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2647A - 전자 라벨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라벨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2647A
KR20160032647A KR1020140129642A KR20140129642A KR20160032647A KR 20160032647 A KR20160032647 A KR 20160032647A KR 1020140129642 A KR1020140129642 A KR 1020140129642A KR 20140129642 A KR20140129642 A KR 20140129642A KR 20160032647 A KR20160032647 A KR 201600326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roduct
purchase
electronic label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9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석
원종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032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26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381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identifiers, e.g. barcodes,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Customer relationship services
    • G06Q30/015Providing customer assistance, e.g. assisting a customer within a business location or via helpdesk
    • G06Q30/016After-sa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9Item lo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상품의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 좀 더 자세히는 고객이 관심을 보인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컴퓨팅 기술이 개신된다. 휴대 단말은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 정보로부터 상품 정보를 획득 한다. 서비스 서버는 태깅 정보로부터 관심 상품 리스트를 생성한다. 휴대 단말은 관심 상품 리스트에 나열된 상품 중 고객에 의해 선택된 상품 정보를 서비스 서버로 송신한다.
고객이 이미 구입한 상품의 동종 상품 중에서 고객이 관심을 보인 상품의 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마케팅 전략에 활용되어 매장의 매출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라벨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Product information tracing method utilizing an electronic shelf label}
상품의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 좀 더 자세히는 고객이 관심을 보인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컴퓨팅 기술이 개신된다.
매장내 매대에 부착된 종이 라벨은 전자 라벨이 표시하는 상품 정보가 변경될 때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 및 교체로 인한 환경 문제가 있다. 종이 라벨을 대체하여 상품 정보를 전자적으로 표시하며, 표시 정보를 변경하여 갱신할 상품 정보를 표시하는 전자 라벨(Electronic information label: ESL)이 알려져 있다. 전자 라벨은 게이트웨이를 통해 서버로부터 표시할 상품 정보를 수신한다.
가정에서 고객이 구매한 상품으로부터 평소 관심을 기울였던 동종 상품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가정에서 고객이 구매한 상품으로부터 구매 상품의 정보를 제공하여 재 구매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
매장에 진열된 상품에 대한 고객의 관심 행위, 예를 들어 단말기로 관심 있는 상품 정보를 표시하는 전자 라벨을 태깅(Tagging)한 정보 또는 상품을 구매한 정보를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마케팅에 활용할 필요가 있으며, 고객이 구매하거나 관심을 보인 상품, 동종 상품 정보, 다른 고객들이 관심을 갖은 동종 상품 정보 등을 고객이 필요할 때 제공함으로써 상품 구매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
제안된 발명은 상품에 대한 고객의 관심 행위 정보를 이용하여 동종 상품의 상품 정보를 제공하고 고객의 구매 선택을 용이하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제안된 발명은 고객이 이미 구매한 상품에 대한 관심 행위가 있을 때, 관심의 대상이 된 상품의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재 구매 및 수리를 용이하게 함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일 양상에 있어서, 휴대 단말은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 정보로부터 상품 정보를 획득 한다. 서비스 서버는 태깅 정보로부터 관심 상품 리스트를 생성한다.
또 다른 양상에 있어서, 관심 상품 리스트는 상품의 가격 및 판매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 있어서, 고객은 휴대 단말기에 표시된 관심 상품 리스트에 나열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 있어서, 휴대 단말은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로부터 상품 정보를 획득 하고, 서비스 서버는 상품 정보를 통해 상품 구매 상세 정보를 생성하여 휴대 단말로 송신한다.
또 다른 양상에 있어서, 구매 상세 정보는 상품의 가격 및 판매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 있어서, 고객은 휴대 단말기에 표시된 구매 상세 정보의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 있어서, 고객은 휴대 단말기에 표시된 구매 상세 정보의 상품의 수리 요구를 할 수 있다.
고객이 이미 구입한 상품의 동종 상품 중에서 고객이 관심을 보인 상품의 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마케팅 전략에 활용되어 매장의 매출을 증대시킬 수 있다.
고객이 이미 구매한 상품과 동일한 상품의 구매 관련 상세 정보를 제공하여 신속하게 재 구매를 유도하고 A/S를 용이하게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라벨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라벨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 및 관심 상품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말기를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축적된 태깅 정보를 도시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관심 상품 리스트를 도시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결재 창을 표시하는 휴대 단말기를 도시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라벨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라벨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다.
도 9은 일 실시예에 따른 매장에서 관리하는 상품 구매 정보를 도시한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매장에서 관리하는 서비스 서버가 수신한 상품 정보로부터 생성된 구매 상세 정보를 도시한다.
도 11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라벨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라벨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 전체시나리오를 도시한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들을 통해 구체화된다. 각 실시예들의 구성 요소들은 다른 언급이나 상호간에 모순이 없는 한 실시예 내에서 다양한 조합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라벨 관리 서버(110)는 게이트웨이(130)를 통해 복수의 전자 라벨들(171-1,171-2,...,171-N)과 통신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라벨 관리 서버(110)와 게이트웨이(130)는 유선으로 연결되고, 게이트웨이(130)와 그 게이트웨이에 속한 그룹의 전자 라벨들(171-1,171-2,...,171-N)은 근거리 무선 통신, 예를 들면 IEEE 802.15.4 표준에 따른 PHY/MAC 계층 위에서 정의된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한다.
전자 정보 라벨들은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되고 그룹별로 상품 정보가 갱신된다. 동일한 게이트웨이(130)를 통해 관리되는 전자 정보 라벨들(171-1,171-2,...,171-N)이 하나의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자 정보 라벨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서 전자 정보 라벨들은 정보 갱신에 필요한 웨이크업(wakeup) 기간을 제외하고는 슬립(sleep) 상태를 유지한다. 또 흔히 디스플레이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정보 표시 상태를 유지하는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EPD: Electronic Paper Display)를 사용한다. 웨이크업 기간 중 전자 정보 라벨은 라벨 관리 서버로부터의 통신을 리스닝(listening)하며, 라벨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할 데이터가 있는 경우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140)는 관심 상품의 정보를 관리하고 처리한다. 사용자가 휴대하는 휴대 단말(150)은 예를 들면 휴대폰, 태블릿,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통신 단말일 수 있다. 서비스 서버(140)는 입고되는 상품 정보를 등록하고, 상품의 판매를 처리하며 재고를 관리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판매 관리 데이터베이스(141)는 상품명, 상품 코드, 가격을 포함하는 상품 정보와, 할인율, 재고 등의 정보를 저장한다. 새로운 상품이 입고되거나 매장으로부터 퇴출되는 등의 이유로 상품이 변경되는 경우 라벨 관리 서버(110)는 판매 관리 서버(140)로부터 변경된 정보를 수신하여 동기화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라벨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를 포함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는 리더기로 태깅시 태깅 정보를 제공한다. 태깅 정보는 태깅한 전자 라벨에 표시된 상품 정보의 상품을 직간접적으로 특정할 수 있는 정보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150)은 전자 라벨에 내장된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를 읽어 들일 수 있는 리더기를 내장한다. 사용자가 휴대 단말(150)로 전자 라벨을 태깅 하면, 리더기는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로부터 태깅 정보를 획득한다. 휴대 단말(150)은 서비스 서버(140)와, 예를 들면 이동 통신망 혹은 무선 인터넷(Wi??Fi) 망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라벨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다. 도 2에 따르면 고객은 매장에서 관심 있는 상품을 발견하면, 관심 있는 상품의 정보를 표시하는 전자 라벨을 자신의 휴대 단말기로 태깅 한다(단계 207). 고객들의 태깅 행위는 새로운 태깅 정보로 생성되어 서비스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 누적된다(단계 251). 고객은 가정에서 특정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를 휴대 단말로 읽으면(단계 235) 관심 상품 리스트를 휴대 단말기에서 확인 할 수 있다(단계 233). 고객이 관심 상품 리스트에 나열된 상품 중 특정 상품을 선택하여 구매가 이루어 질 수 있다(단계 239, 단계 265).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라벨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은 전자 라벨을 태깅 할 수 있는 휴대 단말에서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과, 또 이 전자 라벨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서비스 서버(140)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 구현된다.
일 양상에 있어서 서비스 서버(140)에서 구현되는 전자 라벨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은 상품 정보 수신 단계 및 관심 상품 리스트 생성 단계를 포함한다. 일 양상에 있어서, 휴대 단말에서 구현되는 상품 정보 제공 방법은 상품 정보 제공 단계 및 관심 상품 리스트 수신 단계를 포함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 및 관심 상품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말기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품 정보 수신 단계에서 서비스 서버(140)는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 정보로부터 휴대 단말이 획득한 상품 정보를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품 정보 제공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는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 정보로부터 획득한 상품 정보를 서비스 서버에 송신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휴대 단말은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를 카메라로 찍어서 바코드를 해독하여 상품 정보를 획득하고 상품 정보를 서비스 서버(140)에 송신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코드는 컴퓨터 등의 전자 장치가 판독할 수 있도록 고안된 굵기가 다른 흑백 막대로 조합시켜 만든 코드다. 고객은 집에서 바코드가 부착된 상품, 예를 들어 구두에 부착된 바코드를 휴대 단말에 장착된 카메라로 찍으면 바코드를 해독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서 바코드가 표현하는 상품 정보를 획득한다. 서비스 서버(140)는 바코드 정보로부터 휴대 단말이 획득한 상품 정보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 정보로부터 획득하는 상품 정보는 상품의 명칭, 상품의 가격, 상품의 유통 기한 등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심 상품 리스트 생성 단계에서 서비스 서버(140)는 축적된 태깅 정보 및 수신한 상품 정보로부터 관심 상품 리스트를 생성하여 휴대 단말로 송신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관심 상품 리스트 수신 단계에서 휴대 단말은 서비스 서버(140)가 생성한 관심 상품 리스트를 수신한다.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품 정보가 예를 들어 구두라면, 구두와 관련된 상품 중 고객이 이전에 태깅을 통해 관심을 보인 상품을 포함하는 관심 상품 리스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상품 정보가 구두라면, 제조사, 색깔, 디자인 등이 다른 구두를 정렬하여 관심 상품 리스트로 제공한다. 서비스 서버(140)는 고객이 휴대 단말기로 태깅 할 때마다 태깅 정보를 서비스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앞에서 언급한 다양한 종류의 구두 중 고객이 태깅한 전자 라벨이 관리하는 구두의 정보를 관심 상품 리스트로 생성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관심 상품 리스트 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관심 상품 리스트는 상품 정보 수신 단계에서 수신한 상품 정보의 상품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상품의 정보로 구성 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관심 상품 리스트 수신 단계에서 수신한 관심 상품 리스트는 상품 정보 제공 단계에서 송신한 상품 정보의 상품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상품의 정보로 구성 된다.
예를 들어, 상품 정보가 구두라면, 그 구두 가죽에 가장 적합한 구두약, 구두 칼 또는 구두 끈 정보를 정렬하여 관심 상품 리스트로 제공한다. 서비스 서버(140)는 구두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상품 중 고객이 태깅한 전자 라벨이 관리하는 상품의 정보를 관심 상품 리스트로 생성한다.
도 3에서는 휴대 단말기(150)로부터 수신한 상품 정보의 상품, 즉 콜라의 동종 상품을 태깅 횟수와 함께 관심 상품 리스트에 정렬되어 표시하는 휴대 단말기(150)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리스트 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관심 상품 리스트는 전자 라벨의 태깅 횟수를 통해 결정된 관심도 순위 정보를 포함한다. 태깅 유무로 관심의 유무를 구분함에 나아가, 태깅 횟수로 관심도 순위를 추출하여 고객의 구미에 맞는 관심 상품 리스트를 제공 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축적된 태깅 정보를 도시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관심 상품 리스트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서버(140)는 전자 라벨을 태깅한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한 태깅 정보로부터 관심 상품 정보를 획득하고 저장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휴대 단말은 전자 라벨을 태깅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라벨을 태깅한 휴대 단말은 상품을 식별하는 식별 코드 등을 포함하는 태깅 정보를 획득하고 서비스 서버(140)로 송신한다. 휴대 단말은 전자 라벨과 근접 무선통신, 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술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휴대 단말로 전자 라벨을 태깅 하면, 휴대 단말은 NFC 태그의 고유한 식별 정보인 EPC(Electronic Product Code) 코드를 획득한다. 고객이 관심 있는 상품의 정보를 표시하는 전자 라벨을 휴대 단말로 태깅 하면 서비스 서버(140)는 태깅 정보를 획득하고 서비스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축적한다.
여기서, '태깅 정보'란 휴대 단말이 전자 라벨의 태그를 읽어 들이는 행위 즉, 태깅 행위로부터 획득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정보를 의미한다. 태깅 정보는 태깅한 전자 라벨에 표시된 상품 정보에 해당하는 상품을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특정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태깅 정보는 태깅 행위의 주체인 고객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고객의 정보'는 고객의 식별 번호, 고객의 연령, 고객의 성별, 고객의 주소 등과 같은 고객의 인적 정보를 의미한다.
다른 예를 들어, 태깅 정보는 태깅 행위의 객체인 전자 라벨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라벨의 정보'는 전자 라벨의 식별 번호 등 전자 라벨을 식별하기 위하여 전자 라벨에 부여되는 고유의 코드 정보를 의미한다. 매장에 전자 라벨을 설치하는 때에는 상품 정보와 전자 라벨의 정보를 매핑하여 전자 라벨 관리 서버(110)로 전송하고, 전자 라벨 관리 서버(110)는 상품 정보와 전자 라벨의 정보를 함께 관리한다. 따라서, 전자 라벨의 정보를 이용하여 대응하는 상품 정보를 알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태깅 정보는 태깅 행위의 목적 대상인 상품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품의 정보'는 상품의 식별 번호, 상품의 가격 정보, 상품의 판매 매장 정보, 상품의 위치 정보, 상품 정보가 저장된 네트워크 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 등과 같은 상품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상품의 식별 번호는 다른 상품과 해당 상품을 식별하기 위하여 상품에 부여되는 고유의 코드 정보를 의미한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태깅 정보는 태깅 행위의 시점인 태깅의 일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태깅의 일시 정보'는 태깅을 한 년, 월, 일 정보, 태깅을 한 시각 정보, 태깅을 한 계절 정보 등과 같은 태깅을 한 시점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태깅 정보는 태깅 행위의 주체인 고객이 입력한 피드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피드백 정보'는 상품에 대한 개선 요구 정보, 불만 사항 정보, 새로운 기능에 대한 제안 정보 등과 같은 고객이 상품에 대하여 제시한 정보를 의미한다. 고객은 관심이 있는 상품 정보를 표시하는 전자 라벨을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태깅하고, 그 상품에 대한 평가, 개선 요구 정보, 불만 사항 정보, 또는 새로운 기능에 대한 제안 정보 등을 휴대 단말에 입력할 수 있다.
태깅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는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태깅한 전자 라벨에 표시된 상품 정보에 해당하는 상품을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특정할 수 있는 정보라면 태깅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상품의 마케팅 등의 필요에 의하여 추가적인 정보를 태깅 정보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축적된 태깅 정보의 도 4에 도시된 예를 들면, 고객이 구매한 상품을 태깅 했다면 태깅 횟수, 고객의 ID, 구매한 상품의 ID, 상품명, 현재 가격, 현재 판매하고 있는 매장, 제조사, 상품에 대한 고객의 의견을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누적 태깅 정보로부터 태깅 정보에 포함된 상품과 동종의 관심 상품 리스트가 추출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관심 상품 리스트는 전자 라벨의 태깅 횟수를 통해 결정된 관심도 순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예를 들면, 고객 ID가 Hong인 고객은 매대에서 무선 마우스 정보를 표시하는 전자 라벨을 휴대 단말기로 태깅 하여 동종 상품의 관심 상품 리스트를 수신한다. Hong은 과거에 자신이 구매한 무선 마우스의 현재 가격, 판매 매장, 제조사, 고객 의견을 관심 상품 리스트를 통해 확인한다. 매장명을 관리하여, 고객이 다수의 매장에서 태깅한 관심 상품들이 통합되어 고객별로 관리될 수 있다. 하나의 상품에 동일자 혹은 상이한 날짜에, 또 동일한 매장 혹은 상이한 매장에서 여러번 태깅 할 수 있다. 자신의 과거 관심 이력에서 개시된 상품들과 현재 태깅의 대상이 된 상품을 비교하여, 고객의 신중한 구매 판단을 유도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결재 창을 표시하는 휴대 단말기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판매 처리 단계에서 서비스 서버는 선택된 상품의 판매를 처리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구매 처리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150)는 관심 상품 리스트에 나열된 상품 중 고객이 선택한 상품 정보를 서비스 서버(140)로 송신하여 구매를 처리 한다.
고객이 관심 상품 리스트에 나열된 상품 중 특정 상품을 선택하여 도 6에 도시된 대금 결재 창으로 이동하고 결재를 완료하면 서비스 서버(140)는 선택된 상품의 판매를 처리한다. 선택된 상품의 판매 처리는 서비스 서버(140)에서 일괄 처리하거나, 서비스 서버(140)와 물리적으로 별개인 쇼핑 서버에서 처리하거나, 서비스 서버(140) 및 쇼핑 서버가 물리적으로 하나로 존재하나 소프트웨어적으로 독립하게 구동하는 서버에서 처리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150)는 전자 라벨을 태깅 하여(단계 207) 태깅 정보를 수신하고(단계 211), 태깅 정보를 서비스 서버(140)로 송신한다(단계 231). 서비스 서버(140)는 휴대 단말기(150)로 전자 라벨을 태깅 할 때마다 수신하는 태깅 정보를 통해 관심 상품 정보를 획득한다(단계 251). 고객이 휴대 단말기(150)로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로부터 상품 정보를 획득 하고(단계 235), 서비스 서버(140)로 송신한다. 서비스 서버(140)는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 정보로부터 휴대 단말기(150)가 획득한 상품 정보를 수신한다(단계 231). 서비스 서버(140)는 수신한 상품 정보로부터 관심 상품 리스트를 생성(단계 253)하고 휴대 단말기(150)로 송신한다(단계 233). 휴대 단말기(150)는 상품 정보로부터 생성된 관심 상품 리스트를(단계 253) 서비스 서버(140)로부터 수신한다(단계 233). 서비스 서버(140)는 휴대 단말기(150)로부터 관심 상품 리스트 중 선택된 상품의 정보를 수신한다(단계 239). 휴대 단말기(150)는 관심 상품 리스트에 포함된 상품 중 구매 의사가 있는 상품을 선택 하고(단계 237), 선택된 상품 정보를 서비스 서버(140)로 송신한다(단계 239). 서비스 서버(140)는 선택된 상품의 판매를 처리한다. 휴대 단말기(150)는 관심 상품 리스트 중 선택된 상품의 정보를 서비스 서버(140)로 송신하여 구매를 처리한다(단계 265). 고객이 이미 구입한 상품의 동종 상품 중에서 고객이 관심을 보인 상품의 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마케팅 전략에 활용되어 매장의 매출을 증대시킬 수 있다. 고객은 관심 있는 상품들을 매장에서 이격적으로 관찰했던 것과는 달리 동시에 비교할 수 있어, 신중한 구매를 유도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라벨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다. 도 7에 따르면 고객은 가정에서 특정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를 휴대 단말로 읽으면(단계 635) 바코드가 부착된 상품의 상세 정보를 휴대 단말기에서 확인 할 수 있다(단계 639). 고객이 요구 정보를 서비스 서버에 송신할 수 있다.(단계 631, 단계 653).
일 양상에 있어서, 서비스 서버(140)에서 구현되는 전자 라벨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은 상품 정보 수신 단계 및 구매 상세 정보 송신 단계를 포함한다. 일 양상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150)에서 구현되는 전자 라벨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은 상품 정보 생성 단계 및 구매 상세 정보 수신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품 정보 수신 단계는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 정보로부터 휴대 단말기(150)가 획득한 상품 정보를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품 정보 생성 단계는 휴대 단말기(150)가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 정보로부터 획득한 상품 정보를 서비스 서버(140)에 송신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코드는 컴퓨터 등의 전자 장치가 판독할 수 있도록 고안된 굵기가 다른 흑백 막대로 조합시켜 만든 코드다. 고객은 집에서 바코드가 부착된 상품, 예를 들어 구두에 부착된 바코드를 휴대 단말기(150)에 장착된 카메라로 찍으면 바코드를 해독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서 바코드가 내재한 상품 정보를 획득한다. 서비스 서버(140)는 바코드 정보로부터 휴대 단말기(150)이 획득한 상품 정보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 정보로부터 획득하는 상품 정보는 상품의 명칭, 상품의 가격, 상품의 유통 기한 등을 포함한다.
도 9은 일 실시예에 따른 매장에서 관리하는 상품 구매 정보를 도시한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매장에서 관리하는 서비스 서버가 수신한 상품 정보로부터 생성된 구매 상세 정보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매 상세 정보 송신 단계에서 서비스 서버는 상품 정보로부터 상품 구매 상세 정보를 생성하여 휴대 단말기(150)로 송신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매 상세 정보 수신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150)는 서비스 서버(140)가 생성한 구매 상세 정보를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구매 상세 정보 송신 단계에서 생성한 구매 상세 정보는 상품의 구매 시기, 구매 위치, 구매 가격을 포함한다. 구매 상세 정보는 상품 정보 보다 구매에 관련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서비스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141)에는 도 9와 같은 모든 고객의 상품 구매 정보가 관리된다. 도 9에 도시된 상품 구매 정보는 구매 일시, 고객 ID(Identification) 상품 ID, 상품명, 현재 가격, 판매 매장, 구매 가격, 구매 장소, 제조사, 고객 의견을 포함하지만, 태깅 횟수 등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는 도 9와 같은 정보를 관리하다가, 고객의 휴대 단말기가 특정 상품의 바코드로부터 획득한 상품 정보를 서비스 서버가 수신하면, 수신한 상품 정보의 상품 구매 상세 정보를 추출한다. 예를 들어, Hong 이라는 고객은 자신의 가정에 있는 무선 마우스 바코드를 휴대 단말기로 인식하면 서비스 서버로부터 도 10과 같은 바코드가 부착된 상품인 무선 마우스의 정보를 수신한다.
일 양상에 있어서, 서비스 서버에서 구현되는 전자 라벨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은 요구 처리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 있어서, 휴대 단말에서 구현되는 전자 라벨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은 요구 단계를 처리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요구 처리 단계에서 서비스 서버는 휴대 단말기(150)로부터 요구 정보를 수신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요구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는 요구 정보를 서비스 서버로 송신하여 요구를 처리 한다. 예를 들어 요구 정보는 상품의 구매를 요구하는 구매 요구 정보, 상품의 수리를 요구하는 수리 신청 요구 정보 및 상품의 판매를 요구하는 판매 요구 정보를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라벨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에 따르면, 서비스 서버는 상품 구매 정보를 관리 한다(단계 622). 휴대 단말기(150)는 상품에 부탁된 바코드 정보로부터 상품 정보를 획득(단계 635)하고 상품 정보를 서비스 서버(140)로 송신한다. 서비스 서버(140)는 상품 정보를 수신한다(단계 636). 서비스 서버(140)는 상품 정보로부터 상품 구매 상세 정보를 생성(단계 651)하여 휴대 단말기(150)로 송신한다. 휴대 단말기(150)는 상품 구매 상세 정보를 휴대 단말기(150)로부터 수신 한다(단계 639). 고객은 휴대 단말기(150)를 요구 정보를 서비스 서버(140)로 송신(단계 631)하고, 서비스 서버(140)는 요구 처리를 한다. 휴대 단말기(150)이 정보를 서비스 서버(140)로 송신하여 요구를 처리한다(단계 653).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결재 창을 표시하는 휴대 단말기를 도시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라벨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라벨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다. 도 8에 따르면 고객은 가정에서 특정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를 휴대 단말로 읽으면(단계 735) 바코드가 부착된 상품의 상세 정보를 휴대 단말기에서 확인 할 수 있다(단계 739). 고객이 재구매 요구 정보를 서비스 서버에 송신하면 구매가 이루어 진다.(단계 731, 단계 653).
일 양상에 있어서, 요구 처리 단계는 재구매 요구 처리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 있어서, 요구 단계는 재구매 요구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재구매 요구 처리 단계는 휴대 단말로부터 재 구매 요구 정보를 수신하여 재 판매 처리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재 구매 요구 단계는 요구매 요구 정보를 서비스 서버로 송신하여 재 구매 처리한다.
예를 들어, 고객이 휴대 단말이 표시하는 구매 상세 정보를 보고 재구매 의사 결정을 하면 상품을 선택한다. 상품을 선택하면관심 상품 리스트에 나열된 상품 중 특정 상품을 선택하여 도 6에 도시된 대금 결재 창으로 이동하고 결재를 완료하면 서비스 서버(140)는 선택된 상품의 판매를 처리한다. 선택된 상품의 판매 처리는 서비스 서버(140)에서 일괄 처리하거나, 서비스 서버(140)와 물리적으로 별개인 쇼핑 서버에서 처리하거나, 서비스 서버(140) 및 쇼핑 서버가 물리적으로 하나로 존재하나 소프트웨어적으로 독립하게 구동하는 서버에서 처리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라벨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에 따르면, 서비스 서버는 상품 구매 정보를 관리 한다(단계 722). 휴대 단말기(150)는 상품에 부탁된 바코드 정보로부터 상품 정보를 획득(단계 735)하고 상품 정보를 서비스 서버(140)로 송신한다. 서비스 서버(140)는 상품 정보를 수신한다(단계 736). 서비스 서버(140)는 상품 정보로부터 상품 구매 상세 정보를 생성(단계 751)하여 휴대 단말기(150)로 송신한다. 휴대 단말기(150)는 상품 구매 상세 정보를 휴대 단말기(150)로부터 수신 한다(단계 739). 고객은 휴대 단말기(150)를 통해 재 구매 요구를 하면 재 구매 요구 정보를 서비스 서버(140)로 송신(단계 731)하고, 서비스 서버(140)는 재 구매 상품 판매 처리를 한다. 휴대 단말기(150)이 재 구매 요구 상품 정보를 서비스 서버(140)로 송신하여 재 구매를 처리한다(단계 753). 고객이 이미 구매한 상품과 동일한 상품의 구매 관련 상세 정보를 제공하여 신속하게 재 구매를 유도한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라벨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다. 도 11에 따르면 고객은 가정에서 특정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를 휴대 단말로 읽으면(단계 935) 바코드가 부착된 상품의 상세 정보를 휴대 단말기에서 확인 할 수 있다(단계 939). 고객이 A/S 접수 요구 정보를 서비스 서버에 송신하면 A/S 접수 처리 이루어 진다.(단계 931, 단계 953).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요구 처리 단계에서 서비스 서버는 휴대 단말로부터 A/S접수 요청 정보를 수신하면 A/S 접수 처리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요구 단계에서 휴대 단말은 A/S 접수 요청 정보를 서비스 서버로 송신하여 A/S 접수를 처리한다.
도 11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라벨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에 따르면, 서비스 서버는 상품 구매 정보를 관리 한다(단계 922). 휴대 단말기(150)는 상품에 부탁된 바코드 정보로부터 상품 정보를 획득(단계 935)하고 상품 정보를 서비스 서버(140)로 송신한다. 서비스 서버(140)는 상품 정보를 수신한다(단계 936). 서비스 서버(140)는 상품 정보로부터 상품 구매 상세 정보를 생성(단계 951)하여 휴대 단말기(150)로 송신한다. 휴대 단말기(150)는 상품 구매 상세 정보를 휴대 단말기(150)로부터 수신 한다(단계 939). 고객은 휴대 단말기(150)를 통해 A/S 접수 요구를 하면 A/S 접수 요구 정보를 서비스 서버(140)로 송신(단계 931)하고, 서비스 서버(140)는 A/S 접수 처리를 한다. 휴대 단말기(150)이 A/S 접수 정보를 서비스 서버(140)로 송신하여 A/S 접수 처리한다(단계 953). 고객이 이미 구매한 상품과 동일한 상품의 구매 관련 상세 정보를 제공하여 A/S를 용이하게 한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라벨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의 전체 시나리오를 도시한다. 고객은 휴대 단말로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를 인식하면 상품 정보를 생성하여 서비스 서버로 송신한다. 서비스 서버는 상품 정보를 수신하면 축적된 태깅 정보를 통해 구매 상세 정보 및 관심 상품 리스트를 생성하여 휴대 단말기로 송신한다. 고객은 휴대 단말기가 표시하는 상품을 구매하거나 수리 접수 신청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 져야 할 것이다.
110: 관리 서버
130: 게이트웨이
170??1…170??N: 전자 라벨
140: 서비스 서버
141: 서비스 관리 데이터베이스
150: 휴대 단말기

Claims (16)

  1. 전자 라벨과 근거리 통신하는 휴대 단말과 무선 통신하는 서비스 서버에서 구현되는 전자 라벨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 정보로부터 휴대 단말이 획득한 상품 정보를 수신하는 상품 정보 수신 단계; 및
    수신한 상품 정보의 상품과 동종인 상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관심 상품 리스트를 생성하여 휴대 단말로 송신하는 관심 상품 리스트 제공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 라벨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관심 상품 리스트 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관심 상품 리스트는
    나열된 상품의 가격 및 판매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라벨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서비스 서버에서 구현되는 전자 라벨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은 휴대 단말로부터 관심 상품 리스트 중 선택된 상품의 정보를 수신하여 선택된 상품의 판매를 처리하는 판매 처리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자 라벨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
  4. 서비스 서버와 무선 통신 하는 휴대 단말에서 구현되는 전자 라벨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 정보로부터 획득한 상품 정보를 서비스 서버에 송신하는 상품 정보 송신 단계; 및
    관심 상품 리스트를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관심 상품 리스트 수신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 라벨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관심 상품 리스트 수신 단계에서 수신한 관심 상품 리스트는
    상품 정보 송신 단계에서 송신한 상품 정보의 상품과 동종인 상품의 정보로 구성되는 상품 정보 제공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전자 라벨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은
    휴대 단말이 관심 상품 리스트 중 선택된 상품의 정보를 서비스 서버로 송신하여 구매를 처리하는 구매 처리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자 라벨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
  7. 전자 라벨과 근거리 통신하는 휴대 단말과 무선 통신하는 서비스 서버에서 구현되는 전자 라벨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 정보로부터 휴대 단말이 획득한 상품 정보를 수신하는 상품 정보 수신 단계; 및
    수신한 상품 정보로부터 상품 구매 상세 정보를 생성하여 휴대 단말로 송신하는 구매 상세 정보 제공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 라벨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구매 상세 정보 송신 단계에서 생성한 구매 상세 정보는
    상품의 구매 시기, 구매 위치, 구매 가격을 포함하는
    전자 라벨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전자 라벨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은
    휴대 단말로부터 요구 정보를 수신하여 요구를 처리하는 요구 처리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자 라벨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요구 처리 단계는
    휴대 단말로부터 재 구매 요구 정보를 수신하여 재 판매 처리하는 재구매 요구 처리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 라벨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요구 처리 단계는
    휴대 단말로부터 A/S접수 요청 정보를 수신하면 A/S 접수 처리하는 수리 요구 처리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 라벨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
  12. 전자 라벨을 태깅 할 수 있고, 서비스 서버와 무선 통신 하는 휴대 단말에서 구현되는 전자 라벨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휴대 단말이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 정보로부터 획득한 상품 정보를 서비스 서버에 송신하는 상품 정보 생성 단계; 및
    휴대 단말이 서비스 서버가 생성한 구매 상세 정보를 수신하는 구매 상세 정보 수신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 라벨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구매 상세 정보 수신 단계에서 수신한 구매 상세 정보는
    상품의 구매 시기, 구매 위치, 구매 가격을 포함하는
    전자 라벨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전자 라벨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은
    요구 정보를 서비스 서버로 송신하여 요구를 처리하는 요구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자 라벨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요구 단계는
    재 구매 요구 정보를 서비스 서버로 송신하여 재 구매 처리하는 재구매 요구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 라벨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요구 단계는
    서비스 서버로 A/S접수 요청 정보를 송신하여 A/S 접수 처리하는 수리 요구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 라벨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
KR1020140129642A 2014-09-13 2014-09-27 전자 라벨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 KR201600326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1434 2014-09-13
KR20140121434 2014-09-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2647A true KR20160032647A (ko) 2016-03-24

Family

ID=5565150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9641A KR20160032646A (ko) 2014-09-13 2014-09-26 전자 라벨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
KR1020140129642A KR20160032647A (ko) 2014-09-13 2014-09-27 전자 라벨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9641A KR20160032646A (ko) 2014-09-13 2014-09-26 전자 라벨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6003264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0174B1 (ko) * 2019-08-27 2020-05-29 이창수 전자가격표기 시스템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 개인 맞춤형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WO2022080595A1 (ko) * 2020-10-12 2022-04-21 주식회사 써모랩코리아 리터너블 패키징 및 패키징의 상태정보를 활용한 신선제품 배송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2646A (ko) 2016-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10430B1 (en) Methods for assigning traceability information to and retrieving traceability information from a store shelf
US10607238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consumer tracking consumer product interest using mobile devices
CN104040540B (zh) 利用标签和移动设备的产品信息系统及方法
US9760896B2 (en) Acquiring customer insight in a retail environment
US8833654B1 (en) Methods for assigning traceability information to and retrieving traceability information from a store shelf
US20160055562A1 (en) Product display management system
CN104170519A (zh) 智能设备辅助的商务
US20150356617A1 (en) Mobile computing device displaying a user interface that includes user customized content
CN102136120A (zh) 基于射频识别技术的商品销售服务系统
US20140144977A1 (en) Scannable recipe card to add items to shopping list
KR102110723B1 (ko) 스와치 자동인식 기반 빅데이터 자재정보 관리 시스템
KR101735378B1 (ko) 물류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격결정방법
KR101249828B1 (ko) 진품확인 서비스 시스템
US9449290B1 (en) Product and service purchase-cycle tracking
US2015007384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program and electronic receipt system
KR102297131B1 (ko) 관리 서버의 마케팅 방법
KR20160032647A (ko) 전자 라벨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
US20150058254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electronic signs
KR20140022308A (ko) Qr코드를 이용한 실시간 상품 관리 시스템
KR20160030022A (ko) 전자 라벨을 이용한 관심 상품의 정보 처리 방법
KR101667552B1 (ko) 고객 응대 주체를 구분하는 포스단말 및 고객 응대 주체를 구분하는 설문조사를 제공하는 서버
TWM359767U (en) Merchandise message display device
KR102126377B1 (ko) 결제 단말을 이용한 광고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32648A (ko) 전자 라벨을 이용한 관심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US20180005268A1 (en) Shopping and marketing method of an item for specific consum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