.
상기 그리퍼 핑거 쌍 사이에 파지된 칫솔모 번들이 상기 칫솔모 번들을 둘러싸고있는 적어도 한 밴드에서 풀려나기 위해서는 상기 그리퍼 핑거 쌍에 의해 획득된 칫솔모 번들의 적어도 한밴드를 개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밴드 오프너를 갖는 것이 바람직 하다.
여기서, 상기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 예는 적어도 한 상기 밴드 오프너가 나이프, 가위 또는 펜치로 구성되는 것이 제공된다.
이 방식으로 개봉된 상기 밴드를 상기 칫솔모 필라멘트의 상기 영역에서 제거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적어도 한 밴드 오프너가 상기 밴드 오프너에 의해 개봉된 상기 밴드를 획득하는 밴드 그리퍼를 할당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밴드오프너에 의해 상기 밴드가 개봉된 뒤에 상기 밴드 그리퍼는 상기 칫솔모 필라멘트를 횡으로 지나 상기 밴드를 이동 시켜 제거 한다.
이러한 밴드 그리퍼 대신에, 상기 발명에 의한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밴드 오프너가 상기 밴드오프너에 의해 개봉된 상기 밴드를 흡입 해서 흡입류에 의해 상기 밴드를 이송해 가 버리는 흡입 설비를 할당 받는 것을 제공한다.
상기 밴드오프너에 의해 상기 밴드가 개봉될 때 방해를 초래 하지 않기 위해, 상기 밴드그리퍼나 상기 흡입 설비가 밴드 오프너와 방향이 빗나가는 칫솔모 번들의 측면에 배치되는 것이 편리하다.
상기 트랜스퍼 스테이션의 상기 그리퍼 핑거 쌍이 길이 방향에 의해 상기 칫솔모 필라멘트가 대략 수평 방향으로 향하게 되는 위치에서 파지 하는 각 칫솔모 번들을 파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상기 칫솔모의 길이 방향이 수직 방향으로 향하게 되는 위치에서 각 칫솔모 번들을 상기 그리퍼 핑거 쌍이 파지하는 실시 예가 바람직하다.
각 칫솔모 필라멘트가 적어도 하나의 밴드에 의해 둘러싸진 칫솔모 번들에서 조차도 떨어져 나와서 없어질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그리퍼 핑거쌍의 영역에서 상기 칫솔모 번들이 지지 부재에서 한 번들 단면을 갖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이 방식에서 상기 그리퍼 핑거 쌍에 의해 잡힌 칫솔모 번들의 단 하나의 칫솔모 필라멘트 좌도 떨어져나오고 사라지지 않는 것이 확실히 된다.
상기 그리퍼 핑거 쌍의 영역에 있는 상기 칫솔모 번들이 이동되고 상기 칫솔모 번들이 상기 트랜스퍼 스테이션으로 공급이송 되기 위해서, 사익 지지 부재가 컨베이어 벨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는 상기 칫솔모 번들을 상기 그리퍼 핑거쌍으로 공급이송 한다.
상기 그리퍼 핑거 쌍 사이에 아직 잡혀 있고 선택적으로 이미 적어도 한 밴드에서 풀려난 상기 칫솔모 필라멘트가 상기 매거진의 방향으로 이송되고 이동될 수 있기 위해서, 상기 지지 부재와 방향이 빗나가는 단부가 상기 지지 부재에 위치한 상기 칫솔모 번들이 흡입판에 의해 획득가능 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명에 의한 한 바람직한 실시 예는 상기 흡입 판이 흡입 송풍기의 상기 흡입류에 의해 관류 가능한 네덜란드 직조 원단을 갖는 것을 제공한다. 이러한 네덜란드 직조 원단은 상기 칫솔모 필라멘트가 상기 네덜란드 직조 원달은 통과해 흡입되지 않고 대신 상기 흡입 송풍기의 상기 흡입류에서 네덜란드 직조 원단에 잡혀 있는 방식으로 세밀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흡입류는 직조된 원단 구조에 의해 형성된 구멍에 의해 상기 네덜란드 직조 원단을 통과 할수 있다.
상기 칫솔모 번들이 질서 정연한 방식으로 번들이 해체되고 아직 번들로 공급이송된 상기 칫솔모 필라메느가 상기 매거진으로 전달 되기 위해서, 컨베이어 벨트로 구성된 지지 부재 위에서 상기 칫솔모 번들이 간격이 떨어진 채로 유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이송 방향으로 투사되는 대기 위치와 파지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거나 회전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칫솔모 번들 스토퍼가 제공된다. 제어의 관점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이트 배리어 또는 비슷한 광학적 칫솔모 번들 감지기에 연결된 이 적어도 하나의 칫솔모 번들 스토퍼는 요구되는 간격으로 상기 지지 부재에 위치한 상기 칫솔모 번들 사이의 간격을 확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 밴드에서 풀려난 상기 칫솔모 필라멘트를 상기 매거진으로 전달할 수 있기 위해서, 상기 칫솔모 필라멘트를 넘겨 받는 추가 그리퍼 핑거 쌍이 상기 번들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그리퍼 핑거 쌍 사이에 배치된 중간 공간으로 진입가능한 것이 편리하다. 이런 방식으로 상기 밴드로부터 풀려난 상기 칫솔모 필라멘트가 상기 흡입판에 부착하는 동안, 상기 흡입판에 부착된 상기 칫솔모 필라멘트는 상기 번들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상기 그리퍼 핑거 쌍의 중간 공간으로 진입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추가 그리퍼 핑거 쌍에 의해 파지된다. 적어도 한 밴드에 의해 묶여 있는 상기 칫솔모 필라멘트에, 그리고 적어도 한 밴드에서 풀려난 상기 칫솔모 필라멘트에 칫솔모 필라멘트를 다루는 것을 용이하게하는 특정한 외부 윤곽을 주기 위해서, 적어도 하나의 그리퍼 핑거 쌍의 적어도 하나의 그리퍼 핑거에서 상기 그리퍼 핑거 사이에 돌출한 적어도 한 길이 한계가 상기 그리퍼 핑거쌍의 인접한 그리퍼 핑거에 대해 횡 방향이 되도록 제공되는 게 바람직 하다.
여기서 상기 발명에 의한 한 바람직한 실시 예는 적어도 한 길이 한계가 상기 그리퍼 핑거에 조절가능 하도록 유지되는 것이 제공된다.
상기 트랜스퍼 스테이션에서 번들이 해체된 상기 칫솔모 필라멘트가 상기 매거진으로 공급이송 되고 그후에 상기 매거진에 저장되기 위해서, 상기 매거진이 수직 방향을 향하는 상기 칫솔모 필라멘트가 두 사이드 스트립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 트랙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 사이드 스트립에 의해 구분된 상기 이송 트랙으로 상기 칫솔모 필라멘트를 스레딩 하는 것은 적어도 한 이송 트랙이 이송 방향으로 상기 이송트랙을 구분하는 상기 사이드 스트립의 간격이 축소되는 도입 영역을 가질 때 용이하게 된다.
이송 트랙에 저장된 상기 칫솔모 필라멘트가 수직 방향을 향하는 위치에서 파지되고 확보되기 위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이송트랙에 위치한 상기 칫솔모 필라멘트가 사이드 스트립 사이에 횡방향으로 돌출하고 이 사이드 스트립을 따라서 변위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푸셔에 의해 파지되는 것이 편리하다.
여기서 상기 번들이 해체된 칫솔모 필라멘트를 적어도 한 이송 트랙의 영역에서 다루는 것은 횡 방향으로 돌출한 푸셔가 각 사이드 스트립에 제공될 때 더 용이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칫솔모 번들이 상기 이송 트랙에서 인덱스 되고 스터핑 툴의 방향으로 이동되기 위해서, 각 이송 트랙은 이 이송 트랙의 상기 사이드 스트립 사이에서 변위 가능한 슬라이더를 할당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직 방향을 향한 상기 칫솔모 필라멘트를 다루는 것은 상기 매거진의 상기 이송 트랙의 영역에서 적어도 한 슬라이더가 적어도 두 슬라이더 핑거가 칫솔모 필라멘트를 품고 후자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떨어지도록 배치 가능한 방식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떨어진 적어도 두 슬라이더 핑거를 가질 때 용이해 지고 확실하게 된다. 이 실시 예에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칫솔모의 길이 범위에서 적어도 두 슬라이더 핑거를 가진다. 서로 간격을 두고 떨어지도록 상기 인접한 칫솔모 필라멘트에 관여 한다.
이미 언급된 지지 부재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트랜스퍼 스테이션이 적어도 하나의 지지 부재가 적어도 하나의 파지와 회수, 제거 그리퍼를 갖는 적어도 한 그리퍼 설치를 할당 받는 점에서 적어도 한 밴드나 외장에 의해 칫솔모 번들로 함께 묶인 칫솔모 필라멘트를 제공하거나 공급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 벨트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 부재를 갖는 것이 편리하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지 와 회수, 제거 그리퍼를 갖는 적어도 한 그리퍼 설치는 이 지지 부재에 제공되거나 또는 공급이송된 칫솔모 번들을 획득하고, 상기 밴드나 외장을 적어도한 부분적으로 회수하는 것으로 지정되며 제거 그리퍼는 밴드나 외장으로부터 풀려난 번들 부분을 획득하고 제거하여 칫솔모 번들을 앞으로 이송하는 것으로 지정된다. 밴드나 외장에서 풀려난 상기 칫솔모 번들을 앞으로 이송하는 것은 예로 이미 언급된 매거진으로 수행되거나 또한 직접적으로 상기 트랜스퍼 스테이션의 하향에 배치된 브러시 제조장치, 특히 브러시 제조장치의 스터핑 툴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발명에 의한 특히 바람직한 한 실시예는 상기 트랜스퍼 스테이션이 브러시 제조장치의 상기 스터핑 툴의 상류에 오도록 배치되는 것을 제공한다.
상기 발명에 따른 개량은 도면의 설명과 함께 청구항으로부터 유도된다.
도 1은 화학적으로 테이퍼진 칫솔모 필라멘트를 제조하기 위한 브러시 제조장치를 나타내고, 이 브러시 제조장치는 번들로 공급이송(infeed)되는 칫솔모 필라멘트가 매거진으로 이송되는 트랜스퍼 스테이션을 가진다. 상기 매거진은 브러시 제조장치의 스터핑 툴의 상류에 배치된다.
도 2는 트랜스퍼 스테이션의 컨베이어 벨트 상에서 공급이송되고 대략 동심으로 칫솔모 번들을 둘러싸는 고무밴드에 의해 함께 묶여 있는 칫솔모 번들을 나타낸다.
도 3은 고무밴드를 절단하여 개봉하기 위해 제공되고, 가위로 구성된 밴드 오프너(opener)를 나타낸다.
도 4는 절단 개봉된 고무 밴드를 확보하여 이송하기 위한 플라이어형 밴드 그리퍼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2의 컨베이어 벨트를 나타내고, 이 컨베이어 벨트에서 칫솔모 번들이 그리퍼 핑거 쌍으로 파지된다.
도 6은 도 2와 5에 따라 파지되고 컨베어이어상에서 고무 밴드로부터 파지해제되며, 단독으로 배치된 흡입판(suction plate)에 의해 그리고 추가의 그리퍼 핑거 쌍에 의해 파지되는 칫솔모 번들을 나타낸다.
도 7은 칫솔모의 길이방향으로, 조절 가능한 길이 한계의 영역에서 서로 간격을 둔 그리퍼 핑거 쌍들을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8은 스터핑 툴의 상류측에 배치된 매거진으로 이송되기에 앞서, 추가의 그리퍼 핑거 쌍들 사이에 고정되고 흡입판상에 위치하도록 흡입되는 칫솔모를 나타낸다.
도 9는 추가의 그리퍼 핑거 쌍 사이에 고정되고 흡입판에 의해 흡입되는 칫솔모 필라멘트의 상세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초기에 둥근 칫솔모 번들을 이루도록 고무 밴드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가, 그 고무 밴드의 제거 후에, 매거진의 이송 트랙의 형태를 미리 갖춘 길게 연장된 형태로 스리퍼 핑거 사이에 고정된 칫솔모 필라멘트를 나타낸다.
도 11은 이송 트랙으로 간단하게 도시된 매거진을 내타내고, 칫솔모는 흡입판에 의해 매거진의 이송 트랙안으로 도입되고 아울러 추가의 그리퍼 핑거 쌍에 의해 고정된다.
도 12는 이송 트랙 안으로 칫솔모 필라멘트를 도입하기 위한 도입 영역의 상세도를 나타낸다.
도 13은 추가 그리퍼 핑거 쌍과 흡입 판을 제거하기 직전에 이송 트랙 안으로 도입된 칫솔모 필라멘트를 나타낸다.
도 14는 칫솔 저장소를 형성하도록 인덱싱 가능한(indexable) 슬라이더(slider)에 의해 이송 트랙안으로 밀린 치솔모를 나타낸다.
도 15는 번들이 없는 저장소에 위치한 칫솔모 필라멘트, 그리퍼 핑거 쌍과 그리퍼 핑거쌍에서 제거된 흡입판을 보여준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퍼 스테이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5에는 트랜스퍼 스테이션 1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트랜스퍼 스테이션 1은 번들로 공급이송되는 칫솔모 필라멘트를 매거진으로 이송하여 그 칫솔모 필라멘트를 비 번들 상태(de-bundled)로 매거진에 저장한다. 이러한 칫솔모 필라멘트는 적어도 하나의 밴드에 의해 그리고 특히 적어도 하나의 고무밴드4에 의해 칫솔모 번들이 함께 묶이는 칫솔모 번들 3으로 일반적으로 제공된다. 예로, 매거진 2는 브러시 제작 기계에 제공되는 브러시 바디 6으로 칫솔모 필라멘트를 삽입하도록 브러시제작 기계의 스터핑 툴 5의 상류에 배치된다. 상기 스터핑 툴5는 매거진 2에 있는 저장소로부터 일부분을 제거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는 포지셔닝 디바이스 7에 의해 브러시 몸체 6은 스터핑 툴5의 앞에 위치되어야 한다.
도 1, 2와 5부터 8까지에서 볼 수 있듯이 트랜스퍼 스테이션 1은 칫솔모 번들의 종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그리퍼 핑거 10,11과 12,13의 적어도 두쌍 8,9를 가지고 있다. 공급이송된 칫솔모 번들 3을 파지하기 위해서, 상기 그리퍼 핑거 쌍 8,9의 상기 그리퍼 핑거 10, 11과 12,13은 여기서 다른 쪽에 대해 번들의 종방향에 대하여 횡으로, 그리퍼 핑거 10,11과 12,13의 상호 간격이 축소되는 방식으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그리퍼 핑거 쌍 8,9의 각 상기 그리퍼 핑거 10,11과 12,13의 상기 간격이 축소 되면, 상기 칫솔모 번들 3은 단면이 원형이고, 도 10의 좌측에 도시된 원래 형태로부터 변형되고, 이제 이것은 가늘고 길다. 상기 그리퍼 핑거 쌍 8,9는 여기서 상기 고무 밴드 4가 여전히 상기 칫솔모 번들을 모두 잡고 있으며 단면에서 바람직하게는 원형을 벗어나고 대략 사각형이고 그리퍼 핑거 쌍 근처에 상기 그리퍼 핑거 10,11과 12,13사이에 위치되는 방식으로 상기 칫솔모 번들 3을 파지 하고 있다.
여기서 컨베이어 벨트 14로 구성되는 지지 부재에 칫솔모 번들 3의 한 번들 단부가 위치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상기 칫솔모 번들 3은 컨베이어 벨트 14 상에서 상기 트랜스퍼 스테이션 1로 공급이송된다. 칫솔모 번들 3이 방출되어 정상적인 절차로 이후로 이송될 수 있기 위해서는, 칫솔모 번들 3은 컨베이어 벨트 14 상에서 서로 간격을 두고 떨어지도록 놓여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 14의 상기 이송 경로로 발사되는 대기 위치와 파지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거나 회전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칫솔모 번들 스토퍼 15,16이 제공되어야 한다. 각 사건에서 제어의 관점에서 라이트 배리어에 연결되어 있고 컨베이어 벨트 14의 양쪽에 배치된 상기 칫솔모 번들 스토퍼 16,16의 쌍은 반드시 칫솔모 번들 3이 간격을 두고 떨어진 채로 있도록 유지되게 해야 한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 14상에서 상기 칫솔모 번들 3은 두 그리퍼 핑거 쌍 8,9로 공급이송된다. 상기 그리퍼 핑거쌍은 상기 번들의 종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상기 그리퍼 핑거 쌍 8, 9의 상기 그리퍼 핑거쌍 10,11과 12,13은 다른 하나에 대해 횡방식에서 상기 번들의 종 방향으로 서로 변위 가능 하거나 이동 가능해서 그리퍼 핑거 10,11과 12,13의 간격이 축소되고, 상기 그리퍼 핑거 쌍 8,9의 상기 그리퍼 핑거 10,11과 12,13사이에 위치한 칫솔모 번들이 단단히 잡혀있는다. 여기서 상기 그리퍼 핑거 쌍 8,9는 칫솔모 번들 3의 상기 칫솔모 필라멘트들을 묶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고무 밴드 4가 인접한 그리퍼 핑거 쌍 8,9 사이에 위치하는 방식으로 상기 칫솔모 번들 3을 파지 하고 있다.
트랜스퍼 스테이션이 가위로 디자인된 적어도 하나의 밴드 오프너 17로 구성되는 것이 도 2에 표시된다. 상기 밴드 오프너 17은 상기 그리퍼 핑거 쌍 8,9에 의해 파지 되어 있는 상기 칫솔모 번들을 둘러 싸고있는 적어도 하나의 고무 밴드 4를 개봉하는 것을 위해 제공된다. 상기 밴드 그리퍼 18 대신에 절단 개봉된 고무 밴드 4의 직접 흡입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밴드 오프너 17과 상기 밴드 그리퍼 18의 경우에 반드시 개별 칫솔모 필라멘트가 상기 고무밴드 4에 부가되어 잘리지 않거나 또는 걸리지 않게 하는 원형 필라멘트 이동 소자 19가 가위 암이나 펜치 암의 팁에 각각 제공된다.
도 3에서 상기 칫솔모 번들 3은 후속 단계에서 변형된다. 상기 그리퍼 핑거 10,11과 11,12가 모일 때, 단면에서 처음엔 여전히 둥근 상기 칫솔모 번들 3은 단면에서 도 10에서 도시된 가늘고 긴 형태를 취하는 방식으로 변형된다. 변형이 일어나기 전에, 커버 플레이트 20은 단지 단 하나의 칫솔모 필라멘트가 빠지는 것을 막도록 상기 커버플레이트가 상기 칫솔모 번들 3의 위에 유지되는 방식으로 회전되거나 이동된다. 상기 그리퍼 핑거쌍 10,11의 쌍과 12,13의 쌍에 의해 아직 번들로 묶여있는 상기 칫솔모 필라멘트의 상기 변형은 두 그리퍼 핑거쌍 8,9에 의해 수행된다.
도 4에서 고무 밴드 4에 의해 더 이상 묶여 있지 않은 상기 칫솔모 필라멘트를 넘겨 받는 그리퍼 핑거 22,23로 구성되는 추가 그리퍼 핑거 쌍 21은 상기 번들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그리퍼 핑거 쌍 8,9사이에 제공되는 중간 공간에 끼어들 수 있는 것으로 도시된다. 동시에 흡입류에 의해 그 단부에서 상기 칫솔모 필라멘트를 보유하고 있는 흡입판 24는 지지 부재에서 방향이 빗나가는 상기 칫솔모 필라멘트의 단부 위로 움직여 진다. 상기 흡입 판 24는 상기 칫솔모가 상기 흡입판을 통해 흡입될 수 없는 방식으로 섬세한 네덜란드 직조 원단을 가지고 있다.
도 5에서 상기 그리퍼 핑거 쌍 21과 상기 흡입판 24는 이 칫솔모 필라멘트를 상기 매거진으로 이동시키도록 컨베이어 14와 상기 그리퍼 핑거 쌍 8,9에 의해 형성된 상기 공급이송으로부터 상기 고무밴드를 제거한 상기 칫솔모 필라멘트를 제거 했다. 도 7에서 그리퍼 핑거쌍의 구조는 그리퍼 핑거 8,9에 의해 상세하게 도시된다. 각 사건에서 상기 그리퍼 핑거를 통해 상기 그리퍼 핑거쌍 8또는 9의 상기 인접한 그리퍼 핑거 쪽으로 횡방향으로 돌출된 길이 한계 25는 상기 칫솔모 필라멘트의 양쪽에 각 그리퍼 핑거에 제공된다. 상기 길이한계 25를 지지하는 상기 그리퍼 핑거에 대해서 이전에 할당된 상기 그리퍼 핑거에 변위가능하거나 조정가능하도록 유지되는 상기 길이 한계는 예로 100도의 각인 둔각을 갖는다. 상기 칫솔모 필라멘트의 존재를 신호하는 라이트 배리어 26는 또한 상기 그리퍼 핑거 쌍 8,9의 영역에 제공된다.
상기 그리퍼 핑거 쌍 21과 상기 흡입판 24는 그후에 도 1에서 15에 도시된 대로 상기 칫솔모 필라멘트를 매거진 2로 이동시킨다. 상기 매거진 2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 트랙 27을 가지며 상기 밴드 4가 제거된 칫솔모 필라멘트는 상기 이송 트랙 27에 저장된다. 상기 이송 트랙 27은 서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고 치솔모의 길이 방향으로 방향을 향하게 한 칫솔모 필라멘트를 가이드하는 두 개의 사이드 스트립 28,29로 구성된다.
상기 이송 트랙 27은 상기 이송방향으로 상기 이송트랙 27을 구분하는 상기 사이드 스트립 28,29의 상기 간격이 축소되는 도입 영역 30로 구성된다. 도 11과 13에서 상기 두 사이드 스트립 28,29 사이의 도입 영역에서 상기 그리퍼 핑거쌍 21과 상기 흡입판 24에 잡혀 있는 상기 칫솔모 필라멘트는 이송 트랙 27로 밀어 넣어진다. 상기 사이드 스트립 28,29사이에 위에서 직접 배치하는 것 또한 상기 사이드 스트립 28.29 사이의 간격이 가늘고 긴 모양으로 잡혀 있는 상기 칫솔모 필라멘트의 단면보다 크다면 가능하다.
상기 이송 트랙 27에서 상기 칫솔모 필라멘트는 사이드 스트립 28,29 사이에 횡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푸셔에 의해 잡혀 있고 상기 사이드 스트립 28,29를 따라 변위 가능하다. 도 11과 13에서 상기 사이드 스트립 28은 각 사건에 푸셔 32이 변위 가능한 두 개의 푸셔 덕트 31로 구성되고 상기 사이드 스트립 28에서 변위 가능하고 상기 이송트랙 27에서 대기 위치로 회전가능한 상기 푸셔 32는 상기 칫솔모의 상기 길이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상기 이송 트랙 27은 또한 상기 이송 트랙 27의 상기 사이드 스트립 28,29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고 거기에 저장된 상기 칫솔모 필라멘트를 압착하는 슬라이더 33이 할당된다. 상기 슬라이더 33은 여기서 상기 칫솔모의 상기 길이방향에 서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고 상기 사이드 스트립 28,29에서 슬라이더 덕트 36에서 가이드되는 적어도 두 개의 슬라이더 핑거 34,35로 구성된다. 상기 도입 영역 30에서 상기 슬라이더 덕트 36은 상기 슬라이더 핑거 34,35를 인수 하고 받을 수 있도록 깔때기 모양이 되도록 구성된다.
도 14에서 상기 이송 트랙 27에 위치되어 있는 상기 칫솔모 필라멘트는 거기서 상기 이송 트랙 27의 베이스 플레이트까지 하강 되고 상기 푸셔 32에 대해 밀린다. 여기서 상기 칫솔모 필라멘트의 안전한 보유를 확실히 하기 위해서 상기 푸셔 33은 뒤에서 상기 칫솔모 팩을 품도록 배치된다. 상기 그리퍼 핑거 쌍 21은 상기 두 개의 푸셔 32에 대해 상기 슬라이더 33이 상기 칫솔모 팩을 누르도록 이후에 제거 될 수 있다. 상기 두 푸셔 32는 상기 새로 공급이송된 칫솔모 팩뒤의 대기 위치로 상기 슬라이더 33과 평행하게 다시 회전될 수 있도록 이후에 제거 되고 상기 전체 칫솔모 저장소는 상기 파지 위치에서 상기 푸셔 32에 의해 파지 되어 있다.
상기 그리퍼 핑거 쌍 21과 상기 흡입판 24는 도 15에서 상기 칫솔모 필라멘트의 상기 영역으로부터 제거된다. 도 11과 13부터 15에서 접촉부재 37은 상기 이송 트랙 27에 할당되는 것이 도시된다. 상기 칫솔모의 상기 길이방향에 있는 상기 접촉부재 37은 위쪽과 아래쪽 접촉부재 위치 사이에서 수 밀리미터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칫솔모 필라멘트는 상기 칫솔모 필라멘트의 상기 칫솔모 자유 단부에서 상기 아래쪽 접촉부재 위치에 충돌된다. 상기 이송 트랙 27에 저장된상기 칫솔모 필라멘트를 충돌 시키는 것은 개별 칫솔모 필라멘트가 상기 이송 트랙 27에서 이동되는 동안 위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개별 칫솔모 필라멘트의 이러한 형태의 돌출이 효과적으로 방지되기 위해서, 상기 접촉부재 37이 상기 이송 트랙 27에 저장된 상기 칫솔모 소재의 전체 영역을 걸쳐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되지 않은 상기 트랜스퍼 스테이션 1의 한 실시 예에서, 상기 트랜스퍼 스테이션 1은 적어도 하나의 밴드나 외장에 의해 칫솔모 번들 3으로 잡혀있는 칫솔모 필라멘트를 제공하거나 공급이송하는 것을 위한 컨베이어 벨트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지지 부재가 제공 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지지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파지와 회수 그리퍼, 제거 그리퍼로 구성되는 그리퍼 설치가 할당된다. 적어도 하나의 상기 파지 그리퍼와 회수 그리퍼를 갖는 상기 그리퍼 설치는 그것에 할당된 상기 지지 부재로 제공되거나 공급이송되고 적어도 하나의 밴드 나 외장으로 덮인 칫솔모 다발 3을 획득하고 적어도 상기 외장이나 상기 밴드를 부분적으로 회수하기 위해 지정된다.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거 그리퍼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상기 밴드나 외장이 제거된 상기 칫솔모 번들 3의 번들 부분은 파지 되고 상기 칫솔모 번들 3은 이 방식에서 상기 지지 부재에서 제거되어 앞으로 이송된다. 예로, 상기 칫솔모 번들3의 다음으로의 이송은 상기 매거진 2로, 또는 하향에 배치된 브러시 제조장치로, 특히 이러한 브러시 제조장치의 스터핑 툴로 직접적으로 수행된다.
여기에 도시된 상기 트랜스퍼 스테이션 1은 브러스 제조장치의 상기 스터핑 툴의 상류에 배치된 매거진으로 다발로 공급이송된 칫솔모 필라멘트의 자동화된 이송을 허용한다. 상기 이송은 수동으로 수행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의도되지 않은 운영자의 곤란이나 운영자에게의 부상은 방지된다. 여기서 도시된 상기 트랜스퍼 스테이션 1은 특히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칫솔모 단부에서 생산되고 다뤄지고 표시된 칫솔모 필라멘트와 관련된 작업에 적합하다. 여기서 도시된 상기 트랜스퍼 스테이션 1은 이 방식에서 화학적으로 또는 기계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칫솔모 단부에 테이퍼진 칫솔모 필라멘트에 쓰이는게 바람직하다. 이러한 칫솔모 필라멘트는 한 쪽이 화학적으로 테이퍼진 단부나 양쪽이 화학적으로 테이퍼진 단부, 또는 한 쪽이나 양쪽의 기계적으로 테이퍼진 칫솔모 단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트랜스퍼 스테이션은 접합되었거나 사전에 둥글게된 칫솔모 단부를 갖는 이러한 칫솔모 필라멘트와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트랜스퍼 스테이션 1은 적어도 하나의 칫솔모 단부가 마커에 의해 색깔이 입혀진 칫솔모 필라멘트에 사용될 수 있다.
1. 트랜스퍼 스테이션
2. 매거진
3. 칫솔모 번들
4. 고무 밴드
5. 스터핑 툴
6. 칫솔모 몸체
7. 포지셔닝 장치
8. 그리퍼 핑거 쌍
9. 그리퍼 핑거 쌍
10. 그리퍼 핑거 (그리퍼 핑거쌍 8의)
11. 그리퍼 핑거 (그리퍼 핑거쌍 8의)
12. 그리퍼 핑거 (그리퍼 핑거쌍 9의)
13. 그리퍼 핑거 (그리퍼 핑거쌍 9의)
14. 컨베이어 벨트
15. 칫솔모 번들 스토퍼
16. 칫솔모 번들 스토퍼
17. 밴드 오프너
18. 밴드 그리퍼
19. 필라멘트 이동 소자
20. 커버 플레이트
21. 그리퍼 핑거 쌍
22. 그리퍼 핑거 (그리퍼 핑거 쌍 21의)
23. 그리퍼 핑거 (그리퍼 핑거 쌍 21의)
24. 흡입 판
25. 길이한계 (그리퍼 핑거 에서)
26. 라이트 배리어
27. 이송 트랙
28. 사이드 스트립
29. 사이드 스트립
30. 도입 영역
31. 푸셔 덕트
32. 푸셔
33. 슬라이더
34. 슬라이더 핑거
35. 슬라이더 핑거
36. 슬라이더 덕트
37. 접촉부재

Claims (26)

  1. 칫솔모 번들(3)로 공급이송가능한 칫솔모 필라멘트를 이송하기 위한 트랜스퍼 스테이션(1)이고, 상기 칫솔모 번들(3)은 칫솔모 필라멘트들을 적어도 하나의 밴드(4)를 통하여 매거진(2)에 수집하고, 상기 칫솔모 필라멘트들을 상기 매거진(2)에 저장되는 트랜스퍼 스테이션(1)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퍼 스테이션(1)은 상기 번들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적어도 2쌍(8, 9)의 그리퍼 핑거(10,11; 12,13)을 가지고, 상기 그리퍼 핑거 쌍(8,9)의 그리퍼 핑거(10,11; 12,13)는 상기 그리퍼 핑거 (10,11; 12,13)의 간격이 축소되는 방식으로 다른 하나에 대해 이동가능하고, 상기 그리퍼 핑거 쌍(8,9)은 칫솔모 번들(3)의 적어도 하나의 밴드(4)가 인접하는 그리퍼 핑거 쌍(8,9)과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칫솔모 번들(3)을 파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퍼 스테이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퍼 스테이션(1)은 상기 그리퍼 핑거 쌍(8,9)에 의해 획득되는 칫솔모 번들(3)의 적어도 하나의 밴드(4)를 개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밴드 오프너(17)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트랜스퍼 스테이션.
  3. 제1항 또는 제2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밴드 오프너(17)가 나이프, 가위, 또는 플라이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퍼 스테이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밴드오프너(17)는 상기 밴드 오프너(17)에 의해 개봉될 밴드(4)를 획득하는 밴드 그리퍼(18)가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트랜스퍼 스테이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밴드 오프너(17)는 상기 밴드 오프너(17)에 의해 개봉된 상기 밴드(4)를 흡입하고 흡입류에 의해 상기 밴드(4)를 이송하는 흡입 설비가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트랜스퍼 스테이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그리퍼(18) 또는 상기 흡입 설비는 상기 오프너(17)과는 다른 방향으로 향하고 있는 칫솔모 번들(3)의 한쪽 측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트랜스퍼 스테이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그리퍼 핑거 쌍(8,9)의 영역의 칫솔모 번들(3)은 하나의 번들 단부를 지지 부재 상에 가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트랜스퍼 스테이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컨베이어 벨트(14)로 구성되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14)는 상기 칫솔모 번들(3)을 상기 그리퍼 핑거 쌍(8,9)으로 공급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트랜스퍼 스테이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에서 방향이 빗나간 단부의 지지 부재에 위치하는 칫솔모 번들(3) 및 칫솔모 필라멘트들은 흡입판(24)에 의해 획득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퍼 스테이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판(24)은 흡입 블로워의 흡입류에 의해 살포가능한 더치-직조 원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트랜스퍼 스테이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컨베이어 벨트(14)로 구성된 상기 지지 부재 상의 칫솔모 번들(3)은 서로 간격을 두도록 유지되고, 대기 위치와 컨베이어 벨트(14)의 이송 경로안으로 돌출되는 고정 위치 사이를 위치이동하거나 피봇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칫솔모 번들 스토퍼(15, 16)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퍼 스테이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모 필라멘트를 넘겨 받는 추가 그리퍼 핑거 쌍(21)이 번들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그리퍼 핑거 쌍(8,9) 사이에 배치된 중간 공간으로 진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퍼 스테이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그리퍼 핑거 쌍(8,9,21) 중 적어도 하나의 그리퍼 핑거(10,11; 12,13; 22,23)가 상기 그리퍼 핑거 사이에 상기 그리퍼 핑거 쌍의 상기 인접한 그리퍼 핑거에 횡방향이 되도록 돌출한 적어도 하나의 길이 한계(2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퍼 스테이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길이 한계(25)는 상기 그리퍼 핑거(10,11; 12,13; 22,23)에서 조정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퍼 스테이션.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매거진(2)은 적어도 하나의 이송 트랙(27)을 가지고, 이 이송 트랙(27)에서는 수직 방향으로 향하는 상기 칫솔모 필라멘트가 두개의 사이드 스트립(28,29)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퍼 스테이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송트랙(27)이 상기 이송트랙(27)을 구분하는 상기 사이드 스트립(28,29)의 간격이 이송 방향으로 축소되는 도입 영역(30)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퍼 스테이션.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트랙(27)에 위치한 상기 칫솔모 필라멘트가 사이드 스트립(28,29) 사이에 횡방향으로 돌출하고 이 사이드 스트립(28,29)를 따라 변위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푸셔에 의해 파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퍼 스테이션.
  18. 제17항에 있어서, 한방향으로 돌출한 푸셔(32)가 각 사이드 스트립(28,29)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퍼 스테이션.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각 이송 트랙(27)은 이 이송 트랙(27)의 상기 사이드 스트립(28,29) 사이를 변위 가능한 슬라이더(33)가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퍼 스테이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더(33)는 적어도 두개의 슬라이더 핑거(34,35)를 가지고, 상기 슬라이더 핑거(34,35)가 상기 칫솔모 필라멘트를 보유하고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도록 배치 가능하게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퍼 스테이션.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하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퍼 스테이션(1)은 브러시 제조장치의 스터핑 툴의 상류에 오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퍼 스테이션.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하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모 필라멘트는 적어도 한 칫솔모 단부에서 가공되고 처리되거나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퍼 스테이션.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하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모 필라멘트는 적어도 한 칫솔모 단부에서 화학적 또는 기계적으로 테이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트랜스퍼 스테이션
  24.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하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모 필라멘트는 적어도 한 칫솔모 단부에서 접합되거나 사전에 둥글게 된 칫솔모 단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퍼 스테이션.
  25.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하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모 필라멘트는 적어도 하나의 칫솔모 단부에 마커에 의해 채색된 칫솔모 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퍼 스테이션.
  26.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하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퍼 스테이션(1)은 적어도 하나의 지지 부재를 가지고, 상기 지지 부재는 칫솔모 필라멘트를 제공하거나 및/또는 공급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 벨트로서 구성되고, 상기 칫솔모 필라멘트는 적어도 하나의 밴드나 외장에 의해 함께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및 회수 그리퍼와 적어도 하나의 제거 그리퍼를 가지며, 상기 그리퍼 들은 치솔모 번들(3)을 획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 및 회수 그리퍼로 지정되며, 상기 그리퍼들은 밴드 및/또는 외장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회수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지지 부재 및/또는 공급이송되는 칫솔모 번들(3) 상에 구비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거 그리퍼는 적어도 하나의 밴드 및/또는 외장에서 풀리는 번들부를 얻기 위하여 그리고 상기 칫솔모 번들(3)을 제거하여 전방으로, 특히 하나 또는 매거진(2)에 및/또는 하류측에 배치된 칫솔 제조장치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특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퍼 스테이션.
KR1020167002017A 2013-07-24 2014-07-03 칫솔모 필라멘트를 이송하는 트랜스퍼 스테이션 KR1024244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3012260 2013-07-24
DE102013012260.0 2013-07-24
PCT/EP2014/001829 WO2015010767A1 (de) 2013-07-24 2014-07-03 Übergabestation zur übergabe von borstenfilament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4916A true KR20160034916A (ko) 2016-03-30
KR102424499B1 KR102424499B1 (ko) 2022-07-22

Family

ID=51177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2017A KR102424499B1 (ko) 2013-07-24 2014-07-03 칫솔모 필라멘트를 이송하는 트랜스퍼 스테이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213014B2 (ko)
EP (1) EP3024355B1 (ko)
JP (1) JP6366710B2 (ko)
KR (1) KR102424499B1 (ko)
CN (1) CN105392391B (ko)
DE (1) DE102014109320A1 (ko)
TW (1) TWI657770B (ko)
WO (1) WO201501076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91663A (zh) * 2017-01-24 2019-08-30 宝洁公司 用于制刷机的簇绒拣选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109706B4 (de) 2014-07-15 2019-05-23 Zahoransky Ag Trägerplättchen und Bürste, insbesondere Zahnbürste mit Trägerplättchen
DE102014010630B3 (de) * 2014-07-15 2015-09-24 Zahoransky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orstenfeldern, Trägerplättchen, Bürste, insbesondere Zahnbürste, sowie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Borstenfeldern
US10646031B2 (en) * 2016-04-08 2020-05-12 M+C Schiffer Gmbh Feeding device for feeding batches of bristle filaments to a bristle filament cassette
EP3351142B1 (en) 2017-01-24 2019-10-16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Tuft picker for a brush making machine
DE102017114898A1 (de) * 2017-07-04 2019-01-10 Zahoransky Ag Bündelentnahmevorrichtung und Bürstenherstellungsmaschine
DE102019104341A1 (de) * 2019-02-20 2020-08-20 Gb Boucherie Nv Verfahren zum Befüllen eines Faserkastens und Bündelvereinzelner
CN111226571A (zh) * 2020-04-07 2020-06-05 石河子大学 一种芦苇除杂及定量喂入装置
DE202020104713U1 (de) * 2020-08-13 2020-11-19 Gb Boucherie Nv Borstentransportverpackung, Borstentransporteinheit sowie Beborstungsmaschin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10481A (en) * 1983-11-29 1986-09-09 Anton Zahoransky Apparatus for replenishing the supplies of bristles in the magazines of brush making machines
US4688857A (en) * 1984-11-08 1987-08-25 Firma G.B. Boucherie Automatic feeding arrangement for fibre magazine and/or fibre cassattes of brush-making machines
US4935640A (en) * 1988-03-02 1990-06-19 Firma G.B. Boucherie Operating procedure for the supply of fibres to brush manufacturing machines and a construction which applies this procedure
DE19745024A1 (de) * 1997-10-11 1999-04-15 Zahoransky Anton Gmbh & Co Bürstenherstellungsmaschine
JP2002186521A (ja) * 2000-12-21 2002-07-02 Lion Corp 歯ブラシ
JP2004154163A (ja) * 2002-11-01 2004-06-03 Lion Corp テーパー用毛
JP2011224229A (ja) * 2010-04-22 2011-11-10 Tomoyuki Okuda 吸着カッター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67719A (en) * 1966-06-27 1968-02-06 Carlson Tool & Machine Co Bristle magazine for brushmaking machine
US3747983A (en) * 1971-10-12 1973-07-24 South Shore Machine Co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brushes and the like
JPS59156339A (ja) * 1983-02-28 1984-09-05 ライオン株式会社 用毛自動供給装置
JPH0529427U (ja) * 1991-07-10 1993-04-20 花王株式会社 棒状物品の取扱装置
BE1010061A6 (nl) * 1996-03-13 1997-12-02 Boucherie Nv G B Automatische vulinrichting voor vezelmagazijnen en/of vezelcassetten van borstelvervaardigingsmachines.
DE19932377A1 (de) * 1999-07-13 2001-02-08 Coronet Werk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Bürsten sowie danach hergestellteBürsten
DE10160220B4 (de) * 2001-12-07 2010-12-30 Anton Zahoransky Gmbh & Co. Bürstenherstellungsmaschine
KR100840781B1 (ko) 2007-05-28 2008-06-23 (주)아모레퍼시픽 마스카라용 심부재 삽입형 브러쉬의 제조방법 및 그브러쉬를 제조하기 위한 트랜스퍼 금형
DE102007047066B4 (de) * 2007-10-01 2016-08-11 Zahoransky Ag Bürstenherstellungsmaschine
JP2010027153A (ja) * 2008-07-22 2010-02-04 Hitachi Ltd テープライブラリ装置における吸引力を用いた媒体搬送方式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10481A (en) * 1983-11-29 1986-09-09 Anton Zahoransky Apparatus for replenishing the supplies of bristles in the magazines of brush making machines
US4688857A (en) * 1984-11-08 1987-08-25 Firma G.B. Boucherie Automatic feeding arrangement for fibre magazine and/or fibre cassattes of brush-making machines
US4935640A (en) * 1988-03-02 1990-06-19 Firma G.B. Boucherie Operating procedure for the supply of fibres to brush manufacturing machines and a construction which applies this procedure
DE19745024A1 (de) * 1997-10-11 1999-04-15 Zahoransky Anton Gmbh & Co Bürstenherstellungsmaschine
JP2002186521A (ja) * 2000-12-21 2002-07-02 Lion Corp 歯ブラシ
JP2004154163A (ja) * 2002-11-01 2004-06-03 Lion Corp テーパー用毛
JP2011224229A (ja) * 2010-04-22 2011-11-10 Tomoyuki Okuda 吸着カッタ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91663A (zh) * 2017-01-24 2019-08-30 宝洁公司 用于制刷机的簇绒拣选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525400A (ja) 2016-08-25
TW201511710A (zh) 2015-04-01
CN105392391A (zh) 2016-03-09
US20160157599A1 (en) 2016-06-09
WO2015010767A1 (de) 2015-01-29
KR102424499B1 (ko) 2022-07-22
EP3024355B1 (de) 2019-12-11
CN105392391B (zh) 2017-04-05
US10213014B2 (en) 2019-02-26
TWI657770B (zh) 2019-05-01
EP3024355A1 (de) 2016-06-01
JP6366710B2 (ja) 2018-08-01
DE102014109320A1 (de) 2015-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34916A (ko) 칫솔모 필라멘트를 이송하는 트랜스퍼 스테이션
JP6118597B2 (ja) 電線端処理装置
EP0129864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freihen von auf Füllautomaten hergestellten Einzelwürsten auf Rauch- oder Kochstäbe
US7257934B2 (en) Banding machine
CA2964722C (en) Wire bundle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US9440369B2 (en) Device to remove binding materials from packaged bulk goods
EP0240289A2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removing tying band
JPH0664949B2 (ja) ハーネス製造装置
CN102447210A (zh) 具有存放装置的线缆加工装置
JP2007522042A6 (ja) バンディング機械
US20110008143A1 (en) Feeding device and method for bars
EP3261202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wire bundles
ES2657690T3 (es) Dispositivo para crear y confeccionar posteriormente un segmento de cable en su extremo anterior y posterior
ES2274156T3 (es)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la produccion mecanica de arrollamiento de cable sin bobina.
US6553745B2 (en) Harness accommodating device
CN104379227B (zh) 拉链组装装置
US20200076146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necting a cable to an electrical connector
JP6671153B2 (ja) ワイヤ個分けデバイスを有するワイヤ移送システム
KR102143659B1 (ko) 강모 다발 공급장치
CZ2007178A3 (cs) Zpusob a zarízení k zavádení konce príze do sprádací trysky tryskového doprádacího stroje
EP0673091A2 (fr) Dispositif et procédé pour fabriquer automatiquement des faisceaux arborescents de fils
JPH0621314U (ja) シールド線切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