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3315A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3315A
KR20160033315A KR1020140123555A KR20140123555A KR20160033315A KR 20160033315 A KR20160033315 A KR 20160033315A KR 1020140123555 A KR1020140123555 A KR 1020140123555A KR 20140123555 A KR20140123555 A KR 20140123555A KR 20160033315 A KR20160033315 A KR 201600333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power
resistor
supply unit
tran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3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8637B1 (ko
Inventor
김용성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3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8637B1/ko
Publication of KR20160033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3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8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8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7Arrangements or methods related to powering off a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08Power processing, i.e. workload management for processors involved in display operations, such as CPUs or GP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패널, 구동부, 타이밍제어부, 제1전원공급부, 제2전원공급부 및 시퀀스제어부를 포함한다. 표시패널은 영상을 표시한다. 구동부는 표시패널에 구동신호를 공급한다. 타이밍제어부는 구동부를 제어한다. 제1전원공급부는 타이밍제어부에 공급되는 제1전원을 출력한다. 제2전원공급부는 타이밍제어부에 공급되며 제1전원과 다른 레벨을 갖는 제2전원을 출력한다. 시퀀스제어부는 제1 및 제2전원공급부로부터 출력된 제1전원과 제2전원의 라이징 엣지 타임을 조절한다.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사용자와 정보간의 연결 매체인 표시장치의 시장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및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PDP) 등과 같은 표시장치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앞서 설명한 표시장치 중 일부 예컨대, 액정표시장치나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서브 픽셀을 포함하는 표시패널과 표시패널을 구동하는 구동부가 포함된다. 구동부에는 표시패널에 스캔신호(또는 게이트신호)를 공급하는 스캔구동부 및 표시패널에 데이터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 등이 포함된다. 위와 같은 표시장치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서브 픽셀들에 스캔신호 및 데이터신호 등이 공급되면, 선택된 서브 픽셀이 발광을 하게 됨으로써 영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앞서 설명한 표시장치는 전원공급부로부터 출력된 전원을 이용한다. 전원공급부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다양한 레벨의 전원으로 생성 및 출력한다. 전원공급부는 표시장치가 요구하는 파워 온 시퀀스에 대응하여 다양한 레벨의 전원을 정상 레벨로 형성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전원공급부에 포함된 장치들 간의 파워 온 타임이 다른바 이를 표시장치가 요구하는 파워 온 시퀀스에 대응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해 주어야 한다.
상술한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표시장치가 요구하는 파워 온 시퀀스에 대응되도록 전원공급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의 파워 온 타임을 구분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은 표시패널, 구동부, 타이밍제어부, 제1전원공급부, 제2전원공급부 및 시퀀스제어부를 포함한다. 표시패널은 영상을 표시한다. 구동부는 표시패널에 구동신호를 공급한다. 타이밍제어부는 구동부를 제어한다. 제1전원공급부는 타이밍제어부에 공급되는 제1전원을 출력한다. 제2전원공급부는 타이밍제어부에 공급되며 제1전원과 다른 레벨을 갖는 제2전원을 출력한다. 시퀀스제어부는 제1 및 제2전원공급부로부터 출력된 제1전원과 제2전원의 라이징 엣지 타임을 조절한다.
시퀀스제어부는 제1전원보다 높은 레벨을 갖는 제2전원의 출력 타임을 지연할 수 있다.
시퀀스제어부는 제1전원공급부로부터 출력된 제1전원을 이용(또는 참조)하여 제2전원공급부로부터 출력된 제2전원을 제n(n은 1 이상 정수)시간 동안 지연한 후 출력하는 지연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지연회로부는 제1전원공급부로부터 출력된 제1전원이 로직하이 상태로 공급되면 턴온되는 제1트랜지스터와, 제2전원공급부로부터 출력된 제2전원이 로직하이 상태로 공급되면 턴온되는 제2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스위치 회로부와, 스위치 회로부, 제2전원공급부의 출력단, 제1전원공급부의 출력단 및 그라운드라인에 연결된 제1 내지 제7저항기와, 스위치 회로부와 그라운드라인 사이에 연결된 제1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저항기는 제2전원공급부의 출력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제2저항기의 일단에 타단이 연결되고, 제2저항기는 제1저항기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제2트랜지스터의 베이스전극 및 제1트랜지스터의 콜렉터전극에 타단이 연결되고, 제3저항기는 제2전원공급부의 출력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제2트랜지스터의 콜렉터전극 및 제1커패시터의 일단에 타단이 연결되고, 제4저항기는 제2트랜지스터의 콜렉터전극 및 제5저항기의 일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제2전원이 출력되는 제2전원라인에 타단이 연결되고, 제5저항기는 제2트랜지스터의 콜렉터전극 및 제4저항기의 일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제1전원공급부의 출력단 및 제6저항기의 일단에 타단이 연결되고, 제6저항기는 제1전원공급부의 출력단 및 제5저항기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제1트랜지스터의 베이스전극 및 제7저항기의 일단에 타단이 연결되고, 제7저항기는 제6저항기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그라운드라인에 타단이 연결되고, 제1커패시터는 제2트랜지스터의 콜렉터전극, 제3저항기의 타단 및 제4저항기의 일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그라운드라인에 타단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원공급부로부터 출력되는 다양한 레벨의 전원을 표시장치가 요구하는 파워 온 시퀀스에 대응하여 적시에 정상 레벨로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원공급부에 포함된 장치들 간의 파워 온 타임이 다른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므로 이상 클록신호 발생에 따라 표시패널에 플리커(Flicker)나 잔상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소 및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워 온 시퀀스를 조절하는 회로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브 픽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도 1의 표시장치를 모듈화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퀀스제어부를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도 4의 위치별 전원의 출력 상태를 보여주는 파형도.
도 6은 시퀀스제어부와 관련된 장치를 구체화한 블록도.
도 7은 도 6의 위치별 전원의 출력 상태를 보여주는 파형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연회로부와 리셋신호생성부의 회로 구성 예시도.
도 9는 도 8의 회로들에 의해 출력된 전원 및 신호의 파형 예시도.
도 10은 도 8의 지연회로부에 포함된 수동소자의 가변에 따른 파워 온 시퀀스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브 픽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1의 표시장치를 모듈화한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장치에는 영상공급부(110), 타이밍제어부(120), 스캔구동부(130), 데이터구동부(140), 표시패널(150), 전원공급부(160) 및 시퀀스제어부(170)가 포함된다.
영상공급부(110)는 데이터신호를 영상처리하고 수직 동기신호, 수평 동기신호,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및 클럭신호 등과 함께 출력한다. 영상공급부(110)는 수직 동기신호, 수평 동기신호,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클럭신호 및 데이터신호 등을 타이밍제어부(120)에 공급한다.
타이밍제어부(120)는 영상공급부(110)로부터 데이터신호 등을 공급받고, 스캔구동부(13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GDC)와 데이터구동부(14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를 출력한다. 타이밍제어부(120)는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와 함께 데이터신호(DATA)를 데이터구동부(140)에 공급한다.
스캔구동부(130)는 타이밍제어부(120)로부터 공급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GDC)에 응답하여 게이트전압의 레벨을 시프트시키면서 스캔신호를 출력한다. 스캔구동부(130)에는 레벨 시프터와 시프트 레지스터가 포함된다. 스캔구동부(130)는 스캔라인들(GL1 ~ GLm)을 통해 표시패널(150)에 포함된 서브 픽셀들(SP)에 스캔신호를 공급한다. 스캔구동부(130)는 표시패널(150)에 게이트인패널(Gate In Panel) 방식으로 형성된다.
데이터구동부(140)은 타이밍제어부(120)로부터 공급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에 응답하여 데이터신호(DATA)를 샘플링하고 래치하며 감마 기준전압에 대응하여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데이터구동부(140)는 데이터라인들(DL1 ~ DLn)을 통해 표시패널(150)에 포함된 서브 픽셀들(SP)에 데이터신호(DATA)를 공급한다. 데이터구동부(140)는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 IC) 형태로 형성된다.
표시패널(150)은 스캔구동부(130)와 데이터구동부(140)를 포함하는 구동부로부터 출력된 스캔신호와 데이터신호(DATA)를 포함하는 구동신호에 대응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표시패널(150)에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빛을 발광하거나 외부의 빛을 제어하는 서브 픽셀들(SP)이 포함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서브 픽셀에는 스캔라인(GL1)과 데이터라인(DL1)에 연결(또는 교차부에 형성된)된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SW)와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SW)를 통해 공급된 데이터신호(DATA)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픽셀회로(PC)가 포함된다. 서브 픽셀들(SP)은 픽셀회로(PC)의 구성에 따라 액정소자를 포함하는 액정표시패널로 구성되거나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패널로 구성된다.
표시패널(150)이 유기발광표시패널로 구성된 경우, 이는 전면발광(Top-Emission) 방식, 배면발광(Bottom-Emission) 방식 또는 양면발광(Dual-Emission) 방식으로 구현된다. 표시패널(150)이 액정표시패널로 구성된 경우, 이는 TN(Twisted Nematic) 모드, VA(Vertical Alignment) 모드, IPS(In Plane Switching) 모드, FF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 또는 ECB(Electrically Controlled Birefringence) 모드로 구현된다.
전원공급부(160)는 타이밍제어부(120), 스캔구동부(130), 데이터구동부(140) 및 표시패널(150)에 공급할 전원을 생성 및 출력한다. 전원공급부(160)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다양한 레벨의 전원으로 생성 및 출력한다.
시퀀스제어부(170)는 표시장치가 요구하는 파워 온 시퀀스에 대응하여 전원공급부(160)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의 시퀀스를 제어한다. 시퀀스제어부(170)는 특히 타이밍제어부(120)에 공급할 제1전원(Vcc1) 및 제2전원(Vcc2)과 더불어 리셋신호(Rs)를 제어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장치는 시스템보드(115), 타이밍회로보드(125), 케이블(111), 구동회로보드(135a, 135b, 145a, 1450b) 및 표시패널(150)로 구성되어 모듈 형태로 제작된다.
시스템보드(115)에는 영상처리부(110)와 메인전원공급부(190)가 형성된다. 영상처리부(110)는 집적회로(IC) 형태로 시스템보드(115) 상에 실장된다. 메인전원공급부(190)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메인전원공급부(190)로부터 출력된 직류전원은 영상처리부(110)와 전원공급부(160) 등에 공급된다. 시스템보드(115)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이나 연성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으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케이블(111)은 시스템보드(115)와 타이밍회로보드(125)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케이블(111)은 연성플랫케이블(Flexible Flat Cable; FFC)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타이밍회로보드(125)에는 타이밍제어부(120), 전원공급부(160) 및 시퀀스제어부(170)가 형성된다. 타이밍제어부(120)와 전원공급부(160)는 집적회로(IC) 형태로 타이밍회로보드(125) 상에 실장된다. 시퀀스제어부(170)는 집적회로(IC)와 수동소자가 조합된 형태로 타이밍회로보드(125) 상에 실장된다.
전원공급부(160)는 메인전원공급부(190)로부터 공급된 직류전원을 기반으로 전원을 생성 및 출력한다. 타이밍회로보드(125)는 인쇄회로기판(PCB)이나 연성회로기판(FPCB)으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동회로보드(135a, 135b, 145a, 1450b)에는 스캔구동부(130a, 130b)와 데이터구동부(140a, 140b)가 형성된다. 스캔구동부(130a, 130b)와 데이터구동부(140a, 140b)는 집적회로(IC) 형태로 구동회로보드(135a, 135b, 145a, 1450b) 상에 실장된다. 구동회로보드(135a, 135b, 145a, 1450b)는 인쇄회로기판(PCB)이나 연성회로기판(FPCB)으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동회로보드(135a, 135b, 145a, 1450b)는 스캔구동부(130a, 130b)가 실장된 제1구동회로보드(135a, 135b)와 데이터구동부(140a, 140b)가 실장된 제2구동회로보드(145a, 145b)로 구분된다.
제1구동회로보드(135a, 135b)는 표시패널(150)의 좌측에 연결되고, 제2구동회로보드(145a, 145b)는 표시패널(150)의 상측에 연결된 것을 일례로 하였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 표시패널(150)의 해상도 및 크기에 대응하여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스캔구동부(130a, 130b)가 게이트인패널 형태로 표시패널(150)의 베젤영역에 형성된 경우, 제1구동회로보드(135a, 135b)는 생략된다.
이하, 전원공급부(160) 및 시퀀스제어부(170)와 관련된 설명을 구체화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퀀스제어부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5는 도 4의 위치별 전원의 출력 상태를 보여주는 파형도이며, 도 6은 시퀀스제어부와 관련된 장치를 구체화한 블록도이고, 도 7은 도 6의 위치별 전원의 출력 상태를 보여주는 파형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부(160)에는 제1전원공급부(161)와 제2전원공급부(163)가 포함된다. 제1전원공급부(161)와 제2전원공급부(163)는 메인전원공급부(190)로부터 공급된 직류전원(Vcc)을 기반으로 서로 다른 레벨의 직류전원을 생성한다.
제1전원공급부(161)는 입력되는 전원보다 낮은 전원을 생성 및 출력한다. 제1전원공급부(161)는 BUCK으로 불릴 수 있다. 반면, 제2전원공급부(163)는 입력되는 전원과 동일하거나 높은 전원을 생성 및 출력한다. 제2전원공급부(163)는 LDO로 불릴 수 있다. 제1전원공급부(161)로부터 생성된 제1전원은 제1전원라인(VCC1)을 통해 그대로 출력된다.
시퀀스제어부(170)에는 리셋신호생성부(177)와 지연회로부(175)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는 리셋신호생성부(177)와 지연회로부(175)가 시퀀스제어부(170)에 포함되는 것을 일례로 하였다. 하지만, 리셋신호생성부(177)는 시퀀스제어부(170)에 포함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리셋신호생성부(177)는 제1전원공급부(161)로부터 출력된 전원을 제m(m은 1 이상 정수)시간 동안 지연한 후 리셋신호로 출력한다. 리셋신호생성부(177)는 리셋신호라인(RS)을 통해 리셋신호를 출력한다.
지연회로부(175)는 제1전원공급부(161)로부터 출력된 전원을 이용(또는 참조)하여 제2전원공급부(163)로부터 출력된 전원을 제n(n은 1 이상 정수)시간 동안 지연한 후 제2전원으로 출력한다. 지연회로부(175)는 제2전원라인(VCC2)을 통해 제2전원을 출력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전원공급부(161)와 제2전원공급부(163)는 메인전원공급부(190)로부터 출력된 직류전원(Vcc)을 기반으로 제1전원과 제2전원을 생성한다.
제2전원공급부(163)의 출력 전원(163_O)은 직류전원(Vcc)의 정상 레벨로부터 "t1" 시간이 지난 이후 정상 레벨에 도달한다. 그리고 제1전원공급부(161)의 출력 전원(161_O)은 제2전원의 정상 레벨로부터 "t2" 시간이 지난 이후 정상 레벨에 도달한다. 즉, 제1전원공급부(161)보다 제2전원공급부(163)의 전원 출력 타임이 더 빠르다.
이와 같은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전원공급부(161)는 소프트 스타트 등을 이유로 파워 온 타임에 걸리는 시간이 필요한 특성이 있는 반면, 제2전원공급부(163)는 일정 전압이 공급되면 즉시 동작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두 전원공급부 간에는 출력 타임이 다르게 나타난다. 아울러, 제1전원공급부(161)는 입력되는 전원보다 낮은 전원을 생성 및 출력하고, 제2전원공급부(163)는 입력되는 전원보다 높은 전원을 생성 및 출력하는 이유도 더불어 존재한다.
제1전원공급부(161)와 제2전원공급부(163)로부터 생성된 제1전원과 제2전원은 타이밍제어부에 공급된다. 타이밍제어부는 제1전원과 제2전원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듀얼 전원 구동형으로 구현된다.
타이밍제어부는 제2전원공급부(163)로부터 출력되는 제2전원보다 제1전원공급부(161)로부터 출력되는 제1전원을 먼저 공급받아야만 내부의 코어회로가 정상 동작을 하게 되고 이후 다른 입출력 장치들 또한 정상 동작을 하게 된다.
하지만, 제2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제1전원이 비 인가될 경우, 타이밍제어부의 입출력 패드가 알 수 없는(Un-known) 상태가 된다. 때문에, 타이밍제어부는 자신의 입출력 패드를 통해 이상 클록신호(Abnormal CLK)를 출력하게 된다. 이 경우, 타이밍제어부로부터 제어를 받는 스캔구동부나 데이터구동부 또한 이상 동작을 하게 되고 표시장치의 전반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 때문에, 지연회로부(175)는 제2전원공급부(163)의 출력 전원(163_O)이 먼저 정상 레벨에 도달할 수 있도록 제1전원공급부(161)의 출력 전원(161_O)의 파워 온 타임을 지연하는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전원공급부(161)는 예컨대 1.8V의 제1전원을 생성 및 출력하고, 제1전원공급부(161)는 예컨대 3.3V의 제2전원을 생성 및 출력한다.
제1전원라인(VCC1)은 제1전원공급부(161)의 출력단과 타이밍제어부(120)의 제1전원단(V_Core)에 연결된다. 아울러, 제1전원라인(VCC1)은 리셋신호생성부(177)와 지연회로부(175)의 입력단에 각각 연결된다. 이로 인하여, 제1전원공급부(161)로부터 출력된 제1전원은 타이밍제어부(120)의 제1전원단(V_Core), 리셋신호생성부(177)의 입력단 및 지연회로부(175)의 입력단에 공급된다.
제2전원공급부(163)의 출력단은 지연회로부(175)의 입력단에 연결된다. 제2전원라인(VCC2)은 지연회로부(175)의 출력단과 타이밍제어부(120)의 제2전원단(V_Tcn)에 연결된다. 이로 인하여, 제2전원공급부(163)로부터 출력된 제2전원은 지연회로부(175)에 의해 지연된 이후 타이밍제어부(120)의 제2전원단(V_Tcn)에 공급된다.
리셋신호라인(RS)은 리셋신호생성부(177)의 출력단과 타이밍제어부(120)의 리셋신호단(RESET)에 연결된다. 이로 인하여, 리셋신호생성부(177)로부터 출력된 리셋신호는 타이밍제어부(120)의 리셋신호단(RESET)에 공급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은 형태로 회로가 구성됨에 따라, 앞서 설명된 장치들 간의 파워 온 시퀀스는 도 7과 같은 흐름으로 일어나게 된다.
제2전원공급부(163)로부터 출력되는 제2전원은 "1. LDO" 파형과 같이 파워 온 타임이 가장 빠르게 나타난다. 하지만, 제2전원공급부(163)로부터 출력되는 제2전원은 지연회로부(175)에 의해 파워 온 타임이 지연됨에 따라 "4. VCC_T" 파형과 같이 제1전원공급부(161)로부터 출력되는 제1전원대비 파워 온 타임이 늦어진다.
제1전원공급부(161, Buck), 제2전원공급부(163, LDO), 리셋신호생성부(177, Reset) 및 지연회로부(175, VCC_T)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전원의 파워 온 시퀀스를 정리해 보면, 1. LDO -> 2. Buck -> 4. VCC_T -> 3. Reset의 순서가 된다.
이때, 1. LDO, 2. Buck, 4. VCC_T, 3. Reset 간의 지연 시간(t1, t2, t3)과 이들의 파형에 나타나는 기울기는 도 7에 한정되지 않고 내부 회로의 구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참고한다.
이하, 앞서 설명된 지연회로부(175)와 리셋신호생성부(177)에 대한 회로 구성을 구체화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연회로부와 리셋신호생성부의 회로 구성 예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회로들에 의해 출력된 전원 및 신호의 파형 예시도이며, 도 10은 도 8의 지연회로부에 포함된 수동소자의 가변에 따른 파워 온 시퀀스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연회로부(175)에는 스위치 회로(176), 제1 내지 제7저항기들(R1 ~ R7) 및 제1커패시터(C1)가 포함된다.
스위치 회로(176)는 2개의 트랜지스터(T1, T2)로 이루어진다. 제1트랜지스터(T1)는 제1전원공급부(161)로부터 출력된 제1전원이 로직하이 상태로 공급되면 턴온된다. 제1트랜지스터(T1)가 턴온되면 제2전원공급부(163)로부터 출력된 제2전원은 지연회로부(175)의 출력단에 연결된 제2전원라인(VCC2)을 통해 출력된다.
제2트랜지스터(T2)는 제2전원공급부(163)로부터 출력된 제2전원이 로직하이 상태로 공급되면 턴온된다. 제2트랜지스터(T2)가 턴온되면 제2전원공급부(163)로부터 출력된 제2전원은 지연회로부(175)의 그라운드라인(GND)을 통해 방전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이 동작하는 스위치 회로(176)를 이용함으로써, 파워 온 시퀀스를 조절하는 회로의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고 또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지연회로부(175)가 위와 같이 동작하기 위해 스위치 회로(176)에 포함된 2개의 트랜지스터(T1, T2), 제1 내지 제7저항기들(R1 ~ R7) 및 제1커패시터(C1)는 다음과 같은 접속 관계를 가져야 한다.
제1트랜지스터(T1)는 제6저항기(R6)의 타단과 제7저항기(R7)의 일단에 베이스전극(B1)이 연결되고 그라운드라인(GND)에 에미터전극(E1)이 연결되고 제2저항기(R2)의 타단 및 제2트랜지스터(T2)의 베이스전극(B2)에 콜렉터전극(C1)이 연결된다.
제2트랜지스터(T2)는 제2저항기(R2)의 타단 및 제1트랜지스터(T1)의 콜렉터전극(C1)에 베이스전극(B2)이 연결되고 그라운드라인(GND)에 에미터전극(E1)이 연결되고 제3저항기(R3)의 타단, 제4저항기(R4)의 일단 및 제5저항기(R5)의 일단에 콜렉터전극(C2)이 연결된다.
제1저항기(R1)는 제2전원공급부(163)의 출력단(VCC33)에 일단이 연결되고 제2저항기(R2)의 일단에 타단이 연결된다. 제2저항기(R2)는 제1저항기(R1)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제2트랜지스터(T2)의 베이스전극(B2) 및 제1트랜지스터(T1)의 콜렉터전극(C1)에 타단이 연결된다.
제3저항기(R3)는 제2전원공급부(163)의 출력단(VCC33)에 일단이 연결되고 제2트랜지스터(T2)의 콜렉터전극(C2) 및 제1커패시터(C1)의 일단에 타단이 연결된다. 제4저항기(R4)는 제2트랜지스터(T2)의 콜렉터전극(C2) 및 제5저항기(R5)의 일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제2전원라인(VCC2)에 타단이 연결된다.
제5저항기(R5)는 제2트랜지스터(T2)의 콜렉터전극(C2) 및 제4저항기(R4)의 일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제1전원공급부(161)의 출력단(VCC1) 및 제6저항기(R6)의 일단에 타단이 연결된다. 제6저항기(R6)는 제1전원공급부(161)의 출력단(VCC1) 및 제5저항기(R5)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제1트랜지스터(T1)의 베이스전극(B1) 및 제7저항기(R7)의 일단에 타단이 연결된다.
제7저항기(R7)는 제6저항기(R6)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그라운드라인(GND)에 타단이 연결된다. 제1커패시터(C1)는 제2트랜지스터(T2)의 콜렉터전극(C2), 제3저항기(R3)의 타단 및 제4저항기(R4)의 일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그라운드라인(GND)에 타단이 연결된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제1트랜지스터(T1)가 턴온되면 제2전원공급부(163)로부터 출력된 제2전원은 지연회로부(175)의 출력단에 연결된 제2전원라인(VCC2)을 통해 출력된다. 반면, 제2트랜지스터(T2)가 턴온되면 제2전원공급부(163)로부터 출력된 제2전원은 지연회로부(175)의 그라운드라인(GND)을 통해 방전된다.
결국, 지연회로부(175)는 제1전원공급부(161)의 출력단(VCC1)으로부터 제1전원을 공급받아야만 제2전원공급부(163)로부터 출력된 제2전원을 출력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제1전원과 제2전원 간의 파워 온 시퀀스를 설명하면 지연회로부(175)에 의해 제2전원의 출력이 지연됨에 따라 제1전원이 제2전원보다 앞서는 것으로 정리된다.
한편, 리셋신호생성부(177)에는 제8저항기(R8), 제9저항기(R9) 및 제2커패시터(C2)가 포함된다.
제8저항기(R8)는 제1전원공급부(161)의 출력단(VCC1)에 일단이 연결되고 제9저항기(R9)의 일단 및 제2커패시터(C2)의 일단에 타단이 연결된다. 제9저항기(R9)는 제8저항기(R8)의 타단 및 제2커패시터(C2)의 일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리셋신호라인(RS)에 타단이 연결된다. 제2커패시터(C2)는 제8저항기(R8)의 타단 및 제9저항기(R9)의 일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그라운드라인(GND)에 타단이 연결된다.
리셋신호생성부(177)는 제8저항기(R8), 제9저항기(R9) 및 제2커패시터(C2)의 RC 지연(RC Delay)값(또는 RC 시정수)에 대응하여 제1전원공급부(161)의 출력단(VCC1)을 통해 출력된 제1전원을 지연한 후 리셋신호로 출력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전원공급부(161) 및 제2전원공급부(163)의 후단에 지연회로부(175)와 리셋신호생성부(177)를 포함하는 시퀀스제어부(170)를 구성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전원(Vcc1), 제2전원(Vcc2) 및 리셋신호(Rs)의 출력 타임(더욱 구체적으로는 라이징 엣지 타임)을 (a)->(b)-(c)의 순으로 결정한다.
한편, 지연회로부(175)로부터 출력되는 제2전원의 라이징 엣지 타임은 제3 및 제4저항기(R3, R4)의 저항값의 합에 의해 결정된다. 즉, 지연회로부(175)로부터 출력되는 제2전원의 라이징 엣지 타임은 제3 및 제4저항기(R3, R4)의 저항값의 합에 의해 조절된다.
도 10의 (a)와 같이 타이밍제어부의 제1전원단과 제2전원단에 공급되는 제1전원(VCC18)과 제2전원(VCC_T)의 라이징 엣지 타임은 동시에 일어날 수 있다. 이는 제3 및 제4저항기(R3, R4)의 저항값의 합이 0이 될 경우에 나타날 수 있다.
도 10의 (b)와 같이 타이밍제어부의 제1전원단에 공급되는 제1전원(VCC18)의 라이징 엣지 타임은 타이밍제어부의 제2전원단에 공급되는 제2전원(VCC_T)의 라이징 엣지 타임보다 약간 빨리 일어날 수 있다. 이는 제3 및 제4저항기(R3, R4)의 저항값의 합이 i㏀(i는 1 이상 실수)이 될 경우에 나타날 수 있다.
도 10의 (c)와 같이 타이밍제어부의 제1전원단에 공급되는 제1전원(VCC18)의 라이징 엣지 타임은 타이밍제어부의 제2전원단에 공급되는 제2전원(VCC_T)의 라이징 엣지 타임보다 더 빨리 일어날 수 있다. 이는 제3 및 제4저항기(R3, R4)의 저항값의 합이 j㏀(j는 i보다 큰 실수)이 될 경우에 해당한다.
도 10의 예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전원(VCC18)의 라이징 엣지 타임이 제2전원(VCC_T)의 라이징 엣지 타임보다 빨리 일어나야 한다. 그러므로, 지연회로부(175)에 포함된 제3 및 제4저항기(R3, R4)의 저항값의 합을 0 이상으로 하되, i㏀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은 전원공급부로부터 출력되는 다양한 레벨의 전원을 표시장치가 요구하는 파워 온 시퀀스에 대응하여 적시에 정상 레벨로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원공급부에 포함된 장치들 간의 파워 온 타임이 다른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므로 이상 클록신호 발생에 따라 표시패널에 플리커(Flicker)나 잔상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소 및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워 온 시퀀스를 조절하는 회로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영상공급부 120: 타이밍제어부
130: 스캔구동부 140: 데이터구동부
150: 표시패널 160: 전원공급부
170: 시퀀스제어부 161: 제1전원공급부
163: 제2전원공급부 177: 리셋신호생성부
175: 지연회로부 176: 스위치 회로
R1 ~ R9: 제1 내지 제9저항기들
C1: 제1커패시터 C2: 제2커패시터

Claims (5)

  1.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에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타이밍제어부;
    상기 타이밍제어부에 공급되는 제1전원을 출력하는 제1전원공급부;
    상기 타이밍제어부에 공급되며 상기 제1전원과 다른 레벨을 갖는 제2전원을 출력하는 제2전원공급부; 및
    상기 제1 및 제2전원공급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1전원과 상기 제2전원의 라이징 엣지 타임을 조절하는 시퀀스제어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제어부는
    상기 제1전원보다 높은 레벨을 갖는 상기 제2전원의 출력 타임을 지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제어부는
    상기 제1전원공급부로부터 출력된 제1전원을 이용(또는 참조)하여 상기 제2전원공급부로부터 출력된 제2전원을 제n(n은 1 이상 정수)시간 동안 지연한 후 출력하는 지연회로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회로부는
    상기 제1전원공급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1전원이 로직하이 상태로 공급되면 턴온되는 제1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전원공급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2전원이 로직하이 상태로 공급되면 턴온되는 제2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스위치 회로부와,
    상기 스위치 회로부, 상기 제2전원공급부의 출력단, 제1전원공급부의 출력단 및 그라운드라인에 연결된 제1 내지 제7저항기와,
    상기 스위치 회로부와 상기 그라운드라인 사이에 연결된 제1커패시터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항기는 상기 제2전원공급부의 출력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저항기의 일단에 타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저항기는 상기 제1저항기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트랜지스터의 베이스전극 및 상기 제1트랜지스터의 콜렉터전극에 타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3저항기는 상기 제2전원공급부의 출력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트랜지스터의 콜렉터전극 및 상기 제1커패시터의 일단에 타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4저항기는 상기 제2트랜지스터의 콜렉터전극 및 상기 제5저항기의 일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전원이 출력되는 제2전원라인에 타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5저항기는 상기 제2트랜지스터의 콜렉터전극 및 상기 제4저항기의 일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1전원공급부의 출력단 및 상기 제6저항기의 일단에 타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6저항기는 상기 제1전원공급부의 출력단 및 상기 제5저항기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1트랜지스터의 베이스전극 및 상기 제7저항기의 일단에 타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7저항기는 상기 제6저항기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그라운드라인에 타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1커패시터는 상기 제2트랜지스터의 콜렉터전극, 상기 제3저항기의 타단 및 상기 제4저항기의 일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그라운드라인에 타단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KR1020140123555A 2014-09-17 2014-09-17 표시장치 KR102238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3555A KR102238637B1 (ko) 2014-09-17 2014-09-17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3555A KR102238637B1 (ko) 2014-09-17 2014-09-17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3315A true KR20160033315A (ko) 2016-03-28
KR102238637B1 KR102238637B1 (ko) 2021-04-12

Family

ID=57007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3555A KR102238637B1 (ko) 2014-09-17 2014-09-17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863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188A (ko) * 2016-06-30 2018-01-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led 표시 장치
KR20180039507A (ko) * 2016-10-10 2018-04-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200082385A (ko) * 2018-12-28 2020-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파워 관리 집적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1485B1 (ko) * 2004-05-31 2005-10-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의 전원 제어 방법
KR20070115538A (ko) * 2006-06-03 2007-12-06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0894606B1 (ko) * 2007-10-29 2009-04-2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전원 공급 방법
JP2010117654A (ja) * 2008-11-14 2010-05-27 Toshiba Tec Corp 電子機器
KR20130107916A (ko) * 2012-03-23 2013-10-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전원 공급 장치와 그 방법
KR20140000752A (ko) * 2012-06-25 2014-01-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원 공급부 및 그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1485B1 (ko) * 2004-05-31 2005-10-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의 전원 제어 방법
KR20070115538A (ko) * 2006-06-03 2007-12-06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0894606B1 (ko) * 2007-10-29 2009-04-2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전원 공급 방법
JP2010117654A (ja) * 2008-11-14 2010-05-27 Toshiba Tec Corp 電子機器
KR20130107916A (ko) * 2012-03-23 2013-10-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전원 공급 장치와 그 방법
KR20140000752A (ko) * 2012-06-25 2014-01-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원 공급부 및 그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188A (ko) * 2016-06-30 2018-01-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led 표시 장치
KR20180039507A (ko) * 2016-10-10 2018-04-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200082385A (ko) * 2018-12-28 2020-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파워 관리 집적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8637B1 (ko) 2021-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7114B2 (en)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10157574B2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10276117B2 (en) Gate line driving circuit, circuit for outputting an emission control signal, and display device
KR102276246B1 (ko)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101281926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50076027A (ko) 표시장치와 그의 게이트 쉬프트 레지스터 초기화방법
KR20190076219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20472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20170037190A (ko) 드라이버ic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US20160171915A1 (en) Gate Driving Circu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80066375A (ko) 시프트 레지스터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20160129216A (ko) 표시장치
KR102455584B1 (ko) Oled 표시패널과 이를 이용한 oled 표시 장치
KR20140033834A (ko) 전원 라인 배치 방법, 이를 채용하는 표시 패널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238637B1 (ko) 표시장치
JP2018092140A (ja)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電子機器
KR102364096B1 (ko) 표시장치
KR20070115020A (ko) 표시장치
KR20180073788A (ko) 표시소자, 표시장치 및 데이터 구동부
KR20140134532A (ko)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클록신호 발생회로
KR102315966B1 (ko) 표시장치
KR101633119B1 (ko) 백라이트유닛과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20090060042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060127504A (ko) 공통 전압 피드백 회로를 포함한 소스 드라이버를 가지는액정 표시 장치
KR102242651B1 (ko)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