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3898B1 - 유아용 젖병의 이물질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유아용 젖병의 이물질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3898B1
KR102573898B1 KR1020210017588A KR20210017588A KR102573898B1 KR 102573898 B1 KR102573898 B1 KR 102573898B1 KR 1020210017588 A KR1020210017588 A KR 1020210017588A KR 20210017588 A KR20210017588 A KR 20210017588A KR 102573898 B1 KR102573898 B1 KR 102573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nipple
opening
separation cup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7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4286A (ko
Inventor
하인숙
양진석
Original Assignee
양진석
하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진석, 하인숙 filed Critical 양진석
Priority to KR1020210017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3898B1/ko
Publication of KR20220114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4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3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3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075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4Teats with means for fastening to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유 과정 시 아이 입속의 이물질이 젖병 내부로 역류되어 유입되는 것을 차단 및 분리하고, 이에 분리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처리하고 세척할 수 있도록 한 유아용 젖병의 이물질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개폐막부가 안착 결합되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의 상부 둘레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유입공과, 상기 용기부 상단 둘레에 수평으로 형성되어 본체부의 상단에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기공과, 용기부의 상단 둘레에 수직으로 일정길이 돌출 형성된 상단 돌기부와, 상기 용기부의 저면에 형성된 결합공으로 이루어진 분리컵부; 및 상기 분리컵부의 용기부 내부에 밀착 결합되는 개폐부와, 상기 개폐부의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분리컵부의 결합공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돌기로 이루어진 개폐막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유아용 젖병의 이물질 분리장치{Separating device for foreign substances in infant bottle}
본 발명은 유아용 젖병의 이물질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유 과정 시 아이 입속의 침 또는 구토물(이하 '이물질' 이라함)이 젖병 내부로 역류되어 유입되는 것을 차단 및 분리하고, 이에 분리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처리하고 세척할 수 있도록 한 유아용 젖병의 이물질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용 젖병은 분유나 우유가 담겨지는 용기와, 상기 용기 상부에 체결되는 유연한 실리콘 재질의 젖꼭지부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유아용 젖병의 수유 과정을 살펴보면, 아이가 젖꼭지를 물고 빨 때 호흡을 하거나 구토를 하는 경우가 발생되면 아이의 입안에 있던 이물질이 젖꼭지를 통해 용기 내부로 역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발생되어 용기 내부로 역류된 이물질은 용기에 담겨진 내용물(분유나 우유 등)의 오염이나 변질을 초래할 수 있어 아이의 위생과 청결에 큰 문제점을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한국등록특허 10-1894739(이하 '선행기술' 이라 함)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선행기술 젖병은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10)와, 상기 용기(10)의 내용물이 배출되는 유입구(202)를 형성하고 용기(10) 입구(101)에 설치하여 용기(10)와 분리되게 내용물을 보관하는 분리컵(20)과, 상기 분리컵(20) 내부에 설치하여 상기 유입구(202)를 개폐하는 밸브체(30)와, 상기 용기(10) 내부의 내용물이 배출되는 젖꼭지(40)와, 상기 젖꼭지(40)를 탈부착 가능케 고정하는 결합링(50)을 포함한다.
상기 분리컵(20)은 상기 용기(10)의 입구(101)에 설치하여 용기(10)와 분리되게 내용물을 보관하기 위하여 상부에는 상기 용기(10)의 안착홈(102)에 안착되는 안착부(201)를 형성하고, 안착부(201)의 하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주벽에는 상기 용기(10) 내부의 내용물이 통과하는 유입구(202)를 형성하며, 바닥판에는 결합공(203)이 구비된다.
상기 안착부(201)는 용기(10)의 안착홈(102)에 긴밀하고 안정적으로 밀착되도록 환상의 플랜지 형태로 형성되며, 수직으로 천공된 호형의 연결공(204)을 사방에 방사형으로 형성하여, 안착부(201)의 상부에 고정되는 젖꼭지(40)에 형성된 통기공(403)과 상기 연결공(204)이 연통되게 함으로써 아이가 젖꼭지(40)를 빠는 압력에 의해 용기(10)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면, 용기(10) 내부와 이어진 연결공(204)과 연통되는 젖꼭지(40)의 통기공(403)을 통해 외부 공기가 흡입되어 용기(10) 내부로 유입되게 함으로써 용기(10) 내부의 압력이 점진적으로 증가되게 하여 용기(10) 내부의 내용물이 젖꼭지(40)를 통해 쉽게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젖꼭지(40)의 통기공(403)을 통해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연결공(204)을 통해 용기(10) 내부로 유입될 때, 외부공기의 유입경로를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분리컵(20)의 주벽 외경은 용기(10)의 입구(101) 내경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입구(202)는 분리컵(20)의 주벽에 적어도 하나 이상을 방사형으로 형성하되, 유입구(202)의 형상은 상부의 폭이 넓고 하부의 폭이 좁은 상광 하협 형태로 형성한다.
상기 밸브체(30)는 유연성과 탄성을 동시에 가진 실리콘 재질로, 상기 분리컵(20) 내부에 설치하여 상기 유입구(202)를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유입구(202)를 개폐하는 개폐막(301)을 형성하고, 중심부에는 상기 용기(10) 내부로 공기 유입이 가능케 하는 에어벤트(303)를 구비한 기둥체(302)를 형성하며, 상기 결합공(20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개폐막(301)은 유연성을 가지는 실리콘 재질로 상기 용기(10) 내부와 분리컵(20) 내부의 압력 변화에 의해 분리컵(20)의 내면에서 부분적으로 이격되거나 흡착되면서 분리컵(20)의 유입구(202)를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기둥체(302)의 에어벤트(303)는 용기(10) 내부와 분리컵(20) 내부의 압력 변화에 의해 에어벤트(303)가 순간적으로 벌어지면서 공기 유입이 이루어지다가, 압력 변화가 없으면 탄성에 의해 벌어졌던 에어벤트(303)가 저절로 닫힘으로써 공기의 소통뿐만 아니라, 용기(10) 내부에 담긴 내용물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젖꼭지(40)는 용기(10)의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공(401)과, 상기 용기(10)의 입구(101)와 분리컵(20)의 안착부(201) 상면에 안착되는 환상의 하판(402)과, 용기(10)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면 외부 공기가 용기 내부로 유입되도록 젖꼭지(40)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통기공(403)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선행기술 젖병의 작동 및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수유를 위해 용기(10)에 분유 등을 넣어주고 밸브체(30)의 결합부(304)가 결합공(203)에 삽입 결합된 분리컵(20)을 상기 용기(10)의 상단에 삽입 결합하고 이어서 젖꼭지(40)가 결합된 결합링(50)을 상기 용기(10)의 상단 수나사부(103)에 체결하여 준다.
이와 같은 도 3의 상태(용기 내부에 내용물이 있다고 가정)에서, 젖꼭지(40)가 아래로 향하도록 용기(10)를 기울이면 용기(10) 내부의 내용물은 용기(10)의 입구(101) 쪽으로 향하게 된다.
이때 용기(10) 입구(101)에는 분리컵(20)이 설치되어 있고, 분리컵(20)의 유입구(202)는 밸브체(30)에 의해 폐쇄되어 있어 용기(10) 내부의 내용물은 젖꼭지(40) 부위로 이동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4과 같이 아이가 젖꼭지(40)를 빨면, 흡입력에 의해 젖꼭지(40) 내부 압력이 낮아지게 되고 이에 연통된 분리컵(20)의 내부 압력도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분리컵(20)과 용기(10) 내부와 압력 차이가 발생되고, 상대적으로 압력이 높은 용기(10) 내부의 공압으로 상기 분리컵(20)의 유입구(202)를 막고 있던 밸브체(30)의 개폐막(30)이 개방되면서, 용기(10)의 내용물이 유입구(202)를 통과하여 젖꼭지(40)로 향하게 되고 배출공(401)을 통해 아이의 입안으로 흡입되어 진다.
또한 이와 같은 수유 시, 아이의 구강 흡입력의 의해 수유가 진행됨과 동시에 용기(10) 내부의 압력이 일시적으로 낮아지면, 분리컵(20)의 안착부(201)에 형성된 연결공(204)과 연통된 젖꼭지(40)의 통기공(403)이 일시적으로 개방(A부분)되면서 외부공기가 용기(10)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용기(10) 내부 압력을 조절해주어 수유동작이 원활해지도록 하여준다.
한편, 이와 같은 수유 도중 아이가 젖꼭지(40)를 빠는 행위를 멈추거나, 또는 용기(10)를 바르게 세우면서 도 5에서와 같이 용기(10) 내부와 분리컵(20) 내부의 압력 변화에 의해 분리컵(20)의 유입구(202)를 개방시켰던 개폐막(301)이 탄성에 의해 원위치 되면서 유입구(202)를 폐쇄하여 줌으로써, 용기(10) 내부와 분리컵(20)의 내부 공간은 서로 독립된 공간이 된다.
따라서 수유 동작이 중단되는 경우, 수유 중 발생되는 아이의 침이나 구토물과 같은 이물질이 젖꼭지(40) 내부로 유입되더라도, 유입된 이물질은 분리컵(20)에 수용되어 용기(10) 내부의 내용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추후 상기 분리컵(20)은 용기(10)로부터 분리하여 세척하고 재사용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선행기술은 종래의 젖병이 가지고 있던 문제점을 크게 개선하였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첫째, 분리컵(20)을 용기(10)에 삽입 장착하고 결합링(50)으로 체결하는 과정에서, 도 3에서와 같이 젖꼭지(40)의 통기공(403)과 연통되는 A부위가 상기 분리컵(20)의 안착부(201)에 다수개 형성된 연결공(204)과 연결공(204) 사이의 개방되지 않은 부위에 위치하면 공기가 통할 수 없는 구조가 되어, 결합링(50) 체결 시 위치를 조절해 주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분리컵(20)을 용기(10)에 삽입하고 결합링(50) 체결 시, 안착부(201)의 연결공(204)과 젖꼭지(40)의 통기공(403)과 연통되는 A부위가 일치 되더라도, 상기 A부위는 에어벤트로 어느 정도 유격이 있어야 개폐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데, 상기 안착부(201)의 연결공(204)과 젖꼭지(40)의 통기공(403)이 서로 접촉되는 구성으로 공기의 유출입이 원할하지 않게 되는 구조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10-1894739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유 과정 시 아이 입속의 침 또는 구토물이 젖병 내부로 역류되어 유입되는 것을 차단 및 분리하고, 이에 분리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처리하고 세척할 수 있도록 한 유아용 젖병의 이물질 분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행기술(한국등록특허 10-1894739)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보다 정밀한 동작 구현으로 품질을 크게 향상시킨 유아용 젖병의 이물질 분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단부에 안착되는 젖꼭지부와, 상기 젖꼭지부를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결합 고정시켜주는 마개부를 포함하는 유아용 젖병에 적용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부의 상부 내측과 젖꼭지부 사이에 착탈 가능하도록 이물질 분리장치를 장착하되,
상기 이물질 분리장치는,
개폐막부가 안착 결합되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의 상부 둘레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유입공과, 상기 용기부 상단 둘레에 수평으로 형성되어 본체부의 상단에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기공과, 용기부의 상단 둘레에 수직으로 일정길이 돌출 형성된 상단 돌기부와, 상기 용기부의 저면에 형성된 결합공으로 이루어진 분리컵부; 및
상기 분리컵부의 용기부 내부에 밀착 결합되는 개폐부와, 상기 개폐부의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분리컵부의 결합공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돌기로 이루어진 개폐막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분리컵부와 개폐막부는 유연성을 가지는 실리콘 재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젖꼭지부는 유출공이 형성된 꼭지부와, 마개부의 장착공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홈과, 본체부의 상단부에 말착되는 밀착부와, 상기 밀착부의 일측으로 형성되는 에어벤트와, 상기 에어벤트로 유로를 형성하는 공기통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물질 분리장치는, 개폐막부가 안착 결합되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의 상부 둘레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유입공과, 상기 용기부 상단 둘레에 수평으로 형성되어 본체부의 상단에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기공과, 용기부의 상단 둘레에 수직으로 일정길이 돌출 형성된 상단 돌기부와, 상기 상단 돌기부의 외측으로 형성된 경사부와, 상기 용기부의 저면에 형성된 결합공으로 이루어진 분리컵부; 및
상기 분리컵부의 용기부 내부에 밀착 결합되는 개폐부와, 상기 개폐부의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분리컵부에 결합공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돌기로 이루어진 개폐막부로 구성되되,
상기 상단돌기부의 직경은 이에 대응되는 젖꼭지부의 내경보다는 작고, 상기 젖꼭지부와 분리컵부의 결합 시 상기 젖꼭지부의 내경을 이루는 단부가 상기 분리컵부의 상단돌기부의 경사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안착부에 형성된 통기공과 통기공 사이에는 유로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수유 과정 시 유아 입속의 침 또는 구토물이 젖병 내부로 역류되어 유입되는 것을 차단 및 분리하고, 이에 분리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처리하고 세척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한국등록특허 10-1894739)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보다 정밀한 동작 구현으로 품질을 크게 향상시킨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이물질 분리장치를 구비한 유아용 젖병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는 상기 도 1의 측단면도,
도 4 및 도 5는 상기 도 1의 작동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분리장치가 적용되는 젖병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적용되는 젖병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젖꼭지부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젖꼭지부 및 마개부의 결합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젖병의 이물질 분리장치의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분리장치와 본체부의 주요부분 결합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분리장치와 본체부, 젖꼭지부 및 마개부의 주요부분 결합 측단면도,
도 13 및 도 14는 상기 도 12의 동작 상태 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분리장치의 구성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분리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분리장치와 본체부, 젖꼭지부 및 마개부의 주요부분 결합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분리장치가 적용되는 젖병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적용되는 젖병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유아용 젖병의 이물질 분리장치(600)는,
분유나 우유와 같은 내용물이 저장되는 본체부(510)와, 상기 본체부(510)의 상단부에 안착되는 젖꼭지부(520)와, 상기 젖꼭지부(520)를 상기 본체부(510)의 상단에 결합 고정시켜주는 마개부(300)를 포함하는 유아용 젖병(500)에 적용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부(510)의 상부 내측과 젖꼭지부(520) 사이에 안착 결합되어 수유 과정에서 아이 입속의 이물질이 용기부(510) 내부로 역류되어 유입되는 것을 차단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젖꼭지부(520)는 유출공(522)이 형성된 꼭지부(521)와, 마개부(530)의 장착공(532)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홈(523)와, 본체부(510)의 상단부에 말착되는 밀착부(524)와, 상기 밀착부(524)의 일측으로 형성되는 에어벤트(525)와, 상기 에어벤트(525)로 유로를 형성하는 공기통로(526)으로 구성된다.
상기 젖꼭지부(520)는 도 9에서와 같이 마개부(530)의 장착공(531)에 결합 고정된다.
상기 젖꼭지부(520)는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이 아니며, 공지의 기술로서 특히 상기 에어벤트(525)는 도 8에서와 같이 체크밸브 형태로 구성되어 본체부(510)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면 개방되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여주고, 압력차가 발생되지 않으면 본체부(510)의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폐쇄(원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물질 분리장치(600)은 분리컵부(610)와 개폐막부(620)를 포함한다.
상기 분리컵부(610)는 개폐막부(620)가 안착 결합되는 용기부(611)와, 상기 용기부(611)의 상부 둘레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유입공(612)과, 상기 용기부(611) 상단 둘레에 수평으로 형성되어 본체부(510)의 상단에 안착되는 안착부(613)와, 상기 안착부(613)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기공(614)과, 용기부(611)의 상단 둘레에 수직으로 일정길이 돌출 형성된 상단 돌기부(615)와, 상기 용기부(611)의 저면에 형성된 결합공(616)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이며 선행기술과의 차이점은 상기 상단돌기부(615)의 형성이다.
상기 상단돌기부(615)는 후술하겠지만 이물질 분리장치(600)와 젖꼭지부(520) 사이에 일정 공간(G)을 안정되게 형성하여 주어 수유과정에 불편함이 없도록 하여주는 구성요소다.
상기 개폐막부(620)는 상기 분리컵부(610)의 용기부(611) 내부에 밀착 결합되는 개폐부(621)와, 상기 개폐부(621)의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분리컵부(610)의 결합공(616)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돌기(622)로 구성된다.
상기 분리컵부(610)와 개폐막부(620)는 유연성을 가지는 실리콘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이물질 분리장치(600)은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개폐막부(620)의 결합돌기(622)를 분리컵부(610)의 결합공(616)에 끼움 결합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이물질 분리장치(600)는 개폐막부(620)의 개폐부(621)가 용기부(610)의 유입공(612)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이물질 분리장치(600)의 조립 과정과 작동 및 작용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먼저, 이물질 분리장치(600)를 도 11에서와 같이 본체부(510)의 상단부에 안착시키고, 젖꼭지부(520)가 장착된 마개부(530)를 상기 본체부(510)의 체결부(511)에 체결 고정하여 준다.
여기서 상기 마개부(530)가 본체부(510)의 체결부(511)에 체결될 때, 상기 마개부(530)의 내측에 위치한 젖꼭지부(520)의 밀착부(524)는 하부에 장착된 이물질 분리장치(600)의 상단돌기부(615)에 의해 분리컵부(610)의 안착부(610)에 완전히 밀착되지 않게 되며, 상기 젖꼭지부(520)의 밀착부(524)와 분리컵부(610)의 안착부(613)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G)이 형성되어 진다.
상기 마개부(530)를 본체부(510)에 체결할 때 발생되는 상기 공간(G)은 매우 중요한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으로, 공기가 유통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물질 분리장치(600)가 젖병(500)에 장착 완료되고 수유를 개시하면 다음과 같다.
수유 과정은 젖병(500)을 들어 아래로 향하게 하고 아이가 꼭지부(521)를 빨면, 도 13에서와 같이(도면에는 기울어진 상태로 도시하지 않았음) 젖꼭지부(520)의 내부와 이와 연통된 이물질 분리장치(600)의 내부 공간의 압력이 낮아지게 되어, 본체부(510)의 내부 압력(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에 의해 이물질 분리장치(600) 개폐막부(620)의 개폐부(621)가 내부로 오그라들면서 용기부(620)의 유입공(612)을 개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부(510)의 내용물은 용기부(620)의 유입공(612)을 통과하고 젖꼭지부(520)의 유출공(522)을 통해 배출된다.
이와 같은 수유 중, 본체부(510)의 내부 압력이 일정기준 이하로 낮아지면 자칫 수유가 중단될 수 있으나, 이때 젖병(500) 외부의 압력(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에 의해 외부 공기가 젖꼭지부(520)에 형성된 공기통로(526) 및 에어벤트(525)를 통해 상기 공간(G)으로 유입되고, 상기 공간(G)으로 유입된 공기는 분리컵부(610)의 통기공(614)을 통해 본체부(510)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본체부(510)의 내부 압력이 정상화되어 다시 원활한 수유동작을 진행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수유 도중 아이가 젖꼭지부(520)를 빠는 행위를 멈추거나 또는 젖병(500)을 수직으로 세우는 경우, 젖꼭지부(520)의 내부와 이와 연통된 이물질 분리장치(600)의 내부 공간의 압력이 정상 압력으로 복귀되면서 도 15에서와 같이 이물질 분리장치(600) 개폐막부(620)의 개폐부(621)는 원위치되어 용기부(620)의 유입공(612)을 폐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유 동작 시나 중단 시 역류된 아이 입안의 이물질들은 젖꼭지부(520)를 통과하더라도 이물질 분리장치(600) 내부에 분리 수용되며, 본체부(510) 내부로는 유입되지 않게 된다.
이물질의 처리는 마개부(530)를 풀고 이물질 분리장치(600)를 본체부(510)로부터 분리한 후 처리 및 세척한 후 다시 사용하는 되는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분리장치의 구성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분리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분리장치와 본체부, 젖꼭지부 및 마개부의 주요부분 결합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분리장치(700)는,
분리컵부(710)와 개폐막부(720)로 구성되고,
상기 분리컵부(710)는 개폐막부(720)가 안착 결합되는 용기부(711)와, 상기 용기부(711)의 상부 둘레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유입공(712)과, 상기 용기부(711) 상단 둘레에 수평으로 형성되어 본체부(510)의 상단에 안착되는 안착부(713)와, 상기 안착부(713)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기공(714)과, 용기부(711)의 상단 둘레에 수직으로 일정길이 돌출 형성된 상단 돌기부(715)와, 상기 상단 돌기부(715)의 외측으로 형성된 경사부(715a)와, 상기 용기부(711)의 저면에 형성된 결합공(716)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특징은 상기 상단돌기부(715)와, 상기 상단돌기부(715)의 외측으로 형성된 경사부(715a)의 구성이다.
또한 상기 상단돌기부(715)의 직경은 이에 대응되는 젖꼭지부(520)의 내경보다는 작고, 상기 젖꼭지부(520)와 분리컵부(710)의 결합 시 상기 젖꼭지부(520)의 내경을 이루는 단부가 상기 분리컵부(710)의 상단돌기부(715)의 경사부(715a)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단돌기부(715) 및 경사부(715a)는 이물질 분리장치(700)와 젖꼭지부(520) 사이에 일정 공간(G)을 안정되게 형성하여 주어 수유과정에 불편함이 없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안착부(713)에 형성된 통기공(714)과 통기공(714) 사이에는 유로홈(714a)을 더 형성하여 공기 유통이 원활하도록 하여준다.
상기 개폐막부(720)는 상기 분리컵부(710)의 용기부(711) 내부에 밀착 결합되는 개폐부(721)와, 상기 개폐부(721)의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분리컵부(710)에 결합공(616)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돌기(722)로 구성된다.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분리장치(700)의 작용 효과는 전술한 본 발명 일실시예에 동일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한정된 실시예들을 설명한 것이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실시예가 예상됨을 당업자는 주의해야 한다.
510: 본체부 520: 젖꼭지부
530: 마개부 600,700: 이물질 분리장치
610,710: 분리컵부 611,711: 용기부
612,712: 유입공 613,713: 안착부
614,714: 통기공 615,715: 상단 돌기부
616,716: 결합공 715a: 경사부
620,720: 개폐막부 621,721: 개폐부
622,722: 결합돌기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단부에 안착되는 젖꼭지부와, 상기 젖꼭지부를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결합 고정시켜주는 마개부를 포함하는 유아용 젖병에 적용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부의 상부 내측과 젖꼭지부 사이에 착탈 가능하도록 이물질 분리장치를 장착하되,
    상기 이물질 분리장치는,
    개폐막부가 안착 결합되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의 상부 둘레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유입공과, 상기 용기부 상단 둘레에 수평으로 형성되어 본체부의 상단에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기공과, 용기부의 상단 둘레에 수직으로 일정길이 돌출 형성된 상단 돌기부와, 상기 상단 돌기부의 외측으로 형성된 경사부와, 상기 용기부의 저면에 형성된 결합공으로 이루어진 분리컵부; 및
    상기 분리컵부의 용기부 내부에 밀착 결합되는 개폐부와, 상기 개폐부의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분리컵부에 결합공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돌기로 이루어진 개폐막부로 구성되되,
    상기 상단돌기부의 직경은 이에 대응되는 젖꼭지부의 내경보다는 작고, 상기 젖꼭지부와 분리컵부의 결합 시 상기 젖꼭지부의 내경을 이루는 단부가 상기 분리컵부의 상단돌기부의 경사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젖병의 이물질 분리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에 형성된 통기공과 통기공 사이에는 유로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젖병의 이물질 분리장치.
KR1020210017588A 2021-02-08 2021-02-08 유아용 젖병의 이물질 분리장치 KR102573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588A KR102573898B1 (ko) 2021-02-08 2021-02-08 유아용 젖병의 이물질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588A KR102573898B1 (ko) 2021-02-08 2021-02-08 유아용 젖병의 이물질 분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286A KR20220114286A (ko) 2022-08-17
KR102573898B1 true KR102573898B1 (ko) 2023-09-04

Family

ID=83110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7588A KR102573898B1 (ko) 2021-02-08 2021-02-08 유아용 젖병의 이물질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38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8693B1 (ko) * 2023-02-09 2023-09-14 주식회사 디에스피앤피 실링지를 펀칭하여 편리한 개봉이 가능한 요구르트 전용 캡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744B1 (ko) * 2006-09-22 2008-02-01 양지훈 필터를 구비하는 젖병
KR100802646B1 (ko) 2006-09-22 2008-02-13 김성주 젖병용 분유여과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3698Y1 (ko) * 1989-05-19 1991-05-31 최주홍 우유병의 고무젖꼭지
KR20040045951A (ko) * 2002-11-26 2004-06-05 임방빈 위조방지용 병뚜껑
KR101894739B1 (ko) * 2016-12-21 2018-09-04 박상규 젖병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744B1 (ko) * 2006-09-22 2008-02-01 양지훈 필터를 구비하는 젖병
KR100802646B1 (ko) 2006-09-22 2008-02-13 김성주 젖병용 분유여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286A (ko) 202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47757B2 (ja) 哺乳瓶
US8113365B2 (en) Fully vented nursing bottle with single piece vent tube
US4723668A (en) Feeding bottle structure with value
US8640902B2 (en) Drinking container vent system and method
JP2008502436A (ja) 幼児ケア装置
KR101894739B1 (ko) 젖병
US20110155684A1 (en) Baby bottle and feeding system
KR102573898B1 (ko) 유아용 젖병의 이물질 분리장치
CN111655087A (zh) 饮用容器的饮用附接件和具有此附接件的饮用容器
CN109862864B (zh) 喂食瓶装置
WO2020113868A1 (zh) 奶瓶
KR100717077B1 (ko) 매직 젖병
JP2011131052A (ja) 二開口式哺乳瓶
KR20020046249A (ko) 매직 젖병
KR100555371B1 (ko) 유아용 우유병의 공기 흡입 장치
CA2714171C (en) Fully vented nursing bottle with single piece vent tube
KR200407904Y1 (ko) 빨대가 구비된 젖병
KR200328696Y1 (ko) 기능성 젖병
TWI638651B (zh) Anti-flatulence nipple structure
KR200433567Y1 (ko) 필터를 구비하는 젖병
KR200328699Y1 (ko) 젖병
JP4619514B2 (ja) 飲み口装置
KR200484185Y1 (ko) 젖병
JP2003250864A (ja) 哺乳瓶用管状キャップ
KR200294358Y1 (ko) 젖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