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0166A - 이중 구성 병 조립체 - Google Patents

이중 구성 병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0166A
KR20160030166A KR1020167000230A KR20167000230A KR20160030166A KR 20160030166 A KR20160030166 A KR 20160030166A KR 1020167000230 A KR1020167000230 A KR 1020167000230A KR 20167000230 A KR20167000230 A KR 20167000230A KR 20160030166 A KR20160030166 A KR 20160030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container
vent
rim
co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0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0246B1 (ko
Inventor
스콧 로즈
버나드 제이. 켐퍼
찰스 에이치. 밀러
Original Assignee
핸디 크래프트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핸디 크래프트 컴퍼니 filed Critical 핸디 크래프트 컴퍼니
Publication of KR20160030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0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0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02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4Feeding-bottles in general with means for supplying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06Feeding-bottles in general having elongated tubes, e.g. for drinking from bottle in upright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3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means for ve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와, 용기의 림 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는 통기 조립체를 포함하는 병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칼라 조립체는 용기를 위한 폐쇄부를 대체로 형성하고, 용기의 목부와 해제가능하게 결합된다. 칼라 조립체와 통기 조립체는 제1 구성과 제2 구성 사이에서 선택적인 구성을 허용하도록 서로에 대해 구성된다. 제1 구성에서, 칼라 조립체는 적어도 통기 조립체의 측방향 통기구의 단면의 대부분이 림의 아래에 배치되도록 통기 조립체를 용기의 림 상으로 가압한다. 통기 조립체가 병 조립체로부터 제외되어 있는 제2 구성에서, 칼라 조립체는 용기의 림에 사실상 밀봉식으로 결합된다.

Description

이중 구성 병 조립체{DUAL CONFIGURATION BOTTLE ASSEMBLY}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병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두 가지의 다른 조립 구성으로의 구성을 허용하는 칼라 조립체와 통기 조립체를 포함하는 병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유아용 또는 수유용 병 조립체와 같은 병 조립체는 통상적으로 병, 니플, 니플을 병에 고정시키기 위한 칼라(니플과 칼라는 때에 따라 칼라 조립체를 공동으로 형성함), 및 병이 사용되지 않을 때 니플을 덮기 위한 캡을 포함한다. 니플은 통상적으로 병 내부에 포함된 액체가 유아(또는 어린 아이)에 의해 소모되도록 니플을 통해 유아의 입 속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개구를 갖는다. 사용 중에, 유아는 니플의 단부를 자기 입 속에 두고 니플을 빨아 병 내부에 포함된 액체를 빼낸다.
적어도 몇몇의 병 조립체는 병 내부에 위치설정될 수 있는 제거가능한 통기 조립체를 포함한다. 예컨대, 적어도 몇몇의 병 조립체는 사용 중에 병의 통기를 허용하는 병의 개방 단부를 형성하는 환형 림 상에 안착되도록 구성된 제거가능한 통기 조립체를 포함한다. 통기식 병 조립체의 몇 가지 예는 닥터 브라운(Dr. Brown)이라는 상표명으로 핸디-크래프트사(Handi-Craft Company)로부터 입수가능한 것들을 포함한다. 추가적인 예들은 그 개시내용 전체가 본 명세서에서 원용되는 1998년 7월 14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5,779,071호, 2010년 11월 9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7,828,165호, 2012년 2월 14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8,113,365호, 및 2012년 4월 3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8,146,759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들 병 조립체에서, 통기 조립체는 유아가 니플을 통해 액체를 소모하는 동안 공기가 병에 유입되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수유하는 동안 병 내부에서의 진공의 형성을 완화하거나 감소시킨다. 통기 조립체는 통상적으로 병의 림 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안착되고, 칼라를 포함하는 칼라 조립체와 니플은 함께 통기 조립체 위로 병의 목부 상의 외부 나사산에 나사 결합가능하게 고정된다.
몇 명의 사용자는 여행시에 또는 아이가 나이 들었을 때 그리고 부모가 더 이상 통기 조립체를 사용하지 않기로 결심할 때와 같이 때에 따라 통기 조립체가 병으로부터 제외된 상태에서 그런 병을 조립할 수도 있다. 그런 경우, 칼라 조립체는 칼라가 가능한 많이 아래로 조여질 때까지 병의 목부 상으로 나사 결합된다. 그러나, 병의 목부 및 칼라의 높이는 칼라 조립체, 특히 칼라 조립체의 니플이 병의 림에 대해 충분히 밀봉되지 않도록 하는 그런 정도이다. 일반적으로, 병으로부터의 액체의 누출이 유발될 수 있다.
따라서, 통기 조립체는 제거될 수 있고 그리고 병 조립체는 누출의 위험 없이 여전히 사용될 수 있는 병 조립체, 특히 통기식 병 조립체가 필요하다.
일 양태에서, 병 조립체는 일반적으로, 용기로서, 개방 단부, 폐쇄 단부, 기부 부분, 목부, 및 용기의 목부 상에 있으며 용기의 개방 단부를 형성하는 림을 포함하는 용기를 포함하며, 용기는 중심 축을 갖는다. 통기 조립체는 사용 중에 용기의 통기를 허용하도록 용기의 림 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다. 통기 조립체는 통기 조립체가 용기의 림 상에 위치설정될 때 용기의 중심 축에 평행하지 않게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 통기구를 포함한다. 칼라 조립체는 용기를 위한 폐쇄부를 대체로 형성하며, 용기의 개방 단부에 걸쳐 용기의 목부와 해제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칼라 조립체와 통기 조립체는 두 가지 구성 사이에서 병 조립체의 선택적인 구성을 허용하도록 서로에 대해 구성된다. 제1 구성에서는, 용기의 목부와 칼라 조립체의 해제가능한 결합시 통기 조립체가 용기의 림 상에 있을 때 적어도 측방향 통기구의 단면의 대부분이 림의 아래에 배치되도록 칼라 조립체가 통기 조립체를 용기의 림과 사실상 밀봉 결합되게 가압한다. 제2 구성에서는, 용기의 목부와 칼라 조립체의 해제가능한 결합시 통기 조립체가 병 조립체로부터 제외되어 있을 때 칼라 조립체가 용기의 림에 사실상 밀봉식으로 결합된다.
다른 양태에서, 병 조립체를 위한 통기 인서트는 일반적으로 중심 축을 갖는 환형 외부 부분과, 환형 외부 부분의 중심 축에 평행하지 않게 연장되는 측방향 통기구를 포함한다. 통기 인서트는 사용 중에 용기의 통기를 허용하도록 용기의 림 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측방향 통기구의 단면의 대부분은 환형 외부 부분의 아래에 배치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병 조립체는 일반적으로, 용기로서, 개방 단부, 폐쇄 단부, 목부, 및 용기의 개방 단부를 형성하는 목부 상의 림을 포함하는 용기를 포함한다. 통기 조립체는 사용 중에 용기의 통기를 허용하도록 용기의 림 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다. 칼라 조립체는 용기를 위한 폐쇄부를 대체로 형성하며, 용기의 개방 단부에 걸쳐 용기의 목부와 해제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칼라 조립체와 통기 조립체는 두 가지 구성 사이에서 병 조립체의 선택적인 구성을 허용하도록 서로에 대해 구성된다. 제1 구성에서는, 용기의 목부와 칼라 조립체의 해제가능한 결합시 통기 조립체가 용기의 림 상에 있을 때 칼라 조립체가 통기 조립체를 용기의 림과 사실상 밀봉 결합되게 가압한다. 제2 구성에서는, 용기의 목부와 칼라 조립체의 해제가능한 결합시 통기 조립체가 병 조립체로부터 제외되어 있을 때 칼라 조립체가 용기의 림에 사실상 밀봉식으로 결합된다. 병 조립체의 용기는 제1 구성 및 제2 구성 양자 모두에서 통기되도록 구성된다.
도 1은 수유용 병 조립체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유용 병 조립체의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수유용 병 조립체의 니플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수유용 병 조립체의 칼라의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의 수유용 병 조립체의 통기 인서트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수유용 병 조립체의 통기 조립체의 리셉터클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7은 통기 조립체를 포함하는 도 1의 수유용 병 조립체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8은 통기 조립체를 포함하는 도 1의 수유용 병 조립체의 일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통기 조립체가 제외된 상태인 도 1의 수유용 병 조립체의 일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대응하는 도면부호는 도면들 중 몇몇의 도면에 걸쳐 대응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도면, 특히 도 1 내지 도 6을 이제 참조하면, 전체적으로 도면부호 100으로 표시된 병 조립체는 병과 같은,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실시예에선 수유용 병과 같은 용기(102)와, 대체로 병을 폐쇄하기 위한 전체적으로 도면부호 104로 표시된 칼라 조립체를 포함한다. 용기(102)는 대체로 원통형이고 중심 축을 중심으로 대칭이며, 수유중인 유아와 같은 사용자에 의해 소모되기 위한 다량의 액체를 보유하도록 구성되며 그리고 용기의 내부에 형성되는 액체 챔버(106)를 포함한다. 용기(102)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바와는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으며, 그리고 스포츠용 병, 음료용 텀블러, 트레이닝 컵, 통근자용 컵 등과 같이 수유용 병 조립체와는 다른 용도로 구성될 수도 있다는 것을 또한 알아야 한다. 용기(102)는 비제한적으로 유리, 폴리프로필렌 또는 다른 플라스틱,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강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다. 용기(102)는 또한 임의의 목표 색상 또는 색상들로 제조될 수도 있으며, 그리고 투명하거나, 반투명하거나, 또는 불투명할 수도 있다.
도 2에서 가장 용이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용기(102)는 폐쇄된 바닥부(108), 개방된 상부(110), 및 폐쇄된 바닥부(108)와 개방된 상부(110) 사이에서 연장되는 대체로 원통형인 측벽(112)을 갖는다. 원통형 측벽(112)은 기부 부분(114), 및 기부 부분(114)에 대해 좁아지는 목부(116)를 포함한다. 즉, 목부(116)는 기부 부분(114)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목부(116)는 환형 림(118), 외부 나사산 형성부(120), 및 목부(116)의 원주부 둘레로 연장되는 립(126)을 포함한다. 조립시, 립(126)은 (보다 충분히 기술될) 칼라(132)의 바닥 에지(151)에 근접하게 위치될 수도 있다. 용기(102)는 목부(116)와 기부 부분(114) 사이의 전이부에 형성되는 견부(122)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후술되는 바와 같이 목부(116)의 나사산 형성부(120)는 용기(102)를 칼라 조립체(104)에 조립시키기 위한 나사산(124)을 포함한다.
병 조립체(100)의 칼라 조립체(104)는 니플(130)을 용기(102) 상에 선택적으로 보유시키기 위해 용기(102)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칼라 조립체(104)는 니플(130) 및 칼라(132)를 포함한다. 니플(130)과 칼라(132)는 각각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예컨대 니플(130)은 고부 재료, 실리콘 재료 및 라텍스 재료 중의 적어도 하나와 같은 사실상 유연한 재료로 제조되며, 칼라(132)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조된다. 니플(130)과 칼라(132)는 임의의 목표 색상 또는 색상들로 제조될 수도 있으며, 그리고 투명하거나, 반투명하거나, 또는 불투명할 수도 있다.
도 3a 및 도 3b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니플(130)은 니플 부분(135) 및 횡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134)를 포함한다. 니플의 플랜지(134)는 대체로 원형인 외부 에지(138)로부터 대체로 원형인 내부 에지(140)까지 연장되는 바닥면(136)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주연방향으로 연장된 립(142)이 원형 외부 에지(138)에 대체로 인접한 플랜지(134)로부터 상향 돌출된다. 적어도 몇몇의 다른 실시예에서, 니플(130)은 주연방향으로 연장된 립(142)을 포함하지 않는다. 니플 부분(135)은 플랜지의 원형 내부 에지(140)에 대체로 인접한 플랜지(134)로부터 상향 연장된다. 몇몇의 실시예에서, 니플 부분(135)은 방사상 외향으로 돌출되는 환형 돌출부(144)를 포함한다. 니플 부분(135)은 액체를 사용자에게 분배하기 위한 개구(148)를 포함하는 출구 단부(146)를 또한 포함한다. 몇몇의 실시예에서, 니플(130)은 니플의 플랜지(134)의 바닥면(136) 상에 제공된 하나 이상의 방사상으로 연장된 그루브(137)를 포함한다. 보다 충분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그루브(137)는 병 조립체(100)가 통기 조립체(180) 없이 사용될 때 병 조립체(100)의 통기를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그러나, 니플(130)은 본 발명을 벗어나지 않고 본 명세서에 개시되고 도시된 바와는 다른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도 4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된 칼라(132)는 환형 상부 패널(150) 및 현수된 측벽(152)을 갖는다. 상부 패널(150)은 상부 패널(150)의 방사상 내부 에지 끝(154)에 근접한 패널의 하부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환형 돌출부(156)를 포함한다. 에지 끝(154)과 환형 돌출부(156)는 칼라(132)에 대한 니플(130)의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칼라 조립체(104)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에지 끝(154)이 니플(130)의 환형 돌출부(144) 아래에 위치설정될 때까지 니플(130)이, 니플 부분(135)이 맨 처음 칼라(132)의 상부 패널(150) 내의 중앙 개구를 통해 위로 잡아 당겨지고, 그리고 칼라(132)의 환형 돌출부(156)가 니플(130)의 주연방향 립(142)의 방사상 내부에 위치설정된다. 그러나, 니플(130)과 칼라(132)는 도시된 바와는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으며, 그리고 여전히 용기(102) 상으로의 추가적인 조립을 위한 조립체를 위해 달리 구성될 수도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니플(130)과 칼라(132)는 용기(102) 상으로의 공동 조립을 위한 조립체로 유지될 필요가 없다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
칼라(132)의 측벽(152)은 칼라(132)를 그리고 이에 따라 칼라 조립체(104)를 용기(102) 상에 해제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용기(102)의 목부(116)의 외부 나사산(124)과의 나사 결합을 위한 적절한 내부 나사산(164)을 갖춘 내부면(162)을 갖는다.
도 5a 내지 도 8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병 조립체(100)는 사용 중에 병 조립체의 통기를 허용하기 위해 통기 조립체(180)를 또한 포함한다. 도 9에서, 통기 조립체(180)는 제외되어 있다. 통기 조립체(180)는 통기 인서트(182) 및 리셉터클 부분(184)을 포함한다. 리셉터클 부분(184)은 마찰 끼워맞춤에 의해서와 같이 종래 기술에 공지된 방식으로 통기 인서트(182)에 해제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리셉터클 부분(184)은 상부(186), 중간부(188) 및 통기관(190)을 포함한다. 상부(186)는 저장조(194)를 내부에 형성하는 대체로 원통형인 측벽(192)을 포함한다. 통기관(190)은 상부(186)의 측벽(192)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대체로 원통형인 측벽(196)을 포함한다. 통기관(190)의 측벽(196)은 저장조(194)와 유체 연통하는 통로(198)를 형성한다. 중간부(188)는 통기관의 측벽(196)과 상부의 측벽(192) 사이에서 연장되는 테이퍼진 측벽(200)을 포함한다. 통기관(190)은 용기(102)의 폐쇄된 바닥부(108)에 근접한 통로(198)의 단부에 공기 출구(202)를 또한 포함한다. 공기 출구(202)는 통로(198) 내부로부터 용기(102)의 액체 챔버(106)로의 공기 및/또는 유체의 유동에 도움이 되도록 하나 이상의 노치(204)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5a, 도 5b 및 도 8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 인서트(182)는 내부 부분(210), 중간 부분(211) 및 외부 부분(212)을 포함한다. 내부 부분(210)은 내부 통기관(214), 립(216), 및 내부 통기관(214)과 립(216) 사이에서 연장되며 그리고 내부 통기관과 립에 수직으로 배향되는 상부 벽(218)을 포함한다. 내부 통기관(214)은 저장조(194)와 유체 연통하는 통로(220)를 형성한다. 통기 인서트(182)를 리셉터클 부분(184)에 조립하기 위해, 립(216)은 리셉터클 부분(184)의 측벽(192)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일 실시예에서 립(216)은 측벽(192)에 결합되는 벌지(222)를 포함한다. 다르게는, 통기 인서트(182)와 리셉터클 부분(184)은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통기 인서트(182)의 내부 부분(210)은 통기 인서트(182) 내부에 채널(236)을 형성하기 위해 상부 벽(218)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측방향 통기구(234)를 추가로 포함한다.
통기 인서트(182)의 중간 부분(211)은 통기 인서트(182)의 중앙에 대해 내부 부분(210)과 외부 부분(212) 사이에서 방사상으로 위치설정된다. 중간 부분(211)은 용기(102)의 측벽(112)의 내부면에 접하도록 구성된 용기 결합 립(224)을 포함하며, 용기 결합 벌지(226)가 용기 결합 립(224) 상에 배치된다. 용기 결합 벌지(226)는 통기 조립체(180)가 용기(102) 상에 안착될 때 용기(102)의 측벽(112)의 내부면에[보다 구체적으로는, 용기(102)의 목부(116)의 내부면에] 마찰 결합될 수도 있다. 리셉터클 부분(184)의 측벽(192)과 용기 결합 립(224) 사이에 형성되는 갭(250)이 액체 챔버(106) 내부의 액체가 니플(130)을 향해 유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통기 인서트(182)의 외부 부분(212)은 주연 벽(240)을 포함한다. 주연 벽(240)은 내부 에지(242), 외부 에지(244), 상부(246) 및 바닥부(248)를 포함한다. 도 8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주연 벽(240)의 바닥부(248)는 병 조립체(100)가 조립될 때 용기(102)의 환형 림(118) 상에 안착되도록 구성된다. 외부 부분(212)은 주연 벽(240)의 상부(246)로부터 돌출되는 환형 리브(228)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환형 리브(228)는 병 조립체(100)의 사용 중에 누출을 감소시키기 위해 칼라 조립체(104)가 용기(102)에 부착될 때 니플(130)의 플랜지(134)를 압축시키고 그리고/또는 변형시키는 기능을 할 수도 있다. 환형 리브(228)는 또한 병 조립체(100)가 통기 조립체(180)를 포함하는 구성에서 니플(130)의 바닥면(136)에 밀봉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외부 부분(212)은 측방향 통기구(234)의 채널(236)과 유체 연통하는 주연 벽(240)의 바닥부(248) 상에 제공된 하나 이상의 방사상으로 연장된 그루브(230)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런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그루브(230)는 외부 부분(212)이 림(118)에 대해 가압될 때 공기가 측방향 통기구(234)로 유동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통기 인서트(182)의 일부분을 용기(102)의 림(118)으로부터 이격시킨다. 따라서, 측방향 통기구(236)는 용기(102)가 병 조립체(100)의 사용 중에 통기될 수 있도록 병 조립체(100)가 통기 조립체(180)를 포함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그루브(230)를 통해 병 조립체(100)의 외부와 유체 연통할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통기 조립체(180)가 상세히 기술되지는 않았지만, 통기 조립체(180)의 구성요소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본 명세서에 개시되고 도시된 바와는 다른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1998년 7월 14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5,779,071호, 2010년 11월 9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7,828,165호, 2012년 2월 14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8,113,365호, 및 2012년 4월 3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8,146,759호에 개시된 병 조립체에 사용된 것들과 같은 유사한 통기 조립체가 종래 기술에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통기 조립체(180)의 추가적인 상세 사항 및 작동은 본 명세서에서 더 이상 기술되지 않는다.
도 8 및 도 9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칼라의 측벽(152), 통기 인서트(182)의 외부 부분(212), 및 용기의 목부(116)는 통기 조립체(180)가 포함되어 있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구성 및 통기 조립체(180)가 제외되어 있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 구성의 두 가지 다른 구성으로 병 조립체(100)의 작동을 허용하기 위해 서로에 대해 적절하게 크기가 정해진다. 예컨대, 용기의 목부(116)의 [예컨대, 용기(102)의 림(118)으로부터 립(126)까지의 그리고/또는 목부(116)가 용기(102)의 기부 부분(114)까지 외향으로 넓어지는 견부(122)까지의] 길이는(또는 본 명세서의 도면의 배향에서의 높이는) 제2 구성에서,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 조립체가 생략되어 있는 경우에서 칼라(132)의 측벽(152)을 수용하는데 충분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통기 조립체(180)가 제외되어 있는 경우, 니플(130)의 바닥면(136)이 용기(102)의 환형 림(118) 상에 안착되도록 칼라(132)는 통기 인서트(182)의 외부 부분(212)의 주연 벽(240)의 높이와 대략 동일한 추가적인 수직 거리만큼 아래로 조여지도록 구성된다. 그런 실시예에서, 칼라(132)는 추가적인 수직 거리만큼 아래로 조여지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칼라(132)는 통기 조립체(180) 없이 사용될 때 병 조립체(100)로부터의 액체의 누출을 최소화하거나 심지어는 제거하기 위해 니플(130)을 환형 림(118)에 고정 안착시킬 수 있다.
이는 도 5a, 도 5b 및 도 8을 참조하면 보다 용이하게 이해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 인서트(182)는 외부 부분(212)의 높이가[보다 구체적으로는, 주연 벽(240)의 높이가] 통기 인서트(182)의 나머지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도록 구성된다. 이는 다른 특징들 중에서도, 통기 인서트(182)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조립된 위치에 있을 때 채널(236)이[또는 다르게는, 채널(236)의 대부분이] 용기(102)의 환형 림(118)의 아래에 최종적으로 있도록 측방향 통기구(234)의 채널(236)을 외부 부분(212)의 아래에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따라서, 외부 부분(212)의 주연 벽(240)의 높이는, (공지된 많은 통기 조립체에서는 일반적인 것처럼) 채널(236)이 조립시 용기(102)의 환형 림(118)의 위에 제공되었던 경우에 측방향 통기구(234)의 채널(236)을 수용하기 위해 달리 필요할 수도 있었던 것보다 더 좁을 수도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통기 인서트(182)의 주연 벽(240)은 측방향 통기구(234)의 채널(236)과 유체 연통하는 하나 이상의 그루브(230)를 수용하는데 필요한 정도로만 높아야 한다.
통기 인서트의 이런 상대적인 치수는[즉, 통기 인서트(182)의 다른 구성요소에 비해 주연 벽(240)의 협소함은) 병 조립체(100)가 두 가지 구성으로 조립되면서 각각의 구성에서 병 조립체(100)로부터의 누출을 최소화하는 것을 허용한다. 예컨대, 도 8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성에서 병 조립체(100)는 통기 조립체(180)를 포함한다. 이 구성에서, 통기 조립체(180)는, 통기 인서트(182)의 주연 벽(240)의 바닥부(248)가 용기(102)의 림(118)에 대해 안착되고 그리고 용기 결합 립(224)이[또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용기 결합 벌지(226)가] 용기(102)의 측벽(112)의 내부면에 마찰 결합되도록 용기(102)에 삽입된다. 통기 조립체(180)가 그런 위치로 삽입된 후에, 내부 칼라 나사산(164)을 목부(116)의 외부 나사산(124)과 나사 결합가능하게 결합시키고 칼라(132)를 회전시켜 칼라를 용기(102) 아래쪽으로 돌림으로써 칼라 조립체(104)가 용기(102)에 부착된다. 칼라(132)가 용기(102) 상으로 조여짐에 따라, 니플(130)의 바닥면(136)이 주연 벽(240)의 상부(246)에 대해 그리고 통기 인서트(182)의 환형 리브(228)에 대해 가압되어 니플(130)을[그리고 이에 따라 칼라 조립체(104)를] 통기 조립체(180)에 대해 밀봉시킨다. 동시에, 통기 인서트(182)의 주연 벽(240)의 바닥부(248)가 통기 조립체(180)를 용기(102) 상에 위치설정시키도록 용기(102)의 림(118)에 대해 가압된다.
이런 구성에서, 칼라 나사산(164)은 어떤 나사산도 칼라(132)의 아래에서 볼 수 없도록 목부의 나사산(124)에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그리고 도 8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칼라의 측벽(152)은, 제1 구성에서 칼라 조립체(104)가 용기(102)에 고정될 때 어떤 외부 나사산(124)도 볼 수 없도록 칼라의 측벽(152)의 바닥 에지(151)가 목부(116)의 최하위 외부 나사산(124)의 아래로 연장될 만큼 충분히 길다. 또한, 칼라 조립체(104)는 니플(130)과 통기 조립체(180)를 용기(102)의 림(118)에 고정 안착시키기 때문에, 병 조립체(100)의 사용 중에 누출이 최소화된다.
또한, 니플(130)이 하나 이상의 방사상으로 연장된 그루브(137)를 플랜지(134)의 바닥면(136) 상에 포함하는 실시예에서는, 통기 인서트(182) 상에 제공된 환형 리브(228)는 병 조립체(100)가 제1 구성인 경우 하나 이상의 그루브(137)가 액체 챔버(106)와 유체 연통하지 않도록 하나 이상의 그루브(137)와 용기(102)의 액체 챔버(106) 사이의 밀봉부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그리고 도 3b로 돌아가면, 니플의 플랜지(134)의 바닥면(136) 상에 제공된 하나 이상의 그루브(137)는 니플(130)의 외부 에지(138)로부터 내향으로 부분적으로만 연장될 수도 있다[즉, 하나 이상의 그루브(137)는 니플(130)의 내부 에지(140)까지 완전히 연장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통기 인서트(182)의 환형 리브(228)는 [병 조립체(100)가 제1 구성으로 조립될 때] 하나 이상의 그루브(137)의 최내측 부분으로부터 방사상 내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그런 실시예에서, 환형 리브(228)는 하나 이상의 그루브(137)의 최내측 부분으로부터 방사상 내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환형 리브(228)는 병 조립체(100)가 제1 구성인 경우 하나 이상의 그루브(137)가 액체 챔버(106)와 유체 연통하지 않도록 용기(102)의 액체 챔버(106)를 하나 이상의 그루브(137)로부터 밀봉시킬 수도 있다. 그런 실시예에서, 사용 동안의 용기(102)의 통기는 통기 조립체(180)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는 통기 인서트(182)의 하나 이상의 그루브(230)와 측방향 통기구(234)를 통해 달성될 수도 있다.
제2 구성에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 조립체(180)가 병 조립체(100)로부터 제외되어 있다. 그런 구성에서, 칼라 조립체(104)가 용기(102) 아래쪽으로 조여질 때, 니플(130)을 용기(102)에 대해 직접 밀봉시키기 위해 니플(130)이 용기(102)의 림(118)에 대해 가압될 때까지 칼라 나사산(164)이 용기(102)의 목부(116)의 나사산(124)에 결합되고 그리고 칼라(132)가 회전되어 칼라(132)가 용기(102) 아래쪽으로 돌려진다. 따라서, 칼라 조립체(104)는 용기(102) 상에 완전히 안착되기 전에 제1 구성에서보다 더 긴 거리만큼 최종적으로 돌려질 것이다. 즉, 통기 조립체(180)가[그리고 이에 따라 통기 인서트(182)가] 이런 구성에선 병 조립체(100)로부터 제외되어 있기 때문에, 칼라 조립체(104)는 제외된 통기 인서트(182)의 주연 벽(240)의 높이와 대략 동일한 추가적인 수직 거리만큼 아래로 조여질 필요가 있다. 그러나, 통기 인서트(182)가 개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기 때문에[예컨대, 측방향 통기구(234)의 채널(236)이 통기 인서트(182)의 외부 부분(212)의 아래에 배치되기 때문에], 주연 벽(240)이 상대적으로 좁아서 칼라(13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 조립체(180)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보다 훨씬 더 많이 추가적으로 조여질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제2 구성에서 칼라 조립체(104)는 칼라(132)의 측벽(152)이 립(126) 및/또는 견부(122)와 결합되기 전에 완전히 조여질 수 있다[즉, 니플(130)이 용기(102)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완전히 조립될 수 있다].
니플(130)의 바닥면(136) 상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그루브(137)는 통기 조립체(180)가 제외되어 있어도 병 조립체(100)가 제2 구성인 경우에 용기(102)를 통기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9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그루브(137)는 니플(130)의 일부분을 용기(102)의 림(118)으로부터 이격시켜 용기(102)의 액체 챔버(106)와 유체 연통하는 통기 공간(149)을 형성한다. 따라서, 병 조립체(100)가 제2 구성으로 조립될 때[즉, 통기 조립체(180)가 제외되어 있는 병 조립체(100)가 니플(130)이 림(118)에 대해 가압된 상태에서 사용될 때], 병 조립체(100)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 이상의 그루브(137)와 용기의 림(118) 사이에 제공된 통기 공간(149)을 통해 통기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2 구성에서도 병 조립체(100) 내부에서의 진공의 형성은 공기가 통기 공간(149)을 통해 병 조립체에 유동적으로 유입될 수도 있기 때문에 감소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구성요소는 기존의 병 조립체 및/또는 기존의 통기 조립체의 사용자에게 추가적인 이익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컨대, 현재의 많은 사용자들은 공지된 칼라 조립체 및/또는 통기 조립체 중의 하나 이상과 함께 작동되도록 구성된 몇 개의 용기(102)를 이미 소유하고 있을 수도 있다. 이들 용기는 예컨대, 공지된 칼라 조립체 및/또는 공지된 통기 조립체와 함께 사용되도록 구성된 립(126) 및/또는 외부 나사산(124)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통기 인서트(182)의 주연 벽(240)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기 때문에[즉, 주연 벽(240)은 종래 기술의 통기 인서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기 때문에], 칼라(132)의 측벽(152)은 예컨대 공지된 칼라보다 좁게 구성되는 동시에 (개시된 바와 같은) 통기 조립체(180)와 조립될 때 용기(102)의 외부 나사산(124)을 여전히 덮을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칼라 조립체(104) 및/또는 통기 조립체(180)를 자신이 현재 소유하고 있는 용기(102)와 함께 사용할 수 있지만, 이에 반해 립(126) 및/또는 견부(122)로 인해 공지된 칼라는 달리 방해를 받을 수 있어(이에 따라 누출을 야기하여) 공지된 통기 조립체는 제외되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내용의 칼라 조립체(104)의 몇몇 실시예는[그리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개시내용의 니플(130)의 몇몇 실시예는] 병 조립체(100)가 제2 구성인 경우에 통기 공간(149)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그루브(137)를 포함하기 때문에, 용기(102)는 통기 조립체(180)가 제외되어 있는 경우에도 사용 중에 통기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몇몇 실시예는 통기 조립체(180)가 제외되어 있는 경우에도 사용 중에 병 조립체(100) 내부에서의 진공의 형성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한다. 또한, 용기(102)의 제조업자 등은 공지된 병 조립체에 관해서 동일한 디자인을 이용하여 용기(102)를 계속 제조할 수 있으며, 그리고 동시에 개선된 병 조립체(100)가 논의된 어느 하나의 구성에서도 병 조립체(100)의 사용 중에 누출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도록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신규한 칼라 조립체(104) 및/또는 통기 조립체(180)를 갖춘 병 조립체(100)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 또는 본 발명의 다양한 버전, 실시예(들) 또는 양태를 기술할 때, "임의의," "하나" 및 "상기"와 같은 용어는 구성요소들 중의 하나 이상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포함하는" 및 "갖는"과 같은 용어는 기재된 구성요소 이외의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는 것을 포괄적으로 의미하는 것이다. 특정한 배향(예컨대, "상부," "하부," "측부" 등)을 나타내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기재의 편의를 위해서이며 개시된 요소의 어떤 특정한 배향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다.
다양한 변형예가 본 발명의 기술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상술된 내용에 포함되고 첨부 도면에 도시된 모든 요지는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병 조립체이며,
    용기로서, 개방 단부, 폐쇄 단부, 기부 부분, 목부, 및 용기의 목부 상에 있으며 용기의 개방 단부를 형성하는 림을 포함하고, 상기 용기는 중심 축을 갖는 용기와,
    통기 조립체로서, 사용 중에 용기의 통기를 허용하도록 용기의 림 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으며, 그리고 통기 조립체가 용기의 림 상에 위치설정될 때 용기의 중심 축에 평행하지 않게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 통기구를 포함하는 통기 조립체와,
    상기 용기를 위한 폐쇄부를 대체로 형성하며 그리고 용기의 개방 단부에 걸쳐 용기의 목부와 해제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칼라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칼라 조립체와 통기 조립체는, 상기 용기의 목부와 칼라 조립체의 해제가능한 결합시 통기 조립체가 용기의 림 상에 있을 때 적어도 측방향 통기구의 단면의 대부분이 림의 아래에 배치되도록 칼라 조립체가 통기 조립체를 용기의 림과 사실상 밀봉 결합되게 가압하는 제1 구성과, 상기 용기의 목부와 칼라 조립체의 해제가능한 결합시 통기 조립체가 병 조립체로부터 제외되어 있을 때 칼라 조립체가 용기의 림에 사실상 밀봉식으로 결합되는 제2 구성 사이에서 병 조립체의 선택적인 구성을 허용하도록 서로에 대해 구성되는 병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 조립체는 외부 부분을 추가로 포함하며, 통기 조립체가 용기의 림 상에 위치설정될 때 외부 부분의 바닥부가 용기의 림 상에 안착되는 병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부분의 바닥부는 측방향 통기구와 유체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를 포함하는 병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는 공기가 사용 중에 측방향 통기구로 유동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통기 조립체가 용기의 림 상에 위치설정될 때 통기 조립체의 일부분을 용기의 림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병 조립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 조립체는 외부 부분의 상부 상에 배치되는 환형 리브를 추가로 포함하는 병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병 조립체가 제1 구성인 경우, 환형 리브는 칼라 조립체에 밀봉식으로 결합되는 병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목부의 원주부 둘레로 연장되는 립을 추가로 포함하는 병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병 조립체가 제1 구성 및 제2 구성으로 존재하는 양자의 경우 모두에서, 칼라 조립체의 바닥 에지는 립의 위에 배치되는 병 조립체.
  9. 병 조립체를 위한 통기 인서트이며,
    중심 축을 갖는 환형 외부 부분과,
    상기 환형 외부 부분의 중심 축에 평행하지 않게 연장되는 측방향 통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통기 인서트는 사용 중에 용기의 통기를 허용하도록 용기의 림 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적어도 측방향 통기구의 단면의 대부분은 환형 외부 부분의 아래에 배치되는 통기 인서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 인서트는 또한 환형 외부 부분의 바닥부가 용기의 림 상에 안착되게 용기의 림 상에 위치설정되도록 구성되는 통기 인서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외부 부분의 바닥부는 측방향 통기구와 유체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를 포함하는 통기 인서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 인서트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가 사용 중에 측방향 통기구로의 공기 유동을 허용하여 용기의 통기를 허용하도록 용기의 림 상에 위치설정되게 구성되는 통기 인서트.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외부 부분의 상부 상에 배치되는 환형 리브를 더 포함하는 통기 인서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리브는 통기 인서트가 용기의 림 상에 위치설정된 상태에서 칼라 조립체가 용기의 목부와 해제가능하게 결합될 때 칼라 조립체에 밀봉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통기 인서트.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 조립체가 용기의 림 상에 위치설정될 때 용기의 내부면에 밀봉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중간 부분을 더 포함하는 통기 인서트.
  16. 병 조립체이며,
    용기로서, 개방 단부, 폐쇄 단부, 목부, 및 용기의 개방 단부를 형성하는 목부 상의 림을 포함하는 용기와,
    사용 중에 용기의 통기를 허용하도록 용기의 림 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는 통기 조립체와,
    상기 용기를 위한 폐쇄부를 대체로 형성하며 그리고 용기의 개방 단부에 걸쳐 용기의 목부와 해제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칼라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칼라 조립체와 통기 조립체는, 상기 용기의 목부와 칼라 조립체의 해제가능한 결합시 통기 조립체가 용기의 림 상에 있을 때 칼라 조립체가 통기 조립체를 용기의 림과 사실상 밀봉 결합되게 가압하는 제1 구성과, 상기 용기의 목부와 칼라 조립체의 해제가능한 결합시 통기 조립체가 병 조립체로부터 제외되어 있을 때 칼라 조립체가 용기의 림에 사실상 밀봉식으로 결합되는 제2 구성 사이에서 병 조립체의 선택적인 구성을 허용하도록 서로에 대해 구성되며,
    상기 용기는 제1 구성 및 제2 구성 양자 모두에서 통기되는 병 조립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제1 구성에서 통기 조립체를 통해 통기되며, 상기 용기는 제2 구성에서 칼라 조립체를 통해 통기되는 병 조립체.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 조립체는 제2 구성에서 용기의 림에 사실상 밀봉식으로 결합되는 니플을 포함하는 병 조립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니플은 니플의 바닥면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를 포함하며, 병 조립체가 제2 구성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는 니플의 일부분을 림으로부터 이격시켜 용기가 관통 통기되는 통기 공간을 형성하는 병 조립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 조립체는, 병 조립체가 제1 구성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가 용기의 액체 챔버와 유체 연통하지 않도록 병 조립체가 제1 구성인 경우에 하나 이상의 그루브를 밀봉하도록 구성되는 환형 리브를 포함하는 병 조립체.
KR1020167000230A 2013-07-10 2014-07-09 이중 구성 병 조립체 KR1022902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44557P 2013-07-10 2013-07-10
US61/844,557 2013-07-10
PCT/US2014/045842 WO2015006386A1 (en) 2013-07-10 2014-07-09 Dual configuration bottle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0166A true KR20160030166A (ko) 2016-03-16
KR102290246B1 KR102290246B1 (ko) 2021-08-13

Family

ID=52276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0230A KR102290246B1 (ko) 2013-07-10 2014-07-09 이중 구성 병 조립체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1) US10166172B2 (ko)
EP (1) EP3019140B1 (ko)
JP (1) JP2016528118A (ko)
KR (1) KR102290246B1 (ko)
CN (2) CN109925198A (ko)
AR (1) AR096874A1 (ko)
AU (1) AU2014287329B2 (ko)
CL (1) CL2016000039A1 (ko)
ES (1) ES2677995T3 (ko)
HK (1) HK1222536A1 (ko)
IL (1) IL243309B (ko)
MX (1) MX2016000302A (ko)
MY (1) MY177568A (ko)
PH (1) PH12016500028A1 (ko)
PL (1) PL3019140T3 (ko)
RU (1) RU2016104081A (ko)
SG (1) SG11201600143PA (ko)
TW (1) TWI661823B (ko)
UY (2) UY35658A (ko)
WO (1) WO2015006386A1 (ko)
ZA (1) ZA20160014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37050A1 (en) * 2014-09-04 2016-03-10 Hoyos Labs Ip Ltd.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user recognition based on biometric information captured with wearable electronic devices
PL3493784T3 (pl) * 2016-08-03 2021-04-19 Florian Enghard Urządzenie do wyrównywania ciśnienia w butelkach dla niemowląt i zestaw butelki dla niemowląt
WO2019168925A1 (en) * 2018-03-02 2019-09-06 Handi-Craft Company Bottle assembly
US11937716B2 (en) 2021-07-09 2024-03-26 Target Brands, Inc. Sippy cup having a spoutless training lid assembly
USD1021563S1 (en) 2021-07-09 2024-04-09 Target Brands, Inc. Combined sippy cup and handle bas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4007A (ko) * 2000-05-08 2002-12-16 뉴 벤트 디자인스, 인크 충분히 통기되는 넓은 림 젖병
US20040089626A1 (en) * 2002-10-21 2004-05-13 Sung-Hwan Pyun Air venting apparatus for milk bottle
KR20080017335A (ko) * 2005-05-02 2008-02-26 클루트, 제이슨, 엘. 통기가 되고 이중벽을 가진 젖병
KR20090091821A (ko) * 2006-12-20 2009-08-28 플레이텍스 프로덕츠, 인크. 젖병을 위한 벤트 밸브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92559A (en) 1952-08-09 1959-06-30 Davol Rubber Co Nurser combination
US2822102A (en) * 1954-08-05 1958-02-04 Holland Charles Edward Nursing bottle
NL302611A (ko) 1963-01-04
US3545637A (en) 1968-07-12 1970-12-08 Arthur C Barr Nursing unit with venting means
US3834570A (en) 1968-07-12 1974-09-10 A Barr Nursing unit with improved plastic liner
JPS526799B2 (ko) 1971-12-28 1977-02-24
US3838784A (en) 1973-04-12 1974-10-01 Mead Johnson & Co Diet feeding container
FR2342914A1 (fr) 1976-03-02 1977-09-30 Oreal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de deux produits isoles l'un de l'autre avant la distribution
DE2813940A1 (de) 1977-04-23 1978-10-26 Zensho Honma Flaschenverschluss
FR2589407B1 (fr) 1985-10-30 1988-01-29 Peugeot Aciers Et Outillage Dispositif de reglage de la position d'un renvoi de sangle de ceinture de securite
US5087287A (en) 1988-05-25 1992-02-11 Nissei Plan, Inc. Strengthened cellular concrete compositions and method of making
US5244105A (en) 1990-01-12 1993-09-14 Johnson & Johnson Consumer Products, Inc. Adjustable air inflow for feeding-bottle device
FR2657008B1 (ko) 1990-01-12 1994-02-18 Johnson Johnson Sa
DE4016592C1 (ko) 1990-01-22 1991-05-23 Knopf, Karl Horst, 5650 Solingen, De
US5316160A (en) 1992-09-04 1994-05-31 Dart Industries Inc. Baby bottle assembly
US5779071A (en) 1995-08-04 1998-07-14 New Vent Designs, Inc. Nursing bottle with an air venting structure
US5791503A (en) 1996-02-05 1998-08-11 Lyons; Richard A. Nursing bottle with anti-air ingestion valve
DE19849271A1 (de) * 1998-10-26 2000-04-27 Herbert Willmann Vorrichtung für eine zum Saugen eingerichtete Trinkflasche
AU768928B2 (en) 1999-02-12 2004-01-08 Robert Dymock Mcintyre Improvements in feeder bottles
FR2798910B1 (fr) 1999-09-29 2002-03-08 Jean Pierre Sittler Bouchon distributeur a obturation totale et a etancheite renforcee pour flacons ou autres contenants a goulot filete
US20050258124A1 (en) 2002-10-30 2005-11-24 Brown Craig E Fully vented wide rim nursing bottle with contoured vent tube
US8113365B2 (en) 2000-05-08 2012-02-14 New Vent Designs Inc. Fully vented nursing bottle with single piece vent tube
US7828165B2 (en) 2000-05-08 2010-11-09 New Vent Designs, Inc Fully vented wide rim nursing bottle with contoured vent tube
US20030183595A1 (en) * 2002-03-28 2003-10-02 Der-Da Huang Air inlet sleeve of baby's bottle
US6742665B2 (en) * 2002-04-02 2004-06-01 Lori Lombardo Nursing bottle with vent
US8640902B2 (en) * 2004-03-19 2014-02-04 Tamir Tirosh Drinking container vent system and method
GB2413087A (en) 2004-04-13 2005-10-19 Stephen Michael Smith Bottle assembly with a vent device
US20050236353A1 (en) * 2004-04-27 2005-10-27 William Hsu Flatulency-preventing device associated with nursing bottle
GB0410993D0 (en) * 2004-05-17 2004-06-23 Jackel Int Ltd Feeding bottle
US8684201B2 (en) 2004-10-08 2014-04-01 Coralinda Trading Corporation Drinking container, vent system and method
WO2006048878A1 (en) 2004-11-05 2006-05-11 Amikam Berkovitch Vented drinking container and cap therefor
US7537128B2 (en) 2004-11-29 2009-05-26 Amir Nachumi Nursing bottle vent system
US20060201902A1 (en) 2005-03-03 2006-09-14 Brown Craig E Fully continuously vented drinking cup for infants and children
US20060213859A1 (en) 2005-03-25 2006-09-28 Miin-Tsang Sheu Flatulence-resisting nursing bottle air cap
KR100899485B1 (ko) 2005-06-14 2009-05-26 뉴 벤트 디자인스, 인크 젖병 조립체
US8757406B2 (en) * 2005-10-26 2014-06-24 New Vent Designs, Inc. Fully vented wide rim nursing bottle
KR100832878B1 (ko) 2005-11-23 2008-05-28 편성환 공기 흡입 장치를 구비한 우유병
JP4870992B2 (ja) 2006-01-24 2012-02-08 戸田建設株式会社 建物のダブルスキン構造
TWM296703U (en) 2006-03-10 2006-09-01 Jian-Jr Lu Reversing stop valve having netted top cover for milk bottle
US7743952B2 (en) 2006-10-18 2010-06-29 Stull Technologies, Inc. Double bead sealing system for container closure
WO2008106399A2 (en) 2007-02-27 2008-09-04 Anderson Michael R Container cap having dispensing storage chamber
TWM329439U (en) 2007-07-10 2008-04-01 jian-zhi Lu Gas stream device used on milk bottles
CN101172088B (zh) * 2007-10-22 2011-03-09 林四海 一种奶瓶
US20110309047A1 (en) 2008-06-30 2011-12-22 Fucito Dominick J Vent Unit and Container Utilizing Same
US7959021B2 (en) * 2008-08-14 2011-06-14 Hsiao-Chen Liang Air inlet for a baby bottle
US8146759B2 (en) 2009-01-21 2012-04-03 New Vent Designs, Inc. Fully vented wide rim nursing bottle with canted vent tube
CN101584646B (zh) 2009-02-25 2013-01-23 富康玩具制品有限公司 一种防胀气液体瓶
CN201426664Y (zh) * 2009-04-04 2010-03-24 胡刚 滤网、托盘一体保温杯
DE102009035598B4 (de) * 2009-07-31 2011-04-14 Mapa Gmbh Verschlusssystem für eine auslaufgeschützte Flasche für Kindernahrung
WO2011095971A1 (en) 2010-02-03 2011-08-11 S.M.L. Success Ltd Collar for baby bottle
US8967405B2 (en) 2011-08-31 2015-03-03 Light Bulb Inventions, Llc Venting baby bottle
CN102716041B (zh) * 2012-07-06 2015-06-03 庞永国 奶瓶
EP4360608A2 (en) 2013-01-10 2024-05-01 Handi-Craft Company Dual configuration bottle assembl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4007A (ko) * 2000-05-08 2002-12-16 뉴 벤트 디자인스, 인크 충분히 통기되는 넓은 림 젖병
US20040089626A1 (en) * 2002-10-21 2004-05-13 Sung-Hwan Pyun Air venting apparatus for milk bottle
KR20080017335A (ko) * 2005-05-02 2008-02-26 클루트, 제이슨, 엘. 통기가 되고 이중벽을 가진 젖병
KR20090091821A (ko) * 2006-12-20 2009-08-28 플레이텍스 프로덕츠, 인크. 젖병을 위한 벤트 밸브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H12016500028B1 (en) 2016-03-28
UY39930A (es) 2022-10-31
CL2016000039A1 (es) 2016-10-21
US10166172B2 (en) 2019-01-01
UY35658A (es) 2015-02-27
WO2015006386A1 (en) 2015-01-15
PH12016500028A1 (en) 2016-03-28
RU2016104081A (ru) 2017-08-15
AR096874A1 (es) 2016-02-03
ZA201600146B (en) 2017-04-26
MY177568A (en) 2020-09-21
JP2016528118A (ja) 2016-09-15
KR102290246B1 (ko) 2021-08-13
SG11201600143PA (en) 2016-02-26
TWI661823B (zh) 2019-06-11
CN109925198A (zh) 2019-06-25
AU2014287329B2 (en) 2018-07-26
PL3019140T3 (pl) 2018-07-31
EP3019140A1 (en) 2016-05-18
MX2016000302A (es) 2016-04-28
IL243309B (en) 2020-11-30
AU2014287329A1 (en) 2016-01-21
IL243309A0 (en) 2016-02-29
HK1222536A1 (zh) 2017-07-07
CN105431125A (zh) 2016-03-23
EP3019140B1 (en) 2018-04-25
ES2677995T3 (es) 2018-08-08
CN105431125B (zh) 2019-09-13
US20150014268A1 (en) 2015-01-15
EP3019140A4 (en) 2017-06-21
TW201517895A (zh) 2015-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0551B1 (ko) 이중 구성 병 조립체
KR20170070139A (ko) 이중 구성 병 조립체
KR102290246B1 (ko) 이중 구성 병 조립체
US10206855B2 (en) Bottle assembly vent insert with siphoning member
EP3746032B1 (en) Bottle assembly
US10383795B2 (en) Bubble formation inhibiting vent assembly for a vented bottle assembly
RU2803562C2 (ru) Сборная бутылочка двойной конфигурации
US20090159551A1 (en) Universal Adapter for Baby Nipple/Pacif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