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2179B1 - 청진기 - Google Patents

청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2179B1
KR101402179B1 KR1020130126930A KR20130126930A KR101402179B1 KR 101402179 B1 KR101402179 B1 KR 101402179B1 KR 1020130126930 A KR1020130126930 A KR 1020130126930A KR 20130126930 A KR20130126930 A KR 20130126930A KR 101402179 B1 KR101402179 B1 KR 101402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patient
connector
stethoscope
do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6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원석
Original Assignee
최원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원석 filed Critical 최원석
Priority to KR1020130126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21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2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2179B1/ko
Priority to CN201480002260.0A priority patent/CN104736065B/zh
Priority to US14/421,235 priority patent/US20160029994A1/en
Priority to PCT/KR2014/007377 priority patent/WO201506052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7/00Instruments for auscultation
    • A61B7/02Steth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7/00Instruments for auscultation
    • A61B7/02Stethoscopes
    • A61B7/026Stethoscopes comprising more than one sound colle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7/00Instruments for auscultation
    • A61B7/003Detecting lung or respiration noise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진기는 환자를 진단하기 위한 체스트 피스, 상기 체스트 피스에 연결된 제1 연결관, 상기 제1 연결관에 연결되어 체스트 피스에서 전달되는 음을 듣기 위한 의사용 귀꽂이, 의사의 음을 환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집음판, 상기 집음판에 연결된 제2 연결관 및 상기 제2 연결관에 연결되어 의사의 음을 환자에게 전달하는 환자용 귀꽂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청진기{STETHOSCOPE}
본 발명의 청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청각 능력이 낮은 환자들에게 진료결과를 효율적으로 알려주는 청진기에 관한 것이다.
청진기는 청진 즉, 신체의 내부 소리를 듣기 위한 의료용 장치이다. 청진기는 심장 및 폐의 소리를 듣는데 대부분 사용되고, 내장, 동맥 및 정맥 양자 모두의 혈류를 듣는데 또한 사용된다. 1819년의 이 발명 이후로, 청진기는 특정 질병 또는 건강 상태의 진단의 보조기로서 신체 내의 소리를 듣는데 사용되어 왔다. 청진기의 발명 이전에, 의사는 환자의 가슴에 대하여 또는 환자의 신체 옆의 다른 부분에 귀를 댐으로써 신체 내부로부터의 소리를 들었다.
종래의 청진기는 심장, 폐, 혈관 등으로부터 나오는 것들과 같은 내부 신체 소리를 캡쳐하도록 환자의 피부의 표면에 대한 배치를 위해 구성된 소리 수신 부재(또는 체스트피스(chestpiece))를 포함한다. 통상, 종래의 청진기에는 벨 형태 및 다이어프램(diaphragm) 형태의 두 가지 형태의 소리 수신 부재가 제공되었다. 벨 형태의 소리 수신 부재는 낮은 피치의 소리를 취득하는데 통상 사용되고, 다이어프램 형태는 높은 피치의 소리를 취득하는데 사용된다. 의사는 때때로 조합형 벨/다이어프램 소리 수신 부재를 갖는 청진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이어프램 소리 수신 부재는 신체 내부로부터의 특정 주파수 범위 내에서 생성된 소리(예를 들어, 심장 소리)에 대해 선택적으로 진동하여 이들 소리를 증폭시키는 멤브레인 또는 다이어프램을 포함한다. 벨 형태 소리 수신 부재 또는 다이어프램 소리 수신 부재로 진입하는 소리는 내과의사, 간호사 또는 훈련받은 다른 건강관리 숙련자의 귀 속에 끼우도록 구성된 한 쌍의 이어폰을 갖는 헤드셋에 연결된 튜브를 통해 전송된다.
그러나, 기존의 청진기는 진찰을 하는데에는 유용하나, 환자가 청각 능력이 떨어지는 경우 의사의 진찰 결과 또는 진찰을 위한 요청사항이 전달하기 힘들어 진찰시간이 길어지고, 진찰도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진찰 결과 또는 진찰을 위한 요청사항을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 환자용 귀꽂이와 의사용 집음판을 포함하는 청진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진기는 환자를 진단하기 위한 체스트 피스, 상기 체스트 피스에 연결된 제1 연결관, 상기 제1 연결관에 연결되어 체스트 피스에서 전달되는 음을 듣기 위한 의사용 귀꽂이, 의사의 음을 환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집음판, 상기 집음판에 연결된 제2 연결관 및 상기 제2 연결관에 연결되어 의사의 음을 환자에게 전달하는 환자용 귀꽂이를 포함한다.
상기 청진기의 상기 체스트 피스는 한쪽 면에는 다이아 프램을 포함하고, 다른 한쪽 면에는 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청진기는 상기 의사용 귀꽂이와 상기 제1 연결관 사이에 형성되는 제1 바이누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청진기의 상기 제1 바이누랄은 양방향으로 갈라진 상기 제1 연결관에 연결되어 양 쪽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청진기는 양방향으로 갈라진 상기 제1 연결관을 연결하여주는 연결 브릿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청진기는 상기 제1 연결관과 제2 연결관을 감싸주는 제3 연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청진기는 상기 제1 연결관과 제2 연결관의 움직일 수 있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청진기는 상기 환자용 귀꽂이와 상기 제2 연결관 사이에 형성되는 제2 바이누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진기는 청각 능력이 떨어지는 환자와 의사간의 소통을 원할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청진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1 연결관과 제2 연결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1 연결관과 제2 연결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청진기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청진기는 환자를 진단하기 위한 체스트 피스(60)를 포함한다.
체스트 피스(60)는 환자의 몸안에서 나오는 음을 듣기 위하여 필요하며, 체내에서 발생하는 심음(心音)이나 호흡음을 비롯하여 동맥음 ·장잡음(腸雜音) ·혈관음을 청취하여 정상적인 상태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 혈압을 측정할 때는 상완동맥음(上腕動脈音)을 청취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체스트 피스(60)는 일반적으로 한 쪽 면에서는 다이아프램(diaphragm)을 포함하고 다른 한 쪽 면에는 벨(bell)을 포함한다. 다이아 프램(61)은 평평한 플라스틱 떨림판이 있는 부분으로 이 곳을 통해 들을 수 있는 주파수 범위는 100Hz~1KHz의 소리로, 주로 폐음이나 장이 움직이는 소리이다.
벨(62)은 음푹 패여 종 모양을 하고 있어 붙여진 이름으로, 이 곳을 통해 들을 수 있는 주파수 범위는 20Hz~200Hz 로, 심장 판막이 여닫는 소리나 혈류가 역류되거나 와류로 인해 발생하는 소리 등 비교적 낮은 소리에 해당한다. 진료 시 숨소리를 멈추라고 요구하는 것은 정확한 심장음을 듣기 위해서이다.
청진기를 통한 진단은 심장이나 폐 혹은 장에서 나는 작은 소리를 의사가 들을 수 있는 집음 부위를 통해 소리를 모아 의사의 귀에 전달하기 때문에, 작은 소리를 어떻게 들을 수 있는 가가 중요한다. 벨(62)의 경우 낮은 주파수의 소리를 듣는 데 사용되고, 다이아프램(61)의 경우 상대적으로 좀 더 큰 소리와 넓은 대역의 소리를 듣는데 사용된다. 이 차이는 두 집음 부위의 구조에서 발생하며, 벨의 경우 떨림판이 없어 몸에서 발생한 진동소리가 곧바로 공기를 진동시킴으로서 작은 소리를 들을 수 있다. 그런데, 다이아프램의 경우 피부의 진동이 일단 플라스틱으로 된 떨림판에 전달되고, 다시 그 판의 떨림이 공기를 진동시켜 전달해야 한다. 그런데 아주 작은 소리는 떨림판 자체에서 흡수되어 더 이상 진동이 전달되지 않기에 다이아프램의 경우 일정 수준 이상의 진동이 필요하다. 인체의 소리가 청진기를 통해 귀로 듣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즉, 인체의 소리가 청진기의 막을 진동시키고 이 진동이 연결관을 통해 이동하여 의사의 귀에 전달이 되는 것이다. 소리는 공기라는 매질을 통해 전달되는 파동으로, 파의 진행방향과 매질의 진동방향이 같은 종파이다.
본 발명에 의한 청진기는 상기 체스트 피스에 연결된 제1 연결관(41)과 상기 제1 연결관(41)에 연결되어 체스트 피스(60)에서 전달되는 음을 듣기 위한 의사용 귀꽂이(10)를 포함한다. 귀꽂이는 음을 잘 듣기 위해서 외이도의 방향에 맞추어 삽입하는데, 약간 구부러진 쪽을 앞 쪽으로 하여 꽂는 것이 좋으며, 음이 잘 들리게 하려면 피부에 밀착시키는 것이 좋다. 귀꽂이는 귀에 들어가서 마지막으로 소리를 전달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귓구멍에 적당히 잘 맞고 아프지 않아야 오래 착용할 수 있고, 또한 신체에 접촉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인체에 무해한 재질을 사용한다.
상기 제1 연결관(41)은 집음판에 잡힌 음원을 귀에 전달하는 통로역할을 한다. 튜브식 청진기의 경우 구조적으로 높은 주파수 대역을 놓치게 될 수 있는데, 이를 피하기 위해 연결관을 짧게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청진기는 의사의 음을 환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집음판(30), 상기 집음판에 연결된 제2 연결관(42) 및 상기 제2 연결관에 연결되어 의사의 음을 환자에게 전달하는 환자용 귀꽂이(70)를 포함한다.
상기 집음판(30)은 청각 능력이 떨어지는 환자에게 의사의 음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서, 체스트 피스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집음판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체스트 피스로 이루어 질 수도 있고, 기타 음을 모을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면 어느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렇게 상기 집음판을 통하여 모아진 음들은 제2 연결관(42)을 타고 환자용 귀꽂이(70)까지 전달이 된다. 이렇게 청각능력이 떨어진 환자들에게 집음판을 통한 음을 효과적으로 전달함으로써 집음판없이 육성으로 의사가 얘기할 때 환자가 잘 알아듣지 못하는 단점을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청진기의 상기 체스트 피스(60)는 한쪽 면에는 다이아 프램(61)을 포함하고, 다른 한쪽 면에는 벨(62)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이아 프램과 벨에 대해서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청진기는 상기 의사용 귀꽂이와 상기 제1 연결관 사이에 형성되는 제1 바이누랄(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이누랄은 두 귀에 걸쳐지는 부분으로 연결관을 통해 올라온 소리를 귀꽂이로 전해준다. 보통 강화 알루미늄이나 스틸 혹은 구리제품을 사용해서 만드는데, 필요에 따라서 플라스틱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상기 청진기의 상기 제1 바이누랄은 양방향으로 갈라진 상기 제1 연결관에 연결되어 양 쪽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청진기는 양방향으로 갈라진 상기 제1 연결관을 연결하여주는 연결 브릿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청진기는 상기 제1 연결관과 제2 연결관을 감싸주는 제3 연결관(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관과 제2 연결관은 진찰의 용이성을 위하여 서로 붙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연결관과 제2 연결관을 감싸주는 제3 연결관(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3과 같이 별도의 제3 연결관을 구비하지 않고, 제1 연결관과 제2 연결관을 결합시켜주는 결합부재(55)를 이용하여 두 연결관을 결합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청진기는 상기 제1 연결관과 제2 연결관의 움직일 수 있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 조절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두 개의 연결관이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각각의 연결관의 움직일 수 있는 길이를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때 길이 조절부(50)를 이용하여 제1 연결관과 제2 연결관의 움질일 수 있는 길이를 조절하여 효율적으로 의사가 환자를 진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청진기는 상기 환자용 귀꽂이와 상기 제2 연결관 사이에 형성되는 제2 바이누랄(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이누랄의 기능과 재질은 제1 바이누랄과 같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의사용 귀꽂이 20 : 제1 바이누랄
30 : 집음판 40 : 제3 연결관
41 : 제1 연결관 42 : 제2 연결관
50 : 길이 조절부 60 : 체스트피스
61 : 다이아프램 62 : 벨
70 : 환자용 귀꽂이 80 : 제2 바이누랄
90 : 연결 브릿지

Claims (8)

  1. 환자를 진단하기 위한 체스트 피스;
    상기 체스트 피스에 연결된 제1 연결관;
    상기 제1 연결관에 연결되어 체스트 피스에서 전달되는 음을 듣기 위한 의사용 귀꽂이;
    의사의 음을 환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집음판;
    상기 집음판에 연결된 제2 연결관; 및
    상기 제2 연결관에 연결되어 의사의 음을 환자에게 전달하는 환자용 귀꽂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스트 피스는 한쪽 면에는 다이아 프램을 포함하고, 다른 한쪽 면에는 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진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사용 귀꽂이와 상기 제1 연결관 사이에 형성되는 제1 바이누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진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이누랄은 양방향으로 갈라진 상기 제1 연결관에 연결되어 양 쪽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진기.
  5. 제4항에 있어서,
    양방향으로 갈라진 상기 제1 연결관을 연결하여주는 연결 브릿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진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관과 제2 연결관을 감싸주는 제3 연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진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관과 제2 연결관의 움직일 수 있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진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용 귀꽂이와 상기 제2 연결관 사이에 형성되는 제2 바이누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진기.
KR1020130126930A 2013-10-24 2013-10-24 청진기 KR101402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6930A KR101402179B1 (ko) 2013-10-24 2013-10-24 청진기
CN201480002260.0A CN104736065B (zh) 2013-10-24 2014-08-08 听诊器
US14/421,235 US20160029994A1 (en) 2013-10-24 2014-08-08 Stethoscope
PCT/KR2014/007377 WO2015060521A1 (ko) 2013-10-24 2014-08-08 청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6930A KR101402179B1 (ko) 2013-10-24 2013-10-24 청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2179B1 true KR101402179B1 (ko) 2014-06-03

Family

ID=51131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6930A KR101402179B1 (ko) 2013-10-24 2013-10-24 청진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60029994A1 (ko)
KR (1) KR101402179B1 (ko)
CN (1) CN104736065B (ko)
WO (1) WO2015060521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4132A (ko) * 2014-12-18 2016-06-28 이은영 귀이개
WO2016163566A1 (ko) * 2015-04-07 2016-10-13 최원석 청진기
WO2016163567A1 (ko) * 2015-04-07 2016-10-13 최준혁 청진기
KR20210032919A (ko) 2019-09-17 2021-03-25 다인기술 주식회사 호흡과 관련된 소리를 분석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383B1 (ko) * 2013-10-24 2014-03-12 최원석 청음기
USD837979S1 (en) * 2015-07-31 2019-01-08 Wuxi Kaishun Medical Device Manufacturing Co., Ltd. Stethoscope head
USD821576S1 (en) * 2016-03-17 2018-06-26 Anthony Alatriste Stethoscope accessory
RU178382U1 (ru) * 2017-03-10 2018-04-02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Тюме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медицин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Министерства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ФГБОУ ВО Тюменский ГМУ Минздрава России) Держатель стетофонендоскоп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703A (ja) * 1996-01-19 1997-02-04 Sato Iken:Kk 対話型聴音具
JP2008054714A (ja) 2006-08-29 2008-03-13 Ichikawa Sadamu 聴診器
JP2012123347A (ja) 2010-12-05 2012-06-28 Mikami Yui 聴診器型通話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0430A (en) * 1901-09-09 1902-01-07 Arthur G House Transmitting and receiving tube for auricular instruments.
US6656128B1 (en) * 2002-05-08 2003-12-02 Children's Hospital Medical Center Device and method for treating hypernasality
GB2410147A (en) * 2004-01-13 2005-07-20 Health & Life Co Ltd Electronic stethoscope with piezo-electrical film contact microphone
US20100307860A1 (en) * 2009-06-04 2010-12-09 Craig Ellingson Systems and methods for donning a stethoscope with one hand
CN201929984U (zh) * 2011-01-21 2011-08-17 潍坊学院 一种听诊器
CN202875370U (zh) * 2012-11-14 2013-04-17 娄敏 听诊器
CN203016984U (zh) * 2013-01-17 2013-06-26 刘作功 多功能听诊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703A (ja) * 1996-01-19 1997-02-04 Sato Iken:Kk 対話型聴音具
JP2008054714A (ja) 2006-08-29 2008-03-13 Ichikawa Sadamu 聴診器
JP2012123347A (ja) 2010-12-05 2012-06-28 Mikami Yui 聴診器型通話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4132A (ko) * 2014-12-18 2016-06-28 이은영 귀이개
KR101649049B1 (ko) * 2014-12-18 2016-08-30 이은영 귀이개
WO2016163566A1 (ko) * 2015-04-07 2016-10-13 최원석 청진기
WO2016163567A1 (ko) * 2015-04-07 2016-10-13 최준혁 청진기
KR101770975B1 (ko) * 2015-04-07 2017-08-24 최원석 청진기
US10751024B2 (en) 2015-04-07 2020-08-25 Joon Hyeok Choi Stethoscope with two pair of headsets
KR20210032919A (ko) 2019-09-17 2021-03-25 다인기술 주식회사 호흡과 관련된 소리를 분석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29994A1 (en) 2016-02-04
CN104736065B (zh) 2017-09-08
CN104736065A (zh) 2015-06-24
WO2015060521A1 (ko) 2015-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2179B1 (ko) 청진기
US11666302B2 (en) One-piece diaphragm and ring for stethoscope chestpiece
US6656128B1 (en) Device and method for treating hypernasality
CN202619689U (zh) 一种新型听诊器
CN201098139Y (zh) 气骨双传导听诊器
CN209951290U (zh) 颞颌关节贴触式骨传导听诊器
CN114642425A (zh) 一种入耳式客观性突发耳聋耳鸣诊断装置
KR101372383B1 (ko) 청음기
CN106510754A (zh) 定制式蓝牙听诊器
KR102200738B1 (ko) 청진기
US20190192109A1 (en) Stethoscope
CN210871671U (zh) 可调立体声/非立体声听诊器
CN207545111U (zh) 新型的听诊器耳塞
KR101770975B1 (ko) 청진기
CN216960141U (zh) 一种用于医疗体检的测听器
CN205083506U (zh) 一种儿童内科用听诊器
US20230121947A1 (en) Serrated Stethoscope Tubing
JP7175947B2 (ja) 集音装置
CN212913223U (zh) 一种儿科用听诊器
US20230120859A1 (en) Stethoscope And Binaural Assembly For A Stethoscope Including A Sound Junction Blockage Prevention Member
CN216628575U (zh) 一种医疗外科用便携式听诊器
CN213488898U (zh) 一种儿科心内科听诊器
CN219516811U (zh) 一种用于老年患者沟通的传导器
JP3161479U (ja) 聴診器
JP2022074259A (ja) チェストピース、聴診器及びデジタル聴診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