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3611B1 - 청진기용 가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청진기 - Google Patents

청진기용 가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청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3611B1
KR101303611B1 KR1020120003907A KR20120003907A KR101303611B1 KR 101303611 B1 KR101303611 B1 KR 101303611B1 KR 1020120003907 A KR1020120003907 A KR 1020120003907A KR 20120003907 A KR20120003907 A KR 20120003907A KR 101303611 B1 KR101303611 B1 KR 101303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thoscope
heating
circuit
heart sound
surface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3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3243A (ko
Inventor
현 김
신태민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03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3611B1/ko
Priority to PCT/KR2013/000120 priority patent/WO2013105764A1/ko
Publication of KR20130083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3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3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3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7/00Instruments for auscultation
    • A61B7/02Stethosco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청진기는 청진기 본체 및 청진기용 가열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청진기 본체는 환자의 심음을 측정하는 심음판, 상기 심음판을 지지하고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그립이 형성된 몸체, 상기 심음판과 음향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심음판의 진동을 전달하는 이어튜브, 및 상기 이어튜브의 단부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귀에 삽입하는 이어팁을 포함하는 청진기 본체를 포함한다. 상기 청진기용 가열장치는 상기 청진기 본체의 상기 심음판을 가열하는 면발열부, 및 상기 면발열부를 가열하는 가열 회로가 형성된 회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청진기용 가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청진기{HEATER FOR stethoscope and stethoscop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청진기용 가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청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청진기의 심음판의 온도를 가열할 수 있는 청진기용 가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청진기에 관한 것이다.
청진기는 체내에서 발생하는 심음(心音)이나 호흡음을 비롯한 동맥음, 장잡음(腸雜音) 및 혈관음을 청취해 정상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데 사용된다. 최근 청진기도 많은 발전을 거듭해 양이형 청진기에 보청기와 같은 측 미음계를 장치해 성능을 좋게 한 것, 확대해 여러 사람이 동시에 들을 수 있는 것, 옷 위로 청진이 가능토록 음을 증폭하는 전자청진기 등이 잇따라 선보이고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청진기들이 개량되어 선보이나, 대부분의 개량 방향은 청진기 자체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의료계의 트랜드는 환자에서 고객으로, 진료에서 서비스의 개념으로 바뀌어가고 있는 추세로 인간적인, 환자중심의 진료로 의료계가 변화하고 있으며, 환자 중심의 편의를 고려한 의료기구들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고 있다.
전통적인 청진기의 경우, 체온보다 낮은 온도의 심음판이 환자의 신체를 접촉하면, 환자는 불쾌감을 느끼게 된다. 또한 이러한 불쾌감에 의한 즉각적인 신체 변화에 의해 정확한 진단이 어려울 수 있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청진기의 심음판의 온도를 환자의 체온과 유사한 온도까지 가열할 수 있도록 하는 청진기용 가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청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청진기용 가열장치는 청진기의 심음판을 가열하는 면발열부, 및 상기 면발열부를 가열하는 가열 회로가 형성된 회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면발열부가 상기 심음판에 밀착되기 위해 상기 청진기의 몸체에 결합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청진기의 몸체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열 회로에 연결되어 가열회로를 온/오프(ON/OFF) 시키는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가 온(ON)되면, 상기 회로부는 상기 면발열부의 온도를 설정된 온도 범위로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온도 범위는 15℃ ~ 3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면발열부는 PTC서미스터(thermistor)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면발열부에는 상기 면발열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회로부에 온도정보를 전달하는 온도센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로부는 상기 면발열부가 미리 설정된 저온보다 낮은 경우 상기 가열회로가 작동하여 상기 면발열부를 가열시키고, 상기 면발열부가 미리 설정된 고온보다 높은 경우 상기 가열회로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청진기는 청진기 본체 및 청진기용 가열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청진기 본체는 환자의 심음을 측정하는 심음판, 상기 심음판을 지지하고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그립이 형성된 몸체, 상기 심음판과 음향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심음판의 진동을 전달하는 이어튜브, 및 상기 이어튜브의 단부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귀에 삽입하는 이어팁을 포함하는 청진기 본체를 포함한다. 상기 청진기용 가열장치는 상기 청진기 본체의 상기 심음판을 가열하는 면발열부, 및 상기 면발열부를 가열하는 가열 회로가 형성된 회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에 연결되어 상기 면발열부로의 전원 공급을 온/오프(ON/OFF)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가 온(ON)상태일 때, 상기 회로부는 상기 면발열부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구간을 유지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몸체의 상기 그립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청진기용 가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청진기에 따르면, 청진기의 심음판의 온도를 환자의 체온과 유사한 온도까지 가열하여 심음판이 환자와 접촉할 때의 환자의 불쾌감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청진기용 가열장치는 종래의 청진기에 탈부착이 용이하여 추가적인 청진기를 새로 구비할 필요 없이 기존의 일반적인 청진기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가열버튼을 형성하여 필요 시에만 심음판을 가열할 수 있으며, 가열유지회로를 형성하여 심음판의 온도를 체온 근처로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필요이상의 전력 소모를 줄여 장치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진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은 도 1의 청진기용 가열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진기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진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은 도 1의 청진기용 가열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청진기(1000)는 청진기용 가열장치(100) 및 청진기 본체(200)를 포함한다.
상기 청진기용 가열장치(100)는 면발열부(110), 회로부(120), 지지부(130) 및 스위치(140)를 포함한다.
상기 면발열부(110)는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청진기 본체(200)의 심음판 부위를 커버할 수 있고, 내부에 발열체를 내장하여 상기 면발열부(110)가 설정된 범위의 온도까지 발열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면 발열부(110)는 박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청진기 본체(200)에 부착되므로, 환자의 심음 측정 시, 심음판의 진동감소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청진기용 가열장치(100)를 상기 청진기 본체(200)에 부착하더라도 청진기의 성능을 감소시키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면발열부(110)에 내장되는 상기 발열체는 PTC서미스터(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thermistor)일 수 있다. 상기 PTC서미스터는 특정 온도영역에서 전기저항이 급상승하므로, 정온(定溫)발열체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발열체는 적정온도까지 가열되고 적정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간의 체온 범위(약 35℃)의 온도 구간 또는 환자가 불편함을 느끼지 않는 정도의 상온 부근(약 25℃)을 유지하는 정온발열체로 사용되도록 상기 PTC서미스터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회로부(120)는 상기 면발열부(110) 내부의 상기 발열체에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발열체가 발열하도록 하는 가열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발열체는 상기 가열회로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발열하며, 설정된 범위의 온도까지 가열 될 수 있다. 상기 가열회로에는 스위치(140)가 연결되어 상기 가열회로를 온/오프(ON/OFF) 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의사가 환자를 청진할 때만 상기 가열회로를 온(ON) 시켜 사용전력을 줄일 수 있다. 상기 회로부(120)는 상기 면발열부(110)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스위치(140)가 온(ON)되는 경우 상기 면발열부(110)의 온도는 설정된 범위의 온도까지 상승한 후,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면발열부(110)에 온도센서(미도시)를 형성하고 상기 회로부(120)에 연결되어 상기 면발열부(110)가 적정 온도 구간에 이르면 전원을 차단하고 적정 온도 구간 이하로 내려가면 다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30℃이상이면 전원을 차단하고 15℃이하이면 다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140)는 토글 스위치(toggle switch) 또는 락커 스위치(rocker switch)로 온/오프 작동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스위치(140)는 누르고 있을 때 온 되고, 떼면 오프되는 푸쉬버튼 스위치(push button switch)일 수 있다.
상기 지지부(130)는 상기 청진기용 가열장치(100)가 상기 청진기 본체(200)에 부착되는 경우에, 상기 청진기 본체(200)의 몸체에 결착 또는 부착되어 상기 면발열부(110)가 상기 심음판에 고정되도록 한다. 자세한 구성과 역할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청진기 본체(200)는 심음판(210), 몸체(220), Y-형 튜브(230), 이어튜브(240) 및 이어팁(250)을 포함한다.
상기 심음판(210)은 다이어프램(diaphragm) 또는 벨(bell) 일수 있다. 상기 다이어프램은 평평한 플라스틱 떨림판으로 형성되어 주파수 범위 100Hz~1kHz의 소리, 즉 폐음이나 장이 움직이는 소리를 들을 수 있으며, 상기 벨은 중앙부가 함몰되어 종 형태를 갖고, 주파수 범위 20Hz~200Hz, 즉 심장 판막이 여닫는 소리나 혈류가 역류되거나 와류로 인해 발생하는 소리 등 비교적 낮은 소리를 들을 수 있다.
상기 몸체(220)는 상기 심음판(210)의 상부를 커버하며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심음판(210)이 환자와 접촉하는 부위, 즉 상기 심음판(210)의 하부만 노출되도록 하고 상기 심음판(210)의 상부를 보호한다. 또한 상기 몸체(220)의 중심부에 그립이 형성되어 의사가 환자의 심음을 청취하는 경우 손으로 쉽게 상기 몸체(220)를 잡아 필요한 부위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몸체(220) 내부에는 상기 심음판(210)에서 형성된 진동으로부터 형성된 음파가 상기 Y-형 튜브(230)로 진행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Y-형 튜브(230)는 상기 몸체(220)로부터 연장되어 두 갈래로 나뉘어 진다. 상기 Y-형 튜브(23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심음판(210)으로부터 형성된 음파가 전달된다.
상기 이어튜브(240)는 상기 Y-형 튜브(230)의 두 갈래로 나뉘어진 끝단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이어튜브(240)는 금속재질 일 수 있다.
상기 이어팁(250)은 상기 이어튜브(240)의 끝단에 각각 형성되어 사용자의 양쪽 귀에 각각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심음판(210)의 진동으로부터 형성된 음파는 상기 몸체(220), Y-형 튜브(230), 상기 이어튜브(240) 및 상기 이어팁(250)을 지나 사용자의 귀에 환자의 심음을 전달한다.
도 1의 상기 청진기용 가열장치(100)는 상기 청진기 본체(200)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청진기용 가열장치(100)가 상기 청진기 본체(200)에 부착되는 경우에, 상기 지지부(130)는 상기 청진기 본체(200)의 몸체(220)에 결합되어 상기 면발열부(110)가 상기 심음판에 고정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면발열부(110)의 일측에 소정의 각도로 형성된 상기 회로부(120)로부터 상기 지지부(130)가 양측으로 연장되어, ㄷ-자 형태로 형성된 상기 지지부(130) 및 상기 회로부(120)가 상기 청진기 본체(200)의 상기 몸체(220)를 감싸며 결합하고, 상기 면발열부(110)가 상기 청진기 본체(200)의 상기 심음판(210)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130)에는 걸림턱(미도시)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220)에 탄성 변형되어 결합 후 견고하게 고정되거나, 또는 접착층이 상기 몸체(220)와 상기 지지부(130)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청진기 본체(200)와 상기 청진기용 가열장치(100)를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부(130)는 상기 청진기용 가열장치(100)가 상기 청진기 본체(200)에 부착 또는 결합하기위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지지부(130)는 상기 면발열부(110)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면발열부(110)의 상부로 연장되며 상기 면발열부(110)에 수직한 평면 상에 형성되는 제1 지지부재(131) 및 상기 제1 지지부재(131)와 마주보는 제2 지지부재(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재들(131, 132)은 상기 몸체에 부착될 때 슬라이딩되어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청진기 본체(200)의 상기 몸체(220)에 형성된 그립은 상기 지지부(130)에 의해 감싸질 수 있고 상기 지지부(130)에 그립이 형성되어, 상기 청진기 본체(200)와 상기 청진기용 가열장치(100)가 결합된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상기 그립을 잡고 환자의 심음을 청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립에 상기 스위치(140)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청진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자연스럽게 상기 스위치(140)를 온 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진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청진기(300)는 심음판(310), 몸체(320), Y-형 케이블(330), 이어튜브(340), 이어팁(350) 및 스위치(360)를 포함한다. 상기 심음판(310)에 면발열부가 내장되는 것과 상기 몸체(320)에 회로부가 내장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Y-형 케이블(330), 상기 이어튜브(340) 및 상기 이어팁(350)은 각각, 도 1에서 설명된 청진기(1000)의 Y-형 케이블(230), 이어튜브(240) 및 상기 이어팁(25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심음판(310)의 내부에는 상기 면발열부가 내장된다. 상기 면발열부는 도 1 및 도 2에서 설명된 청진기용 가열장치(100)의 면발열부(1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몸체(320)에는 상기 회로부가 내장된다. 상기 회로부는 도 1 및 도 2에서 설명된 회로부(12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스위치(360)는 상기 몸체(320)에 형성되어 그립 상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몸체(320)의 그립을 잡으면서 상기 스위치(360)를 누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청진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자연스럽게 상기 스위치(360)를 온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청진기용 가열장치에 따르면, 청진기의 심음판의 온도를 환자의 체온과 유사한 온도까지 가열하여 심음판이 환자와 접촉할 때의 환자의 불쾌감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청진기용 가열장치는 청진기 본체에 탈부착이 용이하여 추가적인 청진기를 새로 구비할 필요 없이 기존의 청진기 본체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가열버튼을 형성하여 필요시에만 심음판을 가열할 수 있으며, 가열유지회로를 형성하여 심음판의 온도를 체온 근처로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필요이상의 전력 소모를 줄여 장치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100: 청진기용 가열장치 110: 면발열부
120: 회로부 130: 지지부
140: 스위치 200: 청진기 본체
300, 1000: 청진기 310: 심음판
320: 몸체 330: Y-형 튜브
340: 이어튜브 350: 이어팁

Claims (11)

  1. 청진기의 심음판을 가열하는 면발열부; 및
    상기 면발열부를 가열하는 가열 회로가 형성된 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면발열부가 상기 심음판에 밀착되기 위해 상기 청진기의 몸체에 결합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청진기의 몸체에 탈부착 가능하고,
    상기 면발열부는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심음판 상에 밀착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면발열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면발열부의 상부로 연장되며 상기 면발열부에 수직한 평면 상에 형성되는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제1지지부재와 마주보는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재들은 상기 청진기의 상기 몸체에 부착될 때 슬라이딩되어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진기용 가열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회로에 연결되어 가열회로를 온/오프(ON/OFF) 시키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청진기용 가열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가 온(ON)되면, 상기 회로부는 상기 면발열부의 온도를 설정된 온도 범위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진기용 가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온도 범위는 15℃ ~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진기용 가열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면발열부는 PTC서미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진기용 가열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면발열부에는 상기 면발열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회로부에 온도정보를 전달하는 온도센서가 형성되고,
    상기 회로부는 상기 면발열부가 미리 설정된 저온보다 낮은 경우 상기 가열회로가 작동하여 상기 면발열부를 가열시키고, 상기 면발열부가 미리 설정된 고온보다 높은 경우 상기 가열회로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진기용 가열장치.
  9. 환자의 심음을 측정하는 심음판, 상기 심음판을 지지하고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그립이 형성된 몸체, 상기 심음판과 음향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심음판의 진동을 전달하는 이어튜브, 및 상기 이어튜브의 단부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귀에 삽입하는 이어팁을 포함하는 청진기 본체; 및
    상기 청진기 본체의 상기 심음판을 가열하는 면발열부, 및 상기 면발열부를 가열하는 가열 회로가 형성된 회로부를 포함하는 청진기용 가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면발열부가 상기 심음판에 밀착되기 위해 상기 청진기의 몸체에 결합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청진기의 몸체에 탈부착 가능하고,
    상기 면발열부는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심음판 상에 밀착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면발열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면발열부의 상부로 연장되며 상기 면발열부에 수직한 평면 상에 형성되는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제1지지부재와 마주보는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재들은 상기 청진기의 상기 몸체에 부착될 때 슬라이딩되어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진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에 연결되어 상기 면발열부로의 전원 공급을 온/오프(ON/OFF)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가 온(ON)상태일 때, 상기 회로부는 상기 면발열부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구간을 유지되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진기.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몸체의 상기 그립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진기.
KR1020120003907A 2012-01-12 2012-01-12 청진기용 가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청진기 KR101303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907A KR101303611B1 (ko) 2012-01-12 2012-01-12 청진기용 가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청진기
PCT/KR2013/000120 WO2013105764A1 (ko) 2012-01-12 2013-01-08 청진기용 가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청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907A KR101303611B1 (ko) 2012-01-12 2012-01-12 청진기용 가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청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3243A KR20130083243A (ko) 2013-07-22
KR101303611B1 true KR101303611B1 (ko) 2013-09-11

Family

ID=48781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3907A KR101303611B1 (ko) 2012-01-12 2012-01-12 청진기용 가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청진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03611B1 (ko)
WO (1) WO201310576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07132B2 (en) 2014-09-15 2019-06-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tethoscope head and stethoscope compris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507B1 (ko) * 2016-12-27 2018-07-06 이승용 청진기용 소독기
CN114190969A (zh) * 2021-12-08 2022-03-18 夏晶晶 一种心血管内科用防应激反应用听诊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0524Y1 (ko) * 2001-05-15 2001-10-15 이정순 가열형 청진기
JP2003169797A (ja) * 2001-12-04 2003-06-17 Tamotsu Nishizaki 加温装置付聴診器
KR20090075136A (ko) * 2008-01-03 2009-07-08 주식회사 제이디더블유 청진기용 살균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4446U (ja) * 2007-05-31 2007-08-16 道弘 片山 聴診器加温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0524Y1 (ko) * 2001-05-15 2001-10-15 이정순 가열형 청진기
JP2003169797A (ja) * 2001-12-04 2003-06-17 Tamotsu Nishizaki 加温装置付聴診器
KR20090075136A (ko) * 2008-01-03 2009-07-08 주식회사 제이디더블유 청진기용 살균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07132B2 (en) 2014-09-15 2019-06-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tethoscope head and stethoscope compri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3243A (ko) 2013-07-22
WO2013105764A1 (ko) 2013-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1219006A (en) A peripheral physiology inspection apparatus and a peripheral auxiliary device for smart phone
JP5694338B2 (ja) トランスデューサ装着具および着用可能モニタ
JP4460414B2 (ja) 血圧計
AU2012256009B2 (en) Medical examination apparatus
US6533736B1 (en) Wireless medical stethoscope
KR101402179B1 (ko) 청진기
KR101303611B1 (ko) 청진기용 가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청진기
CN104398270A (zh) 一种蓝牙无线听诊器
TWM616700U (zh) 具有佩戴檢測功能的骨傳導揚聲器及骨傳導耳機
JP2018509218A (ja) イヤホン心電図モニタおよび関連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208892623U (zh) 一种改良型宠物听诊器
CN208435670U (zh) 多功能分体式听诊器
CN209450551U (zh) 一种外放式听诊器
US20110088964A1 (en) Stethoscope Having An Elliptical Headpiece And Amplified Earpieces
CN111569256B (zh) 一种颈部按摩仪及其温度检测方法
JP4401923B2 (ja) 血圧計測装置
CN212996410U (zh) 一种血压计
JP3122639U (ja) 電子聴診器
JP4418341B2 (ja) 血圧測定装置
CN205104069U (zh) 一种妇产科护理教学用具
JP2015006232A (ja) 電子聴診器
JP2006102181A (ja) 血圧測定装置
CN218852726U (zh) 恒温听诊器
CN213787495U (zh) 一种防疫专用听诊器
CN210185603U (zh) 一种便于使用的听诊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