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2878B1 - 공기 흡입 장치를 구비한 우유병 - Google Patents

공기 흡입 장치를 구비한 우유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2878B1
KR100832878B1 KR1020060115859A KR20060115859A KR100832878B1 KR 100832878 B1 KR100832878 B1 KR 100832878B1 KR 1020060115859 A KR1020060115859 A KR 1020060115859A KR 20060115859 A KR20060115859 A KR 20060115859A KR 100832878 B1 KR100832878 B1 KR 100832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ilk
milk bottle
valve
ai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5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4575A (ko
Inventor
편성환
Original Assignee
편성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편성환 filed Critical 편성환
Publication of KR20070054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4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2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2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4Feeding-bottles in general with means for supplying air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공기를 우유병 내로 유출입시키는 유입관 및 이동홀을 일체로 형성한 공기 흡입 장치를 구비한 우유병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연성 꼭지와, 우유병 몸체와, 고정 프레임으로 구성된 우유병에 있어서, 상기 우유병 몸체내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 유입관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와 함께 상기 우유를 상기 연성 꼭지로 이동시키는 우유 이동홀이 형성되며, 상기 공기 유입관과 상기 우유 이동홀은 서로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공기 유입관의 상부에는 상기 연성 꼭지와 결합되는 제 1 결합부가 제공되며, 상기 공기 유입관의 하부에는 상기 우유병 몸체와 결합됨과 아울러 밀폐시키는 제 2 결합부가 제공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제품의 부품수를 줄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뿐만 아니라 조립시간을 줄일 수 있고, 또한, 여러 종류의 꼭지와 결합이 용이한 결합부를 일체로 구성한 공기 흡입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의 우유병 및 꼭지에 사용가능하며, 우유병이외에 다른 음료병에도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적당한 양으로 먹을 수 있게 배출시키는 공기 밸브를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의 음료병에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유아용 우유병, 공기 흡입 장치, 제 1, 2 결합부, 공기 밸브, 음료병.

Description

공기 흡입 장치를 구비한 우유병{AIR VENTING APPARATUS FOR MILK BOTTLE}
도 1은 종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우유병의 공기 흡입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우유병의 공기 흡입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확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흡입 장치를 구비한 우유병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흡입 장치를 구비한 우유병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절단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흡입 장치를 구비한 우유병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흡입 장치를 구비한 우유병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흡입 장치를 구비한 우유병의 사구성 중 우유 이동홀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 흡입 장치를 구비한 우유병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 흡입 장치를 구비한 우유병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절단된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A부 절단된 확대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 흡입 장치를 구비한 우유병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B부 확대 측단면도로서, 공기 밸브의 제 1 역지 밸브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확대 측단면도
도 13은 도 11의 B부 확대 측단면도로서, 공기 밸브의 제 2 역지 밸브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확대 측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 흡입 장치를 구비한 우유병의 구성 중 공기 밸브을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 흡입 장치를 구비한 우유병에서 공기 밸브를 우유병대신 음료병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 흡입 장치를 구비한 우유병에서 공기 밸브를 우유병대신 음료병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절단된 사시도,
도 17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 흡입 장치를 구비한 우유병에서 공기 밸브를 회전 캡이 구비된 또 다른 음료병에 설치한 후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 흡입 장치를 구비한 우유병에서 공기 밸브를 회전캡이 구비된 또 다른 음료병에 설치한후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 흡입 장치를 구비한 우유병에서 공기 밸브를 우유병대신 음료병에 설치하고, 상기 공기 밸브에 회전 밸브 개폐부를 구비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 흡입 장치를 구비한 우유병에서 공기 밸브에 회전 밸브 개폐부를 설치한 후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 흡입 장치를 구비한 우유병에서 공기 밸브에 회전 밸브 개폐부를 설치한 후 작동 과정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 흡입 장치를 구비한 우유병에서 공기 밸브에 회전 밸브 개폐부를 설치한 후 작동 후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23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공기 흡입 장치를 구비한 우유병의 구성 을 나타낸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공기 흡입 장치를 구비한 우유병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25는 도 24의 A-A' 선단면도.
도 26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공기 흡입 장치를 구비한 우유병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27은 도 26의 B-B' 선단면도.
도 2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공기 흡입 장치를 구비한 우유병의 구성 중 실링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29는 도 28의 C-C' 선단면도
본 발명은 우유병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부 공기를 우유병 내로 유출입시키는 유입관 및 이동홀을 일체로 형성한 공기 흡입 장치를 구비한 우유병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유아용 우유병"은 꼭지의 개방 상단(흡입 구멍)이 부드러운 연성 재질로 구현되어야 하고, 인체에 무해한 재질로 구성되어야 하며, 꼭지의 개방단은 매우 작은 구멍이 제공되어져야만 한다. 따라서, 유아들은 본능적으로 꼭지를 물고 흡입함으로서, 우유병에 채워진 우유나 유아식 음료를 먹게 된다. 더욱이, 상기 유아들이 물게 되는 부분인 꼭지의 개방 상단은 우유병을 심하게 흔들거나 낙하 시에도 우유가 흘러나오지 않아야 하고, 유아가 흡입하는 힘에는 적당하게 개방 상단을 통해서 우유가 나와야 한다. 상기 꼭지의 상단에 제공된 흡입 구멍은 통하여 나오는 흡입량은 너무 과대하거나, 너무 적어서는 안돼며, 유아의 흡입력을 고려하여 적절한 양이 흡입되어져야 한다.
또한, 유아용 우유병은 우유통과 꼭지 부분간에 액체의 누설이 완벽하게 방지되어져야 하며, 이는 분유와 물을 적당한 비율로 혼합하여 심하게 흔들 경우, 우유의 누설이 방지되어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종래의 우유병은 유아의 흡입시 적절한 양이 공급되는 것이 아니고, 괴도한 양이 공급되거나 적은 양이 공급되어서 유아의 입에서 우유가 흘러나오는 단점이 있고, 또한, 유아의 흡입력을 고려하지 않아 원활하게 공급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출원인은 유아용 우유병의 원활한 우유공급을 하기 위해 본 발명 이전에 공기 흡입 통로가 제공된 우유병을 개발하여 2003년 8월 29일자로 특허출원(2003-60185)을 한 바 있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기 특허 출원에 기재된 우유병은 우유가 채워지는 우유병 몸체(1)와, 연성 꼭지(2)와, 고정 프레임(3)과, 상기 우유병 몸체(1)의 상부와 연성 꼭지(2) 하부사이내에는 외부 공기를 우유병 몸체(1) 내로 흡입하기 위한 공기 흡입 통로를 제공하여 유아에게 이유식이나 우유와 같은 음료를 적당한 양으로 먹을 수 있게 기포 발생을 억제하여 영양소 파괴를 최소화 하도록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 흡입 장치(10)가 결합된다.
상기 공기 흡입 장치(10)는 상,하부 판막(11)(12)과, 환형 연결부재(13)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각의 부품들을 서로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유아용 우유병의 공기 흡입 장치는 상,하 판막과 환영 연결 부재를 순차적으로 일일이 하나씩 조립해야 함으로 부품수의 증가로 인한 제조원가가 상승할 뿐만 아니라, 조립시간이 상승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각각의 부품들을 세척 후 다시 조립시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또한 세척시 부품수가 많아 분해 조립이 어려운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상부 판막의 상단면에는 연성 꼭지가 장착된다.
이때, 상기 연성 꼭지는 상기 상부 판막의 형상에 맞게 제작된 꼭지만 사용해야함으로 다른 꼭지의 사용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 공기를 우유병 내로 유출입시키는 유입관 및 이동홀을 일체로 형성한 공기 흡입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제품의 부품수를 줄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뿐만 아니라 조립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공기 흡입 장치를 구비한 우유병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여러 종류의 꼭지와 결합이 용이한 결합부를 일체로 구성한 공기 흡입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의 우유병 및 꼭지에 사용가능하도록 한 공기 흡입 장치를 구비한 우유병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우유병이외에 다른 음료병에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적당한 양으로 먹을 수 있게 배출시키는 공기 밸브를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의 음료병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공기 흡입 장치를 구비한 우유병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우유를 흡입하기 위하여 물게되는 연성 꼭지와, 상기 우유가 채워지는 우유병 몸체와, 상기 연성 꼭지를 우유병에 누설이 방지되게 고정시키는 고정 프레임으로 구성된 공기 흡입 장치를 구비한 우유병에 있어서,
상기 우유병 몸체내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 유입관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와 함께 상기 우유를 상기 연성 꼭지로 이동시키는 우유 이동홀이 형성되며, 상기 공기 유입관과 상기 우유 이동홀은 서로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공기 유입관의 상부에는 상기 연성 꼭지와 결합되는 제 1 결합부가 제공되며, 상기 공기 유입관의 하부에는 상기 우유병 몸체와 결합됨과 아울러 밀폐시키는 제 2 결합부가 제공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우유를 흡입하기 위하여 물게되는 연성 꼭지와, 상기 우유가 채워지는 우유병 몸체와, 상기 연성 꼭지를 우유병에 누설이 방지되게 고정시키는 고정 프레임으로 구성된 공기 흡입 장치를 구비한 우유병에 있어서,
상기 연성 꼭지와 결합되는 제 1 결합부가 제공되며, 상기 우유병 몸체와 결합됨과 아울러 밀폐시키는 제 2 결합부가 제공되고,
상기 제 2 결합부의 이웃한 위치에는 외부의 공기를 안내하는 공기 유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공기 유입홈을 통해 유입된 공기량을 조절하고, 상기 우유병 몸채내에 고온의 우유로 인해 발생되는 압력 가스를 외부로 배출가능하도록 가스 배출홈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밸브가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우유를 흡입하기 위하여 물게되는 연성 꼭지와, 상기 우유가 채워지는 우유병 몸체와, 상기 연성 꼭지를 우유병에 누설이 방지되게 고정시키는 고정 프레임으로 구성된 공기 흡입 장치를 구비한 우유병에 있어서,
상기 우유병 몸체의 상단면에 결합되고, 상기 연성 꼭지와 결합되며, 외부의 공기를 상기 우유병 몸체내로 안내하는 공기 유입홀이 형성된 제 1 결합부; 및
상기 우유병 몸체와 결합됨과 아울러 밀폐시키는 제 2 결합부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도 4 및 도 5와 같이, 공기 흡입 장치(100)는 공기 유입관(110)과, 우유 이동홀(120)과, 제 1, 2 결합부(130)(140)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공기 유입관(110)은 상기 우유병 몸체(1)내로 외부 공기(A1)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우유병 몸체(1) 및 연성 꼭지(2) 내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우유 이동홀(120)은 상기 공기 유입관(110)을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A1)와 함께 상기 우유를 상기 연성 꼭지(2)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우유병 몸체(1) 및 상기 연성 꼭지(2)내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공기 유입관(110) 및 우유 이동홀(120)은 연성 꼭지(2)와, 고정 프레임(3) 및 우유병 몸체(1)와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서로 일체로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결합부(130)는 상기 다양한 형상의 연성 꼭지(2)와 결합되도록 상기 공기 유입관(1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결합부(140)는 상기 우유병 몸체(1)와 결합됨과 아울러 밀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공기 유입관(1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도 6 및 도 7과 같이, 상기 공기 유입관(110)은 " T " 형상의 관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 1 결합부(130)에는 상기 연성 꼭지(2)와 밀착됨과 아울러 걸리도록 걸림부재(13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결합부(140)에는 상기 우유병 몸체(1)의 상단면과 밀폐시킬 수 있도록 실링(16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실링(160)은 상기 제 2 결합부(140)에 형성된 실링홈(141)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우유병 몸체(1)의 상단부내에는 상기 공기 흡입 장치(100)의 하단면과 접촉됨과 아울러 지지되도록 지지턱(15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의한 공기 흡입 장치를 구비한 우유병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과 같이, 공기 흡입 장치(100)는 공기 유입관(110)과, 우유 이동홀(120)과, 제 1, 2 결합부(130)(140)로 이루어진다.
도 4와 같이, 상기 제 2 결합부(140)를 상기 우유병 몸체(1)의 상단에 결합한다. 이때, 상기 제 2 결합부(140)에는 상기 우유병 몸체(1)의 상단면과 밀폐시키는 실링(160)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실링(160)에 의해 상기 우유병 몸체(1)와 결합됨과 동시에 밀폐된다.
도 6과 같이, 상기 실링(160)은 상기 제 2 결합부(140)에 형성된 실링홈(141)에 장착한다. 상기 제 2 결합부(140)가 상기 우유병 몸체(1)의 상단에 결합 되면, 상기 우유병 몸체(1)내에 구비된 지지턱(150)에 의해 상기 제 2 결합부(140)가 걸려서 지지된다.
도 5 및 도 6과 같이, 연성 꼭지(2)와 결합 고정된 고정 프레임(3)을 상기 우유병 몸체(1)의 상단에 나사체결하여 고정한다.
이때, 도 6과 같이, 상기 제 1 결합부(130)와 상기 연성 꼭지(2)의 하단면이 결합된다.
상기 제 1 결합부(130)에는 상기 연성 꼭지(2)와 밀착됨과 아울러 걸리도록 걸림부재(13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연성 꼭지(2)의 상단면과 밀착됨과 아울러 상기 걸림부재(131)에 의해 걸려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도 6과 같이, 상기 고정 프레임(3)과 상기 연성 꼭지(2)를 지나 외부 공기(A1)가 유입되면, 상기 공기 유입관(110)을 통해 상기 외부 공기(A1)가 상기 우유병 몸체(1)내로 유입된다.
도 7과 같이, 상기 공기 유입관(110)을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A1)는 상기 우유병 몸체(1)내에 채워진 우유와 함께 우유 이동홀(120)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연성 꼭지(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공기 유입관(110)은 " T " 형상의 관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기존에 다수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진 공기 흡입 장치 대신 각각의 부품들을 일체로 형성된 본원 발명을 구성함으로써, 조립시간 단축 및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에 의한 공기 흡입 장치를 구비한 우유병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8 내지 도 14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 도 9 및 도 10과 같이, 공기 흡입 장치(100)는 우유 이동홀(120)과, 제 1, 2 결합부(130)(14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밸브(200)로 이루어진다.
도 11과 같이, 상기 제 2 결합부(140)를 상기 우유병 몸체(1)의 상단에 결합한다. 이때, 상기 제 2 결합부(140)에는 상기 우유병 몸체(1)의 상단면과 밀페시키는 실링(160)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실링(160)에 의해 상기 우유병 몸체(1)와 결합됨과 동시에 밀폐된다. 상기 실링(160)은 상기 제 2 결합부(140)에 형성된 실링홈(141)에 장착한다.
도 9 및 도 10과 같이, 상기 제 2 결합부(140)의 이웃한 위치에는 상기 원통형의 공기 밸브(200)들을 구성한다. 상기 공기 밸브(200)들은 상기 제 2 결합부(140)에 형성된 장착홀(140a)내에 장착된다.
도 12 및 도 14와 같이, 상기 공기 밸브(200)의 하부에는 상기 밸브(200)의 원주 둘레를 따라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이부(201a)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공기 밸브(200)가 상기 장착홀(140a)내로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걸이부(201a)에 의해 걸려 고정된다. 이때, 상기 공기 밸브(200)의 상부에는 지지 부재(201b)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 부재(201b)는 상기 걸이부(201a)에 의해 상기 공기 밸브(200)를 장착홀(140a)에 결합시킴과 동시에 그 상태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1과 같이, 상기 공기 흡입 장치의 우유 이동홀(120)과 연결되는 연결 관(400)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관(400)의 하부 끝단에는 상기 연결관(400)을 고정시킴과 아울러 위치를 유지시키는 위치 유지부(500)가 구비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 2 결합부(140)가 상기 우유병 몸체(1)의 상단에 결합되면, 상기 우유병 몸체(1)내에 구비된 지지턱(150)에 의해 상기 제 2 결합부(140)가 걸려서 지지된다. 연성 꼭지(2)와 결합 고정된 고정 프레임(3)을 상기 우유병 몸체(1)의 상단에 나사체결하여 고정한다. 이때, 상기 제 1 결합부(130)와 상기 연성 꼭지(2)의 하단면이 결합된다. 상기 제 1 결합부(130)에는 상기 연성 꼭지(2)와 밀착됨과 아울러 걸리도록 걸림부재(13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연성 꼭지(2)의 상단면과 밀착됨과 아울러 상기 걸림부재(131)에 의해 걸려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도 11 및 도 12와 같이, 상기 고정 프레임(3)과 상기 연성 꼭지(2)를 지나 외부 공기(A1)가 유입되면, 상기 제 2 결합부(140)에 구비된 공기 밸브(200)로 상기 외부 공기(A1)가 유입된다.
도 12와 같이, 상기 공기 밸브(200)의 몸체(201)의 중심부에는 상기 공기 유입홈(21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공기 유입홈(210)으로 상기 외부 공기(A1)가 유입된다. 이때, 상기 공기 유입홈(210)의 하부에는 상기 외부 공기(A1)를 상기 우유병 몸체(1)내로 조절하여 공급할 수 있게 개폐시키는 제 1 역지 밸브(20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공기 유입홈(210)을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A1)는 상기 제 1 역지 밸브(202)에 의해 공기량이 조절되어 상기 우유병 몸체(1)내로 유입된다.
도 11과 같이, 상기 공급된 공기는 상기 우유병 몸체(1)내에 채워진 우유와 함께 상기 위치 유지부(500)의 이동홀(501)을 지나 상기 연결관(400)을 통해 우유 이동홀(120)로 이동하여 상기 연성 꼭지(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도 13과 같이, 상기 우유병 몸체(1)내에 고온의 우유로 인해 가스(A2)가 발생되고, 상기 가스(A2)의 압력이 높아지면, 상기 가스(A2)는 상기 공기 밸브(200)의 가스 배출홈(220)으로 이동하여 상기 가스(A2) 압력에 따라서 상기 제 2 역지 밸브(203)가 개폐되어 외부로 배출시킨다.
상기와 같이, 우유병 몸체(1)내로 외부 공기(A1)량을 조절하고, 상기 몸체(1)내에 발생된 우유의 가스(A2)를 배출시킴으로써, 유아의 우유 섭취가 용이하고, 일체로 구성된 공기 흡입 장치(100)로 인해 우유병 몸체(1)와 분리가 간편하여 세척이 용이하다.
또한, 도 15 및 도 16과 같이, 공기 흡입 장치(100)를 우유병이외에 다른 음료병에 결합시킨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음료병(600)에 장착되는 고정 프레임(3b)에 상기 공기 흡입 장치의 공기 밸브(200)를 장착하고, 이 상태에서, 상기 고정 프레임(3b)의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홀(800)에 음료를 배출시키는 음료 배출관(700)을 관통 결합시킨다. 상기 음료 배출관(700)은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 상태에서, 상기 음료병(600)내에 채워진 음료를 상기 음료 배출관(700)을 통해 흡입하면, 상기 공기 밸브(200)의 제 1, 2 역지 밸브(202)(203)가 작동하여 상기 음료 배출관(700)을 통해 공기와 함께 적당량의 음료을 배출시킨다.
또한, 도 17 및 도 18과 같이, 공기 흡입 장치(100)를 우유병이외에 또 다른 음료병에 결합시킨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음료병(600)의 상부에는 회전에 따라서 음료 배출관(700)의 입구(701)를 구부리거나 휘게하는 회전 캡(900)이 구비하고, 상기 회전 캡(900)의 이웃한 위치에는 상기 공기 흡입 장치(100)의 공기 밸브(200)가 장착되고, 상기 회전 캡(900)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공기 밸브(200)의 공기 유입홈(210)을 개폐시키는 밸브 개폐부(90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음료병(600)을 미사용시에는 상기 회전 캡(900)이 닫쳐 있고 이와 동시에 상기 회전 캠의 캡 개폐부(901)가 상기 공기 밸브의 공기 유입홈을 막고 있다. 이때, 상기 음료 배출관(700)의 입구(701)는 구부려 있다.
상기 음료병(600)을 사용시에는 상기 회전 캡(900)를 회전 시킴과 동시에 상기 밸브 개폐부(901)도 회전하여 상기 공기 밸브(200)의 공기 유입홈(210)을 개방하고, 이때, 상기 음료 배출관(700)의 입구(701)는 펼쳐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배출관를 통해 상기 음료병(600)내에 음료를 섭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음료병은 쥬스병, 및 청량 음료병등과 같은 종류병을 말한다.
또한, 도 19 내지 도 22와 같이, 공기 흡입 장치(100)를 우유병이외에 또 다른 음료병에 결합시킨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음료병(600)의 상부에는 회전에 따라서 음료 배출관(700)의 입구(701)를 구부리거나 휘게하는 회전 캡(900)이 구비하고, 상기 회전 캡(900)의 이웃한 위치에는 상기 공기 흡입 장치(100)의 공기 밸브(200)가 장착된다.
도 20과 같이, 상기 공기 밸브(200)와 상기 회전 캡(900)의 사이에는 상기 회전 캡(900)의 회전에 따라서 힌지축(B1)에 의해 회전함과 아울러 상기 공기 밸브(200)의 공기 유입홈(210)을 개폐시키는 회전 밸브 개폐부(1000)가 구비되어 있다.
도 20 내지 도 22와 같이, 상기 회전 밸브 개폐부(1000)는 회전 커버(1001)와, 커버 힌지 장치(1002)와, 캡 접촉부(1003)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 커버(1001)는 상기 공기 밸브(200)와 공기 유입홈(210)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공기 유입홈(210)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 힌지 장치(1002)는 상기 힌지축(B1)을 제공하고, 상기 회전 커버(1001)를 상기 힌지축(B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회전 커버(1001)의 일단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캡 접촉부(1003)는 상기 회전 캡(900)이 회전함에 따라서 상기 회전 커버(1001)와 접촉됨과 아울러 다시 상기 회전 커버(1001)를 회전시켜 상기 공기 유입홈(210)을 막게 하도록 상기 회전 커버(1001)의 타일단에 구비되어 있다.
도 20과 같이, 상기 음료병(600)을 미사용시에는 상기 회전 캡(900)이 닫쳐 있고 이와 동시에 상기 공기 밸브(200)의 공기 유입홈(210)은 상기 회전 밸브 개폐부(1000)의 회전 커버(1001)가 막고 있다. 이때, 상기 음료 배출관(700)의 입구(701)는 구부려 있다.
도 21 및 도 22와 같이, 상기 음료병(600)을 사용시에는 상기 회전 캡(900)를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 밸브 개폐부(1000)의 회전 커버(1001)도 상기 커버 힌지 장치(1002)에 의해 힌지축(B1)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회전 커버(1001)가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상기 공기 밸브(200)의 공기 유입홈(210)이 개방된다. 이때, 상기 음료병(600)내에 있던 음료 가스가 상기 공기 유입홈(21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외부 공기는 유입된다.
이 상태에서, 도 22와 같이, 상기 회전 캡(900)을 90도로 완전히 회전시키 면, 상기 회전 캡(900)의 일단이 상기 회전 커버(1001)의 타일단에 구비된 캡 접촉부(1003)와 접촉됨과 아울러 밀고, 이때, 상기 회전 커버(1001)는 다시 커버 힌지 장치(1002)의 힌지축(B1)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공기 유입홈(210)을 막는다.
상기 음료 배출관(700)의 입구(701)는 펼쳐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배출관를 통해 상기 음료병(600)내에 음료를 섭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음료병은 쥬스병, 및 청량 음료병등과 같은 종류병을 말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 예에 의한 공기 흡입 장치를 구비한 우유병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23 내지 도 29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3과 같이, 공기 흡입 장치(2000)는 공기 유입관(110)과, 우유 이동홀(120)과, 제 1, 2 결합부(2001)(2002)로 이루어진다.
도 24 및 도 25와 같이, 상기 제 1 결합부(2001)에는 상기 우유병 몸체(1)내로 외부의 공기를 안내하는 공기 유입홀(2001a)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결합부(2001를 상기 우유병 몸체(1)의 상단면에 결합한다. 이때, 상기 제 2 결합부(2001)에는 상기 우유병 몸체(1)과 밀폐시키는 실링(160)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실링(160)에 의해 상기 우유병 몸체(1)내에 결합됨과 동시에 밀폐된다.
도 25와 같이, 상기 실링(160)에 형성된 실링 밀폐부(161)와 상기 우유병 몸체(1)가 서로 접촉되어 밀폐된다.
도 25 및 도 27과 같이, 상기 실링(160)은 상기 제 2 결합부(2002)에 형성된 실링홈(141)에 장착한다. 상기 제 1 결합부(2001)에 형성된 걸림턱(2001b)이 상기 우유병 몸체(1)의 상단면에 걸림과 동시에 상기 제 2 결합부(140)의 실링이 밀폐된다. 연성 꼭지(2)와 결합 고정된 고정 프레임(3)을 상기 우유병 몸체(1)의 상단에 나사체결하여 고정한다. 이때, 상기 제 1 결합부(2001)와 상기 연성 꼭지(2)의 하단면이 결합된다. 상기 제 1 결합부(2001)에는 상기 연성 꼭지(2)와 밀착된다.
이 상태에서, 도 24 및 도 26과 같이, 상기 고정 프레임(3)과 상기 연성 꼭지(2)를 지나 외부 공기(A1)가 유입되면, 상기 제 1 결합부(2001)에 형성된 공기 유입홀(2001a)을 통해 상기 공기 유입관(110)을 지나 상기 외부 공기(A1)가 상기 우유병 몸체(1)내로 유입된다.
도 25와 같이, 상기 공기 유입관(110)을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A1)는 상기 우유병 몸체(1)내에 채워진 우유와 함께 우유 이동홀(120)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연성 꼭지(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우유를 먹은 만큼 우유병 내부를 공기로 채워서 우유병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이는 유아가 우유를 원활히 먹을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배출되는것은 우유만 나오고 공기는 나오지 않는다 왜냐하면 병이 거꾸로 서있으니까 중력에 따라 우유는 밑에 있고 공기는 위에 떠 있게 되므로 유아는 언제나 우유만 먹게 된다.
여기서, 도 28 및 도 29와 같이, 상기 제 2 결합부(2002)의 실링이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실링(160)에는 상기 우유병 몸체(1)와 접촉되어 밀폐시키는 실링 밀폐부(16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링 밀폐부(162)는 다수개로 형성하여 상기 우유병 몸체(1)와 상기 공 기 흡입 장치(2000)의 밀폐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공기 흡입 장치를 구비한 우유병는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 흡입 장치를 구비한 우유병에 의하면,
외부 공기를 우유병 내로 유출입시키는 유입관 및 이동홀을 일체로 형성한 공기 흡입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제품의 부품수를 줄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뿐만 아니라 조립시간을 줄일 수 있고, 또한, 여러 종류의 꼭지와 결합이 용이한 결합부를 일체로 구성한 공기 흡입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의 우유병 및 꼭지에 사용가능하며, 우유병 이외에 다른 음료병에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적당한 양으로 먹을 수 있게 배출시키는 공기 밸브를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의 음료병에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우유를 흡입하기 위하여 물게되는 연성 꼭지와, 상기 우유가 채워지는 우유병 몸체와, 상기 연성 꼭지를 우유병에 누설이 방지되게 고정시키는 고정 프레임으로 구성된 공기 흡입 장치를 구비한 우유병에 있어서,
    상기 우유병 몸체내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 유입관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와 함께 상기 우유를 상기 연성 꼭지로 이동시키는 우유 이동홀이 형성되며, 상기 공기 유입관과 상기 우유 이동홀은 서로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공기 유입관의 상부에는 상기 연성 꼭지와 결합되는 제 1 결합부가 제공되며, 상기 공기 유입관의 하부에는 상기 우유병 몸체와 결합됨과 아울러 밀폐시키는 제 2 결합부가 제공되고,
    상기 제 1 결합부에는 상기 연성 꼭지와 밀착됨과 아울러 걸리도록 걸림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결합부에는 상기 우유병 몸체 상단면에 결합됨과 아울러 밀폐시키는 실링을 구비하고, 상기 실링은 상기 제 2 결합부에 형성된 실링홈에 장착되며,
    상기 우유병 몸체의 상단부내에는 상기 공기 흡입 장치의 하단면과 접촉됨과 아울러 지지 되는 지지턱이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흡입 장치를 구비한 우유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관은 " T " 형상의 관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흡입 장치를 구비한 우유병.
  3. 삭제
  4. 우유를 흡입하기 위하여 물게되는 연성 꼭지와, 상기 우유가 채워지는 우유병 몸체와, 상기 연성 꼭지를 우유병에 누설이 방지되게 고정시키는 고정 프레임으로 구성된 공기 흡입 장치를 구비한 우유병에 있어서,
    상기 우유병 몸체내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 유입관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와 함께 상기 우유를 상기 연성 꼭지로 이동시키는 우유 이동홀이 형성되며, 상기 공기 유입관과 상기 우유 이동홀은 서로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연성 꼭지와 결합되는 제 1 결합부가 제공되고, 상기 우유병 몸체와 결합됨과 아울러 밀폐시키는 제 2 결합부가 제공되며,
    상기 제 2 결합부의 이웃한 위치에는 외부의 공기를 안내하는 공기 유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 유입홈을 통해 유입된 공기량을 조절하며, 상기 우유병 몸채내에 고온의 우유로 인해 발생되는 압력 가스를 외부로 배출가능하도록 가스 배출홈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밸브가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흡입 장치를 구비한 우유병.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합부의 이웃한 위치에는 상기 공기 밸브를 장착할 수 있는 장착홀이 더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흡입 장치를 구비한 우유병.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밸브는, 상기 공기 유입홈 및 상기 가스 배출홈이 형성된 밸브 몸체와,
    상기 공기 유입홈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 유입홈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상기 우유병 몸체내로 조절하여 공급할 수 있게 개폐되는 제 1 역지 밸브와,
    상기 밸브 몸체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우유병 몸체내에 담겨진 고온의 우유로 인해 발생된 가스의 압력을 상기 몸체의 내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개폐되는 제 2 역지 밸브가 더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흡입 장치를 구비한 우유병.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밸브는 캡형상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기 밸브의 하부에는 상기 장착홀에 결합됨과 동시에 걸려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공기 밸브의 원주 둘레를 따라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이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공기 밸브의 상부에는 상기 걸이부에 의해 상기 밸브를 장착홀에 결합시킴과 동시에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기 밸브의 원주 둘레를 따라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 부재가 더 형성되며,
    상기 공기 유입홈은 상기 밸브 몸체의 중심부에 형성되고, 상기 가스 배출홈은 상기 공기 밸브의 하부 외측면 둘레를 따라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제공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흡입 장치를 구비한 우유병.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흡입 장치의 하부에는 상기 공기 흡입 장치의 우유 이동홀과 연결되는 연결관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관의 일단에는 상기 연결관을 고정시킴과 아울러 위치를 유지시키는 위치 유지부가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흡입 장치를 구비한 우유병.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밸브는 음료병에도 장착가능하고,
    상기 음료병에 결합되는 고정 프레임의 중심에는 음료 배출관과 관통 결합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공기 밸브는 회전 캡이 구비된 음료병에도 장착가능하고,
    상기 회전 캡에는 상기 회전 캡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공기 밸브의 공기 유입홈을 개폐시키는 밸브 개폐부가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흡입 장치를 구비한 우유병.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밸브와 상기 회전 캡의 사이에는 상기 회전 캡의 회전에 따라서 힌지축에 의해 회전함과 아울러 상기 공기 밸브의 공기 유입홈을 개폐시키는 회전 밸브 개폐부가 더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흡입 장치를 구비한 우유병.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밸브 개폐부는, 상기 공기 밸브의 공기 유입홈을 개폐시키는 회전 커버와,
    상기 회전 커버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힌지축을 제공하며, 상기 회전 커버를 상기 힌지축에 의해 회전 가능 하게 하는 커버 힌지장치와,
    상기 회전 커버의 타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 캡이 회전함에 따라서 상기 회전 커버와 접촉됨과 아울러 다시 회전시켜 개방된 상기 공기 유입홈을 막게 하는 캡 접촉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흡입 장치를 구비한 우유병.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060115859A 2005-11-23 2006-11-22 공기 흡입 장치를 구비한 우유병 KR1008328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2410 2005-11-23
KR20050112410 2005-11-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4575A KR20070054575A (ko) 2007-05-29
KR100832878B1 true KR100832878B1 (ko) 2008-05-28

Family

ID=38276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5859A KR100832878B1 (ko) 2005-11-23 2006-11-22 공기 흡입 장치를 구비한 우유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28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8310A (ko) * 2018-07-16 2020-01-28 하은주 음료용기용 빨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15015967A2 (pt) * 2013-01-10 2017-07-11 Handi Craft Co conjunto de garrafa de configuração dual
US10166172B2 (en) 2013-07-10 2019-01-01 Handi-Craft Company Dual configuration bottle assembl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4005U (ko) * 1990-08-06 1992-03-25 손해원 젖병
US5458302A (en) * 1994-05-09 1995-10-17 Volkoff; George B. Nursing bottle holder
KR20030091620A (ko) * 2002-06-07 2003-12-03 박진수 통기성 젖병
KR20050023113A (ko) * 2003-08-29 2005-03-09 편성환 유아용 우유병의 공기 흡입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4005U (ko) * 1990-08-06 1992-03-25 손해원 젖병
US5458302A (en) * 1994-05-09 1995-10-17 Volkoff; George B. Nursing bottle holder
KR20030091620A (ko) * 2002-06-07 2003-12-03 박진수 통기성 젖병
KR20050023113A (ko) * 2003-08-29 2005-03-09 편성환 유아용 우유병의 공기 흡입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8310A (ko) * 2018-07-16 2020-01-28 하은주 음료용기용 빨대
KR102165020B1 (ko) * 2018-07-16 2020-10-13 하은주 음료용기용 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4575A (ko) 2007-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37862B (en) Feeding bottle
CN101657360A (zh) 用于防溢出饮料容器的盖子
US20070262041A1 (en) Bottle Assembly and a Vent Device Therefor
KR20070011385A (ko) 음료 용기용 배출 장치와, 음료 용기 및 그의 형성 방법
JP2010523257A (ja) 幼児用哺乳瓶
CN101730492A (zh) 涉及饮用器皿的发明
KR100832878B1 (ko) 공기 흡입 장치를 구비한 우유병
CN109803628A (zh) 用于喂送瓶装置的分隔构件和喂送瓶装置
KR101894739B1 (ko) 젖병
US20150320644A1 (en) Nursing bottle nipple and air-venting system
ES2306017T3 (es) Vaso con una valvula para zumo.
JP2006230731A (ja) 飲料容器
CN106456448A (zh) 通气液体容器
KR100415948B1 (ko) 유아용 우유병
CN1930045B (zh) 饮料容器,排气系统及方法
KR101705534B1 (ko) 수유용 젖병
TWI792191B (zh) 通氣裝置、蓋體以及包括該蓋體的容器
KR102573898B1 (ko) 유아용 젖병의 이물질 분리장치
JP2011131052A (ja) 二開口式哺乳瓶
KR100555371B1 (ko) 유아용 우유병의 공기 흡입 장치
KR100591535B1 (ko) 젖병용 통기 장치
RU165986U1 (ru) Поильник-непроливайка
KR100549467B1 (ko) 기능성 젖병
KR100511386B1 (ko) 공기 흡입 통로가 제공된 유아용 우유병
KR200332520Y1 (ko) 수유가 용이한 아기 젖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