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1826A - 청진기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청진기 - Google Patents

청진기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청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1826A
KR20160031826A KR1020140122033A KR20140122033A KR20160031826A KR 20160031826 A KR20160031826 A KR 20160031826A KR 1020140122033 A KR1020140122033 A KR 1020140122033A KR 20140122033 A KR20140122033 A KR 20140122033A KR 20160031826 A KR20160031826 A KR 201600318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thoscope
sound receiving
receiving unit
light source
stethoscope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2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1948B1 (ko
Inventor
정혜인
김영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2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1948B1/ko
Priority to EP14901870.7A priority patent/EP3195805B1/en
Priority to US15/511,124 priority patent/US10307132B2/en
Priority to PCT/KR2014/012511 priority patent/WO2016043385A1/ko
Priority to CN201480081969.4A priority patent/CN106714694B/zh
Publication of KR20160031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1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1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1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7/00Instruments for auscultation
    • A61B7/02Stethoscopes
    • A61B7/04Electric steth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7/00Instruments for auscultation
    • A61B7/02Steth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9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28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cardiography [EC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9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28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282Holders for multiple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7/00Instruments for auscul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42Operational features adapted to measure environmental factors, e.g. temperature, pollu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04Acoustic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진기 헤드는, 청진음 수신부; 상기 청진음 수신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청진음 수신부에 살균을 위한 자외선을 조사하는 광원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대상체를 향하는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상기 청진음 수신부 및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위치 이동이 가능한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청진기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청진기{STETHOSCOPE HEAD AND STETHOSCOP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실시예들은 청진기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청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청진기는 체내에서 발생하는 심음(心音)이나 호흡음을 비롯한 동맥음, 장잡음(腸雜音) 및 혈관음을 청취해 환자의 상태가 정상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데 사용된다. 청진기는, 환자의 신체 일부에 접촉하여 환자로부터 청진음을 수신하는 청진음 수신부, 예를 들어 다이어프램을 포함한다.
이러한 다이어프램은, 여러 환자들과 접촉되는 과정, 또한 장시간 외부에 노출되는 과정에서, 각종 바이러스 또는 세균에 의해 오염되기 쉽다.
또한, 다이어프램의 온도가 환자의 체온보다 낮을 경우, 이러한 다이어프램과 환자의 온도 차이로 인해, 환자는 다이어프램이 접촉되었을 때 불쾌감을 느낄 수 있다.
이러한 다이어프램의 오염 및 환자의 불쾌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이어프램을 살균하는 살균 장치 및 다이어프램을 예열하는 예열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살균 장치 및 예열 장치는, 청진기와는 별도의 장치로 구성되어 있어, 사용자는 살균 및 예열이 필요할 때마다, 이러한 장치들을 청진기에 장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살균 및 예열이 필요하지 않을 때에는, 청진기로부터 살균 장치 및 예열 장치를 분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실시예들의 목적은, 별도의 장치를 장착하지 않고도 자체적으로 예열 및 살균이 가능한 청진기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청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별도의 행위를 하지 않고도, 예열 및 살균이 가능한 청진기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청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실시예들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가 용이하면서도 정확한 심전도 측정이 가능한 청진기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청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실시예들의 또 다른 목적은, 단순한 구조로 대상체에 대한 청진기 헤드의 압력을 측정함으로써, 청진기 헤드와 대상체의 마찰에 의한 소음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청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일 실시예에 관한 청진기 헤드는,
대상체로부터 청진음을 수신하는 청진음 수신부;
상기 청진음 수신부의 둘레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청진음 수신부에 살균을 위한 자외선을 조사하는 광원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대상체를 향하는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상기 청진음 수신부 및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위치 이동이 가능한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청진기 헤드가 상기 대상체와 접촉될 때,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청진기 헤드가 상기 대상체와 이격될 때,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광원이 상기 청진음 수신부보다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된 제1 위치와, 상기 제1 위치보다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한 제2 위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이동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광원은 상기 청진음 수신부의 상기 대상체를 향하는 전면에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광원은, 자외선의 조사 중심 방향이 상기 청진음 수신부에 대하여 예각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청진음 수신부를 가열하는 가열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가열원은 상기 청진음 수신부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가열원은 상기 청진음 수신부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가열원에는 상기 광원이 장착되며, 상기 가열원은 열전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가열원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청진기 헤드는,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가압이 결정되는 접촉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접촉 스위치가 가압되며, 상기 광원의 자외선 조사가 중단될 수 있다.
상기 광원에 대한 외부 물체의 접근을 검출하는 근접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상체의 심전도를 측정하기 위한 복수의 심전도 전극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심전도 전극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심전도 전극의 위치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복수의 심전도 전극들은, 상기 대상체로부터 심전도를 측정하는 측정 위치와, 상기 대상체로부터 심전도를 측정하지 않는 대기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심전도 전극들이 측정 위치일 때 심전도 전극들 사이의 이격 거리는, 상기 복수의 심전도 전극들이 대기 위치일 때 심전도 전극들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실시예에 관한 청진기는,
상술한 청진기 헤드; 및 상기 청진기 헤드에 연결된 핸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부는, 상기 청진기 헤드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청진기.
상기 청진기 헤드에 대한 상기 핸들부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검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청진기 헤드 및 상기 핸들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관한 청진기 헤드는,
대상체로부터 청진음을 수신하는 청진음 수신부;
상기 청진음 수신부의 둘레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청진음 수신부를 가열하는 가열원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대상체를 향하는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상기 청진음 수신부 및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위치 이동이 가능한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관한 청진기는,
대상체로부터 청진음을 수신하는 청진음 수신부를 포함하는 청진기 헤드;
상기 청진기 헤드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핸들부; 및
상기 청진기 헤드에 대한 상기 핸들부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청진기는,
대상체로부터 청진음을 수신하는 청진음 수신부를 포함하는 청진기 헤드; 및
상기 청진기 헤드에 배치되며, 상기 대상체의 심전도를 측정하는 복수의 심전도 전극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심전도 전극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심전도 전극의 위치 이동이 가능하다.
실시예들에 따른 청진기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청진기는, 청진기 헤드의청진음 수신부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광원이, 청진음 수신부 및 이를 지지하는 지지부에 대하여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장치를 장착하지 않고도 예열 및 살균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청진 과정에서 발생하는 행위에 의해 예열 및 살균이 결정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의 행위를 하지 않고도, 예열 및 살균이 가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진기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청진기는, 심전도 측정을 위한 심전도 전극 중 일부의 위치 이동이 가능함으로써, 휴대가 용이하면서도 정확한 심전도 측정이 가능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진기는, 압력 검출부를 통하여 대상체에 대한 청진기 헤드의 압력을 검출함으로써, 청진기 헤드와 대상체의 마찰에 의한 소음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진기 헤드를 포함한 청진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개시된 청진기 헤드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따른 청진기 헤드의 조립 사시도로서, 도 3a는 이동부가 대상체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3b는 이동부가 대상체에 접촉 가압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a 및 도 3b의 절단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a의 광원을 포함한 이동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청진기 헤드의 광원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7은 근접 센서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진기 헤드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진기 헤드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9a는 도 8의 심전도 전극들이 대기 위치에 위치할 때의 청진기 헤드의모습을 나타낸 것이며, 도 9b는 도 8의 심전도 전극들이 측정 위치에 위치할 때의 청진기 헤드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진기 헤드를 포함하는 청진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진기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청진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3a 및 1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진기 헤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대상체(object)"는 사람 또는 동물, 또는 사람 또는 동물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는 의료 전문가로서 의사, 간호사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대상체 본인이거나, 대상체나 사용자가 아닌 제3자일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진기 헤드(10)를 포함한 청진기(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청진기(1)는 청진기 헤드(10)를 포함한다. 청진기(1)는 디지털 방식의 전자식 청진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아날로그 방식의 청진기일 수도 있다.
청진기 헤드(10)는 대상체(O)에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접촉된 대상체(O)로부터 청진음(auscultatory sound)을 수신한다. 수신된 청진음에 관한 정보는 출력부(미도시) 를 통해 사용자 또는 제3자에게 제공된다. 여기서, 청진기 헤드(10)에서 대상체(O)를 향하는 방향을 제1 방향(Z1), 상기 제1 방향(Z1)과 반대 방향을 제2 방향(Z2)으로 정의한다.
청진기 헤드(10)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부분인 핸들부(2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개시된 청진기 헤드(10)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청진기 헤드(10)는 청진음 수신부(11), 지지부(13), 마이크로 폰(15) 및 헤드 케이스(17)를 포함할 수 있다.
청진음 수신부(11)는, 대상체(O)로부터 청진음을 수신하는 것으로서, 대상체(O)를 향하는 전면(11a)과, 전면(11a)과 반대 방향에 위치한 후면(11b)을 포함한다. 청진음 수신부(11)는 대상체(O)의 변화에 따라 진동이 가능한 다이어프램(diaphragm)일 수 있다.
청진음 수신부(11)는 대상체(O)와 접촉된 상태에서 대상체(O)의 변화에 따라 진동함으로써, 청진음을 수신할 수 있다. 대상체(O)의 변화는 다양할 수 있으며, 일 예로서 대상체(O)의 심장 박동에 의한 대상체(O)의 표면의 진동일 수 있다.
청진음 수신부(11)는 탄성 접촉부(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 접촉부(12)는, 대상체(O)와 탄성 접촉하며, 청진음 수신부(11)와 접촉하는 대상체(O)의 접촉 영역(102)의 외측을 가압 지지한다. 그리하여, 청진음 수신부(11)에 수신되는 청진음의 노이즈를 줄일 수 있다.
지지부(13)는 청진음 수신부(11)의 둘레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지지한다. 청진음 수신부(11)는 지지부(13)에 의해 둘레 영역 중 적어도 일부가 고정되며, 둘레 영역의 내측에 위치한 중심 영역이 진동될 수 있다.
지지부(13)는 청진음 수신부(11)를 지지하는 지지 영역(13a)과, 지지 영역(13a)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출 영역(13b)을 포함한다. 복수의 돌출 영역(13b)은 헤드 케이스(17)에 의해 지지되며, 돌출 영역(13b)들 사이에는 홈(13c)이 형성될 수 있다.
마이크로 폰(15)은 청진음 수신부(11)로부터 수신된 청진음을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일 예로서, 마이크로 폰(15)은 압전형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 폰(15)은 청진음 수신부(11)의 후면(11b)과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청진음 수신부(11)가 진동할 경우, 청진음 수신부(11)의 후면(11b)에 접촉하는 마이크로 폰(15)에 가해지는 압력이 변하며, 마이크로 폰(15)은 이러한 압력 변화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마이크로 폰(15)에 의해 변환된 전기 신호는, 증폭기(미도시)에 의해 증폭되어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마이크로 폰(15)이 청진음 수신부(11)와 접촉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마이크로 폰(15)이 청진음 수신부(11)와 이격되는 구조에 비해, 노이즈에 의한 영향을 줄일 수 있다.
다만, 마이크로 폰(15)은 압전형 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예로서 정전 용량형 변환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헤드 케이스(17)는 지지부(13) 및 마이크로 폰(15)을 지지한다. 헤드 케이스(17)는, 청진기 헤드(10)의 외관을 형성하며, 지지부(13) 및 마이크로 폰(15)을 외부로부터 보호한다. 헤드 케이스(17)는, 청진음 수신부(11) 및 지지부(13)가 장착되는 개구(h)를 포함한다.
한편, 청진기 헤드(10)의 청진음 수신부(11)는, 청진할 때에는 대상체(O)와 접촉하는 부분이며, 청진하지 않을 때에는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이다. 그에 따라, 청진음 수신부(11)는 바이러스(또는 세균)에 오염되기 쉽다. 또한, 청진음 수신부(11)의 온도와 대상체(O)의 온도가 다를 경우, 청진을 위하여 대상체(O)에 청진음 수신부(11)를 접촉시킬 때, 대상체(O)는 이러한 온도 차이로 불편감을 느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청진기 헤드(10)는, 청진음 수신부(11)에 대한 살균 및 예열을 위하여, 광원(110) 및 가열원(120)을 포함하는 이동부(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원(110)은 청진음 수신부(11)에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광원(110)은 청진음 수신부(11)에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청진음 수신부(11)를 살균(또는 소독)할 수 있다. 그리하여, 청진음 수신부(11)에 존재하는 바이러스를 제거할 수 있다.
가열원(120)은 청진음 수신부(11)를 가열할 수 있다. 가열원(120)은 청진음 수신부(11)에 접촉할 수 있으며, 청진음 수신부(11)를 전도 가열할 수 있다. 가열원(120)은 청진음 수신부(11)가 소정의 온도가 되도록 가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원(120)은 청진음 수신부(11)가 대상체(O)의 온도와 유사한 온도가 되도록 가열할 수 있다. 대상체(O)의 온도와 유사한 온도는, 예를 들어 34도 ~ 40도일 수 있다.
가열원(120)은 청진이 진행되기 전에 청진음 수신부(11)를 가열할 수 있다. 가열원(120)에 의한 청진음 수신부(11)의 예열이 진행됨에 따라, 청진을 위하여 대상체(O)에 청진음 수신부(11)를 접촉시킬 때, 청진음 수신부(11)와 대상체(O)의 온도 차이로 인해 대상체(O)가 느낄 수 있는 불편감을 제거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이동부(100)는 이러한 광원(110) 및 가열원(120)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청진음 수신부(11) 및 지지부(13)에 대하여 제1 방향(Z1) 및 제2 방향(Z2)으로 위치 이동이 가능하다.
이동부(100)는, 청진음 수신부(11)의 후면(11b)과 접촉 가능한 접촉 영역(102)과, 접촉 영역(102)으로부터 제1 방향(Z1)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출 영역(101)을 포함할 수 있다. 접촉 영역(102)에는 가열원(120) 중 적어도 일부가 포함될 수 있으며, 돌출 영역(101)에는 광원(110)이 포함될 수 있다.
이동부(100)의 돌출 영역(101)은 지지부(13)에 형성된 홈(13c)에 삽입되며, 적어도 일부가 청진음 수신부(11)보다 제1 방향(Z1)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청진기 헤드(10)가 대상체(O)와 접촉될 때, 돌출 영역(101)이 대상체(O)에 의해 제2 방향(Z2)으로 가압될 수 있다.
이동부(100)와 헤드 케이스(17) 사이에는 탄성 부재(18)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부(100)의 접촉 영역(102)의 후면(11b)과 헤드 케이스(17)의 내면 사이에 탄성 부재(18)가 배치될 수 있다. 탄성 부재(18)에 의해, 이동부(100)는 제1 방향(Z1)으로 가압될 수 있다. 탄성 부재(18)는 금속 재질의 코일 스프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탄성 부재(18)는, 다른 종류의 스프링이거나, 다른 재질, 예를 들어 재질 자체가 탄성을 가지는 고무 재질일 수도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따른 청진기 헤드(10)의 조립 사시도로서, 도 3a는 이동부(100)가 대상체(O)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3b는 이동부(100)가 대상체(O)에 접촉 가압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a 및 도 3b의 절단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a의 광원(110)을 포함한 이동부(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및 도 4a를 참조하면, 청진기 헤드(10)가 대상체(O)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이동부(100)는 탄성 부재(18)에 의해 제1 방향(Z1)으로 위치가 이동된다. 이동부(100)가 제1 방향(Z1)으로 위치가 이동됨에 따라, 광원(110)은 청진음 수신부(11)의 전면(11a)보다 제1 방향(Z1)으로 돌출된 위치에 위치하며, 가열원(120)은 청진음 수신부(11)의 후면(11b)에 접촉한다. 이 때, 이동부(100)의 위치를 제1 위치(100a)라 한다.
이동부(100)가 제1 위치(100a)에 위치할 때, 광원(110)은 청진음 수신부(11)의 전면(11a)에 자외선을 조사한다. 청진음 수신부(11)의 전면(11a)은 대상체(O)를 향하는 면으로서, 대상체(O)로부터 청진음을 수신할 때 대상체(O)와 접촉된다. 그리하여, 청진음 수신부(11)의 전면(11a)은 청진음 수신부(11)의 다른 면에 비해 각종 바이러스에 노출되기 쉽다. 본 실시예에서는, 광원(110)이 청진음 수신부(11)의 전면(11a)에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바이러스에 취약한 청진음 수신부(11)의 전면(11a)을 효율적으로 살균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광원(110)은 자외선을 조사하는 발광소자(111; Light Emitting Diode) 및 발광소자(111)에서 조사된 빛을 확산시켜주는 렌즈(112)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110)은, 자외선의 조사 중심 방향(c)이 청진음 수신부(11)에 대한 각도(θ1)가 예각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광원(110)이 배치된 이동부(100)의 돌출 영역(101)의 연장 각도(θ2)는, 이동부(100)의 접촉 영역(102)에 대하여 예각일 수 있다. 자외선의 조사 중심 방향(c)이 청진음 수신부(11)에 대하여 예각이기 때문에, 청진음 수신부(11)에 자외선이 집중적으로 조사될 수 있으며, 청진음 수신부(11) 이외의 구성 또는 대상체(O)에 의도치 않게 자외선이 조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도 3a 및 도 4a를 참조하면, 이동부(100)가 제1 위치(100a)에 위치할 때, 가열원(120)은 청진음 수신부(11)의 후면(11b)에 접촉한다. 청진음 수신부(11)에 접촉된 가열원(120)은 청진음 수신부(11)를 전도 가열한다.
가열원(120)에는 광원(110)이 장착될 수 있다. 가열원(120)은, 장착된 광원(110)으로부터 열을 전달받도록 열전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하여, 가열원(120)은, 광원(110)에서 자외선이 조사될 때, 광원(110)에 발생되는 열을 전달받을 수 있다. 열전도성 부재는 금속, 예를 들어 알루미늄(Al), 구리(Cu)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가열원(120)에는 다양한 기능이 추가될 수 있으며, 예로서 광원(110)에 신호를 인가하는 금속 PC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원(110)으로부터 열을 전달받은 가열원(120)이 청진음 수신부(11)에 접촉함으로써, 광원(110)에서 발생한 열은 가열원(120)을 통해 청진음 수신부(11)에 전달될 수 있다. 그리하여, 청진음 수신부(11)가 예열될 수 있다.
자외선을 조사하기 위하여 광원(110)에 에너지, 예를 들어 전력을 인가하였을 때, 광원(110)에서 실제로 자외선 조사에 사용된 에너지는 일부에 불과하며, 나머지는 열로 방출된다. 예를 들어, 광원(110)에 인가된 에너지 중 약 20% 정도만이 자외선 조사에 사용되고, 약 80% 정도는 열로 방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원(110)이 자외선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열이 발생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열을 청진음 수신부(11)의 예열을 위해 이용함으로써, 예열을 위한 별도의 열원 및 에너지를 추가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하여, 예열을 위한 구조를 단순화시키고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b 및 도 4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청진기 헤드(10)를 통해 청진을 진행하고자 할 때, 청진기 헤드(10)를 대상체(O)에 접촉시킬 수 있다. 청진기 헤드(10)를 대상체(O)에 접촉시키는 과정에서, 이동부(100)가 대상체(O)에 접촉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청진기 헤드(10)를 대상체(O)를 향해 가압함에 따라, 이동부(100)가 제2 방향(Z2)으로 이동된다.
이동부(100)가 제2 방향(Z2)으로 이동됨에 따라, 이동부(100)의 돌출 영역(101)에 포함된 광원(110)은 상기 제1 위치(100a)보다 제2 방향(Z2)으로 이동되며, 접촉 영역(102)에 포함된 가열원(120)은 청진음 수신부(11)의 후면(11b)으로부터 이격된다. 이 때, 이동부(100)의 위치를 제2 위치(100b)라 한다.
광원(110)이 제2 방향(Z2)으로 후퇴함으로써, 청진음 수신부(11)에 의한 정상적인 청진이 가능하다.
만일, 광원(110)이 제1 방향(Z1)으로 돌출된 위치로 고정된 구조일 경우, 돌출된 광원(110)으로 인해 청진음 수신부(11)는 대상체(O)에 접촉될 수 없다. 그리 하여, 청진음 수신부(11)에 의해 정상적인 청진음이 수신될 수 없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청진시, 광원(110)이 제2 방향(Z2)으로 위치가 이동되어 청진음 수신부(11)와 대상체(O)의 접촉을 방해하지 않기 때문에, 청진음 수신부(11)에 의한 정상적인 청진음이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이동부(100)가 제2 위치(100b)에 위치할 때, 가열원(120)은 청진음 수신부(11)의 후면(11b)으로부터 이격된다. 가열원(120)이 청진음 수신부(11)의 후면(11b)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청진음 수신부(11)에 대한 전도 가열이 중단된다. 그리하여, 청진음 수신부(11)에 대한 예열이 중단될 수 있다.
더불어, 청진음 수신부(11)는 가열원(120)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이기 때문에, 원활하게 청진음을 수신할 수 있다. 만일 청진음 수신부(11)와 가열원(120)이 접촉한 상태일 경우, 청진음 수신부(11)가 청진음을 수신할 때, 청진음 수신부(11)에서 가열원(120)과 접촉하는 접촉 영역(102)은 진동되지 못하며, 그로 인해 고주파 영역의 수신이 제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부(100)가 제2 위치(100b)에 위치할 때, 청진음 수신부(11)가 가열원(120)으로부터 이격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고주파 영역의 수신이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청진기 헤드(10)는, 대상체(O)와의 접촉 여부에 따라, 광원(110) 및 가열원(120)을 포함하는 이동부(100)가 제1 위치(100a)와 제2 위치(100b)를 가짐으로써, 살균 및 예열을 위한 별도의 장치를 장착/분리하지 않고도, 청진과 더불어 예열, 살균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청진기 헤드(10)의 광원(110)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청진기 헤드(10)는 용도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광원(11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50)에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30)는, 사용자로부터 예열 및 살균을 위한 별도의 입력을 받지 않더라도,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광원(110)을 작동시키거나, 광원(110)의 작동을 중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어부(30)는, 이동부(100)의 이동에 따라 가압이 결정되는 접촉 센서(41)에 기초하여, 광원(11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촉 센서(41)는 이동부(100)의 후면(11b)에 배치될 수 있다. 접촉 센서(41)는, 도 4a와 같이 이동부(100)가 제1 위치(100a)에 위치할 때 가압되지 않으며, 도 4b와 같이 이동부(100)가 제2 위치(100b)에 위치할 때 가압될 수 있다.
제어부(30)는, 접촉 센서(41)가 가압되었을 때 광원(110)의 작동을 중단시키고, 접촉 센서(41)의 가압이 해제되었을 때 광원(110)을 작동시킬 수 있다. 광원(110)의 작동이 중단됨에 따라, 청진음 수신부(11)에 대한 살균 및 예열이 중단되며, 광원(110)이 작동됨에 따라, 청진음 수신부(11)에 대한 살균 및 예열이 진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청진을 위하여 사용자가 청진기 헤드(10)를 대상체(O)에 접촉시키거나 대상체(O)로부터 이격시키는 동작만으로, 접촉 센서(41)가 가압되거나 가압이 해제됨으로써, 광원(110)의 작동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살균 및 예열의 진행 또는 중단을 위하여 별도의 동작을 취하지 않고도, 청진기 헤드(10)를 대상체(O)에 접촉 또는 중단시키는 동작만으로도, 청진음 수신부(11)에 대한 살균 및 예열이 중단 또는 진행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부(30)는, 가열원(120)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42)에 기초하여, 광원(11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온도 센서(42)는 이동부(100)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 센서(42)에 의해 검출된 온도가 소정의 목표 온도보다 낮을 경우에는 광원(110)을 작동시키며, 온도 센서(42)에 의해 검출된 온도가 소정의 목표 온도보다 높거나 동일한 경우에는 광원(110)을 작동시키지 않을 수 있다. 그리하여, 청진기 헤드(10)는, 가열원(120)의 온도가 소정의 목표 온도에 도달하기 전까지는, 살균 및 예열을 진행하지만, 가열원(120)의 온도가 소정의 목표 온도에 도달하면, 살균 및 예열을 중단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부(30)는, 광원(110)에 대한 외부 물체의 접근을 검출하는 근접 센서(43)에 기초하여, 광원(11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물체는 청진기 헤드(10)의 외부의 물체로서, 예를 들어 대상체(O) 또는 사용자일 수 있다.
도 7은 근접 센서(43)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진기 헤드(1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청진기 헤드(10)의 전방에 근접 센서(43)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43)는 광원(110)에 대한 외부 물체(U)의 접근을 검출한다. 근접 센서(43)에 의해 외부 물체(U)의 접근이 검출되면, 광원(110)의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그리하여, 외부 물체(U)가 광원(110)에서 조사된 자외선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부(30)는, 타이머(31)에 기초하여, 광원(11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타이머(31)는 살균 및 예열에 필요한 광원(110)의 작동 시간이 설정될 수 있다.
광원(110)의 작동 시간은, 광원(110)에 인가되는 전력, 바이러스 종류, 청진음 수신부(11)에 대한 살균 정도 및 청진음 수신부(11)의 예열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110)에 인가되는 전력이 0.125 W이고, 제거가 필요한 바이러스가 인플루엔자(influenza)이고, 요구되는 예열 온도가 34℃일 경우, 광원(110)의 작동 시간은 약 211초일 수 있다.
제어부(30)는 이러한 타이머(31)에 설정된 작동 시간과 실제로 광원(110)이 작동한 시간을 비교하여, 광원(11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진기 헤드(10a)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청진기 헤드(10a)는, 청진음 수신부(11), 지지부(13), 마이크로 폰(15), 헤드 케이스(17) 및 이동부(100) 외에 대상체(O)의 심전도를 측정하는 복수의 심전도 전극들(61, 62, 63)을 더 포함한다.
상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였으며,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실시예들과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복수의 심전도 전극들(61, 62, 63)은 대상체(O)의 심전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상체(O)의 서로 다른 영역에 접촉한다. 그리하여, 대상체(O)의 복수 영역에서의 전압을 측정한다. 측정된 심전도 전극들(61, 62, 63) 사이의 전위차를 이용하여, 대상체(O)의 심전도가 측정될 수 있다.
복수의 심전도 전극들(61, 62, 63)은 청진기 케이스(17)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심전도 전극들(61, 62, 63) 중 적어도 1개의 심전도 전극은 그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일 예로서, 3개의 심전도 전극들(61, 62, 63) 중 2개의 심전도 전극들(62,63)의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제1 심전도 전극(61)은 그 위치가 고정되며, 제2 심전도 전극(62) 및 제3 심전도 전극(63)은 회동부(65)에 의해 그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복수의 심전도 전극들(61, 62, 63)은, 대상체(O)로부터 심전도를 측정하는 측정 위치와, 대상체(O)로부터 심전도를 측정하지 않는 대기 위치를 가질 수 있다.
심전도 전극들(61, 62, 63) 중 적어도 하나의 심전도 전극이 위치가 이동됨에 따라, 측정 위치일 때 심전도 전극들(61, 62, 63) 사이의 이격 거리와, 대기 위치일 때 심전도 전극들(61, 62, 63)의 이격 거리가 달라질 수 있다.
도 9a는 도 8의 심전도 전극들(61, 62, 63)이 대기 위치에 위치할 때의 청진기 헤드(10a)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며, 도 9b는 도 8의 심전도 전극들(61, 62, 63)이 측정 위치에 위치할 때의 청진기 헤드(10a)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대상체(O)로부터 심전도를 측정하지 않을 때, 복수의 심전도 전극들(61, 62, 63)은 대기 위치에 위치한다. 복수의 심전도 전극들(61, 62, 63)은 헤드 케이스(17)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잇다. 이 때, 제1 심전도 전극(61)과 제2 심전도 전극(62) 사이의 거리는 d1이며, 제1 심전도 전극(61)과 제3 심전도 전극(63) 사이의 거리는 d2이며, 제2 심전도 전극(62)과 제3 심전도 전극(63) 사이의 거리는 d3일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청진기 헤드(10)에서 심전도 전극들(61, 62, 63)을 사용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제2, 제3 심전도 전극(62, 63)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제3 심전도 전극(62, 63)을 회동부(65)에 의해 소정 각도로 회동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복수의 심전도 전극들(61, 62, 63)은 측정 위치에 위치한다. 제2, 제3 심전도 전극(62, 63)은 헤드 케이스(17)와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제1 심전도 전극(61)과 제2 심전도 전극(62) 사이의 거리는 d11이며, 제1 심전도 전극(61)과 제3 심전도 전극(63) 사이의 거리는 d21이며, 제2 심전도 전극(62)과 제3 심전도 전극(63) 사이의 거리는 d31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2, 제3 심전도 전극(62, 63)을 이동시킴으로써, 심전도 전극들(61, 62, 63)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제3 심전도 전극(62, 63)을 이동시키기 전, 심전도 전극들(61, 62, 63) 사이의 거리인 d1, d2, d3는 모두 4cm 미만일 수 있다. 제2, 제3 심전도 전극(62, 63)을 이동시킨 후, 심전도 전극들(61, 62, 63) 사이의 거리인 d1, d21, d31는 모두 4cm 이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심전도 전극들(61, 62, 63) 중 적어도 2개의 심전도 전극들(62, 63)의 위치가 이동함에 따라, 심전도 전극들(61, 62, 63)을 심전도 측정에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이들 사이의 이격 거리를 작게 설정하면서도, 심전도 측정에 사용할 때에는 이들 사이의 이격 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그리하여, 심전도 측정을 위한 심전도 전극들(61, 62, 63)의 휴대가 용이하면서도, 정확한 심전도 측정이 가능하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진기 헤드(10a)를 포함하는 청진기(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는 청진기 헤드(10a)와 핸들부(20)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10b는 청진기 헤드(10a)와 핸들부(20)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청진기(1)는, 청진기 헤드(10a)와, 청진기 헤드(10a)를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핸들부(20)를 포함한다.
청진기 헤드(10a)는 상술한 청진음 수신부(11), 지지부(13), 이동부(100), 마이크로 폰(15) 및 헤드 케이스(17)를 포함한다.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청진기 헤드(10a)와 핸들부(20)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핸들부(20)는, 청진기 헤드(10a)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들부(20)는, 청진기 헤드(10)에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헤드 케이스(17)와 핸들부(20) 사이에는 회동 샤프트(22)가 배치될 수 있다.
핸들부(20)는 헤드 케이스(17)의 후면(11b)을 지지하는 회동 제한부(21)를 포함한다. 회동 제한부(21)에 의해, 헤드 케이스(17)가 소정 각도 이상으로 회동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압력 검출부(70)는 청진기 헤드(10a)에 대한 핸들부(20)의 압력을 검출한다. 압력 검출부(70)는, 청진기 헤드(10a)와 핸들부(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진기 헤드(10a)의 헤드 케이스(17)와 핸들부(20)의 회동 제한부(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압력 검출부(70)에 의해 검출된 압력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는 대상체(O)와 청진기 헤드(10) 사이에 작용하는 압력을 알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대상체(O)에 대한 청진기 헤드(10)의 압력이 적정 압력이 되도록 핸들부(20)에 가하는 힘을 조절할 수 있다.
압력 검출부(70)와 회동 제한부(21) 사이에는 탄성 부재(71)가 배치될 수 있다. 압력 검출부(70)는 탄성 부재(71)를 통해 면접촉 함으로써, 회동 제한부(21)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탄성 부재(71)의 재질의 예로서, 고무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1는 도 10a의 청진기(1)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1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핸들부(20)를 파지한 상태에서, 청진기 헤드(10a)를 대상체(O)에 접촉시킬 수 있다. 청진기 헤드(10)를 대상체(O)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청진기 헤드(10)가 대상체(O)를 향하도록 청진기의 핸들부(20)를 가압할 수 있다.
청진기의 핸들부(20)를 가압함에 따라, 핸들부(20)와 헤드 케이스(17) 사이에 배치된 압력 검출부(70)는 소정의 힘으로 가압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핸들부(20)의 가압 지점을 제1 힘(F1)으로 가압할 경우, 지렛대 원리에 의해 압력 검출부(70)는 제2 힘(F2)으로 가압된다. 그리하여, 청진기 헤드(10)는 제2 힘(F2)에 대응하는 힘으로 대상체(O)를 가압한다.
가압 지점과 회동 샤프트(22) 사이의 거리(D1)는, 압력 검출부(70)와 회동샤프트(22) 사이의 거리(D2)와 다를 수 있다. 그리하여, 가압 지점에 가해진 제1 힘(F1)은, 압력 검출부(70)에 가해진 제2 힘(F2)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 지점과 회동 샤프트(22) 사이의 거리(D1)가, 압력 검출부(70)와 회동 샤프트(22) 사이의 거리(D2)보다 클 경우, 가압 지점에 가해진 제1 힘(F1)은 압력 검출부(70)에 가해진 제2 힘(F2)보다 작을 수 있다. 가압 지점과 회동 샤프트(22) 사이의 거리(D1)가, 압력 검출부(70)와 회동 샤프트(22) 사이의 거리(D2)보다 작을 경우, 가압 지점에 가해진 제1 힘(F1)은 압력 검출부(70)에 가해진 제2 힘(F2)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핸들부(20)에 힘을 가하는 가압 지점의 위치 또는 핸들부(20)에 가하는 힘(F1)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헤드 케이스(17)를 적정 압력으로 쉽게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압력 검출부(70)에서 검출 가능한 전압 범위를 증가시킴으로써, 노이즈의 증폭을 줄일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청진기(1)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청진기(1)는 용도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광원(110) 및 마이크로 폰((15)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50)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어부(30)는 압력 검출부(70)에 의해 검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마이크로 폰(15)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출된 압력 정보가 적정 압력을 만족할 때에만 마이크로 폰(15)을 작동시킬 수 있다. 즉, 검출된 압력 정보가 적정 압력을 만족하지 않을 때에는 마이크로 폰(15)을 작동시키지 않을 수 있다. 그에 따라, 청진기 헤드(10)와 대상체(O) 사이의 압력이 적정 압력을 만족하지 않을 때 마이크로 폰(15)을 통해 마찰 및 주변 소음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부(30)는 접촉 센서(41), 온도 센서(42) 및 근접 센서(43)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광원(110)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6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부(30)는, 출력부(80)를 통해, 각종 센서들(41, 42, 43) 및 압력 검출부(70)에 의해 검출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출력부(80)는 영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음향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어부(30)는, 출력부(80)를 통해 압력 검출부(70)에 검출된 압력 정보가 적정 압력을 만족하는지, 적정 압력보다 작은지, 또는 적정 압력보다 큰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방식 및 청각적인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전달할 수 있다. 시각적인 방식의 예로서, 출력부(80)는 검출된 압력 정보가 적정 압력을 만족하는지, 적정 압력보다 작은지, 또는 적정 압력보다 큰지 여부에 따라 다른 색상을 출력할 수 있다. 청각적인 방식의 예로서, 출력부(80)는, 검출된 압력 정보가 적정 압력을 만족하는지, 적정 압력보다 작은지, 또는 적정 압력보다 큰지 여부에 따라, 다른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어부(30)는, 출력부(80)를 통해, 마이크로 폰(15)에 의해 수신된 대상체(O)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80)는 대상체(O)의 심장 박동 횟수를 수치 또는 그래프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80)는, 대상체(O)의 상태가 정상인지 비정상인지 여부를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어부(30)는, 출력부(80)를 통해, 청진기 헤드(10)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80)는 청진기 헤드(10)가 청진이 진행되는 상태인지, 예열 및 살균이 진행되고 있는 상태인지, 또는 예열 및 살균이 완료된 상태인지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청진기 헤드(10, 10a)의 이동부(100)가 광원(110) 및 가열원(120)을 모두 포함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청진기 헤드(10, 10a)의 이동부(100)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광원(110) 및 가열원(120)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로서, 도 13a와 같이 청진기 헤드(10b)의 이동부(200)에는 광원(110)이 포함되고, 가열원(120)이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이동부(200)가 제1 위치(200a)에 위치할 때, 광원(110)은 청진음 수신부(11)의 전면(11a)보다 돌출되지만, 이동부(200)는 청진음 수신부(11)와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청진 과정에서는, 이동부(200)가 제2 방향(Z2)으로 이동되어 제2 위치(200b)에 위치되며, 그에 따라 광원(110)에 의해 청진음 수신부(11)와 대상체(O)의 접촉이 방해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13b와 같이 청진기 헤드(10c)의 이동부(300)에는 가열원(120)이 포함되고, 광원(110)이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가열원(120)은 상술한 실시예들과 달리, 광원(110)과는 독립적으로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이동부(300)가 제1 위치(300a)에 위치할 때, 이동부(300)는 청진음 수신부(11)에 접촉하지만, 청진음 수신부(11)의 전면(11a)보다 제1 방향(Z1)으로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동부(300)가 청진음 수신부(11)에 접촉될 때, 가열원(120)에서 발생한 열은 이동부(300)에 의해 청진음 수신부(11)에 전달되어, 청진음 수신부(11)가 가열된다. 청진 과정에서는, 이동부(300)가 제2 방향(Z2)으로 이동되어 제2 위치(300b)에 위치되며, 그에 따라 이동부(300)와 청진음 수신부(11)가 이격되며, 가열원(120)에 의한 전도 가열이 중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기술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는 발명의 범위와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수정과 변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명확히 알 수 있다.
1 : 청진기 10 : 청진기 헤드
20 : 핸들부 21 : 회동 제한부
22 : 회동 샤프트 11 : 청진음 수신부
12 : 탄성 접촉부 13 : 지지부
15 : 마이크로 폰 17 : 헤드 케이스
18 : 탄성 부재 30 : 제어부
31 : 타이머 41 : 접촉 센서
42 : 온도 센서 43 : 근접 센서
61, 62, 63 : 심전도 전극 70 : 압력 검출부
80 : 출력부 100, 200, 300 : 이동부
110 : 광원 120 : 가열원

Claims (23)

  1. 대상체로부터 청진음을 수신하는 청진음 수신부;
    상기 청진음 수신부의 둘레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청진음 수신부에 살균을 위한 자외선을 조사하는 광원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대상체를 향하는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상기 청진음 수신부 및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위치 이동이 가능한 이동부;를 포함하는, 청진기 헤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진기 헤드가 상기 대상체와 접촉될 때,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청진기 헤드가 상기 대상체와 이격될 때,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는, 청진기 헤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광원이 상기 청진음 수신부보다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된 제1 위치와,
    상기 제1 위치보다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한 제2 위치를 가지는 청진기 헤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광원은 상기 청진음 수신부의 상기 대상체를 향하는 전면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청진기 헤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자외선의 조사 중심 방향이 상기 청진음 수신부에 대하여 예각이 되도록 배치된, 청진기 헤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청진음 수신부를 가열하는 가열원을 더 포함하는, 청진기 헤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가열원은 상기 청진음 수신부에 접촉하는, 청진기 헤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가열원은 상기 청진음 수신부와 이격된, 청진기 헤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원에는 상기 광원이 장착되며,
    상기 가열원은 열전도성 부재를 포함하는, 청진기 헤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가열원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는, 청진기 헤드.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청진기 헤드는,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가압이 결정되는 접촉 센서를 더 포함하는, 청진기 헤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접촉 스위치가 가압되며, 상기 광원의 자외선 조사가 중단되는, 청진기 헤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에 대한 외부 물체의 접근을 검출하는 근접 센서;를 더 포함하는, 청진기 헤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의 심전도를 측정하기 위한 복수의 심전도 전극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심전도 전극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심전도 전극의 위치 이동이 가능한, 청진기 헤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심전도 전극들은, 상기 대상체로부터 심전도를 측정하는 측정 위치와, 상기 대상체로부터 심전도를 측정하지 않는 대기 위치를 포함하는, 청진기 헤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심전도 전극들이 측정 위치일 때 심전도 전극들 사이의 이격 거리는, 상기 복수의 심전도 전극들이 대기 위치일 때 심전도 전극들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큰, 청진기 헤드.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청진기 헤드; 및
    상기 청진기 헤드에 연결된 핸들부;를 포함하는, 청진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상기 청진기 헤드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청진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청진기 헤드에 대한 상기 핸들부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청진기.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청진기 헤드 및 상기 핸들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청진기.
  21. 대상체로부터 청진음을 수신하는 청진음 수신부;
    상기 청진음 수신부의 둘레 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청진음 수신부를 가열하는 가열원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대상체를 향하는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상기 청진음 수신부 및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위치 이동이 가능한 이동부;를 포함하는, 청진기 헤드.
  22. 대상체로부터 청진음을 수신하는 청진음 수신부를 포함하는 청진기 헤드;
    상기 청진기 헤드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핸들부; 및
    상기 청진기 헤드에 대한 상기 핸들부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검출부;를 포함하는, 청진기.
  23. 대상체로부터 청진음을 수신하는 청진음 수신부를 포함하는 청진기 헤드;
    상기 청진기 헤드에 배치되며, 상기 대상체의 심전도를 측정하는 복수의 심전도 전극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심전도 전극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심전도 전극의 위치 이동이 가능한, 청진기.
KR1020140122033A 2014-09-15 2014-09-15 청진기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청진기 KR101631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2033A KR101631948B1 (ko) 2014-09-15 2014-09-15 청진기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청진기
EP14901870.7A EP3195805B1 (en) 2014-09-15 2014-12-18 Stethoscope head and stethoscope apparatus comprising same
US15/511,124 US10307132B2 (en) 2014-09-15 2014-12-18 Stethoscope head and stethoscope comprising same
PCT/KR2014/012511 WO2016043385A1 (ko) 2014-09-15 2014-12-18 청진기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청진기
CN201480081969.4A CN106714694B (zh) 2014-09-15 2014-12-18 听诊器听头和包括所述听诊器听头的听诊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2033A KR101631948B1 (ko) 2014-09-15 2014-09-15 청진기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청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1826A true KR20160031826A (ko) 2016-03-23
KR101631948B1 KR101631948B1 (ko) 2016-06-20

Family

ID=55533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2033A KR101631948B1 (ko) 2014-09-15 2014-09-15 청진기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청진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307132B2 (ko)
EP (1) EP3195805B1 (ko)
KR (1) KR101631948B1 (ko)
CN (1) CN106714694B (ko)
WO (1) WO201604338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9367B1 (ko) * 2022-01-27 2022-06-22 유정선 청진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37788A (zh) * 2016-06-27 2016-10-26 天津润言医疗科技有限公司 防损伤型听诊装置
JP2020531119A (ja) * 2017-08-17 2020-11-05 ヴァイタルチェインズ コーポレーション モジュール式チェストピースとecgモジュールを用いた聴診器
WO2019067880A1 (en) * 2017-09-28 2019-04-04 Heroic Faith Medical Science Co., Ltd. ELECTRONIC STETHOSCOPE SYSTEMS CONNECTED TO THE NETWORK
CN109350110A (zh) * 2018-12-07 2019-02-19 周生保 一种西医内科用听诊器
US11026654B2 (en) 2018-12-31 2021-06-08 Star Luminal LLC Electronic stethoscope with accessories
JP7287452B2 (ja) * 2019-02-18 2023-06-0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測定器及び口腔内水分測定器
WO2021020202A1 (ja) * 2019-07-26 2021-02-0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聴診器
USD932008S1 (en) * 2019-11-07 2021-09-28 Wuxi Kaishun Medical Device Manufacturing Co., Ltd. Stethoscope head
TWD206473S (zh) * 2019-11-29 2020-08-11 廣達電腦股份有限公司 無線聽診器
CN111248937B (zh) * 2020-02-25 2022-06-07 河南医学高等专科学校 一种具有加热功能的心内科医生用听诊器
US11240579B2 (en) * 2020-05-08 2022-02-01 Level 42 Ai Sensor systems and methods for characterizing health conditions
USD961770S1 (en) * 2020-07-22 2022-08-23 Chukwuemeka Anderson Obi Stethoscope
USD944979S1 (en) * 2020-08-19 2022-03-01 Winston T. Richards Electronic stethoscope
CN114190969A (zh) * 2021-12-08 2022-03-18 夏晶晶 一种心血管内科用防应激反应用听诊器
CN220695279U (zh) * 2022-03-22 2024-04-02 巴德阿克塞斯系统股份有限公司 具有消毒系统的超声成像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8685A (ko) * 1995-07-06 1999-04-15 프레들린 보에쎌,페로이 칼린 전자 청진기
JP2012055354A (ja) * 2010-09-06 2012-03-22 Univ Of Tsukuba 診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7806A (en) * 1976-04-07 1977-02-15 Nobles Jr Eugene R Heated stethoscope
NO306926B1 (no) 1998-12-03 2000-01-17 Meditron As Sensor for oppfanging av lyd
US20040260193A1 (en) * 2000-05-12 2004-12-23 Lasala Anthony F. Cardiac impulse detector
JP3829197B2 (ja) * 2003-08-28 2006-10-04 国立大学法人岐阜大学 聴診教育用装置
KR100509745B1 (ko) 2003-10-13 2005-08-25 김경순 현미 발아실 및 발아 현미의 제조방법
JP3729829B2 (ja) 2004-02-13 2005-12-21 国立大学法人岐阜大学 理学的診療訓練用人体装着具
CA2592849A1 (en) 2004-12-30 2006-07-1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tethoscope with frictional noise reduction
US20060227979A1 (en) * 2005-04-07 2006-10-12 Health & Life Co., Ltd Contact type electronic stethoscope with a noise interference resisting function for auscultation
KR20060113085A (ko) 2005-04-29 2006-11-02 헬쓰 앤드 라이프 컴퍼니 리미티드 청진용 소음 간섭 저항 기능을 갖는 접촉형 전자 청진기
KR20080022354A (ko) 2006-09-06 2008-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CN101652101B (zh) * 2007-03-23 2012-08-01 3M创新有限公司 采用多个传感器信号特征检测的用于医学感测装置的功率管理
US7705325B2 (en) * 2008-02-21 2010-04-27 Mark Vestal Sterilization device for a stethoscope and associated apparatus
KR20080028393A (ko) 2008-03-11 2008-03-31 정희천 청진기 소독캡
CN102365831A (zh) 2009-03-26 2012-02-29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联网的控制系统的通信网状网络结构的网格节点
US9387268B2 (en) 2010-06-01 2016-07-12 Alexander Farr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UV sterilization
ES2763325T3 (es) 2011-06-01 2020-05-28 Bluemorph Llc Esterilización UV de recipientes
KR101303611B1 (ko) 2012-01-12 2013-09-11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청진기용 가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청진기
KR101324463B1 (ko) * 2012-04-30 2013-10-31 김현선 청진기 워머
KR102114414B1 (ko) 2012-10-08 2020-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초음파 트랜스듀서를 이용한 전단파의 전파를 관측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ITMI20130155A1 (it) * 2013-02-05 2014-08-06 Asr R Di Montagnani Valerio Dispositivo per l'igienizzazione di strumenti medici
CN203139162U (zh) 2013-03-29 2013-08-21 武汉大学 一种听诊器预热消毒装置
MX2016009335A (es) * 2014-01-21 2017-02-02 California Inst Of Techn Sistemas de sensores hemodinamicos, electronicos, portatil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8685A (ko) * 1995-07-06 1999-04-15 프레들린 보에쎌,페로이 칼린 전자 청진기
JP2012055354A (ja) * 2010-09-06 2012-03-22 Univ Of Tsukuba 診断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9367B1 (ko) * 2022-01-27 2022-06-22 유정선 청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714694A (zh) 2017-05-24
CN106714694B (zh) 2020-06-12
EP3195805A4 (en) 2017-11-08
US20170251997A1 (en) 2017-09-07
KR101631948B1 (ko) 2016-06-20
EP3195805B1 (en) 2020-11-11
WO2016043385A1 (ko) 2016-03-24
US10307132B2 (en) 2019-06-04
EP3195805A1 (en) 201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1948B1 (ko) 청진기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청진기
US11957503B2 (en) Electronic stethoscope with accessories
US9101274B2 (en) Sensor, sensor pad and sensor array for detecting infrasonic acoustic signals
Tseng et al. Development of a wearable mobile electrocardiogram monitoring system by using novel dry foam electrodes
US8594339B2 (en) Power management for medical sensing devices employing multiple sensor signal feature detection
US11179102B2 (en) Biological signal detection apparatus
KR101238192B1 (ko) 귀-부착형 센서셋 및 그 동작 방법
EP2967365A2 (en) Ear-related devices implementing sensors to acquir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KR20160107007A (ko) 혈압 측정 장치 및 방법
CA2901598A1 (en) Multimodal physiological sensing for wearable devices or mobile devices
BR102013006711B1 (pt) instrumento cirúrgico equipado com motor
JP2016129661A (ja) 判定システム、制御信号出力システム、リハビリシステム、判定方法、制御信号出力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脳波信号取得システム
US20220218281A1 (en) Hearing aid comprising one or more sensors for biometrical measurements
US20200037953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classifying and displaying electrical cardiac activity
KR101303611B1 (ko) 청진기용 가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청진기
US20080177152A1 (en) Response testing for conscious sedation utilizing a non-ear-canal-contacting speaker
US20120232422A1 (en) Response testing for conscious sedation utilizing a non-ear-canal-contacting speaker
JPWO2016088819A1 (ja) 疲労検出装置
TWI807983B (zh) 具有電信號偵測、音訊偵測與產生遮蔽式音訊的耳道式裝置
KR20200079609A (ko) 청진기용 살균장치
KR102409367B1 (ko) 청진기
EP4023253A1 (en) Medical device with handle sterilization
JP7422389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e et al. Remote Patient Monitoring System for Diagnostic Pure-tone Audiometry
KR101613055B1 (ko) 노이즈를 이용하여 생체신호를 교정하고 동작을 추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동작추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