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4468A - 표시모듈 조립용 압착패드 및 표시모듈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모듈 조립용 압착패드 및 표시모듈 조립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34468A KR20160034468A KR1020140124848A KR20140124848A KR20160034468A KR 20160034468 A KR20160034468 A KR 20160034468A KR 1020140124848 A KR1020140124848 A KR 1020140124848A KR 20140124848 A KR20140124848 A KR 20140124848A KR 20160034468 A KR20160034468 A KR 2016003446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essing
- display panel
- flexible display
- pressure
- window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플렉서블 표시패널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을 윈도우 부재에 부착시키기 위해서 표시모듈 조립용 압착패드가 필요하다. 압착패드는 표시패널의 표시영역에 제1 압력을 인가하는 제1 압착부, 제1압력보다 작은 제2 압력을 인가하는 제2 압착부, 및 지지부를 포함한다. 제2 압착부는 평면 상에서 제1 압착부에 인접하여 있으며, 제2 압착부의 높이는 제1 압착부의 높이에 비해 작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표시모듈 조립용 압착패드 및 표시모듈 조립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부분이 벤딩(bending)된 표시모듈의 조립용 압착패드 및 표시모듈의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등에 사용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플렉서블 표시장치들은 영상이 표시 되는 액티브(Active) 영역(또는 표시영역)과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인액티브(Inactive) 영역(또는 패드영역)으로 구분되는 표시모듈을 포함한다. 표시모듈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윈도우 부재와 플렉서블 기판을 압력을 가하여 부착시키는 공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모듈 조립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량인 패드영역의 크랙(Crack)을 줄일 수 있는 표시모듈 조립용 압착패드 및 표시모듈 조립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 조립장치는 윈도우 부재, 플렉서블 표시패널, 및 압착패드를 포함한다.
윈도우 부재는 직교하는 제1 방향과 제2 방향이 정의하는 전면을 구비한 제1 부분, 제1 부분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경계선을 기준으로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플렉서블 표시패널을 향하여 벤딩(bending)된 제2 부분, 및 제1 부분으로부터 제1 경계선과 평행한 제2 경계선을 기준으로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플렉서블 표시패널을 향하여 벤딩(bending)된 제3 부분을 포함한다.
플렉서블 표시패널은 윈도우 부재의 제1 부분에 부착되는 메인 표시부, 윈도우 부재의 제2 부분에 부착되는 제1 측면 표시부, 및 윈도우 부재의 제3 부분에 부착되는 제2 측면 표시부를 포함한다.
압착패드는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표시영역에 제1 압력을 인가하는 제1 압착부, 평면 상에서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표시영역에 인접한 플렉서블 패널의 패드영역에 제1 압력보다 작은 제2 압력을 인가하는 제2 압착부, 및 제1 압착부와 제2 압착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압착패드에서 제2 압착부의 높이는 제1 압착부의 높이보다 작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패드는 제2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 상에서 제1 압착부의 압착면은 볼록한 곡선을 포함하고 있으며, 제1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상에서 제1 압착부의 압착면은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메인 표시부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직선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패드는 제2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 상에서 제1 압착부의 압착면은 볼록한 곡선을 포함하고 있으며, 제1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상에서 보면 제1 압착부의 압착면은 볼록한 곡선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패드는 제2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 상에서 제1 압착부의 압착면은 윈도우 부재의 제1 부분에 대응하는 직선부, 윈도우 부재의 제2 부분에 대응하는 제1 곡선부, 및 윈도우 부재의 제3 부분에 대응하는 제2 곡선부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제1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 상에서 제1 압착부의 압착면은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메인 표시부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직선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패드는 제1 압착부와 제2 압착부는 제1 방향 상에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패드는 제2 압착부의 높이가 제1 방향 상에서 제1 압착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아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 조립방법은 표시모듈 조립용 압착패드 상에 표시영역과 패드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패널과, 직교하는 제1 방향과 제2 방향이 정의하는 전면을 구비한 제1 부분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경계선을 기준으로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플렉서블 표시패널을 향하여 벤딩(bending)된 제2 부분 및 제1 경계선과 평행하는 제2 경계선을 기준으로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플렉서블 표시패널을 향하여 벤딩(bending)된 제3 부분을 포함하는 윈도우 부재를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중심점과 윈도우 부재의 제1 부분의 중심점이 일치하도록 정렬하는 단계 및 플렉서블 표시패널이 윈도우 부재에 부착되도록 압착패드가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표시영역에 제1 압력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 조립방법은 표시모듈 조립용 압착패드 상에 표시영역과 패드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패널과, 직교하는 제1 방향과 제2 방향이 정의하는 전면을 구비한 제1 부분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경계선을 기준으로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플렉서블 표시패널을 향하여 벤딩(bending)된 제2 부분 및 제1 경계선과 평행하는 제2 경계선을 기준으로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플렉서블 표시패널을 향하여 벤딩(bending)된 제3 부분을 포함하는 윈도우 부재를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중심점과 윈도우 부재의 제1 부분의 중심점이 일치하도록 정렬하는 단계, 플렉서블 표시패널이 윈도우 부재에 부착되도록 압착패드가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표시영역에 제1 압력을 인가하는 단계, 및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패드영역에 제1 압력 보다 작은 제2 압력을 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패드영역에 가해지는 압력은 존재하지 않거나, 표시영역에 가해지는 압력보다 더 작다. 이에 따라 패드영역에 큰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발생하는 크랙(Crack)에 의한 표시패널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 및 압착패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c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 및 압착패드의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패드를 도시하였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 조립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렬단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c 및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압력 인가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 조립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압력 인가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 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패드의 사시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패드의 사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패드를 도시하였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패드를 도시하였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c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 및 압착패드의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패드를 도시하였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 조립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렬단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c 및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압력 인가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 조립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압력 인가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 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패드의 사시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패드의 사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패드를 도시하였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패드를 도시하였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영역, 부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영역, 부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100) 및 압착패드(PP)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100)의 윈도우 부재(120)이다. 도 1c 및 도 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100)의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100) 및 압착패드(PP)의 사시도이다.
도 1a 내지 1c 및 도 2에는 휴전 전화의 일부를 구성하는 표시모듈(100) 및 이를 조립하기 위해 사용되는 압착패드(PP)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모듈(10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모듈(100)은 텔레비전 또는 외부 광고판 같은 대형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비롯하여, 퍼스널 컴퓨터용 모니터, 노트북 컴퓨터용 표시장치, 개인 디지털 단말기, 자동차 네비게이션 유닛, 게임기, 휴대용 전자기기,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 카메라와 같은 중소형 플렉서블 표시장치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이것들은 단지 실시예로서 제시된 것들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서 벗어나지 않은 이상 다른 전자 기기에도 채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표시모듈(100)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압착패드(PP)의 형상 및 크기는 변경될 수 있다.
도 1a 내지 1c,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모듈(100)은 플렉서블 표시패널(110), 및 윈도우 부재(120)를 포함한다. 또한, 표시모듈(100)은 플렉서블 표시패널(110)과 윈도우 부재(120)를 결합하는 접착부재(AL)를 포함한다. 조립공정 이전에 접착부재(AL)는 플렉서블 표시패널(110)과 윈도우 부재(120) 중 어느 하나에 접착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윈도우 부재(120)는 제1 부분(121) 내지 제3 부분(123)을 포함한다. 제1 부분(121)은 직교하는 제1 방향(DR1)과 제2 방향(DR2)이 정의하는 전면을 구비한다. 제2 부분(122)은 제1 부분(121)으로부터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제1 경계선(BL1)을 기준으로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고,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을 향하여 제3 방향(DR3)으로 벤딩(bending)된다. 제3 부분(123)은 제1 부분(121)으로부터 제1 경계선(BL1)과 평행한 제2 경계선(BL2)을 기준으로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고,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을 향하여 제3 방향(DR3)으로 벤딩(bending)된다.
제1 부분(121)은 직사각형 모양을 하고 있으며, 제1 방향(DR1)으로 측정한 길이는 제2 방향(DR2)으로 측정한 길이보다 크다. 하지만, 제1 부분(121)의 형상 및 길이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부분(122)과 제3 부분(123)의 그 연장된 길이는 서로 같다. 제2 부분과(122) 제3 부분(123)의 그 연장된 길이는 제1 부분(121)을 제2 방향(DR2)으로 측정한 길이에 비해 작다. 하지만, 제2 부분(122) 및 제3 부분(123)의 길이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윈도우 부재(120)는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이 부착될 때 그 형상을 결정하는 성형용 틀 역할을 한다. 윈도우 부재(120)의 모양을 따라서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이 압착패드(PP)에 의해 압력을 인가 받아 부착되는 것이다.
윈도우 부재(120)는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의 전면(Front surface)를 덮어 플렉서블 표시패널(110)를 보호한다. 윈도우 부재(120)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a 및 1c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은 표시부(111), 편광부(112), 및 터치패널부(113)를 포함한다.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이 포함하고 있는 구성부는 단지 실시예로서 제시된 것들로서, 이중 일부를 제외하거나 다른 구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은 표시패널은 윈도우 부재(120)의 제1 부분(121)에 부착되는 메인 표시부(MD), 제2 부분(122)에 부착되는 제1 측면 표시부(SD1), 및 제3 부분(123)에 부착되는 제2 측면 표시부(SD2)를 포함한다.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은 구부러지거나 휘어질 수 있으며, 복원력이 높은 재료를 포함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은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폴리에스테르설폰(PES) 중 어느 하나를 포함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은 윈도우 부재(120)에 접착 되기 전에 제1 방향(DR1)의 중심선(CL)을 기준으로 윈도우 부재(120)를 향해 미리 벤딩(bending)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c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부(111)는 표시영역(AA)과 패드영역(PA)을 포함한다. 표시영역(AA)은 화소(미도시)들이 형성되어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이다. 패드영역(PA)은 게이트 드라이브 IC와 게이트 라인을 접속시키기 위한 게이트 패드부 및 데이터 드라이브 IC와 데이터 라인을 접속시키기 위한 데이터 패드부를 포함하는 영역이다.
편광부(112)는 표시영역(AA)에서 외부광 반사에 의한 시인성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편광필름과 플레이트(미도시)를 포함한다. 플레이트(미도시)는 외부로부터 입사된 빛이 반사되어 다시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하여 표시 품질이 향상되도록 한다. 편광부(112)는 적어도 표시영역(AA)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터치패널부(113)을 구현하는 방식으로는 저항막 방식, 광감지 방식 및 정전용량 방식 등이 알려져 있다. 정전용량 방식의 패널은 사람의 손 또는 물체가 접촉될 때 도전성 감지패턴이 주변의 다른 감지패턴 또는 접지전극 등과 형성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접촉위치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터치 패널부(113)은, 폴리이미드 등으로 구현되는 투명기재(미도시)와, 투명기재의 한쪽 면에 형성된 센싱패턴들(미도시)과, 센싱패턴들을 외부의 구동회로(미도시)와 연결하기 위한 센싱라인들(미도시)을 포함한다.
접착부재(AL)는 윈도우 부재(120)와 터치패널부(113)을 접착하기 위해 윈도우 부재(120)와 터치패널부(113) 사이에 존재한다. 접착부재(AL)는 OCA(optically clear adhesive) 필름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접착부재(AL)는 코팅된 액상의 접착물질이 경화되어 형성된 접착층으로 대체될 수 있다.
압착패드(PP)는 플렉서블 표시패널(110)과 윈도우 부재(120)를 압착하여 표시모듈(100)을 조립한다. 압착패드(PP)는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의 표시영역(AA)에 압력을 인가하는 제1 압착부(PP1), 패드영역(PA)에 압력을 인가하는 제2 압착부, 및 이들을 지지하는 지지부(SP)를 포함한다. 이하 압착패드(PP)의 형상을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패드(PP)를 도시하였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패드(PP)의 사시도이고,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패드(PP)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압착패드(PP)의 구조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압착패드(PP)는 제1 압착부(PP1), 제2 압착부(PP2), 지지부(SP)를 포함한다.
지지부(SP)는 지지면(SP10) 상에서 제1 압착부(PP1)와 제2 압착부(PP2)를 나란히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SP)는 제1 압착부(PP1) 및 제2 압착부(PP2)와 일체형으로 되어 제1 압착부(PP1) 및 제2 압착부(PP2)를 지지한다. 또한, 지지부(SP)는 지지면(SP10)을 기준으로 제1 압착부(PP1) 및 제2 압착부(PP2)와 분리되어 제1 압착부(PP1) 및 제2 압착부(PP2)를 지지할 수 있다.
제1 압착부(PP1)에서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에 직접 닿아 제1 압력을 인가하는 표면은 제1 압착면(PP10)이고, 제2 압착부(PP2)에서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에 직접 닿아 제2 압력을 인가하는 표면은 제2 압착면(PP20)이다.
제1 압착부(PP1)는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의 표시영역(AA)에 제1 압력을 가하고, 제2 압착부(PP2)는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의 패드영역(PA)에 제1 압력보다 작은 제2 압력을 가한다. 제1 압력은 플렉서블 표시패널(110)과 제1 압착부(PP1)가 최초 만나는 지점을 기준으로 측정된 값이고, 제2 압력은 플렉서블 표시패널(110)과 제2 압착부(PP2)가 최초 만나는 지점을 기준으로 측정된 값이다. 제2 압력은 그 값이 0일수도 있다.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압착면(PP10)은 제2 방향(DR2)으로 절단한 단면 상에서 제1 곡선(PP100)을 포함하고 있다. 제1 곡선(PP100)은 제1 압착면(PP10)에 전체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고, 일부분에만 존재할 수도 있다. 제1 곡선(PP100)의 곡률은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이 벤딩(bending)되어 있는 곡률보다 더 크거나 같다. 하지만, 제1 압착면(PP10)의 모양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압착면(PP20)은 제2 방향(DR2)으로 절단한 단면 상에서 제2 곡선(PP200)을 포함하고 있다. 제2 곡선(PP200)은 제2 압착면(PP20)에 전체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고, 일부분에만 존재할 수도 있다. 하지만, 제2 압착면(PP20)의 모양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압착면(PP10)은 제1 방향(DR1)으로 절단한 단면 상에서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의 메인 표시부(MD)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직선을 포함한다.
제2 압착면(PP20)은 제1 방향(DR1)으로 절단한 단면의 모양은 제1 압착부(PP1)를 제1 방향(DR1)으로 절단한 단면의 모양과 같다. 하지만, 제2 압착부(PP2)의 모양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지면(SP10)로부터 제3 방향(DR3)으로 측정한 제1 압착부(PP1)의 높이와 제2 압착부(PP2)의 높이의 차를 압착부의 높이 차(HH)라 한다. 압착부의 높이 차(HH)가 1mm보다 큰 경우에는 제2 압착부(PP2)가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의 패드영역(PA)에 압력을 인가하지 못한다. 압착부의 높이 차(HH)가 50um 내지 1mm인 경우에는 제2 압력이 0보다 크고 제1 압력보다 작다. 압착부의 높이 차(HH)가 50um보다 더 작은 경우에는 그 값이 너무 작아 제1 압력과 제2 압력이 차이가 없게 된다. 하지만, 압착부의 높이 차(HH)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압착부(PP1)와 제2 압착부(PP2)는 압착과정에서 압력이 가해질 때 모양이 유동성 있게 변하게 된다. 제1 압착부(PP1)와 제2 압착부(PP2)는 실리콘을 포함하며, 실리콘 외에 제1 압착부(PP1)와 제2 압착부(PP2)를 유동성 있게 하는 재료를 포함 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100)의 조립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b는 압착패드(PP), 플렉서블 표시패널(110), 및 윈도우 부재(120)를 일렬로 정렬하는 단계(S1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c 및 도 4d는 압착패드(PP)의 제1 압착부(PP1)가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의 표시영역(AA)에 제1 압력을 인가하는 단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여 표시모듈(100)의 조립방법을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것과 같이, 윈도우 부재(120), 플렉서블 표시패널(110), 및 압착패드(PP)를 정렬한다(S10). 윈도우 부재(120)의 중심점(CP1, 이하 제1 중심점),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의 중심점(CP2, 이하 제2 중심점), 및 압착패드(PP)의 제3 중심점(CP3)을 추가 정렬한다.
제1 중심점(CP1)은 윈도우 부재(120)의 제1 부분(121)에 정의된다. 제1 중심점(CP1)은 제1 부분(121)의 꼭지점을 잇는 두 대각선의 교차점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중심점(CP2)은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의 꼭지점을 잇는 두 대각선의 교차점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3 중심점(CP3)은 압착패드(PP) 지지부(SP)의 지지면(SP10)에 정의된다. 제3 중심점(CP3)은 지지면(SP10)의 꼭지점을 잇는 두 대각선의 교차점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중심점(CP1) 내지 제3 중심점(CP3)을 제3 방향(DR3)의 기준선(CPL)에 맞춰 윈도우 부재(120), 플렉서블 표시패널(110), 및 압착패드(PP)를 정렬한다. 하지만, 윈도우 부재(120)와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을 정렬하는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b는 접착부재(AL)가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에 먼저 결합된 상태로 윈도우 부재(120), 플렉서블 표시패널(110), 및 압착패드(PP)를 정렬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하지만, 접착부재(AL)의 결합 상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접착부재(AL)가 윈도우 부재(120)에 먼저 결합된 상태로 윈도우 부재(120), 플렉서블 표시패널(110), 및 압착패드(PP1)을 정렬할 수 있다.
도 4a, 도 4c, 및 도 4d 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압착패드(PP)의 제1 압착부(PP1)를 이용하여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의 표시영역(AA)에 제1 압력을 인가한다(S20). 압착패드(PP)가 제3 방향(DR3)으로 상승하여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을 지지한다. 압착패드(PP)가 제3 방향(DR3)으로 상승함에 따라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이 윈도우 부재(120)에 접촉한다. 압착패드(PP)가 제3 방향(DR3)으로 더 상승함에 따라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은 윈도우 부재(120)에 부착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압착패드(PP)가 압력을 인가할 때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의 메인 표시부(MD)가 윈도우 부재(120)에 선접촉 시작하고, 압착패드(PP)가 인가하는 압력이 커짐에 따라 면접촉으로 바뀌면서 부착된다.
또한, 압착패드(PP)가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에 제1 압력을 인가하는 방법은 윈도우 부재(120)가 제3 방향(DR3)에서 압착패드(PP) 방향으로 움직이는 방법 및 윈도우 부재(120)와 압착패드(PP)가 제3 방향(DR3)에서 서로 가까워 지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방법을 포함한다.
압착부의 높이 차(HH)는 1mm이상 이어서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의 패드영역(PA)에 압력이 인가되지 않는다. 하지만, 높이의 차(HH)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압착패드(PP)가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의 패드영역(PA)에 압력을 인가하지 않음에 따라, 플렉서블 표시패널(110)과 윈도우 부재(120)의 부착과정에서 발생하는 패드영역(PA)의 크랙(Crack)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압력의 최대값은 0.1MPa 내지 1MPa 이다. 제1 압력의 최대값이 0.1MPa보다 작은 경우 윈도우 부재(120)와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의 벤딩(bending)되는 부분에 기포가 생기는 불량이 발생한다. 제1 압력의 최대값이 1MPa보다 큰 경우에는 윈도우 부재(120)가 깨지는 불량이 발생한다. 하지만, 제1 압력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100)의 조립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b는 압착패드(PP)의 제2 압착부(PP2)가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의 패드영역(PA)에 제2 압력을 인가하는 단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도 5a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표시모듈(100)의 조립방법을 설명한다.
윈도우 부재(120), 플렉서블 표시패널(110), 및 압착패드(PP)를 정렬하는단계(S10)와 압착패드(PP)의 제1 압착부(PP1)를 이용하여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의 표시영역(AA)에 제1 압력을 인가하는 단계(S20)는 도 4a 내지 도4d를 참조하여 설명한 조립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패드영역(PA)에 제2 압력을 인가하는 방법으로는 표시영역(AA)에 인가되는 제1 압력을 점점 키워서 제1 압착부(PP1)를 지지면(SP10)으로부터 제3 방향(DR3)으로 측정한 길이가 작아지게 만든다. 이에 따라, 제2 압착부(PP2)의 제2 압착면(PP20)이 패드영역(PA)에 접촉하면서 패드영역(PA)에 제2 압력을 인가한다(S30).
패드영역(PA)에 제2 압력을 인가하기 위해서는, 압착부의 높이 차(HH)가 50um 내지 1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압착부의 높이 차(HH)가 50um보다 더 작은 경우에는 그 값이 너무 작아 제1 압력과 제2 압력이 차이가 없게 된다. 하지만, 높이의 차(HH)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패드영역(PA)에 가해지는 제2 압력은 표시영역(AA)에 가해지는 제1 압력보다 작다. 따라서, 플렉서블 표시패널(110)과 윈도우 부재(120)의 부착과정에서 발생하는 패드영역(PA)의 크랙(Crack)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패드(PP-1 내지 PP-4)의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c에 도시된 압착패드(PP-1 내지 PP-4)들은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압착패드(PP)와 제1 압착부(PP1-1 내지 PP1-4)와 제2 압착부(PP2-1 내지 PP2-4)의 형상이 다르다. 그러나, 도 6 내지 도 9c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패드(PP-1 내지 PP-4)는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여 설명한 조립방법 및 도 5a 내지 도 5b 를 참조하여 설명한 조립방법으로 표시모듈(100)을 조립할 수 있다. 이하 제1 압착부(PP1-1 내지 PP1-4)와 제2 압착부(PP2-1 내지 PP2-4)의 형상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패드(PP-1 내지 PP-4)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100)의 조립용 압착패드(PP-1)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압착패드(PP-1)에서 제1 압착부(PP1-1)와 제2 압착부(PP2-1)는 제1 방향(DR1) 상에서 일정한 거리(SD)를 두고 이격되어 있다. 일정한 거리(SD)를 둠에 따라, 압착패드(PP-1)가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을 압착하는 과정에서 유동성이 있는 제1 압착부(PP1-1)가 패드영역(PA)에 닿지 않고 정확히 표시영역(AA)에만 제1 압력을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유동성이 있는 제2 압착부(PP2-1)가 표시영역(AA)에 닿지 않고 정확히 패드영역(PA)에만 제2 압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이격되어 있는 일정한 거리(SD)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제1 압착부(PP1-1)과 제2 압착부(PP2-1)의 단면의 모양은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유사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100)의 조립용 압착패드(PP-2)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지면(SP10-2)으로부터 제3 방향(DR3)으로 측정한 제2 압착부(PP2-2)의 높이는 제1 방향(DR1) 상에서 제1 압착부(PP1-2)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아진다. 제2 압착부(PP2-2)의 경사는 직선의 모양, 포물선 모양, 계단형으로 단차를 가지는 모양을 포함한다. 하지만, 제2 압착부(PP2-2)의 경사의 모양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100)의 조립용 압착패드(PP-3)를 나타낸 것이다.
도 8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압착면(PP10-3)은 볼록한 구면(spherical surface)의 모양을 하고 있고, 제2 압착면(PP20-3)은 평면의 모양을 하고 있다. 이하 도 8b 및 도 8c를 참조하여, 제1 압착부(PP1-3) 및 제2 압착부(PP2-3)의 모양을 단면도 상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8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압착면(PP10-3)은 제2 방향(DR2)으로 절단한 단면 상에서 제1 곡선(PP100-3)을 포함하고 있다. 제1 곡선(PP100-3)은 제1 압착면(PP10-3)에 전체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고, 일부분에만 존재할 수도 있다. 제1 곡선(PP100-3)의 곡률은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이 벤딩(bending)되어 있는 곡률보다 더 크거나 같다. 하지만, 제1 압착면(PP10-3)의 모양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압착부(PP2-3)를 제2 방향(DR2)으로 절단한 단면의 모양은 제2 방향(DR2)으로 평평하다. 하지만, 제2 압착부(PP2-3)의 모양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압착부(PP1-3)의 제1 압착면(PP10-3)은 제1 방향(DR1)으로 절단한 단면 상에서 제2 곡선(PP101-3)을 포함하고 있다. 제2 곡선(PP101-3)은 제1 압착면(PP10-3)에 전체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고, 일부분에만 존재할 수도 있다.
제2 압착부(PP2-3)를 제1 방향(DR1)으로 절단한 단면의 모양은 제1 방향(DR1)으로 평평하다. 하지만, 제2 압착부(PP2-3)의 모양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압착부(PP1-3)가 메인 표시부(MD)에 제1 압력을 인가할 때,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의 메인 표시부(MD)와 제1 압착면(PP10-3)은 점접촉을 시작한다. 제1 압착부(PP1-3)가 인가하는 제1 압력이 커짐에 따라 점점촉이 면접촉으로 바뀌면서 플렉서블 표시패널(110)과 윈도우 부재(120)가 부착된다. 접접촉에 의한 압력을 면접촉에 의한 압력으로 바꾸는 부착방식을 통해, 좀더 정교한 표시모듈(100) 제조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100)의 조립용 압착패드(PP-4)를 나타낸 것이다.
도 9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압착면(PP10-4)과 제2 압착면(PP20-4)은 가운데 부분은 평평한 평면 모양이고, 가장자리 부분은 곡선 모양이다. 이하 도 9b 및 도 9c를 참조하여, 제1 압착부(PP1-3) 및 제2 압착부(PP2-3)의 모양을 단면도 상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9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압착면(PP10-4)은 제2 방향(DR2)으로 절단한 단면 상에서 윈도우 부재(120)의 제1 부분(121)에 대응하는 직선부(LD), 윈도우 부재(120)의 제2 부분(122)에 대응하는 제1 곡선부(LC1), 및 윈도우 부재(120)의 제3 부분(123)에 대응하는 제2 곡선부(LC2)를 포함한다.
제2 압착면(PP20-4)은 제2 방향(DR2)으로 절단한 단면 상에서 윈도우 부재(120)의 제1 부분(121)에 대응하는 직선부(DLD), 윈도우 부재(120)의 제2 부분(122)에 대응하는 제1 곡선부(DLC1), 및 윈도우 부재(120)의 제3 부분(123)에 대응하는 제2 곡선부(DLC2)를 포함한다. 하지만, 제2 압착부(PP2-4)의 모양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9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압착면(PP10-4) 은 제1 방향(DR1)으로 절단한 단면 상에서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의 메인 표시부(MD)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직선을 포함한다.
제2 압착면(PP20-4)을 제1 방향(DR1)으로 절단한 단면 상에서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의 패드영역(PA)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직선을 포함한다. 하지만, 제2 압착부(PP2-4)의 모양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압착패드(PP-4)의 크기는 압착패드(PP-4)가 플렉서플 표시패널(110)에 압력을 인가하기 전부터 윈도우 부재(120)의 제1 부분(121), 제2 부분(122), 및 제3 부분(123)에 매칭 될 수 있다. 또한, 압착패드(PP-4)의 크기는 압착패드(PP-4)가 플렉서플 표시패널(110)에 압력을 인가한 후에, 윈도우 부재(120)의 제1 부분(121), 제2 부분(122), 및 제3 부분(123)에 매칭 될 수 있다. 하지만, 압착패드(PP-4)의 크기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PP, PP-1, PP-2, PP-3, PP-4 : 압착패드
PP1, PP1-1, PP1-2, PP1-3, PP1-4 : 제1 압착부
PP10, PP10-1, PP10-2, PP10-3, PP10-4 : 제1 압착면
PP2, PP2-1, PP2-2, PP2-3, PP2-4 : 제2 압착부
PP20, PP20-1, PP20-2, PP20-3, PP20-4 : 제2 압착면
SP, SP-1, SP-2, SP-3, SP-4 : 지지부
SP10, SP10-1, SP10-2, SP10-3, SP10-4 : 지지면
100 : 표시모듈
110 : 플렉서블 표시패널
AA : 표시영역 PA : 패드영역
MD : 메인 표시부 SD1 : 제1 측면 표시부
SD2 : 제2 측면 표시부
120 : 윈도우 부재 121 : 제1 부분
122: 제2 부분 123 : 제3 부분
PP1, PP1-1, PP1-2, PP1-3, PP1-4 : 제1 압착부
PP10, PP10-1, PP10-2, PP10-3, PP10-4 : 제1 압착면
PP2, PP2-1, PP2-2, PP2-3, PP2-4 : 제2 압착부
PP20, PP20-1, PP20-2, PP20-3, PP20-4 : 제2 압착면
SP, SP-1, SP-2, SP-3, SP-4 : 지지부
SP10, SP10-1, SP10-2, SP10-3, SP10-4 : 지지면
100 : 표시모듈
110 : 플렉서블 표시패널
AA : 표시영역 PA : 패드영역
MD : 메인 표시부 SD1 : 제1 측면 표시부
SD2 : 제2 측면 표시부
120 : 윈도우 부재 121 : 제1 부분
122: 제2 부분 123 : 제3 부분
Claims (18)
- 플렉서블 표시패널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을 윈도우 부재에 부착시키는 표시모듈 조립용 압착패드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표시영역에 제1 압력을 인가하는 제1 압착부;
평면 상에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상기 표시영역에 인접한 상기 플렉서블 패널의 패드영역에 상기 제1 압력보다 작은 제2 압력을 인가하는 제2 압착부; 및
상기 제1 압착부와 상기 제2 압착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압착부의 높이는 상기 제1 압착부의 높이에 비해 작은 표시모듈 조립용 압착패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부재는, 직교하는 제1 방향과 제2 방향이 정의하는 전면을 구비한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경계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을 향하여 벤딩(bending)된 제2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경계선과 평행한 제2 경계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을 향하여 벤딩(bending)된 제3 부분을 포함하는 표시모듈 조립용 압착패드.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은 상기 윈도우 부재의 상기 제1 부분에 부착되는 메인 표시부, 상기 윈도우 부재의 상기 제2 부분에 부착되는 제1 측면 표시부, 및 상기 윈도우 부재의 상기 제3 부분에 부착되는 제2 측면 표시부를 포함하는 표시모듈 조립용 압착패드.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 상에서 상기 제1 압착부의 압착면은 볼록한 곡선을 포함하는 표시모듈 조립용 압착패드.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 상에서 상기 제1 압착부의 압착면은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상기 메인 표시부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직선을 포함하는 표시모듈 조립용 압착패드.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착부와 상기 제2 압착부는 상기 제1 방향 상에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 된 표시모듈 조립용 압착패드.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압착부의 높이는 상기 제1 방향 상에서 상기 제1 압착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모듈 조립용 압착패드.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압착부의 높이는 상기 제1 압착부의 높이 보다 50um 내지 1mm 작은 표시모듈 조립용 압착패드.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 상에서 상기 제1 압착부의 상기 압착면은 볼록한 곡선을 포함하는 표시모듈 조립용 압착패드.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 상에서 상기 제1 압착부의 상기 압착면은 상기 윈도우 부재의 상기 제1 부분에 대응하는 직선부, 상기 윈도우 부재의 상기 제2 부분에 대응하는 제1 곡선부, 및 상기 윈도우 부재의 상기 제3 부분에 대응하는 제2 곡선부를 포함 하는 표시모듈 조립용 압착패드. -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 상에서 상기 제1 압착부의 상기 압착면은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상기 메인 표시부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직선을 포함하는 표시모듈 조립용 압착패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착부 및 상기 제2 압착부는 실리콘을 포함하는 표시모듈 조립용 압착패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은 표시패널부, 터치패널부, 및 편광부를 포함하는 표시모듈 조립용 압착패드. - 표시모듈 조립용 압착패드 상에 표시영역과 패드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패널과, 직교하는 제1 방향과 제2 방향이 정의하는 전면을 구비한 제1 부분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경계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을 향하여 벤딩(bending)된 제2 부분 및 상기 제1 경계선과 평행하는 제2 경계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을 향하여 벤딩(bending)된 제3 부분을 포함하는 윈도우 부재를 정렬하는 단계; 및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이 상기 윈도우 부재에 부착되도록 상기 압착패드가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상기 표시영역에 제1 압력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과 상기 윈도우 부재를 정렬하는 단계에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중심점과 상기 윈도우 부재의 상기 제1 부분의 중심점이 일치하도록 정렬하는 표시모듈 조립 방법. -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패드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상기 표시영역에 상기 제1 압력을 인가하는 제1 압착부; 및
상기 제1 압착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표시모듈 조립 방법. -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상기 패드영역에 상기 제1 압력 보다 작은 제2 압력을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모듈 조립 방법. -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패드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상기 표시영역에 상기 제1 압력을 인가하는 제1 압착부;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상기 패드영역에 상기 제2 압력을 인가하는 제2 압착부; 및
상기 제1 압착부 및 상기 제2 압착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표시모듈 조립 방법. -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력의 최대값이 0.1MPa 내지 1MPa 인 표시모듈 조립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24848A KR102232424B1 (ko) | 2014-09-19 | 2014-09-19 | 표시모듈 조립용 압착패드 및 표시모듈 조립 방법 |
US14/819,042 US9886112B2 (en) | 2014-09-19 | 2015-08-05 | Pressing pad for assembling display module |
US15/868,596 US10691232B2 (en) | 2014-09-19 | 2018-01-11 | Method of assembling a display modu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24848A KR102232424B1 (ko) | 2014-09-19 | 2014-09-19 | 표시모듈 조립용 압착패드 및 표시모듈 조립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34468A true KR20160034468A (ko) | 2016-03-30 |
KR102232424B1 KR102232424B1 (ko) | 2021-03-29 |
Family
ID=55525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24848A KR102232424B1 (ko) | 2014-09-19 | 2014-09-19 | 표시모듈 조립용 압착패드 및 표시모듈 조립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2) | US9886112B2 (ko) |
KR (1) | KR102232424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40336B1 (ko) * | 2020-02-05 | 2021-04-14 |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 윈도우 커버 및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의 얼라인먼트 방법 |
CN112863330A (zh) * | 2020-12-17 | 2021-05-28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柔性垫及显示设备 |
US11532798B2 (en) | 2020-01-30 | 2022-12-20 | Samsung Display Co., Ltd. | Flexible pad for display device lamination proces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059514A1 (en) * | 2014-10-17 | 2016-04-21 |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 Electronic device |
KR102573333B1 (ko) * | 2016-06-28 | 2023-08-31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KR102454503B1 (ko) * | 2017-07-20 | 2022-10-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KR102404974B1 (ko) * | 2017-09-12 | 2022-06-03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KR102471022B1 (ko) * | 2018-01-25 | 2022-11-25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패드 및 이를 이용한 필름의 접착 방법 |
KR102521373B1 (ko) * | 2018-03-29 | 2023-04-13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US10741009B2 (en) | 2018-12-04 | 2020-08-11 | Aristocrat Technologies Australia Pty Limited | Curved button deck display |
USD923592S1 (en) * | 2018-12-18 | 2021-06-29 | Aristocrat Technologies Australia Pty Limited | Electronic gaming machine |
US10733830B2 (en) | 2018-12-18 | 2020-08-04 | Aristocrat Technologies Pty Limited | Gaming machine display having one or more curved edges |
KR20210052655A (ko) * | 2019-10-29 | 2021-05-11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그것의 제조 방법, 및 그것의 제조 장치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20111479A1 (en) * | 2010-11-05 | 2012-05-10 | Kuo-Hua Sung | Curved touch panel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298068B2 (ja) * | 1998-08-18 | 2009-07-15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電気光学装置およびそれらを備えた電子機器並びに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
JP2000286538A (ja) | 1999-03-30 | 2000-10-13 | Seiko Epson Corp | 電子部品実装基板の製造方法及び圧着装置 |
TWI228616B (en) * | 1999-11-30 | 2005-03-0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JP3367518B2 (ja) | 1999-12-09 | 2003-01-14 | 日本電気株式会社 | 成形型とこれ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隔壁形成方法 |
JP4837264B2 (ja) * | 2004-07-14 | 2011-12-14 | ヤマウチ株式会社 | 熱プレス用クッション材 |
JP4675178B2 (ja) | 2005-07-29 | 2011-04-20 | オプトレックス株式会社 | 圧着方法 |
KR20070038211A (ko) | 2005-10-05 | 2007-04-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액정 표시 장치 제조용 압착 장치 |
KR20100075150A (ko) | 2008-12-24 | 2010-07-02 |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 프레스용 금형셋팅장치 |
KR101320384B1 (ko) * | 2011-06-30 | 2013-10-23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
KR102205857B1 (ko) | 2014-10-14 | 2021-01-21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가요성 표시 장치 제조 방법 |
-
2014
- 2014-09-19 KR KR1020140124848A patent/KR10223242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5
- 2015-08-05 US US14/819,042 patent/US9886112B2/en active Active
-
2018
- 2018-01-11 US US15/868,596 patent/US10691232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20111479A1 (en) * | 2010-11-05 | 2012-05-10 | Kuo-Hua Sung | Curved touch panel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532798B2 (en) | 2020-01-30 | 2022-12-20 | Samsung Display Co., Ltd. | Flexible pad for display device lamination proces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KR102240336B1 (ko) * | 2020-02-05 | 2021-04-14 |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 윈도우 커버 및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의 얼라인먼트 방법 |
CN112863330A (zh) * | 2020-12-17 | 2021-05-28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柔性垫及显示设备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80136750A1 (en) | 2018-05-17 |
US9886112B2 (en) | 2018-02-06 |
KR102232424B1 (ko) | 2021-03-29 |
US20160085330A1 (en) | 2016-03-24 |
US10691232B2 (en) | 2020-06-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32424B1 (ko) | 표시모듈 조립용 압착패드 및 표시모듈 조립 방법 | |
US10923669B2 (en) | Display device including a bending area and a panel-sheet coupling layer | |
CN113050829A (zh) | 柔性显示装置 | |
US9415576B2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US10336005B2 (en) | Manufacturing apparatus of display device | |
JP2009086077A (ja) | タッチパネルを搭載した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 |
KR20190130105A (ko) | 합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합착 방법 | |
CN103885631A (zh) | 具可挠性电路模块的触控显示装置 | |
JP6106614B2 (ja) | 電子機器用フロント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具える電子機器 | |
KR102535822B1 (ko) | 표시 장치 | |
US20100261012A1 (en) | Flexible Display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WO2014106467A1 (zh) | 手持电子设备 | |
KR102557962B1 (ko) |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평판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2219888B1 (ko) |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 |
KR102200517B1 (ko) | 커버부를 가진 방수 지문 센서 모듈 | |
JP6370556B2 (ja) | 電子機器 | |
JP5848784B2 (ja) | 電子機器 | |
KR20210126837A (ko) | 표시 장치 | |
KR102367467B1 (ko) | 표시장치의 제조장치 | |
US20240134420A1 (en) | Display module | |
KR102283521B1 (ko) | 표시장치의 제조장치 | |
WO2015107715A1 (ja) | 実装基板の製造装置、及び実装基板の製造方法 | |
JP2013250304A (ja) | 表示装置 | |
US9690130B2 (en) | Display device | |
KR20230019274A (ko) | 라미네이트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