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8699Y1 - 젖병 - Google Patents

젖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8699Y1
KR200328699Y1 KR20-2003-0017697U KR20030017697U KR200328699Y1 KR 200328699 Y1 KR200328699 Y1 KR 200328699Y1 KR 20030017697 U KR20030017697 U KR 20030017697U KR 200328699 Y1 KR200328699 Y1 KR 2003286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milk
lower cap
cap
p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76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선목
Original Assignee
유선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선목 filed Critical 유선목
Priority to KR20-2003-00176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86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86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86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4Feeding-bottles in general with means for supplying 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가 우유를 섭취하는 젖병의 하부에 공기를 유입하는 장치를 하여 유아가 젖병의 우유를 섭취할 때 보다 쉽고 안전하게 섭취 할 수 있도록 한 젖병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본체와 통공이 형성된 하부캡으로 분리된 젖병에 있어서, 상기 하부캡의 내측 주면에 돌턱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와 상기 하부캡의 돌턱사이에 중앙에 십자 또는 일자형의 작은 절결부를 갖는 실리콘제의 패킹이 위치되게 구성하되, 상기 패킹은 중앙부에 삽입부를 형성하며, 상기 삽입부에는 중앙 상단부에 통공이 형성된 원추형의 보호캡이 삽입되어 구성하여 젖병의 우유가 밖으로 새지 않게 하고 항상 일정하고 적정한 공기가 젖병 안으로 공급되므로 유아가 우유를 쉽고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으며, 젖병이 분리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어 세척이 용이한 것이다.

Description

젖병{A nurser}
본 고안은 유아가 우유를 섭취하는 젖병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젖병의 하부에 공기를 유입하는 장치를 하여 유아가 젖병의 우유를 섭취할 때 보다 쉽고 안전하게 섭취하고, 공기를 유입하는 장치로 우유가 새지 않게 한 젖병에 관한 것이다.
젖병은 밀폐된 젖병 본체와 젖꼭지 및 캡으로 이루어져 있다. 기존의 젖병은아기가 젖꼭지를 빨 때 내부가 진공상태로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약간의 흡기가 이루어지도록 젖꼭지의 하단 일 측을 약간 변형시켜 틈이 형성되게 하고 있다. 그래서 아기가 젖꼭지를 빨면 캡의 눌림에 의하여 젖병 본체의 주둥이 입구에 밀착되어 있던 젖꼭지의 하단 중에서 변형된 부분이 살짝 들리면서 젖꼭지와 캡의 접촉면 사이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젖병 본체 내로 들어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젖병은 젖꼭지의 품질 및 캡과의 조립압력 여하에 따라 그 흡기 압력의 차이가 많기 때문에 아기가 적정한 압력으로 젖을 빨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와 같이 적정한 압력으로 젖을 빨지 못하게 되면 젖을 먹을 때 입으로 다량의 공기가 함께 들어가 배앓이를 하는 일이 잦게 되며, 지나치게 세게 빨 경우 젖꼭지와 젖병이 분리되는 경우가 생겨 우유를 섭취하는 유아에게 우유가 쏟아지는 상황이 발생 할 수 있고, 유아가 무리한 힘으로 우유의 흡입을 시도함으로써 귀에 무리가 생겨, 유아는 중이염 등을 앓게 되는 경우가 발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젖병에 공기 유입장치를 한 젖병이 개발되었으나 이 또한 유아가 우유를 섭취할 때 공기 유입 통로를 통하여 공기가 유입된 후 그 공기 유입 통로를 통하여 우유가 역류하는 일이 발생하며, 공기 유입통로 등의 세척을 위해서는 미세한 세척 도구 등을 이용하여 세척해야 하므로 세척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젖병의 하부에 공기가 유입되는 장치를 구성하여 유아가 적정한 압력으로 빨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우유의 섭취를 보다 쉽고 안전하게 섭취하고, 공기가 유입되는 장치로 우유가 새지 않도록 한 젖병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단면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체, 2: 하부캡,
3: 패킹, 4: 보호캡,
21: 흡입공, 22: 돌턱,
23: 방지벽, 31: 절결부,
32: 삽입부, 41: 통공
본 고안은 본체와 통공이 형성된 하부캡으로 분리된 젖병에 있어서, 상기 하부캡의 내측 주면에 돌턱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와 상기 하부캡의 돌턱사이에 중앙에 십자 또는 일자형의 작은 절결부를 갖는 실리콘제의 패킹이 위치되게 구성하되, 상기 패킹은 중앙부에 삽입부를 형성하며, 상기 삽입부에는 중앙 상단부에 통공이 형성된 원추형의 보호캡이 삽입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캡의 통공 주연에는 하부캡의 내측으로 내용물이 유출되지 않게 방지벽을 형성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젖병의 요지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젖병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젖병의 단면 설명도이다.
본 고안은 도 1의 도시와 같이 본체(1)와 흡입공(21)이 형성된 하부캡(2)으로 분리된 젖병에 있어서, 상기 하부캡(2)의 내측 주면에 돌턱(22)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본체(1)와 상기 하부캡(2)의 돌턱(22)사이에 중앙에 십자 또는 일자형의 작은 절결부(31)를 갖는 실리콘제의 패킹(3)을 위치시켜, 본체(1)와 하부캡(2)을 나사 결합하여 구성된다.
상기 패킹(3)에 결합되는 중앙 상단부에 통공(41)이 형성된 원추형 보호캡(4)을 플라스틱제로 별도 구성하고, 상기 패킹(3)의 중앙부에 상기 보호캡(4)이 삽입되는 삽입부(32)를 구성하여 이 삽입부(32)에 상기 보호캡(4)을 삽입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캡(2)의 흡입공(21) 주연에는 하부캡(2)의 내측으로 내용물이 유출되지 않게 방지벽(23)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젖병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젖병을 설명하면 본체(1) 안에 우유를 넣고 유아에게 우유를 먹이면 유아가 우유를 먹기 위해 젖꼭지를 빨개되고 그로 인해 밸브수단인 패킹(3)의 십자 또는 일자형 작은 절결부(31)가 벌어지면서 하부캡(2)의 흡입공(21)으로 공기가 들어가 패킹(3)에 감싸여 있는 원추형 보호캡(4)의 통공(41)을 통해 본체(1) 내로 공기 유입되어 유아가 우유를 손쉽고 안전하게 우유를 먹을 수 있는 것이다. 유아가 젖꼭지를 빨지 않을 때에는 실리콘재질인 패킹(3)의 절경부가 원상 복귀하여 하부캡(6)의 흡입공(5)으로부터 본체(1) 내로의 유입되는 공기가 차단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젖병은 우유를 탈 경우나 휴대하고 다닐 때 본체(1) 내의 우유가 패킹(3)의 절결부(31)에 가해주던 압력을 원추형 보호캡(4)이 막아주어 절결부(31)에는 많은 량의 우유가 직접 닿지 않으므로 절결부(31)가 벌어지지 않아 우유가 젖병 밖으로 새는 것을 막아주는 것이다.
한편 원추형 보호캡(4)의 통공(41)을 통하여 약간의 우유가 절결부(31)를 통하여 하부캡(2)으로 새어나가도 하부캡(2)의 흡입공(21) 주위를 감싸고 있는 방지벽(23)이 새어나온 우유를 흡입공(21) 통해 새는 것을 막아주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공기 흡입공(21)으로 우유가 새던 것을 막아주어 새는 우유로 인해 발생하던 유아의 옷이나 가방 등을 오염시키지 않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젖병은 본체(1), 하부캡(2), 패킹(3) 및 보호캡(4)이 모두 분리 되게 구성되어 있어 세척하기가 용이하여 위생적인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젖병은 하부의 공기 흡입공으로 우유가 새어나와 유아의 옷 또는 가방 등을 오염시키던 것을 예방 및 방지할 수 있으며, 항상 일정하고 적정한 공기가 젖병 안으로 공급되므로 유아가 젖꼭지를 빨 때 잘 빨리지 않아서 유아의 입으로 공기가 들어가 배앓이를 하거나 지나치게 빨아 생기는 중이염 등을 예방할 수 있으며, 분리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어 세척이 용이하며, 우유를 쉽고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는 등 여러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본체와 통공이 형성된 하부캡으로 분리된 젖병에 있어서,
    상기 하부캡의 내측 주면에 돌턱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와 상기 하부캡의 돌턱사이에 중앙에 작은 절결부를 갖는 실리콘제의 패킹이 위치되게 구성하되, 상기 패킹은 중앙부에 삽입부를 형성하며, 상기 삽입부에는 중앙 상단부에 통공이 형성된 원추형의 보호캡이 삽입되어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캡의 통공 주연에는 하부캡의 내측으로 내용물이 유출되지 않게 방지벽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KR20-2003-0017697U 2003-06-05 2003-06-05 젖병 KR2003286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697U KR200328699Y1 (ko) 2003-06-05 2003-06-05 젖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697U KR200328699Y1 (ko) 2003-06-05 2003-06-05 젖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8699Y1 true KR200328699Y1 (ko) 2003-10-01

Family

ID=49338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7697U KR200328699Y1 (ko) 2003-06-05 2003-06-05 젖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869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72660B (zh) 奶瓶
JP2883740B2 (ja) 哺乳瓶
US8113365B2 (en) Fully vented nursing bottle with single piece vent tube
US20020063103A1 (en) Nipple for nursing bottle
WO2005027819A2 (en) Vented bottle
US1695076A (en) Liquid container, nursing bottle
KR20110087215A (ko) 이중 개방형 젖병
KR101894739B1 (ko) 젖병
US6068147A (en) Air intake aiding plate for nipples of feeding bottles
KR200328699Y1 (ko) 젖병
CA2611742C (en) Fully vented wide rim nursing bottle with contoured vent tube
TWI791480B (zh) 奶瓶奶嘴及於其中形成開口之方法
KR102573898B1 (ko) 유아용 젖병의 이물질 분리장치
KR102370414B1 (ko) 촉감 손잡이가 구비된 유아용 젖병 커버
KR200294358Y1 (ko) 젖병
KR20080001667U (ko) 수유용 젖꼭지
KR200213565Y1 (ko) 흡기공을 갖는 젖병
KR200306720Y1 (ko) 젖병
CN209662227U (zh) 一种奶瓶
CN217724124U (zh) 一种防呛防胀气ppsu奶瓶
CN210170480U (zh) 一种防吸扁的奶瓶
RU2806664C2 (ru) Устройство в виде детской бутылочки
CA2714171C (en) Fully vented nursing bottle with single piece vent tube
KR200484185Y1 (ko) 젖병
CN106860025B (zh) 一种奶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