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0551B1 - 이중 구성 병 조립체 - Google Patents

이중 구성 병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0551B1
KR102270551B1 KR1020157021151A KR20157021151A KR102270551B1 KR 102270551 B1 KR102270551 B1 KR 102270551B1 KR 1020157021151 A KR1020157021151 A KR 1020157021151A KR 20157021151 A KR20157021151 A KR 20157021151A KR 102270551 B1 KR102270551 B1 KR 102270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assembly
collar
neck
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1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5400A (ko
Inventor
스콧 로즈
아이더스 엘. 2세 로즈
찰스 에이취. 밀러
버나드 제이. 켐퍼
Original Assignee
핸디 크래프트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106019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27055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핸디 크래프트 컴퍼니 filed Critical 핸디 크래프트 컴퍼니
Publication of KR20150105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5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0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0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2Teats with means for supplying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4Teats with means for fastening to bottles
    • A61J11/045Teats with means for fastening to bottles with interlocking means, e.g. protrusions or indentations on the t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4Feeding-bottles in general with means for supplying 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병 조립체는 내부에 형성된 액체 챔버를 갖는 용기, 및 용기의 액체 챔버 내에 실질적으로 전체가 위치될 수 있는 통기 조립체를 포함한다. 칼라 조립체가 용기의 폐쇄구를 대체로 형성하고, 용기의 목부와 해제 가능하게 맞물릴 수 있다. 칼라 조립체 및 용기는 통기 조립체가 용기의 액체 챔버 내에 실질적으로 전체가 배치되는 제1 구성과 통기 조립체가 용기로부터 생략되는 제2 구성 사이에서 선택적인 구성을 가능케 하도록 서로에 대해 구성된다.

Description

이중 구성 병 조립체 {DUAL CONFIGURATION BOTTLE ASSEMBLY}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3년 1월 10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1/751,005호 및 2013년 10월 2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1/885,733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들은 본원에서 전체적으로 참조로 통합되었다.
기술 분야
본 발명의 분야는 대체로 병 조립체에 관한 것이고, 특히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조립 구성에서의 구성을 허용하는 칼라 조립체를 포함하는 병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유아용 또는 수유용 병 조립체와 같은 병 조립체는 전형적으로 병, 니플, 니플을 병에 고정하기 위한 칼라(니플 및 칼라는 때때로 집합적으로 칼라 조립체를 형성함), 및 병이 사용되지 않을 때 니플을 덮기 위한 캡을 포함한 복수의 구성요소를 전형적으로 갖는다. 니플은 전형적으로 병 속에 담긴 액체가 유아 (또는 소아)에 의해 소비되도록 니플을 통해 유아의 입 속으로 빠져나가도록 허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개방부를 갖는다. 사용 중에, 유아는 니플의 단부를 그의 구강 내에 위치시키고, 병 속에 담긴 액체를 취출하기 위해 니플을 빤다.
적어도 몇몇 병 조립체는 병 속에 위치될 수 있는 제거 가능한 통기 조립체를 포함한다. 통기식 병 조립체의 몇몇 예는 핸디-크래프트 컴퍼니(Handi-Craft Company)로부터 닥터 브라운스(Dr. Brown's)라는 상표명으로 구입 가능한 것을 포함한다. 추가의 예는 1998년 7월 14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5,779,071호, 2010년 11월 9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7,828,165호, 2012년 2월 14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8,113,365호, 및 2012년 4월 3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8,146,759호에 개시되어 있고, 이들 모두의 개시내용은 본원에서 전체적으로 참조로 통합되었다. 이러한 병 조립체에서, 통기 조립체는 유아가 니플을 통해 액체를 소비하는 동안 공기가 병으로 진입하도록 허용하여, 수유 중에 병 속에서의 진공의 형성을 경감시키거나 감소시킨다. 통기 조립체는 전형적으로 병의 림 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안착되고, 칼라 및 니플을 포함하는 칼라 조립체가 함께 통기 조립체 위에서 병의 목부 상의 외부 나사산으로 아래로 나사 고정된다.
몇몇 사용자는 여행 중에, 또는 소아가 더 크고 부모가 통기 조립체를 더 이상 사용하지 않을 것을 결정할 때와 같이, 때때로 통기 조립체가 병으로부터 생략된 채로 그러한 병을 조립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칼라 조립체는 칼라가 가능한 한 많이 아래로 조여질 때까지, 병의 목부 상으로 나사 결합된다. 그러나, 병의 목부 및 칼라의 높이는 칼라 조립체 및 특히 칼라 조립체의 니플이 병의 림에 대해 아래로 적절하게 밀봉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병으로부터의 액체의 누출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통기 조립체가 제거될 수 있고, 병 조립체가 여전히 누출의 위험이 없이 사용될 수 있는, 병 조립체 및 특히 통기식 병 조립체에 대한 필요가 있다.
일 태양에서, 병 조립체는 용기의 액체 챔버를 함께 형성하는 개방 단부, 폐쇄 단부, 기부 부분, 및 목부를 갖는 용기를 포함한다. 목부는 용기의 개방 단부를 형성하는 림을 포함한다. 병 조립체는 사용 중에 용기의 통기를 가능케 하도록 용기의 액체 챔버 내에 실질적으로 전체가 위치될 수 있는 통기 조립체를 또한 포함한다. 칼라 조립체는 대체로 용기를 위한 폐쇄구를 형성하고, 용기의 개방 단부 위에서 용기의 목부와 해제 가능하게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칼라 조립체 및 용기는 통기 조립체가 용기의 액체 챔버 내에 실질적으로 전체가 배치되는 제1 구성과 통기 조립체가 용기로부터 생략되는 제2 구성 사이에서 병 조립체의 선택적인 구성을 가능케 하도록 서로에 대해 구성된다.
다른 태양에서, 병 조립체는 대체로 개방 단부, 폐쇄 단부, 기부 부분, 및 목부를 갖는 용기를 포함한다. 목부는 용기의 개방 단부를 형성하는 림을 포함한다. 통기 조립체가 사용 중에 용기의 통기를 가능케 하도록 용기의 림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칼라 조립체가 용기를 위한 폐쇄구를 대체로 형성하고, 용기의 개방 단부 위에서 용기의 목부와 해제 가능하게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칼라 조립체 및 용기는 제1 구성과 제2 구성 사이에서 병 조립체의 선택적인 구성을 가능케 하도록 서로에 대해 구성된다. 제1 구성에서, 칼라 조립체는 통기 조립체와 밀봉식으로 맞물리고, 통기 조립체를 용기의 림과 밀봉식으로 맞물리게 압박하도록 구성된다. 통기 조립체가 병 조립체로부터 생략되는 제2 구성에서, 칼라 조립체는 용기의 림과 밀봉식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도 1은 통기 조립체를 포함하는 수유용 병 조립체의 일 실시예의 사시 단면도이다.
도 2는 통기 조립체가 포함되어 있는 도 1의 병의 일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통기 조립체가 생략되어 있는 도 1의 병의 일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수유용 병 조립체의 제2 실시예의 확대된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단면의 추가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1 - 도 3의 병 조립체 또는 도 4 및 도 5의 병 조립체와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한 니플의 제2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니플의 저면도이다.
대응하는 도면 부호가 여러 도면에 걸쳐 대응하는 부분을 표시한다.
이제 도면, 특히 도 1 - 도 3을 참조하면, 100으로 전체적으로 표시된 병 조립체는 병, 특히 도시된 실시예에서 수유용 병과 같은 용기(102), 및 병을 대체로 폐쇄하기 위한 104로 전체적으로 표시된 칼라 조립체를 포함한다. 용기(102)는 내부에 형성되어 영아와 같은 사용자에 의해 소비되는 일정 양의 액체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액체 챔버(106)를 포함한다. 용기(102)는 본원에서 도시된 바와 달리 구성될 수 있으며, 스포츠 물병, 음료 텀블러, 훈련용 컵, 통근용 컵 등과 같은 수유용 병 조립체 이외의 용도를 위해 구성될 수 있음이 또한 이해된다. 용기(102)는 제한이 없이, 유리, 폴리프로필렌 또는 다른 플라스틱,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강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용기(102)는 또한 임의의 원하는 색상 또는 색상들로 만들어질 수 있고, 투명하거나, 투광성이거나, 불투명할 수 있다.
용기(102)는 폐쇄된 바닥(108), 개방된 상부(110), 및 폐쇄된 바닥(108)과 개방된 상부(110) 사이에서 연장하는 대체로 원통형인 측벽(112)을 갖는다. 원통형 측벽(112)은 기부 부분(114), 및 기부 부분(114)에 대해 좁아지는 목부(116)를 포함한다. 즉, 목부(116)는 기부 부분(114)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목부(116) 직경은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기부 부분(114)의 직경보다 단지 약간 더 작을 수 있거나, 기부 부분과 동일한 직경일 수도 있음이 이해된다. 목부(116)는 환상 림(118), 외부 나사산 부분(120), 및 목부(116)와 기부 부분(114) 사이의 전이부에 형성된 견부(122)를 포함한다. 나사산 부분(120)은 본원에서 이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용기(102)를 칼라 조립체(104)에 조립하기 위한 나사산(124)을 포함한다.
병(100)의 칼라 조립체(104)는 용기(102) 상에서 니플(130)을 선택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용기(102)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칼라 조립체(104)는 니플(130) 및 칼라(132)를 포함한다. 니플(130) 및 칼라(132)는 각각 임의의 적합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니플(130)은 고무 재료, 실리콘 재료, 및 라텍스 재료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실질적으로 유연한 재료로 만들어지고, 칼라(132)는 폴리프로필렌으로 만들어진다. 니플(130) 및 칼라(132)는 임의의 원하는 색상 또는 색상들로 만들어질 수 있고, 투명하거나, 투광성이거나, 불투명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의 도시된 실시예에서, 니플(130)은 니플 부분(135) 및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플랜지(134)를 포함한다. 니플 플랜지(134)는 대체로 원형인 외측 모서리(138)로부터 대체로 원형인 내측 모서리(140)로 연장하는 바닥 면(136)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주연 연장 립(142)이 원형 외측 모서리(138)에 대체로 인접하여 플랜지로부터 위로 돌출한다. 적어도 몇몇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니플(130)은 주연 연장 립(142)을 포함하지 않는다. 니플 부분(135)은 플랜지의 원형 내측 모서리(140)에 대체로 인접하여 플랜지(134)로부터 위로 연장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플 부분(135)은 방사상 외측으로 돌출하는 환상 외부 돌출부(144)를 포함한다. 니플 부분(135)은 사용자에게 액체를 분배하기 위한 개구(148)를 포함하는 출구 단부(146)를 또한 포함한다. 그러나, 니플(130)은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본원에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것과 상이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음이 고려된다.
도시된 칼라(132)는 환상 상부 패널(150) 및 현수 측벽(152)을 갖는다. 상부 패널(150)은 상부 패널(150)의 환상 너브(nub) 또는 방사상 내측 모서리 여유부(154)에 근접하여 패널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환상 돌출부(156)를 포함한다. 모서리 여유부(154) 및 환상 돌출부(156)는 칼라(132) 상에서의 니플(130)의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칼라 조립체(104)를 조립하기 위해, 니플(130)은 모서리 여유부(154)가 니플(130)의 환상 외부 돌출부(144) 아래에 위치되고, 칼라(132)의 환상 돌출부(156)가 니플(130)의 주연 립(142)의 방사상 내측에 위치될 때까지, 칼라(132)의 상부 패널(150) 내의 중심 개구를 통해 니플 부분(135)에서 시작하여 위로 당겨진다. 그러나, 니플(130) 및 칼라(132)는 도시된 바와 달리 구성될 수 있고, 아울러 용기(102) 상으로의 추가의 조립을 위해 함께 조립되도록 달리 구성될 수 있음이 이해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니플(130) 및 칼라(132)는 용기(102) 상으로의 동시 조립을 위해 조립되어 유지될 수 있을 필요가 없음이 또한 고려된다.
칼라(132)의 측벽(152)은 용기(102) 상에 칼라 및 칼라 조립체(104)를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용기(102)의 목부(116)의 외부 나사산(124)과 나사식으로 맞물리기에 적합한 내부 나사산(164)을 구비한 내측 표면(162)을 갖는다. 하나의 특히 적합한 실시예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라 측벽(152)의 내측 표면(162) 상의 나사산(164)의 개수는 용기의 목부(116) 상의 외부 나사산(124)의 개수를 초과하고, 이의 목적은 명백해질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칼라(132)는 용기(102)의 목부(116) 상의 외부 나사산(124)의 개수보다 대략 2배로 많은 내부 나사산(164)을 가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병 조립체(100)는 사용 중에 병 조립체의 통기를 허용하기 위한 통기 조립체(180)를 또한 포함한다. 도 3에서, 통기 조립체(180)는 생략되어 있다. 통기 조립체(18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 삽입물(182) 및 리셉터클 부분(184)을 포함한다. 리셉터클 부분(184)은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된 방식으로 마찰 결합에 의한 것과 같이, 통기 삽입물(182)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리셉터클 부분(184)은 상부(186), 중간 부분(188), 및 통기 튜브(190)를 포함한다. 상부(186)는 내부에 저장소(194)를 형성하는 대체로 원통형인 측벽(192)을 포함한다. 통기 튜브(190)는 상부(186)의 측벽(192)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는 대체로 원통형인 측벽(196)을 포함한다. 통기 튜브(190)의 측벽(196)은 저장소(194)와 유체 연통하는 통로(198)를 형성한다. 중간 부분(188)은 통기 튜브 측벽(196)과 상부 측벽(192) 사이에서 연장하는 테이퍼진 측벽(200)을 포함한다. 통기 튜브(190)는 용기(102)의 폐쇄된 바닥(108)에 근접하여 통로(198)의 단부에서 공기 출구(202)를 또한 포함한다.
통기 삽입물(182)은 내측 부분(210) 및 외측 부분(212)을 포함한다. 내측 부분(210)은 내부 통기 튜브(214), 립(216), 및 내부 통기 튜브(214)와 립(216) 사이에서 연장하며 이들에 대해 직교하게 배향된 상부 벽(218)을 포함한다. 내부 통기 튜브(214)는 저장소(194)와 유체 연통하는 통로(220)를 형성한다. 통기 삽입물(182)을 리셉터클 부분(184)에 조립하기 위해, 립(216)은 리셉터클 부분(184)의 측벽(192)과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립(216)은 측벽(192)과 맞물리는 벌지(222: bulge)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통기 삽입물(182) 및 리셉터클 부분(184)은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통기 삽입물(182)의 내측 부분(210)은 통기 삽입물(182) 내에 채널(236)을 형성하기 위해 상부 벽(218)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는 측방 통기부(234)를 추가로 포함한다.
통기 삽입물(182)의 외측 부분(212)은 주연 벽(240)을 포함한다. 주연 벽(240)은 내측 모서리(242), 외측 모서리(244), 상부(246), 및 바닥(248)을 포함한다. 주연 벽(240)은 채널(236)이 주연 벽(240)을 통해 연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통기부(도시되지 않음)를 갖는다. 주연 벽(240)과 상부 벽(218) 사이에 형성된 갭(250)이 액체 챔버(106) 내의 액체가 니플(130)을 향해 유동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그러나, 통기 조립체(180)의 구성요소들은 본 발명의 몇몇 태양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본원에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것과 상이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음이 고려된다. 1998년 7월 14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5,779,071호, 2010년 11월 9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7,828,165호, 2012년 2월 14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8,113,365호, 및 2012년 4월 3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8,146,759호에 개시되어 있는 병 조립체 상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유사한 통기 조립체가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통기 조립체(180)의 추가의 세부 및 작동은 본원에서 추가로 설명되지 않는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라 측벽(152) 및 용기 목부(116)는 2개의 상이한 구성, 통기 조립체(180)가 포함되는 제1 구성(도 2) 및 통기 조립체가 생략되는 제2 구성(도 3)에서의 병 조립체(100)의 작동을 허용하기 위해 서로에 대해 적합하게 크기 설정된다.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에서, (예컨대, 용기(102)의 림(118)으로부터 목부가 용기의 기부 부분(114)으로 외측으로 확장하는 견부(122)까지의) 용기 목부(116)의 길이 (또는 본원의 도면의 배향에서의 높이)는 제2 구성에서, 즉 통기 조립체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략되었을 때, 칼라의 측벽(152)을 수용하기에 충분하다.
따라서,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병 조립체(100)가 통기 조립체(180)를 포함하는 제1 구성에서, 통기 조립체(180)는 주연 벽(240)의 바닥(248)이 용기의 림(118)에 대해 아래로 안착되도록 용기(102) 내로 삽입된다. 통기 조립체(180)가 용기(102) 내에 삽입된 후에, 칼라 조립체(104)는 내부 칼라 나사산(164)을 목부(116)의 외부 나사산(124)과 나사식으로 맞물리고 칼라를 용기 상으로 아래로 돌려 넣도록 칼라(132)를 회전시킴으로써, 용기(102)에 부착된다. 칼라(132)가 용기(102) 상으로 조여지면, 니플(130)의 바닥 면(136)은 통기 조립체(180)의 주연 벽(240)의 상부(246)에 대해 압박되어 니플 (및 칼라 조립체(104))를 통기 조립체에 대해 밀봉한다. 결과적으로, 통기 조립체의 주연 벽(240)의 바닥(248)은 용기(102)의 림(118)에 대해 압박되어 통기 조립체를 용기에 대해 밀봉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칼라의 하부 나사산(164)들 중 일부가 목부의 나사산(124)과 맞물리고, 최상부 칼라 나사산은 통기 조립체의 주연 벽(240)에 대향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라 측벽(152)은, 제1 구성에서, 칼라 측벽의 하부 단부가 목부(116)의 최하부 나사산(124) 아래로 연장하여, 칼라 조립체(104)가 용기(102)에 고정될 때, 외부 나사산이 보이지 않기에 충분히 길다.
도 3에 도시된 제2 구성에서, 통기 조립체(180)는 병 조립체(100)로부터 생략된다. 칼라 조립체(104)가 이러한 구성에서 용기(102) 상으로 아래로 조여질 때, 칼라 나사산(164)은 용기의 목부(116)의 나사산(124)과 맞물리고, 칼라(132)는 니플(130)이 용기의 림(118)에 대해 압박되어 니플을 용기에 대해 직접 밀봉할 때까지, 칼라를 용기 상으로 아래로 돌려 넣도록 회전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칼라 나사산의 하부 세트가 목부(116)의 최하부 외부 나사산(124) 아래에 배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칼라(132)의 하부 단부는 최하부 외부 나사산(124)의 충분히 아래에 그리고 용기의 견부(122)에 더 가까이 배치된다.
도 4 및 도 5는 액체 챔버(306)를 포함하는 용기(302)와, 니플(330) 및 니플을 용기 상에 선택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칼라(332)로 구성된 304로 전체적으로 표시된 칼라 조립체를 포함하는 점에서, 도 1 - 도 3의 수유용 병 조립체(100)와 유사한, 300으로 전체적으로 표시된 수유용 병 조립체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수유용 병 조립체(300)는 통기 삽입물(382) 및 리셉터클 부분(384)을 포함하는 통기 조립체(380)를 추가로 포함한다. 리셉터클 부분(384)은 도 1 - 도 3의 실시예의 통기 조립체(180)에 대한 동일한 방식으로 통기 삽입물(382)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에서, 실질적으로 전체 통기 조립체(380) 및 특히 통기 삽입물(382)은 용기(302)의 액체 챔버(306) 내에 (예컨대, 용기의 목부(316) 내에) 실질적으로 전체가 배치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302)의 목부(316)는 환상 림(318), 외부 나사산 부분(320), 및 용기의 목부(316)와 기부 부분(314) 사이의 전이부를 형성하는 외부 견부(322)를 포함한다. 나사산 부분(320)은 용기(302)를 칼라 조립체(304)에 조립하기 위한 나사산(324)을 포함한다. 용기(302)의 목부(316)의 내측 표면(323)은 용기 목부 내에서 통기 삽입물(382)을 지지하기 위한 내측 견부(325)를 형성하는 단차형 내경을 갖는다.
니플(330)은 니플 부분(335), 및 대체로 원형인 외측 모서리(338)로부터 대체로 원형인 내측 모서리(340)로 연장하는 바닥 면(336)을 갖는 횡방향 연장 플랜지(334)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주연 연장 립(342)이 원형 외측 모서리(338)에 대체로 인접하여 플랜지(334)로부터 위로 돌출한다. 적어도 몇몇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니플(330)은 주연 연장 립(342)을 포함하지 않는다. 니플 부분(335)은 플랜지의 원형 내측 모서리(340)에 대체로 인접하여 플랜지(334)로부터 위로 연장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플 부분(335)은 방사상 외측으로 돌출하는 환상 외부 돌출부(344)를 포함한다. 그러나, 니플(330)은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본원에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것과 상이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음이 고려된다.
도시된 칼라(332)는 환상 상부 패널(350) 및 현수 측벽(352)을 갖는다. 상부 패널(350)은 상부 패널(350)의 환상 너브 또는 방사상 내측 모서리 여유부(354)에 근접하여 상부 패널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환상 돌출부(356)를 포함한다. 모서리 여유부(354) 및 환상 돌출부(356)는 칼라(332) 상에서의 니플(330)의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칼라 조립체(304)를 조립하기 위해, 니플(330)은 모서리 여유부(354)가 니플(330)의 환상 외부 돌출부(344) 아래에 위치되고, 칼라(332)의 환상 돌출부(356)가 니플(330)의 주연 립(342)의 방사상 내측에 위치될 때까지, 칼라(332)의 상부 패널(350) 내의 중심 개방부를 통해 니플 부분(335)에서 시작하여 위로 당겨진다. 그러나, 니플(330) 및 칼라(332)는 도시된 바와 달리 구성될 수 있고, 여전히 용기(302) 상으로의 추가의 조립을 위해 함께 조립되도록 달리 구성될 수 있음이 이해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니플(330) 및 칼라(332)는 용기(302) 상으로의 동시 조립을 위해 조립되어 유지될 수 있을 필요가 없음이 또한 고려된다.
칼라(332)의 측벽(352)은 칼라(332) 및 칼라 조립체(304)를 용기(302)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용기(302)의 목부(316)의 외부 나사산(324)과 나사식으로 맞물리기에 적합한 내부 나사산(364)을 구비한 내측 표면(362)을 갖는다.
통기 조립체(380)의 통기 삽입물(382)은 내측 견부(325) 바로 위에서 용기(302)의 목부(316)의 내측 표면(323)과 밀봉식으로 맞물리는 환상 벌지(427)를 갖는 주연 벽(440)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환상 벌지(427)는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내측 견부(325) 위로 멀리 이격된 위치에서 목부(316)의 내측 표면(323)과 밀봉식으로 맞물리도록 통기 삽입물(382)의 주연 벽(440) 상에 위치될 수 있음이 이해된다.
통기 삽입물(382)의 주연 벽(440)은 적합하게는 통기 삽입물(382)이 용기(302)의 목부(316)의 내측 견부(325) 상에 안착될 때, 통기 삽입물(382)의 상부(446)가 수유용 병 조립체(300)의 조립 시에 니플(330)과 맞물리도록 용기(302)의 림(318)의 충분히 위에서 연장하도록, (예컨대, 도 4 및 도 5의 배향에서 높이에 있어서) 충분히 길다. 통기 삽입물(382)의 상부(446)는 또한 니플이 용기(302)의 림(318)에 대해 기밀 밀봉을 형성하는 것을 방지하기에 충분히 높이 니플(330)을 유지한다.
통기 조립체(380) 및 특히 통기 삽입물(382)을 용기(302)의 액체 챔버(306) 내에 실질적으로 전체가 배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병에 대해 특이적인 니플(330) 및 칼라(332)가 필요하지 않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의 도시된 실시예에서, 통기 삽입물(382)이 사용되는 제1 구성에서의 수유용 병 조립체(300)의 조립 시에, (리셉터클 부분(384)이 부착되어 있는) 통기 삽입물은 통기 삽입물이 용기의 내측 표면(323)의 내측 견부(325) 상에 안착된 채로 용기(302) 내에 배치된다. 칼라 조립체(304) (즉, 니플(330) 및 칼라(332))는 칼라를 용기의 목부(316)의 외부 나사산(324)과 나사식으로 맞물리고, 칼라를 용기 상으로 아래로 돌려 넣도록 칼라를 회전시킴으로써, 용기(302)에 부착된다. 칼라(332)가 용기(302) 상으로 조여지면, 니플(330)의 바닥 면(336)은 공기가 니플과 용기의 림(318) 사이에서 용기로 진입하도록 허용하면서, 통기 삽입물의 주연 벽(440)의 상부(446)에 대해 밀봉한다.
수유용 병 조립체(300)의 제2 구성(도시되지 않음)에서, 통기 조립체(380)는 생략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에서, 칼라 조립체(304)는 제1 구성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용기(302)에 부착된다. 따라서, 이러한 제2 실시예의 칼라(332)는 제2 구성에서, 제1 구성에서와 다르게 용기 상에 맞춰지도록 구성될 필요가 없다.
도 6 및 도 7은 본원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의 수유용 병 조립체(100, 300)와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한 니플(530)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니플(530)은 바닥 면(536)의 구성을 제외하고는, 도 1 - 도 3의 니플(130) 및 도 4 및 도 5의 니플(330)과 유사하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니플(530)의 바닥 면(536)은 서로 동일한 원주방향 이격 관계로 니플(530)의 플랜지(534)의 외측 모서리 여유부(538)로부터 방사상 내측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통기 특징부(541)를 갖는다. 도 7에서 가장 잘 보이는 바와 같이, 도시된 통기 특징부(541)는 니플 플랜지(534)의 외측 모서리 여유부(538)로부터 방사상 내측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원주방향 연장부 내의) 아치형 채널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통기 특징부(541)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음이 이해된다. 통기 특징부(541)는 대신에 니플(530)의 바닥 면(536) 내에 형성된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슬릿을 포함할 수 있음이 또한 고려된다.
통기 특징부(541)는 니플(530)이 도 1 - 도 3의 실시예의 수유용 병 조립체(100) 내에서 사용될 때, 통기 삽입물(182)이 통기 특징부(541)의 방사상 내측에서 니플(130)의 바닥 면(536)에 대해 밀봉하도록, 통기 특징부(541)가 (예컨대, 통기 조립체(180)가 제 위치에 있는) 병 조립체의 제1 구성에서 통기 삽입물(182)의 방사상 내측으로 연장하지 않도록, 길이에 있어서 (예컨대, 방사상 방향으로) 적합하게 크기 설정된다. 그러나, 병 조립체(100)의 제2 구성에서, 니플(530)의 바닥 면(536)은 공기가 여전히 통기 특징부(118)를 거쳐 용기(102)로 진입할 수 있도록, 통기 특징부(541)가 용기(102)의 림(118)의 방사상 내측으로 연장하는 채로 용기(102)의 림(118)과 접촉한다.
유사하게, 도 4 및 도 5의 수유용 병 조립체(300)에서, (통기 조립체(380)가 제 위치에 있는) 병 조립체의 제1 구성에서, 통기 삽입물(382)의 주연 벽(440)의 상부(446)는 (예컨대, 공기가 통기 조립체(380)를 통해서만 용기(302)로 진입하도록) 통기 특징부(541)의 방사상 내측에서 니플의 바닥 면(536)에 대해 밀봉한다. 병 조립체(300)의 제2 구성에서, 니플(530)의 바닥 면(536)은 공기가 여전히 통기 특징부(541)를 거쳐 용기(302)로 진입할 수 있도록, 통기 특징부(541)가 용기(302)의 림(318)의 방사상 내측으로 연장하는 채로 용기(302)의 림(318)과 접촉한다.
본 발명의 요소 또는 다양한 버전, 실시예(들), 또는 그의 태양을 소개할 때, 관사 "일", "그", 및 "상기"는 하나 이상의 요소가 있음을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포함하는" 및 "갖는"이라는 용어는 포괄적으로 의도되고, 열거된 요소들 이외의 추가의 요소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특정 배향(예컨대, "상부", "바닥", "측면" 등)을 표시하는 용어의 사용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고, 설명되는 항목의 특정 배향을 요구하지 않는다.
다양한 변화가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위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설명에 포함되고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모든 사항은 예시적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제한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도록 의도된다.

Claims (15)

  1. 병 조립체이며,
    용기 내의 액체 챔버를 함께 형성하는 개방 단부, 폐쇄 단부, 기부 부분, 및 목부를 갖는 용기 - 목부는 용기의 개방 단부를 형성하는 림을 가짐 -;
    사용 중에 용기의 통기를 가능케 하도록 용기의 액체 챔버 내에 실질적으로 전체가 위치될 수 있는 통기 조립체; 및
    용기를 위한 폐쇄구를 형성하는 칼라 조립체 - 칼라 조립체는 용기의 개방 단부 위에서 용기의 목부와 해제 가능하게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액체 챔버로부터 액체를 분배하기 위한 출구 개구를 형성함 -
    를 포함하고,
    칼라 조립체 및 용기는 통기 조립체가 용기의 액체 챔버 내에 실질적으로 전체가 배치되는 제1 구성과 통기 조립체가 용기로부터 생략되는 제2 구성 사이에서 병 조립체의 선택적인 구성을 가능케 하도록 서로에 대해 구성되고, 칼라 조립체와 용기 중 적어도 하나는 통기 조립체가 용기로부터 생략되는 제2 구성에서 출구 개구를 통하지 않고 대기에 용기를 통기시키도록 구성되고,
    통기 조립체는 병 조립체가 제1 구성에 있을 때 용기의 목부에 대해 시일(seal)을 형성하고, 용기의 목부는 견부를 포함하는 내측 표면을 포함하고, 견부는 사용 중에 용기 내에서 통기 조립체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병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통기 조립체의 상부는 통기 조립체가 용기의 목부의 견부 상에 안착될 때, 목부의 림 위에서 연장하는, 병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칼라 조립체는 칼라 및 니플을 포함하는, 병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칼라는 환상 너브 및 환상 돌출부를 포함하고, 니플은 외부 돌출부 및 주연 립을 포함하고, 니플의 외부 돌출부는 칼라의 환상 너브를 보유하도록 구성되고, 니플의 주연 립은 니플을 용기 상으로의 동시 조립을 위해 칼라에 결합시키기 위해 칼라의 환상 돌출부를 보유하도록 구성되는, 병 조립체.
  5. 제3항에 있어서, 병 조립체의 제1 구성에서, 니플은 통기 조립체와 밀봉식으로 맞물리고, 병 조립체의 제2 구성에서, 니플은 용기의 목부의 림과 밀봉식으로 맞물리는, 병 조립체.
  6. 병 조립체이며,
    용기 내의 액체 챔버를 함께 형성하는 개방 단부, 폐쇄 단부, 기부 부분, 및 목부를 갖는 용기 - 목부는 용기의 개방 단부를 형성하는 림을 가짐 -;
    사용 중에 용기의 통기를 가능케 하도록 용기의 액체 챔버 내에 실질적으로 전체가 위치될 수 있는 통기 조립체 - 용기의 목부는 견부를 포함하는 내측 표면을 포함하고, 견부는 사용 중에 용기 내에 통기 조립체를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통기 조립체의 상부는 통기 조립체가 용기의 목부의 견부 상에 안착될 때 목부의 림 위에서 연장함 - ; 및
    용기를 위한 폐쇄구를 형성하는 칼라 조립체 - 칼라 조립체는 용기의 개방 단부 위에서 용기의 목부와 해제 가능하게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칼라 조립체는 칼라와 니플을 포함함 -
    를 포함하고,
    칼라 조립체 및 용기는 통기 조립체가 용기의 액체 챔버 내에 실질적으로 전체가 배치되는 제1 구성과 통기 조립체가 용기로부터 생략되는 제2 구성 사이에서 병 조립체의 선택적인 구성을 가능케 하도록 서로에 대해 구성되고, 칼라 조립체와 용기 중 적어도 하나는 통기 조립체가 용기로부터 생략되는 제2 구성에서 대기에 용기를 통기시키도록 구성되고,
    니플은 바닥 면을 갖는 플랜지를 포함하고, 플랜지의 바닥 면은 서로 동일한 원주방향 이격 관계로 플랜지의 외측 모서리로부터 방사상 내측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통기 특징부를 포함하는, 병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복수의 통기 특징부는 플랜지의 외측 모서리로부터 방사상 내측으로 연장하는 아치형 채널을 포함하는, 병 조립체.
  8. 제6항에 있어서, 복수의 통기 특징부는, 병 조립체의 제1 구성에서, 통기 조립체가 통기 특징부의 방사상 내측에서 니플의 바닥 면과 밀봉식으로 맞물리고, 병 조립체의 제2 구성에서, 복수의 통기 특징부가 공기가 복수의 통기 특징부에 의해 용기로 진입할 수 있도록 용기의 림과 맞물리도록, 용기의 목부의 림의 방사상 내측으로 연장하지만, 통기 조립체의 상부의 방사상 내측으로는 연장하지 않는, 병 조립체.
  9. 병 조립체이며,
    개방 단부, 폐쇄 단부, 기부 부분, 및 목부를 갖는 용기 - 목부는 용기의 개방 단부를 형성하는 림을 가짐 -;
    사용 중에 용기의 통기를 가능케 하도록 용기의 림 상에 위치될 수 있는 통기 조립체; 및
    용기를 위한 폐쇄구를 형성하는 칼라 조립체 - 칼라 조립체는 용기의 개방 단부 위에서 용기의 목부와 해제 가능하게 맞물리도록 구성됨 -
    를 포함하고,
    칼라 조립체 및 용기는 제1 구성과 제2 구성 사이에서 병 조립체의 선택적인 구성을 가능케 하도록 서로에 대해 구성되고,
    제1 구성에서, 칼라 조립체는 통기 조립체와 밀봉식으로 맞물려서, 통기 조립체를 용기의 림과 밀봉식으로 맞물리게 압박하도록 구성되고,
    통기 조립체가 병 조립체로부터 생략되는 제2 구성에서, 칼라 조립체는 용기의 림과 밀봉식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칼라 조립체와 용기 중 적어도 하나는 통기 조립체가 용기로부터 생략되는 제2 구성에서 대기에 용기를 통기시키도록 구성되는
    병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용기의 목부는 그 위에서 외부 나사산을 포함하고, 칼라 조립체는 용기의 목부의 외부 나사산과 나사식으로 맞물리기 위한 내부 나사산을 포함하는, 병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칼라 조립체 상의 내부 나사산의 개수는 용기의 목부 상의 외부 나사산의 개수보다 더 많은, 병 조립체.
  12. 제9항에 있어서, 칼라 조립체는 칼라 및 니플을 포함하는, 병 조립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칼라는 환상 너브 및 환상 돌출부를 포함하고, 니플은 외부 돌출부 및 주연 립을 포함하고, 외부 돌출부는 환상 너브를 보유하도록 구성되고, 주연 립은 니플을 용기 상으로의 동시 조립을 위해 칼라에 결합시키기 위해 환상 돌출부를 보유하도록 구성되는, 병 조립체.
  14. 제12항에 있어서, 병 조립체의 제1 구성에서, 니플은 통기 조립체와 밀봉식으로 맞물리고, 병 조립체의 제2 구성에서, 니플은 용기의 림과 밀봉식으로 맞물리는, 병 조립체.
  15. 제9항에 있어서, 용기의 목부는 용기의 견부로부터 용기의 림까지 연장하는 제1 높이를 갖고, 칼라 조립체는 칼라 조립체의 용기의 목부와의 맞물림 시에 용기의 목부에 대해 대향된 관계로 배치되는 측벽을 포함하고, 용기의 측벽은 제2 높이를 갖고, 제2 높이는 용기의 목부의 제1 높이와 동일 또는 그 미만 중 하나인, 병 조립체.
KR1020157021151A 2013-01-10 2014-01-09 이중 구성 병 조립체 KR1022705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751005P 2013-01-10 2013-01-10
US61/751,005 2013-01-10
US201361885733P 2013-10-02 2013-10-02
US61/885,733 2013-10-02
PCT/US2014/010884 WO2014110265A1 (en) 2013-01-10 2014-01-09 Dual configuration bottle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5400A KR20150105400A (ko) 2015-09-16
KR102270551B1 true KR102270551B1 (ko) 2021-06-28

Family

ID=51060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1151A KR102270551B1 (ko) 2013-01-10 2014-01-09 이중 구성 병 조립체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1) US10028890B2 (ko)
EP (3) EP3375428B1 (ko)
JP (1) JP2016504118A (ko)
KR (1) KR102270551B1 (ko)
CN (1) CN105025864A (ko)
AU (1) AU2014205373B2 (ko)
BR (1) BR112015015967A2 (ko)
CL (1) CL2015001913A1 (ko)
ES (1) ES2795323T3 (ko)
GT (1) GT201500201A (ko)
HK (1) HK1216838A1 (ko)
IL (1) IL239681B (ko)
MX (1) MX365359B (ko)
MY (1) MY174070A (ko)
PH (1) PH12015501550A1 (ko)
RU (1) RU2015133268A (ko)
SG (1) SG11201505230SA (ko)
TW (1) TWI578982B (ko)
WO (1) WO2014110265A1 (ko)
ZA (1) ZA20150480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33236A1 (en) * 2010-03-25 2011-09-29 Brown Craig E Continuous, complete, automatic, non-leaking, non-aerating, positive pressure one-piece vent and pouring combination utilizing one direct venting aperture
US10138034B2 (en) * 2008-01-29 2018-11-27 Craig E Brown Singular cap compound vented nursing and related bottle
US20160046421A1 (en) * 2010-03-25 2016-02-18 Craig E. Brown Sectionalized fluids container
US10166172B2 (en) 2013-07-10 2019-01-01 Handi-Craft Company Dual configuration bottle assembly
US20190210775A1 (en) * 2014-06-24 2019-07-11 Craig E. Brown Universal Single Piece Venting Insert For Container
US20160106628A1 (en) * 2014-10-16 2016-04-21 Handi-Craft Company Dual configuration bottle assembly
NL2013794B1 (en) 2014-11-13 2016-10-07 Hero Ag Infant feeding assembly.
WO2018024272A2 (de) * 2016-08-03 2018-02-08 Busch, Thomas Druckausgleichsvorrichtung für eine babyflasche und babyflaschenanordnung
WO2018031263A1 (en) * 2016-08-10 2018-02-15 Handi-Craft Company Bottle assembly vent insert with siphoning member
WO2018107227A1 (en) * 2016-12-13 2018-06-21 Bottle Go Pty Ltd A bottle
US10472138B2 (en) 2017-10-12 2019-11-12 Donny Smith Systems and methods for a device with an internal vented nozzle
SG11202007779QA (en) 2018-03-02 2020-09-29 Handi Craft Co Bottle assembl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13859A1 (en) * 2005-03-25 2006-09-28 Miin-Tsang Sheu Flatulence-resisting nursing bottle air cap

Family Cites Families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92559A (en) 1952-08-09 1959-06-30 Davol Rubber Co Nurser combination
US2822102A (en) 1954-08-05 1958-02-04 Holland Charles Edward Nursing bottle
NL302611A (ko) 1963-01-04
US3834570A (en) * 1968-07-12 1974-09-10 A Barr Nursing unit with improved plastic liner
US3545637A (en) * 1968-07-12 1970-12-08 Arthur C Barr Nursing unit with venting means
JPS4870992U (ko) * 1971-12-08 1973-09-06
JPS526799B2 (ko) 1971-12-28 1977-02-24
US3838784A (en) 1973-04-12 1974-10-01 Mead Johnson & Co Diet feeding container
FR2342914A1 (fr) 1976-03-02 1977-09-30 Oreal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de deux produits isoles l'un de l'autre avant la distribution
DE2813940A1 (de) 1977-04-23 1978-10-26 Zensho Honma Flaschenverschluss
FR2589407B1 (fr) 1985-10-30 1988-01-29 Peugeot Aciers Et Outillage Dispositif de reglage de la position d'un renvoi de sangle de ceinture de securite
JPH0226507Y2 (ko) * 1986-03-31 1990-07-19
US5087287A (en) 1988-05-25 1992-02-11 Nissei Plan, Inc. Strengthened cellular concrete compositions and method of making
FR2657008B1 (ko) 1990-01-12 1994-02-18 Johnson Johnson Sa
US5244105A (en) * 1990-01-12 1993-09-14 Johnson & Johnson Consumer Products, Inc. Adjustable air inflow for feeding-bottle device
DE4016592C1 (ko) 1990-01-22 1991-05-23 Knopf, Karl Horst, 5650 Solingen, De
US5316160A (en) 1992-09-04 1994-05-31 Dart Industries Inc. Baby bottle assembly
US5779071A (en) 1995-08-04 1998-07-14 New Vent Designs, Inc. Nursing bottle with an air venting structure
US5791503A (en) * 1996-02-05 1998-08-11 Lyons; Richard A. Nursing bottle with anti-air ingestion valve
JP3058441U (ja) * 1998-10-14 1999-06-18 敏修 許 哺乳瓶の乳首吸気補助装置
AU768928B2 (en) * 1999-02-12 2004-01-08 Robert Dymock Mcintyre Improvements in feeder bottles
FR2798910B1 (fr) 1999-09-29 2002-03-08 Jean Pierre Sittler Bouchon distributeur a obturation totale et a etancheite renforcee pour flacons ou autres contenants a goulot filete
US7828165B2 (en) 2000-05-08 2010-11-09 New Vent Designs, Inc Fully vented wide rim nursing bottle with contoured vent tube
US20050258124A1 (en) 2002-10-30 2005-11-24 Brown Craig E Fully vented wide rim nursing bottle with contoured vent tube
US8113365B2 (en) 2000-05-08 2012-02-14 New Vent Designs Inc. Fully vented nursing bottle with single piece vent tube
US7150370B2 (en) 2002-10-21 2006-12-19 Sung-Hwan Pyun Air venting apparatus for milk bottle
US8640902B2 (en) 2004-03-19 2014-02-04 Tamir Tirosh Drinking container vent system and method
GB2413087A (en) 2004-04-13 2005-10-19 Stephen Michael Smith Bottle assembly with a vent device
GB0410993D0 (en) * 2004-05-17 2004-06-23 Jackel Int Ltd Feeding bottle
US8684201B2 (en) * 2004-10-08 2014-04-01 Coralinda Trading Corporation Drinking container, vent system and method
WO2006048878A1 (en) 2004-11-05 2006-05-11 Amikam Berkovitch Vented drinking container and cap therefor
US7537128B2 (en) * 2004-11-29 2009-05-26 Amir Nachumi Nursing bottle vent system
US20060201902A1 (en) 2005-03-03 2006-09-14 Brown Craig E Fully continuously vented drinking cup for infants and children
US7172086B2 (en) * 2005-05-02 2007-02-06 L. Jason Clute Vented and double walled baby bottles
US8757406B2 (en) 2005-10-26 2014-06-24 New Vent Designs, Inc. Fully vented wide rim nursing bottle
KR100832878B1 (ko) * 2005-11-23 2008-05-28 편성환 공기 흡입 장치를 구비한 우유병
TWM296703U (en) 2006-03-10 2006-09-01 Jian-Jr Lu Reversing stop valve having netted top cover for milk bottle
US7743952B2 (en) 2006-10-18 2010-06-29 Stull Technologies, Inc. Double bead sealing system for container closure
WO2008106399A2 (en) 2007-02-27 2008-09-04 Anderson Michael R Container cap having dispensing storage chamber
TWM329439U (en) * 2007-07-10 2008-04-01 jian-zhi Lu Gas stream device used on milk bottles
US20110309047A1 (en) * 2008-06-30 2011-12-22 Fucito Dominick J Vent Unit and Container Utilizing Same
US8146759B2 (en) 2009-01-21 2012-04-03 New Vent Designs, Inc. Fully vented wide rim nursing bottle with canted vent tube
CN101584646B (zh) 2009-02-25 2013-01-23 富康玩具制品有限公司 一种防胀气液体瓶
WO2011095971A1 (en) 2010-02-03 2011-08-11 S.M.L. Success Ltd Collar for baby bottle
US8967405B2 (en) * 2011-08-31 2015-03-03 Light Bulb Inventions, Llc Venting baby bott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13859A1 (en) * 2005-03-25 2006-09-28 Miin-Tsang Sheu Flatulence-resisting nursing bottle air ca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4205373B2 (en) 2018-08-23
SG11201505230SA (en) 2015-08-28
MY174070A (en) 2020-03-06
EP2943176A4 (en) 2016-09-07
EP4360608A2 (en) 2024-05-01
JP2016504118A (ja) 2016-02-12
IL239681A0 (en) 2015-08-31
HK1216838A1 (zh) 2016-12-09
AU2014205373A1 (en) 2015-07-16
US10028890B2 (en) 2018-07-24
MX2015008902A (es) 2016-03-31
WO2014110265A1 (en) 2014-07-17
EP3375428A1 (en) 2018-09-19
CL2015001913A1 (es) 2015-10-16
GT201500201A (es) 2015-11-18
ES2795323T3 (es) 2020-11-23
RU2015133268A (ru) 2017-02-15
ZA201504806B (en) 2016-06-29
TW201433313A (zh) 2014-09-01
US20140190922A1 (en) 2014-07-10
BR112015015967A2 (pt) 2017-07-11
PH12015501550A1 (en) 2015-10-05
EP3375428B1 (en) 2023-12-27
CN105025864A (zh) 2015-11-04
IL239681B (en) 2020-04-30
EP2943176A1 (en) 2015-11-18
MX365359B (es) 2019-05-30
RU2019128444A (ru) 2019-10-21
EP2943176B1 (en) 2020-03-04
KR20150105400A (ko) 2015-09-16
TWI578982B (zh) 2017-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0551B1 (ko) 이중 구성 병 조립체
US20160106628A1 (en) Dual configuration bottle assembly
KR102290246B1 (ko) 이중 구성 병 조립체
CN102459023B (zh) 防漏饮用杯和用于该防漏饮用杯的隔片
US20180042818A1 (en) Bottle assembly vent insert with siphoning member
EP3746032B1 (en) Bottle assembly
US10383795B2 (en) Bubble formation inhibiting vent assembly for a vented bottle assembly
RU2803562C2 (ru) Сборная бутылочка двойной конфигурации
US20090159551A1 (en) Universal Adapter for Baby Nipple/Pacif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253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1016

Effective date: 20210503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