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3523B1 - 수요자 선호도에 기반한 도정 품질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수요자 선호도에 기반한 도정 품질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3523B1
KR102393523B1 KR1020220037775A KR20220037775A KR102393523B1 KR 102393523 B1 KR102393523 B1 KR 102393523B1 KR 1020220037775 A KR1020220037775 A KR 1020220037775A KR 20220037775 A KR20220037775 A KR 20220037775A KR 102393523 B1 KR102393523 B1 KR 102393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quality index
milling
quality
consumer pre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7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레농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레농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레농산
Priority to KR1020220037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35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3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3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5/00Grain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2B5/02Combined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요자 선호도에 기반한 도정 품질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도정 업체에 구비된 도정 설비를 통해 도정된 쌀을 샘플링한 뒤, 이미지 분석 및 영양 성분 분석을 수행하여 품질 지수를 측정하는 품질 지수 측정부; 품질 지수 측정부에서 측정한 도정된 쌀의 제1 품질 지수와, 도정 업체와 연계된 거래처에서 기 판매된 쌀에 대한 수요자들의 구매 만족도 평가 정보를 이용하여 도정된 쌀에 대한 수요자 선호도를 분석하는 수요자 선호도 분석부; 제1 품질 지수와, 수요자 선호도 분석부에서 수요자들이 선호하는 쌀의 품질 지수로 분석된 제2 품질 지수에 기초하여, 도정된 쌀의 공급 안정성을 평가하는 공급 안정성 평가부; 및, 도정된 쌀의 공급 안정성 평가 결과에 기반하여 거래처로 납품되는 쌀의 도정 처리 공정을 제어하는 공정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요자 선호도에 기반한 도정 품질 제어 장치{APPARATUS OF CONTROLING POLISHED RICE QUARLITY BASED ON CUSTOMER PREFERENCE}
본 발명은 수요자 선호도에 기반한 도정 품질 제어 장치에 관련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도정된 쌀의 품질 지수와 수요자들이 선호하는 쌀의 품질 지수를 비교하고, 품질 지수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쌀의 도정 제어 조건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기술과 관련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쌀의 도정이란 탈곡한 쌀의 껍질층을 벗겨내어 섭취가 용이한 쌀의 형태로 가공하는 것을 도정이라 고 한다.
도정은 과거에는 절구, 디딜방아, 연자매, 물방아 등을 이용하여 이루어졌으나, 현재는 현미의 표면을 고속 회 전으로 깎는 연삭식 도정기, 미립 상호간 또는 금속망 등과 마찰 시켜 현미 표면을 제거하는 박리제 도정기 또 는 이들을 조합한 콤파스식 정미기를 이용하여 쌀의 영양소를 파괴하지 않으면서도 식감을 좋게 하는 도정 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도정 방법의 개발에서 나아가 도정 수율, 도정 품질을 증대하고자 하는 노력이 기울여 지고 있다.
관련 기술의 예로서 한국 등록 특허 제10-1087181호에는 현미 또는 백미와 같은 미곡을 투입하면 도정, 미강분리, 무세미처리가 이루어진 상태로 저장되고, 저장된 곡물을 정량 보급하도록 하는 즉석 도정 정량 보급기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 등록 특허 제10-1743519호에서는 도정되는 현미의 분도를 조절할 수 있는 분도 조절 수단이 구비되어, 즉석으로 도정된 쌀을 판매하는 즉석 도정 쌀 자동 판매기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들은 쌀을 정량 보급하면서 미곡의 처리 편의를 증대하거나, 쌀의 분도 조절에 대한 편의를 증대하고자 하는 기술에 불과하여, 쌀의 도정 품질을 구체적으로 센싱함으로써 도정 품질이 관리되도록 하거나, 수요자들의 선호도를 고려하여 쌀의 도정 제어 조건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기술 측면으로는 개발이 부진한 실정에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도정된 쌀의 품질 지수와 수요자들이 선호하는 쌀의 품질 지수를 비교하고, 품질 지수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쌀의 도정 제어 조건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되는 수요자 선호도에 기반한 도정 품질 제어 장치는, 도정 업체에 구비된 도정 설비를 통해 도정된 쌀을 샘플링한 뒤, 이미지 분석 및 영양 성분 분석을 수행하여 품질 지수를 측정하는 품질 지수 측정부; 품질 지수 측정부에서 측정한 도정된 쌀의 제1 품질 지수와, 도정 업체와 연계된 거래처에서 기 판매된 쌀에 대한 수요자들의 구매 만족도 평가 정보를 이용하여 도정된 쌀에 대한 수요자 선호도를 분석하는 수요자 선호도 분석부; 제1 품질 지수와, 수요자 선호도 분석부에서 수요자들이 선호하는 쌀의 품질 지수로 분석된 제2 품질 지수를 비교하여, 도정된 쌀의 공급 안정성을 평가하는 공급 안정성 평가부; 및, 도정된 쌀의 공급 안정성 평가 결과에 기반하여 거래처로 납품되는 쌀의 도정 처리 공정을 제어하는 공정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품질 지수 측정부는, 도정 설비를 통해 도정된 쌀 중, 기 설정된 비율의 쌀을 표본으로 채취하여 샘플링하되, 샘플링된 쌀을 촬영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분석을 수행하며, 이미지에서 쌀의 분도 및 완전립과 미완전립의 비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외관 품질 지수를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품질 지수 측정부는, 도정 설비를 통해 도정된 쌀 중, 기 설정된 비율의 쌀을 표본으로 채취하여 품질 지수 측정 대상이 되도록 하되, 샘플링된 쌀을 호화시켜 영양 성분을 분석하되, 수분량, 단백질, 당질, 아밀로오스 및 아밀로펙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성분의 함량을 분석하여 식감 품질 지수를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수요자 선호도 분석부는, 구매 만족도 평가 정보로서, 거래처에서 운영하는 웹 사이트에서 기 판매된 쌀에 대한 구매 후기 정보를 수집한 후, 수요자들에 의해 작성된 구매 후기 정보를 감성 분석하여 상기 도정된 쌀에 대한 수요자 선호도를 분석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수요자 선호도 분석부는, 구매 만족도 평가 정보로서, 거래처를 통해 도정된 쌀을 구매한 하나 이상의 수요자 단말에 도정된 쌀의 품질과 관련된 설문 문항을 제공하여 설문 조사를 수행하고, 설문 조사의 응답 결과에 기초하여 도정된 쌀에 대한 수요자 선호도를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수요자 선호도 분석부는, 설문 조사 수행 시, 수요자 단말로부터 일 설문 문항에 대한 불만족 응답이 입력될 시, 공정 제어부에서 제1 품질 지수를 제2 품질 지수에 대응시키기 위하여 수요자가 선호하는 쌀의 선호 품질 범위 값에 대한 응답을 추가 수집하도록 하고, 공정 제어부는, 기 설정된 도정 처리 공정을 수집된 선호 품질 범위값을 고려한 도정 처리 공정으로 갱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공정 제어부는, 기 설정된 도정 처리 공정을 갱신할 시, 제1 품질 지수와 제2 품질 지수의 비교 결과에서, 제2 품질 지수를 미충족하는 제1 품질 지수의 오차 항목을 검출하고, 검출된 오차 항목에 대응하는 도정 설비의 도정 처리 공정을 갱신하도록 기능하되, 갱신 항목으로서, 기 설정된 도정 처리 공정에 대한 공정의 추가, 삭제 및 변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갱신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공정 제어부는, 검출된 오차 항목이 외관 품질 지수에 대한 오차 항목일 경우, 기 설정된 도정 처리 공정 중, 쌀의 건조 조건 및 가수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조건에 대한 제어 변수를 조정하고, 검출된 오차 항목이 식감 품질 지수에 대한 오차 항목일 경우, 기 설정된 도정 처리 공정 중, 쌀의 도정 압력 조건, 도정 속도 조건 및 도정 시간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조건에 대한 제어 변수를 조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정된 쌀의 품질 지수와 수요자들이 선호하는 쌀의 품질 지수를 비교하고, 품질 지수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쌀의 도정 제어 조건을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다양한 수요자들의 니즈를 충족시키면서도, 도정 제어 조건의 변경 편의가 증대된 기술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정 설비의 도정 제어 조건을 설정하는 것에 대한 유연성이 크게 증대하여, 수요자들의 니즈를 신속히 충족시켜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쌀을 이용한 다양한 제품의 확장성과, 쌀 수요 증대에 따른 농업 시장의 활성화를 촉진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요자 선호도에 기반한 도정 품질 제어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샘플링된 쌀을 촬영한 이미지를 분석하여 도정 품질 지수를 측정하는 예.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샘플링된 쌀의 영양 성분을 분석하여 도정 품질 지수를 측정하는 예.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기 판매된 도정된 쌀의 수요자 구매 후기로부터 감성 분석을 수행하여 공급 안정성을 평가하는 예.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기 판매된 도정된 쌀의 수요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공급 안정성을 평가하는 예.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도정 처리 공정의 갱신이 수행되는 예.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수요자 선호도에 기반한 도정 품질 제어 장치에 관련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도정된 쌀의 품질 지수와 수요자들이 선호하는 쌀의 품질 지수를 비교하고, 품질 지수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쌀의 도정 제어 조건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기술과 관련된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목적을 갖는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하나 이상의 기술적 특징 또는 발명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하여 다수의 도면이 동시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요자 선호도에 기반한 도정 품질 제어 장치의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샘플링된 쌀을 촬영한 이미지를 분석하여 도정 품질 지수를 측정하는 예가, 도 3에서는 샘플링된 쌀의 영양 성분을 분석하여 도정 품질 지수를 측정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기 판매된 도정된 쌀의 수요자 구매 후기로부터 감성 분석을 수행하여 공급 안정성을 평가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서는 기 판매된 도정된 쌀의 수요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공급 안정성을 평가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6에서는 도정 처리 공정이 갱신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서는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한 더욱 구체적인 설명을 개진하여 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요자 선호도에 기반한 도정 품질 제어 장치(10)는 주요 구성으로서, 품질 지수 측정부(11), 수요자 선호도 분석부(12), 공급 안정성 평가부(13) 및 공정 제어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품질 지수 측정부(11)는 도정 업체에 구비된 도정 설비(1)를 통해 도정된 쌀을 샘플링한 뒤, 이미지 분석 및 영양 성분 분석을 수행하여 품질 지수를 측정하도록 기능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품질 지수 측정부(11)는 도정 설비(1)를 통해 도정된 쌀 중 기 설정된 비율의 쌀을 표본으로 채취하여 샘플링하게 되는데, 이때 상술한 기 설정된 비율이라 함은 도정되는 쌀의 전체 부피 또는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5 내지 15%의 비율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며, 후술할 품질 지수의 측정 수단에 연속적으로 제공되거나, 측정 수단별로 소분하여 제공함으로써 품질 지수의 측정에 이용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술한 도정 설비(11)라 함은 도정 처리 공정에 이용되는 모든 설비의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정선기, 제현기, 건조기, 정미기, 연미기, 선별기, 분리기 및 포장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술한 품질 지수 측정부(11)에서는, 샘플링된 쌀을 준비된 촬영 수단(예를 들어 카메라)으로 촬영한 후, 촬영 이미지를 이미지 분석하여 상기 이미지에서 쌀의 분도, 완전립과 미완전립의 비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항목의 외관 품질 지수를 측정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미지에서 쌀의 분도에 대한 품질 지수를 판단하는 것은, 쌀이 갖는 색도에 의해 판단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쌀의 분도는 쌀의 겉 껍질(쌀겨층)을 벗겨낸 정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쌀겨층을 완전히 벗겨낸 것을 십분도미, 70% 벗겨낸 것을 칠분도미, 50% 벗겨낸 것을 오분도미 등으로 칭해지고 있다.
한편 이러한 쌀은 쌀겨층의 벗겨진 비율에 따라 서로 다른 색도 차를 보이는데, 쌀겨층을 완전히 벗겨낸 십분도미의 경우, 유백색을 띠고, 쌀겨층을 벗겨내지 않은 쌀(현미)의 경우, 황색을 띠는 특성이 있어 촬영 이미지 상에서 보여지는 색도 차에 의한 분도 품질 지수의 측정이 가능해진다.
한 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서는 촬영 이미지에서 기 설정된 개수의 쌀 객체에 대한 RGB값을 측정하여 평균값을 도출한 뒤, 기 저장된 분도별 RGB값과 비교하여 도정된 쌀의 분도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이를 유사도에 따라 기 설정된 외관 품질 지수로 측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분도의 상태를 확인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전체적으로 균일한 분도 품질을 갖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는데, 이는 촬영 이미지를 n개의 단위 영역으로 분할한 뒤, 각 단위 영역에서 식별되는 쌀 객체의 평균 RGB값이 임계 범위에 속하는지 여부를 살펴, n개의 단위 영역 중 임계 비율 이상(예를 들어 80%)의 단위 영역에 대한 평균 RGB값이 임계 범위에 속할 시, 분도 품질이 균일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외관 품질 지수를 갖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임계 범위에 속하지 아니한 단이 영역이 20%를 초과하는 경우, 분도 품질이 불균일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외관 품질 지수를 갖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쌀의 분도 균일성을 판단하는 품질 지수 역시 균일성의 정도에 따라 기 설정된 외관 품질 지수로 측정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함이 당연하다.
또 다른 한편, 상술한 품질 지수 측정부(1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촬영된 이미지에서 쌀 객체를 식별하여 완전립과 미완전립의 비율을 확인하여 외관 품질 지수를 측정할 수도 있다.
이때 상술한 완전립과 미완전립의 구분은 쌀의 외관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쌀은 형태가 온전한 완전립과, 분상질립, 피해립, 변색립, 기형립, 싸라기 등 형태가 온전치 않은 미완전립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 실시 예로서 도 2의 110a에는 완전립의 형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110b 내지 110d에는 미완전립의 형태에 대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세하게 110b는 미완전립 중 피해립에 해당하는 것으로 일부가 병해 등에 의해 피해를 입은 것으로 균일하지 못한 형태 및 색도 차를 보이는 특징이 있으며, 110c는 미완전립 중 수확 시기가 늦어져 형태적으로 변형된 기형립에 해당하고, 완전립과는 상이한 외형을 갖는 특징이 있다. 또한 110d는 미완전립 중 일부가 부러지거나 깨져 형태가 온전치 않은 쌀로서 통상 싸라기라고 불리기도 한다.
이때 본 발명은 전술한 완전립과 미완전립의 형태 및 특징이 인공지능 모듈에 학습되어 있어, 샘플링된 쌀을 촬영한 촬영 이미지에서 쌀 객체를 식별하고, 식별된 쌀 객체의 형태를 분석하여, 완전립과 미완전립의 비율을 연산하도록 기능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한 실시 예로서, 도 2의 실시 예 100a에서는 완전립 90%와 미완전립10%로 품질 지수가 측정된 예를 나타냈었으며, 도 2의 실시 예 100b에서는 완전립 70%와 미완전립 30%로 품질 지수가 측정된 예로서, 110a에 비해 완전립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적고, 미완전립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많은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도 2의 100a 및 100b와 같이 샘플링된 쌀의 완전립과 미완전립의 비율을 연산하여 도정된 쌀의 외관 품질 지수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에서는 완전립의 비율이 90%이상인 쌀에 대해서는 외관 품질 지수를 측정함에 있어 가장 높은 점수 또는 등급을 부여할 수 있고, 완전립의 비율이 50%미만인 쌀에 대해서는 가장 낮은 점수 또는 등급을 부여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도 1의 품질 지수 측정부(11)는 전술한 외관 품질 지수를 측정하는 것에서 더 아나가, 도정 설비(1)를 통해 도정된 쌀 중, 기 설정된 비율의 쌀을 표본으로 채취하여 샘플링하되, 샘플링된 쌀을 호화시켜 영양성분을 분석하여, 수분량, 단백질, 당질, 아밀로오스 및 아밀로펙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함량을 파악함으로써 식감 품질 지수를 측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샘플링된 쌀을 호화시키기 위한 호화 수단으로서, 가수 수단 및, 가열 수단이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술한 가수 수단은 쌀에 수분을 공급하여 주기 위한 수단으로서, 바람직하게 샘플링된 쌀의 부피 대비 1.2 내지 1.5배의 부피에 해당하는 물을 공급하도록 기능할 수 있을 것이며, 상술한 가열 수단은 물이 공급된 쌀을 호화시키기 위하여 60 내지 150도에 대응되는 열을 공급하는 수단으로 이해될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호화된 쌀에 포함된 단백질, 당질과, 아밀로오스(Amylose) 및 아밀로펙틴(Amylopectin)을 포함하는 성분의 함량을 분석하도록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술한 단백질의 함량은 쌀의 경도를 예측하기 위한 지표로서 이용되는데, 일반적으로 단백질 함량이 높을수록 쌀의 경도가 높아 단단한 식감을 제공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상술한 당질의 함량은 쌀의 당도를 예측하기 위한 지표로서 이용되며, 일반적으로 당질의 함량이 높을수록 쌀의 당도가 높다.
또한 상술한 아밀로오스 및 아밀로펙틴의 성분 함량은, 쌀의 찰기에 대한 지표로서 이용되며, 아밀로오스에 비하여 아밀로펙틴의 성분 함량이 높을 경우, 찰지고 윤기가 있는 쌀의 특성을 보이며, 아밀로오스가 아밀로펙틴보다 성분 함량이 높을 경우, 쌀의 찰기가 덜하고, 윤기가 적은 쌀의 특성을 보인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호화된 쌀에서 분석되는 각 영양 성분에 대한 기본값으로, 전체 성분 함량에 대비하여, 단백질의 함량을 5 내지 6.5%, 당질의 함량을 10 내지 16%, 아밀로오스의 함량을 11 내지 13%, 아밀로펙틴의 함량을 18 내지 23%로 포함하도록 하는 것을 식감 품질 지수가 가장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한 실시 예로서, 도 3의 200의 실시 예에서는 가장 바람직한 영양 성분에 대한 기본값을 나타내었으며,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수치에 근접한 수치를 가질수록 가장 높은 품질 지수 점수 또는 등급이 부여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품질 지수 측정부(11)에, 샘플링된 쌀을 호화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수분량을 측정하도록 하는 수분량 측정 수단, 쌀의 분쇄 임계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가압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수단을 더 준비하도록 하여, 상기 수단에 의한 품질 지수를 측정하고 이에 따른 도정 설비(1)의 도정 제어 조건의 초기 값을 설정하도록 기능할 수도 있다.
이때, 상술한 수분량 측정 수단을 이용하여 쌀에 함유된 수분량을 측정하는 것은, 기준 수분량(15 내지 22%)에 미달하는 수분이 함유된 쌀은 저장성이 좋으나 푸석한 밥맛을 제공하여 식감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고, 기준 수분량을 초과하는 수분이 함유된 쌀은 도정 수율을 개선시키도록 기능할 수 있으나, 변질이 쉬운 문제가 있어 도정지에서와 납품지에서의 도정 품질 격차를 크게 하는 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의 요인을 사전 예방하기 위함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수분량 측정 수단의 측정 결과에 따라, 후술할 가공 공정 제어부(14)의 기능 수행 시, 과도한 수분이 함유된 쌀에 대해서는 도정 설비(1)에서 도정 처리 되기 전, 도정 처리 공정의 전처리 공정으로 건조 공정이 선행되도록 하고, 수분 함유량이 적은 쌀에 대해서는 도정 설비(1)에서 도정 처리 되기 전, 도정 처리 공정의 전처리 공정으로 전술한 가수 수단에 의한 가수 처리 공정이 선행되도록 하여 쌀이 적정한 수분량을 보유하는 시점에 도정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공 공정을 제어함으로써, 도정 품질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품질 지수 측정부(11)에 상술한 가압 수단을 구비하여, 쌀의 분쇄 임계 압력을 측정하여 쌀의 외관 품위가 저하되지 않는 범위로 도정 설비(1)의 압력을 조절할 수도 있다.
이때 가압 수단으로부터 도출되는 품질 지수는, 쌀의 분쇄 임계 압력이 큰 값을 가질수록(압력에 대한 저항성이 클수록) 품질 지수가 우수한 것으로 판단하여 품질 지수 점수 또는 등급을 부여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품질 지수 측정부(11)에 가압 수단을 포함시켜, 도정 처리 전에는 완전립의 형태를 갖던 쌀이 도정 처리 후 미완전립으로 외관 품위가 저하되는 등의 문제를 사전에 예방하여 도정 품질의 고도화를 도모할 수 있다.
한편 다음으로 전술한 수요자 선호도 분석부(12)는 품질 지수 측정부에서 측정한 도정된 쌀의 제1 품질 지수와, 도정 업체와 연계된 거래처에서 기 판매된 쌀에 대한 수요자들의 구매 만족도 평가 정보를 이용하여 도정된 쌀에 대한 수요자 선호도를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수요자 선호도 분석부(12)는 구매 만족도 평가 정보로서, 거래처에서 운영하는 웹 사이트에서 기 판매된 쌀에 대한 구매 후기 정보를 ?quot;ㅂ한 후, 수요자들에 의해 작성된 구매 후기 정보를 감성 분석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감성 분석함으로써, 도정된 쌀에 대한 수요자 선호도를 분석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로서, 도 4의 실시 예 300을 참조하여 보면, 수요자들에 의해 작성된 구매 후기 정보를 수집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의 실시 예 300에서는 거래처별로 구매 후기 정보를 수집하되, 임계 기간 동안 작성된 구매 후기 정보를 수집한 실시 예를 도시하였다.
이때, 도 4의 실시 예 300에서는 22년 1월 1일부터 22년 1월 15일까지 보름 동안 수집된 구매 후기 정보를 감성 분석하기 위해 수집하였으나, 이러한 기간 단위는 일별, 주별, 월별 등의 다양한 기준을 가질 수 있음이 당연할 것이다.
한편 이렇게 수집된 구매 후기 정보는 머신러닝과 자연어 처리를 결합하여 구매 후기 정보의 감정이 긍정인지 부정인지 또는 중립적인지를 파악할 수 있는데, 일 실시 예에서는 긍정, 부정 및 중립의 단어에 -5 내지 +5사이의 숫자로 점수화된 단어 리스트를 구비한 뒤, 구매 후기 정보의 텍스트를 개별 단어로 분할하여 상기 점수화된 단어 리스트와 비교하여 최종 감정 점수를 도출할 수 있다.
단편적으로 예를 들면, 구매 후기 정보로 "이 쌀은 맛있지만 싸라기가 좀 많다"라는 후기가 존재할 때, 감성분석 알고리즘에서는 "맛있다"의 활용형인 "?ダ逞嗤?"과, "싸라기", 전술한 싸라기를 수식하는 "조금", "많다"라는 단어로부터 점수를 연산하여 이 문장이 중립적인 구매 후기 정보로 분류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연산 과정을 거쳐 도 4의 실시 예 310 및 3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요자들의 구매 후기 정보를 감성 분석한 결과를 가시화 모델로서 도출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수요자들의 구매 후기 정보를 감성 분석한 결과를 도 4의 311에 도시된 실시 예와 같이 긍정적인 감성 비율, 부정적인 감성 비율 및 중립적인 감성 비율을 가시화 모델로 구현하거나, 더욱 세부적으로 도 4의 310과 같이 쌀의 외형, 색도, 경도, 당도, 찰기, 재구매 의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감성 분석 평가 기준으로 평가 척도를 분류하여 가시화 모델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가시화 모델은 거래처 단말(130)에 제공되어 기 판매된 쌀에 대한 수요자 선호도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가시화 모델의 구현에 사용된 데이터를 후술할 공정 제어부(14)로 제공함으로써, 도정 공정에 대한 제어 변수에 적용되게 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상술한 수요자 선호도 분석부(12)는, 전술한 구매 만족도 평가 정보로서 상기 거래처를 통해 도정된 쌀을 구매한 하나 이상의 수요자 단말에 도정된 쌀의 품질과 관련된 설문 문항을 제공하여 설문 조사를 수행하고, 설문 조사의 응답 결과에 기초하여 도정된 쌀에 대한 수요자 선호도를 분석하도록 기능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의 400을 동시 참조하여 보면, 도 5의 400에는 수요자 단말로 제공되는 설문 조사의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설문 조사에 포함된 설문 문항들에 대한 예를 살펴볼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설문 조사를 구성하는 설문 문항 들은 기 판매된 쌀에 대한 수요자들의 구매 경험을 조사하기 위하여, 외관 품질에 대한 만족도 및 식감 품질에 대한 만족도를 판단하기 위한 설문 문항들이 제공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며, 하나 이상의 응답 옵션을 제공하여 수요자들의 응답 편의가 향상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만 상술한 수요자 선호도 분석부(12)는, 설문 조사 수행 시, 수요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일 설문 문항에 대한 불만족 응답이 입력될 시, 후술할 공정 제어부(14)에서 기 판매된 쌀에 대해 측정된 제1 품질 지수를 수요자들이 선호하는 쌀의 품질 지수로 분석된 제2 품질 지수에 더욱 근접하게 대응시키기 위하여, 수요자가 선호하는 쌀의 선호 품질 범위 값에 대한 응답을 추가 수집하도록 기능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의 400에 도시된 II. 식감 품질에 대한 설문을 문항 중 1. 경도에 대한 응답으로 불만족에 대한 응답이 입력되면 본 발명에서는 1-1과 같이 선호하는 경도에 대한 설문 문항을 추가적으로 제공하여, 기 판매된 쌀에 비해 더 부드러운 식감을 원하는지 혹은 덜 부드러운 식감을 원하는지에 대한 응답을 추가적으로 수집할 수 있는 것이고, 이를 통해 수요자가 선호하는 쌀의 선호 품질 범위 값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렇게 획득한 선호 품질 범위 값에 대한 정보는 마찬가지로 후술할 공정 제어부(14)로 전달되어 수집된 선호 품질 범위값에 대응되는 도정 처리 공정 및, 공정별 제어 변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공정 조건을 변경하도록 하는데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품질 지수 측정부(11)에서 도출된 제1 품질 지수와, 수요자 선호도 분석부(12)에서 수요자들이 선호하는 쌀의 품질 지수로 분석된 제2 품질 지수를 비교하여 도정된 쌀의 공급 안정성을 평가하도록 기능하는 공급 안정성 평가부(13)가 포함된다.
이때 상술한 공급 안정성 평가부(13)는 제1 품질 지수와 제2 품질 지수를 비교하여 양 품질 지수 간의 오차가 임계 오차값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임계 오차값에 포함되는 오차의 발생 시 공급 안정성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하고, 임계 오차값을 초과하는 오차의 발생 시, 공급 안정성이 부실한 것으로 평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공급 안정성 평가부(13)는 바람직하게 제1 품질 지수의 산출 근거 항목에 대응되는 제2 품질 지수의 산출 근거 항목이 각각 대비되도록 하고 이에 따른 임계 오차값의 포함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품질 지수의 산출 항목별 공급 안정성이 평가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인데, 이는 후술할 공정 제어부(14)에서 소비자가 선호하는 쌀 품질에 더욱 명확히 대응되는 도정 처리 공정을 산출하기 위함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공정 제어부(14)에서는 도정된 쌀의 공급 안정성 평가 결과에 기반하여 거래처로 납품되는 쌀의 도정 처리 공정을 제어하도록 기능한다.
구체적으로 공정 제어부(14)는 전술한 품질 지수 측정부(11), 수요자 선호도 분석부(12) 및 공급 안정성 평가부(13)의 기능 수행 결과를 종합하여 도정 처리 공정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술한 공정 제어부(14)는 제1 품질 지수와 제2 품질 지수의 비교 결과, 임계 오차를 초과한 산출 근거 항목, 즉 제2 품질 지수를 미충족하는 산출 근거 항목을 검출하여 오차 항목으로 관리한다.
이후 상술한 공정 제어부(14)는 검출된 오차 항목에 대응하는 도정 설비(1)의 도정 처리 공정을 갱신하도록 기능하되, 구체적인 갱신 항목으로서 기 설정된 공정 처리 공정에 대한 공정의 추가, 삭제 및 변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갱신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한 실시 예로서,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도 6의 실시 예 500은 기 설정된 도정 처리 공정에 대한 공정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500의 실시 예에서는 정선, 건조, 정미, 선별 및 포장의 순으로 도정 처리 공정이 진행됨을 알 수 있다.
이때 실시 예 500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도정 품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공정에는 별도의 공정 제어 변수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전술한 공정 제어부(14)는 상술한 도정 처리 공정의 흐름과, 도정 처리 공정별 제어 변수의 조작에 관여하게 된다.
한 실시 예로서, 전술한 공급 안정성 평가 결과 제2 품질 지수를 미충족하는 제1 품질 지수가 외관 품질에 대한 것이고, 특히 외관 품질 중 완전립과 미완전립의 비율에 있어서 미완전립이 과포함되었다는 오차 항목이 검출되었을 시, 본 발명의 공정 제어부(14)는 도 6의 실시 예 510과 같이 미완전립의 과포함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 설정된 도정 처리 공정 중, 선별 공정 후 분리 공정이 추가되도록 하여 도정되는 쌀에서 미완전립의 과포함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에 더 나아가, 본 발명의 공정 제어부(14)는 단순히 기 설정된 도정 처리 공정의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각 공정별 제어 변수에 대한 제어 처리 역시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공정 제어부(14)는 앞서 공급 안정성 평가부(13)에서 제1 품질 지수를 제2 품질 지수에 비교하여 검출된 오차 항목에 따라 공정별 제어 변수를 조정할 수 있을 것이다.
한 실시 예로서, 검출된 오차 항목이 외관 품질 지수에 대한 오차 항목에 해당하는 경우, 상술한 공정 제어부(14)는 기 설정된 도정 처리 공정의 설정값에서, 외관 품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조건인, 쌀의 건조 조건 및 가수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공정에 대한 제어 변수를 조정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쌀의 건조 시간을 늘리는 경우 쌀이 비교적 오랜 기간 저장되더라도 공급 초기와 같은 외관 품질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긴 저장성을 요구하는 쌀의 도정에 적합하고, 쌀의 건조 시간을 상대적으로 짧게 하고, 가수성을 상대적으로 크게 하는 경우 도정 시 쌀이 깨지거나, 쌀이 부러지는 등으로 외관 품질의 저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 예로서, 검출된 오차 항목이 식감 품질 지수에 대한 오차 항목에 해당하는 경우, 상술한 공정 제어부(14)는 기 설정된 도정 처리 공정의 설정값에서, 식감 품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조건인, 도정 압력 조건, 도정 속도 조건 및 도정 시간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공정에 대한 제어 변수를 조정할 수 있는데, 이때 상술한 도정 압력 조건을 상향 조정하고, 도정 속도를 빠르게, 도정시간을 길게 하는 것은 쌀의 분도 비율을 높여 부드러운 쌀의 식감을 갖게 하는 도정 처리가 이루어지게 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반대로 도정 압력을 줄이고, 도정 속도를 느리게 하며, 도정 시간을 단축하면 쌀의 분도 비율을 낮추어 상대적으로 덜 부드러운 단단한 쌀 식감을 갖게 하는 도정 처리가 이루어지게 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종합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정된 쌀의 품질 지수와 수요자들이 선호하는 쌀의 품질 지수를 비교하고, 품질 지수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쌀의 도정 제어 조건을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다양한 수요자들의 니즈를 충족시키면서도, 도정 제어 조건의 변경 편의가 증대된 기술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정 설비(1)의 도정 제어 조건을 설정하는 것에 대한 유연성이 크게 증대하여, 수요자들의 니즈를 신속히 충족시켜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쌀을 이용한 다양한 제품의 확장성과, 쌀 수요 증대에 따른 농업 시장의 활성화를 촉진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도 7을 참조하여 보면, 도 7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1 내지 6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00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0000)은 촉각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된 유저 단말이기(A) 혹은 전술한 컴퓨팅 장치(B)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 장치(10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7의 실시 예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 장치(11000)은 도 7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7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 장치는 도 7에 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0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 장치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 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8)

  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되는 수요자 선호도에 기반한 도정 품질 제어 장치에 관련된 것으로서,
    도정 업체에 구비된 도정 설비를 통해 도정된 쌀을 샘플링한 뒤, 이미지 분석 및 영양 성분 분석을 수행하여 품질 지수를 측정하는 품질 지수 측정부;
    상기 품질 지수 측정부에서 측정한 상기 도정된 쌀의 제1 품질 지수와, 상기 도정 업체와 연계된 거래처에서 기 판매된 쌀에 대한 수요자들의 구매 만족도 평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도정된 쌀에 대한 수요자 선호도를 분석하는 수요자 선호도 분석부;
    상기 제1 품질 지수와, 상기 수요자 선호도 분석부에서 수요자들이 선호하는 쌀의 품질 지수로 분석된 제2 품질 지수를 비교하여, 상기 도정된 쌀의 공급 안정성을 평가하는 공급 안정성 평가부; 및,
    상기 도정된 쌀의 공급 안정성 평가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거래처로 납품되는 쌀의 도정 처리 공정을 제어하는 공정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요자 선호도 분석부는,
    상기 구매 만족도 평가 정보로서, 상기 거래처를 통해 도정된 쌀을 구매한 하나 이상의 수요자 단말에 상기 도정된 쌀의 품질과 관련된 설문 문항을 제공하여 설문 조사를 수행하고, 설문 조사의 응답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도정된 쌀에 대한 수요자 선호도를 분석하고,
    상기 설문 조사 수행 시, 상기 수요자 단말로부터 일 설문 문항에 대한 불만족 응답이 입력될 시,
    상기 공정 제어부에서 상기 제1 품질 지수를 상기 제2 품질 지수에 대응시키기 위하여 수요자가 선호하는 쌀의 선호 품질 범위 값에 대한 응답을 추가 수집하도록 하고,
    상기 공정 제어부는,
    기 설정된 도정 처리 공정을 수집된 선호 품질 범위값을 고려한 도정 처리 공정으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요자 선호도에 기반한 도정 품질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품질 지수 측정부는,
    상기 도정 설비를 통해 도정된 쌀 중, 기 설정된 비율의 쌀을 표본으로 채취하여 샘플링하되,
    샘플링된 쌀을 촬영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분석을 수행하며,
    상기 이미지에서 쌀의 분도 및 완전립과 미완전립의 비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외관 품질 지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요자 선호도에 기반한 도정 품질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품질 지수 측정부는,
    상기 도정 설비를 통해 도정된 쌀 중, 기 설정된 비율의 쌀을 표본으로 채취하여 샘플링하되,
    상기 샘플링된 쌀을 호화시켜 영양 성분을 분석하여, 수분량, 단백질, 당질, 아밀로오스 및 아밀로펙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성분의 함량을 파악함으로써 식감 품질 지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요자 선호도에 기반한 도정 품질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요자 선호도 분석부는,
    상기 구매 만족도 평가 정보로서, 상기 거래처에서 운영하는 웹 사이트에서 기 판매된 쌀에 대한 구매 후기 정보를 수집한 후, 상기 수요자들에 의해 작성된 구매 후기 정보를 감성 분석하여 상기 도정된 쌀에 대한 수요자 선호도를 분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요자 선호도에 기반한 도정 품질 제어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제어부는,
    상기 기 설정된 도정 처리 공정을 갱신할 시,
    상기 제1 품질 지수와 상기 제2 품질 지수의 비교 결과에서, 상기 제2 품질 지수를 미충족하는 제1 품질 지수의 오차 항목을 검출하고,
    검출된 오차 항목에 대응하는 도정 설비의 도정 처리 공정을 갱신하도록 기능하되,
    갱신 항목으로서, 상기 기 설정된 도정 처리 공정에 대한 공정의 추가, 삭제 및 변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갱신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요자 선호도에 기반한 도정 품질 제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오차 항목이 외관 품질 지수에 대한 오차 항목일 경우,
    상기 기 설정된 도정 처리 공정 중, 쌀의 건조 조건 및 가수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조건에 대한 제어 변수를 조정하고,
    상기 검출된 오차 항목이 식감 품질 지수에 대한 오차 항목일 경우,
    상기 기 설정된 도정 처리 공정 중, 쌀의 도정 압력 조건, 도정 속도 조건 및 도정 시간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조건에 대한 제어 변수를 조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요자 선호도에 기반한 도정 품질 제어 장치.
KR1020220037775A 2022-03-28 2022-03-28 수요자 선호도에 기반한 도정 품질 제어 장치 KR102393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7775A KR102393523B1 (ko) 2022-03-28 2022-03-28 수요자 선호도에 기반한 도정 품질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7775A KR102393523B1 (ko) 2022-03-28 2022-03-28 수요자 선호도에 기반한 도정 품질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3523B1 true KR102393523B1 (ko) 2022-05-03

Family

ID=81591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7775A KR102393523B1 (ko) 2022-03-28 2022-03-28 수요자 선호도에 기반한 도정 품질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352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3204A (ko) * 2010-06-04 2011-12-12 박증환 즉석 도정 현미 자동판매기
KR101667552B1 (ko) * 2015-10-23 2016-10-19 주식회사 에스피씨클라우드 고객 응대 주체를 구분하는 포스단말 및 고객 응대 주체를 구분하는 설문조사를 제공하는 서버
KR101701438B1 (ko) * 2016-11-17 2017-02-01 주식회사 성산지엔 도정 라인 중앙 제어 시스템
KR20190036536A (ko) * 2016-07-22 2019-04-04 가부시끼가이샤 사따께 곡물 처리 시설의 운전 보조 시스템
KR101996851B1 (ko) * 2018-11-07 2019-07-05 이광열 쌀의 도정 방법
KR20210000192A (ko) * 2019-06-24 2021-01-04 김길운 반찬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026255A (ko) * 2020-08-25 2022-03-04 주식회사 주앤미래 빅데이터를 이용한 건강식품 추천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3204A (ko) * 2010-06-04 2011-12-12 박증환 즉석 도정 현미 자동판매기
KR101667552B1 (ko) * 2015-10-23 2016-10-19 주식회사 에스피씨클라우드 고객 응대 주체를 구분하는 포스단말 및 고객 응대 주체를 구분하는 설문조사를 제공하는 서버
KR20190036536A (ko) * 2016-07-22 2019-04-04 가부시끼가이샤 사따께 곡물 처리 시설의 운전 보조 시스템
KR101701438B1 (ko) * 2016-11-17 2017-02-01 주식회사 성산지엔 도정 라인 중앙 제어 시스템
KR101996851B1 (ko) * 2018-11-07 2019-07-05 이광열 쌀의 도정 방법
KR20210000192A (ko) * 2019-06-24 2021-01-04 김길운 반찬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026255A (ko) * 2020-08-25 2022-03-04 주식회사 주앤미래 빅데이터를 이용한 건강식품 추천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ingh et al. Clustering evaluation by davies-bouldin index (dbi) in cereal data using k-means
Anderson et al. Achieving robustness across season, location and cultivar for a NIRS model for intact mango fruit dry matter content. II. Local PLS and nonlinear models
Arsalane et al. An embedded system based on DSP platform and PCA-SVM algorithms for rapid beef meat freshness prediction and identification
Yang A classification-based Kansei engineering system for modeling consumers’ affective responses and analyzing product form features
Miralbés Discrimination of European wheat varieties using near infrared reflectance spectroscopy
Luts et al. A mixed effects least squares support vector machine model for classification of longitudinal data
Dong et al. Sensory quality evaluation for appearance of needle-shaped green tea based on computer vision and nonlinear tools
De Girolamo et al. Detection of durum wheat pasta adulteration with common wheat by infrared spectroscopy and chemometrics: A case study
McGoverin et al. Classification of maize kernel hardness using near infrared hyperspectral imaging
Lin et al. Rapidly and exactly determining postharvest dry soybean seed quality based on machine vision technology
CN112285056B (zh) 一种用于光谱样品个性化校正集选择及建模方法
Shi et al. Combination of NIR spectroscopy and algorithms for rapid differentiation between one-year and two-year stored rice
Miao et al. Classification of rice based on storage time by using near infrared spectroscopy and chemometric methods
CN114897451B (zh) 考虑需求响应用户关键特征的双层聚类修正方法及装置
Huang et al. Rapid and nondestructive determination of sorghum purity combined with deep forest and near-infrared hyperspectral imaging
Ali et al. Detecting fraudulent labeling of rice samples using computer vision and fuzzy knowledge
KR102393523B1 (ko) 수요자 선호도에 기반한 도정 품질 제어 장치
Jiang et al. Rapid nondestructive detecting of wheat varieties and mixing ratio by combining hyperspectral imaging and ensemble learning
Oyeyinka et al. Composition, functionality, and baking quality of flour from four brands of wheat flour
Wu et al. Variety identification of Chinese cabbage seeds using visible and near-infrared spectroscopy
McDonald et al. Images, features, or feature distributions? A comparison of inputs for trainin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to classify lentil and field pea milling fractions
Wang et al. A multi-kernel channel attention combined with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to identify spectral information for tracing the origins of rice samples
Park et al. Development of a novel image analysis technique to detect the moisture diffusion of soybeans [Glycine max (L.)] during rehydration using a mass transfer simulation model
KR102393522B1 (ko) 지역별 쌀의 품질 관리를 위한 쌀 도정 제어 장치
Wang et al. SVM classification method of waxy corn seeds with different vitality levels based on hyperspectral imag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