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7552B1 - 고객 응대 주체를 구분하는 포스단말 및 고객 응대 주체를 구분하는 설문조사를 제공하는 서버 - Google Patents

고객 응대 주체를 구분하는 포스단말 및 고객 응대 주체를 구분하는 설문조사를 제공하는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7552B1
KR101667552B1 KR1020150148351A KR20150148351A KR101667552B1 KR 101667552 B1 KR101667552 B1 KR 101667552B1 KR 1020150148351 A KR1020150148351 A KR 1020150148351A KR 20150148351 A KR20150148351 A KR 20150148351A KR 101667552 B1 KR101667552 B1 KR 101667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tomer
survey
information
purchas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8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시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피씨클라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피씨클라우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피씨클라우드
Priority to KR1020150148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75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7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7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Customer relationship services
    • G06Q30/015Providing customer assistance, e.g. assisting a customer within a business location or via helpdesk
    • G06Q30/016After-sa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3Market surveys; Market pol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고객 응대 주체를 구분하는 포스(POS)단말이 개시된다. 상기 포스단말은, 상기 포스단말의 사용자로부터 고객 응대 주체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 구매 상품 정보 및 구매 고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 판독부, 식별된 정보에 기초하여 고객의 구매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포스단말의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고객 응대 주체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생성된 고객의 구매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생성된 고객 응대 주체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객 응대 주체를 구분하는 포스단말 및 고객 응대 주체를 구분하는 설문조사를 제공하는 서버{POS TERMINAL FOR DISTINGUISHING A SUBJECT OF RESPONDING CUSTOMER AND SERVER FOR PROVIDING SURVEY FOR DISTINGUISHING A SUBJECT OF RESPONDING CUSTOMER}
본 발명은 포스단말 및 서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객 응대 주체별 고객 만족도 설문조사를 제공하기 위한 포스단말 및 서버에 관한 것이다.
포스(POS:point of sales) 단말은 시스템용 단말 또는 매장 전용 단말로서, 소매점, 슈퍼마켓, 대형 판매 매장 등에서 판매 시점의 상품명이나 가격 등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 기억, 및 전송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포스단말은 매상금액을 정산해 줄 뿐만 아니라 동시에 소매경영에 필요한 각종정보와 자료를 수집, 처리해 주기 때문에 이마트, 홈플러스 등과 같은 대부분의 대형 판매 매장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포스단말을 사용하면 대형 판매 매장에서 판매되는 제품의 판매흐름을 단위 품목별로 파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신제품과 판촉제품의 판매경향과 시간대, 매출부진 상품, 유사품이나 경쟁제품과의 판매경향 등과 같은 정보를 세부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 사용자는 판매가격과 판매량과의 상관관계, 주요공략 대상, 광고계획 등의 마케팅 전략을 효과적으로 수립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포스단말은 제품 판매와 관련한 소매 경영에 필요한 자료의 수집은 가능하나, 고객의 만족도를 조사하기 위해서는 활용할 수 없었다.
조사 대상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고객만족도조사는 조사 대상 제품이나 서비스 제공자(예컨대, 기업, 조직, 개인, 공공기관 등)가 조사 대상 제품이나 서비스 이용자의 만족도를 파악함으로써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혁신 혹은 개선을 통해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하여 수행한다.
이러한 고객만족도조사는 조사 대상 제품이나 서비스 제공자가 자체적으로 수행하거나 혹은 고객만족도조사 전문기관에 의뢰하여 수행하는데, 통상적으로 조사 대상 제품이나 서비스들에 관한 고객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선정된 속성(attributes), 즉 조사 항목(예컨대, 디자인, 품질, 소음, 애프터 서비스, 사용 편의성 등)들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한다.
이러한 고객만족도조사는 제품 등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 가능하나, 고객을 응대한 사람별로 만족도를 조사하기 위해서는 활용할 수 없었다.
인터넷이 보급되어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이용 후기에 대한 접근성이 강화되었으며, 고객 응대의 실패 사례는 인터넷을 통해 널리 퍼져 경영에 있어 치명적인 타격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점주 및 아르바이트 생의 고객응대에 대한 교육 및 만족도 평가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소매점 등에 있어서도 인적 자원 관리의 중요성이 강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실정에서, 당업계에서 고객을 응대한 주체별 고객만족도 조사에 대한 수요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16115호는 포스 시스템을 이용한 고객 인적 정보 수집 및 통계 정보 생성에 관련한 내용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 고객의 구매 행위에 대하여 고객 만족도를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객의 구매 행위에 대하여 고객을 응대한 주체별로 고객 만족도를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고객 응대 주체를 구분하는 포스(POS)단말이 개시된다. 상기 포스단말은, 상기 포스단말의 사용자로부터 고객 응대 주체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 구매 상품 정보 및 구매 고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 판독부, 식별된 정보에 기초하여 고객의 구매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포스단말의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고객 응대 주체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생성된 고객의 구매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생성된 고객 응대 주체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고객 응대 주체를 구분하는 설문조사를 제공하는 서버가 개시된다. 상기 서버는, 포스단말로부터 고객의 구매 정보 및 고객 응대 주체 정보를 수신하고, 고객단말에 설문조사 요청을 전송하고, 고객단말에 설문조사 항목을 전송하고, 상기 고객단말로부터 제 1 설문조사 결과를 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구매 처리 모듈, 설문조사 결과 처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구매 처리 모듈은, 상기 구매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에 대한 결제를 처리하고, 상기 설문조사 처리 모듈은, 상기 구매 정보, 상기 고객단말로부터 수신된 제 1 설문조사결과, 및 상기 고객 응대 주체 정보에 기초하여, 고객 응대 주체를 구분하는 제 2 설문조사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포스단말에서 수행되는 고객 응대 주체를 구분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포스단말의 사용자로부터 고객 응대 주체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입력에 기초하여 고객 응대 주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고객 응대 주체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구매 상품정보 및 구매 고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하는 단계, 식별된 정보에 기초하여 고객의 구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고객의 구매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에서 수행되는 고객 응대 주체를 구분하는 설문조사를 제공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포스단말로부터 고객 응대 주체 정보 및 고객의 구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고객의 구매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에 대한 결제를 처리하는 단계, 고객의 구매 정보에 기초하여 고객단말에게 설문조사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고객단말에게 설문조사 항목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고객단말로부터 제 1 설문조사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설문조사 결과 및 상기 고객 응대 주체 정보에 기초하여, 고객 응대 주체를 구분하는 제 2 설문조사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 고객의 구매 행위에 대하여 고객 만족도를 조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객의 구매 행위에 대하여 고객을 응대한 주체별로 고객 만족도를 조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문조사를 제공하는 전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응대 주체를 구분하는 포스단말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응대 주체를 구분하는 설문조사를 제공하는 서버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문 조사의 프로세스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단말에 표시되는 설문조사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단말에서 수행되는 고객 응대 주체를 구분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서 수행되는 고객 응대 주체를 구분하는 설문조사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며, 전체 도면에서 걸쳐 유사한 도면번호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설명들이 본 발명의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설명 없이도 실행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다른 예들에서, 공지된 구조 및 장치들은 실시예들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블록 다이어그램 형태로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등은 컴퓨터-관련 엔티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조합, 또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는 프로세서상에서 실행되는 처리과정, 프로세서, 객체,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컴퓨팅 장치 모두 컴포넌트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는 프로세서 및/또는 실행 스레드 내에 상주할 수 있고, 일 컴포넌트는 하나의 컴퓨터 내에 로컬화될 수 있고, 또는 2개 이상의 컴퓨터들 사이에 분배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그 내부에 저장된 다양한 데이터 구조들을 갖는 다양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부터 실행할 수 있다. 컴포넌트들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들을 갖는 신호(예를 들면, 로컬 시스템, 분산 시스템에서 다른 컴포넌트와 상호작용하는 하나의 컴포넌트로부터 데이터 및/또는 신호를 통해 다른 시스템과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에 따라 로컬 및/또는 원격 처리들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문조사를 제공하는 전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문조사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점주단말(10), 포스단말(POS terminal)(100), 서버(200), 고객단말(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주단말(10) 및 고객단말(20)은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note book), 모바일 단말기(mobile terminal),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점주단말(10)은 서버(200) 또는 포스단말(100)로부터, 고객 응대 주체가 구분된 고객 만족도 설문조사 결과를 포함하는 제 2 설문조사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점주는 점주단말(10)을 이용하여, 고객 만족도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할 수 있고, 이를 경영에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주, A 아르바이트생 및 B 아르바이트생이 고객을 응대하는 편의점에서, 표 1에서와 같이 점주에 대한 남자 고객의 고객 만족도 점수는 85점, 여자 고객의 고객만족도 점수는 80점, A 아르바이트생에 대한 남자 고객의 만족도 점수는 90점, 여자 고객의 만족도 점수는 95점, B 아르바이트생에 대한 여자 고객의 만족도 점수는 75점, 남자 고객의 만족도 점수는 95점, C 아르바이트생에 대한 남자 고객의 만족도 점수는 65점, 여자 고객의 만족도 점수는 70점으로 가정한다.
고객 응대 주체 남자 고객 만족도 여자 고객 만족도
점주 85 80
A 아르바이트생 90 95
B 아르바이트생 95 75
C 아르바이트생 65 70
이러한 경우, 상기 점주는 상기 설문조사 결과에 기초하여, 여자 고객이 많이 찾는 시간은 A 아르바이트생을 배치하고, 남자 고객이 많이 찾는 시간은 B아르바이트생을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점주에 비하여 A 및 B아르바이트생의 만족도 점수가 높으므로, 점주 자신의 근무 시간을 줄이고 A 및 B 아르바이트생의 근무 시간을 늘릴 수도 있다. 또한, 고객 만족도 점수가 전반적으로 저조한 C 아르바이트생은 계약을 종료할 수도 있다. 전술한 고객 만족도 설문조사 결과는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만족도 설문조사 결과는 임의의 고객 응대 주체에 대하여 임의의 방식으로 그룹화된 고객별 만족도 점수를 포함할 수 있다.
포스단말(100)은 고객으로부터 구매되는 상품에 관련한 정보나 고객 정보를 인식하여 서버로 전송하고, 고객 응대 주체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여, 서버(200)가 고객 응대 주체별 고객 만족도 설문조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품은 일반적인 상품과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포스단말(100)은 서버(200)로부터 설문조사 결과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포스단말(100)은 고객응대 주체별 고객만족도 설문조사 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권한을 확인할 수 있다.
포스단말(100)은 상품의 정보를 인식하여 서버 등이 구매 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매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맴버십 포인트 등의 적립을 위하여 고객의 정보를 식별하고 이를 관련된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예시의 편의점에서, 고객 1이 상기 편의점에 방문하여 제품을 구매하며, 고객 1이 소지한 스마트폰에서 표시되는 바코드로 맴버십 포인트 적립을 한 경우에, 상기 포스단말(100)은 상기 제품을 인식하여 제품의 구매 처리를 수행할 수 있고, 상기 고객 1의 스마트폰에 표시되는 바코드를 인식하여 포인트 적립을 위하여 관련 정보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포스단말(100)은 하나 이상의 점주 및 하나 이상의 아르바이트생의 근무 시간을 서버(200)에 전송하여, 서버(200)가 고객의 상품 구매시 고객을 응대한 주체가 누구인지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예시에서와 같이, 점주 및 아르바이트생 A, B, 및 C가 근무하는 편의점에서, 점주 및 아르바이트생 A, B, 및 C는 각각 자신의 근무 시간을 포스단말(100)에 입력할 수 있다. 포스단말(100)은 상기 입력에 기초하여 고객 응대 주체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0)는 포스단말(100)로부터 구매 정보 및 고객 응대 주체 정보를 수신하고, 고객단말(20)에게 설문조사 요청을 전송하고, 고객단말(20)로부터 설문조사 결과를 수신하여, 고객 응대 주체별 설문조사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서버(200)는 포스단말(100)로부터 구매 정보를 수신하여 구매 상품에 대한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는 상기 서버(200)의 내부에서 상기 상품에 대한 결제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고, 별도의 외부 서버(예를 들면, 신용카드회사 서버 등)(미도시)로 하여금 상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결제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서버(200)는 고객 응대 주체 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220)에 저장할 수 있다. 서버(200)는 각각의 포스단말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점주 및 하나 이상의 아르바이트생의 근무시간에 관련한 정보 및 시간별로 고객을 응대하는 포스단말 사용자에 관련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들어, 편의점, 제과점등의 포스 단말과 통신할 수 있는 서버(200)는 제과점의 점주와 아르바이트생의 근무시간에 관련한 정보 및 시간별로 고객을 응대하는 포스단말 사용자에 관련한 정보를 및 편의점의 점주와 아르바이트생의 근무시간에 관련한 정보 및 시간별로 고객을 응대하는 포스단말 사용자에 관련한 정보를 각각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서버(200)는 고객단말(20)에게 설문조사를 위한 설문조사 요청을 전송할 수 있고, 고객단말(20)로부터 설문조사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200)는 상기 설문조사 결과와, 구매 정보 및 고객 응대 주체 정보에 기초하여 고객 응대 주체별 설문조사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문조사 요청은 푸시알림 또는 SMS 등의 형태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의 서버(200)는 물리적으로 하나의 서버로 구성될 수 있거나 복수의 분산 서버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분산 서버가 서버(200)를 구성하는 경우 분산 서버들 각각이 서버(200)의 각각의 기능들을 구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서버(200)는 이에 한정 되지 않으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구비되어 서버 기능을 하는 임의의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고객 응대 주체 근무 시간
아르바이트생 A 0:00~6:00
아르바이트생 B 6:00~12:00
점주 12:00~18:00
아르바이트생 C 18:00~24:00
예를 들어, 표 2에서와 같이 상기 예시에서 0:00에서 6:00까지는 아르바이트생 A, 6:00에서 12:00까지는 아르바이트생 B, 12:00에서 18:00까지는 점주, 18:00에서 24:00까지는 아르바이트생 C가 근무하는 것으로 가정하자. 서버(200)는 전술한 근무시간을 포함하는 고객 응대 주체 정보를 포스단말(10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고객이 5:55에 제품을 구매하며, 포인트를 적립한 경우, 서버(200)는 포스단말(100)로부터 이러한 정보를 수신하여, 고객이 구매한 상품 및 고객을 식별할 수 있다. 서버(200)는 식별된 고객이 소지한 고객단말(20)에게 설문조사 요청을 전송할 수 있고, 상기 고객단말(20)로부터 설문조사에 대한 응답인 설문조사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200)는 상기 설문조사결과는 5:55의 고객의 제품 구매행위에 대한 것이므로, 이때, 상기 고객을 응대한 주체는 아르바이트생 A이고, 상기 설문조사 결과는 아르바이트생 A에 대한 만족도 조사결과인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200)는 아르바이트생 A에 대한 고객의 만족도 조사 결과를 생성하고 이를 서버(200)에 저장하거나, 점주단말(10) 또는 포스단말(100)에 전송할 수 있다.
고객단말(20)은 포스단말(100)이 식별할 수 있도록 구매 고객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단말(20)은 맴버쉽 포인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포스단말(100)에서 식별할 수 있는 바코드, QR코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고객단말(20)은 서버(200)로부터 설문조사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설문조사 요청은 푸시(push)알림 또는 SMS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고객은 고객단말(20)을 통해 고객 만족도 설문조사를 수행할 수 있다. 고객단말(20)은 고객이 수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서버(200)에 전송하여, 고객 응대 주체별 설문조사 결과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응대 주체를 구분하는 포스단말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응대 주체를 구분하는 포스단말(100)은 사용자 입력부(110), 정보 판독부(120), 송수신부(130), 제어부(140), 디스플레이(150), 및 메모리(16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10)는 상기 포스단말(100)의 사용자로부터 고객 응대 주체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10)는 포스단말(100)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10)는 키 패드, 돔 스위치, 키보드, 마우스, 터치 패드(정압/정전), 터치 패널,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10)는 하나 이상의 점주 및 하나 이상의 아르바이트생의 근무시간에 관련한 정보 및 상기 포스단말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포스단말의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예시에서, 점주 및 아르바이트생 A, B 및 C는 각각 자신의 근무시간을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포스단말(100)에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점주 및 아르바이트생 A, B 및 C는 각각 자신이 포스단말(100)을 사용할 때, 자신이 사용중임을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전술한 입력은 자신의 ID등을 로그인하거나, 상기 포스단말(100)에 표시되는 점주 및 아르바이트생 각각의 스위치를 누르는 것으로 수행되거나, 사전에 점주 등이 각각의 근무 시간을 입력하는 것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정보 판독부(120)는 구매 상품 정보 및 구매 고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정보 판독부(120)는 광학 판독 수단을 포함하여, 바코드, QR코드 등을 판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판독부(12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bluttooth, Wi-Fi 등의 근거리 통신 수단을 포함하여, 근거리 통신으로 전술한 정보들을 판독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정보 판독부(120)는 마그네틱 카드(magnetic card), IC 카드(integrated circuit card) 판독 수단을 포함하여, 마그네틱 카드 또는 IC카드 등으로부터 상기 정보를 판독할 수도 있다. 구매 상품 정보는 고객이 구매하는 상품에 관련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각각의 판독 수단은 예시일 뿐이며, 정보 판독부(120)는 구매 상품 정보 및 구매 고객 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임의의 판독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구매 고객 정보는 해당 상품을 구매하는 고객의 정보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맴버십 카드, 쿠폰(예컨데 키프티콘 등)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고객이 제품을 구매하며, 고객이 소지한 스마트폰의 맴버십 앱에서 표시되는 바코드로 맴버십 포인트를 적립하고자 하는 경우, 정보 판독부(120)는 광학 판독 수단을 통해 제품의 바코드를 판독하고, 고객이 소지한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바코드를 판독할 수 있다. 전술한 기재는 예시일 뿐이며, 다양한 상품 및 고객 정보를 다양한 판독수단으로 판독할 수 있다.
송수신부(130)는 제어부(140)에서 생성된 고객의 구매 정보를 서버(200)에 전송하고, 제어부(140)에서 생성된 고객 응대 주체 정보를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송수신부(130)는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전술한 정보를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송수신부(130)는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유/무선 인터넷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UWB(Ultra Wide Band), LTE(Long Term Evolu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유선 인터넷 기술로는 XDSL(Digital Subscriber Line), FTTH(Fibers to the home),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130)는 전화 회선을 통해 통신할 수 있는 모듈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130)는 서버(200)로부터 고객 응대 주체별 고객 만족도 설문조사 결과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정보 판독부(120)에 의해 식별된 정보에 기초하여 고객의 구매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 입력부(110)에서 수신된 포스단말(100)의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고객 응대 주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고객 응대 주체 정보는 하나 이상의 점주 및 하나 이상의 아르바이트생의 근무시간에 관련한 정보, 고객의 상품 구매시 상기 고객을 응대하는 포스단말 사용자에 관련한 정보, 포스단말 사용자에 관련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매 정보는 고객의 식별 정보, 구매 상품 정보, 고객의 포인트 카드 정보, 구매 시간 정보 및 결제 수단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결제 수단 정보는 신용카드 등 일반적인 결제수단에 관련한 정보 뿐만 아니라 고객이 사용한 할인쿠폰 정보, 결제 대용 쿠폰(예컨데 모바일쿠폰, 선불카드 등) 정보 등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이 제품을 신용카드로 구매하며, 고객이 소지한 스마트폰의 맴버십 앱에서 표시되는 바코드로 맴버십 포인트를 적립하고자 하는 경우, 제어부(140)는 정보 판독부(120)에서 판독된 고객의 맴버십 포인트 바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인식된 맴버십 바코드로부터, 고객의 식별 정보, 고객의 포인트 카드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정보 판독부(120)에서 판독된 제품의 정보에 기초하여 구매한 개별 제품 정보를 획득하고, 정보 판독부(120)에서 판독된 신용카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수단인 신용카드 정보를 획득하고, 결제시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구매 시간 정보를 획득하여, 구매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그외에도 통상적으로 포스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4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씌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4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는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고객 응대 주체별 고객 응대 만족도 설문조사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150)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며, 사용자가 상기 포스단말(100)을 사용하기 위한 조작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50)는 구매된 상품에 관련한 정보, 결제 대금 관련 정보, 고객의 맴버십에 관련한 정보 등을 표시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5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고객 응대 주체 정보, 구매 정보 및/또는 설문결과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60)는 상기 포스단말(1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명령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포스단말(100)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응대 주체를 구분하는 설문조사를 제공하는 서버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는 송수신부(210), 메모리(220), 제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30)는 하위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하위 모듈들은 구매 처리 모듈(231), 설문조사 대상 결정 모듈(233), 설문조사 항목 결정 모듈(235), 설문조사 처리 모듈(237), 보상 결정 모듈(239)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서버(200)는 물리적으로 하나의 서버로 구성될 수 있거나 복수의 분산 서버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분산 서버가 서버(200)를 구성하는 경우 분산 서버들 각각이 서버(200)의 각각의 기능들을 구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서버(200)는 이에 한정 되지 않으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구비되어 서버 기능을 하는 임의의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210)는 포스단말(100)로부터 고객의 구매 정보 및 고객 응대 주체 정보를 수신하고, 고객단말(20)에 설문조사 요청을 전송하고, 고객단말(20)에 설문조사 항목을 전송하고, 상기 고객단말(20)로부터 제 1 설문조사 결과를 수신하고, 포스단말(100) 또는 점주단말(10)에 제 2 설문조사 결과, 제 3 설문조사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송수신부(210)는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전술한 정보를 포스단말(100), 점주단말(10), 고객단말(20)과 송수신할 수 있다. 설문조사 요청은 고객단말(20)의 어플리케이션에 푸시(push) 알림 형태 또는 SMS 형태로 전송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송수신부(210)는 포스단말(100)의 송수신부(130)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유/무선 인터넷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고객 응대 주체 정보, 구매 정보, 고객 식별 정보, 구매 상품 정보, 고객의 포인트 카드 정보, 구매 시간 정보, 맴버십 포인트 정보, 결제 수단 정보, 설문조사 결과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20)는 상기 서버(2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명령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포스단말(100)의 메모리(160)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임의의 타입의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하위 모듈을 가질 수 있다. 제어부(230)는 통상적으로 서버(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4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씌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220)에 저장되고, 제어부(23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제어부(230)는 구매 처리 모듈(231), 설문조사 대상 결정 모듈(233), 설문조사 항목 결정 모듈(235), 설문조사 처리 모듈(237), 보상 결정 모듈(239)를 포함하는 하위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구매 처리 모듈(231)은 송수신부(210)가 포스단말(100)로부터 수신한 고객의 구매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에 대한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구매 처리 모듈(231)은 상기 서버(200) 내에서 상품에 대한 결제에 관련한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고, 별도의 외부 서버(예를 들면, 신용카드회사 서버 등)(미도시)로 하여금 상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결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구매 정보는 고객의 식별 정보, 구매 상품 정보, 고객의 포인트 카드 정보, 구매 시간 정보 및 결제 수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수단 정보는 신용카드 등 일반적인 결제수단에 관련한 정보뿐만 아니라 고객이 사용한 할인쿠폰 정보, 결제 대용 쿠폰(예컨데, 모바일쿠폰, 선불카드 등) 정보 등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매 처리 모듈(231)은 고객의 포인트 카드 정보 등에 기초하여 고객의 맴버십 포인트 적립 처리 또한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고객의 맴버십 포인트 적립 처리는 상기 서버(200) 내에서 수행되거나 또는 외부 서버로 하여금 적립 처리를 수행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처리될 수 있다. 구매 처리 모듈(231)는 결제 처리를 수행하고, 결과를 메모리(220)에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이 제품을 신용카드로 구매하며, 고객이 소지한 스마트폰의 맴버십 앱에서 표시되는 바코드로 맴버십 포인트를 적립한다고 가정한다. 구매 처리 모듈은 포스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신용카드 회사 서버로 하여금 제품 결제 처리를 수행하도록 하고, 맴버십 앱의 바코드로 고객을 식별해 맴버십 포인트를 적립하도록 할 수 있다.
설문조사 대상 결정 모듈(233)은 구매 정보에 기초하여, 구매 정보의 체크 시점으로 이전으로 사전설정된 기간 이내의 구매 고객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 정보를 매시 정각에 체크하는 경우, 설문조사 대상 결정 모듈(233)은 사전설정된 시간(10분~ 60분) 이전의 구매 기록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고객이 제품a를 12시 10분에 구매하고, B고객이 제품b를 12시 30분에 구매하고, C고객이 제품c를 12시 50분에 구매하고, 설문조사 대상 결정 모듈(233)은 13시에 구매 정보를 체크하여 설문조사 요청을 송수신부(210)를 통해 전송한다고 가정한다. 상기 사전설정된 기간이 30분인 경우에는, 설문조사 대상 결정 모듈(233)은 13시로부터 30분 전인 12시 30분 B고객의 사이다 구매, 10분전인 12시 50분의 C고객의 환타 구매에 대하여 고객만족도 설문조사를 진행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A고객은 구매행위가 있은 지 50분이 경과하여, 자신을 응대하는 점원(점주 또는 아르바이트생)에 대한 기억이 불명확할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B 및 C 고객에 대한 설문조사보다 부정확한 결과가 도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전술한 기재는 예시일 뿐이며, 설문조사 대상 결정 모듈(233)은 임의의 구매기록 체크 시점에 대하여 임의의 사전설정된 시간 전까지의 구매기록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설문조사 대상 결정 모듈(233)은 비교적 최신의 구매 기록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하도록 함으로써, 고객의 시간 경과에 의한 설문조사 결과에의 영향을 줄이고, 보다 정확한 설문조사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설문조사 대상 결정 모듈(233)은 구매정보에 기초하여, 사전설정된 방식으로 구매 고객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설문조사 대상 결정 모듈(233)은 특정 상품은 특정 고객층에 대해서 설문조사를 진행할 것을 결정하거나, 특정 고객에 대한 설문조사 빈도를 제한하여 고객의 피로도를 경감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남자인 A고객이 여성제품을 구매한 경우, 설문조사 대상 결정 모듈(233)은 구매 정보에 포함된 고객 식별 정보, 결제 수단 정보 등에 기초하여 상기 A고객의 성별이 남성임을 알 수 있고, 구매정보에 포함된 상품 정보가 여성제품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설문조사 대상 결정 모듈(233)은 해당 A고객은 구매 제품의 사용자가 아니므로, 상품에 대한 만족도 설문을 수행하지 않을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기재는 예시일 뿐이며, 설문조사 대상 결정 모듈(233)은 임의의 구매정보에 기초하여, 불필요한 설문조사가 수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주부인 B고객이 성장기인 아들을 위하여 매일 우유 1L를 구매한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B고객에 대한 매일의 설문조사는 B고객의 피로도를 증가시킬 뿐이며, 정확한 설문조사 결과가 도출되기 어렵다. 따라서, 설문조사 대상 결정 모듈(233)은 상기 B고객의 반복적인 구매행위에 대하여 1개월에 1번 설문조사를 하도록 하여, 고객의 피로도를 경감하고 불필요한 설문조사가 수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기재는 예시일 뿐이며, 설문조사 대상 결정 모듈(233)은 반복적인 구매 행위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일부 제한할 것을 결정하여, 고객의 피로도를 경감시키고 불필요한 설문조사가 수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설문조사 대상 결정 모듈(233)은 고객 응대 주체 정보에 기초하여 사전설정된 방식으로 결정된 구매 고객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할 것을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아르바이트생의 성실도를 평가하고자 하는 점주의 경우, 점주 자신의 근무시간에 방문한 고객의 만족도 조사 결과는 불필요 할 수 있으므로, 설문조사 대상 결정 모듈(233)은 아르바이트생의 근무시간에 방문한 고객에 한정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설문조사 항목 결정 모듈(235)는 구매 정보, 및 고객 응대 주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설문조사 항목을 결정할 수 있다. 설문조사 항목 결정 모듈(235)는 특정 상품을 구매한 특정 고객층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설문 항목을 제공 하도록 하거나 일부 항목을 제외할 수 있으며, 특정 시간에 방문한 고객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설문 항목을 제공하도록 하거나 일부 항목을 제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남자인 A고객이 여성제품을 구매한 경우, 설문조사 항목 결정 모듈(235)은 구매 정보에 포함된 고객 식별 정보, 결제 수단 정보 등에 기초하여 상기 A고객의 성별이 남성임을 알 수 있고, 구매정보에 포함된 상품 정보가 여성제품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설문조사 항목 결정 모듈(235)은 해당 A고객은 구매 제품의 사용자가 아니므로, 상품에 대한 만족도 항목을 제외하고, 고객 응대에 대한 만족도에 관한 항목만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기재는 예시일 뿐이며, 설문조사 항목 결정 모듈(235)은 임의의 구매정보에 기초하여 불필요한 설문조사 항목을 제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부인 B고객이 성장기인 아들을 위하여 매일 같은 종류의 우유 1L를 구매한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B고객에 대하여 상품에 대한 만족도 설문은 불필요할 수 있으며, 매일 반복되는 설문조사 요청은 B고객을 피로하게 만들 뿐이다. 그러나, 매일 방문하는 B고객을 응대하는 주체가 점주, 아르바이트생 A, B 및 C로 매일 변경되는 경우에는 설문조사 항목 결정 모듈(235)는 상품에 대한 설문조사 항목을 제외하고 고객 응대 주체에 대한 응대 만족도 설문조사 항목만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기재는 예시일 뿐이며, 설문조사 항목 결정 모듈(235)는 임의의 구매정보 또는 임의의 고객 응대 주체 정보에 기초하여 필요한 설문조사 항목을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아르바이트생의 성실도를 평가하고자 하는 점주의 경우, 점주 자신의 근무시간에 방문한 고객의 만족도 조사 결과는 불필요 할 수 있으므로, 설문조사 항목 결정 모듈(235)은 점주의 근무시간에 방문한 고객에 대하여 응대 만족도 설문조사 항목을 제외하거나, 아르바이트생의 근무시간에 만족한 고객에 대하여 응대 만족도 설문조사 항목을 추가할 수 있다.
설문조사 처리 모듈(237)은 구매 정보, 고객단말로부터 수신된 제 1 설문조사 결과 및 고객 응대 주체 정보에 기초하여 고객 응대 주체를 구분하는 제 2 설문조사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제 2 설문조사 결과는 고객 응대 주체별로 구분된, 고객 만족도에 관련한 조사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설문조사 처리 모듈(237)은 상기 제 2 설문조사 결과에 기초하여 사전설정된 기간 단위 또는 사전설정된 고객 그룹 단위로 통계처리한 제 3 설문조사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구매 정보는 고객의 식별 정보, 구매 상품 정보, 고객의 포인트 카드 정보, 구매 시간 정보 및 결제 수단 정보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고객 응대 주체 정보는 하나 이상의 점주 및 하나 이상의 아르바이트생의 근무시간에 관련한 정보 및 고객의 상품 구매시 상기 고객을 응대하는 포스단말(100) 사용자에 관련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설문조사 처리 모듈(237)은 구매 정보에 포함된 구매 시간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설문조사 결과의 대상이 된 구매 행위가 이루어진 시간을 알 수 있고, 사전에 저장된 고객 응대 주체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시간에 상기 고객을 응대한 주체를 알 수 있다. 설문조사 처리 모듈(237)은 상기 정보를 조합하여 고객 응대 주체별로 구분된 제 2 설문조사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설문조사 처리 모듈(237)은 고객의 구매 시간 정보 및 고객 응대 주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고객을 응대한 주체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및 제 1 설문조사 결과에 기초하여 제 2 설문조사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편의점에서 0:00에서 6:00까지는 아르바이트생 A, 6:00에서 12:00까지는 아르바이트생 B, 12:00에서 18:00까지는 점주, 18:00에서 24:00까지는 아르바이트생 C가 근무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서버(200)는 전술한 근무시간을 포함하는 고객 응대 주체 정보를 포스단말(100)로부터 수신하여 메모리(220)에 저장할 수 있다. A 고객이 5:55에 제품을 구매하며, 포인트를 적립한 경우, 설문조사 대상 결정 모듈(233)은 A 고객의 제품 구매 행위에 대하여 고객 만족도 설문조사를 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설문조사 항목 결정 모듈(235)는 상기 A 고객의 제품 구매 행위에 대하여 상품 만족도 및 고객 응대 만족도에 관련한 설문조사를 수행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서버(200)는 송수신부(210)를 통해 상기 A고객이 소지한 고객단말(20)에 설문조사 요청을 전송하고, A고객의 단말(20)로부터 제 1 설문조사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설문조사 처리 모듈(237)은 상기 제 1 설문조사 결과, 고객의 구매 정보(5:55분에 제품 구매), 고객 응대 주체 정보(5:55에 근무한 것은 아르바이트생 A)에 기초하여, 아르바이트생 A에 대한 만족도 설문조사 결과인 제 2 설문조사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설문조사 결과를 생성함으로써, 점주등은 아르바이트생 각각에 대한 고객의 만족도를 보다 쉽게 알 수 있고, 인적자원관리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설문조사 처리 모듈(237)은 제 2 설문조사 결과를 1달 단위로 평균을 낸 제 3 설문조사 결과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설문조사 처리 모듈(237)은 제 2 설문조사 결과를 고객들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성별로 그룹화하여, 제 3 설문조사 결과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아르바이트 생 A는 여자 고객에 대한 응대 만족도 점수가 95점이나 남자 고객에 대한 응대 만족도 점수는 80점이라는 제 3 설문조사 결과를 생성할 수도 있다. 전술한 기재는 예시일 뿐이며, 설문조사 처리 모듈(237)은 임의의 구매행위에 대하여 임의의 설문조사 결과를 수신하여, 임의의 고객 응대 주체와 연관된 제 2 설문조사 결과를 도출 할 수 있으며, 임의의 기간 및 임의의 방식으로 제 2 설문조사 결과를 통계처리한 제 3 설문조사 결과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설문조사 처리 모듈(237)은 임의의 방식으로 그룹화된 고객 그룹 단위로 통계처리한 제 3 설문조사 결과를 생성할 수도 있다.
보상 결정 모듈(239)는 송수신부(210)로부터 수신된 제 1 설문조사 결과 및 고객의 구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고객에게 제공할 설문조사에 대한 보상을 결정할 수 있다. 설문조사는 고객 피로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보상 결정 모듈(239)은 설문조사에 응한 고객에 대하여 보상을 제공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보상은 할인 쿠폰, 맴버십 포인트, 결제 대체 쿠폰, 일반적인 상품, 서비스 등의 이용권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고객이 제품을 구매하며 해피 포인트 적립을 하고, 설문조사에 참여한 경우, 보상 결정 모듈(239)는 구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고객을 식별하고, 제 1 설문조사 결과에 기초하여 고객이 설문조사에 응답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보상 결정 모듈(239)는 고객에게 일정한 해피포인트(예를 들면, 문항당 1포인트 등)를 지급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기재는 예시일 뿐이며, 보상 결정 모듈(239)는 임의의 구매행위 및 설문조사 참여에 대하여 임의의 보상을 제공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문 조사의 프로세스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포스단말(100)은 고객으로부터 구매되는 상품에 관련한 정보나 고객 정보를 인식하여 서버로 전송하고, 고객 응대 주체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여, 서버(200)가 고객 응대 주체별 고객 만족도 설문조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품은 일반적인 상품과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고객 응대 주체 정보는 하나 이상의 점주 및 하나 이상의 아르바이트생의 근무 시간을 포함하여, 상기 서버(200)가 고객의 상품 구매시 상기 고객을 응대한 주체가 누구인지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포스단말(100)은 상품의 정보를 인식하여 서버 등이 구매 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매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맴버십 포인트 등의 적립을 위하여 고객의 정보를 식별하고 이를 관련된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0)는 포스단말(100)로부터 구매 정보 및 고객 응대 주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200)의 설문조사 대상 결정 모듈(233)은 구매 정보 또는 고객 응대 주체 정보에 기초하여 설문조사 대상을 결정할 수 있다. 서버(200)의 설문조사 항목 결정 모듈(235)는 구매 정보 또는 고객 응대 주체 정보에 기초하여 설문조사 항목을 결정할 수 있다.
서버(200)의 송수신부(210)은 고객단말(20)에 설문조사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설문조사 요청은 전술한 바와 같이 앱 등의 푸시 알림, SMS 메시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고객은 고객단말(20)의 앱 또는 WEB에서, 설문조사를 수행할 수 있다. 서버(200)의 송수신부(210)은 상기 고객단말(20)로부터 설문조사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200)의 설문조사 처리 모듈(237)은 상기 설문조사 결과와 고객 응대 주체 정보를 조합하여, 고객 응대 주체별로 구분된, 고객 만족도에 관련한 제 2 설문조사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설문조사 처리 모듈(237)은 상기 제 2 설문조사 결과를 사전설정된 기간 단위로 통계처리하여 제 3 설문조사 결과를 생성할 수도 있다.
서버(200)의 송수신부(210)은 제 2 설문조사 결과 및 제 3 설문조사 결과를 포스단말(100) 또는 점주단말(10)에 전송할 수 있다. 점주는 이를 확인하여 인적자원관리에 활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단말에 표시되는 설문조사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고객단말(20)은 디스플레이에 안내문 및 설문 문항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안내문은 설문조사의 의도, 설문조사에 대한 보상, 설문조사의 참여를 격려하는 문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문조사는 고객단말(20)이 구동하는 앱상에서 또는 웹 브라우저 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설문 항목은 서버(200)의 설문조사 항목 결정 모듈(235)에서 결정되어, 각각의 경우마다 상이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것은 예시에 불과하다. 설문 항목에 대하여 고객은 고객단말(20)의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매우 만족, 만족, 보통, 불만족, 매우 불만족등의 답변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답변은 예시일 뿐이며, 고객의 만족도를 반영할 수 있도록 다양한 답변들이 본 발명에 포함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단말에서 수행되는 고객 응대 주체를 구분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모든 단계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 일부 단계들이 추가되거나 제외될 수 있으며, 각 단계들의 순서 또한 변경될 수 있다.
포스단말(100)의 사용자 입력부(110)는 포스단말의 사용자로부터 고객 응대 주체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310). 사용자 입력부(110)는 하나 이상의 점주 및 하나 이상의 아르바이트생의 근무시간에 관련한 정보 및 상기 포스단말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포스단말의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을 수 있다.
송수신부(130)는 상기 생성된 고객 응대 주체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320). 송수신부(130)는 이를 위하여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하나 이상의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판독부(120)는 구매 상품 정보 및 구매 고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할 수 있다(330). 이를 위하여 상기 정보 판독부(120)는 광학 판독 수단, 근거리 통신 수단, 마그네틱 카드 또는 ID 카드 판독 수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식별된 정보에 기초하여 고객의 구매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340). 상기 구매 정보는 고객의 식별 정보, 구매 상품 정보, 고객의 포인트 카드 정보, 구매 시간 정보 및 결제 수단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결제 수단 정보는 신용카드 등 일반적인 결제수단에 관련한 정보 뿐만 아니라 고객이 사용한 할인쿠폰 정보, 결제 대용 쿠폰(예컨데 모바일쿠폰, 선불카드 등) 정보 등도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130)는 생성된 고객의 구매 정보를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구매 정보를 서버(200)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서버(200)가 구매에 대한 결제 처리, 설문조사 처리 등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서 수행되는 고객 응대 주체를 구분하는 설문조사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모든 단계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 일부 단계들이 추가되거나 제외될 수 있으며, 각 단계들의 순서 또한 변경될 수 있다.
서버(200)의 송수신부(210)는 포스단말(100)로부터 고객 응대 주체 정보 및 고객의 구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410). 상기 고객 응대 주체 정보는 하나 이상의 점주 및 하나 이상의 아르바이트생의 근무시간에 관련한 정보 및 고객의 상품 구매시 상기 고객을 응대하는 포스단말(100) 사용자에 관련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객의 구매 정보는 고객의 식별 정보, 구매 상품 정보, 고객의 포인트 카드 정보, 구매 시간 정보 및 결제 수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200)의 제어부(230)은 복수의 하위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매 처리 모듈(231)은 고객의 구매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에 대한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420). 전술한바와 같이 구매 처리 모듈(231)은 상기 서버(200) 내에서 상품에 대한 결제에 관련한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고, 별도의 외부 서버(예를 들면, 신용카드회사 서버 등)(미도시)로 하여금 상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결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송수신부(210)는 고객의 구매 정보에 기초하여 고객단말(20)에게 설문조사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430). 송수신부(210)는 고객의 구매 정보에 포함된 고객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된 고객단말(20)에게 설문조사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설문조사 요청은 푸시알림 또는 SMS 등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객단말(20)은 설문조사 대상 결정 모듈(233)에 의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할 것으로 결정된 고객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210)는 고객단말(20)에게 설문조사 항목을 전송할 수 있다(440). 설문조사 항목은 설문조사 항목 결정 모듈(235)에 의해 결정된 설문조사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210)는 고객단말(20)로부터 제 1 설문조사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450). 상기 설문조사 결과는 고객의 만족도 조사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설문조사 처리 모듈(237)은 제 1 설문조사 결과 및 고객 응대 주체 정보에 기초하여, 고객 응대 주체를 구분하는 제 2 설문조사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460). 설문조사 처리 모듈(237)은 구매 정보에 포함된 구매 시간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설문조사 결과의 대상이 된 구매 행위가 이루어진 시간을 알 수 있고, 사전에 저장된 고객 응대 주체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시간에 상기 고객을 응대한 주체를 알 수 있다. 설문조사 처리 모듈(237)은 상기 정보를 조합하여 고객 응대 주체별로 구분된 제 2 설문조사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설문조사 처리 모듈(237)은 고객의 구매 시간 정보 및 고객 응대 주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고객을 응대한 주체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및 제 1 설문조사 결과에 기초하여 제 2 설문조사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정보 및 신호들이 임의의 다양한 상이한 기술들 및 기법들을 이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위의 설명에서 참조될 수 있는 데이터, 지시들, 명령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및 칩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파들, 자기장들 또는 입자들, 광학장들 또는 입자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프로세서들, 수단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편의를 위해, 여기에서 "소프트웨어"로 지칭되는) 다양한 형태들의 프로그램 또는 설계 코드 또는 이들 모두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 호환성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이들의 기능과 관련하여 위에서 일반적으로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 여부는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대하여 부과되는 설계 제약들에 따라 좌우된다.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각각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다양한 방식들로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 결정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여기서 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방법, 장치, 또는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엔지니어링 기술을 사용한 제조 물품(article)으로 구현될 수 있다. 용어 "제조 물품"은 임의의 컴퓨터-판독가능 장치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캐리어, 또는 매체(media)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자기 저장 장치(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 등), 광학 디스크(예를 들면, CD, DVD, 등), 스마트 카드, 및 플래쉬 메모리 장치(예를 들면, EEPROM,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등)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기서 제시되는 다양한 저장 매체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장치 및/또는 다른 기계-판독가능한 매체를 포함한다. 용어 "기계-판독가능 매체"는 명령(들)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 보유, 및/또는 전달할 수 있는 무선 채널 및 다양한 다른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시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는 예시적인 접근들의 일례임을 이해하도록 한다. 설계 우선순위들에 기반하여,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가 재배열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도록 한다. 첨부된 방법 청구항들은 샘플 순서로 다양한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제공하지만 제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에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고객 응대 주체를 구분하는 설문조사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포스단말로부터 고객의 구매 정보 및 고객 응대 주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고객 응대 주체 정보를 고객단말에 전송하고, 고객단말에 설문조사 요청을 전송하고, 고객단말에 설문조사 항목을 전송하고, 상기 고객단말로부터 제 1 설문조사 결과를 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구매 처리 모듈, 설문조사 처리 모듈, 설문 조사 대상 결정 모듈, 설문조사 항목 결정 모듈 및 보상 결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구매 정보는,
    고객의 식별 정보, 구매 상품 정보, 고객의 포인트 카드 정보, 구매 시간 정보 및 결제 수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고객 응대 주체 정보는,
    하나 이상의 점주 및 하나 이상의 아르바이트생의 근무시간에 관련한 정보 및 고객의 상품 구매시 상기 고객을 응대하는 포스단말 사용자에 관련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구매 처리 모듈은,
    상기 구매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에 대한 결제를 처리하고,
    상기 설문조사 처리 모듈은,
    상기 고객의 구매 시간 정보 및 상기 고객 응대 주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고객을 응대한 주체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및 상기 제 1 설문조사 결과에 기초하여 제 2 설문조사 결과 ― 상기 제 2 설문조사 결과는, 고객 응대 주체별로 구분된, 고객 만족도에 관련한 조사 결과를 포함함 ― 를 생성하는,
    상기 설문조사 대상 결정 모듈은,
    상기 고객 응대 주체 정보에 기초하여 사전 결정된 고객응대 주체의 근무시간의 구매 고객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할 것을 결정하는,
    상기 설문조사 항목 결정 모듈은,
    상기 구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고객단말에 전송될 설문조사 항목을 결정하고, 그리고 사전 결정된 고객 응대 주체의 근무시간에 구매한 고객에 대하여 설문조사 항목을 조정하는,
    상기 보상 결정 모듈은,
    상기 송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제 1 설문조사 결과 및 고객의 구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고객에게 제공할 설문조사에 대한 보상을 결정하는,
    상기 보상은,
    할인 쿠폰, 맴버십 포인트, 결제 대체 쿠폰, 일반적인 상품, 서비스 등의 이용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고객 응대 주체를 구분하는 설문조사를 제공하는 서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제 2 설문조사결과를 상기 포스단말 또는 점주단말에 전송하는,
    고객 응대 주체를 구분하는 설문조사를 제공하는 서버.
  6. 삭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설문조사 처리 모듈은,
    상기 제 2 설문조사 결과에 기초하여 사전설정된 기간 단위 또는 사전설정된 고객 그룹 단위로 통계 처리한 제 3 설문조사 결과를 생성하는,
    고객 응대 주체를 구분하는 설문조사를 제공하는 서버.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설문조사 대상 결정 모듈은,
    상기 구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매 정보의 체크 시점으로부터 이전으로 사전설정된 기간 이내의 구매 고객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할 것을 결정하는,
    고객 응대 주체를 구분하는 설문조사를 제공하는 서버.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설문조사 대상 결정 모듈은,
    상기 구매 정보에 기초하여, 사전설정된 방식으로 결정된 구매 고객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할 것을 결정하는,
    고객 응대 주체를 구분하는 설문조사를 제공하는 서버.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서버에서 수행되는 고객 응대 주체를 구분하는 설문조사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포스단말로부터 고객 응대 주체 정보 및 고객의 구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고객의 구매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에 대한 결제를 처리하는 단계;
    고객의 구매 정보에 기초하여 고객단말에게 설문조사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고객 응대 주체 정보에 기초하여 사전 결정된 고객응대 주체의 근무시간의 구매 고객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할 것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구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고객단말에 전송될 설문조사 항목을 결정하고, 그리고 사전 결정된 시간 고객 응대 주체의 근무시간에 구매한 고객에 대하여 설문조사 항목을 조정하는 단계;
    상기 고객단말에게 설문조사 항목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고객 응대 주체 정보를 상기 고객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고객단말로부터 제 1 설문조사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고객의 구매 시간 정보 및 상기 고객 응대 주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고객을 응대한 주체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및 상기 제 1 설문조사 결과에 기초하여 제 2 설문조사 결과 ― 상기 제 2 설문조사 결과는, 고객 응대 주체별로 구분된, 고객 만족도에 관련한 조사 결과를 포함함 ― 를 생성하는 단계; 및
    송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제 1 설문조사 결과 및 고객의 구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고객에게 제공할 설문조사에 대한 보상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구매 정보는,
    고객의 식별 정보, 구매 상품 정보, 고객의 포인트 카드 정보, 구매 시간 정보 및 결제 수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고객 응대 주체 정보는,
    하나 이상의 점주 및 하나 이상의 아르바이트생의 근무시간에 관련한 정보 및 고객의 상품 구매시 상기 고객을 응대하는 포스단말 사용자에 관련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보상은,
    할인 쿠폰, 맴버십 포인트, 결제 대체 쿠폰, 일반적인 상품, 서비스 등의 이용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버에서 수행되는 고객 응대 주체를 구분하는 설문조사를 제공하는 방법.

KR1020150148351A 2015-10-23 2015-10-23 고객 응대 주체를 구분하는 포스단말 및 고객 응대 주체를 구분하는 설문조사를 제공하는 서버 KR101667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351A KR101667552B1 (ko) 2015-10-23 2015-10-23 고객 응대 주체를 구분하는 포스단말 및 고객 응대 주체를 구분하는 설문조사를 제공하는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351A KR101667552B1 (ko) 2015-10-23 2015-10-23 고객 응대 주체를 구분하는 포스단말 및 고객 응대 주체를 구분하는 설문조사를 제공하는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7552B1 true KR101667552B1 (ko) 2016-10-19

Family

ID=57250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8351A KR101667552B1 (ko) 2015-10-23 2015-10-23 고객 응대 주체를 구분하는 포스단말 및 고객 응대 주체를 구분하는 설문조사를 제공하는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75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21159B2 (en) * 2014-01-31 2018-11-06 Ncr Corporation Polling statement feedback system and methods
KR102393523B1 (ko) * 2022-03-28 2022-05-03 주식회사 두레농산 수요자 선호도에 기반한 도정 품질 제어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9999A (ja) * 1994-02-02 1995-08-18 Hitachi Ltd 販売管理システム
JP2002073948A (ja) * 2000-08-30 2002-03-12 Net Bird:Kk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及び情報分析方法
JP2004206478A (ja) * 2002-12-25 2004-07-22 Yoshiyuki Takagi 従業員の評価方法とそのシステム、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50029828A (ko) * 2013-09-10 2015-03-19 박종헌 설문단말기 및 무인결제단말기, 그리고 이를 이용한 설문조사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9999A (ja) * 1994-02-02 1995-08-18 Hitachi Ltd 販売管理システム
JP2002073948A (ja) * 2000-08-30 2002-03-12 Net Bird:Kk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及び情報分析方法
JP2004206478A (ja) * 2002-12-25 2004-07-22 Yoshiyuki Takagi 従業員の評価方法とそのシステム、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50029828A (ko) * 2013-09-10 2015-03-19 박종헌 설문단말기 및 무인결제단말기, 그리고 이를 이용한 설문조사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21159B2 (en) * 2014-01-31 2018-11-06 Ncr Corporation Polling statement feedback system and methods
KR102393523B1 (ko) * 2022-03-28 2022-05-03 주식회사 두레농산 수요자 선호도에 기반한 도정 품질 제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56474B2 (en) Mobile proximity based messages
US1197245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d tracking customer interaction
US20230016910A1 (en)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interactive digital receipts
US10049347B2 (en) Electronic receipt system with social media link and related servers and methods
AU201620150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argeting ad impressions
US2018018988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real-time monitoring of spending limits
US11593841B2 (en) Promotional system interaction tracking
US20160055498A1 (en) Obtaining consumer survey responses at point of interaction for use to predict purchasing behavior
US20210019813A1 (en) Consumer purchasing and inventory control assistant apparatus, system and methods
US2015033229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customers using payments data
KR20150080978A (ko) 구매이력 기반 구매 지원 시스템, 장치 및 방법
US2013028243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sumer preference and intention data to merchants
US2018023274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consumer purchasing behavior
US10515342B1 (en) Referral candidate identification
KR101681534B1 (ko) 실시간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지급결제수단 추천 시스템
KR101667552B1 (ko) 고객 응대 주체를 구분하는 포스단말 및 고객 응대 주체를 구분하는 설문조사를 제공하는 서버
US9972027B1 (en) System and method of tracking the effectiveness of viewing resources on electronic devices in causing transaction activity to subsequently occur at a physical location associated with the resources
US20140344040A1 (en) Transaction linked merchant data collection
KR102222392B1 (ko) 신용카드 번호를 이용한 고객원장 자동생성 및 마케팅 시스템
KR20150112117A (ko) 소셜네트워크서비스 기반의 단골고객 관리가 가능한 모바일 포스 시스템
KR20190007166A (ko) Sns 인증을 이용한 온라인 쿠폰제공방법
US11694216B2 (en) Data driven customer loyalty prediction system and method
JP2022066681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20200039094A (ko) 할인 정보 제공 방법
KR20200039096A (ko) 할인 정보 제공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