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3512A -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3512A
KR20160033512A KR1020140124515A KR20140124515A KR20160033512A KR 20160033512 A KR20160033512 A KR 20160033512A KR 1020140124515 A KR1020140124515 A KR 1020140124515A KR 20140124515 A KR20140124515 A KR 20140124515A KR 20160033512 A KR20160033512 A KR 20160033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cable assembly
grid
electric vehic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4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우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4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3512A/ko
Priority to US14/809,047 priority patent/US20160082852A1/en
Priority to EP15178580.5A priority patent/EP2998151A1/en
Priority to JP2015167497A priority patent/JP6158873B2/ja
Priority to CN201510587693.3A priority patent/CN105449736A/zh
Publication of KR20160033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35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8Cab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G01K7/16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resistive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66Testing of connections, e.g. of plugs or non-disconnectable joi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ingle component
    • H01R13/66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ingle component with resis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ens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Protection Of Static Devices (AREA)

Abstract

그리드 측의 전력을 이용하여 전기 자동차(electric vehicle, EV)를 충전하는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에 연결되는 그리드 측 케이블 어셈블리의 플러그가 개시된다. 전용 소켓 감지부는 상기 플러그에 연결되는 소켓이 상기 플러그를 위한 전용 소켓을 감지한다. 정상 동작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전용 소켓의 감지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생성한다. 전압 분배부는 상기 신호가 생성된 경우 전압을 출력하여 상기 그리드 측 케이블 어셈블리가 단락된 경우와 상기 신호가 생성된 경우의 상기 그리드 측 케이블 어셈블리의 출력 전압 값이 상이하도록 한다. 플러그 온도 측정부는 상기 플러그의 온도를 측정한다.

Description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CABLE INSTALLMENT TYPE CHARG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의 충전에 관한 것이다.
전기 자동차란, 전기를 사용하여 운행되는 자동차를 의미하는 것으로, 크게 순수 전기 자동차(Batttery Powered Electric Vehicle)와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순수 전기 자동차는, 화석 연료를 이용함 없이 전기만을 사용하여 주행하는 자동차로서, 일반적으로 전기 자동차라 명칭된다. 그리고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는 전기 및 화석 연료를 사용하여 주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전기 자동차에는, 주행을 위한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가 구비된다. 특히, 순수 전기 자동차 및 플러그인(Plug-in) 타입의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는,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며,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을 이용하여 전기 모터를 구동한다.
가정 등에 구비된 소켓이 제공하는 60Hz의 상용 그리드 전력을 이용하여 전기 자동차를 충전할 때,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가 사용된다.
이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는 전기 자동차에 연결되는 커넥터와 소켓에 연결되는 플러그, 이 커넥터와 플러그 사이를 연결하는 전력 선을 포함한다.
이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는 다양한 환경에서 이용되므로, 전기 자동차의 안정적인 충전을 제공하는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가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에 구비될 수 있다.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서는 전력 선과의 분리가 용이하지 않도록 전력 선과 일체로서 부착된다.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가 전기 자동차의 안정적인 충전을 제공하기 위하여는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 자체가 외부 온도, 외부 습도, 진동, 충격 등에 강인한 요구 사항을 만족할 필요가 있다.
특히,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는 고전류를 이용하여야 하므로 이를 위한 전용 소켓이 필요하다. 또한 충전과정에서 고전류로 인하여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에 연결되는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의 플러그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전용 소켓을 감지하고 온도가 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에 연결되는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의 플러그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에 연결되는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의 플러그는 플러그에 연결되는 소켓이 플러그를 위한 전용 소켓인지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는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리드 측의 전력을 이용하여 전기 자동차(electric vehicle, EV)를 충전하는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에 연결되는 그리드 측 케이블 어셈블리의 플러그는 상기 플러그에 연결되는 소켓이 상기 플러그를 위한 전용 소켓을 감지하는 전용 소켓 감지부; 상기 전용 소켓의 감지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생성하는 정상 동작 신호 생성부; 상기 신호가 생성된 경우 전압을 출력하여 상기 그리드 측 케이블 어셈블리가 단락된 경우와 상기 신호가 생성된 경우의 상기 그리드 측 케이블 어셈블리의 출력 전압 값이 상이하도록 하는 전압 분배부; 및 상기 플러그의 온도를 측정하는 플러그 온도 측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정상 동작 신호 생성부는 접지되는 일단을 갖고, 상기 전용 소켓의 감지 여부에 기초하여 턴 온되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압 분배부는 상기 스위치의 타단에 연결되는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온도 측정부는 써미스터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용 소켓 감지부는 자기장을 감지하는 자기 센서를 포함하고, 감지되는 자기장에 기초하여 전용 소켓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전용 소켓 감지부는 자기장의 극성 및 자기장의 크기에 기초하여 전용 소켓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에 연결되는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의 플러그는 플러그에 연결되는 소켓이 플러그를 위한 전용 소켓인지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에 연결되는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의 플러그는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의 단선으로 인한 고장, 합선으로 인한 고장 및 플러그의 과열을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가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를 포함하는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의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의 감지부의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가 플러그 내부의 온도에 따라 충전 전류를 제어하는 것을 보여준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와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의연결을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를 이용하여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가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를 포함하는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의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와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의연결을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를 이용하여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가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의 제1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10)은 전기 자동차(100),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 소켓(30), 및 단말 장치(300)를 포함한다.
소켓(30)은 그리드가 제공하는 교류(AC) 전원을 제공한다.
전기 자동차(100)는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를 통해 소켓(30)과 연결되어, 소켓(30)으로부터 교류 전력을 제공받는다.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는, 소켓(30)으로부터의 교류 전력을 전기 자동차(100)에 전달한다.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는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200), 전기 자동차 커넥터(51), 전기 자동차 측 전력 선(EV-side power cable)(53), 플러그(65), 및 그리드 측 전력 선(grid-side power cable)(63)을 포함한다.
전기 자동차 측 전력 선(EV-side power cable)(53) 및 그리드 측 전력 선(grid-side power cable)(63)은 전력을 전달한다.
전기자동차 커넥터(51)는 전기 자동차 인렛(120)에 삽입되어, 전기 자동차 인렛(120)과 결합하며, SAE J1772 규격을 따를 수 있다.
플러그(65)는 소켓(30)에 삽입되어, 소켓(30)과 결합한다.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200)는 전기 자동차(100)의 충전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을 통해 획득한 충전 관련 정보를 단말 장치(300)에 제공하며, 전기 자동차(100)의 충전을 제어한다.
실시예에서,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에 의해서는 전기 자동차 측 전력 선(53)과의 분리가 용이하지 않도록 전력 선(53)과 일체로서 부착되며, 외부 온도, 외부 습도, 진동, 충격 등에 강인한 특성을 갖는다.
실시예에서,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에 의해서는 전기 자동차 측 전력 선(53)과 결합될 수 있고 분리될 수 있도록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커넥터는 외부 온도, 외부 습도, 진동, 충격 등에 강인한 특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실시예에서,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에 의해서는 그리드 측 전력 선(63)과의 분리가 용이하지 않도록 전력 선(63)과 일체로서 부착되며, 외부 온도, 외부 습도, 진동, 충격 등에 강인한 특성을 갖는다.
실시예에서,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에 의해서는 그리드 측 전력 선(63)과 결합될 수 있고 분리될 수 있도록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커넥터는 외부 온도, 외부 습도, 진동, 충격 등에 강인한 특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200)가 유선 통신을 위한 커넥터를 구비하는 경우, 이 커넥터는 금속 단자를 포함하므로, 외부 환경에 취약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200)는 무선으로 충전 관련 정보를 단말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 장치(300)는,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와 비접촉 방식으로 무선 통신하여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블록도이다.
전기 자동차(100)는 배터리(110), 배터리 충전 장치(115), 전기 자동차 인렛(120), 통신부(130), 및 제어부(140)을 포함한다.
배터리(110)는 전기 자동차(100)의 운행을 위한 전력을 전기 자동차(100)에 제공한다.
전기 자동차 인렛(120)은 외부로부터 배터리(110)의 충전을 위한 전력을 받기 위한 커넥터이다. 전기 자동차 인렛(120)은 SAE J1772 규격을 따를 수 있다.
배터리 충전 장치(115)는 전기 자동차 인렛(120)을 통해 제공된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110)를 충전한다.
통신부(130)는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 또는 단말 장치(300)와 통신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전기 자동차(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의 블록도이다.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는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200), 전기 자동차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50), 및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6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전기 자동차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50)와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60)를 서브 케이블 어셈블리라고 칭하기도 한다.
전기 자동차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50)는 전기 자동차 커넥터(51), 전기 자동차 측 전력 선(53), 전기 자동차 측 데이터 통신 선(55)을 포함한다.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60)는 커넥터(61), 그리드 측 전력 선(63), 플러그(65)를 포함한다.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200)는 커넥터(205), 릴레이(220), 감지부(230), 전기 자동차 통신부(240), 단말 장치 통신부(250), 저장부(260) 및 제어부(270)를 포함한다.
커넥터(205)는 커넥터(61)와 결합된다. 커넥터(205)는 커넥터(61)와의 결합 및 분리를 지원한다. 즉, 커넥터(205)는 커넥터(61)와 결합가능하면서 분리가능하다.
릴레이(220)는 전기 자동차 측 전력 선(53)과 그리드 측 전력 선(63) 사이의 연결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릴레이(220)가 턴오프되면, 릴레이(220)는 전기 자동차 측 전력 선(53)과 그리드 측 전력 선(63) 사이의 연결을 끊는다. 릴레이(220)가 턴온되면, 릴레이(220)는 전기 자동차 측 전력 선(53)과 그리드 측 전력 선(63)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감지부(230)는 후술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관련 정보를 감지한다. 특히, 감지부(230)는 전기 자동차(100)에 대한 정보와,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에 대한 정보 모두를 감지할 수도 있다. 감지부(230)는 전기 자동차(100)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지는 않고,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에 대한 정보를 감지할 수도 있다.
전기 자동차 통신부(240)는 전기 자동차(100)와 통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전기 자동차 통신부(240)는 전기 자동차(100)의 통신부(130)와 통신한다. 전기 자동차 통신부(240)와 통신부(130)는 전력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전력 선(53)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전기 자동차 통신부(240)와 통신부(130)는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방식, 라디오 주파수 통신(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방식, 블루투스(Bluetooth), 초광대역통신(UWB, Ultra Wideband), 및 지그비(ZigBee), 디지털 리빙 네트워크 얼라이언스(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도 있다.
단말 장치 통신부(250)는 단말 장치(300)와 통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단말 장치 통신부(250)는 단말 장치(300)의 통신부(310)와 통신한다. 특히, 단말 장치 통신부(250)와 통신부(310)는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방식, 라디오 주파수 통신(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방식, 블루투스(Bluetooth), 초광대역통신(UWB, Ultra Wideband), 및 지그비(ZigBee), 디지털 리빙 네트워크 얼라이언스(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도 있다.
저장부(260)는 후술하는 여러 정보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260)는 전기 자동차 충전 관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60)는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210)의 사용 이력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장부(260)는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210)의 최종 사용 시각 및 시간 및 누적 사용 시간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후술하는 동작을 포함하여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의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230)는 릴레이 융착 감지부(231), 전류 감지부(232), 내부 온도 감지부(233), 내부 습도 감지부(234), 외부 온도 감지부(235), 외부 습도 감지부(236), 누전 감지부(237), 단선 감지부(238), 및 허용 전류 감지부(239)를 포함할 수 있다.
릴레이 융착 감지부(231)는 릴레이(220)의 융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전류 감지부(232)는 전력 선(53)을 통해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감지할 수 있다.
내부 온도 감지부(233)는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내부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내부 습도 감지부(234)는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내부 습도를 감지할 수 있다.
외부 온도 감지부(235)는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주변의 온도를 감지한다.
외부 습도 감지부(236)는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주변의 습도를 감지한다.
누전 감지부(237)는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누전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단선 감지부(238)는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단선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허용 전류 감지부(239)는 제1 허용 전류 감지부와 제2 허용 전류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허용 전류 감지부는 전기 자동차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50)의 허용 전류를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제1 허용 전류 감지부는 전기 자동차 측 전원 선(53)의 허용 전류를 감지한다.
제2 허용 전류 감지부는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60)의 허용 전류를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제2 허용 전류 감지부는 그리드 측 전원 선의 허용 전류를 감지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블록도이다.
단말 장치(300)는 통신부(310), 입력 장치(320), 제어부(330), 및 디스플레이부(340)를 포함한다.
통신부(310)는 단말 장치 통신부(250)와 통신한다.
입력 장치(320)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한다. 입력 장치(320)는 터치 스크린, 물리 버튼, 음성 형식의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기 위한 마이크, 단말 장치(300)의 움직임 제스처를 사용자 입력으로 획득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 키보드, 마우스, 키패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후술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단말 장치(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디스플레이부(340)는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충전 동작 및 상태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340)는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고장 및 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조치 사항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340)는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충전 동작 및 상태에 관한 정보를, 문자나 도형 또는 빛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각적 표시 방법 또는/및 음향을 포함하는 청각적 표시 방법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10)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단말 장치(300)의 제어부(330)는 입력 장치(320)를 통해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에 명령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한다(S101). 이때,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입력은 전기 자동차(100)의 충전 개시, 전기 자동차(100)의 충전 중단, 전기 자동차 충전 관련 정보의 요청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장치(300)의 제어부(330)는 획득한 사용자 입력에 해당하는 명령을 통신부(310)를 통해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200)에 전송한다(S103).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제어부(270)는 단말 장치 통신부(250)를 통해 명령을 수신한다.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제어부(270)는 수신한 명령을 수행한다(S105).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에 해당하는 명령이 전기 자동차(100)의 충전 개시인 경우,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제어부(270)는 턴오프된 릴레이(220)를 턴온하여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가 소켓(30)의 교류 전력을 전기 자동차(100)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에 해당하는 명령이 전기 자동차(100)의 충전 개시인 경우,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제어부(270)는 전기 자동차 측 데이터 통신 선(55)을 통해 전기 자동차(100)의 배터리 충전 장치(115)에 전기 자동차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50)의 허용 전류에 대한 정보 및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60)의 허용 전류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한다. 그리고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제어부(270)는 턴오프된 릴레이(220)를 턴온한다. 그러면, 전기 자동차(100)의 배터리 충전 장치(115)는 제공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충전 전류를 결정한 후 결정한 충전 전류를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를 통해 가져와 배터리(110)를 충전할 수 있다.
제어부(270)가 전기 자동차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50)의 허용 전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 경우, 전기 자동차(100)의 배터리 충전 장치(115)는 이 허용 전류보다 작거나 같은 전류를 이용하여 배터리(110)를 충전할 수 있다.
제어부(270)가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60)의 허용 전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 경우, 전기 자동차(100)의 배터리 충전 장치(115)는 이 허용 전류보다 작거나 같은 전류를 이용하여 배터리(110)를 충전할 수 있다.
제어부(270)가 전기 자동차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50)의 허용 전류에 대한 정보 및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60)의 허용 전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 경우, 전기 자동차(100)의 배터리 충전 장치(115)는 이 2개의 허용 전류 중 작은 값보다 작거나 같은 전류를 이용하여 배터리(110)를 충전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해당하는 명령이 전기 자동차(100)의 충전 중단인 경우,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제어부(270)는 턴온된 릴레이(220)를 턴오프하여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가 더 이상 전기 자동차(100)를 충전하지 못하도록 한다.
사용자 입력에 해당하는 명령이 전기 자동차 충전 관련 정보의 요청인 경우,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제어부(270)는 전기 자동차 충전 관련 정보를 수집한다.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제어부(270)는 수신한 명령에 해당하는 응답을 단말 장치 통신부(250)를 통해 단말 장치(300)에 전송한다(S107).
사용자 입력에 해당하는 명령이 전기 자동차(100)의 충전 개시인 경우, 응답은 릴레이(220)의 상태가 턴온 상태임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해당하는 명령이 전기 자동차(100)의 충전 중단인 경우, 응답은 릴레이(220)의 상태가 턴오프 상태임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해당하는 명령이 전기 자동차 충전 관련 정보의 요청인 경우, 응답은 수집한 전기 자동차 충전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 충전 관련 정보는 전기 자동차(100)에 대한 정보와,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100)에 대한 정보는, 초기 충전 상태(state), 현재 충전 상태(state), 충전 시작 시간, 예측 충전 종료 시간, 실제 충전 종료 시간, 전기 자동차 충전 상황 정보(status information)와, 전기 자동차 충전 오류 정보, 전기 자동차(100)에 공급된 전력량에 관한 정보와, 전기 자동차(100)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초기 충전 상태와 현재 충전 상태는 배터리(110)의 총 용량 대비 현재의 충전량의 비율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전기 자동차 충전 상황 정보는 전기 자동차(100)가 충전중 또는 충전 대기중인지 또는 충전 완료되었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에 대한 정보는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충전 동작에 관한 정보와,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사용 이력에 관한 정보,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상태 정보,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고장에 관한 정보, 전기 자동차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50)의 허용 전류에 대한 정보,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60)의 허용 전류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충전 동작에 관한 정보는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가 소켓(30)의 전력을 전기 자동차(100)에 제공하고 있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상태 정보는 릴레이(220)의 상태에 관한 정보와, 릴레이(220)의 융착 여부에 관한 정보와,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온도에 관한 정보와,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누전에 관한 정보와,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단선에 관한 정보,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주변의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릴레이(220)의 상태에 관한 정보는 릴레이(220)가 턴온되었는지 턴오프되었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주변의 환경 정보는 주변의 온도에 대한 정보와 주변의 습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장치(300)의 제어부(330)는 수신한 응답을 디스플레이부(340)에 디스플레이한다(S109).
사용자 입력에 해당하는 명령이 전기 자동차(100)의 충전 개시인 경우, 단말 장치(300)의 제어부(330)는 릴레이(220)의 상태가 턴온 상태임을 알리는 정보를 디스플레이부(34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해당하는 명령이 전기 자동차(100)의 충전 중단인 경우, 단말 장치(300)의 제어부(330)는 릴레이(220)의 상태가 턴오프 상태임을 알리는 정보를 디스플레이부(34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해당하는 명령이 전기 자동차 충전 관련 정보의 요청인 경우, 단말 장치(300)의 제어부(330)는 전기 자동차 충전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부(34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전기 자동차 충전 관련 정보를 참고하여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제어를 위한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을 입력 장치(320)를 통해 단말 장치(300)에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충전 동작 및 상태에 관한 정보가 단말 장치(300)를 통하여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충전 동작 및 상태에 관한 정보를 보다 간단하고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통하여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고장 여부 및 고장 부위를 보다 용이하게 판단하여 이에 대응하는 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 및 상용 전원 사이의 접지선이 단락된 경우에, 종래에는 이를 별도로 감지할 수 없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감지부(230)가 단선 여부를 감지하고, 이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충전 동작을 중단시키고, 단선된 부분을 수리하거나 수리를 요청할 수 있다. 특히,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200)으로부터 단말 장치(300)로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고장 및 이에 대응하는 조치 사항에 관한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보다 간단하고 용이하게 고장 여부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고장에 의한 전기 자동차(100)의 충전의 미실행을 미리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사용 이력이 단말 장치(300)로 전송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수명을 미리 예측하여 별도의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를 준비할 수 있다.
한편, 빠른 충전을 위해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200)는 일반적으로 전자제품에 사용되는 전류보다 큰 크기의 전류를 사용하여 전기 자동차를 충전할 수 있다. 예컨대 일반적인 전자 제품에 사용되는 전류의 크기가 8A 라면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200)는 16A의 전류를 사용하여 전기 자동차를 충전할 수 있다. 다만, 이렇게 큰 전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류를 전달하는 소켓의 안정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따라서 고전류를 위한 전용 소켓이 소켓(30)으로써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200)는 소켓(30)이 전용 소켓이 아닌 경우 충전 동작을 정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플러그(65)의 온도가 지나치게 높은 경우 화재 발생의 우려가 있으므로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200)는 충전 동작을 정지하거나 충전 전류를 감소하여야 한다. 이를 위한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 및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200)에 대해서는 도 7 내지 13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를 포함하는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65)는 전용 소켓 감지부(67), 정상 동작 신호 생성부(69) 및 플러그 온도 측정부(71)를 포함한다.
전용 소켓 감지부(67)는 소켓(30)이 플러그(65)를 위한 전용 소켓인지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전용 소켓은 전기 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한 고전류를 전달하는 전용 소켓인지 감지한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전용 소켓 감지부(67)는 자기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전용 소켓은 일정한 크기의 자기장을 생성하는 자성체를 포함하고, 전용 소켓 감지부(67)는 자기장을 감지하여 소켓(30)이 플러그(65)를 위한 전용 소켓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전용 소켓 감지부(67)는 자기장의 크기와 자기장의 극성에 기초하여 소켓(30)이 플러그(65)를 위한 전용 소켓인지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용 소켓 감지부(67)는 특정 극성의 자기장이 특정 크기 이상 감지될 때 전용 소켓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정상 동작 신호 생성부(69)는 소켓(30)이 플러그(65)를 위한 전용 소켓인지 여부에 따라 이를 알리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전용 소켓 감지부(67)는 정상 동작 신호 생성부(69)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소켓(30)이 플러그(65)를 위한 전용 소켓인 경우, 정상 동작 신호 생성부(69)는 커넥터(61)에 연결된 플러그(65)의 내부 회로를 접지한다. 예컨대 정상 동작 신호 생성부(69)는 접지되는 일단을 갖는 스위치일 수 있다.
플러그 온도 측정부(71)는 플러그 내의 온도를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플러그 온도 측정부(71)는 온도에 따라 저항 값의 크기가 달라지는 써미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써미스터는 온도가 상승함에따라 저항이 커지는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써미스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용 소켓 감지부(67), 정상 동작 신호 생성부(69)및 플러그 온도 측정부(71)의 구체적인 동작은 도 9 내지 도 10을 통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의 감지부의 블록도이다.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감지부(230)는 도 8의 실시예와 같이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 정상 동작 감지부(245) 및 플러그 온도 감지부(247)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 정상 동작 감지부(245)는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60)의 정상 동작 여부를 감지한다. 특히,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 정상 동작 감지부(245)는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60)가 단선 되었거나 소켓(30)이 플러그(65)를 위한 전용 소켓으로 판단하였는지 감지할 수 있다.
플러그 온도 감지부(247)는 플러그(65) 내부의 온도를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플러그 온도 측정부(71) 내부의 써미스터(thermistor)의 저항 값 변화에 따라 플러그 온도 감지부(247)의 인가되는 전압이 변화될 수 있다. 이때, 플러그 온도 감지부(247)는 플러그 온도 감지부(247)에 인가되는 전압에 기초하여 플러그(65) 내부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200)는 플러그 온도 감지부(247)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충전 전류를 감소시켜여야 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9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가 플러그 내부의 온도에 따라 충전 전류를 제어하는 것을 보여준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200)는 플러그 내부의 온도가 제1 기준 온도 보다 높은 경우, 충전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200)는 플러그 내부의 온도가 제1 기준 온도 보다 높은 제2 기준 온도 보다 높은 경우, 충전을 중단할 수 있다. 도 9의 실시예에서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200)는 플러그 내부의 온도가 70o이상인 경우 충전 전류를 16A에서 6A로 감소시킨다. 또한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200)는 플러그 내부의 온도가 80o이상인 경우 충전을 정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 정상 동작 감지부(245) 및 플러그 온도 감지부(247)의 구체적인 동작은 도 10 내지 도 11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와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의 연결을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10(a)는 전용 소켓 감지부(67)가 소켓(30)을 전용 소켓으로 감지하고 정상 동작 신호 생성부(69)가 정상 동작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플러그(65)와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연결을 보여준다.
정상 동작 신호 생성부(69)의 일단은 접지되고 타단은 커넥터(61)의 일단에 연결된다.
플러그 온도 측정부(71)의 일단은 접지되고 타단은 커넥터(61)의 일단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플러그 온도 측정부(71)는 써미스터 저항(Rt)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써미스터 저항(Rt)의 일단은 접지되고 타단은 커넥터(61)의 일단에 연결된다.
커넥터(61)의 타단은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일단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커넥터(61)의 타단은 커넥터(205)의 일단에 연결된다. 이때 정상 동작 신호 생성부(69)에 연결되는 연결선과 플러그 온도 측정부(71)에 연결된는 연결선은 별도로 분리되어 커넥터(205)의 일단에 연결된다.
정상 동작 신호 생성부(69)에 연결되는 커넥터(205)의 타단은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 정상 동작 감지부(245)에 연결된다. 이때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 정상 동작 감지부(245)는 일단에 직류 전압이 인가되는 저항(R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저항(R1)의 타단은 제어부(270)와 커넥터(205)에 연결된다.
플러그 온도 측정부(71)에 연결되는 커넥터(205)의 타단은 플러그 온도 감지부(247)에 연결된다. 이때 플러그 온도 감지부(247)는 일단에 직류 전압이 인가되는 저항(R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저항(R3)의 타단은 제어부(270)와 커넥터(205)에 연결된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 정상 동작 감지부(245)는 제어부(270)에 직류 전압을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 정상 동작 감지부(245)는 저항(R1)에 인가되는 직류 전압을 출력한다. 이때 저항(R1)에 인가되는 직류 전압의 크기는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 정상 동작 감지부(245)의 정상 동작 여부에 따라 변경된다. 구체적으로 저항(R1)에 인가되는 직류 전압의 크기는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 정상 동작 감지부(245)에 포함된 정상 동작 신호 생성부(69)의 동작에 따라 저항(R1)에 인가되는 직류 전압의 크기가 변경된다. 예컨대 정상 동작 신호 생성부(69)에 포함된 스위치가 턴 오프되는 경우, 저항(R1)이 포함된 회로는 개방회로가 된다. 따라서 이때 저항(R1) 일단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는 0이다. 또한 정상 동작 신호 생성부(69)에 포함된 스위치가 턴 온되는 경우, 저항(R1)이 포함된 회로는 저항성분은 저항(R1)만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때 저항(R1) 일단에 저항(R1)에 연결된 직류 전압이 모두 인가된다. 다만 이는 커넥터(61), 정상 동작 신호 생성부(69) 및 커넥터(205)가 이상적으로 저항 성분을 갖지 않음을 가정한 것이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플러그 온도 감지부(247)는 제어부(270)에 직류 전압을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플러그 온도 감지부(247)는 저항(R3)에 인가되는 직류전압을 출력한다. 저항(R3)에 인가되는 직류전압의 크기는 V x R3/(Rt+R3)이다. 다만, 이 경우는 커넥터(61) 및 커넥터(205)가 이상적으로 저항 성분을 갖지 않음을 가정한 것이다. 이에 따라 저항(R3)에 인가되는 직류 전압의 크기는 플러그 온도 측정부(71)의 써미스터 저항(Rt)의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 써미스터 저항(Rt) 값의 크기는 온도 변화에 따라 달라진다. 그러므로 저항(R3)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는 직류전압 따라서 저항(R3)에 인가되는 전압은 플러그(65) 내부의 온도 변화에 따라 달라진다. 구체적으로 써미스터 정항(Rt)이 PTC 써미스터인 경우,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저항(R3)에 인가되는 전압은 감소한다.
도 10(b)는 전용 소켓 감지부(67)가 소켓(30)을 전용 소켓으로 감지하고 정상 동작 신호 생성부(69)가 정상 동작 신호를 생성하나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60)가 단선된 경우 플러그(65)와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연결을 보여준다.
이러한 경우 정상 동작 신호 생성부(69)에 포함된 스위치가 턴 오프되는 경우와 같이, 저항(R1)이 포함된 회로는 개방회로가 된다. 따라서 이때 저항(R1) 일단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는 0이다.
따라서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 정상 동작 감지부(245)가 출력하는 전압 값이 0인 경우,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60)가 전용 소켓이 아닌 소켓(30)에 연결되었거나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60)가 단선 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60)가 전용 소켓이 아닌 소켓(30)에 연결되었거나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60)가 단선 된 경우 모두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200)가 동작을 정지하는 것이 안전을 보장을 위해 필요하다. 그러므로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 정상 동작 감지부(245)가 출력하는 전압 값이 0인 경우, 제어부(270)는 충전 동작을 정지할 수 있다.
또한, 저항(R3)이 포함된 회로도 개방회로가 된다. 따라서 이때 저항(R3)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는 0이다. 써미스터 저항(Rt)가 PTC 써미스터인 경우, 플러그 온도 감지부(247)는 플러그(65)의 온도가 지나치게 높아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만, 플러그(65)의 온도가 지나치게 높아진 경우와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60)가 단선된 경우 모두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200)가 동작을 정지하는 것이 안전을 보장을 위해 필요하다. 따라서 플러그 온도 감지부(247)가 출력하는 전압이 0인 경우, 제어부(270)는 충전 동작을 정지할 수 있다.
도 10(c)는 전용 소켓 감지부(67)가 소켓(30)을 전용 소켓으로 감지하고 정상 동작 신호 생성부(69)가 정상 동작 신호를 생성하나 전용 소켓 감지부(67)에 연결된 연결선과 플러그 온도 측정부(71)에 연결된 연결선이 단락된 경우 플러그(65)와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연결을 보여준다.
도 10(c)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전용 소켓 감지부(67)에 연결된 연결선과 플러그 온도 측정부(71)에 연결된 연결선이 합선 등으로 인하여 단락된 경우.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커넥터(205)의 일단은 접지된다. 이러한 경우에 정상 동작 신호 생성부(69)에 포함된 스위치가 턴 오프되면 저항(R1)이 포함된 회로는 저항(R1)에 일단에 인가되는 전압 값은 써미스터 저항(Rt)의 영향을 받는다. 또한 상 동작 신호 생성부(69)에 포함된 스위치가 턴 온되는 경우, 플러그 전압 감지부(247)의 출력 값은 0이된다. 이때 써미스터 저항이 PTC 써미스터인 경우 제어부(270)는 플러그(65) 내부의 온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60)가 합선 등으로 인하여 접지된 경우.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커넥터(205)의 일단은 접지된다. 따라서 이때 전용 소켓 감지부(67)는 정상 동작 신호 생성부(69)가 턴 온 된 경우와 유사한 전압 값을 출력한다.
결국 제어부(270)는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 정상 동작 감지부(245)가 출력하는 전압 값을 통하여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가 단락 되었는지 또는 정상 동작 신호 생성부(69)가 턴 온 된 것인지 구별하기 힘들다. 또한 플러그 온도 감지부(247)는 플러그(65) 내부의 온도가 고온인지 전용 소켓 감지부(67)에 연결된 연결선과 플러그 온도 측정부(71)에 연결된 연결선이 합선 등으로 인하여 단락된 것인지 구별하기 힘들다.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동작 방법에 대해서는 도 11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를 이용하여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가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제어부(270)는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 정상 동작 감지부(245)의 출력 값을 측정한다(S301). 구체적으로 제어부(270)는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 정상 동작 감지부(245)의 출력 전압 값을 측정한다.
제어부(270)는 측정된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 정상 동작 감지부(245)의 출력 값이 정상 동작 범위 내인지 판단한다(S303). 구체적으로 제어부(270)는 측정된 전압 값이 정상 동작 기준 기준 범위 내인지 판단한다. 이때 정상 동작 기준 기준 범위는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 정상 동작 감지부(245)에 연결된 직류 전압의 크기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정상 동작 기준 기준 범위는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 정상 동작 감지부(245)에 연결된 직류 전압의 크기의 0.9배보다 크고 1배인 값보다 같거나 작을 수 있다.
측정된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 정상 동작 감지부(245)의 출력 값이 정상 동작 기준 밖인 경우, 제어부(270)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가 단선된 것으로 판단한다(S305). 이때 제어부(270)는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동작을 중지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제어부(270)는 이를 LED 등을 통하여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60)의 단선을 외부에 표시할 수 있다.
측정된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 정상 동작 감지부(245)의 출력 값이 정상 동작 기준 법위 내인 경우, 제어부(270)는 플러그 온도 감지부(247)의 출력 값을 측정한다(S307).
제어부(270)는 측정된 플러그 온도 감지부(247)의 출력 값이 정상 온도 기준 범위 내인지 판단한다(S309).
측정된 플러그 온도 감지부(247)의 출력 값이 정상 온도 기준 범위 밖인 경우, 제어부(270) 충전 전류를 감소 시킨다(S311). 구체적으로 측정된 플러그 온도 감지부(247)의 출력 값이 제1 기준 온도 보다 높은 경우, 제어부(270)는 충전 전류를 일정 정도로 감소 시킬 수 있다. 예컨대, 측정된 플러그 온도 감지부(247)의 출력 값이 제1 기준 온도 보다 높은 경우, 제어부(270)는 충전 전류를 정상 충전 전류의 50% 크기로 감소 시킬 수 있다. 또한 측정된 플러그 온도 감지부(247)의 출력 값이 제1 기준 온도 보다 높은 제2 기준 온도 보다 높은 경우, 제어부(270)는 충전을 중단할 수 있다.
측정된 플러그 온도 감지부(247)의 출력 값이 정상 온도 기준 범위 내인 경우, 제어부(270)는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가 정상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한다(S313).
다만,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60)가 합선 등으로 인하여 단락된 경우.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커넥터(205)의 일단은 접지된다. 따라서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60)가 정상 동작하는 경우와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60)가 합선 등으로 인하여 단락된 경우 모두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 정상 동작 감지부(245)는 유사한 크기의 값을 출력한다.
또한, 전용 소켓 감지부(67)에 연결된 연결선과 플러그 온도 측정부(71)에 연결된 연결선이 합선 등으로 인하여 단락된 경우 플러그 온도 감지부(247)는 플러그 내부의 온도가 고온일 때와 유사하게 낮은 전압 값을 출력한다.
따라서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60)가 정상 동작하는 경우와 합선 등으로 인하여 단락되는 경우를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또한 플러그(65)가 고온인 경우와 전용 소켓 감지부(67)에 연결된 연결선과 플러그 온도 측정부(71)에 연결된 연결선이 합선 등으로 인하여 단락된 경우를 구별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에 대해서는 도 12 내지 도 14를 통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 내지 도 14을 통하여 전압 분배부를 포함하는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와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65)는 전용 소켓 감지부(67), 정상 동작 신호 생성부(69), 전압 분배부(70) 및 플러그 온도 측정부(71)를 포함한다.
전용 소켓 감지부(67), 정상 동작 신호 생성부(69) 및 플러그 온도 측정부(71)에 대한 설명은 도 7에서 기재한 바와 같다.
전압 분배부(70)는 정상 동작 신호 생성부(69)가 소켓(30)이 플러그(65)를 위한 전용 소켓임을 알리는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일정한 크기의 신호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정상 동작 신호 생성부(69)가 소켓(30)이 플러그(65)를 위한 전용 소켓임을 알리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커넥터(61)에 연결된 플러그(65)의 내부 회로를 접지하는 경우, 전압 분배부(70)는 일정한 크기의 전압을 출력한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전압 분배부(70)는 저항일 수 있다. 따라서 생성한 신호의 출력이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60)가 합성 등으로 인하여 접지 단락된 경우와 정상 동작 신호 생성부(69)가 소켓(30)이 플러그(65)를 위한 전용 소켓임을 알리는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의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60)의 출력 값이 달라진다. 또한 전용 소켓 감지부(67)에 연결된 연결선과 플러그 온도 측정부(71)에 연결된 연결선이 합선 등으로 인하여 단락된 경우에도 플러그 온도 감지부(247)의 출력이 플러그(65)의 온도가 고온인 경우와 다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용 소켓 감지부(67)와 정상 동작 신호 생성부(69)의 구체적인 동작은 도 13내지 도 14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와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의 연결을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13(a)는 전용 소켓 감지부(67)가 소켓(30)을 전용 소켓으로 감지하고 정상 동작 신호 생성부(69)가 정상 동작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플러그(65)와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연결을 보여준다.
정상 동작 신호 생성부(69)의 일단은 접지되고 타단은 전압 분배부(70)의 일단에 연결된다.
전압 분배부(70)의 타단은 커넥터(61)의 일단에 연결된다. 이때 전압 분배부(70)는 저항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상 동작 신호 생성부(69)의 타단에 접지되는 일단을 갖고, 커넥터(61)에 접지되는 타단을 갖는 저항(R2)일 수 있다.
플러그 온도 측정부(71)의 일단은 접지되고 타단은 커넥터(61)의 일단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플러그 온도 측정부(71)는 써미스터 저항(Rt)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써미스터 저항(Rt)의 일단은 접지되고 타단은 커넥터(61)의 일단에 연결된다.
커넥터(61)의 타단은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일단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커넥터(61)의 타단은 커넥터(205)의 일단에 연결된다. 이때 정상 동작 신호 생성부(69)에 연결되는 연결선과 플러그 온도 측정부(71)에 연결된는 연결선은 별도로 분리되어 커넥터(205)의 일단에 연결된다.
전압 분배부(70)의 타단에 연결되는 커넥터(205)의 타단은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 정상 동작 감지부(245)에 연결된다. 이때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 정상 동작 감지부(245)는 일단에 직류 전압이 인가되는 저항(R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저항(R1)의 타단은 제어부(270)와 커넥터(205)에 연결된다.
플러그 온도 측정부(71)에 연결되는 커넥터(205)의 타단은 플러그 온도 감지부(247)에 연결된다. 이때 플러그 온도 감지부(247)는 일단에 직류 전압이 인가되는 저항(R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저항(R3)의 타단은 제어부(270)와 커넥터(205)에 연결된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 정상 동작 감지부(245)는 제어부(270)에 직류 전압을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 정상 동작 감지부(245)는 저항(R1)에 인가되는 직류 전압을 출력한다. 이때 저항(R1)에 인가되는 직류 전압의 크기는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 정상 동작 감지부(245)의 정상 동작 여부에 따라 변경된다. 구체적으로 저항(R1)에 인가되는 직류 전압의 크기는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 정상 동작 감지부(245)에 포함된 정상 동작 신호 생성부(69)의 동작에 따라 저항(R1)에 인가되는 직류 전압의 크기가 변경된다. 예컨대 정상 동작 신호 생성부(69)에 포함된 스위치가 턴 오프되는 경우, 저항(R1)이 포함된 회로는 개방회로가 된다. 따라서 이때 저항(R1) 일단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는 0이다. 또한 정상 동작 신호 생성부(69)에 포함된 스위치가 턴 온되고 전압 분배부(70)가 저항(R2)를 포함하는 경우, 저항(R1)이 포함된 회로는 저항성분은 저항(R1)과 저항(R2)만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때 저항(R1) 일단에 저항(R1)에 연결된 직류 전압 크기의 R1/(R1+R2) 만큼 인가된다. 다만 이 경우는 커넥터(61), 정상 동작 신호 생성부(69) 및 커넥터(205)가 이상적으로 저항 성분을 갖지 않음을 가정한 것이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플러그 온도 감지부(247)는 제어부(270)에 직류 전압을 출력한다. 이때 출력하는 직류 전압의 크기는 도 10(a)의 실시예와 같다.
도 13(b)는 전용 소켓 감지부(67)가 소켓(30)을 전용 소켓으로 감지하고 정상 동작 신호 생성부(69)가 정상 동작 신호를 생성하나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60)가 단선된 경우 플러그(65)와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연결을 보여준다.
이러한 경우 정상 동작 신호 생성부(69)에 포함된 스위치가 턴 오프되는 경우와 같이, 저항(R1)이 포함된 회로는 개방회로가 된다. 따라서 이때 저항(R1) 일단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는 0이다.
따라서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 정상 동작 감지부(245)가 출력하는 전압 값이 0인 경우,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60)가 전용 소켓이 아닌 소켓(30)에 연결되었거나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60)가 단선 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60)가 전용 소켓이 아닌 소켓(30)에 연결되었거나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60)가 단선 된 경우 모두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200)가 동작을 정지하는 것이 안전을 보장을 위해 필요하다. 그러므로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 정상 동작 감지부(245)가 출력하는 전압 값이 0인 경우, 제어부(270)는 충전 동작을 정지할 수 있다.
또한, 저항(R3)이 포함된 회로도 개방회로가 된다. 따라서 이때 저항(R3)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는 0이다. 써미스터 저항(Rt)가 PTC 써미스터인 경우, 플러그 온도 감지부(247)는 플러그(65)의 온도가 지나치게 높아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만, 플러그(65)의 온도가 지나치게 높아진 경우와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60)가 단선된 경우 모두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200)가 동작을 정지하는 것이 안전을 보장을 위해 필요하다. 따라서 플러그 온도 감지부(247)가 출력하는 전압이 0인 경우, 제어부(270)는 충전 동작을 정지할 수 있다.
도 13(c)는 전용 소켓 감지부(67)가 소켓(30)을 전용 소켓으로 감지하고 정상 동작 신호 생성부(69)가 정상 동작 신호를 생성하나 전용 소켓 감지부(67)에 연결된 연결선과 플러그 온도 측정부(71)에 연결된 연결선이 단락된 경우 플러그(65)와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연결을 보여준다.
도 13(C)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전용 소켓 감지부(67)에 연결된 연결선과 플러그 온도 측정부(71)에 연결된 연결선이 단락된 경우 전용 소켓 감지부(67)와 플러그 온도 측정부(71)는 동일한 전압 값을 출력한다. 저항(R1)의 일단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와 저항(R3)의 일단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가 모두 (R1 || R3) X V / (Rt || R2)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어부(270)는 전용 소켓 감지부(67)와 플러그 온도 측정부(71)는 동일한 전압 값을 출력하거나 매우 작은 차이만을 보이는 경우 전용 소켓 감지부(67)에 연결된 연결선과 플러그 온도 측정부(71)에 연결된 연결선이 단락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60)가 합선 등으로 인하여 접지된 경우.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커넥터(205)의 일단은 접지된다. 이러한 경우 저항(R1)이 포함된 회로는 저항성분은 저항(R1)만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때 저항(R1) 일단에 저항(R1)에 연결된 직류 전압이 모두 인가된다.
따라서 도 7 내지 도 11의 실시예와 달리 제어부(270)는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 정상 동작 감지부(245)가 출력하는 전압 값을 통하여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가 접지 되었는지 또는 정상 동작 신호 생성부(69)가 턴 온 된 것인지 구별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온도 감지부(247)는 플러그(65) 내부의 온도가 고온인지 전용 소켓 감지부(67)에 연결된 연결선과 플러그 온도 측정부(71)에 연결된 연결선이 합선 등으로 인하여 단락된 것인지 구별할 수 있다.
저항(R1)에 연결된 직류 전압의 크기를 V라 할 때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60)가 정상 동작하는 경우 저항(R1)의 일단에 V x R1/(R1+R2)의 전압이 인가된다. 따라서 저항(R2)의 저항 값이 저항(R1)의 저항 값보다 지나치게 크다면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60)가 정상 동작하는 경우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 정상 동작 감지부(245)의 출력 값과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60)가 단선 되거나 전용 소켓이 아닌 소켓(30)에 연결되었을 때의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 정상 동작 감지부(245)의 출력 값의 구분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저항(R2)의 저항 값이 저항(R1)의 저항 값보다 지나치게 작다면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60)가 정상 동작하는 경우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 정상 동작 감지부(245)의 출력 값과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60)가 합선 등으로 인하여 단락 되었을 때의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 정상 동작 감지부(245)의 출력 값의 구분이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저항(R1)의 저항 값과 저항(R2)의 저항 값이 크기는 같을 수 있다. 저항(R1)의 저항 값과 저항(R2)의 저항 값이 크기가 같은 경우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60)가 정상 동작하는 경우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 정상 동작 감지부(245)의 출력 값은 V/2이다. 또한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가 합선 등으로 인하여 접지 되었을 때의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 정상 동작 감지부(245)의 출력 값은 V이다. 또한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60)가 단선 되거나 전용 소켓이 아닌 소켓(30)에 연결되었을 때의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 정상 동작 감지부(245)의 출력 값은 0이다. 따라서 저항(R1)과 저항(R2)의 저항 값이 같다면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60)가 정상 동작하는 경우,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가 합선 등으로 인하여 단락 된 경우 및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60)가 단선 되거나 전용 소켓이 아닌 소켓(30)에 연결된 경우의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 정상 동작 감지부(245)의 출력 값이 가장 큰 차이를 보이게 된다. 그러므로 저항(R1)의 저항 값과 저항(R2)의 저항 값이 크기가 같은 경우 측정 값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R3의 저항의 크기와 써미스터 정항의 최대 크기가 같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플러그 온도 감지부(247)가 정상 동작하는 경우 항상 0.5 x V 이하의 값을 유지한다. 따라서 플러그 온도 감지부(247)에 연결된 연결선이 접지되는 경우와 출력 값이 큰 차이를 보이게 되어 측정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동작 방법에 대해서는 도 14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를 이용하여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가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제어부(270)는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 정상 동작 감지부(245)의 출력 값을 측정한다(S501). 구체적으로 제어부(270)는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 정상 동작 감지부(245)의 출력 전압 값을 측정한다.
제어부(270)는 측정된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 정상 동작 감지부(245)의 출력 값이 단선 기준 범위 내인지 판단한다(S503). 단선 기준 범위는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 정상 동작 감지부(245)에 연결된 직류 전압의 크기.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 정상 동작 감지부(245)에 포함된 저항(R1)의 저항 값 및 전압 분배부(70)에 포함된 저항(R2)의 저항 값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단선 기준 기준 범위는 저항(R1)의 저항 값과 저항(R2)의 저항 값이 같은 경우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 정상 동작 감지부(245)에 연결된 직류 전압의 크기의 0.1배보다 작고 0과 같거나 큰 것일 수 있다.
측정된 전압의 값이 단선 기준 범위 내인 경우, 제어부(270)는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60)가 단선 된 것으로 판단한다(S505). 이때 제어부(270)는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동작을 중지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제어부(270)는 이를 LED 등을 통하여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60)의 단선을 외부에 표시할 수 있다.
측정된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 정상 동작 감지부(245)의 출력 값이 단선 기준 범위 밖인 경우, 제어부(270)는 측정된 전압의 값이 접지 단락 기준 범위 내인지 판단한다(S507). 접지 단락 기준 범위는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 정상 동작 감지부(245)에 연결된 직류 전압의 크기.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 정상 동작 감지부(245)에 포함된 저항(R1)의 저항 값 및 전압 분배부(70)에 포함된 저항(R1)의 저항 값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단락 기준 범위는 저항(R1)의 저항 값과 저항(R2)의 저항 값이 같은 경우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 정상 동작 감지부(245)에 연결된 직류 전압의 크기의 0.9배보다 크고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 정상 동작 감지부(245)에 연결된 직류 전압의 크기와 같거나 작은 것일 수 있다.
측정된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 정상 동작 감지부(245)의 출력 값이 접지 단락 기준 범위 내인 경우, 제어부(270)는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60)가 합선 등으로 인하여 접지 단락 된 것으로 판단한다(S509). 이때 제어부(270)는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동작을 중지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제어부(270)는 이를 LED 등을 통하여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60)의 단락을 외부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측정된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 정상 동작 감지부(245)의 출력 값이 정상 동작 범위 내인지 판단한다(S511). 구체적으로 제어부(270)는 측정된 전압 값이 정상 동작 기준 기준 범위 내인지 판단한다. 이때 정상 동작 기준 기준 범위는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 정상 동작 감지부(245)에 연결된 직류 전압의 크기.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 정상 동작 감지부(245)에 포함된 저항(R1)의 저항 값 및 전압 분배부(70)에 포함된 저항(R1)의 저항 값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정상 동작 기준 기준 범위는 저항(R1)의 저항 값과 저항(R2)의 저항 값이 같은 경우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 정상 동작 감지부(245)에 연결된 직류 전압의 크기의 0.3배보다 크고 0.7배인 값보다 같거나 작을 수 있다.
측정된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 정상 동작 감지부(245)의 출력 값이 정상 동작 범위 밖인 경우, 제어부(270)는 처음 단계로 돌아가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 정상 동작 감지부(245)의 값을 측정한다. 이는 노이즈 등에 의하여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 정상 동작 감지부(245)의 출력 값이 변형되어 정상 동작 기준 범위, 단선 기준 범위 및 단락 기준 범위 중 어느 범위에도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측정된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 정상 동작 감지부(245)의 출력 값이 정상 동작 범위 내인 경우, 제어부(270)는 플러그 온도 감지부(247)의 출력 값을 측정한다(S513).
제어부(270)는 측정된 플러그 온도 감지부(247)의 출력 값이 정상 온도 기준 범위 내인지 판단한다(S515).
측정된 플러그 온도 감지부(247)의 출력 값이 정상 온도 기준 범위 밖인 경우, 제어부(270) 충전 전류를 감소 시킨다(S517). 구체적으로 측정된 플러그 온도 감지부(247)의 출력 값이 제1 기준 온도 보다 높은 경우, 제어부(270)는 충전 전류를 일정 정도로 감소 시킬 수 있다. 예컨대, 측정된 플러그 온도 감지부(247)의 출력 값이 제1 기준 온도 보다 높은 경우, 제어부(270)는 충전 전류를 정상 충전 전류의 50% 크기로 감소 시킬 수 있다. 또한 측정된 플러그 온도 감지부(247)의 출력 값이 제1 기준 온도 보다 높은 제2 기준 온도 보다 높은 경우, 제어부(270)는 충전을 중단할 수 있다.
측정된 플러그 온도 감지부(247)의 출력 값이 정상 온도 기준 범위 내인 경우, 플러그 온도 감지부(247)의 출력 값과 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 정상 동작 감지부(245)의 값이 유사한지 판단한다(S519).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용 소켓 감지부에 연결된 연결선과 플러그 온도 측정부에 연결된 연결선이 단락된 경우 이상적으로 플러그 온도 감지부(247)의 출력 값과 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 정상 동작 감지부(245)의 값이 동일하다. 다만, 측정 오차 및 노이즈 등으로 인하여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70)는 플러그 온도 감지부(247)의 출력 값과 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 정상 동작 감지부(245)의 값이 일정 기준 범위 내의 차이를 보이는지 판단한다.
플러그 온도 감지부(247)의 출력 값과 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 정상 동작 감지부(245)의 값이 유사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270)는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가 정상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한다(S521).
플러그 온도 감지부(247)의 출력 값과 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 정상 동작 감지부(245)의 값이 유사한 경우, 제어부(270)는 전용 소켓 감지부에 연결된 연결선과 플러그 온도 측정부에 연결된 연결선이 단락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200)에 연결되는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60)의 플러그(65)는 그리드 측 전원 케이블 어셈블리의 단선으로 인한 고장 및 합선으로 인한 고장을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200)가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플러그 온도 감지부(247)는 플러그(65) 내부의 온도가 고온인지 전용 소켓 감지부(67)에 연결된 연결선과 플러그 온도 측정부(71)에 연결된 연결선이 합선 등으로 인하여 단락된 것인지 구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200)는 화재 및 누전을 방지하여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200)의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5)

  1. 그리드 측의 전력을 이용하여 전기 자동차(electric vehicle, EV)를 충전하는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에 연결되는 그리드 측 케이블 어셈블리의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에 연결되는 소켓이 상기 플러그를 위한 전용 소켓을 감지하는 전용 소켓 감지부;
    상기 전용 소켓의 감지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생성하는 정상 동작 신호 생성부;
    상기 신호가 생성된 경우 전압을 출력하여 상기 그리드 측 케이블 어셈블리가 단락된 경우와 상기 신호가 생성된 경우의 상기 그리드 측 케이블 어셈블리의 출력 전압 값이 상이하도록 하는 전압 분배부; 및
    상기 플러그의 온도를 측정하는 플러그 온도 측정부를 포함하는
    플러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 동작 신호 생성부는
    접지되는 일단을 갖고, 상기 전용 소켓의 감지 여부에 기초하여 턴 온되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압 분배부는
    상기 스위치의 타단에 연결되는 저항을 포함하는
    플러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온도 측정부는 써미스터 저항을 포함하는
    플러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소켓 감지부는
    자기장을 감지하는 자기 센서를 포함하고, 감지되는 자기장에 기초하여 전용 소켓을 감지하는
    플러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소켓 감지부는
    자기장의 극성 및 자기장의 크기에 기초하여 전용 소켓을 감지하는
    플러그.
KR1020140124515A 2014-09-18 2014-09-18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60033512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515A KR20160033512A (ko) 2014-09-18 2014-09-18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4/809,047 US20160082852A1 (en) 2014-09-18 2015-07-24 Cable installment type charging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EP15178580.5A EP2998151A1 (en) 2014-09-18 2015-07-28 Cable installment type charging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2015167497A JP6158873B2 (ja) 2014-09-18 2015-08-27 ケーブル設置型充電制御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CN201510587693.3A CN105449736A (zh) 2014-09-18 2015-09-15 电缆安装型充电控制设备及其操作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515A KR20160033512A (ko) 2014-09-18 2014-09-18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3512A true KR20160033512A (ko) 2016-03-28

Family

ID=53724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4515A KR20160033512A (ko) 2014-09-18 2014-09-18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60082852A1 (ko)
EP (1) EP2998151A1 (ko)
JP (1) JP6158873B2 (ko)
KR (1) KR20160033512A (ko)
CN (1) CN10544973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28181A (zh) * 2017-04-13 2017-06-13 安费诺汽车连接系统(常州)有限公司 电动汽车充电控制装置
WO2017164574A1 (ko) 2016-03-21 2017-09-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기 발광 소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3511A (ko) * 2014-09-18 2016-03-2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9804034B2 (en) * 2014-11-14 2017-10-31 Schneider Electric USA, Inc. EVSE with cordset handle temperature measurement
US9707850B2 (en) 2014-11-18 2017-07-18 Schneider Electric USA, Inc. EVSE handle with automatic thermal shut down by NTC to ground
JP6294903B2 (ja) * 2016-03-22 2018-03-14 株式会社Subaru 車両
US11973361B1 (en) * 2017-03-27 2024-04-30 James K. Wright Overheating protection system
CN207265713U (zh) * 2017-07-28 2018-04-20 特斯拉公司 具有热保护的充电系统
DE102017220142A1 (de) * 2017-11-13 2019-05-16 Robert Bosch Gmbh Prüfeinrichtung für eine Steckverbindung, Steuergerät, Steuersystem
US11506541B2 (en) 2019-01-03 2022-11-22 Aptiv Technologies Limited Temperature monitoring device
JP7418291B2 (ja) 2020-06-19 2024-01-19 NDK SAW devices株式会社 弾性表面波デバイス
CN115891878A (zh) * 2021-08-06 2023-04-04 北京图森智途科技有限公司 用于车辆的供电控制方法、车辆、控制单元和介质
US11705743B2 (en) * 2021-10-30 2023-07-18 Beta Air, Llc Systems and methods for emergency shutdown of an electric charger in response to a disconnection
US11440427B1 (en) 2021-11-01 2022-09-13 Beta Air,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e-charging short circuit detection in electric aircraft
EP4253128A1 (en) * 2022-03-31 2023-10-04 Siemens Aktiengesellschaft Charging station with a charging connector for charging a battery of an electric vehicle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charging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26939B2 (ja) * 2008-09-26 2011-07-20 富士通テン株式会社 制御システム、制御装置、及びケーブル接続状態判定方法
DE102009034886A1 (de) * 2009-07-27 2011-02-03 Rwe Ag Ladekabelstecker zur Verbindung eines Elektrofahrzeuges mit einer Ladestation
JP5555004B2 (ja) * 2010-02-17 2014-07-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充電ケーブル、車両、および車両の充電システム
WO2011152157A1 (ja) * 2010-06-04 2011-12-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制御装置
JP5533632B2 (ja) * 2010-12-21 2014-06-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充電接続装置
JP2012162176A (ja) * 2011-02-07 2012-08-30 Toyota Motor Corp 車両および車両の制御方法
FR2977390B1 (fr) * 2011-06-29 2013-10-11 Legrand France Fiche electrique et ensemble electrique associe.
KR20160033511A (ko) * 2014-09-18 2016-03-2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64574A1 (ko) 2016-03-21 2017-09-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기 발광 소자
CN106828181A (zh) * 2017-04-13 2017-06-13 安费诺汽车连接系统(常州)有限公司 电动汽车充电控制装置
CN106828181B (zh) * 2017-04-13 2023-09-15 安费诺汽车连接系统(常州)有限公司 电动汽车充电控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98151A1 (en) 2016-03-23
JP6158873B2 (ja) 2017-07-05
CN105449736A (zh) 2016-03-30
JP2016063738A (ja) 2016-04-25
US20160082852A1 (en) 2016-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33512A (ko)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60031809A (ko)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
KR20160033511A (ko)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5969646B2 (ja) ケーブル設置型充電制御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KR101821008B1 (ko)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
US9013206B2 (en) Plug-in 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having a process and device for circuit testing
KR20140000455A (ko)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
JP5926327B2 (ja) ケーブル設置型充電制御装置に取り付けられるアドオン通信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US9769741B2 (en) Add-on communication apparatus attached to cable installment type charg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20160325635A1 (en) Electric vehicle externally chargeable by two different methods
EP3640081A1 (en) Vehicle and charging system
KR101769648B1 (ko)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에 부착되는 애드-온 통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501873B1 (ko)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50108140A (ko)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50108276A (ko)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50108278A (ko)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50108141A (ko)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50108279A (ko)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50108139A (ko)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05788025A (zh) 一种智能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