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9103A -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9103A
KR20160029103A KR1020167002947A KR20167002947A KR20160029103A KR 20160029103 A KR20160029103 A KR 20160029103A KR 1020167002947 A KR1020167002947 A KR 1020167002947A KR 20167002947 A KR20167002947 A KR 20167002947A KR 20160029103 A KR20160029103 A KR 20160029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
battery
deflectable
electronic device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2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케빈 코펙 총
Original Assignee
라이프스캔 스코트랜드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프스캔 스코트랜드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라이프스캔 스코트랜드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60029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91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6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button or coin cells
    • H01M2/1044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28Electrolytic cell components
    • G01N27/30Electrodes, e.g. test electrodes; Half-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6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blood sugars, e.g. galacto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iabetes (AREA)
  • Cell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양극 및 음극을 가진 배터리를 유지시키기 위한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EDBH")는 전자 장치의 전력 회로에 대한 고정된 전기 접속을 위해 구성되는 기단부, EDBH 내로 작동가능하게 삽입된 배터리의 양극과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편향가능한 말단부, 및 기단부와 말단부를 연결하는 편향가능한 중간 부분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편향가능한 전기-전도성 양극 단자 프롱을 포함한다. EDBH는 또한 작동가능하게 삽입된 배터리에 힘을 가하도록, 배터리의 음극과 접촉하도록, 그리고 전자 장치의 전력 회로에 대한 고정된 전기 접속을 위해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압축가능한 전기-전도성 음극 단자 프롱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편향가능한 전기-전도성 양극 단자 프롱은 프롱 내부로의 배터리의 삽입 동안 편향되도록 그리고 작동가능하게 삽입된 배터리에 압축 고정력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ELECTRONIC DEVICE BATTERY HOLDER}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전자 장치 구성요소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 장치를 위한 배터리 홀더(battery holder) 및 관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체 샘플 내의 분석물(analyte) 또는 유체 샘플의 특성의 판정(예컨대, 검출 및/또는 농도 측정)은 의료 분야에서 특별한 관심 대상이다. 예를 들어, 소변, 혈액, 혈장 또는 간질액(interstitial fluid)과 같은 체액의 샘플 내의 포도당, 케톤체, 콜레스테롤, 지질단백질, 트라이글리세라이드, 아세트아미노펜, 헤마토크릿(hematocrit) 및/또는 HbA1c 농도를 판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한 판정은 핸드-헬드 검사 측정기(hand-held test meter) 및 예를 들어 시각, 측광(photometric) 또는 전기화학적 판정 기법을 이용하는 관련 분석 검사 스트립(analytical test strip)을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그러한 핸드-헬드 검사 측정기 및 다양한 다른 전자 장치는 전형적으로 장치의 전원 장치로서 이용되는 교체가능한 배터리(예컨대, 코인 셀 배터리(coin cell battery))를 보유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서, 양극 및 음극을 가진 배터리를 유지시키기 위한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가 개시되며,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는 적어도 하나의 편향가능한 전기-전도성 양극 단자 프롱(prong)으로서, 전자 장치의 전력 회로에 대한 고정된 전기 접속을 위해 구성되는 기단부(proximal end);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 내로 작동가능하게 삽입된 배터리의 양극과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편향가능한 말단부(distal end); 및 기단부와 말단부를 연결하는 편향가능한 중간 부분을 가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향가능한 전기-전도성 양극 단자 프롱; 및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 내로 작동가능하게 삽입된 배터리에 힘을 가하도록, 배터리의 음극과 접촉하도록, 배터리를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 내에서 견고하게 지지하고 유지시키도록, 그리고 전자 장치의 전력 회로에 대한 고정된 전기 접속을 위해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압축가능한 전기-전도성 음극 단자 프롱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편향가능한 전기-전도성 양극 단자 프롱은 프롱 내부로의 배터리의 삽입 동안 편향되도록 그리고 작동가능하게 삽입된 배터리에 압축 고정력을 가하는 동시에 배터리의 양극에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편향가능한 말단부는 양극에 대한 접촉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후크 부분(hook portion); 및 사용자가 누름으로써, 편향가능한 말단부를 편향시키고 배터리를 해제시키도록 구성되는 해제 표면(release surface)을 포함할 수 있다.
압축가능한 전기-전도성 음극 단자 프롱에 의해 가해지는 힘이 배터리를 후크에 맞대어 유지시킬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압축가능한 전기-전도성 음극 단자 프롱은 기단부를 가질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편향가능한 전기-전도성 양극 단자 프롱의 기단부 및 적어도 하나의 압축가능한 전기-전도성 음극 단자 프롱의 기단부는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에 대한 전기 접속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PCB는 체액 샘플 내의 분석물의 판정을 위한 핸드-헬드 검사 측정기의 PCB일 수 있다.
배터리는 코인 셀 배터리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편향가능한 전기-전도성 양극 단자 프롱은 복수의 편향가능한 전기-전도성 양극 단자 프롱들일 수 있다.
복수의 편향가능한 전기-전도성 양극 단자 프롱들 각각은 전자 장치의 전력 회로에 대한 고정된 전기 접속을 위해 구성되는 기단부를 가질 수 있고, 기단부들은 통합된 링-형상(ring-shaped)의 기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압축가능한 전기-전도성 음극 단자 프롱은 사전결정된 구성의 플레이트(plate)일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체액 샘플 내의 분석물의 판정을 위해 구성되는 핸드-헬드 검사 측정기일 수 있다.
분석물은 포도당일 수 있고, 체액 샘플은 전혈(whole blood)일 수 있다.
배터리는 형상이 대체로 원통형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압축가능한 전기-전도성 음극 단자 프롱은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가 전자 장치에 부착될 때 적어도 하나의 편향가능한 전기-전도성 양극 단자 프롱에 의해 한정되는 원주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압축가능한 전기-전도성 음극 단자 프롱은 복수의 전기-전도성 음극 단자 프롱들일 수 있고, 복수의 압축가능한 전기-전도성 음극 단자 프롱들 각각은 전자 장치의 전력 회로에 대한 고정된 전기 접속을 위해 구성되는 기단부를 가질 수 있으며, 기단부들은 통합된 링-형상의 기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서,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며, 방법은 배터리를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 내로 작동가능하게 삽입하되,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의 적어도 하나의 편향가능한 전기-전도성 양극 단자 프롱이 삽입 동안 편향되고, 작동가능하게 삽입된 배터리에 압축 고정력을 가하고, 삽입된 배터리의 양극과 접촉하도록;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압축가능한 전기-전도성 음극 단자 프롱이 압축되고, 작동가능하게 삽입된 배터리에 고정력을 가하고, 배터리의 음극과 접촉하도록, 삽입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편향가능한 전기-전도성 양극 단자 프롱의 해제 표면을 누름으로써, 압축 고정력을 제거하고 압축가능한 전기-전도성 음극 단자 프롱의 힘이 배터리를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 내의 작동가능한 삽입 상태로부터 밀어내도록 하는 것에 의해, 작동가능하게 삽입된 배터리를 해제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편향가능한 전기-전도성 양극 단자 프롱은 양극에 대한 접촉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후크 부분; 및 해제 표면을 포함하는 편향가능한 말단부를 가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압축가능한 전기-전도성 음극 단자 프롱에 의해 가해지는 힘이 배터리를 후크에 맞대어 유지시킬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압축가능한 전기-전도성 음극 단자 프롱은 기단부를 가질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편향가능한 전기-전도성 양극 단자 프롱은 기단부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편향가능한 전기-전도성 양극 단자 프롱의 기단부 및 적어도 하나의 압축가능한 전기-전도성 음극 단자 프롱의 기단부는 인쇄 회로 기판(PCB)에 대한 전기 접속을 위해 구성된다.
PCB는 체액 샘플 내의 분석물의 판정을 위한 핸드-헬드 검사 측정기의 PCB일 수 있다.
배터리는 코인 셀 배터리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편향가능한 전기-전도성 양극 단자 프롱은 복수의 편향가능한 전기-전도성 양극 단자 프롱들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압축가능한 전기-전도성 음극 단자 프롱은 사전결정된 구성의 플레이트일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체액 샘플 내의 분석물의 판정을 위해 구성되는 핸드-헬드 검사 측정기일 수 있다.
분석물은 포도당일 수 있고, 체액 샘플은 전혈일 수 있다.
배터리는 형상이 대체로 원통형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압축가능한 전기-전도성 음극 단자 프롱은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가 전자 장치에 부착될 때 적어도 하나의 편향가능한 전기-전도성 양극 단자 프롱에 의해 한정되는 원주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고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현재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며, 위에서 주어진 개괄적인 설명 및 아래에서 주어지는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의 간략화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의 간략화된 측면도.
도 3a는 도 1의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의 간략화된 평면도.
도 3b는 3개의 단면 선, 즉 선 D-D, 선 E-E 및 선 F-F를 포함하는 도 1의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의 간략화된 평면도.
도 4는 도 3b의 선 D-D, E-E 및 F-F의 조합을 따라 취해진 도 1의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의 간략화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함께 이용될 수 있는 인쇄 회로 기판(PCB)의 간략화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PCB에 작동식으로 부착된 도 1의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의 간략화된 사시도.
도 7은 코인 셀 배터리(coin cell battery, CCB)가 그 내부로 삽입되고 있을 때의 도 5의 PCB에 작동식으로 부착된 도 1의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의 간략화된 측단면도로서, 파선은 그러한 삽입 동안 편향가능한 전기-전도성 양극 단자 프롱의 편향을 도시하고, 곧은 화살표(G로 라벨링됨)는 삽입의 방향을 나타내며, 만곡된 화살표(둘 모두 H로 라벨링됨)는 편향의 방향을 나타냄.
도 8은 코인 셀 배터리가 그 내부로 작동가능하게 삽입되고 도 5의 PCB에 작동식으로 부착된 도 1의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의 간략화된 측단면도로서, 화살표(I로 라벨링됨)는 CCB를 고정시키는 압축력을 도시하고, 화살표(J로 라벨링됨)는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의 적어도 하나의 압축가능한 전기-전도성 음극 단자 프롱에 의해 가해지는 힘을 도시함.
도 9는 도 8의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로부터 해제되는 과정에 있는 코인 셀 배터리를 도시한 간략화된 측단면도로서, 화살표(K)는 사용자에 의해 편향가능한 전기-전도성 양극 단자 프롱의 해제 표면에 가해지는 압력을 나타내고, 화살표(L)는 생성되는 편향을 나타내며, 화살표(M)는 적어도 하나의 압축가능한 전기-전도성 음극 단자 프롱에 의해 가해지는 힘을 나타내고, 화살표(N)는 CCB 해제의 방향을 나타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배터리를 배터리 홀더로 삽입하고 그로부터 제거하기 위한 방법의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읽어야 하며, 도면에서 여러 도면 내의 동일한 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로 지시된다. 반드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은 아닌 도면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해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며,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원리를 제한이 아닌 예로서 예시한다. 이러한 설명은 명백하게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조 및 사용할 수 있게 할 것이고, 현재 본 발명을 수행하는 최선의 모드로 여겨지는 것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 개작, 변형, 대안 및 사용을 기술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임의의 수치 값 또는 범위에 대한 용어 "약" 또는 "대략"은 구성요소들의 일부 또는 집합이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은 그의 의도된 목적으로 기능할 수 있게 하는 적합한 치수 허용오차를 나타낸다. 용어 "프롱"은 돌출 부분을 지칭하고, 용어 "플레이트"는 재료의 평평한, 얇은 피스(piece)를 지칭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극 및 음극을 가진 배터리(예컨대, 코인 셀 배터리)를 유지시키기 위한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는 전자 장치의 전력 회로에 대한 고정된 전기 접속을 위해 구성되는 기단부,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 내로 작동가능하게 삽입된 배터리의 양극과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편향가능한 말단부, 및 기단부와 말단부를 연결하는 편향가능한 중간 부분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편향가능한 전기-전도성 양극 단자 프롱을 포함한다.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는 또한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 내로 작동가능하게 삽입된 배터리에 힘을 가하도록, 배터리의 음극과 접촉하도록, 배터리를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 내에서 견고하게 지지하고 유지시키도록, 그리고 전자 장치의 전력 회로에 대한 고정된 전기 접속을 위해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압축가능한 전기-전도성 음극 단자 프롱을 포함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편향가능한 전기-전도성 양극 단자 프롱은 프롱 내부로의 배터리의 삽입 동안 편향되도록 그리고 작동가능하게 삽입된 배터리에 압축 고정력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는, 예를 들어 그들이 최소 개수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그럼으로써 취급 및 조립을 간단하게 함) 전용 배터리 하우징, 플라스틱 커버 및/또는 배터리 제거 리본(ribbon)의 포함 또는 사용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이롭다. 최소 개수의 부품의 포함은, 예를 들어 분석 검사 스트립을 사용하여 체액 샘플(예컨대, 전혈 샘플) 내의 분석물(예컨대, 포도당)을 판정하기 위한 핸드-헬드 검사 측정기를 포함하는 다양한 전자 장치 내로 쉽게 통합될 수 있는 유익하게 저렴한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를 생성한다. 또한, 일단 본 개시 내용을 알게 되면, 당업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가 코인 셀 배터리(예컨대, 리튬 코인 셀 배터리), AA 배터리, AAA 크기 배터리 또는 형상이 대체로 원통형인 다른 적합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다양한 배터리 유형을 작동식으로 유지시키도록 쉽게 크기설정되고/되거나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그들이 3가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즉 배터리를 견고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전자 장치와 배터리 사이의 전기 접속을 제공하기 위해, 그리고 배터리를 해제시키기 위해, 편향가능한 전기-전도성 양극 단자 프롱(들) 및 압축가능한 전기-전도성 음극 단자 프롱(들)에 의해 생성되는 압축력과 편향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한다는 점에서 이롭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100)의 간략화된 사시도이다. 도 2는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100)의 간략화된 측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100)의 간략화된 평면도이다. 도 3b는 3개의 단면 선(즉, 선 D-D, E-E 및 F-F)을 도시한다. 도 4는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100)의 간략화된 단면도이다.
도 5는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100)와 함께 이용될 수 있는 바와 같은 인쇄 회로 기판(PCB)의 간략화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PCB에 부착된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100)의 간략화된 사시도이다. 도 5의 PCB는 PCB에 대한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100)의 작동가능한 장착을 위한 솔더 페이스트(solder paste)(PST)를 포함한다.
도 7은 코인 셀 배터리(CCB)가 그 내부로 삽입되고 있을 때의 인쇄 회로 기판(PCB)에 작동식으로 부착된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100)의 간략화된 측단면도로서, 파선은 그러한 삽입 동안 편향가능한 전기-전도성 양극 단자 프롱의 편향을 도시하고, 곧은 화살표(G로 라벨링됨)는 삽입의 방향을 나타내며, 만곡된 화살표(둘 모두 H로 라벨링됨)는 편향의 방향을 나타낸다.
도 8은 코인 셀 배터리가 그 내부로 작동가능하게 삽입되고 도 5의 인쇄 회로 기판(PCB)에 작동식으로 부착된 도 1의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100)의 간략화된 측단면도로서, 화살표(I로 라벨링됨)는 CCB를 고정시키는 압축력을 도시하고, 화살표(J로 라벨링됨)는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100)의 적어도 하나의 압축가능한 전기-전도성 음극 단자 프롱에 의해 가해지는 힘을 도시한다. 도 9는 도 8의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100)로부터 해제되는 과정에 있는 코인 셀 배터리를 도시한 간략화된 측단면도로서, 화살표(K)는 사용자에 의해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100)의 편향가능한 전기-전도성 양극 단자 프롱의 해제 표면에 가해지는 압력을 나타내고, 화살표(L)는 생성되는 편향을 나타내며, 화살표(M)는 압축가능한 전기-전도성 음극 단자 프롱에 의해 가해지는 힘을 나타내고, 화살표(N)는 CCB 해제의 방향을 나타낸다.
설명을 위한 목적 및 간단함을 위해, 도 4, 도 7, 도 8 및 도 9의 단면도들이 각각 도 3b의 선 D-D, E-E 및 F-F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들의 정렬된 조합이라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100)는 양극 및 음극을 가진 배터리를 유지시키기 위해 구성되고, 복수의 편향가능한 전기-전도성 양극 단자 프롱(102)(즉 각각 102로 라벨링된 4개의 편향가능한 전기-전도성 양극 단자 프롱)을 포함한다. 편향가능한 전기-전도성 양극 단자 프롱들(102) 각각은 PCB를 통한 전자 장치의 전력 회로(미도시)에 대한 고정된 전기 접속을 위해 구성되는 기단부(104),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 내로 삽입된 CCB의 양극과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편향가능한 말단부(106), 및 기단부와 말단부를 연결하는 편향가능한 중간 부분(108)을 포함한다.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100)가 4개의 편향가능한 전기-전도성 양극 단자 프롱을 갖기 때문에, 또한 4개의 기단부(104), 4개의 편향가능한 말단부(106) 및 4개의 편향가능한 중간 부분(108)이 있다.
도 1 내지 도 4 및 도 6 내지 도 9의 실시예에서, 4개의 기단부(104)는 단일 링-형상의 기부로 통합된다. 이러한 링-형상의 기부는 PCB의 표면 상의 전기 배선(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이 단일 링-형상의 기부 아래로 통과하게 하는 통로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2개의 쉐브론(chevron)(109)을 포함한다. 편향가능한 전기-전도성 양극 단자 프롱의 높이(도 2에 "A"로 라벨링됨)는 예를 들어 5.55 mm의 높이를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높이일 수 있다. 편향가능한 전기-전도성 양극 단자 프롱(102)의 총 깊이(도 3a에 "B"로 라벨링됨)는 예를 들어 26.62 mm의 깊이를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깊이일 수 있다. 편향가능한 전기-전도성 양극 단자 프롱(102)의 폭(도 3a에 "C"로 라벨링됨)은 예를 들어 25.04 mm의 폭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폭일 수 있다.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100)는 또한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100) 내로 작동가능하게 삽입된 CCB 상에 힘을 가하도록(도 8에 J로 그리고 도 9에 M으로 라벨링된 화살표에 의해 표현되는 바와 같음), CCB의 음극과 접촉하도록, 배터리를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 내에서 견고하게 지지하고 유지시키도록, 그리고 PCB를 통한 전자 장치의 전력 회로(미도시)에 대한 고정된 전기 접속을 위해 구성되는 복수의(즉, 4개의) 압축가능한 전기-전도성 음극 단자 프롱(110)을 포함한다. 또한, 압축가능한 전기-전도성 음극 단자 프롱들(110) 각각은 인쇄 회로 기판(PCB)에 대한 전기 접속을 위해 구성되는 기단부(112)를 갖는다. 도 1 내지 도 4 및 도 6 내지 도 9의 실시예에서, 4개의 기단부(112)는 단일 링-형상의 기부로 통합된다. 압축가능한 전기-전도성 음극 단자 프롱(110)은 예를 들어 100 그램중(gram-force) 내지 200 그램중 범위 내의 압축력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압축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10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에서, 복수의 압축가능한 전기-전도성 음극 단자 프롱은 본질적으로,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가 전자 장치에 부착될 때 적어도 하나의 편향가능한 전기-전도성 양극 단자 프롱에 의해 한정되는 경계(예컨대, 원주)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그러한 구성은, 4개의 기단부 쪽의 편향가능한 전기-전도성 양극 단자 프롱(102)이 원주(링)를 형성하고 4개의 압축가능한 전기-전도성 음극 단자 프롱(110)이 그러한 원주 내에 배치되는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평면도로부터 가장 알기 쉽게 명백하다. 복수의 압축가능한 전기-전도성 음극 단자 프롱이 그러한 원주 내에 그리고 또한 삽입된 배터리 아래에 있기 때문에(예를 들어, 도 8 참조), 사용자가 배터리 삽입 동안 압축가능한 전기-전도성 음극 단자 프롱과 편향가능한 전기-전도성 양극 단자 프롱 사이의 유해한 단락을 우발적으로 생성할 임의의 위험이 최소화된다.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100)에서, 편향가능한 전기-전도성 양극 단자 프롱(102)은 프롱 내부로의 배터리의 삽입 동안 편향되도록 그리고 작동가능하게 삽입된 CCB에 압축 고정력(도 8에 I로 라벨링된 화살표에 의해 표현됨)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편향은 도 7의 파선과 화살표에 의해 표현되고, 편향가능한 전기-전도성 단자 프롱이 형성되는 재료의 가요성 특성에 의해 가능해진다. 편향가능한 전기-전도성 양극 단자 프롱(102)은 예를 들어 50 그램중 내지 100 그램중 범위 내의 압축력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압축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 및 도 6 내지 도 9의 실시예에서, 편향가능한 말단부들(106)은 각각 CCB의 양극에 대한 전기 접촉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후크 부분(130) 및 사용자가 누름으로써(도 9에 화살표(K)에 의해 표시됨) 편향가능한 말단부를 편향시키고(도 9의 화살표(L)에 의해 도시됨) CCB를 해제시키도록(도 9에 N으로 라벨링된 화살표에 의해 도시됨) 구성되는 해제 표면(132)을 포함한다. 압축가능한 전기-전도성 음극 단자 프롱(110)에 의해 가해지는 힘이 사용 동안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CCB를 후크 부분(130)에 맞대어 유지시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그러한 힘은 예를 들어 100 그램중 내지 200 그램중 범위 내의 힘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크기일 수 있다. 해제 표면(132)은 사용자가 쉽게 한 손가락 누름 동작을 사용하여 배터리를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100)로부터 해제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해 원추형 형상으로 엠보싱된다(embossed)(특히 도 2 참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는 예를 들어 금속 스탬핑(stamping) 및 성형 기술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편향가능한 전기-전도성 양극 단자 프롱 및 압축가능한 전기-전도성 음극 단자 프롱은 예를 들어 얇은 금속 플레이트로부터 사전결정된 구성으로 형성되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압축가능한 전기-전도성 음극 단자 프롱(들)은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가 전자 장치에 부착될 때 적어도 하나의 편향가능한 전기-전도성 양극 단자 프롱에 의해 한정되는 원주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예를 들어, 도 3 참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이용되는 편향가능한 전기-전도성 양극 단자 프롱 및 압축가능한 전기-전도성 음극 단자 프롱은 예를 들어 탄소강, 베릴륨 구리, 스테인리스강, 인청동 재료를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재료의 두께는 예를 들어 0.2 mm 내지 0.5 mm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도 10은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200)의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 및 도 7과 도 9를 참조하면, 방법(200)은 도 10의 단계(210)에서, 배터리(예컨대, 코인 셀 배터리)를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 내로 작동가능하게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작동가능한 삽입은 (i)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의 적어도 하나의 편향가능한 전기-전도성 양극 단자 프롱이 삽입 동안 편향되고, 작동가능하게 삽입된 배터리에 압축 고정력을 가하고, 삽입된 배터리의 양극과 접촉하도록; 그리고 (ii) 적어도 하나의 압축가능한 전기-전도성 음극 단자 프롱이 압축되고, 작동가능하게 삽입된 배터리에 힘(예컨대, 배터리를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 내에 유지시키는 고정력)을 가하고, 배터리의 음극과 접촉하도록 한다. 또한 도 7과 도 8 및 본 명세서의 그들의 설명을 참조한다.
방법(200)의 단계(220)에서, 작동가능하게 삽입된 배터리는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편향가능한 전기-전도성 양극 단자 프롱의 해제 표면을 누름으로써 압축 고정력을 제거하는 것에 의해 해제된다. 이러한 고정 압축력의 제거는 압축가능한 전기-전도성 음극 단자 프롱의 힘이 배터리를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 내의 작동가능한 삽입 상태로부터 밀어내도록 한다. 또한 도 9 및 그의 상기 설명을 참조한다.
방법(200)은, 예를 들어 배터리가 사용자에 의해 간단한 하향 누름 동작(도 7의 화살표(G) 참조)으로 작동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고, 배터리가 배터리 제거 리본의 성가신 사용 없이 간단한 하향 누름 동작(도 9의 화살표(K)의 방향으로)을 사용하여 해제된다(도 9의 화살표(N)의 방향으로)는 점에서 이롭다.
일단 본 개시 내용을 알게 되면, 당업자는 방법(200)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리고 본 명세서에 기술된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의 기술, 이득, 특징 및 특성 중 임의의 것을 통합하도록 쉽게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본 명세서에 기술되고 도시되었지만, 그러한 실시예는 단지 예로서 제공된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이제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많은 변형, 변경, 및 대체가 당업자에게 고려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대안이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이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하기의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범주를 한정하고, 이러한 청구범위 및 그의 등가물의 범주 내의 장치 및 방법이 그에 의해 포괄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26)

  1. 양극 및 음극을 가진 배터리를 유지시키기 위한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electronic device battery holder)로서,
    적어도 하나의 편향가능한 전기-전도성 양극 단자 프롱(prong)으로서,
    전자 장치의 전력 회로에 대한 고정된 전기 접속을 위해 구성되는 기단부(proximal end);
    상기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 내로 작동가능하게 삽입된 배터리의 양극과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편향가능한 말단부(distal end); 및
    상기 기단부와 상기 말단부를 연결하는 편향가능한 중간 부분을 가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향가능한 전기-전도성 양극 단자 프롱; 및
    상기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 내로 작동가능하게 삽입된 상기 배터리에 힘을 가하도록, 상기 배터리의 음극과 접촉하도록, 상기 배터리를 상기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 내에서 견고하게 지지하고 유지시키도록, 그리고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전력 회로에 대한 고정된 전기 접속을 위해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압축가능한 전기-전도성 음극 단자 프롱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향가능한 전기-전도성 양극 단자 프롱은 상기 프롱 내부로의 배터리의 삽입 동안 편향되도록 그리고 작동가능하게 삽입된 배터리에 압축 고정력을 가하는 동시에 상기 배터리의 양극에 접속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가능한 말단부는
    상기 양극에 대한 상기 접촉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후크 부분(hook portion); 및
    사용자가 누름으로써, 상기 편향가능한 말단부를 편향시키고 상기 배터리를 해제시키도록 구성되는 해제 표면(release surface)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가능한 전기-전도성 음극 단자 프롱에 의해 가해지는 상기 힘이 상기 배터리를 상기 후크에 맞대어 유지시키는,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축가능한 전기-전도성 음극 단자 프롱은 기단부를 갖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향가능한 전기-전도성 양극 단자 프롱의 상기 기단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축가능한 전기-전도성 음극 단자 프롱의 상기 기단부는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에 대한 전기 접속을 위해 구성되는,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PCB는 체액 샘플 내의 분석물(analyte)의 판정을 위한 핸드-헬드 검사 측정기(hand-held test meter)의 PCB인,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코인 셀 배터리(coin cell battery)인,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향가능한 전기-전도성 양극 단자 프롱은 복수의 편향가능한 전기-전도성 양극 단자 프롱들인,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편향가능한 전기-전도성 양극 단자 프롱들 각각은 전자 장치의 전력 회로에 대한 고정된 전기 접속을 위해 구성되는 기단부를 갖고, 상기 기단부들은 통합된 링-형상(ring-shaped)의 기부로서 구성되는,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축가능한 전기-전도성 음극 단자 프롱은 사전결정된 구성의 플레이트(plate)인,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체액 샘플 내의 분석물의 판정을 위해 구성되는 핸드-헬드 검사 측정기인,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물은 포도당이고, 상기 체액 샘플은 전혈(whole blood)인,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형상이 대체로 원통형인,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축가능한 전기-전도성 음극 단자 프롱은 상기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가 전자 장치에 부착될 때 적어도 하나의 편향가능한 전기-전도성 양극 단자 프롱에 의해 한정되는 원주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축가능한 전기-전도성 음극 단자 프롱은 복수의 전기-전도성 음극 단자 프롱들이고, 상기 복수의 압축가능한 전기-전도성 음극 단자 프롱들 각각은 전자 장치의 전력 회로에 대한 고정된 전기 접속을 위해 구성되는 기단부를 가지며, 상기 기단부들은 통합된 링-형상의 기부로서 구성되는,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
  15.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배터리를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 내로 작동가능하게 삽입하되,
    상기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의 적어도 하나의 편향가능한 전기-전도성 양극 단자 프롱이 삽입 동안 편향되고, 상기 작동가능하게 삽입된 배터리에 압축 고정력을 가하고, 상기 삽입된 배터리의 양극과 접촉하도록;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압축가능한 전기-전도성 음극 단자 프롱이 압축되고, 상기 작동가능하게 삽입된 배터리에 고정력을 가하고, 상기 배터리의 음극과 접촉하도록,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향가능한 전기-전도성 양극 단자 프롱의 해제 표면을 누름으로써, 상기 압축 고정력을 제거하고 상기 압축가능한 전기-전도성 음극 단자 프롱의 상기 힘이 상기 배터리를 상기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 내의 작동가능한 삽입 상태로부터 밀어내도록 하는 것에 의해, 상기 작동가능하게 삽입된 배터리를 해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향가능한 전기-전도성 양극 단자 프롱은
    상기 양극에 대한 상기 접촉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후크 부분; 및
    상기 해제 표면을 포함하는 편향가능한 말단부를 갖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축가능한 전기-전도성 음극 단자 프롱에 의해 가해지는 상기 힘이 상기 배터리를 상기 후크에 맞대어 유지시키는, 방법.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축가능한 전기-전도성 음극 단자 프롱은 기단부를 갖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향가능한 전기-전도성 양극 단자 프롱은 기단부를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향가능한 전기-전도성 양극 단자 프롱의 상기 기단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축가능한 전기-전도성 음극 단자 프롱의 상기 기단부는 인쇄 회로 기판(PCB)에 대한 전기 접속을 위해 구성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PCB는 체액 샘플 내의 분석물의 판정을 위한 핸드-헬드 검사 측정기의 PCB인, 방법.
  20. 제15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코인 셀 배터리인, 방법.
  21. 제15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향가능한 전기-전도성 양극 단자 프롱은 복수의 편향가능한 전기-전도성 양극 단자 프롱들인, 방법.
  22. 제15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축가능한 전기-전도성 음극 단자 프롱은 사전결정된 구성의 플레이트인, 방법.
  23. 제15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체액 샘플 내의 분석물의 판정을 위해 구성되는 핸드-헬드 검사 측정기인,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물은 포도당이고, 상기 체액 샘플은 전혈인, 방법.
  25. 제15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형상이 대체로 원통형인, 방법.
  26. 제15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축가능한 전기-전도성 음극 단자 프롱은 상기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가 전자 장치에 부착될 때 적어도 하나의 편향가능한 전기-전도성 양극 단자 프롱에 의해 한정되는 원주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방법.
KR1020167002947A 2013-07-05 2014-07-04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 KR201600291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312148.8A GB2515835B (en) 2013-07-05 2013-07-05 Electronic device battery holder
GB1312148.8 2013-07-05
PCT/EP2014/064373 WO2015001108A1 (en) 2013-07-05 2014-07-04 Electronic device battery hol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9103A true KR20160029103A (ko) 2016-03-14

Family

ID=49033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2947A KR20160029103A (ko) 2013-07-05 2014-07-04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160133893A1 (ko)
EP (1) EP3017490A1 (ko)
JP (1) JP2016524296A (ko)
KR (1) KR20160029103A (ko)
CN (1) CN105359296A (ko)
AU (1) AU2014286057A1 (ko)
CA (1) CA2917275A1 (ko)
GB (1) GB2515835B (ko)
HK (2) HK1205823A1 (ko)
RU (1) RU2016103619A (ko)
TW (1) TWI622206B (ko)
WO (1) WO20150011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33116B2 (en) * 2017-01-11 2019-06-25 Memory Protection Devices, Inc. Top loading battery holder
TWI673903B (zh) * 2018-02-21 2019-10-01 美商記憶體保護設備股份有限公司 頂部裝載式電池保持器
EP4016682A1 (de) 2020-12-16 2022-06-22 Würth Elektronik Eisos Gmbh & CO. KG Halterung für eine knopfzelle, anordnung mit einer halterung und verfahren zum automatischen montieren einer halterung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8757A (en) * 1874-03-17 Improvement in sectional steam-generators
US124902A (en) * 1872-03-26 Improvement in end gates for wagons
JPS56168355A (en) * 1980-05-30 1981-12-24 Citizen Watch Co Ltd Structure for holding battery
JPS633087Y2 (ko) * 1980-12-17 1988-01-26
US5980309A (en) * 1996-10-31 1999-11-09 The Whitaker Corporation Battery connector
JP3875508B2 (ja) * 2001-04-10 2007-01-31 Smk株式会社 バッテリーホルダー用部品及びバッテリーホルダーの実装方法
CN2509727Y (zh) * 2001-12-20 2002-09-04 技嘉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座改良构造
US6669504B2 (en) * 2002-01-03 2003-12-30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oin battery connector
JP2003217542A (ja) * 2002-01-28 2003-07-31 Seiko Instruments Inc 電子機器及び電子時計
TW562247U (en) * 2002-12-06 2003-11-11 Hon Hai Prec Ind Co Ltd Battery connector
GB2396248B (en) * 2002-12-13 2004-12-15 Giga Byte Tech Co Ltd Supporting device for coupling batteries to a circuit board
CN2662459Y (zh) * 2003-11-07 2004-12-08 林江俊 包覆式信息产品电池承载结构
US7059894B1 (en) * 2004-12-14 2006-06-13 Huang-Chou Huang Battery seat
TWI294193B (en) * 2005-12-06 2008-03-01 Giga Byte Tech Co Ltd Battery holder structure with jumper
US8343331B2 (en) * 2007-09-27 2013-01-01 Philosys Co., Ltd. Method for correcting erroneous results of measurement in biosensors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US8067109B2 (en) * 2007-12-05 2011-11-29 Hon Hai Precision Inc. Co., Ltd. Battery holder
EP2154739A1 (en) * 2008-08-05 2010-02-17 Tsung-I Tseng Battery seat having stability and conductivity
US9494555B2 (en) * 2012-09-24 2016-11-15 Cilag Gmbh International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an analyte in a sample and calculating glucose results to account for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17490A1 (en) 2016-05-11
GB2515835B (en) 2017-04-26
HK1223738A1 (zh) 2017-08-04
JP2016524296A (ja) 2016-08-12
RU2016103619A (ru) 2017-08-10
US20160133893A1 (en) 2016-05-12
GB2515835A (en) 2015-01-07
CA2917275A1 (en) 2015-01-08
CN105359296A (zh) 2016-02-24
HK1205823A1 (en) 2015-12-24
AU2014286057A1 (en) 2016-02-04
TWI622206B (zh) 2018-04-21
WO2015001108A1 (en) 2015-01-08
GB201312148D0 (en) 2013-08-21
TW201526356A (zh) 2015-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30537C (en) Strip connectors for measurement devices
EP4283799A3 (en) Device with disposable element
KR20160029103A (ko) 전자 장치 배터리 홀더
US9791473B2 (en) Test probe, test probe component and test platform
JP2016536754A (ja) 医療検査装置用の電池ウェル
EP2868270B1 (en) Living body stimulating electrode, living body stimulating electrod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living body stimulating electrode
JP2015121476A (ja) コンタクトプローブ及び電気部品用ソケット
TWI642934B (zh) 試片讀取裝置
TW200907349A (en) Probe assembly and inspection apparatus
KR20160042078A (ko) 집적 전기 접점들을 갖는 방수 케이싱
TWI375793B (ko)
CN210923563U (zh) 一种电动弹出式电极杆及应用该电极杆的维生素检测仪
US20100234764A1 (en) System for measuring components in living body, kit for micropore forming device, and marking member
TW201617610A (zh) 退片結構以及具有退片功能的連接器
KR20180085267A (ko) 피부 전도도 측정 센서의 접속구조
CN216870629U (zh) 一种电池的测试用固定治具
JP2006310083A (ja) ボタン電池取り付け構造、電子機器、及び血糖値計測表示器
WO202313507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cb fixation with battery tabs in a housing
TW201821026A (zh) 具有平滑凹陷電性接觸件、接觸制動肋條及金屬屏蔽板之手持式測試儀
EP0919816A3 (en) Electrical connecting apparatus
JP2008096185A (ja) ワイヤハーネス検査装置、これに用いる異方性導電フィルム、ワイヤハーネス検査用回路基板及びワイヤハーネス検査方法
KR200189523Y1 (ko) 핀셋 기능을 갖는 밧데리 체커
JP2000200591A (ja) 温度センサ付き電池ホルダ
JP2003185675A (ja) 電気信号抽出方法及び装置
TW202229851A (zh) 試片改良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