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0139A - 이중 구성 병 조립체 - Google Patents

이중 구성 병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0139A
KR20170070139A KR1020177012743A KR20177012743A KR20170070139A KR 20170070139 A KR20170070139 A KR 20170070139A KR 1020177012743 A KR1020177012743 A KR 1020177012743A KR 20177012743 A KR20177012743 A KR 20177012743A KR 20170070139 A KR20170070139 A KR 201700701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container
vent
collar
r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2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버나드 제이. 켐퍼
찰스 에이치. 밀러
Original Assignee
핸디 크래프트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핸디 크래프트 컴퍼니 filed Critical 핸디 크래프트 컴퍼니
Publication of KR20170070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01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4Feeding-bottles in general with means for supplying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4Teats with means for fastening to bottles
    • A61J11/045Teats with means for fastening to bottles with interlocking means, e.g. protrusions or indentations on the t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2Teats with means for supplying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3Neck construction
    • B65D1/0246Closure retaining means, e.g. beads, screw-threads

Landscapes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병 조립체는 개방 단부가 있는 용기와, 사용 중 용기의 통기를 허용하기 위해 용기의 림 상에 적어도 일부가 위치할 수 있는 통기구 조립체를 갖는다. 통기구 조립체는 일반적으로 통기구 삽입체 및 통기구 삽입체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리셉터클 부를 포함한다. 통기구 삽입체는 용기의 림 상에 통기구 조립체를 위치시킬 때 용기 내부에 종 방향으로 의존하는 환형 립을 더 포함한다. 환형 립은 캐치와 래치 중 하나를 갖는 횡 방향 내측 표면을 갖는다.

Description

이중 구성 병 조립체{DUAL CONFIGURATION BOTTLE ASSEMBLY}
본원은 2014.10.16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제 62/064,718호와, 2015년 10월 13일에 출원된 미국 정규특허출원 제 14/881,339의 이익을 청구하며, 양 출원 모두는 그 전체가 본원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의 분야는 일반적으로 병 조립체, 더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두 개의 상이한 조립 구성으로 구성을 가능하게 하는 칼라 조립체를 포함하는 병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유아용 또는 젖병 조립체와 같은 병 조립체는, 전형적으로 병, 젖꼭지, 젖꼭지를 병에 고정시키기 위한 칼라(젖꼭지와 칼라는 때에 따라 칼라 조립체를 공동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병이 사용되지 않을 때 젖꼭지를 덮기 위한 캡을 포함하는 복수의 구성요소를 갖는다. 젖꼭지는 전형적으로 유아(또는 영아)의 섭취를 위해, 병 내부에 담긴 액체가 젖꼭지를 통하여 유아의 입으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개구를 갖는다. 사용 중에, 유아는 젖꼭지의 단부를 그들의 입 안에 위치시키고 병 내부에 담긴 액체를 빼내기 위하여 젖꼭지를 빤다.
적어도 일부 병 조립체는 병 내부에 위치될 수 있는 제거 가능한 통기구 조립체를 포함한다. 통기식 병 조립체의 일부 예는 상표명 Dr. Brown's 하에 핸디-크래프트 컴퍼니로부터 구입 가능한 것들을 포함한다. 추가적인 예는 1998년 7월 14일에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779,071호, 2010년 11월 9일에 허여된 미국 특허 제 7,828,165호, 2012년 2월 14일에 허여된 미국 특허 제8,113,365호, 및 2012년 4월 3일에 허여된 미국 특허 제8,146,759호에 개시되며, 상기 개시들은 모두는 그 전체가 본원에 참조로서 인용된다. 이러한 병 조립체들에서, 통기 조립체는 유아가 젖꼭지를 통해 액체를 섭취하는 동안 공기가 병 안으로 들어올 수 있도록 하며, 따라서 수유 중 병 내부의 진공 형성을 완화 또는 경감한다. 통기구 조립체는 통상적으로 병의 림 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착좌되고, 칼라 및 젖꼭지를 포함하는 칼라 조립체는 통기구 조립체 위에서 병 목부의 외부 나사산에 함께 나사 식으로 고정된다.
일부 사용자들은 종종, 예를 들어 여행 중이거나 아이가 더 자라서 부모가 더 이상 통기 조립체를 사용하지 않기로 결정할 때 병으로부터 생략된 통기구 조립체와 그러한 병을 조립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칼라 조립체는 칼라가 가능한 많이 아래로 조여질 때까지 병의 목부에 나사결합된다. 그러나, 병의 목부와 칼라의 높이는 칼라 조립체, 및 더 구체적으로 칼라 조립체의 젖꼭지가 병의 림에 대하여 적절히 밀봉되지 않게 되어 있다. 따라서, 병으로부터 액체의 누설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통기구 조립체가 제거될 수 있고 누설의 위험 없이 병 조립체가 사용될 수 있는 병 조립체가 요구된다.
일 양태에 있어서, 병 조립체는 일반적으로 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는 용기 내에서 함께 액체 챔버를 형성하는, 개방 단부, 폐쇄된 단부, 기저 부분, 및 목부를 갖는다. 목부는 용기의 개방 단부를 형성하는 림을 갖는다. 용기는 중심 축을 갖는다. 통기구 조립체는 사용 중 용기의 통기를 허용하기 위해 용기의 림 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될 수 있고, 통기구 조립체가 용기의 림 상에 위치될 때 용기의 중심 축과 평행하지 않게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 통기구를 포함한다. 통기구 조립체는 일반적으로 통기구 삽입체 및 통기구 삽입체에 해제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리셉터클 부분을 포함한다. 통기구 삽입체는 적어도 하나의 환형 립(lip) 및 용기의 림 상에 통기구 조립체를 위치시킬 때 용기 내부에 종방향으로 현수되는 측방향 통기구를 포함한다. 환형 립은 횡방향 내측 표면을 가지며, 이때 환형 립의 내측 표면은 캐치부와 래치부 중 하나를 갖는다. 리셉터클은 상부 및 상부로부터 아래로 연장하는 통기관을 갖는다. 리셉터클의 상부는 상기 캐치부와 래치부 중 나머지 하나를 갖는 횡 방향 외측 표면을 갖는데, 리셉터클의 상부는 통기구 삽입체에 대한 리셉터클의 해제 가능한 래치 및 캐치 연결을 위해 환형 립 내로 삽입 가능하다. 칼라 조립체는 일반적으로 용기를 위한 폐쇄부를 형성하며, 칼라 조립체는 용기와 함께 통기구 조립체를 보유하기 위해 그 개방 단부 위에서 용기의 목부와 해제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양태에 있어서, 병 조립체는 일반적으로 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는 용기 내에서 함께 액체 챔버를 형성하는 개방 단부, 폐쇄 단부, 기저 부분, 및 목부를 가지며, 목부는 용기의 개방 단부를 형성하는 림을 갖는다. 용기는 중심 축을 갖는다. 용기의 목부는 용기의 림 아래에 배치되는 기저부를 갖고, 목부가 그것의 기저로부터 용기의 림까지 위로 연장함에 따라 외측으로 테이퍼가 형성된 직경을 더 갖는다. 통기구 조립체는 사용 중에 용기의 통기를 허용하기 위해 용기의 림 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 통기구 조립체가 용기의 림 상에 위치할 때 용기의 중심 축에 평행하지 않게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 통기구를 포함한다. 통기구 조립체는 통기구 조립체를 용기의 림 상에 위치시킬 때 용기의 내부 공간 내에 종방향으로 연장 가능한 용기 결합 립을 더 갖는다. 용기 결합 립은 그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환형 벌지(bulge)를 갖는데, 환형 벌지는 목부의 기저부와 용기의 림 중간의 용기의 목부와 밀봉 결합을 위한 크기를 갖는다. 칼라 조립체는 일반적으로 용기를 위한 폐쇄부를 형성하며, 칼라 조립체는 용기와 함께 통기구 조립체를 보유하기 위해 그의 개방 단부 위에서 용기의 목부와 해제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병 조립체는 일반적으로 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는 용기 내에서 함께 액체 챔버를 형성하는 개방 단부, 폐쇄 단부, 기저 부분, 및 목부를 가지며, 목부는 용기의 개방 단부를 형성하는 림을 갖는다. 용기는 중심 축을 갖는다. 통기구 조립체는 사용 중 용기의 통기를 허용하기 위해 용기의 림 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통기구 조립체가 용기의 림 상에 위치될 때 용기의 중심 축에 평행하지 않게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 통기구를 포함한다. 통기구 조립체는 용기의 림 상에 통기구 조립체가 위치될 때 용기의 내부 공간 내에서 종방향으로 연장 가능한 용기 결합 립을 더 갖는다. 용기 결합 립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환형 벌지를 갖고, 환형 벌지는 용기의 목부와 함께 밀봉 결합되기 위한 크기를 갖는다. 용기 결합 립은 환형 벌지에 바로 인접하여 그 내부에 형성된 환형 노치(notch)를 더 갖는다. 칼라 조립체는 일반적으로 용기를 위한 폐쇄부를 형성하며, 칼라 조립체는 용기와 함께 통기구 조립체를 보유하기 위해 그의 개방 단부 위에서 용기의 목부와 해제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병 조립체는 일반적으로 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는 용기 내에서 함께 액체 챔버를 형성하는 개방 단부, 폐쇄 단부, 기저 부분, 및 목부를 갖고, 목부는 용기의 개방 단부를 형성하는 림을 갖는다. 용기는 중심 축을 갖는다. 통기구 조립체는 사용 중 용기의 통기를 허용하기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용기의 림 상에 위치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 통기구 조립체가 용기의 림 상에 위치될 때 용기의 중심 축에 평행하지 않게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 통기구를 포함한다. 용기로부터 통기구 조립체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자가 파지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통기구 조립체가 용기의 림 상에 위치될 때 통기구 조립체는 접근 가능한 파지 탭을 더 갖는다. 칼라 조립체는 일반적으로 용기를 위한 폐쇄부를 형성하며, 칼라 조립체는 용기와 함께 통기구 조립체를 보유하기 위해 그의 개방 단부 위에서 용기의 목부와 해제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도 1은 통기구 조립체를 포함하는 젖병 조립체의 일 실시예의 사시 단면도이다.
도 2는 통기구 조립체가 포함된 도 1의 병의 일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통기구 조립체가 생략된 도 1의 병의 일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젖병 조립체의 제2 실시예의 확대된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단면도를 더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1-3의 병 조립체 또는 도 4 및 도 5의 병 조립체와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한 젖꼭지의 제2 실시예의 측방 입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젖꼭지의 저면도이다.
도 8은 젖병 조립체의 제3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젖병 조립체의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10a 및 10b는 도 8의 젖병 조립체의 젖꼭지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8의 젖병 조립체의 칼라의 사시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도 8의 젖병 조립체의 통기구 삽입체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8의 젖병 조립체의 통기구 조립체의 리셉터클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통기구 조립체를 포함하는 도 8의 젖병 조립체의 사시 단면도이다.
도 15는 통기구 조립체를 포함하는 도 8의 젖병 조립체의 일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6은 통기구 조립체가 생략된 도 8의 젖병 조립체의 일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7은 통기구 조립체를 포함하는 젖병 조립체의 제4 실시예의 사시 단면도이다.
도 18a는 도 17의 병 조립체와 사용하기에 적합한 젖꼭지의 사시도이다.
도 18b는 도 17의 젖꼭지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병 조립체와 사용하기에 적합한 칼라의 사시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7의 병 조립체와 사용하기에 적합한 통기구 조립체의 리셉터클 부분의 사시 단면도이다.
도 21a는 도 17의 병 조립체와 사용하기에 적합한 통기구 삽입체의 사시도이다.
도 21b는 도 17의 통기구 삽입체의 제2 사시도이다.
도 21는 도 17의 통기구 삽입체의 단면도이다.
도 22는 통기구 조립체가 포함된 도 17의 병의 일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23은 통기구 조립체가 생략된 도 17의 병의 일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대응하는 참조 부호는 도면들 중 몇몇의 도면에 걸쳐 대응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이제 도면, 구체적으로 도 1-3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100으로 표시된 병 조립체는, 병 그리고 더 구체적으로는 설명된 실시예의 젖병과 같은 용기(102) 및 상기 병을 대체로 폐쇄하기 위한 일반적으로 104로 표시되는 칼라 조립체를 포함한다. 용기(102)는 내부에 형성되어 수유 유아와 같은 사용자에 의해 섭취될 소정량의 액체를 보유하도록 구성된 액체 챔버(106)를 포함한다. 또한 용기(102)는 여기서 설명된 것과 다르게 구성될 수 있으며, 스포츠용 병, 드링크 텀블러(drink tumbler), 트레이닝 컵(training cup), 커뮤터 컵(commuter cup) 등과 같이 젖병 조립체 이외의 용도를 위해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용기(102)는 유리, 폴리프로필렌 또는 다른 플라스틱,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용기(102)는 또한 임의의 바람직한 색 또는 색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할 수 있다.
용기(102)는 폐쇄된 바닥부(108), 개방된 상부(110), 그리고 폐쇄된 바닥부(108)와 개방된 상부(110) 사이에서 연장하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인 측벽(112)을 갖는다. 원통형 측벽(112)은 기저 부분(114)과 기저 부분(114)에 비해 상대적으로 협소한 목부(116)를 포함한다. 즉, 목부(116)는 기저 부분(114)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목부(116) 직경이 기저 부분(114)의 직경보다 단지 약간 작거나, 또는 기저 부분과 같은 직경일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목부(116)는 환형 림(118), 외부 나사산 부분(120), 및 목부(116)와 기저 부분(114) 사이의 천이부에 형성된 견부(122)를 포함한다. 나사산 부분(120)은 본원에서 후술되는 바와 같이 용기(102)를 칼라 조립체(104)에 조립하기 위한 나사산(124)을 포함한다.
병(100)의 칼라 조립체(104)는 젖꼭지(130)를 용기(102)상에 선택적으로 보유하기 위해 용기(102)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하도록 구성된다. 설명된 칼라 조립체(104)는 젖꼭지(130)와 칼라(132)를 포함한다. 젖꼭지(130)와 칼라(132)는 각각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젖꼭지(130)는 고무 재료, 실리콘 재료, 및 라텍스 재료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실질적으로 유연한 재료로 이루어지고, 칼라(132)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다. 젖꼭지(130)와 칼라(132)는 임의의 색 또는 색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의 설명된 실시예에서, 젖꼭지(130)는 젖꼭지 부분(135)과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플랜지(134)를 포함한다. 젖꼭지 플랜지(134)는 일반적으로 원형인 외측 모서리(138)로부터 일반적으로 원형인 내측 모서리(140)로 연장하는 바닥면(136)을 포함한다. 설명된 실시예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립(142)은 일반적으로 원형 외측 모서리(138)와 인접한 플랜지로부터 위로 돌출한다. 적어도 몇몇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젖꼭지(130)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립(142)을 포함하지 않는다. 젖꼭지 부분(135)은 일반적으로 그 원형 내측 모서리(140)에 인접한 플랜지(134)로부터 위로 연장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젖꼭지(135)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환형 외부 돌출부(144)를 포함한다. 젖꼭지 부분(135)은 또한 사용자에게 액체를 분배하기 위한 개구(148)를 포함하는 출구 단부(146)를 포함한다. 그러나, 젖꼭지(130)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원에 도시되고 설명된 것과 다른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되어야 한다.
설명된 칼라(132)는 환형 상부 패널(panel)(150) 및 현수형 측벽(152)을 갖는다. 상부 패널(150)은 상부 패널(150) 상에 환형 넙(nub), 또는 반경 방향 내측 모서리 마진(154)에 인접하여 패널의 아래측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환형 돌출부(156)를 포함한다. 모서리 마진(154) 및 환형 돌출부(156)는 칼라(132) 상으로의 젖꼭지(130)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칼라 조립체(104)를 조립하기 위해, 모서리 마진(154)이 젖꼭지(130)의 환형 외부 돌출부(144) 아래에 위치하고 칼라(132)의 환형 돌출부(156)가 젖꼭지(130)의 원주 방향 립(142)의 반경 방향 내측에 위치할 때까지, 젖꼭지(130)는 젖꼭지 부분(135)부터 칼라(132)의 상부 패널(150)에 있는 중앙 개구를 통하여 위로 당겨진다. 그러나, 젖꼭지(130) 및 칼라(132)는 설명된 것과 다르게 구성될 수 있으며, 용기(102) 상의 추가의 조립을 위해 함께 조립되도록 또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젖꼭지(130) 및 칼라(132)는 용기(102) 상에서의 공동 조립을 위해 조립된 상태로 유지되는 성능을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도 고려된다.
칼라(132)의 측벽(152)은, 칼라를, 그리고 그에 따라서 칼라 조립체(104)를 용기(102)상에 해제 가능하도록 고정하기 위해, 용기(102)의 목부(116)의 외부 나사산(124)과 나사식으로 결합하기에 적절한 내부 나사산(164)을 구비한 내측 표면(162)을 갖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적절한 일 실시예에서, 칼라 측벽(152)의 내측 표면(162) 상의 나사산(164) 개수는 용기의 목부(116) 상의 외부 나사산(124)의 개수를 초과하는데, 그 목적은 자명할 것이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칼라(132)는 용기(102)의 목부(116) 상의 외부 나사산(124) 개수보다 대략 두 배 많은 내부 나사산(164)을 가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병 조립체(100)는 또한 사용 중 병 조립체의 통기를 허용하기 위한 통기구 조립체(180)를 포함한다. 도 3에서, 통기구 조립체(180)는 생략되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구 조립체(180)는 통기구 삽입체(182)와 리셉터클 부분(184)을 포함한다. 리셉터클 부분(184)은 예를 들어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마찰 끼워 맞춤 방식에 의해 통기구 삽입체(182)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 가능하다. 리셉터클 부분(184)은 상부(186), 중앙부(188), 및 통기관(190)을 포함한다. 상부(186)는 그 내부에 저장부(194)를 형성하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인 측벽(192)을 포함한다. 통기관(190)은 상부(186)의 측벽(192)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인 측벽(196)을 포함한다. 통기관(190)의 측벽(196)은 저장부(194)와 유체 연통하는 통로(198)를 형성한다. 중앙 부분(188)은 통기관 측벽(196) 및 상부 측벽(192) 사이에서 연장하는, 테이퍼가 형성된 측벽(200)을 포함한다. 통기관(190)은 또한 용기(102)의 폐쇄된 바닥부(108)에 인접한 통로(198)의 단부에 공기 출구(202)를 포함한다.
통기구 삽입체(182)는 내측 부분(210)과 외측 부분(212)을 포함한다. 내측 부분(210)은 내부 통기관(214), 립(216), 및 내부 통기관(214)과 립(216)에 사이에서 연장하고 이들과 직교하도록 배향된 상부 벽(218)을 포함한다. 내부 통기관(214)은 저장부(194)와 유체 연통하는 통로(220)를 형성한다. 통기구 삽입체(182)를 리셉터클 부분(184)과 조립하기 위해, 립(216)은 리셉터클 부분(184)의 측벽(192)과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립(216)은 측벽(192)과 결합되는 벌지(222)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통기구 삽입체(182)와 리셉터클 부분(184)은 상호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통기구 삽입체(182)의 내측 부분(210)은 통기구 삽입체(182) 내에 채널(236)을 형성하기 위해 상부 벽(218)으로부터 위로 연장하는 측방향 통기구(234)를 더 포함한다.
통기구 삽입체(182)의 외측 부분(212)은 주연 벽(240)을 포함한다. 주연 벽(240)은 내측 모서리(242), 외측 모서리(244), 상부(246), 그리고 바닥부(248)를 포함한다. 주연 벽(240)은 채널(236)이 주연 벽(240)을 통하여 연장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통기구(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주연 벽(240)과 상부 벽(218) 사이에 형성된 간극(250)은 액체 챔버(106) 내의 액체가 젖꼭지(130)를 향해 흐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통기구 조립체(180)의 구성요소들이 본 발명의 몇몇 양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원에 도시되고 설명된 것과 다른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1998년 7월 14일에 허여된 미국 특허 제5,779,071호, 2010년 11월 9일에 허여된 미국 특허 제7,828,165호, 2012년 2월 14일에 허여된 미국 특허 제8,113,365호, 2012년 4월 3일에 허여된 미국 특허 제8,146,759 에서 개시된 병 조립체에서 사용된 것과 같이, 비슷한 통기구 조립체가 본 기술분야에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통기구 조립체(180)의 추가적인 세부사항과 작동은 본원에 더 이상 설명되지 않는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라 측벽(152) 및 용기 목부(116)는 두 가지 다른 구성, 통기구 조립체(180)가 포함된 제1 구성(도 2) 및 통기구 조립체가 생략된 제2 구성(도 3)에서 병 조립체(100)가 작동할 수 있도록 상호간에 적절한 크기로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실시예에서, 용기 목부(116)[예를 들어, 용기(102)의 림(118)으로부터, 상기 목부가 용기의 기저 부분(114)까지 외측으로 넓어지는 견부(122)까지]의 길이(또는 본원의 도면의 배향에서의 높이)는 제2 구성에서, 즉 통기구 조립체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략되었을 때 칼라의 측벽(152)을 수용하기에 충분하다.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 조립체(100)가 통기구 조립체(180)를 포함하는 제1 구성에서는, 주연 벽(240)의 바닥부(248)가 용기의 림(118)에 대해 착좌(seat down)하도록 통기구 조립체(180)가 용기(102) 내로 삽입된다. 통기구 조립체(180)가 용기(102) 내로 삽입된 후에, 칼라 조립체(104)는 내부 칼라 나사산(164)을 목부(116)의 외부 나사산(124)과 나사식으로 결합시키고 용기 상에서 칼라가 비틀리도록 칼라(132)를 회전시킴으로써 용기(102)에 부착된다. 칼라(132)가 용기(102) 상으로 조여짐에 따라, 젖꼭지(130)의 바닥면(136)이 통기구 조립체(180)의 주연 벽(240)의 상부(246)에 대해 가압되어, 젖꼭지[그리고 그에 따라 칼라 조립체(104)]를 통기구 조립체에 대해 밀봉한다. 동시에, 통기구 조립체의 주연 벽(240)의 바닥부(248)가 용기(102)의 림(118)에 대해 가압되어, 통기구 조립체를 용기에 대해 밀봉한다.
본 구성에서, 칼라의 하위 나사산(164) 중 일부는 목부의 나사산(124)과 결합하는 반면에, 최상위 칼라 나사산은 통기구 조립체의 주연 벽(240)에 대항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성에서, 칼라 조립체(104)가 용기(102)에 고정되었을 때 외부 나사산이 보이지 않게 칼라 측벽의 하위 단부가 목부(116)의 최하위 나사산(124) 아래로 연장하도록, 칼라 측벽(152)은 충분히 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구성에서, 통기구 조립체(180)는 병 조립체(100)로부터 생략되었다. 본 구성에서 칼라 조립체(104)가 용기(102) 상에서 아래로 조여졌을 때, 칼라 나사산(164)은 용기의 목부(116)의 나사산(124)과 결합하고 젖꼭지를 용기에 대해 직접적으로 밀봉하도록 젖꼭지(130)가 용기의 림(118)에 대해 가압될 때까지 칼라(132)는 칼라가 용기 상에서 비틀리도록 회전된다. 본 구성에서, 칼라 나사산의 하위 세트가 목부(116)의 최하위 외부 나사산(124) 아래에 배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칼라(132)의 하위 단부는 최하위 외부 나사산(124) 훨씬 아래에, 그리고 용기의 견부(122)에 더 가까이 배치된다.
도 4 및 도 5는 일반적으로 300으로 표시된 젖병 조립체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이는 액체 챔버(306)를 포함하는 용기(302), 및 일반적으로 304로 표시되고 용기상에 젖꼭지를 선택적으로 보유하기 위한 젖꼭지(330) 및 칼라(332)를 포함하는 칼라 조립체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1-3의 젖병 조립체(100)와 유사하다. 젖병 조립체(300)는 통기구 삽입체(382) 및 리셉터클 부분(384)을 포함하는 통기구 조립체(380)를 더 포함한다. 리셉터클 부분(384)은 도 1-3의 실시예의 통기구 조립체(180)에 대한 것과 같은 방식으로 통기구 삽입체(382)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실질적으로는 통기구 조립체(380) 전체 그리고 특히 통기구 삽입체(382)는 실질적으로 완전히 용기 (302)의 액체 챔버 (306)내에[예를 들어, 용기의 목부(316) 내에] 배치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302)의 목부(316)는 환형 림(318), 외부 나사산 부분(320), 및 용기의 목부(316) 및 기저 부분(314) 사이의 천이부를 형성하는 외부 견부(322)를 포함한다. 나사산 부분(320)은 용기(302)를 칼라 조립체(304)에 조립하기 위한 나사산(324)를 포함한다. 용기(302)의 목부(316)의 내측 표면(323)은 용기의 목부 내에서 통기구 삽입체(382)를 지지하기 위한 내측 견부(325)를 형성하는 계단형 내경을 갖는다.
젖꼭지(330)는 젖꼭지 부분(335)과 횡 방향으로 연장하는 플랜지(334)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334)는 일반적으로 원형인 외측 모서리(338)로부터 일반적으로 원형인 내측 모서리(340)까지 연장하는 바닥면(336)을 갖는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주연 방향으로 연장하는 립(342)은 상기 원형 외측 모서리(338)에 대체로 인접한 플랜지(334)로부터 위로 돌출한다. 적어도 일부 대안적 실시예에서, 젖꼭지(330)는 주연 방향으로 연장하는 립(342)을 포함하지 않는다. 젖꼭지 부분(335)은 그 원형 내측 모서리(340)에 대체로 인접한 플랜지(334)로부터 위로 연장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젖꼭지 부분(335)은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환형 외부 돌출부(344)를 포함한다. 그러나, 젖꼭지(330)는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원에 도시되고 설명된 것과 다른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도시된 칼라(332)는 환형 상부 패널(350) 및 현수형 측벽(352)을 갖는다. 상부 패널(350)은 상부 패널(350)의 환형 넙(nub) 또는 반경 방향 내측 모서리 마진(354)에 인접하여 상부 패널의 아래측으로부터 아래로 연장하는 환형 돌출부(356)를 포함한다. 모서리 마진(354) 및 환형 돌출부(356)는 젖꼭지(330)가 칼라(332) 상에 조립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칼라 조립체(304)를 조립하기 위해, 모서리 마진(354)이 젖꼭지(330)의 환형 외부 돌출부(344) 아래에 위치하고 칼라(332)의 환형 돌출부(356)가 젖꼭지(330)의 원주 방향 립(342)의 반경 방향 내측에 위치할 때까지, 젖꼭지(330)는 젖꼭지 부분(335)부터 칼라(332)의 상부 패널(350)에 있는 중앙 개구를 통하여 위로 당겨진다. 그러나, 젖꼭지(330) 및 칼라(332)는 도시된 것과 다르게 구성될 수 있으며, 여전히 용기(302) 상의 추가의 조립을 위해 함께 조립되도록 또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젖꼭지(330) 및 칼라(332)는 용기(302) 상에서의 공동 조립을 위해 조립된 상태로 유지되는 성능을 필요로 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도 고려된다.
칼라(332)의 측벽(352)은, 칼라(332)를 그리고 그에 따라 칼라 조립체(304)를 용기(302)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용기(302)의 목부(316)의 외부 나사산(324)과 나사식으로 결합하기에 적합한 내부 나사산(364)을 구비한 내측 표면(362)을 갖는다.
통기구 조립체(380)의 통기구 삽입체(382)는 환형 벌지(427)를 갖는 주연 벽(440)을 포함하며, 환형 벌지(427)는 용기(302)의 목부(316)의 내측 표면(323)과 내측 견부(325) 바로 위에서 밀봉되도록 결합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환형 벌지(427)는 내측 견부(325) 위로 더 이격된 위치에서 목부(316)의 내측 표면(323)과 밀봉되도록 결합하기 위해 통기구 삽입체(382)의 주연 벽(440) 상에 위치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통기구 삽입체(382)가 용기(302)의 목부(316)의 내측 견부(325) 상에 착좌될 때, 통기구 삽입체(382)의 상부(446)가 용기(302)의 림(318) 위로 충분히 연장되어 젖병 조립체(300)의 조립 시 젖꼭지(330)와 결합하도록, 통기구 삽입체(382)의 주연 벽(440)은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의 배향에서 높이에 있어서) 적절하게 충분히 긴 길이를 갖는다. 또한, 통기구 삽입체(382)의 상부(446) 젖꼭지가 용기(302)의 림(318)에 대해 기밀 밀봉을 형성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젖꼭지(330)를 충분히 높게 유지한다.
통기구 조립체(380), 더 구체적으로 통기구 삽입체(382)를 용기(302)의 액체 챔버(306)내에 실질적으로 완전히 배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병이 특정된 젖꼭지(330)와 칼라(332)는 필요하지 않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통기구 삽입체(382)가 사용된 제1 구성에서의 젖병 조립체(300)의 조립 시에, [리셉터클 부(384)가 부착된] 통기구 삽입체는, 통기구 삽입체가 용기의 내측 표면(323)의 내측 견부(325) 상에 착좌된 상태에서 용기(302) 내에 배치된다. 칼라 조립체(304)[즉, 젖꼭지(330) 및 칼라(332)]는 칼라를 용기의 목부(316)의 외부 나사산(324)과 나사식으로 결합하고 용기 상에서 칼라가 비틀리도록 칼라를 회전시킴으로써 용기(302)에 부착된다. 칼라(332)가 용기(302)상에 조여짐에 따라, 젖꼭지(330)의 바닥면(336)은 공기가 용기의 림(318)과 젖꼭지 사이의 용기로 들어가도록 하는 반면 통기구 삽입체의 주연 벽(440)의 상부(446)에 대해 밀봉한다.
젖병 조립체(300)의 제2 구성에서(도시되지 않음), 통기구 조립체(380)는 생략되었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서 칼라 조립체(304)는 제1 구성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용기(302)에 부착된다. 이에 따라, 제2 구성의 칼라(332)는 제2 구성에서 제1 구성과 다르게 용기에 끼워지도록 구성될 필요가 없다.
도 6 및 도 7은 본원에 개시된 제1 및 제2 실시예의 젖병 조립체(100, 300)와 함께 사용되기 위한 적합한 젖꼭지(530)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젖꼭지(530)는 바닥면(536)의 구성을 제외하면, 도 1-3의 젖꼭지(130) 및 도 4 와 도 5의 젖꼭지(330)와 유사하다. 본 실시예에서, 젖꼭지(530)의 바닥 면(536)은 젖꼭지(530)의 플랜지(534)의 외측 모서리 마진(538)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내향하여, 상호간 원주 방향으로 동일하게 이격된 관계로 연장하는 복수의 통기구 형상부(541)를 갖는다. 도 7에 가장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된 통기구 형상(541)은 젖꼭지 플랜지(534)의 외측 모서리 마진(538)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내향하여 연장하는 복수의 아치형(원주 방향으로의 연장에 있어서) 채널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통기구 형상(541)은 다른 임의의 적절한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통기구 형상(541)은 대신에 젖꼭지(530)의 바닥면(536)에 형성된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도 고려된다.
통기구 형상(541)은 길이에 있어서(예를 들어, 반경 방향으로) 적절한 크기를 가져서, 젖꼭지(530)가 도 1-3의 실시예의 젖병 조립체(100)에서 사용될 때, 통기구 삽입체(182)가 통기구 형상부(541)의 반경방향 내측에 있는 젖꼭지(130)의 바닥 면(536)에 대해 밀봉하도록, 병 조립체의 제1 구성[예를 들어, 통기구 조립체(180)가 정위치에 배치된 구성]에서 통기구 형상부(541)는 통기구 삽입체(182)의 반경 방향으로 내향하여 연장하지 않는다. 그러나 병 조립체(100)의 제2 구성에서, 공기가 여전히 통기구 형상부(118)를 통하여 용기(102)에 들어갈 수 있도록, 통기구 형상부(541)은 용기(102)의 림(118)의 반경 방향 내향으로 연장하는 상태로, 젖꼭지(530)의 바닥 면(536)은 용기(102)의 림(118)과 접촉한다.
마찬가지로, 도 4 및 도 5의 젖병 조립체(300)에서, 병 조립체의 제1 구성[통기구 조립체가(380)가 정위치에 배치된 구성]에서 통기구 삽입체(382)의 주연 벽(440)의 상부(446)는 [예를 들어, 공기가 오직 통기구 조립체(380)를 통해서만 용기(302)로 들어올 수 있도록] 통기구 형상(541)의 반경 방향으로 내향하여 젖꼭지의 바닥면(536)에 대하여 밀봉한다. 병 조립체(300)의 제2 구성에서, 젖꼭지(530)의 바닥 면(536)은 용기(302)의 림(318)과 접촉하는데, 이때 공기가 여전히 통기구 형상부(541)를 통하여 용기(302)에 들어갈 수 있도록 통기구 조립체(541)는 용기(302)의 림(318)의 반경 방향으로 내향하여 연장한다.
도 8-16은 병 조립체의 이중 구성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800으로 표시되어있는 병 조립체는, 도 1-3의 병 조립체(100)와 유사하다. 병 조립체(800)는 병, 더 구체적으로 도시된 실시예의 젖병과 같은 용기(802), 및 병을 대체로 폐쇄하기 위한 일반적으로 804로 표시되는 칼라 조립체를 포함한다. 용기(802)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이고 중심 축에 대하여 대칭이며, 내부에 형성되어 수유 유아와 같은 사용자에 의한 섭취될 소정량의 액체를 보유하도록 구성된 액체 챔버(806)를 포함한다. 또한 용기(802)는 여기에 도시된 것과 다르게 구성될 수 있으며, 스포츠용 병, 드링크 텀블러, 트레이닝 컵, 커뮤터 컵, 기타 등과 같이 젖병 조립체 외의 용도를 위해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용기(802)는 유리, 폴리프로필렌 또는 다른 플라스틱,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이루어 질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용기(802)는 또한 임의의 바람직한 색 또는 색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할 수 있다.
용기(802)는 용기(802)의 개방 상부(810)의 구성을 제외하면 도 1의 용기(102)와 유사하다. 본 실시예에서, 도 9에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802)는 폐쇄 바닥부(808), 개방 상부(810), 그리고 폐쇄 바닥부(808)와 개방 상부(810) 사이에서 연장하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인 측벽(812)을 갖는다. 원통형 측벽(812)은 기저 부분(814) 및 기저 부분(814)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협소한 목부(816)를 포함한다. 즉, 목부(816)는 기저 부분(814)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목부(816)는 환형 림(818), 외부 나사산 부분(820), 및 목부(816)의 원주 주위로 연장하는 립(826)을 포함한다. 조립 되었을 때, 립(826)은 칼라(832)의 바닥 모서리(851)와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이는 더 완전하게 설명될 것이다). 용기(802)는 목부(816)와 기저 부분(814) 사이의 천이부에 형성된 견부(822)를 더 포함한다. 목부(816)의 나사산 부분(820)은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이 용기(802)를 칼라 조립체(804)에 조립하기 위한 나사산(824)을 포함한다.
병(800)의 칼라 조립체(804)는 용기(802) 상에 젖꼭지(830)를 선택적으로 보유하기 위해 용기(802)에 대해 제거 가능하게 부착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칼라 조립체(804)는 젖꼭지(830)와 칼라(832)를 포함한다. 젖꼭지(830)와 칼라(832)는 각각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젖꼭지(830)는 고무 재료, 실리콘 재료, 및 라텍스 재료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실직적으로 유연한 재료로 이루어지고, 칼라(832)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다. 젖꼭지(830)와 칼라(832)는 임의의 바람직한 색 또는 색들로 이루어질 수 있고,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에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젖꼭지(830)는 바닥 면(836)을 제외하면 도 1-3의 젖꼭지(130)와 유사하다. 본 실시예에서, 젖꼭지(830)는 젖꼭지 부분(835) 및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플랜지(834)를 포함한다. 젖꼭지 플랜지(834)는 일반적으로 원형인 외측 모서리(838)로부터 일반적으로 원형인 내측 모서리(840)까지 연장하는 바닥면(836)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주연 방향으로 연장하는 립(842)은 일반적으로 원형의 외측 모서리(838)에 인접하는 플랜지(834)로부터 위로 돌출한다. 적어도 몇몇의 대체 실시예에서, 젖꼭지(830)는 주연 방향으로 연장하는 립(842)을 포함하지 않는다. 젖꼭지 부(835)는 그 원형의 내측 모서리(840)와 일반적으로 인접하는 플랜지(834)로부터 위로 연장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젖꼭지 부분(835)은 반경 방향으로 외향하여 돌출하는 환형 돌출부(844)를 포함한다. 젖꼭지 부분(835)은 또한 사용자에게 액체를 분배하기 위한 개구(848)를 포함하는 출구 단부(846)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본 실시예에서, 젖꼭지(830)는 젖꼭지 플랜지(834)의 바닥면(836) 상에 제공된 하나 이상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홈(837)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홈(837)은 더 완전히 설명될 바와 같이 병 조립체(800)가 통기구 조립체(880) 없이 사용될 때 병 조립체(800)의 통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젖꼭지(830)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원에 도시되고 설명된 것과 다른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도 11에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도시된 칼라(832)는 환형 상부 패널(850)과 현수형 측벽(852)를 갖는다. 상부 패널(850)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패널(850)의 반경 방향 내측 모서리 마진(854)에 인접한 패널의 아래측으로부터 아래로 연장하는 환형 돌출부(856)를 포함한다. 모서리 마진(854) 및 환형 돌출부(856)는 칼라(832) 상의 젖꼭지(830)의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칼라 조립체(804)를 조립하기 위해, 모서리 마진(854)이 젖꼭지(830)의 환형 돌출부(844) 아래에 위치되고 칼라(832)의 환형 돌출부(856)가 젖꼭지(830)의 주연 방향 립(842)의 반경 방향 내측에 위치할 때까지 젖꼭지(830)는 젖꼭지 부분(835)부터 칼라(832)의 상부 패널(850)에 있는 중앙 개구를 통하여 위로 당겨진다. 그러나, 젖꼭지(830)와 칼라(832)는 도시된 것과 다르게 구성될 수 있으며, 용기(802) 상에서의 추가의 조립을 위해 함께 조립되도록 또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젖꼭지(830) 및 칼라(832)는 용기(802) 상에서의 공동 조립을 위해 조립된 상태로 유지되는 성능을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도 고려된다.
칼라(832)의 측벽(852)은, 칼라(832) 및 그에 따라 칼라 조립체(804)를 용기(802) 상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용기(802)의 목부(816)의 외부 나사산(824)과 나사식으로 결합하기에 적합한 내부 나사산(864)이 있는 내측 표면(862)을 갖는다.
도 12a-15에 가장 잘 나타난 바와 같이, 병 조립체(800)는 또한 사용 중 병 조립체의 통기를 허용하기 위한 통기구 조립체(880)를 포함한다. 도 16에서, 통기구 조립체(880)는 생략되었다. 통기구 조립체(880)는 공기 출구를 제외하면 도 1-3의 통기구 조립체(180)와 유사하다. 본 실시예에서, 통기구 조립체(880)는 통기구 삽입체(882)와 리셉터클 부분(884)을 포함한다. 리셉터클 부분(884)은 본 기술에 공지된 방식으로 예를 들어 마찰 끼워 맞춤에 의해서 통기구 삽입체(882)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 가능하다. 리셉터클 부분(884)은 상부(886), 중앙 부분(888), 그리고 통기관(890)을 포함한다. 상부(886)는 그 내부에 저장부(894)를 형성하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인 측벽(892)을 포함한다. 통기관(890)는 상부(886)의 측벽(892)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인 측벽(896)을 포함한다. 통기관(890)의 측벽(896)은 저장부(894)와 유체 연통하는 통로(898)를 형성한다. 중앙 부분(888)은 통기관 측벽(896)과 상부 측벽(892) 사이에서 연장하는, 테이퍼가 형성된 측벽(900)을 포함한다. 통기관(890)는 또한 용기(802)의 폐쇄된 바닥(808)에 인접한 통로(898)의 단부에 공기 출구(902)를 포함한다. 통기관(890)의 공기 출구(902)는, 통로(898) 내부로부터 용기(802)의 액체 챔버(806)까지 공기 및/또는 유체의 유동을 돕기 위한, 하나 이상의 노치(90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a-12b 및 도 15에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통기구 삽입체(882)는 내측 부분(910), 중간 부분(911), 그리고 외측 부분(912)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면 도 1 및 도2의 통기구 삽입체(182), 그리고 도 4 및 도 5의 통기구 삽입체(382)와 유사하다. 내측 부분(910)은 내부 통기관(914), 립(916), 및 내부 통기관(914)과 립(916)에 대해 수직하게 배향되어 그 사이에서 연장하는 상부 벽(918)을 포함한다. 내부 통기관(914)은 저장부(894)와 유체 연통하는 통로(920)를 형성한다. 통기구 삽입체(882)를 리셉터클 부(884)에 조립하기 위하여, 립(916)은 리셉터클 부분(884)의 측벽(892)에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립(916)은 측벽(892)과 결합하는 벌지(922)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통기구 삽입체(882) 및 리셉터클 부(884)는 상호간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통기구 삽입체(882)의 내측 부분(910)은 통기구 삽입체(882) 내에 채널(936)을 형성하도록 상부 벽(918)으로부터 위로 연장하는 측방향 통기구(934)를 더 포함한다.
통기구 삽입체(882)의 중간 부분(911)은 통기구 삽입체(882)의 중심에 대하여 내측 부분(910)과 외측 부분(912) 사이에서 반경 방향으로 위치한다. 중간 부분(911)은 용기(802)의 측벽(812)의 내측 표면에 접하도록 구성된 용기 결합 립(924)을 포함하는데, 이때 용기 결합 벌지(926)가 용기 결합 립 (924)상에 배치된다. 통기구 조립체(880)가 용기(802) 상에 착좌될 때 용기 결합 벌지(926)는 용기(802)의 측벽(912)의 내측 표면[더 구체적으로, 용기(802)의 목부(816)의 내측 표면]과 마찰 결합할 수 있다. 리셉터클 부분(884)의 측벽(892)과 용기 결합 립(924) 사이에 형성된 간극(950)이 액체 챔버(806) 내의 액체를 젖꼭지(830)를 향해 흐를 수 있도록 한다.
통기구 삽입체(882)의 외부(912)는 주연 벽(940)을 포함한다. 주연 벽(940)은 내측 모서리(942), 외측 모서리(944), 상부(946), 및 바닥부(948)를 포함한다. 도 15에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주연 벽(940)의 바닥부(948)는 병 조립체(800)가 조립되었을 때, 용기(802)의 환형 림(818) 상에 착좌하도록 구성된다. 외측 부분(912)은 주연 벽(940)의 상부(946)로부터 돌출하는 환형 리브(rib)(928)를 더 포함한다. 환형 리브(928)는, 병 조립체(800)의 사용 중 누설을 감소시키기 위해 칼라 조립체(804)가 용기(802)에 부착되어 있을 때, 젖꼭지(830)의 플랜지(834)를 압축 및/또는 변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환형 리브(928)는 또한 병 조립체(880)가 통기구 조립체(880)를 포함하는 구성에서 젖꼭지(830)의 바닥면(836)과 밀봉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외측 부분(912)은 주연 벽(940)의 바닥부(948) 상에 제공되어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홈(93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홈은 측 방향 통기구(934)의 채널(936)과 유체 연통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홈(930)은 통기구 삽입체(882)의 일부를 용기(802)의 림(818)으로부터 이격시키며, 이는 외측 부분(912)이 림(818)에 대하여 가압될 때 공기가 측방향 통기구(934)로 흐를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병 조립체(800)가 통기구 조립체(880)를 포함할 때 측 방향 통기구(936)는 하나 이상의 홈(930)을 통하여 병 조립체(800)의 외부와 유체 연통할 것이며, 그로 인해 용기(802)가 병 조립체(800)의 사용 중 통기할 수 있다.
도면에서 도시된 통기구 조립체(880)가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통기구 조립체(880)의 구성 요소들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원에 도시되고 설명된 것과 다른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도 15 및 16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칼라 측벽(852), 통기구 삽입체(882)의 외측 부분(912), 및 용기 목부(816)는 두 가지 상이한 구성, 즉 통기구 조립체(880)가 포함된 제1 구성(도 15 참조) 및 통기구 조립체(880)가 생략된 제2 구성(도 16 참조)에서 병 조립체(800)의 작동을 허용하도록 상호간 상대적으로 적절한 크기를 갖는다. 예를 들어, 용기 목부(816)의 길이(또는 본원 도면의 배향에서 높이)[예를 들어, 용기(802)의 림(818)으로부터 목부(816)가 용기(802)의 기저 부분(814)을 향해 외부로 넓어지는 견부(822) 및/또는 립(826)까지]가 제2 구성에서, 즉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구 조립체가 생략되었을 때, 칼라(832)의 측벽(852)을 수용하기에 충분하다. 더 구체적으로, 통기구 조립체(880)가 생략되었을 때, 칼라(832)는 통기구 삽입체(882)의 외측 부분(912)의 주연 벽(940)의 높이와 대략적으로 동일한 추가적인 수직 거리만큼 조이도록 구성되어, 젖꼭지(830)의 바닥 면(836)은 용기(802)의 환형 림(818)에 착좌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칼라(832)가 상기 추가적인 수직 거리를 조이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통기구 조립체(880) 없이 사용될 때 병 조립체(800)로부터 액체의 누설을 최소화하거나 심지어 제거하기 위해 칼라(832)는 젖꼭지(830)를 환형 림(818)에 고정식으로 착좌시킬 수 있다.
이것은 도 12a-12b 및 도 15를 참조하면 더 쉽게 이해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구 삽입체(882)는 외측 부분(912)의 높이[더 구체적으로, 주연 벽(940)의 높이]가 통기구 삽입체(882)의 나머지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협소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특히,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구 삽입체(882)가 조립된 상태에 있을 때 채널(936)[또는, 대안적으로 대부분의 채널(936)]이 궁극적으로 용기(802)의 환형 림(818) 아래에 착좌되도록 측방향 통기구(934)의 채널(936)을 외측 부분(912) 아래에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따라서, 외부(912)의 주연 벽(940)의 높이는, (공지된 많은 통기 조립체에서는 일반적인 것처럼) 조립 시 채널(936)이 용기(802)의 환형 림(818)의 위에 제공되었던 경우에 측방향 통기구(934)의 채널(936)을 수용하기 위해 필요하게 되었을 것보다 더 협소할 수 있다. 오히려, 통기구 삽입체(882)의 주연 벽(940)은 반드시, 측 방향 통기구(834)의 채널(936)과 유체 연통하는 하나 이상의 홈(930)를 수용하기에 충분하도록 높아야 한다.
통기구 삽입체의 그러한 상대적인 치수[즉, 통기구 삽입체(882)의 다른 형상들에 대한 주연 벽(940)의 협소함]은 병 조립체(800)가 두 가지 구성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각 구성에서 병 조립체(800)로부터의 누설을 최소화 한다. 도 15에 가장 잘 나타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제1 구성에서 병 조립체(800)는 통기구 조립체(880)를 포함한다. 이 구성에서, 통기구 조립체(880)는 용기(802) 내로 삽입되어 통기구 삽입체(882)의 주연 벽(940)의 바닥부(948)가 용기(802)의 림(818)에 대하여 착좌하고, 용기 결합 립(924)[또는 더 구체적으로 용기 결합 벌지(926)]이 용기(802)의 측벽(812)의 내측 표면에 마찰 결합한다. 통기구 조립체(880)가 그러한 위치에 삽입된 후, 내부 칼라 나사산(864)과 목부(816)의 외부 나사산(824)을 나사식으로 결합하고 용기(802) 상에서 칼라가 비틀리도록 칼라(832)를 회전시킴으로써 칼라 조립체(804)가 용기(802)에 부착된다. 칼라(832)가 용기(802) 상으로 조여짐에 따라, 젖꼭지(830)[그리고 그에 따라 칼라 조립체(804)]를 통기구 조립체(880)에 대해 밀봉하기 위해, 젖꼭지(830)의 바닥 면(836)은 주연 벽(940)의 상부(946)에 대해, 그리고 통기구 삽입체(882)의 환형 리브(928)에 대해 가압된다. 이와 동시에, 통기구 조립체(880)를 용기(802) 상에 위치시키기 위해, 통기구 삽입체(882)의 주연 벽(940)의 바닥부(948)는 용기(802)의 림(818)에 대해 가압된다.
본 구성에서, 칼라 나사산(864)은 칼라(832)의 아래에서는 나사산이 보이지 않도록, 목부의 나사산(824)과 결합한다. 더 구체적으로, 그리고 도 15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구성에서 칼라 조립체(804)가 용기(802)에 고정되었을 때 외부 나사산(824)이 보이지 않게 칼라 측벽(852)의 바닥부 모서리(851)가 목부(816)의 최하위 외부 나사산(824) 아래로 연장하도록 칼라 측벽(852)은 충분히 길다. 또한, 칼라 조립체(804)가 젖꼭지(830) 및 통기구 조립체(880)를 용기(802)의 림(818)에 고정식으로 착좌시키기 때문에, 병 조립체(800)의 사용 중 누설이 최소화된다.
더 나아가, 젖꼭지(830)가 플랜지(834)의 바닥면(836) 상에 하나 이상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홈(837)를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통기구 삽입체(882) 상에 제공된 환형 리브(928)는 용기(802)의 액체 챔버(806)와 상기 하나 이상의 홈(837) 사이에서 밀봉부 역할을 할 수 있어, 병 조립체(800)가 제1 구성일 때 상기 하나 이상의 홈(837)은 액체 챔버(806)와 유체 연통하지 않는다. 더 구체적으로, 그리고 도 10b로 돌아가면, 젖꼭지 플랜지(834)의 바닥면(836) 상에 제공된 상기 하나 이상의 홈(837)은 젖꼭지(830)의 외측 모서리(838)로부터 단지 부분적으로 연장할 수 있다[즉, 상기 하나 이상의 홈(837)은 젖꼭지(830)의 내측 모서리(840)까지 완전히 연장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통기구 삽입체(882)의 환형 리브(928)는 [병 조립체(800)가 제 1 구성으로 조립되었을 때] 상기 하나 이상의 홈(837)의 최내측 부분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내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환형 리브(928)는 상기 하나 이상의 홈(837)의 최내측 부분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내향하여 배치되기 때문에, 환형 리브(928)는 용기(802)의 액체 챔버(806)를 상기 하나 이상의 홈(837)로부터 밀봉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병 조립체(800)가 제1 구성일 때 상기 하나 이상의 홈(837)은 액체 챔버(806)와 유체 연통하지 않는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사용 중 용기(802)의 통기는, 통기구 조립체(880), 및 더 구체적으로는, 통기구 삽입체(882)의 상기 하나 이상의 홈(930) 및 측 방향 통기구(934)를 통하여 달성될 수 있다.
제2 구성에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구 조립체(880)는 병 조립체(800)로부터 생략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칼라 조립체(804)가 용기(802) 상에서 아래로 조여질 때, 칼라 나사산(864)은 용기(802)의 목부(816)의 나사산(824)과 결합하고, 젖꼭지(830)를 용기(802)에 대해 직접적으로 밀봉하도록 젖꼭지(830)가 용기(802)의 림(818)에 대해 가압될 때까지, 칼라(832)가 용기(802) 상에서 비틀리도록 칼라(832)가 회전된다. 이에 따라, 칼라 조립체(804)는 궁극적으로 용기(802) 상에 완전히 착좌되기 전에 제1 구성에서보다 더 큰 거리만큼 비틀리게 될 것이다. 즉, 본 구성에서 통기구 조립체(880)[그리고 그에 따라 통기구 삽입체(882)]가 병 조립체(800)로부터 생략되었기 때문에, 칼라 조립체(804)는 생략된 통기구 삽입체(882)의 주연 벽(940)의 높이와 대략적으로 동일한 추가의 수직 거리만큼 조여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통기구 삽입체(882)가 설명된 바와 같이 구성되었기 때문에[예를 들어, 측방향 통기구(934)의 채널(936)이 통기구 삽입체(882)의 외측 부분(912) 아래에 배치되기 때문에], 주연 벽(940)은 상대적으로 협소하고, 따라서 칼라(832)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구 조립체(880)가 포함되었을 때보다 더 많은 추가적인 조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제2 구성에서, 칼라(832)의 측벽(852)이 립(826) 및/또는 견부(822)와 결합하기 전에, 칼라 조립체(804)는 완전히 조여질 수 있다[즉, 젖꼭지(830)가 용기(802)와 견고하게 결합하도록 완전히 조립될 수 있다].
젖꼭지(830)의 바닥면(836) 상에 포함된 상기 하나 이상의 홈(837)은, 병 조립체(800)가 제2 구성일 때, 통기구 조립체(880)가 생략되더라도 용기(802)를 통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그리고 도 16에 가장 잘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하나 이상의 홈(837)은 젖꼭지(830)의 일부분을 용기(802)의 림(818)으로부터 이격시켜 용기(802)의 액체 챔버(806)와 유체 연통하는 통기 공간(849)을 형성한다. 따라서, 병 조립체(800)가 제2 구성으로 조립되면[즉, 통기구 조립체(880)가 생략되고 젖꼭지(830)가 림(818)에 대해 가압된 상태에서 병 조립체(800)가 사용되면], 그럼에도 병 조립체(800)는 상기 하나 이상의 홈(837)과 용기의 림(818) 사이에 제공된 통기 공간(849)을 통하여 통기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구성에서 조차도, 통기 공간(849)을 통하여 공기가 유동적으로 병 조립체로 들어감에 따라, 병 조립체(800) 내의 진공 형성은 감소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된 구성 요소들은 기존의 병 조립체 및/또는 기존의 통기구 조립체 사용자에게 추가적인 이익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많은 현재 사용자들이 하나 이상의 공지된 칼라 조립체 및/또는 통기구 조립체와 작동하도록 구성된 여러 개의 용기(802)를 이미 갖고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용기들은, 공지된 칼라 조립체 및/또는 공지된 통기구 조립체와 사용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립(826) 및/또는 외부 나사산(824)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통기구 삽입체(882)의 주연 벽(940)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이 구성되었기 때문에[즉, 주연 벽(940)이 종래 기술의 통기구 삽입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협소하기 때문에], (설명된 바와 같이) 통기구 조립체(880)와 결합되었을 때 여전히 용기(802)의 외부 나사산(824)을 덮으면서도, 칼라(832)의 측벽(852)은, 예를 들어, 공지된 칼라보다 협소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본원에 설명된 칼라 조립체(804) 및/또는 통기구 조립체(880)를 현재 소유하는 용기(802)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반면에, 공지된 통기 조립체가 생략될 경우 립(826) 및/또는 견부(822)는 공지된 칼라와 간섭한다(그러므로 누출을 야기한다). 또한, 본 개시의 칼라 조립체(804)의 몇몇 실시예[그리고 더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젖꼭지(830)의 몇몇 실시예]는 병 조립체(800)가 제2 구성일 때 통기 공간(849)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홈(837)을 포함하기 때문에, 용기(802)는 통기구 조립체(880)가 생략 되더라도 사용 중 통기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는 통기구 조립체(880)가 생략되더라도 사용 중 병 조립체(800) 내에서의 진공의 형성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한다. 더 나아가, 용기(802)의 제조업자 등은, 공지된 병 조립체와 동일한 디자인을 사용하여 계속 용기(802) 제조하면서 동시에, 개선된 병 조립체(800)가 설명된 어느 구성에서도 병 조립체(800)의 사용 중 누설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도록 본원에 설명된 신규한 칼라 조립체(804) 및/또는 통기구 조립체(880)를 병 조립체(8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제 도 17을 참조하면, 제4 실시예에 따른 병 조립체가 일반적으로 1000으로 표시되는데, 도 1-3의 병 조립체(100), 도4 및 도 5의 병 조립체(300), 및 도 8 및 도 14-16의 병 조립체(800)와 유사하다. 본 실시예의 병 조립체(1000)는 병 그리고 더 구체적으로 도시된 실시예의 젖병과 같은 용기(1002) 및 대체로 병을 폐쇄하기 위한 일반적으로 1004로 표시되는 칼라 조립체를 포함한다. 용기(1002)는 그 안에 형성되어 수유 유아와 같은 사용자에 의해 섭취될 소정량의 액체를 보유하도록 구성된 액체 챔버(1006)를 포함한다. 용기(1002)는 여기에 도시된 것과 다르게 구성될 수 있고, 스포츠 병, 드링크 텀블러, 트레이닝 컵, 커뮤터 컵 등과 같이 젖병 조립체 이외의 용도를 위해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용기(1002)는 유리, 폴리프로필렌 또는 다른 플라스틱,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용기(1002)는 또한 임의의 바람직한 색 또는 색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할 수 있다.
용기(1002)는 폐쇄 바닥부(1008), 개방 상부(1010), 그리고 폐쇄 바닥부(1008)와 개방 상부(1010) 사이에서 연장하는 측벽(1012)을 갖는다. 측벽(1012)은 기저 부분(1014) 및 기저 부분(1014)에 대해 상대적으로 협소한 목부(1016)를 포함한다. 즉, 목부(1016)는 기저 부분(1014)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에서는 목부(1016) 직경이 기저 부분(1014)의 직경보다 살짝 작을 수 있거나, 또는 기저 부분과 동일한 직경일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도 17에 가장 잘 나타난 바와 같이, 기저 부분(1014)은 용기(1002)를 더 쉽게 파지하는 것을 촉진하기 위해 기저 부분의 나머지 부분에 비해 협소한 중앙 세그먼트(101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에서는 측벽(1012)이 대신에 앞선 실시예에서와 같이 일반적으로 원통형일 수 있다. 목부(1016)는 환형 림(1018), 외부 나사산 부분(1020), 및 목부(1016)와 기저 부분(1014) 사이의 천이부에 형성된 견부(1022)를 포함한다. 상기 나사산 부분(1020)은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이 용기(1002)를 칼라 조립체(1004)에 조립하기 위한 나사산(1024)를 포함한다.
병(1000)의 칼라 조립체(1004)는, 젖꼭지(1030)를 용기(1002) 상에 선택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용기(1002)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칼라 조립체(1004)는 젖꼭지(1030) 및 칼라(1032)를 포함한다. 젖꼭지(1030) 및 칼라(1032)는 각각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젖꼭지(1030)는 고무 재료, 실리콘 재료, 그리고 라텍스 재료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실질적으로 유연한 재료로 이루어지고, 칼라(1032)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다. 젖꼭지(1030) 및 칼라(1032)는 임의의 바람직한 색 또는 색들로 이루어질 수 있고,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할 수 있다.
도 18a 및 도 18b의 도시된 실시예에서, 젖꼭지(1030)는 젖꼭지 부분(1035) 및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플랜지(1034)를 포함한다. 젖꼭지 플랜지(1034)는 일반적으로 원형인 외측 모서리(1038)로부터 일반적으로 원형인 내측 모서리(1040)로 연장하는 바닥면(1036)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립(1042)은 원형 외측 모서리(1038)에 일반적으로 인접한 플랜지로부터 위로 돌출한다. 적어도 몇몇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젖꼭지(1030)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립(1042)을 포함하지 않는다. 젖꼭지 부분(1035)은 그 원형 내측 모서리(1040)에 일반적으로 인접한 플랜지(1034)로부터 위로 연장한다.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젖꼭지 부분(1035)은 반경 방향으로 외향하여 돌출하는 환형 외부 돌출부(1044)를 포함한다. 젖꼭지 부분(1035)은 또한 사용자에게 액체를 분배하기 위한 개구(1048)를 포함하는 출구 단부(1046)를 포함한다. 그러나, 젖꼭지(1030)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원에 도시되고 설명된 것과 다른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도시된 칼라(1032)는, 도 19에 가장 잘 나타난 바와 같이, 환형 상부 패널(1050) 및 현수형 측벽(1052)를 갖는다. 상부 패널(1050)은 상부 패널(1050)의 환형 넙 또는 반경 방향 내측 모서리 마진(1054)에 인접하여 상기 패널의 아래측으로부터 아래로 연장하는 환형 돌출부(1056)를 포함한다. 모서리 마진(1054) 및 환형 돌출부(1056)는 칼라(1032) 상에 젖꼭지(1030)를 조립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칼라 조립체(1004)를 조립하기 위해, 모서리 마진(1054)이 젖꼭지(1030)의 환형 외부 돌출부(1044) 아래에 위치하고 칼라(1032)의 환형 돌출부(1056)가 젖꼭지(1030)의 원주 방향 립(1042)의 반경 방향 내측에 위치할 때까지 젖꼭지(1030)가 젖꼭지 부분(135)부터 칼라(1032)의 상부 패널(1050)에 있는 중앙 개구를 통하여 위로 당겨진다. 그러나, 젖꼭지(1030)와 칼라(1032)는 도시된 것과 다르게 구성될 수 있으며 용기(1002) 상에서의 추가 조립을 위해 함께 조립되도록 또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젖꼭지(1030)와 칼라(1032)는 용기(1002) 상에서의 공동 조립을 위해 조립된 상태로 유지되는 성능을 필요로 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도 고려된다.
칼라(1032)의 측벽(1052)은, 칼라 그리고 그에 따라 칼라 조립체(1004)를 용기(1002) 상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용기(1002)의 목부(1016)의 외부 나사산(1024)과 나사식으로 결합하는데 적합한 내부 나사산(1064)을 구비하는 내측 표면(1062)를 갖는다. 다시, 본 실시예에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라 측벽(1052)의 내측 표면(1062) 상의 나사산(1024)의 수는 용기의 목부(1016) 상의 외부 나사산(1064)의 수를 초과한다.
도 17-22를 참조하면, 병 조립체(1000)는 또한 사용 중 병 조립체의 통기를 허용하는 통기 조립체(1080)을 포함한다. 도 23에서, 통기 조립체(1080)는 생략된다. 통기구 조립체(1080)는 통기구 삽입체(1082) 및 리셉터클 부분(1084)을 포함한다. 도 20에 나타난 바와 같이, 리셉터클 부분(1084)은 통기구 삽입체(1082)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리셉터클 부분(1084)은 상부(1086), 중앙 부분(1088), 및 긴 통기관(1090)을 포함한다. 상부(1086)는 그 내부에 저장부(1094)를 형성하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인 측벽(1092)을 포함한다. 상기 원통형 형상은 제조/성형을 쉽게 하기 위한 것이지만, 리셉터클 부분(1084)의 상부(1086)는 다른 적절한 형상일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리셉터클 통기관(1090)은 상부(1086)의 측벽(1092)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인 측벽(1096)을 포함한다. 리셉터클 통기관(1090)의 측벽(1096)은 저장부(1094)와 유체 연통하는 통로(1098)를 형성한다. 중앙 부분(1088)은 리셉터클 통기관 측벽(1096)과 상부 측벽(1092) 사이에서 연장하는, 테이퍼가 형성된 측벽(1100)을 포함한다. 리셉터클 통기관(1090)은 또한 용기(1002)의 폐쇄 바닥부(1008) 부근의 통로(1098)의 단부에 공기 출구(1102)를 포함한다.
도 21a-2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구 삽입체(1082)는 내측 부분(1110), 중간 부분(1111), 그리고 외측 부분(1112)을 포함한다. 내측 부분(1110)은 내부 통기관(1114), 립(1116), 및 내부 통기관(1114)과 립(1116)에 직교하여 배향되고 그 사이에서 연장하는 상부 벽(1118)을 포함한다. 내부 통기관(1114)은 저장부(1094)와 유체 연통하는 통로(1120)를 형성한다. 통기구 삽입체(1082)를 리셉터클 부분(1084)에 조립하기 위해서, 립(1116)은 리셉터클 부분(1084)의 측벽(1092)에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적절한 실시예에서, 도 22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구 삽입체(1082)의 립(1116)과 리셉터클 부분(1084)의 상부(1086)는 리셉터클 부분과 통기구 삽입체 사이에 래치부 및 캐치부 연결부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에서 통기구 삽입체(1082)의 립(1116)은 일반적으로 캐치부를 형성하기 위해 립의 반경 방향으로 내향하여 돌출하는 환형 리브 또는 벌지(1122)를 포함한다. 본 특정 실시예에서, 벌지(1122)는 벌지(1122)위에 립(1116)의 반경 방향으로 내향하여 형성된 환형 채널을 제공함에 의해 형성된다. 벌지를 형성하여 캐치부를 넓게 형성하는 것에 추가하여, 이 환형 채널은 리셉터클 부분을 통기구 삽입체에 연결할 때 리셉터클 부분(1084)을 수용한다. 그러나, 립은 대신에 벌지(1122) 위에서 일반적으로 균일한 단면일 수 있으며, 리브 또는 벌지는 립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내향한 돌출부로 형성 될 수 있다.
대응하는 리브 또는 벌지(1108)는, 래치를 넓게 형성하기 위해, 리셉터클 부분(1084)의 상부(1086)의 측벽(1092)의 림에 인접한 곳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외향하여 돌출한다. 통기구 조립체(1080)의 조립 중, 리셉터클 부분(1094)의 측벽(1092)은 통기구 삽입체(1082)의 중심 축을 따라 통기구 삽입체(1082)의 립(1116) 안으로 삽입된다. 통기구 삽입체(1082)의 가요성으로 인해 립(1116)의 직경을 외측으로 약간 팽창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리셉터클 부분(1084)의 측벽(1092)의 벌지(1108)(넓게는, 래치부)가 립의 벌지(1122)(넓게는, 캐치부)를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일단 측벽(1092)의 벌지(1108)가 립(1116)의 벌지(1122)를 통과하면, 리셉터클 부분(1084)을 통기구 삽입체(1082) 상에서 해제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의 벌지(1108)가 립의 벌지(1122) 위의 채널에 착좌하도록, 립은 팽창되지 않은 상태로 탄성적으로 후퇴한다. 도 22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립(1116)의 하위 단부[예를 들어, 벌지(1122) 아래]와 리셉터클 부분(1084)의 상부(1086)의 측벽(1092)의 림[예를 들어, 벌지(1108) 위]은, 반경 방향 외향으로 립(1116)을 가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리셉터클 부분의 립으로의 초기 삽입 시 리셉터클 부분의 립으로의 활주 이동을 더 용이하게 하기 위해, 테이퍼가 형성된다.
리셉터클 부분(1084)이 (통기구 삽입체의 립의 외측 표면 주위에 마찰 결합되는 대신에) 통기구 삽입체(1082)의 립(1116) 내로 삽입되는 래치부 및 캐치부 형식의 배열은 통기구 삽입체 상에 리셉터클 부분의 더욱 양호한 보유 및 중심화를 용이하게 하며, 병의 조립 및/또는 사용 중 통기구 삽입체에 대해 리셉터클 부분이 기울어지는 것을 억제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통기구 삽입체(1082)의 립(1116) 및 리셉터클 부분(1084)의 상부(1086)의 측벽(1092)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립(1116)이 래치부를 넓게 형성하고 측벽(1092)이 캐치부를 넓게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리셉터클 부분(1084)의 상부(1086)의 측벽(1092)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외향하여 돌출하는 리브 또는 벌지(1108)는 리셉터클 부분의 상부의 림 아래에 종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는 것도 고려된다.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통기구 삽입체(1082)의 립(1116) 및 리셉터클 부분(1084)의 상부(1086)는, 리셉터클 부분의 상부가 통기구 삽입체의 립의 내부에 여전히 수용되어있기만 한다면, 리셉터클 부분을 억지끼움 방식으로 통기구 삽입 체에 해제 가능하도록 다르게 연결하기 위해 직선 측면이거나 또는 테이퍼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1a-C를 다시 참조하면, 통기구 삽입체(1082)의 내부(1110)는 통기구 삽입체(1082) 내부에 채널(1136)을 형성하기 위해 상부 벽(1118)으로부터 위로 연장하는 측방향 통기구(1134)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통기구 삽입체(1082)는 통기구 삽입체(1082)로부터 위로 돌출하는 탭(1104)을 더 포함한다. 이 탭(1104)은 일 실시예에서 통기구 삽입체가 용기와 함께 조립되었을 때 용기(1002)의 목부(1016)의 종 방향 외측으로 연장하기에 적절한 크기를 갖는다. 이것은 예를 들어, 용기를 청소하거나 다시 채우기 위해, 병(1000)을 조립 해제하기 위해 용기(1002)의 밖으로 통기구 삽입체(1082)를 당기는 것을 더 쉽게 만들기 위해, 사용자가 탭(1104)을 파지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탭(1104)은, 삽입체(1082)를 용기 밖으로 꺼내기 위해 사용자가 파지하기에 충분한 크기를 갖기만 한다면, 용기(1002)의 목부(1016) 위로 연장하는 크기를 가질 필요는 없다.
통기구 삽입체(1082)의 중간 부분(1111)은, 통기구 삽입체(1082)의 중심에 대해 내측 부분(1110)과 외측 부분(1112)의 사이에서 반경 방향으로 위치한다. 중간 부분(1111)은 용기(1002)의 측벽(1012)의 내측 표면에, 더 구체적으로는 용기의 목부(1016)에서 접하도록 구성된 현수형 용기 결합 립(1124)을 포함한다. 특히, 용기 결합 립(1124)은, 용기(1002)의 측벽(1012)의 내측 표면[그리고 더 구체적으로는 목부(1016)의 내측 표면]과 마찰 결합하기 위해, 그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환형 리브 또는 벌지(1126)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한 쌍의 환형 노치[제1 노치(1125) 및 제2 노치(1127)]가 용기 결합 립(1124)의 외측 표면 내로 반경 방향으로, 환형 벌지(1126)의 바로 위 그리고 바로 아래에 형성된다. 노치(1125, 1127)는 립(1124)에 대한 환형 벌지(1126)의 가요성을 증가시켜, (예를 들어, 본원의 이전 실시예와 같이) 노치가 없을 때보다 용기(1002)의 목부(1016)의 내측 표면과의 활주 이동 및 마찰 결합 시 환형 벌지(1126)의 구부러짐 또는 다른 변위가 더 예상 가능하다. 이 추가된 가요성은 또한, 환형 벌지(1126)가 여전히 용기(1002)의 목부(1016)와 충분히 밀봉 결합한 상태에서 용기로의 그리고 용기로부터의 통기구 삽입체(1082)의 삽입 및 제거를 더 용이하게 한다.
본 제4 실시예에서, 도 17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02)의 목부(1016)는 목부의 바닥부로부터 용기의 림(1118)까지 외측으로 테이퍼가 형성된 내경을 갖도록 적절히 구성된다. 이와 같이, 용기 결합 립(1124)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환형 리브 또는 벌지(1126)는, 목부의 바닥부와 용기의 림(1118) 중간에 있는 용기(1002)의 목부(1016)의 내측 표면을 밀봉 결합한다. 목부(1016)의 내측 표면의 직경의 외측 테이퍼링은 용기(1002) 내로의 그리고 용기(1002)로부터의 통기구 삽입체의 더 쉬운 삽입 및 제거를 더 용이하게 하는데, 이는 벌지가 목부와 밀봉 결합하는 목표 위치 상에서, 환형 벌지(1126)는 목부의 내측 표면에 대해 더 적은 마찰 저항을 받기 때문이다.
통기구 삽입체(1082)의 외측 부분(1112)은 주연 벽(1140)을 포함한다. 주연 벽(1140)은 내측 모서리(1142), 외측 모서리(1144), 상부(1146), 및 바닥부(1148)를 포함한다. 도 22에 가장 잘 나타난 바와 같이, 바닥부(1148)는 병 조립체(1000)가 조립되었을 때, 용기(1002)의 환형 림(1018) 상에 착좌하도록 구성된다. 외측 부분(1112)은 주연 벽(1140)의 상부(1146)로부터 돌출하는 환형 리브(11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환형 리브는, 병 조립체(1000)의 사용 중 누설을 감소시키기 위해 용기(1002)에 칼라 조립체(1004)가 부착 되었을 때, 젖꼭지(1030)의 플랜지(1034)를 압축 및/또는 변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환형 리브(1128)는 또한 병 조립체(1000)가 통기구 조립체(1080)를 포함하는 구성에서 젖꼭지(1030)의 바닥 면(1036)과 밀봉 결합할 수 있다.
주연 벽(1140)은 적어도 하나의 통기구(도시되지 않음)를 가져, 채널(1136)은 주연 벽(1140)을 통해 연장한다. 주연 벽(1140)과 상부 벽(1118) 사이에 형성된 간극(1150)은 액체 챔버(1006)(도 17)내의 액체가 젖꼭지(1030)를 향해 유동할 수 있게 한다. (이전 실시예에서와 같이 립의 외부 주위 대신에) 전술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부분(1084)을 통기구 삽입체(1080)의 립(1116) 내로 삽입하는 것은 간극(1150)을 통한 액체의 유동을 차단하거나 감소시키는 것을 예방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통기구 조립체(1080)의 구성 요소들은 본원에 도시되고 설명된 것과 다른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도 17, 22, 그리고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라 측벽(1052)과 용기 목부(1016)는 병 조립체(1000)의 두 가지 상이한 구성, 즉 통기구 조립체(1080)가 포함되는 제1 구성(도 22) 및 통기구 조립체가 생략되는 제2 구성(도 23)에서의 작동을 허용하기 위해 서로에 대해 적절한 크기를 갖는다.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에서, 용기 목부(1016)의 길이(또는 본원 도면의 배향에서의 높이)[예를 들어, 용기(1002)의 림(1018)으로부터 목부가 용기의 기저 부분(1014)까지 외측으로 넓어지는 견부(1022)까지]는 제2 구성에서, 즉 통기구 조립체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략 되었을 때, 칼라의 측벽(1052)을 수용하기에 충분하다. 병 조립체(1000)는 병 조립체(1000), 병 조립체(300), 그리고 병 조립체(800)에 대해 전술된 바와 같이, 제1 구성 및 제2 구성 사이에서 변이된다.
도 2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병 조립체(1000)가 통기구 조립체(1080)를 포함하는 제1 구성에서, 통기구 조립체(1080)는 주연 벽(1140)의 바닥부(1148)가 용기의 림(1018)에 대해 착좌하도록 용기(1002) 내로 삽입된다. 통기구 조립체(1080)가 용기(1002) 내로 삽입된 후에, 칼라 조립체(1004)는 내부 칼라 나사산(1064)을 목부(1016)의 외부 나사산(1024)과 나사식으로 결합시키고 용기 상에서 칼라가 비틀리도록 칼라(1032)를 회전시킴으로써 용기(1002)에 부착된다. 칼라(1032)가 용기(1002) 상에서 조여짐에 따라, 젖꼭지[그리고 그에 따라 칼라 조립체(1004)]를 통기구 조립체에 대해 밀봉하기 위하여 젖꼭지(1030)의 바닥면(1036)이 통기구 조립체(1080)의 주연 벽(1140)의 상부(1146)에 대해 가압된다. 동시에, 통기구 조립체를 용기에 대해 밀봉하기 위해 통기구 조립체의 주연 벽(1140)의 바닥부(1148)가 용기(1002)의 림(1018)에 대해 가압된다.
본 구성에서, 칼라의 몇몇 하위 나사산(1064)은 목부의 나사산(1024)과 결합하는 반면에, 최상위 칼라 나사산은 통기구 조립체의 주연 벽(1140)에 대향한다. 도 10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성에서, 칼라 조립체(1004)가 용기(1002)에 고정되었을 때 외부 나사산이 보이지 않게 칼라 측벽의 하위 단부가 목부(1016)의 최하위 나사산(1024) 아래로 연장하도록, 칼라 측벽(1052)은 충분히 길다.
제2 구성에서,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구 조립체(1080)가 생략된다. 칼라(1032)는, 젖꼭지(1030)의 바닥면(1036)이 용기(1002)의 환형 림(1018) 상에 착좌되도록 통기구 삽입체(1082)의 외부(1112)의 주연 벽(1140)의 높이와 대략적으로 동일한 추가적인 수직 거리를 조이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칼라(1032)가 상기 추가적인 수직 거리만큼 조여지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통기구 조립체(1080) 없이 사용되었을 때 병 조립체(1000)로부터 액체의 누설을 최소화하거나 또는 심지어 제거하기 위해, 칼라(1032)는 젖꼭지(1030)를 환형 림(1018)에 고정식으로 착좌시킬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구 삽입체(1082)는 외측 부분의 높이(1112)[더 구체적으로, 주연 벽(1140)의 높이]가 통기구 삽입체(1082)의 나머지 부분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협소하게 구성된다. 이것은 특히, 통기구 삽입체(1082)가 조립된 위치에 있을 때 채널(1136)[또는, 대안적으로 채널의 일부분(1136)]이 궁극적으로는 용기(1002)의 환형 림(1018) 아래에 착좌하도록, 측방향 통기구(1134)의 채널(1136)을 외측 부분(1112) 아래에 제공하여 달성된다. 이에 따라, 외측 부분(1112)의 주연 벽(1140)의 높이는, (공지된 많은 통기 조립체에서는 일반적인 것처럼) 조립 시 채널(1136)이 용기(1002)의 환형 림(1018)의 위에 제공되었을 경우에 측방향 통기구(1134)의 채널(1136)을 수용하기 위해 필요했을 것 보다 더 협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통기구 삽입체의 상대적인 치수[즉, 통기구 삽입체(1082)의 다른 형상에 대한 주연 벽(1140)의 협소함]는 병 조립체(1000)가 두 가지 구성에서 조립될 수 있게 하며, 동시에 각 구성에서 병 조립체(1000)로부터의 누설을 최소화 한다. 예를 들어, 도 22에 가장 잘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구성에서는 병 조립체(1000)가 통기구 조립체(1080)를 포함한다. 이 구성에서, 통기구 조립체(1080)는 용기(1002) 내로 삽입되어 통기구 삽입체(1082)의 주연 벽(1140)의 바닥부(1148)가 용기(1002)의 림(1018)에 대하여 착좌하고, 용기 결합 립(1124)[또는 더 구체적으로 용기 결합 벌지(1126)]은 용기(1002)의 측벽(1012)의 내측 표면과 마찰 결합한다. 통기구 조립체(1080)가 그러한 위치에 삽입된 후, 내부 칼라 나사산(1064)과 목부(1016)의 외부 나사산(1024)을 나사식으로 결합하고 용기(1002) 상에서 칼라가 비틀리도록 칼라(1032)를 회전시킴으로써 칼라 조립체(1004)가 용기(1002)에 부착된다. 칼라(1032)가 용기(1002) 상으로 조여짐에 따라, 젖꼭지(1030)[그리고 그에 따라 칼라 조립체(1004)]를 통기구 조립체(1080)에 대해 밀봉하기 위해, 젖꼭지(1030)의 바닥면(1036)은 주연 벽(1140)의 상부(1146)에 대해, 그리고 통기구 삽입체(1082)의 환형 리브(1128)에 대해 가압된다. 이와 동시에, 통기구 조립체(1080)를 용기(1002) 상에 위치시키기 위해, 통기구 삽입체(1082)의 주연 벽(1140)의 바닥부(1148)는 용기(1002)의 림(1018)에 대해 가압된다.
본 구성에서, 칼라 나사산(1064)은 칼라(1032) 아래에서는 나사산이 보이지 않도록 목부의 나사산(1024)과 결합한다. 더 구체적으로, 제 1구성에서, 칼라 조립체(1004)가 용기(1002)에 고정되었을 때 외부 나사산(1024)이 보이지 않게 칼라 측벽(1052)의 바닥부 모서리(1051)가 목부(1016)의 최하부 외부 나사산(1024) 아래로 연장하도록, 칼라 측벽(1052)은 충분히 길다. 더 나아가, 칼라 조립체(1004)가 젖꼭지(1030)와 통기구 조립체(1080)를 용기(1002)의 림(1018)에 고정되도록 착좌시키기 때문에, 병 조립체(1000)의 사용 중 누설이 최소화된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구성에서 통기구 조립체(1080)는 병 조립체(1000)로부터 생략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칼라 조립체(1004)가 용기(1002) 상으로 아래로 조여질 때, 칼라 나사산(1064)은 용기(1002)의 목부(1016)의 나사산(1024)과 결합하며, 젖꼭지(1030)를 용기(1002)에 대해 직접적으로 밀봉하도록 젖꼭지(1030)가 용기(1002)의 림(1018)에 대해 가압될 때까지, 용기(1002) 상에서 칼라(1032)가 비틀리도록 칼라(1032)가 회전된다. 그에 따라, 칼라 조립체(1004)는 용기(1002) 상에 완전히 착좌되기 전에 제1 구성에서보다 큰 거리만큼 궁극적으로 비틀릴 것이다. 즉, 통기구 조립체(1080)[그리고 이에 따라 통기구 삽입체(1082)]가 본 구성에서의 병 조립체(1000)로부터 생략되었기 때문에, 칼라 조립체(1004)는 생략된 통기구 삽입체(1082)의 주연 벽(1140)의 높이와 대략적으로 동일한 수직 거리만큼 추가적으로 조여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통기구 삽입체(1082)가 설명된 바와 같이 구성되었기 때문에[예를 들어, 측방향 통기구(1134)의 채널(1136)이 통기구 삽입체(1082)의 외측 부분(1112) 아래에 배치되기 때문에], 주연 벽(1140)은 상대적으로 협소하고, 따라서 칼라(1032)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구 조립체(1080)가 포함되었을 때보다 많은 추가적인 조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제2 구성에서, 칼라(1032)의 측벽(1052)이 립(1026) 및/또는 견부(1022)와 결합하기 전에, 칼라 조립체(1004)는 완전히 조여질 수 있다[즉, 젖꼭지(1030)가 용기(1002)와 고정식으로 결합되도록 완전히 조립된다].
본 발명의 요소, 또는 본 발명의 다양한 버전, 실시예(들) 또는 양태를 기술할 때, “임의의”, “하나” 및 “상기”와 같은 용어는 구성요소들 중의 하나 이상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하도록 의도되었다. “포함하는” 및 “갖는”과 같은 용어는 포괄적이며 기재된 요소 이외의 추가적인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하도록 의도되었다. 특정한 배향(예를 들어, “상부”, “바닥부”, “측부” 등)을 나타내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기재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개시된 항목의 어떤 특정한 배향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다.
다양한 변형예가 본 발명의 기술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상술된 내용에 포함되고 첨부 도면에 도시된 요지는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5)

  1. 병 조립체이며,
    용기로서, 용기 내에서 액체 챔버를 함께 형성하는 개방 단부, 폐쇄 단부, 기저 부분, 및 목부를 갖고, 목부는 용기의 개방 단부를 형성하는 림을 갖고, 용기는 중심 축을 갖는, 용기;
    통기구 조립체로서, 통기구 조립체는 사용 중 용기의 통기를 허용하기 위해 용기의 림 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될 수 있고, 통기구 조립체가 용기의 림 상에 위치될 때 용기의 중심 축과 평행하지 않게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 통기구를 포함하며, 통기구 조립체는 통기구 삽입체 및 통기구 삽입체에 해제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리셉터클 부분을 포함하고, 통기구 삽입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 통기구를 포함하고 용기의 림 상에 통기구 조립체를 위치시킬 때 용기 내부에서 종방향으로 현수되는 환형 립을 더 포함하고, 환형 립은 횡방향 내측 표면을 갖고, 상기 환형 립의 내측 표면은 캐치부 및 래치부 중 하나를 가지며, 리셉터클은 상부 및 상부로부터 아래로 연장하는 통기관을 갖고, 리셉터클의 상부는 상기 캐치부 및 래치부 중 나머지 하나를 갖는 횡방향 외측 표면을 포함하며, 리셉터클의 상부는 통기구 삽입체에 대한 리셉터클의 해제 가능한 래치 및 캐치 연결을 위해 환형 립 내로 삽입 가능한, 통기구 조립체; 및
    일반적으로 용기를 위한 폐쇄부를 형성하는 칼라 조립체로서, 칼라 조립체는 용기와 함께 통기구 조립체를 보유하기 위해 그 개방 단부 위에서 용기의 목부와 해제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칼라 조립체를 포함하는
    병 조립체.
  2. 제1 항에 있어서, 칼라 조립체 및 용기는, 통기구 조립체가 용기의 액체 챔버 내에 실질적으로 완전히 배치되는 제1 구성과 통기구 조립체가 용기로부터 생략된 제2 구성 사이에서, 병 조립체의 선택적 구성이 가능하도록 서로에 대해 구성되는,
    병 조립체.
  3. 제2 항에 있어서, 제1 구성에서 칼라 조립체는 통기구 조립체를 밀봉식으로 결합하고 용기의 림과 밀봉 결합하게 통기구 조립체를 가압하도록 구성되고, 통기구 조립체가 병 조립체로부터 생략되는 제2 구성에서, 칼라 조립체는 용기의 림과 밀봉식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병 조립체.
  4. 제2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기의 목부는 그 위에 외부 나사산을 포함하고, 칼라 조립체는 용기의 목부의 외부 나사산과의 나사 결합을 위한 내부 나사산을 포함하며, 칼라 조립체 상의 내부 나사산의 수는 용기의 목부 상의 외부 나사산의 수보다 큰,
    병 조립체.
  5. 제2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칼라 조립체는 칼라 및 젖꼭지를 포함하고, 병 조립체의 제1 구성에서 젖꼭지는 통기구 조립체를 밀봉식으로 결합하며, 병 조립체의 제2 구성에서 젖꼭지는 용기의 림을 밀봉식으로 결합하는,
    병 조립체.
  6. 병 조립체이며,
    용기로서, 용기 내에서 액체 챔버를 함께 형성하는 개방 단부, 폐쇄 단부, 기저 부분, 및 목부를 갖고, 목부는 용기의 개방 단부를 형성하는 림을 가지며, 용기는 중심 축을 갖고, 용기의 목부는 용기의 림 아래에 배치된 기저부를 가지며, 상기 목부는 목부가 그 기저부로부터 용기의 림으로 위로 연장함에 따라 외측으로 테이퍼가 형성되는 직경을 갖는, 용기;
    통기구 조립체로서, 통기구 조립체는 사용 중 용기의 통기를 허용하기 위해 용기의 림 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될 수 있고, 통기구 조립체가 용기의 림 상에 위치될 때 용기의 중심 축과 평행하지 않게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 통기구를 포함하며, 통기구 조립체는 통기구 조립체를 용기의 림 상에 위치시킬 때 용기의 내부 공간 내에 종방향으로 연장 가능한 용기 결합 립을 더 가지며, 용기 결합 립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환형 벌지(bulge)를 가지며, 환형 벌지는 목부의 기저부와 용기의 림 중간의 용기의 목부와 밀봉 결합하기 위한 크기를 갖는, 통기구 조립체; 및
    일반적으로 용기를 위한 폐쇄부를 형성하는 칼라 조립체로서, 칼라 조립체는 용기와 함께 통기구 조립체를 보유하기 위해 그 개방 단부 위에서 용기의 목부와 해제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칼라 조립체를 포함하는,
    병 조립체.
  7. 제6 항에 있어서, 용기 결합 립은 환형 벌지와 바로 인접하여 그 내부에 형성된 환형 노치를 더 포함하는,
    병 조립체.
  8. 제7 항에 있어서, 환형 노치는 환형 벌지의 하나의 종방향 측면 상에서, 환형 벌지에 바로 인접한 용기 결합 립 내에 형성된 제1 환형 노치를 포함하고, 용기 결합 립은 상기 환형 벌지의 나머지 종방향 측면 상에 환형 벌지와 바로 인접하여 그 내부에 형성된 제2 환형 노치를 더 포함하는,
    병 조립체.
  9. 제6 항에 있어서, 칼라 조립체 및 용기는, 통기구 조립체가 용기의 액체 챔버 내에 실질적으로 완전히 배치되는 제1 구성과 통기구 조립체가 용기로부터 생략된 제2 구성 사이에서, 병 조립체의 선택적인 구성이 가능하도록 서로에 대해 구성되는,
    병 조립체.
  10. 제9 항에 있어서, 제1 구성에서 칼라 조립체는 통기구 조립체를 밀봉식으로 결합하고 용기의 림과 밀봉 결합하게 통기구 조립체를 가압하도록 구성되고, 통기구 조립체가 병 조립체로부터 생략되는 제2 구성에서, 칼라 조립체는 용기의 림과 밀봉식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병 조립체.
  11. 병 조립체이며,
    용기로서, 용기 내에서 액체 챔버를 함께 형성하는 개방 단부, 폐쇄 단부, 기저 부분, 및 목부를 갖고, 목부는 용기의 개방 단부를 형성하는 림을 가지며, 용기는 중심 축을 갖는, 용기;
    통기구 조립체로서, 통기구 조립체는 사용 중 용기의 통기를 허용하기 위해 용기의 림 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될 수 있고, 통기구 조립체가 용기의 림 상에 위치될 때 용기의 중심 축과 평행하지 않게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 방향 통기구를 포함하며, 통기구 조립체는 통기구 조립체를 용기의 림 상에 위치시킬 때 용기의 내부 공간 내에 종방향으로 연장 가능한 용기 결합 립을 더 가지며, 용기 결합 립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환형 벌지를 가지며, 환형 벌지는 용기의 목부와 밀봉 결합하기 위한 크기를 가지며, 상기 용기 결합 립은 환형 벌지와 바로 인접하여 그 내부에 형성된 환형 노치를 더 포함하는, 통기구 조립체; 및
    일반적으로 용기를 위한 폐쇄부를 형성하는 칼라 조립체로서, 칼라 조립체는 용기와 함께 통기구 조립체를 보유하기 위해 그 개방 단부 위에서 용기의 목부와 해제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칼라 조립체를 포함하는,
    병 조립체.
  12. 제11 항에 있어서, 환형 노치는 환형 벌지의 하나의 종방향 측면 상에, 환형 벌지에 바로 인접한 용기 결합 립 내에 형성된 제1 환형 노치를 포함하고, 용기 결합 립은 상기 환형 벌지의 나머지 종방향 측면 상에 환형 벌지와 바로 인접하여 그 내부에 형성된 제2 환형 노치를 더 포함하는,
    병 조립체.
  13. 제11 항에 있어서, 칼라 조립체 및 용기는, 통기구 조립체가 용기의 액체 챔버 내에 실질적으로 완전히 배치된 제1 구성과 통기구 조립체가 용기로부터 생략된 제2 구성 사이에서, 병 조립체의 선택적인 구성이 가능하도록 서로에 대해 구성되는,
    병 조립체.
  14. 제13 항에 있어서, 제1 구성에서 칼라 조립체는 통기구 조립체를 밀봉식으로 결합하고 용기의 림과 밀봉 결합하게 통기구 조립체를 가압하도록 구성되고, 통기구 조립체가 병 조립체로부터 생략된 제2 구성에서 칼라 조립체는 용기의 림과 밀봉식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병 조립체.
  15. 병 조립체이며,
    용기로서, 용기 내에서 액체 챔버를 함께 형성하는 개방 단부, 폐쇄 단부, 기저 부분, 및 목부를 갖고, 목부는 용기의 개방 단부를 형성하는 림을 가지며, 용기는 중심 축을 갖는, 용기;
    통기구 조립체로서, 통기구 조립체는 사용 중 용기의 통기를 허용하기 위해 용기의 림 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될 수 있고, 통기구 조립체가 용기의 림 상에 위치될 때 용기의 중심 축과 평행하지 않게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 통기구를 포함하며, 통기구 조립체는, 통기구 조립체를 용기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사용자가 파지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통기구 조립체가 용기의 림 상에 위치했을 때 접근 가능한 파지 탭을 더 포함하는, 통기구 조립체; 및
    일반적으로 용기를 위한 폐쇄부를 형성하는 칼라 조립체로서, 칼라 조립체는 용기와 함께 통기구 조립체를 보유하기 위해 그 개방 단부 위에서 용기의 목부와 해제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칼라 조립체를 포함하는,
    병 조립체.
KR1020177012743A 2014-10-16 2015-10-14 이중 구성 병 조립체 KR201700701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64718P 2014-10-16 2014-10-16
US62/064,718 2014-10-16
US14/881,339 US20160106628A1 (en) 2014-10-16 2015-10-13 Dual configuration bottle assembly
US14/881,339 2015-10-13
PCT/US2015/055530 WO2016061226A1 (en) 2014-10-16 2015-10-14 Dual configuration bottle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0139A true KR20170070139A (ko) 2017-06-21

Family

ID=55747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2743A KR20170070139A (ko) 2014-10-16 2015-10-14 이중 구성 병 조립체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20160106628A1 (ko)
EP (1) EP3206656A4 (ko)
JP (1) JP2017530828A (ko)
KR (1) KR20170070139A (ko)
CN (1) CN107106414A (ko)
AU (1) AU2015332563A1 (ko)
BR (1) BR112017007427A2 (ko)
CL (1) CL2017000918A1 (ko)
CO (1) CO2017003527A2 (ko)
IL (1) IL251598A0 (ko)
MX (1) MX2017004918A (ko)
PH (1) PH12017500678B1 (ko)
RU (1) RU2017112932A (ko)
SG (1) SG11201702956QA (ko)
TW (1) TW201634036A (ko)
WO (1) WO2016061226A1 (ko)
ZA (1) ZA20180124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95117B2 (en) 2015-06-03 2019-02-05 James J. Britto Vented bottle
PL3493784T3 (pl) * 2016-08-03 2021-04-19 Florian Enghard Urządzenie do wyrównywania ciśnienia w butelkach dla niemowląt i zestaw butelki dla niemowląt
CN109789053A (zh) * 2016-08-10 2019-05-21 汉迪-克拉夫特公司 具有虹吸构件的瓶组件通气插入件
US10383795B2 (en) * 2016-10-18 2019-08-20 Handi-Craft Company Bubble formation inhibiting vent assembly for a vented bottle assembly
WO2019168925A1 (en) * 2018-03-02 2019-09-06 Handi-Craft Company Bottle assembly
JP6903340B2 (ja) * 2018-11-12 2021-07-14 コンビ株式会社 飲料容器およびキャップ組立体
US11937716B2 (en) 2021-07-09 2024-03-26 Target Brands, Inc. Sippy cup having a spoutless training lid assembly
USD1021563S1 (en) 2021-07-09 2024-04-09 Target Brands, Inc. Combined sippy cup and handle base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67871A (en) * 1952-07-22 1956-10-23 Clarence M Shapiro Nursing device
US3362556A (en) * 1964-12-14 1968-01-09 John E. Waldrum Closures
US3411648A (en) * 1966-10-06 1968-11-19 William C. Tichy Anticolic nursing device
US3850326A (en) * 1973-01-11 1974-11-26 Medical Plastics Pty Ltd Safety closure
US3838784A (en) * 1973-04-12 1974-10-01 Mead Johnson & Co Diet feeding container
FR2342914A1 (fr) * 1976-03-02 1977-09-30 Oreal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de deux produits isoles l'un de l'autre avant la distribution
DE2813940A1 (de) * 1977-04-23 1978-10-26 Zensho Honma Flaschenverschluss
FR2657008B1 (ko) * 1990-01-12 1994-02-18 Johnson Johnson Sa
DE4016592C1 (ko) * 1990-01-22 1991-05-23 Knopf, Karl Horst, 5650 Solingen, De
US5078287A (en) * 1990-12-17 1992-01-07 Holmes Iii Wendell R Variable size nursing bottle
US5779071A (en) * 1995-08-04 1998-07-14 New Vent Designs, Inc. Nursing bottle with an air venting structure
US7828165B2 (en) * 2000-05-08 2010-11-09 New Vent Designs, Inc Fully vented wide rim nursing bottle with contoured vent tube
US8113365B2 (en) * 2000-05-08 2012-02-14 New Vent Designs Inc. Fully vented nursing bottle with single piece vent tube
US20050258124A1 (en) * 2002-10-30 2005-11-24 Brown Craig E Fully vented wide rim nursing bottle with contoured vent tube
AU2002337750B2 (en) * 2001-09-28 2008-05-08 Gen-Probe Incorporated Closure system
US7150370B2 (en) * 2002-10-21 2006-12-19 Sung-Hwan Pyun Air venting apparatus for milk bottle
DE10308599B4 (de) * 2003-02-27 2006-02-16 Weener Plastik Gmbh & Co Kg Verschlusskappe
US8640902B2 (en) * 2004-03-19 2014-02-04 Tamir Tirosh Drinking container vent system and method
US20050236353A1 (en) * 2004-04-27 2005-10-27 William Hsu Flatulency-preventing device associated with nursing bottle
US7185775B1 (en) * 2004-07-08 2007-03-06 Decal Diego L Beverage bottle nipple and adapter
US8684201B2 (en) * 2004-10-08 2014-04-01 Coralinda Trading Corporation Drinking container, vent system and method
US20060201902A1 (en) * 2005-03-03 2006-09-14 Brown Craig E Fully continuously vented drinking cup for infants and children
US20070194047A1 (en) * 2006-01-25 2007-08-23 Berry Plastics Corporation Closure unit with cap and pour spout for container neck finish
US7743952B2 (en) * 2006-10-18 2010-06-29 Stull Technologies, Inc. Double bead sealing system for container closure
CA2673401C (en) * 2006-12-20 2013-08-13 Playtex Products, Inc. Vent valve assemblies for baby bottles
WO2008106399A2 (en) * 2007-02-27 2008-09-04 Anderson Michael R Container cap having dispensing storage chamber
US20100072162A1 (en) * 2007-04-10 2010-03-25 Yong Jick PARK Baby bottle
US8689987B2 (en) * 2007-05-31 2014-04-08 Linda A. Lewis Container adapter
TWM329439U (en) * 2007-07-10 2008-04-01 jian-zhi Lu Gas stream device used on milk bottles
CN101584646B (zh) * 2009-02-25 2013-01-23 富康玩具制品有限公司 一种防胀气液体瓶
US20100230565A1 (en) * 2009-03-13 2010-09-16 Henkel Corporation Surface attachment device
US20110297634A1 (en) * 2010-06-03 2011-12-08 Diaz Priska I Airless baby bottle
CN202682378U (zh) * 2012-06-19 2013-01-23 台州市黄岩爱婴缔婴儿用品有限公司 防胀气奶瓶
US9566214B2 (en) * 2012-10-17 2017-02-14 Formulawise, Inc. Portable system of preserving and instantly mixing baby formula
EP4360608A2 (en) * 2013-01-10 2024-05-01 Handi-Craft Company Dual configuration bottle assembly
US20160089306A1 (en) * 2014-09-29 2016-03-31 Eric CHEE Stackable baby bottle assembly with nestable cap and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530828A (ja) 2017-10-19
AU2015332563A1 (en) 2017-04-27
RU2017112932A3 (ko) 2019-05-21
EP3206656A4 (en) 2018-10-17
MX2017004918A (es) 2017-07-19
RU2017112932A (ru) 2018-11-16
CN107106414A (zh) 2017-08-29
WO2016061226A1 (en) 2016-04-21
TW201634036A (zh) 2016-10-01
IL251598A0 (en) 2017-06-29
CL2017000918A1 (es) 2018-01-19
PH12017500678A1 (en) 2017-10-09
EP3206656A1 (en) 2017-08-23
US20160106628A1 (en) 2016-04-21
CO2017003527A2 (es) 2017-06-30
SG11201702956QA (en) 2017-05-30
PH12017500678B1 (en) 2017-10-09
BR112017007427A2 (pt) 2017-12-19
ZA201801243B (en) 2019-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70139A (ko) 이중 구성 병 조립체
TWI578982B (zh) 雙組態之瓶總成
KR102290246B1 (ko) 이중 구성 병 조립체
US10206855B2 (en) Bottle assembly vent insert with siphoning member
EP3746032B1 (en) Bottle assembly
US10383795B2 (en) Bubble formation inhibiting vent assembly for a vented bottle assembly
RU2788963C2 (ru) Сборная бутылка
RU2803562C2 (ru) Сборная бутылочка двойной конфигураци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