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0505A - 철-기반 형상 기억 합금으로부터 평강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철-기반 형상 기억 합금으로부터 평강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0505A
KR20160030505A KR1020167000268A KR20167000268A KR20160030505A KR 20160030505 A KR20160030505 A KR 20160030505A KR 1020167000268 A KR1020167000268 A KR 1020167000268A KR 20167000268 A KR20167000268 A KR 20167000268A KR 20160030505 A KR20160030505 A KR 201600305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asting
group
strip
shape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0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9847B1 (ko
Inventor
라이너 페히테-하이넨
크리스티안 획클링
로타르 파트베르크
옌스-울릭 벡커
Original Assignee
티센크루프 스틸 유럽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센크루프 스틸 유럽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티센크루프 스틸 유럽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60030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0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9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9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46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metal immediately subsequent to continuous ca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01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of specific all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4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open-ended moulds
    • B22D11/041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open-ended moulds for vertical ca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6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 B22D11/0602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formed by a casting wheel and belt, e.g. Properzi-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6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 B22D11/0622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formed by two casting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6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 B22D11/0637Accessories therefor
    • B22D11/068Accessories therefor for cooling the cast product during its passage through the mould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06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plastic shaping of strand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4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Cr and Ni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5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M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7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Co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8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Si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0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36Cold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ungsten, tantalum, molybdenum, vanadium, or niob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vana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bal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F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AND NON-FERROUS ALLOYS
    • C22F1/00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 C22F1/006Resulting in heat recoverable alloys with a memory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46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metal immediately subsequent to continuous casting
    • B21B1/463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metal immediately subsequent to continuous casting in a continuous process, i.e. the cast not being cut before rol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주요 성분으로서 철, 합금 원소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함유하는 용융물이 주조 장치 내에서 하나의 주조 스트립으로 주조된 후에 냉각되는, 철-기반 형상 기억 합금으로부터 평강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휨에 강하고 압력 및 비틀림 부하를 수용할 수 있는 철-기반 형상 기억 합금으로부터 평강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경제적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과제는 특허 청구항 1에 따른 방법에 의해서 해결된다.

Description

철-기반 형상 기억 합금으로부터 평강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METHOD FOR PRODUCING A FLAT PRODUCT FROM AN IRON-BASED SHAPE MEMORY ALLOY}
본 발명은, 적어도 주요 성분으로서 철, 합금 원소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함유하는 용융물이 주조 장치 내에서 하나의 주조 스트립으로 주조된 후에 냉각되는, 철-기반 형상 기억 합금으로부터 평강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JP 62 112 751 A호에 공지된 선행 기술에는, 박막 또는 와이어가 스트립 주조 방법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스트립을 주조할 때에는 용융물이 주조 장치 내에서 주조되며, 이 주조 장치의 경우 주조 스트립이 형성되는 주조 영역 또는 체류 영역(holdup region)은 하나 이상의 세로 측에서, 주조 과정 동안 연속적으로 전진 이동하여 냉각된 벽에 의해 제한되어 있다.
예를 들어 강철 평강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상기와 같은 최종 치수에 가까운 연속적인 주조 방법 또는 주조 장치에 대한 한 가지 예는, 소위 "트윈-롤-캐스터(Twin-Roll-Caster)"로도 명명되는 "2-롤러-주조 장치"이다. 트윈-롤-캐스터의 경우에, 주조 동작 중에 서로 축 평행하게 정렬된 2개의 주조 롤 또는 주조 롤러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자신의 가장 좁은 간격의 영역에서 주조 영역을 규정하는 주조 갭을 제한한다. 이때 주조 롤러들은 집중적으로 냉각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이들 주조 롤러에 도달하는 용융물은 각각 하나의 쉘(shell)로 응고된다. 주조 롤러의 회전 방향은, 용융물 및 이 용융물로부터 주조 롤러 상에서 형성된 쉘들이 그 용융물과 함께 주조 갭 안으로 이송되도록 선택된다. 주조 갭 내부에 도달한 쉘들은 충분한 스트립 성형력의 작용하에 주조 스트립으로 압축되며, 이로써 적어도 거의 완전 응고가 이루어지게 된다.
소위 "벨트-캐스터(Belt-Caster)"는 다른 원리를 이용한다. 상응하는 주조 장치의 경우, 액체 강철은 공급 시스템을 통해 환형의 주조 벨트에 주조된 다음, 강철이 응고된다. 이때 스트립의 진행 방향은 용융물이 공급 시스템으로부터 멀어지게 이송되도록 선택된다. 하부 주조 벨트 위에는 제1 주조 벨트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또 다른 하나의 주조 벨트가 배치될 수 있다. 하나의 주조 벨트가 제공되어 있는지 아니면 2개의 주조 벨트가 제공되어 있는지와 상관없이, 이 방법에서도 주조 스트립이 형성되는 영역을 하나 이상의 주조 벨트가 제한한다. 개별 주조 벨트가 집중적으로 냉각됨으로써, 결과적으로 해당 주조 벨트와 접촉하게 되는 용융물은 그 후에 주조 벨트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하나의 스트립으로 응고된다.
개별 주조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주조 스트립은 인출 및 냉각되고, 추가 가공을 위해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추가 가공은 열 처리 및/또는 열간 압연(hot rolling)을 포함할 수 있다. 스트립 주조의 한 가지 장점은, 스트립 주조에 후속하는 작업 단계들이 연속적으로 중단 없는 하나의 시퀀스에서 완료될 수 있다는 것이다.
앞에서 이미 언급된 일본 공개 공보 JP 62 112 751 A호에는, 철 이외에 특히 "Mn, Si"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원소들을 구비하고, 이들 원소 이외에 Cr, Ni, Co, Mo, C, Al, Ca 및 희토류 원소들의 추가 함량이 존재할 수 있는 철-기반 형상 기억 합금이 공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조성된 합금으로부터 스트립 주조에 의해서 주조되었고 온도 및 부식에도 강한 박막이 형성된다고 한다.
상기와 같은 내용을 배경으로 하는 본 발명의 과제는, 휨에 강하고 압력 및 비틀림 부하를 수용할 수 있는 철-기반 형상 기억 합금으로부터 평강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경제적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서는, 실시하기에 적합한 방식으로 경제적으로 제조되는 평강 제품이 형성되어야만 한다. 평강 제품은, 주조 및/또는 압연 스트립 또는 시트와, 이로부터 얻어지는 강판, 블랭크(blank) 등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제1 교시에 따르면, 용융물이 주조 장치 내에서 하나의 스트립으로 주조되고 냉각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연속적인 주조 동작이 보장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스트립의 두께는 1 mm보다 크고 30 mm보다 작으며, 스트립의 주조 영역은 적어도 자신의 세로 측들 중 하나에서, 주조 동작 동안에 주조 장치 내부로 이동하여 냉각되는 벽에 의해서 제한된다.
본 발명에 따라 주조 및 냉각된 스트립이 주조 갭을 떠나거나 주조 벨트 상에 부어져서 응고될 때 갖는 스트립 두께는 1 mm 이상 내지 30 mm, 특히 1.5 mm 내지 20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2 mm 내지 10 mm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서는, 철-기반 형상 기억 합금이 스트립 주조 장치에 의해 평강 제품으로서 주조된다.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Fe-Mn-Si(-Cr(-Ni))-계 이외에, 예를 들어 Fe-Ni, Fe-Ni-Al, Fe-Ni-Co-Ti, Fe-Ni-C, Fe-Ni-Nb, Fe-Ni-Si, Fe-Mn-Cr, Fe-Mn-Ni, Fe-Mn-Ni-Al, Fe-Mn-C, Fe-Mn-N, Fe-Cr-Si, Fe-Ga, Fe-Pd, Fe-Pt, Fe-Pd-Pt와 같은 또 다른 시스템들도 생각할 수 있다. 이들은 특히 고온 범위에서 바람직하게 스위칭 목적을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개별 요구 조건에 적합한 재료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사용예에 따라, 예컨대 꺾임에 대한 저항 능력 및/또는 휨 부하에서의 작용과 같은 추후에 필요한 부품 고유 특성을 보장할 수 있기 위해, 1 mm를 초과하는 최소 두께를 갖는 재료가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또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르면, 주조 장치로서 트윈-롤-캐스터 또는 벨트-캐스터가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용융물이 전술된 주조 장치들을 통해서 바람직하게 제조된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스트립 주조는 특별히 철-기반 형상 기억 합금을 위해 적합한데, 그 이유는 종래의 주조, 특히 연속 주조에 비해 주조 분말이 사용될 필요가 없으므로, 결과적으로 특히 예를 들어 Mn, Si, Cr 및/또는 Al과 같은 고 반응성 합금 성분이 높은 함량으로 존재하는 경우, 주조시에 문제가 발생하는 상황이 방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스트립 주조는, 특히 예를 들어 Mn, Si, Cr 및/또는 Ni와 같이 심하게 분리되는 원소들이 높은 합금 함량으로 존재하는 경우에 장점이 된다. 분리는 신속한 응고에 의해서 실질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철-기반 형상 기억 합금이 낮은 고온 연성을 가짐으로써, 결과적으로 주조시의 휨은 다만 얇은 두께를 위해서만 가능하거나 주조 장치에 따라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게 된다. 또 다른 특징은, 철-기반 형상 기억 합금이 높은 열 변형 저항을 가지며, 그럼에도 실질적으로 최종 치수에 가깝게 얇게 주조된다는 것이다. 이들 장치는 형상 기억 특성을 갖는 평강 제품을 에너지 효율적으로 제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앞에서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트윈-롤-캐스터의 경우에는 축 평행하게 배치된 롤러들이 각각 주조 동작 중에 주조 장치 내부로 연속적으로 전진 이동하여 냉각된 주조 영역 제한부를 형성하고, 이들 롤러에 의해 스트립의 2개 이상의 세로 측이 형성된다. 따라서, 단 하나의 주조 장치로써도 충분히 높은 용량이 제공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주조 스트립의 배출 속도가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이다.
벨트-캐스터의 경우에는, 수평으로 이동하는 주조 벨트가 이와 같은 기능을 담당하며, 이 주조 벨트 상에 스트립을 제조하기 위한 용융물이 부어진다. 이와 같은 스트립 주조 장치를 사용하는 것의 장점은, 예를 들어 열간 압연과 같은 다른 방법 단계들이 곧바로 후속할 수 있고, 특히 얇은 주조 두께 때문에 압연 비용이 낮고, 상응하는 주조 장치의 콤팩트한 특성으로 인해 다른 무엇보다 온도와 관련하여 재료 측면에서 요구되는 파라미터에 의한 프로세스 제어가 특히 바람직하게 가능하다는 것이다. 벨트-캐스터 내에 있는 용융물이 수평으로 부어지고 냉각되기 때문에, 응고된 스트립은 편향을 겪지 않으며, 결과적으로 스트립 자체 내에는 단지 적은 응력만이 존재하게 됨으로써, 제조된 평강 제품의 고온 영역에서의 균열 생성 위험이 특히 최소화된다.
더 나아가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또 다른 한 실시예에 따라, 용융물이 이동하는 벽 또는 주조 벨트와 접촉한 상태에서 특히 적어도 20 K/s, 바람직하게는 50 K/s,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0 K/s의 냉각 속도로 냉각되는 경우도 바람직하다. 높은 응고 속도에 의해, 재료 특성에 대하여 단점으로 작용하는 분리 과정이 줄어들 수 있다. 냉각 속도는, 주조 과정의 마지막에 응고된 평강 제품이 제조되도록, 예를 들어 형상 기억 합금으로 이루어진 철-기반 스트립이 제조되도록 선택된다.
트윈-롤-캐스터에서 주조하는 동안에 소위 RSF(Roll separating force) 또는 스트립 성형력(BFK)에 의해 표현되는 합금에 따른 롤러 압력이 설정되면, 높은 공정 안전성으로 스트립이 주조 영역으로부터 배출된 후에 실질적으로 완전히 응고되는 상황이 보장될 수 있다. 고유 롤러 압력(specific roller pressure)은 경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고, 안전한 스트립 주조 공정을 보장해준다.
스트립이 열간 압연 전에 가열 장치를 통과하면, 스트립이 주조 장치로부터 배출될 때에 발생할 수 있는 열 손실이 재차 보상될 수 있고, 특정의 열간 압연 온도에 공정상 안전하게 도달할 수 있다.
주조 스트립이 주조 갭으로부터 배출될 때의 스트립 속도는 실제로 통상 0.06 내지 3.0 m/s의 범위 내에 있다.
특히 효과적이고 경제적인 제조 방법은, 주조 영역으로부터 배출되는 주조 스트립이 하나 이상의 압연 스탠드에 연속적으로 공급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주조 장치는 직접 하나 이상의 롤 스탠드에 압연을 위해 주조 스트립을 제공할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주조 스트립의 처리가 주조 공정과 압연 공정 사이에서 이루어질 필요가 없어진다. 대안적으로, 주조 스트립은 상응하게 또한 냉각되어 추후의 일 시점에 경우에 따라 재차 가열 및 압연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가열 스트립은 선택적으로 냉간 압연되며, 이 경우 냉간 압연은 하나 이상의 롤 패스(rolling pass) 내에서 이루어진다.
후속하는 제조 단계 및 가공 단계 동안 취화 현상을 저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라 어닐링 처리가 열간 압연 및/또는 냉간 압연된 상태에서 그리고 스위칭 온도 위의 온도에서 20초 내지 48시간의 시간 간격 동안 실시될 수 있다.
형상 기억 효과를 갖는 철-기반 평강 제품의 공정 안전한 제조 가능성은, 주조 장치의 주조 갭으로부터 배출되거나 주조 벨트 상에 응고된 그리고 선택적으로 그 다음에 이어서 추가로 열간 압연된, 선택적으로 냉간 압연된 스트립이 마지막으로 적어도 개별 합금의 마르텐사이트-가공(MF)-온도까지 가열되는 것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평강 제품은 이 평강 제품에 부하를 상응하게 제공함으로써 부품 형상의 엠보싱을 가능하게 하며, 이 경우 부하를 제공하는 동안에는 온도가 적어도 오스테나이트-가공 온도(AF)까지 상승하고, 적어도 20초 동안 부하 및 AF를 초과하는 온도가 평강 제품에 작용한다. 이로써, 형상 기억 효과는 본 발명에 따른 평강 제품 내에서 원하는 부품 형상에 맞추어 설정된다.
스트립을 주조한 후에는, 주조 스트립이 열간 압연 공정을 거칠 수 있으며, 이때 열간 압연 시작 온도는 500℃ 내지 TSolidus-50℃이어야만 한다. 인라인(inline)으로 주조 과정 및 냉각 과정에 후속하는 열간 압연 단계들에 의해, 예를 들어 주조된 상태에서 여전히 존재하는 공동(cavity)이 폐쇄됨으로써, 한 편으로는 스트립의 원하는 최종 두께가 그리고 다른 한 편으로는 표면 상태가 설정될 수 있고, 마이크로 구조가 최적화 될 수 있다. 열 스트립은 냉간 압연 공정도 거칠 수 있으며, 이로써 그 두께는 더욱 줄어들 수 있다.
또 다른 한 교시에 따라 결정 간 원자(intercrystalline atom)(그룹 1)에 의한 응결 또는 혼합 결정 응결(그룹 2)에 의한 응결물 또는 오스테나이트, e-마르텐사이트 및 탄화물, 붕화물, 질화물 형태의 그리고/또는 이들의 혼합 형태의 미세한 침전물로 이루어진 구조를 갖는 철-기반 형상 기억 합금으로 이루어진 평강 제품을 제공하기 위하여(그룹 1 + 그룹 2), 용융물은 10 내지 45 중량%의 망간 및 12 중량%까지의 규소 및 그룹 1의 하나 이상의 또 다른 원소를 함유하며, 이 경우 그룹 1은 원소 N, B, C를 포함하고, 중량%로 나타낸 그룹 1의 합금 비율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식이 적용되며:
Figure pct00001
그리고/또는 그룹 2의 하나 이상의 또 다른 원소를 함유하고, 이 경우 그룹 2는 원소 Ti, Nb, W, V, Zr을 포함하고, 중량%로 나타낸 그룹 2의 합금 비율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식이 적용되며:
Figure pct00002
바람직하게는
Figure pct00003
,
그리고 선택적으로는 하나 또는 복수의 다음과 같은 합금 성분 비율이 존재할 수 있다:
Cu ≤ 20 중량%,
Cr ≤ 20 중량%,
Al ≤ 20 중량%,
Mg ≤ 20 중량%,
Ni ≤ 20 중량%,
O ≤ 0.5 중량%,
Co ≤ 20 중량%,
Mo ≤ 20 중량%,
Ca ≤ 0.5 중량%,
P ≤ 0.5 중량%, 및/또는
S ≤ 0.5 중량%.
최종 치수에 가까운 주조 방법에 의해, 합금 성분에 따라 결정 간 원자(그룹 1)에 의한 또는 혼합 결정 응결(그룹 2)에 의한 응결물 또는 오스테나이트, e-마르텐사이트 및 선택적으로 미세한 침전물(그룹 1 + 그룹 2)로 이루어진 구조를 갖는, 철-기반 형상 기억 합금으로 이루어진 평강 제품이 제조될 수 있다고 밝혀졌다. 이때, 본 발명에 따라 개별적으로 가공된 합금은 원하는 구조 상태가 확실하게 설정되도록 조성되어 있다. 철-기반 형상 기억 합금으로 이루어진 평강 제품은 또한 주조 장치를 통해서도 하나의 주조 스트립으로 주조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최종 치수에 가까운 강철 평강 제품이 제조될 수 있다고 밝혀졌다. 적용된 스트립 주조 방법에서는, 예를 들어 그룹 2인 Ti, Nb, W, V, Zr의 원소들과 연관된 그룹 1인 N, C, B에 따른 합금 성분의 함량으로 인해 탄화물, 질화물, 붕화물 형태의 또는 이들의 혼합 형태의 침전물 쌍을 함유하는 스트립이 형성되며, 이때 상기 함량은 이 합금의 철 함량, 망간 함량 및 규소 함량과 더불어 형상 기억 효과에 도달하기 위한 원하는 구조 조합을 제공해준다. 본 발명에 따른 합금은 붕소, 질소 및/또는 탄소 원소 중 하나 이상 및 티타늄, 니오븀, 텅스텐, 바나듐 또는 지르코늄 원소 중 하나 이상을 가능한 성분으로서 함유하며, 철, 망간, 규소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잔류물로서 함유한다. 그룹 1 및 2의 원소들이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 입증되었는데, 그 이유는 이들 원소가 상응하는 위치에서 원하는 상 변환(phase transformation)을 위한 핵심 셀(cell)로서 이용되는 원하는 침전물을 유도하기 때문이다. 청구범위에서 언급된 이들 원소의 함량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은 형상 기억 효과를 갖는 평강 제품의 작동 안전한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12 중량% 내지 45 중량%로 함유된 망간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강철 평강 제품 내에서 재료의 오스테나이트의 안정화를 촉진한다. 이와 같은 효과에 확실하게 도달하기 위하여, Mn-함량은 20 중량% 내지 특히 35 중량%의 범위이다. 1 중량% 내지 12 중량%의 Si-함량은, 본 발명에 따른 평강 제품 내에서 마르텐사이트로부터 오스테나이트로의 변환의 가역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바람직한 Si-함량은 3 중량% 내지 10 중량%이다. C-함량이 최대 0.5 중량%로, 특히 최대 0.2 중량%로 제한되는 경우에는, 실시예를 위해 바람직한 N, B, C 또는 Ti, Nb, W, Zr의 함량 설정이 나타난다. B-함량은 바람직하게 최대 0.5 중량%로, 특히 최대 0.05 중량%로 제한된다. N-함량은 바람직하게 0.5 중량%로, 특히 최대 0.2 중량%로 제한된다. 바람직하게, 더 나아가서는 그룹 2(Ti, Nb, W, V, Zr)의 원소들의 함량도 최대 2.0 중량%로, 특히 최대 1.5 중량%로 각각 제한된다. 이 경우에는, 그룹 1(N, B, C)의 원소 중 하나 또는 복수를 각각 그룹 2(Ti, Nb, W, V, Zr)의 원소 중 하나 또는 복수와 더불어 지시된 바와 같은 좁게 제한된 함량만큼 첨가하는 한편, 그룹 1(N, B, C)의 다른 원소들은 본 발명에 따라 허용된 최대 규정 안에서 첨가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동일한 내용이 2개 그룹과 관련하여 또한 역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철-기반 형상 기억 합금의 합금 원소 그룹을 Fe, Mn, Si 및 불가피한 불순물 이외에 그룹 1의 하나 이상의 원소로 그리고 그룹 2의 하나 이상의 또 다른 원소로 제한하는 것이 본 발명에 따라 가능한 것으로서 간주된다 하더라도, 특정 상황하에서는 선택적으로 그룹 Cu, Cr, Al, Mg, Mo, Co, Ni, O, P, S, Ca로부터 선택된 원소들 중 하나 또는 복수를 형상 기억 합금에 첨가하는 것이, 얻어진 강철 평강 제품의 소정의 특성을 설정하는 데 바람직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본 발명에 따라 각각 언급되는 함량 범위는 다음과 같다:
Cu: ≤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 10 중량%,
Cr: ≤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 10 중량%,
Al: ≤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 10 중량%,
Mg: ≤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 10 중량%,
Mo: ≤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 10 중량%,
Co: ≤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 10 중량%,
Ni: ≤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 10 중량%,
O: ≤ 0.5 중량%,
P: ≤ 0.5 중량%,
S: ≤ 0.5 중량%,
Ca: 0.5 중량%.
Cu, Mo 및 Co를 첨가함으로써, 형상 기억 효과가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개선될 수 있는 반면, Cr, Al 및 Mg의 작용은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내식성의 개선에 집중되어 있다. 개별적으로 언급된 원소들은 20 중량%까지, 바람직하게는 10 중량%까지 합금될 수 있다. S, P 및 O의 부정적인 영향을 피하기 위하여, 이들 원소는 최대 0.5 중량%로, 바람직하게는 최대 0.2 중량%로,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0.1 중량%로 제한된다. Ni는 구조 내에서 오스테나이트의 안정화를 지원하고, 재료의 성형 가능성을 개선한다. S가 최대 0.5 중량%로 존재하는 경우, Mn이 바람직하지 않게 MnS의 형태로 결합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Ca가 합금될 수 있다. 그 함량은 최대 0.5 중량%로, 바람직하게는 최대 0.2 중량%로,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0.1 중량%로 제한된다.
선택적으로 첨가된 합금 원소 Cr 및 Ni의 긍정적인 영향을 이용할 수 있기 위하여, 용융물은 각각 선택적으로 적어도 0.1 중량%의 Ni 및 적어도 0.2 중량%의 Cr을 함유할 수 있다.
또 다른 한 실시예에 따라, 형상 기억 합금은 다음과 같은 합금 성분들을 중량%로 구비한다:
25.0 중량% = Mn = 32.0 중량%,
3.0 중량% = Si = 10.0 중량%,
3.0 중량% = Cr = 10.0 중량%,
0.1 중량% = Ni = 6.0 중량%, 바람직하게는 4.0 중량%,
P = 0.1 중량%,
S = 0.1 중량%,
Mo = 0.5 중량%,
Cu = 0.5 중량%,
Al = 5.0 중량%,
Mg = 5.0 중량%,
O = 0.1 중량%,
Ca = 0.1 중량%,
Co = 0.5 중량%,
이 경우에는 원소들 중 그룹 1의 하나 이상의 원소가 존재하고, 그룹 1은 다음과 같은 함량을 갖는 원소 N, C, B로 이루어지며:
N = 0.1 중량%,
C = 0.1 중량%,
B = 0.1 중량%
그룹 1의 합금 성분의 함량의 총합에 대해서는 다음의 식이 적용되고:
Figure pct00004
그리고/또는 이 경우 원소들 중 그룹 2의 하나 이상의 원소가 존재하고, 그룹 2는 다음과 같은 함량을 갖는 원소 Ti, Nb, W, V, Zr로 이루어지며:
Ti = 1.5 중량%,
Nb = 1.5 중량%,
W = 1.5 중량%,
V = 1.5 중량%,
Zr = 1.5 중량%
그룹 2의 합금 성분의 함량의 총합에 대해서는 다음의 식이 적용되고:
Figure pct00005
바람직하게는
Figure pct00006
,
그리고 이를 토대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한 실시예에 따라 원자%로 나타낸 그룹 1 및 그룹 2의 합금 성분의 총합 비율에 대해서는 다음의 식이 적용되며:
Figure pct00007
잔류물로서 철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한다.
형상 기억 합금의, 합금 성분 Mn, Si, Cr, Ni의 그리고 그룹 1(N, C, B)의 원소들 중 하나의 그리고/또는 그룹 2(Ti, Nb, W, V, Zr)의 원소들 중 하나의 전술된 가능한 성분들 이외에, 형상 기억 합금은 추가로, 지시된 값까지 바람직한 작용을 펼칠 수 있는 원소 P, S, Mo, Cu, Al, Mg, O, Ca 또는 Co를 선택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 형상 기억 효과에 영향을 미치고, 2개 원소 그룹, 즉 그룹 1 및 그룹 2의 상호 비율에 의해서 자체의 형성이 영향을 받는 침전물은, 원자%로 나타낸 그룹 1의 합금 성분의 총합에 비례하여 합금의 원자%로 나타낸 그룹 2의 원소들의 성분의 총합이 0.5 내지 2.0의 범위 안에 있는 한, 형상 기억 효과에 대하여 뚜렷하고도 긍정적인 영향을 보여준다. 그럼으로써, 그룹 1 및 그룹 2의 합금 원소들의 의도한 바대로의 화학량론적인 비율이 설정된다. 바로 이와 같은 그룹 2 대 그룹 1의 원자%로 나타낸 합금 성분의 비율에서 침전물 형성이 특히 유리하고 형상 기억 효과를 지원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지시된 비율이 예를 들어 0.5보다 작으면, N, C 및/또는 B 형태의 침전 원소들이 경화될 수 없고, 형상 기억 효과가 줄어드는데, 그 이유는 그룹 1의 원소들이 구조 내에 용해된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 결과 또한 상 변환의 가역성, 즉 마르텐사이트로부터 오스테나이트로의 역변환의 가역성에 대한 부정적인 효과도 관찰된다. 이렇게 형성된 합금 성분의 총합의 비율이 2보다 크면, 그룹 2의 원소들로 인해 바람직하지 않은 응결 현상이 나타나고, 이와 같은 응결 현상은 구조 내에 자유 원자로서 침전되고 이로써 재차 형상 기억 효과를 방해한다.
25 중량% 내지 32 중량%의 망간 함량은 구조 내에 있는 오스테나이트의 안정화를 위해서 이용되고, 형상 기억 재료의 스위칭 온도에 특별한 영향을 미친다. Mn-함량이 25.0 중량% 아래인 경우에는, 형상 기억 효과에 단점으로 작용하는 페라이트가 더 많이 형성된다. Mn-함량이 32 중량% 위로 증가하면, 원하는 스위칭 온도가 지나치게 많이 감소하게 되고, 그 결과 상응하는 부품의 스위칭 온도 및 가능한 사용 온도는 지나치게 근접하게 된다.
규소는 마르텐사이트로부터 오스테나이트로의 상 변환의 가역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3.0 중량% 미만의 Si 함량은 형상 기억 효과의 감소를 야기한다. 10 중량% 위에서는 재료의 취화가 관찰될 수 있다. 또한, Si-함량이 10 중량% 위에 있는 경우에는 바람직하지 않은 페라이트 구조의 형성이 증가한다.
충분한 내식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형상 기억 합금은 적어도 3.0 중량%의 Cr을 함유한다. Cr-함량이 10 중량% 위로 증가하는 것은 앞에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형상 기억 효과에 부정적으로 작용하는 페라이트 형성을 재차 촉진한다.
니켈은 이제 마지막으로 오스테나이트 구조의 안정화를 위해서 이용되고, 또한 재료의 성형 가능성을 개선한다. 그렇지만, 0.1 중량% 아래의 Ni-함량은 재료의 특성에 두드러진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하지만, 6.0 중량% 이상의 Ni-함량은 단지 증가된 Cr-비율과 관련해서만 전술된 특성들을 약간 개선하며, 결과적으로 비용 절감을 위해 Ni-함량은 최대 6.0 중량%로, 바람직하게는 최대 4.0 중량%로 제한된다.
형상 기억 합금의 또 다른 특성에 부정적으로 작용하지 않으면서 원하는 침전이 이루어지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그룹 1의 모든 원소, 다시 말해 N, C 및 B에 대한 상한으로서 최대 0.1 중량%가 제공된다. 그룹 2의 원소들(Ti, Nb, W, V, Zr)은 0.01 중량%의 최소 함량으로 존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이 최소 함량은 적어도 이들 그룹의 한 원소에 대하여 적용된다. Ti, Nb, W, V 및/또는 Zr에 대한 적어도 0.01 중량%의 중량 비율,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1 중량%의 중량 비율에 의해, 형상 기억 효과가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다. 특히 상 변환의 가역성은 그룹 2 원소들 중 하나의 상응하는 함량에 의해서 보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지 않은 응결 현상을 저지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 그룹 2의 각각의 개별 원소는 1.5 중량%의 최대 함량을 초과하지 않으며, 특히 바람직하게 각각의 개별 원소의 최대 함량은 1.2 중량% 또는 최대 1.0 중량%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형상 기억 합금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중량%로 나타낸 Cr-함량이 3.0 중량% = Cr = 10.0 중량%로써, 결과적으로 페라이트 형성과 형상 기억 합금의 내식성 간에 우수한 타협에 도달하게 된다. 페라이트 형성은 형상 기억 효과를 저지하는데, 그 이유는 페라이트가 상 변환을 야기하지 않고, 조기 소성 변형을 야기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형상 기억 합금의 또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르면, Cr-함량과 Ni-함량의 차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적용된다: 0 중량% = Cr - Ni = 6.0 중량%. 이러한 조건에 있는 한 Cr과 Ni의 함량의 최대 차는 6 중량%로 제한된다. 크롬 함량과 니켈 함량의 차가 6 중량% 초과로 증가하면, 기계적인 특성의 상당한 개선을 야기하지 않고, 오히려 재료의 취화를 야기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에, 이러한 차가 0 중량% 미만으로 감소하는 경우, 다시 말해 니켈-함량이 크롬-함량보다 큰 경우는, 스위칭 온도가 강하하여 재료의 사용 온도에 근접함으로써 스위칭 온도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형상 기억 합금의 또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르면, 그룹 1 및 그룹 2의 합금 성분의 총합의 원자%로 나타낸 비율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식이 적용되며:
Figure pct00008
그 결과 한 편으로는 형상 기억 효과가 침전물의 충분한 형성에 의해서 완전히 보장될 수 있고, 다른 한 편으로는 구조 내에 있는 그룹 2의 자유 원자들로 인해 응결 현상이 뚜렷하게 줄어들 수 있다.
형상 기억 합금의 또 다른 한 실시예는 중량%로 나타낸 다음과 같은 양의 N, C 및/또는 B를 구비한다:
0.005 중량% = N = 0.1 중량%,
0.005 중량% = C = 0.1 중량% 및/또는
0.0005 중량% = B = 0.1 중량%.
형상 기억 합금이 원소 N 및/또는 C를 적어도 0.005 중량%의 함량으로 그리고/또는 B를 적어도 0.0005 중량%의 함량으로 함유하면, 최소 함량에 의해서 침전물의 형성이 개선될 수 있다. 0.1 중량%, 바람직하게 0.05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 0.01 중량%에 해당하는 B의 상한에 의해서는, 형상 기억 합금의 내산화성이 지나치게 심하게 저하되지 않도록 보장된다. 그와 동시에, N과 C의 함량이 각각 최대 0.1 중량%로, 바람직하게는 최대 0.07 중량%로 제한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침전물은 지나치게 커지지 않고, 이와 같은 침전물은 합금의 기계적인 특성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없게 된다.
합금의 또 다른 한 실시예에서는, 그룹 2의 원소들의 합금 성분의 합금 함량이 제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그룹 2의 원소들의 합금 성분은
Ti = 1.2 중량%,
Nb = 1.2 중량%,
W = 1.2 중량%,
V = 1.2 중량%,
Zr = 1.2 중량%이며,
이 경우에는 바람직하게 상한이 그룹 2의 각각의 개별 원소에 대해 1.0 중량%로 떨어진다. 이로 인해 응결물의 생성이 더욱 줄어들게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형상 기억 합금은 우수한 성형 특성을 갖게 된다.
마지막으로, 형상 기억 합금의 또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내식성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줄이기 위해서는 황, 인 및 산소가 최대 0.1 중량%, 바람직하게는 최대 0.05 중량% 그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0.03 중량%의 함량으로 제한되어야만 한다. 몰리브덴, 구리 및 코발트는 개별적으로 또는 상이한 조합으로 형상 기억 효과의 개선을 위해 합금될 수 있다. 상응하는 영향은 각각 최대 0.5 중량%의 함량으로 제한되어 있다. 알루미늄 및 마그네슘은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으로 내식성의 개선에 기여할 수 있고, 그와 동시에 또한 합금의 밀도 감소까지도 야기한다. 이들의 함량은 최대 5 중량%로, 바람직하게는 최대 2.0 중량%로,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1.0 중량%로 제한되어 있다.
또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르면, 망간과 황이 MnS의 형태로 바람직하지 않게 결합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칼슘이 기존의 황을 경화시키기 위해 합금될 수 있다. 내식성을 감소시키지 않기 위하여 그리고 Ca에 의한 지나치게 큰 오염을 피하기 위하여, Ca의 함량은 최대 0.015 중량%로, 바람직하게는 최대 0.01 중량%로 제한된다.
본 발명의 제2 교시에 따르면, 전술된 과제는 또한 철 및 제조에 기인하는 불순물 이외에 망간을 12 중량% 내지 24 중량%로 그리고 규소를 1 중량% 내지 12 중량%로 구비하는 합금으로 이루어지며 형상 기억 효과를 갖는 평강 제품에 의해서도 해결되며, 이 경우에는 그룹 1의 하나 이상의 또 다른 원소가 함유되어 있으며, 이때 그룹 1은 원소(N, B, C)를 포함하고, 중량%로 나타낸 그룹 1의 합금 비율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식이 적용되며:
Figure pct00009
그리고/또는 그룹 2의 하나 이상의 또 다른 원소가 함유되어 있고, 이때 그룹 2는 원소(Ti, Nb, W, V, Zr)를 포함하고, 중량%로 나타낸 그룹 2의 합금 비율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식이 적용되며:
Figure pct00010
그리고 다음과 같은 합금 성분들의 비율이 존재할 수 있고:
Cu ≤ 20 중량%,
Cr ≤ 20 중량%,
Al ≤ 20 중량%,
Mg ≤ 20 중량%,
Ni ≤ 20 중량%,
O ≤ 0.5 중량%,
Co ≤ 20 중량%,
Mo ≤ 20 중량%,
Ca ≤ 0.5 중량%,
P ≤ 0.5 중량%,
S ≤ 0.5 중량%,
그리고 평강 제품이 스트립 주조되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평강 제품의 합금 조성의 또 다른 실시예들 및 형성을 위한 제조 파라미터의 또 다른 실시예들은 제조 방법에 대한 전술된 설명으로부터 드러난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과 관련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스트립 주조에 의해서 평강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를 각각 개략적인 단면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표 1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도 1에 도시된 주조 장치(트윈-롤-캐스터)를 사용해서 주조되었고, 이 주조 장치의 형상 기억 효과를 검사한다. 드러난 사실은, 이들 실시예가 바람직하지 않은 경화 경향을 선행 기술에 비해 더 적게 나타냈으며, 그와 동시에 스위칭 온도가 충분히 높은 경우에는 우수한 형상 기억 효과를 나타냈다는 것이다. 동일한 용융물을 이용한 시뮬레이션 테스트에서 드러난 사실은, 이들 실시예가 또한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벨트-캐스터 내에서의 스트립 주조에 의해서도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이다.
주조 스트립(B)을 형성하기 위한 설비(1)는 종래의 트윈-롤-캐스터로서 구성된 주조 장치(2) 및 그에 상응하게 서로 축 평행하게 그리고 동일한 높이로 정렬된 축(X1, X2)을 중심으로 상호 회전하는 2개의 롤러(3, 4)를 포함한다. 롤러(3, 4)는 제조될 주조 스트립(B)의 두께(D)를 결정하는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이로써 스트립의 세로 측에서는 주조 스트립(B)이 형성되는, 주조 갭으로서 형성된 주조 영역(5)을 제한한다. 주조 영역(5)이 자신의 좁은 측에서는 마찬가지로 공지된 방식으로 도면에서 볼 수 없는 측면 플레이트에 의해서 밀봉되어 있으며, 이들 측면 플레이트는 롤러(3, 4)의 전면을 향해 가압된다.
주조 동작 동안에는 예를 들어 집중적으로 냉각된 롤러(3, 4)가 회전하며, 이와 같은 방식으로 롤러(3, 4) 및 측면 플레이트에 의해서 형성된 그리고 주조 동작 중에 연속적으로 전방으로 이동하는 주조 몰드의 세로 측면의 제한부를 형성한다. 이때 롤러(3, 4)의 회전 방향이 중력 방향(R)으로 주조 영역(5) 내부로 향해 있음으로써, 회전의 결과로 용융물(S)은 주조 영역(5) 위에 있는 영역에서 롤러(3, 4) 사이에서 생성되는 용융 풀(melt pool)로부터 주조 영역(5) 내부로 이송된다. 이때, 용융물(S)이 롤러(3, 4)의 둘레 면에 접촉하면, 그곳에서 이루어지는 강력한 열 방출로 인해 용융물이 각각 하나의 쉘로 응고된다. 롤러(3, 4) 상에 점착되는 쉘은 롤러(3, 4)의 회전에 의해서 주조 영역(5) 내부로 이송되고, 그곳에서 스트립 성형력(BFK)의 작용하에 주조 스트립(B)으로 압축된다. 이때, 주조 영역(5)에서 작용하는 냉각 성능과 스트립 성형력(BFK)은, 주조 영역(5)으로부터 연속적으로 배출되는 주조 스트립(B)이 가급적 완전히 응고되도록 상호 매칭된다.
주조 영역(5)으로부터 배출되는 스트립(B)은 먼저 중력 방향으로 수직으로 이송되고, 그 다음에 이어서 공지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휘어진 원호를 그리면서 수평으로 정렬된 이송 구간(6) 내부로 방향 전환된다. 그 다음에 이어서 이송 구간(6)에서는 주조 스트립(B)이 가열 장치(8)를 통과하고, 이 가열 장치 내에서는 스트립(B)이 적어도 열간 압연 시작 온도까지 가열된다. 그 다음에 이어서, 상응하게 가열되고 주조 스트립(B)이 하나 이상의 열간 압연 스탠드(9) 내에서 열 스트립(WB)으로 압연된다. 열간 압연 스탠드 다음의 의도된 냉각(7)에 의해, 구조 형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스트립이 약 400℃까지 냉각됨으로써, 침전물의 결정립 조대화(coarsening)가 억제될 수 있다. 그 다음에, 열 스트립(WB)이 감길 수 있고, 다른 방식으로 수송을 위해 준비될 수 있다.
표 1에 기재된 3개의 강철 용융물(Z1, Z2 및 Z3)로부터 각각 하나의 스트립(B)이 도 1에 도시된 주조 장치에 의해서 주조되었다. 드러난 사실은, 주조 스트립(B)이 냉각 처리 뒤에는 오스테나이트, e-마르텐사이트 및 NbC, NbN, VC, VN, TiN, TiC의 형태로 그리고/또는 이들의 혼합 형태로 미세하게 분포된 침전물로 이루어진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우수한 형상 기억 특성이 검출될 수 있었다는 것이다.
가열 장치(8)를 이용한 전술된 열 처리 및 열간 압연 스탠드(9)에 의한 열간 압연 또는 냉각 장치(7)를 이용한 냉각 단계는 다만 선택적인 방법 단계에 불과하다.
도 2에 도시된 벨트-캐스터(1')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을 갖는 강철 용융물(11)이 위에 부어지는 주조 벨트(10)를 사용한다. 이와 같은 공정은 주조 벨트의 제1 방향 전환 롤러(10a)의 영역에서 이루어진다. 제2 방향 전환 롤러(10b)를 통해서는 강하게 냉각된 주조 벨트가 재차 역으로 가이드된다. 커버 수단(12)을 통해 주조 스트립(13)의 계속적인 이송이 가급적 열 손실 없이 그리고 선택적으로는 열간 압연(9)을 위한 보호 가스 분위기하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해진다. 커버 수단(12) 대신에 대안적으로는 제1 주조 벨트(10)와 반대 방향인 제2 주조 벨트(본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제공될 수 있다. 열간 압연 스탠드(9) 바로 앞에는 또한 가열 수단(8)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가열 수단은 주조 스트립(13)을 적어도 열간 압연 시작 온도까지 가열한다.
열간 압연 후의 담금질(7)(quenching)을 통해 스트립 내에서 원하는 구조가 설정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형상 기억 합금으로 이루어진 평강 제품이 생성되며, 이 평강 제품은 그 다음에 감기거나 다른 방식으로 수송을 위해 준비될 수 있다.
물론, 도 1 및 도 2에 예로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열간 압연 장치는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혼합된 구조를 설정하기 위하여, 주조 영역으로부터 배출되는 주조 스트립은 압연 공정 없이 곧바로 냉각될 수 있다.
Figure pct00011

Claims (9)

  1. 적어도 주요 성분으로서 철, 합금 원소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함유하는 용융물이 주조 장치 내에서 하나의 주조 스트립으로 주조된 후에 냉각되는, 철-기반 형상 기억 합금으로부터 평강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용융물은 주조 장치 내에서 하나의 스트립으로 주조되고 냉각되며, 이때 스트립의 두께는 1 mm보다 크고 30 mm보다 작으며, 주조 장치의 주조 영역이 적어도 자신의 한 세로 측에서는, 주조 동작 동안 주조 장치 내부로 이동하여 냉각된 벽에 의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강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주조 장치로서 트윈-롤-캐스터 또는 벨트-캐스터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강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용융물은 이동하는 벽 또는 주조 벨트와 접촉한 상태에서 적어도 20 K/s의 냉각 속도로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강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트립이 열간 압연 전에 가열 장치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강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트립은 주조 영역으로부터 배출된 후에 실질적으로 완전히 응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강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조 영역으로부터 배출되는 주조 스트립은 하나 이상의 압연 스탠드에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강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조 영역으로부터 배출되는 주조 스트립은 곧바로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강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융물은 철 및 제조에 기인하는 불순물 이외에 망간을 12 중량% 내지 45 중량%로 그리고 규소를 1 중량% 내지 12 중량%로 함유하고, 그룹 1의 하나 이상의 또 다른 원소를 함유하며, 이때 그룹 1은 원소 N, B, C를 포함하고, 중량%로 나타낸 그룹 1의 합금 비율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식이 적용되며:
    Figure pct00012

    그리고/또는 그룹 2의 하나 이상의 또 다른 원소를 함유하고, 이때 그룹 2는 원소 Ti, Nb, W, V, Zr을 포함하고, 중량%로 나타낸 그룹 2의 합금 비율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식이 적용되며:
    Figure pct00013

    그리고 선택적으로는 하나 또는 복수의 다음과 같은 합금 성분 비율:
    Cu ≤ 20 중량%,
    Cr ≤ 20 중량%,
    Al ≤ 20 중량%,
    Mg ≤ 20 중량%,
    Ni ≤ 20 중량%,
    O ≤ 0.5 중량%,
    Co ≤ 20 중량%,
    Mo ≤ 20 중량%,
    Ca ≤ 0.5 중량%,
    P ≤ 0.5 중량%, 및/또는
    S ≤ 0.5 중량%
    가 존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강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9. 형상 기억 특성을 갖고, 특히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되는 철-기반 평강 제품으로서,
    평강 제품이 철 이외에 12 중량% 내지 45 중량%의 망간, 1 중량% 내지 12 중량%의 규소 및 제조에 기인하는 불순물을 함유하며, 그룹 1의 하나 이상의 또 다른 원소를 함유하며, 이때 그룹 1은 원소(N, B, C)를 포함하고, 중량%로 나타낸 그룹 1의 합금 비율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식이 적용되며:
    Figure pct00014

    그리고/또는 그룹 2의 하나 이상의 또 다른 원소를 함유하고, 이때 그룹 2는 원소(Ti, Nb, W, V, Zr)를 포함하고, 중량%로 나타낸 그룹 2의 합금 비율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식이 적용되며:
    Figure pct00015

    그리고 선택적으로는 하나 또는 복수의 원소가 중량%로 나타낸 다음과 같은 비율:
    Cu ≤ 20 중량%,
    Cr ≤ 20 중량%,
    Al ≤ 20 중량%,
    Mg ≤ 20 중량%,
    Ni ≤ 20 중량%,
    O ≤ 0.5 중량%,
    Co ≤ 20 중량%,
    Mo ≤ 20 중량%,
    Ca ≤ 0.5 중량%,
    P ≤ 0.5 중량%,
    S ≤ 0.5 중량%
    로 함유되어 있고, 평강 제품이 스트립 주조되는, 철-기반 평강 제품.
KR1020167000268A 2013-07-10 2013-07-24 철-기반 형상 기억 합금으로부터 평강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1020798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3175870.8 2013-07-10
EP13175870 2013-07-10
PCT/EP2013/065656 WO2015003755A1 (de) 2013-07-10 2013-07-24 Verfahren zur erzeugung eines flachproduktes aus einer eisenbasierten formgedächtnislegier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0505A true KR20160030505A (ko) 2016-03-18
KR102079847B1 KR102079847B1 (ko) 2020-02-20

Family

ID=48808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0268A KR102079847B1 (ko) 2013-07-10 2013-07-24 철-기반 형상 기억 합금으로부터 평강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450624B2 (ko)
EP (1) EP3019292B1 (ko)
JP (1) JP6434969B2 (ko)
KR (1) KR102079847B1 (ko)
CN (1) CN105377472B (ko)
WO (1) WO20150037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106780A1 (de) * 2015-04-30 2016-11-03 Salzgitter Flachstahl Gmbh Verfahren zur Erzeugung eines Warm- oder Kaltbandes aus einem Stahl mit erhöhtem Kupfergehalt
DE102015112215A1 (de) * 2015-07-27 2017-02-02 Salzgitter Flachstahl Gmbh Hochlegierter Stahl insbesondere zur Herstellung von mit Innenhochdruck umgeformten Rohr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artiger Rohre aus diesem Stahl
DE102015112889A1 (de) * 2015-08-05 2017-02-09 Salzgitter Flachstahl Gmbh Hochfester manganhaltiger Stahl, Verwendung des Stahls für flexibel gewalzte Stahlflachprodukte und Herstellverfahren nebst Stahlflachprodukt hierzu
CN109477175B (zh) * 2016-09-06 2021-02-12 国立大学法人东北大学 Fe基形状记忆合金材料及其制造方法
DE102018119296A1 (de) * 2018-08-08 2020-02-13 Thyssenkrupp Ag Inline Vorrecken von Formgedächtnislegierungen, insbesondere Flachstahl
WO2020108754A1 (de) 2018-11-29 2020-06-04 Thyssenkrupp Steel Europe Ag Flachprodukt aus einem eisenbasierten formgedächtniswerkstoff
CN111041387B (zh) * 2019-12-25 2020-10-27 南京龙浩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多元铁基形状记忆合金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5438A (ja) * 2001-09-27 2003-04-09 National Institute For Materials Science NbC添加Fe−Mn−Si系形状記憶合金の加工熱処理方法
JP2004515362A (ja) * 2000-12-06 2004-05-27 ティッセンクルップ シュタール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高いマンガン含有量を有する鋼からの熱間ストリップ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01725A (ja) * 1985-03-01 1986-09-06 Nippon Steel Corp Fe−Mn−Si系形状記憶合金の加工方法
JPS62112751A (ja) * 1985-11-09 1987-05-23 Nippon Steel Corp 鉄基形状記憶合金薄板・線の製造方法
JPH02182354A (ja) * 1989-01-10 1990-07-17 Nippon Yakin Kogyo Co Ltd Fe基形状記憶合金の製造方法
CA2164343C (en) 1994-04-04 2002-01-01 Yoshikazu Matsumura Twin-roll type continuous casting method and device
JP3190319B2 (ja) * 1994-04-04 2001-07-23 新日本製鐵株式会社 双ロール式連続鋳造装置
FR2796083B1 (fr) * 1999-07-07 2001-08-31 Usinor Procede de fabrication de bandes en alliage fer-carbone-manganese, et bandes ainsi produites
JP3542754B2 (ja) * 2000-02-09 2004-07-14 独立行政法人物質・材料研究機構 形状記憶合金
JP2003277827A (ja) 2002-03-20 2003-10-02 National Institute For Materials Science NbC添加Fe−Mn−Si系形状記憶合金の加工熱処理方法
KR100862768B1 (ko) 2002-08-30 2008-10-13 주식회사 포스코 쌍롤형 박판주조기를 이용한 고강도 및 고인성을 갖는 고망간강의 제조방법
KR100887119B1 (ko) 2002-08-30 2009-03-04 주식회사 포스코 쌍롤형 박판 주조기를 이용한 고 망간 강의 박판 제조 방법
JP4299106B2 (ja) * 2003-11-13 2009-07-22 Necトーキン株式会社 強磁性形状記憶合金及びその製造方法
BRPI0419185A (pt) * 2004-11-03 2007-12-18 Thyssenkrupp Steel Ag chapa ou fita de aço de resistência superior, apresentando propriedades twip, e processo para sua fabricação por meio de "direct strip casting"
US7648599B2 (en) * 2005-09-13 2010-01-19 Sportswire, LLC Method of preparing nickel titanium alloy for use in manufacturing instruments with improved fatigue resistance
KR100650562B1 (ko) 2005-12-22 2006-11-30 주식회사 포스코 쌍롤식 박판주조 공정에서 표면결함 없는 고망간강 생산장치 및 방법
JP5123740B2 (ja) * 2008-05-26 2013-01-23 新日鐵住金株式会社 無遊間接続用のレール継目板の製造方法
JP2010156041A (ja) * 2008-12-04 2010-07-15 Daido Steel Co Ltd 双方向形状回復合金
CN101705440A (zh) * 2009-12-07 2010-05-12 上海交通大学 形状记忆合金及其制备方法
CN102796954B (zh) * 2012-09-08 2013-10-23 镇江忆诺唯记忆合金有限公司 一种低锰铁基形状记忆合金
CN102796951B (zh) * 2012-09-10 2013-09-04 镇江忆诺唯记忆合金有限公司 一种高锰铁基形状记忆合金
CN102936701B (zh) * 2012-11-05 2014-08-27 天津大学 一种优异记忆恢复特性的铁基形状记忆合金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15362A (ja) * 2000-12-06 2004-05-27 ティッセンクルップ シュタール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高いマンガン含有量を有する鋼からの熱間ストリップの製造方法
JP2003105438A (ja) * 2001-09-27 2003-04-09 National Institute For Materials Science NbC添加Fe−Mn−Si系形状記憶合金の加工熱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19292A1 (de) 2016-05-18
JP6434969B2 (ja) 2018-12-05
JP2016531001A (ja) 2016-10-06
US20160145708A1 (en) 2016-05-26
EP3019292B1 (de) 2019-02-27
US10450624B2 (en) 2019-10-22
CN105377472A (zh) 2016-03-02
KR102079847B1 (ko) 2020-02-20
CN105377472B (zh) 2018-01-02
WO2015003755A1 (de) 2015-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9847B1 (ko) 철-기반 형상 기억 합금으로부터 평강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102203018B1 (ko) 무정형, 부분 무정형, 또는 미세 결정형 조직을 보유하는 평강 제품의 제조 방법, 및 상응하는 유형의 평강 제품
EP1846584B2 (en) Austenitic steel having high strength and formability method of producing said steel and use thereof
TWI484050B (zh) 冷軋鋼板、及其製造方法、以及熱壓印成形體
KR102054878B1 (ko) 스케일이 발생하지 않는 열처리 가능한 강 및 상기 강으로 스케일이 발생하지 않는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CN101310034B (zh) 高强度无方向性电磁钢板及其制造方法
KR101623290B1 (ko) 고강도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US20090010793A1 (en) Method For Producing High Strength Steel Strips or Sheets With Twip Properties, Method For Producing a Component and High-Strength Steel Strip or Sheet
KR101766550B1 (ko)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CN107438487B (zh) 热轧轻型马氏体钢板及其制作方法
RU2492022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горячекатаной полосы
TW522060B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eel strip or sheet consisting mainly of Mn-austenite
KR102301544B1 (ko) 변형가능한 경량강을 위해 설정되는 특성의 조합을 계산하기 위한 방법
US11965230B2 (en) Multiphase ultra-high strength hot rolled steel
KR101563606B1 (ko) 열간압연 스트립을 제조하는 방법 및 페라이트계 강으로부터 제조된 열간압연 스트립
WO1994019503A1 (fr) Piece mince moule en acier au carbone ordinaire contenant des quantites importantes de cuivre et d'etain, tole mince en acier et procede de fabrication
KR20070085757A (ko) Twip 특성을 갖는 고강도 강 스트립 또는 박판 및 직접스트립 주조에 의한 상기 스트립 제조 방법
WO2009052551A1 (en) High copper low allowy steel sheet
CN104550803B (zh) 一种连铸坯的冷却方法
CN204621037U (zh) 一种优质连铸坯的冷却装置
CN114703416A (zh) 一种50钢热轧板及其生产方法
JPH04289136A (ja) 鋼製品の製造方法
JP2002178007A (ja) 連続鋳造鋳片の直送圧延方法
CN103789675A (zh) 一种海洋钻井平台用钢的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